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471B1 - Hand grip for extending wireless charging rang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and grip for extending wireless charging rang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471B1
KR102159471B1 KR1020200056244A KR20200056244A KR102159471B1 KR 102159471 B1 KR102159471 B1 KR 102159471B1 KR 1020200056244 A KR1020200056244 A KR 1020200056244A KR 20200056244 A KR20200056244 A KR 20200056244A KR 102159471 B1 KR102159471 B1 KR 10215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hand grip
wireless charging
connection lin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2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락
Original Assignee
김지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락 filed Critical 김지락
Priority to KR1020200056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4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4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grip for extending a wireless charging range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The hand grip comprises a lower plate unit attached to one surface of a user terminal or a case, and a lower coil and an upper coil respectively positioned inside an upper plate unit opposite to the lower plate unit, and comprises a connection line positioned inside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lower plate unit and the upper plate unit. The lower coil, the upper coil, and the connection lin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xtend the wireless charging range, thereby enabling wireless charging of the user terminal even when the hand grip is attached.

Description

무선 충전 거리를 확장시키는 핸드 그립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Hand grip for extending wireless charging rang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Hand grip for extending wireless charging rang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 부착되는 액세서리의 일종인 핸드 그립(hand grip)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단말기나 그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어 사용자 단말기의 용이한 파지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무선 충전 거리도 확장시킬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용 핸드 그립과,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grip, which is a kind of accessory that is attached to a user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In particular, it is attached to a user terminal or one side of its case to enable easy gripping of the user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grip for a user terminal capable of extending a wireless charging distance,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최근에 스마트 폰, 휴대전화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는 고품질의 영상 등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가 대형화하는 추세에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기의 대형화로 이어져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단말기를 다루기가 불편해지고 손에서 떨어뜨릴 위험성도 높아졌다.Recently, user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mobile phones have a tendency to increase their display size in order to provide high-quality images.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user terminal, making it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handle the terminal with one hand and the risk of dropping it from the hand.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는 액세서리로서 여러 가지 형태의 핸드 그립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핸드 그립은 그 형태에 따라 핑거링(finger ring), 팝 소켓(pop sockets), 그립 밴드(grip band)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용이하고 안전한 파지를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various types of hand grips are used as accessories that enable safe and convenient gripping of a user terminal. These hand grips include finger rings, pop sockets, and grip bands according to their shape, and are generally attached to the back of a user terminal to enable easy and safe gripping.

한편, 최근의 사용자 단말기들은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자기유도 방식, 자기공진 방식, 마이크로파 방식 등이 있다. 이중에서 자기공진 방식은 1 ~ 2m 정도의 무선전력 전송이 가능하고, 마이크로파 방식은 장거리의 무선전력 전송이 가능하지만,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자기유도 방식은 수 cm 이내에서만 무선전력 전송이 가능하다.Meanwhile, recent user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wireless charging methods include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nd a microwave method. Among them,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can transmit wireless power of about 1 to 2m, and the microwave method can transmit wireless power over a long distance, but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which is currently most commonly used, can transmit wireless power only within a few cm.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가 핸드 그립과 같은 액세서리를 부착해서 사용할 경우,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의 경우, 무선 충전기와 사용자 단말기의 거리가 멀어져서 확실한 충전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terminal attaches an accessory such as a hand grip, in the case of magnetic induction wireless char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charger and the user terminal increases, so that reliable charging cannot be guaranteed. .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공개특허 제10-2019-0043045호(특허문헌 1)에 의하면, 휴대단말기가 거치되는 케이스 내부에 무선충전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액세서리 또는 무선충전 모듈이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전화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액세서리를 제거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휴대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43045 (Patent Document 1), a wireless charging module is installed inside a case in which a mobile terminal is mounted, and an accessory or wireless charg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By provid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a module is inserted, a method for effectively charging a portable terminal wirelessly without removing the accessory attached to the rear of the mobile phone is proposed.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무선충전장치를 개조하여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형태의 액세서리에 대해 모두 적용하기가 곤란하며, 기존의 무선충전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ethod solves the problem by remodel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ll accessories of various sizes and various shape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isting wireless charging device cannot be used as it is.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충전 기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사용자 단말기의 편리하고 안전한 파지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핸드 그립 액세서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hand grip accessory that enables convenient and safe gripping of the user terminal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한국공개특허 공보 제10-2019-004304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4304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용자 단말기 등에서 핸드 그립으로 인한 무선 충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충전 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핸드 그립에 포함시켜, 핸드 그립이 부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단말기용 핸드 그립과,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wireless charging due to the hand grip in the conventional user terminal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a function capable of extending the wireless charging distance in the hand grip, and the hand grip is attache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hand grip for a user terminal that enables wireless charging of a user terminal even in a state,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용 핸드 그립은, 사용자 단말기 또는 그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는 하판부; 상기 하판부에 대향하는 상판부; 상기 하판부와 상판부를 연결하고, 손가락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하판부 및 상판부보다 작은 굵기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하판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단 코일; 상기 상판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단 코일;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 코일, 상단 코일 및 연결선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충전 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hand grip for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plate attached to the user terminal or one surface of the case; An upper plate portion facing the lower plate portion; A connection portion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plate portion and the upper plate portion to connect the lower plate portion and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o be fitted between fingers; A lower coil positioned inside the lower plate; An upper coil positioned inside the upper plate; And a connection line located inside the connection part. The lower coil, the upper coil, and the connection lin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xtend the wireless charging distance.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판부와 상판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단 형태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연결부의 신축에 대응하여 신축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to be expandable and contracted in a multi-stage shap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plate part and the upper plate part, and the connection line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it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onnection part, or It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spring having.

상기 하단 코일, 상단 코일 및 연결선은 하나의 선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연결선과 상기 하단 코일 및 상단 코일 중 어느 하나는 별도의 커넥터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lower coil, upper coil, and connection line may be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line.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line and any one of the lower coil and upper coil may be connected by a separate connector.

상기한 본 발명의 핸드 그립은, 상기 연결선 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하단 코일과 상기 상단 코일 사이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정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d grip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matching part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line to adjust an impedance between the lower coil and the upper coil.

상기 하단 코일 및 상단 코일은 전도성을 갖는 금속선을 와인딩하거나 또는 인쇄회로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coil and the upper coil are preferably formed by winding a conductive metal wire or forming a printed circuit patter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은, 전력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기; 상기 무선전력 송신 모듈로부터 송신된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부착되고, 상기 무선전력 송신 모듈과 무선전력 수신 모듈 사이에서 전력 신호를 무선으로 중계하는 상기한 핸드 그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harger includ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for generating a power signal and transmitting wirelessly; A user terminal includ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 pow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And a hand grip attached to the user terminal and wirelessly relaying a power signal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용 핸드 그립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and grip for a us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사용자 단말기에 부착되는 핸드 그립 내에 무선 충전을 중계하는 코일을 설치함으로써, 무선 충전 거리를 확장시켜 핸드 그립이 부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First, by installing a coil that relays wireless charging in the hand grip attached to the user terminal, the wireless charging distance is extended to enable wireless charging of the user terminal even when the hand grip is attached.

둘째, 핸드 그립의 신축 동작에 대응하여 무선 충전을 중계하는 코일도 신축 가능하므로, 핸드 그립 내에 내장된 무선 중계 코일에 의해 핸드 그립의 고유한 동작이 방해받지 않는다.Second, since the coil that relays wireless charging in response to the stretching operation of the hand grip can also be stretched, the unique operation of the hand grip is not disturbed by the wireless relay coil built into the hand grip.

셋째, 무선 충전을 중계하는 하단 코일과 상단 코일 사이에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정합부를 삽입 설치함으로써, 무선전력 신호의 전송 효율 및 전송 거리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Third,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and transmission distance of the wireless power signal by inserting and installing a matching unit for adjusting the impedance between the lower coil and the upper coil relaying wireless charg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그립의 외형을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그립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그립의 하단 코일, 상단 코일 및 연결선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그립에서 연결선이 스프링 형태로 된 코일 형상을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그립에서 연결선이 커넥터를 통해 코일에 연결된 형상을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그립에서 연결선이 커넥터를 통해 코일에 연결된 형상을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그립에서 연결선 내에 정합부가 설치된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hand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d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connection structure of a lower coil, an upper coil, and a connection line of a hand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il shape in which a connection line is in the form of a spring in a hand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a connection line is connected to a coil through a connector in a hand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a connection line is connected to a coil through a connector in a hand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chematically shows the concept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hand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atching part is installed in a connection lin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그립의 외형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shape of a hand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thereof.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핸드 그립(100)은 사용자 단말기나 그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는 하판부(110)와, 하판부(110)와 유사한 형상으로서 하판부(110)에 대향해서 설치되는 상판부(120)와, 하판부(110)와 상판부(1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한다.1 and 2, the hand gri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plate part 110 attached to one surface of a user terminal or its case, and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lower plate part 110. It includes an upper plate portion 120 installed opposite to and a connection portion 130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plate portion 110 and the upper plate portion 120.

연결부(130)는 하판부(110)와 상판부(120)보다 작은 굵기로 형성되어 손가락 사이에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핸드 그립(100)을 쉽게 파지할 수 있게 한다.The connection portion 13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plate portion 110 and the upper plate portion 120 and is formed to be easily fitted between finger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hand grip 100.

또한, 상기 연결부(130)는 다단 형태로 접혀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연결부(130)가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면, 하판부(110)와 상판부(1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핸드 그립(1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그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130 may be folded in a multi-stage shape to be stretchable, and when the connection portion 130 is formed to be stretchable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plate portion 110 and the upper plate portion 120 can be adjusted. If the hand grip 100 is not used, its size can be minimized.

한편, 본 발명의 핸드 그립은 무선 충전을 중계하여 무선 충전 거리를 확장하기 위해, 하판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단 코일(210)과, 상판부(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단 코일(220)과, 연결부(1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선(2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하단 코일(210) 및 상단 코일(220)의 전기적인 차폐를 확실히 하기 위해 차폐용 패드(2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order to extend the wireless charging distance by relaying wireless charging, the hand gri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coil 210 located inside the lower plate part 110, and an upper coil located inside the upper plate part 120 ( 220), and a connection line 230 positioned inside the connection unit 130. In addition, a shielding pad 240 may be further provided to ensure electrical shielding of the lower coil 210 and the upper coil 220.

이러한 하단 코일(210), 상단 코일(220) 및 연결선(23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며, 이를 도 3에 나타내었다. The lower coil 210, the upper coil 220, and the connection line 2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form one closed loop, which is shown in FIG. 3.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단 코일(210) 및 상단 코일(220)을 전도성을 갖는 금속선을 와인딩하여 형성하였으며, 금속선으로는 외부 표면에 에나멜 절연체가 코팅된 에나멜 동선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선은 에나멜 동선 이외에도, 동 합금이나 금, 은 등과 같은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선을 와인딩하는 대신에, 기판 상에 와인딩 형태의 인쇄회로패턴을 형성하여 하단 코일(210) 및 상단 코일(220)을 만들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oil 210 and the upper coil 220 were formed by winding a conductive metal wire, and an enameled copper wire coated with an enamel insulator on the outer surface was used as the metal wire. However, in addition to the enameled copper wire, the metal wir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conductivity such as a copper alloy or gold or silver. In addition, instead of winding the metal wire, the lower coil 210 and the upper coil 220 may be formed by forming a winding-type printed circuit pattern on the substrate.

또한, 상기한 하단 코일(210) 및 상단 코일(22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원형으로 와인딩하여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 등과 같은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하판부(110) 및 상판부(120)의 형태에 맞춘 특정한 형태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ower coil 210 and the upper coil 220 are formed by winding circularly in FIGS. 1 to 3,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such as a square, etc. 110) and the shape of the upper plate 120 may be a specific shape.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130)가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연결선(230)도 신축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연결선(230)은 신축 가능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된 연결선(230)의 일례를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ion part 130 is formed to be stretchable, the connection line 230 must also be stretchable in response thereto. To this end, the connection line 230 is preferabl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stretched or formed in the form of a spring having elasticity. 4 shows an example of a connection line 230 formed in the form of a spring.

또한, 상기한 하단 코일(210), 상단 코일(220) 및 연결선(230)은 하나의 선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전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4에서는 하단 코일(210), 상단 코일(220) 및 연결선(230)을 하나의 선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coil 210, the upper coil 220, and the connection line 230 are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line in that electrical resistance can be minimized. 2 and 4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lower coil 210, the upper coil 220, and the connection line 230 are formed as a single line.

그러나 상기한 형태의 하단 코일(210), 상단 코일(220) 및 연결선(230)의 형태는 전기 저항의 면에서는 유리하나, 하판부(110), 상판부(120) 및 연결부(130)와의 조립성이 떨어진다. 즉, 하단 코일(210), 상단 코일(220) 및 연결선(230)을 하나의 선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핸드 그립(100)의 하우징 부분(110, 120, 130)과 코일 부분(210, 220, 230)을 동시에 제조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시간이 많이 든다.However, the shape of the lower coil 210, the upper coil 220, and the connection line 230 of the above-described shape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lectrical resistance, but the assembling property with the lower plate part 110, the upper plate part 120 and the connection part 130 This falls. That is, in order to form the lower coil 210, the upper coil 220, and the connection line 230 as a single line, the housing portions 110, 120, 130 and the coil portions 210, 220 of the hand grip 100 230) must be manufactured at the same time, so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time is high.

따라서 핸드 그립을 더욱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해, 하단 코일(210) 및 상단 코일(220) 중 어느 하나와 연결선(230)을 별도의 커넥터로 연결할 수 있다. 도 5에서 하단 코일(210)과 연결선(230)이 커넥터(250)로 연결되는 일례를 단면도로 나타내었으며, 도 6에서는 커넥터(250)를 포함하는 코일 부분(210, 220, 230)을 사시도로 나타내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커넥터(250)로서 포고 핀(pogo pin)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커넥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refore, in order to more easily manufacture the hand grip, one of the lower coil 210 and the upper coil 220 and the connection line 230 may be connected with a separate connector. In FIG. 5, an example in which the lower coil 210 and the connection line 23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250 is shown in a cross-sectional view, and in FIG. 6, coil portions 210, 220, and 230 including the connector 250 are shown in a perspective view. Indicated. In FIGS. 5 and 6, a pogo pin is used as the connector 25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types of connectors may be used.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그립(100)은 사용자 단말기(300)의 일면에 부착되어, 사용자 단말기(3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더하여 무선 충전의 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다.The hand grip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300, so that the user terminal 300 can be easily gripped, and in addition, the distance of wireless charging is extended. I can make i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 그립(100)과, 사용자 단말기(300) 및 무선 충전기(400)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개념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으며, 도 8에 그 기능을 블록도로 나타내었다.Hereinafter,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hand grip 100,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wireless charg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7 schematically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shows its function as a block diagram.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전력 송신 모듈(410)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기(400), 무선전력 수신 모듈(310)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300), 상기 무선전력 송신 모듈(410)과 무선전력 수신 모듈(310) 사이에서 전력 신호를 무선으로 중계하는 핸드 그립(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7 and 8,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harger 400 includ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410, a user terminal 300 includ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310, th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nd grip 100 for wirelessly relaying a power signal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41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310.

무선전력 송신 모듈(410)은 전력공급 회로와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무선전력 수신 모듈(310)은 수신 코일과 충전 회로를 포함한다. 무선전력 송신 모듈(410)의 송신 코일과 무선전력 수신 모듈(310)의 수신 코일이 자기적으로 유도 결합하여 전력이 전달된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410 includes a power supply circuit and a transmission coil,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310 includes a reception coil and a charging circuit. The transmission coil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410 and the reception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310 are magnetically inductively coupled to deliver power.

핸드 그립(100)의 상단 코일(220) 및 하단 코일(210)은 무선전력 송신 모듈(410)과 무선전력 수신 모듈(310) 사이에 삽입되어 전력 신호를 전달한다. 즉, 무선전력 송신 모듈(410)의 송신 코일과 상단 코일(220)이 유도 결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고, 전달된 전력은 연결선(230)을 통해 하단 코일(210)로 전달되며, 하단 코일(210)과 무선전력 수신 모듈(310)의 수신 코일이 유도 결합하여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력이 공급된다.The upper coil 220 and the lower coil 210 of the hand grip 100 are inserted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410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310 to transmit a power signal. That is, the transmission coil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410 and the upper coil 220 are inductively coupled to transmit power wirelessly, and the transmitted power is transmitted to the lower coil 210 through the connection line 230, and the lower coil Power is supplied to the user terminal 300 wirelessly by inductive coupling 210 and the receiving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310.

한편,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드 그립(100)의 연결선(230) 내에는 정합부(260)가 삽입 설치되어, 상단 코일(220)과 하단 코일(210) 사이의 임피던스를 조정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정합부(260)는 임피던스의 리액턴스 성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송 효율 및 전송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정합부(260)는 가변 커패시터나 인덕터를 사용한 회로로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9, a matching part 26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connection line 230 of the hand grip 100, so that the impedance between the upper coil 220 and the lower coil 210 can be adjusted. have. The matching unit 260 can increase transmission efficiency and transmission distance by minimizing the reactance component of the impedance. The matching unit 260 may be implemented as a circuit using a variable capacitor or an inducto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핸드 그립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에 최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기능을 중계 및 확장하는 여러 기술 분야에 적절히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hand gri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an be optimally applied to a portable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echnical fields for relaying and expanding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It will be able to be properly applied to.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ifferent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should be construed a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100 핸드 그립
110 하판부
120 상판부
130 연결부
210 하단 코일
220 상단 코일
230 연결선
240 차폐 패드
250 커넥터
260 정합부
300 사용자 단말기
310 무선전력 수신 모듈
400 무선 충전기
410 무선전력 송신 모듈
100 hand grip
110 Bottom
120 top
130 connection
210 bottom coil
220 top coil
230 connecting wire
240 shielding pad
250 connector
260 matching
300 user terminals
310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400 wireless charger
41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Claims (7)

사용자 단말기 또는 그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는 하판부;
상기 하판부에 대향하는 상판부;
상기 하판부와 상판부를 연결하고, 손가락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하판부 및 상판부보다 작은 굵기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하판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단 코일;
상기 상판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단 코일;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 코일, 상단 코일 및 연결선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충전 거리를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그립.
A lower plat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or the case;
An upper plate portion facing the lower plate portion;
A connection portion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plate portion and the upper plate portion to connect the lower plate portion and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o be fitted between fingers;
A lower coil positioned inside the lower plate;
An upper coil positioned inside the upper plate; And
It is made including a connection line located inside the connection part,
The lower coil, the upper coil and the connection lin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xtend the wireless charging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판부와 상판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단 형태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연결부의 신축에 대응하여 신축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그립.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to be expandable and contracted in a multi-stage shap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plate portion and the upper plate portion,
The connection line is a hand grip,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 flexible material or a spring having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stretch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onnec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코일, 상단 코일 및 연결선은 하나의 선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그립.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 grip,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coil, the upper coil and the connection line are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과 상기 하단 코일 및 상단 코일 중 어느 하나는 커넥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그립.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 grip,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line and any one of the lower coil and upper coil is connected by a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 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하단 코일과 상기 상단 코일 사이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정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그립.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 gri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line, further comprising a match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impedance between the lower coil and the upper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코일 및 상단 코일은 전도성을 갖는 금속선을 와인딩하거나 또는 인쇄회로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그립.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coil and the upper coil are hand grips, characterized in that winding a conductive metal wire or forming a printed circuit pattern.
전력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기;
상기 무선전력 송신 모듈로부터 송신된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부착되고, 상기 무선전력 송신 모듈과 무선전력 수신 모듈 사이에서 전력 신호를 무선으로 중계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핸드 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A wireless charger includ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power signal wirelessly;
A user terminal includ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 pow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And
A wireless device comprising the hand gri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ich is attached to the user terminal and wirelessly relays a power signal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Charging system.
KR1020200056244A 2020-05-12 2020-05-12 Hand grip for extending wireless charging rang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1594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244A KR102159471B1 (en) 2020-05-12 2020-05-12 Hand grip for extending wireless charging rang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244A KR102159471B1 (en) 2020-05-12 2020-05-12 Hand grip for extending wireless charging rang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471B1 true KR102159471B1 (en) 2020-09-23

Family

ID=72708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244A KR102159471B1 (en) 2020-05-12 2020-05-12 Hand grip for extending wireless charging rang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47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150B1 (en) * 2020-12-02 2021-12-15 홍지예 Finger holder set for mobile device
KR20220144232A (en)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소매드테크놀로지 Wireless charger with separate wireless transmitting coil
KR20230015657A (en) * 2021-07-23 2023-01-31 (주)쏭스디자인 Fixture of accessory for portable terminal easy to wirelessly charge
KR20230034815A (en) * 2021-09-03 2023-03-10 이윤아 Hand grip for wireless and cable charging of smartpho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031A (en) * 2015-03-06 201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190043045A (en) 2017-10-17 2019-04-25 (주)엠에이피테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device with accessory attaching on back cover of portable device
US20190285223A1 (en) * 2016-08-17 2019-09-19 Popsockets Llc Expanding accessory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CN111064835A (en) * 2018-10-16 2020-04-24 张铄玲 Wireless magnet cell phone sta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031A (en) * 2015-03-06 201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20190285223A1 (en) * 2016-08-17 2019-09-19 Popsockets Llc Expanding accessory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20190043045A (en) 2017-10-17 2019-04-25 (주)엠에이피테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device with accessory attaching on back cover of portable device
CN111064835A (en) * 2018-10-16 2020-04-24 张铄玲 Wireless magnet cell phone stand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150B1 (en) * 2020-12-02 2021-12-15 홍지예 Finger holder set for mobile device
KR20220144232A (en)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소매드테크놀로지 Wireless charger with separate wireless transmitting coil
KR20230015657A (en) * 2021-07-23 2023-01-31 (주)쏭스디자인 Fixture of accessory for portable terminal easy to wirelessly charge
KR102525116B1 (en) * 2021-07-23 2023-04-27 (주)쏭스디자인 Fixture of accessory for portable terminal easy to wirelessly charge
KR20230034815A (en) * 2021-09-03 2023-03-10 이윤아 Hand grip for wireless and cable charging of smartphone
KR102558808B1 (en) * 2021-09-03 2023-07-24 이윤아 Hand grip for wireless and cable charging of smartphone
KR20230113501A (en) * 2021-09-03 2023-07-31 이윤아 Hand grip for wireless and cable charging of smartphone
KR102664987B1 (en) 2021-09-03 2024-05-10 이윤아 Hand grip for wireless and cable charging of smart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471B1 (en) Hand grip for extending wireless charging rang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TW295733B (en)
CA2186112C (en) Antenna unit for two frequency bands
US20150084819A1 (en) Antenna System Providing High Isolation between Antennas on Electronics Device
KR20020044585A (en) Balanced, retractable mobile phone antenna
JPH02271701A (en) Expandable antenna system and portable wireless equipment using the system
JPH03245603A (en) Antenna
US20090015505A1 (en) Antenna device with integrated connection cable, and radio apparatus
US20180062432A1 (en) Power receiving antenna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JP2002151923A (en) Mobile terminal
CN209056590U (en)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1517246A (en) Antenna device
US11245286B2 (en) Power receiving antenna configured i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831721B2 (en) Charging bracket for consumer electronic product
CN107112628B (en) Hinge for radiator
CN216626024U (en) Bluetooth headset and Bluetooth headset system
US20220094042A1 (en) A Dipole Antenna Placed on a Wireless Headphone Casing
JP303374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209845246U (en) True wireless Bluetooth earphone
EP1447879A1 (en) An extension for an antenna ground plate, an antenna ground plate, an antenna, and devices using the same
CN216134582U (en) Earphone set
CN218336020U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0187225Y1 (en) Portable phone having bending antenna
KR20080002986U (en) Accessory antenna and potable device using it
CN115276136A (en) Casing, storage tank, electronic equipment and charging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