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225B1 -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225B1
KR102157225B1 KR1020190036818A KR20190036818A KR102157225B1 KR 102157225 B1 KR102157225 B1 KR 102157225B1 KR 1020190036818 A KR1020190036818 A KR 1020190036818A KR 20190036818 A KR20190036818 A KR 20190036818A KR 102157225 B1 KR102157225 B1 KR 10215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flexible pipe
flat mirror
coupled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준
권은정
김나희
김미래
김영현
김지원
김정빈
Original Assignee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6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문건은 조음점 지시법을 통한 언어재훈련을 용이하게 하는,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을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은, 하부에 스탠드가 구비된 평면거울; 일단이 상기 평면거울의 폭 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제1 플렉시블 파이프; 상기 제1 플렉시블 파이프의 타단에 결합되는 볼록거울; 일단이 상기 평면거울의 폭 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제2 플렉시블 파이프; 상기 제2 플렉시블 파이프의 타단에 결합되는 오목거울; 레이저포인터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거울에 구비되는 내시경유닛;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MIRROR ASSEMBLY FOR TREATMENT OF ARTICULATORY DISORDERS}
본 문건이 개시(Disclosure)하는 기술은, 농아자용 교구와 관련되며, 특히, 언어재활훈련(조음장애 치료용) 장치와 관련된다.
조음점 지시법(Phonetic Placement)은 조음장애를 치료하는 훈련법 중 하나로서, Scripture와 Jackson(1972)에 의해서 처음 기술되었다. 이 방법은 조음자의 정확한 위치 잡기와 호흡기류의 바른 사용을 강조하고 있다. 어음(speech sound)은 언제나 단 한가지로 발음된다는 가정 하에 환자에게 오조음에 대한 입술, 혀, 턱의 위치법과 호흡법을 가르친다. 이때 혀의 모형, 임상가의 손가락, 거울 및 도표 등을 사용하며 조음기관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림인 "입운동", "거울보고 발음하기", "혀끝 사용법" 등이 자주 사용된다.
조음점 지시법의 방법에는 첫 번째 설압자, 스틱, 임상가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조음자의 위치를 조정, 두 번째 조음방법을 설명, 세 번째 입과 코 앞에 호흡표지의 사용, 네 번째 발음직시장치의 사용, 다섯 번째 거울을 통한 관찰, 여섯 번째 후두 진동을 감지, 일곱 번째 조음자의 구개도를 사용, 여덟 번째 맞물림이 비정상이면 정상 위치로 조정하기 등이 있다.
조음점 지시법은 조음장애에 대한 연구가 실시된 초기부터 사용된 기법으로써 무의미음절에서부터 발음을 확립하고 여기에 감각단서를 병행하여 학습된 각 음을 안정화시키는데 용이하여 오늘날까지도 많은 임상가들이 사용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조음점 지시법을 통한 언어재훈련시, 평면거울과 설입자 등만이 사용되어 왔다.
KR 10-1741959 B1 (2017.05.30. 공고) KR 10-1598955 B1 (2016.03.03. 공고)
조음점 지시법을 통한 언어재훈련을 용이하게 하는,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은, 하부에 스탠드가 구비된 평면거울; 일단이 상기 평면거울의 폭 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제1 플렉시블 파이프; 상기 제1 플렉시블 파이프의 타단에 결합되는 볼록거울; 일단이 상기 평면거울의 폭 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제2 플렉시블 파이프; 상기 제2 플렉시블 파이프의 타단에 결합되는 오목거울; 레이저포인터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거울에 구비되는 내시경유닛;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플렉시블 파이프는, 상기 평면거울의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플렉시블 파이프는, 상기 평면거울의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거울의 가장자리에는, LED 램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시경유닛은, 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평면거울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를 사용하면, 재활훈련자는 볼록거울을 통하여, 안면근육(입술 주위, 턱 등)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오목거울을 통하여, 구강 내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의료제공자는 내시경유닛을 이용하여, 조음점을 명확히 지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100)는, 조음점 지시법을 통한 언어재훈련시 사용된다.
실시예에 따른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100)는, 평면거울(110), 제1 플렉시블 파이프(120), 볼록거울(130), 제2 플렉시블 파이프(140), 오목거울(150) 및 내시경유닛(160)을 포함한다.
평면거울(110)은 소정 면적을 갖는다. 평면거울(110)은 스탠드(112)에 의하여, 지면이나 책상 위에 거치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평면거울(110)의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LED 램프(114)가 일정 간격으로 내장될 수 있고, LED 램프(114)는 밝기를 여러 단계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플렉시블 파이프(120)는 일단이 평면거울(110)의 폭 방향 일측에 결합된다. 제1 플렉시블 파이프(120)는 소정 힘을 가하면 구부러지고, 힘을 가하지 않을 땐, 최종 변형된 상태를 유지한다.
볼록거울(130)은 제1 플렉시블 파이프(120)의 타단에 결합된다. 볼록거울(130)은 재활훈련자가 특정한 안면근육(입술 주위, 턱 등)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플렉시블 파이프(140)는 일단이 평면거울(110)의 폭 방향 타측에 결합된다. 제2 플렉시블 파이프(140)는 소정 힘을 가하면 구부러지고, 힘을 가하지 않을 땐, 최종 변형된 상태를 유지한다.
오목거울(150)은 제2 플렉시블 파이프(140)의 타단에 결합된다. 오목거울(150)은 재활훈련자가 구강 내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평면거울(110)의 폭 방향 양측에는, 레일(116)이 구비되고, 전술한 제1 플렉시블 파이프(120)와 제2 플렉시블 파이프(140)는, 레일(116)을 따라 수직[평면거울(110)의 높이 방향]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내시경유닛(160)은 레이저포인터(162)를 포함하고, 평면거울(110)에 구비된다. 하나의 예로서, 내시경유닛(160)은 클립(164)을 더 구비하고, 클립(164)을 매개로, 평면거울(11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이저포인터(162)를 포함하는 내시경유닛(160)은 재활훈련자가 시각적 피드백을 통하여, 조음점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내시경유닛(160)은 재활훈련자가 입을 벌린 상태로 거울들을 오래 보기 힘든 점을 감안하여, 녹음 및 녹화 기능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100)를 이용하면, 어두운 구강 내부를 LED 램프(114)를 통해, 재활훈련자와 의료제공자가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평면거울(110)만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웠던 특정한 안면근육(입술 주위, 턱 등)의 움직임과, 심도싶은 구강 내부를 볼록거울(130)과 오목거울(15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포인터(162)를 포함한 내시경유닛(160)으로, 올바른 조음점을 지시/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녹음 및 녹화 등을 통하여, 재활훈련자의 잘못된 조음점 사용을 재차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 전반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
110 : 평면거울
112 : 스탠드
114 : LED 램프
116 : 레일
120 : 제1 플렉시블 파이프
130 : 볼록거울
140 : 제2 플렉시블 파이프
150 : 오목거울
160 : 내시경유닛
162 : 레이저포인터
164 : 클립

Claims (5)

  1. 하부에 스탠드가 구비된 평면거울;
    일단이 상기 평면거울의 폭 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제1 플렉시블 파이프;
    상기 제1 플렉시블 파이프의 타단에 결합되는 볼록거울;
    일단이 상기 평면거울의 폭 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제2 플렉시블 파이프;
    상기 제2 플렉시블 파이프의 타단에 결합되는 오목거울;
    레이저포인터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거울에 구비되는 내시경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렉시블 파이프는, 상기 평면거울의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렉시블 파이프는, 상기 평면거울의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거울의 가장자리에는, LED 램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유닛은,
    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평면거울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
KR1020190036818A 2019-03-29 2019-03-29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 KR102157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818A KR102157225B1 (ko) 2019-03-29 2019-03-29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818A KR102157225B1 (ko) 2019-03-29 2019-03-29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225B1 true KR102157225B1 (ko) 2020-09-18

Family

ID=7267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818A KR102157225B1 (ko) 2019-03-29 2019-03-29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2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73868A (zh) * 2022-04-25 2022-08-30 黑龙江工程学院 一种外语口语练习装置及使用方法
KR102519216B1 (ko) * 2022-04-01 2023-04-05 정현호 발성 훈련 보조 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0384A2 (en) * 1987-07-20 1989-01-25 Kanda Optical Co., Ltd. Optical device for precision work
KR200371046Y1 (ko) * 2004-07-20 2005-01-07 박종호 다수의 형상을 갖춘 거울
KR200429574Y1 (ko) * 2006-07-28 2006-10-25 허정림 휴대용 다이어트 손거울
KR20120087527A (ko) * 2011-01-28 2012-08-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용 거울
KR101598955B1 (ko) 2014-04-28 2016-03-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언어 치료용 게임 장치 및 게임 방법
KR101741959B1 (ko) 2016-10-11 2017-05-30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말교정 조음기관촉구 설압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0384A2 (en) * 1987-07-20 1989-01-25 Kanda Optical Co., Ltd. Optical device for precision work
KR200371046Y1 (ko) * 2004-07-20 2005-01-07 박종호 다수의 형상을 갖춘 거울
KR200429574Y1 (ko) * 2006-07-28 2006-10-25 허정림 휴대용 다이어트 손거울
KR20120087527A (ko) * 2011-01-28 2012-08-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용 거울
KR101598955B1 (ko) 2014-04-28 2016-03-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언어 치료용 게임 장치 및 게임 방법
KR101741959B1 (ko) 2016-10-11 2017-05-30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말교정 조음기관촉구 설압자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7527호(2012.8.7. 공개) 1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1046호(2005.1.7. 공고) 1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9574호(2006.10.25. 공고) 1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216B1 (ko) * 2022-04-01 2023-04-05 정현호 발성 훈련 보조 기구
CN114973868A (zh) * 2022-04-25 2022-08-30 黑龙江工程学院 一种外语口语练习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mer et al. Evaluation and treatment of resonance disorders
Kaye et al. The electrolarynx: voice restoration after total laryngectomy
Kuehn New therapy for treating hypernasal speech using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US971106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intraoral tactile feedback
Trost Articulatory additions to the classical description of the speech of persons with cleft palate
Michi et al. Visual training and correction of articulation disorders by use of dynamic palatography: serial observation in a case of cleft palate
KR102157225B1 (ko)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
KR20180115602A (ko) 촬상센서를 포함한 두경부 조음기관의 물리특성과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Štajner‐katušić et al. Voice and speech after laryngectomy
Slifka Respiratory constraints on speech production at prosodic boundaries
Yanagisawa et al. Role of the soft palate in laryngeal functions and selected voice qualities
US4218836A (en) Speech therapy
Moisik et al. The ArtiVarK click study: Documenting click production and substitution strategies by learners in a large phonetic training and vocal tract imaging study
Fletcher Speech production and oral motor skill in an adult with an unrepaired palatal cleft
Handoko et al. Speech production and malocclusion: A review
KR101741959B1 (ko) 말교정 조음기관촉구 설압자
Searl et al. Nonsurgical voice restoration following total laryngectomy
Godbole et al. Prosthodontic onsiderations of speech in complete denture
Niemi et al. Effects of transitory lingual nerve impairment on speech: an acoustic study of sibilant sound/s
Ostapiuk Asymmetry in sound production in persons with ankyloglossia
Arora et al. Phonetics-Its Role In Prosthodontics.
Kummer Normal speech and language and the management of speech disorders in patients with clefts
Kearney Nontracheoesphageal speech rehabilitation
Berry Correction of cleft‐palate speech by phonetic instruction
Freeman THE STUTTERING LARYNX: AN ELECTROMYOGRAPHIC STUDY OF LARYNGEAL MUSCLE ACTIVITY ACCOMPANYING STUTT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