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017B1 - Responsive object providing method and providing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Responsive object providing method and providing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017B1
KR102159017B1 KR1020190087644A KR20190087644A KR102159017B1 KR 102159017 B1 KR102159017 B1 KR 102159017B1 KR 1020190087644 A KR1020190087644 A KR 1020190087644A KR 20190087644 A KR20190087644 A KR 20190087644A KR 102159017 B1 KR102159017 B1 KR 102159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ive object
content
responsive
providing system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6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Priority to KR102019008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0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0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6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social or collaborative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responsive object. The method includes: a step in which a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receives the upload of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word; a step in which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generates a responsive object in response to the first content upload; a step in which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determines the properties of reaction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users′ reaction to correspon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eyword, where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the first content or at least on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eyword and uploaded by the users; and a step in which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displays the responsiv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eaction on a user terminal.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operties of reaction of the responsive object includes a step in which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determines the properties of a separation phenomenon in which a fragment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or the size, color, and appearance changes of the responsive object.

Description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Responsive object providing method and providing system thereof}Responsive object providing method and providing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NS 시스템 등에서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들을 통해 사용자들 간의 인터랙션과 반응을 시각적으로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보다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하고 교류하는데 유리한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responsive object and a system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hrough content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word in an SNS system, etc., interactions and reactions between users can be visually and intuitively and easily checked. It is about a technical idea that is advantageous for creating and interacting with content more actively with interest.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들 간의 소통과 교류가 점차 넓어지고 중요시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users on the network are gradually widening and becoming more important.

특히,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 시스템이라 함)를 통해, 단순한 텍스트를 통한 의사소통은 물론 이미지, 영상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한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In particular,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Instagram, Facebook, and Twitter (Social Network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NS system), communication using various contents such as images and videos as well as communication through simple texts is actively conducted. It is being done.

사용자가 소정의 SNS 시스템을 통해 소정의 콘텐츠를 업로드 할 때,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키워드를 태깅하여 콘텐츠의 주제나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When a user uploads predetermined content through a predetermined SNS system, in general, at least one specific keyword is tagged to express the subject of the content or the message he or she wants to convey.

그리고 이러한 키워드를 통해, 사용자들은 서로의 관심사나, 현재 대중적으로 화제가 되는 이슈가 어떤 것인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And, through these keywords, users can know each other's interests and whether or not there are currently popular issues.

또한 사용자가 SNS 시스템에 어떠한 콘텐츠를 업로드하게 되면, 자신이 업로드 한 콘텐츠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이 얼마나 반응하고 있는지, 자신이 업로드한 콘텐츠와 같은 분야가 어느 정도 이슈가 되는지 여부 등이 궁금해지기 마련이다.In addition, when a user uploads any content to the SNS system, it is inevitable to wonder how much other users are reacting to the content they uploaded, and to what extent the same field as the uploaded content becomes an issue.

종래에는 단순히 사용자 자신이 업로드 한 콘텐츠에 게시된 댓글 등을 통해 단편적인 반응만을 살펴볼 수 있을 뿐, 그 콘텐츠에 해당하는 이슈가 현재 시점에 어느 정도의 규모로 어느 정도 퍼져 나가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t is only possible to look at fragmentary reactions through comments posted on contents uploaded by the user himself, but it is difficult to know information on how large and to what extent the issues related to the contents are spreading at the present time. There was a point.

또한 종래에는 SNS 시스템 등에서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에 댓글이 생성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지인과 관계된 특정 이벤트(예컨대, 생일 등의 기념일 등)가 발생하면 알림정보를 제공할 뿐, 사용자가 자신이 업로드한 콘텐츠에 반응하고 동조하는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 여부, 규모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when a comment is created on content uploaded by a user in an SNS system, or a specific event related to the user's acquaintance (for example, an anniversary, such as a birthday, etc.), only notif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grasp in real time whether other users respond to and synchronize with the content, whether or not they respond.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예컨대, 특정 키워드가 태깅된 콘텐츠)를 업로드하면, 이후 해당 키워드(또는 콘텐츠)와 동일 또는 유사한 대응 콘텐츠가 얼마나 업로드 되고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사용자들과의 인터랙션을 용이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Therefore, when a user uploads cont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word (e.g., content tagged with a specific keyword),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grasp in real time how much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dentical or similar to that keyword (or content) is being uploaded. The technical idea is required so that the interaction with other users can be easily examined.

특히, 이러한 다른 사용자들과의 인터랙션을 반응형 오브젝트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사용자가 보다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인 소통과 교류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for a technical idea that visually expresses such interactions with other users through responsive objects so that users can have more interest and actively communicate and exchange.

한국등록특허(공개번호10-1627025,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맞춤형 리액션에 대한 제안의 자동 생성")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627025, "Automatic creation of proposals for customized reactions in social networks")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예컨대, 특정 키워드가 태깅된 콘텐츠)를 업로드하면 생성되는 반응형 오브젝트를 통해, 이후 해당 키워드(또는 콘텐츠)와 동일 또는 유사한 대응 콘텐츠가 얼마나 업로드 되고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rough a responsive object generated when a user uploads cont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word (for example, content tagged with a specific keyword), and then the same as the keyword (or content) or It provides a technical idea that allows you to intuitively grasp how much similar corresponding content is being uploaded in real time.

또한, 이러한 다른 사용자들과의 인터랙션을 반응형 오브젝트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사용자가 보다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인 소통과 교류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by visually expressing these interactions with other users through a responsive object, it provides a technical idea that enables users to engage in active communication and exchange with more interest.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은,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콘텐츠를 업로드 받는 단계,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콘텐츠의 업로드에 응답하여 반응형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제1콘텐츠 또는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며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 된 적어도 하나의 제2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반응 액션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및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결정된 반응 액션에 상응하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반응 액션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외형의 변화,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로부터 조각 오브젝트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responsi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the step of receiving, by a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word, and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Generating a responsive object in response to uploading of content,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correspon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eyword-first content or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eyword and uploaded by users (2) Determining a property of a reaction action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user's reaction to the content, and displaying the responsiv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eaction action on a user terminal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Includ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ttribute of the reaction action of the responsive object,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changes the size, color,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or a piece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operties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또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외형의 변화,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로부터 조각 오브젝트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대응 콘텐츠의 업로드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외형의 변화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change in the size, color, and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or a separation phenomenon in which a piece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It may include determining a degree of change in the size or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number of upload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또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대응 콘텐츠의 업로드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외형의 변화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복수 개의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외형의 변화정도를 각각 다르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degree of change in the size or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number of upload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Each time the condition is satisfied, the step of determining a degree of change of the size or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differently.

또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외형의 변화,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로부터 조각 오브젝트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콘텐츠 또는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리액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현상의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콘텐츠 또는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리액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현상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change in the size, color, and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or a separation phenomenon in which a piece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Determining the speed of the separation based on the reaction to the first content or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based on the reaction to the first content 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etermining the amount.

또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콘텐츠 또는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리액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현상의 속도 또는 양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복수 개의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분리현상의 속성을 각각 다르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the speed or amount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based on the degree of reaction to the first content or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is predetermined in a plurality of steps. Each time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differently determining properties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of the responsive object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외형의 변화,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로부터 조각 오브젝트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일정 시간 내에 업로드 되는 상기 대응 콘텐츠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change in the size, color, and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or a separation phenomenon in which a piece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It may include determining a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uploa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또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일정 시간 내에 업로드 되는 상기 대응 콘텐츠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복수 개의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색상을 각각 다르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the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uploa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is a predetermined condition predetermined in a plurality of steps. Each time is satisfied,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differently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대응 콘텐츠가 업로드 되지 않는 경우, 생성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를 소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stroying the generated responsive object when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not uploa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상술한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installed in a data processing device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provided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a responsive object.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은,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콘텐츠를 업로드 받는 콘텐츠 모듈, 상기 제1콘텐츠의 업로드에 응답하여 반응형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제1콘텐츠 또는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며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 된 적어도 하나의 제2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반응 액션의 속성을 결정하며, 결정된 반응 액션에 상응하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외형의 변화,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로부터 조각 오브젝트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의 속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is a content module that receives a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word, and generates a responsive object in response to the upload of the first content. Response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user's reaction to the interface module and correspon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eyword-first content or at least on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eyword and uploaded by users A control module that determines an action attribute and displays the responsiv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eaction action on a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 change in size, color, appearance, or the reaction of the responsive objec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perty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in which the fragment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type object is determined.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대응 콘텐츠의 업로드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외형의 변화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a degree of change in the size or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number of upload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콘텐츠 또는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리액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현상의 속도 또는 상기 분리현상의 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determines a speed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or an amount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based on a reaction to the first content or the corresponding content.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일정 시간 내에 업로드 되는 상기 대응 콘텐츠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색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the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uploa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대응 콘텐츠가 업로드 되지 않는 경우, 생성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를 소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not uploa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interface module may destroy the generated responsive obje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콘텐츠(예컨대, 특정 키워드가 태깅된 콘텐츠)를 업로드하면, 이후 해당 키워드(또는 콘텐츠)와 동일 또는 유사한 대응 콘텐츠가 얼마나 업로드 되고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사용자들과의 인터랙션을 용이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uploads cont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word (for example, content tagged with a specific keyword), how much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dentical or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keyword (or content) is being uploaded.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intuitively grasp in real time so that interactions with other users can be easily viewed.

또한, 이러한 다른 사용자들과의 인터랙션을 반응형 오브젝트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사용자가 보다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인 소통과 교류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visually expressing such interactions with other users through responsive objects,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users to engage in active communication and exchange with more interest.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의 반응 액션의 속성 변화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 shows a schematic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responsi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schematic flow of a method for providing a responsi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responsi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xample implementation of a responsi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hange in a responsive object according to a property change of a reaction action of a responsi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include' or'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of them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being excluded.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transmits' data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the data to the other component, or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th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other component. Conversely, when one component'directly transmits' data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th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component to the other componen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other compon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1 shows a schematic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responsi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schematic flow of a method for providing a responsi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과 제1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의 제2사용자 단말기(300)가 구비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in order to implement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a user terminal 200 of a first user, and a second user terminal of at least one second user 300 may be provided.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may include hardware resources and/or software necessary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ecessarily means one physical component or one device. Is not.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may mean a logical combination of hardware and/or software provided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necessary, it is installed in a devic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perform each function. By performing, it may be implemented as a set of logical configurations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소정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미도시)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미도시)과 별도로 구현되면서 상기 서비스 시스템(미도시)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is installed in a service system (not shown)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social network service, or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service system (not shown), and organically with the service system (not shown). In combina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예컨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나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과 같이 특정 사용자가 타 사용자들과 소정의 콘텐츠(예컨대, 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나 정보의 교류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The social network service is, for example, an instant messenger service, Facebook, Twitter, Instagram, etc., in which a specific user can exchange predetermined content (eg, video, image, text, etc.) or information with other users. It can mean any type of service.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상기 서비스 시스템(미도시)의 운영주체가 운영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미도시)의 운영주체와는 별개의 주체가 운영하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may be operated by an operating entity of the service system (not shown), or operated by a separate entity from an operating entity of the service system (not shown). It may be a system that does.

예컨대, 상기 서비스 시스템(미도시)의 주체가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by including a software code that performs a function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rvice client by the subject of the service system (not shown) Can be installed or updated on

또는,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와는 별개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상기 서비스 시스템(미도시)이 제공하는 기능(예컨대, 콘텐츠 업로드 기능, 댓글이나 스크랩 등의 리액션 기능 등)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시스템(미도시)이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n application or software separate from the service client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n order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service client or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is provided with the service in order to use a function provided by the service system (not shown) (e.g., a content upload function, a reaction function such as a comment or scrap, etc.)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provided by a system (not shown).

이를 위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즉,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제2사용자 단말기(300)의 하드웨어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system and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he application system includes software (i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and hardware of the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n order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rganically combined with and can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 및/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소정의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이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server that performs functions and/or operations defined herein. When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is implemented as a server,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hrough a network.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data,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또한 도면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이 하나의 장치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반드시 어느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복수의 물리적 장치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에 포함된 구성 중 일부는 어느 아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되거나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다른 물리적 장치로 구현되거나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is shown as one device in the drawing,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implemented as any one physical device. That is,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by organically combining a plurality of physical devices. To this end, som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or installed as a physical device of any Ana, and some may be implemented or installed as other physical devices.

구현 예에 따라서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에 포함된 각각의 모듈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분산 배치될 수 있으며, 분산 배치된 구성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기능 및/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each module included in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may also be distributed and disposed in different physical devices, and the distributed configurations are organically combined to be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may be implemented to perform a function and/or operation.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300)는 모바일 단말기(예컨대, 스마트 폰, PDA, 태블릿(tablet) PC 등) 및/또는 데스크탑, 노트북과 같은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300)가 모바일 단말기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eg, a smart phone, a PDA, a tablet PC, etc.) and/or a computer device such as a desktop or a laptop computer. Any type of data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may be includ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ase in which the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implemented as a mobile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A schematic flow of a method for providing a responsi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콘텐츠를 업로드 받을 수 있다(s100). 본 명세서에서 소정의 콘텐츠가 특정 키워드에 대응된다고 함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업로드할 때 특정 키워드를 업로드하는 콘텐츠에 태깅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특정 키워드를 태깅한 소정의 콘텐츠(예컨대, 영상 콘텐츠 등)를 업로드할 수 있으며, 이처럼 특정 키워드가 태깅되어 업로드 되는 콘텐츠를 상기 제1콘텐츠로 정의할 수 있다.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may upload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wor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s100). In this specification, that a predetermined content corresponds to a specific keyword may mean tagging the content for uploading a specific keyword when a user uploads the content. That is, a user can upload predetermined content (eg, video content, etc.) tagged with a specific keyword using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content to be uploaded by tagging a specific keyword is defined as the first content. can do.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수 초 ~ 수 분 이내)의 영상 콘텐츠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콘텐츠는 영상 콘텐츠를 포함하여,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콘텐츠는 반드시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키워드를 해시태그로 사용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이후 후술할 대응 콘텐츠는, 이처럼 최초 제1콘텐츠에 태깅된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제1콘텐츠와 대응 콘텐츠가 키워드별로 연관성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ase where the content uploaded by the user is video content of a relatively short time (within a few seconds to several minutes)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Content uploaded by the user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content including image or text, including video content. 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desirable that content uploaded by a user necessarily corresponds to a specific keyword. For example, users can upload content using specific keywords as hashtags. Corresponding cont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ust correspond to a specific keyword tagged to the first content as described above, and through this, the first content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may have a correlation for each keyword.

이처럼 상기 제1콘텐츠가 업로드 되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상기 제1콘텐츠의 업로드에 응답하여 반응형 오브젝트를 생성(s110)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tent is uploaded in this wa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may generate a responsive object in response to the upload of the first content (s110).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가 생성된 후,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반응 액션의 속성을 결정(s120)하고, 결정된 반응 액션에 상응하는 반응형 오브젝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s130)할 수 있다.After the responsive object is generated,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determines the attribute of the reaction action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reactions of users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eyword (s120) , A responsiv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eaction action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S130).

여기서 상기 대응 콘텐츠는, 상기 제1콘텐츠 또는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며,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 된 적어도 하나의 제2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corresponding content corresponds to the first content or the specific keyword, and may mean at least one second content uploaded by users.

예컨대, 상기 대응 콘텐츠는 상기 상기 특정 키워드와 동일 또는 유사한 키워드에 대응되는 콘텐츠이거나, 상기 제1콘텐츠와 동일하면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rresponding content may mea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ame or similar keyword as the specific keyword, or content that is the same as the first content and uploaded by another user.

또한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은, 상기 대응 콘텐츠의 업로드, 및/또는 상기 대응 콘텐츠나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한 리액션(예컨대, 상기 대응 콘텐츠 또는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한 댓글, 스크랩, 호감 표시('좋아요' 등) 등-즉, 새로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행위 외에 대응 콘텐츠/제1콘텐츠에 대하여 수행되는 행위-)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reaction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uploading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or a reaction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the first content (e.g., a comment, scrap, or favorable feeling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the first content). ('Like', etc.), etc.-That is, in addition to the act of uploading a new content, it may mean including an act performed on the corresponding content/first content.

그리고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에 대한 반응 액션이라 함은,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에 따라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가 반응하여 변화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반응 액션의 속성은 이러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변화 요소들을 의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ponsive action to the responsive object may mean that the responsive object reacts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user's reaction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attribute of the reaction action is a change of the responsive object. Can mean elements.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반응 액션의 속성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외형의 변화, 및/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로부터 조각 오브젝트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attribute of the reaction a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hange in size, color, and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and/or a separation phenomenon in which a piece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예컨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는 전술한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에 따라, 그 크기가 변화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거나, 그 형상(외형)이 변화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각 오브젝트가 분리되는 양이나 속도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반응 오브젝트의 반응 액션과, 반응 액션의 속성에 따른 변화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responsive object may change in size, color, or shape (appearance) according to users' reactions to the above-described corresponding content. Alternatively, there may be a change in the amount or speed at which the sculpture object is separated. The reaction action of the reaction object and the change according to the attribute of the reaction a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도 3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의 구성 및 기능과,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반응형 오브젝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ponsive object provided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Let me explai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의 구현 예를 나타내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의 반응 액션의 속성 변화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responsi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 responsi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to 9 are A diagram for describing a change in a responsive object according to a property change of a reaction action of a responsi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콘텐츠 모듈(110), 인터페이스 모듈(120), 및/또는 제어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ent module 110, an interface module 120, and/or a control module 130.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게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module" may mean a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hardware for perform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ftware for driving the hardware. For example, the module may mean a predetermined code and a logical unit of a hardware resource for executing the predetermined code,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a physically connected code or a single type of hardware. It can be easily deduced to the average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콘텐츠 모듈(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콘텐츠를 업로드 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module 110 may receive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wor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be uploaded.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특정 키워드로 해시태그를 달아 영상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사용자는 특정 가수 A의 이름을 키워드로 태깅하여 가수 A의 뮤직비디오 영상을 상기 제1콘텐츠로 업로드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may upload video content by attaching a hashtag with a specific keyword using his/her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the first user may upload a music video image of singer A as the first content by tagging the name of a specific singer A as a keyword.

그러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상기 제1콘텐츠의 업로드에 응답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응형 오브젝트(10)를 생성할 수 있다. Then, the interface module 120 may generate the responsive object 10 as illustrated in FIG. 4 in response to the upload of the first content.

도면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가 원형, 또는 구형의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는 사용자가 자신이 업로드 한 콘텐츠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 리액션 등에 따른 반응 액션을 통해 콘텐츠 업로드 및/또는 다른 사용자들과의 소통을 보다 흥미롭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반응 액션이 수행될 수 있으면 그 형태가 반드시 일정하게 한정될 필요는 없다.In the drawings, a case in which the responsive object 10 is implemented in a circular or spherical shape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sponsive object 10 is intended to make content uploading and/or communication with other users more interesting by a user through a reaction action according to other users' reactions and reactions to the content uploaded by the user. If the reaction ac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the form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stant.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1콘텐츠가 업로드 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물론, 후술할 바와 같이 다른 사용자의 제2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대응 콘텐츠가 업로드 되는 경우,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300)에도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생성되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when a corresponding content is uploa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o which the first content is uploaded, as well as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of another user, as described later, the second user terminal ( In 300),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be created and display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최초 상기 제1콘텐츠가 업로드 되고 나서 생성되는 반응형 오브젝트(10)는, 아직 어떠한 반응 액션이 수행되지 않는 기본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기본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형상일 수 있다.The responsive object 10 generated after the first content is uploaded may have a basic shape in which no reaction action is yet performed. For example, the basic shap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be the shape shown in FIG. 4.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즉,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 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반응 액션의 속성을 결정하고, 결정된 반응 액션에 상응하는 반응형 오브젝트(10)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30 is a reaction action of the responsive object 10 based on users' reactions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ie, at least one second content uploaded by us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eyword. The attribute of may be determined and the responsive object 10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eaction action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상기 반응 액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변화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반응 액션의 속성으로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크기, 색상, 외형의 변화, 또는 조각 오브젝트(11)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reaction action may mean a change in the responsive object 10, and as attributes of the reaction action, a change in the size, color, and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or a piece object ( 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of the properties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in which 11) is separated may be included.

이러한 반응 액션의 속성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각각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The properties of these reaction actions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each time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각각의 반응 액션의 속성에 따른 변화와 조건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Changes and conditions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each reaction action of the responsive object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기본 형상에서 조각 오브젝트(11)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의 일 예가 도시되고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5, an example of a separation phenomenon in which the sculpture object 11 is separated from the basic shap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shown in FIG. 4 is shown.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조각 오브젝트(11)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로부터 멀어지며 이동하다가 소멸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조각 오브젝트(11)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로부터 분리된다고 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 자체가 상기 조각 오브젝트(11)로 인해 작아지거나 소멸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culpture object 11 may be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10 and moved away from the responsive object 10 and then disappeared. Even if the sculpture object 11 is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10, the responsive object 10 itself may not be reduced or destroyed due to the sculpture object 11.

이러한 상기 조각 오브젝트(11)에 의한 반응 액션은, 상기 특정 키워드, 상기 제1콘텐츠, 및/또는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리액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리액션이 상기 대응 콘텐츠 또는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한 댓글, 스크랩, 호감 표시('좋아요' 등) 등과 같은, 새로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행위 외에 상기 대응 콘텐츠나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하여 수행되는 행위를 의미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reaction action by the piece object 11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reaction to the specific keyword, the first content, and/or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reaction refers to an action performed on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the first content in addition to the action of uploading a new content, such as a comment, scrap, or like mark ('like')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the first content. It is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업로드한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한 감상을 다른 사용자들이 댓글로 남기거나 호감을 표시하는 경우, 또는 업로드 된 상기 제1콘텐츠를 스크랩하는 등의 리액션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로부터 상기 조각 오브젝트(11)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이 일어나도록 상기 반응 액션의 속성을 결정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ther users leave comments on the appreciation of the first content uploaded by the user or display their likes, or when a reaction such as scraping the uploaded first content occurs, the control module The 130 may determine a property of the reaction action such that a separation phenomenon in which the piece object 11 is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10 occurs, and display the property on the user terminal 200.

이때,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리액션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상기 반응 액션의 속성을 단계적으로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리액션이 만족하는 조건에 따라 상기 조각 오브젝트(11)의 분리현상의 속성을 다르게 결정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130 may determine the properties of the reaction action stepwise differently whenever the reac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That is, the control module 130 may determine and display different properties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of the sculpture object 11 according to a condition satisfying the reaction.

상기 조각 오브젝트(11)의 분리현상의 속성은, 상기 조각 오브젝트(11)가 분리되어 이동하는 속도 및/또는 분리되는 상기 조각 오브젝트(11)의 양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The attribute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of the sculpture object 11 may be a meaning including a speed at which the sculpture object 11 moves after being separated and/or the amount of the sculpture object 11 to be separated.

일 예에 의하면 이처럼 상기 조각 오브젝트(11)의 분리현상의 속성을 다르게 결정할 조건은 리액션의 개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리액션의 개수가 100개 미만인 경우를 1단계, 100개 이상~300개 미만인 경우 2단계, 300개 이상~700개 미만인 경우 3단계, 700개 이상~1500개 미만인 경우 4단계, 1500개 이상의 리액션이 있는 경우를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조건과 각 단계의 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condition for determining differently the property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of the fragment object 11 may be the number of reactions.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reactions is less than 100, step 1, if there are more than 100 to less than 300, step 2, if more than 300 to less than 700, step 3, if the number of reactions is more than 700 to less than 1500, step 4, 1500 If there is a reaction above, it can be divided into 5 stages. Of course, these conditions and the number of each step can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as necessary.

만약 상기 제1콘텐츠가 업로드 된 후 상기 리액션의 개수가 아직 100개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조각 오브젝트(11)가 제1속도로 분리되도록 반응 액션의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If the number of reactions is still less than 100 after the first content is uploaded, the control module 130 may determine the property of the reaction action so that the piece object 11 is separated at a first speed.

이후 리액션의 개수가 증가하면서 리액션의 개수가 100개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조각 오브젝트(11)가 상기 제1속도에 비해 일정 수준 빠른 제2속도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number of reactions increases while the number of reactions exceeds 100, the control module 130 may cause the sculpture object 11 to be separated at a second speed that is a certain level faster than the first speed. .

또한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리액션의 개수가 증가하여 각 단계별 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상기 조각 오브젝트(11)가 분리되는 속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30 may stepwise increase the speed at which the piece object 11 is separated whenever the number of reactions is increased and each step condition is satisfied.

물론 상기 리액션의 개수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조각 오브젝트(11)가 분리되는 속도를 각 단계에 따라 역으로 느리게 할 수도 있다.Of course, when the number of reactions decreases, the control module 130 may inversely slow the speed at which the piece object 11 is separated according to each step.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리액션의 개수에 따라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로부터 분리되는 조각 오브젝트(11)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1단계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의 조각 오브젝트(11)들이 분리되고, 그 이상의 단계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는 조각 오브젝트(11)의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Likewise, the control module 130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amount of the piece object 11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10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actions.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step 1, the amount of fragment objects 11 as shown in FIG. 5 are separated, and in the above step, the amount of the fragment objects 11 to be separated as shown in FIG. 6 may be relatively increased. I can.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조각 오브젝트(11)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일부 범위 내에서만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trol module 130 may cause the sculpture object 11 to occur only within a partial rang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according to implementation examples.

예컨대 도면에서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전방위에서 상기 조각 오브젝트(11)가 분리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서만 상기 조각 오브젝트(11)가 분리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drawing shows a case where the sculpture object 11 is separated from all directions of the responsive object 10, but the sculpture is on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esponsive object 10 according to implementation examples. The object 11 may be implemented to be separated.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 상에서 상기 조각 오브젝트(11)의 분리현상이 발생할 범위 및/또는 방향을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preset a range and/or a direction in which the separation phenomenon of the sculpture object 11 occurs on the responsive object 10.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가 업로드한 제1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이 활발할수록,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로부터 분리되는 조각 오브젝트(11)가 점점 많이, 빠르게 분리되면서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임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한 반응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user's reaction to the first content uploaded by the user becomes more active, the fragment object 11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10 is more and more rapidly separated, thereby moving dynamically. By showing,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the reaction to the uploaded content.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5와 마찬가지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로부터 분리되는 조각 오브젝트(11)의 분리현상과 함께,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외형 자체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7 and 8, as in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changes along with the separation phenomenon of the sculpture object 11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10. I can.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크기가 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siz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be changed.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외형은 상기 조각 오브젝트(11)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전 아직 연결되어 있는 형상(즉, 조각 오브젝트(11)가 반응형 오브젝트(10)로부터 떨어져 나가기 전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일부가 늘어난 형상)일 수도 있고,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외주면이 불규칙하게 꿀렁이도록 변화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이러한 형상 외에도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외형이 변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external shap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is a shape that is still connected before the sculptural object 11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10 (that is, the sculptural object 11 is a responsive object). (10) It may be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responsive object 10 is stretched before it is separated from (10), or a shap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is irregularly changed. Of course, in addition to thes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어떠한 경우든, 상기 반응 액션의 속성 중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외형의 변화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크기 역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그 변화 정도가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In any case, the change in the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and the siz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among the attributes of the reaction ac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gree of chang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It can be determined differently.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외형 변화정도 및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대응 콘텐츠가 업로드 되는 개수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30)은 업로드 된 상기 대응 콘텐츠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외형 변화정도 및/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ondition for determining the degree and siz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be the number of uploaded corresponding content. That is, the control module 130 may determine the degree of change in the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and/or the siz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based on the number of uploaded corresponding contents.

예컨대 업로드 된 상기 대응 콘텐츠의 개수가 50개 미만인 경우 1단계, 50개 이상~100개 미만인 경우 2단계, 100개 이상~300개 미만인 경우 3단계, 300개 이상~800개 미만인 경우 4단계, 800개 이상인 경우 5단계와 같이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number of uploaded corresponding content is less than 50, step 1, if more than 50 to less than 100, step 2, if more than 100 to less than 300, step 3, if more than 300 to less than 800, step 4, 800 If there are more than one, the condition can be set as in step 5.

상기 대응 콘텐츠의 업로드 개수가 많아진다는 것은, 사용자가 최초 업로드한 제1콘텐츠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관심이 높다는 것과 함께, 상기 제1콘텐츠에 대응되는 키워드(즉, 태깅된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도가 높고 관련 콘텐츠가 많이 존재하거나 제작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키워드가 많은 사람들에게 이슈가 되고 있거나, 상기 제1콘텐츠 자체가 이슈가 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들이 이에 대한 대응 콘텐츠를 많이 업로드할 수 있다.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upload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means that other users are interested in the first content initially uploaded by the user, and the user's interest in the keyword (that is, tagged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Is high, and it may mean that a lot of related content exists or has been produced. That is, when the keyword is an issue to many people, or when the first content itself becomes an issue, other users may upload a lot of content corresponding to it.

상기 제어모듈(130)은, 이처럼 상기 대응 콘텐츠의 업로드 개수가 각 단계별 조건을 만족시킬 때마다,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크게 하거나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외형 변화정도를 크게할 수 있다.Whenever the number of upload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satisfies each step condition, the control module 130 increases the siz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in stages or the degree of change in the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Can be enlarged.

예를 들어,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대응 콘텐츠의 업로드 개수가 1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크기(예컨대, 도 9에 도시된 크기)의 반응형 오브젝트(1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다가, 상기 대응 콘텐츠의 업로드 개수가 늘어 4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도 5 내지 도 8 중 어느 하나와 같은 크기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물론 그 중간 단계에서는 도 9에 도시된 크기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크기 사이에서 단계적인 크기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30 causes the responsive object 10 of the first size (eg, the size shown in FIG. 9) to be displayed when the upload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satisfies the condition of step 1 When the number of upload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ncreases and the condition of step 4 is satisfied, the siz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be changed to the same size as in any one of FIGS. 5 to 8. Of course, in the intermediate step, a stepwise size change may occur between the size shown in FIG. 9 and the size shown in FIGS. 5 to 8.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대응 콘텐츠의 업로드 개수가 일정 조건을 만족시킬 때마다,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외형의 변화정도를 다르게 변화시킬 수 있다.Likewise, whenever the number of upload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satisfies a certain condition, the control module 130 may change the degree of change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differently.

예컨대, 전술한 1단계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외주면에 변화가 상대적으로 미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대응 콘텐츠의 업로드 개수가 증가하면서 보다 높은 단계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외형 변화정도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n step 1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5, changes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be relatively insignificant. Thereafter, when the higher-level condition is satisfied as the number of upload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ncreases, the control module 130 determines the degree of change in the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as shown in FIG. Can be determined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외형의 변화는 반드시 동일한 부위가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외형은 불규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는 그 외주면이 소정의 액체가 끓어오르는 것과 유사한 꿀렁임을 보이도록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응 콘텐츠의 개수가 증가하여 만족되는 조건의 단계가 높아질수록 변화의 정도(예컨대, 꿀렁임의 정도)가 증가하거나,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외주면 일부의 늘어짐이 길어지는 등과 같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텐션이 높아지거나 변화 뎁스가 깊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change in the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same part regularly changes. Rather, the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change irregularly. For example,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be continuously changed so that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xhibits a squeak similar to boiling of a predetermined liquid. And as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ncreases and the level of the condition to be satisfied increases, the degree of change (for example, the degree of slackness) increases, or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increases. It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tension of the responsive object 10 is increased or the depth of change is increas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반응 액션의 속성 중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odule 13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10 among properties of the reaction action of the responsive object 10.

이러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색상 변화 역시, 전술한 나머지 반응 액션의 속성들과 마찬가지로 일정 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단계적인 변화가 나타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color chang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also be implemented so that a stepwise change appears whenever a certain condition is satisfied, similar to the properties of the other reaction actions described above.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색상 변화를 위한 조건은 일정 시간 내에 업로드 되는 상기 대응 콘텐츠의 개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condition for color chang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be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uploa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즉, 전술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외형 변화정도와 크기가 상기 제1콘텐츠가 업로드 된 후 전체 기간에 업로드 된 대응 콘텐츠의 개수를 기준으로 한다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색상은 정해진 시간 이내에 업로드 된 대응 콘텐츠의 개수가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at is, if the degree and size of the change in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described above are based on the number of corresponding contents uploaded in the entire period after the first content is uploaded, the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10 is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number of corresponding content uploa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ecomes the standard.

예를 들어 상기 제1콘텐츠가 업로드 된 후, 짧은 시간 내에 많은 개수의 대응 콘텐츠가 업로드 되는 경우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한 반응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1콘텐츠에 대한 대응 콘텐츠가 동일하게 100개가 업로드 되었다 하더라도, 24시간에 걸쳐 100개가 업로드 된 경우에 비해 1시간 이내에 100개가 업로드 된 경우에는 사용자들 간의 인터랙션이 매우 활발함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the first content is uploaded, if a large number of corresponding content is uploaded within a short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response to the first content is large. In other words, even if 100 corresponding contents for the first content are uploaded in the same manner, if 100 are uploaded within 1 hour compared to 100 uploaded over 24 hours, it means that interaction between users is very active. I can.

이러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색상 변화를 위한 조건 역시 다른 반응 액션의 속성과 같이 단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condition for the color chang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also be set stepwise like properties of other reaction actions.

예컨대 일정 시간 이내에 업로드 되는 대응 콘텐츠의 개수가 30개 미만인 경우 1단계, 30개 이상~100개 미만인 경우 2단계, 100개 이상~300개 미만인 경우 3단계, 300개 이상~700개 미만인 경우 4단계, 700개 이상인 경우 5단계로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number of corresponding content upload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is less than 30, step 1, if there are more than 30 to less than 100, step 2, if more than 100 to less than 300, step 3, and if there are more than 300 to less than 700, step 4 If there are more than 700, the condition can be set in 5 steps.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색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단계에서는 청색으로부터 시작하여, 단계가 높아질수록 붉은색으로 색상이 점차 변화하여 최종 5단계에서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색상이 붉은색 계열로 변화할 수 있다.The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be variously set as necessary. For example, the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change to a red color in the final step 5, starting from blue in step 1 and gradually changing to red as the step increases.

이러한 경우, 단계가 높아질수록 즉, 정해진 시간 내에 많은 개수의 대응 콘텐츠가 업로드 될수록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가 상대적으로 뜨거운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반응의 활발함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step increases, that is, as the number of corresponding contents is uploa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responsive object 10 can feel relatively hot,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e activeness of the reaction. Can be implemented.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색상 변화를 위한 조건이 최근 4시간 이내에 업로드 되는 대응 콘텐츠의 개수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30)은 정해진 시간(4시간) 내에 업로드 되는 대응 콘텐츠의 개수에 따라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the condition for color chang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be the number of corresponding content uploaded within the last 4 hours. That is, the control module 130 may determine the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10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rresponding content uploa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4 hours).

그리고 최초 상기 제1콘텐츠가 업로드 된 후, 4시간 이내에 복수 개의 대응 콘텐츠들이 업로드 되고, 업로드 된 대응 콘텐츠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색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대응 콘텐츠들 중 마지막으로 업로드 된 시간으로부터, 다시 4시간 이내에 새로운 대응 콘텐츠가 업로드 되지 않는 경우 변화했던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색상이 다시 원래대로 되돌아갈 수 있다. 물론, 대응 콘텐츠가 새로 업로드 되면 그 개수에 따라 변화했던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색상이 유지되거나, 다음 단계의 색상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fter the first content is initially uploaded,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contents are uploaded within 4 hours, and the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uploaded corresponding contents. At this time, if a new corresponding content is not uploaded within 4 hours from the last uploaded time among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contents, the changed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10 may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Of course, when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newly uploaded, the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10, which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may be maintained, or the color of the next step may be change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반응형 오브젝트(10)의 각 조건별, 단계별 변화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업로드 한 콘텐츠By changing each condition and step by step of the responsive object 10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상기 대응 콘텐츠의 업로드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외형의 변화정도를 결정Determine the degree of change in the size or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number of upload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크기가 작게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siz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is changed to a small size.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모듈(130)은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module 13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1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s described above.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반응 액션은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ction action of the responsive object 10 is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대응 콘텐츠의 업로드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 액션의 속성 중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10)의 크기 및/또는 외형의 변화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30 may determine a size and/or a degree of change in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10 among attributes of the responsive action based on the number of upload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콘텐츠 또는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리액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현상의 속도 또는 양을 결정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determines the speed or amount of the separation based on the degree of reaction to the first content or the corresponding content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일정 시간 내에 업로드 되는 상기 대응 콘텐츠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색상을 결정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determines the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uploa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그리고 상기 수집모듈(120)은, 상기 제1콘텐츠가 업로드된 후,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에 의해 상기 특정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로 태깅된 적어도 하나의 제2콘텐츠가 업로드 되는 경우 상기 제2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And the collection module 120, after the first content is uploaded, when at least one second content tagged with the same keyword as the specific keyword by at least one second user is uploaded to the second content You can collect information about uploads.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2콘텐츠는, 단순히 상기 제1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제2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집모듈(120)은 상기 제2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되지만, 업로드시 상기 제1콘텐츠에 태깅된 특정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가 태깅되어 있는 콘텐츠만을 상기 제2콘텐츠로 구분하여 해당 콘텐츠가 업로드 되었다는 정보를 상기 업로드 정보로써 수집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econd content does not simply mean content uploaded by a user other than the first user (a second user). The collection module 120 is uploaded by the second user, but when uploaded, only the content tagged with the same keyword as the specific keyword tagged to the first content is classified as the second content,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content has been uploaded is displayed. It can be collected as the upload information.

상기 제2콘텐츠는 반드시 상기 제1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일 필요는 없다. 예컨대, 상기 제1콘텐츠가 전술한 가수 A의 뮤직비디오 영상인 경우, 상기 제2콘텐츠는 상기 가수 A의 이름이 키워드로 동일하게 태깅된 콘텐츠라면 뮤직비디오 영상뿐 아니라 무대 영상일 수도 있고, 상기 가수 A가 출연하는 예능, 드라마 등 다른 종류의 영상일 수도 있다.The second content need not necessarily be the same content as the first content. For example, if the first content is a music video image of singer A, the second content may be not only a music video image but also a stage image if the name of the singer A is the same tagged as a keyword, and the singer A It could be a different kind of video, such as entertainment or drama in which A appears.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트화면에서의 주문 UI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n order UI on a char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트화면에서의 주문 UI 제공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모듈(110), 감지모듈(120), 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차트화면에서의 주문 UI 제공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주문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100 for providing an order UI on a char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110, a detection module 120, and a control module 130. .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the system 100 for providing a responsive object providing an order UI on the chart screen may further include an order module 140.

상기 차트화면에서의 주문 UI 제공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트화면에서의 주문 UI 제공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100)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증권사 등 소정의 금융기관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부분 구성으로 구현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하드웨어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for providing an order UI in the chart screen may be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to perform operations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100 for providing an order UI on the chart scree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application system, or as a partial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system provided by a predetermined financial institution such as a securities company, and is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The application system may be installed, and the application system may be organically combined with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nd hardware of the user terminal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의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module" may mean a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hardware for perform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ftware for driving the hardware. For example, the module may mean a logical unit of a predetermined code and a resource of hardware for executing the predetermined code, and necessarily means a physically connected code, or means one type of hardware. I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e average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UI라 함은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되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매개가 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으며, 그래픽과 텍스트로 이루어진 GUI(Graphic User Interface)일 수 있다. 또한 UI는 단위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UI 컴포넌트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UI is displayed on the user's terminal, may mean a means for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s terminal, and may be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composed of graphics and text. have. Also, the UI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UI components that perform a unit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이미지 진단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diagnosing a living body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program command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ntrol program and the target progra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software field.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floptical disk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etc. are included.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devices that process information electronically using an interpreter, for exampl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registration claims.

Claims (14)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콘텐츠를 업로드 받는 단계;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콘텐츠의 업로드에 응답하여 반응형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제1콘텐츠 또는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며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 된 적어도 하나의 제2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반응 액션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결정된 반응 액션에 상응하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반응 액션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외형의 변화,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로부터 조각 오브젝트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외형의 변화,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로부터 조각 오브젝트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콘텐츠 또는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리액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현상의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콘텐츠 또는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리액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현상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
Receiv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word;
Generat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responsive object in response to uploading the first content;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is based on the reaction of users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eyword-at least on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or the specific keyword and uploaded by users- Determining an attribute of a reaction action of the object; And
And displaying the responsiv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eaction action on a user terminal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operties of the reaction action of the responsive object,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a change in size, color, and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or an attribute of a separation phenomenon by which a piece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change in the size, color, and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or a separation phenomenon in which a piece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speed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based on a reaction to the first content or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And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n amount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based on a reaction to the first content or the corresponding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외형의 변화,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로부터 조각 오브젝트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대응 콘텐츠의 업로드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외형의 변화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change in size, color, and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or a separation phenomenon in which a piece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And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degree of change in the size or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number of upload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대응 콘텐츠의 업로드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외형의 변화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복수 개의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외형의 변화정도를 각각 다르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degree of change in the size or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number of upload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determining, respectively, different degrees of change in size or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whenever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set in advance in a plurality of steps.
삭제delete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콘텐츠를 업로드 받는 단계;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콘텐츠의 업로드에 응답하여 반응형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제1콘텐츠 또는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며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 된 적어도 하나의 제2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반응 액션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결정된 반응 액션에 상응하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반응 액션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외형의 변화,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로부터 조각 오브젝트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외형의 변화,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로부터 조각 오브젝트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콘텐츠 또는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리액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현상의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콘텐츠 또는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리액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현상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1콘텐츠 또는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리액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현상의 속도 또는 양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복수 개의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분리현상의 속성을 각각 다르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
Receiv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word;
Generat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responsive object in response to uploading the first content;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is based on the reaction of users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eyword-at least on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or the specific keyword and uploaded by users- Determining an attribute of a reaction action of the object; And
And displaying the responsiv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eaction action on a user terminal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operties of the reaction action of the responsive object,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a change in size, color, and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or an attribute of a separation phenomenon by which a piece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change in the size, color, and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or a separation phenomenon in which a piece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speed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based on a reaction to the first content or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At least one of the steps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n amount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based on a reaction to the first content or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the speed or amount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based on the degree of reaction to the first content or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each time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set in advance in a plurality of steps, determining different properties of the separation phenomenon of the responsive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외형의 변화,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로부터 조각 오브젝트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일정 시간 내에 업로드 되는 상기 대응 콘텐츠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change in size, color, and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or a separation phenomenon in which a piece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And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uploa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일정 시간 내에 업로드 되는 상기 대응 콘텐츠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복수 개의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색상을 각각 다르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a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uploa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determining a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differently each time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set in advance in a plurality of ste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이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대응 콘텐츠가 업로드 되지 않는 경우, 생성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를 소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method comprises:
Th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stroying the generated responsive object when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not uploa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in a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ed on a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or 5 to 8.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콘텐츠를 업로드 받는 콘텐츠 모듈;
상기 제1콘텐츠의 업로드에 응답하여 반응형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제1콘텐츠 또는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며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 된 적어도 하나의 제2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반응 액션의 속성을 결정하며, 결정된 반응 액션에 상응하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색상, 외형의 변화, 또는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로부터 조각 오브젝트가 분리되는 분리현상의 속성을 결정하되, 상기 제1콘텐츠 또는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리액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현상의 속도 또는 상기 분리현상의 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
A content module for uploading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word;
An interface module that generates a responsive object in response to the upload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attribute of the reaction action of the responsive object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reaction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eyword-first content or at least on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eyword and uploaded by users. And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determine and display the responsiv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eaction action on a user terminal,
The control module,
A change in size, color, and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or a property of a separation phenomenon in which a piece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responsive object, is determined, but based on the reaction to the first content or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separation phenomenon Reactive objec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the speed or the amount of the separ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대응 콘텐츠의 업로드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외형의 변화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module,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the degree of change of the size or appearance of the responsive object based on the number of upload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일정 시간 내에 업로드 되는 상기 대응 콘텐츠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의 색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module,
A responsive objec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of the responsive object is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uploa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대응 콘텐츠가 업로드 되지 않는 경우, 생성된 상기 반응형 오브젝트를 소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오브젝트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terface module,
When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not upload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generated reactive object is destroyed.

KR1020190087644A 2019-07-19 2019-07-19 Responsive object providing method and providing system thereof KR1021590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44A KR102159017B1 (en) 2019-07-19 2019-07-19 Responsive object providing method and providing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44A KR102159017B1 (en) 2019-07-19 2019-07-19 Responsive object providing method and providing syste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017B1 true KR102159017B1 (en) 2020-09-23

Family

ID=7270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644A KR102159017B1 (en) 2019-07-19 2019-07-19 Responsive object providing method and providing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01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531A (en)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위메이크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system that analyzes feedback through SNS advertisements
KR102708298B1 (en) 2024-01-30 2024-09-24 (주)인티그리트 Monitor integrated computing device for providing interactiv and responsive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vision recognition technolog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025B1 (en) 2011-06-17 2016-06-07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Automated generation of suggestions for personalized reactions in a social network
KR20160098948A (en) * 2015-02-11 2016-08-19 네이버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180061919A (en)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86738B1 (en) * 2017-08-03 2018-08-09 주식회사 카카오 Apparatus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effect to postings in social network ser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025B1 (en) 2011-06-17 2016-06-07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Automated generation of suggestions for personalized reactions in a social network
KR20160098948A (en) * 2015-02-11 2016-08-19 네이버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180061919A (en)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86738B1 (en) * 2017-08-03 2018-08-09 주식회사 카카오 Apparatus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effect to postings in social network ser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531A (en)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위메이크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system that analyzes feedback through SNS advertisements
KR102708298B1 (en) 2024-01-30 2024-09-24 (주)인티그리트 Monitor integrated computing device for providing interactiv and responsive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vision recognition technolog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9671B2 (en) User interface for surfacing contextual actions in a mobile computing device
US10565268B2 (en) Interactive communication augmented with contextual information
KR202100191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chat room associated with a messenger application
US20190130185A1 (en) Visualization of Tagging Relevance to Video
CN110019934B (en) Identifying relevance of video
US20150287069A1 (en) Personal digital engine for user empowerment and method to operate the same
US20160253070A1 (en) Interactive dynamic push notifications
US202100511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shing content
WO2014150100A1 (en) Application-centric socialization
KR102159017B1 (en) Responsive object providing method and providing system thereof
US20240169711A1 (en) Multi-modal understanding of emotions in video content
US120014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shing content
Paternò Concepts and design space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multi-device user interfaces
WO2025010264A1 (en)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as flashbacks
KR20140086972A (en) Bridge pages for mobile advertising
US201400898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users to other users and objects in a social network
US109433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shing content
CN116762055A (en) Synchronizing virtual reality notifications
US12205207B2 (en) Automatic image generation in an interaction system
US20240005608A1 (en) Travel in Artificial Reality
US12143351B2 (en) Unified content feed
US20240296606A1 (en) Automatic image generation in an interaction system
CN114936953B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members of a learning discussion room
US20240348567A1 (en) Shared content feed access in chat
KR1021710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integrated information using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