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618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different duplex scheme is applied to different serving cel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different duplex scheme is applied to different serving c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618B1
KR102157618B1 KR1020130125257A KR20130125257A KR102157618B1 KR 102157618 B1 KR102157618 B1 KR 102157618B1 KR 1020130125257 A KR1020130125257 A KR 1020130125257A KR 20130125257 A KR20130125257 A KR 20130125257A KR 102157618 B1 KR102157618 B1 KR 102157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ng cell
subframe
terminal
uplink
du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2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5684A (en
Inventor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130125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618B1/en
Priority to PCT/KR2014/009892 priority patent/WO2015060620A1/en
Publication of KR20150045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6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5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hybrid frequency-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빙셀별로 듀플렉스 방식을 달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듀플렉스 방식(duplex scheme)이 적용되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을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에 의해 단말에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서빙셀과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전송 링크(transmission link)의 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상충 서브프레임(collision subframe)들을 통해 하향링크 수신 및 상향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에 의한 통신의 수행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duplex method is different for each serving cell.
This specification is a step of configuring a primary serving cell (PCell) and a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to which different duplex schemes are applied to a terminal by carrier aggregation. And,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performing at least one of downlink reception and uplink transmission through two conflicting subframes having different directions of a transmission link. It provides a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by a terminal including.

Description

서빙셀별로 듀플렉스 방식을 달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DIFFERENT DUPLEX SCHEME IS APPLIED TO DIFFERENT SERVING CELL}A devic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uses a different duplex method for each serving cell and its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DIFFERENT DUPLEX SCHEME IS APPLIED TO DIFFERENT SERVING CELL}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빙셀별로 듀플렉스 방식을 달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duplex method is different for each serving cell.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무선자원(radio resource)은 일반적으로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 시간 영역 및 코드영역에서 정의된다. 무선통신에서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base station: BS)이 각각 주어진 무선자원을 이용하여야 한다.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무선경로를 상향링크(uplink)라 하며,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경로를 하향링크(downlink)라 한다. 한편,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자원과,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자원이 겹치지 않도록 구분하는 방식이 필요한데, 이러한 방식을 듀플렉스(duplex)라고 한다. Radio resources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re generally defined in a frequency domain, a time domain, and a code domain. In wireless communication, a user equipment (UE) and a base station (BS) must each use a given radio resource. The radio path transmitted by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is referred to as uplink, and the radio path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is referred to as downlink. Meanwhil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classifying radio resources used for downlink transmission and radio resources used for uplink transmission so that they do not overlap, and such a method is called a duplex.

서로 다른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다중접속기술(multiple access scheme)에서와 마찬가지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구분은 주파수 및 시간 영역에서 가능하다. 듀플렉스 방식은 하나의 시간 단위 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동시에 할 수 없는 방식인 하프-듀플렉스(half-duplex) 방식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방식인 풀-듀플렉스(full-duplex) 방식이 있다. 하프-듀플렉스 방식에서는, 단말(또는 기지국)이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을 때에는 송신이 불가능하고, 단말(또는 기지국)이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을 때에는 수신이 불가능하다. 즉, 하나의 시간 단위 내에서 단-방향(uni-directional) 통신만을 제공한다. As in the multiple access scheme for classifying different users, uplink and downlink can be distinguished in frequency and time domains. The duplex method consists of a half-duplex method, a method that cannot transmit and receive data simultaneously within one unit of time, and a full-duplex method, which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at the same time. have. In the half-duplex method, transmission is impossible when the terminal (or base station) is receiving data, and reception is impossible when the terminal (or base station) is transmitting data. In other words, it provides only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in one unit of time.

풀-듀플렉스 방식에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주파수로 구분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있고, 하프-듀플렉스 방식에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시간으로 구분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하프-듀플렉스 방식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주파수 및 시간 모두로 구분하는 FDD 하프-듀플렉스 방식이 있다. In the full-duplex method, there is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method that divides uplink and downlink by frequency, and in the half-duplex method, a time division duplex (TDD) half-duplex method that divides uplink and downlink by time. And, there is an FDD half-duplex scheme that divides uplink and downlink into both frequency and time.

FDD 방식에서는 주파수 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구분되므로, 기지국과 단말간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각 링크에서 시간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DD 방식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주파수를 대칭적으로 할당하고 있어, 음성통화와 같은 대칭형 서비스(symmetric service)에 적절하여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들어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비대칭형 서비스(asymmetric service)에는 TDD 방식이 적합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n the FDD scheme, since uplink and downlink are classified in the frequency domai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in the time domain in each link. Since the FDD scheme is symmetrically allocating frequencies to uplink and downlink, it is widely used because it is appropriate for symmetric services such as voice calls, but recently, TDD is used for asymmetric services such as Internet services. Since the method is suitable, research on this is actively being conducted.

TDD 방식은 상향링크, 하향링크에 서로 다른 비율의 시간 슬롯을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비대칭형 서비스에 적합하다는 이점이 있다. TDD 방식의 또 다른 장점으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송수신되므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채널 상태가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신호를 수신하면 바로 채널상태를 추정할 수 있어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기술등에 적합하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로 사용하되, 시간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분하고 있으므로, 일정 시간 동안은 상향링크로 사용하고, 또 다른 일정 시간 동안은 하향링크로 사용하므로 기지국과 단말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다.Since the TDD scheme can allocate time slots of different ratios to the uplink and downlink,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suitable for an asymmetric service. Another advantage of the TDD scheme is that uplink and downlink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same frequency band, so that the uplink and downlink channel states are almost identical. Therefore, when a signal is received, the channel state can be estimated immediately, which is suitable for array antenna technology. The TDD method uses the entire frequency band as uplink or downlink, but separates uplink and downlink in a time domain, so that it is used as an uplink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 downlink for another certain tim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not be performed simultaneously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한편, 주파수 자원은 현재를 기준으로 포화 상태이며 다양한 기술들이 광범위한 주파수 대역의 부분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율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광대역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재해 있는 대역들 각각이 독립적인 시스템을 동작할 수 있는 기본적인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설계하고, 다수의 대역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는 개념인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도입하고 있다. 이 때 각각의 독립적인 운용이 가능한 대역 또는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라고 정의한다. 반송파 집성 시스템의 등장으로, 다수의 요소 반송파(CC)들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가 전송되어야 한다.Meanwhile, frequency resources are saturated as of the present, and various technologies are used in a wide range of frequency bands. For this reason, as a method to secure a broadband bandwidth to meet the higher data rate requirements, each of the scattered bands is designed to satisfy the basic requirements for operating an independent system, and a number of bands are integrated into one system. Carrier aggregation (CA), which is a concept that is grouped together, is introduced. In this case, each independently operable band or carrier is defined as a component carrier (CC). With the advent of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 ACK/NACK signal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Cs must be transmitted.

최근에는 FDD 대역의 반송파(이하 FDD 반송파)와 TDD 대역의 반송파(이하 TDD 반송파)를 집성하는 TDD-FDD 반송파 집성이 고려되고 있다. TDD-FDD 반송파 집성은 TDD-FDD 결합 기법이라고 불릴 수도 있다. 단말의 능력(capability)에 따라서 TDD-FDD 반송파 집성이 지원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TDD-FDD 반송파 집성을 구현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밴드 및 반송파 상(e.g. TDD 및 FDD 반송파)에서 동일한 서브프레임이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 타입(e.g. 노멀(normal) 또는 특별(special)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경우, 단말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아직까지 정하여진 바가 없다. Recently, TDD-FDD carrier aggregation, which aggregates a carrier in an FDD b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FDD carrier) and a carrier in a TDD b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DD carrier), has been considered. TDD-FDD carrier aggregation may be referred to as a TDD-FDD combining scheme. TDD-FDD carrier aggregation may or may not be supported according to the capability of the UE. However, in implement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the same subframe in different bands and carriers (eg TDD and FDD carriers) is in different subframe types (eg normal or special subframe). When configured, the terminal has not yet been determined as to what operation to perform.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서빙셀별로 듀플렉스 방식을 달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duplex method is different for each serving cell.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TDD-FDD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단말이 그 능력에 따라, 서빙셀마다 달리 적용되는 듀플렉스 방식에 따라,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동작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 terminal support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to operate in conflicting subframes according to a duplex scheme applied differently for each serving cell according to its capab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TDD-FDD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단말 및 기지국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support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단말에 의한 통신의 수행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서로 다른 듀플렉스 방식(duplex scheme)이 적용되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을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에 의해 단말에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서빙셀과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전송 링크(transmission link)의 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상충 서브프레임(collision subframe)들을 통해 하향링크 수신 및 상향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by a terminal is provided. The method includes configuring a primary serving cell (PCell) and a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to which different duplex schemes are applied to a terminal by carrier aggregation, And performing at least one of downlink reception and up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through two conflicting subframes having different directions of a transmission link. do.

여기서, 상기 단말의 성능(capability)이 풀-듀플렉스(full-duplex), 상기 주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하프-듀플렉스(half-duplex),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유무를 기반으로 하는 하프-듀플렉스 중에서 어느 것을 지원하는지와, 상기 서로 다른 듀플렉스 방식에 따라, 상기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capability of the terminal is full-duplex, a half-duplex based on a subframe of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plink transmission. The downlink reception and the uplink transmission may be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performed according to which half-duplex is supported and the different duplex schemes.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서로 다른 듀플렉스 방식(duplex scheme)이 적용되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을 반송파집성(carrier aggregation)에 의해 단말에 구성하는 단말 프로세서, 상기 주서빙셀과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전송 링크(transmission link)의 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상충 서브프레임(collision subframe)들을 통해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하는 수신부, 및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들을 통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s provided. The terminal is a terminal processor that configures a primary serving cell (PCell) and a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to which different duplex schemes are applied to the terminal by carrier aggregation ,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a receiver for performing downlink reception through two conflicting subframes having different directions of a transmission link, and uplink through the conflicting subframes It includes a transmission unit that performs link transmission.

상기 단말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성능(capability)이 풀-듀플렉스(full-duplex), 상기 주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하프-듀플렉스(half-duplex),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 유무를 기반으로 하는 하프-듀플렉스 중에서 어느 것을 지원하는지와 상기 서로 다른 듀플렉스 방식에 따라, 상기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되도록 상기 수신부와 상기 전송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UE processor has the capability of the UE based on full-duplex, a half-duplex based on a subframe of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plink transmission. The receiving unit and the transmitting unit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downlink reception and the uplink transmission are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performed according to which half-duplex is supported and the different duplex schemes.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듀플렉스 방식을 사용하는 반송파간의 반송파 집성의 상황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동안 서로 다른 반송파 상에서의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 타입과 단말의 능력에 따라서 TDD-FDD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동작이 정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ext of carrier aggregation between carriers using different duplex schemes, for support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according to different subframe types on different carriers and capabilities of a terminal during one subframe. New behavior can be defin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프레임 구조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FDD, TDD 및 FDD 하프-듀플렉스 방식을 비교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밴드간 반송파집성시서빙셀들간에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의 차이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D-FDD 결합 동작(joint operation) 기법이 적용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D-FDD 결합 동작을 위한 단말 성능들의 예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D-FDD 반송파 집성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주서빙셀이 특별 서브프레임인 경우에 있어서, 풀-듀플렉스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TDD-FDD 반송파 집성에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라 TDD-FDD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풀-듀플렉스 단말에 대해 특별 서브프레임이 어떻게 스패닝되는지를 보여준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TDD-FDD 반송파 집성에서 특별 서브프레임을 새로운 포맷의 서브프레임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라 TDD-FDD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풀-듀플렉스 단말에 대해 특별 서브프레임이 어떻게 스패닝되는지를 보여준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D-FDD 반송파 집성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주서빙셀이 특별 서브프레임인 경우는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D-FDD 반송파 집성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D-FDD 반송파 집성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간의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간의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show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shows an example of a protocol structure for supporting a multi-carri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n example of a radio fram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n exemplary diagram comparing FDD, TDD and FDD half-duplex schem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differences in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s between serving cells during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DD-FDD joint operation techniqu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pplied.
7 is an example of terminal capabilities for a TDD-FDD combination oper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8 shows an example of a subfram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DD-FDD carrier aggreg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9 shows a method of operating a full-duplex terminal when the primary serving cell is a special subfram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panning a special subframe into a downlink subframe or an uplink subframe in TDD-FDD carrier aggreg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how a special subframe is spanned for a full-duplex terminal support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verting a special subframe into a subframe of a new format in TDD-FDD carrier aggregation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3 shows how a special subframe is spanned for a full-duplex terminal support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14 shows another example of a subfram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DD-FDD carrier aggreg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5 illustrates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when the primary serving cell is a special subframe.
16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subfram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DD-FDD carrier aggreg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7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subfram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DD-FDD carrier aggreg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8 is a signaling flowchart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signaling flowchart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is specification describe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work perform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network and transmitting data in a system (for example, a base station) that govern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work can be done at a terminal coupled to the net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 채널을 전송한다는 의미는 특정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채널은 일례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혹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ing of transmitting the control channel may be interpreted as the meaning of transmi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 specific channel. Here, the control channel may be, for example,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or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1 show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셀(cell)(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is widely deployed to provide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oice and packet data.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includes at least one base station (BS). Each base station 11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for a specific cell (15a, 15b, 15c). Cell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multiple areas (referred to as sectors).

단말(12; mobile station, MS)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femto) 기지국, 가내 기지국(Home node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The terminal 12 (mobile station, MS)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be a user equipment (UE), a mobile terminal (MT), a user terminal (UT), a subscriber station (SS), a wireless device, and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reless modem (wireless modem), handheld device (handheld device) can be referred to as other terms. The base station 11 may be referred to as an evolved-NodeB (eN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a femto base station, a home nodeB, a relay, and the like. . Cell is meant to encompass all of the various coverage areas such as megacell, macrocell, microcell, picocell, femtocell.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downlink refers to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11 to the terminal 12, and uplink refers to communication from the terminal 12 to the base station 11. In downlink, the transmitter may be a part of the base station 11 and the receiver may be a part of the terminal 12. In the uplink, the transmitter may be a part of the terminal 12 and the receiver may be a part of the base station 11.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multiple access techniques applied t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 OFDM-CDMA, such as various multiple access techniques can be used. For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a Time Division Duplex (TDD) scheme transmitted using different times may be used, or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scheme transmitted using different frequencies may be used.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은 복수의 반송파를 지원하는 것으로서, 스펙트럼 집성 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한다. 반송파 집성에 의해 묶이는 개별적인 단위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라고 한다. 각 요소 반송파는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로 정의된다. 반송파 집성은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radio frequency)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 단위의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로서 5개의 요소 반송파가 할당된다면, 최대 100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Carrier aggregation (CA) supports a plurality of carriers and is also referred to as spectrum aggregation or bandwidth aggregation. Individual unit carriers bound by carrier aggregation are called component carriers (CC). Each component carrier is defined by a bandwidth and a center frequency. Carrier aggregation is introduced to support increased throughput, prevent an increase in cost due to the introduction of a wideband radio frequency (RF) device, and ensure compatibility with existing systems. For example, if 5 component carriers are allocated as granularity of a carrier unit having a bandwidth of 20 MHz, a maximum bandwidth of 100 MHz can be supported.

반송파 집성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과 불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으로 나눌 수 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반송파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Carrier aggregation can be divided into contiguous carrier aggregation between consecutive component 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and non-contiguous carrier aggregation between discontinuous component carriers. The number of carriers aggregated between downlink and uplink may be set differently. A case where the number of downlink component carriers and the number of uplink component carriers are the same is referred to as symmetric aggregation, and a case where the number of downlink component carriers is different is referred to as asymmetric aggregation.

요소 반송파들의 크기(즉 대역폭)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70MHz 대역의 구성을 위해 5개의 요소 반송파들이 사용된다고 할 때,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0)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1)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2)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3) +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4)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mponent carriers may have different sizes (ie, bandwidths). For example, when 5 component carriers are used to configure the 70MHz band, a 5MHz component carrier (carrier #0) + a 20MHz component carrier (carrier #1) + a 20MHz component carrier (carrier #2) + a 20MHz component carrier It may be configured as (carrier #3) + 5MHz component carrier (carrier #4).

이하에서, 다중 반송파(multiple carrier) 시스템이라 함은 반송파 집성(CA) 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인접 반송파 집성 및/또는 비인접 반송파 집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칭적 집성 또는 비대칭적 집성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서빙셀(serving cell)은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에 기반하여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에 의해 집성될 수 있는 요소 주파수 대역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서빙셀에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이 있다. 주서빙셀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establishment) 또는 재연결(re-establishment) 상태에서, 보안입력(security input)과 NAS(Non-Access Stratum) 이동 정보(mobility information)을 제공하는 하나의 서빙셀을 의미한다. 단말의 성능(capabilities)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셀이 주서빙셀과 함께 서빙셀의 집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이라 한다. 하나의 단말에 대해 설정된 서빙셀의 집합은 하나의 주서빙셀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로 구성될 수 있다. Hereinafter, a multiple carrier system includes a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CA). In a multi-carrier system, adjacent carrier aggregation and/or non-adjacent carrier aggregation may be used, and either symmetric aggregation or asymmetric aggregation may be used. The serving cell may be defined as a component frequency band that can be aggregated by carrier aggregation based on a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The serving cell includes a primary serving cell (PCell) and a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The primary serving cell is one that provides security input and non-access stratum (NAS) mobility information in the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or re-establishment state. It means serving cell. Depending on the capabilities of the terminal, at least one cell may be configured to form a set of serving cells together with a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at least one cell is referred to as a secondary serving cell. The set of serving cells configured for one terminal may consist of only one primary serving cell, or may consist of one primary serving cell and at least one secondary serving cell.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주요소 반송파(DL PCC)라 하고,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주요소 반송파(UL PCC)라 한다. 또한, 하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부요소 반송파(DL SCC)라 하고, 상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부요소 반송파(UL SCC)라 한다. 하나의 서빙셀에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만이 대응할 수도 있고, DL CC와 UL CC가 함께 대응할 수도 있다.The downlink component carrier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serving cell is referred to as a downlink primary component carrier (DL PCC), and the uplink component carrier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serving cell is called an uplink primary component carrier (UL PCC). In addition, in downlink, a component carrier corresponding to a secondary serving cell is referred to as a downlink sub-component carrier (DL SCC), and in uplink, a component carrier corresponding to a secondary serving cell is referred to as an uplink sub-component carrier (UL SCC). do. Only a downlink component carrier may correspond to one serving cell, or DL CC and UL CC may correspond together.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2 shows an example of a protocol structure for supporting a multi-carri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를 참조하면, 공용 MAC(Medium Access Control) 개체(210)는 복수의 반송파를 이용하는 물리(physical) 계층(220)을 관리한다. 특정 반송파로 전송되는 MAC 관리 메시지는 다른 반송파에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MAC 관리 메시지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포함하여 다른 반송파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메시지이다. 물리계층(220)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및/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로 동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common medium access control (MAC) entity 210 manages a physical layer 220 using a plurality of carriers. The MAC management message transmitted on a specific carrier may be applied to other carriers. That is, the MAC management message is a message capable of controlling other carriers including the specific carrier. The physical layer 220 may operate in time division duplex (TDD) and/or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물리계층(220)에서 사용되는 몇몇 물리 제어채널들이 있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단말에게 PCH(paging channel)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DL-SCH와 관련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알려준다. PDCCH는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나를 수 있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는 단말에게 PDCCH들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를 알려주고,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 HARQ ACK/NACK 신호를 나른다. 즉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PHICH 상으로 전송된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K,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는 UL-SCH(uplink shared channel)을 나른다. PUSCH 상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UL-SCH를 위한 데이터 블록인 전송 블록(trnasport block)일 수 있다.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나른다. There are several physical control channels used in the physical layer 220. The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informs the UE of resource allocation of a paging channel (PCH) and a downlink shared channel (DL-SCH) an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information related to the DL-SCH. The PDCCH may carry an uplink grant that informs the UE of resource allocation for uplink transmission. The PCFICH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informs the UE of the number of OFDM symbols used for PDCCHs, and is transmitted every subframe. PHICH (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carries a HARQ ACK / NACK signal in response to uplink transmission. That is, the ACK/NACK signal for uplink data transmitted by the UE is transmitted on the PHICH. The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carries uplink control information such as HARQ ACK/NAK for downlink transmission, scheduling request, and CQI. The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carries an UL-SCH (uplink shared channel). Uplink data transmitted on the PUSCH may be a transmission block, which is a data block for UL-SCH. A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carries a random access preamble.

복수의 PDCCH가 제어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몇몇 연속적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의 집합(aggregation) 상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채널의 상태에 따른 부호화율을 PDCCH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에 대응된다. CCE의 수와 CCE들에 의해 제공되는 부호화율의 연관 관계에 따라 PDCCH의 포맷 및 가능한 PDCCH의 비트수가 결정된다.A plurality of PDCCHs may be transmitted within the control region, and the UE may monitor the plurality of PDCCHs. The PDCCH is transmitted on an aggregation of one or several consecutive control channel elements (CCEs). CCE is a logical allocation unit used to provide a PDCCH with a coding rate according to a state of a radio channel. CCE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resource element groups. The format of the PDCCH and the number of possible bits of the PDCCH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CCEs and the coding rate provided by the CCEs.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다음 표 1은 여러가지 포맷에 따른 DCI를 나타낸다.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PDCCH is call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Table 1 below shows DCI according to various formats.

DCI 포맷DCI format 설명Explanation 00 상향링크 셀에서 PUSCH(상향링크 공용채널)의 스케줄링에 사용됨Used for scheduling of PUSCH (uplink common channel) in an uplink cell 1One 1개 셀에서의 1개의 PDSCH 코드워드(codeword)의 스케줄링에 사용됨Used for scheduling one PDSCH codeword in one cell 1A1A 1개 셀에서의 1개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략한 스케줄링 및 PDCCH 명령에 의해 초기화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 사용됨Used for simple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in one cell and a random access procedure initialized by a PDCCH instruction 1B1B 프리코딩 정보를 이용한 1개 셀에서의 1개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략한 스케줄링에 사용됨Used for simple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in one cell using precoding information 1C1C 1개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략한 스케줄링 및 MCCH 변경의 통지를 위해 사용됨Used for simple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and notification of MCCH change 1D1D 프리코딩 및 전력 오프셋 정보를 포함하는 1개 셀에서의 1개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략한 스케줄링에 사용됨Used for simple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in one cell including precoding and power offset information 22 공간 다중화 모드로 구성되는 단말에 대한 PDSCH 스케줄링에 사용됨Used for PDSCH scheduling for UEs configured in spatial multiplexing mode 2A2A 긴지연(large delay)의 CDD 모드로 구성된 단말의 PDSCH 스케줄링에 사용됨Used for PDSCH scheduling of terminals configured in CDD mode with large delay 2B2B 전송모드 8(이중 레이어(dual layer) 전송 등)에서 사용됨Used in transmission mode 8 (dual layer transmission, etc.) 2C2C 전송모드 9(다중 레이어(multi layer) 전송)에서 사용됨Used in transmission mode 9 (multi-layer transmission) 2D2D 전송모드 10(CoMP)에서 사용됨Used in transmission mode 10 (CoMP) 33 2비트의 전력 조정을 포함하는 PUCCH와 PUSCH를 위한 TPC 명령의 전송에 사용됨Used for transmission of TPC commands for PUCCH and PUSCH including 2-bit power adjustment 3A3A 단일 비트 전력 조정을 포함하는 PUCCH와 PUSCH를 위한 TPC 명령의 전송에 사용됨Used for transmission of TPC commands for PUCCH and PUSCH including single bit power adjustment 44 상향링크에 대한 다중 안테나 포트 전송 모드 셀에서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됨Used for PUSCH scheduling in a multi-antenna port transmission mode cell for uplink

표 1을 참조하면, DCI 포맷은 상향링크 셀에서 PU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0, 하나의 PDSCH 코드워드의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 하나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단한(compact)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A, DL-SCH의 매우 간단한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C, 폐루프(Closed-loop)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모드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2, 개루프(Open-loop)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2A, 전송모드(TM: Transmission Mode) 8에서 사용되는 포맷 2B, 전송모드 9에서 사용되는 포맷 2C, 전송모드 10에서 사용되는 포맷 2D, 상향링크 채널을 위한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명령의 전송을 위한 포맷 3 및 3A, 상향링크에 대한 다중 안테나 포트 전송 모드에서 PU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4 등이 있다. Referring to Table 1, the DCI format is format 0 for PUSCH scheduling in an uplink cell, format 1 for scheduling one PDSCH codeword, format 1A for compact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and DL- Format 1C for very simple scheduling of SCH, format 2 for PDSCH scheduling in closed-loop spatial multiplexing mode, format 2A for PDSCH scheduling in open-loop spatial multiplexing mode, Format 2B used in Transmission Mode (TM) 8, Format 2C used in Transmission Mode 9, Format 2D used in Transmission Mode 10, and a format for transmission of a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command for an uplink channel 3 and 3A, format 4 for PUSCH scheduling in a multi-antenna port transmission mode for uplink, and the like.

DCI의 각 필드는 n개의 정보비트(information bit) a0 내지 an -1에 순차적으로 맵핑된다. 예를 들어, DCI가 총 44비트 길이의 정보비트에 맵핑된다고 하면, DCI 각 필드가 순차적으로 a0 내지 a43에 맵핑된다. DCI 포맷 0, 1A, 3, 3A는 모두 동일한 페이로드(payload) 크기를 가질 수 있다. DCI 포맷 0, 4은 상향링크(UL) 그랜트(uplink grant)라 불릴 수도 있다.Each field of the DCI is sequentially mapped to n information bits a 0 to a n -1 . For example, suppose that DCI is mapped to information bits having a total length of 44 bits, each DCI field is sequentially mapped to a 0 to a 43 . DCI formats 0, 1A, 3, and 3A may all have the same payload size. DCI formats 0 and 4 may be referred to as an uplink (UL) grant.

한편,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은 특정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PDCCH를 통해 다른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PDSCH의 자원 할당 및/또는 상기 특정 요소 반송파와 기본적으로 링크되어 있는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PUSCH의 자원 할당을 할 수 있는 스케줄링 방법이다. 즉, PDCCH와 PDSCH가 서로 다른 DL CC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UL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가 전송된 DL CC와 링크된 UL CC가 아닌 다른 UL CC를 통해 PUSCH가 전송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cross-carrier scheduling is a resource allocation of a PDSCH transmitted through a different CC through a PDCCH transmitted through a specific component carrier and/or other than a component carrier that is basically linked to the specific component carrier. This is a scheduling method capable of allocating resources of PUSCH transmitted through other CCs. That is, the PDCCH and the PDSCH may be transmitted through different DL CCs, and the PUSCH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UL CC other than the UL CC linked to the DL CC in which the PDCCH including the UL grant was transmitted.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하면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UL grant 등)는 특정 서빙셀(또는 CC)만을 통해 받을 수 있다. 이하,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하는 서빙셀(또는 CC)은 스케줄링(scheduling) 셀(또는 CC)이라 불릴 수 있고, 스케줄링 셀(또는 CC)이 스케줄링하는 대상이 되는 다른 서빙셀(또는 CC)은 스케줄드(scheduled) 셀(또는 CC)라고 불릴 수 있다. 스케줄링 셀은 오더링 셀이라고 불릴 수 있으며, 스케줄드 셀은 팔로윙 서빙셀이라 불릴 수도 있다. When cross-carrier scheduling is performed, the UE can receive scheduling information (such as UL grant) through only a specific serving cell (or CC). Hereinafter, the serving cell (or CC) for cross-carrier scheduling may be referred to as a scheduling cell (or CC), and another serving cell (or CC) to which the scheduling cell (or CC) is scheduled is scheduled It may be called a (scheduled) cell (or CC). The scheduling cell may be referred to as an ordering cell, and the scheduled cell may be referred to as a following serving cell.

이처럼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는 PDCCH가 제어정보를 제공하는 PDSCH/PUSCH가 어떤 DL CC/UL CC를 통하여 전송되는지를 알려주는 반송파 지시자가 필요하다. 이러한 반송파 지시자를 포함하는 필드를 이하에서 반송파 지시 필드(carrier indication field, CIF)라 칭한다. 이하, CIF가 설정되었다 함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설정됨을 의미할 수 있다.In such a system supporting cross-carrier scheduling, a carrier indicator indicating which DL CC/UL CC is transmitted through which PDSCH/PUSCH for which the PDCCH provides control information is required. A field including such a carrier indicator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rrier indication field (CIF). Hereinafter, that CIF is configured may mean that cross-carrier scheduling is configured.

앞서 언급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은 하향링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Downlink cross-carrier scheduling)과 상향링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Uplink cross-carrier scheduling)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향링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은 PDSCH 전송을 위한 자원할당 정보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하는 PDCCH가 전송되는 요소 반송파가 PDSCH가 전송되는 요소 반송파와 다른 경우를 의미한다. 상향링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은 PUSCH 전송을 위한 UL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가 전송되는 요소 반송파가 PUSCH가 전송되는 UL 요소 반송파와 링크된 DL 요소 반송파와 다른 경우를 의미한다.The aforementioned cross-carrier scheduling can be classified into downlink cross-carrier scheduling and uplink cross-carrier scheduling. Downlink cross-carrier scheduling refers to a case in which a component carrier through which a PDCCH includ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for PDSCH transmission is transmitted is different from a component carrier through which the PDSCH is transmitted. Uplink cross-carrier scheduling refers to a case where the component carrier through which the PDCCH including the UL grant for PUSCH transmission is transmitted is different from the UL component carrier through which the PUSCH is transmitted and the linked DL component carrier.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프레임 구조의 일 예이다. 이는 FDD 무선 프레임 구조 및 TDD 무선 프레임 구조이다.3 is an example of a radio fram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is is an FDD radio frame structure and a TDD radio frame structure.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연속적인(consecutive) 슬롯(slot)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one radio frame includes 10 subframes, and one subframe includes two consecutive slots.

FDD의 경우에는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반송파와 하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반송파가 각각 존재하며, 하나의 셀 내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FDD, a carrier used for uplink transmission and a carrier used for downlink transmission are respectively present, and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one cell.

TDD의 경우, 하나의 셀을 기준으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항상 시간적으로 구분된다. 동일한 반송파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므로, 기지국과 단말은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사이에서 전환을 반복하게 된다. TDD의 경우, 특수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을 두어 송신과 수신 사이의 모드 전환을 위한 보호 구간(guard time)을 제공할 수 있다. 특수 서브프레임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 부분(DwPTS), 보호 주기(GP), 상향링크 부분(UpPTS)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DL 서브프레임 또는 UL 서브프레임이라 지칭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특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주기는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서, 보호 주기 동안에는 하향링크 전송도 상향링크 전송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In the case of TDD,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are always temporally divided based on one cell. Since the same carrier is used for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repeat switching between the transmission mode and the reception mode. In the case of TDD, a special subframe may be provided to provide a guard time for mode switching betwe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As shown, the special subframe may include a downlink portion (DwPTS), a guard period (GP), and an uplink portion (UpPTS). Therefore, when referred to as a DL subframe or a UL subframe, a special subframe may be included in some cases. The guard period is necessary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downlink and uplink, and neither downlink transmission nor uplink transmission is performed during the guard period.

표 1은 TDD에서 무선 프레임의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L-DL configuration)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reserved)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서브프레임을 정의한다. 즉,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하나의 무선프레임내의 모든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어떠한 규칙에 의해 할당(또는 예약)되는지를 알려준다. Table 1 shows an example of an UL-DL configuration of a radio frame in TDD. The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defines a subframe reserved for uplink transmission and a subframe reserved for downlink transmission. That is, the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indicates by what rule the uplink and downlink are allocated (or reserved) to all subframes in one radio frame.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plink/downlink configuration 전환시점 주기Conversion point cycle 서브프레임 번호Subframe number 00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00 5 ms5 ms DD SS UU UU UU DD SS UU UU UU 1One 5 ms5 ms DD SS UU UU DD DD SS UU UU DD 22 5 ms5 ms DD SS UU DD DD DD SS UU DD DD 33 10 ms10 ms DD SS UU UU UU DD DD DD DD DD 44 10 ms10 ms DD SS UU UU DD DD DD DD DD DD 55 10 ms10 ms DD SS UU DD DD DD DD DD DD DD 66 5 ms5 ms DD SS UU UU UU DD SS UU UU DD

표 2에서 D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U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며, S는 특수 서브프레임을 각각 나타낸다.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서브프레임 0과 5는 항상 하향링크 전송에 할당되며, 서브프레임 2는 항상 상향링크 전송에 할당된다. 표 2와 같이 각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마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내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배치(position) 및 개수가 서로 다르다. 다양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통하여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전송에 할당되는 자원의 양을 비대칭적으로 줄 수 있다. 셀들 사이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간 심한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셀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갖는다. In Table 2, D represents a downlink subframe, U represents an uplink subframe, and S represents a special subframe. As shown in Table 2, subframes 0 and 5 are always allocated for downlink transmission, and subframe 2 is always allocated for uplink transmission. As shown in Table 2, the positions and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and uplink subframes within one radio frame are different for each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Through various uplink-downlink configurations, the amount of resources allocated for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 can be asymmetrically given. In order to avoid severe interference between downlink and uplink between cells, neighboring cells generally have the same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되는 시점 또는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 전환되는 시점을 전환시점(switching point)이라 한다. 전환시점의 주기성(Switch-point periodicity)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전환되는 양상이 동일하게 반복되는 주기를 의미하며, 5ms 또는 10ms 이다. 예를 들어, 상향/하향 설정 0에서 보면, 0번째부터 4번째 서브프레임까지 D->S->U->U->U로 전환되고, 5번째부터 9번째 서브프레임까지 이전과 동일하게 D->S->U->U->U로 전환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ms이므로, 전환시점의 주기성은 5ms이다. 즉, 전환시점의 주기성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 길이(10ms)보다 적으며, 무선 프레임내에서 전환되는 양상이 1회 반복된다.The time point at which the downlink is changed to the uplink or the time point at which the uplink is switched to the downlink is referred to as a switching point. The switch-point periodicity refers to a period in which an uplink subframe and a downlink subframe are switched in the same manner, and is 5ms or 10ms. For example, in the uplink/downlink setting 0, the 0th to the 4th subframe is converted to D->S->U->U->U, and the 5th to 9th subframes are D in the same way as before. ->S->U->U->U. Since one subframe is 1 ms, the periodicity at the time of switching is 5 ms. That is, the periodicity of the switching point is less than the length of one radio frame (10 ms), and the mode of switching within the radio frame is repeated once.

상기 표 2의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바뀔 때마다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의 인덱스만을 전송함으로써 무선 프레임의 상향링크-하향링크 할당상태의 변경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방송정보로서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을 통해 셀내의 모든 단말에 공통으로 전송되는 제어정보일 수 있다.The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of Table 2 may b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system information. The base station can notify the UE of the change in the uplink-downlink allocation state of the radio frame by transmitting only the index of the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whenever the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is changed. Alternatively, the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may be control information commonly transmitted to all terminals in the cell through a broadcast channel as broadcast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FDD, TDD 및 FDD 하프-듀플렉스 방식을 비교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FDD 하프-듀플렉스 방식으로 동작하는 단말을 간략히 HD-FDD 단말이라 한다. 4 is an exemplary diagram comparing FDD, TDD and FDD half-duplex schem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ereinafter, a terminal operating in an FDD half-duplex scheme is referred to as an HD-FDD terminal.

도 4를 참조하면, HD-FDD 단말은 FDD 밴드(하향링크 반송파 및 상향링크 반송파)상의 하나의 시간 인스턴스(time instance,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수신 또는 상향링크 전송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이것은 단말에게 듀플렉서(duplexer) 디자인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단말의 단순한 디자인 이 가능하다. 특히 특정 FDD 밴드의 상황(예를 들어, 하향링크 반송파와 상향링크 반송파 사이의 간격(spacing)이 크지 않는 경우)에서 구현이 더 간단해지며, 이로 인해 단말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기지국은 풀-듀플렉스로 동작한다.4, the HD-FDD terminal receives or transmits downlink transmission in one time instance (for example, one subframe) on the FDD band (downlink carrier and uplink carrier) Selectively perform. This does not require a duplexer design from the terminal, so a simple design of the terminal is possible. In particular, implementation is simpler in the context of a specific FDD band (e.g., when the spacing between a downlink carrier and an uplink carrier is not large),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terminal. . On the other hand, the base station operates in full duplex.

HD-FDD가 어떤 기준으로 하향링크의 수신 또는 상향링크의 전송을 수행하는지는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가 사전에 지시되는지 또는 하향링크 그랜트의 지시에 의해 발생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HARQ-ACK 보고 유무에 의해 결정된다. 즉,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상향링크 전송이 사전에 지시되거나 또는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ACK 보고가 전송될 때, 해당 HD-FDD 단말은 그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의 전송으로 인식하고 그렇지 않으면 하향링크의 수신을 기대한다.On what basis HD-FDD performs downlink reception or uplink transmission, whether an UL grant is indicated in advance or HARQ-ACK for downlink data transmission generated by an indication of a downlink grant It is determin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eport. That is, when uplink transmission is indicated in advance by an uplink grant in a specific subframe or when a HARQ-ACK report for downlink transmission is transmitted, the corresponding HD-FDD terminal recognizes as uplink transmission in the subframe. Otherwise, it expects to receive downlink.

TDD에서는 서로 다른 부반송파 간에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가질 수 있다. In TDD, different subcarriers may have different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밴드간 반송파 집성시 서빙셀들간에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의 차이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ifference in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s between serving cells when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0(D,S,U,U,U,D,S,U,U,U)이고, 제1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5(D,S,U,D,D,D,D,D,D,D)이다. 이들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서브프레임 3, 4, 6, 7, 8, 9는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이 주서빙셀과 제1 부서빙셀 상에서 구성된 것이다.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상 서브프레임 3, 4, 6, 7, 8, 9에서 서브프레임 상충(subframe conflict) 또는 서브프레임 불일치(subframe inconsistency)이 발생한다. 서브프레임 상충은 비교되는 2개 이상의 서빙셀에서의 서브프레임 전송링크의 방향이 다른 상황을 의미하며, 상기 서브프레임들은 상충 서브프레임(collision subframe)이 된다. 5, the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serving cell is 0 (D,S,U,U,U,D,S,U,U,U), and the TDD uplink of the first secondary serving cell The link/downlink configuration is 5(D,S,U,D,D,D,D,D,D,D).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n subframes 3, 4, 6, 7, 8, and 9, different subframes are configured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first secondary serving cell. Subframe conflict or subframe inconsistency occurs in subframes 3, 4, 6, 7, 8, and 9 due to the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Subframe conflict refers to a situation in which the directions of subframe transmission links in two or more serving cells to be compared are different, and the subframes become conflicting subframes.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동시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유무의 단말의 능력(Capability)에 따라 서브프레임 상충에 대한 단말의 동작이 다르다. 예를 들어, 해당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동시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풀-듀플렉스 모드인 경우 단말은 예를 들어 도 5에서 서브프레임 3, 4, 7, 8, 9와 같은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상으로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1 부서빙셀상으로는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해당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동시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하프-듀플렉스 모드인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통신이 가능하므로, 단말은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과 제1 부서빙셀 중 어느 하나의 서빙셀을 선택하고, 선택된 서빙셀내 통신 방향을 기준으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3GPP 36.211 v11.3.0에서는 다수의 서빙셀이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설정된 CA에 대해서 해당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동시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TDD단말을 위한 동작을 정의하고 있다.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for subframe conflic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apability of the terminal whether data transmission/reception is possible in one subframe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ull-duplex mode in which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t the same time in the conflicting subframe, the UE is in the conflicting subframe such as subframes 3, 4, 7, 8, 9 in FIG. Simultaneously with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downlink reception may be performed on the first secondary serving cel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half-duplex mode in whic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not possible at the same time in the conflicting subframe,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only one direction, so that the terminal One serving cell is selected, and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direction in the selected serving cell. In particular, 3GPP 36.211 v11.3.0 defines an operation for a TDD terminal in which data transmission/reception is not possible at the same time in a conflicting subframe for a CA in which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have different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s.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D-FDD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기법이 적용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DD-FDD carrier aggregation techniqu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pplied.

도 6을 참조하면, 레거시 TDD 단말(120)의 경우 TDD 밴드를 통하여만 무선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레거시 FDD 단말(140)의 경우 FDD 밴드를 통하여만 무선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반면에 TDD-FDD CA 가능(capable) 단말(UE, 100)의 경우 FDD 밴드 및 TDD 밴드를 통하여 무선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TDD 밴드 반송파와 FDD 밴드 반송파를 통하여 동시에 CA 기반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n the case of a legacy TDD terminal 120,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can be received only through a TDD band, and in the case of a legacy FDD terminal 140,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can be received only through an FDD ban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TDD-FDD CA capable terminal (UE, 100),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can be received through the FDD band and the TDD band, and CA-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is provid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TDD band carrier and the FDD band carrier. I can receive it.

위와 같은 TDD-FDD 결합 동작을 위하여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배치(deployment) 시나리오들이 고려될 수 있다.For the TDD-FDD combinatio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following deployment scenarios may be considered.

일 예로, FDD 기지국과 TDD 기지국이 동일 장소에 배치(co-located)되는 경우(예를 들어 CA 시나리오 1 내지 3), FDD 기지국과 TDD 기지국이 동일 장소에 배치되지 않았으나 이상적인 백홀(ideal backhaul)로 연결된 경우(예를 들어 CA 시나리오 4).As an example, when the FDD base station and the TDD base station are co-located in the same place (for example, CA scenarios 1 to 3), the FDD base station and the TDD base station are not located in the same place, but they become ideal backhaul. When connected (for example CA scenario 4).

다른 예로, FDD 기지국과 TDD 기지국이 동일 장소에 배치되지 않았고, 비-이상적인 백홀(non-ideal backhaul)로 연결된 경우(예를 들어 스몰 셀 시나리오 2a, 2b, 및 매크로-매크로 시나리오).As another example, when the FDD base station and the TDD base station are not disposed in the same place and are connected by a non-ideal backhaul (for example, small cell scenarios 2a, 2b, and macro-macro scenarios).

또한, TDD-FDD 반송파 집성(CA)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전제 조건(prerequisite)이 고려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prerequisite may be considered for TDD-FDD carrier aggregation (CA).

첫째, TDD-FDD 결합 동작을 지원하는 단말들은 레거시 FDD 단일(single) 모드 반송파 및 레거시 TDD 단일 모드 반송파에 접속할(access) 수 있다. First, UEs supporting the TDD-FDD combining operation can access the legacy FDD single mode carrier and the legacy TDD single mode carrier.

둘째, 레거시 FDD 단말들 및 TDD-FDD 결합 동작을 지원하는 단말들은 상기 결합 동작하는 FDD/TDD 네트워크의 일부분인(part of) FDD 반송파에 캠프온(camp on) 및 연결(connect)할 수 있다. Second, legacy FDD terminals and terminals supporting a TDD-FDD combination operation may camp on and connect to an FDD carrier that is part of the FDD/TDD network in which the combination operation is performed.

셋째, 레거시 TDD 단말들 및 TDD-FDD 결합 동작을 지원하는 단말들은 상기 결합 동작하는 FDD/TDD 네트워크의 일부분인 TDD 반송파에캠프온 및 연결할 수 있다.Third, legacy TDD terminals and terminals supporting a TDD-FDD combination operation can camp on and connect to a TDD carrier, which is a part of the combined FDD/TDD network.

넷째, TDD-FDD 결합 동작을 가능하게(facilitate) 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 향상(network architecture enhancement)이 고려될 수 있다. 다만, 최소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 변화(change)를 유지하는 것(keeping)은 여전히 오퍼레이터의 관점에서 주요하므로 고려되어야 한다.Fourth, network architecture enhancement to facilitate the TDD-FDD combination operation may be considered. However, keeping the minimum network architecture change is still major from the operator's point of view and should be considered.

또한, 단말이 TDD-FDD 결합 동작을 지원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단말 성능들이 고려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supports the TDD-FDD combination operation, the following terminal capabilities may be considered.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D-FDD 결합 동작을 위한 단말 성능들의 예들이다. 7 is an example of terminal capabilities for a TDD-FDD combination oper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을 참조하면, (a)는 단말이 TDD 반송파와 FDD 반송파 간 반송파 집성을 지원함을 나타내고, (b)는 단말이 TDD 반송파와 FDD 하향링크 반송파 간 반송파 집성을 지원함을 나타내며, (c)는 단말이 TDD 반송파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FDD 반송파 간 반송파 집성을 지원함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ure 7, (a) indicates that the UE supports carrier aggregation between a TDD carrier and an FDD carrier, (b) indicates that the UE supports carrier aggregation between a TDD carrier and an FDD downlink carrier, and (c) is This indicates that the UE supports carrier aggregation between the downlink subframe of the TDD carrier and the FDD carrier.

상기와 같이 단말은 여러 가지 타입의 TDD-FDD 반송파 집성을 지원할 수 있으며, 또한, FDD 및 TDD 반송파들에서 동시 수신(simultaneous reception)(즉, DL 집성)을 수행할 수 있고, 둘째, FDD 및 TDD 반송파들에서 동시 전송(simultaneous transmission)(즉, UL 집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셋째, FDD 및 TDD 반송파들에서 동시 전송 및 수신(즉, DL/UL 집성)을 수행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E can support various types of TDD-FDD carrier aggregation, and can perform simultaneous reception (ie, DL aggregation) on FDD and TDD carriers, and second, FDD and TDD Simultaneous transmission (ie, UL aggregation) may be performed on carriers, and third,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ie, DL/UL aggregation) may be performed on FDD and TDD carriers.

한편,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을 구성하는 기지국들 중 둘 이상의 기지국을 통하여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을 설정할 수 있다. 이중 연결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RRC_CONNECTED) 모드에서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포인트(예, 매크로 기지국 및 스몰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자원들을 해당 단말이 소비하는 동작(operation)이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포인트는 비이상적인 백홀(non-ideal backhaul)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포인트 중 하나는 매크로 기지국(또는 마스터 기지국 또는 앵커 기지국)이라 불릴 수 있고, 나머지는 스몰 기지국(또는 세컨더리 기지국 또는 어시스팅 기지국 또는 슬레이브 기지국)들이라 불릴 수 있다. Meanwhile, the terminal may establish dual connectivity through two or more of the base stations constituting at least one serving cell. Dual connectivity is an operation in which a corresponding terminal consumes radio resources provided by at least two different network points (eg, a macro base station and a small base station) in a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RC_CONNECTED) mode. In this case, the at least two different network points may be connected through a non-ideal backhaul. In this case, one of the at least two different network points may be called a macro base station (or a master base station or an anchor base station), and the other may be called a small base station (or a secondary base station or an assisting base station or a slave base station).

단말은 상기와 같이 단말에 반송파 집성(CA) 및/또는 이중 연결이 설정된 경우에 TDD-FDD 결합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단말에 CA가 설정된 경우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나, 단말에 이중 연결이 설정된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The terminal may support a TDD-FDD combining operation when carrier aggregation (CA) and/or dual connectivity are established in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case in which a CA is set in the termi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even when a dual connection is established in the terminal.

TDD-FDD 결합 동작을 구현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밴드 및 반송파 상(e.g. TDD 및 FDD 반송파)에서 동일한 서브프레임이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 타입(e.g. 노멀(normal) 또는 특별(special)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경우, 단말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지가 정의되어야 한다. In implementing the TDD-FDD combining operation, when the same subframe is configured with different subframe types (eg normal or special subframe) on different bands and carriers (eg TDD and FDD carriers) , It should be defined what operation the terminal should perform.

기지국이 단말에 다수의 서빙셀을 구성하고, 이들간에 TDD-FDD CA를 지원한다고 하자. 여기서, 각 서빙셀별 듀플렉스 방식은 TDD 또는 FDD로 정해질 수 있다. 서빙셀별로 정해지는 듀플렉스 방식은 크게 2가지 경우로 분류될 수 있다. Case 1은 주서빙셀이 TDD이고, 부서빙셀이 FDD인 경우이다. Case 2는 주서빙셀이 FDD이고, 부서빙셀이 TDD인 경우이다. 먼저, Case 1에 대하여 설명한다.
Assume that a base station configures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in a terminal and supports TDD-FDD CA between them. Here, the duplex scheme for each serving cell may be determined as TDD or FDD. The duplex scheme determined for each serving cell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cases. Case 1 is when the primary serving cell is TDD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is FDD. Case 2 is a case where the primary serving cell is FDD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is TDD. First, Case 1 will be described.

<< CaseCase 1> 1>

Case 1에서는 기지국(또는 네트워크)이 주서빙셀을 TDD로, 부서빙셀을 FDD로 설정하였을 경우, 서브프레임 번호에 따라 하나의 서브프레임 동안 표 3과 같은 3가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 타입이 발생할 수 있다. In Case 1, when the base station (or network) sets the primary serving cell as TDD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as FDD, three different subframe types as shown in Table 3 may occur during one subframe according to the subframe number. have.

Case 번호Case number 주서빙셀Main serving cell 부서빙셀Department serving cell Case 1-1Case 1-1 DL subframeDL subframe DL 및 UL subframeDL and UL subframe Case 1-2Case 1-2 UL subframeUL subframe DL 및 UL subframeDL and UL subframe Case 1-3Case 1-3 special subframespecial subframe DL 및 UL subframeDL and UL subframe

상기와 같이 다수의 서빙셀들이 서로 다른 듀플렉스 방식으로 구성된 경우라 할지라도, 단말의 능력(즉, 단말이 상충 서브프레임내 다수의 반송파상에서 동시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지 아닌지)에 따라 하향링크의 수신/상향링크의 전송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이 다수의 반송파상에서 동시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풀-듀플렉스를 지원하는지, 그렇지 않은 하프-듀플렉스 동작을 지원하는지에 따라서 새로운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에 관하여 정의된다. 또한, 각 Case 별로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의 타입의 관계와 단말의 성능에 따라 적절한 동작 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Even when multiple serving cells are configured in different duplex schemes as described above, downlink reception/upload according to the capabilities of the terminal (i.e., whether the terminal can simultaneously transmit and receive data on multiple carriers in conflicting subframes) The transmission operation of the link may vary. Hereinafter, a method of supporting a new operation is def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supports full-duplex capable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a plurality of carriers, or half-duplex operation that does not. In addition, a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subframe types for each case and an appropriate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terminal are disclosed.

1) 풀-듀플렉스 단말의 경우1) In the case of a full-duplex terminal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D-FDD 반송파 집성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8 shows an example of a subfram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DD-FDD carrier aggreg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8을 참조하면, 주서빙셀(PCell)은 TDD 방식이 적용되며,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1에 따라 서브프레임들이 구성된다. 그리고 부서빙셀(SCell)은 FDD 방식이 적용되며,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가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8, a TDD scheme is applied to a primary serving cell (PCell), and subframes are configured according to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 In addition, the FDD scheme is applied to the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and downlink and uplink are configured in all subframes.

이때, 표 3에 따른 Case 1-1, 1-2 및 1-3이 발생할 수 있다. Case 1-1의 경우, 풀-듀플렉스 단말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모두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수신을 기대할 수 있고, 부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이 가능하다. 즉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풀-듀플렉스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수신에 제약이 없다. At this time, Cases 1-1, 1-2, and 1-3 according to Table 3 may occur. In case 1-1, the full-duplex terminal can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in both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and transmission of an uplink signal and/or an uplink channel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is It is possible. That is, there is no restriction on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reception of a full-duplex terminal in conflicting subframes.

다음으로 Case 1-2의 경우에도, 풀-듀플렉스 단말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모두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이 가능하며, 부서빙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즉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풀-듀플렉스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수신에 제약이 없다. Next, even in Case 1-2, the full-duplex terminal can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or an uplink channel in both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and for downlink transmission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You can expect to receive it. That is, there is no restriction on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reception of a full-duplex terminal in conflicting subframes.

다음으로, Case 1-3과 같이 주서빙셀이 특별 서브프레임인 경우에 있어서, 도 9와 같이 풀-듀플렉스 단말은 주서빙셀의 DwPTS 구간과 부서빙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수신을 기대할 수 있고, 주서빙셀의 UpPTS 구간과 부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이 가능하다. 그런데, 실제 단말은 풀-듀플렉스의 능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서빙셀상의 특별 서브프레임의 보호구간(guard period: GP)에서는 단말이 하향링크의 수신이나 상향링크의 전송을 수행할 수 없어, 자원이 낭비될 수 있다. Next, in the case where the primary serving cell is a special subframe as in Case 1-3, the full-duplex terminal as shown in FIG. 9 is expected to receive the DwPTS section of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downlink transmission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or an uplink channel in the UpPTS section of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However, although the actual terminal has full-duplex capability, the terminal cannot perform downlink reception or uplink transmission in a guard period (GP) of a special subframe on the primary serving cell. Resources can be wasted.

이 경우에는 풀-듀플렉스의 장점을 활용하여 추가적으로 효율적인 자원활용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주서빙셀상의 특별 서브프레임은 TDD 본연의 하프-듀플렉스 동작(단일 반송파 관점(Rel-8))에서 DL->UL전송으로 전환하기 위함이였다. 그러나, 단말은 TDD-FDD 결합 동작을 위해서 풀-듀플렉스 동작을 위한 성능(capability) 및 구현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주서빙셀의 특별 서브프레임을 기존의 용도 그대로 활용하기 보다는, 좀더 효율적인 TDD에서의 자원활용을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방법은 특별 서브프레임을 기존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팬하거나, 아예 새로운 포맷의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In this case, additional efficient resource utilization is possible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full-duplex. This is because the special subframe on the primary serving cell is to switch to DL->UL transmission in the half-duplex operation (single carrier viewpoint (Rel-8)) of TDD. However, the UE may have the capability and implementation for a full-duplex operation for a TDD-FDD combination operation. Accordingly, this embodiment discloses a method for more efficient resource utilization in TDD, rather than using a special subframe of a primary serving cell as it is for an existing purpose. This method includes spanning a special subframe into an existing downlink subframe or an uplink subframe, or changing to a subframe of a new format altogether.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TDD-FDD 반송파 집성에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panning a special subframe into a downlink subframe or an uplink subframe in TDD-FDD carrier aggreg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는 주서빙셀상의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팬(span)하는 것이고, 제2 실시예는 주서빙셀상의 특별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팬하는 것이다. 여기서 '스팬'은 실시예의 형태에 따라 '가정', '간주', '전환' 또는 '대체'라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first embodiment spans a special subframe on a primary serving cell to a downlink subframe, and the second embodiment spans a special subframe on a primary serving cell to an uplink subframe. Is to do. Here,'span' may mean'home','considered','conversion', or'substitute'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embodiment.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단말과 기지국은 Case 1-3에서의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팬함(이하 간략히 스패닝(spanning)이라 함)을 미리 서로 알고 있어야 한다. 단말과 기지국이 상기 스패닝에 대한 정보를 서로 인지하기 위해, 다음의 3가지 방법이 정의될 수 있다.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UE and the base station must know in advance that the special subframe in Case 1-3 is spanned as a downlink subframe or an uplink subfra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anning briefly). . In order for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to mutually recognize the information on the spanning, the following three methods may be defined.

일례로서, 풀-듀플렉스 단말에 대해서는 Case 1-3에서 주서빙셀상의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하도록 단말 및 기지국의 표준(standard)을 제정할 수 있다. 즉 단말과 기지국의 제조(또는 구현)시부터 상기 스패닝에 대한 규약을 만들어 놓는 것이다.As an example, for a full-duplex terminal, a standard of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may be established to span a special subframe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s a downlink subframe (or uplink subframe) in Case 1-3. That is, a protocol for the spanning is established from the manufacturing (or implement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다른 예로서, 풀-듀플렉스 단말에 대해서는 Case 1-3에서 주서빙셀상의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하도록 지시하는 스패닝 메시지를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스패닝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또는 RRC 메시지(모든 TDD-FDD 반송파 집성 지원 가능한 단말들에 공통(common)됨)와 같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패닝 메시지는 Case 1-3의 특별 서브프레임은 풀-듀플렉스 단말에 대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라고 지시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for a full-duplex terminal,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 spanning message instructing to span a special subframe on the primary serving cell to a downlink subframe (or uplink subframe) in Case 1-3. have. The spanning message may be higher layer signaling such as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or an RRC message (common to all terminals capable of support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For example, the spanning message may indicate that the special subframe of Case 1-3 is a downlink subframe (or uplink subframe) for a full-duplex terminal.

또 다른 예로서, 풀-듀플렉스 단말은 Case 1-3에서 주서빙셀상의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할 수 있음을 기지국에 통지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지 메시지로서, 단말의 반송파 집성(CA) 성능을 지시하는 CA 성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 DL CA(하향링크에서의 반송파 집성이 구성된 경우) 및 단일 UL(상향링크에서의 반송파 집성이 구성되지 않은 경우)일 때는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하고, ii) 단일 DL 및 UL CA일 때는 특별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하며, iii) DL CA 및 UL CA일 때는 스패닝에 대한 규약 또는 스패닝 메시지를 기반으로 특별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될 수 있고 DL CA를 우선 고려하여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ull-duplex terminal transmits a message to the base station notifying the base station that the special subframe on the primary serving cell can be spanned as a downlink subframe (or uplink subframe) in Case 1-3. Can give. Here, as the notification message, it may be included in CA capability information indicating carrier aggregation (CA) capability of the terminal. For example, when i) DL CA (when carrier aggregation in the downlink is configured) and single UL (when carrier aggregation in uplink is not configured), a special subframe is spanned as a downlink subframe, and ii ) In the case of single DL and UL CA, a special subframe is spanned as an uplink subframe, and iii) In the case of DL CA and UL CA, a special subframe is a downlink subframe or uplink based on the spanning protocol or spanning message. It may be spanned as a subframe, and may be spanned as a downlink subframe in consideration of DL CA first.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라 TDD-FDD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풀-듀플렉스 단말에 대해 특별 서브프레임이 어떻게 스패닝되는지를 보여준다. 도 11을 참조하면, 레가시(legacy) TDD 단말1과 레가시 TDD 단말2는 모두 DwPTS, GP, UpPTS를 가지나, TDD-FDD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풀-듀플렉스 단말3은 특별 서브프레임이 전체적으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되어 GP 구간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같은 특별 서브프레임 내에서 TDD-FDD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풀-듀플렉스 단말과 그렇지 않은 기존 TDD 단말이 공존할 수 있다. 11 shows how a special subframe is spanned for a full-duplex terminal support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1, both legacy TDD terminal 1 and legacy TDD terminal 2 have DwPTS, GP, and UpPTS, but full-duplex terminal 3 support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has a special subframe as a whole downlink subframe. It is spanned as a frame or an uplink subframe to utilize the resources of the GP interval. In addition, a full-duplex terminal support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and an existing TDD terminal that does not coexist within the same special subframe.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TDD-FDD 반송파 집성에서 특별 서브프레임을 새로운 포맷의 서브프레임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verting a special subframe into a subframe of a new format in TDD-FDD carrier aggregation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는 GP가 DwPTS에 흡수된 것이고, 제4실시예는 GP가 UpPTS에 흡수된 것이다. 제3 및 제4 실시예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특별 서브프레임 내의 GP가 제거된 것은 동일하나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하지 않고 새로운 포맷(또는 타입)의 서브프레임을 정의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효율적으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 및 균형있는 하향링크/상향링크 자원할당 비율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in the third embodiment, the GP is absorbed by the DwPTS, and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GP is absorbed by the UpPTS.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compared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GP in the special subframe is the same, but the new format (or type) is not spanned into one downlink subframe or uplink subframe. ) To define the subfram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vantage of efficiently utilizing resources and a balanced downlink/uplink resource allocation ratio.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 단말과 기지국은 Case 1-3에서의 특별 서브프레임을 새로운 포맷의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함을 미리 서로 알고 있어야 한다. 단말과 기지국이 상기 스패닝에 대한 정보를 서로 인지하기 위해, 다음의 2가지 방법이 정의될 수 있다.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the UE and the base station should know each other in advance that the special subframe in Case 1-3 is spanned into a subframe of a new format. In order for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to mutually recognize the information on the spanning, the following two methods may be defined.

일례로서, 풀-듀플렉스 단말에 대해서는 Case 1-3에서 주서빙셀상의 특별 서브프레임을 새로운 포맷의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하도록 단말 및 기지국의 표준이 제정될 수 있다. 즉 단말과 기지국의 제조(또는 구현)시부터 상기 스패닝에 대한 규약을 만들어 놓는 것이다.As an example, for a full-duplex terminal, a standard of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may be established to span a special subframe on the primary serving cell into a subframe of a new format in Case 1-3. That is, a protocol for the spanning is established from the manufacturing (or implement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다른 예로서, 풀-듀플렉스 단말에 대해서는 Case 1-3에서 주서빙셀상의 특별 서브프레임을 새로운 포맷의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하도록 지시하는 스패닝 메시지를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스패닝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또는 RRC 메시지(모든 TDD-FDD 반송파 집성 지원 가능한 단말들에 공통(common)됨)와 같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패닝 메시지는 Case 1-3의 특별 서브프레임은 풀-듀플렉스 단말에 대해 새로운 포맷의 서브프레임이라고 지시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for a full-duplex terminal, a spanning message instructing to span a special subframe on the primary serving cell to a subframe of a new format in Case 1-3 may b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The spanning message may be higher layer signaling such as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or an RRC message (common to all terminals capable of support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For example, the spanning message may indicate that the special subframe of Case 1-3 is a subframe of a new format for the full-duplex terminal.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라 TDD-FDD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풀-듀플렉스 단말에 대해 특별 서브프레임이 어떻게 스패닝되는지를 보여준다. 도 13을 참조하면, 레가시(legacy) TDD 단말1과 레가시 TDD 단말2는 모두 DwPTS, GP, UpPTS를 가진다. 반면, TDD-FDD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풀-듀플렉스 단말3은 특별 서브프레임이 DwPTS와 UpPTS만을 가지는 새로운 포맷의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되어 GP 구간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같은 특별 서브프레임 내에서 TDD-FDD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풀-듀플렉스 단말과 그렇지 않은 기존 TDD 단말이 공존할 수 있다. 13 shows how a special subframe is spanned for a full-duplex terminal support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3, both the legacy TDD terminal 1 and the legacy TDD terminal 2 have DwPTS, GP, and UpPTS. On the other hand, in the full-duplex terminal 3 support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a special subframe is spanned into a subframe of a new format having only DwPTS and UpPTS, so that the resources of the GP interval can be utilized. In addition, a full-duplex terminal support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and an existing TDD terminal that does not coexist within the same special subframe.

2) 하프-듀플렉스 단말의 경우 (주서빙셀 설정 기반)2) In case of half-duplex terminal (based on primary serving cell setting)

주서빙셀 설정 기반의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다수의서빙셀의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 둘 중 하나만 동작 가능한 단말을 의미한다. A half-duplex terminal based on primary serving cell configuration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only one of data transmission or reception based on a subframe of a primary serving cell in conflicting subframes of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D-FDD 반송파 집성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14 shows another example of a subfram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DD-FDD carrier aggreg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4를 참조하면, 주서빙셀(PCell)은 TDD 방식이 적용되며,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1에 따라 서브프레임들이 구성된다. 그리고 부서빙셀(SCell)은 FDD 방식이 적용되며,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가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4, a TDD scheme is applied to a primary serving cell (PCell), and subframes are configured according to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 In addition, the FDD scheme is applied to the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and downlink and uplink are configured in all subframes.

이때, 표 3에 따른 Case 1-1, 1-2 및 1-3이 발생할 수 있다. 각 Case 별 상충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어느 한 방향의 링크만을 선택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링크는 기본적으로 주서빙셀의 구성된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선택될 수 있다. 즉, 부서빙셀에서의 하프-듀플렉스 동작은 주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을 따른다. 예를 들어 주서빙셀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부서빙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프-듀플렉스 단말에 대해, 부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이 전송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Cases 1-1, 1-2, and 1-3 according to Table 3 may occur. In conflicting subframes for each case, the half-duplex terminal should select only a link in one direction. In this case, the link may be basically selected based on the configured subframe of the primary serving cell. That is, the half-duplex operation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follows the subframe of the primary serving cell. For example, if the primary serving cell is a downlink subframe, the half-duplex terminal can expect reception of downlink transmission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other words, for a half-duplex terminal,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in a secondary serving cell are not transmitted.

Case 1-1의 경우, 주서빙셀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모두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수신을 기대할 수 있으나(주서빙셀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기 때문), 부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을 하지 않는다. In case 1-1, since the primary serving cell is a downlink subframe, the half-duplex terminal can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in both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the primary serving cell is a downlink subframe. Because it is a frame), uplink signals and uplink channels are not transmitted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다음으로 Case 1-2의 경우,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모두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이 가능하나(주서빙셀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기 때문), 부서빙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수신을 기대할 수 없다. Next, in case of Case 1-2, the half-duplex terminal can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or an uplink channel in both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because the primary serving cell is an uplink subframe). , It is not possible to expect reception for downlink transmission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다음으로, Case 1-3과 같이 주서빙셀이 특별 서브프레임인 경우는 도 15와 같다. 하향링크의 경우,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UpPTS와 겹치는(overlap) 부서빙셀상의 OFDM 심볼들에서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수신을 기대할 수 없다. 예컨대,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부서빙셀에서의 PDSCH, EPDCCH, PMCH, PRS의 전송에 대한 수신을 기대할 수 없다. 다만, 특별 서브프레임 내의 DwPTS구간은 부서빙셀의 PCFICH 및/또는 PDCCH 구간과 일치할 수 있으므로,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주서빙셀에서의 DwPTS 및 부서빙셀에서의 PCFICH 및/또는 PDCCH, 그리고 그외 DwPTS와 겹치는 구간에서 수신가능한 하향링크 신호/채널의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Next, as in Case 1-3, a case in which the primary serving cell is a special subframe is shown in FIG. 15. In the case of downlink, the half-duplex terminal cannot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in OFDM symbols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that overlap with the UpPTS. For example, a half-duplex terminal cannot expect to receive transmission of PDSCH, EPDCCH, PMCH, and PRS in a secondary serving cell. However, since the DwPTS section in the special subframe may coincide with the PCFICH and/or PDCCH section of the secondary serving cell, the half-duplex terminal is the DwPTS i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PCFICH and/or PDCCH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and others. It is possible to expect reception of a downlink signal/channel that can be received in a section overlapping with the DwPTS.

한편, 상향링크의 경우, 하프-듀플렉스 DwPTS와 겹치는 OFDM 심볼들에서 상향링크 신호/채널을 전송하지 않는다. 예컨대, 단말은 부서빙셀에서의 PUSCH의 전송 및 상향링크 신호/채널을 전송하지 않는다. 다만, 특별 서브프레임 내의 UpPTS구간은 부서빙셀의 사운딩 기준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와 일치할 수 있으므로,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주서빙셀에서의 UpPTS 및 부서빙셀에서의 SRS, 그리고 그외 UpPTS와 겹치는 구간에서 전송가능한 상향링크 신호/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uplink, an uplink signal/channel is not transmitted in OFDM symbols overlapping the half-duplex DwPTS. For example, the UE does not transmit PUSCH and uplink signals/channels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However, since the UpPTS section in the special subframe may coincide with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of the secondary serving cell, the half-duplex terminal has the UpPTS i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RS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and In addition, uplink signals/channels that can be transmitted in a period overlapping the UpPTS can be transmitted.

3) 하프-듀플렉스 단말의 경우 (UL 전송 유무 기반)3) In the case of a half-duplex terminal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UL transmission)

UL 전송 유무 기반의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다수의 서빙셀의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UL전송의 유무를 기준으로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 둘 중 하나만 동작 가능한 단말을 의미한다. The half-duplex terminal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UL transmission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only one of data transmission or reception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UL transmission in conflicting subframes of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D-FDD 반송파 집성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첫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2, 3, 4 및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8, 9에 대해,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전송(즉, PUSCH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release)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전송된 경우를 보여준다. 16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subfram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DD-FDD carrier aggreg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6 is an uplink for uplink transmission (ie, PUSCH transmission) in a primary serving cell and/or a secondary serving cell for subframes 2, 3 and 4 of the first radio frame and subframes 8 and 9 of the next radio frame It shows a case in which a PDSCH for requesting an uplink grant or HARQ-ACK transmission or a PDCCH indicating an SPS release is previously transmitted.

도 16을 참조하면, 주서빙셀(PCell)은 TDD 방식이 적용되며,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1에 따라 서브프레임들이 구성된다. 그리고 부서빙셀(SCell)은 FDD 방식이 적용되며,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가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6, a TDD scheme is applied to a primary serving cell (PCell), and subframes are configured according to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 In addition, the FDD scheme is applied to the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and downlink and uplink are configured in all subframes.

이때, 표 3에 따른 Case 1-1, 1-2 및 1-3이 발생할 수 있다. 각 Case 별 상충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향링크 전송(즉, PUSCH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release)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전송되었는지에 따라 단말은 부서빙셀에서의 서브프레임 방향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부서빙셀상의 서브프레임 2, 3에 대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전송되었으면, 단말은 부서빙셀상의 서브프레임 2, 3에서는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부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2, 3은 주서빙셀에 대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기 때문에 단말은 당연히 상기 주서빙셀의 서브프레임 2, 3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다. At this time, Cases 1-1, 1-2, and 1-3 according to Table 3 may occur. In conflicting subframes for each case,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ie, PUSCH transmission) or a PDSCH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a PDCCH indicating SPS release is transmitted in advanc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UE determines the subframe direction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For example, if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r a PDSCH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a PDCCH indicating SPS release is transmitted for subframes 2 and 3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the terminal is a subframe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2 and 3, the reception of downlink transmission is not expected.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may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Here, since subframes 2 and 3 are uplink subframes for the primary serving cell, the UE naturally does not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in subframes 2 and 3 of the primary serving cell.

Case 1-1의 경우,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부서빙셀상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지시되지 않았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부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부서빙셀상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지시되었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부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Case 1-1, if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n a secondary serving cell or a PDSCH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a PDCCH indicating SPS release is not previously indicated in a conflicting subframe, half- The duplex terminal does not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can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On the other hand, if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n a secondary serving cell or a PDSCH for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a PDCCH indicating SPS release in the conflicting subframe is previously indicated, the half-duplex terminal is the conflicting subframe Does not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may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다음으로 Case 1-2의 경우,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모두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가 사전에 지시되지 않았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 부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상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지시되었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부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Next, in case of Case 1-2, if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in both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is not previously indicated, the half-duplex terminal is in the conflicting subframe. Uplink signals and uplink channels are not transmitted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can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On the other hand, if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n a primary serving cell or a secondary serving cell or a PDSCH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a PDCCH instructing SPS release is indicated in advance within a conflicting subframe, the half-duplex termina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reception of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is not expected.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may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primary serving cell 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다음으로, Case 1-3과 같이 주서빙셀이 특별 서브프레임인 경우,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부서빙셀상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가 사전에 지시되지 않았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 부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부서빙셀상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가 사전에 지시되었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의 UpPTS상 및/또는 부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Next, as in Case 1-3, when the primary serving cell is a special subframe, if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is not previously indicated, the half-duplex terminal In conflicting subframes, uplink signals and uplink channels are not transmitted on the primary and secondary serving cells.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can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On the other hand, if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n a secondary serving cell is previously indicated in a conflicting subframe, the half-duplex terminal receives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Do not expect.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may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UpPTS and/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of the prim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 CaseCase 2> 2>

Case 2는 주서빙셀이 FDD이고, 부서빙셀이 TDD인 경우이다. Case 2에서는 기지국(또는 네트워크)이 주서빙셀을 FDD로, 부서빙셀을 TDD로 설정하였을 경우, 서브프레임 번호에 따라 하나의 서브프레임 동안 표 4와 같은 3가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 타입이 발생할 수 있다. Case 2 is a case where the primary serving cell is FDD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is TDD. In Case 2, when the base station (or network) sets the primary serving cell as FDD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as TDD, three different subframe types as shown in Table 4 may occur during one subframe according to the subframe number. have.

Case 번호Case number 주서빙셀Main serving cell 부서빙셀Department serving cell Case 2-1Case 2-1 DL 및 UL subframeDL and UL subframe DL subframeDL subframe Case 2-2Case 2-2 DL 및 UL subframeDL and UL subframe UL subframeUL subframe Case 2-3Case 2-3 DL 및 UL subframeDL and UL subframe Special subframeSpecial subframe

상기와 같이 다수의 서빙셀들이 서로 다른 듀플렉스 방식으로 구성된 경우라 할지라도, 단말의 능력(즉, 단말이 상충 서브프레임내 다수의 반송파상에서 동시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지 아닌지)에 따라 하향링크의 수신/상향링크의 전송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이 다수의 반송파상에서 동시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풀-듀플렉스를 지원하는지, 그렇지 않은 하프-듀플렉스 동작을 지원하는지에 따라서 새로운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에 관하여 정의된다. 또한, 각 Case 별로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의 타입의 관계와 단말의 성능에 따라 적절한 동작 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Even when multiple serving cells are configured in different duplex schemes as described above, downlink reception/upload according to the capabilities of the terminal (i.e., whether the terminal can simultaneously transmit and receive data on multiple carriers in conflicting subframes) The transmission operation of the link may vary. Hereinafter, a method of supporting a new operation is def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UE supports full-duplex capable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a plurality of carriers or not supporting half-duplex operation. In addition, a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subframe types for each case and an appropriate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terminal are disclosed.

1) 풀-듀플렉스 단말의 경우1) In the case of a full-duplex terminal

도 1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D-FDD 반송파 집성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17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subfram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DD-FDD carrier aggreg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7을 참조하면, 주서빙셀(PCell)은 FDD 방식이 적용되며,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가 구성된다. 그리고 부서빙셀(SCell)은 TDD 방식이 적용되며,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에 따라 서브프레임들이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7, the FDD scheme is applied to the primary serving cell (PCell), and downlink and uplink are configured in all subframes. In addition, the TDD scheme is applied to the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and subframes are configured according to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0.

이때, 표 4에 따른 Case 2-1, 2-2 및 2-3이 발생할 수 있다. Case 2-1의 경우, 풀-듀플렉스 단말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모두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수신을 기대할 수 있고, 주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이 가능하다. 즉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풀-듀플렉스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수신에 제약이 없다. At this time, Cases 2-1, 2-2, and 2-3 according to Table 4 may occur. In case 2-1, the full-duplex terminal can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in both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and transmission of an uplink signal and/or an uplink channel in the primary serving cell is It is possible. That is, there is no restriction on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reception of a full-duplex terminal in conflicting subframes.

다음으로 Case 2-2의 경우에도, 풀-듀플렉스 단말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모두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이 가능하며, 주서빙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즉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풀-듀플렉스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수신에 제약이 없다. Next, even in case 2-2, the full-duplex terminal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and/or an uplink channel in both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and for downlink transmission in the primary serving cell. You can expect to receive it. That is, there is no restriction on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reception of a full-duplex terminal in conflicting subframes.

다음으로, Case 2-3과 같이 부서빙셀이 특별 서브프레임인 경우에 있어서, 풀-듀플렉스 단말은 부서빙셀의 DwPTS 구간과 주서빙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수신을 기대할 수 있고, 부서빙셀의 UpPTS 구간과 주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이 가능하다. 그런데, 부서빙셀상의 특별 서브프레임의 보호구간(guard period: GP)에서는 단말이 하향링크의 수신이나 상향링크의 전송을 수행할 수 없어, 자원이 낭비될 수 있다. Next, in the case where the secondary serving cell is a special subframe as in Case 2-3, the full-duplex terminal can expect reception of the DwPTS section of the secondary serving cell and the downlink transmission i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or an uplink channel in the UpPTS period of the serving cell and the primary serving cell. However, in the guard period (GP) of the special subframe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the UE cannot receive downlink or transmit uplink, and thus resources may be wasted.

이 경우에는 풀-듀플렉스의 장점을 활용하여 추가적으로 효율적인 자원활용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부서빙셀상의 특별 서브프레임은 TDD 본연의 하프-듀플렉스 동작(단일 반송파 관점(Rel-8))에서 DL->UL전송으로 전환하기 위함이였다. 그러나, 단말은 TDD-FDD 결합 동작을 위해서 풀-듀플렉스 동작을 위한 성능(capability) 및 구현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부서빙셀의 특별 서브프레임을 기존의 용도 그대로 활용하기 보다는, 좀더 효율적인 TDD에서의 자원활용을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방법은 특별 서브프레임을 기존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팬하거나, 아예 새로운 포맷의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각각 FDD, TDD인 조건에만 차이가 있을 뿐 도 10 내지 도 13에서의 스패닝 방법이 본 실시예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additional efficient resource utilization is possible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full-duplex. This is because the special subframe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is to switch to DL->UL transmission in the half-duplex operation of TDD (single carrier viewpoint (Rel-8)). However, the UE may have the capability and implementation for a full-duplex operation for a TDD-FDD combination operation. Accordingly, this embodiment discloses a method for more efficient resource utilization in TDD, rather than using a special subframe of a secondary serving cell as it is for an existing purpose. This method includes spanning a special subframe into an existing downlink subframe or an uplink subframe, or changing to a subframe of a new format altogether. In this case, there is only a difference only in the condition that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are FDD and TDD, respectively, and the spanning method of FIGS. 10 to 13 may be applied as it is to the present embodiment.

2) 하프-듀플렉스 단말의 경우 (UL전송 유무 기반)2) In the case of a half-duplex terminal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UL transmission)

UL 전송 유무 기반의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다수의 서빙셀의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UL 전송의 유무를 기준으로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 둘 중 하나만 동작 가능한 단말을 의미한다.The half-duplex terminal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UL transmission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only one of data transmission or reception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UL transmission in conflicting subframes of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주서빙셀(PCell)은 FDD 방식이 적용되며,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가 구성된다. 그리고 부서빙셀(SCell)은 TDD 방식이 적용되며,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에 따라 서브프레임들이 구성된다. The FDD scheme is applied to the primary serving cell (PCell), and downlink and uplink are configured in all subframes. In addition, the TDD scheme is applied to the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and subframes are configured according to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0.

이때, 표 4에 따른 Case 2-1, 2-2 및 2-3이 발생할 수 있다. 각 Case 별 상충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즉, PUSCH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전송되었는지에 따라 서브프레임의 방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주서빙셀상 및/또는 부서빙셀상의 서브프레임 2, 3에 대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가 전송되었으면, 단말은 해당 서브프레임 2, 3에서는 주서빙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2, 3은 부서빙셀에 대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단말은 부서빙셀의 서브프레임 2, 3에서 당연히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다. 참고로 Case 1내에서 고려했던 주서빙셀의 방향을 따르는 방법은 Case 2에서는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주서빙셀에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방향이 존재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고, 상향링크 전송(즉, PUSCH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전송되었는지에 따라 서브프레임의 방향을 결정하는 하프-듀플렉스 단말의 동작만 가정하더라도 구현에 충분하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Cases 2-1, 2-2, and 2-3 according to Table 4 may occur. In conflicting subframes for each case, the half-duplex terminal has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i.e., PUSCH transmission) or a PDSCH for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a PDCCH indicating release of the SPS. The direction of the subfra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it is transmitted to. For example, if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is transmitted for subframes 2 and 3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or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the UE performs downlink transmission in the primary serving cell in the corresponding subframes 2 and 3. Do not expect to receive. Here, since subframes 2 and 3 are uplink subframes f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the UE naturally does not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in subframes 2 and 3 of the secondary serving cell. For reference, the method of following the direction of the primary serving cell considered in Case 1 may not be considered in Case 2. Because two different directions exist in the primary serving cell, additional consideration is required, and release of PDSCH or SPS that requires uplink grant or HARQ-ACK transmission for uplink transmission (ie, PUSCH transmission) This is because it is sufficient for implementation even assuming the operation of the half-duplex terminal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subframe according to whether the PDCCH indicating the is transmitted in advance.

Case 2-1의 경우,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주서빙셀상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지시되지 않았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주서빙셀상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가 사전에 지시되었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 부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Case 2-1, if the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or the PDSCH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the PDCCH indicating SPS release is not previously indicated, half- The duplex terminal does not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prim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can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On the other hand, if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is previously indicated in the conflicting subframe, the half-duplex terminal expects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I never do that.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may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prim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다음으로 Case 2-2의 경우,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 모두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지시되지 않았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 부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상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지시되었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및/또는 부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Next, in case of Case 2-2,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in both a primary serving cell or a secondary serving cell within a conflicting subframe or a PDSCH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a PDCCH indicating release of the SPS is pre- If not indicated, the half-duplex terminal does not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can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On the other hand, if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n a primary serving cell or a secondary serving cell or a PDSCH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a PDCCH instructing SPS release is indicated in advance within a conflicting subframe, the half-duplex termina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reception of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is not expected.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may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다음으로, Case 2-3과 같이 부서빙셀이 특별 서브프레임인 경우,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주서빙셀상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지시되지 않았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 부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주서빙셀상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지시되었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Next, as in Case 2-3, when the secondary serving cell is a special subframe,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within a conflicting subframe or a PDSCH or SPS release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is indicated. If the PDCCH is not previously indicated, the half-duplex terminal does not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can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On the other hand, if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or a PDSCH for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a PDCCH indicating SPS release is indicated in advance within the conflicting subframe, the half-duplex terminal is the conflicting subframe Does not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may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prim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도 1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간의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여기서, 각 단계를 수행하기에 앞서 기지국은 단말에 다수의 서빙셀을 구성하는 단계가 선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과 기지국은 상기 다수의 서빙셀들간에 TDD-FDD 반송파 집성을 지원한다고 하자. 여기서, 각 서빙셀별 듀플렉스 방식은 TDD 또는 FDD로 정해질 수 있다. 18 is a signaling flowchart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prior to performing each step, the step of configuring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in the terminal by the base station may occur in advance.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support TDD-FDD carrier aggreg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erving cells. Here, the duplex scheme for each serving cell may be determined as TDD or FDD.

도 18을 참조하면, 단말은 제1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800). 일례로서, 제1 메시지는 단말 성능 정보(UE capability information)로서, 단말이 TDD-FDD 반송파 집성 시에 풀-듀플렉스(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n multiple carriers) 또는 하프-듀플렉스(no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n multiple carriers)의 지원여부를 표시하는 필드인 듀플렉스 모드 필드(duplex mode field or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메시지는 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상의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통지 메시지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메시지는 듀플렉스 모드 필드 및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the terminal transmits a first message to the base station (S1800). As an example, the first message is UE capability information, and when the UE aggregates TDD-FDD carriers, it is a full-duplex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n multiple carriers) or a half-duplex (no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n multiple). carriers) may include a duplex mode field (duplex mode field or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field) that indicates whether or not support is supported.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message may be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a special subframe on a primary serving cell or a secondary serving cell can be spanned as a downlink subframe (or uplink subframe).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message may include a duplex mode field and a notification message.

단말과 기지국은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미리 규약된 방식에 따라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S1805). 주서빙셀과 부서빙셀간에 송수신 형태가 Case 1인지 Case 2인지에 따라, 그리고 상기 단말의 듀플렉스 성능(풀-듀플렉스 단말인지 하프-듀플렉스 단말인지 또는 같은 의미로 다수의 서빙셀상에서 데이터의 동시 송수신 가능 여부)에 따라,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개시된 실시예들에 기반하여 단말과 기지국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 conflicting subframe according to a predefined scheme (S1805). Depending on whether the transmission/reception type betwee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is Case 1 or Case 2, and the duplex performance of the terminal (whether it is a full-duplex terminal or a half-duplex terminal, or in the same sens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n multiple serving cells simultaneously) Availability),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embodiments disclosed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예를 들어, 주어진 환경이 Case 1이고, 상기 단말이 하프-듀플렉스 단말인 경우, 도 14에서 도시된 "<Case 1> 및 2) 주서빙셀 설정 기반의 하프-듀플렉스 단말"에 해당하는 통신 동작을 단말이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S1805의 상충 서브프레임에서의 통신은, 다음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given environment is Case 1 and the terminal is a half-duplex terminal, a communication operation corresponding to "<Case 1> and 2) a half-duplex terminal based on primary serving cell configuration" shown in FIG. 14 The terminal can perform. In this case, communication in the conflicting subframe of S1805 may include the following operations.

일례로서, Case 1-1의 경우, 주서빙셀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모두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수신을 기대할 수 있으나(주서빙셀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기 때문), 부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을 하지 않는다. As an example, in case 1-1, since the primary serving cell is a downlink subframe, the half-duplex terminal can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in both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the primary serving cell is Because it is a downlink subframe), transmission of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in a secondary serving cell is not performed.

다른 예로서, Case 1-2의 경우,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모두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이 가능하나(주서빙셀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기 때문), 부서빙셀에서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수신을 기대할 수 없다. As another example, in case of Case 1-2, the half-duplex terminal can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or an uplink channel in both a primary serving cell and a secondary serving cell (the primary serving cell is an uplink subframe. Because), reception of downlink transmission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cannot be expected.

또 다른 예로서, Case 1-3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경우,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UpPTS와 겹치는(overlap) 부서빙셀상의 OFDM 심볼들에서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다. 예컨대,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부서빙셀에서의 PDSCH, EPDCCH, PMCH, PRS의 전송에 대한 수신을 기대할 수 없다. 다만, 특별 서브프레임 내의 DwPTS구간은 부서빙셀의 PCFICH 및/또는 PDCCH 구간과 일치할 수 있으므로,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주서빙셀에서의 DwPTS 및 부서빙셀에서의 PCFICH 및/또는 PDCCH, 그리고 그외 DwPTS와 겹치는 구간에서 수신가능한 하향링크 신호/채널의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향링크의 경우, 하프-듀플렉스 DwPTS와 겹치는 OFDM 심볼들에서 상향링크 신호/채널을 전송하지 않는다. 예컨대, 단말은 부서빙셀에서의 PUSCH의 전송 및 상향링크 신호/채널을 전송하지 않는다. 다만, 특별 서브프레임 내의 UpPTS구간은 부서빙셀의 사운딩 기준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와 일치할 수 있으므로,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주서빙셀에서의 UpPTS 및 부서빙셀에서의 SRS, 그리고 그외 UpPTS와 겹치는 구간에서 전송가능한 상향링크 신호/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Case 1-3, in the case of downlink, the half-duplex terminal does not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in OFDM symbols on the secondary serving cell that overlap with the UpPTS. For example, a half-duplex terminal cannot expect to receive transmission of PDSCH, EPDCCH, PMCH, and PRS in a secondary serving cell. However, since the DwPTS section in the special subframe may coincide with the PCFICH and/or PDCCH section of the secondary serving cell, the half-duplex terminal is the DwPTS i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PCFICH and/or PDCCH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and others. It is possible to expect reception of a downlink signal/channel that can be received in a section overlapping with the DwPTS. Meanwhile, in the case of uplink, an uplink signal/channel is not transmitted in OFDM symbols overlapping the half-duplex DwPTS. For example, the UE does not transmit PUSCH and uplink signals/channels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However, since the UpPTS section in the special subframe may coincide with the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of the secondary serving cell, the half-duplex terminal has the UpPTS i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RS in the secondary serving cell, and In addition, uplink signals/channels that can be transmitted in a period overlapping the UpPTS can be transmitted.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간의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여기서, 각 단계를 수행하기에 앞서 기지국은 단말에 다수의 서빙셀을 구성하는 단계가 선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과 기지국은 상기 다수의 서빙셀들간에 TDD-FDD 반송파 집성을 지원한다고 하자. 여기서, 각 서빙셀별 듀플렉스 방식은 TDD 또는 FDD로 정해질 수 있다. 19 is a signaling flowchart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prior to performing each step, the step of configuring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in the terminal may occur in advance by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support TDD-FDD carrier aggreg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erving cells. Here, the duplex scheme for each serving cell may be determined as TDD or FDD.

도 19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제2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1900). 일례로서, 제2 메시지는 주서빙셀(또는 부서빙셀)상의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하도록 지시하는 스패닝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또는 RRC 메시지(모든 TDD-FDD 반송파 집성 지원 가능한 단말들에 공통(common)됨)와 같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패닝 메시지는 Case 1-3의 특별 서브프레임은 풀-듀플렉스 단말에 대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라고 지시할 수 있다. 19,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second message to the terminal (S1900). As an example, the second message may include a spanning message instructing to span a special subframe on a primary serving cell (or a secondary serving cell) to a downlink subframe (or uplink subframe). In addition, the second message may be higher layer signaling such as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or an RRC message (common to all terminals capable of support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For example, the spanning message may indicate that the special subframe of Case 1-3 is a downlink subframe (or uplink subframe) for a full-duplex terminal.

단말과 기지국은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미리 규약된 방식에 따라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S1905). 주서빙셀과 부서빙셀간에 송수신 형태가 Case 1인지 Case 2인지에 따라, 그리고 상기 단말의 듀플렉스 성능(풀-듀플렉스 단말인지 하프-듀플렉스 단말인지, 또는 같은 의미로서 다수의 서빙셀 상에서 데이터의 동시 송수신 가능 여부)에 따라,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개시된 실시예들에 기반하여 단말과 기지국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 conflicting subframe according to a predefined scheme (S1905). Depending on whether the transmission/reception type betwee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is Case 1 or Case 2, and the duplex performance of the terminal (whether it is a full-duplex terminal or a half-duplex terminal, or, as the same meaning, simultaneous data on multiple serving cell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ransmission/reception is possible),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embodiments disclosed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예를 들어, 주어진 환경이 Case 2이고, 상기 단말이 UL전송 유무 기반의 하프-듀플렉스 단말인 경우, 본 명세서에서 "<Case 2> 및 2) 하프-듀플렉스 단말"에 해당하는 통신 동작을 단말이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S1905의 상충 서브프레임에서의 통신은, 다음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given environment is Case 2 and the terminal is a half-duplex terminal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UL transmission, the terminal performs a communication operation corresponding to "<Case 2> and 2) a half-duplex termina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done. In this case, communication in the conflicting subframe of S1905 may include the following operations.

일례로서 Case 2-1의 경우,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주서빙셀상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지시되지 않았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주서빙셀상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지시되었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 부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As an example, in case of Case 2-1, if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in a conflicting subframe or a PDSCH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a PDCCH indicating release of SPS is not previously indicated, The half-duplex terminal does not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prim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can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On the other hand, if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or a PDSCH for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a PDCCH indicating SPS release is indicated in advance within the conflicting subframe, the half-duplex terminal is the conflicting subframe Does not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may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prim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다른 예로서 Case 2-2의 경우,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 모두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지시되지 않았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 부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상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지시되었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및/또는 부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case of Case 2-2, a PDSCH for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in both a primary serving cell or a secondary serving cell within a conflicting subframe or a PDCCH indicating release of the SPS is If not indicated in advance, the half-duplex terminal does not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can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On the other hand, if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n a primary serving cell and/or a secondary serving cell in a conflicting subframe or a PDSCH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a PDCCH indicating SPS release is indicated in advance, half-duplex The UE does not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may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또 다른 예로서 Case 2-3의 경우,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주서빙셀상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지시되지 않았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 부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상충 서브프레임내에서 주서빙셀상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HARQ-ACK전송을 요구하는 PDSCH 혹은 SPS 해제를 지시하는 PDCCH가 사전에 지시되었으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하프-듀플렉스 단말은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case of Case 2-3,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n a primary serving cell in a conflicting subframe, a PDSCH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a PDCCH indicating SPS release is not indicated in advance. If yes, the half-duplex terminal does not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can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On the other hand, if an uplink grant for up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or a PDSCH for requesting HARQ-ACK transmission or a PDCCH indicating SPS release is indicated in advance within the conflicting subframe, the half-duplex terminal is the conflicting subframe Does not expect to receive downlink transmiss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or the secondary serving cell. In other words, the half-duplex terminal may transmit an uplink signal and an uplink channel on the primary serving cell in the conflicting subframe.

도 2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을 참조하면, 단말(2000)은 수신부(2005), 단말 프로세서(2010) 및 전송부(2015)를 포함한다. 단말은 TDD-FDD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며, 풀-듀플렉스/하프-듀플렉스(주서빙셀 기반)/하프-듀플렉스(UL 전송 유무 기반)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the terminal 2000 includes a reception unit 2005, a terminal processor 2010, and a transmission unit 2015. The terminal supports TDD-FDD carrier aggregation, and may support at least one of full-duplex/half-duplex (based on primary serving cell)/half-duplex (based on whether or not UL transmission is present).

수신부(2005)는 기지국(2050)으로부터 제2 메시지 및 하향링크 신호 또는 채널을 수신한다. 특히, 수신부(2005)는 본 명세서에 따라 정의된 방식으로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2005 receives a second message and a downlink signal or channel from the base station 2050. In particular, the receiver 2005 may receive a downlink signal and/or a channel in conflicting subframes in a manner def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단말 프로세서(2010)는 서로 다른 듀플렉스 방식이 적용되는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을 반송파 집성에 의해 단말(2000)에 구성한다. The terminal processor 2010 configures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to which different duplex schemes are applied in the terminal 2000 by carrier aggregation.

단말 프로세서(2010)는 주서빙셀과 부서빙셀간에 송수신 형태가 Case 1인지 Case 2인지에 따라, 그리고 상기 단말의 듀플렉스 성능(풀-듀플렉스 단말인지 주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하프-듀플렉스 단말인지 아니면 UL 전송 유무를 기반으로 하는 하프-듀플렉스 단말인지)에 따라,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개시된 실시예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terminal processor 2010 determines whether the transmission/reception type betwee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is Case 1 or Case 2, and the duplex performance of the terminal (a full-duplex terminal or a half-based subframe of the primary serving cell). Depending on whether it is a duplex terminal or a half-duplex terminal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UL transmiss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일례로서, 주어진 환경이 Case 1이고, 단말(2000)이 풀-듀플렉스 단말인 경우, 서브프레임 상충이 발생하는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할 수 있다. 또는 단말 프로세서(2010)는 서브프레임 상충이 발생하는 특별 서브프레임을 새로운 포맷의 서브프레임으로 전환할 수 있다. As an example, when the given environment is Case 1 and the terminal 2000 is a full-duplex terminal, a special subframe in which a subframe conflict occurs may be spanned as a downlink subframe or an uplink subframe. Alternatively, the terminal processor 2010 may convert a special subframe in which subframe conflict occurs into a subframe of a new format.

다른 예로서, 주어진 환경이 Case 2이고, 단말(2000)이 UL 전송 유무 기반의 하프-듀플렉스 하프-듀플렉스 단말인 경우, 단말 프로세서(2010)는 본 명세서에서 "<Case 2> 및 2) UL 전송 유무 기반의 하프-듀플렉스 단말"에 해당하는 통신 동작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given environment is Case 2, and the terminal 2000 is a half-duplex half-duplex terminal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UL transmission, the terminal processor 2010 refers to "<Case 2> and 2) UL transmission in this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xecution of a communication operation corresponding to "presence-based half-duplex terminal".

한편, 단말 프로세서(2010)는 제1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부(2015)로 보낸다. Meanwhile, the terminal processor 2010 generates a first message and sends it to the transmission unit 2015.

전송부(2015)는 단말 프로세서(2010)의 제어에 따라 상향링크 신호 또는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2015)는 제1 메시지를 기지국(20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2015 may transmit an uplink signal or an uplink channel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processor 2010. Also, the transmission unit 2015 may transmit the first message to the base station 2050.

기지국(2050)은 전송부(2055), 수신부(2060) 및 기지국 프로세서(2065)를 포함한다.The base station 2050 includes a transmission unit 2055, a reception unit 2060, and a base station processor 2065.

전송부(2055)는 제2 메시지, 하향링크 신호 및/또는 하향링크 채널을 단말(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 및/또는 하향링크 채널의 전송은 기지국 프로세서(2065)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프로세서(2065)는 주어진 환경이 Case 1이고, 단말(2000)이 풀-듀플렉스 단말인 경우, 서브프레임 상충이 발생하는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 프로세서(2065)는 서브프레임 상충이 발생하는 특별 서브프레임을 새로운 포맷의 서브프레임으로 전환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2055 may transmit a second message, a downlink signal, and/or a downlink channel to the terminal 2000. Here, transmission of the downlink signal and/or downlink channel is controlled by the base station processor 2065. For example, when the given environment is Case 1 and the terminal 2000 is a full-duplex terminal, the base station processor 2065 spans a special subframe in which a subframe conflict occurs as a downlink subframe or an uplink subframe. can do. Alternatively, the base station processor 2065 may convert a special subframe in which subframe conflict occurs into a subframe of a new format.

수신부(2060)는 단말(2000)로부터 상향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링크 채널을 수신하거나,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링크 채널의 수신은 기지국 프로세서(2065)에 의해 제어된다. The receiver 2060 may receive an uplink signal and/or an uplink channel from the terminal 2000 or may receive a first message. Here, reception of the uplink signal and/or uplink channel is controlled by the base station processor 2065.

기지국 프로세서(2065)는 주서빙셀과 부서빙셀간에 송수신 형태의 Case, 그리고 단말(2000)의 듀플렉스 성능(풀-듀플렉스 단말인지, 주서빙셀 설정 기반의 하프-듀플렉스 단말인지, 아니면 UL 전송 유무 기반의 하프-듀플렉스 단말인지)과 같은 두 가지 요소의 조합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processor 2065 transmits/receives a case in the form of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and the duplex performance of the terminal 2000 (is it a full-duplex terminal, a half-duplex terminal based on a primary serving cell configuration, or whether there is UL transmiss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mbination of the two elements, such as whether the terminal is based on half-duplex terminals, so that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operat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단말에 의한 통신의 수행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방식(duplex scheme)이 적용되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을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에 의해 단말에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서빙셀과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전송 링크(transmission link)의 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상충 서브프레임(collision subframe)들을 통해 하향링크 수신 및 상향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서빙셀에 TDD가 적용되고, 상기 부서빙셀에 FDD가 적용되며, 상기 주서빙셀에 특별 서브프레임이 구성되고, 상기 단말의 성능(capability)이 풀-듀플렉스(full-duplex)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되고,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은 DwPTS와 UpPTS만으로 구성된 새로운 포맷의 서브프레임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의 수행방법.
As a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by a terminal,
Configuring a primary serving cell (PCell) and a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to which different duplex schemes are applied to the terminal by carrier aggregation; And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performing at least one of downlink reception and uplink transmission through two conflicting subframes having different directions of a transmission link, ,
TDD is applied to the primary serving cell, FDD is applied to the secondary serving cell, a special subframe is configured i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capability of the terminal supports full-duplex If so, the downlink reception and the uplink transmission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The special sub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verted into a subframe of a new format consisting only of DwPTS and UpP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성능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풀-듀플렉스, 상기 주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하프 듀플렉스(half-duplex),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유무를 기반으로 하는 하프 듀플렉스 중 어느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가 결정되는, 통신의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UE, the UE selects any of the full-duplex, a half-duplex based on a subframe of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a half duplex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plink transmission. How to perform communication, which is determined whether to suppor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spanned)되고,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의 스패닝은 기지국에 의해 지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의 수행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pecial subframe is spanned as an uplink subframe or a downlink subframe,
Spanning of the special sub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ndicated by the base station, the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성능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의 수행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terminal to a base station.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로서,
서로 다른 듀플렉스 방식(duplex scheme)이 적용되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을 반송파집성(carrier aggregation)에 의해 단말에 구성하는 단말 프로세서;
상기 주서빙셀과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전송 링크(transmission link)의 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상충 서브프레임(collision subframe)들을 통해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하는 수신부; 및
상기 상충 서브프레임들을 통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서빙셀에 TDD가 적용되고, 상기 부서빙셀에 FDD가 적용되며, 상기 주서빙셀에 특별 서브프레임이 구성되고, 상기 단말의 성능(capability)이 풀-듀플렉스(full-duplex)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향링크 수신과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상기 수신부와 상기 전송부를 제어하고,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은 DwPTS와 UpPTS만으로 구성된 새로운 포맷의 서브프레임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As a terminal performing communication,
A terminal processor configured to configure a primary serving cell (PCell) and a secondary serving cell (SCell) to which different duplex schemes are applied to the terminal by carrier aggregation;
A receiving unit for performing downlink reception o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secondary serving cell through two conflicting subframes having different directions of a transmission link; And
Including a transmission unit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through the conflicting subframes,
TDD is applied to the primary serving cell, FDD is applied to the secondary serving cell, a special subframe is configured in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the capability of the terminal supports full-duplex In this case, the processor controls the receiving unit and the transmitting unit so that the downlink reception and the uplink transmission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The special sub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verted into a subframe of a new format consisting of only DwPTS and UpPT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성능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풀-듀플렉스, 상기 주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하프 듀플렉스(half-duplex),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유무를 기반으로 하는 하프 듀플렉스 중 어느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가 결정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6,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UE, the UE selects any of the full-duplex, a half-duplex based on a subframe of the primary serving cell, and a half duplex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plink transmiss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o support the terminal.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스패닝(spanned)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의 스패닝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6,
The special subframe is spanned as an uplink subframe or a downlink subframe,
The receiv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from the base station a message indicating the spanning of the special subfram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단말의 성능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6,
The transmiss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의 전환은 기지국에 의해 지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의 수행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of the special subframe is indicated by the base st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의 전환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6,
The receiv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 message instructing to switch the special subframe from the base station.



KR1020130125257A 2013-10-21 2013-10-21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different duplex scheme is applied to different serving cell KR102157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257A KR102157618B1 (en) 2013-10-21 2013-10-21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different duplex scheme is applied to different serving cell
PCT/KR2014/009892 WO2015060620A1 (en) 2013-10-21 2014-10-21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different duplex schemes for each serving cell,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257A KR102157618B1 (en) 2013-10-21 2013-10-21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different duplex scheme is applied to different serving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684A KR20150045684A (en) 2015-04-29
KR102157618B1 true KR102157618B1 (en) 2020-09-18

Family

ID=5299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257A KR102157618B1 (en) 2013-10-21 2013-10-21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different duplex scheme is applied to different serving cel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7618B1 (en)
WO (1) WO2015060620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089A (en) * 2017-06-16 2020-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Serving Cells and Method and Device Supporting On-Demand System Information Messa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241499B2 (en) 2015-03-31 2020-12-17 Ildong Pharm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eye diseases,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fusion protein in which tissue-penetrating peptide and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preparation are fused
EP3358896A4 (en) * 2015-09-30 2019-05-01 Fujitsu Limited Scheduling information determining device, and scheduling device, method and system
EP4082269A1 (en) * 2019-12-27 2022-11-0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ownlink and uplink data dci triggering for full duplex u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711827B2 (en) 2020-04-09 2023-07-25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and processing in full duplex scenarios
CN115333704A (en) * 2021-05-10 2022-11-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Transmission control method, device,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7555B2 (en) * 2010-05-17 2016-0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a carrier indication field for a multi-carri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34473*
3GPP R1-13461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089A (en) * 2017-06-16 2020-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Serving Cells and Method and Device Supporting On-Demand System Information Messages
KR102591104B1 (en) 2017-06-16 2023-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serving cells and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on-demand system information mess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0620A1 (en) 2015-04-30
KR20150045684A (en)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9709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uplink scheduling and HARQ timing
KR102023671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periodic csi reporting
KR102163635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application timing control for tpc command considering tdd-fdd ca
KR102120497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harq ack/nackand apparatus using thereof
US98194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730240B2 (en) Communication method considering carrier type and apparatus for same
KR101549763B1 (en)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in carrier aggregate system
US1008022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downlink HARQ timing
WO201512263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7130991A1 (en) User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150051063A (en) Method and apparatus of harq-ack/sr simultaneous transmission
KR1021576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different duplex scheme is applied to different serving cell
KR201500601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harq ack/nack
KR102118750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uplink scheduling and harq timing
EP3001581B1 (en) Structure of full duplex radio region applied in radio access system supporting full duplex radio schem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same
KR201300596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ell selective signal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KR102173193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harq ack/nackand apparatus using thereof
KR202300355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04049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l harq in tdd system
KR20150090601A (en) Method for transmitting harq ack/nack and apparatus using thereof
KR102314101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uplink scheduling and harq timing
KR102251123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uplink scheduling and harq timing
KR102058817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periodic csi reporting
KR102058816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periodic csi reporting
KR20150060114A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downlink harq ti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