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279B1 - 냉각안개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안개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279B1
KR102162279B1 KR1020190070816A KR20190070816A KR102162279B1 KR 102162279 B1 KR102162279 B1 KR 102162279B1 KR 1020190070816 A KR1020190070816 A KR 1020190070816A KR 20190070816 A KR20190070816 A KR 20190070816A KR 102162279 B1 KR102162279 B1 KR 102162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peeling
ice
refrigeran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백광석
Original Assignee
이영호
백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호, 백광석 filed Critical 이영호
Priority to KR1020190070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outer walls of coole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심지역의 폭염과 열섬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각안개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미세한 입자형태의 물을 분사하여 기화열의 흡수로 주변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작은 얼음 입자들을 분사시켜 분사되는 주변 지역의 냉각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보관, 운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냉각안개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안개 분무장치는 하측면에는 이동을 위한 다수의 이송바퀴(11)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유입된 냉매가스를 압축 및 응축 하기 위한 압축기 및 응축기가 구비되고, 팽창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본체부(10);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측에 물 배출부(21)가 구비되어 상기 물 배출부(21)를 통해 배출된 물이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며, 내부에는, 일측으로 상기 냉매가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단(2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냉매가스가 유출되는 냉매 유출단(23)이 형성되는, 냉각부(24)가 구비되어 물이 유동하는 외측면을 소정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드럼(20);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전방에는 개방 토출부(3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냉각드럼(2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냉각드럼(20)의 전방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드럼(20)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어 형성된 얼음을 박리시키는 얼음 박리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얼음 박리부(32)의 하부측에는 상기 냉각드럼(20)의 외측면에서 박리된 얼음 조각을 상기 개방 토출부(31)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박리얼음 배출팬(33)이 구비되는 헤드부(30); 및, 하부단은 상기 본체부(10)와 결합되고, 상부단은 상기 헤드부(30)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헤드부(30)의 위치를 소정높이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스를 유입받아 상기 냉각부(24)의 냉매 유입단(22)으로 상기 냉매가스를 유출하는 냉매 유출관(42)이 구비되며, 상기 냉각부(24)의 냉매 유출단(23)으로부터 냉매가스를 유입받아 상기 본체부(10)의 압축기로 유출하는 냉매 유입관(43)이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물 배출부(21)로 전달하는 급수관(44)이 구비되는 높이조절 지지부(4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각안개 분무장치{Cooling mist spray device}
본 발명은 도심지역의 폭염과 열섬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각안개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미세한 입자형태의 물을 분사하여 기화열의 흡수로 주변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작은 얼음 입자들을 분사시켜 분사되는 주변 지역의 냉각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보관, 운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냉각안개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섬현상(Heat Island)은 현대의 도시화에 따른 도심지내 주거, 상업, 공공시설 등이 증대되어 녹지의 면적은 크게 줄어드는 반면에, 각종 인공열과 대기오염 물질은 증가하여 도시 상공의 기온이 주변 지역보다 현저히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열섬현상의 주요원인으로는, 시멘트로 된 건축물 및 아스팔트 도로의 어두운 색상으로 인해 태양열에 쉽게 달궈지며 열을 흡수하게 되고, 흡수한 열을 다시 내뿜으며 도시의 온도를 상승 시키게 되고, 도심부에 세워진 고층 건물들로 인해 건물과 건물 사이에 바람이 잘 통하지 않아 열의 배출통로가 없어지게 되며, 공장, 자동차, 에어컨 등에서 발생되는 매연, 인공열, 미세먼지가 낮시간 동안 도심부에 갇히게 되면서 늦은 밤까지 열섬현상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열섬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개특허 제10-2014-0024158호(발명의 명칭 : '폭염 및 도시열섬 저감을 위한 냉각안개 분무장치')에서는, 안개노즐을 통해 물을 미세한 입자로 분사하여 미세안개를 형성함으로써, 미세 물입자의 신속한 기화로 주변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설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여름철 한때 사용한 후에는 다시 철거가 어렵고, 기 설치된 냉각안개 분무장치의 보관 및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63828호(고안의 명칭 : '안개 분무장치')에서는, 노즐을 통해 고압의 압력으로 물을 토출시켜 안개를 생성 배출시키는 고압펌프의 선단에 필터를 구비하여 고압펌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압펌프의 부하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가능한 구조로 안개 분무장치를 형성하여 운송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단순히 미세한 물 입자의 분사를 통해 안개를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지구온난화 등으로 인해 점차 더 가혹해지는 무더위 온도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고, 특히, 혹서기에는 사용자들에게 청량감을 느끼게 할 정도의 냉각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주변 설치환경과 어울리지 못하는 외관으로 주변 미관을 해치고, 안개 분무장치의 고정된 높이에 따른 설치의 어려움이 있으며, 야간 작동시 가로등과 같은 별도의 조명이 없는 경우에 보행자와의 충돌우려 등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63828호(고안의 명칭 : '안개 분무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미세한 입자형태의 물을 분사하여 기화열의 흡수로 주변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작은 얼음 입자들을 분사시켜 분사되는 주변 지역의 냉각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며,
냉각안개 분무장치의 보관, 운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설치 및 철거 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도록 하고, 주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야간 작동시 보행자와의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하측면에는 이동을 위한 다수의 이송바퀴(11)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유입된 냉매가스를 압축 및 응축 하기 위한 압축기 및 응축기가 구비되고, 팽창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본체부(10);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측에 물 배출부(21)가 구비되어 상기 물 배출부(21)를 통해 배출된 물이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며, 내부에는, 일측으로 상기 냉매가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단(2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냉매가스가 유출되는 냉매 유출단(23)이 형성되는, 냉각부(24)가 구비되어 물이 유동하는 외측면을 소정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드럼(20);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전방에는 개방 토출부(3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냉각드럼(2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냉각드럼(20)의 전방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드럼(20)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어 형성된 얼음을 박리시키는 얼음 박리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얼음 박리부(32)의 하부측에는 상기 냉각드럼(20)의 외측면에서 박리된 얼음 조각을 상기 개방 토출부(31)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박리얼음 배출팬(33)이 구비되는 헤드부(30); 및, 하부단은 상기 본체부(10)와 결합되고, 상부단은 상기 헤드부(30)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헤드부(30)의 위치를 소정높이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스를 유입받아 상기 냉각부(24)의 냉매 유입단(22)으로 상기 냉매가스를 유출하는 냉매 유출관(42)이 구비되며, 상기 냉각부(24)의 냉매 유출단(23)으로부터 냉매가스를 유입받아 상기 본체부(10)의 압축기로 유출하는 냉매 유입관(43)이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물 배출부(21)로 전달하는 급수관(44)이 구비되는 높이조절 지지부(4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안개 분무장치(1)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냉각안개 분무장치(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물 유입단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정수시킨 후 물 배출단을 통해 상기 급수관(44)으로 배출시키는 정수필터(50)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30)의 일측면에는 엘이디(LED) 조명(51)을 받는 광고면이 구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얼음 박리부(32)는,
전방에 다수의 상부 박리날(35)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박리날(35)과 냉각드럼(20) 외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헤드부(30)에 구비되는 상부 박리날부(36); 및, 상기 상부 박리날부(36)로부터 하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 박리날(37)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박리날(37)과 냉각드럼(20) 외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헤드부(30)에 구비되는 하부 박리날부(38)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안개 분무장치는, 미세한 입자형태의 물을 분사하여 기화열의 흡수로 주변 온도를 낮출 수 있음과 함께, 작은 얼음 입자들을 분사시켜 분사되는 주변 지역의 냉각효과를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냉각안개 분무장치의 보관, 운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면서 자유로운 높낮이 조절과 이동으로 설치가 간편하고, 철거 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으며, 주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야간 작동시 보행자와의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안개 분무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안개 분무장치를 나타내는 헤드부의 좌측면 단면도 및 본체부의 좌측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안개 분무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안개 분무장치(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안개 분무장치(1)를 나타내는 헤드부(30)의 좌측면 단면도 및 본체부(10)의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안개 분무장치(1)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안개 분무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측면에 다수개의 이송바퀴(11)가 부착되어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며 내부에는 냉각안개 분무장치(1)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구성요소가 내장되는 본체부(10)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외주면에는 물을 분사하고 내부에는 외주면으로 분사된 물을 얼음으로 냉각시키는 냉각부(24)가 구비되는 냉각드럼(20)과, 상기 냉각드럼(20)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냉각드럼(20)의 외주면에 얼어붙은 얼음을 박리시키는 얼음 박리부(32)가 구비되며 박리된 얼음 조각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박리 얼음 배출팬(33)이 구비되는 헤드부(30) 및, 하부 지면에 구비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 구비되는 헤드부(30)를 서로 연결시켜 주면서 상기 헤드부(30)의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지지해주는 높이조절 지지부(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도 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안개 분무장치(1)의 이동을 위한 다수의 이송바퀴(11)가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박스 형상의 본체부(10) 하측면의 네 모서리에 지면에 대한 수직축을 중심으로 360˚ 회전형의 우레탄 바퀴(11)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설치된 위치에서의 위치고정이 용이하도록 상기 이송바퀴(11)에는 회전 및 이동 방지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부(24)로부터 유입된 냉매가스를 다시 압축 및 응축 시키기 위한 압축기 및 응축기가 구비되며, 액화된 냉매가스를 팽창시켜 냉각부(24)로 전달하기 위한 팽창밸브가 구비되며, 통상적인 냉매가스를 이용한 냉각 사이클을 구성한다. 상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의 냉각 사이클 구성요소들은 상기 본체부(10) 내부 뿐만 아니라, 소형 및 경량화되는 추세로 작은 사이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부(3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냉각드럼(2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3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물 배출부(21)가 구비되어 상기 물 배출부(21)를 통해 배출된 물이 냉각드럼(20)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며, 내부에는, 일측으로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단(22)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기화하며 상기 냉각드럼(20)의 외주면을 영하로 냉각시킨 냉매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냉매 유출단(23)이 구비되는 냉각부(24)가 구비되며, 상기 냉각부(24)는 냉매가스 기화에 따른 냉각효과를 통해 상기 냉각드럼(20)의 외주면 및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영하의 온도로 냉각시키면서 냉각드럼(20) 외주면으로 얼음층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헤드부(3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수직한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전방에는 내외부가 통하게 개방 토출부(31)가 구비되어 상기 냉각드럼(20)으로부터 박리된 얼음들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는 상기 냉각드럼(2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냉각드럼(20)의 전방 하부측에는 얼음 박리부(32)가 형성되어 상기 냉각드럼(20)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이 냉각부(24)에 의해 냉각되어 형성된 얼음을 박리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얼음 박리부(32)의 하부 후방에는 박리얼음 배출팬(33)이 구비되어 상기 얼음 박리부(32)에 의해 상기 냉각드럼(20)의 외측면에서 박리된 얼음 조각을 상기 개방 토출구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 지지부(4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단은 상기 본체부(10)의 상측면에 결합되고, 상부단은 상기 헤드부(30)의 하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헤드부(30)의 위치를 소정높이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스를 유입받아 상기 냉각부(24)의 냉매 유입단(22)으로 상기 냉매가스를 유출하는 냉매 유출관(42)이 구비되며, 상기 냉각부(24)의 냉매 유출단(23)으로부터 냉매가스를 유입받아 상기 본체부(10)의 압축기로 유출하는 냉매 유입관(43)이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물 배출부(21)로 전달하는 급수관(44) 및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케이블(45)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X자 형상의 내부 중공 로드를 상,하로 연속되게 적층한 후, 연속되게 적층하여 만나는 중앙 부위는 회동가능하게 축설하여 자바라식으로 높이조절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X자 형상이 상하로 서로 연속되게 연결된 상기 상, 하 X 형상의 내부 중공로드(41)의 상부단 및 하부단은 각각 헤드부(30)의 하측면 및 본체부(10)의 상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상, 하 X자 형상의 내부 중공로드(41)의 중앙 연결부위에서, 일측 연결부에는 길이조절 금속와이어(46)의 일측이 감기는 높이조절 회전부(47)가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 회전부(47)에는 회전손잡이(48)가 마련되고, 상기 높이조절 회전부(47)와 대향하는 타측 연결부에는 상기 길이조절 금속와이어(46)의 타측단이 결합된 와이어 고정부(49)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높이조절 회전부(47)에 길이조절 금속와이어(46)가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손잡이(48)를 돌려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길이조절 금속와이어(46)의 타측단과 함께 상기 와이어 고정부(49)가 당겨지면서 상기 상, 하 X자 형상의 내부 중공로드(41)의 중앙의 좌, 우 연결부위의 거리가 좁혀지게 되고, 전체 상기 상, 하 X자 형상의 내부 중공로드(41)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상기 헤드부(30)가 본체부(10)의 상측으로 더 높게 이동하게 되며, 회전 고정수단(도시되지는 않음)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 회전부(47)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상기 헤드부(30)를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헤드부(3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높이조절 회전부(47)의 회전 고정수단을 해체시키게 되면 상기 헤드부(3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상,하 X자 형상의 내부 중공로드(41)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면서 길이조절 금속와이어(46)가 상기 높이조절 회전부(47)로부터 풀려나와 상기 높이조절 회전부(47) 및 와이어 고정부(49)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고, 소정 높이로 상기 헤드부(3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면 다시 회전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 회전부(47)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켜 상기 헤드부(30)의 높이를 원하는 위치로 낮출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조절 회전부(47)를 전동모터(도시되지는 않음)로 형성하고 전동모터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및, 회전동작 멈춤을 통해 상기 헤드부(30)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한 후, 위치고정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 X자 형상의 내부 중공로드(41)의 일측 내부 중공을 따라 상기 냉매 유출관(42) 및 급수관(44)을 형성할 수 있으며, 타측 내부 중공을 따라 상기 냉매 유입관(43) 및 전원 공급 케이블(4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얼음 박리부(32)에 대한 일 실시예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다수의 상부 박리날(35)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박리날(35)과 냉각드럼(20) 외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가능하게 상기 헤드부(30)에 구비되는 상부 박리날부(36)와, 상기 상부 박리날부(36)로부터 하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 박리날(37)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박리날(37)과 냉각드럼(20) 외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가능하게 상기 헤드부(30)에 구비되는 하부 박리날부(38)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안개 분무장치(1)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다수의 이송바퀴(11)를 통해 원하는 소정위치로 편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안개 분무장치(1)를 이동시킨 후 위치고정하고, 상기 높이조절 지지부(40)를 통해 상기 헤드부(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주변 설치 환경에 맞게 상기 냉각안개 분무장치(1)의 위치 및 높이를 셋팅하게 되며, 작동을 위한 전원 케이블(45)을 연결하고, 주변 수도관을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물 저장탱크(14)와 물호스로 연결시킨다. 주변에 수도관이 없거나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미리 상기 본체부(10) 내부의 물 저장탱크(14)에 물을 저장시킨 후, 저장된 물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냉각안개 분무장치(1)의 기본적인 설치를 완료한 후, 작동을 시작하면,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와 함께, 상기 헤드부(30)에 구비되는 냉각부(24)를 통해 통상의 냉각사이클을 구성하게 되는바, 일반적인 냉매가스를 이용한 냉각사이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스는 상기 높이조절 지지부(40)의 냉매 유출관(42)을 통해 상기 헤드부(30)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헤드부(30)로 유동된 냉매가스는 냉매 유입단(22)을 통해 냉각부(24)로 전달되고 냉매가스를 전달받은 냉각부(24)는 냉매가스의 기화과정을 통해 상기 냉각드럼(20) 표면의 온도를 급속히 냉각시키게 되며, 냉각드럼(20)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을 얼음상태로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냉각부(24)를 통과한 냉매가스는 냉매 유출단(23)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 지지부(40)의 냉매 유입관(43)으로 유입하게 되고, 상기 냉매 유입관(43)을 통해 다시 본체부(10)의 압축기로 순환이동하게 된다.
주변의 수도관을 통해 상기 물 저장탱크(14) 내에 저장된 물은 모터펌프(13) 및 급수관(44)을 통해 상기 헤드부(30)의 물 배출부(21)로 전달되며, 상기 물 배출부(21)로 유동한 물은 상기 냉각드럼(20)으로 배출되어 표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며, 상기 냉각드럼(20)의 표면을 유동하는 물은 냉각부(24)의 냉각작용으로 얼음으로 변화게 된다.
상기 냉각드럼(20)의 표면에 얼어붙은 얼음은 상기 상부 박리날부(36) 및 하부 박리날부(38)에 의해 냉각드럼(20)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데, 상기 상부 박리날부(36)는 다수의 상부 박리날(35)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드럼(20)의 회전시에 표면에 얼어붙은 얼음을 드문 드문 구비되는 다수의 상기 상부 박리날(35)를 통해 일차적으로 긁어 낸 후, 상부 박리날부(36)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하부 박리날부(38)의 고른 일자형 하부 박리날(37)을 통해 상기 냉각드럼(20) 표면의 얼음을 다량으로 깨끗하게 박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냉각드럼(20)으로부터 박리된 미세 얼음 조각들은 상기 냉각드럼(20)의 하측 후방에 구비되는 상기 박리얼음 배출팬(33)으로부터 배출되는 바람과 함께 상기 헤드부(30)의 개방 토출부(31)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게 되며, 분사된 미세 얼음 조각들은 지나가는 보행자의 피부에 직접 닿아 무더위로 데워진 피부를 차갑게 냉각하게 되고, 얼음 조각의 고체로부터 기체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다량의 주변 열기를 빠르게 흡열하여 무더위로 데워진 주변 온도를 급격하게 낮출 수 있게 되며, 보행자들로 하여금 상쾌한 청량감을 느끼게 하여 혹서기의 무더위로 인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3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안개분사 노즐부(34)를 형성하고, 상기 급수관(44)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외부로 미세 물입자를 분사시켜 안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얼음 조각들의 배출과 함께 안개 또한 형성시켜 냉각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혹서기와 같은 무더위 시기 이외에는 냉각사이클 동작은 멈추고 안개분사 노즐부(34)의 작동을 통한 안개만을 형성하여 냉각안개 분무장치(1)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수도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14)가 구비되며 상기 물 저장탱크(14)에 저장된 물은 모터펌프(13)의 작동을 통해 헤드부(30)로 전달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펌프(13)로부터 배출된 물의 오염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정수필터(50)를 구비하여 정수된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안개분무를 형성하거나 얼음 조각을 형성함으로써, 주변 대기 오염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보행자들에게 깨끗하고 위생적인 물을 이용한 안개 및 얼음 입자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안개 분무 장치의 경우, 각 장치를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관 커넥터(12)나 전원 커넥터(도시되지는 않음)를 통해 각 장치를 서로 연결시킬 수도 있으며, 각 장치를 서로 연결하여 산책로를 따라 배열하거나, 콘서트장과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모여있는 장소를 중앙으로 원형으로 배열하는 등 여러 형태로 배열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측면이나 헤드부(30)의 후면에 엘이디(LED) 조명(51)를 설치하거나 상기 엘이디(LED) 조명(51)를 이용한 광부면을 부착하여 지나가는 보행자들에 대한 광고기능 및 야간 조명기능도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안개 분무장치(1)는, 미세한 입자형태의 물을 분사하여 기화열의 흡수로 주변 온도를 낮출 수 있음과 함께, 작은 얼음 입자들을 분사시켜 분사되는 주변 지역의 냉각효과를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냉각안개 분무장치(1)의 보관, 운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면서 자유로운 높낮이 조절과 이동으로 설치가 간편하고, 철거 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으며, 주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야간 작동시 보행자와의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여러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1 : 냉각안개 분무장치 10 : 본체부
11 : 이송바퀴 12 : 물 공급관 커넥터
13 : 모터펌프 14 : 물 저장탱크
20 : 냉각드럼 21 : 물 배출부
22 : 냉매 유입단 23 : 냉매 유출단
24 : 냉각부
30 : 헤드부 31 : 개방 토출부
32 : 얼음 박리부 33 : 박리얼음 배출팬
34 : 안개분사 노즐부 35 : 상부 박리날
36 : 상부 박리날부 37 : 하부 박리날
38 : 하부 박리날부
40 : 높이조절 지지부 41 : 내부 중공로드
42 : 냉매 유출관 43 : 냉매 유입관
44 : 급수관 45 : 전원 공급 케이블
46 : 길이조절 금속와이어 47 : 높이조절 회전부
48 : 회전손잡이 49 : 와이어 고정부
50 : 정수필터 51 : 엘이디 조명
100 : 보행자 110 : 얼음층

Claims (3)

  1. 하측면에는 이동을 위한 다수의 이송바퀴(11)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유입된 냉매가스를 압축 및 응축 하기 위한 압축기 및 응축기가 구비되고, 팽창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본체부(10);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측에 물 배출부(21)가 구비되어 상기 물 배출부(21)를 통해 배출된 물이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며, 내부에는, 일측으로 상기 냉매가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단(2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냉매가스가 유출되는 냉매 유출단(23)이 형성되는, 냉각부(24)가 구비되어 물이 유동하는 외측면을 소정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드럼(20);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전방에는 개방 토출부(3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냉각드럼(2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냉각드럼(20)의 전방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드럼(20)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어 형성된 얼음을 박리시키는 얼음 박리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얼음 박리부(32)의 하부측에는 상기 냉각드럼(20)의 외측면에서 박리된 얼음 조각을 상기 개방 토출부(31)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박리얼음 배출팬(33)이 구비되는 헤드부(30); 및,
    하부단은 상기 본체부(10)와 결합되고, 상부단은 상기 헤드부(30)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헤드부(30)의 위치를 소정높이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스를 유입받아 상기 냉각부(24)의 냉매 유입단(22)으로 상기 냉매가스를 유출하는 냉매 유출관(42)이 구비되며, 상기 냉각부(24)의 냉매 유출단(23)으로부터 냉매가스를 유입받아 상기 본체부(10)의 압축기로 유출하는 냉매 유입관(43)이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물 배출부(21)로 전달하는 급수관(44)이 구비되는 높이조절 지지부(4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안개 분무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유입된 물을 정수시킨 후 상기 급수관(44)으로 배출시키는 정수필터(50)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30)의 일측면에는 엘이디(LED) 조명(51)을 받는 광고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안개 분무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박리부(32)는,
    전방에 다수의 상부 박리날(35)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박리날(35)과 냉각드럼(20) 외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헤드부(30)에 구비되는 상부 박리날부(36); 및,
    상기 상부 박리날부(36)로부터 하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 박리날(37)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박리날(37)과 냉각드럼(20) 외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헤드부(30)에 구비되는 하부 박리날부(38)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안개 분무장치(1).
KR1020190070816A 2019-06-14 2019-06-14 냉각안개 분무장치 KR102162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816A KR102162279B1 (ko) 2019-06-14 2019-06-14 냉각안개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816A KR102162279B1 (ko) 2019-06-14 2019-06-14 냉각안개 분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279B1 true KR102162279B1 (ko) 2020-10-06

Family

ID=7282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816A KR102162279B1 (ko) 2019-06-14 2019-06-14 냉각안개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2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3330A (ja) * 1997-01-30 1998-08-11 Hitachi Ltd 可搬式冷房装置
KR200363828Y1 (ko) 2004-07-01 2004-10-07 고혜경 안개 분무장치
KR20140024158A (ko) * 2012-08-20 2014-02-28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폭염 및 도시열섬 저감을 위한 냉각안개 분무장치
KR101834178B1 (ko) * 2017-07-19 2018-03-05 임수빈 시설물용 분무식 냉각장치
KR101992157B1 (ko) * 2019-02-07 2019-06-25 신헌정 쿨링 휴계 시설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3330A (ja) * 1997-01-30 1998-08-11 Hitachi Ltd 可搬式冷房装置
KR200363828Y1 (ko) 2004-07-01 2004-10-07 고혜경 안개 분무장치
KR20140024158A (ko) * 2012-08-20 2014-02-28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폭염 및 도시열섬 저감을 위한 냉각안개 분무장치
KR101834178B1 (ko) * 2017-07-19 2018-03-05 임수빈 시설물용 분무식 냉각장치
KR101992157B1 (ko) * 2019-02-07 2019-06-25 신헌정 쿨링 휴계 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522038U (zh) 分体空调冷凝水回收利用节能系统
CN205424784U (zh) 一种降尘、防雾霾路灯
KR20140024158A (ko) 폭염 및 도시열섬 저감을 위한 냉각안개 분무장치
CN108043147A (zh) 喷雾器
CN200999332Y (zh) 城市道路净化喷雾防护栏
KR102162279B1 (ko) 냉각안개 분무장치
CN201407953Y (zh) 一种冷却塔出风口
KR101016181B1 (ko) 환경개선용 인조 가로수
CN105180323A (zh) 一种建筑消除雾霾除尘降温系统
CN202747299U (zh) 多功能路灯
JP2008062708A (ja) 乗客バス
CN205877953U (zh) 一种运动员休息用按摩路灯
KR20190001066U (ko) 안개쉼터
US10962291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gulating climate
CN206923428U (zh) 空中洒水喷雾灭尘装置
CN205935767U (zh) 双花坛式多媒体遮阳棚
CN211948194U (zh) 一种建筑工地喷雾降尘装置
CN101298929B (zh) 太阳能室外环境降温装置
CN204665755U (zh) 一种地铁站用旋转开启通道式蒸发冷凝装置
CN203797845U (zh) 一种立柱式多功能型喷雾设备
CN211853753U (zh) 一种除尘路灯
CN203308168U (zh) 太阳能智能降温棚
CN208566970U (zh) 适用于广告牌的干空气能蒸发冷却空调
KR101834178B1 (ko) 시설물용 분무식 냉각장치
CN102679483A (zh) 一种智能蒸发型自然风空调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