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467B1 -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467B1
KR102160467B1 KR1020190102461A KR20190102461A KR102160467B1 KR 102160467 B1 KR102160467 B1 KR 102160467B1 KR 1020190102461 A KR1020190102461 A KR 1020190102461A KR 20190102461 A KR20190102461 A KR 20190102461A KR 102160467 B1 KR102160467 B1 KR 102160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hielding
cradle
sampl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선
최창훈
조광현
조성구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9010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5/00Irradiation devices
    • G21K5/08Holders for targets or for other objects to be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는 서랍식 구조로 형성되어 시료가 수용되는 시료수용모듈, 일 측이 개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폐플레이트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납영역이 구비된 차폐모듈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텀모듈이 포함되고,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는 시료수용모듈을 중심으로 차폐모듈 및 팬텀모듈이 상하로 배치되어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THE HOLDER FOR IRRADIATING RADIATION}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나 동물 등의 시료에 방사선을 조사한 후 세포 혹은 조직에 대한 방사선 반응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 생물학 실험은 복잡계인 세포, 장기 또는 조직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복수회의 실험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방사선 생물학 실험에서는 방사선 조사를 위하여 방사선 발생장치를 이용해야 하고 특히 생물학 실험을 위한 방사선 장비가 아닌 치료용 방사선 장비를 이용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복수회의 실험에 따른 시간 및 인력 소모가 크다.
현재 방사선 생물학 실험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는 X-ray 치료에 관한 실험 시 사용되는 방식으로, 방사선 조사 범위에 세포나 동물을 위치시키고 단일 에너지 방사선의 최대선량 전달 깊이와 동일한 물등가 팬텀을 쌓아서 실험이 진행된다. 두 번째는 입자선 치료에 관한 실험 시 사용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입자선 에너지와 SOBP(spread out Braggs peak)를 고려하여 물등가 팬텀의 두께를 조절하여 세포 또는 동물이 위치한 판 위에 쌓아서 실험이 진행된다.
이러한 방식들로 방사선 실험 진행 시 소정 횟수 이상 세포 또는 동물에 대한 방사선 조사 수행 시 물등가 팬텀을 쌓거나 쌓인 물등가 팬텀을 내리고 대상 세포나 동물을 교체한 뒤 다시 물등가 팬텀을 쌓아야 하는 등과 같은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방사선 조사의 과정을 효율화하여 실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7781호 (2015.11.04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 개발 요구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단위 시간 동안 방사선 조사 세포 혹은 동물의 수를 늘리거나 동일한 세포 수 또는 동물 수를 조사할 경우 소비되는 실험 시간을 줄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는서랍식 구조로 형성되어 시료가 수용되는 시료수용모듈, 일 측이 개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폐플레이트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납영역이 구비된 차폐모듈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텀모듈이 포함되고,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는 시료수용모듈을 중심으로 차폐모듈 및 팬텀모듈이 상하로 배치되어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에 있어서, 시료수용모듈에는 일 측에 구비된 개방구를 통해 내부공간이 개방 형성된 시료프레임 및 개방구의 제 1 부분을 통해 내부공간에 서랍식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바디프레임이 포함되고, 개방구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으로 형성되며, 바디프레임에는 시료의 수용을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에 있어서, 차폐모듈은 차폐플레이트가 수납영역으로 삽입되는 방향과 바디프레임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시료수용모듈의 상측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에 있어서, 차폐모듈에는 차폐모듈의 소정의 위치에 마련되어 상하로 수직이동이 가능한 가림막이 더 포함되고, 가림막은 수직이동에 따라 개방구의 제 2 부분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에 있어서, 가림막의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며, 바디프레임이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가림막의 수직이동에 따라 개방구의 제 2 부분이 차단 시, 바디프레임은 돌출부재의 가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에 있어서, 차폐플레이트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되고, 각각의 영역들은 서로 상이한 차폐성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에 따르면, 기존의 방사선 거치대에 비하여 단위 시간 당 방사선 조사 세포 혹은 동물의 수를 늘리거나 동일한 세포 수 또는 동물의 수를 조사할 경우 소비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에 가림막이 추가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에 있어서, 가림막에 돌출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의 바디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의 바디프레임에 시료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의 차폐플레이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는 세포나 동물 등의 시료에 방사선을 조사한 후 세포 혹은 조직에 대한 방사선 반응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에 관한 것이다. 즉, 방사선 생물학 실험에 있어서 시료, 차폐부재, 팬텀 등이 수용될 수 있는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료는 세포나 동물 등과 같이 방사선 생물학 실험의 대상이 되면 모두 상기 시료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는 서랍식 구조로 형성되어 시료가 수용되는 시료수용모듈, 일 측이 개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폐플레이트(250)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납영역이 구비된 차폐모듈(2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텀모듈(300)이 포함되고,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는 시료수용모듈을 중심으로 차폐모듈(200) 및 팬텀모듈(300)이 상하로 배치되어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시료수용모듈은 서랍식 구조로 형성되어 시료가 수용되는데, 상기 시료수용모듈에는 일 측에 구비된 개방구를 통해 내부공간(190)이 개방 형성된 시료프레임(100) 및 개방구의 제 1 부분을 통해 내부공간(190)에 서랍식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바디프레임(150)이 포함되고, 개방구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으로 형성되며, 바디프레임(150)에는 시료의 수용을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시료프레임(100)에 구비된 내부공간(190)으로 바디프레임(150)이 이동됨에 따라 방사선 조사에 따른 방사선 반응을 확인하는 등의 방사선 실험이 진행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내부공간(190)으로부터 바디프레임(150)이 빠져 나와 돌출됨에 따라 시료의 교체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90)에 바디프레임(150)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하여 상기 바디프레임(150)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190)에는 상기 바디프레임(150)의 이동을 위한 레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바디프레임(150)이 이동함에 따라 내부공간(190)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바디프레임(150)이 내부공간(19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다만, 바디프레임(150)의 이동 방식은 전술한 슬라이딩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식에 따라 바디프레임(150)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시료프레임(100)에 구비되어 내부공간(190)과 연결되는 개방구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디프레임(150)이 내부공간(190)을 따라 이동되는 부분과 연결되는 개방구는 제 1 부분에 해당되며, 바디프레임(150)이 이동되는 경로가 아닌 나머지 부분과 연결되는 개방구는 제 2 부분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내부공간(190)에는 바디프레임(150)이 내부공간(190)을 모두 차지하여 완전 삽입될 수도 있지만, 이와는 달리 바디프레임(150)이 내부공간(190)에 삽입되어도 나머지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시료의 종류 혹은 실험 목적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190)의 구조 및 개방구는 미리 상이하게 설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의 바디프레임(150)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의 바디프레임(150)에 시료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바디프레임(150)에 구비된 수용공간에는 격자 무늬가 표시됨에 따라 소정 개수의 영역들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바디프레임(150)의 수용공간은 원기둥 형태로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즉, 샬레나 비커와 같은 원통형 용기에 담겨진 시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은 도 5의 (b)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a)에는 세포가 샬레 및 복수개의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이한 크기의 용기들이 담겨질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에는 도 6의 (b)와 같이 동물들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바디프레임(150)에는 손잡이(1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는 바디프레임(150)의 일 측 단면에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공간(190)으로 바디프레임(150)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5 및 도 6과 같이 손잡이가 바디프레임(15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손잡이부의 형태는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차폐모듈(200)은 차폐플레이트(25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납영역이 구비되어 있다. 차폐플레이트(250)는 방사선을 차폐시키기 위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플레이트(250)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판(plat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차폐플레이트(250)의 일 단면에는 돌출부(258)가 상기 차폐플레이트(250)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돌출부를 파지함으로써 상기 차폐모듈(200)의 수납영역에 삽입하거나 수납영역에 구비된 차폐모듈(200)을 꺼낼 수 있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플레이트(250)에 구비된 돌출부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의 차폐플레이트(25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에 있어서, 차폐플레이트(250)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되고, 각각의 영역들은 서로 상이한 차폐성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방사선 실험 대상인 시료의 종류마다 차폐성능을 달리하여 방사선 조사에 대한 반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폐플레이트(250)는 상이한 차폐성능을 가진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성능을 상이하게 가질 수 있도록 차폐재의 종류나 성분 비율 등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플레이트(250)가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되는 구조나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팬텀모듈(300)은 소정의 물체 내에서의 방사선의 감쇠, 산란 또는 방사성 물질의 분포 등을 모의하여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물체일 수 있다. 상기 팬텀모듈(300)은 아크릴 수지, 스티롤 수지, 파라핀 등으로 형성된 고체형팬텀일 수 있으며, 팬텀프레임 내에 액체형팬텀이 수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형팬텀이란 인체의 연부조직 및 근육조직과 유사하도록 하기 위하여증류수로 형성된 팬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시료수용모듈, 차폐모듈(200) 및 팬텀모듈(300)이 다층구조로 배치되는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는 시료수용모듈의 시료프레임(100)의 상단면에 차폐모듈(200)이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료프레임(100)의 하단면에는 팬텀모듈(300)이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와는 달리 시료프레임(100), 차폐모듈(200) 및 팬텀모듈(300)이 배치되는 순서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프레임(100)의 상단면에 차폐모듈(200)이 연결되고 상기 차폐모듈(200)의 상단면에 두 개의 팬텀모듈(300)들이 연결되어 배치되며, 상기 시료프레임(100)의 하단면에 두 개의 팬텀모듈(300)들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시료프레임(100)을 중심으로 한 팬텀모듈(300) 및 차폐모듈(200)의 배치형태, 배치순서, 배치개수 등은 방사선 실험의 목적, 실험대상인 시료의 종류, 방사선 실험의 방법 등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됨에 따라 상기 배치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시료프레임(100)이 차폐모듈(200)과 연결되거나 시료프레임(100)이 팬텀모듈(300)과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링크부재(400)가 사용될 수 있다. 링크부재(400)를 이용하여 차폐모듈(200)과 팬텀모듈(300)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부재(400)를 이용하여 시료프레임(100), 팬텀모듈(300) 및 차폐모듈(200) 상호간에 연결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료프레임(100),팬텀모듈(300) 및 차폐모듈(200)의 상단면 혹은 하단면에는 링크부재(400)와 연결되는 후크부재(미도시)가 미리 마련되어 있거나 링크부재(40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홈(미도시)가 미리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링크부재(400)를 이용하여 시료프레임(100), 차폐모듈(200) 및 팬텀모듈(300) 상호간에 연결 및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시료프레임(100), 차폐모듈(200) 및 팬텀모듈(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시료프레임(100), 차폐모듈(200) 및 팬텀모듈(300)의 형태는 각각의 모듈 간 연결에 따른 다층 구조가 형성가능한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로든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프레임(100) 및 팬텀모듈(3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파지홈(35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에 있어서, 차폐모듈(200)은 차폐플레이트(250)가 수납영역으로 삽입되는 방향과 바디프레임(150)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시료수용모듈의 상측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프레임(150)의 개방구와 차폐모듈(200)의 수납공간의 형태 및 구조에 따라 용이하게 차폐플레이트(250)를 차폐모듈(200)로부터 분리하거나 바디프레임(150)의 인입/인출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차폐모듈(200)의 수납공간의 개방된 방향과 시료프레임(100)의 개방구의 개방 방향이 동일한 경우에는 시료의 교체 혹은 차폐플레이트(250)의 삽입/분리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폐모듈(200)은 차폐플레이트(250)가 수납영역으로 삽입되는 방향과 바디프레임(150)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시료수용모듈의 상측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에 가림막(170)이 추가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에 있어서, 차폐모듈(200)에는 차폐모듈(200)의 소정의 위치에 마련되어 상하로 수직이동이 가능한 가림막(170)이 더 포함되고, 가림막(170)은 수직이동에 따라 개방구의 제 2 부분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개방구의 제 2 부분이 차단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림막(17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막(170)의 이동을 위해 상기 차폐모듈(200)에는 이동용레일(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가림막(170)에는 상기 이동용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휠(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가림막(170)의 이동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에 있어서, 가림막(170)에 돌출부재(175)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10)에 있어서, 가림막(170)의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재(175)가 마련되어 있으며, 바디프레임(150)이 내부공간(190)에 인입된 상태에서 가림막(170)의 수직이동에 따라 개방구의 제 2 부분이 차단 시, 바디프레임(150)은 돌출부재(175)의 가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바디프레임(150)이 내부공간(190)에 인입된 상태에서 바디프레임(150)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재(175)가 상기 가림막(170)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175)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170)의 하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가림막(170)이 하향으로 최대한 이동될 경우에 바디프레임(150)의 손잡이(120)와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만큼 한 쌍의 돌출부재(175)는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
100: 시료프레임 150: 바디프레임
170: 가림막 175: 돌출부재
190: 내부공간
200: 차폐모듈 250: 차폐플레이트
300: 팬텀모듈

Claims (6)

  1.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에 있어서,
    서랍식 구조로 형성되어 시료가 수용되는 시료수용모듈;
    일 측이 개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폐플레이트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납영역이 구비된 차폐모듈;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텀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는 상기 시료수용모듈을 중심으로 상기 차폐모듈 및 팬텀모듈이 상하로 배치되어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수용모듈에는 일 측에 구비된 개방구를 통해 내부공간이 개방 형성된 시료프레임 및 상기 개방구의 제 1 부분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 서랍식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바디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개방구는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프레임에는 상기 시료의 수용을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모듈은 상기 차폐플레이트가 상기 수납영역으로 삽입되는 방향과 상기 바디프레임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시료수용모듈의 상측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모듈에는 상기 차폐모듈의 소정의 위치에 마련되어 상하로 수직이동이 가능한 가림막이 더 포함되고, 상기 가림막은 상기 수직이동에 따라 상기 개방구의 제 2 부분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의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프레임이 상기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림막의 수직이동에 따라 상기 개방구의 제 2 부분이 차단 시,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재의 가압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플레이트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획되고, 상기 각각의 영역들은 서로 상이한 차폐성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
KR1020190102461A 2019-08-21 2019-08-21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 KR102160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461A KR102160467B1 (ko) 2019-08-21 2019-08-21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461A KR102160467B1 (ko) 2019-08-21 2019-08-21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467B1 true KR102160467B1 (ko) 2020-09-28

Family

ID=7280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461A KR102160467B1 (ko) 2019-08-21 2019-08-21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4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762A (ko) * 2003-03-05 2004-09-13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 조사장치의 조사대
KR20040095465A (ko) * 2003-05-09 2004-11-15 정광호 방사선량 측정용 비균질팬텀
JP2011163869A (ja) * 2010-02-08 2011-08-25 Hitachi Cable Ltd 放射線検出モジュール
KR101567781B1 (ko) 2014-08-22 2015-11-11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 조사장치의 조사대
KR101608160B1 (ko) * 2014-12-31 2016-04-0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호흡운동에 따른 동적영상 정합용 복부 팬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762A (ko) * 2003-03-05 2004-09-13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 조사장치의 조사대
KR20040095465A (ko) * 2003-05-09 2004-11-15 정광호 방사선량 측정용 비균질팬텀
JP2011163869A (ja) * 2010-02-08 2011-08-25 Hitachi Cable Ltd 放射線検出モジュール
KR101567781B1 (ko) 2014-08-22 2015-11-11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 조사장치의 조사대
KR101608160B1 (ko) * 2014-12-31 2016-04-0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호흡운동에 따른 동적영상 정합용 복부 팬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6383E1 (en) Deceleration of hadron beams in synchrotrons designed for acceleration
EP1993669B1 (de) Bestrahlungsverifikationsvorrichtung für strahlentherapieanlagen und verfahren zur handhabung derselben
Kasesaz et al. BNCT project at Tehran Research Reactor: current and prospective plans
KR102160467B1 (ko) 방사선 조사용 거치대
Lis et al. A facility for the research, development, and transla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for ion-beam therapies
CN107292075B (zh) 增进放射治疗系统计算效益的方法
EP4249048A1 (en) Animal irradiation system and irradiation fixing apparatus thereof
Piersimoni et al. Optimization of a general‐purpose, actively scanned proton beamline for ocular treatments: Geant4 simulations
Moffitt et al. MCNP6 model of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clinical neutron therapy system (CNTS)
Karimi et al. Feasibility of 18-MV grid therapy from radiation protection aspects: unwanted dose and fatal cancer risk caused by photoneutrons and scattered photons
Webb et al.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using a variable-aperture collimator
CN210954354U (zh) 一种用于伽马辐照的剂量分布测试箱
Ghithan et al. Feasibility study for BioLEIR
Bortolussi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of disseminated tumours
US200700414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 intensity modulated beam of radiation
CN218579985U (zh) 一种用于肿瘤类器官放射治疗敏感性检测的定量放射装置
KR101252717B1 (ko) 동물세포 방사선영향시험에서의 고체팬텀, 이를 이용한 양성자 빔 에너지 조절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흡수선량 측정방법
CN219440457U (zh) 动物照射装置以及动物辐照系统
CN216014827U (zh) 一种中子辐射屏蔽结构及其制成的屏蔽装置
Yap Characterisation Studies of Proton Beamlines for Medical Applications and Beam Diagnostics Integration
Dosanjh et al. Introduction to the EC’s Marie Curie Initial Training Network project: The European training network in digital medical imaging for radiotherapy (ENTERVISION)
Patera et al. LhARA: The Laser-hybrid Accelerator for Radiobiological Applications
Schültke et al. The Microbeam Insert at the White Beam Beamline P61A at the Synchrotron PETRA III/DESY: A New Tool for High Dose Rate Irradiation Research. Cancers 2022, 14, 5137
Reidel Applications for CMOS pixel sensors in ion-beam therapy
CN106191026A (zh) 用于放射生物实验中的照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