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347B1 - 스펀지 구조의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펀지 구조의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347B1
KR102157347B1 KR1020180118224A KR20180118224A KR102157347B1 KR 102157347 B1 KR102157347 B1 KR 102157347B1 KR 1020180118224 A KR1020180118224 A KR 1020180118224A KR 20180118224 A KR20180118224 A KR 20180118224A KR 102157347 B1 KR102157347 B1 KR 102157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ms
cnt
sponge
suga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690A (ko
Inventor
이민욱
전대영
김희주
양철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18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3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sol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leaching ou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균일한 크기의 공극을 포함하는 스펀지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설탕 입자를 체에 거르는 전처리 단계, CNT 및 PDMS를 교반하여 상기 설탕과 함께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로부터 상기 설탕을 용융시키는 단계, 및 CNT/PDMS 스펀지 복합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펀지 구조의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SPONGE-STRUCTURED COMPOSI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펀지 구조의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균일한 공극의 스펀지 구조의 복합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센서란 측정 대상물로부터 물리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물리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주는 소자를 말한다. 센서의 목적은 인간의 감각 기능을 제어 가능한 다른 신호로 대체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인간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센서의 응용분야는 매우 광범위하다.
그 중에서 압력센서는 하중, 무게, 압력 등의 기계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자동차, 항공기, 산업 공정, 사무 자동화, 가전 전자 용품, 의료, 환경 제어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모바일디바이스, 사물인터넷(IoT)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웨어러블 전자소자, 전자 피부, 소프트 로보틱스, 헬스 케어 등에 응용할 수 있는 고성능 센서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고성능 센서의 구현을 위해 주로 재료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신축성 있는 재료를 통해 구현된 센서는 신축성이 좋은 반면 센서의 감도 및 신뢰도가 낮다.
Engineering of carbon nanotube/polydimethylsiloxane nanocomposites with enhanced sensitivity for wearable motion sensors, Qi Li 외 6인,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C, 2017, 5, 11092-1109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균일한 공극의 스펀지 복합체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감도 및 신뢰도를 높인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펀지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설탕 입자를 체에 거르는 전처리 단계, CNT 및 PDMS를 교반하여 상기 설탕과 함께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로부터 상기 설탕을 용융시키는 단계, 및 CNT/PDMS 스펀지 복합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 단계는, 상기 설탕 입자를 거르는 체의 구멍 크기가 다른 두 개 이상의 다층 구조의 체에 걸러, 가장 큰 입자와 가장 작은 입자를 제외한 크기의 입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된 설탕의 입자는 400㎛ 내지 1400㎛ 사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NT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이고, 상기 MWCNT 및 상기 PDMS는 1:10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처리된 설탕을 물과 섞어 시린지(syringe)에 넣어 스펀지의 구조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CNT와 상기 PDMS를 교반한 후 상기 시린지에 넣어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된 구조체를 실온에서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탕을 용융시키는 단계는, 상기 구조체를 뜨거운 물에 넣고 초음파처리기를 이용하여 상기 설탕을 용융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균일한 크기의 공극을 포함하는 CNT/PDMS 스펀지 복합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은, 설탕과 물을 이용해 친환경적이고 균일한 공극의 스펀지 복합체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몰드(mould)를 제작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고, 편리한 스펀지 복합체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스펀지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신축성, 유연성 및 내구성이 높고 센싱 감도 및 신뢰도를 높인 CNT/PDMS 스펀지 복합체 기반의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높은 신뢰도로 물리적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압력 센서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T/PDMS 스펀지 복합체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CNT/PDMS 스펀지 복합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T/PDMS 스펀지 복합체의 Micro-CT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T/PDMS 스펀지 복합체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T/PDMS 스펀지 복합체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측정된 저항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과정(sieving process)이 생략된 경우 그레인(grain) 크기 분포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경우 그레인 크기 분포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경우/생략한 경우에 제조된 CNT/PDMS 스펀지 복합체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측정된 응력의 변화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센서의 감도 및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균일한 공극의 스펀지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 사물 인터넷의 급격한 발전은 웨어러블 전자소자, 전자 피부, 소프트 로보틱스, 헬스 케어 등에 응용할 수 있는 고성능 센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는 주로 재료적인 측면에서 액티브 물질(active material)과 폴리머(polymer)의 복합체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고성능 센서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물질을 연질의 폴리머(예를 들어, PDMS(polydimetylsiloxa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와 혼합하여 형성된 복합체 기반의 센서가 주로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복합체 기반의 센서는 일반적으로 높은 신축성(stretchability)을 보이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센싱 감도로 인하여 센서의 신뢰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이하,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CNT(carbon nanotube), 은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s), 그래핀(graphene), 카본블랙(carbon balck) 등)을 폴리머(예를 들어, PDMS(polydimetylsiloxa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Ecoflex와 같은 탄성중합체(elastomer) 등)와 혼합하여 신축성 있는 스펀지 구조로 제작된 복합체로서, 스펀지의 공극을 균일하게 하여 센서의 감도/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스펀지 복합체와 그 제작 방법이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CNT/PDMS 스펀지 복합체 및 그 제작 과정을 설명하나, 반드시 CNT와 PDMS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전도성 물질 및 폴리머를 이용하여 제작 가능한 것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T/PDMS 스펀지 복합체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CNT/PDMS 스펀지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전처리 단계(sieving process), CNT와 PDMS를 교반하여 전처리된 설탕과 함께 구조체 생성 단계, 설탕 용융 단계 및 CNT/PDMS 스펀지 복합체 완성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단계(a)에서는, 설탕 입자를 체에 걸러 설탕 입자를 고르게 한다. 몰드 형상에 따라 스펀지 내부 구조가 결정되는 만큼 설탕 그레인(grain) 크기가 제각각인 경우 스펀지 내부 공극의 크기도 불균일하여 일정한 감도의 센서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설탕 입자를 체에 걸러 고르게 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공극의 크기가 너무 작아져서 오히려 센서로서 감도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크기의 균일한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의 구멍 크기가 다른 두 개 이상의 체를 이용하는 다층 구조의 체에 걸러 가장 큰 입자와 가장 작은 입자를 제외하고 중간 크기의 입자를 이용할 수 있다. 걸러지는 중간 크기의 입자는 400 내지 1400㎛ 사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T와 PDMS를 교반하여 전처리된 설탕과 함께 구조체 생성 단계에서는, 전처리된 설탕을 비커에 투입하여 물과 섞어주고, 시린지(Syringe)에 넣어 스펀지의 설탕 구조체(sugar skeleton)를 원기둥 형태를 제작한다. 구조체를 제작한 후, CNT와 PDMS를 약 1:10의 중량 비율로 교반한다. CNT와 PDMS를 교반한 후 시린지에 넣어 압출시킨다. 이렇게 얻어진 구조체를 실온에서 경화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탕 용융 단계에서는, 구조체를 상위 1cm 가량 절단하고, 초음파처리기(sonication)를 이용하여 뜨거운 물에서 설탕을 용융시킨다. 구조체를 상위를 절단시키고 뜨거운 물에서 음파 처리함으로써 용융을 통해 설탕을 구조체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T/PDMS 스펀지 복합체 완성 단계에서는, 설탕이 용융되면서 다공성의 CNT/PDMS 스펀지 복합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전처리 과정을 통해 균일한 그레인 크기의 설탕 입자를 사용한 경우 균일한 크기의 공극을 가진 CNT/PDMS 스펀지 복합체가 얻어지며, 유사한 공극 분포의 CNT/PDMS 스펀지 복합체를 재현 가능함에 따라 일정한 성능의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량 생산이 가능하고, 센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CNT/PDMS 복합체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CNT는 단일벽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 혹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탕 물을 이용하여 설탈 구조체의 몰드를 제작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제작공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시의 원기둥 형태뿐만 아니라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몰드를 쉽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용처가 다양하고 원하는 형태의 스펀지 구조의 복합체를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CNT/PDMS 스펀지 복합체의 제조
다층구조의 체를 이용하여 분류된 설탕 입자 중 가장 큰 입자와 가루 입자를 제외한 중간 체에서 설탕 25g을 취한다. 이를 비커에 투입하고, 물 1mL를 첨가하였다. 이것을 25mL 시린지에 넣어 스펀지의 구조체를 원기둥 형태로 제작하였다. 구조체를 제작 후, MWCNT 0.1g과 PDMS 9.9g을 교반하였다. MWCNT와 PDMS를 교반 후, 25mL 시린지에 넣고 압출시켰다. 이 구조체를 약 하루 동안 실온에서 경화시켰다. 이후, 구조체를 상위 1cm 가량 절단하고, 뜨거운 물에 넣어 초음파처리기를 이용하여 약 2시간 동안 설탕을 용융시켰다. 설탕이 용융되면서 다공성 스펀지 구조체가 형성되었고, MWCNT/PDMS 스펀지 복합체가 제조되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CNT/PDMS 스펀지 복합체의 사시도(a) 및 평면도(b)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CNT/PDMS 스펀지 복합체는 원형 단면의 지름이 20mm이고, 높이가 15mm인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CNT/PDMS 스펀지 복합체의 내부 구조의 확대도는 도 3 내지 4에 의해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미세단층촬영기 Micro-CT로 촬영된 이미지가 도시된다. PDMS 구조 사이로 설탕 입자가 녹기 전 위치하였던 공극(pore)이 다수 포함되어 스펀지 구조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도 4를 참조하면, 전자현미경 SEM으로 촬영된 이미지가 도시된다. PDMS 물질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공극과 PDMS 물질 내에 포함된 CNT를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다층구조의 체를 이용하여 분류된 설탕 입자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MWCNT/PDMS 스펀지 복합체를 제조하여 시험하였다.
도 2와 같이 제조된 CNT/PDMS 스펀지 복합체에 상면 및 하면에 구리 전극을 각각 연결하여 스펀지 복합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저항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 구성을 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가해지는 압력이 0일 때, 저항이 매우 커서 전기가 흐르지 못하는 상태(a)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할수록 스펀지 구조체는 압축되고 저항의 크기는 감소되는 상태(b, c)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기전도성이 좋은 CNT는 PDMS 물질 내에 드문드문 분포하므로 압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고, 이 때에는 CNT/PDMS 스펀지 복합체의 저항이 너무 커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는 상태일 수 있다. CNT/PDMS 스펀지 복합체에 압력이 가해질수록 CNT 사이에 연결이 증가하고, 저항이 급격히 감소하여 전도성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NT/PDMS 스펀지 복합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측정되는 저항이 감소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압력 센서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CNT/PDMS 스펀지 복합체의 저항 변화뿐만 아니라 커패시턴스(capacitance)의 변화를 함께 고려할 수 있다. CNT/PDMS 스펀지 복합체는 다수의 공극을 포함하는 스펀지 형태의 PDMS에 CNT를 포함하는 구조이므로 저항과 커패시터(capacitor) 특성을 동시에 갖는다. CNT/PDMS 스펀지 복합체에 상면 및 하면에 구리 전극을 각각 연결하여 주파수가 다른 교류 전압을 인가하면 저주파에서는 저항 성분이, 고주파에서는 커패시턴스 성분이 주로 측정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CNT/PDMS 스펀지 복합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해지는 압력에 따른 저항의 변화, 또는 압력에 따른 저주파 및 고주파에서 측정되는 임피던스(impedance) 변화를 측정하여 압력 변화를 센싱하는 압력 센서로서 활용될 수 있다.
[실험예 1: 입자 크기의 분포]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탕 입자가 용융된 자리에 공극이 생성되므로, 설탕 입자의 크기가 곧 공극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처리 과정이 생략되는 경우와 전처리 과정을 거치는 경우 설탕 입자의 크기 분포가 각각 도 6 및 7에 도시된다.
스폰지 구조의 복합체를 이용하여 구현한 압력 센서의 경우 압력이 가해지면서 공극이 줄어들고, 이 때문에 구조체 양단에 전극을 연결한 경우 측정되는 저항값 등이 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압력 센서가 동작하게 된다. 스폰지 구조의 복합체의 공극이 균일하게 분포해야 유사한 성능의 압력 센서를 구현하기 쉽고, 센서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처리 과정이 생략되는 비교예의 경우 설탕 입자의 크기가 평균 782㎛이나, 입자 크기의 분포는 수 ㎛에서 2200㎛ 사이에서 매우 넓게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설탕 입자에 의해 생성되는 공극의 크기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하지 못하고 편차가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균일하지 않은 크기로 분포된 공극이 형성된 스펀지 복합체를 이용하여서는 유사한 민감도로 반응하는 센서를 재현하기 어렵고, 센서의 신뢰도가 보장되기 어렵다.
반면,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처리 과정을 거치는 실시예의 경우 설탕 입자의 크기가 평균 851㎛이나, 입자 크기의 분포는 400㎛에서 1400㎛ 사이에서, 특히 800㎛와 1000㎛ 사이에서 평균 값을 가지는 입자의 분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설탕 입자에 의해 생성되는 공극의 크기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하고 편차가 매우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균일한 크기로 분포된 공극이 형성된 스펀지 복합체를 이용하여서는 유사한 민감도로 반응하는 센서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센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험예 2: 압축 강도 평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경우(801)/생략한 경우(803)에 제조된 CNT/PDMS 스펀지 복합체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측정된 응력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제조된 CNT/PDMS 스펀지 복합체와, 비교예와 같이 전처리 과정을 생략하여 제조된 CNT/PDMS 스펀지 복합체에 각각 압력을 가해 도 8과 같이 압축하는 경우 측정된 응력의 변화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제조된 CNT/PDMS 스펀지 복합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자 크기 분포의 설탕을 이용하여 제작되고, 전처리 과정을 생략하여 제조된 CNT/PDMS 스펀지 복합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자 크기 분포의 설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경우(801) 한 사이클 동안 CNT/PDMS 스펀지 복합체를 압축하는 동안 변형률에 따라 압축 강도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처리 과정을 생략한 경우(803)와 비교할 때, 공극이 균일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경우(801)의 CNT/PDMS 스펀지 복합체의 변형에 따른 압축 강도가 약 1.6배 가량 크다. 이것은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경우(801)의 CNT/PDMS 스펀지 복합체를 이용한 압력 센서는 더 넓은 범위의 압력을 센싱 가능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술한 제조방법에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적절한 크기의 균일한 공극이 생성된 CNT/PDMS 스펀지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CNT/PDMS 스펀지 복합체를 이용하여 센서의 감도와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고, 센서의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센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 개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예들이 단수 또는 복수 개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예들이 내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체의 구멍 크기가 다른 두 개 이상의 다층 구조의 체에 설탕 입자를 걸러, 가장 큰 입자와 가장 작은 입자를 제외한 크기의 균질의 설탕 입자를 획득하는 전처리 단계;
    MWCNT 및 PDMS를 1 : 10의 중량 비율로 교반하여 상기 설탕과 함께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를 뜨거운 물에 넣고 초음파처리기를 이용하여 상기 균질의 설탕 입자를 용융시키는 단계; 및
    MWCNT/PDMS 스펀지 복합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펀지 복합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된 설탕의 입자는 400㎛ 내지 1400㎛ 사이의 크기를 갖는, 스펀지 복합체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처리된 설탕을 물과 섞어 시린지(syringe)에 넣어 스펀지의 구조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CNT와 상기 PDMS를 교반한 후 상기 시린지에 넣어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된 구조체를 실온에서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펀지 복합체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균일한 크기의 공극을 포함하는 CNT/PDMS 스펀지 복합체.
KR1020180118224A 2018-10-04 2018-10-04 스펀지 구조의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157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224A KR102157347B1 (ko) 2018-10-04 2018-10-04 스펀지 구조의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224A KR102157347B1 (ko) 2018-10-04 2018-10-04 스펀지 구조의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690A KR20200038690A (ko) 2020-04-14
KR102157347B1 true KR102157347B1 (ko) 2020-09-18

Family

ID=70291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224A KR102157347B1 (ko) 2018-10-04 2018-10-04 스펀지 구조의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8650B (zh) * 2021-12-01 2022-08-30 深圳技术大学 一种智能织物传感器层及其制备方法与柔性织物传感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 Chen et al., Fingertip-inspired electronic skin based on triboelectric sliding sensing and porous piezoresistive pressure detection. Nano Energy. 2017, Volume 40, page 65-72. 사본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690A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 et al. Polypyrrole/reduced graphene aerogel film for wearable piezoresisitic sensors with high sensing performances
Cai et al. Multifunctional polydimethylsiloxane foam with multi-walled carbon nanotube and thermo-expandable microsphere for temperature sensing, microwave shielding and piezoresistive sensor
Li et al. Synergy of porous structure and microstructure in piezoresistive material for high-performance and flexible pressure sensors
Huang et al. Three-dimensional light-weight piezoresistive sensors based on conductive polyurethane sponges coated with hybrid CNT/CB nanoparticles
Ding et al. Flexible and compressible PEDOT: PSS@ melamine conductive sponge prepared via one-step dip coating as piezoresistive pressure sensor for human motion detection
Xiang et al. Enhanced performance of 3D printed highly elastic strain sensors of carbon nanotube/thermoplastic polyurethane nanocomposites via non-covalent interactions
Li et al. Recent advances of carbon-based flexible strain sensors in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Zhu et al. Highly sensitive and stretchable polyurethane fiber strain sensors with embedded silver nanowires
Liu et al. 3D printing technologies for flexible tactile sensors toward wearable electronics and electronic skin
Ma et al. Lightweight, flexible and highly sensitive segregated microcellular nanocomposite piezoresistive sensors for human motion detection
Dong et al. A linear and large-range pressure sensor based on a graphene/silver nanowires nanobiocomposites network and a hierarchical structural sponge
Jin et al. Ultrathin nanofibrous membranes containing insulating microbeads for highly sensitive flexible pressure sensors
Jiang et al. Highly compressible and sensitive pressure sensor under large strain based on 3D porous reduced graphene oxide fiber fabrics in wide compression strains
Mu et al. Enhanced piezocapacitive effect in CaCu3Ti4O12–polydimethylsiloxane composited sponge for ultrasensitive flexible capacitive sensor
Duan et al. Silk sericin as a green adhesive to fabricate a textile strain sensor with excellent electromagnetic shielding performance
Wang et al. High sensitive electrospun thermoplastic polyurethane/carbon nanotubes strain sensor fitting by a novel optimization empirical model
Li et al. Scalable fabrication of flexible piezoresistive pressure sensors based on occluded microstructures for subtle pressure and force waveform detection
Shajari et al. Ultrasensitive wearable sensor with novel hybrid structures of silver nanowires and carbon nanotubes in fluoroelastomer: Multi-directional sensing for human health monitoring and stretchable electronics
US20190145752A1 (en) Highly Stretchable Strain Sensor for Human Motion Monitoring
Sharma et al. Ultrasensitive flexible wearable pressure/strain sensors: Parameters, materials, mechanisms and applications
CN110823421A (zh) 一种利用3d打印制备柔性压阻式剪切力传感器的方法
Huang et al. Flexible pressure sensor with an excellent linear response in a broad detection range for human motion monitoring
Li et al. Sponge-hosting polyaniline array microstructures for piezoresistive sensors with a wide detection range and high sensitivity
Du et al. Electrospun elastic films containing AgNW-bridged MXene networks as capacitive electronic skins
Yi et al. Flexible piezoresistive strain sensor based on CNTs–polymer composites: a brief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