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450B1 - Midsole and shoes including it - Google Patents
Midsole and shoes including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2450B1 KR102162450B1 KR1020180154095A KR20180154095A KR102162450B1 KR 102162450 B1 KR102162450 B1 KR 102162450B1 KR 1020180154095 A KR1020180154095 A KR 1020180154095A KR 20180154095 A KR20180154095 A KR 20180154095A KR 102162450 B1 KR102162450 B1 KR 1021624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groove
- lightweight
- midsole
- lo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43B13/127—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the midsole being multilayer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결과물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의 연구결과로서,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신발은 신체의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에 형성되는 경량홈의 면적을 달리함으로써 효율적인 쿠션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무게를 감소시킨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신발 중창에 경량홈을 형성하되, 착용자의 신체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의 경량홈 면적을 다른 영역의 경량홈 면적보다 작게 함으로써, 쿠션 성능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This result is a research result of a socially tailore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leading university (LINC+) promotion project conducted with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hoes. More specifically,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in which weight is reduced while providing an efficient cushioning performance by varying the area of the light weight groove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body load is concentrated and the area other than the area. The sho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ghtweight groove formed in the midsole of the shoe, but the light weight groove area in the area where the wearer's body load is concentrated is smaller than the lightweight groove area in other areas, thereby effectively providing cushioning performance and reducing weight. Has a possible effe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창 및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의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에 형성되는 경량홈의 면적을 달리함으로써 효율적인 쿠션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무게를 감소시킨 경량 중창 및 경량 신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dsole and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a light weight midsole and a lightweight midsole that reduces weight while providing efficient cushioning performance by varying the area of the light weight groove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body's load is concentrated and other areas. It's about shoes.
사람이 이족 보행을 하면서 발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신발은 과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소재가 개발되면서 오늘날에는 보행용, 산악용, 신체 교정용, 특수 운동용 등 다양한 활동에 적합하도록 여러 가지 신발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Shoes, which have been used to protect the feet while humans are bipedal, have been develope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nowadays, various shoes are suitable for various activities such as walking, mountain, body correction, and special exercise. Are being made.
도 1은 종래의 신발 구조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신발은 일반적으로 밑창(10), 중창(20) 및 갑피(30)를 포함한다. 밑창(10)은 신발 착용자가 보행을 할 때 바닥 부분이 지면에 착지되는 부분으로서, 미끄럼방지 및 내마모성, 지면과의 착지력 향상을 위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밑창(10)은 저면이 아래로 볼록하거나 평평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측면에 관통된 통공 또는 통공의 내부 공간에 쿠션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중창(20)은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폼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서 밑창(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보행 과정에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역할을 한다. 갑피(30)는 중창(20)의 상부에서 착용자의 발을 덮도록 형성되며, 갑피(30)의 내부에는 착용자의 발바닥에 접촉되는 깔창(35)이 형성된다. 깔창(35)은 중창(20)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적층되며, 중창(20)과 깔창(35)의 상부는 통상 갑피(30)에 의해서 커버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hoe structure.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shoe generally includes a sole 10, a
이러한 신발은 일반적으로 통풍 성능과 더불어 쿠션 성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쿠션 성능이 좋지 않은 경우에 신발 착용자는 발의 피로를 쉽게 느낄 뿐만 아니라 보행 중에 신발 밑창에 가해지는 충격이 척수를 통하여 뇌까지 전달되어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쿠션 성능의 문제는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다양한 소재들이 개발됨으로써 많은 부분에서 해소가 되기는 하였지만, 쿠션 성능이 우수한 소재만으로서 이러한 문제를 모두 해결하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발의 쿠션 성능은 착용자가 활동하는 과정에서 신발에 가해지는 체중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산책이나 조깅, 농구나 배구 등 착용자의 활동 정도에 따라 신발에 전달되는 체중의 크기가 상이함에 따라 신발의 소재 뿐만 아니라 구조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쿠션 성능을 고려할 필요가 발생한다. 또한, 신발 착용자의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발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데, 주로 중창이나 밑창의 소재를 가벼운 재질로 구성하거나 중창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무게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In general, these shoes require cushioning performance as well as ventilation performance. If the cushioning performance is not good, the wearer of the shoes easily feels fatigue of the feet, and the shock applied to the sole of the shoe during walking is transmitted to the brain through the spinal cord. It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your health. This problem of cushioning performance has been solved in many areas by developing various materials having excellent shock absorption, but it can be said that it is difficult to solve all of these problems only with materials having excellent cushioning performance. For example, the cushioning performance of a shoe may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weight applied to the shoe during the wearer's activity. The size of the weight delivered to the shoe depends on the wearer's activity level, such as walking, jogging, basketball or volleyball. As they diff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ffective cushioning performance not only in the material of the shoe but also in the structure.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thletic ability of the shoe wearer, a method of reducing the weight of the shoe is required. Mainly, a method of reducing the weight by forming a space in the midsole or the midsole is made of a light material or the midsole or the sole material.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98041 호 (신발 중창) 는 신체 하중이 집중되는 앞꿈치와 뒤꿈치 부분을 중심으로 홀을 형성함으로써 신체 하중을 분산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 10-0884659 호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는 중창의 바닥부에 발뒤꿈치 부분으로부터 발바닥의 외측 부분을 따라 발끝 부분에 이르기까지 빈 공간의 완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 10-0949813 호 (신발) 는 중창의 표면에 다수개의 벌집형 관통공을 형성하되 발 안쪽에서 발 바깥쪽으로 갈수록 관통공의 크기를 크게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For example,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98041 (Shoe Midsole) proposes a structure that distributes body load by forming a hole around the forefoot and heel where body load is concentrated. 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884659 (a shoe midsole having an impact dispersing function and a rolling walking function) provides a buffer space of an empty space from the heel portion to the toe portion along the outer portion of the sole of the midsole. The structure to form is presented. In addition, Patent Publication No. 10-0949813 (Shoes) propose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neycomb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idsole, but the size of the through holes increases from the inside of the foot to the outside of the foot.
그러나, 위와 같이 신체의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홈이나 공간을 크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홈이나 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만으로 착용자의 신체 하중을 지속적으로 지탱하기 어려우며, 신발을 오래 착용할수록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의 홈이나 공간이 일그러져서 오히려 신발의 쿠션 성능을 저해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groove or space is largely formed in the part where the body load is concentrated as above, it is difficult to sustain the wearer's body load continuously only in the remaining areas where the groove or space is not formed, and the longer the shoes are worn, the more the load is concentrated. The grooves or spaces in the area may be distorted, thereby deteriorating the cushioning performance of the sho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자가 이를 신고 보행하거나 운동을 하는 경우에, 신체 하중이 집중되는 하중 집중 영역에 대해서는 경량홈을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으로 형성하고, 반대로 신체 하중이 집중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는 경량홈을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효율적인 쿠션 성능을 제공하면서 경량화가 가능한 중창 및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wearer walks or exercises while wearing it, a lightweight groove is formed in a relatively small area in the load concentration area where the body load is concentrated, and conversely, the body load i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dsole and shoes capable of reducing weight while providing efficient cushioning performance by forming a light-weight groove in a relatively large area for an area that is not concentrat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신발은 지면에 접촉되는 밑창과,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갑피와, 상기 갑피 내부에서 착용자의 발바닥에 접촉되는 깔창과, 상기 밑창과 상기 깔창 사이에서 착용자의 신체 하중을 지탱하되, 다수의 경량홈을 형성함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한 중창을 포함하며, 상기 중창은 착용자의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의 경량홈 면적 비율이 그 이외의 일반 영역의 경량홈 면적 비율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 upper formed to protect the wearer's foot, an insole in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wearer in the upper, and the sole and the insole A midsole that supports the wearer's body load, but can be lightened by forming a plurality of light weight grooves, wherein the midsole has a light weight groove area ratio of the area where the wearer's load is concentrated, and the light weight groove area of the general area other than that It can be formed smaller than the ratio.
상기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은 발 뒤꿈치 영역, 중족골 영역, 및 발가락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area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eel area, a metatarsal area, and a toe area.
상기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은 상기 경량홈이 형성된 경량홈 면적이 경량홈이 형성되지 않은 쿠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area in which the load is concentrated may be formed such that an area of the lightweight groove in which the lightweight groove is formed is smaller than a cushion area in which the lightweight groove is not formed.
상기 일반 영역은 상기 경량홈이 형성된 경량홈 면적이 경량홈이 형성되지 않은 쿠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general area, an area of the lightweight groove in which the lightweight groove is formed may be larger than a cushion area in which the lightweight groove is not formed.
상기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경량홈의 크기가 상기 일반 영역에 형성되는 경량홈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The size of the lightweight groove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lightweight groove formed in the general area.
상기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경량홈의 밀집도가 상기 일반 영역에 위치하는 경량홈의 밀집도보다 작을 수 있다.The density of the light weight groove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light weight groove located in the general area.
상기 경량홈은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weight groove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상기 경량홈은 상기 중창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중창의 하부면까지 관통하는 관통형 경량홈과, 상기 중창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고, 상기 중창의 상부면까지 관통되지 않는 하부 개방형 경량홈과, 상기 중창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고, 상기 중창의 하부면까지 관통되지 않는 상부 개방형 경량홈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ghtweight groove is a through-type lightweight groove that penetrat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and is formed to a certain depth in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and does not penetra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lightweight groove and an upper open lightweight groove that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to a lower direction and does not penetrat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중창은 몸체와,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된 다수의 경량홈을 포함하고, 착용자의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의 경량홈 면적 비율이 그 이외의 일반 영역의 경량홈 면적 비율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dsole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nd a plurality of lightweight grooves formed to reduce weight, and the ratio of the lightweight groove area in the area where the load of the wearer is concentrated is the area of the lightweight groove in other general areas. It can be formed smaller than the rati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중창에 경량홈을 형성하되, 착용자의 신체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의 경량홈 면적 비율을 그 밖의 다른 영역의 경량홈 면적 비율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쿠션 성능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the sho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weight groove is formed in the midsole, but the lightweight groove area ratio of the area where the wearer's body load is concentrated is smaller than the lightweight groove area ratio of other areas, thereby effectively improving the cushioning performance. While provid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lightened.
도 1은 종래의 신발 구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있어서 착용자의 신체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중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창에서, 발 뒤꿈치 영역에 대응되는 발 뒤꿈치 접촉면을 대상으로 경량홈이 형성되는 경량홈 면적과 그 밖이 쿠션 면적을 비교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창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창의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hoe structure,
2 is a view showing an area in which a wearer's body load is concentrated in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idsole of the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comparing a light weight groove area in which a light weight groove is formed for a heel contact surface corresponding to a heel area and a cushion area outside the mid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mid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id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d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한 성격,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그 밖의 다른 특정한 성격이나,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reference only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The meaning of "comprising"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specifies a specific personality, domai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any other specific personality, domai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component, and /Or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groups.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though not defined differently,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additionally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ly disclosed conten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very formal meaning unless defined.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신발은 착용자가 이를 신고 보행하거나 운동을 하는 경우에, 신체 하중이 집중되는 하중 집중 영역에 대해서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경량홈을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으로 형성하고, 반대로 신체 하중이 집중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는 이러한 경량홈을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효율적인 쿠션 성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신발 착용자가 보행 또는 운동 과정에서 신체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을 먼저 확인할 필요가 있다.In the case of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arer is walking or exercising while wearing it, a light-weight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 a relatively small area with respect to the load concentration area where the body load is concentrated, and conversely, the area where the body load is not concentrated. For this, it is intended to provide efficient cushioning performance by forming these lightweight grooves in a relatively large area. To this end, it is necessary for the shoe wearer to first check the area where the body load is concentrated during the walking or exercise proces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과 관련해서 착용자의 신체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신발 착용자가 보행 과정에서 신체의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은 크게 발 뒤꿈치 부분(52)과 중족골 부분(54), 및 발가락 부분(56)이다. 특히, 자세 공학적, 보행 공학적, 생리 해부학적, 발의학적 연구에 의하면 사람의 체중 중에서 약 40% 이상의 신체 하중이 발 뒤꿈치 부분(56)에 집중되고, 중족골 부분(54)과 발가락 부분(56)에 분산되어 약 35%의 신체 하중이 집중되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를 감안하면, 발바닥 영역 중에서 신체 하중이 가장 집중되는 영역은 발 뒤꿈치 부분(52)이 되고, 그 다음으로 중족골 부분(54)과 발가락 부분(56)이 된다고 볼 수 있다. 2 is a view showing a portion in which a wearer's body load is concentrated in relation to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portions of a shoe wearer receiving a large amount of body load during a walking process are a
발 뒤꿈치 부분(52)은 크고 강대한 종골과 그 상부에 얹혀져 있는 거골에 의해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이다. 중족골 부분(54)은 종골과 족지골(발가락뼈)을 연결하는 중족골이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이 중에서도 특히 족지골과 이어지는 부분이 절곡되어 보행 중에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발가락 부분(56)은 5개의 발가락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보행을 위하여 반대편 발이 공중에서 이동하는 동안에 지면에 대한 하중을 지탱하는 부분에 해당한다.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신발은 중창에 경량홈을 형성함으로써 중창의 무게를 경량화하되, 다른 영역에 비해서 신체 하중이 집중되는 발뒤꿈치 부분(52)과 중족골 부분(54), 및 발가락 부분(5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경량홈을 상대적으로 적은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refore,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weight of the midsole by forming a lightweight groove in the midsole, but among the
또한, 본 발명의 중창(120)은 그 재질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천연 고무, 합성 수지, 또는 발포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합성 수지는 우레탄 수지나, 폴리염화비닐, 열가소성 고무 등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발에 사용되는 중창(120)은 신발 착용자의 신체 하중이 집중되는 하중 집중 영역과 그 이외의 일반 영역으로 구분하고, 하중 집중 영역에 형성하는 경량홈(122a, 124a, 126a)의 면적 비율을 일반 영역에 형성되는 경량홈(125a)의 면적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하중 집중 영역 내에서 경량홈(122a, 124a, 126a)이 형성되는 경량홈 면적이 일반 영역보다 적어지고, 경량홈(122a, 124a, 126a)이 형성되지 않은 쿠션 면적이 경량홈 면적보다 큰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이에 반해, 신체 하중이 집중되지 않는 일반 영역은 경량홈(125a)에 의한 경량홈 면적이 하중 집중 영역보다 크게 되고 경량홈(125a)이 형성되지 않는 쿠션 면적이 경량홈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하중 집중 영역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쿠션 영역에 의해 착용자의 보행 또는 운동 과정에서 집중되는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반면에, 일반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쿠션 영역만으로도 착용자의 신체 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id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이 때,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과 일반 영역에 형성되는 경량홈(122a, 124a, 125a, 126a)은 신발의 저면 또는 지면과 수직인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하중이 전달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신발의 착용으로 인해 경량홈(122a, 124a, 125a, 126a) 부분이 일그러지거나 뒤틀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경량홈(122a, 124a, 125a, 126a)은 중창(12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관통형 경량홈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까지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부면까지 관통되지는 않는 상부 개방형 경량홈, 또는 중창(12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면까지 관통되지는 않는 하부 개방형 경량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경량홈(122a, 124a, 125a, 126a)은 그 직경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122, 124, 126)과 그 이외의 일반 영역(125)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경량홈(122a, 124a, 125a, 126a)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At this time, the
하중 집중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발 뒤꿈치 부분(52)과 중족골 부분(54), 및 발가락 부분(56)이 중창(120)에 접촉되는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발의 중창(120)에서 하중 집중 영역은 발 뒤꿈치 부분(52)에 접촉되는 발 뒤꿈치 영역(122)과 중족골 부분(54)에 대응되는 중족골 영역(124), 및 발가락 부분(56)에 대응되는 발가락 영역(126)에 해당하며, 일반 영역(125)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경량홈(122a, 124a, 126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중 집중 영역(122, 124, 126) 내에서 경량홈이 형성되는 경량홈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고, 경량홈이 형성되지 않은 쿠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The load concentration region may correspond to a region in which the
도 4에서는 발 뒤꿈치 부분(52)에 대응되는 발 뒤꿈치 영역(122)을 대상으로 경량홈(122a)이 형성되는 경량홈 면적(Sa)과 그 밖의 쿠션 면적(Sb)을 비교하여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발 뒤꿈치 영역(122) 중에서 경량홈(122a)이 형성된 경량홈 면적(Sa)은 발 뒤꿈치 영역(122) 내에 형성된 경량홈(122a)의 원형 면적을 모두 합한 면적이 될 것이다. 이에 반해서, 경량홈(122a)이 형성되지 않고 상부의 갑피와 표면 접촉을 통해 쿠션 효과가 전달되는 쿠션 면적(Sb)은 발 뒤꿈치 영역(122)의 전체 면적에서 경량홈 면적(Sa)을 제외하는 나머지 면적이 될 것이다. 하중 집중 영역(122, 124, 126)마다 경량홈 면적(Sa)과 쿠션 면적(Sb)을 구분하고, 하중이 집중되는 정도에 따라 경량홈 면적(Sa)과 쿠션 면적(Sb)의 크기 또는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 하중에 대한 쿠션 성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In FIG. 4, the light weight groove area (Sa) in which the light weight groove (122a) is formed for the
이 때, 하중 집중 영역(122, 124, 126)에 형성하는 경량홈 면적(Sa)은 쿠션 면적(Sb)에 의해 신발 착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범위에서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중창(120)에 사용되는 재질에 따라 그 크기나 비율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중 집중 영역(122, 124, 126)에서는 경량홈 면적(Sa)이 쿠션 면적(Sb)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light weight groove area (Sa) formed in the load concentration areas (122, 124, 126) needs to be formed in a range that can sufficiently support the load of the shoe wearer by the cushion area (Sb), and the midsole 120 ), the size or ratio may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 used. In general, in the
반면에, 하중 집중 영역(122, 124, 126)을 제외한 일반 영역(125)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경량홈(125a)을 형성한다. 따라서, 일반 영역(125)의 경량홈 면적(Sa)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경량홈(125a)이 형성되지 않는 쿠션 면적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일반 영역(125)의 경우, 전달되는 신체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경량홈 면적을 가능한 크게 형성하여 중창(120)의 무게를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일반 영역(125)에 대해서는 경량홈 면적을 쿠션 면적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일반 영역(125)에도 착용자의 신체 하중 일부가 전달되기 때문에, 이러한 신체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쿠션 면적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 relatively larg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발(100)은 밑창(110)과 중창(120), 깔창(135)을 포함하는 갑피(130)로 이루어지되, 중창(120)은 착용자의 하중이 집중되는 하중 집중 영역(122, 124, 126)과 그 이외의 일반 영역(125)을 구분하여 경량홈의 크기를 달리한다. 여기에서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 뒤꿈치 영역(122)과 중족골 영역(124), 발가락 영역(126)을 하중 집중 영역으로 구분하고, 하중 집중 영역 내에 형성하는 경량홈(122a, 124a, 126a)의 크기를 일반 영역(125)의 경량홈(125a)보다 작게 형성하였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5, the
이렇게 형성된 신발(100)은 발 뒤꿈치 영역(122)과 중족골 영역(124), 발가락 영역(126)은 일반 영역(125)보다 넓은 면적의 쿠션 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착용자가 보행 또는 활동하는 경우에 하중 집중 영역(122, 124, 126)에 대한 쿠션 성능을 충분히 전달될 수 있다. 반면에, 하중 집중 영역(122, 124, 126)을 제외한 일반 영역(125)은 경량홈(125a)이 충분히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중창(120)의 무게가 최소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신발(100) 전체의 무게가 최소화 되어 착용자의 활동을 더욱 편안하게 할 수 있다. Since the
본 발명의 신발(100)은 하중 집중 영역을 다양하게 설정함으로써, 중창(120)의 구조를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a는 발 뒤꿈치 영역(122)을 하중 집중 영역으로 설정하여 신발(100)의 중창(120)을 제작한 경우의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발 뒤꿈치 영역(122)을 하중 집중 영역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발 뒤꿈치 영역(122)에 위치하는 경량홈(122a)의 크기를 그 밖의 일반 영역(125)에 형성하는 경량홈(125a)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효율적인 쿠션 성능과 함께 신발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즉, 발 뒤꿈치 영역(122)에 형성하는 경량홈(122a)의 크기, 즉 직경을 일반 영역(125)의 경량홈(125a) 직경보다 작게 함으로써, 발 뒤꿈치 영역(122)의 경량홈 면적을 작게 형성하는 대신에 쿠션 영역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반면에, 발 뒤꿈치 영역(122)을 제외한 일반 영역(125)에는 발 뒤꿈치 영역(122)의 경량홈(122a)보다 직경이 큰 경량홈(125a)을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경량홈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 영역(125)의 경우에는 발 뒤꿈치 영역(122), 즉 하중 집중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하중이 전달되기 때문에, 쿠션 면적을 줄이고 경량홈(125a)의 면적을 증가시키더라도 착용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쿠션 성능은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쿠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경량홈(125a)에 의한 경량홈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신발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경량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중 집중 영역을 발 뒤꿈치 영역(122)과 같이 최소한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은 착용자가 보행을 주로 하는 워킹화와 같이, 신체 하중의 전달이 적은 경우에 적합할 것이다.The
도 6b는 발 뒤꿈치 영역(122)과 중족골 영역(124)의 두 곳을 하중 집중 영역으로 설정하여 신발(100)의 중창(120)을 제작한 경우의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발 뒤꿈치 영역(122)과 중족골 영역(124)을 하중 집중 영역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발 뒤꿈치 영역(122)과 중족골 영역(124)에 형성하는 경량홈(122a, 124a)의 크기를 일반 영역(125)의 경량홈(125a)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 경우에는 도 6a의 경우보다 쿠션 면적이 다소 증가하기 때문에, 신발(100)의 무게도 도 6a의 경우보다 약간 무거울 수 있다. 이 경우, 발 뒤꿈치 영역(122)과 중족골 영역(124)에 형성하는 경량홈(122a, 124a)의 크기, 즉 직경은 일반 영역(125)의 경량홈(125a)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하중 집중 영역(122, 124)의 경량홈 면적은 작게 형성되는 반면에 쿠션 면적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반면에, 발 뒤꿈치 영역(122)과 중족골 영역(124)을 제외한 일반 영역(125)에는 직경이 큰 경량홈(125a)이 형성되기 때문에 하중 집중 영역(122, 124)보다 큰 경량홈 면적이 형성된다. 따라서, 발 뒤꿈치 영역(122)과 중족골 영역(124)은 상대적으로 경량홈 면적이 작은 반면, 일반 영역(125)은 상대적으로 경량홈 면적이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 영역(125)의 경량홈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쿠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신발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하중 집중 영역을 발 뒤꿈치 영역(122)과 중족골 영역(124)으로 설정하는 것은 착용자가 발바닥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등산화와 같은 경우에 이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6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도 6c는 발 뒤꿈치 영역(122)과 발가락 영역(126)의 두 곳을 하중 집중 영역으로 설정하여 신발(100)의 중창(120)을 제작한 경우의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발 뒤꿈치 영역(122)과 발가락 영역(126)을 하중 집중 영역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발 뒤꿈치 영역(122)과 발가락 영역(126)에 형성하는 경량홈(122a, 126a)의 크기를 일반 영역(125)의 경량홈(125a)보다 작게 형성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발 뒤꿈치 영역(122)과 발가락 영역(126)은 상대적으로 경량홈 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반면에, 일반 영역(125)은 상대적으로 경량홈 면적이 늘어나게 된다. 하중 집중 영역을 발 뒤꿈치 영역(122)과 발가락 영역(126)으로 설정하는 것은 착용자가 발가락을 이용하여 전방으로 이동을 하는 경우에 적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달리기와 같은 경우가 이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조깅화나 스포츠화 같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6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또한, 본 발명의 신발(100)은 하중 집중 영역과 일반 영역에 형성되는 경량홈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경량홈 면적과 쿠션 면적의 상대적인 비율을 조절할 수도 있지만, 동일한 크기의 경량홈을 형성하되 형성되는 경량홈의 밀집도를 달리함으로써 경량홈 면적과 쿠션 면적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발(100)의 중창(120)은 신발 착용자의 신체 하중이 집중되는 하중 집중 영역(122, 124, 126)에 대해서 경량홈(122a, 124a, 126a)의 밀집도를 낮게 형성하고, 그 이외의 일반 영역(125)에 대해서는 경량홈(125a)의 밀집도를 높게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하중 집중 영역(122, 124, 126)은 경량홈(122a, 124a, 126a)에 의한 경량홈 면적이 일반 영역(125)보다 작게 형성되고, 경량홈(122a, 124a, 126a)이 형성되지 않은 쿠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에 반해, 신체 하중이 집중되지 않는 일반 영역(125)은 많은 수의 경량홈(125a)에 의해 하중 집중 영역(122, 124, 126)보다 경량홈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경량홈(125a)이 형성되지 않는 쿠션 면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하중 집중 영역(122, 124, 126)에서는 상대적으로 넓은 쿠션 면적에 의해 집중되는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반면에, 일반 영역(125)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쿠션 면적을 형성함으로써 신발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하중 집중 영역은 발 뒤꿈치 부분(52)과 중족골 부분(54), 및 발가락 부분(56)이 중창(120)에 접촉되는 영역(122, 124, 126)으로 설정하였다. 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id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7, the
반면, 하중 집중 영역(122, 124, 126)을 제외한 일반 영역(125)에는 하중 집중 영역(122, 124, 126)보다 다수의 경량홈(125a)을 형성함으로써, 경량홈(125a)의 밀집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일반 영역(125) 내에 형성되는 경량홈(125a)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경량홈 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쿠션 면적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될 것이다. 다만, 일반 영역(125)에도 착용자의 신체 하중 일부가 전달되기 때문에, 이러한 신체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쿠션 면적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by forming a plurality of light weight grooves (125a) than the load concentration areas (122, 124, 126) in the
결국, 신발의 중창 부분을 착용자의 신체 하중이 집중되는 하중 집중 영역과 그 이외의 일반 영역으로 구분하고, 하중 집중 영역에 형성하는 경량홈 면적을 일반 영역의 경량홈 면적보다 적게 함으로써, 중창의 무게를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하중을 지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서, 위에서는 하중 집중 영역과 일반 영역의 경량홈 크기를 달리하는 경우와, 경량홈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되 그 밀집도를 달리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크기의 경량홈을 하중 집중 영역과 일반 영역에 형성하면서도 경량홈 면적의 비율을 달리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하중 집중 영역의 경량홈 면적 비율을 30% 수준에서 유지하도록 경량홈을 형성하되, 일반 영역의 경량홈 면적 비율을 60% 수준에서 유지하도록 경량홈을 형성하는 것이 한가지 예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Eventually, the midsole part of the shoe is divided into a load concentration area in which the wearer's body load is concentrated and a general area other than that, and the area of the lightweight groove formed in the load concentration area is mad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lightweight groove in the general area. It becomes possible to support the load efficiently while reducing the value. For this purpose,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light-weight groove in the load concentration area and the general area is different and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light-weight groove is the same but the density is different have been described. While forming in the area,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lightweight groove. For example, a lightweight groove is formed to maintain the light weight groove area ratio of the load concentration area at a level of 30%, but one example is forming a lightweight groove to maintain the lightweight groove area ratio of the general area at a level of 60%. There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중창에 형성하는 경량홈은 중창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을 관통하는 관통형, 상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여지는 상부 개방형, 또는 하부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여지는 하부 개방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창은 이러한 관통형 경량홈, 상부 개방형 경량홈, 또는 하부 개방형 경량홈 중 한 가지 형태의 경량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들 관통형 경량홈, 상부 개방형 경량홈, 또는 하부 개방형 경량홈을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lightweight groove formed in the mid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netrating type that penetrates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an upper open type that is dug from the upper surface to a certain depth in the downward direction, or is dug to a certain depth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The paper may have a lower open structure. Therefore, the mid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s one of these through-type lightweight grooves, upper open-type lightweight grooves, or lower open-type lightweight grooves, and these through-type lightweight grooves, upper open-type lightweight grooves, or lower open-type Lightweight grooves may be formed in various combinations.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경량홈이 형성된 중창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창(120)에서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122, 124, 126)에 대해서는 일반 영역(125)과 비교하여 경량홈이 형성되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하되, 경량홈의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dsole in which various types of lightweight grooves are form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n the
예를 들어, 발 뒤꿈치 영역(122)에는 중창(12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형태의 관통형 경량홈(122a)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관통형 경량홈(122a)이 형성되는 경량홈 면적은 경량홈(122a)이 형성되지 않는 쿠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될 것이다. 반면에, 중족골 영역(124)에서는 중창(120)의 하부면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여진 하부 개방형 경량홈(124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족골 영역(124)의 상부면은 경량홈(124b)에 의해 관통되지 않기 때문에 표면이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질 것이다. 한편, 발가락 영역(126)에서는 중창(120)의 상부면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여진 상부 개방형 경량홈(126c)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중족골 영역(124)과 반대로, 하부면은 경량홈(126c)에 의해 관통되지 않기 때문에 표면이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발 뒤꿈치 영역(122), 중족골 영역(124), 및 발가락 영역(126)에 있어서, 한가지 형태의 경량홈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두가지 형태 이상의 경량홈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For example, a through-type
마찬가지로, 하중이 집중되지 않는 일반 영역(125)의 경우에도 관통형 경량홈(125a), 하부 개방형 경량홈(125b), 또는 상부 개방형 경량홈(125c) 중 한가지의 형태로 경량홈이 형성될 수도 있고,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Likewise, in the case of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andabl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110: 밑창 20, 120: 중창
30, 130: 갑피 35, 135: 깔창
52: 발 뒤꿈치 부분 54: 중족골 부분
56: 발가락 부분 100: 신발
122: 발 뒤꿈치 영역 124: 중족골 영역
125: 일반 영역 126: 발가락 영역
122a, 124a, 125a, 126a: 관통형 경량홈
124b, 125b: 하부 개방형 경량홈
125c, 126c: 상부 개방형 경량홈
Sa: 경량홈 면적 Sb: 쿠션 면적10, 110: sole 20, 120: midsole
30, 130: upper 35, 135: insole
52: heel portion 54: metatarsal portion
56: toe portion 100: shoes
122: heel region 124: metatarsal region
125: general area 126: toe area
122a, 124a, 125a, 126a: through-type lightweight groove
124b, 125b: lower open type lightweight groove
125c, 126c: upper open lightweight groove
Sa: Light groove area Sb: Cushion area
Claims (15)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갑피;
상기 갑피 내부에서 착용자의 발바닥과 접촉되는 깔창; 및
상기 밑창과 상기 깔창 사이에서 착용자의 신체 하중을 지탱하되, 다수의 경량홈을 형성함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한 중창
을 포함하며,
상기 중창은 착용자의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의 경량홈 면적 비율이 그 이외의 일반 영역의 경량홈 면적 비율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은 발 뒤꿈치 영역, 중족골 영역, 및 발가락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은 상기 경량홈이 형성된 경량홈 면적이 경량홈이 형성되지 않은 쿠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일반 영역은 상기 경량홈이 형성된 경량홈 면적이 경량홈이 형성되지 않은 쿠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경량홈의 크기가 상기 일반 영역에 형성되는 경량홈의 크기보다 작은
신발.Outsol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 upper formed to protect the wearer's feet;
An insol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wearer's soles inside the upper; And
A midsole that supports the body load of the wearer between the outsole and the insole, but enables weight reduc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lightweight grooves
Including,
The midsole is formed in which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lightweight groove in the area where the load of the wearer is concentrated is smaller than that of the area of the lightweight groove in other general areas
The area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includes at least one of a heel area, a metatarsal area, and a toe area,
In the area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the area of the lightweight groove in which the lightweight groove is formed is smaller than the cushion area in which the lightweight groove is not formed, and in the general area, the area of the lightweight groove in which the lightweight groove is formed is a cushion area in which the lightweight groove is not formed. Is formed larger,
The size of the lightweight groove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lightweight groove formed in the general area
shoes.
상기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경량홈의 밀집도가 상기 일반 영역에 위치하는 경량홈의 밀집도보다 작은 신발.The method of claim 1,
Shoes having a density of light weight grooves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is smaller than that of light weight grooves located in the general area.
상기 경량홈은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신발.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weight groove is a sho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상기 경량홈은 상기 중창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중창의 하부면까지 관통하는 관통형 경량홈, 상기 중창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고, 상기 중창의 상부면까지 관통되지 않는 하부 개방형 경량홈 및 상기 중창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고, 상기 중창의 하부면까지 관통되지 않는 상부 개방형 경량홈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신발.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weight groove is a through-type lightweight groove that penetrat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and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to the upper surface, and does not penetra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Shoes form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groove and an upper open type lightweight groove that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and does not penetrat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된 다수의 경량홈을 포함하고
착용자의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의 경량홈 면적 비율이 그 이외의 일반 영역의 경량홈 면적 비율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은 발 뒤꿈치 영역, 중족골 영역, 및 발가락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은 상기 경량홈이 형성된 경량홈 면적이 경량홈이 형성되지 않은 쿠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일반 영역은 상기 경량홈이 형성된 경량홈 면적이 경량홈이 형성되지 않은 쿠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경량홈의 크기가 상기 일반 영역에 형성되는 경량홈의 크기보다 작은
중창.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weight grooves formed to reduce weight,
The light weight groove area ratio in the area where the wearer's load is concentrated is formed smaller than the light weight groove area ratio in other general areas,
The area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includes at least one of a heel area, a metatarsal area, and a toe area,
In the area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the area of the lightweight groove in which the lightweight groove is formed is smaller than the cushion area in which the lightweight groove is not formed, and in the general area, the area of the lightweight groove in which the lightweight groove is formed is a cushion area in which the lightweight groove is not formed. Is formed larger,
The size of the lightweight groove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lightweight groove formed in the general area
Midsole.
상기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경량홈의 밀집도가 상기 일반 영역에 위치하는 경량홈의 밀집도보다 작은 중창.The method of claim 9,
A midsole where the density of the lightweight grooves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is smaller than that of the lightweight grooves located in the general area.
상기 경량홈은 상기 중창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중창의 하부면까지 관통하는 관통형 경량홈, 상기 중창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고, 상기 중창의 상부면까지 관통되지 않는 하부 개방형 경량홈 및 상기 중창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고, 상기 중창의 하부면까지 관통되지 않는 상부 개방형 경량홈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중창.
The method of claim 9,
The lightweight groove is a through-type lightweight groove that penetrat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and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to the upper surface, and does not penetra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A midsole form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groove and an upper open type lightweight groov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and does not penetrate to a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4095A KR102162450B1 (en) | 2018-12-04 | 2018-12-04 | Midsole and shoes includ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4095A KR102162450B1 (en) | 2018-12-04 | 2018-12-04 | Midsole and shoes including 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8118A KR20200068118A (en) | 2020-06-15 |
KR102162450B1 true KR102162450B1 (en) | 2020-10-07 |
Family
ID=7108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4095A KR102162450B1 (en) | 2018-12-04 | 2018-12-04 | Midsole and shoes including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2450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8547Y1 (en) | 2001-11-29 | 2002-06-20 | 이택길 | The shoes circulated through by air |
JP2003052404A (en) | 2001-06-07 | 2003-02-25 | Mizuno Corp | Sole assembly for sports sho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8041Y1 (en) | 2005-07-08 | 2005-10-11 | 김재수 | The middle layer of a footwear sole |
KR100884659B1 (en) | 2008-09-08 | 2009-03-03 | (주)지원에프알에스 | Mid-sole for a shoes with impact dispersion and round walking function |
KR100949813B1 (en) | 2009-11-09 | 2010-03-30 | 주식회사 엘림이지에프 | The shoe |
-
2018
- 2018-12-04 KR KR1020180154095A patent/KR10216245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52404A (en) | 2001-06-07 | 2003-02-25 | Mizuno Corp | Sole assembly for sports shoe |
KR200278547Y1 (en) | 2001-11-29 | 2002-06-20 | 이택길 | The shoes circulated through by ai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8118A (en) | 2020-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58144B2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midsole with arcuate underside cavity | |
KR101178266B1 (en) | 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 | |
US9974356B2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midsole with arcuate underside cavity insert | |
US8468720B2 (en) | Midsole elem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 |
US900367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oning footwear | |
US11825903B2 (en) | Shoe sole and shoe | |
US20140202031A1 (en) |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structure displaying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 |
US20180242687A1 (en) | Sandal with Cushioning and Contoured Support | |
BRPI0710787B1 (en) | footwear article with bracket assembly having plate and indentations formed therein | |
KR100796160B1 (en) | Functional shoe insole for high heel | |
US11805851B2 (en) | Mid-sole, or insole, particularly for shoes | |
US5653046A (en) | Durable, lightweight shock resistant shoe sole | |
KR102013672B1 (en) | Shoes for relieving pain of plantar fasciitis | |
WO2011135278A1 (en) | A sole memb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 |
KR102162450B1 (en) | Midsole and shoes including it | |
KR200427366Y1 (en) | An sandal for shock absorption having support form of arch type | |
US20030029059A1 (en) | Biomechanical sole unit | |
JP2023023063A (en) | Leather-soled sandal-type shoe | |
WO2024134822A1 (en) | Leather-soled sandal-type shoe | |
KR200475665Y1 (en) | Multifunctional shoes | |
KR100885066B1 (en) | The shoe | |
KR20090007621U (en) | Middle Layer Sole for Absorbing Shock Sole of Footwear and Footwear with the Same | |
AU2020243382A1 (en) | A sole | |
KR20130005940U (en) | Shoes inso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