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315B1 -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315B1
KR102164315B1 KR1020190103669A KR20190103669A KR102164315B1 KR 102164315 B1 KR102164315 B1 KR 102164315B1 KR 1020190103669 A KR1020190103669 A KR 1020190103669A KR 20190103669 A KR20190103669 A KR 20190103669A KR 102164315 B1 KR102164315 B1 KR 102164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ed
area
display
panora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1020190103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파노라마 형태로 구성된 콘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 파노라마 콘텐츠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상기 SNS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따라,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요청되면, 상기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인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후, 상기 복수의 구역 중 다른 하나인 제2 구역이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서버{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PANORAMA CONTENT AND CONTENT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은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노라마 콘텐츠를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따라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하여, 파노라마 콘텐츠가 끊기지 않고 연속으로 이어서 구역 별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장치가 보급화되어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 장치에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는데, 특히,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SNS(Social Network Service)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들에게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SNS 플랫폼을 활용하여 정보 제공이나 마케팅 홍보를 수행하는 기업과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SNS 상에서 메시지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콘텐츠 포멧에 대한 요구도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SNS 상에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번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서만 다른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으며, 한정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통해서는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 없이 다양한 콘텐츠를 끊김없이 한 번에 확인하고, 한정된 영역 내에서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노라마 콘텐츠를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따라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하여, 파노라마 콘텐츠가 끊기지 않고 연속으로 이어서 구역 별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파노라마 형태로 구성된 콘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 파노라마 콘텐츠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상기 SNS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따라,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요청되면, 상기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인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후, 상기 복수의 구역 중 다른 하나인 제2 구역이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분절 단계는, 상기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이 정방형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로 또는 세로 픽셀 크기에 따라,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동일한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의 정지 시간 및 상기 제1 구역에 이어서 상기 제2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 이동하는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업로드 요청 또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콘텐츠 업로드 요청이 파노라마 콘텐츠의 업로드 요청인 경우, 상기 SNS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따라,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하여 등록하는 콘텐츠 등록부; 및 상기 콘텐츠 디스플레이 요청이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요청인 경우, 상기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인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후, 상기 복수의 구역 중 다른 하나인 제2 구역이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콘텐츠 등록부는, 상기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이 정방형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로 또는 세로 픽셀 크기에 따라,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동일한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의 정지 시간 및 상기 제1 구역에 이어서 상기 제2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 이동하는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 상에서 파노라마 콘텐츠가 끊기지 않고 연속으로 이어서 구역 별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콘텐츠를 확인하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사용자 입력이 없어도 다양한 콘텐츠를 끊김없이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소비자의 스킵(skip)을 최소화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파노마라 콘텐츠를 통해 끝까지 효과적으로 전달 가능하므로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의 등록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콘텐츠를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콘텐츠 제공 서버(200) 및 SNS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G, 4G 등의 이동 통신망으로 구성되어,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통신 기능을 갖춘 연산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데스크톱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에는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온라인 상에서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110), 제2사용자가 이용하는 제2 사용자 단말(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2 사용자 단말(120)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제1 사용자 단말(110) 외에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동작을 수행하고, 제2 사용자 단말(120) 외에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등을 통해 SNS 서버(30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SNS 계정으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SNS을 통해 콘텐츠를 공유하는데 있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예를 들면, 콘텐츠 업로드, 콘텐츠 디스플레이 등의 기능이 SNS 상에서 수행되도록 요청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는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음성 파일, 동영상 파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가 SNS 상에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이 확인할 수 있으므로, SNS 상에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가 공유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1 사용자의 SNS 계정으로 로그인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요청으로 선택된 콘텐츠가 제1 사용자의 SNS 상에 업로드 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 서버(200) 및 SNS 서버(300)는 업로드 요청된 콘텐츠가 SNS 상에 등록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제2 사용자의 SNS 계정으로 로그인된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의 SNS 상에 업로드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친구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의 SNS 상에 업로드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 서버(200) 및 SNS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여, 제2 사용자 단말(120)의 화면에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서로의 기능을 대체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고,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요청하는 실시 예를 개시하였으나, 서로의 기능을 대체하여 각각의 기능을 대신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단말에서 콘텐츠 업로드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음성 파일, 동영상 파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콘텐츠 업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업로드 요청된 콘텐츠를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콘텐츠 디스플레이 요청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여, 콘텐츠 디스플레이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SNS 서버(300)는 사용자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 메신저 서비스, 온라인 상에 정보를 게시하는 블로그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SNS를 제공할 수 있다.
SNS 서버(300)는 사용자의 SNS 계정 별로 콘텐츠를 업로드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공간에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등록하여, 등록된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이 확인하도록 사용자의 SNS 공간에 게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와 SNS 서버(300)를 별도의 서버로 도시하고 있으나, 콘텐츠 제공 서버(200)와 SNS 서버(300)는 하나의 통합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통합 서버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 및 SNS 서버(30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요청 수신부(210), 콘텐츠 등록부(220) 및 콘텐츠 제공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수신부(210), 콘텐츠 등록부(220) 및 콘텐츠 제공부(23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는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콘텐츠 제공 서버(20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요청 수신부(2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SNS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업로드 요청 또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 수신부(2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콘텐츠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콘텐츠 디스플레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요청 수신부(2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SNS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직접 콘텐츠 업로드 요청과 콘텐츠 디스플레이 요청을 수신할 수 있지만, 사용자 단말이 접속된 SNS를 제공하는 SNS 서버(300)를 통해 콘텐츠 업로드 요청과 콘텐츠 디스플레이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콘텐츠 등록부(220)는 요청 수신부(210)에서 콘텐츠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면, 업로드 요청된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등록된 콘텐츠가 사용자의 SNS 공간에 업로드 되도록 SNS 서버(300)에 요청하여, 콘텐츠가 업로드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콘텐츠 등록부(220)는 콘텐츠 업로드 요청이 파노라마 콘텐츠의 업로드 요청인 경우, SNS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따라, 파노라마 콘텐츠를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하여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가 긴 형태로 구현된 파노라마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가 요청된 경우, 콘텐츠 등록부(220)는 SNS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를 확인하여,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맞게 파노라마 콘텐츠를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할 수 있으며, 분절된 상태의 파노라마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다.
콘텐츠 등록부(220)는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를 확인한 결과,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이 정방형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로 또는 세로 픽셀 크기에 따라, 파노라마 콘텐츠를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동일한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이 정방형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가로 픽셀과 세로 픽셀의 크기가 동일하므로, 콘텐츠 등록부(220)는 가로가 긴 형태로 구현된 파노라마 콘텐츠를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동일한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노라마 콘텐츠가 정방형 화면과 동일한 크기의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등의 여러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요청 수신부(210)에서 제2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콘텐츠 디스플레이 요청을 수신하면, 콘텐츠 제공부(230)는 디스플레이 요청된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하여, 제2 사용자 단말(120)의 화면에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230)는 제2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디스플레이 요청이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요청인 경우, 제2 사용자 단말(120)이 접속한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파노라마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230)는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있어,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복수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인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후, 복수의 구역 중 다른 하나인 제2 구역이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노라마 콘텐츠가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에 맞게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등의 여러 구역으로 분절되어 있는 경우, 콘텐츠 제공부(230)는 최초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고, 제1 구역 다음으로 제2 구역이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고, 제2 구역 다음으로 제3 구역이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230)는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의 정지 시간 및 제1 구역에 이어서 제2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 이동하는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 시간을 조절하는데 있어,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동영상인 경우, 콘텐츠 제공부(230)는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의 정지 시간을 동영상의 재생 시간에 따라 조절하여, 제1 구역의 동영상 재생이 완료되면 이어서 제2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이미지인 경우, 콘텐츠 제공부(230)는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의 정지 시간이 없도록 조절하여,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자마자 이어서 제2 구역이 바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데 있어,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동영상인 경우, 콘텐츠 제공부(230)는 제1 구역의 동영상 재생이 끝나가는 시점에 이동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여, 제1 구역의 동영상 재생이 완료되자마자 제2 구역의 동영상이 빠르게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이미지인 경우, 사용자가 이미지를 빨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콘텐츠 제공부(230)는 이동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여, 제1 구역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된 후, 제2 구역의 이미지가 빠르게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텍스트인 경우, 사용자가 텍스트를 빨리 확인할 수 없으므로, 콘텐츠 제공부(230)는 이동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여, 제1 구역의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된 후, 제2 구역의 텍스트게 느리게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의 등록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S301 단계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어느 하나는 콘텐츠 업로드 요청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SNS에 접속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SNS 상에 콘텐츠를 업로드 하기 위한 요청을 SNS 서버(300)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302 단계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파노라마 콘텐츠 확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10)에서 업로드 요청된 콘텐츠가 파노라마 콘텐츠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업로드 요청된 콘텐츠가 파노라마 콘텐츠로 확인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S303 단계를 수행하여,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된 SNS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S304 단계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파노라마 콘텐츠를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S301 단계에서 업로드 요청된 파노마라 콘텐츠를 S303 단계에서 확인된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따라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파노라마 콘텐츠를 분절하는데 있어,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이 정방형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로 또는 세로 픽셀 크기에 따라, 파노라마 콘텐츠를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동일한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할 수 있다.
이후, S305 단계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콘텐츠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S304 단계에서 복수의 영역으로 분절된 상태의 파노라마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SNS 서버(300)를 통해 등록된 콘텐츠가 SNS 상에 업로드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SNS 상에 파노라마 콘텐츠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SNS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따라, 파노라마 콘텐츠를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하여 등록할 수 있다.
한편, S302 단계에서 업로드 요청된 콘텐츠가 파노라마 콘텐츠로 확인되지 않고, 일반적인 형태로 구현된 콘텐츠로 확인되면, S305 단계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S305 단계를 수행하여, 업로드 요청된 일반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으며, SNS 서버(300)를 통해 등록된 콘텐츠가 SNS 상에 업로드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S401 단계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어느 하나는 파노라마 콘텐츠 디스플레이 요청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SNS에 접속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은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요청을 SNS 서버(300)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402 단계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파노라마 콘텐츠에서 복수의 구역을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S40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요청된 파노라마 콘텐츠에 대해 몇 개의 구역으로 분절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노라마 콘텐츠가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으로 분절된 것으로 확인되면, S403 단계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최초 구역 디스플레이 과정을 수행하여, 제1 구역이 먼저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후, 404 단계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다음 구역 디스플레이 과정을 수행하여, 제1 구역에 이어서 제2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후, S405 단계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다음 구역 존재 확인 과정을 수행하여, S404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처리된 제2 구역의 다음 구역인 제3 구역이 파노라마 콘텐츠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제2 구역의 다음 구역인 제3 구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S404 단계로 되돌아가 다음 구역 디스플레이 과정을 행하여, 제2 구역에 이어서 제3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후, S405 단계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다음 구역 존재 확인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 S404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처리된 제3 구역의 다음 구역인 제4 구역이 파노라마 콘텐츠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제3 구역의 다음 구역인 제4 구역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파노라마 콘텐츠의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하는데 있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순으로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SNS 서버(300)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120)의 화면에서 표시되는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요청되면,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후, 제2 구역이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고, 제2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후, 제3 구역이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하여,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데 있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의 정지 시간 및 제1 구역에 이어서 제2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 이동하는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동영상인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의 정지 시간을 동영상의 재생 시간에 따라 조절하여, 제1 구역의 동영상 재생이 완료되면 이어서 제2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이미지인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의 정지 시간이 없도록 조절하여,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자마자 이어서 제2 구역이 바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동영상인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제1 구역의 동영상 재생이 끝나가는 시점에 이동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여, 제1 구역의 동영상 재생이 완료되자마자 제2 구역의 동영상이 빠르게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이미지인 경우, 사용자가 이미지를 빨리 확인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이동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여, 제1 구역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된 후, 제2 구역의 이미지가 빠르게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텍스트인 경우, 사용자가 텍스트를 빨리 확인할 수 없으므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이동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여, 제1 구역의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된 후, 제2 구역의 텍스트가 느리게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콘텐츠를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SNS 상에 파노라마 콘텐츠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가 긴 형태로 구성된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5,000 픽셀 및 세로 1,000 픽셀 크기로 구성된 파노라마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가 요청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파노라마 콘텐츠의 업로드 요청을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SNS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따라,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노라마 콘텐츠를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로 1,000 픽셀 및 세로 1,000 픽셀로 구성된 정방형 화면으로 설정된 것이 확인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가로 5,000 픽셀 및 세로 1,000 픽셀 크기로 구성된 파노라마 콘텐츠에서 가로 1,000 픽셀 및 세로 1,000 픽셀 크기에 따라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파노라마 콘텐츠를 5개의 구역으로 분절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구역으로 분절된 파노라마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되는 순서에 따라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제4 구역 및 제5 구역으로 분할하여, 파노라마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SNS 상에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요청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601)에서 제1 구역이 최초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601)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제1 구역에 이어서 제2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1 구역에 이어서 제2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는데 있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제1 구역의 일부분과 제2 구역의 일부분이 연결되어 함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601)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역의 디스플레이가 완료되고, 제2 구역만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601)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1 구역의 디스플레이가 완료된 후,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제2 구역에 이어서 제3 구역, 제3 구역에 이어서 제4 구역, 제4 구역에 이어서 제5 구역이 순서대로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601)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구역이 이어서 디스플레이 될 때, 이전 구역과 다음 구역의 일부분이 연결되어 함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601)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 상에서 파노라마 콘텐츠가 끊기지 않고 연속으로 이어서 구역 별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콘텐츠를 확인하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사용자 입력이 없어도 다양한 콘텐츠를 끊김없이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소비자의 스킵(skip)을 최소화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파노마라 콘텐츠를 통해 끝까지 효과적으로 전달 가능하므로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복수의 사용자 단말
110 : 제1 사용자 단말
120 : 제2 사용자 단말
200 : 콘텐츠 제공 서버
210 : 요청 수신부
220 : 콘텐츠 등록부
230 : 콘텐츠 제공부
300 : SNS 서버
601 :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

Claims (6)

  1.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파노라마 형태로 구성된 콘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 파노라마 콘텐츠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상기 SNS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따라,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요청되면, 상기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인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후, 상기 복수의 구역 중 다른 하나인 제2 구역이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의 정지 시간 및 상기 제1 구역에 이어서 상기 제2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 이동하는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의 상기 정지 시간을 동영상의 재생 시간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동영상 재생이 완료되면 이어서 상기 제2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의 상기 정지 시간이 없도록 조절하여, 상기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자마자 이어서 상기 제2 구역이 바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제1 구역의 동영상 재생이 끝나가는 시점에 상기 이동 속도를 기준 속도 보다 빠르게 조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동영상 재생이 완료되자마자 상기 제2 구역의 동영상이 빠르게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이동 속도를 기준 속도 보다 빠르게 조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된 후, 상기 제2 구역의 이미지가 빠르게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텍스트인 경우, 상기 이동 속도를 기준 속도 보다 느리게 조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된 후, 상기 제2 구역의 텍스트가 느리게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분절 단계는,
    상기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이 정방형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로 또는 세로 픽셀 크기에 따라,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동일한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3. 삭제
  4.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업로드 요청 또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콘텐츠 업로드 요청이 파노라마 콘텐츠의 업로드 요청인 경우, 상기 SNS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크기에 따라,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하여 등록하는 콘텐츠 등록부; 및
    상기 콘텐츠 디스플레이 요청이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요청인 경우, 상기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인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후, 상기 복수의 구역 중 다른 하나인 제2 구역이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의 정지 시간 및 상기 제1 구역에 이어서 상기 제2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 이동하는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의 상기 정지 시간을 동영상의 재생 시간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동영상 재생이 완료되면 이어서 상기 제2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의 상기 정지 시간이 없도록 조절하여, 상기 제1 구역이 디스플레이 되자마자 이어서 상기 제2 구역이 바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제1 구역의 동영상 재생이 끝나가는 시점에 상기 이동 속도를 기준 속도 보다 빠르게 조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동영상 재생이 완료되자마자 상기 제2 구역의 동영상이 빠르게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이동 속도를 기준 속도 보다 빠르게 조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된 후, 상기 제2 구역의 이미지가 빠르게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의 종류가 텍스트인 경우, 상기 이동 속도를 기준 속도 보다 느리게 조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된 후, 상기 제2 구역의 텍스트가 느리게 이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등록부는,
    상기 SNS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이 정방형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로 또는 세로 픽셀 크기에 따라, 상기 파노라마 콘텐츠를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동일한 복수의 구역으로 분절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6. 삭제
KR1020190103669A 2019-08-23 2019-08-23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서버 KR102164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69A KR102164315B1 (ko) 2019-08-23 2019-08-23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69A KR102164315B1 (ko) 2019-08-23 2019-08-23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315B1 true KR102164315B1 (ko) 2020-10-12

Family

ID=7288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669A KR102164315B1 (ko) 2019-08-23 2019-08-23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3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0435A (ja) * 2003-12-26 2005-07-14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KR20090108582A (ko) * 2007-09-21 2009-10-15 주식회사 다이브엑스 다채널 화면 분할 방식을 사용한 디브이알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606860B1 (ko) * 2015-11-23 2016-03-28 (주)아바엔터테인먼트 파노라마 동영상의 화면 표시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및 전방위 가상현실 제공 시스템
KR20160101584A (ko) * 2015-02-17 2016-08-25 주식회사 무버 파노라마 콘텐츠를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단말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0435A (ja) * 2003-12-26 2005-07-14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KR20090108582A (ko) * 2007-09-21 2009-10-15 주식회사 다이브엑스 다채널 화면 분할 방식을 사용한 디브이알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101584A (ko) * 2015-02-17 2016-08-25 주식회사 무버 파노라마 콘텐츠를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단말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06860B1 (ko) * 2015-11-23 2016-03-28 (주)아바엔터테인먼트 파노라마 동영상의 화면 표시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및 전방위 가상현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3417B (zh) 在通信会话中呈现消息
US1068547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laying video while transitioning from a content-item preview to the content item
CN112261226B (zh) 横屏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792241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displaying reaction during VoIP-based call
CN108174272B (zh) 直播中互动信息展示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1329942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ssages related to notifications
US201800415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ed broadcasting
CN113992934B (zh) 多媒体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0860280B2 (en) Display method and device
CN111586452A (zh) 用于跨设备互动的方法及装置、播放设备
CN109819268B (zh) 视频直播中的直播间播放控制方法、装置、介质及设备
CN107786631B (zh) 一种内容发布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272140B2 (en) Dynamic shared experience recommendations
JP7490124B2 (ja) 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376079B1 (ko) 임베디드 비디오를 열람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5278275B (zh) 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US20240007510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SHARING CONTENT DURING VoIP-BASED CALL
US10749988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retrieving content associated with links
KR102201659B1 (ko) 비디오 환경을 위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수정 기법
KR102164315B1 (ko) 파노라마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서버
CN115515014B (zh) 媒体内容的分享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0812549B1 (en) Techniques for secure screen, audio, microphone and camera recording on computer devices and distribution system therefore
CN110300321B (zh) 一种横幅展示方法及装置
CN113608816A (zh) 进度的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70026688A1 (en) Terminal device, video display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