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385B1 -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385B1
KR102159385B1 KR1020180018817A KR20180018817A KR102159385B1 KR 102159385 B1 KR102159385 B1 KR 102159385B1 KR 1020180018817 A KR1020180018817 A KR 1020180018817A KR 20180018817 A KR20180018817 A KR 20180018817A KR 102159385 B1 KR102159385 B1 KR 102159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electric
charging
charg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8642A (ko
Inventor
김기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어스
Priority to KR1020180018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3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98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운송장치의 충전기,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비용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충전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는 전기운송장치 및 결제단말기와 충전정보 및 결제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전기운송장치의 충전 및 결제와 관련된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결제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결제방식 및 결제정보에 따라 충전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기운송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운송장치의 전원부를 충전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방식은,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기설정된 양만큼 무상(無償)으로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는 서비스지불방식, 또는 상기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해 기설정된 양만큼 무상으로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한 다음 추가적으로 더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그만큼 더 추가적으로 결제하는 복합지불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CHARGER FOR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및 결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식점 등의 장소에서 일정 시간 이상 머무는 동안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운송장치는 전기를 사용하여 운행되는 운송장치로 전기자동차 및 전기오토바이를 포함하며,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와 에너지 절감 추세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 전기운송장치에 대한 개발 및 보급이 점차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기자동차는 크게 순수 전기자동차(Ba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로 구분될 수 있다. 순수 전기자동차는, 전기만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라 지칭되며,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전기 뿐만 아니라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기운송장치는 주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전기운송장치의 배터리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충전되고, 전기운송장치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에 의해 전기 모터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전기운송장치를 널리 보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소의 확충이 필요하다.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를 사용하여 각종 전기운송장치에 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충전하는 용량에 해당하는 비용을 여러가지 결재수단을 이용하여 지불하여야 한다. 현재는 신용카드 및 교통카드, 동전이나 지폐 등을 이용하여 지불하고 있다. 그러나 충전기의 보급이 확대 되면서 기존의 충전소와는 달리 음식점, 편의점, 패스트푸드 매장, 유료주차장 등에서 자신의 사업과 연계하여 충전기를 활용하는 시도가 시작되고 있다.
종래의 충전기들은 기존의 결재 수단만을 수용하고 이러한 다양한 마케팅목적의 지불 수단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존 사업과 융합하여 결재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적용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POS와 같은 결제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충전기를 지정하여 원하는 만큼의 전력량을 충전할 수 있는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및 결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는 전기운송장치 및 결제단말기와 충전정보 및 결제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전기운송장치의 충전 및 결제와 관련된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결제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결제방식 및 결제정보에 따라 충전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기운송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운송장치의 전원부를 충전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방식은,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기설정된 양만큼 무상(無償)으로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는 서비스지불방식, 또는 상기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해 기설정된 양만큼 무상으로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한 다음 추가적으로 더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그만큼 더 추가적으로 결제하는 복합지불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운송장치를 위한 충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제단말기는 상기 충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기를 공급하는 충전기 공급자의 영업소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영업소는 음식점 또는 편의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합지불방식에 의해 충전하는 경우, 기설정된 양만큼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게 되면 상기 충전기의 충전 케이블이 잠금(lock)되고, 동전, 지폐 또는 신용카드로 추가적으로 충전하고자 하는 양만큼을 결제하면 상기 충전 케이블의 잠금이 해제(release)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제방식에는 충전하고자 하는 양만큼 선결제 후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는 선지불방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선지불방식은 동전, 지폐 또는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충전 전에 충전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운송장치;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는 충전기; 및 상기 충전기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전기운송장치의 충전정보 및 결제정보를 상기 충전기에 송수신하는 결제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상기 충전기에 입력되는 결제방식에 따라 상기 전기운송장치가 충전되고, 상기 결제방식은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기설정된 양만큼 무상(無償)으로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는 서비스지불방식, 또는 상기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해 기설정된 양만큼 무상으로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한 다음 추가적으로 더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그만큼 더 추가적으로 결제하는 복합지불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운송장치의 충전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제단말기는 상기 충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기를 공급하는 충전기 공급자의 영업소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합지불방식에 의해 충전하는 경우, 기설정된 양만큼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게 되면 상기 충전기의 충전 케이블이 잠금(lock)되고, 동전, 지폐 또는 신용카드로 추가적으로 충전하고자 하는 양만큼을 결제하면 상기 충전 케이블의 잠금이 해제(release)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제방식에는 충전하고자 하는 양만큼 선결제 후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는 선지불방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선지불방식의 경우에는 동전, 지폐 또는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충전 전에 충전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운송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전기운송장치의 충전에 대한 결제방식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충전기의 공급자가 운영하는 영업소에 구비된 결제단말기에 상기 전기운송장치의 충전대기신호가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전기운송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영업소의 방문 고객임을 확인하고,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상기 충전기에 상기 전기운송장치의 충전을 인가하는 충전대기신호가 승인되는 단계; 및 충전승인신호를 받은 충전기에 의해 상기 전기운송장치가 충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운송장치의 충전 비용 결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제방식은, 충전하고자 하는 양만큼 선결제 후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는 선지불방식,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기설정된 양만큼 무상(無償)으로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는 서비스지불방식, 또는 상기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해 기설정된 양만큼 무상으로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한 다음 추가적으로 더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그만큼 더 추가적으로 결제하는 복합지불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합지불방식에 의해 충전하는 경우, 기설정된 양만큼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게 되면 상기 충전기의 충전 케이블이 잠금(lock)되고, 동전, 지폐 또는 신용카드로 추가적으로 충전하고자 하는 양만큼을 결제하면 상기 충전 케이블의 잠금이 해제(release)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제단말기에 충전대기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결제단말기에 상기 충전기에 대한 정보가 팝업(pop-up)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선지불방식에 의해 충전되는 경우에는 동전, 지폐 또는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충전 전에 충전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적립 카드 뿐만 아니라 동전 및 지폐와 같은 다양한 결제수단으로 전기운송장치의 전원부에 전력을 인가하여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220V에 의해 충전되는 전기 오토바이 또는 전기 자전거와 같은 전기운송장치도 다양한 장소에서 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기자동차, 전기 오토바이, 전기 자전거와 같은 다양한 전기운송장치를 하나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존에 동전 및 지폐, 교통카드, 신용카드 등으로만 충전에 대한 결제수단으로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기존의 결제단말기와 연동하여 매장의 고객에게 서비스차원으로 일정량의 충전을 하게 해준다거나 고객의 적립포인트를 이용하여 충전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매출 촉진의 목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기운송장치를 위한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기운송장치의 충전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충전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충전기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거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충전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기운송장치의 충전에 따른 결제 방법에 관한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기운송장치(electric vehicle)는 반복충전식 배터리 또는 기타 휴대형 에너지 저장 장치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운송수단으로, 도로에서 주로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된 전기자동차, 전기 오토바이, 전기자전거를 포함한다. 또한, 전기운송장치를 위한 충전기(charger)는 축전지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력변환기를 의미한다. 상기 충전기는 주로 외부의 전력공급설비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스탠드와 이와 연결된 케이블 및 단상교류로 접속되는 전기자동차 커플러를 가진 일체의 충전시스템으로 전기자동차의 탑재형 충전기를 통해 축전지를 충전하는 방식인 완속충전기(standard charger)를 의미한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외부의 전력공급설비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스탠드와 이와 연결된 케이블 및 직류 접속의 전기자동차 커플러를 가진 일체의 충전시스템으로 DC 대전류로 축전지를 단시간(30분 이내)에 직접 충전하는 방식인 급속충전기(quick charger)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기운송장치의 충전시스템은 전력공급설비, 충전기, 인터페이스 및 정보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력공급설비는 전기운송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설비로서 전력량계, 인입구 배선, 분전반, 배선용 차단기 등이 포함되고, 상기 충전기는 전원을 단상 220V로 공급받는 완속충전기와 3상 380V로 공급받는 급속충전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충전기에서 전기운송장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연결되는 커플러, 케이블 등이 포함되는데, 상기 커플러는 충전 케이블과 전기운송장치의 접속을 가능케 하는 장치로, 충전 케이블에 부착된 커넥터와 전기운송장치의 인렛(Inlet)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는 충전 케이블에 부착되어 있으며, 전기운송장치의 인렛에 접속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하고, 인렛(Inlet)은 전기운송장치 커플러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전기운송장치에 부착되어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정보시스템은 충전기의 설치 위치 및 이용 상태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충전기 운영 상태에 대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수집한 정보를 웹, 스마트폰 등으로 전기운송장치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운송장치(200)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100)의 사시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운송장치(200)를 위한 충전기(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운송장치(200)를 위한 충전기(100)(이하에서는 '충전기(100)'라 칭하기로 한다.)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또는 바디)에 동전 투입구(120)와 지폐 투입구(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충전기(100)에는 상기 본체(110)의 일면에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120)와, 상기 동전 투입구(1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지폐가 투입되는 지폐 투입구(1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00)는 동전과 지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결제수단에 의한 결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정면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동전 투입구(120) 또는 지폐 투입구(130)를 통해 투입된 금액 또는 잔액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충전기(100)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동안 잔액, 잔여 충전 시간, 충전 경과 시간 또는 충전 전력량 등의 변화를 표시해주는 표시부의 기능을 수행하며, 일예로 LCD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하여 충전 시간, 충전 금액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전기운송장치(200)의 충전 및 결제와 관련된 모든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00)에는 동전 및 지폐 외에도 RFID 카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동전 투입구(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RFID 카드(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ard)를 읽어내는 RFID 카드 리더부(15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전기운송장치(200)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운송장치(200)의 전원부를 충전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117,118,1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카드 리더부(150)는 RFID 카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제어부(11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원부는 일예로 전기운송장치(200)에 내장된 축전지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전기오토바이(210) 또는 전기 자전거와 연결되기 위한 제1 커넥터(117)와, 제1 전기자동차(220)와 연결되기 위한 제2 커넥터(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117)는 단상2선식220v 콘센트이고 상기 제2 커넥터(118)는 PWM 커넥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00)는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220V 콘센트가 구비되어 있어, 전기오토바이(210) 또는 전기 자전거를 손쉽게 충전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전기오토바이(210)와 같은 전기운송장치(200)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220V를 사용하기 위하여 집과 같은 개인적인 장소에서 주로 충전이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정 뿐만 아니라 식당, 카페, 공원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 비치된 충전기(100)에서도 전기오토바이(210)의 충전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00)는 식당, 쇼핑몰, 커피숍 등과 같이 일상적으로 흔한 장소에 비치될 수 있는데, 전기오토바이(210)의 사용자가 식당에서 식사하는 동안 전기오토바이(210)를 충전기(100)에 연결하여 충전시킬 수 있다. 즉, 전기오토바이(210)를 충전하는 장소가 가정이 아닌 외부 장소에서도 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는 결제단말기(300)에 의해 결제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결제단말기(300)는 상기 충전기(100)를 이용하여 전기운송장치(200)를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기(100)를 공급하는 충전기 공급자의 영업소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의 영업소는 식당, 쇼핑몰, 커피숍, 공원 등이 될 수 있으며, 충전기 공급자는 충전기 소유자일 수 있으며, 단순한 충전기 관리자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00)는 야외 또는 노천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만약 비가 오거나 눈이 내리는 상황인 경우에는 콘센트에 물이 유입되어 감전의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된 리세스부(170)를 형성하고, 상기 지폐 투입구(130), 동전 투입구(120), 제1 커넥터(117) 및 제2 커넥터(118)를 상기 리세스부(170)에 배치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지폐 투입구(130), 동전 투입구(120), 제1 커넥터(117) 및 제2 커넥터(118)는 상기 본체(110) 전면의 표면보다 덜 돌출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리세스부(170)를 덮개(181)로 덮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덮개(181)는 상기 본체(110) 전면의 표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폐 투입구(130), 동전 투입구(120), 제1 커넥터(117) 및 제2 커넥터(118)가 상기 덮개(181)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덮개(181)는 힌지부재(173)에 의해 회전가능하고, 평상시 닫혀져 있도록 되어 있고, 사용자가 사용시에만 덮개(181)를 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평상시에는 덮개(181)가 상기 리세스부(170)를 닫고 있어 상기 동전 투입구(120), 지폐 투입구(130), 제1 커넥터(117) 및 제2 커넥터(118)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물과 같은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00)는 동전이나 지폐 등과 같은 결제수단의 입력이 있은 후에야 비로소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기(100)가 작동되고, 유효한 결제수단의 입력이 없는 평상시의 상태에서는 충전기(100)는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결제단말기(300)를 통하여 후술하는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해 충전을 하는 경우에는 충전에 따른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기설정된 양만큼 전기운송장치(200)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10)의 일 측면에 상기 제1 전기자동차(220)와는 다른 제2 전기자동차(230)와 연결되기 위한 충전 케이블(119a)이 구비되고, 상기 충전 케이블(119a)의 단부에는 제3 커넥터(119)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전기자동차(230)의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00)는 다양한 전기자동차(220,230)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커넥터(118,119)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전기자동차의 제조사마다 커넥터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그에 맞는 전용 커넥터가 있어야만 충전이 가능한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전기자동차 제조사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커넥터를 하나의 충전기(100)에 배치시킴으로써 다양한 제조사에 의해 제조되는 전기자동차를 하나의 충전기(100)에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충전 케이블(119a)의 일 단부는 본체(110)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제3 커넥터(119)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3 커넥터(119)는 제2 전기자동차(230)와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기능하며, 상기 제3 커넥터(119)는 상기 전기운송장치(200)에 형성된 인렛(inlet)에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기운송장치(200)의 충전시스템(400)을 도시한 구성도인데, 하나의 충전기(100)에 제1 내지 제3 커넥터(117,118,119)가 구비되어 전기오토바이(210), 제1 전기자동차(220), 제2 전기자동차(230)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전기오토바이(210)는 제1 커넥터(117)에 연결되고, 제1 전기자동차(220)는 제2 커넥터(118)에 연결되며, 제2 전기자동차(230)는 제3 커넥터(1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커넥터(117,118,119)는 전기오토바이(210), 제1 전기자동차(118) 및 제2 전기자동차(119)의 일부와 커플러를 형성함으로써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운송장치(200), 충전기(100) 및 결제단말기(300)를 포함하는 전기운송장치(200)를 위한 충전 시스템(400)이 개시된다.
상기 충전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는 전기운송장치(200) 및 결제단말기(300)와 충전정보 및 결제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90), 상기 전기운송장치(200)의 충전 및 결제와 관련된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및 상기 결제단말기(300)를 통하여 입력되는 결제방식 및 결제정보에 따라 충전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는 제어부(111)과, 상기 전기운송장치(200)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운송장치(200)의 전원부를 충전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117,118,11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제단말기(300)는 상기 충전기(100)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전기운송장치(200)의 충전정보 및 결제정보를 상기 충전기(100)에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상기 통신부(190)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통신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일예로 RS-482/RS-232, LAN에 의한 유선 통신이 가능하고,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에 의한 무선통신도 가능하다.
상기 결제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충전기(100)에 입력되는 결제방식에 따라 상기 전기운송장치(200)가 충전되고, 상기 결제방식은 상기 결제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된 기설정된 양만큼 무상(無償)으로 상기 전기운송장치(200)를 충전하는 서비스지불방식, 또는 상기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해 기설정된 양만큼 무상으로 상기 전기운송장치(200)를 충전한 다음 추가적으로 더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그만큼 더 추가적으로 결제하는 복합지불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영업소 등에 주차를 하고 전기운송장치(200)를 충전하는 경우 영업소 소유자와 같은 충전기 공급자가 자신의 영업소를 이용하는 대가로 무상으로 전기운송장치(200)를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전기운송장치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더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만큼의 비용을 선지불하면 된다.
상기 복합지불방식에 의해 충전하는 경우, 기설정된 양만큼 상기 전기운송장치(200)를 충전하게 되면 상기 충전기(100)의 충전 케이블(119a)이 잠금(lock)되어 더 이상 충전이 되지 않게 되고, 동전, 지폐 또는 신용카드 등의 결제수단으로 추가적으로 충전하고자 하는 양만큼을 결제하면 상기 충전 케이블(119a)의 잠금이 해제(release)된다. 상기 충전 케이블(119a)의 잠금이 해제되어야 비로소 충전이 재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세스부(170)의 일측에는 오디오출력부(112)가 형성되어 음향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상기 충전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에 의해 사용자의 충전기(100) 사용을 안내할 수 있으며, 잔금 또는 충전 완료 여부 등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디오출력부(112)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데, 상기 오디오출력부(112)는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 충전 완료를 지시하는 부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일예로, 충전이 완료되면, 오디오출력부(112)는 안내 메시지 또는 “삐"하는 부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메시지는 종료를 안내하는 음성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커넥터(117) 및 제2 커넥터(118) 중 적어도 하나에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개폐가능한 캡(ca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117)와 제2 커넥터(118)에 각각 제1 캡(117a), 제2 캡(118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평상시에는 캡(117a,118a)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117) 또는 제2 커넥터(118)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닫혀 있다가,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캡(117a) 또는 제2 캡(118a)을 열어 젖힌 다음 상기 제1 커넥터(117) 또는 제2 커넥터(118)와 전기운송장치(200)의 인렛 부분을 연결하여 충전한다.
한편,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충전기(100)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거치부(160)의 사시도인데,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10)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제3 커넥터(119)가 거치되는 거치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160)는 상기 제3 커넥터(119)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제3 커넥터(119)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부(160)는 본체(110)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소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4a에서는 상기 거치부(160)가 다소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일예로 정면에서부터 40~60° 사이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거치부(160)를 측면에 대하여 다소 경사지도록 형성하게 되면, 충전기(100)의 정면에서 거치시킬 때 측면 공간이 넓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부(160)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으로 리세스되도록 형성되고, 전면으로 올수록 점점 깊이가 얕아지도록 형성하여 마치 정면에서 충전기(100)의 본체(110) 측면에 거치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거치부(160)는 가이드(165)에 고정되어 충전기(100)에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165)는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부분(165b) 및 제2 부분(165d)과, 상기 제1 부분(165b) 및 제2 부분(165d)을 연결하는 제3 부분(165a)과, 상기 제1 부분(165b), 제2 부분(165d) 및 제3 부분(165a)을 연결하는 제4 부분(165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내지 제4 부분(165a,165b,165c,165d)은 평면 형상이고, 상기 제4 부분(165c)에 상기 거치부(160)가 고정된다. 상기 제1 부분(165b)과 제2 부분(165d)이 삼각 형상이므로 상기 제1 부분(165b) 및 제2 부분(165d)의 연결된 부분이 충전기(100)의 내측에 삽입하게 되고, 제1 부분(165b) 및 제2 부분(165d)의 연결되지 않은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하면 상기 가이드(165)가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4 부분(165c)은 대략 충전기(100)의 정면을 향하게 된다.
이때,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충전건의 사시도인데, 상기 제3 커넥터(119)의 단부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 커넥터(119)에는 고리 형상의 걸림부(119d)가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160)의 걸림홈(168)에 걸림되고, 상기 원형을 이루는 원주 상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19c)은 거치부(160)의 받침부(167)에 의해 받쳐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3 커넥터(119)의 단부에는 다수의 연결단자(119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연결단자(119b)는 제2 전기자동차(230)에 형성된 인렛(또는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충전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기운송장치(200)의 충전 및 결제를 위한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운송장치(200)의 충전 비용 결제 방법이 개시되는데, 도 3 및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기운송장치(200)를 충전하는 비용에 대한 결제방식에는 선지불방식, 서비스지불방식 및 복합지불방식으로 구분된다.
먼저, 선지불방식에 의한 결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일반적인 충전기(100)에 의한 결제방식으로, 외부로부터 본체(110)에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거나 RFID 카드(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ard)를 읽어 사용가능한 결제수단을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동전 투입구(120)와 지폐 투입구(130)를 통해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면 동전인식부(121) 또는 지폐인식부(131)에서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었음을 인식하게 되며, 투입된 금액이 동시에 인식된다. 혹은 카드 리더부(151)에 RFID 카드를 태깅(tagging)하게 되면 RFID 카드에 적립된 금액이 인식된다.
이후, 전기운송장치(200)와 상기 본체(1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전기운송장치(200)의 전력정보를 제어부(111)에 전송하고, 상기 전력정보에 따라 상기 전기운송장치(200)의 전원부에 전력을 인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지불방식에 의한 충전의 경우에는 결제수단이 입력되어야만 충전기(100)에 의한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외부 전원(105)에서 제어부(111) 및 전력 측정부(113)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충전기(100)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전력 측정부(113)는 일예로 전력량계일 수 있으며, 상기 전기운송장치(20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한다. 이후, 상기 측정된 전력량을 기초로 하여 충전 도중 계속하여 유효한 잔액의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잔액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잔액이 0이거나 상기 전기운송장치(200)의 전원부에 충전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전력량을 초과하면 전원부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기운송장치(200)로의 전력 공급이 잔액이 없거나 전기운송장치(200)를 완충하여 더 이상 충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차단되게 된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임의의 순간에 전기운송장치(20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전력 공급이 차단된 순간까지 공급된 전력량에 따라 충전 요금을 산출하고, 결제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커넥터(117)로의 전원 공급은 제1 스위치부(114)에 의해 이루어지고, 제2 커넥터(118)로의 전원 공급은 제2 스위치부(115)에 의해 이루어지면, 제3 커넥터(119)로의 전원 공급은 제3 스위치부(116)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내지 제3 스위치부(114,115,116)는 상기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전력 측정부(113)을 통해 전기운송장치(200)에 공급된 전력량에 기초하여 요금 산출부(125)에서 충전 요금을 산출하게 된다.
즉, 상기 전기운송장치(200)에 충전가능한 전력량은 상기 전력 측정부(113)에 의해 산정된 전기운송장치(200)에 공급된 전력량에 의해 산출되고, 전기운송장치(200)에 충전가능한 전력량에 따라 잔액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잔액이 0이면 전기운송장치(200)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된다. 또한, 기설정된 금액에 해당되는 전력량의 공급이 완료되는 경우에도 전기운송장치(200)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의 선지불방식에 의한 충전 방식은 상기 전기운송장치(200)에 공급될 전력량에 기초하여 충전 요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전 요금을 결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충전가능한 결제수단을 인식한 다음에 충전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충전가능한 유효한 결제금액이 없는 경우에는 충전기(100)는 작동하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충전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충전기(100)는 전원이 꺼져 있고, 충전기(100)가 유효한 결제수단 또는 결제금액을 인식한 다음에야 비로소 충전기(100)에 전원이 공급되고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금액의 결제는 동전, 지폐 또는 RFID 카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사용가능한 금액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도록 하였다. 상기 RFID 카드는 일예로 적립가능한 적립 카드일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신용카드 또는 특정 매장에서만 사용가능한 매장 전용 적립 카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FRID 카드는 동전 또는 지폐 투입하여 충전하고 남은 금액이 적립되는 카드일 수 있으며, 별도로 충전하여 충전된 금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적립카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립 또는 충전된 금액 내에서만 사용가능하고, RFID 카드를 카드 리더부(150)에 접촉(tagging)하면 충전기(100)의 제어부(111)는 RFID 카드에 내장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고 충전절차를 시작한다.
한편, 상기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에서 전력 공급이 차단될 때 사용가능한 금액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상기 RFID 카드에 잔액을 적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전 또는 지폐를 투입하고 충전하는 도중에 전기운송장치(200)에 완충하였음에도 충전가능한 금액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RFID 카드에 잔액을 적립하여 추후에 적립된 금액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아가, 상기 RFID 카드를 카드 리더부(150)에 접촉시에 이미 적립된 금액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고, 상기 전기운송장치(200)의 전원부를 충전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사용가능한 잔액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전기운송장치(200)에 공급된 전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데, 일예로 충전시간, 소비전력 및 충전 진행 상황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기운송장치(200)에 공급된 전력량에 기초하여 충전 요금을 산출하는데, 충전 요금은 전력 공급자 또는 충전기(100) 공급자에 따라 다소 상이할 수 있으며, 이미 설정된 요금에 의해 충전 요금을 산출하게 된다. 상기 충전 요금은 요금 산출부(125)에서 전기운송장치(200)로 공급된 충전 전력량을 수신하고, 수신된 충전 전력량을 기초로 충전 요금을 산출하게 된다. 산출된 충전 요금은 충전기(100)에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한 충전의 경우에는 상기 결제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된 기설정된 양만큼 무상(無償)으로 상기 전기운송장치(200)를 충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은 주로 영업점을 운영하는 사업자가 자신의 영업점 방문시에 방문 고객을 위한 서비스 차원에서 충전을 하도록 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전기운송장치(200)의 사용자가 음식점에 갔을 경우에 음식점의 주차장에 마련되어 있는 충전기(100)를 이용하여 식사하는 동안 전기운송장치(200)가 충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충전기(100)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기존의 충전소와는 달리 음식점, 편의점, 패스트푸드 매장, 유료주차장 등에서 자신의 사업과 연계하여 충전기를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해 전기운송장치(200)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기운송장치(200)의 사용자가 식당 혹은 편의점 등에 설치된 충전기(100)에 차량을 위치해 놓고, 충전을 시작하기 전에 충전기의 메뉴를 선택한다. 이때의 충전기의 메뉴에는 선지불방식, 서비스지불방식, 복합지불방식 등이 있는데, 서비스지불방식을 선택한다.
서비스지불방식인 경우 식당 혹은 편의점을 이용하기 전에 충전기(100)의 케이블을 전기운송장치(200)에 꽂고 해당 메뉴 버튼을 누르면 충전기(100)는 식당 혹은 편의점의 결제단말기(일예로, POS단말기(point-of-sale terminal))에 충전기 번호와 충전대기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전기운송장치(200)의 사용자가 식당 혹은 편의점의 카운터에 충전기 번호를 말하면 카운터에서는 방문 손님으로 인지하고 상기 결제단말기(300)에 팝업(pop-up)되어 떠 있는 해당 충전기의 충전대기신호를 승인한다.
이후, 상기 결제단말기(300)로부터 충전승인 신호를 받은 충전기(100)는 충전을 시작한다. 전기운송장치(200)의 사용자는 충전 중에도 충전중지 버튼을 이용하여 충전절차를 마무리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결제방식에 의해 충전을 하는 경우에는 먼저,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한 충전을 실시한 다음에 전기운송장치(200)의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추가 결제를 함으로써 가능하다. 복합결제방식은 시작 단계에서부터 복합결제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고,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해 충전한 이후에 복합지불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먼저, 시작 단계에서부터 복합결제방식을 선택한 경우에는 음식점 등에 들어가기 전에 충전기(100)에서 선결제를 하도록 한다. 일단은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해 충전이 되어야 하는데, 전기운송장치(200)의 사용자가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해 충전되는 양을 알고 있는 경우에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서는 결제방식을 선택할 시에 결제단말기(300)를 통하여 서비스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량 또는 금액 등의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예로,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해 충전되는 시간이 1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추가적으로 1시간을 더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기운송장치(200)의 사용자가 1시간에 해당하는 만큼 추가적으로 선결제를 해야 한다.
한편, 복합결제방식을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한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해 기설정된 양만큼 전기운송장치(200)가 충전되었을 때,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결제단말기(300)를 통하여 전기운송장치(200)의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전기운송장치(200)의 사용자는 추가적으로 더 충전할지를 선택하고, 더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동전, 지폐 또는 신용카드 등의 결제수단에 의해 상기 선결제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결제를 한 다음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운송장치의 충전 및 결제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음식점, 카페 등의 영업점에 방문한 경우 상기 영업점에서 제공하는 주차장에 주차를 하게 되는데, 주차장에 비치된 충전기(100)를 통하여 충전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충전기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하여 충전에 따른 결제방식이 입력(S110)되는데, 이때의 결제방식에는 앞서 설명한 선지불방식, 서비스지불방식 또는 복합지불방식이 있다.
충전기 사용자가 선지불방식을 선택하게 되면, 곧 바로 동전, 지폐 또는 신용카드 등의 결제에 의해 결제승인이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충전을 시작하면 된다.
이때, 서비스지불방식을 선택하게 되면, 충전기 사용자는 전기운송장치(200)와 충전기(100)를 충전 대기상태로 연결해 놓고 결제단말기(300)로부터의 승인을 대기한다. 즉, 상기 결제단말기(300)에 전기운송장치(200)의 충전대기신호가 전송(S120)된다. 이때의 상태는 결제단말기(300)로부터 승인이 인가되면 곧 바로 충전이 되도록 하는 상태이다. 전기운송장치(200)의 사용자는 영업소를 방문한 고객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영업소 내부로 들어가서 방문 고객임을 말하면 결제단말기 사용자가 결제단말기(300)에 전기운송장치(200)의 충전을 인가하는 충전대기신호의 승인을 입력(S130)한다. 이후에 충전승인신호를 받은 충전기(100)에 의해 상기 전기운송장치(200)가 기설정된 양만큼 충전(S140)되게 된다.
또한, 충전기 사용자가 최초 입력단계에서 복합지불방식을 선택하게 되면,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해 기설정된 양을 초과한 충전량에 해당하는 비용을 선결제하도록 한다. 이때의 선결제방식은 앞서 설명한 선결제방식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합결제방식에 의한 충전도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한 충전 과정을 거치므로 충전기 사용자가 영업소에 들어가서 영업소 고객임을 말하게 되면 결제단말기로부터 승인되고, 충전이 시작된다.
이와 같이, 결제방식이 선택되고 충전이 되는데, 선결제방식에 의한 충전의 경우에는 결제된 금액만큼 충전이 되면 충전 케이블(119a)이 잠금되고 충전완료된다. 그리고,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한 충전의 경우에는 충전 케이블(119a)이 잠금되고, 충전완료된다. 반면, 복합지불방식에 의한 충전의 경우에는 복합지불방식을 선택하고 선결제된 금액만큼 계속하여 충전이 이루어지고 나서 비로소 충전완료된다. 이때, 복합지불방식을 최초 결제방식 선택 단계에서 선택하지 않고 서비스지불방식을 선택한 경우에 추가적으로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복합지불방식에 의한 충전여부를 확인(S150)하는 절차를 거친다. 이러한 경우에는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한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케이블(119a)이 잠금되어 있으므로 동전, 지폐 또는 신용카드 등의 결제수단으로 결제함으로써 충전이 승인되고 충전 케이블(119a)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며 충전이 재개(S160)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충전기, 110: 본체, 111: 제어부, 112: 오디오출력부, 113: 전력 측정부, 114: 제1 스위치, 115: 제2 스위치, 116: 제3 스위치, 117: 제1 커넥터, 118: 제2 커넥터, 119: 제3 커넥터, 120: 동전 투입구, 121: 동전 인식부, 125: 요금 산출부, 130: 지폐 투입구, 131: 지폐 인식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카드 리더부, 160: 거치부, 165: 가이드, 170: 리세스부, 173: 힌지부재, 175: 캡, 180: 긴급정지 버튼, 181: 덮개, 200: 전기운송장치, 300: 결제단말기

Claims (16)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는 전기운송장치 및 결제단말기와 충전정보 및 결제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전기운송장치의 충전 및 결제와 관련된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결제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결제방식 및 결제정보에 따라 충전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전기운송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운송장치의 전원부를 충전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및
    상기 전원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방식은,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기설정된 양만큼 무상(無償)으로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는 서비스지불방식, 또는 상기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해 기설정된 양만큼 무상으로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한 다음 추가적으로 더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그만큼 더 추가적으로 결제하는 복합지불방식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결제는 동전, 지폐 또는 적립가능한 적립카드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전력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력량을 기초로 하여 충전 도중 계속하여 상기 적립카드의 잔액의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잔액이 0이거나 상기 전원부에 충전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전력량을 초과하면 전원부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전력 공급이 차단될 때 사용가능한 금액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적립카드에 잔액을 적립하고,
    상기 커넥터는,
    전기오토바이와 연결되기 위한 제1 커넥터;
    제1 전기자동차와 연결되기 위한 제2 커넥터; 및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전기자동차와는 다른 제2 전기자동차의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제3 커넥터가 거치되는 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전면으로 올수록 점점 깊이가 얕아지는 가이드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는,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삼각 형상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어느 한 변을 연결하는 사각 형상의 제3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연결하는 사각 형상의 제4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리세스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운송장치를 위한 충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전기운송장치;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는 충전기; 및
    상기 충전기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전기운송장치의 충전정보 및 결제정보를 상기 충전기에 송수신하는 결제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상기 충전기에 입력되는 결제방식에 따라 상기 전기운송장치가 충전되고,
    상기 결제방식은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기설정된 양만큼 무상(無償)으로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하는 서비스지불방식, 또는 상기 서비스지불방식에 의해 기설정된 양만큼 무상으로 상기 전기운송장치를 충전한 다음 추가적으로 더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그만큼 더 추가적으로 결제하는 복합지불방식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충전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는 전기운송장치 및 결제단말기와 충전정보 및 결제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전기운송장치의 충전 및 결제와 관련된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결제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결제방식 및 결제정보에 따라 충전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전기운송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운송장치의 전원부를 충전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및
    상기 전원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는 동전, 지폐 또는 적립가능한 적립카드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전력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력량을 기초로 하여 충전 도중 계속하여 상기 적립카드의 잔액의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잔액이 0이거나 상기 전원부에 충전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전력량을 초과하면 전원부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전력 공급이 차단될 때 사용가능한 금액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적립카드에 잔액을 적립하고,
    상기 커넥터는,
    전기오토바이와 연결되기 위한 제1 커넥터;
    제1 전기자동차와 연결되기 위한 제2 커넥터; 및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전기자동차와는 다른 제2 전기자동차의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제3 커넥터가 거치되는 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전면으로 올수록 점점 깊이가 얕아지는 가이드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는,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삼각 형상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어느 한 변을 연결하는 사각 형상의 제3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연결하는 사각 형상의 제4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리세스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운송장치의 충전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80018817A 2018-02-14 2018-02-14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KR102159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817A KR102159385B1 (ko) 2018-02-14 2018-02-14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817A KR102159385B1 (ko) 2018-02-14 2018-02-14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642A KR20190098642A (ko) 2019-08-22
KR102159385B1 true KR102159385B1 (ko) 2020-09-23

Family

ID=6776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817A KR102159385B1 (ko) 2018-02-14 2018-02-14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369B1 (ko) * 2019-11-27 2022-03-07 우용하 퍼스널 모빌리티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8285A (ja) * 2009-10-02 2011-04-14 Masahiro Izutsu 店舗等における駐車場システム
JP2012098970A (ja) * 2010-11-03 2012-05-24 Denso Corp 外部充電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462A (ko) *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리버트론 전기자동차용 충전 시스템
KR20130015373A (ko) * 2011-08-03 2013-02-14 최현하 공용 전기자동차 충전과금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8285A (ja) * 2009-10-02 2011-04-14 Masahiro Izutsu 店舗等における駐車場システム
JP2012098970A (ja) * 2010-11-03 2012-05-24 Denso Corp 外部充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642A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35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rting standalone EV charging stations into intelligent stations with remote communications connectivity and control
US10850625B2 (en) Transferring charge between a local power grid and electric vehicles
KR101900959B1 (ko) 전력 저장 디바이스에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 시스템, 키오스크 및 방법
US20120262112A1 (en) Atm charging station
US20100191585A1 (en) Metered recharging system
US201501833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user interface therefor
US20140067660A1 (en) Method and proces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to automatically engage the charging apparatus of an electric vehicle
CN105976529A (zh) 一种充电宝租借方法
US20100228687A1 (en) Electricity Vending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KR102159381B1 (ko)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CN103635815B (zh) 停车验证设备与停车区内输送能量到电动车的系统和方法
KR20190012328A (ko) 전기운송장치를 위한 충전기 및 충전 방법
JP4105923B2 (ja) 電力販売システム機器
AU2011204830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 charging station
JP2012098798A (ja) 充電システム
CN107351700B (zh) 具有电量计费功能的云支付供电桩的充电方法
KR101716610B1 (ko) 전기 동력 이동수단용 스마트 충전요금 정산시스템
JP2010277381A (ja) 電気エネルギーの供給システム
JP5037028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機器
WO2012012021A1 (en) System for interfacing with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method of using and providing the same
KR102159385B1 (ko)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KR20120009923A (ko) 공공주택에서의 전기차 충전방법 및 시스템
JP2013178594A (ja) 電動車両用給電システム
JP2000020799A (ja) エネルギー等の売買システム
CN217787818U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数字货币直流充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