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077B1 -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077B1
KR102156077B1 KR1020190146545A KR20190146545A KR102156077B1 KR 102156077 B1 KR102156077 B1 KR 102156077B1 KR 1020190146545 A KR1020190146545 A KR 1020190146545A KR 20190146545 A KR20190146545 A KR 20190146545A KR 102156077 B1 KR102156077 B1 KR 102156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ot
bim
iot sensing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욱
정유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46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설물 관리 대상인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IOT 센싱 장치로부터 획득한 IOT 센싱 데이터와 건물의 BIM데이터를 연계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결과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해주어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는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OT}
본 발명은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설물 관리 대상인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IOT 센싱 장치로부터 획득한 IOT 센싱 데이터와 건물의 BIM데이터를 연계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결과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해주어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는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창의성, 협업과 소통하는 업무 분위기가 중시되면서 업무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많은 회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정해진 자리가 없는 개방형 사무실이나 공유사무실이 나타나고 있다.
종래에는 일정한 사용자가 정해진 공간을 점유하고 온도, 습도와 밝기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역할이었다. 하지만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실내 공간의 활용 방법이 바뀌면서 관리자가 효율적으로 시설물을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공개특허 10-2019-0029115, 공개일자 2019년 03월 20일, '복수종류의 시설물 관리를 위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환경정보수집 방법' 등록특허 10-2022010, 등록일자 2019년 09월 09일,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설물 관리 대상인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IOT 센싱 장치로부터 획득한 IOT 센싱 데이터와 건물의 BIM데이터를 연계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결과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해주어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는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시설물 관리 대상인 건물에 대한 BIM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BIM DB(100); 상기 건물에 설치되어 센싱을 통해 IOT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의 IOT 센싱 장치(200); 상기 IOT 센싱 데이터와 상기 BIM 데이터를 연계하는 클라우드 서버(300);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I0T-BIM 연계 데이터를 전송받아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알고리즘(400); 및 상기 알고리즘(400)으로부터 분석결과를 전송받는 사용자단말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OT 센싱 장치(200)는,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데이터를 생성하는 온도센서부(210); 습도를 측정하여 습도데이터를 생성하는 습도센서부(220); 밝기를 측정하여 밝기데이터를 생성하는 밝기센서부(230); 및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데이터를 생성하는 초음파센서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상기 IOT 센싱 데이터 중 유스케이스(Use Case)에 따라 지정된 IOT 센싱 데이터와 상기 BIM 데이터를 연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상기 복수의 IOT 센싱 장치(200)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고리즘(400)은, 상기 I0T-BIM 연계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IOT 센싱 데이터 중 온도와 상대습도 데이터를 그래프 형식으로 빅데이터 분석하여 건물 중 상기 IOT 센싱 장치(200)가 설치된 장소의 쾌적도를 평가한 분석결과와 상기 IOT 센싱 데이터 중 밝기 데이터를 그래프 형식으로 빅데이터 분석하여 건물 중 상기 IOT 센싱 장치(200)가 설치된 장소의 공간활용도를 평가한 분석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5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시설물 관리 대상인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IOT 센싱 장치로부터 획득한 IOT 센싱 데이터와 건물의 BIM데이터를 연계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결과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해주어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센싱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서버의 쾌적도 평가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서버의 공간활용도 평가예시도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시설물 관리 대상인 건물에 대한 BIM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BIM DB(100)와 상기 건물에 설치되어 센싱을 통해 IOT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의 IOT 센싱 장치(200)와 상기 IOT 센싱 데이터와 상기 BIM 데이터를 연계하는 클라우드 서버(300)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I0T-BIM 연계 데이터를 전송받아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알고리즘(400) 및 상기 알고리즘(400)으로부터 분석결과를 전송받는 사용자단말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센싱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OT 센싱 장치(200)는 온도를 -40~80℃의 범위로 0.1℃ 단위로 측정할 수 있고, ±0.5℃의 정밀도를 갖는 온도센서부(210)와 상대습도를 0~100% 범위로 0.1% 단위로 측정할 수 있고, ±0.2%의 정밀도를 갖는 습도센서부(220)와 밝기를 1024단계로 측정할 수 있는 밝기센서부(230) 및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센서부(24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IOT 센싱 장치(200)는 바람직하게 매 1초마다 온도센서부(210), 습도센서부(220), 밝기센서부(230) 및 초음파센서부(240)를 통해 온도, 상대습도, 밝기 및 거리값을 수집하되, 상기 온도, 상대습도 및 밝기는 20개 데이터의 평균값을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거리는 최소값을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상기 복수의 IOT 센싱 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은 IOT 센싱 데이터 중 유스케이스(Use Case)에 따라 지정된 IOT 센싱 데이터와 상기 BIM 데이터를 연계하며, 이를 위해 장치정의부(310), 데이터획득부(320), BIM연계부(330) 및 데이터저장부(3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상기 복수의 IOT 센싱 장치(200)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데, 상기 API는 바람직하게 씽스피크(Thingspeak), AWS(Amazon Web Service) 또는 MS(Microsoft)사의 Azure 일 수 있다.
상기 장치정의부(310)는 시설물 관리 대상인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IOT 센싱 장치(200)를 정의하는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장치정의부(310)는 각 IOT 센싱 장치(200)의 식별정보와 성능정보를 정의한다.
상기 장치정의부(310)는 IOT 센싱 장치(200)의 ID(Identification), name, 센싱 데이터 타입, 단위와 동작 범위를 포함하는 스펙(즉, 규격 및 사양 정보, Specification)를 상기 식별정보와 성능정보로서 정의하고, 스펙에 따른 동작을 보장한다.
상기 데이터획득부(320)는 IOT 센싱 장치(200)의 설치 위치값(position), 위치 좌표 체계(coordinate), IOT 센싱 장치(200)의 ID(device_id), 센싱 간격(period), IOT 센싱 장치(200)와의 통신망(com), 통신 프로토콜 종류(protocol), IOT 센싱 데이터를 저장할 데이터저장부(340)의 URL 또는 IP 주소(즉, 저장 위치, destination), 버퍼 개수(buffer), 보안 방법(security) 및 저장되는 테이블명(insert name)을 포함하는 다수의 연산자들을 IOT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방식 및 데이터저장부(340)에 저장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정의한다.
즉, 데이터획득부(320)는, IOT 센싱 장치(200)와 정의된 통신망 및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센싱 간격마다 IOT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IOT 센싱 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340)의 저장 위치에 보안 방법을 적용하여 정의된 테이블명으로 저장한다.
상기 BIM연계부(330)는, 상기 BIM DB(100)에 저장된 BIM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저장부(340)에 저장된 IOT 센싱 데이터를 연계하는 연계 방식을 정의한다. 즉, BIM연계부(310)는 BIM DB(100)에 저장된 BIM 데이터의 객체마다 연결할 IOT 센싱 장치(200)의 ID와 데이터저장부(340) 중 객체에 연결할 데이터세트(dataset)의 이름으로 테이블명을 지정하여 연계 방식을 정의한다.
또한 상기 BIM연계부(330)는 IOT 센싱 데이터가 획득되면, 정의된 연계 방식에 기초하여 IOT 센싱 데이터와 BIM 데이터를 연계하여 상기 알고리즘(400)으로 전송한다.
[표 1]은 G2BM 컴포넌트 역할을 정의한 표이다. G2BM은 형상-BIM 맵핑(Geometry-to-BIM mapping) 변환 방법을 의미한다. [표 1]에서 장치는 IOT 센싱 장치를 의미한다.
컴포넌트명 역할
IoT-BIMx IoT-BIM connection을 위한 연산자를 정의한다.
IoT_BIMx={device_definition, device_diagnose, data_acquisition*, BIM_connection*}
*=multiple
device_definition=IoT device definition
device_diagnoise=device diagnose
data_acquisition=device data acquisition
BIM_connection=BIM connection
IoT device definition IoT 센싱 장치를 정의하는 방법을 지원한다. 다음은 이를 위한 연산자이다. 장치의 스펙을 정의하고, 스펙에 따른 동작을 보장한다.
device_definition={id, device*}
id=identification
device={id, name, type, maker, specification}
*=multiple
type=IOT 센서 데이터 유형(예를 들어, 온도, 습도, 밝기, 거리 등 다양)
specification={op_range*}
op_range={name, unit, type, [value], [begin], [end]}
[]: option
unit=단위(예를 들어, ℃, %, lx, cm 등 다양)
begin=시작값
end=마지막값
type={integer, real, string, vector2D, vector3D, complex}
Device data acquisition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data_acquisition={id, [position], [coordinate], sensing*}
id=identification
position=장치 설치 위치값
coordinate=위치 좌표 체계 정의. e.g. WGS84
sensing={device_id, period, com, protocol, destination, buffer, security}
device_id=장치 ID
period=센싱 간격. ns=nanosecond, s=second, m=minute, h=hour
com=통신 방법. e.g. WiFi, BLE, LoRA
protocol=통신 프로토콜. e.g. MQTT
destination=필드 데이터베이스 내의 저장 위치
buffer=버퍼링 숫자
security=보안 방법
BIM connection 센싱 데이터와 BIM 데이터의 연계 방법을 정의한다.
BIM_connection={source, [coordinate], element*}
source=BIM 데이터 소스(즉, BIM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URL) 명시
element={type, id, name, GUID, link, [element]}
type=BIM 객체 유형. e.g. building, storey, space, room
name=BIM 객체명
GUID=global unify identification
link={dataset, device_id}
dataset=연결될 IoT device field dataset 이름 명시
device_id=연결될 IoT device ID 명시
Field database IoT 센싱 장치에서 획득한 정보(IOT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database이다.
BIM database BIM 데이터를 저장하는 database이다.
상기 [표 1]에서 'IoT device definition'는 장치정의부(310), 'Device data acquisition'는 데이터획득부(320), 'BIM connection'은 BIM연계부(330), 'Field database'는 데이터저장부(340), 'BIM database'는 BIM DB(100)를 의미한다. 따라서, [표 1]에 정의된 연산자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300)의 각 구성요소들의 각 방식, 또는 역할을 정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서버의 쾌적도 평가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상기 I0T-BIM 연계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IOT 센싱 데이터 중 온도와 상대습도 데이터를 그래프 형식으로 빅데이터 분석하여 건물 중 상기 IOT 센싱 장치(200)가 설치된 장소의 쾌적도를 평가한 분석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500)로 전송해준다.
이 때, 바람직하게 상기 알고리즘(400)은 쾌적도를 평가함에 있어서 IOT 센싱 장치가(200)가 설치된 위치의 온도가 25도 ~ 26도 범위인지 아닌지 여부와 습도가 50% ~ 70% 범위인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쾌적도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범위는 임의값으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알고리즘(400)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상기 I0T-BIM 연계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IOT 센싱 데이터 중 밝기 데이터를 그래프 형식으로 빅데이터 분석하여 건물 중 상기 IOT 센싱 장치(200)가 설치된 장소의 공간활용도를 평가한 분석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500)로 전송해준다.
이 때, 바람직하게 상기 알고리즘(400)은 공간활용도를 평가함에 있어서 밝기 데이터 중 조명을 사용했을 때의 밝기와 유사값이 있을 경우 조명을 사용했다고 판단하고 조명의 사용여부를 통해 상기 IOT 센싱 장치(200)가 설치된 장소의 공간활용도를 평가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평가를 위해 IOT 센싱 데이터 중 거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통해서 사용자단말기(500)를 통해 알고리즘(400)이 전송해준 쾌적도 및 공간활용도 분석결과를 확인하여 IOT 센싱 장치(200)가 설치된 위치의 유지관리를 위한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BIM DB
200 : IOT 센싱 장치
210 : 온도센서부
220 : 습도센서부
230 : 밝기센서부
240 : 초음파센서부
300 : 클라우드 서버
400 : 알고리즘
500 : 사용자단말기

Claims (5)

  1. 시설물 관리 대상인 건물에 대한 BIM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BIM DB(100);
    상기 건물에 설치되어 센싱을 통해 IOT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의 IOT 센싱 장치(200);
    상기 IOT 센싱 데이터와 상기 BIM 데이터를 연계하는 클라우드 서버(300);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I0T-BIM 연계 데이터를 전송받아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알고리즘(400); 및
    상기 알고리즘(400)으로부터 분석결과를 전송받는 사용자단말기(500);
    를 포함하되,
    상기 IOT 센싱 장치(200)는,
    ±0.5℃의 정밀도를 갖고, 온도를 -40~80℃의 범위로 0.1℃ 단위로 측정하여 온도데이터를 생성하는 온도센서부(210);
    ±0.2%의 정밀도를 갖고, 상대습도를 0~100% 범위로 0.1% 단위로 측정하여 습도데이터를 생성하는 습도센서 습도센서부(220);
    밝기를 1024단계로 측정하여 밝기데이터를 생성하는 밝기센서부(230); 및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데이터를 생성하는 초음파센서부(240);
    를 포함하되,
    매 1초마다 온도센서부(210), 습도센서부(220), 밝기센서부(230) 및 초음파센서부(240)를 통해 온도, 상대습도, 밝기 및 거리값을 수집하여, 상기 온도, 상대습도 및 밝기는 20개 데이터의 평균값을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거리는 최소값을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상기 IOT 센싱 데이터 중 유스케이스(Use Case)에 따라 지정된 IOT 센싱 데이터와 상기 BIM 데이터를 연계하기 위해 장치정의부(310), 데이터획득부(320), BIM연계부(330) 및 데이터저장부(340)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정의부(310)는 IOT 센싱 장치(200)의 ID(Identification), name, 센싱 데이터 타입, 단위와 동작 범위를 포함하는 스펙(즉, 규격 및 사양 정보, Specification)를 식별정보와 성능정보로서 정의하고,
    상기 데이터획득부(320)는 IOT 센싱 장치(200)의 설치 위치값(position), 위치 좌표 체계(coordinate), IOT 센싱 장치(200)의 ID(device_id), 센싱 간격(period), IOT 센싱 장치(200)와의 통신망(com), 통신 프로토콜 종류(protocol), IOT 센싱 데이터를 저장할 데이터저장부(340)의 URL 또는 IP 주소(즉, 저장 위치, destination), 버퍼 개수(buffer), 보안 방법(security) 및 저장되는 테이블명(insert name)을 포함하는 다수의 연산자들을 IOT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방식 및 데이터저장부(340)에 저장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정의하고,
    상기 BIM연계부(330)는 상기 BIM DB(100)에 저장된 BIM 데이터의 객체마다 연결할 IOT 센싱 장치(200)의 ID와 데이터저장부(340) 중 객체에 연결할 데이터세트(dataset)의 이름으로 테이블명을 지정하여 연계 방식을 정의하고, IOT 센싱 데이터가 획득되면 정의된 연계 방식에 기초하여 IOT 센싱 데이터와 BIM 데이터를 연계하여 상기 알고리즘(400)으로 전송하며,
    상기 알고리즘(400)은,
    상기 I0T-BIM 연계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IOT 센싱 데이터 중 온도와 상대습도 데이터를 그래프 형식으로 빅데이터 분석하여 건물 중 상기 IOT 센싱 장치(200)가 설치된 장소의 쾌적도를 평가한 분석결과와 상기 IOT 센싱 데이터 중 밝기 데이터를 그래프 형식으로 빅데이터 분석하여 건물 중 상기 IOT 센싱 장치(200)가 설치된 장소의 공간활용도를 평가한 분석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500)로 전송하되,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상기 I0T-BIM 연계 데이터를 전송받아 IOT 센싱 장치가(200)가 설치된 위치의 온도가 25℃ ~ 26℃ 범위인지 아닌지 여부와 습도가 50% ~ 70% 범위인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상기 IOT 센싱 장치(200)가 설치된 장소의 쾌적도를 평가하고, 밝기 데이터 중 조명을 사용했을 때의 밝기와 유사값이 있을 경우 조명을 사용했다고 판단하고 조명의 사용여부를 통해 상기 IOT 센싱 장치(200)가 설치된 장소의 공간활용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상기 복수의 IOT 센싱 장치(200)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5. 삭제
KR1020190146545A 2019-11-15 2019-11-15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2156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545A KR102156077B1 (ko) 2019-11-15 2019-11-15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545A KR102156077B1 (ko) 2019-11-15 2019-11-15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077B1 true KR102156077B1 (ko) 2020-09-15

Family

ID=7246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545A KR102156077B1 (ko) 2019-11-15 2019-11-15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0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102B1 (ko) 2020-11-17 2021-04-12 주식회사 서경산업 특정공간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스마트 중계 시스템
WO2024085728A1 (ko) * 2022-10-21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930A (ko) * 2013-03-29 2014-10-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KR101904804B1 (ko) * 2018-05-04 2018-10-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ot 기반 시설물 관리를 위한 iot-bim 연계 장치 및 방법
KR20190029115A (ko) 2017-09-12 2019-03-20 계명문화대학 산학협력단 복수종류의 시설물 관리를 위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환경정보수집 방법
KR102022010B1 (ko) 2018-03-02 2019-09-18 (주)디비넥스트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930A (ko) * 2013-03-29 2014-10-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KR20190029115A (ko) 2017-09-12 2019-03-20 계명문화대학 산학협력단 복수종류의 시설물 관리를 위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환경정보수집 방법
KR102022010B1 (ko) 2018-03-02 2019-09-18 (주)디비넥스트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
KR101904804B1 (ko) * 2018-05-04 2018-10-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ot 기반 시설물 관리를 위한 iot-bim 연계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102B1 (ko) 2020-11-17 2021-04-12 주식회사 서경산업 특정공간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스마트 중계 시스템
WO2024085728A1 (ko) * 2022-10-21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1382B2 (en) Generating maps of private spaces using mobile computing device sensors
US7982603B2 (en) Sensor net system, sensor net system data managing method, and sensor net system data managing program
KR102156077B1 (ko) Iot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US20190036830A1 (en) Data-flow control device and data-flow control method
JP2008217612A (ja) センサデ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センサデータ制御方法
US20090249369A1 (en) Module-to-module association support method, program, and system
CN102136162A (zh) 一种输电线路巡检系统
CN106790131B (zh) 一种参数修改方法、装置及分布式平台
JP6406336B2 (ja) センサ開通テストシステム、センサ開通テスト管理端末、センサ、センサ開通テス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6133534A1 (en) An automatically invoked unified visualization interface
US9672396B1 (en) RFID-enabled light bulb
US114493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puting services
CN105022730A (zh) 一种基于浏览器生成地理网络的方法和系统
Rodrigues et al. Fusion data tracking system (fits)
KR101966548B1 (ko) 다수의 이질적인 센서 네트워크 플랫폼을 위한 센서 메타 데이터 생성 시스템
EP3617876B1 (en) Id space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KR100470916B1 (ko) 인터넷 기반 가상모형 모델링 시스템
KR102015978B1 (ko) 클라우드 서버 기반 3d 실내 지도 표시 방법,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및 클라우드 서버
CN110855516B (zh) 一种cdn质量检测系统及方法
KR20220040823A (ko) 자동주문을 위한 사료빈 재고량 측정 및 전송방법
TWM644373U (zh) 動態座位表更新系統
Kim et al. GeosensorBase: integrating and managing huge number of heterogeneous sensors using sensor adaptors and extended SQL querying
KR20200131463A (ko) 사물인터넷 통신이 결합된 스마트 내벽소재 시스템
KR20160031339A (ko) 소스 코드의 테스트 케이스를 안내하는 소스 코드의 테스트 안내 장치 및 소스 코드의 테스트 안내 방법
WO2018179364A1 (ja) 計算機システム及びデータフロー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