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343B1 - Non- Glasses 3D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Non- Glasses 3D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343B1
KR102156343B1 KR1020130168740A KR20130168740A KR102156343B1 KR 102156343 B1 KR102156343 B1 KR 102156343B1 KR 1020130168740 A KR1020130168740 A KR 1020130168740A KR 20130168740 A KR20130168740 A KR 20130168740A KR 102156343 B1 KR102156343 B1 KR 102156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ns cell
display panel
autostereosc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8901A (en
Inventor
우종훈
채기성
최수석
김성일
오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343B1/en
Publication of KR20150078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9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3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셀과; 상기 렌즈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렌즈셀 사이에 도포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은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panel; A first substrate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A first electrode positioned on the first substrate; A lens cell positioned above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substrate positioned on the lens cell; It provide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quid crystal layer applied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lens cell, wherein the liquid crystal layer is an OILC (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Description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Non- Glasses 3D Display Device}Non-Glasses 3D Display Device {Non- Glasses 3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학적 등방성을 갖는 액정을 사용하는 액정 렌즈를 구비하여 입체 효과를 발생시키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that does not use a polarizing plate, and relates to an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having a liquid crystal lens using a liquid crystal having optical isotropy to generate a stereoscopic effect.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3D Display Device)는 좌안과 우안에 비춰지는 영상에 시차를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입체 효과를 느끼게 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편광판과 편광 안경을 사용하는 FPR(Film-type Patterned Retarder), 좌안과 우안의 시야를 교대로 차단하여 입체 효과를 느끼게 하는 SG(Shutter Glasses)와 같이 안경에 의한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와,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나 액정 렌즈(Liquid Crystal Lens) 등을 이용하는 무안경 방식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The 3D display device generates a parallax in the image projected on the left and right eyes so that the user feels a three-dimensional effect. Typically, a film-type patterned retarder (FPR) using a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glasses,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using glasses such as SG (Shutter Glasses) that alternately blocks the view of the left and right eyes to feel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an autostereoscopic method using a lenticular lens or a liquid crystal lens. There are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s.

이들 중 액정 렌즈를 사용하는 무안경 방식의 전환형(Switchable Type)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2셀 편광 렌즈나 1셀 액티브 편광 렌즈를 사용하는데, 이들 각각에 대한 구조는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mong them, a switchable type 3D display device using a liquid crystal lens mainly uses a 2-cell polarized lens or a 1-cell active polarized lens, and the structure of each of th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

도 1a는 2셀 편광 렌즈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2셀 편광 렌즈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when a two-cell polarized lens performs a planar image driving, and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when a two-cell polarized lens performs a three-dimensional image driving.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셀 편광 렌즈는 편광판(21)과, 편광 제어셀(2) 및 렌즈셀(1)을 구비하는 것으로, 편광 제어셀(2)은 제 1 및 제 2 전극(15, 16)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기판(11, 12)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LC)으로 구성되고, 렌즈셀(1)은 제 3 및 제 4 기판(13, 14) 및 이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셀(25)로 구성된다.1A, the two-cell polarization lens includes a polarizing plate 21, a polarization control cell 2, and a lens cell 1, and the polarization control cell 2 includes first and second electrodes ( It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 and 12 on which 15 and 16 are formed and a liquid crystal layer LC positioned therebetween, and the lens cell 1 includes the third and fourth substrates 13 and 14 and It is composed of a lens cell 25 positioned between them.

이때, 액정층(LC)은 복굴절 제어형 액정(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ECB)인 것이다.In this case, the liquid crystal layer LC is an 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ECB) liquid crystal.

편광 제어셀(2)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기판(11, 12)은 절연성을 나타내는 투명 물질로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전극(15, 16)은 전도성을 나타내는 투명 물질로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 and 12 positioned on the polarization control cell 2 ar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exhibiting insulating properties,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5 and 16 ar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exhibiting conductivity. .

액정층(LC)은 제 1 및 제 2 기판(11, 12)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전극(15, 16)에서 발생하는 전계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선편광 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1a에서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초기 배향 상태를 유지한다.The liquid crystal layer LC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 and 12 and is aligned by an electric field gene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5 and 16 to control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In FIG. 1A, no voltage is applied to maintain the initial alignment state.

이와 같이 배열된 편광 제어셀(2)을 통과하는 빛은 편광판(21)에 의해 선 편광(0, λ)을 나타내며 편광 제어셀(2)에 입사되고, 초기 배향 상태를 유지하는 편광 제어셀(2)에 의해 선 편광(λ/2) 특성을 나타내며 렌즈셀(1)로 입사된다.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ation control cells 2 arranged in this way represents linearly polarized light (0, λ) by the polarizing plate 21 and is incident on the polarization control cell 2, and the polarization control cell ( 2) shows linear polarization (λ/2) characteristics and is incident on the lens cell 1.

렌즈셀(1)은 제 3 및 제 4 기판(13, 14) 및 렌즈셀(25)로 구성된 것으로, 렌즈셀(25)의 경우 굴절률 no를 나타내는 렌티큘러(Lenticular) 형태의 오목판(26)과, 오목판(26) 사이에 복굴절률을 갖는 액정 단량체(Reactive Mesogen, 이하 RM)가 충진된 구성을 갖는 것이다.The lens cell 1 is composed of third and fourth substrates 13 and 14 and a lens cell 25, and in the case of the lens cell 25, a lenticular-shaped concave plate 26 representing a refractive index no,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liquid crystal monomer (Reactive Mesog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M) having a birefringence is filled between the concave plates 26.

이때, 초기 배향 상태를 유지하는 액정층(LC)을 통과하여 선 편광(λ/2)을 나타내는 빛의 편광 방향은 오목판(26) 사이에 충진된 RM의 광축과 90˚를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LC maintaining the initial alignment state and indicating linearly polarized light (λ/2) is 90° to the optical axis of the RM filled between the concave plates 26.

RM의 광축과 90˚를 이루는 경우, RM을 통과한 빛은 굴절률 no를 나타내게 되고, 이에 의해 굴절률 no를 나타내는 오목판(26) 통과시 굴절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어 직진성을 갖게 된다.When the optical axis of the RM is 90°, the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M exhibits a refractive index no, whereby the refraction does not occur when passing through the concave plate 26 indicating the refractive index no, so that it has straightness.

즉, 편광 특성을 나타내는 빛의 편광축이 RM의 광축 중 단축과 동일한 경우, RM 내에서 오목판(26)과 동일한 굴절률을 나타낼 수 있어 출력된 빛이 직진성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평면 영상을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polarization axis of light representing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 is the same as the short axis of the optical axis of the RM, the output light can have the same refractive index as the concave plate 26 in the RM, so that the output light has straightness, and accordingly, a flat image can be driven. There will be.

한편, 도 1b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15, 16)에 전압이 인가되어 전계가 형성될 경우, 편광 제어셀(2)을 통과하는 빛은 편광판(21)에 의해 선 편광(0, λ)을 나타내며 편광 제어셀(2)에 입사되고, 전계에 의해 재배열된 액정층(LC)에 의해 편광 방향의 변경 없이 렌즈셀(1)로 입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5 and 16 to form an electric field as shown in FIG. 1B, 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ation control cell 2 is linearly polarized by the polarizing plate 21. λ) and is incident on the polarization control cell 2, and is incident on the lens cell 1 without changing the polarization direction by the liquid crystal layer LC rearranged by the electric field.

이때, 렌즈셀(1)로 입사되는 빛은 RM의 장축에 의해 굴절률 ne를 나타내게 되고, 이에 의해 굴절률 no를 나타내는 오목판(26) 통과시 굴절 현상을 발생시켜 오목판(26)을 통과한 빛이 일 지점에서 모이게 되는 굴절 현상을 발생시킨다.At this time, the light incident on the lens cell 1 represents the refractive index ne by the long axis of the RM, thereby generating a refraction phenomenon when passing through the concave plate 26 indicating the refractive index no, so tha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concave plate 26 is It generates a refraction phenomenon that gathers at a point.

즉, 재배열된 액정층(LC)을 통과하는 빛은 RM의 장축에 의해 오목판(26)이 나타내는 굴절률 no와 다른 굴절률 ne를 나타내게 되어 출력된 빛은 굴절되므로, 이에 따라 입체 영상을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rearranged liquid crystal layer LC exhibits a refractive index ne that is different from the refractive index no indicated by the concave plate 26 by the long axis of the RM, and the output light is refracted, so that a stereoscopic image can be driven accordingly. There will be.

이와 같은 2셀 편광 렌즈를 사용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광 제어셀(2)과 렌즈셀(1)을 구비하여 평면 영상 구동과 입체 영상 구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액정층(LC)과 RM을 형성하고, 편광 방향에 의한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COC/COP(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 및 중합체),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C(폴리카보네이트), PI(폴리이미드) 등과 같이 등방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형성된 기판을 주로 사용하며, 액정층(LC) 및 RM의 배열을 위해 최소 2개의 배향막을 요구하기 때문에 공정의 수율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 또한 높은 단점이 있다.The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such a two-cell polarizing lens includes a polarization control cell 2 and a lens cell 1 to selectively drive a planar image and drive a stereoscopic image, but the liquid crystal layer LC and Since RM is formed and a stereoscopic image is driven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direction, such as COC/COP (cycloolefin copolymer and polymer),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PC (polycarbonate), PI (polyimide), etc. A substrate formed of an isotropic material is mainly used, and since at least two alignment layers are required for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layer (LC) and RM,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not only the yield of the process but also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또한, 편광층(21)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휘도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polarization layer 21 is provided, loss of luminance occurs, and more power is consumed to compensate for this.

한편, 1셀 액티브 편광 렌즈는 상기 2셀 편광 렌즈에 비해 제조 비용이 낮고 공정의 수율은 높은 구조를 갖는 것으로 아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1-cell active polarizing lens has a structure having a lower manufacturing cost and a higher process yield than the 2-cell polarizing lens,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below.

도 2a는 1셀 액티브 편광 렌즈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1셀 액티브 편광 렌즈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when a 1-cell active polarizing lens performs a planar image driving,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when a 1-cell active polarizing lens performs a stereoscopic image driving.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셀 액티브 편광 렌즈는 각각 제 1 및 제 2 전극(33, 34)을 구비한 제 1 및 제 2 기판(31, 32)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LC) 및 렌티큘러 형태의 오목판(36)을 구비하는 렌즈셀(1)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A, the one-cell active polarizing lens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strates 31 and 32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3 and 34, respectively, and a liquid crystal layer positioned therebetween ( LC) and a lens cell (1) having a lenticular-shaped concave plate (36).

이때, 렌티큘러 형태의 오목판(36)은 no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액정층(LC)은 전압을 인가받지 않는 노멀 상태에서 ne의 굴절률을 나타내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In this case, the lenticular type concave plate 36 will have a refractive index of no,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LC will have a refractive index of ne in a normal state where no voltage is applied.

광원 장치, 또는 패널에서 출력된 빛은 편광판(21)을 통과하면서 선 편광(0, λ)을 나타내며 렌즈셀(1)로 입사된다.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device or the panel passes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21 and indicates linearly polarized light (0, λ) and is incident on the lens cell 1.

렌즈셀(1)은 제 1 및 제 2 전극(33, 34)에 전압이 인가되어 생성된 전계에 따라 액정 분자가 재배열된 상태로, 선 편광(0, λ)을 나타내는 빛은 액정층(LC)에 입사되어 재배열된 액정 분자에 의해 no의 굴절률을 갖게 된다.The lens cell 1 is a state in which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rearranged according to an electric field generated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3 and 34, and light indicating linear polarization (0, λ) is a liquid crystal layer ( LC) has a refractive index of no due to the rearranged liquid crystal molecules.

이 경우, 선 편광(0, λ)을 나타내는 빛은 오목판(36)과 동일한 굴절률 no를 나타내게 되고, 이에 따라 오목판(36)을 통과하는 빛은 직진성을 갖게 된다.In this case, light representing linearly polarized light (0, λ) exhibits the same refractive index no as that of the concave plate 36, and accordingly,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concave plate 36 has straightness.

즉, 재배열된 액정층(LC)을 통과하는 빛은 액정 분자의 광축 중 단축에 의해 오목판(36)이 나타내는 굴절률 no와 동일한 굴절률 no를 나타내게 되어 굴절 현상 없이 직진성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평면 영상을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light passing through the rearranged liquid crystal layer LC exhibits the same refractive index no as the refractive index no indicated by the concave plate 36 due to a short axis among the optical axes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nd thus has straightness without refraction. Will be able to drive.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33, 34)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아 전계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렌즈셀(1)을 통과하는 빛은 초기 배향상태를 유지하는 액정 분자를 통과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B, when an electric field is not formed because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3 and 34,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cell 1 is a liquid crystal maintaining the initial alignment state. Through the molecule.

이때, 렌즈셀(1)에 입사되는 빛은 편광판(21)에 의해 선편광(0, λ)특성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액정 분자의 광축 중 장축을 통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굴절률 ne를 나타내어 굴절률 no를 나타내는 오목판(36) 통과시 굴절 현상을 발생시켜 오목판(36)을 통과한 빛이 일 지점에서 모이게 되는 굴절 현상을 발생시킨다.At this time, since the light incident on the lens cell 1 exhibits linearly polarized light (0, λ) characteristics by the polarizing plate 21, it passes through the long axis of the optical axes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thereby indicating the refractive index ne to indicate the refractive index no. When passing through the concave plate 36, a refraction is generated so tha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concave plate 36 is collected at a point.

즉, 초기 배향상태를 유지하는 액정층(LC)을 통과하는 빛은 액정 분자의 광축 중 장축에 의해 오목판(36)이 나타내는 굴절률 no와 다른 굴절률 ne를 나타내게 되어 출력된 빛은 굴절 현상을 일으키며, 이에 따라 입체 영상을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LC maintaining the initial alignment state exhibits a refractive index ne different from the refractive index no indicated by the concave plate 36 by the long axis of the optical axes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nd the output light causes a refractive phenomen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rive a stereoscopic image.

이와 같은 1셀 액티브 편광 렌즈를 사용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렌즈셀(1)을 구비하여 평면 영상 구동과 입체 영상 구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2셀 액티브 편광 렌즈에 비해 높은 수율 및 낮은 제조 비용을 필요로 하게 되나, 편광 방향에 의한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COC/COP(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 및 중합체),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C(폴리카보네이트), PI(폴리이미드) 등과 같이 등방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형성된 기판을 주로 사용하며, 액정층(LC)의 배열을 위해 최소 1개의 배향막을 요구하기 때문에 공정의 수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 또한 높은 단점이 있다.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such a 1-cell active polarized lens includes a lens cell 1 to selectively drive a planar image and drive a stereoscopic image, and has a higher yield and lower manufacturing than a 2-cell active polarized lens. Cost is required, but because it performs stereoscopic image driving by polarization direction, COC/COP (cycloolefin copolymer and polymer),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PC (polycarbonate), PI (polyimide) A substrate formed of an isotropic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is mainly used, and since at least one alignment layer is required for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layer LC, the yield of the process is lower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also high.

또한, 편광층(21)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휘도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polarization layer 21 is provided, loss of luminance occurs, and more power is consumed to compensate for this.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2셀 편광 렌즈와 상기 1셀 액티브 편광 렌즈는 입체 구동 또는 평면 구동을 위해 RM, 또는 액정층이 나타내는 굴절률을 오목판(36)과 동일하게 맞춰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립 및 형성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2-cell polarization lens and the 1-cell active polarization lens are assembled and formed because it is necessary to match the refractive index indicated by the RM or the liquid crystal layer to the same as the concave plate 36 for three-dimensional driving or plane driving. Difficulty arises.

특히,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기본적으로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도 입체 영상 구동과 평면 영상 구동의 스위칭을 위해 반드시 편광판을 포함해야하는 문제가 있어 휘도 감소 및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even in the case of a display device that does not use a polarizing plate,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a polarizing plate must be included for switching between driv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driving a planar image, thereby reducing luminance and incurring additional costs. .

본 발명은 편광층을 포함하는 입체화 수단에 의한 휘도 저하 및 이를 보상하기 위한 추가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와 편광층 삽입 공정 및 배향 공정으로 인해 공정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것을 해소하며, 액정 충진으로 인한 액정의 소모량 증가를 감소시키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lowering luminance due to a three-dimensionalization means including a polarizing layer and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and the increase in process complexity due to the polarizing layer insertion process and alignment process, and To reduce the increase in liquid crystal consumption.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셀과; 상기 렌즈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렌즈셀 사이에 도포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은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A first substrate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A first electrode positioned on the first substrate; A lens cell positioned above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substrate positioned on the lens cell; It provide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quid crystal layer applied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lens cell, wherein the liquid crystal layer is an OILC (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양자점 디스플레이 패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a quantum dot display panel.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flat or curved surface.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투명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exhibiting optical anisotropy.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그리고, 상기 렌즈셀은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며, 굴절률이 1.5 내지 1.61인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s cel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exhibits optical isotropy and has a refractive index of 1.5 to 1.61.

그리고, 상기 액정층은 Blue Phase, 또는 PDLC(Polymer Drispersed Liquid Crystal)를 포함하는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OILC (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including Blue Phase or PDLC (Polymer Drispersed Liquid Crystal).

한편,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셀과; 상기 렌즈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상부에 형성되는 평탄화층과; 상기 평탄화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렌즈셀 사이에 도포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은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panel; A first substrate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A lens cell positioned on the first substrate;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lens cell; A planarization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substrate position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It provide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quid crystal layer applied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lens cell, wherein the liquid crystal layer is an OILC (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양자점 디스플레이 패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a quantum dot display panel.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투명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exhibiting optical anisotropy.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그리고, 상기 렌즈셀은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며, 굴절률이 1.5 내지 1.61인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s cel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exhibits optical isotropy and has a refractive index of 1.5 to 1.61.

그리고, 상기 평탄화층은 상기 렌즈셀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anarization layer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lens cell.

그리고, 상기 액정층은 Blue Phase, 또는 PDLC(Polymer Drispersed Liquid Crystal)를 포함하는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OILC (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including Blue Phase or PDLC (Polymer Drispersed Liquid Cryst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입체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편광판 없이도 굴절률 변경을 통한 입체 영상 구동 및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편광판 삽입에 의한 휘도 저하 및 휘도 저하 보상을 위한 전류의 보상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렌즈셀과 액정, 또는 렌즈셀과 평탄화층과 액정의 광학적 등방성에 의해 배향 공정이 필요 없게 되어 배향막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의 단순화 및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Since the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rive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drive a planar image by changing a refractive index without a separate polarizing plate, the luminance decrease and luminance due to the insertion of the polarizing plat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compensating the current for the reduction compensation, and because the alignment process is not required due to the optical isotropy of the lens cell and liquid crystal, or the lens cell and the planarization layer and the liquid crystal, the process is simplified and Cost savings can be obtained.

도 1a는 2셀 편광 렌즈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2셀 광 렌즈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1셀 액티브 편광 렌즈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1셀 액티브 편광 렌즈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직렬 연결된 복합 유전체에 의한 전압 인가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복합 유전체가 형성된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when a two-cell polarizing lens performs a planar image driving, and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when a two-cell optical lens performs a three-dimensional image driving.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when a 1-cell active polarizing lens performs a planar image driving,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when a 1-cell active polarizing lens performs a stereoscopic image drivin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m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three-dimensional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image driving is perform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form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riving a flat image, and FIG. 6B is a three-dimensional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m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image driving is perform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ubstrate on which a composite dielectric is formed to show a difference in voltage application by a composite dielectric connected in series.

이하,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제 1 및 제 2 기판(111, 112)과, 렌즈셀(120)과, 액정층(LC)으로 형성되는 입체화 수단(102)을 포함하는 것이다.3, the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01,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1 and 112, a lens cell 120, and It includes a three-dimensional means 102 formed of a liquid crystal layer (LC).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발광층을 포함하여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이나 양자점 디스플레이 패널(Quantum Dot Display Panel)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이 형태가 변형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Panel)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일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panel 101 is preferabl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or a quantum dot display panel capable of emitting light by itself including an emission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a display panel that can be deformed or deformed in shape, such as a flexible display panel or a curved display panel, and may be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입체화 수단(102)은 제 1 전극(113)이 형성된 제 1 기판(111)과, 제 2 전극(114)이 형성된 제 2 기판(112)과, 제 2 기판(112)과 마주보는 제 1 전극(113)의 일면에 형성되는 렌즈셀(120)과, 렌즈셀(120)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셀로 구성된 것으로, 제 1 및 제 2 전극(113, 114)의 전압 인가 유무에 따라 평면 영상 구동, 또는 입체 영상 구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ization means 10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rate 111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13 is formed, a second substrate 112 on which the second electrode 114 is formed, and a second substrate. A lens cell 12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13 facing 112 and a concave cell formed by the lens cell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3 and 114 A planar image driving or a stereoscopic image driving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voltage is applied.

오목셀과 렌즈셀(120)은 굴절률이 1.5~2.1인 자외선 폴리머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굴절률이 동일하며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다른 물질로 대체할 수 있다.The concave cell and the lens cell 120 may be formed of an ultraviolet polymer resin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5 to 2.1, which exhibits optical isotropy and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material having the same refractive index and exhibiting optical isotropy.

렌즈셀(120)과 같이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LC)은 광학적으로 등방 성질을 나타낼 수 있는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이 도포된 것으로,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액정의 대표적인 예로는 Blue Phase나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이 있다.The liquid crystal layer LC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such as the lens cell 120, is coated with OILC (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which can exhibit optically isotropic properties, and is a representative liquid crystal showing optical isotropy. Examples are Blue Phase or 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OILC는 외부 전기장에 의해 복굴절을 나타내는 커 효과(Kerr Effect)를 발현하고, 이에 따라 굴절율 이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 의하여 렌즈셀(120)을 통과하는 빛이 굴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OILC expresses a Kerr Effect that exhibits birefringence due to an external electric field, and thus exhibits refractive index anisotropy, thereby prevent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cell 120 from being refracted.

이때, 제 1 및 제 2 기판(111, 112)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셀(120)과 액정층(LC)은 각각 67%, 33%의 부피를 차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ens cell 120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LC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1 and 112 are preferably formed to occupy 67% and 33% of the volume, respectively.

제 1 및 제 2 기판(111, 112)은 각각 제 1 및 제 2 전극(113, 114)이 형성된 것으로, 종래에는 등방성을 나타내는 재질로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기판(111, 112)은 스스로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액정층(LC) 및 렌즈셀(120)을 포함하기 때문에 등방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물질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1 and 112 ar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3 and 114, respectively, and were conventionally formed of a material exhibiting isotropy, but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1 and 11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substrates 111 and 112 include the liquid crystal layer LC and the lens cell 120 that exhibit optical isotropy by themselves, a material that does not exhibit isotropy may be used.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광판을 포함하지 않아도 굴절률을 변경하여 입체 영상 구동, 또는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아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perform a stereoscopic image driving or a planar image driving by changing a refractive index without including a polarizing plate,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below.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다.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m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three-dimensional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image driving is performed.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체화 수단(102)은 제 1 및 제 2 전극(113, 114)에서 발생하는 전계에 의해 굴절률이 변하는 액정층(LC)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 4a에서는 제 1 및 제 2 전극(113, 114)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고, 이에 따라 액정층(LC)은 등방성을 나타내게 된다.As shown in FIG. 4A, the stereoscopic means 102 of the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refractive index by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3 and 114. The liquid crystal layer LC is included, and in FIG. 4A, since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3 and 114, an electric field is not formed, and accordingly, the liquid crystal layer LC exhibits isotropy.

이러한 경우, 1.5~2.1의 굴절률을 나타내는 렌즈셀(120)을 통과하는 빛은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액정으로 형성된 액정층(LC)을 통과하는 경우에도 굴절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렌즈셀(120)과 액정층(LC)을 통과하는 빛은 직진성을 나타낼 수 있다.In this case, even when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cell 120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5 to 2.1 passes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LC formed of a liquid crystal exhibiting optical isotropy, refraction does not occur. Accordingly, the lens cell ( Light passing through 120)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LC may exhibit straightness.

특히, 입체화 수단(102)에 입사된 빛은 편광 특성에 한정되지 않아 선 편광 및 원 편광을 나타낼 수도 있고, 편광 특성을 나타내지 않을 수도 있다.
In particular, the light incident on the three-dimensionalization means 102 is not limited to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nd thus may exhibit linear polarization and circular polarization, or may not exhibit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체화 수단(102)은 제 1 및 제 2 전극(113, 114)에서 발생하는 전계에 의해 굴절률이 변하는 액정층(LC)을 포함하기 때문에, 도 4b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113, 114)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계를 형성할 경우 액정층(LC)이 나타내던 광학적 등방성을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B, the stereoscopic means 102 of the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fractive index due to an electric field gene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3 and 114. Since this variable liquid crystal layer LC is included, when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3 and 114 as shown in FIG. 4B, the optical isotropy exhibited by the liquid crystal layer LC can be changed. have.

이러한 경우, 1.5~2.1의 굴절률을 나타내는 렌즈셀(120)을 통과하는 빛은 광학적 등방성을 잃은 액정층(LC)을 통과하면서 렌즈셀(120)의 굴절 각에 따라 굴절 현상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cell 120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5 to 2.1 may exhibit a refraction phenomenon according to the refractive angle of the lens cell 120 while passing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LC that has lost optical isotropy.

이러한 경우, 빛 A는 진행 경로와 렌즈셀(120)의 중앙면이 수직을 이루기 때문에 서로 다른 굴절률에 의해 굴절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직진성을 잃지 않고 진행할 수 있으나, 빛 B는 진행 경로와 렌즈셀(120)의 측면이 수직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굴절률에 의해 굴절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종래의 편광 렌즈와 유사한 빛의 경로를 나타내며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light A can proceed without losing straightness even when refraction occurs due to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because the traveling path and the central plane of the lens cell 120 are perpendicular, but light B is the traveling path and the lens cell ( Since the side surface of 120) is not vertical, refraction occurs due to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nd thus, a path of light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polarizing lens is displayed, and a stereoscopic image can be driven.

이와 같이 구동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편광판을 구비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한 빛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낮은 휘도를 보상하기 위한 추가 전력 소모량 또한 감소하게 되어 발열 및 수명이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e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en in this way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light generated from the display panel without having a separate polarizing plate, and thus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to compensate for low luminance In addition, it is reduced, and thus the heat generation and lifespan may be improved.

한편, 상기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굴절률 차이를 이용하여 빛을 굴절시켜 입체 영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액정층(LC)의 모양과 같이 자외선 폴리머 레진이 형성되고, 렌즈부(120)의 공간에 액정층(LC)이 위치할 경우 동일한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exhibits a three-dimensional image effect by refracting light using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and an ultraviolet polymer resin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liquid crystal layer LC, and in the space of the lens unit 120 When the liquid crystal layer LC is located, the same driving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층 전체의 등방성을 변경하여 빛을 굴절시키거나 직진시켜 렌즈셀(120)의 중앙면에 대응하는 어느 한 지점에서 빛이 모이도록 하는 것으로, 렌즈셀(120)의 측면에 대응하는 한 지점에서 빛이 모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racts light by changing the isotropy of the entire liquid crystal layer or goes straight so that the light is collec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surface of the lens cell 120. As such, it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light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lens cell 120,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전극(도 3의 113)이 렌즈셀(도 3의 120)와 제 1 기판(도 3의 111)의 사이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화 수단(도 3의 102)을 구비하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렌즈셀(220)의 상부에 제 1 전극(213)이 증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화 수단(202)을 구비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제 1 기판(211)과, 제 1 기판(211)의 상부에 형성된 렌즈셀(220)와, 렌즈셀(220)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전극(213)과, 제 1 전극(213)의 상부에 형성된 평탄화층(225)과, 평탄화층(225)의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층(LC)과, 액정층(LC)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 1 기판(211)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 2 전극(214)이 형성된 제 2 기판(212)을 포함하는 입체화 수단(202)을 구비하는 것이다.5, in the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ctrode (113 in FIG. 3) is a lens cell (120 in FIG. 3) and a first substrate (111 in FIG. 3). Unlike the first embodiment having a three-dimensional means (102 in FIG. 3), whic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3 is deposited on the top of the lens cell 220. 202, in more detail, a first substrate 211, a lens cell 220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211, and a first electrode 213 formed on the lens cell 220 ), a planarization layer 225 formed on top of the first electrode 213, a liquid crystal layer LC position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225, and a first It is provided with a three-dimensional means 202 including a second substrate 212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214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ubstrate 211.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발광층을 포함하여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이나 양자점 디스플레이 패널(Quantum Dot Display Panel)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이 형태가 변형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The display panel 201 is preferabl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or a quantum dot display panel, which can emit light by itself including an emission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a display panel that can be deformed or deformed, such as a display panel having a curved surface or a display panel having a curved surface.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체화 수단(202)은 제 1 전극(213)이 형성된 제 1 기판(211)과, 제 2 전극(214)이 형성된 제 2 기판(212)과, 제 2 기판(212)과 마주보는 제 1 전극(211)의 일면에 형성되는 렌즈셀(220)와, 렌즈셀(2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평탄화층(225)과, 평탄화층(225)과 제 2 전극(214)이 형성된 제 2 기판(212)의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LC)으로 구성된 것으로, 제 1 및 제 2 전극(213, 214)의 전압 인가 유무에 따라 평면 영상 구동, 또는 입체 영상 구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ization means 2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rate 211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213 is formed, a second substrate 212 on which the second electrode 214 is formed, and a second substrate. A lens cell 22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211 facing the 212, a planarization layer 225 formed on the lens cell 220, a planarization layer 225 and a second electrode Consisting of a liquid crystal layer LC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212 on which 214 is formed, driving a planar image or driving a three-dimensional image depending on whether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3 and 214 Can be performed selectively.

제 1 기판(211)은 렌즈셀(2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제 2 기판(212)은 제 2 전극(214)이 증착된 것으로, 종래에는 등방성을 나타내는 재질로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기판(211, 212)은 스스로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액정층(LC)과 렌즈셀(220) 및 평탄화층(225)을 포함하기 때문에 등방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물질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substrate 211 is a lens cell 220 is formed, the second substrate 212 is a second electrode 214 is deposited, conventionally formed of isotropic material, but the first of the present invention 1 Since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211 and 21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 a liquid crystal layer LC that exhibits optical isotropy by themselves, a lens cell 220 and a planarization layer 225, they are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exhibit isotropy. Can be used.

렌즈셀(220)는 굴절률이 1.5~2.1인 자외선 폴리머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굴절률이 동일하고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며 투명한 절연성 물질로 대체할 수 있다.The lens cell 220 may be formed of an ultraviolet polymer resin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5 to 2.1, which exhibits optical isotropy,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replaced with a transparent insulating material having the same refractive index and optical isotropy.

평탄화층(225)은 렌즈셀(220)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전극(213)과 제 2 전극(214)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전극(213)의 전압을 인가받아 제 1 및 제 2 전극(213, 214)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는 것을 방해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전극(213, 214)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는 평탄화층(225)의 두께에 반비례한다.The planarization layer 225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3 and the second electrode 214 formed on the lens cell 220 to receive a voltage from the first electrode 213 to receiv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 It prevents the electric field from being formed between the 213 and 214, and the electric field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3 and 214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hickness of the planarization layer 225.

평탄화층(225)은 굴절률이 렌즈셀(22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narization layer 225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equal to or similar to that of the lens cell 220.

액정층(LC)은 제 1 기판(211)의 상부에 형성되는 평탄화층(225)과 제 2 기판(212)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층(도 3의 LC)과 달리 일정한 갭을 유지하기 위하여 컬럼 스페이서(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액정층(LC)이 균일한 두께를 나타낼 수 있도록 유지할 수 있다.The liquid crystal layer LC is formed between the planarization layer 225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211 and the second substrate 212,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LC in FIG. 3) Unlike this, by including a column spacer (not shown)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gap, the liquid crystal layer LC may be maintained to have a uniform thickness.

이때, 액정층(LC)을 구성하는 액정은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OILC로, OILC는 외부 전기장에 의해 복굴절을 나타내는 커 효과를 발현하고, 이에 따라 굴절율 이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iquid crystal constituting the liquid crystal layer LC is an OILC exhibiting optical isotropy, and the OILC exhibits a Kerr effect showing birefringence due to an external electric field, and thus may exhibit refractive index anisotropy.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광판을 포함하지 않아도 굴절률을 변경하여 입체 영상 구동, 또는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아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med in the above structure can perform a stereoscopic image driving or a planar image driving by changing a refractive index without including a polarizing plate,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below.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다.6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form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riving a flat image, and FIG. 6B is a three-dimensional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m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image driving is performed.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체화 수단(202)은 제 1 및 제 2 전극(213, 214)에서 발생하는 전계에 의해 굴절률이 변하는 액정층(LC)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 6a에서는 제 1 및 제 2 전극(213, 214)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고, 이에 따라 액정층(LC)은 광학적 등방성을 유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A, the stereoscopic means 202 of the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m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refractive index by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3 and 214. It includes the liquid crystal layer LC, and in FIG. 6A, since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3 and 214, an electric field is not formed, and accordingly, the liquid crystal layer LC maintains optical isotropy. do.

디스플레이 패널(201)에서 출력된 빛은 입체화 수단(202)으로 입사되어 렌즈셀(220)를 통과한 후 평탄화층(225)에 입사되는데, 렌즈셀(220)와 평탄화층(225)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굴절률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통과하는 빛은 굴절 현상을 일으키지 않고 직진성을 유지한 상태로 액정층(LC)에 입사된다.The light output from the display panel 201 is incident on the three-dimensionalization means 202, passes through the lens cell 220, and then enters the planarization layer 225, the lens cell 220 and the planarization layer 225 are the sam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m is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layer LC while maintaining straightness without causing a refraction phenomenon.

액정층(LC)은 상기한 바와 같이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상태이므로 입사된 빛을 굴절시키지 않기 때문에 액정층(LC)에 입사된 빛은 직진성을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liquid crystal layer LC exhibits optical isotropy as described above, since it does not refract incident light, the light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layer LC maintains straightness. Accordingly, the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the drive.

특히, 입체화 수단(202)에 입사한 빛은 편광 특성에 한정되지 않아 입체화 수단(202)에 입사되는 모든 빛에 대해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light incident on the stereoscopic means 202 is not limited to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 planar image driving may be performed on all light incident on the stereoscopic means 202.

한편,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체화 수단(202)은 제 1 및 제 2 전극(213, 214)에서 발생하는 전계에 의해 굴절률이 변하는 액정층(LC)을 포함하기 때문에, 도 6b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213, 214)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계를 형성할 경우 액정층(LC)이 나타내던 광학적 등방성을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B, the stereoscopic means 202 of the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m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fractive index due to an electric field gene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3 and 214. Since this variable liquid crystal layer LC is included, when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3 and 214 as shown in FIG. 6B, the optical isotropy exhibited by the liquid crystal layer LC can be changed. have.

이때, 렌즈셀(220)상에 형성된 제 1 전극(213)과 액정층(LC)의 이격 거리에 따라 형성되는 전계에 차이가 발생하는데, 렌즈셀(220)의 중앙면에 형성되는 전계 A-A'는 전계 형성을 방지하는 평탄화층(225)이 렌즈셀(220)에 의해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전극(213)과 제 2 전극(214) 사이에는 정상적인 전계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전계 A-A'와 가까운 위치의 액정 분자들은 광학적 등방성을 잃게 되어 빛을 굴절시키게 된다.At this time, a difference occurs in the electric field formed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3 formed on the lens cell 220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LC, and the electric field A- formed on the central surface of the lens cell 220 A'denotes a normal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3 and the second electrode 214 because the planarization layer 225 that prevents the formation of an electric field is formed to have a very thin thickness by the lens cell 220. Accordingly, liquid crystal molecules located close to the electric field A-A' lose optical isotropy and refract light.

반면, 렌즈셀(22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전계 B-B'는 전계 형성을 방지하는 평탄화층(225)이 렌즈셀(220)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전계 A-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평탄화층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전극(213)과 제 2 전극(214) 사이에는 매우 약한 전계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전계 B-B'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액정 분자들은 광학적 등방성을 유지하게 되어 빛을 직진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field B-B' formed on the side of the lens cell 22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field A-A' because the planarization layer 225 that prevents the formation of the electric fiel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lens cell 220. Since it is formed thicker than the planarization layer, a very weak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3 and the second electrode 214, and thus liquid crystal molecules that are hardly affected by the electric field B-B' are optically isotropic. It keeps the light going straight.

이에 따라, 전계 A-A'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액정 분자는 광학적 등방성을 잃게되고, 전계 B-B'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광학적 등방성을 이루게 되어 종래의 편광렌즈와 유사한 빛의 경로를 나타내며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closer to the electric field A-A',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lose optical isotropy, and the closer to electric field B-B', the more optically isotropic is achieved, indicating a path of light similar to a conventional polarizing lens, and driving a stereoscopic image. You will be able to perform.

이와 같이 구동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편광판을 구비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한 빛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낮은 휘도를 보상하기 위한 추가 전력 소모량 또한 감소하게 되어 발열 및 수명이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The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en in this way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light generated from the display panel without having a separate polarizing plate, and thus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to compensate for low luminance In addition, it is reduced, and thus the heat generation and lifespan may be improved.

한편,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체화 수단(202)은 직렬 연결된 복합 유전체에 의한 전압 인가 차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는 아래 도 7을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three-dimensionalization means 2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uses a difference in voltage application by a composite dielectric connected in series,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below.

도 7은 직렬 연결된 복합 유전체에 의한 전압 인가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복합 유전체가 형성된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ubstrate on which a composite dielectric is formed to show a difference in voltage application by a composite dielectric connected in serie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연결된 복합 유전체가 형성된 기판은 각각의 제 1 전극(311)과 제 2 전극(312)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기판(301, 302)과, 제 1 및 제 2 기판(301, 302)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높이인 d1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 1 유전체(ε1)와, 제 1 및 제 2 기판(301, 302) 사이에 형성되며 제 2 높이인 d2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 2 유전체(ε2)를 포함하며, 제 1 기판(301)과 마주하는 제 2 기판(302)의 일면에는 제 2 전극(312)이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전극(311, 312) 각각이 전원 공급 장치(V)와 연결된 것이 특징이다.As shown in FIG. 7, the substrate on which the composite dielectric connected in series is formed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strates 301 and 302 on whic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11 and 312 are 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2 A first dielectric ε1 formed between the substrates 301 and 302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d1, which is a first height, and d2, whic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301 and 302, It includes a second dielectric ε2 formed to have a thickness, and a second electrode 312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302 facing the first substrate 301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11, 31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V).

이때, 제 1 유전체(ε1)에 인가되는 제 1 전압은 V1으로, 제 2 유전체(ε2)에 인가되는 제 2 전압은 V2로 정의한다.At this time, the first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dielectric ε1 is defined as V1, and the second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dielectric ε2 is defined as V2.

전원 공급 장치(V)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 Vop는 제 1 전극(311)과 제 2 전극(312) 각각에 V1과 V2로 분할되어 인가되는데, V1과 V2는 제 1 및 제 2 유전체(ε1, ε2)의 두께에 따라 인가되는 전압량이 달라지게 되며, 이들의 관계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The voltage Vop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V is divided into V1 and V2 and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311 and the second electrode 312, respectively, and V1 and V2 are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s ε1, The amount of applied voltage vari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ε2), and the relationship thereof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13121193487-pat00001

Figure 112013121193487-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제 1 높이 d1과 제 2 높이 d2는 서로 비례 관계인 것으로, 제 1 전압 V1과 제 2 전압 V2는 제 1 높이 d1과 제 2 높이 d2와 비례하여 인가량이 달라진다.In Equation 1, the first height d1 and the second height d2 are proportional to each other, and the applied amount of the first voltage V1 and the second voltage V2 varies in proportion to the first height d1 and the second height d2.

반면, 상기 수학식 1에서, 제 1 유전체 ε1와 제 2 유전체 ε2는 서로 반비례 관계인 것으로, 제 1 전압 V1과 제 2 전압 V2는 제 1 유전체 ε1과 제 2 유전체 ε2에 반비례하여 인가량이 달라진다.On the other hand, in Equation 1, the first dielectric ε1 and the second dielectric ε2 are in inverse proportion to each other, and the first voltage V1 and the second voltage V2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first dielectric ε1 and the second dielectric ε2, so that the applied amount varies.

상기 수학식 1에서, 제 1 높이 d1이 감소할 경우 제 1 높이 d1에 비례하여 인가량이 달라지는 제 1 전압 V1의 전압값은 감소하고, 제 2 높이 d2에 비례하여 인가량이 달라지는 제 2 전압 V2의 전압값은 제 1 전압 V1이 감소한 만큼 전압값이 증가하게 된다.In Equation 1, when the first height d1 decreases,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voltage V1, whose applied amount varies in proportion to the first height d1, decreases, and the second voltage V2, whose applied amount varies in proportion to the second height d2. The voltage value increases as the first voltage V1 decreases.

반면, 수학식 1에서, 제 1 높이 d1이 감소할 경우 제 1 높이 d1에 비례하여 인가량이 달라지는 제 1 전압 V1의 전압값은 증가하고, 제 2 높이 d2에 비례하여 인가량이 달라지는 제 2 전압 V2의 전압값은 제 1 전압 V1이 증가한 만큼 전압값이 감소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Equation 1, when the first height d1 decreases,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voltage V1, whose applied amount varies in proportion to the first height d1, increases, and the second voltage V2, whose applied amount varies in proportion to the second height d2. The voltage value of is decreased as the first voltage V1 increases.

이때, 전원 공급 장치(V)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Vop는 일정한 것으로, 제 1 높이 d1과 제 2 높이 d2에 상관없이 제 1 전압 V1과 제 2 전압 V2의 합은 항상 전압 Vop의 전압값과 동일하다.At this time, the voltage Vop input through the power supply V is constant, and the sum of the first voltage V1 and the second voltage V2 is always equal to the voltage value of the voltage Vop regardless of the first height d1 and the second height d2. Do.

여기서, 도 6b를 참조하면, 제 1 유전체(도 7의 ε1)에 대응하는 액정층(LC)과 제 2 유전체(도 7의 ε2)에 대응하는 평탄화층(225) 또한 제 1 높이 d1와 제 2 높이 d2에 따라 전압 인가량이 달라지는 것으로, 렌즈셀(220)의 굴곡에 따라 달라지는 제 2 높이 d2가 전계 A-A'와 같이 0에 가까워질 경우, 액정층(LC)에 인가되는 전압 인가량을 증가시켜 액정층(LC)의 액정 분자가 광학적 등방성을 상실하도록 하며, 제 2 높이 d2가 전계 B-B'와 같이 최대로 증가하는 경우, 액정층(LC)에 인가되는 전압 인가량을 감소시켜 액정층(LC)의 액정 분자가 광학적 등방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Here, referring to FIG. 6B, the liquid crystal layer LC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electric (ε1 in FIG. 7) and the planarization layer 225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electric (ε2 in FIG. 7) are also 2 The voltage application amount varies according to the height d2, and when the second height d2,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lens cell 220, approaches 0, such as electric field A-A', the voltage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layer LC Is increased so that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LC lose optical isotropy, and when the second height d2 increases to the maximum such as electric field B-B', the amount of voltage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layer LC is reduced. Thus,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LC can maintain optical isotropy.

이와 같은 액정층(LC)의 굴절률 변화에 따라 입체화 수단(202)은 평면 영상 구동, 또는 입체 영상 구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such a change i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quid crystal layer LC, the three-dimensionalization means 202 may selectively perform a planar image driving or a three-dimensional image driving.

상기와 같은 구조의 입체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편광판 없이도 굴절률 변경을 통한 입체 영상 구동 및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편광판 삽입에 의한 휘도 저하 및 휘도 저하 보상을 위한 전류의 보상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렌즈셀과 액정, 또는 렌즈셀과 평탄화층과 액정의 광학적 등방성에 의해 배향 공정이 필요 없게 되어 배향막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의 단순화 및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The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the three-dimensionalization means as described above can drive a three-dimensional image by changing the refractive index and drive a planar image without a separate polarizing plate, so that the luminance decrease and the luminance decrease compensation by insertion of the polarizing plate can be performed. The problem of current compensation can be solved, and the alignment process is not required due to the optical isotropy of the lens cell and liquid crystal, or the lens cell and the planarization layer and the liquid crystal, thus simplifying the process and reducing cost. You can get it.

101 : 디스플레이 장치 102 : 입체화 수단
111 : 제 1 기판 112 : 제 2 기판
113 : 제 1 전극 114 : 제 2 전극
120 : 렌즈셀 LC : 액정층
225 : 평탄화층
101: display device 102: three-dimensional means
111: first substrate 112: second substrate
113: first electrode 114: second electrode
120: lens cell LC: liquid crystal layer
225: planarization layer

Claims (15)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셀과;
상기 렌즈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렌즈셀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은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인 액정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렌즈셀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위치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panel;
A first substrate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A first electrode positioned on the first substrate;
A lens cell positioned above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substrate positioned on the lens cell;
Including a liquid crystal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lens cell,
The liquid crystal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crystal is filled with OILC (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The lens cell is an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양자점 디스플레이 패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panel i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a quantum dot display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panel i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flat or curved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투명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exhibiting optical anisotrop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셀은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며, 굴절률이 1.5 내지 1.61인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ens cell i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wherein the lens cell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optical isotropy and a refractive index of 1.5 to 1.6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Blue Phase, 또는 PDLC(Polymer Drispersed Liquid Crystal)를 포함하는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quid crystal layer i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wherein the liquid crystal layer is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OILC (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including Blue Phase or PDLC (Polymer Drispersed Liquid Crystal).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셀과;
상기 렌즈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상부에 형성되는 평탄화층과;
상기 평탄화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렌즈셀 사이에 도포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은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panel;
A first substrate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A lens cell positioned on the first substrate;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lens cell;
A planarization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substrate position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It includes a liquid crystal layer applied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lens cell,
The liquid crystal layer i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ILC (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양자점 디스플레이 패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play panel i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a quantum dot display pane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투명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exhibiting optical anisotrop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셀은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며, 굴절률이 1.5 내지 1.61인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lens cell i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wherein the lens cell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optical isotropy and a refractive index of 1.5 to 1.6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층은 상기 렌즈셀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planarization layer i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lens cel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Blue Phase, 또는 PDLC(Polymer Drispersed Liquid Crystal)를 포함하는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liquid crystal layer i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wherein the liquid crystal layer is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OILC (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including Blue Phase or PDLC (Polymer Drispersed Liquid Cryst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되는 제 2 전극과 직접 접촉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quid crystal layer i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in direct contact with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KR1020130168740A 2013-12-31 2013-12-31 Non- Glasses 3D Display Device KR1021563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740A KR102156343B1 (en) 2013-12-31 2013-12-31 Non- Glasses 3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740A KR102156343B1 (en) 2013-12-31 2013-12-31 Non- Glasses 3D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901A KR20150078901A (en) 2015-07-08
KR102156343B1 true KR102156343B1 (en) 2020-09-15

Family

ID=5379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740A KR102156343B1 (en) 2013-12-31 2013-12-31 Non- Glasses 3D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3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281B1 (en) 2015-08-31 2023-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CN112234086A (en) * 2020-10-15 2021-0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Preparation method of display pan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6753A (en) * 2003-02-05 2006-07-06 オキュイティ・リミテッド Switchable le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533A (en) * 2005-06-29 2007-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Lenticular type 3 dimension display device
KR101324398B1 (en) * 2006-06-29 2013-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enticular lens and Method of Aligning Liquid Crystal Therein
KR101341006B1 (en) * 2007-05-29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hree-dimensional image optical panel of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6753A (en) * 2003-02-05 2006-07-06 オキュイティ・リミテッド Switchable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901A (en)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2356B2 (en) Stereoscopic image conversion panel
KR101122199B1 (en) 2D-3D switchable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JP6341903B2 (en) Image display device using diffractive lens
EP2535746B1 (en) Liquid crystal lens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9223160B2 (en) Display
JP5952853B2 (en) Beam shaping device
US8564874B2 (en) Transmission mode switching device and 2D/3D switchable display apparatus
JP5877979B2 (en) Image display device using diffraction element
CN102707539B (en) A kind of 2D-3D switchable stereo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lens
US9599874B2 (en) Optical component and display
US20130088529A1 (en) Display unit
KR20140023844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JP2013015809A (en) Liquid crystal lens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2010224191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CN105929619B (en) Blue phase liquid crystal Fresnel Lens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4965372A (en) PDLC based light guide device and photo-electronic device
CN103852936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EP2657757A1 (en) Liquid crystal optical element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156343B1 (en) Non- Glasses 3D Display Device
CN103278993B (en) Liquid crystal lens and driving method, 3 d display device
CN203287665U (en) Liquid crystal lens capable of reducing crosstalk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with same
CN104345465A (en) Display screen capable of realiz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mode conversion
CN102681195A (en) Polarized light transformational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KR102011950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101938692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