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331B1 - Electric fan having dual heads - Google Patents

Electric fan having dual hea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331B1
KR102158331B1 KR1020180150079A KR20180150079A KR102158331B1 KR 102158331 B1 KR102158331 B1 KR 102158331B1 KR 1020180150079 A KR1020180150079 A KR 1020180150079A KR 20180150079 A KR20180150079 A KR 20180150079A KR 102158331 B1 KR102158331 B1 KR 102158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pipe
air inlet
fan
condensed water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4276A (en
Inventor
홍정우
Original Assignee
홍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우 filed Critical 홍정우
Priority to KR102018015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331B1/en
Publication of KR20200064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2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3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3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driven by a common gearing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헤드부를 구비하여 거의 전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를 유입하여 냉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풍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면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어 선풍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 설치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헤드부,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면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는 내측에 흡기팬이 구비되어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 및 제2헤드부로 공급하는 공기유입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헤드부는 공기유입관에 연결 설치되는 중공 형상의 제1 및 제2연결관과, 상기 제1 및 제2연결관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제1 및 제2회전축과,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의 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sided fan,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rovided with two heads to generate wind in almost all directions, and at the same time, indoor air is introduced and cooled to be discharg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fan. It relates to a double-sided fan that allows you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ground to support an electric fan, a rotating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first and second head parts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to generate wind, and a driving part driving the rotating part In the double-sided fan, an intake fan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rotating part, and an air inlet pipe for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and supplying it to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is connected and installed, and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Hollow-shaped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first and second rotating shaft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and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shaft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first and second fans rotatably coupled to.

Description

양면 선풍기{Electric fan having dual heads}Electric fan having dual heads

본 발명은 양면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헤드부를 구비하여 거의 전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를 유입하여 냉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풍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면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sided fan,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rovided with two heads to generate wind in almost all directions, and at the same time, indoor air is introduced and cooled to be discharg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fan. It relates to a double-sided fan that allows you to do it.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전동기를 이용하여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바람을 일으키는 도구를 뜻하는 것으로, 주로 더운 여름에 시원함을 느끼기 위하여 사용되고, 필요에 따라 공기순환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In general, an electric fan refers to a tool that generates wind by rotating a rotating blade using an electric motor, and is mainly used to feel cool in hot summer, and is also used for air circulation if necessary.

선풍기는 그 모양과 용도에 따라 탁상용, 좌석용, 벽걸이용, 천장용 등으로 종류가 분류될 수도 있는데, 기존 선풍기들은 대부분 한 개의 회전날개를 이용하여 한 방향으로만 바람을 일으키게 되므로, 선풍기에 회전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하더라도 여러 방향으로 동시에 바람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두 대 이상의 선풍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Fans may be classified into tabletop, seat, wall-mounted, and ceiling-type depending on their shape and use. Most of the existing fans use one rotating blade to generate wind in only one direction, so the fan rotates. Even if the function was included, there was a disadvantage of having to install two or more fans in order to generate wind in several directions at the same tim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0021768호 등에는 양방향 선풍기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모터의 전후방으로 2개의 회전축이 구비되고, 이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날개가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동시에 바람을 일으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7-0021768, etc., discloses a bi-directional fan. The main technical configuration is that two rotating shafts are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motor, and blades are provided at each end of the rotating shaft. It is installed so that it can generate win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t the same time.

즉, 상기 종래기술은 하나의 선풍기를 이용하여 전,후 양 방향으로 동시에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1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2개의 날개를 동시에 구동시켜야 하므로, 모터가 쉽게 과열되고, 모터의 과열에 의해 주변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어 2개의 날개를 통해 생성되는 바람은 상대적으로 더운 공기를 포함하게 되므로 냉방장치로서의 사용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prior 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wind in both directions at the same time using a single fan, but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drive two blades using one motor, so that the motor is easily Due to the overheating and overheating of the motor,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air is increased, and the wind generated through the two blades contains relatively hot air, so that the efficiency of use as a cooling device is lower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6144호에는 동력 전달과 회전성이 우수한 양면형 선풍기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바닥을 지지하고 상부측으로 회전축이 구비되는 몸체와, 회전축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상단에 양측으로 구비되어 제1 및 제2모터에 각각 구동되는 제1 및 제2팬과,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몸체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을 제1 및 제2팬으로 공급하는 전원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a prior art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06144 discloses a double-sided fan with excellent power transmission and rotation, and its main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ody supporting the floor and having a rotating shaft on the upper side. Wow, a rotating part configured to surround the rotating shaft, first and second fa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part and respectively driven by the first and second motors, a driving part driving the rotating part, and power drawn from the body It includes a power terminal supplying the first and second fans.

즉, 상기 종래기술은 2개의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각각 구비하여 모터의 과열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1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1개의 팬을 구동시키더라도 모터에서의 발열이 없어지는 것은 아닐 뿐만 아니라, 주변의 실내 공기를 그대로 이용하여 바람을 일으키는 것이므로 마찬가지로 무더운 날씨의 실내에서는 효율적인 냉방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reduce overheating of the motor by each having a motor for driving two fans, but even if one fan is driven by using one motor, heat generation from the motor does not disappear. In addition, since the surrounding indoor air is used as it is to generate wind, there is a problem that an efficient cooling effect cannot be expected in an indoor in hot weather.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6144호(2015. 03. 26. 공고)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06144 (2015. 03. 26.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헤드부를 구비하여 거의 전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를 유입하여 냉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풍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면 선풍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wind in almost all directions by providing two heads, while simultaneously introducing and cooling indoor air to discharge it. It is to provide a double-sided fan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fan by making it possible to do so.

또한,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흡기팬의 전면에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하여 구동에 의해 실내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면 선풍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uble-sided fan capable of purifying indoor air by driving by providing a filter member that can filter out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on the front of an intake fan that allows inhalation of indoor air. It has a different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지면에 설치되어 선풍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 설치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헤드부,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면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는 내측에 흡기팬이 구비되어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 및 제2헤드부로 공급하는 공기유입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헤드부는 공기유입관에 연결 설치되는 중공 형상의 제1 및 제2연결관과, 상기 제1 및 제2연결관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제1 및 제2회전축과,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의 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ouble-sided fan comprising a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ground to support the fan, a rotating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first and second head parts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to generate wind, and a driving part driving the rotating part In the upper part of the rotating part, an intake fan is provided inside, and an air inlet pipe for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and supplying it to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is connected and installed, and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are connected to the air inlet pipe. Hollow-shaped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to be connected and installed, first and second rotating shafts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and rotatable at the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shaft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first and second fans coupl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공기유입관의 상부에는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의 상단 내주면에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의 상부에는 필터부재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a pipe expansion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inlet pipe, a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expansion portion, and a filter member is mounted on the stepped portion.

또한, 상기 공기유입관은 내측에 흡기팬이 설치되는 제1공기유입관과, 상기 제1공기유입관과 회전부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제2공기유입관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2공기유입관의 중앙에는 제1 및 제2헤드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분기시키는 격판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inlet pipe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 first air inlet pipe in which an intake fan is installed inside, and a second air inlet pip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ir inlet pipe and the rotating part, and the second air inlet pipe A partition plate for branching the air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unit.

그리고, 상기 격판의 상단부에는 내측에 냉매가 수용되는 냉매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refrigerant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ccommodate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diaphragm.

또한, 상기 냉매수용부의 하부에는 냉매수용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응축수 배출관이 제2공기유입관의 외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공기유입관의 외측에는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회수통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frigerant receiving part is formed below the refrigerant receiving part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second air inlet pipe, and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is provided outside the second air inlet pip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ensed water recovery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through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또한, 상기 냉매수용부의 하부에는 냉매수용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응축수 배출관이 회전부를 내측면을 따라 지지부 상단에 이르기까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단 내측면에는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내측 하부에는 응축수 수용홈에 수용된 응축수를 회수하는 제2응축수 회수통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응축수 수용홈과 제2응축수 회수통의 사이에는 제2응축수 배출관이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frigerant receiving part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frigerant receiving part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and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i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 condensed water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upport is formed, and a second condensed water recovery container for recovering the condensed water accommodated in the condensed water receiving groove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inner lower part of the support, and the condensed water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condensed wat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is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recovery bins.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의 단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제1 및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motors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for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헤드부를 구비하여 거의 전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어 바람의 발생범위를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를 유입하여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걸러낼 수 있고, 유입된 실내공기를 냉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풍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wind in almost all directions by providing two heads, so that the range of wind can be widened, and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can be filtered out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discharging indoor air. It ha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fan by allowing the indoor air to be cooled and discharg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선풍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2공기유입관의 내부 모습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선풍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sided f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separate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terior of the second air inle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ouble-sided f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선풍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double-sided f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선풍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2공기유입관의 내부 모습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선풍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sided f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separately,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nd FIG. 4 1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terior of the second air inle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ouble-sided f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두 개의 헤드부를 구비하여 거의 전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를 유입하여 냉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풍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면 선풍기(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지지부(110), 회전부(120), 제1 및 제2헤드부(130,140), 구동부(150) 및 공기유입관(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sided fan 100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fan by providing two head parts to generate wind in almost all directions and to cool and discharge indoor air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figuration largely includes a support unit 110, a rotation unit 120, a first and a second head unit 130 and 140, a driving unit 150, and an air inlet pipe 160. It is done by doing.

먼저, 상기 지지부(110)는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양면 선풍기(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단부가 넓게 형성되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단부 외측에는 풍향, 풍속, 작동시간 등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 또는 레버(미도시)가 구비되는 등 종래의 스탠드형 선풍기의 지지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First, the support part 110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and serves to support the double-sided fan 100, and the lower part is formed to be wide so that stable support is possible, and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operating time are outside the lower part. A button or a lever (not shown) for adjusting the etc. is provid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upport part of a conventional stand type fan.

다음, 상기 회전부(120)는 제1 및 제2헤드부(130,14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제1 및 제2헤드부(130,1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부(11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Next, the rotating part 120 is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0 and 140 to serve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0 and 140, and the support part 110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즉, 상기 지지부(110)는 상단이 밀폐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120)는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밀폐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부(110)의 외측면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후술할 구동부(150)의 구동에 의해 회전부(120)가 지지부(11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support part 110 has a hollow shape with an upper end sealed, and the rotating part 120 has a hollow shape with an open upper end and a closed lower end, and is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11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configured to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the rotation unit 12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110 by driving 150.

다음, 상기 제1 및 제2헤드부(130,140)는 회전부(120)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결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 바람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Next,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0 and 140 are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120 in a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to generate wind toward the front, and are installed to face opposite directions.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헤드부(130,140)는 제1 및 제2연결관(132,142), 제1 및 제2회전축(134,144), 제1 및 제2팬(136,1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먼저 상기 제1 및 제2연결관(132,142)은 회전부(120)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제1 및 제2헤드부(130,1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서로 반대방향, 즉 180도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된다.In more detail,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130 and 140 includ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32 and 142,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134 and 144, and first and second fans 136 and 146. First and firs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32 and 142 are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part 120 to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0 and 140, and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it is installed to achieve an angle of 180 degrees.

또한, 상기 제1 및 제2연결관(132,142)은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후술할 공기유입관(160)을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제1 및 제2연결관(132,142)을 통해 제1 및 제2헤드부(130,14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132 and 142 have a hollow shape so that external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pipe 160 to be described lat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132 and 142. It can be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head portion (130, 140).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및 제2연결관(132,142)의 일측 단부, 즉 회전부(120) 측 단부가 상기 회전부(120)에 힌지 결합되어 제1 및 제2연결관(132,142)의 상,하 방향으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32 and 142, that is, the end of the rotating part 120 is hinged to the rotating part 120 so that the top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132 and 142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enable angle adjustm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또한, 상기 제1 및 제2연결관(132,142)의 타측 단부에는 제1 및 제2헤드커버(135,145)가 결합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헤드커버(135,145)는 후술할 제1 및 제2팬(136,146)을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고속 회전하는 제1 및 제2팬(136,146)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연결관(132,142)에 연결 설치되는 후면커버와, 상기 후면커버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면커버로 분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head covers 135 and 145 are coupled to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132 and 142, and the first and second head covers 135 and 145 are described later. It serves to protect the fans 136 and 146 from external impacts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first and second fans 136 and 146 rotating at high speed. It is composed of a rear cover connected to the connector (132, 142) and a front cover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ar cover.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선풍기(100)는 외부 공기를 상부로부터 흡입하여 전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후면커버는 밀폐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후방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면커버는 기존의 선풍기와 마찬가지로 망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double-sided fa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ck outside air from the top and discharge it to the front, the rear cover is formed in a sealed shape to block ai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rear. It is configured, and the front cover is made of a mesh shape like a conventional fan.

다음,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134,144)은 제1 및 제2연결관(132,142)의 내측에 제1 및 제2연결관(132,142)과 동일한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어 제1 및 제2팬(136,146)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회전축(134,144)의 후방 단부는 제1 및 제2연결관(132,142)의 내측 또는 회전부(1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134,144)의 전방 단부는 제1 및 제2연결관(132,14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 및 제2팬(136,146)이 결합된다.Next,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shafts 134 and 144 ar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132 and 142 insid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132 and 142, and the first and second fans ( 136,146) in a rotatable state, and the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134 and 144 are rotatable insid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132 and 142 or inside the rotating part 120 And the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134 and 144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ipes 132 and 14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ans 136 and 146 are coupled.

이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134,144)의 후방 단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모터(138,148)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및 제2모터(138,148)는 제1 및 제2회전축(134,144)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전단부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팬(136,146)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제1 및 제2헤드부(130,140)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first and second motors 138 and 148 may be coupled to the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134 and 144,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motors 138 and 148 It is discharged forwar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0 and 140 by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fans 136 and 146 coupled to the front end by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134 and 144. It plays a role in increasing the wind strength.

다음, 상기 제1 및 제2팬(136,146)은 제1 및 제2회전축(134,144)의 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방을 향해 바람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술할 공기유입관(16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제1 및 제2팬(136,146)이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헤드부(130,140)의 전방을 향해 바람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Next, the first and second fans 136 and 146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134 and 144 and serve to generate wind toward the fro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Is configured so that wind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0 and 140 while the first and second fans 136 and 146 rotate b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m.

또한, 제1 및 제2회전축(134,144)의 후방 단부에 제1 및 제2모터(138,148)가 각각 결합된 경우에는 제1 및 제2모터(138,148)의 구동에 의해 제1 및 제2팬(136,146)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공기유입관(160)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흐름에 제1 및 제2팬(136,146)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의 흐름이 더해지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헤드부(130,140)의 전방을 향해 배출되는 바람의 세기가 증가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motors 138 and 148 are coupled to the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134 and 144,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fans are driven by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motors 138 and 148. The first and second heads by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136 and 146 so that the flow of air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ans 136 and 146 is added to the flow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pipe 160 The intensity of the wind discharged toward the front of the parts 130 and 140 may be increased.

다음, 상기 구동부(150)는 회전부(120)를 회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부(110)와 회전부(12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된다.Next, the driving unit 150 serves to drive the rotation unit 120 to rotate, and is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unit 110 and the rotation unit 120.

이때, 상기 구동부(15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52)와, 상기 구동모터(152)의 회전축(152a) 상단에 결합되도록 하여 회전부(120)의 하단에 형성되는 기어홈(122)에 삽입 설치되는 구동기어(15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152)의 구동에 의한 구동기어(154)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120)가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drive unit 15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drive motor 152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110 and the rotation shaft 152a of the drive motor 152, as shown in FIG. ) Comprises a drive gear 154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gear groove 122 formed at the lower end, and the rotating part 120 is left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gear 154 by driving the drive motor 152. , It is configured to be rotated to the right.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존 스탠드형 선풍기의 회전부(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configuration for driving the rotating part 120 of an existing stand-type fan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다음, 상기 공기유입관(160)은 회전부(12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 및 제2헤드부(130,14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공기유입관(160)의 내측에는 흡기팬(170)이 구비되어 있다.Next, the air inlet pipe 16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part 120 and serves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and supply it to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0 and 140, and the air inlet pipe ( An intake fan 170 is provided inside the 160).

즉, 상기 공기유입관(160)은 상단이 개구되어 있는 회전부(120)의 상부에 세로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흡기팬(170)의 구동에 의해 공기유입관(16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회전부(120) 및 제1 및 제2연결관(132,142)을 통해 이동하여 제1 및 제2팬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헤드부(130,140)의 전방을 향해 바람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air inlet pipe 160 is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part 120 with an open top, and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pipe 160 by driving the intake fan 170. The air moves through the rotating part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132 and 142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fans so that wind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0 and 140. It is composed.

이때, 상기 공기유입관(160)은 내측에 흡기팬(170)이 설치되는 제1공기유입관(160a)과, 상기 제1공기유입관(160a)의 하부와 회전부(120)의 상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제2공기유입관(160b)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공기유입관(160a)의 상단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확관부(162a)가 형성되어 흡기팬(170)의 구동으로 인한 공기유입관(160)으로의 공기의 유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air inlet pipe 160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ir inlet pipe 160a in which the intake fan 170 is install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ir inlet pipe 160a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part 120 It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into a second air inlet pipe 160b to be installed, and an expansion portion 162a whos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bottom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air inlet pipe 160a to drive the intake fan 170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inflow of air into the air inlet pipe 160 can be made more easily.

또한, 상기 확관부(162a)는 공기유입관(160)으로 유입된 공기들이 통과하는 단면적이 서서히 줄어들도록 하여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헤드부(130,140)의 전방을 향해 배출되는 바람의 세기가 증가되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xpansion part (162a) is discharged toward the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0, 140) by gradually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pipe (160)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It also plays a role of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wind.

그리고, 상기 확관부(162a)의 상단 내주면에는 단턱부(164a)가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부(164a)에는 필터부재(180)가 안착되어 공기유입관(160)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stepped portion 164a is formed on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anding portion 162a, and a filter member 180 is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164a to provide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pipe 160. It is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이때, 상기 필터부재(18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손잡이(182)가 상향 돌출 형성되어 단턱부(164a)에 안착된 필터부재(180)의 설치 및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andle 182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t one edge of the filter member 180 to facilitate installation and separation of the filter member 180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164a.

다음, 상기 제2공기유입관(160b)은 제1공기유입관(160a)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흡기팬(170)의 구동에 의해 제1공기유입관(160a)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회전부(120)와 제1 및 제2헤드부(130,14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2공기유입관(160b)의 내측 중앙에는 세로 방향으로 격판(162b)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헤드부(130,140) 방향으로 이동할 공기가 제2공기유입관(160b)의 내측에서 분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Next, the second air inlet pipe 160b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ir inlet pipe 160a,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inlet pipe 160a by the driving of the intake fan 170 is rotated (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130, 140, and a partition plate 162b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inner center of the second air inlet pipe 160b, It is configured such that air to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head parts 130 and 140 can be branche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air inlet pipe 160b.

이때, 상기 격판(162b)은 제2공기유입관(160b)의 하부로 돌출되어 회전부(120)의 하단에 이르기까지 연장 형성됨으로써 제2공기유입관(160b)을 통해 회전부(120)로 유입된 공기가 회전부(120) 내부에서 혼합되어 와류가 형성되는 등 제1 및 제2헤드부(130,140) 방향으로의 흐름이 방해받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iaphragm 162b protrud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air inlet pipe 160b and extends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portion 120, thereby flowing into the rotating portion 120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pipe 160b.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0 and 140 is not disturbed, such as air is mixed inside the rotating part 120 to form a vortex.

또한, 상기 격판(162b)의 상단부에는 내측에 냉매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매수용부(164b)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냉매로는 얼음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frigerant receiving portion 164b for accommodating a refrigerant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diaphragm 162b, and ice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refrigerant.

즉, 상기 제2공기유입관(160b)의 상단부에 격판(162b)에 의해 지지되는 냉매수용부(164b)를 형성하고, 상기 냉매수용부(164b)에 얼음 등의 냉매를 수용시켜 제2공기유입관(160b)을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헤드부(130,140)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a refrigerant receiving portion 164b supported by a diaphragm 162b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air inlet pipe 160b, and a refrigerant such as ice is accommodated in the refrigerant receiving portion 164b to provide second air. By allow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let pipe 160b to be cooled, the temperature of the win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130 and 140 can be lowered.

또한, 상기 제2공기유입관(160b)을 통과하는 공기는 냉매수용부(164b)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하강기류를 형성하게 되므로, 제1 및 제2헤드부(130,140)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의 유속 또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pipe 160b is lowered in temperature by the refrigerant receiving unit 164b to form a descending airflow,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0 and 140. The wind velocity can also be increased.

이때, 상기 냉매수용부(164b)의 하부에는 응축수 배출관(19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응축수 배출관(190)은 냉매수용부(164b)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190 may be installed below the refrigerant receiving part 164b, and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190 serves to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refrigerant receiving part 164b to the outside. Is to do.

즉, 상기 냉매수용부(164b)와 제2공기유입관(160b)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 사이의 온도 차이에 의해 냉매수용부(164b)의 외측면에는 응축수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응축수는 공기와 함께 이동하여 제1 및 제2헤드부(130,140)를 통해 바람과 함께 배출되거나, 회전부(120) 또는 제1 및 제2연결관(132,142) 내측의 제1 및 제2모터(138,148) 또는 배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응축수 배출관(19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frigerant receiving unit 164b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refrigerant receiving unit 164b and the air moving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pipe 160b. It moves and is discharged with the win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0 and 140, or affects the first and second motors 138 and 148 or wiring inside the rotating part 120 or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32 and 142 It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19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응축수 배출관(19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단부가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냉매수용부(164b)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응축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단부는 제2공기유입관(160b)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응축수를 양면 선풍기(1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4,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190 has a funnel shape at its upper end to accommodat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efrigerant receiving part 164b, and the lower end is a second It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air inlet pipe 160b and is configured to discharge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double-sided fan 100.

이때, 상기 응축수 배출관(190)의 하단부가 돌출되는 제2공기유입관(160b)의 외측에는 제1응축수 회수통(192)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응축수 배출관(190)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제1응축수 회수통(192)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ndensed water recovery container 19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air inlet pipe 160b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190 to remove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190. It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1 condensed water recovery container 192.

또한, 상기 응축수 배출관(190)의 상단부, 즉 깔대기 형상이 상기 격판(162b)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냉매수용부(164b)는 응축부 배출관(190)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190, that is, the funnel shape is supported by the diaphragm 162b, and the refrigerant receiving part 164b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190 have.

한편, 상기 냉매수용부(164b)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회수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축수를 회수하는 구성이 지지부(110)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응축수 회수통(192)이 고정 설치되는 제2공기유입관(160b)은 양면 선풍기(100)를 구동시키는 경우 회전부(120)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공기유입관(160b)이 회전할 경우 제1응축수 회수통(192)에 수용된 응축수들의 출렁거림에 의해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되거나 제1 및 제2헤드부(130,140)의 회전에 불균형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응축수를 회수하기 위한 구성을 회전하지 않는 지지부(110)에 설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for recovering and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refrigerant receiving unit 164b, as shown in FIG. 5, a configuration for recovering the condensed water may be configured to be located on the support unit 110. , This means that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cond air inlet pipe 160b to which the first condensate collection container 192 is fixedly installed is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gether with the rotating part 120 when driving the double-sided fan 100. When the second air inlet pipe 160b rotates, unnecessary noise may be generated due to the fluctuation of the condensate contained in the first condensate collection container 192, or an imbalance in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0 and 140 Since there is a risk of occurrence, the configuration for recovering condensed water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support 110 that does not rotat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응축수 배출관(190)은 제1 및 제2응축수 배출관(190a,190b)으로 분리 구성되는데, 상기 제1응축수 배출관(190a)은 그 상단부가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냉매수용부(164b)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응축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하부는 제2공기유입관(160b) 및 회전부(12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하단부가 회전부(12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190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s 190a and 190b, and the first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190a has an upper end of a funnel shape, and the refrigerant receiving part 164b )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and the lower part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econd air inlet pipe 160b and the rotating part 120 so that the lower part protrudes to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part 120 do.

다음, 상기 제2응축수 배출관(190b)은 지지부(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응축수 배출관(190a)과 제2응축수 배출관(190b)의 사이에는 응축수 수용홈(112)이 형성된다.Next, the second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190b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part 110, and a condensate receiving groove 11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190a and the second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190b. .

즉, 상기 제1응축수 배출관(190a)이 설치된 회전부(120)와 제2공기유입관(160b)은 구동부(150)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회전하는 구성이고, 제2응축수 배출관(190b)이 설치된 지지부(110)는 회전없이 양면 선풍기(100)를 지지하는 구성이므로, 지지부(110)의 상단 내측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응축수 수용홈(112)을 형성하여 제1응축수 배출관(190a)의 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rotating part 120 and the second air inlet pipe 160b in which the first condensate discharge pipe 190a is installed are configured to rotate left and right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part 150, and the second condensate discharge pipe 190b is Since the installed support unit 11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double-sided fan 100 without rotation, a donut-shaped condensate receiving groove 112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unit 110 to for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densate discharge pipe 190a. It is configured to temporarily accommodate the condensate discharged from the.

이때, 상기 응축수 수용홈(112)의 저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응축수 배출관(190b)은 배출구와 후술할 제2응축수 회수통(194)의 사이에 연결 설치된다.At this time, a discharge por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densate receiving groove 112, and the second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190b is connect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and a second condensed water recovery container 194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응축수 수용홈(112)의 저면은 전체적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배출구가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배출구 및 제2응축수 배출관(190b)을 통한 응축수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bottom of the condensate receiving groove 112 is inclined as a whole so that the outlet is located at the lowest position, so that the condensate can be mor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nd the second condensate discharge pipe 190b.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다음, 상기 제2응축수 배출관(190b)의 하단부에는 제2응축수 회수통(194)이 연결 설치되는데, 상기 제2응축수 회수통(194)은 지지부(1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Next, a second condensed water collecting container 19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190b, and the second condensed water collecting container 194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art 110.

그에 따라, 상기 냉매수용부(164b)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는 제1응축수 배출관(190a)을 통해 회수되어 응축수 수용홈(112) 및 제2응축수 배출관(190b)을 통해 제2응축수 회수통(194)의 내측에 수용됨으로써 양면 선풍기(100)의 구동에 응축수가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refrigerant receiving unit 164b is recovered through the first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190a, and the second condensed water recovery tank (the second condensed water recovery tank through the condensate receiving groove 112 and the second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190b) ( The condensed water is configured so as not to affect the driving of the double-sided fan 100 by being accommodated inside the 194.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선풍기(100)에 의하면, 두 개의 헤드부(130,140)를 구비하여 거의 전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어 바람의 발생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되고, 실내 공기를 유입하여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걸러낼 수 있어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입된 실내공기를 냉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풍기(100)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double-sided fa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generate wind in almost all directions by providing the two head portions 130 and 140, thereby expanding the range of wind generation.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discharging air, it is possible to filter out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so that not only can the indoor air be purified, but also the efficiency of the fan 100 can be improved by allowing the introduced indoor air to be cooled and discharged. It has a variety of advantages, such as enabling it.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부(120)에 연결 설치되는 제1 및 제2헤드부의 제1 및 제2연결관(132,142)이 회전부(120)에 힌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헤드부의 상,하 방향으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132 and 142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120 It i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llowing the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to be adjusted by being hinged to the rotating part 120. It is obvious.

본 발명은 양면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헤드부를 구비하여 거의 전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를 유입하여 냉각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풍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면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sided fan,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rovided with two heads to generate wind in almost all directions, and at the same time, indoor air is introduced and cooled to be discharg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fan. It relates to a double-sided fan that allows you to do it.

100 : (양면) 선풍기 110 : 지지부
112 : 응축수 수용홈 120 : 회전부
122 : 기어홈 130 : 제1헤드부
132 : 제1연결관 134 : 제1회전축
135 : 제1헤드커버 136 : 제1팬
138 : 제1모터 140 : 제2헤드부
142 : 제2연결관 144 : 제2회전축
145 : 제2회전커버 146 : 제2팬
148 : 제2모터 150 : 구동부
152 : 구동모터 152a : 회전축
154 : 구동기어 160 : 공기유입관
160a : 제1공기유입관 160b : 제2공기유입관
162a : 확관부 162b : 격판
164a : 단턱부 164b : 냉매수용부
170 : 흡기팬 180 : 필터부재
182 : 손잡이 190 : 응축수 배출관
190a : 제1응축수 배출관 190b : 제2응축수 배출관
192 : 제1응축수 회수통 194 : 제2응축수 회수통
100: (both sides) fan 110: support
112: condensate receiving groove 120: rotating part
122: gear groove 130: first head portion
132: first connector 134: first rotating shaft
135: first head cover 136: first fan
138: first motor 140: second head portion
142: second connector 144: second rotating shaft
145: second rotating cover 146: second fan
148: second motor 150: driving unit
152: drive motor 152a: rotating shaft
154: drive gear 160: air inlet pipe
160a: first air inlet pipe 160b: second air inlet pipe
162a: expansion part 162b: diaphragm
164a: stepped portion 164b: refrigerant receiving portion
170: intake fan 180: filter member
182: handle 190: condensate discharge pipe
190a: first condensate discharge pipe 190b: second condensate discharge pipe
192: first condensed water recovery container 194: second condensed water recovery container

Claims (7)

지면에 설치되어 선풍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 설치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헤드부,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면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는 내측에 흡기팬이 구비되어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 및 제2헤드부로 공급하는 공기유입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헤드부는 공기유입관에 연결 설치되는 중공 형상의 제1 및 제2연결관과, 상기 제1 및 제2연결관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제1 및 제2회전축과,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의 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공기유입관은 내측에 흡기팬이 설치되는 제1공기유입관과, 상기 제1공기유입관과 회전부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제2공기유입관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2공기유입관의 중앙에는 제1 및 제2헤드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분기시키는 격판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격판의 상단부에는 내측에 냉매가 수용되는 냉매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수용부의 하부에는 냉매수용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응축수 배출관이 제2공기유입관의 외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공기유입관의 외측에는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제1응축수 회수통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선풍기.
A double-sided fan comprising a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ground to support the fan, a rotating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first and second head parts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to generate wind, and a driving part driving the rotating part In,
An intake fan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rotating part, and an air inlet pipe that sucks air from the outside and supplies it to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is connected and installed,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have hollow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connected to the air inlet pipe, first and second rotating shafts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and the Consisting of including first and second fan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
The air inlet pipe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 first air inlet pipe in which an intake fan is installed inside and a second air inlet pip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ir inlet pipe and the rotating part,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air inlet pipe A partition plate for branching the air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refrigerant receiving portion in which refrigerant is accommoda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plate,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frigerant receiving part is formed below the refrigerant receiving part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second air inlet pipe, and discharged through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outside the second air inlet pipe. A double-sided fa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densed water recovery container for receiving the condensed water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관의 상부에는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의 상단 내주면에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의 상부에는 필터부재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선풍기.
The method of claim 1,
A double-sided fan, characterized in that a pipe expansion par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air inlet pipe, a stepped part is formed on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ansion part, and a filter member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pped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의 단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제1 및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선풍기.

The method of claim 1,
A double-sided fa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first and second moto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KR1020180150079A 2018-11-28 2018-11-28 Electric fan having dual heads KR1021583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79A KR102158331B1 (en) 2018-11-28 2018-11-28 Electric fan having dual hea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79A KR102158331B1 (en) 2018-11-28 2018-11-28 Electric fan having dual hea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276A KR20200064276A (en) 2020-06-08
KR102158331B1 true KR102158331B1 (en) 2020-09-22

Family

ID=7108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079A KR102158331B1 (en) 2018-11-28 2018-11-28 Electric fan having dual hea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3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31537B (en) * 2023-11-13 2024-01-09 烟台东方能源科技有限公司 Bidirectional axial flow ventilation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93Y1 (en) * 2012-04-30 2013-02-15 김유목 Cooling Fa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703U (en) * 1998-05-25 1999-12-27 최찬두 Omnidirectional fan
KR100534059B1 (en) * 2003-07-28 2005-12-07 주식회사 엘지에스 Air cooler
KR101506144B1 (en) 2013-12-04 2015-03-26 (주)케이에스에스산업 Duplex with excellent power transmission and rotary fa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93Y1 (en) * 2012-04-30 2013-02-15 김유목 Cooling Fa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276A (en)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07771A (en) Air-conditioning
US5542263A (en) Window mounted air conditioner
CN1515839A (en) Air conditioner
CN105987022A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2158331B1 (en) Electric fan having dual heads
CN108413497A (en) Cabinet type air conditioner indoor set
CN106181899A (en) There is the electric tool of rotoclone collector, especially power saws
CN205725332U (en) Motor bearings cooling structure and motor
CN209706223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US10914310B2 (en) Blowing device
CN108678976A (en) A kind of small-sized dry and wet two-purpose dust collector electric fan
CN208442047U (en) A kind of small-sized dry and wet two-purpose dust collector electric fan
CN214540619U (en) Heat dissipation box of computer hardware
CN201074601Y (en) Jet flow type blower structure entering wind from reverse
CN209294093U (en) Multipurpose tower fan
CN206423132U (en) Grass-mowing machine
CN219353328U (en) Multifunctional tea table
CN108679707A (en)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20035974A (en) A indoor-unit for air conditioner
CN213783072U (en) Driving motor of sanitation vehicle
KR20230158962A (en) Air conditioner
KR100697593B1 (en) A motor mount's structure for the air-conditioner
CN212457146U (en) Vertical air conditioner
CN220850085U (en) Fan with fan body
CN212376940U (en) Fa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