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596B1 -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2596B1 KR102162596B1 KR1020190063487A KR20190063487A KR102162596B1 KR 102162596 B1 KR102162596 B1 KR 102162596B1 KR 1020190063487 A KR1020190063487 A KR 1020190063487A KR 20190063487 A KR20190063487 A KR 20190063487A KR 102162596 B1 KR102162596 B1 KR 1021625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tributed power
- power
- hierarchical
- operating
- flexibilit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2J3/382—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 발전 및 풍력 발전과 같은 분산전원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기상정보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로부터 운영 환경 설정에서 운영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운영 분석에 필요한 환경을 설정하는 운영 환경 설정부; 상기 운영 환경 설정부에서 설정된 환경에 따라 분산전원을 계층적으로 그룹화하는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 상기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에서 그룹화된 분산전원에 대해 운영 지표를 계산하는 운영 지표 계산부; 상기 운영 지표 계산부에서 계산된 운영 지표를 척도환산하는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 상기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에서 환산된 척도를 급전 유형에 따라 분류 및 시각화하는 분류 및 시각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상발전소의 분산전원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산전원을 계층적으로 그룹화하여 운영지표에 기반을 두어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 산업은 태양광발전, 풍력발전을 주축으로 하는 분산전원의 확대에 따라 중앙급전 방식에서 분산급전 방식으로 변해가고 있다. 가상발전소는 분산전원들을 ICT 기술과 융합하여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것을 말하며, 분산전원들은 지역적으로 산재해 있으며,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고, 출력 변동성으로 인해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다. 분산전원이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분산전원들의 안정성 및 운영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호연계 및 통합운영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분산전원들은 지역적으로 산재해 있으므로 개별 분산전원들과 이들 분산전원들 간의 통합 운영 관리가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109187호(2012년01월17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가상발전소의 전력공급자 입장에서 지역적으로 산재하여 개별 특성을 가지는 분산전원들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는
태양광 발전 및 풍력 발전과 같은 분산전원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기상정보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로부터 운영 환경 설정에서 운영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운영 분석에 필요한 환경을 설정하는 운영 환경 설정부;
상기 운영 환경 설정부에서 설정된 환경에 따라 분산전원을 계층적으로 그룹화하는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
상기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에서 그룹화된 분산전원에 대해 운영 지표를 계산하는 운영 지표 계산부;
상기 운영 지표 계산부에서 계산된 운영 지표를 척도환산하는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
상기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에서 환산된 척도를 급전 유형에 따라 분류 및 시각화하는 분류 및 시각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및 풍력 발전과 같은 분산전원의 이력 정보와 기상정보 등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단계와,
데이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로부터 운영 환경 설정에서 운영 지역 및 기간 등 운영 분석에 필요한 환경을 설정하는 제2 단계와,
운영 환경 설정부에서 설정된 환경에 따라 분산전원을 계층적으로 그룹화하는 제3 단계와,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에서 등급별로 그룹화된 분산전원들(Level 1에서 Level 4)에 대해 운영 지표를 계산하며 계층적 분산전원의 예측 불확실성 지표와 발전가능용량 유연성 지표를 계산하는 제4 단계와,
운영 지표 계산부에서 계산된 운영 지표를 일정구간을 기준으로 척도환산하는 제5 단계와,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에서 환산된 척도를 급전 유형에 따라 분류 및 시각화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며,
계층적 분산전원들은 기저 부하용, 중간 부하용, 첨두 부하용, 그리고 보류 및 대기상태로 분류하여 전력계통 상황에 맞게 운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장치를 통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계층적 분산전원의 운영 지표를 통해 가상발전소의 운영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분산전원들의 기동, 탈락 혹은 출력 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계통전압의 급격한 변동이나 분산전원들에 의한 전압변동을 허용할 수 있는 여유도를 관리 및 운영함으로써 계통 안정성 및 효율성 확보를 통해 효과적인 배전망 운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에서 계층적 분산전원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에서 운영 지표에 대한 척도환산을 예로서 설명한 표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급전 유형 분류 및 시각화부에서 계층적 분산전원에 대해 급전 유형으로 분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를 통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에서 계층적 분산전원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에서 운영 지표에 대한 척도환산을 예로서 설명한 표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급전 유형 분류 및 시각화부에서 계층적 분산전원에 대해 급전 유형으로 분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를 통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에서 계층적 분산전원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에서 운영 지표에 대한 척도환산을 예로서 설명한 표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급전 유형 분류 및 시각화부에서 계층적 분산전원에 대해 급전 유형으로 분류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를 통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 및 풍력 발전과 같은 분산전원의 이력 정보와 기상정보 등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10); 상기 데이터 입력부(10)에서 입력된 정보로부터 운영 환경 설정에서 운영 지역 및 기간 등 운영 분석에 필요한 환경을 설정하는 운영 환경 설정부(20); 상기 운영 환경 설정부(20)에서 설정된 환경에 따라 분산전원을 계층적으로 그룹화하는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30); 상기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30)에서 그룹화된 분산전원에 대해 운영 지표를 계산하는 운영 지표 계산부(40); 상기 운영 지표 계산부(40)에서 계산된 운영 지표를 척도환산하는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50); 상기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50)에서 환산된 척도를 급전 유형에 따라 분류 및 시각화하는 분류 및 시각화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부(10)는 태양광 발전 및 풍력 발전과 같은 분산전원의 이력 정보와 기상정보 등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더욱 상세하게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태양광 발전설비 지역 정보 및 설치 정보, 태양광 모듈 정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정보와 풍력 발전설비 지역 정보 및 설치 정보, 풍력 설비 정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정보 그리고 기온, 일사량, 운량, 풍향, 풍력 정보를 포함하는 기상 정보 등과 같이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장기, 중기, 단기 예측을 통한 분산전원 예측 정보 및 기상의 예측 정보 등을 포함하는 예측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운영 환경 설정부(20)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10)에서 입력된 정보로부터 운영 환경 설정에서 운영 지역 및 기간 등 운영 분석에 필요한 환경을 설정한다.
더욱 상세하게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분산전원 설치 지역, 분산전원 선택, 운영 기간과 날짜 및 시간, 선택된 분산전원의 이력 정보, 선택된 지역의 기상정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30)는 상기 운영 환경 설정부(20)에서 설정된 환경에 따라 분산전원을 계층적으로 그룹화한다.
더욱 상세하게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지역적으로 산재해 있는 분산전원의 설치 지역을 선택하면 해당 지역에 설치된 분산전원 목록이 나오며, 이 목록에서 운영 기간과 날짜 및 시간을 선택하면 운영가능한 분산전원이 선택되고, 선택된 분산전원들에 대해 4가지 등급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첫 번째 등급(Level 1)은 개별 분산전원 그룹으로 지역적으로 설치된 분산전원 개개들이 될 수 있다.
두 번째 등급(Level 2)은 동종 분산전원 그룹으로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등과 같이 같은 종류의 분산전원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또한, 동종 분산전원 그룹들은 각각 그룹 내의 분산전원들에 대해 군집화 방법을 통해 분산전원들을 군집화할 수 있다.
세 번째 등급(Level 3)은 통합 분산전원 그룹으로 서로 다른 분산전원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또한, 통합 분산전원 그룹은 그룹 내의 분산전원들에 대해 군집화 방법을 통해 분산전원들을 군집화할 수 있다.
네 번째 등급(Level 4)는 전체 분산전원 그룹으로 운영 가능한 선택된 모든 분산전원들이다.
첫 번째 등급(Level 1)인 개별 분산전원 그룹에서는 배전계통운영자로부터 급전지시가 내려오는 경우 급전량이 하나의 분산전원의 발전량보다 같거나 적으면 가상발전소 통합운영자는 하나의 분산전원에서 발전량을 급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상발전소 통합운영자는 하나의 분산전원을 선택할 수 있다.
두 번째 등급(Level 2)인 동종 분산전원 그룹에서는 배전계통운영자로부터 급전지시가 내려오는 경우 급전량이 동종 분산전원 그룹의 발전량보다 같거나 적으면 가상발전소 통합운영자는 하나 이상의 동종 분산전원 그룹의 발전량을 급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상발전소 통합운영자는 하나 이상의 동종 분산전원을 선택할 수 있다.
세 번째 등급(Level 3)인 통합 분산전원 그룹에서는 배전계통운영자로부터 급전지시가 내려오는 경우 급전량이 전체 분산전원 그룹의 발전량보다 적으면 가상발전소 통합운영자는 통합 분산전원 그룹의 발전량을 급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상발전소 통합운영자는 통합 분산전원 그룹에서 군집화된 분산전원을 선택할 수 있다.
네 번째 등급(Level 4)인 전체 분산전원 그룹에서는 배전계통운영자로부터 급전지시가 내려오는 경우 급전량이 전체 분산전원 그룹의 발전량보다 같거나 많으면 가상발전소 통합운영자는 전체 분산전원의 발전량을 급전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지표 계산부(40)는 상기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30)에서 등급별로 그룹화된 분산전원들(Level 1에서 Level 4)에 대해 운영 지표를 계산하며 예측 불확실성 지표계산부(42)를 통해 계층적 분산전원의 예측 불확실성 지표를 계산하고 발전가능용량 유연성 지표 계산부(44)를 통해 발전가능용량 유연성 지표를 계산한다.
더욱 상세하게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계층적 분산전원의 예측 불확실성은 환경 변화 및 예측 기술 등에 의한 분산전원 발전량 예측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표이고, 예측 오차 증감률과 예측 오차 증감변화율을 계산한다.
계층적 분산전원의 발전가능용량 유연성 지표는 지역적, 기후적, 설비 노후 등 발전량 저해 요인에 의해 발전가능용량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표이고, 발전량 유연성 증감률과 발전량 유연성 증감변화를을 계산한다.
여기서, 유연성은 계층적 분산전원의 발전용량 대비 발전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50)는 상기 운영 지표 계산부(40)에서 계산된 운영 지표를 일정구간을 기준으로 척도환산한다.
더욱 상세하게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계층적 분산전원들(Level 1에서 Leve 4)에 대하여 척도로 환산할 수 있다. 예측 오차 증감률()은와 같이 척도화할 수 있으며, 예측 오차 증감변화율()은 와 같이 척도화할 수 있다. 또한, 발전량 유연성 증감률()은 와 같이 척도화할 수 있으며, 발전량 유연성 증감변화율()은와 같이 척도화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임의의 상수이다.
예측 오차 증감률의 경우로 부등호의 의미를 좀더 설명한다(예측 오차 증감변화율, 발전량 유연성 증감률, 발전량 유연성 증감변화율도 방법은 같다.). 실시예에서는, 예측 오차 증감률()은 5점 척도로 변환된다. 척도 구간은 최소(α0)에서 최대(α5)인 전체 구간 [α0,α5]을 5구간으로 나뉘며, 각각의 구간은 1점에서 5점으로 척도화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급전 유형 분류 및 시각화부(60)는 상기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50)에서 환산된 척도를 급전 유형에 따라 분류 및 시각화한다.
더욱 상세하게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계층적 분산전원들을 급전 유형에 따라 분류하기 위하여 급전 유형은 기저 부하용, 중간 부하용, 첨두 부하용, 그리고 보류 및 대기로 분류할 수 있다. 계층적 분산자원들은 상기 급전 유형에 따라 불확실성과 유연성의 관계로 표현하여 분류할 수 있다.
불확실성은 예측 불확실성 지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측 오차 증감률 및 증감변화율 등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유연성은 발전가능용량 유연성 지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발전량 유연성 증감률 및 증감변화율 등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불확실성과 유연성이 낮은 계층적 분산전원들은 기저 부하용으로 분류하여 급전할 수 있으며, 불확실성이 높고 유연성이 낮은 계층적 분산전원들은 중간 부하용으로 분류하여 급전할 수 있다.
불확실성이 낮고 유연성이 높은 계층적 분산전원들은 첨두 부하용으로 분류하여 급전할 수 있으며, 불확실성과 유연성이 높은 계층적 분산전원들은 보류 및 대기상태로 분류하여 전력계통 상황에 맞게 운용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운영지표 계산부에서 계산된 지표들을 사용하여 분류 및 시각화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입력 단계(S2)는 태양광 발전 및 풍력 발전과 같은 분산전원의 이력 정보와 기상정보 등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운영 환경 설정 단계(S4)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로부터 운영 환경 설정에서 운영 지역 및 기간 등 운영 분석에 필요한 환경을 설정한다.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 단계(S6)는 상기 운영 환경 설정부에서 설정된 환경에 따라 분산전원을 계층적으로 그룹화한다.
운영 지표 계산 단계(S8)는 상기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에서 등급별로 그룹화된 분산전원들(Level 1에서 Level 4)에 대해 운영 지표를 계산하며 계층적 분산전원의 예측 불확실성 지표와 발전가능용량 유연성 지표를 계산한다.
운영 지표 척도환산 단계(S10)는 상기 운영 지표 계산부에서 계산된 운영 지표를 일정구간을 기준으로 척도환산한다.
급전 유형 분류 및 시각화 단계(S12)는 상기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에서 환산된 척도를 급전 유형에 따라 분류 및 시각화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계층적 분산전원의 운영 지표를 통해 가상발전소의 운영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분산전원이 확산됨에 따라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해 계층적 분산전원들에 대한 급전 유형을 계통운영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계통운영자는 제공받은 정보로부터 계통 안정성 및 효율성 확보를 통해 효과적인 배전망 운영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데이터 입력부
20: 운영 환경 설정부
30: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
40: 운영지표 계산부
42: 예측 불확실성 지표 계산부
44: 발전가능용량 유연성 지표 계산부
50: 운영지표 척도환산부
60: 급전 유형 분류 및 시각화부
100: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20: 운영 환경 설정부
30: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
40: 운영지표 계산부
42: 예측 불확실성 지표 계산부
44: 발전가능용량 유연성 지표 계산부
50: 운영지표 척도환산부
60: 급전 유형 분류 및 시각화부
100: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Claims (9)
- 태양광 발전 및 풍력 발전과 같은 분산전원의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기상정보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로부터 운영 환경 설정에서 운영 지역 및 기간을 포함하는 운영 분석에 필요한 환경을 설정하는 운영 환경 설정부;
상기 운영 환경 설정부에서 설정된 환경에 따라 분산전원을 계층적으로 그룹화하는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
상기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에서 그룹화된 분산전원에 대해 운영 지표를 계산하는 운영 지표 계산부;
상기 운영 지표 계산부에서 계산된 운영 지표를 척도환산하는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
상기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에서 환산된 척도를 급전 유형에 따라 분류 및 시각화하는 분류 및 시각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태양광 발전설비 지역 정보 및 설치 정보, 태양광 모듈 정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정보와 풍력 발전설비 지역 정보 및 설치 정보, 풍력 설비 정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정보, 기온, 일사량, 운량, 풍향, 풍력 정보를 포함하는 기상 정보와 같은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장기, 중기, 단기 예측을 통한 분산전원 예측 정보 및 기상의 예측 정보를 포함하는 예측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환경 설정부는 분산전원 설치 지역, 분산전원 선택, 운영 기간과 날짜 및 시간, 선택된 분산전원의 이력 정보, 선택된 지역의 기상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는 선택된 분산전원들에 대해 4가지 등급으로 그룹화하되, 첫 번째 등급(Level 1)은 개별 분산전원 그룹으로 지역적으로 설치된 분산전원 개개들이 될 수 있고; 두 번째 등급(Level 2)은 동종 분산전원 그룹으로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과 같이 같은 종류의 분산전원들을 그룹화할 수 있고, 동종 분산전원 그룹들은 각각 그룹 내의 분산전원들에 대해 군집화 방법을 통해 분산전원들을 군집화할 수 있고, 세 번째 등급(Level 3)은 통합 분산전원 그룹으로 서로 다른 분산전원들을 그룹화할 수 있고, 통합 분산전원 그룹은 그룹 내의 분산전원들에 대해 군집화 방법을 통해 분산전원들을 군집화할 수 있고, 네 번째 등급(Level 4)은 전체 분산전원 그룹으로 운영 가능한 선택된 모든 분산전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등급(Level 1)인 개별 분산전원 그룹에서는 배전계통운영자로부터 급전지시가 내려오는 경우 급전량이 하나의 분산전원의 발전량보다 같거나 적으면 가상발전소 통합운영자는 하나의 분산전원에서 발전량을 급전할 수 있고,
상기 두 번째 등급(Level 2)인 동종 분산전원 그룹에서는 배전계통운영자로부터 급전지시가 내려오는 경우 급전량이 동종 분산전원 그룹의 발전량보다 같거나 적으면 가상발전소 통합운영자는 하나 이상의 동종 분산전원 그룹의 발전량을 급전할 수 있고,
상기 세 번째 등급(Level 3)인 통합 분산전원 그룹에서는 배전계통운영자로부터 급전지시가 내려오는 경우 급전량이 전체 분산전원 그룹의 발전량보다 적으면 가상발전소 통합운영자는 통합 분산전원 그룹의 발전량을 급전할 수 있고,
상기 네 번째 등급(Level 4)인 전체 분산전원 그룹에서는 배전계통운영자로부터 급전지시가 내려오는 경우 급전량이 전체 분산전원 그룹의 발전량보다 같거나 많으면 가상발전소 통합운영자는 전체 분산전원의 발전량을 급전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지표 계산부는 상기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에서 등급별로 그룹화된 분산전원들(Level 1에서 Level 4)에 대해 운영 지표를 계산하고 계층적 분산전원의 예측 불확실성 지표와 발전가능용량 유연성 지표를 계산하며
예측 오차 증감률()은 운영 및 거래를 위하여 요구되는 예측 오차의 증감률을 측정하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한다.
[수학식 1]
예측 오차 증감변화율()은 운영 및 거래를 위하여 요구되는 예측 오차의 증감률의 변화율을 측정하며, 수학식 2와 같이 계산한다.
[수학식 2]
계층적 분산전원의 발전가능용량 유연성 지표는 지역적, 기후적, 설비 노후 등 발전량 저해 요인에 의해 발전가능용량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표이고, 발전량 유연성 증감률과 발전량 유연성 증감변화를을 계산하되,
발전량 유연성 증감률()은 운영 및 거래를 위하여 요구되는 유연성의 증감률을 측정하며, 수학식 3과 같이 계산한다.
[수학식 3]
여기서, 유연성은 계층적 분산전원의 발전용량 대비 발전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발전량 유연성 증감변화율()은 운영 및 거래를 위하여 요구되는 유연성의 증감률의 변화율을 측정하며, 수학식 4와 같이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수학식 4]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유형 분류 및 시각화부는
계층적 분산전원들을 급전 유형에 따라 분류하기 위하여 급전 유형은 기저 부하용, 중간 부하용, 첨두 부하용, 그리고 보류 및 대기로 분류하며,
계층적 분산자원들은 상기 급전 유형에 따라 불확실성과 유연성의 관계로 표현하여 분류하며,
불확실성은 예측 불확실성 지표를 이용하며,
예측 오차 증감률 및 증감변화율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며,
유연성은 발전가능용량 유연성 지표를 이용하며,
발전량 유연성 증감률 및 증감변화율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며,
불확실성과 유연성이 낮은 계층적 분산전원들은 기저 부하용으로 분류하여 급전하며,
불확실성이 높고 유연성이 낮은 계층적 분산전원들은 중간 부하용으로 분류하여 급전하며,
불확실성이 낮고 유연성이 높은 계층적 분산전원들은 첨두 부하용으로 분류하여 급전하며,
불확실성과 유연성이 높은 계층적 분산전원들은 보류 및 대기상태로 분류하여 전력계통 상황에 맞게 운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 태양광 발전 및 풍력 발전과 같은 분산전원의 이력 정보와 기상정보 등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단계와,
데이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로부터 운영 환경 설정에서 운영 지역 및 기간 등 운영 분석에 필요한 환경을 설정하는 제2 단계와,
운영 환경 설정부에서 설정된 환경에 따라 분산전원을 계층적으로 그룹화하는 제3 단계와,
계층적 분산전원 그룹부에서 등급별로 그룹화된 분산전원들(Level 1에서 Level 4)에 대해 운영 지표를 계산하며 계층적 분산전원의 예측 불확실성 지표와 발전가능용량 유연성 지표를 계산하는 제4 단계와,
운영 지표 계산부에서 계산된 운영 지표를 일정구간을 기준으로 척도환산하는 제5 단계와,
운영 지표 척도환산부에서 환산된 척도를 급전 유형에 따라 분류 및 시각화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며,
계층적 분산전원들은 기저 부하용, 중간 부하용, 첨두 부하용, 그리고 보류 및 대기상태로 분류하여 전력계통 상황에 맞게 운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장치를 통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3487A KR102162596B1 (ko) | 2019-05-29 | 2019-05-29 |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3487A KR102162596B1 (ko) | 2019-05-29 | 2019-05-29 |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62596B1 true KR102162596B1 (ko) | 2020-10-07 |
Family
ID=7288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3487A KR102162596B1 (ko) | 2019-05-29 | 2019-05-29 |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259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0306B1 (ko) * | 2021-04-12 | 2021-10-07 | 솔라커넥트 주식회사 | 발전소 군집화 및 군집 기반 이상진단 방법 |
KR20220106544A (ko) | 2021-01-22 | 2022-07-29 | (주) 티이에프 | 분산전원 발전단지에서 태양광설비의 상태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는 분산서비스 가상발전소 미들웨어 제공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2994A (ko) * | 2014-02-06 | 2015-08-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분산 에너지 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능동적 가상발전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160062684A (ko) * | 2014-11-25 | 2016-06-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확률적 모델 기반의 가상 분산 자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
2019
- 2019-05-29 KR KR1020190063487A patent/KR1021625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2994A (ko) * | 2014-02-06 | 2015-08-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분산 에너지 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능동적 가상발전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160062684A (ko) * | 2014-11-25 | 2016-06-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확률적 모델 기반의 가상 분산 자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6544A (ko) | 2021-01-22 | 2022-07-29 | (주) 티이에프 | 분산전원 발전단지에서 태양광설비의 상태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는 분산서비스 가상발전소 미들웨어 제공 시스템 |
KR102310306B1 (ko) * | 2021-04-12 | 2021-10-07 | 솔라커넥트 주식회사 | 발전소 군집화 및 군집 기반 이상진단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illinton et al. | A basic framework for generating system operating health analysis | |
US10846715B2 (en) | Energy ope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 |
WO2020098728A1 (zh) | 集群负荷预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 |
KR102162596B1 (ko) | 가상발전소 운영을 위한 계층적 분산전원의 효율적 운영 장치 및 방법 | |
KR101927759B1 (ko) | 태양광에너지 발전시스템의 최적 제어시스템 | |
US20140371933A1 (en) | Electric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JP2020092533A (ja) | 電力需給計画装置 | |
CN115796520B (zh) | 一种基于多源情景要素驱动的应急资源匹配分析方法和装置 | |
Yu et al. | A nonlinear autoregressive with exogenous inputs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for building thermal load prediction | |
KR20220150739A (ko) | 배전계획을 위한 분산전원 예측 방법 및 시스템 | |
CN111105050B (zh) | 风机维护计划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CN117422274A (zh) | 综合能源系统运行优化系统及方法 | |
JP2021182319A (ja) | 予測装置および予測方法 | |
Plieva et al. |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liability indicators of elements in the distribution power system | |
Durairaj et al. | Random forest based power sustainability and cost optimization in smart grid | |
CN112488416B (zh) | 一种电网运行态势监测方法及系统 | |
US1093110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n electricity distribution grid | |
KR101775269B1 (ko) | 분산전원 통합 거래 관리 시스템 및 발전량 할당 방법 | |
Kaplun et al. | About using electricity pricing for smart grid dynamic management with renewable sources | |
Bucksteeg et al. | Impacts of renewables generation and demand patterns on net transfer capacity: implications for effectiveness of market splitting in Germany | |
KR102266494B1 (ko) | 수요반응을 위한 딥러닝 기반 고객 분류 장치 및 방법 | |
Philbrick | Wind integration and the need for advanced decision support tools | |
Hansen et al. | Keys to success for wind power in isolated power systems | |
Litipu et al. | Improve the reliability and environment of power system based on optimal allocation of WPG | |
Dal Pont et al. | MPC with machine learning applied to resource allocation problem using lambda archite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