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385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385B1
KR102164385B1 KR1020190038072A KR20190038072A KR102164385B1 KR 102164385 B1 KR102164385 B1 KR 102164385B1 KR 1020190038072 A KR1020190038072 A KR 1020190038072A KR 20190038072 A KR20190038072 A KR 20190038072A KR 102164385 B1 KR102164385 B1 KR 102164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cosmetic container
cover
li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9484A (ko
Inventor
김은미
김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9003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3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9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7Self supporting, e.g. brushes that stand upright or in other particular way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컴팩트용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이 수용되는 함몰부가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함몰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본체부에 수납되는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커버부를 커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엄지와 검지 사이에 걸쳐지며, 상기 본체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놓여 수납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좌우 폭이 길고 전후 폭이 짧은 형태를 가져, 수납된 내용물이 상기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좌우로 쓸어주는 행위로 피킹(picking)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가 비교적 긴 막대 형상의 어플리케이터를 화장품과 함께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등과 같은 고형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puff)나 브러시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터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퍼프의 경우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퍼프 등은 화장품 용기의 뚜껑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 퍼프를 인출하고, 퍼프에 구비된 탄성끈 등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퍼프를 화장품에 접촉시킴으로써 퍼프에 소정 양만큼의 화장품이 묻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브러시는 복수 개의 모(毛)로 이루어지는 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모는 동물의 털이거나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인공적으로 만든 섬유일 수 있다. 이러한 브러시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은 채 모 부분에 화장품이 고르게 묻도록 한 뒤, 모를 피부에 접촉시켜 화장품을 전달한다.
이러한, 퍼프와 브러시는 서로 재질과 형태를 달리 이루는데, 특히 콤팩트 타입의 화장품 용기는 원형의 형상으로서, 평면도 상에서 좌우 및 앞뒤의 길이가 동일/유사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내부 공간의 제한으로, 콤팩트 타입의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과 함께 퍼프가 내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고점도 파운데이션 등과 같이 퍼프로 두드리며 화장을 수행하는 것에 대비하여, 브러시를 이용하여 쓸어내리며 화장을 수행하는 것이 화장의 표현이 용이할 수 있다. 일례로 화장품의 점도 등에 따라 퍼프를 이용하면 화장이 뭉칠 우려가 있어, 화장품을 쓸어내리며 퍼지게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콤팩트 타입의 화장품 용기가 갖는 형상으로 인해, 길이가 긴 막대 형태의 브러시는 화장품 용기에 수납되지 못하고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과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분실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점도 파운데이션과 같이 쓸어내리는 화장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막대 형태의 어플리케이터가 화장품과 함께 내장되어, 어플리케이터의 이용이 용이할 수 있으며, 기존의 형상으로부터 차별화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을 넓힐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컴팩트용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이 수용되는 함몰부가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함몰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본체부에 수납되는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커버부를 커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엄지와 검지 사이에 걸쳐지며, 상기 본체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놓여 수납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좌우 폭이 길고 전후 폭이 짧은 형태를 가져, 수납된 내용물이 상기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좌우로 쓸어주는 행위로 피킹(picking)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 및 상기 함몰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좌우 폭이 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하는 도포체; 및 일단에 상기 도포체가 마련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도포체가 마련되는 제1 그립부재; 및 상기 제1 그립부재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제2 그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도포체가 마련되는 제1 그립부재; 및 상기 제1 그립부재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제2 그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커버부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커버부와 자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 상에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보관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안착되는 안착면 상에 상기 어플리케이터를 구속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끼움되거나 이탈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안착되며 평면을 이루는 안착면; 상기 함몰부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안착면의 반대편에서 상기 함몰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돌기; 및 상기 안착면의 둘레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상부돌기가 내측에 마련되도록, 상기 본체부를 폐쇄시 상기 본체부와 맞닿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돌기는, 상기 뚜껑부의 내측에 맞닿게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와 상기 뚜껑부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부는,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하는 도포체가 연결되며, 상기 도포체로부터 반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의 길이는 5cm 내지 20cm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 또는 상기 뚜껑부의 배면에는 반사면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하는 도포체; 및 상기 도포체가 연결되며, 상기 도포체로부터 반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도포체는, 상기 손잡이에 형태를 달리하여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둘레가 상기 본체부와 맞물리도록 단차를 이루어 상기 함몰부를 개폐하며, 둘레의 상부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는 전후 대비 좌우의 폭이 더 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는 길이의 막대 형태의 어플리케이터를 화장품과 함께 화장품 용기 내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막대 형태의 어플리케이터를 개별로 보관/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어플리케이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어플리케이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어플리케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어플리케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어플리케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편의상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로 구분하였으나, 구속부재의 형태, 어플리케이터의 구조 등이 달리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를 가지며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이 서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조합에 따라 실시예는 증가할 수 있고,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본체부(110), 어플리케이터(120), 커버부(130), 뚜껑부(140)를 포함하며, 일반적인 콤팩트 타입의 화장품 용기를 개선한 것으로서, 평면도 상에서의 좌우 및 앞뒤 폭이 동일/유사한 종래의 화장품 용기에 대비하여 좌우 폭이 확장되어, 막대 형태의 어플리케이터(120)가 보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함몰부(111)가 마련된다.
여기서, 내용물은, 파운데이션, 선블록 등 사용자의 얼굴 피부 전체를 커버하는 얼굴 전체용 화장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체부(110)에 저장되는 화장품이 고형 파우더와 같이 압축된 가루 또는 점성이 높은 액상의 물질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터(120)에 묻혀 사용자의 안면으로 옮겨질 수 있다.
다만, 내용물은, 본 실시예의 어플리케이터(120)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즉 막대 형상의 어플리케이터(120)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쓸어주는 형태로 화장을 수행할 경우 화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쿠션/워터스판/썬 파운데이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함몰부(111)는, 상부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함몰부(111)의 상부가 개구되어 커버부(130)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함몰부(111)는 앞뒤 또는 좌우 공간이 구획될 수도 있어, 구획된 공간 각각에 저장된 내용물은 색상, 점도, 기능이 서로 달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함몰부(111)는, 커버부(130)의 개방시, 내용물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함몰부(111) 상에 토출판(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량씩 내용물이 배출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이때 토출판은 파레트로 이용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내용물이 저장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공지된 기술에 갈음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체부(110)는, 어플리케이터(1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좌우 폭이 긴 형태를 가질 수 있어, 수평 단면이 타원형, 직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10)는 기존의 화장품 용기가 평면도 상에서의 앞뒤의 폭과 좌우의 폭이 동일/유사하여 실질적으로 원형을 이루는 것과 형태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10)가 좌우 폭이 긴 형태를 가져, 어플리케이터(120)를 이용하여 함몰부(111) 내의 내용물을 좌우 방향으로 쓸어서 덜 수 있으므로, 내용물을 떠내는 것(PICKING)이 용이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화장품 용기가, 좌우 및 앞뒤 폭이 실질적으로 같고 브러시를 좌우 방향으로 쓸기에는 좁은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브러시를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굴리는 형태로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며, 이 경우 내용물이 묻는 브러시의 하면은 굴리는 동작에 의해 뭉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어플리케이터(120)는 내용물을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는 화장도구, 예를 들어 솔로 이루어지는 도포체(121)와 손잡이(122)로 이루어지는 브러시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어플리케이터(120)는 막대 형상을 가져, 어플리케이터(120)의 측면 일부가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 걸쳐짐으로써, 어플리케이터(120)의 도포체(121)에 인접한 부분을 잡으면서 어플리케이터(120)의 손잡이(122)의 측면이 동시에 지지될 수 있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즉 국소부위 예를 들어 눈 주변을 화장하는 경우에는 브러시의 전체 형태가 작게 이루어지더라도 작은 영역에 화장이 수행되므로, 브러셔 등의 화장품을 가볍게 쓸어내릴 수 있다. 그러나 피부 전면에 화장을 수행하는 파운데이션, 썬 크림 등은 상기 브러셔의 화장품과 같은 도구로 이용시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게 되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어플리케이터(120)는 손잡이(122)가 5cm 내지 20cm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7cm 내지 9cm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에서 어플리케이터(120)가 지지되는 지지점이 다수의 영역에서 이루어져 안정적인 그립이 가능하다. 게다가, 어플리케이터(120)의 전방인 도포체(121)에 인접한 부분과 어플리케이터(120)의 중심부 또는 후방인 손잡이(122)의 측면에서 지지가 이루어져 내용물을 피부에 쓸어내는 화장방식을 수행하는 경우 어플리케이터(120)가 흔들리지 않을 수 있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터(120)는, 도포체(121) 및 손잡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포체(121)는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122)는 일단에 도포체(121)가 마련되며 도포체(121)의 반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손잡이(122)의 재질은 플라스틱, 합성수지, 금속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커버부(130)에 자성으로 연결되는 경우 일부에 자석(1223)이 마련되거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손잡이(122)에 복수의 도포체(121)가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단에 복수 개의 도포체(121)가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손잡이(122)의 양단에 서로 다른 형태의 도포체(121)가 마련되어, 하나의 어플리케이터(120)를 이용하여 복수의 브러시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120)는 화장품 용기(100)와 개별로 보관될 필요없이, 함몰부(111)의 상방에 보관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커버부(130) 상에 보관될 수 있고, 커버부(130)에 고정되기 위해 자석(1223)이 마련될 수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게다가, 어플리케이터(120)는 화장품 용기(100)의 좌우 길이보다 작게 이루어져 별도의 조작없이 어플리케이터(120)가 커버부(130) 상에 보관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어플리케이터(120)의 길이가 화장품 용기(100)의 좌우 길이와 동일 또는 더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용기(100)의 좌우 길이 이상으로 어플리케이터(120)의 길이가 형성되는 경우, 어플리케이터(120)의 보관을 위해 어플리케이터(120)는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122)는, 도포체(121)가 마련되는 제1 그립부재(1221), 제1 그립부재(1221)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제2 그립부재(1222)를 포함할 수 있어, 제1 그립부재(1221)의 후방에 착탈되는 제2 그립부재(1222)에 의해 길이가 연장될 수 있어, 보관시에는 제2 그립부재(1222)가 제1 그립부재(1221)로부터 분리되어 커버부(130) 상에 앞뒤로 나란히 함께 보관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보관시에는 도포체(121)가 제2 그립부재(1222) 내측에 끼움되어, 어플리케이터(120) 전체의 길이를 줄이면서도, 도포체(121)를 제2 그립부재(1222) 내에 보관하여 도포체(121)가 손상되거나 도포체(121)에 묻은 화장품이 커버부(130)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 7을 참조하면, 손잡이(122)는, 타단이 일단으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2 그립부재(1222)가 제1 그립부재(1221)의 내측으로 유입되거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밀어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그립부재(1222)는 스토퍼가 마련되어 제1 그립부재(1221)로부터 슬라이딩되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터(120)는 커버부(130)에 고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120) 또는 커버부(130)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1223)(도 5 참조, 제1 그립부재(1221)와 제2 그립부재(1222) 사이에 구비될 수 있음)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금속재질이 구비되어, 자성에 의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 5를 참조하면, 자석(1223)이 어플리케이터(120)의 측면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커버부(130)에 맞닿는 면에 자석(1223)이 마련되는 것으로 그 위치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자성으로 인한 결합은 커버부(130)의 표면인 안착면(131)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리브(135)와 유사하게 안착면(131)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그 변형예는 다양하다. 아울러, 자석(1223)은 크기에 대비하여 자성의 크기가 크게 이루어지는 네오디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달리, 어플리케이터(120)는 커버부(130)와의 구조적 연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커버부(130) 상에 하나의 어플리케이터(120)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커버부(130)의 공간은 막대 형상의 어플리케이터(120)에 대비하여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어, 즉 어플리케이터(120)는 손잡이(122)의 폭이 좁게 이루어져, 커버부(130) 상에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터(120)가 수용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어플리케이터(120)는 도포체(121)의 형태가 서로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터(120)가 커버부(130)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커버부(130)는 단순히 함몰부(111)를 커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어(커버부가 본체부 또는 뚜껑부에 힌지 결합 또는 필름지 형태로 이루어져 함몰부에 얹혀질 수 있음), 어플리케이터(120)는 함몰부(111)와 동일한 층에서 앞뒤 방향으로 나란히 마련될 수 있어, 일례로 커버부(130)가 뚜껑부(140)와 힌지 결합시 힌지의 반대편인 전방에 마련되어, 후방에는 함몰부(111)가 위치되고, 전방에는 어플리케이터(120)가 배치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120)는 함몰부(111)의 하방에 보관될 수도 있으며, 이때, 본체부(110)는 상하 일렬로 어플리케이터(120)가 수용되는 공간과 함몰부(111)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터(120)는 함몰부(111)의 하측에 마련되는 홈에 보관된 형태를 이루거나,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배출이 가능한 서랍이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커버부(130)는 함몰부(111)를 커버하고 어플리케이터(120)가 보관된다.
본 실시예의 커버부(130) 및 함몰부(111)는, 어플리케이터(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좌우 폭이 길고 전후 폭이 짧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막대 형태의 어플리케이터(120)를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화장품 용기와 차별화된 형상을 통해 수요자로 하여금 새로운 형상의 제품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부(130) 또는 뚜껑부(140)에는 반사면으로서 거울(134)이 마련되어, 화장을 수행시 사용자가 자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커버부(130)의 배면에 마련되어, 어플리케이터(120)와 별도의 공간에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이 묻은 어플리케이터(120)가 거울(134)에 부딪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거울(134)이 화장품으로 인해 오염되어 반사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터(120)를 커버하는 뚜껑부(140)의 형상 특히 내부면이 거울(134)의 형상에 따라 평면을 이룰 필요가 없어 뚜껑부(140)의 설계가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거울(134)은 평면도 상에서의 좌우 길이가 앞뒤 길이에 대비하여 확장되므로, 거울(134)이 가지는 시야각이 넓게 이루어질 수 있어 화장 수행시 사용자의 안면 확인이 용이할 수 있다.
게다가, 커버부(130)의 상부에는 어플리케이터(120)가 보관될 수 있는데, 커버부(130)의 상면인 안착면(131)에 어플리케이터(1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속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구속부재는, 막대 형태의 어플리케이터(120)가 화장품 용기(100) 내에 보관시, 구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휴대시 어플리케이터(120)가 커버부(130) 또는 뚜껑부(140) 내에서 흔들리거나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보관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구속부재는, 자력으로 어플리케이터(120)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구조에 따른 구속을 이룰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구속부재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자석(1223)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어플리케이터(120)가 자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속부재는 리브(135)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리브(135)가 커버부(130)의 안착면(131)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리브(135)는 손잡이(122)의 폭에 대응하여 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안착면(131)의 상부로 돌출된 형태를 이룰 수 있고, 리브(135)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일정한 탄성을 가질 수 있어, 어플리케이터(120)의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135)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된 형태를 이루거나, 어플리케이터(120)에 대응하여 내면이 이루어져 일례로 상부가 개구된 반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는, 구속부재는, 탄성끈(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어, 탄성끈의 양단이 안착면(131)에 고정되고, 탄성끈의 사이에 어플리케이터(120)가 삽입되어 구속될 수도 있다.
한편, 커버부(130)는, 어플리케이터(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된 형태를 이루어, 커버부(130) 내에 어플리케이터(120)가 수용된 상태로 움직임이 제한될 수도 있다. 이때, 커버부(130)에 보관된 어플리케이터(120)를 꺼내기 용이하도록, 손잡이(122)의 양측 영역에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120)를 보관/고정하기 위한 구조는 다양한 변형예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터(120)가 커버부(130)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어플리케이터(120)가 뚜껑부(140)에 고정될 수도 있어, 뚜껑부(140)에는 커버부(130)와 동일/유사하게 구속부재인 자석/금속, 리브(135), 탄성끈이 마련되어, 어플리케이터(120)가 뚜껑부(140)에 고정될 수도 있다.
게다가, 커버부(1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안착면(131)만 아니라, 상부돌기(133), 하부돌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면(131)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120)가 안착되며 평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하부돌기(132)는 함몰부(111)를 밀폐시키도록, 안착면(131)의 반대편에서 함몰부(11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데, 커버부(130)가 본체부(110)를 커버하면, 하부돌기(132)가 함몰부(111)의 상부면(도 3 참조) 또는 함몰부(111)의 외측 둘레면(도 1 참조)에 끼움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커버부(130)의 내측면에 맞닿게 이루어져, 즉 커버부(130)의 하측이 본체부(110)에 맞닿게 되어, 함몰부(111)의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상부돌기(133)는 안착면(131)의 둘레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데, 상부돌기(133)에 뚜껑부(140)가 밀착되도록, 상부돌기(133)가 안착면(131)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이루어, 커버부(130)가 뚜껑부(140) 내측에 마련된 상태에서 뚜껑부(140)와 커버부(130) 사이의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뚜껑부(140)는, 본체부(11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는데, 커버부(130)를 함께 커버할 수 있다.
일례로, 커버부(130)의 안착면(131) 둘레(외곽)인 상부돌기(133)의 높이가, 안착면(131) 상에 놓여진 어플리케이터(120)의 높이보다 낮게 이루어지는 경우, 뚜껑부(140)는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곡면의 형태를 이루어 돔 구조를 이룸으로써, 뚜껑부(140)의 둘레면이 어플리케이터(120)를 커버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커버부(130)는 본체부(110)와 뚜껑부(140) 사이에 마련된 형태를 이루면서도,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아, 본체부(110)의 상단과 뚜껑부(140)의 하단이 서로 맞닿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커버부(130)의 상부돌기(133)가 어플리케이터(12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높게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때, 뚜껑부(140)는 평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그 변형예는 다양하다.
이러한, 뚜껑부(140)는 커버부(130)와 동일/유사하게 일측이 커버부(130)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커버부(13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뚜껑부(140)의 타측은 본체부(110)와 결합되거나 이격될 수 있는데, 뚜껑부(140) 타측의 커버부(130)에 대한 결합 및 이탈은 걸림돌기(부호 도시하지 않음)와 걸림홈(부호 도시하지 않음)과 같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지된 메카니즘에 갈음하여 생략하며, 본체부(110) 상에 단순히 뚜껑부(140)가 맞닿는 바와 같이 공지된 다른 실시예의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화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120)를 화장품과 함께 화장품 용기(100) 내에 보관/사용할 수 있으므로, 막대 형태의 어플리케이터(120)를 개별로 보관/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어플리케이터(12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화장품 용기 110: 본체부
111: 함몰부 120: 어플리케이터
121: 도포체 122: 손잡이
130: 커버부 131: 안착면
132: 하부돌기 133: 상부돌기
134: 거울 135: 리브
140: 뚜껑부

Claims (17)

  1. 컴팩트용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이 수용되는 함몰부가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함몰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본체부에 수납되며 내용물을 전달하는 도포체와 일단에 상기 도포체가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커버부를 커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7cm 이상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엄지와 검지 사이에 걸쳐지면서 도포체에 인접한 부분이 파지되어 사용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놓여 수납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좌우 폭이 길고 전후 폭이 짧은 형태를 가져, 수납된 내용물이 상기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좌우로 쓸어주는 행위로 피킹(picking)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및 상기 함몰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좌우 폭이 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도포체가 마련되는 제1 그립부재; 및
    상기 제1 그립부재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제2 그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도포체가 마련되는 제1 그립부재; 및
    상기 제1 그립부재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제2 그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커버부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커버부와 자성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안착되는 안착면 상에 상기 어플리케이터를 구속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끼움되거나 이탈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안착되며 평면을 이루는 안착면;
    상기 함몰부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안착면의 반대편에서 상기 함몰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돌기; 및
    상기 안착면의 둘레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상부돌기가 내측에 마련되도록, 상기 본체부를 폐쇄시 상기 본체부와 맞닿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는,
    상기 뚜껑부의 내측에 맞닿게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와 상기 뚜껑부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길이는 7cm 내지 20c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또는 상기 뚜껑부의 배면에는 반사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체는,
    상기 손잡이에 형태를 달리하여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둘레가 상기 본체부와 맞물리도록 단차를 이루어 상기 함몰부를 개폐하며, 둘레의 상부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는 전후 대비 좌우의 폭이 더 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90038072A 2019-04-01 2019-04-01 화장품 용기 KR102164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072A KR102164385B1 (ko) 2019-04-01 2019-04-01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072A KR102164385B1 (ko) 2019-04-01 2019-04-01 화장품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034A Division KR102144813B1 (ko) 2017-07-13 2017-07-13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484A KR20190039484A (ko) 2019-04-12
KR102164385B1 true KR102164385B1 (ko) 2020-10-12

Family

ID=6616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072A KR102164385B1 (ko) 2019-04-01 2019-04-01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3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67Y1 (ko) * 2009-12-11 2011-09-27 (주)아모레퍼시픽 출몰식 연장대를 갖는 화장용 소형 브러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0384B2 (ja) * 2003-05-19 2010-09-08 鎭 許 棒状部材の自動起立構造及び棒状部材の製造方法
KR101761482B1 (ko) * 2015-10-08 2017-07-26 강성일 브러쉬가 내장된 리버스 퓨전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67Y1 (ko) * 2009-12-11 2011-09-27 (주)아모레퍼시픽 출몰식 연장대를 갖는 화장용 소형 브러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484A (ko) 2019-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813B1 (ko) 화장품 용기
US8156948B2 (en) Cosmetic product compact having pivoting sections and a product application device
US5391011A (en) Applicator for makeup or for a hair-care product
US5970989A (en) Makeup kit
JP6546894B2 (ja) 化粧スタンプ及びその使用方法
US9867448B2 (en) Container with collapsible applicator
US5520202A (en) Cosmetic kit
US20100307521A1 (en) Ergonomic container
US5906214A (en) Packaging unit permitting the storage and the application of a liquid or pasty product to a base
US11647824B2 (en) Cosmetic container
US20150272297A1 (en) Multifunctional Cosmetic Applicator
JP2002253335A (ja) メークアップ製品等のアプリケータ装置
KR102164385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3748Y1 (ko) 화장품 용기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101922710B1 (ko) 내용물 용기
US20190335876A1 (en) Compact Cosmetics Container
CN209931781U (zh) 随时可用的化妆品包装
KR102177319B1 (ko) 화장품 용기
KR200446992Y1 (ko) 화장품 케이스
CN113473882A (zh) 滑动式化妆粉饼盒
KR102200283B1 (ko) 화장품 용기
CN111246770A (zh) 化妆工具
KR101725604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