KR102164808B1 -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attraction - Google Patents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attra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808B1
KR102164808B1 KR1020180068872A KR20180068872A KR102164808B1 KR 102164808 B1 KR102164808 B1 KR 102164808B1 KR 1020180068872 A KR1020180068872 A KR 1020180068872A KR 20180068872 A KR20180068872 A KR 20180068872A KR 102164808 B1 KR102164808 B1 KR 102164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reselection
virtual reality
providing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8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41978A (en
Inventor
강종진
Original Assignee
유콘크리에이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콘크리에이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콘크리에이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8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808B1/en
Publication of KR20190141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9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8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은 영상제공부,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제공부는 제1관광지에서 사용자가 조망하는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 과거 영상, 가상 영상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에는 상기 제1관광지에서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1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할 경우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부터 추출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보상으로서 사용자가 조망한 영역을 단말기 등의 재생부를 통하여 AR이미지로 볼 수 있는 출력물 제공, 방문이력을 남길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관광지의 추억을 환기시켜 사용자가 관광지를 재방문하도록 유도하여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의 지속적인 이용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A technology related to a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images for tourist attractions is disclosed. In one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includes an image providing unit, a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and a control unit. The image providing unit provi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eal image, a past image, a virtual im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of an area viewed by the user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is provided with a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preselected area from among the areas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t the first tourist spot-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reselection area. When the user view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the control unit extracts a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o the user, and provides compensation when the user view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in accordance with a reference condition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rovides an output that allows the user to view the area viewed as an AR image through a playback unit such as a terminal, as a reward, and provides a function to leave a visit history to remind the user of the tourist destination.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promoting continuous use of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by inducing them to revisit.

Description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attraction}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attraction}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기술은 대체로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관광지에서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미리 선택된 영역을 조망하는 경우에 보상을 제공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generally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a tourist destination that provides compensation when a user views a preselected area in accordance with a reference condition in a tourist destination. About.

현재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기술은 게임, 건축, 산업설계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 중에 있다. 가상현실기술은 구현 방식에 따라 게임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투사형(Projected Type), 실제 세계와 가상의 물체를 합성하는 증강형(Augmented Type) 등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Currently, VR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being implemented and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games, architecture, and industrial desig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virtual reality technology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projected type, which is widely used for games, and an augmented type that synthesizes a virtual object with the real world.

한편, 유명 관광지에는 주변을 조망할 수 있는 망원경이 설치된 전망대가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광지를 방문한 관광객은 전망대에 마련된 망원경을 통하여 주변 지역을 조망할 수 있다. 기존의 전망대에 마련된 망원경은 관광객이 조망하는 지역의 실사 이미지만을 관람객에게 보여준다. 따라서 관광객은 자신이 조망하는 지역 중 유명 명소에 대한 세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안내책자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랜 기간 자연에 노출되어 풍화작용 등으로 그 원형이 훼손된 반구대 암각화 등과 같은 유물의 경우에는 관광객이 망원경으로 조망하더라도 그 본연의 모습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 등으로 인하여 현재 관광지의 전망대에 설치된 망원경의 활용도가 낮은 것이 현실이다. 증강현실 기술이 망원경에 접목되어 실 세계와 실 세계에 대하여 미리 준비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호 접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famous tourist destinations, it is common to have an observation deck equipped with a telescope to view the surroundings. Tourists visiting the tourist destination can view the surrounding area through the telescope provided in the observation deck. The telescope provided in the existing observation deck shows only the real-life images of the area that tourists are viewing to the visitor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ourists have to use information such as guidebooks in order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on famous attractions among the areas they view. In addition, in the case of relics such as hemispheric petroglyphs that have been exposed to nature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ir original form has been damaged due to weathering, etc.,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ourists to check their original form even if they look through a telescope. Due to these problems, it is a reality that the telescopes installed in the observation decks of tourist destinations are currently not utilized.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graft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o a telescope and grafting the real world and virtual reality contents prepared in advance for the real world.

망원경 등과 같은 현실 영상제공 장치와 가상현실을 상호 접목하는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KR 10-0276433 “증강 현실을 이용한 관광 망원경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대한민국공개특허 KR 10-2013-0083179 “증강 현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등이 있다. 종래기술은 실 세계와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호 접목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이 제공하는 기술은 관광객의 호기심을 자극시켜 망원경과 연계된 가상현실 컨텐츠의 활용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는 있으나, 하나의 실 세계 영상과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수준에 그쳐 일회성의 호기심을 제공할 뿐 지속적인 가상현실 컨텐츠 이용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As a prior art for grafting a reality image providing device such as a telescope with virtual reality, Korean Patent Registration KR 10-0276433 “Tourist telescope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Korean Patent Publication KR 10-2013-0083179 “Enhanced Reality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supporting it”, etc. The prior art provides a technology for grafting the real world and virtual reality content. However, the technology provided by the prior art can perform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s linked to a telescope by stimulating the curiosity of tourists, but is limited to providing a single real-world image and virtual reality conten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provides a one-time curiosity and does not motivate continuous use of virtual reality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사용자가 관광지에서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미리 선택된 영역을 조망하는 경우에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가상현실 컨텐츠의 지속적인 이용을 유도하는 기술을 제공한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der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 and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rovides a compensation when a user views a preselected area in accordance with a reference condition in a tourist destination Provides technology to induce continuous use of cont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스토리라인에 근거한 가상현실 컨텐츠의 제공과 이에 따른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가상현실 컨텐츠의 지속적인 이용을 한층 더 유도하는 기술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technology that further induces continuous use of virtual reality content by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a story line and providing compensation according to i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은 영상제공부,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a technology related to a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for a tourist destination is disclosed.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includes an image providing unit, a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and a control unit.

상기 영상제공부는 제1관광지에서 사용자가 조망하는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 과거 영상, 가상 영상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The image providing unit provi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eal image, a past image, a virtual im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of an area viewed by the user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에는 상기 제1관광지에서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1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된다.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is provided with a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preselected area from among the areas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t the first tourist spot-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reselection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할 경우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부터 추출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을 제공한다.When the user view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the control unit extracts a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o the user, and provides compensation when the user view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in accordance with a reference condition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상기 정보는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위치정보,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과 관련된 스토리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region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election region, a story related to the first preselection region, and a combination thereof.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은 제1관광지에서 사용자가 조망하는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 과거 영상, 가상 영상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영상제공부, 상기 제1관광지에서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1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된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 및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할 경우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을 제공하며,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에는 제2관광지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2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 및 상기 제2사전선택영역 중에서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2관광지에서 앞서 조망한 제2사전선택영역-이하 이격지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은 복수개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상기 정보는 복수개의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 각각의 위치정보, 복수개의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 중에서 선택되며 서로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제1사전선택영역-이하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이라 함-의 정보 및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과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과의 관련된 스토리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이 공유하는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상기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한 달성률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과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과의 관련된 상기 스토리라인에 대응되는 제1사전선택영역-이하 제2관련사전선택영역이라 함-을 조망한 달성률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은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상기 정보는 복수개의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 각각의 위치정보 및 복수개의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 중에서 선택되며 서로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제1사전선택영역-이하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이라 함-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상기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한 달성률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a tourist destination includes an imag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eal image, a past image, a virtual im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for a region viewed by a user at a first tourist site, and the image system at the first tourist site. When viewing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hroug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and the image providing unit provided with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preselected area among areas that can be viewed through study-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And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o the user, and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Compensation is provided whe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is viewed in conformity with a reference condition, and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includes a preselected area among areas that the user can view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t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A second preselection area viewed from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mo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the second preselection area and the second preselection area-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parate area preselection area A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is provided, and the control un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eparation area preselection area to the user, and a plurality of first preselection areas are provided, and the first preselection are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The information of the preselection region is a first preselection region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first preselection region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reselection regions and sharing a storyline with each other-hereinafter a first related preselection region And a story line associated with the first preselection region and the spaced preselection region, and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storyline shared by the first preselection region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Based on whether the achievement rate of viewing the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satisfies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ference condition is met, or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Based on whether the achievement rate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storyline related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and the spaced preselection area-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related preselection area-satisfies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riteria above are met. Meanwhile, a plurality of first preselection regions may be provided.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is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first preselection area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reselection areas, and a first preselection area that shares a storyline with each other. It may include information of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reference condition is met based on whether an achievement rate of the user viewing the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according to the story line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satisfies a reference value.

또 한편,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에는 제2관광지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2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 및 상기 제2사전선택영역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2관광지에서 앞서 조망한 제2사전선택영역-이하 이격지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상기 정보는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위치정보 및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과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과의 관련된 스토리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스토리라인에 대응되는 제1사전선택영역-이하 제2관련사전선택영역이라 함-을 조망한 달성률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includes a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pre-selected area from the area that the user can view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t a second tourist site-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preselection area. Among the two preselection areas, a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second preselection area previously viewed from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by the user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solated area preselection area may be provided. The control unit ma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separation area preselection area.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 and a story line related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and the separation area preselection area.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is based on whether the achievement rate of the user viewing the first preselec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storyline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related preselection area-satisfies a reference value.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standard conditions are met.

상기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상기 보상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조망한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와 매칭되는 증강현실마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destinations match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view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storyline as the compensation when the user views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on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상기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은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부터 상기 증강현실마커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하는 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조망한 순서에 따라 재생될 수 있다.The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for a tourist destination may further include a playback unit for receiving and play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In this ca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ed by the playback unit may be played according to the order view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story line.

상기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상기 보상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방문이력을 저장하는 방문자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for a tourist destination may further include a visitor management unit for storing the visitation history of the user as the compensation when the user views the view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ondition.

상기 방문자관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상기 보상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조망한 순서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방문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문자관리부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방문이력과 유사도가 높은 제3의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문자관리부에 저장된 상기 방문이력을 상기 제1관광지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visitor management unit may store a visitation history of the user including an order of views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storyline as the reward when the user views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ondition. Meanwhile, the control unit may analyze the visitor management unit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of a third user having a high similarity with the visitation history of the user.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may provide the visit history stored in the visitor management unit to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manager.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은 영상제공부, 추가적인 영상제공부,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a technology related to a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for a tourist destination is disclosed.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includes an image providing unit, an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a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and a control unit.

상기 영상제공부는 제1관광지에서 사용자가 조망하는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 가상 영상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The image providing unit provi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eal image, a virtual im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of an area viewed by the user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상기 추가적인 영상제공부는 제2관광지에서 사용자가 조망하는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 가상 영상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The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provi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eal image, a virtual im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of an area viewed by the user in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에는 상기 제1관광지에서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1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 및 상기 제2관광지에서 상기 추가적인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2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된다.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includes a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preselected area from the area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t the first tourist site-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reselection area-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at the second tourist site. A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preselected area from among the areas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preselected area-is provid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할 경우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부터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에는 상기 제2사전선택영역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추가적인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2관광지에서 앞서 조망한 제2사전선택영역-이하 이격지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상기 정보는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위치정보 및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과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과의 관련된 스토리라인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스토리라인에 대응되는 제1사전선택영역-이하 제2관련사전선택영역이라 함-을 조망한 달성률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한다.When the user view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the control unit extracts a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The controller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o the user, and provides compensation when the user view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in accordance with a reference condition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In this ca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includes a second preselection area previously viewed by the user from the second tourist spot through the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among the second preselection areas-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eselection area for a spaced area.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is prepared. The control un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paced area preselection area to the user.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 and a story line related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and the separation area preselection area.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is based on whether the achievement rate of the user viewing the first preselec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storyline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related preselection area-satisfies a reference value. It judges whether the standard conditions are met.

상기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상기 보상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조망한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및 상기 제2관련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와 매칭되는 증강현실마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destinations includ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lection area of the remote area view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story line as the compensation when the user views the view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ondition, and the I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ugmented reality marker matched wit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lated preselection area.

상기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은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부터 상기 증강현실마커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하는 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조망한 순서에 따라 재생될 수 있다.The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for a tourist destination may further include a playback unit for receiving and play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In this ca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ed by the playback unit may be played according to the order view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story line.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사용자가 관광지에서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미리 선택된 영역을 조망하는 경우에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의 지속적인 이용을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provide an effect of inducing continuous use of 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by providing a compensation when a user views a preselected area in accordance with a reference condition in a tourist destin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스토리라인에 근거한 가상현실 컨텐츠의 제공과 이에 따른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스토리가 있는 관광지 방문을 유도함으로써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의 지속적인 이용을 한층 더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rovides an effect of further inducing the continued use of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by inducing visits to tourist destinations with stories by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story line and providing compensation accordingly. I can.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보상으로서 사용자가 조망한 제1사전선택영역을 단말기를 통하여 AR이미지로 볼 수 있는 출력물을 제공함으로써 관광지의 추억을 환기시켜 관광지의 재방문을 유도하여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의 지속적인 이용을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 virtual reality image by providing an output that allows the user to view the first preselection area viewed as an AR image through a terminal as a reward, recalling the memories of the tourist destination and inducing a revisit of the tourist destination.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inducing continuous use of the provision system.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보상으로서 사용자의 방문이력을 저장하는 방문자관리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추억을 공유하는 기능을, 관광지 관리자에게는 지역 행사 등을 홍보할 우수 방문자를 선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rovides a visitor management unit that stores the user's visit history as a reward, so that the user can share memories, and the tourist site manager can select excellent visitors to promote local events. Can provide.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description provides only an optional concept in a simplified form for matters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main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claims, or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영상제공부가 제공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영상제공부가 스토리라인에 따라 활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a tourist destina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provided by an image providing un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providing un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utilized according to a story line.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text, like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indicate like elements.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drawings, and claim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used, and othe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arrange, construct, combine, and design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is, the components generally described herein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n various different configurations, all of which are obviously It is devised and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it forms par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express various layers (or films), regions, and shapes, the width, length, thickness, or shap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마련"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마련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provision"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one component is directly provided on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a case where an additional component is interposed therebetween.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제공"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제공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providing"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one component is directly provided to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a case where an additional component is interposed therebetween.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clearly indic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term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the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in context, and cannot be constru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영상제공부가 제공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영상제공부가 스토리라인에 따라 활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사제공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1 is a view showing 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a tourist destina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provided by an image providing un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providing un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utilized according to a story line. Hereinafter, a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projection for a tourist destina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영상제공부(110),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선택적으로(optionally) 출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선택적으로 재생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선택적으로 방문자관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technology related to a system 100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for a tourist destination is disclosed.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a tourist destination includes an image providing unit 110, a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system 100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for a tourist destination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140.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system 100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for a tourist destination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playback unit 150.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system 100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for a tourist destination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visitor management unit 160.

영상제공부(110),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120), 제어부(130), 출력부(140), 재생부(150) 및 방문자관리부(160)는 전체적으로 또는 일부 선택적으로 서로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The image providing unit 110,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20, the control unit 130, the output unit 140, the playback unit 150, and the visitor management unit 160 are entirely or partially sel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Can be interconnected.

영상제공부(110)는 제1관광지(10)에서 사용자가 조망하는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 과거 영상, 가상 영상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제공부(110)로는 망원경이 활용될 수 있으나, 상기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카메라 등 기타 촬상수단이 활용될 수도 있다. 영상제공부(110)로서 망원경이 활용될 경우, 망원경은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를 내장한 망원경일 수 있다. 이 경우, 망원경에 인접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바라보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가 마련될 수 있다.The image providing unit 110 provi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eal image, a past image, a virtual im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of an area viewed by the user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As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 telescope may be used as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but other imaging means such as a camera may be used as long as the imag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When a telescope is used as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the telescope may be a telescope incorporating a virtual reality (VR) device. In this case, a monitor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telescope to display an image viewed by the user.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제공부(110)는 제1관광지(10)의 전망대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 사용자가 휴대할 수도 있는 등 이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제공부(110)를 사용자가 휴대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제1관광지(10)를 이동하면서 조망할 수 있고, 하나의 대상을 다양한 각도로 조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영상제공부(110)는 제1관광지(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영상제공부(110)를 활용하는 경우에 하나의 대상을 다각도로 조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영상제공부(11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은 후술하는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120)와 제어부(130)를 통하여 실제 영상 이외에 실제 영상과 이에 대응되는 가상 영상, 실제 영상에 대응되는 과거 영상 등이 혼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영상제공부(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방식 또는 영상제공부(110)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음향수단(미도시) 등을 통하여 후술하는 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제1사전선태영역(10a)의 정보, 제2사전선택영역의 정보,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의 정보, 이격지사전선택영역의 정보 등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As shown by way of example in FIG. 2,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observation deck of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but the user may carry it, and the like. When the user carries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the user can view the first tourist spot 10 while moving, and can obtain an effect of viewing one object from various angles. At least one image providing unit 11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When a plurality of image providing units 110 are used, an effect of viewing one object from multiple angles can be obtained. The image displayed by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is mixed with a real image,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hereto, and a pa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al image in addition to the real image throug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provided.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a method displayed on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or sound means (not shown) provided adjacent to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 Information on the second preselection area, information on the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information on the spaced preselection area,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제1관광지(10)의 위치를 제1관광지(10)의 미리 정해진 전망지 또는 전망대로 한정할 수도 있으나, 미리 정해진 상기 전망지 또는 상기 전망대에서 조망할 수 있는 영역을 조망할 수 있는 장소를 제1관광지(10)의 위치로 정할 수도 있다. 제1관광지(10)와 후술하는 제2관광지(20)는 유명 관광지 이외에 일상 공강의 뷰포인트(view point)를 모두 아우르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location of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may be limited to a predetermined observation point or observation deck of the first tourist destination 10, but the predetermined observation point or a place where the viewable area from the observation deck can be viewed is designated as the first tourist destination. It can also be set to the position of (10). The first tourist destination 10 and the second tourist destination 20 to be described later should be understood as concepts encompassing all view points of daily public lectures in addition to famous tourist destinations.

한편, 도 2에는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1관광지(10)를 조망하는 과정에서 제1사전선택영역(10a)을 조망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가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제1사전선택영역(10a)를 조망하는 경우, 사용자는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실제 영상(10a-1)을 제공받아 보거나, 가상 영상(10a-2)을 제공받아 볼 수 있다. 다르게는 사용자는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실제 영상(10a-1)과 가상 영상(10a-2)이 혼합된 영상을 제공받아 볼 수도 있다.Meanwhile, FIG. 2 shows a case in which the user view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while viewing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When the user view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the user can view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as shown in FIG. 2 as an example. An actual image 10a-1 may be provided and viewed, or a virtual image 10a-2 may be provided and viewed. Alternatively, the user may receive and view an image obtained by mixing the real image 10a-1 and the virtual image 10a-2 of the first preselection region 10a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또한, 도 2에는 실제 영상(10a-1)으로서 울산 반구대 암각화의 실제 모습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며, 가상 영상(10a-2)으로서 풍화작용 등으로 윤곽이 흐려진 암각화에 인위적으로 명도를 표시한 반구대 암각화의 가상 영상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가상 영상(10a-2)으로서 반구대 암각화가 최초 발견된 시점의 과거 영상이 표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FIG. 2 shows the actual image of Ulsan Hemigudae petroglyphs as an actual image 10a-1, and as a virtual image 10a-2, hemigudae artificially displays the brightness of the petroglyphs whose outlines are blurred due to weathering. Virtual images of petroglyphs are shown as examples. Alternatively, as a virtual image 10a-2, a past image at the time when hemispheric petroglyphs are first discovered may be expressed.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120)에는 제1관광지(10)에서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1사전선택영역(10a)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될 수 있다.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120)에 마련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실제 영상에 대응되는 가상 영상, 과거 영상, 과거 영상에 대응되는 가상 영상 등에 대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20 includes a virtual reality defined for a preselected area from the area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at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Content can be prepared.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d i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20 may include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actual image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a past image,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past image, and the like. have.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영상제공부(110)를 통해 제1사전선택영역(10a)을 조망할 경우 제1사전선택영역(10a)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120)로부터 추출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가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제1사전선택영역(10a)을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을 제공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조망하는 영상과 제1사전선택영역(10a)에 대하여 미리 준비된 영상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가 제1사전선택영역(10a)을 조망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영상제공부(110)가 관광지의 전망대에 고정되게 마련된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조망하는 과정에서 영상제공부(110)의 상하좌우 이동과 회전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제1사전선택영역(10a)을 조망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view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20. Extract. 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to the user, and when the user view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in conformity with a reference condition Offer a reward. Meanwhile, the control unit 130 compares the image viewed by the user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and an image prepared in advance for the first preselection region 10a,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first preselection region 10a. You can judge whether you are looking at Alternatively, when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observation deck of a tourist destination, the control unit 130 analyzes the vertical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while the user views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Thu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er view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정보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이름, 위치, 역사, 스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정보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정보는 복수개 제공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조망을 위한 우선순위, 복수개 제공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 중 서로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에 관한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제2사전선택영역과 관련하여 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정보는 제1사전선택영역(10a)과 관련하여 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상기 정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제1관광지(10)의 제1사전선택영역(10a)과 후술하는 제2관광지(20)의 제2사전선택영역은 스토리라인을 통하여 서로 공유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이격된 관광지에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이격지의 사전선택영역의 정보를 이격지사전선택영역에 대한 정보라는 이름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provided by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a name, location, history, and story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In addition,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30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30 is a priority for a view of a plurality of first preselection areas 10a, and a plurality of first preselection areas 10a Among them,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that shares a story line with each other may be further included.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30 in relation to the second preselection region to be described later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30 in relation to the first preselection region 10a. Meanwhile,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of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and the second preselection area of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2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shared with each other through a story lin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transfers the information of the preselection area of the remote area that shares the story line to the user who uses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tourist destination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n the separated tourist area. It can be provided in the name of information abou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영상제공부(11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용단말기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기술에서 제시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의 기능은 휴대용단말기에 설치된 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휴대용단말기에 설치된 앱이 제어부(1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르게는, 영상제공부(110)는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관광지(10), 제2관광지(20)에 마련된 망원경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영상제공부(110)에 인접하여 마련될 수도 있으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원격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may be a portable terminal carried by a user. In this case, the function of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a tourist destination suggested by the present technology may be provided by an app installed on a portable terminal. In this case, an app installed in the user's portable terminal may serve as the controller 130. Alternatively,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may be a telescope provided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and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20, as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but may be connected remotel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정보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위치정보, 제1사전선택영역(10a)과 관련된 스토리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이름, 위치, 역사, 스토리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관광지(10)에서 영상제공부(110)를 활용하여 주변을 조망하는 사용자는 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정보를 통하여 제1관광지(10)의 명소를 쉽게 찾을 수 있고, 제공되는 정보를 통하여 이해를 동반하여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30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a story related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and a combination thereof. It can contain one. Of course,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30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name, location, history, story, and combinations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as described above. It can contain one. A user who views the surroundings using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at the first tourist site 10 can easily access the attractions of the first tourist site 10 through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30. You can find it, and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you can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enjoy with understanding.

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정보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정보는 복수개의 제1사전선택영역(10a) 각각의 위치정보 및 복수개의 제1사전선택영역(10a) 중에서 선택되며 서로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이하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이라 함-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30)는 복수개 각각의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정보를 앞서 상술한 내용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개 제공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조망을 위한 우선순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30 may be provided.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30 is select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reselection areas 10a and the plurality of first preselection areas 10a, and each I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hared first preselection area 10a-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Of course,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information o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reselection areas 10a as described above, and priorities for viewing of the plurality of first preselection areas 10a are provided. You can also provide.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상기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한 달성률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조건이 부합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 달성률은 예로서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상기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한 비율, 스토리라인에 따라 상기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하였는지 등으로 정해질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eference condition is met based on whether the achievement rate of the user viewing the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according to the storyline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satisfies a reference value. . If the reference condition is met,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a reward to the user. The achievement rate may be determined by, for example, a view of the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sharing a storyline, whether or not the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is viewed according to the storyline.

도 3에는 서로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제1관광지(10) 및 제2관광지(2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도 3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하나의 관광지인 제1관광지(10) 또는 제2관광지(20) 내에서도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사전선택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관광지(10)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인 통상의 기술자는 제1관광지(10) 위주로 설명된 내용이 제2관광지(20) 등 다른 관광지에서 적용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제1관광지(10)를 위주로 서술하는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In FIG. 3, a first tourist attraction 10 and a second tourist attraction 20 that share a story line with each other are shown as an example. In substantially the same manner as illustrated in FIG. 3 as an example, a preselection area for sharing a storyline may exist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or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20 as one tourist attrac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will be described. It is believed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ho is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fully understan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mainly for the first tourist destination 10 can be applied to other tourist destinations such as the second tourist destination 20. Therefore, it should be clarified that the description focusing o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다시 말하면, 제1관광지(10), 제2관광지(20) 상호 간은 물론이거니와 하나의 관광지인 제1관광지(10) 내에서도 서로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명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제1관광지(10) 내의 명소를 미리 사전선택영역으로 지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제1관광지(10)의 명소의 위치정보, 스토리 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1관광지(10)라는 하나의 관광지 내에서 서로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명소를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으로 지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방문한 제1관광지(10)의 명소들간의 스토리라인을 이해함으로써 제1관광지(10)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추후 제1관광지(10)를 다시 방문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other words, attractions that share a storyline may exist not only betwee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and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20, but also with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which is a single tourist attraction.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a tourist destina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designates a tourist attraction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as a preselection area in advance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hereby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tory of the tourist attraction of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In addition to providing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attractions that share a storyline with each other are designated and provided as a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so that the attractions of the first tourist site 10 visited by the user By understanding the storylin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may be improved, and an opportunity to visit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may be provided in the future.

제1관광지(10)에서 제공되는 스토리라인은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지명 등의 역사적 유래, 유물 보호나 댐 건설 등의 불가피한 사유로 인한 장소 변경과 같은 현재와 과거의 위치 변천사, 구석기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한국 유물과 같은 박물학적 연대 등을 포함하는 내용일 수 있으나, 서로 공유되는 스토리라인이 존재하는 내용이라면 적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스토리라인은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The storyline provided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is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place name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the history of the changes in the current and past locations, such as the change of place due to inevitable reasons such as protection of relics or dam construction, and the Paleolithic period. It may be a content that includes a naturalistic solidarity, such as a Korean relic representing the Neolithic period, but it will be applicable if there is a shared storyline. At least one story line may be provided.

한편, 도 3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리라인은 지역(예로서, 조망지역)을 달리하는 제1관광지(10)와 제2관광지(20) 상호 간에 존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120)에는 제2관광지(20)에서 사용자가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2사전선택영역(미도시)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 및 상기 제2사전선택영역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제2관광지(20)에서 앞서 조망한 제2사전선택영역-이하 이격지사전선택영역(미도시)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1관광지(10)의 이름, 위치, 역사, 스토리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상기 정보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위치정보 및 제1사전선택영역(10a)과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과의 관련된 스토리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상기 스토리라인에 대응되는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한 달성률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as an example in FIG. 3, the storyline may exist betwee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and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20 having different regions (eg, viewing areas). To this end,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20 includes a preselected area among areas that the user can view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at the second tourist site 20-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preselection area (not shown)- Amo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nd the second preselection region, the second preselection region previously viewed by the user from the second tourist destination 20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the following preselection region (not shown) A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may be provided.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separation area preselection area.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the user with a first preselection area 10a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name, location, history, story, and a combination of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 Information can be provided.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30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and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and the separation area preselection area. It may contain related storyline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condition is met based on whether the achievement rate of the user viewing the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storyline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satisfies the reference value. I can judge.

이와 관련하여 팔공산 왕건 길이 예시된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대구광역시 동구청에서 제공하는 대구 팔공산 왕건 길의 지도를 보여준다. 고려는 후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후백제와 치열한 싸움을 벌였다. 대구 팔공산 일원에서 고려와 후백제가 벌인 공산전투는 후삼국 통일전쟁의 3대 전투 중 하나로 꼽힐 정도로 유명하다. 공산전투에서 고려군은 후백제군에 참패하였고, 왕건 휘하 8면의 장수들이 전사하여 공산은 후에 팔공산으로 이름이 바뀌어 불려지게 된다. 왕건이 신숭겸 등 8공신의 도움을 받아 탈출한 루트가 지금의 팔공산 왕건 길이다. 왕건의 고려군이 후백제와의 전투에서 대패한 고개가 지금의 파군재이며, 왕건이 탈출과정에서 날은 반야이고 중천에는 달이 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 반야월이며, 후백제군의 추적이 더 이상 없어 숨을 돌리고 안심하게 되었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 안심이다.In this regard, with reference to FIG. 3 illustrating the length of Wanggeon in Mt. Palgo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3 shows a map of Daegu Palgongsan Wanggeon-gil provided by Dong-gu Office in Daegu Metropolitan City. Goryeo fought a fierce battle with Hu Baekje in the process of unifying the latter three countries. The communist battle between Goryeo and Hubaekje in the area of Palgongsan Mountain in Daegu is famous enough to be counted as one of the three major battles of the War for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n the communist battle, the Goryeo army was defeated by the Hubaekje army, and the eight generals under the command of Wang Geon were killed, and the Gongsan was later renamed Palgong Mountain. The route where Wang Geon escaped with the help of 8 gods such as Shin Sung-gyeom is now Palgong Mountain Wang Geon Road. The pass that Wang Geon’s Goryeo army defeated in the battle against Hubaekje is now Pagunjae, and during the escape process of Wang Geon, the day is Banya and the moon is floating in Jungcheon. The nomination given by saying that he was relieved after turning to is relieved.

왕건 길을 따라 관광하는 경우, 제1관광지(10)에서 영상제공부(110)을 통하여 주변을 조망하는 사용자는 주변 경관과 함께 제1사전선택영역(10a, 도 2 참조)을 조망할 수 있다. 제1관광지(10)에서 주변을 조망하는 사용자가 앞서 제2관광지(20), 예로서 제2관광지(20)의 제2사전선택영역인 신숭겸장군 유허비를 조망하였을 수 있다. 제2관광지(20)에서 제2사전선택영역인 신숭겸장군 유허비는 제1관광지(10)에서 조망할 수 있는 신숭겸 장군 유적지와 스토리라인을 가질 수 있다. 제2관광지(20)에서 제2사전선택영역인 신숭겸장군 유허비를 조망한 사용자가 제1관광지(10)에서 주변을 조망할 경우에 제어부(130)는 영상제공부(110)의 사용자에게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위치정보 및 제1사전선택영역(10a)과 신숭겸장군 유허비와의 관련 스토리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신숭겸장군 유허비는 이격지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신숭겸 장군 유적지는 신숭겸 장군 유허비와 스토리라인을 가지는 제2관련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제1관광지(10)에서 영상제공부(11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제어부(130)의 정보에 따라 제2관련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할 수 있고, 제어부(130)는 제2관련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한 달성률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기준 조건에 부합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3에는 하나의 행정구역 내 위치하는 제1관광지(10), 제2관광지(20)를 예시하고 있으나, 제1관광지(10)와 제2관광지(20)는 행정구역을 달리할 수 있다. 일례로, 경상북도에는 군위군이 있는데, 군위의 유래는 태조 왕건이 공산전투를 위하여 군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군위군에서 군대의 모습이 상당히 위엄 있다고 하여 지명을 군위로 정한 유래가 있다. 이 경우, 제1관광지(10)은 대구의 왕건길이 되고, 제2관광지는 군위군의 특정 지역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제공부(11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일 수도 있고, 제1관광지(10), 제2관광지(20)에 각각 마련되는 촬상수단(예로서, 망원경)일 수도 있다.In the case of sightseeing along Wanggeon-gil, a user who views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at the first tourist site 10 may view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refer to FIG. 2) along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The user who views the surroundings from the first tourist site 10 may have previously viewed the second tourist site 20, for example, the second preselection area of the second tourist site 20, Yoo Heo-bi of General Shin Sung-gyeom. In the second pre-selected area in the second tourist site 20, General Shin Sung-gyeom Yoo Heo-bi can have a story line and the relics of General Shin Sung-gyeom that can be viewed from the first tourist site 10. When a user viewing the second pre-selection area of the second pre-selection area, Yoo Heo-bi, from the first tourist site 10, the controller 130 provides a first preselection to the user of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on 10a and a storyline related to the first preselection region 10a and the general Shin Sung-gyeom Yoo Heo-bi. General Shin Sung-gyeom Yoo Heo-bi can correspond to the pre-selection area of the separated area. The site of General Shin Sung-gyeom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related pre-selection area having a story line and Yoo Heo-bi of General Shin Sung-gyeom. A user who uses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can view the second related preselection area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130 views the second related preselection area. Based on whether the achievement rate satisfies the reference valu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ward to the user by determining whether it meets the reference condition. 3 illustrates a first tourist attraction 10 and a second tourist attraction 20 located within one administrative area, but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and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20 may have different administrative areas. For example, there is a Gunwi Army in Gyeongsangbuk-do, and the origin of the military rank is that Taejo Wanggeon chose the name of the military rank as the military rank in the process of moving his army for the communist battle. In this case, the first tourist site 10 may be Wanggeon-gil in Daegu, and the second tourist site may be a specific area of Gunwi-gun.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may be a portable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or is an imaging means (eg, a telescope) provided at each of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and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20. May be.

출력부(140)는 사용자가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스토리라인에 따라 조망한 제1사전선택영역(10a)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와 매칭되는 증강현실마커(142)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0)를 통한 증강현실마커(142)의 출력은 도 1에 예로서 표현한 바와 같이 물리적 매체인 프린터를 통하여 물리적으로 출력되거나, 컴퓨터 파일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출력부(140)로서 프린터가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140)에 의해 출력되는 출력물에는 사용자가 방문한 지역의 사진,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사용자가 조망한 이미지 등이 증강현실마커(142)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물에는 사용자의 얼굴 등 사용자가 추가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함께 표현되어 출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출력물에는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하여 본 기술의 제공자 또는 관광지 관리자가 제공하는 커뮤니티와 접속할 수 있는 마커가 표시될 수도 있다.The output unit 140 is an augmented reality marker 142 that match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view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story line as a reward when the user views it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ondition. ) Can be printed. The output of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142 through the output unit 140 may be physically outputted through a printer, which is a physical medium, or may be outputted in software such as a computer file, as shown as an example in FIG. 1. 1 illustrates a printer as the output unit 1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output output by the output unit 140, a picture of a region visited by the user, an image viewed by the user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142. 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an image that the user wants to add, such as a user's face, can be expressed and output in the output. In addition, a marker that can be connected to a community provided by a provider of the present technology or a tourist destination manager through a smartphone app may be displayed on the output.

또한, 출력부(140)는 사용자가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스토리라인에 따라 조망한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와 매칭되는 증강현실마커(142)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140 is an augmented reality marker 142 that match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view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storyline as a reward when the user views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ondition. ) Can be printed.

또한, 출력부(140)는 사용자가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스토리라인에 따라 조망한 이격지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 및 제2관련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와 각각 매칭되는 증강현실마커(142)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140 corresponds 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lection area and the second related preselection area as a compensation when the user views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ondition. Augmented reality markers 142 matching each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o be output may be output.

재생부(150)는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120)로부터 증강현실마커(142)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부(150)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스토리라인에 따라 사용자가 조망한 순서에 따라 재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출력부(140)를 통하여 증강현실마커(142)가 출력된 출력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재생부(150)는 하드웨어적으로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고, 앱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에 앱을 설치할 수 있고, 휴대폰의 이미지 확보수단(예로서, 카메라) 및 휴대폰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증강현실마커(142)가 표시된 출력물을 인식하고,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120)로부터 증강현실마커(142)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생되는 증강현실마커(142)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는 사용자가 스토리라인에 따라 조망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출력부(140)를 통하여 증강현실마커(142)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순히 보여주는 출력물을 제공하는 수준이 아니라 사용자가 관광지를 방문하여 조망한 순서대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해 수 있는 출력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추억을 기념하고 보관할 수 있는 자신만의 차별화된 결과물, 즉 기념품을 제공해 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playback unit 150 may receive and reproduc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142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20. In this ca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ed by the playback unit 150 may be played according to the order view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story line. In more detail,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the output of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142 through the output unit 140. The playback unit 150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hardware, or may be provided to a user in the form of an app. As shown as an example in FIG. 1, the user can install the app on the mobile phone he has, and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142 through the mobile phone image acquisition means (eg, camera) and the app installed on the mobile phone Recognizing the displayed output, receiv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142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20 can be played through the display. In this ca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142 generated through the display may be sequentially played according to the order view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story line. Through this,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a tourist destina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at the level of simply providing an output that show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142 through the output unit 140, but the user By providing printouts that can provide virtual reality contents in the order viewed by visiting and viewing, users can provide a function of providing their own differentiated results, that is, souvenirs that can commemorate and store memories.

방문자관리부(160)는 사용자가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방문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조건은 제1관광지(10)에서 제1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한 횟수, 조망한 비율 등이 미리 설정한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조건은 제1관광지(10)에서 날짜를 달리하여 제1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한 횟수, 조망한 비율 등이 미리 설정한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조건은 사용자가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스토리라인에 따라 제1관광지(10), 제2관광지(20)에서 제1관련사전선택영역, 제2관련사전선택영역 등을 조망한 달성률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달성률은 예로서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상기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한 비율, 스토리라인에 따라 상기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하였는지 등으로 정해질 수 있다. 방문이력은 예로서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제공되거나, 출력부(140)를 통하여 출력물에 인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출력물의 인쇄는 예로서 앱을 통하여 방문자관리부(16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코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visitor management unit 160 may store the user's visit history as a compensation when the user views the view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ondition. The reference condi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is viewed by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a view rate, etc. satisfy a preset reference value. In addition, the reference condi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is viewed at different dates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the view rate, etc. satisfy a preset reference value. In addition, the reference condition is that the user views the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the second related preselection area, etc.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and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20 according to the storyline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riteria are met based on whether the achievement rate satisfies the reference value. The achievement rate may be determined by, for example, a view of the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sharing a storyline, whether or not the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is viewed according to the storyline. The visit history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or printed on th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40 and provided. Printing of the outpu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de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visitor management unit 160 through an app.

한편, 방문자관리부(160)는 사용자가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조망한 순서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방문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방문자관리부(160)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방문이력과 유사도가 높은 제3의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과 관심사를 공유하는 제3의 사용자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방문이력에는 사용자의 방문횟수, 이용횟수, 방명록, 고향, 출신학교, 지인 정보, 만나고 싶은 사람의 정보, 자신의 최근 모습을 담은 사진, 자신의 신체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진(예로서, 발자취로서 손바닥 이미지나 발바닥 이미지 등), 영상, 남기고 싶은 인사말 등과 같은 컨텐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방문이력을 저장할 수 있는 방문자관리부(160)는 사용자에게는 자신의 추억을 저장하는 타입캡슐의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방문자관리부(160)에 방문이력을 저장할 수 있는 사용자를 기준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로 한정할 경우, 관광지 또는 관광지의 관리자 입장에서는 타입캡슐의 내용을 공유하고 싶어하는 제3의 사용자가 관광지에 방문하여 관광지에서 제공하는 사전선택영역, 스토리라인 등을 활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관광지 방문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sitor management unit 160 may store the user's visit history including the order in which the user viewed according to the storyline as a reward when the user viewed the view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ondi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may analyze the visitor management unit 160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of a third user having a high similarity to the visitation history of the user. Through this, the user can share information of a third user who shares his or her interests. The visit history includes the number of visits by the user, the number of uses, guestbook, hometown, school, acquaintance inform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who wants to meet, a photo of oneself, a photo showing a part of one's body (for example, as a footstep). Contents such as a palm image or an image of a sole), an image, and a greeting to be left may be included. The visitor management unit 160 capable of storing the visit history may provide the user with a function of a type capsule for storing their own memories. When the user who can store the visit history in the visitor management unit 160 is limited to users who meet the standard conditions, a third-party user who wants to share the contents of the type capsule from the viewpoint of the tourist site or the tourist site administrator visits the tourist destina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 of pre-selection areas and story lines provided by the website,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tourist visits.

또 한편, 방문자관리부(160)는 사용자가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조망한 순서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방문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방문자관리부(160)에 저장된 상기 방문이력을 제1관광지(10)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2관광지(10) 관리자와 제1관광지(10) 및 제2관광지(20)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관광지 관리자는 기준 조건에 부합하게 관광지를 조망한 사용자의 정보로부터 자신의 지역을 홍보할 대상을 선정할 수 있다. 관광지 관리자는 기준 조건에 부합하게 관광지를 조망한 사용자를 자신의 지역행사를 홍보할 대상자로 선정함으로써 지역행사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관광지 관리자는 기준 조건에 부합하게 관광지를 조망한 사용자를 자신의 지역행사의 홍보대상자로 선정하는 과정에서 해당 대상자가 조망한 스토리라인, 스토리라인에서 해당 대상자가 조망한 제1사전선택영역(10a) 제2사전선택영역 등을 고려하여 이들과 관련성이 높은 지역행사를 매칭시켜 해당 대상자에게 제공하여 해당 대상자의 지역행사의 참여도를 더욱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On the other hand, the visitor management unit 160 may store the visitation history of the user including the order in which the user viewed according to the storyline as a compensation when the user viewed the view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ondi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the visitation history stored in the visitor management unit 160 to the manager of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can be provided to the manager of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10 and the manager of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and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20. The tourist site manager can select a target to promote his area from information of the user who views the tourist site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conditions. Tourist attraction managers are expected to be able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local events by selecting users who have views of the tourist attra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conditions as targets to promote their local event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 user who views a tourist destin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conditions as a promotion target for their local event, the first pre-selection area viewed by the target person from the storyline and the storyline ( 10a) Considering the second preselection area, etc., it is expected that local events with high relevance to them are matched and provided to the target audience,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participation of the target audience in the local event.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영상제공부(110), 추가적인 영상제공부(110a),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선택적으로 출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선택적으로 재생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선택적으로 방문자관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technology related to a system 100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for a tourist destination is disclosed.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tourist destinations includes an image providing unit 110, an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110a, a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system 100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for a tourist destination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140.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system 100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for a tourist destination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playback unit 150.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system 100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for a tourist destination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visitor management unit 160.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ystem 100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for a tourist destin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영상제공부(110)는 제1관광지(10)에서 사용자가 조망하는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 가상 영상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The image providing unit 110 provi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eal image, a virtual im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of an area viewed by the user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추가적인 영상제공부(110a)는 제2관광지(20)에서 사용자가 조망하는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 가상 영상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영상제공부(110a)의 구조, 동작 등은 영상제공부(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The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110a provi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eal image, a virtual im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of an area viewed by the user in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20. Sinc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110a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120)에는 제1관광지(10)에서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1사전선택영역(10a, 도 2 참조)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 및 제2관광지(20)에서 추가적인 영상제공부(110a)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2사전선택영역(미도시)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된다.I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20, a preselected area among areas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at the first tourist site 10-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reselection area 10a (refer to FIG. 2)-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predefined area from among the defined virtual reality content and areas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110a in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20-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preselection area (not shown) Is prepared.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영상제공부(110)를 통해 제1사전선택영역(10a)을 조망할 경우 제1사전선택영역(10a)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120)로부터 추출한다.When the user view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20. Extract.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가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제1사전선택영역(10a)을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을 제공한다. 이 경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120)에는 상기 제2사전선택영역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추가적인 영상제공부(110a)를 통하여 제2관광지(20)에서 앞서 조망한 제2사전선택영역(미도시)-이하 이격지사전선택영역(미도시)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된다.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상기 정보는 제1사전선택영역(10a)의 위치정보 및 제1사전선택영역(10a)과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과의 관련된 스토리라인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상기 스토리라인에 대응되는 제1사전선택영역-이하 제2관련사전선택영역이라 함- 조망한 달성률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to the user, and when the user view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in conformity with a reference condition Offer a reward. In this ca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20 includes a second preselection area (not shown) previously viewed by the user from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20 through the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110a among the second preselection areas. Hereinafter, a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spaced area preselection area (not shown)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separation area preselection area.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30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and a story related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10a and the separation area preselection area. Include the lin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reselec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storyline by the user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10-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related preselection area-satisfies the standard value. Based on the criteri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riteria are met.

출력부(1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상기 보상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조망한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및 상기 제2관련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와 매칭되는 증강현실마커(142, 도 1 참조)를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i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lection area view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storyline and the second related information as the compensation when the user views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ondition. An augmented reality marker 142 (refer to FIG. 1) match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lection area may be output.

재생부(150)는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120)로부터 증강현실마커(142)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부(150)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조망한 순서에 따라 재생될 수 있다.The playback unit 150 may receive and play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142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20. In this ca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layed by the playback unit 150 may be played according to the order view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story line.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방문자관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a tourist destin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visitor management unit 160.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의 경우 제1관광지(10) 및 제2관광지(20)에 각각 마련되는 영상제공부(110) 및 추가적인 영상제공부(110a)를 활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앞서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과 차이가 있다. 즉,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제1관광지(10)의 전망대 및 제2관광지(20)의 전망대에 각각 마련되는 영상제공부(110) 및 추가적인 영상제공부(110a)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영상제공부(110) 및 추가적인 영상제공부(110a)는 각각 예로서 제1관광지(10)의 전망대 및 제2관광지(20)의 전망대에 각각 마련되는 가상현실 기능이 제공되는 망원경일 수 있으나, 고정형이 아닌 이동 가능한 촬상수단이 활용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a tourist destin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and the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110a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irst tourist site 10 and the second tourist site 20 are used. It is different from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a tourist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it implements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a tourist destina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That is,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a tourist destin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n image providing unit 110 and an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110a provided at the observation deck of the first tourist destination 10 and the observation deck of the second tourist destination 20, respectively. ) Can be implemented. The image providing unit 110 and the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110a may be, for example, a telescope provided with a virtual reality function provided in the observation deck of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10 and the observation deck of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20, respectively, but the fixed type Alternatively, a movable imaging means may be used.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의 경우에 제1관광지(10)와 제2관광지(20)에 영상제공부(110) 및 추가적인 영상제공부(110a)가 각각 마련된다는 점 이외에는 앞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과 관련하여 상술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는 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case of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a tourist destin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xcept that an image providing unit 110 and an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110a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irst tourist destination 10 and the second tourist destination 20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a tourist dest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pplied as it is, and it is determined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is.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정리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관광지에서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미리 선택된 영역을 조망하는 경우에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의 지속적인 이용을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summary,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a tourist destina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uces continuous use of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by providing a reward when a user views a preselected area in accordance with a reference condition in a tourist destination.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do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스토리라인에 근거한 가상현실 컨텐츠의 제공과 이에 따른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스토리가 있는 관광지 방문을 유도함으로써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의 지속적인 이용을 한층 더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a tourist destina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a tourist destination by inducing a visit to a tourist destination with a story by provid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a story line and providing compensation according to it. 100) can provide an effect that further induces continuous use.

제공되는 보상은 예로서 출력부(140)를 통한 사용자 자신이 조망한 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와 매칭되는 증강현실마커를 출력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 받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공되는 보상은 방문자관리부(160)에 사용자 자신의 방문이력을 저장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 받는 것일 수 있다.The provided reward may be, for example, that the user is granted the right to output an augmented reality marker match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lected area viewed by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140. As another example, the provided compensation may be that the visitor management unit 160 is given the right to store the user's own visit history.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보상으로서 사용자가 조망한 영역을 휴대용단말기 등의 재생부(150)를 통하여 AR이미지로 볼 수 있는 출력물을 제공함으로써 관광지의 추억을 환기시켜 관광지의 재방문을 유도하여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의 지속적인 이용을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a tourist destina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rovides an output that allows the user to view an area viewed as an AR image through a reproducing unit 150 such as a portable terminal as a rewa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inducing continuous use of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tourist destinations by inducing revisiting of tourist destinations by arous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100)은 보상으로서 사용자의 방문이력을 저장하는 방문자관리부(160)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추억을 공유하는 기능을, 관광지 관리자에게는 지역 행사 등을 홍보할 우수 방문자를 선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100 for a tourist destina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visitor management unit 160 that stores the user's visit history as a reward, so that the user can share memories, and the tourist destination manager has a local event. It can provide an effect of selecting excellent visitors to promote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From the abov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various possible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disclosed various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true spirit and scope will be presented from the claims below.

10: 제1관광지
10a: 제1사전선택영역
10a-1: 실제 영상
10a-2: 가상 영상
20: 제2관광지
20a: 제2사전선택영역
20a-1: 실제 영상
20a-2: 가상 영상
100: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
110: 영상제공부
110a: 추가적인 영상제공부
120: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
130: 제어부
140: 출력부
142: 증강현실마커
150: 재생부
160: 방문자관리부
10: first tourist spot
10a: first preselection area
10a-1: real video
10a-2: Virtual image
20: second tourist spot
20a: second preselection area
20a-1: real video
20a-2: Virtual image
100: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destinations
110: video provider
110a: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120: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r
130: control unit
140: output
142: Augmented Reality Marker
150: regeneration unit
160: visitor management department

Claims (12)

제1관광지에서 사용자가 조망하는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 과거 영상, 가상 영상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영상제공부;
상기 제1관광지에서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1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된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 및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할 경우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을 제공하며,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에는 제2관광지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2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 및 상기 제2사전선택영역 중에서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2관광지에서 앞서 조망한 제2사전선택영역-이하 이격지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은 복수개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상기 정보는 복수개의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 각각의 위치정보, 복수개의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 중에서 선택되며 서로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제1사전선택영역-이하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이라 함-의 정보 및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과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과의 관련된 스토리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이 공유하는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상기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한 달성률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과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과의 관련된 상기 스토리라인에 대응되는 제1사전선택영역-이하 제2관련사전선택영역이라 함-을 조망한 달성률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
An imag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eal image, a past image, a virtual im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of an area viewed by a user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A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ed with a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preselected area of the area viewable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t the first tourist attrac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reselection area; And
When viewing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The control un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o the user, and provides compensation when viewing the first preselection area in accordance with a reference condition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includes a virtual reality content and the second preselection defined for a pre-selected area from the area that the user can view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t a second tourist site-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pre-selection area. Among the areas,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second preselection area viewed from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earlier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solated area preselection area-is provided,
The control un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paced area preselection area to the user,
A plurality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s are provided,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is a first preselection area that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s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s and shares a storyline with each other -Information of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and a storyline related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and the separation area preselection area,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condition is met based on whether the achievement rate of viewing the first related preselection region satisfies a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storyline shared by the first preselection region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do or,
The control unit views the first preselec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storyline associated with the first preselection area and the separation area preselection area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related preselection area. 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destinations that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condition is met based on whether the reference value is satisfied.
제1관광지에서 사용자가 조망하는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 과거 영상, 가상 영상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영상제공부;
상기 제1관광지에서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1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된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 및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할 경우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을 제공하며,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은 복수개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상기 정보는 복수개의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 각각의 위치정보 및 복수개의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 중에서 선택되며 서로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제1사전선택영역-이하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이라 함-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상기 제1관련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한 달성률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상기 보상으로서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조망한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와 매칭되는 증강현실마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증강현실마커는 물리적으로 출력되거나 소프트웨어적으로 출력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
An imag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eal image, a past image, a virtual im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of an area viewed by a user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A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ed with a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preselected area of the area viewable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t the first tourist attrac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reselection area; And
When viewing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The control un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o the user, and provides compensation when viewing the first preselection area in accordance with a reference condition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 plurality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s are provided,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is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first preselection area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reselection areas, and a first preselection area that shares a storyline with each other. -Includes the information of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ference condition is met based on whether an achievement rate of viewing the first related preselection area according to the story line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satisfies a reference value,
Further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ugmented reality marker matched wit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viewed according to the storyline as the compensation when viewing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ondition,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is 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destinations that are physically output or software output.
제1관광지에서 사용자가 조망하는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 과거 영상, 가상 영상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영상제공부;
상기 제1관광지에서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1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된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 및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할 경우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을 제공하며,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에는 제2관광지에서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2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 및 상기 제2사전선택영역 중에서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2관광지에서 앞서 조망한 제2사전선택영역-이하 이격지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상기 정보는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위치정보 및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과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과의 관련된 스토리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스토리라인에 대응되는 제1사전선택영역-이하 제2관련사전선택영역이라 함-을 조망한 달성률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상기 보상으로서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조망한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와 매칭되는 증강현실마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증강현실마커는 물리적으로 출력되거나 소프트웨어적으로 출력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
An imag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eal image, a past image, a virtual im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of an area viewed by a user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A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ed with a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preselected area of the area viewable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t the first tourist attrac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reselection area; And
When viewing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The control un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o the user, and provides compensation when viewing the first preselection area in accordance with a reference condition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includ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preselected area from the area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t the second tourist spot-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preselection area-and the second preselected area. A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second preselection area viewed from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eselection area for an isolated area-is provided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The control un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paced area preselection area to the user,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 and a story line related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and the separation area preselection area,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condition is met based on whether the achievement rate of the first preselection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toryline-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related preselection region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satisfies the reference value. Judge,
Further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ugmented reality marker matched wit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viewed according to the storyline as the compensation when viewing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ondition,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is 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destinations that are physically output or software outpu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부터 상기 증강현실마커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하는 재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조망한 순서에 따라 재생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Further comprising a playback unit for receiving and play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ed by the reproducing unit is 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a tourist destination in whic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is reproduced according to the order of views according to the story lin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상기 보상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방문이력을 저장하는 방문자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a tourist destination, further comprising a visitor management unit for storing the visitation history of the user as the compensation when the view is met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ond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관광지에서 사용자가 조망하는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 가상 영상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영상제공부;
제2관광지에서 사용자가 조망하는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 가상 영상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추가적인 영상제공부;
상기 제1관광지에서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1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 및 상기 제2관광지에서 상기 추가적인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미리 선택된 영역-이하 제2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된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 및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조망할 경우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을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보상을 제공하되,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에는 상기 제2사전선택영역 중에서 상기 추가적인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2관광지에서 앞서 조망한 제2사전선택영역-이하 이격지사전선택영역이라 함-에 대하여 정의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상기 정보는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의 위치정보 및 상기 제1사전선택영역과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과의 관련된 스토리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스토리라인에 대응되는 제1사전선택영역-이하 제2관련사전선택영역이라 함-을 조망한 달성률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기준 조건에 부합되게 조망한 경우에 상기 보상으로서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조망한 상기 이격지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및 상기 제2관련사전선택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와 매칭되는 증강현실마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증강현실마커는 물리적으로 출력되거나 소프트웨어적으로 출력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
An imag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eal image, a virtual im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of an area viewed by a user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
An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eal image, a virtual im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of an area viewed by the user in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preselected area from the area viewable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in the first tourist attrac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reselection area-and viewable through the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in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A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in which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preselected area from among the areas-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preselected area-is provided; And
When viewing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The control un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election area to the user, and provides compensation when viewing the first preselection area in accordance with a reference condition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I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a virtual reality content defined for a second preselection area previously viewed from the second tourist attraction through the additional image providing unit among the second preselection areas-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paced area preselection area. Is prepared,
The control un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paced area preselection area to the user,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election area and a story line related to the first preselection area and the separation area preselection area,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condition is met based on whether the achievement rate of the first preselection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toryline-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related preselection region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satisfies the reference value. Judge,
Matching wit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ng preselection area viewed according to the storyline and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lated preselection area as the compensation when viewing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condition Further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is 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destinations that are physically output or software output.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제공부로부터 상기 증강현실마커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하는 재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기 스토리라인에 따라 조망한 순서에 따라 재생되는 관광지용 가상현실영상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playback unit for receiving and play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The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ed by the reproducing unit is 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a tourist destination in whic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is reproduced according to the order of views according to the story line.
KR1020180068872A 2018-06-15 2018-06-15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attraction KR1021648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872A KR102164808B1 (en) 2018-06-15 2018-06-15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attra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872A KR102164808B1 (en) 2018-06-15 2018-06-15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attra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978A KR20190141978A (en) 2019-12-26
KR102164808B1 true KR102164808B1 (en) 2020-10-14

Family

ID=69103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872A KR102164808B1 (en) 2018-06-15 2018-06-15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attra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80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584B1 (en) 2020-11-12 2021-07-26 주식회사 오썸피아 Method, device, and system of providing observatory video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user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065A (en) 2020-04-02 2021-10-13 전혜란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of a smart tour guid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720A (en) * 2012-12-14 2014-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ugmented Reality imaging based sightseeing guide apparatus
KR20140136088A (en) * 2013-05-16 2014-11-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101713291B1 (en) * 2014-11-06 2017-03-10 (주)에이엔티홀딩스 Method, system, terminal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rip rou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584B1 (en) 2020-11-12 2021-07-26 주식회사 오썸피아 Method, device, and system of providing observatory video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user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978A (en)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1590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Culler Semiotics of tourism
KR20170095781A (en) Participatory Exhibition Guide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164808B1 (en) virtual reality image providing system for tourist attraction
Knox The sacralised landscapes of Glencoe: From massacre to mass tourism, and back again
Lee 'Welcome to London': Spectral spaces in Sherlock Holmes's metropolis
Hoffmann Made in America: Urban immigrant spaces in Transnational Nollywood films
Nye Hare Krishna and Sanatan Dharm in Britain: The Campaign for Bhaktivedanta Manor
Maclean Seeing, being seen, and not being seen: pilgrimage, tourism, and layers of looking at the Kumbh Mela
Latour Introduction: Paris, invisible city: The plasma
Kuftinec [Walking through a] ghost town: Cultural hauntologie in Mostar, Bosnia‐Herzegovina or Mostar: A performance review
Vinnakota et al. Venturing into virtuality: exploring the evolution, technological underpinnings, and forward pathways of virtual tourism
US20170080330A1 (en) Location-based activity
Lippard Mobilities of Cinematic Identity in the Western Sahara
Snake-Beings Avoiding the (tourist) gaze: pursuit of the ‘authentic’in the Tbilisi edgelands
Yu Study on intelligent augmented reality tourist guide application based on android smart phone
JP7167207B2 (en) program,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ystem
Keith et al. Night and Day: A Visual Diptych of Hate and Horror in Charlottesville
Lipan et al. Ias, i Botanic Garden App
Cano-Echevarría et al. Valladolid 1605: A theatre for the peace
McKay et al. “It was like swimming through history”: Tourist moments at Gallipoli
Paixão et al. The Participation of Players in the Composition of the Locative Structure in Niantic Games
Ruppin et al. Moving pictures across colonial boundaries: the multiple nationalities of the American Biograph in Southeast Asia
Mendelson-Maoz Borders, Territory, and Sovereignty in the Works of Contemporary Israeli Women Writers
Mohamed et al. Photography as a Tourism Type and Tourism Marketing Tool in Egyp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