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669B1 -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669B1
KR102160669B1 KR1020190009827A KR20190009827A KR102160669B1 KR 102160669 B1 KR102160669 B1 KR 102160669B1 KR 1020190009827 A KR1020190009827 A KR 1020190009827A KR 20190009827 A KR20190009827 A KR 20190009827A KR 102160669 B1 KR102160669 B1 KR 102160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edical communication
content
communication content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2659A (ko
Inventor
이지현
김형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6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학습자들에게 환자와의 올바른 커뮤니케이션 훈련을 제공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송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기록한 피드백 컨텐츠를 생성하는 피드백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의사 입장에서 가상 환자와 시나리오에 따라 대화를 수행하는 컨텐츠에 해당한다.

Description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Medical communication virtual training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3차원 가상 환경을 이용한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훈련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으로, 학습자들에게 환자와의 올바른 커뮤니케이션 훈련을 제공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국가지원 연구개발에 대한 설명]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사업(가상현실 및 햅틱 시뮬레이션 기술 기반 통합 치의료 임상 교육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과제 고유번호: 1711069125, 세부과제번호: 2017R1C1B2010469)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의료 기술 발전에 따라, 로봇을 이용한 수술 기법 등과 같이 질병의 진단과 치료 및 수술에 관한 기술, 기법은 점점 발전해오고 있으며, 발전된 의료 기술의 도움에 의해 치료 및 수술 기술은 점점 상향 평준화되고 있다. 따라서, 좋은 의사, 진정한 의술을 행하는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치료 및 수술 테크닉 이외의 기술, 자신의 환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상호 신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환자와의 공감 능력이 보다 요구되고 있다. 환자와의 공감 능력은 단순히 환자의 기분이나 비위를 맞추어 주는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환자의 병리학적 히스토리를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확한 진단, 정확한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하여 오진단 및/또는 의료 과실을 방지하게 한다.
한 명의 의사가 만나게 되는 환자는 외모, 배경, 경험, 교육 수준, 종교, 태도 등에서 매우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다. 따라서, 다양한 환자와 신뢰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의사에게 인내심, 지각력, 이해심, 공감 능력이 필요하나, 이러한 감정, 능력은 단기간 내에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오랜 경험을 필요로 한다.
현재, 의학 커리큘럼은 과학적 지식을 전달하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환자와의 공감 능력과 관련한 충분한 커리큘럼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의료 시술, 수술을 3차원 가상 공간에서 훈련하는 시스템이 한국 특허 공개 문헌 10-2017-0095007과 같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 환자와의 공감 능력을 가상 공간에서 훈련하는 시스템은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 특허 공개 문헌 10-2017-0095007 (2017년 08월 22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3차원 가상 공간에서 학습자들에게 환자와의 올바른 커뮤니케이션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송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기록한 피드백 컨텐츠를 생성하는 피드백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의사 입장에서 가상 환자와 시나리오에 따라 대화를 수행하는 컨텐츠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3차원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동안 기록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기초로 피드백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의사 입장에서 가상 환자와 시나리오에 따라 대화를 수행하는 컨텐츠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을 실행하도록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로서, 사용자의 동작 및 음성을 인식하는 센서부;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동작 및 음성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의사 입장에서 가상 환자와 시나리오에 따라 대화를 수행하는 컨텐츠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사용자가 현실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가상 환경으로 구현된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에 보다 몰두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가상 환자와의 대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피드백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자기 성찰(Self-reflection)을 유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료 커뮤니케이션 학습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도시한 예시적인 화면이다.
도 4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도시한 예시적인 화면이다.
도 1 내지 도 3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10)은 사용자에게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다양한 환자와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시키고,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의대생 또는 의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의사 입장에서 가상 환자와 시나리오에 따라 대화를 수행하는 컨텐츠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가 재생되는 디바이스(100)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3차원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 장치(Head Mounted Display; HM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입체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요청하고, 이를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10)은 적어도 송수신부(11) 및 컨텐츠 생성부(12)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1)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컨텐츠 생성부(12)에 이를 전달한다. 컨텐츠 생성부(12)는 컨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의료 시뮬레이션 컨텐츠를 생성한다. 그리고, 송수신부(11)는 컨텐츠 생성부(12)에서 제공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디바이스(100)로 송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1)는 디바이스(100)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11)는 유선 케이블을 통해 디바이스(100)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수신부(11)는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디바이스(1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컨텐츠 생성부(12)는 상술한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생성하며, 송수신부(11)를 통해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디바이스(100)에 제공한다.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가상 환자를 포함하는 3차원 가상 공간 환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상의 진료실에 가상 환자가 존재하는 3차원 가상 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12)는 다양한 가상 공간 및 다양한 시나리오를 기초로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가상 공간 및 특정 시나리오를 디바이스(100)를 통해 선택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 생성부(12)는 가상 공간 및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공받은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디바이스(100)를 통해 경험하게 되며, 시나리오에 따라 가상 환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게 된다. 가상 환자의 말은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상 환자의 말은 음성과 화면 상의 자막으로 함께 제공되거나, 자막만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인식된 음성은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에 반영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실제 환자와 대화하는 현실감을 느낄 수 있다. 다만, 디바이스(100)의 센서부는 사용자의 말, 의사, 행동을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에 반영할 수 있는 다른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가상 물체로 구현되어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내에 반영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손은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의 가상 공간 상에 가상 손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스처나 손 모양 등이 가상 공간에 구현될 수 있다.
도 3a는 디바이스(100)에 표시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의 동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예시적으로, 치과를 방문한 가상 환자를 치과 의사의 입장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컨텐츠를 도시한 것이다.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사용자의 시야보다 넓은 화면을 제공하는 광시야각 영상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본인의 시야에 대응하는 크기로 광시야각 이미지의 일부에 해당하는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의 가상 공간에서 시야를 변경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이 아닌 다른 화면, 광시야각 영상의 다른 부분을 시청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표시된 화면보다 아래쪽으로 사용자의 시야를 변경한 화면이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착용한 디바이스(100)가 HMD인 경우, 사용자가 고개를 아래쪽으로 이동한 경우이다.
여기서,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구성하는 시나리오는 가상 환자에 대한 진료의 시작부터 진료의 종료까지의 과정을 포함한다.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구성하는 시나리오는 상기 가상 환자에 대한 정보 수집 과정, 상기 가상 환자의 질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 과정, 상기 가상 환자에 대한 진단 과정 및 상기 가상 환자에 대한 치료 계획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일반적인 의료 진료 과정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시나리오는 가상 환자의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과정에 따라 분기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적절한 응답이 제공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적절한 응답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늦게 대답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응답 과정에 따라 이어지는 시나리오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정해진 시나리오대로 대화가 진행되지 않고 실제 대화와 같이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시나리오가 분기될 수 있어,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 교육 효과가 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사용자가 가상 환자와 현재 수행하여야 하는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121) 및 이에 대한 제한 시간(122)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써 제공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현재 환자와 처음 대면한 사용자가 환자에게 "인사하고 질문하기"라는 상호작용을 수행하여야 함을 알려주는 설명 및 이에 대한 제한 시간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도 3b는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 3a의 사용자 시야에서 완전히 보이지 않아서 사용자 시야를 아래로 이동한 것이다.
여기서,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공감 능력에 해당한다. 즉, 환자의 현재 상황 및 환자의 말에 대해 적절한 타이밍에 공감을 표현할 수 있다면 환자와의 상호 신뢰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사용자가 공감적 표현을 하여야 하는 타이밍을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도중 공감적 표현을 환자에게 건네어야 하는 타이밍을 가상 공간 상에 별도의 이모티콘(123)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알림 이모티콘을 통해 지금 공감적 표현을 수행하여야 하는 타이밍임을 인지할 수 있고, 환자에게 위로의 말과 같은 적절한 공감적 표현을 적절한 타이밍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사용자가 가상의 환자에게 응답하여야 하는 스크립트(124)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립트는 현재 시나리오 상 환자에게 응답하여야 하는 가장 최적의 대답일 수 있다. 상기 스크립트는 사용자가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야에 표시되지 않는다. 즉, 스크립트는 광시야각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정면이 아닌 방향을 응시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화면의 아래 방향으로 시선을 이동하는 경우 스크립트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d는 사용자가 화면의 아래 방향으로 시선을 이동하였을 때, 환자의 특정 질문에 대한 적절한 대답이 스크립트로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3e는 가상 환자에 대한 치료 계획 과정을 설명하는 적절한 스크립트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다소 미숙한 사용자는 상기 스크립트를 보조적으로 활용하여 환자와의 대화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으며,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효과적으로 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도 3f와 같이, 가상 환자에 대한 진단 과정에서 환자에 대한 검사 기록(125), 예를 들어, X-ray 사진 등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되는 검사 기록을 기초로 가상 환자를 진단할 수 있다.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에서 상기 검사 기록은 랜덤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 공간 내에서 가상 환자의 병을 진료, 진단할 수 있고, 이와 관련된 커뮤니케이션을 가상 환자와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10)은 피드백 생성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가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의 행동은 모두 기록될 수 있다. 피드백 생성부(13)은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의 행동을 기록한 피드백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행동은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기록되어, 송수신부(11)를 통해 피드백 생성부(13)로 제공될 수 있다.
피드백 생성부(13)에서 생성된 피드백 컨텐츠는 제공된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및 이에 반응한 사용자의 행동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및 이에 반응한 사용자의 행동이 함께 기록된 영상 파일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행동은 사용자가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의 학습 도중에 가상 환자와 대화한 음성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처 및 손 모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피드백 컨텐츠를 통해 가상 환자와 본인이 어떠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 환자의 질문에 대한 본인의 답변 내용, 답변 시간의 적절성, 공감 표현의 내용 및 타이밍, 환자의 상태에 대한 검진의 정확성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피드백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브리핑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기 성찰(Self-reflection)을 유도하여, 사용자의 학습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드백 생성부(13)는 사용자에게 가상 환자의 질문에 대한 본인의 답변 내용, 답변 시간의 적절성, 공감 표현의 내용 및 타이밍, 환자의 상태에 대한 검진의 정확성 등을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등급 평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센서부(101), 표시부(102), 제어부(10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송수신부(104) 및/또는 저장부(10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unit)"는 하드웨어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운용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도 1에서 센서부(101), 표시부(102) 및 제어부(103) 등은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센서부(101), 표시부(102) 및 제어부(103)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하나의 소자로 집적화될 수도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같은 처리 수단, 가속도 센서 및 터치스크린을 갖춘 스마트폰(smartphone)이 전술한 센서부(101), 표시부(102) 및 제어부(103)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이 머리에 장착 가능한 다른 부재(미도시)와 결합되어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기재된 디바이스(100)는 다른 부재를 통해 헤드 마운트용으로 사용 가능한 스마트폰일 수도 있다.
센서부(101)는 사용자의 동작 및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경우, 센서부(101)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를 위하여, 센서부(101)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센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01)는 가속도계(accelerometer), 자기력계(magnetometer) 및/또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101)에 의해 얻어진 측정값은 사용자 시점에 따라 표시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시점을 변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01)는 사용자의 손동작을 인식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식된 사용자의 손동작은 제어부(103)에 의해 처리되어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의 가상 공간에 가상의 손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02)는 사용자의 눈 부근에 위치하여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부분이다. 표시부(102)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다른 적절한 화상 표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02)는 화상 표시 소자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초점이 사용자의 눈 또는 그 부근에 맺히게 하기 위한 볼록 렌즈 등 하나 이상의 광학 소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사진과 같은 단일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일련의 연속된 이미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컨대, 영상 및/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동영상 등의 컨텐츠(contents)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미지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10)에서 제공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표시부(102)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송수신부(104)를 더 포함하며,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송수신부(104)를 통해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송수신부(104)는 유선 케이블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부(102)에서 표시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저장부(105)에 미리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저장부(105)는 표시부(102)에 표시될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또는 다른 추가적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를 포함한다.
제어부(103)는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 과정,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요청하고, 이를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3)는 센서부(101) 및 표시부(102)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센서부(101)에 의해 얻어진 측정값에 기초하여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제어한다.
제어부(103)는 센서부(101)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동작 및 음성에 따라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센서부(101)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에 대응되는 시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는 광시야각 이미지의 일부를 출력하면서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가 움직이는 것에 대응하여 이미지의 표시되는 부분을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현실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종래의 디바이스(100)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표시 형태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고개를 오른쪽으로 돌릴 경우,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이미지 전체를 이에 대응하여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미지로 표시된 가상 공간에서 고개를 돌려 오른편을 바라본 것과 같이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03)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가 제공되는 동안 제공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과 사용자의 행동(음성 및/또는 동작)을 기록하여 저장부(10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현실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에 보다 몰두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료 커뮤니케이션 학습 효과는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00), 상기 사용자에게 3차원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110);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동안, 기록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기초로 피드백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120); 및 상기 피드백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은 상술한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10)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 도 1 내지 도 3f가 더 참조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다(S100).
사용자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가 재생되는 디바이스(100)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3차원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10)은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의료 시뮬레이션 컨텐츠를 생성한다.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의사 입장에서 가상 환자와 시나리오에 따라 대화를 수행하는 컨텐츠에 해당한다.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가상 환자를 포함하는 3차원 가상 공간 환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상의 진료실에 가상 환자가 존재하는 3차원 가상 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3차원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제공한다(S110).
사용자는 제공받은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디바이스(100)를 통해 경험하게 되며, 시나리오에 따라 가상 환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게 된다. 가상 환자의 말은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상 환자의 말은 음성과 화면 상의 자막으로 함께 제공되거나, 자막만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구성하는 시나리오는 가상 환자에 대한 진료의 시작부터 진료의 종료까지 과정을 포함한다.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구성하는 시나리오는 상기 가상 환자에 대한 정보 수집 과정, 상기 가상 환자의 질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 과정, 상기 가상 환자에 대한 진단 과정 및 상기 가상 환자에 대한 치료 계획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일반적인 의료 진료 과정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시나리오는 상기 가상 환자의 질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 과정에 따라 분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공감적 표현을 하여야 하는 타이밍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의 환자에게 응답하여야 하는 스크립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의 시야보다 넓은 화면을 제공하는 광시야각 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가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야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동안, 기록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기초로 피드백 컨텐츠를 생성한다(S120).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가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의 행동은 모두 기록될 수 있다. 기록된 사용자의 행동을 기초로 피드백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피드백 컨텐츠는 제공된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및 이에 반응한 사용자의 행동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및 이에 반응한 사용자의 행동이 함께 기록된 영상 파일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행동은 사용자가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의 학습 도중에 가상 환자와 대화한 음성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처 및 손 모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30).
생성된 피드백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피드백 컨텐츠를 통해 가상 환자와 본인이 어떠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 환자의 질문에 대한 본인의 답변 내용, 답변 시간의 적절성, 공감 표현의 내용 및 타이밍, 환자의 상태에 대한 검진의 정확성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피드백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브리핑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기 성찰(Self-reflection)을 유도하여, 사용자의 학습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가상 환자의 질문에 대한 본인의 답변 내용, 답변 시간의 적절성, 공감 표현의 내용 및 타이밍, 환자의 상태에 대한 검진의 정확성 등을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등급 평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 또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11: 송수신부
12: 컨텐츠 생성부
13: 피드백 생성부
100: 디바이스

Claims (15)

  1. 사용자로부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송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기록한 피드백 컨텐츠를 생성하는 피드백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의사 입장에서 가상 환자와 시나리오에 따라 대화를 수행하는 컨텐츠에 해당하며,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공감적 표현을 하여야 하는 타이밍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의 환자에게 응답하여야 하는 스크립트를 제공하며,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의 시야보다 넓은 화면을 제공하는 광시야각 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가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야에 표시되지 않으며,
    상기 스크립트는 상기 광시야각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정면이 아닌 방향을 응시하였을 때 사용자의 시야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는 적어도 상기 가상 환자에 대한 정보 수집 과정, 상기 가상 환자의 질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 과정, 상기 가상 환자에 대한 진단 과정 및 상기 가상 환자에 대한 치료 계획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시나리오는 상기 가상 환자의 질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 과정에 따라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컨텐츠는 제공된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및 상기 제공된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에 반응한 사용자의 행동을 포함하는 영상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7. 사용자로부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3차원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동안 기록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기초로 피드백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의사 입장에서 가상 환자와 시나리오에 따라 대화를 수행하는 컨텐츠에 해당하며,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공감적 표현을 하여야 하는 타이밍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의 환자에게 응답하여야 하는 스크립트를 제공하며,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의 시야보다 넓은 화면을 제공하는 광시야각 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가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야에 표시되지 않으며,
    상기 스크립트는 상기 광시야각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정면이 아닌 방향을 응시하였을 때 사용자의 시야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는 적어도 상기 가상 환자에 대한 정보 수집 과정, 상기 가상 환자의 질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 과정, 상기 가상 환자에 대한 진단 과정 및 상기 가상 환자에 대한 치료 계획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시나리오는 상기 가상 환자의 질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 과정에 따라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컨텐츠는 제공된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 및 상기 제공된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에 반응한 사용자의 행동을 포함하는 영상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
  1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7항, 제8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을 실행하도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로서,
    사용자의 동작 및 음성을 인식하는 센서부;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동작 및 음성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의사 입장에서 가상 환자와 시나리오에 따라 대화를 수행하는 컨텐츠에 해당하며,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공감적 표현을 하여야 하는 타이밍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의 환자에게 응답하여야 하는 스크립트를 제공하며,
    상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의 시야보다 넓은 화면을 제공하는 광시야각 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가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야에 표시되지 않으며,
    상기 스크립트는 상기 광시야각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정면이 아닌 방향을 응시하였을 때 사용자의 시야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 장치(Head Mounted Display; HM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90009827A 2019-01-25 2019-01-25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160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827A KR102160669B1 (ko) 2019-01-25 2019-01-25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827A KR102160669B1 (ko) 2019-01-25 2019-01-25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659A KR20200092659A (ko) 2020-08-04
KR102160669B1 true KR102160669B1 (ko) 2020-09-28

Family

ID=7204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827A KR102160669B1 (ko) 2019-01-25 2019-01-25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6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562A (ko) * 2020-09-29 2022-04-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을 이용한 진료 및 임상술기 시뮬레이션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972B1 (ko) * 2021-08-02 2022-04-04 (주) 마인즈에이아이 중독성 기호품에 대한 중독자가 중독성 기호품에 대해 적절한 적응성 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230B1 (ko) 2016-04-18 2017-06-05 (주)케이디엠티 가상현실 및 음성인식 기반의 실감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7082A (en) * 1998-02-02 2000-06-20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America, Inc. (Ita) Personal patient simulation
EP2050086A2 (en) * 2006-07-12 2009-04-22 Medical Cyberworlds, Inc. Computerized medical training system
KR20170095007A (ko) 2016-02-12 2017-08-2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US11157131B2 (en) * 2017-02-24 2021-10-26 Vrad Inc. Virtual reality-based radiology practice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230B1 (ko) 2016-04-18 2017-06-05 (주)케이디엠티 가상현실 및 음성인식 기반의 실감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562A (ko) * 2020-09-29 2022-04-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을 이용한 진료 및 임상술기 시뮬레이션 제공 시스템
KR102423849B1 (ko) * 2020-09-29 2022-07-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을 이용한 진료 및 임상술기 시뮬레이션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659A (ko)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A SWOT analysis of the field of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and therapy
JP6404196B2 (ja) 仮想画像表示プログラム、仮想画像表示装置及び仮想画像表示方法
Sundstedt Gazing at games: An introduction to eye tracking control
US201102628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aze based attention training
NZ560457A (en) Image generation system
KR101983279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신경질환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423849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진료 및 임상술기 시뮬레이션 제공 시스템
US202202705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vention with attention deficient disorders
US9548003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raining for medical examinations involving body parts with concealed anatomy
WO2014059533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raining for ophthalmic examinations
WO2020152779A1 (ja) 高次脳機能障害用のリハビリテ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
KR102105552B1 (ko)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
AU20164101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visual motor response
KR102160669B1 (ko) 의료 커뮤니케이션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Garzotto et al. Wearable immersive storytelling for disabled children
Deponti et al. Smartphone's physiatric serious game
Sharma et al. Keep calm and do not carry-forward: Toward sensor-data driven AI agent to enhance human learning
Soto et al. AR stereoscopic 3D human eye examination app
US20200251211A1 (en) Mixed-Reality Autism Spectrum Disorder Therapy
Rohrbach et al. Improvement of apraxia with augmented reality: Influencing pantomime of tool use via holographic cues
JP2019012551A (ja) 仮想画像表示プログラム、仮想画像表示装置及び仮想画像表示方法
Teruel et al. Exploiting awareness for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rehabilitation systems
Pettersen Design and development of game-based oculomotor training using eye tracking
JP7270196B2 (ja) 高次脳機能障害用のリハビリテ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
WO2024053032A1 (ja) 軽度認知障害のス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