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852B1 - 설치 작업성을 개선시킨 스위치 단자 - Google Patents

설치 작업성을 개선시킨 스위치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852B1
KR102157852B1 KR1020200097797A KR20200097797A KR102157852B1 KR 102157852 B1 KR102157852 B1 KR 102157852B1 KR 1020200097797 A KR1020200097797 A KR 1020200097797A KR 20200097797 A KR20200097797 A KR 20200097797A KR 102157852 B1 KR102157852 B1 KR 102157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witch
contact
insertion spa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성
Original Assignee
(주)위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너스 filed Critical (주)위너스
Priority to KR1020200097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스위치 단자간의 점프선 연결 작업을 개선시키고 시공 편의성을 강화시킨 구조를 제안한 스위치 단자에 관한 것으로,
지지고정단자는 단자하우징본체 후면에서 삽입되는 전선과의 전기 접촉을 위한 판상의 접촉편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편에는 2개소가 절개되어 절개부와 절개부 사이가 일측으로 돌출되면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단자하우징본체의 측면은 상기 삽입공간이 측면에서 노출되도록 삽입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 단자와 이웃하게 배열되는 동일한 구조의 다른 스위치 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스위치 단자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치 작업성을 개선시킨 스위치 단자{SWITCH}
본 발명은 2구 이상 스위치에 구비되는 스위치 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스위치 단자간의 점프선 연결 작업을 개선시키고 시공 편의성을 강화시킨 구조를 제안한 스위치 단자에 관한 것이다.
보통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기기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는 벽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텀블러 스위치(Tumbler Switch)가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텀블러 스위치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조명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시킴으로써, 조명기기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벽에 설치되는 스위치는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이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브라켓, 이 브라켓의 전면을 마감하는 스위치커버, 그리고 상기 브라켓을 이용하여 조립되는 스위치 어셈블리와 이 스위치 어셈블리와 조립되는 노브 어셈블리가 결합된 스위치 단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노브 어셈블리는 스위치 어셈블리 측에 피봇 구조로 조립되어 전원 ON/OFF 단속 기능을 수행하는 노브 몸체와, 해당 노브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ON/OFF 식별 기능을 수행하는 노브 커버 등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스위치 어셈블리는 노브 몸체의 피봇 운동에 따라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의 접점돌기와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상호 접속 또는 단락되면서 이와 연결된 조명기기 등을 점등 내지 소등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하나의 기기만을 스위칭 온/오프시키기 위한 1구 스위치를 비롯하여 스위칭 온/오프가 제어되는 기기의 개수에 따라 스위치 단자 2개가 장착되는 2구 스위치, 스위치 단자 3개가 장착되는 3구 스위치, 스위치 단자가 4개가 장착되는 4구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스위치를 설치함에 있어 결선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 단자 후면에는 공통선과 기구연결선이 연결되는데, 공통선은 전기가 공급되어 스위치 단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고, 기구연결선은 스위칭 온되었을 때 해당 스위치 단자와 연결된 기기에 전력 공급을 위한 전선이다.
보통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로 이루어진 2구 스위치의 경우, 제1 스위치 단자에 공통선을 연결하고 제1 및 2 스위치 단자 각각에 기구 연결선을 연결하면서, 제1 스위치 단자와 제2 스위치 단자는 점프선으로 연결하게 된다. 점프선은 공통선에 연결된 제1 스위치 단자에서 흐르는 전류을 제2 스위치 단자로 나누어주는 전선으로 2구 이상 스위치 단자에 있어서는 반드시 점프선 연결을 해주어야 한다.
이에 작업자들은 스위치 설치시 벽면으로부터 나와 있는 공통선과 각각의 기구연결선을 스위치 단자에 연결함과 동시에 각각의 스위치 단자를 점프선으로 연결해야하는 작업을 한 번 더 해야하기에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그리고 벽면의 내부 공간이 충분치 않은 경우 외부로 노출된 점프선의 연결 상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2구 이상 스위치에 있어 기존의 점프선 결선 방법 내지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구 이상 스위치 설치에 있어 스위치 단자 외부에서 각 스위치 단자를 결선할 필요가 없는 구조를 제안하여 점프선 결선시의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스위치 단자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단자는,
기존 스위치 단자에서와 같이 일측에 구비되는 접점고정단자, 타측에 구비되는 지지고정단자, 그리고 상기 지지고정단자와 접촉된 상태에서 접점고정단자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가동단자를 포함하는 단자하우징본체와,
접점고정단자에 대한 가동단자의 접촉여부를 제어하는 노브가 장착되고 상기 단자하우징본체와 결합하는 단자하우징덮개로 이루어지되,
본 발명에 따른 지지고정단자는 단자하우징본체 후면에서 삽입되는 전선과의 전기 접촉을 위한 판상의 접촉편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접촉편에는 2개소가 절개되어 절개부와 절개부 사이가 일측으로 돌출되면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단자하우징본체의 측면은 상기 삽입공간이 측면에서 노출되도록 삽입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 단자와 이웃하게 배열되는 동일한 구조의 다른 스위치 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스위치 단자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접촉편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노출부는 단자하우징본체의 측면 상단에서 하부로 요입되면서 형성된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단자는 일측 스위치 단자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편과, 타측 스위치 단자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삽입편과, 그리고 상기 제1 삽입편과 제2 삽입편을 연결하면서 제1 및 제2 삽입편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스위치 단자를 브라켓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간단한 조립식 끼움 작업으로 스위치 단자들끼리를 연결할 수 있어 스위치 결선 작업시 작업자가 별도의 점프선을 연결할 필요가 없게 되었는바,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비해 작업성 및 시공성이 우수해졌다.
또한 스위치 외부로 점프선이 노출되지 않아 벽면 내부 공간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으며 스위치 간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구조적 변경으로 전력 공급을 위한 스위치 단자 간 결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는바, 스위치 생산성 또한 기존 스위치에 비해 떨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단자와 단자의 전력 공급을 위한 결선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단자하우징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단자의 구체적인 구조 도시를 위한 도면.
도 3은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단자의 결선 상태 도시를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단자의 결선 상태 도시를 위한 도면.
도 5는 2구 스위치에 있어 기존 점프선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단자(S)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단자(S1)는 이웃 배열하는 스위치 단자(S2)와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조를 제외하고 다른 구성들은 기존 스위치 단자 구조가 대부분 채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단자 역시 접점고정단자(11), 지지고정단자(12), 그리고 가동단자(13) 등이 구비되는 단자하우징본체(10)와, 단자하우징본체와 결합되는 것으로 노브(21)가 장착되는 단자하우징덮개(20)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단자하우징본체(10)에는 일측으로 접점고정단자(11)가 내설되고, 타측으로 지지고정단자(12)가 내설되며,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하여 접점고정단자(11)와 접촉되어 스위칭 온(ON)하거나 접점고정단자(11)와 접촉 해제되어 스위칭 오프(OFF)되는 가동단자(13)가 지지고정단자 일단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하우징덮개(20)에는 가동단자의 회동 여부를 제어하는 노브(21)가 피봇 구조로 조립 장착된다.
예를 들어 2구 스위치의 경우, 단자하우징본체(10)에 단자하우징덮개(20)가 결합된 스위치 단자(S) 2개를 브라켓(B)에 장착시키고 이를 벽면에 설치하게 되는데, 벽면에서 나와있는 하나의 공통선(L1)을 상부에 위치된 스위치 단자 후면에서 내측으로 삽입하여 지지고정단자와 전기적 연결시키고, 벽면에서 나와있는 두 개의 기구연결선(L2)을 각각의 스위치 단자 후면에서 내측으로 삽입하여 접점고정단자와 전기적 연결시킨다(도 3 및 4 참조).
그리고 기존에는 상부에서 공급받은 전류를 하부에 위치된 스위치 단자로 나누어주기 위해 점프선(L3)을 연결해야하는데, 점프선 일단을 상부 스위치 단자 후면에서 내측으로 삽입하여 지지고정단자와 전기적 연결을 시키고, 점프선 타단을 하부 스위치 단자 후면에서 내측으로 삽입하여 지지고정단자와 전기적 연결을 시켰다(도 5 참조).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기존의 점프선 연결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임을 전술한 바 있고, 이하에서와 같이 지지고정단자 구조 및 단자하우징본체 구조를 간단히 설계 변경함으로서 점프선 연결에 따른 작업성을 개선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공급을 위한 공통선이 단자하우징본체 내부로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지지고정단자의 접촉편(121)을 판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접촉편(121)에는 2개소가 절개된 한 쌍의 절개부(127)를 형성시킨 후 한 쌍의 절개부 사이의 면을 일측으로 돌출시키면서 삽입공간(125)이 만들어지는 돌출부(123)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123)는 절개부(127)와 절개부(127) 사이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가압하여 형성된 것으로 이로 인해 후술되는 연결단자(30)가 삽입되어 접촉편(121)과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삽입공간(125)이 형성된다.
기존 점프선의 기능을 본 발명에서는 연결단자(30)가 하게 되는데, 즉 위와 같이 형성된 동일한 구조의 스위치 단자(S1)와 단자(S2)를 각 단자에 형성된 삽입공간(125)으로 연결단자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삽입시켜 일측으로 공급된 전력이 다른 스위치 단자에게로 나누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단자(30)는 일측 스위치 단자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편(31)과, 타측 스위치 단자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삽입편(32)과, 그리고 제1 삽입편과 제2 삽입편을 연결하는 연결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삽입편(31)과 제2 삽입편(32)의 폭은 삽입공간의 너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삽입공간으로 빡빡하게 삽입되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정도의 크기로 폭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부(33)는 제1 및 제2 삽입편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삽입편이 삽입공간으로 일정 길이만큼 삽입된 후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자하우징본체(10)의 측면은 지지고정단자에 형성된 삽입공간(125)이 측면에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부(1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의 생산성을 위해서는 상기 노출부(15)는 단자하우징본체의 측면 상단에서 하부로 요입되면서 형성된 노출 공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단자하우징본체에 단자하우징덮개가 결합되는데, 단자하우징덮개에 있어서도 상기 삽입공간의 노출을 막지 않는 구조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구조는 삽입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을 형성하거나 하는 등의 방법으로 기존의 단자하우징덮개에서 쉽게 설계 변경하여 완성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3구 스위치 내지 4구 이상 스위치에 구비되는 스위치 단자로서도 기능을 하여야 하기에, 상기 접촉편에 형성된 돌출부(123)는 두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 단자를 사용하면 도 3에서와 같은 결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기존 점프선 역할을 스위치 내부에 장착된 연결선(30)이 대체하게 되어 기존 점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더욱이 각각의 스위치 단자를 브라켓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일측 스위치 단자에 기 장착되어 있는 연결선으로 이웃하는 스위치 단자를 끼우면 되기에, 이후 스우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별도의 점프선 연결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참고로 도 4는 연결단자(30)의 형태를 변경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연결단자에 비해 보다 긴 길이의 연결부(33)를 가진다.
이에 스위치 단자(S1, S2)끼리의 연결시 단자 간 거리가 생기는 것으로, 2구 스위치 크기 등의 작업 환경에 따라 단자 간 거리를 두어야 할 때 적용되는 연결단자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연결단자의 연결부(33)가 외부로 노출되기에 그 외주면을 사출물 등으로 인서트 마감하여 노출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 스위치 단자
10: 단자하우징본체 11: 접점고정단자
12: 지지고정단자 121: 접촉편
123: 돌출부 125: 삽입공간
127: 절개부
13: 가동단자 15: 노출부
20: 단자하우징덮개 21: 노브
30: 연결단자 31; 제1 삽입편
32: 제2 삽입편 33: 연결부
B: 브라켓 L1: 공통선
L2: 기구연결선 L3: 점프선

Claims (4)

  1. 일측에 구비되는 접점고정단자, 타측에 구비되는 지지고정단자, 그리고 상기 지지고정단자와 접촉된 상태에서 접점고정단자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가동단자를 포함하는 단자하우징본체와,
    접점고정단자에 대한 가동단자의 접촉여부를 제어하는 노브가 장착되고 상기 단자하우징본체와 결합하는 단자하우징덮개로 이루어진 스위치 단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정단자는 단자하우징본체 후면에서 삽입되는 전선과의 전기 접촉을 위한 판상의 접촉편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접촉편에는 2개소가 절개되어 절개부와 절개부 사이가 일측으로 돌출되면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단자하우징본체의 측면은 상기 삽입공간이 측면에서 노출되도록 삽입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 단자와 이웃하게 배열되는 동일한 구조의 다른 스위치 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스위치 단자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개선된 스위치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개선된 스위치 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는 단자하우징본체의 측면 상단에서 하부로 요입되면서 형성된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개선된 스위치 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일측 스위치 단자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편과, 타측 스위치 단자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삽입편과, 그리고 상기 제1 삽입편과 제2 삽입편을 연결하면서 제1 및 제2 삽입편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개선된 스위치 단자.
KR1020200097797A 2020-08-05 2020-08-05 설치 작업성을 개선시킨 스위치 단자 KR102157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797A KR102157852B1 (ko) 2020-08-05 2020-08-05 설치 작업성을 개선시킨 스위치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797A KR102157852B1 (ko) 2020-08-05 2020-08-05 설치 작업성을 개선시킨 스위치 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852B1 true KR102157852B1 (ko) 2020-09-18

Family

ID=7267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797A KR102157852B1 (ko) 2020-08-05 2020-08-05 설치 작업성을 개선시킨 스위치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8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915U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위너스 벽 스위치의 노브
JP2012221949A (ja) * 2011-04-06 2012-11-12 Powertech Industrial Co Ltd スイッチ付きコンセント及びテーブルタップ
KR101215637B1 (ko) * 2011-09-05 2012-12-26 주식회사 위너스 매립형 콘센트의 증설 터미널
KR101810213B1 (ko) * 2017-08-21 2017-12-1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915U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위너스 벽 스위치의 노브
JP2012221949A (ja) * 2011-04-06 2012-11-12 Powertech Industrial Co Ltd スイッチ付きコンセント及びテーブルタップ
KR101215637B1 (ko) * 2011-09-05 2012-12-26 주식회사 위너스 매립형 콘센트의 증설 터미널
KR101810213B1 (ko) * 2017-08-21 2017-12-1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6820B2 (en) Multi-functional, flush-fitting electrical mechanism
KR100333935B1 (ko) 전자접촉기
US8946576B2 (en) Quiet electromechanical switch device
US6623296B2 (en) Plug socket
US8809712B2 (en) Switch case with partitioned passages
RU2010130305A (ru) Блок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ключателей, комплект деталей, включаю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многополюс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US8044312B2 (en) Electrical service device with depressions for increasing air gaps and leakage paths
US10446337B2 (en) Modularized structure of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US8766761B2 (en) Rocker switch unit with fuse
KR102157852B1 (ko) 설치 작업성을 개선시킨 스위치 단자
KR920009352B1 (ko) 전자접촉기를 제어하는 장치
US5559489A (en) Fuse holder for an electric switch
US20080180932A1 (en) Device For Housing and Connection of Accessories For Switches
US5581137A (en) Motor multiple switches and circuitry
KR101810213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JP4693165B2 (ja) 回路遮断器
US11088474B2 (en) Modularized structure of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KR200385622Y1 (ko) 착탈식 스위치
JP6704173B2 (ja) 開閉器及び分電盤
US10504671B2 (en) Rotary actuator comprising a homogeneously illuminated display area
KR102607868B1 (ko) 릴레이 설치 구조
CN212485708U (zh) 一种开关控制插座
CN219917791U (zh) 能够连接rj45插头的电动操作机构
GB2266811A (en) Switched socket outlet.
KR200183099Y1 (ko) 전기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