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691B1 - banner-pole using pocket structure - Google Patents

banner-pole using pocke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691B1
KR102161691B1 KR1020200068943A KR20200068943A KR102161691B1 KR 102161691 B1 KR102161691 B1 KR 102161691B1 KR 1020200068943 A KR1020200068943 A KR 1020200068943A KR 20200068943 A KR20200068943 A KR 20200068943A KR 102161691 B1 KR102161691 B1 KR 102161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pocket
stand
banner stan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9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종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6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41Suspended bann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5Means for mounting flags to masts
    • G09F2017/0058Means for mounting flags to masts holding 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pocket banner stand. The pocket banner stand may include: a banner pocket house provided on an installation table; a banner stand attachable/detachable to the banner pocket house; and a rod with a banner installed on the banner stand. When the pocket banner stand of the present technology is used, the difficulties of installing the banner while controlling a lane disappears, and even if the banner is installed on a tall streetlight and if the banner pocket is installed once, there is no longer the risk of having to use the equipment or install the banners using a ladder.

Description

포켓배너대{banner-pole using pocket structure}Pocket banner stand {banner-pole using pocket structure}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기술은 대체로 포켓배너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너포켓집에 탈부착 가능한 포켓배너대에 관한 것이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generally relates to a pocket banner stand, and more specifically, to a pocket banner stand detachable to a banner pocket magazine.

일반적으로 국가, 지방자치단체의 행사가 개최되는 경우 도로의 가로등, 전신주, 나무 등에 배너(20)가 많이 설치된다. 또한,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는 전시회장 등 주요 행사장 주위의 가로등, 전신주, 나무 등에도 행사를 안내하는 배너(20)가 많이 설치된다. 이러한 배너(20)는 주로 가로등, 전신주, 나무 등에 고정하는 배너대(200)를 통하여 설치된다.In general, when an event of a national or local government is held, many banners 20 are installed on streetlights, telephone poles, trees, etc. In addition, many banners 20 to guide the event are installed on street lights, telephone poles, trees, etc. around major event venues such as exhibition halls where various events are held. This banner 20 is mainly installed through a banner stand 200 fixed to a street light, a telephone pole, a tree, etc.

그러나 이러한 배너(20)는 행사가 끝나거나 다른 행사로 대체되는 경우에 해체 또는 교체하여야 하는데, 기존의 배너(20)는 배너대(2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서 배너(20)를 해체 또는 교체하기 위해서는 가로등, 전신주, 나무 등에 벨트 등으로 고정 설치한 배너대(200)를 해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banner 20 must be dismantled or replaced when the event is over or replaced by another event, and the existing banner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nner stand 200 so that in order to dismantle or replace the banner 20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disassemble the banner stand 200 fixedly installed with a belt, such as a street lamp, a telephone pole, or a tree.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1503호(2001.07.19.자 공고, "가로등의 깃발걸이장치")에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편과, 이 체결편에 수직방향으로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직봉과, 이 수직봉과 직교되도록 상기 체결편의 수평방향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평봉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봉 및 수평봉의 소정 위치에 깃발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봉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클립이 결합되는 깃대, 가로등의 소정 높이에 견고히 고정된 결속링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이 브라켓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깃대의 클립이 삽입되는 결속편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결속구, 및 상기 상부결속구의 소정 거리 하측에 고정되는 결속링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결속구에 끼움 결합된 깃대의 하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여 유동을 방지해 주는 하부결속구로 구성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31503 (announced on July 19, 2001, "flag hanging devices for streetlights") includes a fastening piece in the shape of a'b' and a fastening piece that is vertically attached and detachable to the fastening piece. A flagpole consisting of a vertical bar and a horizontal bar that is detachably coup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iece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bar so that the flag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and a clip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 A bracket that is coupled to a binding ring firmly fix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a street light, an upper binding member consisting of a binding piec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bracket and into which the clip of the flagpole is inserted,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upper binding member There is disclosed a technology consisting of a lower binding tool that is coupled to a binding ring to prevent the flow by allowing the lower end of the flagpole fitted to the upper binding tool to be inserted and fixed.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9486호(2003.07.12.자 공고, "가로등용 깃대")에는 가로등에 깃대를 고정설치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절첩가능케하는 것에 있어서, 가로등지주에 고정브라켓일측의 결착판을 고정하고 고정브라켓의 고정축부에 깃대단부를 축핀으로 회전자재되게 고정설치하되 고정브라켓의 상단부 및 측부에 체결구를 각각 설치하여 이와 대응한 깃대단부내측의 상면 및 측면에 각각 부착한 체결편에 선택적으로 끼워 체결할수 있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19486 (Announcement on July 12, 2003, "Street Light Flagpole"), in which the flagpole is fixed to the streetlight so that it can be fold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attaching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to the streetlight post. The plate is fixed and the flagpole e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ixed shaft of the fixing bracket with a shaft pin, but fasteners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side portions of the fixing bracket, respectively, and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corresponding flagpole ends. A technology for selectively inserting and fastening the device is disclosed.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가로등, 전신주, 나무 등(이하 설치대라 함)에 고정 마련되는 배너포켓집에 배너대를 탈부착함으로써 배너대의 설치가 용이한 포켓배너대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der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by attaching and attaching the banner stand to the banner pocket house fixedly provided on street lights, telephone poles, trees, etc. It is to provide technology for easy pocket banner stand.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설치대(10)에 마련되는 배너포켓집(100)과 상기 배너포켓집(100)에 탈부착되는 배너대(200) 및 상기 배너대(200)에 설치되는 배너(20)가 거치된 봉(3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der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banner pocket jib 100 provided on the installation table 10 and the banner holder 200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nner pocket jib 100 And a rod 300 on which the banner 20 installed on the banner stand 200 is mounted.

상기 배너포켓집(100)은 상기 설치대(10) 감기는 밸트(120)와 상기 밸트(120)가 관통하는 밸트체결부(110) 및 상기 배너대(200)가 삽입되는 몸체삽입구(130)를 포함하고, 상기 배너대(200)는 상기 몸체삽입구(110)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지는 몸체(210) 및 상기 몸체(210)에 마련되며, 봉(300)이 관통하는 관통홀(2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nner pocket house 100 includes a belt 120 to which the mounting table 10 is wound, a belt fastening portion 110 through which the belt 120 passes, and a body insertion port 130 into which the banner stand 200 is inserted. The banner stand 200 includes a body 210 having a shape inserted into the body insertion hole 110 and a through hole 220 provided in the body 210, and through which the rod 300 passes. can do.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 배너포켓집(100)의 상기 몸체삽입구(130) 안쪽의 면에 몸체끼움레일(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너대(200)의 상기 몸체(210)에 상기 몸체끼움레일(150)에 대응되는 몸체끼움홈(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urther includes a body fitting rail 15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insertion hole 130 of the banner pocket 100, and the body 210 of the banner stand 200 It may further include a body fitting groove 230 corresponding to the body fitting rail 150.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 몸체끼움레일(150)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ody fitting rail 150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width increases toward the bottom.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 배너포켓집(100) 하단에 배수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drainage hole 140 at the bottom of the banner pocket 100.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 배너대(200)에는 상기 배수구(140)에 대응하는 돌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240 corresponding to the drain hole 140 in the banner stand 200.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 배너대(200)에는 거치장치이용홀(2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장치이용홀(250)에 삽입하여 배너대(200)를 이동시키는 거치장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urther includes a mounting device use hole 250 in the banner stand 200, and a mounting device 500 that moves the banner stand 200 by inserting it into the mounting device use hole 250 It may further include.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 배너대(200) 하부면에 마련된 고정홀(2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대(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되, 한쪽은 상기 고정홀(250)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배너(10)의 하단을 고정하는 배너고정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further includes a fixing hole 250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nner stand 200, and is provid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table 10, and one side is fixed to the fixing hole 250 The other side may further include a banner holder 400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banner 10.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 배너포켓집(100)의 설치대(10)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되되, 단면이 'ㄷ'자 모양인 함몰형상(1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형상(170)의 양 끝 단에 마련된 경사면(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provided on a portion facing the mounting table 10 of the banner pocket 100, further includes a concave shape 170 having a'C' shape in cross section, and the concave shape 170 ) May further include inclined surfaces 160 provided at both ends.

상기에서 설명된 포켓배너대는 배너제작 설치업체들이 제일 힘들어 하는 것이 사다리 위에서 작업을 하면서 너무 위험한 경험을 많이 하게 되어 불편과 고충을 해소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개발된 것이다. 기존의 제품은 일회성으로 설치시마다 사다리를 타고 밴드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여러 번의 설치공정이 필요하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인 포켓배너대는 한번에 사다리 없이 보조장비인 거치장비(500)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중간고정대인 배너고정대(400)를 이용하여 하단부 배너고정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기술의 포켓배너대를 사용하면 차로를 통제하면서 배너설치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지며 높은 가로등에 배너(20)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한번만 배너포켓집(100)을 설치해 놓으면 더 이상의 장비사용이나 사다리를 이용해서 배너를 설치하는 위험을 감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제공해줄 수 있다.The pocket banner stand described above is developed for the safety of workers, as it is the most difficult thing for banner manufacturers and installers to experience too many dangerous experiences while working on a ladder. Existing products are one-time installations and require several installation processes to fix using a band by riding a ladder, but the pocket banner stand, a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installed using the mounting equipment 500, which is an auxiliary equipment without a ladder at once. ,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process the lower banner fixing by using the banner fixing table 400, which is an intermediate fixing table. In addition, if you use the pocket banner stand of this technology, the hassle of installing banners while controlling the lane is eliminated, and even if you install the banner 20 on a high street light, installing the banner pocket house 100 only once will use more equipment.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not having to risk the risk of installing a banner using a ladder or a ladder.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description provides only an optional concept in a simplified form for matters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main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claims, or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포켓배너대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포켓배너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례의 배너포켓집에 배너대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례의 배너포켓집에 배너대가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례의 배너포켓집에 배너대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례의 배너포켓집에 배너대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례의 배너포켓집에 배너대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례의 배너포켓집에 배너대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례의 배너포켓집에 배너대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포켓배너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포켓배너대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pocket banner stand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pocket banner un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stand is inserted into another example of a banner pocket hous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stand is inserted into another example of a banner pocket hous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stand is inserted into another example of a banner pocket hous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stand is inserted into another example of a banner pocket book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stand is inserted into another example of a banner pocket book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stand is inserted into another example of a banner pocket book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stand is inserted into another example of a banner pocket book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10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pocket banner st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11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pocket banner stand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text, like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indicate like elements.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drawings, and claim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used, and othe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arrange, construct, combine, and design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is, the components generally described herein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n various different configurations, all of which are obviously It is devised and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it forms par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express various layers (or films), regions, and shapes, the width, length, thickness, or shap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마련"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마련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provision"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one component is directly provided on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a case where an additional component is interposed therebetween.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retaining"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one component is directly mounted on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a case where an additional component is interposed therebetween.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고정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fix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one component is directly fixed to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a case where an additional component is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설치대(10)라는 용어는 예로서 가로등, 전신주, 나무 등과 같이 포켓배너대 구체적으로는 배너포켓집(100)을 설치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 mounting table 1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term encompassing all objects that can install the banner pocket house 100 in detail, such as a street lamp, a telephone pole, and a tree, for example.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clearly indic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term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the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in context, and cannot be constru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포켓배너대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포켓배너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례의 배너포켓집에 배너대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례의 배너포켓집에 배너대가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례의 배너포켓집에 배너대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례의 배너포켓집에 배너대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례의 배너포켓집에 배너대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례의 배너포켓집에 배너대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례의 배너포켓집에 배너대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포켓배너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포켓배너대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pocket banner stand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pocket banner un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stand is inserted into another example of a banner pocket hous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stand is inserted into another example of a banner pocket hous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stand is inserted into another example of a banner pocket book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stand is inserted into another example of a banner pocket book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stand is inserted into another example of a banner pocket book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stand is inserted into another example of a banner pocket book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stand is inserted into another example of a banner pocket book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10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pocket banner st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11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pocket banner stand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포켓배너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ocket banner stand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켓배너대는 설치대(10)에 마련되는 배너포켓집(100)과 상기 배너포켓집(100)에 탈부착되는 배너대(200) 및 상기 배너대(200)에 설치되는 배너(20)가 거치된 봉(30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ocket banner stand includes a banner pocket house 100 provided on an installation table 10, a banner stand 200 that is detachable from the banner pocket house 100, and a banner 20 installed on the banner stand 200. It may include (30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포켓배너대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pocket bann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한 배너포켓집(100)은 크게 밸트체결부(110)와 밸트(120), 몸체삽입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밸트(120)는 통상의 줄 또는 클램프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밸트체결부(110)는 밸트(120)가 배너포켓집(100)을 관통할 수 있는 구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밸트체결부(110)는 배너 포켓집(10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몸체삽입구(130)는 배너대(200)가 삽입될 수 있는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몸체삽입구(130)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너포켓집(100)은 벨트체결부(110)를 통해서 밸트(120)가 결합되고, 벨트(120)가 설치대(10)에 감겨서 설치대(10)에 고정할 수 있다.The banner pocket collection 100 with reference to FIG. 1 or 2 may largely include a belt fastening part 110, a belt 120, and a body insertion port 130. The belt 120 may be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string or clamp. The belt fastening part 110 may be provided as a hole through which the belt 120 may pass through the banner pocket collection 100. As an example, the belt fastening part 110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side of the banner pocket 100. The body insertion port 130 may be provided as a groove into which the banner stand 200 can be inserted. For example, the body insertion hole 130 may be provided to fa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banner pocket house 100 is coupled to the belt 120 through the belt fastening portion 110, and the belt 120 may be wound around the mounting table 10 and fixed to the mounting table 10.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한 배너대(200)는 크게 몸체(210)와 관통홀(22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는 몸체삽입구(130)에 삽입되어 끼움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관통홀(220)은 몸체(210)를 관통하는 통상의 구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관통홀(220)은 몸체(210) 상단 측면을 관통할 수 있다.The banner stand 200 with reference to FIG. 1 or 2 may largely include a body 210 and a through hole 220. The body 210 may be provided in a size and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insertion hole 130. The through hole 220 may be provided as a conventional hole penetrating the body 210. For example, the through hole 220 may penetrate the upper side of the body 210.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한 봉(300)은 몸체(210)에 마련된 관통홀(220)에 삽입되는 크기로 마련되되, 통상의 배너(20)의 한쪽 면이 결합될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된 통상의 막대이다.The rod 300 with reference to FIG. 1 or 2 is provided in a size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0 provided in the body 210, but the conventional banner 20 is provided with a length to which one side of the banner 20 can be coupled. It is a rod.

상기에서 설명된 포켓배너대는 배너포켓집(100)에 의해서 설치대(10)에 고정된 후, 배너대(200)를 삽입 또는 분리함으로써, 봉(300)에 결합된 배너(20)를 설치대(10)에서 간편하게 설치 및 철수할 수 있다.The pocket banner stand described above is fixed to the mounting table 10 by the banner pocket jib 100, and then inserting or removing the banner stand 200, thereby attaching the banner 20 coupled to the rod 300 to the mounting table 10. ) Can be easily installed and withdrawn.

한편, 도 1 또는 도 3을 참조한 배너포켓집(100)의 몸체삽입구(130)는 상부로 갈 수록 점점 넓어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배너대는 몸체삽입구(130)의 모양과 대응하도록 마련되되, 배너대의 상부 끝단의 크기가 몸체삽입구(130)의 상부 끝단의 크기보다 더 크게 마련될 수 있다. 포켓배너대는 배너포켓집(100)의 몸체삽입구(130)이 끼임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insertion port 130 of the banner pocket house 100 with reference to FIG. 1 or 3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gradually widens toward the top, and the banner stand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dy insertion port 130 , The size of the upper end of the banner stand may be provid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insertion port (130). In the pocket banner stand, the body insertion hole 130 of the banner pocket house 100 is pinched and fixed.

도 1 또는 도 6은 참조한 배너포켓집(100)에는 몸체끼움레일(15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배너대(200)에는 몸체끼움홈(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끼움레일(150)은 몸체삽입구(130) 안쪽의 한쪽 면에 돌출되도록 마련할 수 있다. 몸체끼움레일(150)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 몸체끼움홈(230)은 배너포켓집(100)의 몸체끼움레일(150)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마련할 수 있다. 배너포켓집(100)의 몸체삽입구(130)로 배너대(200)의 몸체(210)가 삽입될때, 몸체끼움레일(150)은 몸체끼움홈(230)과 결합되어 몸체(210)가 배너포켓집(100)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배너포켓집(100)에 삽입되는 배너대(200) 또는 몸체(210)와 배너포켓집(100) 사이의 유격을 줄일 수 있다.1 or 6 may further include a body fitting rail 150 in the referenced banner pocket 100, and the banner stand 200 may further include a body fitting groove 230. The body fitting rail 150 may be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one side inside the body insertion hole 130. The body fitting rail 150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width increases toward the bottom. The body fitting groove 230 may be provided as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fitting rail 150 of the banner pocket house 100. When the body 210 of the banner stand 200 is inserted into the body insertion port 130 of the banner pocket house 100, the body fitting rail 150 is combined with the body fitting groove 230 so that the body 210 is a banner pocket. It can be guided to fit into the house 100 in a sliding mann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banner stand 200 or the body 210 inserted into the banner pocket zip 100 and the banner pocket zip 100.

한편, 도 1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몸체끼움레일(150)을 각각 나란히 마련할 수도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 or 7, the body fitting rails 150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respectively.

한편, 도 1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몸체끼움레일(150) 각각을 나란히 마련하되, 사다리꼴 형상 등과 같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마련할 수 있다. 물론 몸체끼움레일(150)의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취하면서 동시에 몸체끼움레일(150) 각각을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마련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 or 8, each of the body fitting rails 150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but may b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such as a trapezoidal shape. Of course, while taking a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body fitting rail 150 is widened, each of the body fitting rails 150 may b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한편, 몸체끼움레일(150) 각각을 나란히 마련하는 대신에 몸체(210)에는 도 9 또는 도 10을 참조한 것 처럼 또 다른 밸트체결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밸트체결부(110)에 또 다른 밸트(120)를 체결하고 설치대(10)에 밸트(120)를 감음으로써 배너대(200)를 단독으로 설치대(10)에 마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stead of providing each of the body fitting rails 150 side by side, the body 210 may further include another belt fastening part 110 as shown in FIG. 9 or 10. In this case, by fastening another belt 120 to the belt fastening part 110 and winding the belt 120 on the mounting table 10, the banner stand 200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stand 10 alone.

첨부된 도 4, 도 5, 도 7, 도 8, 도 10을 참조한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켓배너대는 배너포켓집(100) 하단에 배수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구(140)는 배너포켓집(100)의 몸체삽입구(130)와 연통하는 통상의 구멍으로 마련할 수 있다. 배수구(140)는 비나 눈이 올 경우 이를 몸체삽입구(130)에 적체하기 않고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4, 5, 7, 8, and 10 The pocket banner stand may further include a drain hole 140 at the bottom of the banner pocket zip 100. The drainage port 140 may be provided as a comm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ody insertion port 130 of the banner pocket house 100. When rain or snow comes, the drain hole 140 may discharge it to the outside without accumulating it in the body insertion hole 130.

또한, 배수구(140)는 몸체삽입구(130)와 연결됨으로써, 배수구(140)를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막대를 통해서 몸체삽입구(130)에 삽입된 몸체(210)의 하단을 밀어낼 수 있다. 즉, 배수구(140)를 통해서 배너대(2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rain hole 140 is connected to the body insertion hole 130, and thus the lower end of the body 210 inserted into the body insertion hole 130 can be pushed through a rod having a size capable of penetrating the drain hole 140. That is,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separate the banner stand 200 through the drain hole 140.

또한, 배너대(200)에는 도 5, 도 8, 도 9, 도 10에서와 같이 배수구(140)에 대응하는 돌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40)는 배너대(200) 하부에 통상의 돌기로 마련할 수 있다. 돌출부(240)는 배수구(140)에 끼움고정될 수 있는 크기로 마련할 수 있다. 돌출부(240)는 배너포켓집(100)의 배수구(140)에 끼워질 수 있어 배너대(200)가 배너포켓집(100)에 긴밀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nner stand 200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240 corresponding to the drain hole 140 as shown in FIGS. 5, 8, 9, and 10. The protrusion 240 may be provided under the banner stand 200 as a conventional protrusion. The protrusion 240 may be provided in a size that can be fitted and fixed to the drain hole 140. The protrusion 240 may be fitted into the drain hole 140 of the banner pocket jib 100, so that the banner stand 200 may be closely fixed to the banner pocket jib 100.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한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켓배너대는 배너대(200)에 거치장치이용홀(250) 및 거치장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장치이용홀(250)은 배너대(200)의 전면 상단에 통상의 홈 또는 구멍을 형성하여 마련할 수 있다. 거치장비(500)는 한 예로서 손잡이(510)와 'ㄷ'자 형상의 측면구조를 가지는 헤드(520)를 포함하는 거치장비(50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거치장비(500)의 헤드(520)부분, 예를 들면 'ㄷ'자 형상의 헤드(520)부분의 하단 돌출부분을 거치장치이용홀(250)에 삽입하여 헤드(520)의 상단 돌출부분이 배너대(200)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거치장비(500)를 통하여 배너대(200)를 이동시켜 배너포켓집(100)에 삽입하거나 배너포켓집(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8 to 10 The pocket banner stand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device use hole 250 and a mounting device 500 in the banner stand 200. Mounting device use hole 250 may be provided by forming a common groove or hole in the front top of the banner stand 200. As an example, the mounting device 500 is a mounting device 500 including a handle 510 and a head 520 having a side structure of a'C' shape is expressed as an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head 520 portion of the mounting equipment 500, for example, the lower protruding portion of the'c'-shaped head 520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device use hole 250 to insert the head 520 ) By placing the upper protruding part of the banner stand 2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nner stand 200 by moving the banner stand 200 through the mounting device 500 and inserting it into the banner pocket zip 100 or removing it from the banner pocket zip 100. I can.

이러한 거치장치이용홀(250)과 거치장비(500)를 포함하는 포켓배너대는 높은 위치에 설치되더라도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배너를 간편하게 설치 및 회수할 수 있다. 한편, 거치장비(500)는 배수구(140)를 통해서 배너대(200) 하부를 밀어서 배너대(200)를 1차적으로 일부 분리할 수도 있다.The pocket banner stand including the mounting device use hole 250 and the mounting device 500 can be easily installed and retrieved without using a ladder, even if it is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equipment 500 may primarily separate part of the banner stand 200 by push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anner stand 200 through the drainage hole 140.

상기 헤드(520)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배너대(200)를 배너포켓집(100)에 삽입하거나 배너포켓집(100)에서 분리할 수 있는 한 거치장비(500)의 헤드(520)부분의 형상에는 그 제한이 없다.An example of the head 520 is an example for understanding, as long as the banner stand 200 is inserted into the banner pocket 100 or can be separated from the banner pocket 100, the head 520 of the mounting equipment 500 There is no limit to the shape of the part.

첨부된 도 10 또는 도 11을 참조한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켓배너대는 고정홀(250) 및 배너고정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홀(250)은 통상의 홈 또는 구멍을 배너대(200) 하부면에 형성하여 마련할 수 있다. 배너고정대(400)는 설치대(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마련할 수 있다. 배너고정대(400)의 한쪽은 고정홀(250)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배너고정대(400)의 다른 한쪽은 설치대(10)의 하부에 위치하며, 배너(20)의 하부를 통상의 접착 또는 고리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0 or FIG. 11 The pocket banner stand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hole 250 and a banner fixing stand 400. The fixing hole 250 may be provided by forming a common groove or ho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nner stand 200. The banner holder 400 may be provided long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table 10. One side of the banner holder 400 may be fitted and fixed in the fixing hole 250. The other side of the banner holder 400 is located under the installation table 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anner 20 may be fixed with a conventional adhesive or a ring.

이러한 고정홀(250)과 배너고정대(400)를 포함하는 포켓배너대는 배너(20)의 펄럭임을 억제할 수 있고, 배너고정대(400)를 통해서 배수구(140)를 통한 배너대(200) 하부를 밀어 배너대(200)를 1차적으로 일부 분리할 수도 있다..The pocket banner stand including the fixing hole 250 and the banner holder 400 can suppress the fluttering of the banner 2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anner stand 200 through the drain hole 140 through the banner holder 400 The banner stand 200 may be partially separated by pushing..

배너고정대(400)는 통상의 끈 또는 클램프 등으로 설치대(10)에 고정될 수도 있다.The banner holder 400 may be fixed to the installation table 10 with a conventional string or clamp.

한편, 고정홀(250)과 배너고정대(400)의 한쪽은 통상의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과 나사골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배너고정대(400)는 도 10 또는 도 11과 같이 별도의 고정부(410)를 더 포함하여 배너(20)의 하단을 고정할 수 있다.고정부(410)는 'C' 형상의 마련될 수 있다. 'C'형상의 고정부(410) 각각의 끝에 배너(20)의 하단(예로서, 하단 모서리부분)에 마련된 구멍을 체결함으로써 배너(20)가 펼쳐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410)를 포함하는 배너고정대(400)는 배너(20)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fixing hole 250 and the banner holder 400 may be formed with a screw thread and a screw bone, respectively, so as to be screwed in a normal manner. Meanwhile, the banner holder 4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fixing part 410 as shown in FIG. 10 or 11 to fix the lower end of the banner 20. The fixing part 410 has a'C' shape. Can be. The banner 20 can be stably fixed in an unfolded state by fastening a hol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anner 20 (eg, the lower edge portion) at each end of the'C' shaped fixing portion 410. The banner holder 400 including the fixing part 410 allows the banner 20 to be vertically fixed and maintained.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고정부(410)는 길이방향으로 또 다른 고정부(410)를더 구성될 수 있다. 배너고정대(400)에서 멀리 떨어진 고정부(410)에 배너(20)가 걸려져서 고정될 경우 배너(20)가 배너고정대(400)에서 멀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배너(20)에 구성된 구멍을 복수개로 마련할 수도 있다. 복수개의 구멍에 상기 고정부(410)를 선택적으로 고정하여 배너고정대(400)와 배너(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둘 이상이 연속하여 복수의 고정부(410)가 구성될 경우에 배너(20)에 구성된 복수의 구멍으로 바느질을 하는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배너(20)의 끝단이 고정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xing part 410 described above may further comprise another fixing part 4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banner 20 is hung and fixed to the fixing unit 410 far from the banner holder 400, the banner 20 may be fixed in a state away from the banner holder 400. Furthermore, a plurality of holes configured in the banner 20 may be provided. A distance between the banner holder 400 and the banner 20 may be adjusted by selectively fixing the fixing part 410 to a plurality of holes. Moreover, when two or more of the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410 are configured in succession, the ends of the banner 20 may be fixed more firmly by combining in a manner of sewing with a plurality of holes configured in the banner 20.

상기에서 설명된 포켓배너대는 배너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배너고정대(400)의 고정부(410)에 체결된 배너(20)의 결속을 해제하고, 배너고정대(400)를 설치대(10)에서 분리한 후, 배너고정대(400)를 통하여 배너포켓집(100)에 삽입되며 배수구(140)를 통하여 하부가 노출되는 배너대(200)의 하부를 밀어올림으로써 배너포켓집(100)으로부터 배너대(200)를 분리할 수 있다. 배너고정대(400)를 통하여 배너포켓집(100)으로부터 배너대(200)를 분리하는 상술한 과정은 하나의 예시로서 배너고정대(400)를 통하여 배너포켓집(100)으로부터 배너대(200)를 분리하는 순서에는 그 제한이 없다.The pocket banner stand described above releases the binding of the banner 20 fastened to the fixing part 410 of the banner holder 400, and separates the banner holder 400 from the installation table 10 when the banner needs to be replaced. After that, by pushing up the lower portion of the banner rack 200, which is inserted into the banner pocket house 100 through the banner holder 400 and the lower portion is exposed through the drain hole 140, the banner holder ( 200) can be separated.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separating the banner rack 200 from the banner pocket collection 100 through the banner holder 400 is an example, and the banner rack 200 is removed from the banner pocket collection 100 through the banner holder 400. There is no limit to the order of separation.

나아가, 참조하면 이러한 고정홀(250)과 배너고정대(400)를 포함하는 포켓배너대는 도 10을 참조한 것과 같이 상기에서 설명된 밸트체결부(110)와 밸트(120)를 포함하는 또 다른 배너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배너대(200)에는 상기에서 설명된 고정홀(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배너대(200)는 고정홀(250)이 상기에서 설명된 배너고정대(400)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도록 설치대(10)에 마련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this, the pocket banner stand including the fixing hole 250 and the banner holder 400 is another banner stand including the belt fastening part 110 and the belt 120 described above as with reference to FIG. 10. It may further include (200). Another banner stand 200 may further include the fixing hole 250 described above. Another banner stand 200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table 10 so that the fixing hole 25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anner holder 400 described above.

첨부된 도 9 또는 도 10를 참조한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켓배너대는 경사면(160) 및 함몰형상(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함몰형상(170)은 배너포켓집(100)의 설치대(10)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할 수 있다. 함몰형상(170)은 단면이 'ㄷ'자 모양이 되도록 형성되어 돌출된 양 끝 단이 설치대(10)의 표면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경사면(160)은 함몰형상(170)의 양 끝단에 마련할 수 있다. 경사면(160)은 함몰형상(170)의 'ㄷ'자 모양의 중심부분을 기준으로 외곽으로 갈수록 점점 더 돌출되는 형상의 경사가 되도록 한다. 일례로, 큰 직경 또는 큰 외면 둘레를 가지는 설치대(10)에 배너포켓집(100)을 설치할 경우, 완만한 경사면(160)을 가지는 부분이 설치대(10)의 외면에 밀착된다. 설치대(10)에 대향하는 배너포켓집(100)의 대향면에 완만한 경사면(160)을 가지는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큰 직경 또는 큰 외면 둘레를 가지는 설치대(10)에 배너포켓집(100)을 설치할 경우 완만한 경사면(160)을 통해 배너포켓집(100)은 설치대(1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작은 직경 또는 작은 외면 둘레를 가지는 설치대(10)에 배너포켓집(100)을 설치할 경우, 'ㄷ' 자 형상의 함몰부분의 내면 또는 측면이 설치대(10)의 외면에 밀착된다. 설치대(10)에 대향하는 배너포켓집(100)의 대향면에 'ㄷ'자 형상의 함몰부분을 마련함으로써 작은 직경 또는 작은 외면 둘레를 가지는 설치대(10)에 배너포켓집(100)을 설치할 경우 'ㄷ'자형 함몰부분을 통해 배너포켓집(100)은 설치대(1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포켓배너대는 설치대(10)의 직경이 변화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설치대(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준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9 or FIG. 10 The pocket banner stand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surface 160 and a recessed shape 170. The recessed shape 170 may be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banner pocket house 100 that faces the mounting table 10. The recessed shape 170 is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 becomes a'C' shape so that both protruding ends ar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ounting table 10. The inclined surface 160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ecessed shape 170. The inclined surface 160 is inclined in a shape that protrudes more and more toward the outside based on the center portion of the'C' shape of the recessed shape 170. For example, when installing the banner pocket jib 100 on the mounting base 10 having a large diameter or a large outer circumference, a portion having a gentle inclined surface 16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base 10. By providing a portion having a smooth slope 160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banner pocket jib 100 facing the installation table 10, the banner pocket jib 100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table 10 having a large diameter or a large outer surface circumference. In this case, the banner pocket house 100 may be closely fixed to the mounting table 10 through the gentle inclined surface 160. As another example, when the banner pocket house 100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table 10 having a small diameter or a small outer surface circumference, the inner or side surfaces of the'C'-shaped depression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table 10. When installing the banner pocket jib 100 on the installation base 10 having a small diameter or a small outer surface circumference by providing a'C'-shaped depression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banner pocket jib 100 facing the installation table 10 The banner pocket house 100 may be tightly fixed to the mounting table 10 through the'C'-shaped recessed portion. In other words, The pocket banner stand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n effect of being stably fixed to the mounting table 10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diameter of the mounting table 10.

마찬가지로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배너대(200)의 몸체(210)의 설치대(10)에 대향하는 부분은 완만한 또 다른 경사면(160)을 가지는 부분과 'ㄷ'자 형상의 또 다른 함몰형상(170)을 포함한다. 배너포켓집(100)을 통하지 아니하고 배너대(200)를 직접 설치대(10)에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너대(200)의 몸체(210)의 설치대(10)에 대향하는 부분을 완만한 경사면(160)을 가지는 부분과 'ㄷ'자 형상의 함몰형상(170)을 포함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설치대(10)의 직경이 변화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배너대(200)는 설치대(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배너포켓집(100)의 관련된 부분에서 상술한 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Similarly, as shown in FIG. 9 or 10, the portion facing the mounting table 10 of the body 210 of the banner stand 2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portion having another smooth slope 160 and ' It includes another depressed shape 170 of the shape of a ''. The banner stand 200 may be directly provided on the installation stand 1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banner pocket collection 100. In this case, by providing a portion of the banner stand 200 that faces the mounting table 10 of the body 210 to include a portion having a smooth inclined surface 160 and a recessed shape 170 of a'C' shape Even if the diameter of (10) changes, the banner stand 200 may be stably fixed to the mounting table 10 in response there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described above in a related part of the banner pocket collection 100.

한편, 배너거정대(400)의 한쪽 끝 측면에 헤드(520)를 포함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the head 520 on one end side of the banner geojeongdae 400.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From the abov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various possible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disclosed various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true spirit and scope will be presented from the claims below.

설치대(10)
배너(20)
배너포켓집(100)
밸트체결부(110)
밸트(120)
몸체삽입구(130)
배수구(140)
몸체끼움레일(150)
경사면(160)
함몰형상(170)
배너대(200)
몸체(210)
관통홀(220)
몸체끼움홈(230)
돌출부(240)
고정홀(250)
봉(300)
배너고정대(400)
고정부(410)
거치장비(500)
손잡이(510)
헤드(520)
Mounting table (10)
Banner(20)
Banner Pocket Collection (100)
Belt fastening part (110)
Belt(120)
Body insertion port (130)
Drain (140)
Body fitting rail (150)
Slope(160)
Depressed shape (170)
Banner stand (200)
Body (210)
Through hole (220)
Body fitting groove (230)
Protrusion (240)
Fixed hole (250)
Rod(300)
Banner holder (400)
Fixed part (410)
Stationary equipment (500)
Handle (510)
Head(520)

Claims (9)

설치대에 마련되는 배너포켓집;
상기 배너포켓집에 탈부착되는 배너대; 및
상기 배너대에 설치되는 배너가 거치된 봉을 포함하며,
상기 배너포켓집은
상기 설치대 감기는 밸트;
상기 밸트가 관통하는 밸트체결부; 및
상기 배너대가 삽입되는 몸체삽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너대는
상기 몸체삽입구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봉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되,
상기 배너포켓집의 상기 몸체삽입구 안쪽의 면에 몸체끼움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너대의 상기 몸체에 상기 몸체끼움레일에 대응되는 몸체끼움홈을 더 포함하는 포켓배너대.
Banner pockets provided on the installation table;
A banner stand detachable to the banner pocket collection; And
It includes a rod on which a banner installed on the banner stand is mounted,
The above banner pocket collection
A belt winding the mounting table;
A belt fastening part through which the belt passes; And
It includes a body insertion port into which the banner stand is inserted,
The banner stand is
A body having a shape inserted into the body insertion hole; And
It is provided in the body and inclu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od passes,
Further comprising a body fitting rai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insertion port of the banner pocket,
A pocket banner stand further comprising a body fit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body fitting rail in the body of the banner st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너대 하부면에 마련된 고정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되, 한쪽은 상기 고정홀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배너의 하단을 고정하는 배너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포켓배너대.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xing hol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nner stand,
Doedo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one side is fixed to the fixing hole, the other side pocket banner further comprising a banner holder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bann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끼움레일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마련된 포켓배너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fitting rail is a pocket banner stand in a shape that becomes wider toward the botto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너포켓집 하단에 배수구를 더 포함하는 포켓배너대.
The method of claim 4,
Pocket banner stand further comprising a drain hole at the bottom of the banner pocket hous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너대에는 상기 배수구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포켓배너대.
The method of claim 5,
A pocket banner stand further comprising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drain hole on the banner stand.
설치대에 마련되는 배너포켓집;
상기 배너포켓집에 탈부착되는 배너대; 및
상기 배너대에 설치되는 배너가 거치된 봉을 포함하되,
상기 배너대에는 거치장치이용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장치이용홀에 삽입하여 배너대를 이동시키는 거치장비를 더 포함하는 포켓배너대.
Banner pockets provided on the installation table;
A banner stand detachable to the banner pocket collection; And
Including a rod on which a banner installed on the banner stand is mounted,
The banner stand further includes a mounting device use hole,
Pocket banner stand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device for moving the banner stand by inserting into the mounting device use hole.
삭제delete 설치대에 마련되는 배너포켓집;
상기 배너포켓집에 탈부착되는 배너대; 및
상기 배너대에 설치되는 배너가 거치된 봉을 포함하되,
상기 배너포켓집의 설치대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되되, 단면이 'ㄷ'자 모양인 함몰형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형상의 양 끝 단에 마련된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포켓배너대.
Banner pockets provided on the installation table;
A banner stand detachable to the banner pocket collection; And
Including a rod on which a banner installed on the banner stand is mounted,
Doedoe provided in a portion facing the mounting table of the banner pocket house, further comprising a concave shape having a cross section of a'C' shape,
Pocket banner stand further comprising inclined surface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ecessed shape.
KR1020200068943A 2020-04-28 2020-06-08 banner-pole using pocket structure KR1021616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411 2020-04-28
KR20200051411 2020-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691B1 true KR102161691B1 (en) 2020-10-05

Family

ID=7280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943A KR102161691B1 (en) 2020-04-28 2020-06-08 banner-pole using pocke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69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341B1 (en) * 2023-02-25 2023-12-11 이향제 Hanging style bunting for pilla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226B1 (en) * 2008-05-23 2008-11-24 박미경 Banner fixing device
KR20110019521A (en) * 2009-08-20 2011-02-28 정연욱 Suspension apparatus for pro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226B1 (en) * 2008-05-23 2008-11-24 박미경 Banner fixing device
KR20110019521A (en) * 2009-08-20 2011-02-28 정연욱 Suspension apparatus for pro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341B1 (en) * 2023-02-25 2023-12-11 이향제 Hanging style bunting for pill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0936B2 (en) Decorative light hanging system
KR102161691B1 (en) banner-pole using pocket structure
KR101660707B1 (en) Ceiling light Mounting and Separating Device
US8002433B1 (en) Decorative light mount apparatus
CA2531464C (en) Assembly for vertically positioning a lamp-shade
CN206398572U (en) Bamboo joint type assembly street lamp
KR101235006B1 (en) Road sign
KR200440902Y1 (en) HANGER FOR BANNER DISPLAYING OF SlLDE DETACHING TYPE
KR20020020487A (en) Flagpole support
KR101097423B1 (en) Placard hanging apparatus
CN209053389U (en) A kind of bright frame decorative strip installing structure of building curtain wall
CN204475224U (en) Illumination column and be provided with the guardrail of this illumination column
CN205564214U (en) Novel art animation publicity column
KR200170732Y1 (en) Placard hanging system
KR200211860Y1 (en) Flagpole support
CN216623672U (en) Marker lamp embedded part adjusting type embedded installation part
KR101230422B1 (en) A device for hanging the flagpole
CN202716659U (en) Portable quick-release type hanging painting for advertisement display
CN215671527U (en) Municipal works beautify with isolating device who has propaganda function
CN210601509U (en) Stage lighting fixture lamp hook device
KR20090020984A (en) The flag pole and flag holder using thereof
CN215632205U (en) Insert ground formula rail support
CN218991440U (en) Invisible protective net track
CN212814843U (en) Sunshade umbrella
CN216844412U (en) Humifusus arm street lamp with human support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