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617B1 - Wall-mounted touch switch - Google Patents

Wall-mounted touch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617B1
KR102160617B1 KR1020200087898A KR20200087898A KR102160617B1 KR 102160617 B1 KR102160617 B1 KR 102160617B1 KR 1020200087898 A KR1020200087898 A KR 1020200087898A KR 20200087898 A KR20200087898 A KR 20200087898A KR 102160617 B1 KR102160617 B1 KR 102160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unit
switch
touch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8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주열
Original Assignee
김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열 filed Critical 김주열
Priority to KR1020200087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6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6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H01H45/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ll-mounted touch switch including: a first substrate including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user′s touch input, a power chip for amplifying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a first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signal to a second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includes an input unit to which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upply is connected, an output unit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ic device, a relay for opening and clos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and a second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have at least one switch unit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o be stacked. Therefore,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 units can be operated individually without affecting the other switch units.

Description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 {WALL-MOUNTED TOUCH SWITCH}Wall-mounted touch switch {WALL-MOUNTED TOUCH SWITCH}

본 발명은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에 매립 설치되어 사용자가 터치 방식으로 전기기기의 온/오프(on/off) 작동을 시키도록 하는 스위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mounted touch type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is a switch embedded in a wall to allow a user to operate an electric device on/off by a touch method.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조명 따위를 포함하는 전기기기를 온(on)/오프(off) 작동을 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것으로 통상 벽에 매립하여 설치된다.The wall-mounted touch switch is generally for receiving user input for on/off operation of an electric device including lighting, etc., and is usually embedded in a wall and installed.

터치식 스위치는 푸쉬(push) 버튼의 스위치나 토글(toggle) 스위치 등과 달리 사용자로부터의 가벼운 접촉만으로도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Unlike a switch of a push button or a toggle switch, the touch type switch can receive a user input with only a light touch from the user,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식 스위치(10)는 터치커버(11)에 터치입력이 있으면 그 배면에 위치한 회로기판(13)은 그 터치입력에 따라 외부 상용의 전원을 전기기기에 공급하거나 차단하였다. 도 1의 미설명부호 14는 외부 상용의 전원이나 전기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체결되는 연결부와, 파워칩(미도시) 그리고 파워칩을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판(미도시)이 마련된 스위치상자를 가리키고, 또 미설명부호 15는 상기 회로기판(13)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가리키며, 도 미설명부호 12는 전방에 터치커버(11)를 부착하거나 회로기판(1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회로기판(13)을 안착고정시키기 위한 플레이트(12)를 가리킨다.That is, as shown in FIG. 1, when the touch switch 10 has a touch input on the touch cover 11, the circuit board 13 located on the back side of the touch switch 10 supplies external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Supplied or blocked. Reference numeral 14 in FIG. 1 denotes a switch box provided with a connection part through which a wi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or electric device is fastened, a power chip (not shown), and a heat sink (not shown) for cooling the power chip.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15 denotes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circuit board 13 is seated, and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circuit board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circuit board 13 or attach the touch cover 11 It refers to the plate 12 for seating and fixing (13).

그러나 종래의 터치 스위치(10)는, 스위치가 한 개가 아닌 복수 개인 경우라도 회로기판(13)은 하나로 구현되어, 회로기판(13)에 고장이 발생하면 모든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며, 종래 터치 스위치가 아닌 푸쉬버튼 방식이나 토글 방식 등과 같은 기계식 스위치에는 상기 회로기판을 장착할 수 없어, 기계식 스위치를 전기식 스위치로 교체하고자 할 때, 스위치의 전(全) 구성요소를 모두 교체해아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ouch switch 10, even if there are multiple switches instead of one, the circuit board 13 is implemented as one, and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circuit board 13, all switches do not operate normally, and the conventional touch switch Since the circuit board cannot be mounted on a mechanical switch such as a push button method or a toggle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ll components of the switch must be replaced when replacing the mechanical switch with an electric switch.

또한, 상기 회로기판은 터치입력을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위치의 전기적인 연결을 개폐하기 위해 마이컴(micom)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기식 스위치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ha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unit cost of an electric switch because a micom must be separately provided to sense a touch input and open and close an electrical connection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 구현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technology implementation to solve this problem.

KRKR 10-161982910-1619829 B1B1 KRKR 10-122100810-1221008 B1B1 KRKR 20-044880220-0448802 Y1Y1 KRKR 10-082357710-0823577 B1B1

본 발명은, 복수의 스위치 유닛 각각이 다른 스위치 유닛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개별로 작동할 수 있는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l-mounted touch type switch in which each of a plurality of switch units can be operated individually without affecting other switch unit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증폭하는 파워칩과, 상기 감지신호를 제2 기판에 전달하기 위한 제1 단자를 포함하는 제1 기판, 및 외부의 상용 전원이 연결되는 입력부와, 외부의 전기기기와 연결되는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출력부 간 전기적 연결을 개폐하는 릴레이와,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2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로 연결되어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닛이 적어도 하나인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user's touch input, a power chip for amplifying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a first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signal to a second substrate. A first substrate and an input unit to which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upply is connected, an output unit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ic device, a relay for opening and clos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first terminal A wall-mounted touch type having at least one switch unit comprising the second substrate including a second terminal fo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o be stacked and disposed. Provide a switch.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감지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는, 복수의 상기 하우징이 삽입체결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복수의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복수의 상기 전기기기에 대한 전기적 연결의 개폐가 개별 작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witch unit further includes a housing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herein, and wherein the sensing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wall-mounted touch switch includes a plurality of the housings By further including the bracket to be inserted and fastened, opening and closing of electrical connections to the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output units may be individually operat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브라켓 전방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부는, 상기 터치커버와 밀착하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탄성소재이되, 적어도 일면은 전도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터치커버와 상기 제1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touch cover provided in front of the bracket to receive a user's touch input, wherein the sensing un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cover, and at least one surface is made of conductive. The touch cover and the first substrat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감지부는, 가운데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관통공의 위치에 빛을 발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middle, and the first substrate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at a location of the through hol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2 기판에 입력되는 교류입력 중 반사이클로 구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driven in a half cycle among the AC input input to the second substrat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기판의 하부에 상기 파워칩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적층배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공기층이 마련되어 상기 파워칩을 냉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stacked and disposed so that the power chip is disposed under the first substrate, but an air laye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 cool the power chip. hav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기판은, 상부에 상기 릴레이가 세워서 설치되고,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릴레이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장자리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적층 배치될 때, 상기 릴레이는, 상기 가장자리홈부에 끼워져 상기 제1 기판을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substrate includes an edge groove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elay, an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stacked and disposed. At this time, the relay may be inserted into the edge groove to support the first substrat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장자리홈부는 상기 제1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기판의 타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가장자리홈부와 상기 제1 단자 사이에 상기 파워칩이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dge groove is disposed at one edge of the first substrate, the first terminal is disposed at the other edge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power chip is disposed between the edge groove and the first terminal.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스위치 유닛마다 회로기판이 별개로 마련되고 각각 전기적 연결을 개폐하기 때문에, 종래 기계식 스위치에 상기 스위치 유닛을 결합하여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스위치 유닛 각각이 개별 동작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스위치 유닛의 고장이 다른 스위치 유닛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복수의 스위치 유닛들 중 하나씩 교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ircuit board is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 units and each electrical connection is opened and closed, the switch unit can be combined and utilized with a conventional mechanical switch,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 units operates individually. Therefore, a failure of one switch unit does not affect other switch units, and one of a plurality of switch units can be replaced.

또한, 종래 하나의 회로기판이, 어느 한 터치입력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전기적인 연결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마이컴(micom)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스위치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conventional circuit board does not require a micom, which is required to determine a touch input and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an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ly, the unit cost of a switch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기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기판이 수용된 하우징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하우징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wall-mounted touch switch.
2 is a view showing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housing in which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accommod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or two housings are coupled to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prepar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스위치유닛(101~103)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show a state in which one or two switch units 101 to 103 are coupled to th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도 5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식 스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유닛(10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유닛(100)이 체결되는 브라켓(1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to 7, a touch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switch unit 100 and a bracket 10 to which the at least one switch unit 100 is fastened. Can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터치입력을 받고 그에 따라 작동하는 스위치유닛(100)은 개별로 모듈화될 수 있고, 하나의 브라켓(10)에 체결된 복수의 스위치유닛(100) 각각은 별개로 외부 전원을 입력받고, 각 스위치유닛(100)은 스위치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전원을 이에 연결된 해당하는 전기기기에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unit 100 that receives a user's touch input and operates accordingly may be individually modulariz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 units 100 fastened to one bracket 10 is separate. The external power is inputted to, and each switch unit 100 may supply or cut off the external power to a corresponding electric device connected thereto according to the switch input.

일 예로, 하나의 브라켓(10)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개의 스위치유닛(102)이 체결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스위치유닛(101, 103)이 체결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one switch unit 102 may be fastened to one bracket 10, and unlike this, two switch units 101 and 103 are fastened as shown in FIG. It could be.

이를 위하여, 상기 브라켓(10)은, 복수의 스위치유닛(101~103)의 감지부(122)들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넓게 마련된 노출구(h)와, 상기 노출구(h) 주변에 복수의 스위치유닛(101~103)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11a~13b)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racket 10 includes an exposure hole h widely provided in the center so that the sensing units 122 of the plurality of switch units 101 to 103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peripheral area of the exposure hole h. It may include fasteners (11a to 13b) for fastening with the plurality of switch units (101 to 103).

한편, 스위치유닛(100)의 하우징(1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기판(120, 130)을 내부에 수용하고, 그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면에 감지부(122)가 노출된 대략 상자형태일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housing 110 of the switch unit 100 accommodates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20 and 130 therein, and forms the exterior thereof, and has a sensing unit on one surface thereof. (122) may be in the shape of a box exposed.

이때 하우징(110)은 상부 좌우측 각각에, 이에 상응하는 상기 브라켓(10)의 체결구(11a~13b)와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 마련된 체결돌기(111)는 브라켓(10)의 체결구(11a~13b)에 체결 고정됨으로써, 브라켓(10)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위치유닛(100)이 체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ousing 110 may have fastening protrusions 111 formed on each of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be fastened to the fasteners 11a to 13b of the bracket 10 corresponding thereto. The fastening protrusion 111 provided in the housing 11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asteners 11a to 13b of the bracket 10, so that one or more switch units 100 may be fastened to the bracket 10.

한편, 스위치유닛(100)이 체결되는 브라켓(10)의 전방에는, 도 1의 도면부호 11과 같은 터치커버가 부착되어 사용자로부터 터치입력을 받을 수 있다.Meanwhile, in front of the bracket 10 to which the switch unit 100 is fastened, a touch cover such as 11 in FIG. 1 is attached to receive a touch input from the user.

터치커버(11)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받기 위한 것으로 후면에 위치한 감지부(122)는 터치커버(11)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거나 근접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22)는 그 전방에 배치되는 터치커버(11)와 밀착할 수 있도록, 감지부(122)는 탄성부재(122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성부재(122a)는 무부하시 감지부(122)의 높이를, 전방에 터치커버(11)가 부착되었을 때 터치커버(11)와 이격된 거리보다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감지부(122)의 표면이 상기 터치커버(11)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touch cover 11 is for receiving a user's touch input, and the sensing unit 122 located at the rear may sense that a part of the user's body comes into contact or approaches through the touch cover 11.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ing unit 122 includes an elastic member 122a so that the sensing unit 122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cover 11 disposed in front of the sensing unit 122. That is, the elastic member 122a makes the height of the sensing unit 122 at no load higher than the distance spaced apart from the touch cover 11 when the touch cover 11 is attached to the front, so that the sensing unit 122 is The surface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cover 11.

이때, 상기 감지부(122)의 외측 표면 중 적어도 일면은 전도성의 박막(122b)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박막(122b)은 감지부(122)의 전면 및 후면 그리고 측면, 즉 터치커버(11)를 향한 일면과 제1 회로기판(121)을 향한 타면 그리고 일면과 타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그 사이에 위치한 측면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sensing unit 122 may have a conductive thin film 122b. Specifically, the conductive thin film 122b is formed so that the front,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sensing unit 122, that is, one surface facing the touch cover 11 and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first circuit board 121, and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It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located between.

이에 따라 터치커버(11)를 매개로 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은 탄성부재(122a)의 표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의 표면(122b)을 따라 제1 회로기판(121)에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ly, a user's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cover 11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121 along at least one conductive surface 122b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122a.

도 5 내지 7에서 미설명도면부호 15a~15b는 벽에 브라켓(10)을 체결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홀을 가리키고, 또 미설명도면부호 14a~14d는 전방에 플레이트(12) 또는 터치커버(11)와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홀을 가리킨다.In FIGS. 5 to 7, reference numerals 15a to 15b indicate a first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bracket 10 to the wall, and reference numerals 14a to 14d indicate a plate 12 or a touch cover in the front. 11) It refers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기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이다.Meanwhile, FIG. 2 is a view showing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에 결합되는 스위치유닛(100)은, 도 2에 도시한 제1 및 제2 기판(120, 130)을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unit 100 coupled to the wall-mounted touch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20 and 130 shown in FIG. 2 inside the housing 110. Can be accommodated.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는, 각 스위치유닛(100) 별로 다른 스위치유닛(100)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회로기판을 갖되, 각 스위치유닛(100)은 복수 회로기판이 이격하여 적층될 수 있다.After all, the wall-mounted touch typ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ircuit board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other switch units 100 for each switch unit 100, but each switch unit 100 has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These can be stacked apart.

구체적으로, 각 스위치유닛(100)은 제1 및 제2 기판(120, 13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기판(120, 130)은 제1 및 제2 단자(123, 133)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적층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each switch unit 100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20 and 130, an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20 and 130 hav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23 and 133. It may be stacked and arrang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medium.

이때, 상기 제1 기판(12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122)와, 상기 감지부(122)의 감지신호를 증폭하는 파워칩(124)과, 상기 증폭된 감지신호를 제2 기판(130)에 전달하기 위한 제1 단자(123)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ubstrate 120 includes a sensing unit 122 for sensing a user's touch input, a power chip 124 for amplifying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122, and the amplified sensing signal. 2 It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123 for delivery to the substrate 130.

감지부(1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22a)와, 상기 탄성부재(122a)의 적어도 일 외측 표면에 형성된 전도성 표면(122b)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unit 122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122a and a conductive surface 122b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122a.

다만,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부(122)는 가운데 관통공(w)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공(w)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제1 기판(120)은 발광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However, preferably, the sensing unit 122 may have a through hole (w) in the middle, an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w), the first substrate 12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not shown). It may contain more.

발광부(125)는 관통공(w)을 통해 터치커버(11)의 후면을 향하여 빛을 발하고, 이에 따라 터치커버(11)의 해당 터치위치에는 빛이 발함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조작하고자 하는 스위치 버튼의 위치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light-emitting unit 125 emits light toward the rear side of the touch cover 11 through the through hole w, and accordingly, light is emitted to the corresponding touch position of the touch cover 11,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it even in a dark environment. The position of the desired switch button can be easily checked with the naked eye.

이때, 발광부(125)는 제2 기판(130)의 입력부(134)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의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으나, 대기 중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입력부(134)를 통해 입력되는 교류입력 중 일부, 즉 반사이클(또는 반파형), 일 예로 절반의 상부 또는 하부 파형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unit 125 may be driven by using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34 of the second substrate 130, but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34 to reduce power consumption during standby. It is preferable to be driven by using a part of the AC input, that is, a half cycle (or half waveform), for example, a half upper or lower waveform.

한편, 파워칩(124)은, 상기 제1 기판(120)에 실장되어,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할 수 있다. 즉 파워칩은 입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예로 IGBT(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 다이오드(diode) 등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chip 124 may be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20 to amplify and transmit an input electrical signal. That is, the power chip is for amplifying an input signal,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device such as an 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 (IGBT) or a diode.

이때, 파워칩(124)은 입력신호를 증폭시키는 과정에서 열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키는 것이 파워칩의 성능 또는 내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한 방법이다.At this time, since the power chip 124 may generate heat in the process of amplifying the input signal, effectively removing the generated heat is one way to improve the performance or durability of the power chip.

따라서, 이를 위해 상기 파워칩(124)은 상기 제1 기판(120)의 배면, 즉 상기 감지부(122)가 안착된 상면의 반대면인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기판(120, 130) 사이에 공기층이 마련되어, 상기 공기층에 의해 상기 파워칩이 공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for this purpose, the power chip 124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20, that is, the lower surface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sensing unit 122 is mounted, an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20 It is preferable that an air layer is provided between 130) so that the power chip can be air cooled by the air layer.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기판(120, 130)은 서로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 및 제2 단자(123, 133)에 의해, 그리고/또는 상기 제2 기판(130) 위에 안착되어 상기 제1 기판(120)을 이격 지지하는 릴레이(132)에 의해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결국 상기 제1 기판(120)의 저면에 위치한 파워칩(124)은 상기 제1 및 제2 기판(12, 130)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에 의해 공냉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20 and 130 are mounted on the second substrate 130 by first and second terminals 123 and 133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each other, and The spaced state can be maintained by the relay 132 spaced apart from the substrate 120, and in the end, the power chip 124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20 is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2 and 130 ) Can be air-cooled by the air layer formed in the space spaced between them.

물론,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기판(120)의 저면에 위치한 상기 파워칩(124)은 그 위에 발열을 위한 히트싱크(heat sink)가 안착되어,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Of course, the power chip 124, which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substrate 120, has a heat sink for heating thereon to improve cooling efficiency.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판(120)은 적층 배치된 상기 제2 기판(13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단자(123)를 가질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단자(123)는 상기 제1 기판(120)의 저면에 하향 배치된 핀(pin) 형태일 수 있다. 핀의 개수는 4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bstrate 120 may have a first terminal 123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stacked second substrate 130, wherein the first terminal 123 is the It may be in the form of a pin disposed downwar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20. The number of pins may be 4 or more,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2 기판(130)은 상기 제1 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단자(133)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 단자(133)는 상기 제2 기판(130)의 상면에 상향 배치되어 상기 제1 단자(123)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형태일 수 있다.Correspondingly, the second substrate 130 may have a second terminal 133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first substrate 120, wherein the second terminal 133 is the second substrate ( It may be disposed up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130) to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123.

결국, 제1 및 제2 단자(123, 133)는 핀(pin) 형태를 매개로 결합되어, 핀의 길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기판(120, 130)은 그만큼 상호 이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23 and 133 are coupled through a pin shap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20 and 130 are kep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length of the pin. I can.

한편, 상기 제2 기판(130)은 외부의 상용 전원이 연결되는 입력부(134)와, 외부 전기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부(135)와, 상기 입력부(134) 및 상기 출력부(135) 간 전기적 연결을 개폐하는 릴레이(13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substrate 130 includes an input unit 134 to which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is connected, an output unit 135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ic device, and the input unit 134 and the output unit 135. It may include a relay 132 for opening and clos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기판(130)은 상기 제1 단자(123)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단자(13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ubstrate 130 may include a second terminal 133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first terminal 123.

상기 릴레이(13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판(130)의 상면에 세워진 상태로 마련되되, 상기 제2 기판(130)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반대측인 상기 제2 기판(130)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제2 단자(133)가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relay 132 is provided in a state er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130, as shown in FIG. 2, but is preferably disposed on one edge of the second substrate 130, and the opposite sid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econd terminal 133 is disposed on the other edge of the second substrate 130.

결국, 상기 제1 기판(120)은 상기 제2 기판(130) 상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제2 기판(130)의 위 양측 단부에 마련된 릴레이(132) 소자와 제2 단자(133)에 의해 제1 기판(120)은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제1 기판(120)의 저면에 위치한 파워칩(124)은 상기 가장자리홈부(121a, 121b)와 상기 제1 단자(123) 사이에 마련되게 된다.As a result, the first substrate 120 is disposed spaced apart on the second substrate 130 by the relay 132 element and the second terminal 133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substrate 130 The first substrate 120 may be supported. Of course, the power chip 124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substrate 120 is provided between the edge grooves 121a and 121b and the first terminal 123.

한편, 상기 릴레이(132) 상단의 외관에 상응하여, 상기 제1 기판(120)의 일측 가장자리 및/또는 타측 가장자리에는 가장자리홈부(121a, 121b)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장자리홈부(121a, 121b)에 상기 릴레이(132)가 끼워져, 상기 제2 기판(130)과 그 위에 이격하여 적층 배치된 상기 제1 기판(120)이 비틀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upper end of the relay 132, edge grooves 121a and 121b may be formed at one edge and/or the other edge of the first substrate 120, and the edge grooves 121a and 121b It is preferable that the relay 132 is inserted into) so that the second substrate 130 and the first substrate 120 stacked and disposed thereon are not twisted.

상기 릴레이(13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가장자리홈부(121a, 121b)에 상기 릴레이(132)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132) 위에 상기 가장자리홈부(121a, 121b)가 안착되어, 상기 제2 기판(120)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릴레이(132)의 상측 단부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자 형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relay 13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a state in which the relay 132 is inserted into the edge grooves 121a and 121b, the edge grooves 121a and 121b are seated on the relay 132,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relay 132 has an approximately'∩'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the second substrate 120 can be support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위치는, 하나의 회로기판이 전반에 걸쳐 마련되어 있지 않고, 스위치유닛(100)이 스위치버튼마다 물리적으로 분리된 회로기판이 마련되어 있어, 터치 위치를 감지하거나 판단하는 마이컴(micom)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으며, 복수의 스위치 유닛마다 회로기판이 별개로 마련되고 각각 전기적 연결을 개폐하기 때문에, 종래 기계식 스위치에 상기 스위치 유닛을 결합하여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스위치 유닛 각각이 개별 동작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스위치 유닛의 고장이 다른 스위치 유닛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복수의 스위치 유닛들 중 하나씩 교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ouch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circuit board is not provided throughout, and the switch unit 100 is provided with a circuit board physically separated for each switch button, so that the touch position It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a micom that detects or judges, and because a circuit board is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switch units and each opens and closes an electrical connection, the switch unit can be combined with a conventional mechanical switch to be utilized. Of course, since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 units operates individually, a failure of one of the switch units does not affect the other switch units, and one of the plurality of switch units can be replac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scope, and equivalent concepts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interpreted.

1: 터치스위치 11: 터치커버
12: 플레이트 13: 회로기판
14: 스위치상자 15: 안착부
10: 브라켓 100, 101~103: 스위치유닛
110: 하우징 111: 체결돌기
120: 제1 기판 121: 제1 회로기판
121a, 121b: 가장자리홈부 122: 감지부
122a: 탄성부재 122b: 전도성박막
123: 제1 단자 124: 파워칩
125: 발광부 130: 제2 기판
131: 제2 회로기판 132: 릴레이
133: 제2 단자 134: 입력부
135: 출력부 w: 관통공
1: touch switch 11: touch cover
12: plate 13: circuit board
14: switch box 15: seat
10: bracket 100, 101 to 103: switch unit
110: housing 111: fastening protrusion
120: first substrate 121: first circuit board
121a, 121b: edge groove 122: sensing unit
122a: elastic member 122b: conductive thin film
123: first terminal 124: power chip
125: light emitting unit 130: second substrate
131: second circuit board 132: relay
133: second terminal 134: input unit
135: output unit w: through hole

Claims (8)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증폭하는 파워칩과, 상기 감지신호를 제2 기판에 전달하기 위한 제1 단자를 포함하는 제1 기판; 및
외부의 상용 전원이 연결되는 입력부와, 외부의 전기기기와 연결되는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출력부 간 전기적 연결을 개폐하는 릴레이와,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2 기판;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로 연결되어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기판의 하부에 상기 파워칩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적층배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공기층이 마련되어 상기 파워칩을 냉각시키고,
상기 제2 기판은, 상부에 상기 릴레이가 세워서 설치되고,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릴레이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장자리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적층 배치될 때, 상기 릴레이는, 상기 가장자리홈부에 끼워져 상기 제1 기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닛이 적어도 하나인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
A first substrate including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user's touch input, a power chip for amplifying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a first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signal to a second substrate; And
An input unit to which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upply is connected, an output unit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ic device, a relay for opening and clos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and a second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substrate including;
Including,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nd are stacked and dispose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stacked and disposed so that the power chip is disposed under the first substrate, and an air laye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 cool the power chip,
The second substrate, the relay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The first substrate includes an edge groove formed so that the relay is inserted,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stacked and disposed, the relay is inserted into the edge groove to support the first substrate. A wall-mounted touch type switch having at least one switch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감지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는, 복수의 상기 하우징이 삽입체결되는 브라켓;
을 더 포함하여, 복수의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복수의 상기 전기기기에 대한 전기적 연결의 개폐가 개별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witch unit further includes a housing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herein, and the sensing uni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wall-mounted touch switch may include a bracket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housings are inserted and fastened;
A wall-mounted touch type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opening/closing of electrical connections to the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output units are individually opera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전방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커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부는, 상기 터치커버와 밀착하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탄성소재이되, 적어도 일면은 전도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터치커버와 상기 제1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2,
A touch cover provided in front of the bracket to receive a user's touch input;
Further include,
The sensing un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cover, and at least one surface is made of conductive so that the touch cover and the first substrat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가운데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관통공의 위치에 빛을 발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nsing unit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middle,
The first substrate, a wall-mounted touch type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ght-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at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2 기판에 입력되는 교류입력 중 반사이클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light emitting unit,
Wall-mounted touch type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driving in a half cycle of the AC input input to the second substr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홈부는 상기 제1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기판의 타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가장자리홈부와 상기 제1 단자 사이에 상기 파워칩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dge groove portion is disposed at one edge of the first substrate,
The first terminal is disposed on the other edge of the first substrate,
The wall-mounted touch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chip is provided between the edge groove and the first terminal.
KR1020200087898A 2020-07-16 2020-07-16 Wall-mounted touch switch KR1021606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898A KR102160617B1 (en) 2020-07-16 2020-07-16 Wall-mounted touch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898A KR102160617B1 (en) 2020-07-16 2020-07-16 Wall-mounted touch swi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617B1 true KR102160617B1 (en) 2020-09-28

Family

ID=7280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898A KR102160617B1 (en) 2020-07-16 2020-07-16 Wall-mounted touch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617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577B1 (en) 2006-09-26 2008-04-21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Wall Builtin Touch switch
KR20090115361A (en) * 2008-05-02 2009-11-05 이상욱 Power switch
KR200448802Y1 (en) 2007-12-18 2010-05-25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Burying Type Touch Switch
KR101017580B1 (en) * 2010-06-25 2011-02-25 더베스트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llectively
KR101096808B1 (en) * 2010-06-30 2011-12-22 주식회사 에버다임 Switch module for power take-off of special vehicle
KR101221008B1 (en) 2011-09-26 2013-01-10 김정호 Program switch
KR20130019835A (en) * 2011-08-18 2013-02-27 (주)라인시스템 Switch box
KR101619829B1 (en) 2015-10-14 2016-05-11 (주)클라루스코리아 Touch switch for wall reclamation typ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577B1 (en) 2006-09-26 2008-04-21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Wall Builtin Touch switch
KR200448802Y1 (en) 2007-12-18 2010-05-25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Burying Type Touch Switch
KR20090115361A (en) * 2008-05-02 2009-11-05 이상욱 Power switch
KR101017580B1 (en) * 2010-06-25 2011-02-25 더베스트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llectively
KR101096808B1 (en) * 2010-06-30 2011-12-22 주식회사 에버다임 Switch module for power take-off of special vehicle
KR20130019835A (en) * 2011-08-18 2013-02-27 (주)라인시스템 Switch box
KR101221008B1 (en) 2011-09-26 2013-01-10 김정호 Program switch
KR101619829B1 (en) 2015-10-14 2016-05-11 (주)클라루스코리아 Touch switch for wall reclamation ty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8530B2 (en) Light emitting keyed keyboard
AU2011296544B2 (en) Keypad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8759702B2 (en) Key structure and keyboard
US20110038115A1 (en) Illumination Arrangement
JP5784427B2 (en) refrigerator
US7635820B2 (en) Key switch system having indicator lamp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same
JP2006331801A (en) Socket for electronic components
US7999203B2 (en) Electroluminescent keyboard
JP2013057432A (en) Refrigerator
KR102160617B1 (en) Wall-mounted touch switch
KR20040066809A (en) Backlight system architecture for mobile display system
US20110141736A1 (en) LED panel
US7715179B2 (en) Power supply for a computer device
US6791041B1 (en) IA switch
JP3139175U (en) Lighting fixture structure
US8770782B2 (en)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being controlled by blow
US8456837B2 (en) Computer enclosure
JP4888815B2 (en) Electronics
KR200440499Y1 (en) Room lamp
JP5040819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components
JP6292940B2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 emitting module mounting structure
JP4655112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components
JP6902708B2 (en) Emergency lighting equipment
CN217382371U (en) Display device
CN213240755U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