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174B1 - Supporting assembly for fishing rod - Google Patents

Supporting assembly for fishing r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174B1
KR102160174B1 KR1020190017847A KR20190017847A KR102160174B1 KR 102160174 B1 KR102160174 B1 KR 102160174B1 KR 1020190017847 A KR1020190017847 A KR 1020190017847A KR 20190017847 A KR20190017847 A KR 20190017847A KR 102160174 B1 KR102160174 B1 KR 102160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support
mount
hole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8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9797A (en
Inventor
최재휘
Original Assignee
최재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휘 filed Critical 최재휘
Priority to KR1020190017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174B1/en
Publication of KR2020009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7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1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대의 설치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아울러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뒷받침대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축구멍과 나사구멍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양쪽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마운트, 상기 마운트에 장착되고, 낚싯대의 중간 부분을 받쳐주는 앞받침대 및 손잡이 부분을 받쳐주는 뒷받침대가 고정되는 다수 개의 서포터 및 상기 마운트의 양쪽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낚싯대가 쓰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기 위해 장착된 홀더를 포함하는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that can change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fishing rod in various ways, and can easily fix the support suppor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haft holes and screw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at both edges, and the mount is mounted on the mount, and supports the front support and the handle that support the middle part of the fishing rod. The main discloses a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ers to which the support is fixed and a holder mounted to at least one of both edges of the mount so that the fishing rod does not fall or shake.

Description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SUPPORTING ASSEMBLY FOR FISHING ROD}Support assembly for fishing rod {SUPPORTING ASSEMBLY FOR FISHING ROD}

본 발명은 여러 대의 낚싯대를 바닥 등에서 일정한 높이로 받쳐서 편성하는 받침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싯대나 뜰채의 꽂는 방향 및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아울러 낚싯대를 최대 경사 각도로 설치 시 뒷받침대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뒷받침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는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assembly for knitting a plurality of fishing rods by supporting them at a constant height on the floor, etc., and in more detail,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inser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fishing rod or landing net,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fishing rod is installed at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that does not slip in and maintains a stable stationary state, as well as can easily and quickly fix the suppor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오늘날 대부분의 낚시인들은 민물낚시와 바다낚시 등 낚시하는 장소에 따라 또는 포획대상으로 하는 어종 공략에 최적의 조건을 갖춘 낚싯대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민물낚시의 경우 원하는 낚시포인트나 취향 등 다양한 조건에 맞도록 여러 대의 낚싯대를 준비 및 편성하여 낚싯대의 손잡이 부분은 뒷받침대(뒤꽂이)에 올려놓거나 고정하고, 낚싯대의 중간 부분은 아래로 쳐지거나 앞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앞받침대에 올려놓은 상태로 피로감을 줄이면서 보다 편안하게 낚시를 즐기고 있다.Today, most fishermen use fishing rods that have the best conditions depending on where they are fishing, such as freshwater fishing and sea fishing, or for targeting fish species. Especially, freshwater fishing suits various conditions such as desired fishing points and tastes. Prepare and organize several fishing rods so that the handle part of the fishing rod is placed or fixed on the back support (rear rack), and the middle part of the fishing rod is placed on the front support so that it does not fall down or tilt forward, reducing fatigue. I enjoy fishing more comfortably.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80)의 중간 부분을 받쳐주는 앞받침대(60)와, 손잡이 부분을 받쳐주는 뒷받침대(70)를 좌대 등에 함께 고정하기 위한 이른바 낚시받침대용 받침틀을 이용하고 있다.Recently, as shown in FIG. 1, a so-called fishing support frame for fixing the front support 60 support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fishing rod 80 and the back support 70 supporting the handle portion is used. Are doing.

이러한 낚시받침대용 받침틀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9664호에 낚시받침대 고정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프레임(102)의 고정브라켓(110)에 설치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에 설치되고 앞받침대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410)와, 상기 몸체부(210)에 설치되어 앞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10) 및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낚싯대의 손잡이 부분을 받쳐주는 뒷받침대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fishing support frame, a fishing support fixtur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59664. As shown in FIG. 2, the body part 210 installed on the fixing bracket 110 of the support frame 102, the fixing part 410 installed on the body part 210 and fixed to the front base , An angle adjustment part 310 installed on the body part 210 to adjust the angle of the front base, and a support base part 510 that is coupled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210 to support the handle part of the fishing rod. It is composed of.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낚시받침대용 받침틀은 뒷받침대부(510)의 결속부재(520)와 연결부재(530)가 단순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여서 외력에 의해 쉽게 회전되기 때문에 낚싯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두 대 이상의 낚싯대를 편성할 경우 세밀한 포인트 공략이 어려운 데다 챔질 시 낚싯대가 겹치는 등 사용이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fishing base support fram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inding member 520 and the connection member 530 of the back support part 510 are coupled in a simple fitting method, it is not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fishing rod because it is easily rotated by external force. As a result, when two or more fishing rods are organized, it is difficult to capture detailed point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 is quite inconvenient, such as overlapping fishing rods when chasing.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9928호에 낚싯대를 펼친 상태로 잠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의 낚싯대 거치구가 개시되어 있다.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39928 discloses a fishing rod mounting tool for temporarily mounting a fishing rod in an unfolded state.

그러나 이는 낚싯대의 밑동 부분을 거의 수직으로 꽂아서 단순히 거치하기 위한 구조이기 때문에 파라솔이나 텐트와 같은 장애물이 가로막을 경우 등에는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However, since this is a structure for simply mounting the bottom of a fishing rod almost vertically, there is a limit that cannot be used when an obstacle such as a parasol or a tent is obstructed.

한편, 민물낚시 미끼로는 지렁이와 떡밥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바다낚시용 미끼로는 갯지렁이가 주로 쓰이고 있는데, 낚시 도중에 낚싯바늘에 미끼를 꿰거나 끊어진 낚싯줄을 잇기 위해서는 낚싯대를 들어 낚싯줄의 끝에 달리 낚싯바늘을 지면에 닿게 한 상태로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려 앉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따를 수밖에 없다.On the other hand, earthworms and rice cakes are most commonly used as bait for freshwater fishing, and lugworm is mainly used as bait for sea fishing. The hassle and discomfort of having to bend or squat with the fishing hook in contact with the ground are bound to follow.

또한, 여러 대의 낚싯대 중 하나의 낚싯대 낚싯바늘에 미끼를 끼울 때 다른 낚싯대에 입질이 있을 경우 미처 미끼를 끼우지 못한 낚싯대의 낚싯바늘은 팽개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주변의 수초, 풀이나 나무 등과 같은 장애물에 낚싯바늘이 걸려서 종종 낚시줄이 꼬이거나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re is a bite on the other fishing rod when a bait is placed on one fishing rod among several fishing rods, the hook of the fishing rod for which the bait could not be placed is inevitably thrown awa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shing line is often twisted or broken due to the hooking of the fishing hook.

더욱이 여러 대의 낚싯대를 거치한 상태로 동시에 들고 이동할 경우 자칫 낚싯줄이 서로 엉키는 문제점이 있다.Moreo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shing lines get tangled with each other when carrying and moving at the same time while holding several fishing rods.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r the prior art described herein is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present inventors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only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technical signific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t does not mean a technique widely known in the field, and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s in the prior art are mutually independent of reference numerals in the present invention.

KR 10-1859664 B1(2018.05.14)KR 10-1859664 B1 (2018.05.14) KR 10-1839928 B1(2018.03.13)KR 10-1839928 B1 (2018.03.13) KR 10-2017-0135343 A(2017.12.08)KR 10-2017-0135343 A(2017.12.08) KR 20-2016-0000282 U(2016.01.25)KR 20-2016-0000282 U (2016.01.25) KR 20-0479882 Y1(2016.03.11)KR 20-0479882 Y1 (2016.03.11) KR 10-2017-0004640 A(2017.01.11)KR 10-2017-0004640 A(2017.01.11) KR 10-1048616 B1(2011.07.05)KR 10-1048616 B1 (2011.07.05) KR 10-0940356 B1(2010.01.27)KR 10-0940356 B1 (2010.01.27) KR 10-1745768 B1(2017.06.02)KR 10-1745768 B1 (2017.06.02) KR 10-2016-0007157 A(2016.01.20)KR 10-2016-0007157 A(2016.01.20) KR 10-1213327 B1(2012.12.11)KR 10-1213327 B1 (2012.12.11)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낚시받침대용 받침틀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파라솔이나 텐트와 같은 장애물이 가로막을 경우 등 주위 환경에 맞게 낚싯대나 뜰채의 거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아울러 낚싯대를 최대 경사 각도로 설치 시 뒷받침대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뒷받침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above-described matters and, in the idea of solving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fishing support frame, the fishing rod or landing net suitable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when an obstacle such as a parasol or a tent is obstructed. The mounting angle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nd when the fishing rod is installed at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it does not slip on the backrest and maintains a stable stationary state, as well as a new structure that allows the backrest to be fixed easily and quickl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as a result of continuous research with great efforts to develop a fishing rod support assembly.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낚싯대나 뜰채의 거치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that can variously change the mounting angle of a fishing rod or landing ne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낚싯대를 다양한 각도 및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that enables the fishing rod to be stably installed at various angl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낚싯대의 길이 방향에 맞춰 뒷받침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that enables a simple and quick fixation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shing rod.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축구멍과 나사구멍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양쪽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마운트, 상기 마운트에 장착되고, 낚싯대의 중간 부분을 받쳐주는 앞받침대 및 손잡이 부분을 받쳐주는 뒷받침대가 고정되는 다수 개의 서포터 및 상기 마운트의 양쪽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낚싯대나 뜰채를 쓰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고, 낚싯대나 뜰채의 꽂는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스위블(swivel) 회전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홀더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제시한다.A 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and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is that a plurality of shaft holes and screw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at both edges The formed mount, a plurality of supporters, which are mounted on the mount, a front support for supporting the middle part of the fishing rod, and a back support for supporting the handle part, are fixed, and are mounted on at least one of both edges of the mount to knock down a fishing rod or landing net. It proposes a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older provided to enable swivel rotation and angle adjustment to chang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shing rod or landing net is inserted.

이로써 본 발명은 홀더의 조절볼트를 풀고 조이는 간단한 조작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낚싯대나 뜰채의 꽂는 방향 및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 및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fishing rod or landing net can be freely adjusted and variously changed with a simple operation of loosening and tightening the adjusting bolt of the hold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홀더는, 상기 마운트에 고정되고, 한쪽에 마운트의 관통구멍과 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다른 쪽에 클리어런스 홀이 형성된 고정판, 낚싯대의 밑동이 삽입되도록 관형으로 형성되고, 아래쪽 끝단의 한쪽에 경사면이, 다른 쪽에 수평면이 형성된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하부에 가로질러 끼워지고, 가운데 부분에 상하로 조임구멍이 뚫린 연결축 및 상기 고정판의 클리어런스 홀을 통하여 상기 연결축의 조임구멍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조임구멍과의 조임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관이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경사면과 수평면이 상기 고정판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고정판에 상기 지지관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키는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is fixed to the mount, at least one fix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of the mount is formed on one side, and a fixing plate having a clearance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root of the fishing rod is inserted. A support pipe with an inclined surface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and a horizontal surface on the other side, a connection shaft fitted across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ipe, and with a tightening hole vertically in the middle part, and a clearance hole of the fixing plate It is screwed with the tightening hole of the connection shaft through, and adjusts the angle so that the support pipe rotates about the connection shaft according to the tightening position with the tightening hole so that the inclined and horizontal surfaces are selectiv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and the I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by including an adjustment bolt for maintaining the fixed state of the support pipe to the fixing pl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연결축의 한쪽 끝단에 낚싯줄을 끼워 걸어서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제1줄걸이판이 부착됨으로써 낚시인이 낚시하는 도중 낚싯바늘에 미끼를 끼우기 위해 수시로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려 앉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line hanger plate for temporarily fixing by hooking a fishing line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shaft is attached, so that the angler needs to bend or squat from time to time to put the bait on the fishing hook during fishing. It can relieve the hassle and discomfor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마운트에 부착되고, 상기 축구멍과 상기 나사구멍에 대응하는 피벗과 장공이 형성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상하로 일정한 각도 범위 안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핀 이음으로 장착되고, 앞쪽에 낚싯대의 중간 부분을 받쳐주는 앞받침대의 밑동이 삽입 고정되고, 및 위쪽에 낚싯대의 손잡이 부분을 받쳐주는 뒷받침대가 고정되는 바디,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상기 바디의 각도를 조절하고, 그 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조절유닛, 상기 브래킷의 뒤쪽에 구비되어 낚싯대의 밑동을 받쳐주는 크레들 및 상기 뒷받침대의 헤드 부분에 부착되고, 낚싯줄을 끼워 걸어서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제2줄걸이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현장의 조건이나 상황에 알맞게 낚싯대의 설치 각도를 다양하게 편성할 수 있고, 아울러 낚시하는 도중 낚싯바늘에 미끼를 끼우기 위해 수시로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려 앉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er is a bracket attached to the mount and having a pivot and a long hole corresponding to the shaft hole and the screw hole, and a pin joint so that the bracket can rotate up and down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The body is mounted, the base of the front support for supporting the middle part of the fishing ro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ront, and the back support for supporting the handle part of the fishing rod is fixed at the top, and the angle of the body is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bracket, An angle adjustment unit that maintains an angle, a cradl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racket to support the base of the fishing rod, and a second line holder plate attach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support bed and temporarily fixed by hooking a fishing line. As a result, the angle of installation of the fishing rod can be arranged in various ways to suit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sit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hassle and inconvenience of having to frequently bend or squat to lure the fishing hook during fish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바디의 상면에 고정되고, 외주연에 잠금돌기가 형성된 고정핀 및 상기 뒷받침대의 샤프트 하단에 회전 가능하면서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잠금돌기의 안내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바디에 상기 뒷받침대를 잠금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외주연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잠금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낚싯대의 길이 방향에 맞춰 뒷받침대를 한층 더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pin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 fixing pin rotatable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of the support base, ar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trusion. By rotating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ring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o fix the support to the body in a locked stat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and quickly fix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shing rod. .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은, 홀더가 조절볼트와 연결축 간의 풀림 및 조임에 따라 지지관의 방향을 스위블 회전으로 조절하고 그 설치 각도를 유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낚싯대나 뜰채의 꽂는 방향 및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 및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means and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is, the holder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ipe by swiveling rotation according to the loosening and tightening between the adjustment bolt and the connection shaft. Since it is a structure that maintains its installation angle,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fishing rod or landing net can be freely adjust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따라서 낚시터의 파라솔이나 텐트와 같은 장애물이 가로막는 경우 등 주변 환경에 구애받음 없이 현장의 조건이나 상황에 따라 알맞게 다양한 각도로 간편하고 자유롭게 낚싯대를 편성하거나 임시로 거치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and freely organize fishing rods or temporarily mount them at various angle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site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when obstacles such as umbrellas or tents are obstructed,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I can make it.

또한, 낚시인이 낚시 도중에 미끼를 끼울 때 제1줄걸이판이나 제2줄걸이판에 낚싯줄을 편리하게 끼워 걸어서 임시로 고정할 수 있어 낚싯바늘을 집기 위해 수시로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려 앉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하는 등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angler lures in the middle of fishing, the fishing line can be conveniently clamped by hooking the fishing line to the first or second line board, so it is difficult to bend or squat to pick up the fishing hook. Convenience of use can be further enhanced, such as relieving discomfort.

더구나 크레들이 낚싯대의 밑동을 받쳐주기 때문에 낚시터 현장의 조건이나 상황에 알맞게 각 낚싯대의 설치 각도를 다양하게 편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낚싯대가 최대 경사 각도로 설치되더라도 뒷받침대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cradle supports the base of the fishing rod, it is possible to organize the installation angle of each fishing rod in various ways to suit the conditions and conditions of the fishing site, and even if the fishing rod is installed at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it does not slip on the backrest and stops stably. You can keep the state.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낚시받침대용 받침틀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낚시받침대용 받침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서포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서포터를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서포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홀더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서포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서포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서포터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shing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fishing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shing rod suppor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fishing rod suppor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er amo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upporter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a supporter amo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amo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a holder amo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supporter amo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supporter amo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supporter amo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conform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aning commonly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Her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artially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it is understoo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correspond to the actual size and shape.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mean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and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is a particularly opposite description. Unless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s not excluded,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further included.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That is, it means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of thes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xist,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action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y do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ir existence or addition.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top, and bottom are used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the relativ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upper part on the drawing may be named and referred to a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s the lower part.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at i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은, 크게 마운트(100), 서포터(200) 및 홀더(300)를 포함하고 있다.3 to 6,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fishing rod support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mount 100, a supporter 200, and a holder 300.

<마운트><mount>

마운트(100)는 좌우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터(200)를 배열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두께가 얇은 스테인리스 스틸 및 알루미늄 바(bar)와 같은 평평한 금속판재로 이루어져 있고, 마치 좌우로 활처럼 길게 휘어진 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mount 100 is for arranging and mounting at least one supporter 200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made of a flat metal plate such as a thin stainless steel and an aluminum bar, and is curved long like a bow to the left and right. It is formed in an arc shape.

그리고 마운트(100)의 안쪽에는 각 서포터(200)를 회전 및 각도 조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상하로 통하는 축구멍(110)과 나사구멍(12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고, 양쪽 가장자리에는 홀더(300)를 장착하기 위해 상하로 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130)이 형성되어 있다.And inside of the mount 100, a plurality of shaft holes 110 and screw holes 120 passing up and down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order to mount each supporter 200 so as to rotate and adjust the angle, and at both edges At least one or more through-holes 130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to mount the holder 300 are formed.

즉, 축구멍(110)은 서포터(200)의 피벗(211)이 끼워진 채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나사구멍(120)은 방향조절나사(220)의 나사 결합에 따른 조임력으로 서포터(200)의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암나사가 절삭되어 있으며, 관통구멍(130)은 홀더의 고정판(310)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볼팅(bolting) 방식으로 고정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shaft hole 110 is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while the pivot 211 of the supporter 200 is fitted, and the screw hole 120 is a supporter 200 with a tightening force according to screwing of the direction adjustment screw 220 The female screw is cut to maintain the fixed state of the holder, and the through hole 130 is formed to be easily fixed by a bolting method using the fixing plate 310 of the holder and bolts and nuts.

여기서 마운트(100)의 가장자리는 둥글게 라운딩 처리함으로써 날카로운 모서리에 다치는 위험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Here, the edge of the mount 100 is rounded to prevent a risk of injury to a sharp edge and increase safety.

또한, 마운트(100)는 별도의 다리 또는 좌대를 이용하여 지면이나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로 떠받쳐 수평하게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 100 may maintain a horizontally positioned state by supporting it at a certain height on the ground or the floor using a separate leg or a pedestal.

아울러 별도의 다리 높낮이를 서로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경사면에서도 안정감 있게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height of separate legs differently, it can be installed to maintain a stable level even on a slope.

<서포터><Supporter>

서포터(200)는 낚싯대의 중간 부분을 받쳐주는 앞받침대(미도시) 및 손잡이 부분을 받쳐주는 뒷받침대(201)를 고정하여 낚싯대의 설치 상태를 유지 및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마운트(100)의 상면에 다수 개가 장착되어 있다.The supporter 200 is for maintaining and support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ishing rod by fixing the front support (not shown) that supports the middle part of the fishing rod and the back support 201 that supports the handle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 100 There are a number of dogs installed on it.

구체적으로, 서포터(200)는 도 5 내지 도 7,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210), 방향조절나사(220), 바디(230), 각도조절유닛(240), 크레들(250) 및 제1줄걸이판(260)을 포함하고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er 200 includes a bracket 210, a direction adjustment screw 220, a body 230, an angle adjustment unit 240, and a cradle as shown in FIGS. 5 to 7, and 10 and 11 It includes (250) and a first line hanging plate (260).

브래킷(210)은 마운트(100)에 좌우로 일정한 각도 범위 안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The bracket 210 is attached to the mount 100 so as to be rotatable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left and right.

즉, 브래킷(210)은 마운트(10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에는 회전 중심이 되는 피벗(211)이 마운트(100)의 축구멍(11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한쪽에는 상하로 통하는 호형의 장공(212)이 마운트(100)의 나사구멍(12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bracket 210 has a flat bottom surface so as to stably adhere to the top surface of the mount 100, and the pivot 211 serving as the rotation center corresponds to the shaft hole 110 of the mount 100. It is formed in a position, and an arc-shaped long hole 212 communicating vertically on one sid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hole 120 of the mount 100.

방향조절나사(220)는 브래킷(210)이 그 피벗(211)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마운트(10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방향을 유지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다.The direction adjustment screw 220 is provided so that the bracket 210 is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mount 100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around the pivot 211 and maintains the direction.

즉, 방향조절나사(220)는 브래킷(210)의 장공(212)을 통하여 마운트(100)의 나사구멍(120)에 나사 결합에 따른 조임력과 함께 브래킷(210)의 상면과 밀착에 따른 마찰력으로 브래킷(210)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브래킷(210)이 그 피벗(211)을 중심으로 하여 장공(212)의 안내에 따라 마운트(100)에 대하여 특정 방향으로 회전 및 각도 조절된 상태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That is, the direction adjustment screw 220 is a frictional force according 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210 together with a tightening force due to screwing into the screw hole 120 of the mount 100 through the long hole 212 of the bracket 210 By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bracket 210, the bracket 210 is rotated and angled in a specific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 100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long hole 212 with the pivot 211 as the center. can do.

여기서 방향조절나사(220)의 머리부는 회전 조작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다각형 혹은 바깥쪽 둘레 면에 가로 또는 경사지게 톱니 모양, 깔쭉깔쭉하거나 우툴두툴한 자국을 낸 형태 또는 세레이션(serration), 스플라인(spline) 등과 같은 요철이나 널링(knurling) 가공한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ead of the direction adjustment screw 220 is a polygonal o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event slippage, a shape or a serration or a spline that has a horizontal or obliquely serrated shape, a jagged, or dull mark. ) It is preferable to adopt a shape that has been processed with irregularities or knurling.

바디(230)는 앞쪽으로 낚싯대의 중간 부분을 받쳐주는 앞받침대(202)의 밑동이나 고정용 봉이 삽입 고정되도록 중공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위쪽에는 낚싯대의 손잡이 부분을 받쳐주고 낚싯대가 물고기에 의해 끌려가지 않도록 잡아주는 뒷받침대(201)가 장착되어 있다.The body 230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hollow so that the base of the front support 202 that supports the middle part of the fishing rod or a fixing rod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30 supports the handle of the fishing rod and the fishing rod is fish. It is equipped with a back support 201 that holds it so as not to be dragged by.

그리고 바디(230)는 브래킷(210)에 상하로 일정한 각도 범위 안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스위블 핀(231)에 의해 핀 이음(pin joint)으로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ody 230 is connected to the bracket 210 by a pin joint by a swivel pin 231 so as to be able to rotate up and down within a certain angular range.

또한, 바디(230)의 뒤쪽에는 각도조절유닛(240)의 너트(242)를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 장착하기 위한 너트장착홈(232)이 형성되어 있고, 앞쪽 선단에는 낚싯대의 중간 부분을 받쳐주는 앞받침대(202)를 마찰력 및 조임력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233)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nut mounting groove 23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230 for inserting and mounting the nut 242 of the angle adjustment unit 240 so that it can be rotated up and down, and the front end supports the middle part of the fishing rod. The main base is provided with a fixing screw 233 for fixing the front support 202 by friction and tightening force.

여기서 고정나사(233)의 머리부는 회전 조작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매화형, 다각형 혹은 바깥쪽 둘레 면에 가로 또는 경사지게 톱니 모양, 깔쭉깔쭉하거나 우툴두툴한 자국을 낸 형태 또는 세레이션(serration), 스플라인(spline) 등과 같은 요철이나 널링(knurling) 가공한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ead of the fixing screw 233 is a plum-shaped, polygonal, or horizontally or obliquely serrated shape or a serration or splin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event slipping when rotating. It is preferable to adopt a shape that has been processed with irregularities such as (spline) or the like or knurling.

각도조절유닛(240)은 브래킷(210)에 대하여 바디(230)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고, 그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The angle adjustment unit 240 is provided to adjust the vertical angle of the body 230 with respect to the bracket 210 and to maintain the angle.

구체적으로, 각도조절유닛(240)은 너트(242)가 바디(230)의 너트장착홈(232) 안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바디(230)와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너트(242)에 스크류(241)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이 스크류(241)의 끝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브래킷(210)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축받이(243)가 구비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angle adjustment unit 240 is connected to the body 230 by a pin joint so that the nut 242 is rotatable in the nut mounting groove 232 of the body 230, and the nut 242 has a screw ( 241 is screwed, and a bearing 243 for fixing the end of the screw 241 to a fixed position of the bracket 210 is provided.

즉, 스크류(241)의 나사부는 너트(242)와 나사 결합된 상태로 그 끝부분은 축받이(242)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형성 및 지지되어 있다.That is, the threaded portion of the screw 241 is formed and supported so as to rotate smoothly by the bearing 242 in the state of being screwed with the nut 242.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241)를 한 방향으로 돌리면 바디(230)에 장착되어 있는 너트(242)가 반작용으로 그 나사산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렇게 되면 바디(230)의 뒤쪽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너트(242)의 구조적 특성상 바디(230)가 스위블 핀(231)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하여 바디(23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7, when the screw 24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nut 242 mounted on the body 230 moves downward along the thread in a reaction, and in this case, at the rear of the body 230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ut 242 mounted to be freely rotatable, the body 230 rotates upwardly around the swivel pin 231 to adjust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ody 230.

또한, 스크류(241)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바디(230)에 장착되어 있는 너트(242)가 그 나사산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스위블 핀(231)을 중심으로 하여 바디(230)를 하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crew 24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nut 242 mounted on the body 230 moves upward along the thread and rotates the body 230 downward with the swivel pin 231 as the center. I can.

아울러 스크류(241)와 너트(242)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스크류(241)를 돌리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바디(230)가 브래킷(210)에 대하여 특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screw 241 and the nut 242 are screwed together, the body 230 is inclined at a specific angle with respect to the bracket 210 unless a force to turn the screw 241 acts. Can be maintained.

여기서 스크류(241)의 머리부는 회전 조작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매화형, 다각형 혹은 바깥쪽 둘레 면에 가로 또는 경사지게 톱니 모양, 깔쭉깔쭉하거나 우툴두툴한 자국을 낸 형태 또는 세레이션(serration), 스플라인(spline) 등과 같은 요철이나 널링(knurling) 가공한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ead of the screw 241 is a plum-shaped, polygonal, or horizontally or obliquely serrated shape or a serration or splin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event slipping when rotating. It is preferable to adopt a shape that has been processed with irregularities such as spline or the like or knurling.

크레들(250)은 낚싯대(R)의 밑동을 받쳐주기 위해 브래킷(210)의 뒤쪽에 비스듬히 기울어진 채로 구비되어 있다.The cradle 250 is provided at an angle to the rear of the bracket 210 to support the base of the fishing rod R.

즉, 크레들(250)은 마치 컵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낚싯대(R)의 밑동을 삽입한 상태로 받쳐주기 때문에 낚시터 현장의 조건이나 상황에 알맞게 각 낚싯대(R)의 설치 각도를 다양하게 편성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cradle 250 is formed in a shape like a cup and supports it with the base of the fishing rod R inserted, the angle of installation of each fishing rod R is variously organized to suit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fishing site. can do.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R)를 최대 경사 각도로 설치하더라도 자중에 의해 뒷받침대(201)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0 and 11, even if the fishing rod R is installed at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stationary state without slipping on the support 201 due to its own weight.

여기서 크레들(250)의 바닥에는 흙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 쌓이거나 빗물 등이 유입되어 고이지 않도록 다수 개의 물빠짐용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form a plurality of water drainage holes at the bottom of the cradle 250 so that foreign matter such as soil enters and accumulates or rainwater does not accumulate.

제1줄걸이판(260)은 낚싯줄을 끼워 걸어서 임시로 고정하기 위해 뒷받침대(201)의 헤드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The first line hanging plate 260 is attached to the head of the back support 201 to temporarily fix the fishing line by hooking it.

즉, 제1줄걸이판(260)은 낚싯줄을 틈새에 끼워서 밀착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홈(미부호)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first line hanging plate 260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t least one cutout groove (unsigned) so that the fishing line is inserted into the gap and fixed in close contact.

여기서 제1줄걸이판(260)은 낚싯줄이 미끄러지거나 떨어지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PVC나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line hanger plate 260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PVC or rubber in order to stably fix the fishing line without slipping or falling.

<홀더><holder>

홀더(300)는 낚싯대나 뜰채를 쓰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기 위해 마운트(100)의 양쪽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있다.The holder 300 is mounted on at least one of both edges of the mount 100 to hold the fishing rod or landing net so that it does not fall or shake.

그리고 홀더(300)는 낚싯대나 뜰채의 꽂는 방향을 임의로 변경하기 위해 스위블(swivel) 회전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300 is provided with a swivel rotation and angle adjustment in order to arbitrarily chang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shing rod or landing net is inserted.

구체적으로, 홀더(3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10), 지지관(320), 연결축(330) 및 조절볼트(340)를 포함하고 있다.Specifically, the holder 300 includes a fixing plate 310, a support pipe 320, a connection shaft 330, and an adjustment bolt 340, as shown in FIGS. 8 and 9.

고정판(310)의 한쪽에는 홀더(300)를 마운트(100)에 볼팅(bolting)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마운트(100)의 관통구멍(130)과 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구멍(311)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에는 지지관(320)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 조절볼트(340)가 관통하도록 클리어런스 홀(312)이 형성되어 있다.At least one fixing hole 311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130 of the mount 1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310 in order to fix the holder 300 to the mount 100 in a bolting method, and , On the other side, a clearance hole 312 is formed so that the adjustment bolt 340 penetrates while stably supporting the support pipe 320.

지지관(320)은 낚싯대나 뜰채의 밑동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아래쪽 끝단의 한쪽에는 연결축(33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조작에 따라 고정판(310)에 대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기 위한 경사면(321)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에는 고정판(31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이루기 위한 수평면(322)이 형성되어 있다.The support pipe 32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so that the base of a fishing rod or landing net is inserted and caught, and at one end of the lower e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late 310 according to a rotation operation centered on the connection shaft 330 An inclined surface 321 for achieving the is formed, and a horizontal surface 32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o achieve a state vertically erect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late 310.

연결축(330)은 지지관(320)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 시 그 회전의 중심을 이루도록 지지관(320)의 하부에 가로질러 끼워져 있고, 가운데 부분에는 조절볼트(340)와 나사 결합을 위해 암나사가 절삭된 조임구멍(331)이 상하로 뚫려 있다.The connection shaft 330 is fitted across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ipe 320 so as to form the center of rotation when the support pipe 320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emale screw for screwing with the adjustment bolt 340 in the middle part The tightening hole 331 cut is drilled up and down.

조절볼트(340)는 지지관(320)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 시 그 회전의 중심을 이루도록 고정판(310)의 클리어런스 홀(312)을 통하여 연결축(330)의 조임구멍(331)과 나사 결합되어 있다.The adjustment bolt 340 is screwed with the tightening hole 331 of the connection shaft 330 through the clearance hole 312 of the fixing plate 310 so as to form the center of rotation when the support pipe 320 is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have.

즉, 조절볼트(340)는 조임구멍(331)과의 조임 위치에 따라 지지관(320)이 연결축(330)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관(320)이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adjustment bolt 340 allows the support pipe 320 to rotate up and down around the connection shaft 330 according to the tightening position with the tightening hole 331 and the support pipe 320 Can be adjusted to be rotatable.

또한, 조절볼트(340)는 조임구멍(331)과의 조임 위치에 따라 지지관(320)의 경사면(321)과 수평면(322)이 고정판(31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판(310)에 지지관(320)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bolt 340 is a fixed plate by adjusting the angle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321 and the horizontal surface 322 of the support pipe 320 are selectiv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310 according to the tightening position with the tightening hole 331 The support pipe 320 may be vertically erected to 310 or fixed in an obliquely inclined state.

여기서 조절볼트(340)는 회전 조작이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머리 부분에 손잡이가 달린 손잡이볼트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djustment bolt 340 preferably employs a handle bolt with a handle on the head to facilitate and facilitate rotational operation.

그리고 연결축(330)의 한쪽 끝단에는 낚싯줄을 끼워 걸어서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제2줄걸이판(350)이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shaft 330, a second line hanger plate 350 for temporarily fixing by hooking a fishing line is attached.

즉, 제2줄걸이판(350)은 낚싯줄을 틈새에 끼워서 밀착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홈(미부호)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second line hanger plate 350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t least one cutout groove (unsigned) so that the fishing line is inserted into the gap to be closely fixed.

여기서 제2줄걸이판(350)은 낚싯줄이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끼워진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PVC나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line hanger plate 350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PVC or rubber in order to fix the fishing line in a stably fitted state without slipping or separating.

<주요 작용 및 작동원리><Main action and principle of opera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는 마운트(100) 위에 배열 장착되는 서포터(200)의 설치 방향 및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 및 바꿀 수 있고, 아울러 특정 방향 및 각도로 서포터(200)의 설치 상태를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시터 등 현장의 조건이나 상황에 알맞게 각 낚싯대를 겹침 없이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다.The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freely adjust and change the install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supporters 200 arranged and mounted on the mount 100, and also the supporters in a specific direction and angle ( Since the installation condition of 200) can be restrained, each fishing rod can be stably and efficiently organized without overlapping, suitable for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site such as fishing grounds.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볼트(340)와 연결축(330) 간의 풀림 및 조임에 따라 지지관(320)의 방향을 스위블 회전으로 조절하고 각도를 유지시키는 홀더(300)를 가짐으로써 낚싯터 주변의 환경에 맞게 낚싯대나 뜰채의 꽂는 방향 및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9, according to the loosening and tightening between the adjustment bolt 340 and the connection shaft 330,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ipe 320 is swiveled and rotated by having a holder 300 to maintain the angle. You can freely adjust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fishing rod or landing net to sui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예컨대, 조절볼트(340)를 풀어서 그 하단과 연결축(330) 간의 거리가 길어지면 지지관(320)은 연결축(330)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지지관(320)의 경사면(321) 또는 수평면(322)이 고정판(310)의 상면과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조절하여 지지관(320)이 비스듬히 기울어지거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이룰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connection shaft 330 is increased by loosening the adjustment bolt 340, the support pipe 320 can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connection shaft 330, and in this state, the support pipe By adjusting the inclined surface 321 or the horizontal surface 322 of the 320 to selectivel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10, the support pipe 320 may be inclined at an angle or vertically erected.

아울러 지지관(320)의 경사면(321)이 고정판(310)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지지관(320)이 조절볼트(340)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어 지지관(320)이 비스듬히 기울어진 채로 향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angle is adjusted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321 of the support pipe 3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10, the support pipe 320 can rotate 360 degre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ound the adjustment bolt 340. Thu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ipe 320 is inclined at an angle can be changed.

따라서 낚시터의 파라솔이나 텐트와 같은 장애물이 가로막는 경우 등에 구애받음 없이 현장의 조건이나 상황에 따라 알맞게 낚싯대나 뜰채를 꽂는 각도 및 방향을 임의로 조절하여 세우거나 눕힐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낚시터 등 현장 적용성을 높일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t or lay the fishing rod or landing net by arbitrarily adjusting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fishing rod or landing net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sit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obstacles such as umbrellas or tents in the fishing ground, thus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use. It can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the field, such as fishing grounds.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R)의 손잡이 부분을 최대한 세워 뒷받침대(201)에 받쳐 놓은 상태로 낚싯대(R)를 설치할 때 크레들(250)이 낚싯대(R)의 밑동을 받쳐주므로 낚싯대(R)가 자중에 의해 뒷받침대(201)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0 and 11, when installing the fishing rod R in a state where the handle portion of the fishing rod R is raised as much as possible and supported on the backrest 201, the cradle 250 is the base of the fishing rod R. Since the fishing rod R does not slip on the support 201 due to its own weigh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stationary state.

게다가 낚시인이 낚시 도중에 미끼를 끼울 때 제1줄걸이판(260)이나 제2줄걸이판(350)에 낚싯줄을 편리하게 끼워 걸어서 임시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낚싯바늘을 집기 위해 수시로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려 앉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낚시를 하기 위해 필요한 물건이나 자세를 미리 갖추는 채비를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꾸밀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angler hooks the bait during fishing, the fishing line can be conveniently inserted into the first line holder plate 260 or the second line holder plate 350 to be temporarily fixed. It can relieve the hassle and discomfort of having to sit, as well as effectively construct and decorate a rig that has the necessary objects or postures for fishing.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는 서포터(200)의 바디(230) 상면에 고정핀(270)이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핀(270)의 바깥쪽 둘레 면 한쪽에는 잠금돌기(27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2, in the fishing rod suppor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in 27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30 of the supporter 200, and the fixing pin 270 A locking protrusion 271 is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그리고 뒷받침대(201)의 샤프트 하단에는 고정핀(270)이 삽입되도록 중공을 가지며, 고정핀(270)과 결합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잠금링(28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잠금링(280)의 바깥쪽 둘레 면 한쪽에는 고정핀(270)의 잠금돌기(271)와 간섭을 일으키는 "ㄱ"자 형상의 가이드홈(281)이 형성되어 있다.And the lower shaft of the support 201 has a hollow so that the fixing pin 270 is inserted, and a locking ring 280 is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within a certain angular range in a coupled state with the fixing pin 270,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ring 280 is formed a guide groove 281 having a "L" shape that interferes with the locking protrusion 271 of the fixing pin 270.

즉, 뒷받침대(201)를 바디(230)에 장착할 때 잠금링(280)의 가이드홈(281)이 고정핀(270)의 잠금돌기(271)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면서 그 안내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낚싯대의 길이 방향에 맞춰 뒷받침대(201)를 바디(230)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잠금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upport 201 is mounted on the body 230, the guide groove 281 of the locking ring 280 causes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locking protrusion 271 of the fixing pin 270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guid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fix the support 201 to the body 230 in a locked state simply and quickly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shing rod.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 among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fishing rod suppor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or similar effect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repetitive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not illustra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substitutions and other equivalent examples may be applied widely.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content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마운트 110: 축구멍
120: 나사구멍 130: 관통구멍
200: 서포터 201: 뒷받침대
210: 브래킷 211: 피벗
212: 장공 220: 방향조절나사
230: 바디 231: 스위블 핀
232: 너트장착홈 233: 고정나사
240: 각도조절유닛 241: 스크류
242: 너트 243: 축받이
250: 크래들 260: 제1줄걸이판
270: 고정핀 271: 잠금돌기
280: 잠금링 281: 가이드홈
300: 홀더 310: 고정판
311: 고정구멍 312: 클리어런스 홀
320: 지지관 321: 경사면
322: 수평면 330: 연결축
331: 조임구멍 340: 조절볼트
350: 제2줄걸이판
100: mount 110: shaft hole
120: screw hole 130: through hole
200: supporter 201: backrest
210: bracket 211: pivot
212: long hole 220: direction adjustment screw
230: body 231: swivel pin
232: nut mounting groove 233: fixing screw
240: angle adjustment unit 241: screw
242: nut 243: bearing
250: cradle 260: first row plate
270: fixing pin 271: locking projection
280: locking ring 281: guide groove
300: holder 310: fixing plate
311: fixing hole 312: clearance hole
320: support pipe 321: slope
322: horizontal plane 330: connecting shaft
331: tightening hole 340: adjustment bolt
350: the second string plate

Claims (5)

삭제delete 축구멍과 나사구멍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양쪽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마운트;
상기 마운트에 장착되고, 낚싯대의 중간 부분을 받쳐주는 앞받침대 및 손잡이 부분을 받쳐주는 뒷받침대가 고정되는 다수 개의 서포터; 및
상기 마운트의 양쪽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낚싯대나 뜰채를 쓰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고, 낚싯대나 뜰채의 꽂는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스위블(swivel) 회전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홀더;
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터는,
상기 마운트에 좌우로 일정한 각도 범위 안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축구멍과 상기 나사구멍에 대응하는 피벗과 호형의 장공이 형성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장공을 통하여 상기 마운트의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마운트에 대하여 상기 브래킷의 좌우 방향을 조절하고, 그 방향을 유지시키는 방향조절나사;
상기 브래킷에 상하로 일정한 각도 범위 안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핀 이음으로 연결되고, 앞쪽에 낚싯대의 중간 부분을 받쳐주는 앞받침대의 밑동이 삽입 고정되고, 위쪽에 낚싯대의 손잡이 부분을 받쳐주는 뒷받침대가 고정되는 바디;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상기 바디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고, 그 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조절유닛;
상기 브래킷의 뒤쪽에 구비되어 낚싯대의 밑동을 받쳐주는 크레들; 및
상기 뒷받침대의 헤드 부분에 부착되고, 낚싯줄을 끼워 걸어서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제1줄걸이판;
을 포함하는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
A mount in which a plurality of shaft holes and screw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at both edges;
A plurality of supporters mounted on the mount and having a front support supporting a middle portion of the fishing rod and a rear support supporting a handle portion; And
A holder mounted on at least one of both edges of the mount to hold a fishing rod or landing net so that it does not fall or shake, and capable of swiveling rotation and angle adjustment to change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shing rod or landing net;
Including,
The supporter,
A bracket that is attached to the mount so as to be rotatable within a certain angular range from side to side, and has a pivot and arc-shaped long hole corresponding to the shaft hole and the screw hole;
A direction adjustment screw that is screwed into a screw hole of the mount through a long hole of the bracket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racket with respect to the mount and maintain the direction;
It is connected to the bracket by a pin joint so that it can rotate up and down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and the base of the front support that supports the middle part of the fishing ro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ront, and the back support that supports the handle of the fishing rod is fixed at the top. body;
An angle adjustment unit that adjusts the vertical angle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bracket and maintains the angle;
A cradl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racket to support the base of the fishing rod; And
A first line hanging plate attached to the head of the backrest and temporarily fixed by inserting a fishing line;
A fishing rod support assembly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면에 고정되고, 외주연에 잠금돌기가 형성된 고정핀; 및
상기 뒷받침대의 샤프트 하단에 회전 가능하면서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잠금돌기의 안내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바디에 상기 뒷받침대를 잠금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외주연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잠금링;
을 더 포함하는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2,
A fixing pin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And
A locking ring that is rotatable at the bottom of the shaft of the support and is formed so that the fixing pin is inserted, and is rotated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to fix the support to the body in a locked state, and a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hereof;
Support assembly for a fishing rod further comprising a.
축구멍과 나사구멍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양쪽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마운트;
상기 마운트에 장착되고, 낚싯대의 중간 부분을 받쳐주는 앞받침대 및 손잡이 부분을 받쳐주는 뒷받침대가 고정되는 다수 개의 서포터; 및
상기 마운트의 양쪽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낚싯대나 뜰채를 쓰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고, 낚싯대나 뜰채의 꽂는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스위블(swivel) 회전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홀더;
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마운트에 고정되고, 한쪽에 마운트의 관통구멍과 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다른 쪽에 클리어런스 홀이 형성된 고정판;
낚싯대나 뜰채의 밑동이 삽입되도록 관형으로 형성되고, 아래쪽 끝단의 한쪽에 경사면이, 다른 쪽에 수평면이 형성된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하부에 가로질러 끼워지고, 가운데 부분에 상하로 조임구멍이 뚫린 연결축; 및
상기 고정판의 클리어런스 홀을 통하여 상기 연결축의 조임구멍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조임구멍과의 조임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관이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경사면과 수평면이 상기 고정판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고정판에 상기 지지관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키는 조절볼트;
를 포함하는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
A mount in which a plurality of shaft holes and screw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at both edges;
A plurality of supporters mounted on the mount and having a front support supporting a middle portion of the fishing rod and a rear support supporting a handle portion; And
A holder mounted on at least one of both edges of the mount to hold a fishing rod or landing net so that it does not fall or shake, and capable of swiveling rotation and angle adjustment to change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shing rod or landing net;
Including,
The holder,
A fixing plate fixed to the mount, having at least one fixing hole formed on one side and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of the mount, and having a clearance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A support pipe formed in a tubular shape so that the base of a fishing rod or landing net is inserted,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and a horizontal surface on the other side;
A connection shaft fitted across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ipe and having a tightening hole vertically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And
It is screwed with the tightening hole of the connection shaft through the clearance hole of the fixing plate, and the support pipe rotates around the connection shaft according to the tightening position with the tightening hole,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horizontal surface selectively adhere to the fixing plate. And an adjustment bolt for maintaining a fixed state of the support pipe to the fixing plate;
A fishing rod support assembly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한쪽 끝단에 낚싯줄을 끼워 걸어서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제2줄걸이판이 부착된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4,
A fishing rod support assembly with a second line holder plate for temporarily fixing by hooking a fishing line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shaft.
KR1020190017847A 2019-02-15 2019-02-15 Supporting assembly for fishing rod KR1021601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847A KR102160174B1 (en) 2019-02-15 2019-02-15 Supporting assembly for fishing r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847A KR102160174B1 (en) 2019-02-15 2019-02-15 Supporting assembly for fishing r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797A KR20200099797A (en) 2020-08-25
KR102160174B1 true KR102160174B1 (en) 2020-09-25

Family

ID=7229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847A KR102160174B1 (en) 2019-02-15 2019-02-15 Supporting assembly for fishing r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1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8797B (en) * 2022-07-01 2023-09-15 新沂新昆金属制品有限公司 5-tube fishing rod tube seat for yacht ship
CN115849247B (en) * 2023-01-19 2023-04-28 太原市奥特莱物流科技有限公司 Suspension type coil stock fork and coil stock fork get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257B1 (en) * 2014-04-07 2015-09-09 이정균 Supporting device for fishing rod
KR101839928B1 (en) * 2015-12-31 2018-03-19 최종대 Tool for put on the fishing rod
KR101859664B1 (en) 2016-06-23 2018-05-18 권주현 Fixing device for fishing rodsupport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356B1 (en) 2007-07-21 2010-02-05 최종대 Supporting apparatus for fishing strut
KR101066116B1 (en) * 2008-09-24 2011-09-21 백승목 The support device of a fishing rod
KR101048616B1 (en) 2009-09-16 2011-07-12 김성운 Fishing brace support
KR20110004112U (en) * 2009-10-19 2011-04-27 강종원 Support of fishing supplies
KR101213327B1 (en) 2012-06-21 2012-12-18 문병진 Apparatus for mounting of fishing rod supporter
KR200479882Y1 (en) 2014-07-07 2016-03-17 정태영 Tackle for fishing
KR20160007157A (en) 2014-07-11 2016-01-20 박동순 A fishing rod prop of assembling type
KR20160000282U (en) 2014-07-15 2016-01-25 정태영 Fulcrum for fishin cooling box
KR101745768B1 (en) 2015-01-14 2017-06-09 송상호 Single unit folding type fishing support
KR20170004640A (en) 2015-07-03 2017-01-11 박동순 A Support Apparatus of Fishing Rod
KR20170135343A (en) 2016-05-31 2017-12-08 임막래 support beam mounting structure for fishing pole support fr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257B1 (en) * 2014-04-07 2015-09-09 이정균 Supporting device for fishing rod
KR101839928B1 (en) * 2015-12-31 2018-03-19 최종대 Tool for put on the fishing rod
KR101859664B1 (en) 2016-06-23 2018-05-18 권주현 Fixing device for fishing rodsuppo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797A (en)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174B1 (en) Supporting assembly for fishing rod
US10064478B2 (en) Rotary ground auger base and feeder stand
US7740216B1 (en) Suspension system for a bird feeder
CA2331048A1 (en) Fishing rod holder apparatus
US8453372B1 (en) Articulating fishing rod holder
US9089125B1 (en) Leveling hunting stand system
KR101699411B1 (en) Cradle device for fishing rod
US10104878B2 (en) Rotary auger fishing pole holder
US20020116860A1 (en) Fishing rod holder
KR102113115B1 (en) Fishing rod coaster device
KR101839928B1 (en) Tool for put on the fishing rod
KR101961403B1 (en) Supporting device for fishing rod
US5313910A (en) Bird feeder support system
KR200451007Y1 (en) Rotatable and Angle adjustable Parasol Support
US5269395A (en) Portable tree mounted seat
US4614323A (en) Fishing rod holder
KR20110000831U (en) Rotatable and Angle adjustable Parasol Support
KR200496798Y1 (en) A supporting rod of a fishing rod possible space controled
US3570163A (en) Fishing line retriever
KR200327124Y1 (en) The Supporter of Fishing Rod
KR102089168B1 (en) Apparatus for fixing support of fishing rod
JP2007000134A (en) Rod-retaining tool for breakwater
KR20090035334A (en) Supporter for a fishing rod
KR200495435Y1 (en) Proping apparatus for the fishing alternative
KR200273717Y1 (en) The fishing rod pr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