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059B1 - nostrils insertion type filter - Google Patents

nostrils insertion type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059B1
KR102162059B1 KR1020190046549A KR20190046549A KR102162059B1 KR 102162059 B1 KR102162059 B1 KR 102162059B1 KR 1020190046549 A KR1020190046549 A KR 1020190046549A KR 20190046549 A KR20190046549 A KR 20190046549A KR 102162059 B1 KR102162059 B1 KR 102162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ilia
ventilation space
filt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5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이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석 filed Critical 이진석
Priority to KR102019004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0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0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Abstract

To prevent respiratory diseases by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during breath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strils insertion type filter. The filter comprises: a body part inserted into the nostrils and having a ventilation space penetrating therethroug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esh filter part disposed across the ventilation spac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during breathing; a brush filter part including a first brush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cilia protruding from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toward the central part of the ventilation space and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nd part and a second brush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cilia protruding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toward the central part of the ventilation space and dispos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end part; and an adhesive substance applied or filled between the cilia of the first brush part and the second brush part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 the ventilation space adheres during breathing.

Description

비공 삽입형 여과기{nostrils insertion type filter}Nostrils insertion type filter

본 발명은 비공 삽입형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흡시 이물질을 여과하여 호흡기 질환이 예방되는 비공 삽입형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stril insertion type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stril insertion type filter that prevents respiratory diseases by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during breathing.

일반적으로 황사, 꽃가루, 세균 등을 포함하는 먼지는 공기와 함께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유입되기 쉬우며, 이러한 먼지로 인하여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면 호흡기 또는 알레르기 질환 등의 각종 질병을 야기시킨다. 특히, 배기가스나 분진의 발생량이 많은 장소에서 일하는 경찰관, 주차관리요원, 광부, 건설 또는 산업현장의 작업자 등은 호흡기를 통해 오염된 공기나 유해한 중금속 분말가루에 노출되기 쉽다. 이러한 중금속의 경우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건강에 더욱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시킨다. 더욱이, 최근들어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유입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은 개인을 넘어 국가적인 문제로 그 위험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In general, dust including yellow sand, pollen, bacteria, etc.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body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together with air, and when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due to such dust, various diseases such as respiratory or allergic diseases are caused. In particular, police officers, parking management personnel, miners, workers at construction or industrial sites, etc. who work in places where exhaust gas or dust is generated are likely to be exposed to contaminated air or harmful heavy metal powder through a respirator. These heavy metals are classified as carcinogens and cause more fatal health problems. Moreover, in recent years, the inflow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danger of air pollution due to such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is gradually emerging as a national problem beyond individuals.

한편, 오염된 공기가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안면을 커버하는 마스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block contaminated air from entering the respiratory tract, a mask that covers the face is mainly used.

상세히, 상기 마스크는 코와 입을 동시에 커버하는 면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고리가 형성되어 귀에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먼지 등의 입자에 대한 차단율에 따라 다양한 모델로 개시된다.In detail, the mask is formed in an area covering both the nose and the mouth at the same time, and rings are formed at both ends so that the mask can be fastened to the ear. These masks are disclosed in various models according to the blocking rate for particles such as dust.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는 코와 입을 동시에 커버하도록 얼굴에 직접 닿기 때문에 갑갑하며, 외관상 보기 좋지 않아 착용이 꺼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마스크의 차단율이 높은 경우, 통기성도 낮아지므로 호흡기가 약하거나 미성숙한 노약자의 경우 오히려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면, 상기 마스크의 차단율이 낮은 경우, 오염물질을 실질적으로 여과시키지 못하므로 효용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However, the conventional mask has a problem that it is cramped because it directly touches the face so as to cover the nose and mouth at the same time, and is reluctant to wear it because it is not good in appearance. In addition, when the blocking rate of the mask is high, breathability is also low, so that the elderly and the poor with weak or immature respiratory systems do not breathe proper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blocking rate of the mask is low, the contaminants cannot be substantially filtered, and thus the effectiveness is less than expected.

또한, 임시로 마스크를 벗고 재착용하는 경우 호흡기와 접촉되는 내면이 오염되어 실질적인 필터효과를 제공받지 못하며, 세탁 후에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상실되므로 반복적인 사용이 어려워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mask is temporarily removed and re-worn,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spirator is contaminated, so that a practical filter effect is not provided, and the fine dust blocking function is lost after washing, so it is difficult to use it repeatedly and thus economical efficiency is reduced.

더욱이, 콧대가 양측 볼보다 돌출된 안면 형상으로 인하여, 코와 양측 볼 사이에 유격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오염된 공기가 유격을 통하여 유입되며, 호흡시 체외로 발산되는 호흡공기로 인하여 눈이 건조해지거나 안경에 김이 서려 시야가 가려지는 문제가 있었다.Moreover, due to the face shape in which the nose bridge protrudes from both cheeks, a play occurs between the nose and both cheeks. For this reason,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gap,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yes become dry due to the breathing air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when breathing, or the vision is obscured by fogging in the glasses.

더불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입이 가려지므로 말을 통한 의사소통이 어려우며,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음식 섭취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mouth is covered while wearing a mask,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through words, and there is a discomfort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eat food when wearing a mask.

이에 일부에서는 콧구멍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코마스크가 일부 개시되었다.Accordingly, some of the nose masks us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nostrils have been disclosed.

상세히, 종래의 코마스크는 다공성의 모전여과재(천연섬유나 합성섬유 등의 섬유를 무작위로 뭉쳐서 충전한 다소 느슨한 상태의 여과재) 또는 여과포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코마스크를 비강에 삽입한 상태로 호흡하면 오염물질이 여과되면서 정화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In detail, the conventional nose mask is formed to have a porous parent filter material (a filter material in a somewhat loose state in which fibers such as natural fibers or synthetic fibers are randomly packed together) or a filter cloth. In addition, when breathing with such a nose mask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contaminants are filtered and purified air may be inhaled.

그러나, 종래의 코마스크 역시 통기성과 이물질 차단율이 상반되어 작용된다. 즉, 통기성이 높을 경우 차단율이 낮아지며, 반대로 차단율이 높아지면 호흡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nose mask also works because the air permeability and the foreign matter blocking rate are opposite. That is, when the ventilation is high, the blocking rate is lowered, and conversely, when the blocking rate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breathing becomes difficult.

또한, 코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경우 이물감 및 점막의 손상을 야기하며, 코가 부풀어 오르는 것과 같이 외관상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었다. 더불어, 코점막과 제품이 밀착되면서 점액의 배출량이 감소됨으로 인해 코 안이 건조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xcessive adhesion to the nose causes a foreign body sensation and damage to the mucous membrane, and has a disadvantage of adversely affecting the appearance such as swelling of the nos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ide of the nose becomes dry because the discharge of mucus is reduced as the produc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asal mucosa.

반대로, 콧구멍보다 작은 부피로 형성되면, 밀착력이 낮아져 비공과 제품 사이의 틈으로 여과되지 못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므로, 실질적인 필터링 효과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날숨에서 공기의 발산시 코마스크가 탈거되거나 들숨에서 비강측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contrary, if it is formed in a volume smaller than the nostril, the adhesion is lowered and contaminated air that cannot be filtered is introduced into the gap between the nostril and the produc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a substantial filtering effect is not provided. Moreo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ose mask is removed when air is released from exhalation or flows into the nasal cavity from inhalation.

더불어, 코마스크를 코에 고정하는 클립 등의 고정수단이 노출되어 심미감이 저하되므로 사용자가 코마스크를 사용하기 꺼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reluctant to use the nose mask because the aesthetic feeling is deteriorated due to exposure of a fixing means such as a clip for fixing the nose mask to the nose.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77105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0-007710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흡시 이물질을 여과하여 호흡기 질환이 예방되는 비공 삽입형 여과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stril insertion type filter that prevents respiratory diseases by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during respiration.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공에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통기공간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비공과 상기 통기공간이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부; 호흡시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상기 통기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메시필터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 내면으로부터 상기 통기공간의 중심부측으로 기설정된 각도에 대응하여 상향 경사지게 돌설되는 복수개의 섬모를 포함하는 제1브러시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 내면으로부터 상기 통기공간의 중심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설되는 복수개의 섬모를 포함하는 제2브러시부를 포함하는 브러시필터부; 및 호흡시 상기 통기공간 내에서 유동되는 상기 이물질이 점착되도록, 상기 제1브러시부와 상기 제2브러시부의 각 섬모 사이에 도포 또는 충진되며 점성의 액체로 구비되는 점착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제1브러시부와 상기 제2브러시부는 각 중앙부측이 상기 통기공간의 중심부를 향하여 마주보게 돌설되어 상호 대칭으로 배치되되,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와류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내면 측으로 이동되되 상기 점착물질에 점착되어 재비산을 방지되도록 복수개의 상기 섬모는 상기 몸체부의 내면을 따라 상하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상호 교번 배치되도록 이격되되, 하나의 상기 섬모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하나의 상기 섬모가 상기 통기공간의 관통방향에 대응하여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돌설되며, 상기 메시필터부는 상기 비공의 내측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부의 상측 테두리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제1망사부와, 상기 제1브러시부 및 상기 제2브러시부 사이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제2망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망사부의 입경보다 상기 제2망사부의 입경이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 삽입형 여과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nostril, the vent space is formed throug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ody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so that the nostril and the vent space communicate; A mesh filter unit disposed across the ventilation spac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during breathing; A first brush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cilia protruding upwardly inclined from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to a center side of the ventilation space in correspondence with a preset angle, and a first brush part which protrudes downwardly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toward the center of the ventilation space. A brush filter unit including a second brush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ilia; And an adhesive material applied or filled between the cilia of the first brush part and the second brush part and provided as a viscous liquid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flowing in the ventilation space adheres during breathing, wherein the first The brush part and the second brush part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each central side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ventilation space,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re moved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body part by a vortex, but adhered to the adhesive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re-scattering, a plurality of the cilia are spaced apart so as to be alternately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but one of the cilia and the other cilia sp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separated from the ventilation space. A first mesh portion provided across the upper edge of the bod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first brush portion and the second brush portion are protruding so as to be disposed to be mutually displac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hrough direction, and the mesh filter portion It provides a non-hole insertion type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mesh portion provided across the gap, wherein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second mesh portion is formed larger than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first mesh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공 삽입형 여과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non-porous insertion typ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흡기시 공기의 유입방향에 대응하여 상향 경사진 제1브러시부는 공기의 유입압력에 의해 각 섬모의 외측단부간 간격이 벌어지도록 탄발 변형되어 공기가 원활히 유입되면서도, 이와 대칭으로 하향 경사진 제2브러시부는 각 섬모의 단부측이 가압되면서 더욱 조밀한 그물구조를 형성하므로 이물질 여과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brush that is inclined upward in response to the inflow direction of air during inhalation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outer ends of each cilia is widened by the inflow pressure of air, so that the air flows in smoothly, while the first brush is inclined downward symmetrically. 2 The brush part forms a more dense net structure as the end side of each cilia is pressed, so that the ability to filter foreign matt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둘째, 상기 제1브러시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됨에 따라 호기시 섬모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물질이 복수개의 상기 섬모가 돌설된 상기 몸체부의 내면측으로 도포 또는 충진된 상태가 점성에 의해 유지되므로 외부로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심미감이 개선될 수 있다.Second, as the first brush part is provided to be inclined upwar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body part, exposure of cilia during exhalation may be prevented, and the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or filled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body part on which the plurality of cilia protrudes. Since the is maintained by viscosity, the aesthetics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flow to the outside.

셋째, 호흡시 공기가 상기 브러시필터부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이동되는 이물질이 상기 점착물질에 점착 고정되어 통기공간 내에서의 재비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점착물질이 관통공을 통해 비공측으로 유동되어 코 내부의 습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Third, foreign matters that are moved by the vortex generated while air passes through the brush filter unit during breathing are adhered and fixed to the adhesive material to prevent re-scattering in the ventilation space, and the adhesive material is nostril through the through hole. It flows to the side so that the humidity inside the nose can be stably maintained.

넷째,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각 섬모의 내측일단과 내측타단이 정렬 배치되도록 돌설되어 나선형의 공기유로가 형성됨에 따라 호흡시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유동되므로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이 몸체부 내면측으로 이동되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메시필터부가 이물질에 의해 차폐 또는 파손됨이 최소화될 수 있다.Fourth, the inner one end and the inner end of each cilia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jected to be aligned and arranged to form a spiral air flow path, so the air flows while forming a vortex during breathing, so foreign substances are mov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by centrifugal force. It can be effectively removed, and shielding or damage of the mesh filter unit by foreign substances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 삽입형 여과기가 코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 삽입형 여과기에서 섬모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 삽입형 여과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ostril insertion typ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nose.
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ilia are arranged in the non-hole insertion typ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non-hole insertion typ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공 삽입형 여과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non-hole insertion type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 삽입형 여과기가 코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 삽입형 여과기에서 섬모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ostril insertion type filter is inserted into the no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1, and FIG. 3 is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ilia are arranged in the non-pore insertion typ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 삽입형 여과기(100)는 몸체부(10), 메시필터부(20), 브러시필터부(30) 그리고 점착물질(4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non-hole insertion type fil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10, a mesh filter part 20, a brush filter part 30, and an adhesive material 40. Includes.

여기서, 상기 몸체부(10)는 비공(N)에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통기공간(11)이 관통 형성된다.Here, the body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nostril (N), and the ventilation space 11 is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세히, 상기 몸체부(10)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단면적이 원형, 타원형, 물방울형 등과 같이 상기 비공(N)의 내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세척 후 재사용이 가능한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portion 10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cross-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nostril N, such as a circular shape, an oval shape, and a water drop shape. In addition, it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can be reused after washing.

이때, 상기 몸체부(10)는 연령별 해부학적 편차를 고려한 상기 비공(N)의 크기를 대표할 수 있는 평균값에 대응하여 단면적 및 길이가 단계별로 구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부(10)는 대/중/소로 규격화되어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몸체부(10)는 각 평균값에 대응하는 단계별 비공(N) 크기에 대응되거나 이보다 미소하게 큰 부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비공(N)에 삽입시 상기 몸체부(10)의 외면이 상기 비공(N)의 내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portion 10 has a cross-sectional area and a length divided in stages corresponding to an average value representing the size of the nostril (N) taking into account anatomical deviations by age. That is, the body portion 10 may be standardized and provided in large/medium/small.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portion 10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stepped nostril (N) corresponding to each average value or is formed in a slightly larger volume than this. Through this, when the body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nostril (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may be intimat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nostril (N).

더불어,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비공(N)의 내측에 대응하는 상측(10a) 단부가 하측(10b) 단부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몸체부(10)는 하측(10b) 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동일한 단면적으로 연장되되 상측(10a) 단부의 소정의 길이간격만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몸체부(10)는 하측(10b) 단부로부터 상측(10a)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연속적으로 축소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상측(10a) 단부가 하측(10b) 단부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비공(N)에 삽입이 용이하며, 삽입 후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portion 10 has an upper end (10a)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of the nostril (N)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end (10b). In detail, the body portion 1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end portion 10b, but gradually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by a predetermined length interval of the upper end portion 10a. Alternatively, the body portion 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continuously reduced from the lower end (10b) to the upper end (10a). In this way, the upper (10a) end of the body portion (10)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lower (10b) end, so that insertion into the nostril (N) is easy, and a feeling of foreign body after insertion can be minimized.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10) 내에 여과기능을 갖는 구성들이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가 상기 비공(N) 내에 삽입되는 소형 사이즈로 구비되므로 외부로의 노출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미관상 거부감이 최소화되므로 소비자의 구매욕구 및 구매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면을 실질적으로 가리지 않으므로 갑갑함이 최소화되며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a filtration function are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0, and since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small size inserted into the nostril (N), exposure to the outside is minimized. Therefore, since the aesthetic rejection is minimized, the consumer's purchase desire and purchase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and market competitiveness can be secured based on this. In addition, since it does not substantially cover the face, cramps are minimized and communication can be facilitated.

한편, 상기 메시필터부(20)는 상기 비공 삽입형 여과기(100)를 상기 비공(N)에 삽입한 상태에서 호흡시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상기 통기공간(11)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필터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통기공간(11)의 중심부측으로 돌설되는 복수개의 섬모(33,34)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sh filter unit 20 is disposed across the ventilation space 11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when breathing in the state where the nostril insertion type filter 100 is inserted into the nostril (N). In addition, the brush filter part 30 includes a plurality of cilia 33 and 34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 toward the center of the ventilation space 11.

상세히, 상기 메시필터부(20)는 소정의 입경을 가지는 망사 구조로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세척이 가능하면서도 입경 사이즈가 유지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금속 재질의 망사가 상기 몸체부(10)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부(10)의 테두리를 따라 인서트 사출되거나 융착 고정되어 상기 메시필터부(20)로서 구비될 수 있다.In detail, the mesh filter unit 20 is provided in a mesh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particle diameter,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can be cleaned while being fixed to the body portion 10 while maintaining the particle size. Do. That is, it may be provided as the mesh filter part 20 by insert-injecting or fusion fixing along the rim of the body part 10 so that the metal mesh is disposed across the body part 10.

그리고, 상기 브러시필터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통기공간(11)의 중심부측으로 돌설되는 복수개의 상기 섬모(33,34)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섬모(33,34)는 상기 비공(N) 내부의 실제 비모(鼻毛,코털)와 유사한 형상으로 돌설되며, 상기 비모와 대응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통기공간(11)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와 접촉되는 표면적을 증가시키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brush filter part 30 includes a plurality of the cilia 33 and 34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 toward the center of the ventilation space 11. Here, the plurality of cilia 33 and 34 protrude in a shape similar to the actual non-hair (nose hair) inside the nostril N, and perform a role corresponding to the non-hair. That is, it serves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while increasing th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the air flowing through the ventilation space 11.

이때, 복수개의 상기 섬모(33,34)는 경량이면서도 얇은 두께로 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인조모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내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부(10)에 복수개의 상기 섬모(33,34)의 내측단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the cilia 33 and 34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rtificial hair that is lightweight and easy to shape with a thin thickness. In addition, the inner ends of the plurality of cilia 33 and 34 may be inserted into the body 10 so as to be firm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to be integrally molded.

이러한 브러시필터부(30)는 제1브러시부(31)와 제2브러시부(32)가 상기 통기공간(11)의 상측(10a) 및 하측(10b)으로 구분되어 다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rush filter part 30 is provided in multiple stages by dividing the first brush part 31 and the second brush part 32 into the upper side 10a and the lower side 10b of the ventilation space 11. .

상세히, 상기 제1브러시부(31)는 복수개의 상기 섬모(33)가 상기 몸체부(10)의 하측(10b) 내면으로부터 상기 통기공간(11)의 중심부측으로 돌설된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섬모(33)는 상기 통기공간(11)의 중심부측으로 돌설된 단부로 갈수록 기설정된 각도(d1)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브러시부(32)는 복수개의 상기 섬모(34)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10a) 내면으로부터 상기 통기공간(11)의 중심부측으로 돌설된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섬모(34)는 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브러시부(31)와 상이한 각도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first brush part 31 has a plurality of the cilia 33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ide 10b of the body part 10 toward the center of the ventilation space 11.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cilia 33 are disposed to be inclined to correspond to a preset angle d1 toward an end protruding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ventilation space 11. In addition, the second brush part 32 has a plurality of the cilia 34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ide 10a of the body part 10 toward the center of the ventilation space 11.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cilia 34 are disposed to be inclined to correspond to different angles from the first brush part 31 toward the end.

여기서, 상기 제1브러시부(31) 및 상기 제2브러시부(32)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상기 섬모(33,34)는 실질적으로 형상이 동일한 것으로서, 돌설된 위치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plurality of cilia included in the first brush part 31 and the second brush part 32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nd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protruding position. Do.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호흡시 상기 통기공간(11)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가 상기 브러시필터부(30)와 상기 메시필터부(20)를 통해 다중으로 여과됨으로써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므로 공기 정화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시필터부(20)와 상기 브러시필터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므로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은 최대한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원활한 흡입 및 배출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하게 호흡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entilation space 11 is filtered through the brush filter unit 30 and the mesh filter unit 20 when breathing, so that foreign substances are effectively removed. It can be improved. At this time, since the mesh filter unit 20 and the brush filter unit 30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unit 10, a space through which air flows may be formed to a maximum. Therefore, since it is possible to smoothly inhale and discharge air, the user can breathe comfortably.

더욱이, 본 발명은 여과망 또는 섬모층만이 개별 구성되던 종래의 코필터보다 공기 정화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으며, 스펀지와 같은 다공질 형태로 구비되는 코필터보다 호흡시 불편함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공 삽입형 여과기(100)는 공기가 원활히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이물질 여과능이 향상될 수 있는 시너지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Moreo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may b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a conventional nasal filter in which only a filter net or a ciliary layer is individually configured, and discomfort during breathing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a nasal filter provided in a porous form such as a sponge. That is, the non-pore insertion type fil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ynergistic effect in which the ability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an be improved while securing a space through which air can flow smoothly.

한편, 상기 점착물질(40)은 상기 제1브러시부(31)와 상기 제2브러시부(32)의 각 상기 섬모(33,34) 사이에 도포 또는 충진되는 점성의 액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호흡시 상기 통기공간(11) 내에서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복수개의 상기 섬모(33,34)에 의해 여과되되 상기 점착물질(40)에 점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흡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기 통기공간(11)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이물질이 상기 메시필터부(20)를 차폐함을 방지하므로 제품을 통해 공기정화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간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Meanwhile, the adhesive material 40 is preferably provided as a viscous liquid applied or filled between the cilia 33 and 34 of the first brush part 31 and the second brush part 32. . Accordingly, foreign matter in the air flowing in the ventilation space 11 during breathing may be filtered by the plurality of cilia 33 and 34 and adhered to and fixed to the adhesive material 40. Accordingly, since foreign matter scattered inside the ventilation space 11 by the flow of air during breathing is prevented from shielding the mesh filter unit 20, the period during which the air purification effec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product is remarkably Can increase.

이때, 상기 점착물질(40)은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상기 이물질이 점착될 수 있으며, 상기 비공 삽입형 여과기(100)를 세척시 물에 쉽게 용해되어 제거될 수 있는 액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주변에서 쉽게 획득 가능하면서도 독성이 없는 꿀 또는 조청 등이 상기 점착물질(40)로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바세린 또는 비강 내 적용 가능한 약품류도 상기 점착물질(40)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adhesive material 40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the foreign material may adher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material 40 is provided as a liquid that can be easily dissolved in water and removed when washing the non-pore insertion type filter 100. For example, honey or jocheong that can be easily obtained from the surroundings and is not toxic may be provided as the adhesive material 40. Of course, petrolatum or pharmaceuticals applicable to the nasal cavity may also be provided as the adhesive material 40 in some cases.

더욱이, 상기 점착물질(40)에 항균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유기물질에 대한 살균 및 분해능이 부여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점착물질(40)에 아로마 오일 등을 혼합하여 도포 또는 충진함으로써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 효과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Furthermore, by mixing and using an antimicrobial component in the adhesive material 40, sterilization and resolution of orga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may be imparted. Alternatively, an aromatherapy effect may be provided by applying or filling the adhesive material 40 by mixing an aroma oil or the like.

한편, 상기 제1브러시부(31)는 복수개의 상기 섬모(33)가 상기 몸체부(10)의 하측(10b) 내면으로부터 상기 통기공간(11)의 중심부측으로 기설정된 각도(d1)에 대응하여 상향 경사지게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브러시부(32)는 복수개의 상기 섬모(34)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10a) 내면으로부터 상기 통기공간(11)의 중심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브러시부(32)의 각 상기 섬모(34)는 상기 제1브러시부(31)의 각 상기 섬모(33)와 상이한 각도(d2)로 하향 경사지게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브러시부(31)와 상기 제2브러시부(32)는 각 영역의 상호 마주보는 섬모(33,34)가 'V'자형 및 뒤집어진 'V'자형으로 대칭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brush part 31 has a plurality of the cilia 33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ngle (d1)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ide (10b) of the body part 10 toward the center of the ventilation space (11).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upwardly. In addition, in the second brush part 32,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cilia 34 protrude downwardly inclin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ide 10a of the body part 10 toward the center of the ventilation space 11. In this case, each of the cilia 34 of the second brush part 32 is preferably protruded downward at an angle d2 different from each of the cilia 33 of the first brush part 31. That is, the first brush part 31 and the second brush part 32 are preferably arranged symmetrically in a'V' shape and an inverted'V' shape in which the cilia 33 and 34 facing each other in each region are Do.

더욱이,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상기 섬모(33A,33B,33E)는 상기 몸체부의 내면(10c)을 따라 상하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상호 교번 배치되도록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상기 섬모(33A)는 그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격된 한쌍의 상기 섬모(33B,33E)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referring to FIG. 3,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cilia 33A, 33B, and 33E are spaced apart so as to be alternately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urface 10c of the body portion. That is, one of the cilia (33A)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the cilia (33B, 33E) spaced from the upper or lower side thereof.

여기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섬모(33A,33B)는 상기 통기공간(11)의 관통방향으로부터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면(10c)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상기 섬모(33A)의 내측일단(33c)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하나의 상기 섬모(33B)의 내측타단(33d)은 상기 통기공간(11)의 관통방향에 대응하여 정렬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상기 섬모(33A,33B)는 상기 몸체부의 내면(10c)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면서 그 사이로 나선형의 공기유로(b)가 형성된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ilia 33A and 33B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from the through direction of the ventilation space 11 and protrude in a spiral along the inner surface 10c of the body part. That is, the inner end (33c) of one cilia (33A) and the inner end (33d) of the other cilia (33B)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aligned and arrang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hrough direction of the ventilation space (11). do. In this way, a plurality of the cilia (33A, 33B)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arranged in a spiral along the inner surface (10c) of the body portion, and a spiral air passage (b) is formed therebetween.

따라서, 상기 통기공간(11)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각 상기 섬모(33A,33B)의 내측일단(33c) 및 내측타단(33d)이 정렬 배치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차폐된 형상(도 3의 x부분 참조)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호흡시 공기가 상기 통기공간(11)과 평행하게 유동되지 못하고 상기 나선형의 공기유로(b)를 따라 회전 이동되면서 와류(e)가 형성된다. Therefore, the ventilation space 11 is substantially shie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inner one end 33c and the inner other end 33d of each of the cilia 33A and 33B sp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aligned and disposed (Fig. 3). (See section x of). Accordingly, when breathing, air does not flow in parallel with the ventilation space 11 and rotates along the spiral air flow path b, thereby forming a vortex e.

이때,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와류(e)를 따라 이동되되 원심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내면(10c)측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점착물질(40)이 복수개의 상기 섬모(33A,33B,33E) 사이에 도포 또는 충진되므로 이동된 이물질이 점착됨에 따라 호흡시 재비산이 방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s moved along the vortex (e), but is moved toward the inner surface (10c) side of the body portion by centrifugal force. Here, since the adhesive material 40 is applied or fi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cilia 33A, 33B, and 33E, re-scattering during respiration can be prevented as the moved foreign matter adheres.

상세히, 흡기시 상기 통기공간(11)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브러시부(31)를 통과하되, 상기 제1브러시부(31)에 구비된 복수개의 상기 섬모(33)의 경사방향과 공기의 유입방향이 대응되므로 빠른 와류가 형성된다. 또한, 공기의 유입압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의 상측(10a)으로 복수개의 상기 섬모(33)가 탄발 변형되면서 상기 통기공간(11)의 중심부측에 대응하는 외측단부간의 간격이 벌어지며, 공기의 유입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물질은 와류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몸체부(10)의 내면측으로 신속하게 밀착되면서 1차로 여과된다.In detail, the air introduced into the ventilation space 11 when inhaling passes through the first brush part 31, but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air of the plurality of cilia 33 provided in the first brush part 31 Since the inflow direction of is corresponding, a fast eddy current is formed. In addition, as the plurality of cilia 33 are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upper side 10a of the body 10 by the inflow pressure of air, the gap between the outer ends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side of the ventilation space 11 is widened. In addition, the air inflow area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the foreign matter is firstly filter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in proportion to the eddy current velocity.

그리고, 상기 제1브러시부(31)에서 1차 여과된 공기가 상기 제2브러시부(32)를 통과하되, 상기 제2브러시부(32)에 구비된 복수개의 상기 섬모(34)의 경사방향이 공기의 유입방향과 반대로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상기 섬모(34)가 공기의 유입압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의 상측(10a)으로 탄발 변형되면서 상호간에 더욱 조밀한 그물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1차 여과된 공기가 상기 제2브러시부(32)를 통과하면서 더욱 미세한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어 공기의 정화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first filtered by the first brush part 31 passes through the second brush part 32, but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cilia 34 provided in the second brush part 32 It is formed opposite to the inflow direction of this air.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cilia 34 are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upper side 10a of the body 10 by the inflow pressure of air, thereby forming a more dense net structure with each other. Through this, as the first filtered air passes through the second brush part 32, finer foreign matter may be filtered, so that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air may be remarkably improved.

여기서, 상기 브러시필터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하로 구분되되 각 상기 섬모(33,34)의 중심부가 마주보도록 대칭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브러시부(31)와 상기 제2브서리부(32)를 구성하는 각 상기 섬모(33,34)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 중심부측으로 마주보게 대칭으로 돌설된다. 이에 따라, 각 상기 섬모(33,34)는 외측단부로 갈수록 상기 몸체부(10)의 상측(10a) 및 하측(10b)의 개구부의 이격간격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brush filter part 30 is divided up and down of the body part 10 but is formed to be symmetrically inclined so that the centers of the cilia 33 and 34 face each other. That is, each of the cilia (33, 34) constituting the first brush part (31) and the second brush part (32) is symmetrically protruded toward the cen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 Accordingly, each of the cilia 33 and 34 may have a larger spacing between the openings of the upper side 10a and the lower side 10b of the body 10 toward the outer end.

이에 따라, 호흡시 공기의 압력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섬모(33,34)가 탄발 변형되더라도 상기 비공(N)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브러시부(31)와 상기 제2브러시부(32)의 경사방향이 호기시 공기의 유동방향과 흡기시 공기의 유동방향에 교번 대응되므로 와류 형성을 통한 여과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브러시부(31)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설됨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섬모(33) 사이에 도포 또는 충진되는 상기 점착물질(40)이 외부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품을 사용시 불편감이 현저히 감소되며 심미적 만족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plurality of cilia 33 and 34 ar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pressure of the air during breathing, exposure of the nostril N to the inside or outsid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inclined directions of the first brush part 31 and the second brush part 32 alternately correspond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during exhalation and the flow direction of air during inhalation, the filtering ability through vortex formation can be further improved. have. Moreover, as the first brush part 31 protrudes obliquely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 the adhesive material 40 applied or fi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cilia 33 is prevented from flowing down to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Through this, discomfort when using the product is remarkably reduced and aesthetic satisfaction can be further improv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메시필터부(20) 및 상기 브러시필터부(30)에서의 여과 기능과 함께 호흡시 발생하는 와류에 의한 원심분리 기능을 통하여 공기 중의 이물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호흡시 공기가 상기 통기공간과 평행하게 유동되지 않고 나선형으로 와류(e)를 형성하며 이동되므로 상기 메시필터부(20)가 공기 및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압력으로 파손됨이 최소화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matters in the air may be more effectively removed through a filtration function in the mesh filter unit 20 and the brush filter unit 30 and a centrifugal separation function due to a vortex generated during breathing. In addition, since air does not flow in parallel with the ventilation space and moves while forming a vortex (e) in a spiral during breathing, damage to the mesh filter unit 20 due to pressure caused by the inflow of air and foreign substances can be minimized. .

더불어, 상기 몸체부(10)에는 상기 비공(N)과 상기 통기공간(11)이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관통공(1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 so that the nostrils N and the ventilation spaces 11 communicate.

상세히, 상기 관통공(12)은 상기 몸체부(10)의 전체적인 표면적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복수개의 상기 섬모(33,34)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코점막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액이 상기 관통공(12)을 통해 상기 통기공간(11)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점액이 상기 점착물질(40)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는, 복수개의 상기 섬모(33,34) 사이에 도포 또는 충진된 상기 점착물질(40)이 상기 관통공(12)을 통해 상기 비공(N)측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In detail, the through-hole 12 is preferably formed in a plurality along the overall surface area of the body portion 10, and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ilia (33, 34). At this time, mucus discharged from the nasal mucosa may flow into the ventilation space 11 through the through hole 12, and the mucus may function as the adhesive material 40. Alternatively, the adhesive material 40 coated or fi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cilia 33 and 34 may be moved toward the nostril N through the through hole 12.

이와 같이, 상기 비공(N) 내면이 상기 몸체부(10)의 외면과 밀착되되 복수개의 상기 관통공(12)을 통해 상기 비공(N)과 상기 통기공간(11)이 연통되므로 코점막이 건조해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inner surface of the nostril (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but the nostril (N) and the ventilation space (1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so that the nasal mucosa is dried. It can prevent fraying.

한편, 상기 메시필터부(20)는 제1망사부(21)와 제2망사부(22)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공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mesh filter part 20 includes a first mesh part 21 and a second mesh part 22, and is preferably provid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ntilation space 11.

상세히, 상기 제1망사부(21)는 상기 몸체부(10)의 상측(10a) 테두리를 가로질러 구비되며, 상기 제2망사부(22)는 상기 제1브러시부(31)와 상기 제2브러시부(32) 사이를 가로질러 구비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통기공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차로 배치되는 상기 메시필터부(20) 및 상기 브러시필터부(30)를 통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mesh portion 21 is provided across the upper edge (10a) of the body portion 10, the second mesh portion 22 is the first brush portion 31 and the second It is provided across the brush part (32).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ing ability of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may be remarkably improved through the mesh filter unit 20 and the brush filter unit 30 intersecting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ntilation space 11.

이때, 상기 제1망사부(21)의 입경(m1)보다 상기 제2망사부(22)의 입경(m2)이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통기공간(1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압력이 상기 제1브러시부(31) 및 상기 제2망사부(2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완충됨에 따라 미세한 입경을 가지는 상기 제1망사부(21)가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cle diameter m2 of the second mesh portion 22 is larger than the particle diameter m1 of the first mesh portion 21. That is, the first mesh having a fine particle diameter as the inlet pressure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entilation space 11 is buff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brush part 31 and the second mesh part 22 sequenti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rt 21 from being damaged.

또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브러시부(31)와 상기 제2망사부(22) 그리고 상기 제2브러시부(32)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최대한으로 여과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망사부(21)를 통과하기 전의 공기 내에 이물질 잔존량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제1망사부(21)가 이물질에 의해 폐쇄됨을 방지하여 여과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introduced air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first brush part 31, the second mesh part 22, and the second brush part 32,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re filtered to the maximum. Accordingly, since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air before passing through the first mesh portion 21 is minimized, the first mesh portion 21 is prevented from being closed by foreign substances,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filtration efficiency.

한편, 상기 비공 삽입형 여과기(100)는 각 비공(N)에 대응하여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한쌍의 제품이 복수개의 묶음으로 세트화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비공 삽입형 여과기(100)는 5쌍의 묶음이 하나의 세트로 제조 및 판매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on-hole insertion type filter 10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air corresponding to each nostril (N), and such a pair of products is preferably provided by being set in a plurality of bundles. For example, the non-hole insertion type filter 100 may be manufactured and sold as a set of 5 pairs.

이때, 상기 비공 삽입형 여과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시필터부(20) 및 상기 브러시필터부(30)의 다층 구조를 통한 여과 기능, 나선형 공기유로를 통한 원심분리 기능 및 상기 점착물질(40)을 통한 이물질의 고정 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받는다. 따라서, 공기 정화기능이 현저히 향상되면서도 이러한 공기 정화기능을 장시간 제공받을 수 있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공 삽입형 여과기(100)는 한쌍을 상기 비공(N)에 삽입시 2시간 이상 공기 정화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한 제품은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며, 쓰레기 발생량이 감소되므로 친환경적이다.At this time, the non-hole insertion type filter 100 has a filtration function through a multilayer structure of the mesh filter unit 20 and the brush filter unit 30 as described above, a centrifugal separation function through a spiral air flow path, and the adhesive material ( 40), the function of fixing foreign substances is provided in combination. Accordingly, while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is remarkably improved, such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can be provided for a long time. Substantially, when a pair of the non-hole insertion type fil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nostril (N), the air purification ability may be maintained for 2 hours or more. In addition, the used product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be washed and reused, and it is eco-friendly because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is reduc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 삽입형 여과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 탄성부(14) 및 그립부(13)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non-hole insertion typ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elastic portion 14 and the grip portion 13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비공 삽입형 여과기(100A)는 상기 몸체부(10)의 외면을 감싸는 상기 탄성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 the non-hole insertion type filter (100A) may further include the elastic portion 14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상세히, 상기 탄성부(14)는 외력에 의해 부피가 압축되되 상기 비공(N)에 삽입시 부피가 복원되면서 상기 비공(N)의 내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14)는 실리콘, 고무 또는 스펀지 재질과 같이 원래 부피로 자동으로 복원되면서도 쿠션감을 가지는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volume of the elastic part 14 is compressed by an external force, but when the volume is restored when inserted into the nostril N, the volume may be intimat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nostril 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portion 14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ushioning feeling while automatically restored to its original volume, such as a silicone, rubber, or sponge material.

그리고, 상기 몸체부(10)는 연령별 해부학적 편차를 고려한 상기 비공(N)의 크기를 대표할 수 있는 평균값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되,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메시필터부(20) 및 상기 브러시필터부(30)가 외부 충격 및 압력에 의해 파손됨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탄성부(14)가 상기 비공(N)의 내면에 부드럽게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공 삽입형 여과기(100A)를 상기 비공(N)에 삽입한 상태에서 이물감 및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비공(N)이 실질적으로 굴곡진 비정형의 내면 형상을 가지더라도 상기 몸체부(10)의 외면과 상기 비공(N) 사이의 간극을 상기 탄성부(14)가 탄력적으로 채움에 따라 제품이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an average value representing the size of the nostril (N) in consideration of anatomical variation according to age,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Through this, while preventing the mesh filter part 20 and the brush filter part 30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impact and pressure, the elastic part 14 can be gently and clos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nostril (N). have. Accordingly, a feeling of foreign body and discomfort can be minimized in a state in which the nostril insertion type filter 100A is inserted into the nostril N. In addition, even if the nostril (N) has a substantially curved atypical inner surface shape, as the elastic portion 14 elastically fills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nostril (N) The product can be stably inserted and fixed.

여기서, 상기 탄성부(14)에도 상기 몸체부(11)에 형성된 관통공(12)과 연통되는 연통공(14a)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탄성부(14)는 다공질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관통공(12)이 상기 비공(N)의 내부와 연통될 수도 있다.Here, the elastic part 14 may also have a communication hole 14a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12 formed in the body part 11. Of course, in some cases, the elastic portion 14 may be provided in a porous structure, through which the through hole 12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nostril (N).

더불어, 상기 몸체부(10)의 내면에는 취부수단의 단부가 걸림되도록 폭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된 그립부(13)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rip portion 13 protruding or depressed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mounting means is engaged.

예컨대, 상기 그립부(13)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내면을 따라 폭방향으로 함몰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손톱 또는 핀셋 등의 취부수단이 상기 그립부(13)에 걸리게끔 조작한 후 상기 비공(N)의 외측으로 당기기만 하면 상기 비공 삽입형 여과기(100A)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rip part 13 may be formed as a groove recessed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 as shown in the drawing. 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nostril insertion type filter 100A by simply pulling it to the outside of the nostril N after manipulating the mounting means such as a fingernail or tweezers to be caught in the grip part 13.

이때, 상기 그립부(13)가 상기 몸체부(10)의 폭방향과 대응되도록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비공 삽입형 여과기(100A)를 삽입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므로, 사용자의 심미적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클립 또는 별도의 부재가 코의 외측을 압박하여 고정되던 종래의 코필터에 비해 코 외부의 긁힘 또는 국소적 압막감에 의한 불편함이 근본적으로 제거되므로 사용만족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ip part 13 is formed to protrude or recess so as to correspond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 Through this, since the portion substan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non-hole insertion type filter 100A is inserted is minimized, the aesthetic satisfaction of the us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discomfort caused by scratches or local pressure on the outside of the nose is fundamentally eliminat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nose filter in which a clip or a separate member is fixed by pressing the outside of the nose, the user satisfaction can be further improved.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비공 삽입형 여과기(100,100A)는 복수개의 상기 섬모(33,33A,33B,33E,34)가 상하 및 좌우로 교번 배치된 상기 브러시필터부(30)와 망사 구조의 상기 메시필터부(20)가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단 배치된다. 이에 따라, 공기 중의 이물질이 다중 여과됨으로써 공기정화능이 현저히 향상되면서도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이 최대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편하게 호흡할 수 있다.As such, the non-pore insertion type filter (100,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rush filter unit 30 in which a plurality of the cilia (33, 33A, 33B, 33E, 34) are alternately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the mesh structure The filter part 20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 and is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ly, the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is remarkably improved by multiple filtering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nd the space through which the air flows is formed to the maximum so that the user can breathe comfortably.

이때, 상기 브러시필터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하로 구분되되 각 중심부가 마주보도록 대칭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흡기시 공기의 유입방향에 대응하여 상향 경사진 상기 제1브러시부(31)는 공기의 유입압력에 의해 각 상기 섬모(33)의 외측단부간 간격이 벌어지도록 탄발 변형되어 공기가 원활히 유입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브러시부(31)와 대칭으로 하향 경사진 상기 제2브러시부(32)는 각 상기 섬모(32)의 외측단부측이 공기의 유입방향에 대응하여 가압되면서 더욱 조밀한 그물구조를 형성하므로 이물질 여과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rush filter part 30 is divided up and down of the body part 10 and is formed to be symmetrically inclined so that the centers thereof face each other. Through this, the first brush part 31 inclined upwar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flow direction of air during inhalation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outer ends of each of the cilia 33 is widened by the inflow pressure of the air, so that the air is smoothly Can be introduce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brush part 32 inclined downwar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brush part 31 is a more dense net as the outer end side of each of the cilia 32 is pressed in response to the inflow direction of air. Since it forms a structure, the ability to filter foreign matt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제1브러시부(31)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됨에 따라 호기시 상기 섬모(33)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섬모(33)가 돌설된 상기 몸체부의 내면(10c)측으로 상기 점착물질(40)이 도포 또는 충진된 상태가 점성에 의해 유지되므로 외부로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심미감이 개선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first brush part 31 is provided to be inclined upward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 exposure of the cilia 33 during exhalation may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material 40 is applied or filled to the inner surface (10c) side of the body portion on which the plurality of cilia 33 is protruded is maintained by viscosity, flow to the outside is prevented to improve aesthetics. Can be.

이때,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각 상기 섬모(33A,33B)의 내측일단(33c)과 내측타단(33d)이 정렬 배치되도록 돌설되어 나선형의 공기유로(b)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호흡시 공기가 와류(e)를 형성하면서 유동되므로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이 상기 몸체부의 내면(10c)측으로 이동되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메시필터부(20)가 이물질에 의해 차폐 또는 파손됨이 최소화되므로 제품의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one end (33c) and the inner end (33d) of each of the cilia (33A, 33B) sp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truded so as to be aligned and arranged to form a spiral air passage (b). Through this, since the air flows while forming a vortex (e) during breathing, foreign substances are moved to the inner surface (10c) side of the body portion by centrifugal force and can be effectively removed. At the same time, since the mesh filter unit 20 is minimized to be shielded or damaged by foreign substances, the service life of the product may be significantly extended.

더불어, 복수개의 상기 섬모(33,33A,33B,33E,34) 사이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점성의 상기 점착물질(40)이 도포 또는 충진된다. 이에 따라, 와류(e)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내면(10c)측으로 이동된 이물질이 점착 고정되어 상기 통기공간(11) 내에서의 재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물질(40)이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관통공(12)을 통해 비공(N)측으로 유동되어 코 내부의 습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scous adhesive material 40 is applied or fi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cilia (33, 33A, 33B, 33E, 34). Accordingly, foreign matters moved toward the inner surface 10c of the body portion are adhered and fixed by the vortex e to prevent re-scattering in the ventilation space 11. In addition, the adhesive material 40 flows toward the nostril (N)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 so that the humidity inside the nose can be stably maintained.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hav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otherwise,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excluding components, but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몸체부 11: 통기공간
12: 관통공 20: 메시필터부
21: 제1망사부 22: 제2망사부
30: 브러시필터부 31: 제1브러시부
32: 제2브러시부 33,33A,33B,33E,34: 섬모
40: 점착물질 100: 비공 삽입형 여과기
10: body part 11: ventilation space
12: through hole 20: mesh filter part
21: first mesh part 22: second mesh part
30: brush filter part 31: first brush part
32: second brush part 33,33A,33B,33E,34: cilia
40: adhesive material 100: no hole insert type filter

Claims (5)

비공에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통기공간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비공과 상기 통기공간이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부;
호흡시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상기 통기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메시필터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 내면으로부터 상기 통기공간의 중심부측으로 기설정된 각도에 대응하여 상향 경사지게 돌설되는 복수개의 섬모를 포함하는 제1브러시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 내면으로부터 상기 통기공간의 중심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설되는 복수개의 섬모를 포함하는 제2브러시부를 포함하는 브러시필터부; 및
호흡시 상기 통기공간 내에서 유동되는 상기 이물질이 점착되도록, 상기 제1브러시부와 상기 제2브러시부의 각 섬모 사이에 도포 또는 충진되며 점성의 액체로 구비되는 점착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제1브러시부와 상기 제2브러시부는 각 중앙부측이 상기 통기공간의 중심부를 향하여 마주보게 돌설되어 상호 대칭으로 배치되되,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와류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내면 측으로 이동되되 상기 점착물질에 점착되어 재비산을 방지되도록 복수개의 상기 섬모는 상기 몸체부의 내면을 따라 상하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상호 교번 배치되도록 이격되되, 하나의 상기 섬모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하나의 상기 섬모가 상기 통기공간의 관통방향에 대응하여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돌설되며,
상기 메시필터부는 상기 비공의 내측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부의 상측 테두리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제1망사부와, 상기 제1브러시부 및 상기 제2브러시부 사이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제2망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망사부의 입경보다 상기 제2망사부의 입경이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 삽입형 여과기.
A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nostril and having a vent space formed therethrough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so that the nostril and the vent space communicate;
A mesh filter unit disposed across the ventilation spac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during breathing;
A first brush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cilia protruding upwardly inclined from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to a center side of the ventilation space in correspondence with a preset angle, and a first brush part which protrudes downwardly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toward the center of the ventilation space. A brush filter unit including a second brush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ilia; And
It includes an adhesive material applied or filled between the cilia of the first brush part and the second brush part and provided as a viscous liquid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flowing in the ventilation space adheres during breathing,
The first brush part and the second brush part are dispos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ventilation space so as to face each central part,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re mov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by a vortex. A plurality of the cilia are spaced so as to be adhered to the material to prevent re-scattering, and the cilia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It is installed so as to be displaced from each oth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through direction of the ventilation space,
The mesh filter unit includes a first mesh portion disposed across an upper edge of the bod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nostril, and a second mesh portion disposed across the first brush portion and the second brush portion, , A non-hole insertion type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second mesh portion is formed larger than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first mesh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46549A 2019-04-22 2019-04-22 nostrils insertion type filter KR1021620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549A KR102162059B1 (en) 2019-04-22 2019-04-22 nostrils insertion type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549A KR102162059B1 (en) 2019-04-22 2019-04-22 nostrils insertion type fi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059B1 true KR102162059B1 (en) 2020-10-06

Family

ID=72826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549A KR102162059B1 (en) 2019-04-22 2019-04-22 nostrils insertion type fi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0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343B1 (en) * 2020-10-07 2021-07-06 박종한 Mask that guides the air exhausted by exhalation in a specific dire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250A (en) * 2004-04-16 2004-05-10 주경록 A nose dust collector, thereof its manufactured Method.
KR200434556Y1 (en) * 2006-09-04 2006-12-22 조준휘 Nasal Implantable Wet Dust Mask
KR20100077105A (en) 2008-12-28 2010-07-07 장현수 Convenient nose-mask for foul air
KR101798821B1 (en) * 2017-06-14 2017-11-16 양영철 Naris mask
KR200485587Y1 (en) * 2017-08-08 2018-01-31 장인호 Nasal cavity insertion type mas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250A (en) * 2004-04-16 2004-05-10 주경록 A nose dust collector, thereof its manufactured Method.
KR200434556Y1 (en) * 2006-09-04 2006-12-22 조준휘 Nasal Implantable Wet Dust Mask
KR20100077105A (en) 2008-12-28 2010-07-07 장현수 Convenient nose-mask for foul air
KR101798821B1 (en) * 2017-06-14 2017-11-16 양영철 Naris mask
KR200485587Y1 (en) * 2017-08-08 2018-01-31 장인호 Nasal cavity insertion type mas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343B1 (en) * 2020-10-07 2021-07-06 박종한 Mask that guides the air exhausted by exhalation in a specific dir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487B1 (en) Functional mask
US3513839A (en) Valved nose filter
KR102036025B1 (en) A band type mask that is wear on neck
US20100108071A1 (en) Apparatuses to filter air
KR101574021B1 (en) Multi-purpose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JP2011000430A (en) Perfect protection mask
US20200061399A1 (en) Venus Flu Trap
KR20200052218A (en) Exhaust valve, the mask having the exhaust valve, and wear unit of the Mask
NL1010570C2 (en) Disposable nasal filter.
KR102162059B1 (en) nostrils insertion type filter
JP2002345985A (en) Nose respiration mask
KR102286176B1 (en) Nose mask for fine dust
KR102231415B1 (en) Nose/mouth separative mask
KR20190030427A (en) Mouthpiece and mask with the same
KR20160125733A (en) Mask
KR102379644B1 (en) Nose/mouth separative mask
KR20220075287A (en) Mask
US20210346632A1 (en) Nose respirator device
WO2007097479A1 (en) Filter for nasal cavity
KR101816637B1 (en) mask
KR101290487B1 (en) Air cleaner for nasal cavity
KR20200144883A (en) Fine dust mask
TWM611071U (en) Nasal mask filter
KR102445480B1 (en) Nose mask
KR20210136299A (en) Mask that is improved inpractic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