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035B1 - 손바닥 지압기 - Google Patents

손바닥 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035B1
KR102163035B1 KR1020180075972A KR20180075972A KR102163035B1 KR 102163035 B1 KR102163035 B1 KR 102163035B1 KR 1020180075972 A KR1020180075972 A KR 1020180075972A KR 20180075972 A KR20180075972 A KR 20180075972A KR 102163035 B1 KR102163035 B1 KR 102163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isphere
ball
acupressure
coupling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462A (ko
Inventor
최태민
Original Assignee
(주)올버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버튼 filed Critical (주)올버튼
Priority to KR102018007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0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9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42Balls or 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바닥 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설치부와 제2 설치부를 구비하는 설치판, 제1 설치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외부면에 복수 개의 지압 돌기를 구비하는 제1 상부 반구체 및 제1 설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외부면에 복수 개의 지압 돌기를 구비하는 제1 하부 반구체를 포함하는 제1 지압체, 그리고 제2 설치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외부면에 복수 개의 지압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제2 상부 반구체 및 제2 설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외부면에 복수 개의 지압 돌기를 구비하는 제2 하부 반구체를 포함하는 제2 지압체를 포함하고, 제1 상부 반구체와 제1 하부 반구체는 결합되어 제1 설치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2 상부 반구체와 제2 하부 반구체는 결합되어 상기 제2 설치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Description

손바닥 지압기{PALM ACUPRESSURE EQUIPMENT}
본 발명은 손바닥 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손바닥에는 많은 경혈이 집중되어 있어 손바닥을 자극하면 혈액 순환과 두뇌 활동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손바닥을 지압하기 위해, 막대기 형태로 이루어진 지압 기구를 이용하여 손바닥의 특정 부위에 의식적으로 자극을 주거나, 호두 등과 같이 단단하고 울퉁불퉁한 껍질을 갖고 있는 열매를 이용하여 손바닥에 자극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막대 형태의 지압 기구의 경우, 사용자가 지압 기구를 이용해 자신의 손바닥에 자극을 줘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여 지속적으로 이용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호두와 같은 둥근 형태의 지압 기구를 이용할 경우, 하나가 아니라 두 개를 이용해 상호 마찰시켜야 효과가 있다. 따라서 서로 짝이 맞지 않으면 지압의 효과가 크지 않으며, 두 개 중 하나가 분실될 경우 지압 기구로소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특히 호두 등은 자연 물질이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5139호(공개일자: 2012년 05월 09일, 발명의 명칭: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손바닥지압구)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손바닥 지압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분실 위험이 적은 손바닥 지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재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손바닥 지압기는 제1 설치부와 상기 제1 설치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설치부를 구비하는 설치판, 상기 제1 설치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외부면에 복수 개의 지압 돌기를 구비하는 제1 상부 반구체 및 상기 제1 설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외부면에 복수 개의 지압 돌기를 구비하는 제1 하부 반구체를 포함하는 제1 지압체, 그리고 상기 제2 설치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외부면에 복수 개의 지압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제2 상부 반구체 및 상기 제2 설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외부면에 복수 개의 지압 돌기를 구비하는 제2 하부 반구체를 포함하는 제2 지압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와 상기 제1 하부 반구체는 결합되어 상기 제1 설치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며, 상기 제2 상부 반구체와 상기 제2 하부 반구체는 결합되어 상기 제2 설치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상기 제1 상부 반구체는 제1 설치부의 상부면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 상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하부 반구체는 제2 설치부의 하부면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 하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압체는 상기 제1 설치부에 위치하는 제1 상부용 볼,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의 제1 상부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의 제2 상부 부분에 위치하는 제2 상부용 볼, 상기 제1 설치부의 상부면에 원형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하나에 상기 제1 상부용 볼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상부용 볼 이동홈,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의 제1 상부 부분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스프링이 삽입되는 제1 스프링 삽입부, 및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의 제2 상부 부분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상부용 볼이 삽입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용 볼 위치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지압체의 상기 제1 스프링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상부용 볼 이동홈에 위치한 제1 상부용 볼과 상기 상부용 볼 위치홈에 위치한 제2 상부용 볼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압체는 상기 제2 설치부에 위치하는 제1 하부용 볼, 상기 제2 하부 반구체의 제1 하부 부분에 위치하는 제2 스프링, 상기 제2 하부 반구체의 제2 하부 부분에 위치하는 제2 하부용 볼, 상기 제2 설치부의 하부면에 원형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하나에 상기 제1 하부용 볼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하부용 볼 이동홈, 상기 제2 하부 반구체의 제1 하부 부분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이 삽입되는 제2 스프링 삽입부, 및 상기 제2 하부 반구체의 제2 하부 부분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상부용 볼이 삽입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용 볼 위치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지압체의 상기 제2 스프링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하부용 볼 이동홈에 위치한 제1 하부용 볼과 상기 하부용 볼 위치홈에 위치한 제2 하부용 볼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용 볼 위치홈와 상기 하부용 볼 위치홈의 개수는 각각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상부용 볼 위치홈의 높이는 서로 상이하며, 복수 개의 하부용 볼 위치홈의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의 상기 제1 상부 부분은 상기 제1 설치부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상부 부분은 상기 제1 상부 부분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3 상부 부분은 상기 제2 상부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제1 상부 부분과는 치합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제2 하부 반구체의 상기 제1 하부 부분은 상기 제2 설치부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하부 부분은 상기 제1 하부 부분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3 하부 부분은 상기 제2 하부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제1 하부 부분과는 치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지압체는 가운데 부분에 볼트 삽입 구멍을 구비한 제1 결합링 및 상기 제1 결합링의 볼트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제1 결합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설치부는 가운데 부분에 상기 제1 결합링이 삽입되는 제1 결합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의 제1 내지 제3 상부 부분은 각각 가운데 부분에 상기 제1 결합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부 반구체는 가운데 부분에 상기 제1 결합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압체는 가운데 부분에 볼트 삽입 구멍을 구비한 제2 결합링 및 상기 제2 결합링의 볼트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제2 결합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설치부는 가운데 부분에 상기 제2 결합링이 삽입되는 제2 결합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의 제1 내지 제3 상부 부분은 각각 가운데 부분에 상기 제2 결합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부 반구체는 가운데 부분에 상기 제2 결합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외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지압 돌기가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손안에 손바닥 지압기를 위치시킨 후 만지작거리는 동작을 수행하여 손바닥의 지압 동작을 쉽고 편리하게 수행하게 된다.
이 때, 하나의 제품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설치부와 제2 설치부에 각각 제1 지압체와 제2 지압체가 위치하므로, 제1 지압체나 제2 지압체의 분실 염려가 없다.
또한, 제1 및 제2 지압체가 회전할 때마다 소리가 발생하므로, 사용자는 좀 더 흥미롭게 손바닥 지압 동작을 할 수 있다.
이때, 소리의 크기 역시 조절 가능하여, 사용자의 흥미는 더욱더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바닥 지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손바닥 지압기를 Ⅱ-Ⅱ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바닥 지압기를 한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손바닥 지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바닥 지압기의 상부 반구체의 제1 상부 부분의 상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바닥 지압기의 상부 반구체의 제2 상부 부분의 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바닥 지압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면, 본 예의 손바닥 지압기(100)는 설치판(10), 그리고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게 설치판(10)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지압체(20, 30)을 구비한다.
설치판(10)은 플라스틱(plastic)과 같은 견고하고 가벼운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제1 및 제2 지압체(20, 30)가 설치되는 설치판이다.
이러한 설치판(10)은 제1 지압체(20)가 위치하는 제1 설치부(11), 제2 지압체(20)가 위치하는 제2 설치부(12) 및 제1 설치부(11)와 제2 설치부(12)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설치부(11)와 제2 설치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를 구비한다.
이때, 제1 및 제2 설치부(11, 12)는 각각 가운데 빈 구멍을 갖고 있고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원형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판(10)은 제1 측(예, 좌측)과 제1 측의 반대편인 제2 측(예, 우측)에 가운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제1 및 제2 설치부(11, 12)가 연장 방향(예,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게 위치하는 8자 형태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예에서, 제1 지압체(20)와 제2 지압체(30) 역시 설치판(10)과 동일하게 견고하고 가벼운 재료인 플라스틱(plastic)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지압체(20, 30)는 설치판(10)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거나 다른 재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지압체(20, 30)는 서로 상하 반전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이들이 각각 설치되는 제1 설치부(11)와 제2 설치부(12) 역시 서로 상하 반전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1 설치부(11)의 구조를 먼저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설치부(11)는 가운데 빈 구멍인 결합 구멍(예, 제1 결합 구멍)(H11)을 구비하고 있고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본체(111), 본체(111)의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12) 및 돌출부(112)의 외측면과 본체(111)의 하부면에 돌출부(112)의 외측면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위치하여 돌출부(112)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113)를 구비한다.
이때, 결합 구멍(H11)은 본체(111)와 돌출부(112)를 관통하게 위치한다.
본체(111)의 상부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하고 있고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볼 이동홈(예, 상부용 볼 이동홈)(G111)이 위치한다.
이때, 복수 개의 볼 이동홈(G111)은 결합 구멍(H11)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원형인 결합 구멍(H11)의 주변부를 따라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다.
제2 설치부(12)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설치부(11)와 상하 반전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제2 설치부(12) 역시 평면 형상을 갖는 본체(121), 본체(121)의 상부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22) 및 돌출부(122)의 외측면과 본체(121)의 상부면에 돌출부(122)의 외측면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위치하여 돌출부(122)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123)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설치부(12)는 본체(121)와 돌출부(122)를 관통하는 결합 구멍(H12)을 구비하고, 본체(121)의 하부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볼 이동홈(예, 하부용 볼 이동홈)(G121)이 위치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서로 상하 반전 구조를 갖는 제1 지압체(20)와 제2 지압체(30) 역시 구성요소의 설치 위치를 제외하면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먼저, 제1 지압체(20)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1 지압체(20)는 제1 설치부(11)의 결합 구멍(H11)에 삽입되는 결합 볼트(예, 제1 결합 볼트)(21), 결합 볼트(21)에 삽입되고 제1 설치부(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반구체(22), 제1 설치부(1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반구체(23), 제1 설치부(11)의 상부면에 접하게 위치하는 제1 볼(예, 제1 상부용 볼)(241), 제2 상부 부분(221)의 하부면과 접하게 위치하는 제2 볼(예, 제2 상부용 볼)(242), 제1 볼(241)과 제2 볼(242)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예, 제1 스프링)(25), 그리고 제1 설치부(11)의 결합 구멍(H11) 속에 위치하는 결합링(예, 제1 결합링)(26)을 구비한다.
결합 볼트(21)는 설치판(10)의 제1 설치부(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반구체(22)와 하부 반구체(23)를 일체로 결합하여 제1 설치부(11)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결합 볼트(21)에 의해, 상부 반구체(22)와 하구 반구체(23)는 제1 설치부(11)를 기준으로 상부에 하부에 각각 위치하여 원형의 제1 지압체(20)를 구성한다.
상부 반구체(22)는 제1 설치부(11)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상부 부분(221), 제1 상부 부분(221) 위에 위치하는 제2 상부 부분(222) 및 제2 상부 부분(222) 위에 위치하는 제3 상부 부분(223)로 나눠져 있다.
상부 반구체(22)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하여 제1 설치부(11)의 상부에 접하게 위치하는 제1 상부 부분(221)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상부면과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측면을 구비하는 본체(2211), 본체(2211)의 상부면에서 아래쪽 즉, 설치판(10)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볼트 삽입부(2212)과 스프링 삽입부(예, 제1 스프링 삽입부)(2213), 본체(2211)와 볼트 삽입부(2212) 사이에 위치하여 볼트 삽입부(2212)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2214) 및 본체(2211)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스톱퍼(stopper) 역할을 하는 핀(P221)을 구비한다.
제1 상부 부분(221)의 본체(2211)의 측면 외부면(즉,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지압 돌기(P20)가 위치한다.
볼트 삽입부(2212)는 결합 볼트(21)가 삽입되는 부분이고, 스프링 삽입 기둥(2213)은 스프링(24)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볼트 삽입부(2212)와 스프링 삽입부(2213)는 각각 결합 볼트(21)와 스프링(24)이 삽입되는 볼트 삽입 구멍(H2211)과 스프링 삽입 구멍(H2212)을 구비하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볼트 삽입 구멍(H2211)과 접해 있는 볼트 삽입부(2212)의 내부면은 제1 내부면(S2211)와 제1 내부면(S2211)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내부면(S2212)을 구비한다.
제1 내부면(S2211)에 형성된 삽입 구멍(H2211)의 지름은 제2 내부면(S2211)에 형성된 삽입 구멍(H2211)의 지름보다 커, 제1 내부면(S2211)과 제2 내부면(S221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2215)은 걸림턱으로 기능한다.
이때, 제1 내부면(S2211)에는 제3 상부 부분(223)과의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결합 홈(G221)이 구비한다.
복수 개의 지지대(2214)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볼트 삽입부(2212)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제1 상부 부분(221) 위에 위치하는 제2 상부 부분(222)은 하부면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부면과 측면을 구비하는 본체(2221) 및 본체(2221)의 상부면에서 하부 쪽으로 돌출하여 있는 결합부(2222)를 구비한다.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체(2221)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지압 돌기(P20)가 위치하며, 본체(2221)의 하부면[즉, 제1 상부 부분(221)과 인접한 면]에는 제2 볼(232)이 위치하는 복수 개의 볼 위치홈(예, 상부용 볼 위치홈)(G222)이 위치한다.
이때, 복수 개의 볼 위치홈(G222)이 위치하는 부분은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단차를 갖는 계단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각 볼 위치홈(G222)이 위치하는 부분의 높이는 서로 상이하다. 이때 볼 위치홈(G222)의 높이는 본체(2221)의 하부면에서부터 돌출된 높이일 수 있다.
본 예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볼 위치홈(G222)은 한 개 일 수 있다.
결합부(2222)은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상부 부분(221)과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가운데 부분에 결합 볼트(21)의 삽입을 위한 볼트 삽입 구멍(H222)을 구비한다.
이러한 결합부(2222)의 외부면의 형상은 결합되는 제1 상부 부분(221)의 본체(2211) 상부면의 구조에 따라 정해진다. 본 예의 경우, 결합부(2222)의 외측면은 지름이 서로 상이한 두 개의 단을 구비하는 계단 형상을 갖는다.
또한, 결합부(2222)의 내부면, 즉 외부면과 마주보고 있으며 볼트 삽입 구멍(H222)과 접해 있는 면에는 제3 상부 부분(223)과의 결합을 위한 걸림턱(2223)을 구비한다.
제3 상부 부분(223)은 상부면과 곡면의 외부면을 갖는 측면을 구비한 본체(2231), 본체(2231)에서 하부 쪽으로 돌출되어 제2 상부 부분(222) 및 제1 상부 부분(221)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232)를 구비한다.
제3 상부 부분(223)의 본체(2231) 역시 측면에 복수 개의 지압 돌기(P20)를 구비한다.
제3 상부 부분(223)의 결합 기둥(2232)은 가운데 부분에는 결합 볼트(21)의 삽입을 위한 삽입 구멍(H223)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결합부(2232)는 본체(2231)의 하부면에 인접해 있는 제1 결합 부분(2231a)과 제1 결합 부분(2231a)에 끊김없이 이어져 있고 제1 결합 부분(2231a)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제2 결합 부분(2232b)을 구비하는 계단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제2 결합 부분(2232b)의 외측면에는 제1 상부 부분(221)의 결합 홈(G221)과의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돌기(P2231)가 위치한다.
하부 반구체(23)는 가운데 결합 볼트(21)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 구멍(H23)을 구비하고 있고 빈 공간을 갖는 반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 반구체(23)는 외부면에 복수 개의 지압 돌기(P20)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231), 본체(231)에서 상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부(232) 및 결합부(232)와 본체(231)의 내부면에 정해진 간격으로 위치하여 결합부(232)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233)를 구비한다.
결합부(232)에는 볼트 삽입 구멍(H23)이 관통하여 결합 볼트(21)의 삽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 볼(241)은 설치판(10)의 제1 설치부(11)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볼 이동홈(G111) 중 하나에 삽입되어 있고, 제2 볼(242)은 제2 상부 부분(222)의 본체(2221) 하부면에 위치한 복수 개의 볼 위치홈(G222) 중 하나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25)은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서,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상부 부분(221)의 스프링 삽입부(2213) 속에 삽입되어 제1 볼(241)과 제2 볼(242)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스프링(25)의 압축 정도는 제1 및 제2 볼(241, 242)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정해진다.
따라서, 결합 볼트(21)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부 반구체(22)와 하부 반구체(23)는 제1 볼(241)이 볼 이동홈(G111)의 형성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볼 이동홈(G111) 중 하나로 순차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원형인 제1 설치부(11)를 사이에 두고 회전하게 된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2 볼(242)이 위치하는 볼 위치홈(G222)의 높이는 서로 상이하므로, 제2 볼(242)이 위치하는 볼 위치홈(G222)의 높이에 따라 스프링(24)의 압축력이 달라진다.
가운데에 볼트 삽입 구멍(H26)을 구비하고 있는 도넛 형상의 결합링(26)은 제1 설치부(111)의 결합 구멍(H11) 내에 위치한다.
이때, 결합링(26)의 외경이 삽입 구멍(H11)의 지름보다 작으므로 삽입 구멍(H11) 속에 결합링(26)은 삽입 구멍(H11) 속에서 회전 가능하게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1 지압체(20)은 다양한 방식 중에서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
먼저, 설치판(10)의 제1 설치부(11)의 결합 구멍(H11) 속에 결합링(26)을 위치시킨다. 이때, 제1 설치부(11)의 내부면에 결합링(26)의 위치를 한정하는 걸림턱(1123)이 존재하여, 결합 구멍(H11) 속에 삽입된 결합링(26)은 걸림턱(1123)에 삽입 위치가 한정된다.
그런 다음, 제1 설치부(11)의 볼 이동홀(G111) 중 하나에 제1 볼(241)을 위치시키고, 상부 반구체(22)의 제1 상부 부분(221)의 스프링 삽입부(2213)의 스프링 삽입 구멍(H2212) 속에 스프링(25)을 삽입한다.
스프링(25)이 삽입되어 있는 상부 반구체(22)의 제1 상부 부분(221)은 제1 볼(241)에 스프링(25)의 일단에 위치하도록 제1 설치부(11)의 본체(111) 위에 위치시킨다.
제1 상부 부분(221)의 본체(2211)의 상부면에 노출되어 있는 스프링 삽입부(2233)의 스프링 삽입 구멍(H2212)에 제2 볼(242)을 위치시킨다. 이때, 스프링 삽입 구멍(H2212)의 직경보다 제2 볼(242)의 직경이 크므로, 제2 볼(242)은 스프링 삽입 구멍(H2212) 속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제1 상부 부분(221))의 상부면에 일부가 돌출된다.
그런 다음, 복수 개의 볼 위치홈(G122) 중 하나에 제1 상부 부분(221)의 상부면 위에 돌출되어 있는 제2 볼(242)이 삽입되도록 제2 상부 부분(222)을 제1 상부 부분(221)의 본체 상부면 위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제2 상부 부분(222)의 결합부(2222)는 제1 상부 부분(221)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 홈(G223) 속에 삽입되어, 제1 상부 부분(221)에 제2 상부 부분(222)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위치한다.
그런 다음, 다시 제2 상부 부분(222)의 볼트 삽입 구멍(H222) 속에 제3 상부 부분(223)의 삽입부(2232)를 삽입하여, 제2 상부 부분(222) 위에 제3 상부 부분(223)을 위치시켜, 설치판(10)의 제1 설치부(11) 위에 제1 내지 제3 상부 부분(221-223)로 이루어진 상부 반구체(22)가 위치한다.
이러한 제3 상부 부분(223)의 삽입 동작에 의해, 제3 상부 부분(223)의 결합부(2232)의 제1 결합 부분(2231a)은 제2 상부 부분(222)의 걸림턱(2223)과 접하게 위치하고, 제2 결합 부분(2232b)은 제1 상부 부분(221)의 삽입 구멍(H221) 속에 삽입된다.
이때, 제3 상부 부분(223)은 제2 결합 부분(2232b)에 위치한 결합 돌기(P2231)가 제1 상부 부분(221)의 제1 내부면(S2211)에 위치하고 있는 결합 홈(G221)와 결합되도록 제1 상부 부분(221)에 위치한다.
이처럼, 제3 상부 부분(223)이 제2 및 제1 상부 부분(222, 221)의 볼트 삽입 구멍(H222, H221) 속으로 삽입될 때, 제2 상부 부분(223)의 결합부(2232) 단부는 제1 상부 부분(221)의 걸림턱(2215)에 접하게 위치하므로 제3 상부 부분(223)의 위치가 한정된다.
이로 인해, 서로 치합되어 있는 제3 상부 부분(223)의 결합 돌기(P2231)와 제1 상부 부분(221)의 결합 홈(G221)에 의해, 제1 상부 부분(221)과 제3 상부 부분(223)은 일체로 동작된다.
이때, 제2 상부 부분(222)은 상부에 위치하는 제3 상부 부분(223)의 제1 결합 부분(2231a)과 자신의 걸림턱(2223)이 회전 가능하게 접해 있고, 원형의 결합부(2222)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상부 부분(221)의 상부면에 형성된 원형의 결합 홈(G22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상부 부분(222)은, 외부로 힘이 인가되면, 제1 상부 부분(221)의 결합 홈(G223)을 따라서 제1 상부 부분(221)과 제3 상부 부분(223) 사이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 상부 부분(222)의 회전 범위는 제1 상부 부분(221)의 상부면에 위치한 핀(P221)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상부 반구체(22)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삽입 구멍(H223, H222, H221) 속에 결합 볼트(21)를 삽입하여, 상부 반구체(22)의 위치를 고정한다.
그런 다음, 제1 설치부(11)의 하부면에 하부 반구체(23)를 위치시킨다.
다음, 삽입 구멍(H23) 속으로 노출되어 있는 결합 볼트(21)의 단부에 너트(211)를 삽입하여, 제1 설치부(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반구체(22)와 하부 반구체(23)를 조립한다. 따라서, 결합 나서(21)에 의해 상부 반구체(22)와 하부 반구체(23)는 일체로 결합되어, 원형이고 외부면 복수 개의 지압 돌기(20)가 위치하는 제1 지압체(20)가 완성된다.
이러한 제1 지압체(20)는 설치판(10)의 제1 설치부(11)의 본체 상부면에서 제1 볼(241)이 볼 이동홈(G111)을 따라 이동하므로 제1 설치부(11)의 본체(111) 상부에서 상부 반구체(22)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제1 지압체(20)를 회전시키면, 스프링(25)의 압력에 위해 위치가 고정되는 제1 볼(241)은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인접한 볼 이동홈(G111)으로 위치를 이동하게 되어, 상부 반구체(22)의 회전이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 볼트(21)에 의해 상부 반구체(22)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하부 반구체(22) 역시 상부 반구체(22)의 이동에 따라 회전 본체(111)의 하부면에서 회전된다.
따라서, 상부 반구체(22)와 하부 반구체(23)는 제1 설치부(11)를 사이에 두고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지압체(200의 회전 동작 시, 제1 볼(241)이 볼 이동홈(G111)과 볼 이동홈(G111) 사이에 위치할 경우 스프링(25)의 압축력은 최대가 되고 제1 볼(241)이 새로운 볼 이동홈(G111) 속으로 삽입되면 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25)의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이러한 제1 볼(241)의 이동 동작으로 인한 스프링(25)의 압축 및 압축 해제 동작으로 인해, 제1 볼(241)이 인접한 다른 볼 이동홈(G111)으로 이동할 때 딱'과 같은 소리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바닥 지압기(100)를 손안에 놓고 제1 지압체(20)와 제2 지압체(30)를 회전시킬 마다 소리가 발생하므로, 사용자는 좀 더 재미있게 손바닥 지압기(100)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25)의 초기 상태일 때의 스프링(25)의 압축 정도(예, 스프링 초기 압축력)는 제2 상부 부분(222)의 볼 위치홈(G222)에 위치하는 제2 볼(242)의 위치에 따라 정해진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2 상부 부분(222)의 본체(2221)의 내부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볼 위치홈(G222)의 높이는 서로 상이한다.
따라서, 복수 개의 볼 위치홈(G222) 중에서 가장 높은 높이를 갖는 볼 위치홈(G222)에 제2 볼(242)가 위치할 경우, 제2 볼(242)과 제1 볼(241) 간의 거리가 가장 짧으므로 스프링(24)의 초기 압축력은 최대가 된다.
반대로, 복수 개의 볼 위치홈(G222) 중에서 가장 낮은 높이를 갖는 볼 위치홈(G222)에 제2 볼(242)가 위치할 경우, 제2 볼(242)과 제1 볼(241) 간의 거리가 가장 길게 되므로, 스프링(24)의 초기 압축력은 최소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상부 부분(222)만을 회전시켜 복수 개의 볼 위치홈(G222) 중에 제2 볼(242)이 위치하는 볼 위치홈(G222)을 변경시켜, 스프링(25)에 작용하는 초기 압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초기 압축력의 크기에 따라 제1 볼(241)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가 달라진다.
설치판(10)의 제2 설치부(12)에 위치하는 제2 지압체(3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지압체(20)와 상하 반전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제1 지압체(20)에서 제1 내지 제3 상부 부분(221-223)은 상부 반구체(22)를 구성하지만 제2 지압체(30)에서는 하부 반구체(32)를 구성하고, 제1 지압체(20)의 하부 반구체(23)는 제2 지압체(30)에서는 상부 반구체(33)를 구성한다.
또한, 제1 지압체(20)에서 결합 볼트(21)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되어 해당 너트(211)가 결합되는 반면, 제2 지압체(30)에서 결합 볼트(31)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삽입되어 해당 너트(311)가 결합된다.
이처럼, 제2 지압체(30)의 각 구성요소는 제1 지압체(20)와 비교할 때 그 위치만 상이할 때, 제1 지압체(20)의 각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제2 지압체(30)의 구성요소의 구조와 결합 방식은 제1 지압체(2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제2 지압체(3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 부호는 제1 지압체(20)의 대응되는 구성 요소의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결합 볼트는 제1 지압체(20)의 경우 도면부호 '21'이 부여되지만, 제2 지압체(30)에서는 도면 부호 '31'이 부여된다.
또한, 제1 지압체(20)의 상부 반구체와 하부 반구체는 제2 지압체(30)에서 하부 반구체와 상부 반구체가 된다. 이로 인해, 제1 지압체(20)의 상부 반구체(22)의 제1 내지 제3 상부 부분(221-223)은 제2 지압체(30)에서 하부 반구체의 제1 내지 제3 하부 부분으로 칭한다.
따라서, 제2 지압체(30)에서, 상부 반구체는 도면 부호 '33'이 부여되고, 하부 반구체는 도면 부호'32'가 부여되며, 하부 반구체의 제1 내지 제3 하부 부분은 '321', '322', '333'으로 각각 부여된다.
이로 인해, 제2 지압체(30)는 설치판(10)의 제2 설치부(12)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위치하고 결합되어 하부 반구체(32)를 이루는 제1 내지 제3 하부 부분(321-323), 제2 설치부(12)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부 반구체(33), 제2 설치부(12)의 결합 구멍(H21) 속에 삽입된 후 너트(311)와 조립에 의해 상부 반구체(33)와 하부 반구체(32)를 결합하는 결합 볼트(예, 제2 결합 볼트)(31), 결합 구멍(예, 제2 결합 구멍)(H12) 속에 위치하여 제2 설치부(12)를 중심으로 하여 상부와 하부에서 상부 반구체(33)와 하부 반구체(23)의 회전 동작을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링(예, 제2 결합링)(36), 하부 반구체(32)의 회전 동작을 위한 제1 및 제2 볼(예, 제1 하부용 볼 및 제2 하부용 볼)(341, 342) 및 스프링(예, 제2 스프링((35)을 구비한다.
제2 지압체(30)에서, 제2 하부 부분(322)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 위치홈(예, 하부용 볼 위치홈)(G322)은 제2 하부 부분(322)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이때 각 볼 위치홈(G322)의 높이는 제2 하부 부분(322)의 상부면에서의 돌출 높이일 수 있다.
따라서, 설치판(10)에 서로 인접하게 제1 지압체(20)와 제2 지압체(30)가 위치하며, 사용자의 손 동작으로 인해, 설치판(10)을 중심으로 각각 제1 지압체(20)와 제2 지압체(30)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져, 지압 돌기(P20)로 인한 손바닥의 압축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손바닥 지압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손바닥 지압기 10: 설치판
20: 제1 지압체 30: 제2 지압체
11: 제1 설치부 12: 제2 설치부
P20: 지압 돌기 21, 31: 결합 나사
22, 33: 상부 반구체 221: 제1 상부 부분
222: 제2 상부 부분 223: 제3 상부 부분
23, 32: 하부 반구체 321: 제1 하부 부분
322: 제2 하부 부분 323: 제3 하부 부분
241, 341: 제1 볼 242, 342: 제2 볼
25, 35: 스프링 26, 36: 결합링
H221, H222, H223, H23, H321, H322, H323, H33: 볼트 삽입 구멍

Claims (7)

  1. 제1 설치부와 상기 제1 설치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설치부를 구비하는 설치판,
    상기 제1 설치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외부면에 복수 개의 지압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설치부의 상부면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 상부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상부 반구체 및 상기 제1 설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외부면에 복수 개의 지압 돌기를 구비하는 제1 하부 반구체를 포함하는 제1 지압체, 그리고
    상기 제2 설치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외부면에 복수 개의 지압 돌기를 구비하는 제2 상부 반구체 및 상기 제2 설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외부면에 복수 개의 지압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설치부의 하부면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 하부 부분을 포함하는 제2 하부 반구체를 포함하는 제2 지압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와 상기 제1 하부 반구체는 결합되어 상기 제1 설치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 상부 반구체와 상기 제2 하부 반구체는 결합되어 상기 제2 설치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1 지압체는,
    상기 제1 설치부에 위치하는 제1 상부용 볼,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의 제1 상부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의 제2 상부 부분에 위치하는 제2 상부용 볼,
    상기 제1 설치부의 상부면에 원형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하나에 상기 제1 상부용 볼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상부용 볼 이동홈,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의 제1 상부 부분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스프링이 삽입되는 제1 스프링 삽입부, 및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의 제2 상부 부분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상부용 볼이 삽입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용 볼 위치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압체의 상기 제1 스프링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상부용 볼 이동홈에 위치한 제1 상부용 볼과 상기 상부용 볼 위치홈에 위치한 제2 상부용 볼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지압체는,
    상기 제2 설치부에 위치하는 제1 하부용 볼,
    상기 제2 하부 반구체의 제1 하부 부분에 위치하는 제2 스프링,
    상기 제2 하부 반구체의 제2 하부 부분에 위치하는 제2 하부용 볼,
    상기 제2 설치부의 하부면에 원형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하나에 상기 제1 하부용 볼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하부용 볼 이동홈,
    상기 제2 하부 반구체의 제1 하부 부분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이 삽입되는 제2 스프링 삽입부, 및
    상기 제2 하부 반구체의 제2 하부 부분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하부용 볼이 삽입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용 볼 위치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압체의 상기 제2 스프링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하부용 볼 이동홈에 위치한 제1 하부용 볼과 상기 하부용 볼 위치홈에 위치한 제2 하부용 볼 사이에 위치하는
    손바닥 지압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상부용 볼 위치홈와 상기 하부용 볼 위치홈의 개수는 각각 복수 개인 손바닥 지압기.
  5. 제4항에서,
    복수 개의 상부용 볼 위치홈의 높이는 서로 상이하며, 복수 개의 하부용 볼 위치홈의 높이는 서로 상이한 손바닥 지압기.
  6. 제1항에서,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의 상기 제1 상부 부분은 상기 제1 설치부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상부 부분은 상기 제1 상부 부분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3 상부 부분은 상기 제2 상부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제1 상부 부분과는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하부 반구체의 상기 제1 하부 부분은 상기 제2 설치부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하부 부분은 상기 제1 하부 부분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3 하부 부분은 상기 제2 하부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제1 하부 부분과는 치합되어 있는
    손바닥 지압기.
  7. 제6항에서,
    상기 제1 지압체는,
    가운데 부분에 볼트 삽입 구멍을 구비한 제1 결합링 및 상기 제1 결합링의 볼트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제1 결합 볼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설치부는 가운데 부분에 상기 제1 결합링이 삽입되는 제1 결합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의 제1 내지 제3 상부 부분은 각각 가운데 부분에 상기 제1 결합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반구체는 가운데 부분에 상기 제1 결합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압체는,
    가운데 부분에 볼트 삽입 구멍을 구비한 제2 결합링 및 상기 제2 결합링의 볼트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제2 결합 볼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설치부는 가운데 부분에 상기 제2 결합링이 삽입되는 제2 결합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반구체의 제1 내지 제3 상부 부분은 각각 가운데 부분에 상기 제2 결합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반구체는 가운데 부분에 상기 제2 결합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 구멍을 포함하는
    손바닥 지압기.
KR1020180075972A 2018-06-29 2018-06-29 손바닥 지압기 KR102163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972A KR102163035B1 (ko) 2018-06-29 2018-06-29 손바닥 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972A KR102163035B1 (ko) 2018-06-29 2018-06-29 손바닥 지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62A KR20200002462A (ko) 2020-01-08
KR102163035B1 true KR102163035B1 (ko) 2020-10-07

Family

ID=6915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972A KR102163035B1 (ko) 2018-06-29 2018-06-29 손바닥 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119B1 (ko) 2020-03-23 2021-12-02 김상용 휴대용 지압 오디오 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494Y1 (ko) 1999-07-27 2000-02-15 유동훈 지압구
KR200167072Y1 (ko) 1999-08-02 2000-02-15 유동훈 지압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868Y1 (ko) * 1996-04-24 1998-12-15 최동환 손가락운동을 겸한 건강구
KR20010019791A (ko) * 1999-08-30 2001-03-15 경원석 발성되는 수지운동 지압구.
KR20120045139A (ko) 2010-10-29 2012-05-09 류종성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손바닥지압구
KR101702653B1 (ko) * 2015-07-24 2017-02-03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지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494Y1 (ko) 1999-07-27 2000-02-15 유동훈 지압구
KR200167072Y1 (ko) 1999-08-02 2000-02-15 유동훈 지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62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5185B2 (en) Adjustable massaging device
US6102876A (en) Hand held massager
CA3015016C (en) Modular self-massage apparatus
US10117803B2 (en) Massage system
GB2283175A (en) A massaging ball structure
US20070249975A1 (en) Portable ball-containing massage device
KR102163035B1 (ko) 손바닥 지압기
US20120253248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Manipulating Soft Tissue
US20190231636A1 (en) Ladder-Style Modular Self-Massage Apparatus
EP1919431B1 (en) Band with selectively adjustable pressure orb
US11298289B2 (en) Handheld roller
US5366430A (en) Twist disc
US20170281456A1 (en) Massaging device
US20170135892A1 (en) Trigger Point Treatment Device
JP3152151U (ja) 人体各部の押圧具
KR102149006B1 (ko) 관절봉 마사지기
JP3133270U (ja) 磁気治療器
CA2110344A1 (en) Relaxation device
KR100857375B1 (ko) 중량조절이 가능한 훌라후프
KR100345381B1 (ko) 맛사지겸용 지압장갑
KR200433941Y1 (ko) 아이싱 팩을 이용한 안마겸용지압기
JP2000093487A (ja) つぼ押し器
AU2019201830A1 (en) Body massage tool
KR200373938Y1 (ko) 손지압구
RU186129U1 (ru) Механический массажё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