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370B1 - 과밀지수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창업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과밀지수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창업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370B1
KR102157370B1 KR1020180130744A KR20180130744A KR102157370B1 KR 102157370 B1 KR102157370 B1 KR 102157370B1 KR 1020180130744 A KR1020180130744 A KR 1020180130744A KR 20180130744 A KR20180130744 A KR 20180130744A KR 102157370 B1 KR102157370 B1 KR 102157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overcrowding
store
stores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975A (ko
Inventor
이수룡
Original Assignee
(주)카이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이모바일 filed Critical (주)카이모바일
Publication of KR20200025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06Q30/0205Location or geographical consid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업 지원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점포 간 거리를 이용하여 과밀지수를 산출하고 상대 상권을 분석함으로써 창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밀지수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창업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점포를 개설하고자 하는 특정 지역 내 이미 존재하는 타 점포간의 거리 및 각 점포에 부여되는 속성값에 따라 해당 업종의 과밀지수를 측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한 창업을 위한 추천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예비 창업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과밀지수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창업 지원 시스템{METHOD FOR CACULATING BUSINESS DENSITY INDEX AND SYSTEM FOR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창업 지원 시스템으로서, 점포 간 거리를 이용하여 과밀지수를 산출하고 상대 상권을 분석함으로써 창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밀지수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창업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지된 오프라인상의 점포 개설을 위한 입지 및 상권 분석 방법에 의하면 정보 획득을 위해 직접 현장을 답사하거나 관공서를 개별 방문하였으며, 창업을 희망하는 개인 등은 창업 컨설팅 업체 등을 통해 높은 비용을 부담하고 상권 분석 정보를 얻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렇게 획득한 정보는 그 정확도에서 한계가 있다. 예컨대 자신의 점포 위치가 행정동 영역의 제일 윗부분에 위치하더라도 시장의 크기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인구 수와 사업체 수 정보는 행정동 단위로 구성되어 있어 자신이 속한 점포의 상권 규모와는 현실성이 결여될 수밖에 없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8844호에서는 한 업종이 특정지역에 대해 과밀성을 가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업종밀집지수'를 사용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업종밀집지수는 현재 점포수를 해당상권의 특정 업종 적정 점포수로 나눈 것으로, 이렇게 특정 지역 내의 점포수 만으로 업종의 과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업체 간의 거리가 고려되지 않은 방법이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지역 내에 동일한 점포 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과밀성이 동일하다고 판단되며, 실제 과밀성 차이를 나타낼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밀도를 계산하는 지역 범위가 건물단위로 작아져야 하는데, 이러한 과밀도 산출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범위 내에서 신규 점포(m)가 어디에 위치하든 과밀도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예비창업자에게 특정 지역 내에서 적합한 창업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8844호(공개일자: 2007.03.13.)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의 상권을 분석하기 위해 활용되는 과밀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점포간 거리를 고려함으로써 실질적인 과밀성의 차이점을 보다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는 과밀지수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창업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이용한 창업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점포 입점 예상 지역을 입력받고, 상기 예상 지역에 대한 과밀지수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웹 페이지 제공부, 상기 예상 지역 내 위치하는 복수의 점포간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여 과밀지수를 산출하는 과밀지수 지수 산출기, 상기 예상 지역에 대한 과밀지수, 상기 예상 지역 내 임의의 위치에 점포가 입점하는 경우의 과밀지수를 비교하여 선정된 입점 추천 위치에 따른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추천정보 제공부, 상기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과밀지수의 산출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 및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수 산출기는 상기 예상 지역 내 복수의 점포들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수집된 위치 데이터를 수치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전처리부,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든 점포들에 대하여 타 점포와의 거리를 각각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각 점포간 거리의 최소값들의 평균을 산출하는 평균 및 역수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데이터는 속성값 중 하나로 처리할 수 있으며, 각 점포의 주소이고 상기 데이터 전처리부는 상기 점포의 주소를 수치 데이터인 위도 및 경도로 변환하여 위치간 거리를 계산하고 지수화 하는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수 산출기는 상기 점포에 부여되는 하나 이상의 속성값을 입력 받아 설정하는 속성값 설정부, 상기 예상 지역의 범위를 입력 받아 설정하는 지역 설정부, 지리정보에 기반한 각 지역 및 지역 내 위치한 복수의 점포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포정보가 저장된 지도D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거리의 종류는 직선 거리, 도보 거리, 대중교통 거리 및 자동차 거리 중 하나이고, 상기 거리의 종류는 상기 속성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예상 지역에 대한 특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천정보에 반영하는 부가지수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지수 산출기에 의한 과밀지수 산출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점포 예상 지역 내 복수의 점포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데이터를 전처리 하여 상기 점포의 주소를 수치 데이터인 위도 및 경도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점포에 부여되는 하나 이상의 속성값을 입력 받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예상 지역 내 지역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든 점포들에 대하여 타 점포와의 거리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각 점포간 거리의 최소값들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평균값의 역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든 점포들에 대하여 타 점포와의 거리를 각각 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속성값에 의해 결정되는 직선 거리, 도보 거리, 대중교통 거리 및 자동차 거리 중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과밀지수는 설정영역 내 대상 점포들에 대해 타 대상 점포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이중 최소값 취한 후 각 점포의 최소거리를 평균하여 그 역수를 취한 값이다.
상기 과밀지수는 설정영역과 설정 속성값에 따라 다르게 산출되며, 설정영역 내 점포들의 집중도가 높을수록 값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점포를 개설하고자 하는 특정 지역 내 이미 존재하는 타 점포간의 거리 및 각 점포에 부여되는 속성값에 따라 해당 업종의 과밀지수를 측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창업을 위한 추천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예비 창업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과밀지수 산출방법에 따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이용한 창업 지원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업 지원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업 지원 시스템에 포함되는 지수 산출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에 따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단말(Terminal)"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단말(Terminal)"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이용한 창업 지원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이용한 창업 지원 시스템(100)은 예비 창업자인 사용자가 창업시 점포 입점 예상 지역을 입력하고, 그 지역에 대한 과밀지수 산출에 따른 추천정보를 제공받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 노트북 및 거치형PC 등의 통신단말로서, 정보통신망을 통해 창업지원 시스템(100)이 게시한 창업 지원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웹 페이지를 통해 획득하고자 하는 창업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은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가 탑재되어 있고, 창업시 점포 입점 예상 지역을 선택하고 점포에 대한 속성값, 지역 범위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과밀지수에 기반하여 생성된 추천정보를 수신 및 표시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컴퓨팅 장치라도 이용 가능하다.
창업 지원 시스템(100)은 오프라인 점포를 개설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창업 지원, 특히 점포 입점시 해당 지역에 대한 상권을 분석하여 창업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창업 지원 시스템(100)은 점포의 입점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접속한 사용자 단말(10)에 과밀지수를 산출하되,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입력된 예상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 지역에 위치한 점포들간 거리 및 속성값에 따라 과밀지수를 산출하여 이에 따른 추천정보를 제공하게 되며, 이를 위한 소정의 과밀지수 산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업 지원 시스템(100)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웹 페이지를 웹 상에 게시할 수 있는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정보제공 요청을 지연 없이 처리 및 회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성능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대용량 메모리 및 저장소를 갖는 서버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이용한 창업지원 시스템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예비 창업자를 위한 상권 분석을 수행하고 정확도가 높은 추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업 지원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이용한 창업 지원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업 지원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점포 입점 예상 지역을 입력 받고 예상 지역에 대한 과밀지수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웹 페이지 제공부(110),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고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120), 예상 지역 내 위치하는 복수의 점포간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여 과밀지수를 산출하는 과밀지수 지수 산출기(130), 예상 지역에 대한 과밀지수와 예상 지역 내 임의의 위치에 점포가 입점하는 경우의 과밀지수를 비교하여 선정된 입점 추천 위치를 포함하는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추천정보 제공부(140),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과밀지수 산출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 및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제공부(110)는 본 발명의 창업 지원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웹 페이지 형태로 웹 상에 게시할 수 있다. 웹 페이지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여 사용자가 개설하고자 하는 점포의 지역 및 업종 등을 입력 받을 수 있고, 해당 지역에 대한 추천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회원 관리부(120)는 본 발명의 창업 지원 시스템(100)을 이용하기 위한 예비 창업자들의 회원가입, 계정생성, 로그인 및 회원정보 수정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20)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계정 및 회원정보를 생성하고 서버DB(170)에 저장할 수 있고 회원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제공요청에 따라 공지된 본인인증절차를 거쳐 로그인을 수행하게 된다.
지수 산출기(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점포 입점 예상 지역에 대한 과밀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지수 산출기(1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지역에 대하여 그 지역 내 위치한 복수의 점포 정보를 수집하고 점포 속성값을 선택하여 동일 업종에 해당하는 점포들간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지수 산출기는 산출된 거리의 최소값에 대한 평균값의 역수를 과밀지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지수 산출기(130)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과밀지수 산출방법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후술한다.
추천정보 제공부(140)는 지수 산출기(130)에 의해 산출된 결과에 따라, 해당 지역 내 점포 입점을 위한 최적의 위치에 따른 추천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지수 산출기(130)에 의해 산출된 과밀지수는 해당 지역 내 임의의 위치에 점포가 위치했을 때의 각 점포간 밀집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과밀지수 값이 크면 클수록 점포들이 밀집해 있음을 의미한다. 추천정보 제공부(140)는 각 위치별 과밀지수를 비교하여 가장 낮은 과밀지수에 해당하는 지역 내 영역을 선정하고, 이를 점포 입점을 위한 추천 영역으로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제공부(150)는 과밀지수를 산출하는 절차에 있어서 요구되는 각종 정보를 서버DB(170)로부터 추출하여 지수 산출기(130)에 제공할 수 있다. 과밀지수 산출과정에서는 각 지역을 나타내는 지리정보, 각 지역의 점포 위치 및 각 점포의 업종 등의 정보가 이용되며, 데이터 제공부(150)는 이러한 정보를 지수 산출기(1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업 지원 시스템(100)은 추천정보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부로서 부가지수 설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지수 설정부(160)는 서버DB(170)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예상 지역에 대하여 상권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천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상권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유동인구 및 교통량 등이 있다. 부가지수 설정부(160)는 이러한 요소들을 수치화하여 부가지수로서 추천정보에 포함하여 예비 창업자 지원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구현하는 창업 지원 시스템의 지수 산출기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업 지원 시스템에 포함되는 지수 산출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수 산출기(130)는 예상 지역 내 복수의 점포들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131), 수집된 위치 데이터를 수치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전처리부(132),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든 점포들에 대하여 타 점포간 거리를 각각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133), 점포에 부여되는 하나 이상의 속성값을 입력받아 설정하는 속성값 설정부(134), 예상 지역의 범위를 입력받아 설정하는 지역 설정부(135), 지리정보에 기반한 각 지역 및 지역 내 위치한 복수의 점포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포정보가 저장된 지도DB(136) 및 점포간 거리의 최소값들의 평균과 그 역수를 산출하는 평균 및 역수 산출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31)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창업 예상 지역에 대하여 근방에 인접한 점포들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점포들에 대한 정보는 서버DB(도 4의 170)에 저장될 수 있고 수집되는 데이터로는 점포의 위치 및 속성값 등이 있다.
전처리부(132)는 수집된 점포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거리 산출부(133)가 계산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를 전처리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점포 정보에 포함된 점포의 지번주소를 위도 및 경도와 같은 수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거리 산출부(133)는 각 점포들을 기준으로 하여 모든 점포들에 대하여 점포간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전처리 과정에 의해 각 점포들의 위치에 대한 수치 데이터를 확보하면 거리 산출부(133)는 어느 하나의 점포를 임의로 선정하고 나머지 점포들 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은 모든 점포에 대하여 반복 수행된다.
속성값 설정부(13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거리 산출 대상인 점포를 결정하는 속성값을 설정할 수 있다. 각 점포는 하나 이상의 속성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속성값은 점포의 업종 및 영업형태에 따른 속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일 예로서 '업종', '배달', '주차', '브랜드명' 등이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창업 형태에 따라 고려되어야 하는 점포의 속성을 결정할 수 있고, 속성값 설정부(134)는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속성값을 거리 산출부(133)에 의한 거리 산출과정에 반영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거리 산출부(133)는 속성값이 일치하거나 유사한 점포들을 대상으로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지역 설정부(135)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과밀지수를 구하고자 하는 지역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점포의 업종 및 영업형태에 따라 그 사업의 범위를 제한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지역 설정부(135)의 설정에 따라 거리 산출부(133)는 해당 지역에서 선택된 범위 내 점포만을 대상으로 하여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일례로서, 사용자가 점포 속성값에 '배달'을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 그 지역 범위는 상대적으로 좁게 설정될 수 있고, '주차'를 포함시킨다면 그 지역 범위는 상대적으로 넓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지역 설정부(135)는 지도DB(136)에 저장된 지리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속성값 설정부(134) 및 지역 설정부(135)에 의해 설정되는 설정값 및 지역 범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웹 페이지에 입력되는 값을 인터페이스(139)를 통해 전달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지도DB(136)는 각 지역 및 지역 내 위치한 복수의 점포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리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평균 및 역수 산출부(137)는 거리 산출부(133)에 의해 산출된 각 점포간 거리 값에서 최소값을 전달받아 그 평균값 및 역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점포간 거리에서 최소값의 평균의 역수는 과밀지수에 대응한다.
과밀지수는 설정 영역 내 대상 점포들에 대해 타 대상 점포와의 최소거리를 산출하고, 각 점포의 최소거리의 평균에 대한 역수를 취한 값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역수를 취함에 따라 과밀지수가 크다는 것은 해당 범위 내 특정 영역에 점포들이 몰려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과밀지수가 작다는 것은 해당 범위 내 점포들이 상대적으로 분산되어 위치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밀지수는 점포 입점 예상 지점에 따른 과밀지수와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장 작은 과밀지수를 갖는 위치를 추천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추천정보 제공부(140)에 전달되고, 점포간 거리에 따른 최적 점포 입점 위치를 구하는 데 이용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창업 지원 시스템에 의한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계별 실행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전술한 본 발명의 지수 산출기 및 이의 구성부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은 창업 지원 시스템에 포함되는 지수 산출기에 의한 과밀지수 산출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점포 예상 지역 내 복수의 점포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100), 수집된 데이터를 전처리 하여 점포의 주소를 수치 데이터인 위도 및 경도로 변환하는 단계(S110), 점포에 부여되는 하나 이상의 속성값을 입력 받아 설정하는 단계(S120), 예상 지역 내 지역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S130),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점포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모든 점포들에 대하여 타 점포간 거리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S140) 및 점포간 거리의 최소값들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점포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100)에서는 지수 산출기의 데이터 수집부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창업 예상 지역이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 범위 내에 있는 점포들에 대해 점포의 위치 및 속성값 등의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다음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전처리 하는 단계(S110)로서 점포 정보에 포함된 점포의 지번주소를 위도 및 경도와 같은 수치 데이터로 변환하게 된다.
점포에 부여되는 하나 이상의 속성값을 입력 받아 설정하는 단계(S120)는 속성값 설정부가 사용자로부터 점포의 속성값을 입력받아 설정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속성값은 둘 이상이 설정될 수 있고 그 속성값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의 종류가 결정되게 된다. 상기 점포의 속성값으로는 '업종', '배달여부', '브랜드명' 등이 있다.
지역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S13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에 따라 지도상의 범위를 제한 설정하게 된다.
점포간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S140)에서는 지역 범위내 동일 또는 유사 속성값에 해당하는 점포들간의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대상 점포들 중 어느 하나의 점포(B1, B2, B3, ..., Bn; n은 1이상의 자연수) 중 하나를 선정하여 자기 자신을 제외한 모든 타 점포와의 거리(D1, D2, D3, ..., Dn-1)를 구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현재 점포간 거리를 구하고자 하는 점포가 'A' 일 경우 'A'점포와 'B' ~ 'J' 점포와의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이 중, 최소거리를 'min(d)'라 한다.
전술한 거리산출 과정은 모든 점포에 대해서 수행되야 하며, 다음으로 'B' 점포와 'A' 점포와 'C' ~ 'J' 점포간 거리를 산출하고 그 중 최소거리인 'min(d)'를 산출하게 된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A'점포부터 'J'점포까지 모든 점포들의 점포간 최소거리인 'min(d)A' 부터 'min(d)J'까지를 산출하게 된다.
S140 단계에서 계산하는 거리의 종류로는 '직선거리', '도보거리', '대중교통 거리' 및 '자동차 거리' 등이 있으며, 이는 전술한 속성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직선거리'는 한 점포에서 타 점포까지의 일직선 거리일 수 있고, '도보거리'는 일반적인 성인이 도보로 이동한다고 가정할 때 가장 짧은 거리일 수 있다. 또한 '대중교통 거리'는 버스,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이동한다고 가정할 때 가장 짧은 거리일 수 있고 '자동차 거리'는 자동차를 이용하여 이동한다고 가정할 때 가장 짧은 거리일 수 있다.
그리고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S150)에서는 평균 및 역수 산출부가 S140 단계에서 산출된 각 점포간 거리 값에서 최소값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게 된다. 또한 그 평균값의 역수는 과밀지수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에 따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존 방법에 따르면 특정지역 내 산출한 과밀 정도가 '1' 일 경우(a), 그 지역 내 모든 지점에서 과밀 정도는 '1'을 갖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밀지수 산출방법에 의하면 지역 내 임의의 두 지점에서 과밀 정도가 '2'인 경우(b)와 과밀 정도가 '0.9'인 경우(c)로 산출될 수 있고, 과밀지수가 '0.9'인 지점 혹은 위치를 상대상권이 유리한 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 때의 점포 위치를 후보 위치 중 최적의 점포 입점 위치로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입력하는 설정값에 따라 이 과밀지수나 최적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 : 사용자 단말 100 : 창업 지원 시스템
110 : 웹 페이지 제공부 120 : 회원 관리부
130 : 지수 산출기 131 : 데이터 수집부
132 : 전처리부 133 : 거리 산출부
134 : 속성값 설정부 135 : 지역 설정부
136 : 지도DB 137 : 평균 및 역수 산출부
140 : 추천정보 제공부 150 : 데이터 제공부
160 : 부가지수 설정부 170 : 서버DB

Claims (9)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점포 입점 예상 지역을 입력 받고 상기 예상 지역에 대한 과밀지수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웹 페이지 제공부;
    상기 예상 지역 내 위치하는 복수의 점포의 점포 속성값에 따라 동일 업종에 해당하는 점포간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여 과밀지수를 산출하는 지수 산출기;
    상기 예상 지역에 대한 과밀지수와 상기 예상 지역 내 임의의 위치에 점포가 입점하는 경우의 과밀지수를 비교하여 과밀지수가 낮은 지점을 최적 점포 위치로 판단하여 선정된 입점 추천 위치에 따른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추천정보 제공부;
    상기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과밀지수의 산출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 및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점포 입점 예상 지역의 상권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유동인구 및 교통량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수치화한 후, 상기 추천정보에 반영하는 부가지수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수 산출기는
    상기 예상 지역 내 복수의 점포들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수집된 위치 데이터를 수치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전처리부;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든 점포들에 대하여 점포간 거리를 각각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각 점포간 거리의 최소값들의 평균값 및 상기 평균값의 역수인 과밀지수를 산출하는 평균 및 역수 산출부;
    상기 점포에 부여되는 사용자가 선택한 업종, 배달여부 및 브랜드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점포 속성값을 입력받아 설정하는 속성값 설정부;
    상기 예상 지역의 범위를 입력받아 설정하는 지역 설정부; 및
    지리정보에 기반한 각 지역 및 지역 내 위치한 복수의 점포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포정보가 저장된 지도DB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거리의 종류는 직선 거리, 도보 거리, 대중교통 거리, 자동차 거리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거리의 종류는 상기 점포 속성값에 의해 결정되는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이용하는 창업 지원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는 각 점포의 주소이고,
    상기 데이터 전처리부는
    상기 점포의 주소를 수치 데이터인 위도 및 경도로 변환하는 과밀지수 산출방법을 이용하는 창업 지원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130744A 2018-08-29 2018-10-30 과밀지수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창업 지원 시스템 KR102157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080 2018-08-29
KR20180102080 2018-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975A KR20200025975A (ko) 2020-03-10
KR102157370B1 true KR102157370B1 (ko) 2020-09-22

Family

ID=6980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744A KR102157370B1 (ko) 2018-08-29 2018-10-30 과밀지수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창업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3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3037766A1 (ko) * 2021-09-10 2023-03-16
KR102588539B1 (ko) * 2023-01-11 2023-10-12 강범희 사업장 설계를 위한 업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624B1 (ko) * 2009-04-28 2010-10-08 (주)오픈메이트 셀 통계 기법을 이용한 매출 예측 및 예측 상권 생성 방법과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177B1 (ko) 2005-09-08 2007-11-22 이형석 업종 밀집지수 산출서버 및 그 동작방법
KR101134441B1 (ko) * 2010-02-25 2012-04-09 (주) 퍼스트컨텍 후보지 점포의 경제성 평가 방법 및 서버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624B1 (ko) * 2009-04-28 2010-10-08 (주)오픈메이트 셀 통계 기법을 이용한 매출 예측 및 예측 상권 생성 방법과 그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정거래위원회, 업종별 신규 점포 거리제한(2012.12.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975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Evaluating and characterizing urban vibrancy using spatial big data: Shanghai as a case study
Hecht et al. Automatic identification of building types based on topographic databases–a comparison of different data sources
CN110019616B (zh) 一种poi现势状态获取方法及其设备、存储介质、服务器
US20110238591A1 (en) Automated profile standardization and competency profile generation
US11468136B2 (en) Item inventory locating from search queries
CN110020144B (zh) 一种推荐模型建立方法及其设备、存储介质、服务器
CN104573130A (zh) 基于群体计算的实体解析方法及装置
Safra et al. Location‐based algorithms for finding sets of corresponding objects over several geo‐spatial data sets
CN111178179B (zh) 一种基于像元尺度的城市功能区的识别方法及装置
KR100484223B1 (ko) 지역정보 검색서비스 시스템
CN108897750B (zh) 融合多元上下文信息的个性化地点推荐方法及设备
KR102157370B1 (ko) 과밀지수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창업 지원 시스템
CN113656698B (zh) 兴趣特征提取模型的训练方法、装置和电子设备
Lin et al. Extracting urban landmarks from geographical datasets using a random forests classifier
CN110245286A (zh) 一种基于数据挖掘的旅行推荐方法及装置
CN111369294A (zh) 软件造价估算方法及装置
CN116823535B (zh) 一种基于多模态大模型的行程规划及智能导览系统
CN108647189B (zh) 一种识别用户人群属性的方法及装置
CN109727056B (zh) 金融机构推荐方法、设备、存储介质及装置
KR20210023216A (ko) 빅데이터 기반 농장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1143454A (zh) 一种文本输出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6304155A (zh) 基于二维图片的三维构件检索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0633890A (zh) 一种土地利用效率判断方法和系统
CN115526315A (zh) 评分卡模型的生成方法和装置
KR100992524B1 (ko) 태그를 이용한 웹 페이지 간의 유사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