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841B1 -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glass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 Google Patents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glass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841B1
KR102155841B1 KR1020180133097A KR20180133097A KR102155841B1 KR 102155841 B1 KR102155841 B1 KR 102155841B1 KR 1020180133097 A KR1020180133097 A KR 1020180133097A KR 20180133097 A KR20180133097 A KR 20180133097A KR 102155841 B1 KR102155841 B1 KR 102155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usbar
bus bar
heating lay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0269A (en
Inventor
홍장석
박찬희
박지원
공용진
Original Assignee
코리아 오토글라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 오토글라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 오토글라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3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841B1/en
Publication of KR20200050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2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8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C03C17/002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for flat glass, e.g. floa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128Treatment of at least one glass she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 B32B2305/345Heat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은, 유리층과, 유리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코팅되고, 전원을 제공받아 열을 생성하기 위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발열층과, 발열층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발열층 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버스바들을 포함한다.
제1 버스바와 발열층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발열층의 제1 버스바 접촉부에는 버스바 삽입부가 형성되어, 제1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버스바 삽입부에 삽입된다.
The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ated on a glass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glass layer, and supplies power to the heating layer and the heating layer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to generate heat by receiving power To do this,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busbars formed on the heating layer.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busbar and the heating layer, a busbar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busbar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usbar is inserted into the busbar insertion portion.

Description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 및 발열 기능을 가진 접합유리의 제조방법{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GLASS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Transparent glass plate with heat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glass with heating function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GLASS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본 발명은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 및 발열 기능을 가진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glass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전기 가열층을 갖는 투명 판유리는 그 자체가 알려져 있고, 이미 여러 특허 문헌에서 서술되었다. 모터 차량에서는, 법적 규제로 인해 중심 시야가 실질적인 시각 제한을 갖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전기 가열층을 갖는 투명 판유리가 바람막이 창으로서 빈번히 이용된다. 가열층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응결된 습기, 얼음 및 눈이 단시간 내에 제거될 수 있다.Transparent panes with electric heating layers are known per se and have already been described in several patent documents. In motor vehicles, a transparent plate glass with an electric heating layer is frequently used as a windshield, since the central field of view must not have a substantial visual limitation due to legal regulations.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layer, condensed moisture, ice and snow can be removed in a short time.

그러나, 종래의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은 유리판 전면에서 가열 성능이 고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모터 차량 등에서 제한된 전압을 이용해 가열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개선된 유리판 구조가 필요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has a problem that the heating performance is uneven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glass plate.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ing performance using a limited voltage in a motor vehicle or the like, a more improved glass plate structure was required.

본 발명은 유리판 전면에서 가열 성능이 고르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투명 유리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glass plate for solving the problem of uneven heating performance on the entire glass plate.

또한, 본 발명은 가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heating performan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은, 유리층, 상기 유리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코팅되고, 전원을 제공받아 열을 생성하기 위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발열층 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버스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는, 상기 유리층의 제1 엣지와 나란하게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버스바는, 상기 유리층의, 상기 제1 엣지와 마주보는 엣지인 제2 엣지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유리층의 모서리 부분에 열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발열층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상기 발열층의 제1 버스바 접촉부에는 버스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버스바 삽입부에 삽입된 형상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ated on a glass layer,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glass layer, and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to generate heat by receiving power. 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heating layer and the heating layer,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bus bars formed on the heating layer, and the first bus bar is a first bus bar in parallel with a first edge of the glass layer. The second bus bar extends in a direction, and the second bus bar extends parallel to a second edge, which is an edge facing the first edge, of the glass layer, and prevents thermal stress from being concentrat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glass layer. For this purpos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us bars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center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both ends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bus bar and the heating layer is increased. For this purpose, a busbar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busbar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usbar is inserted into the busbar insertion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은, 유리층, 상기 유리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코팅되고, 전원을 제공받아 열을 생성하기 위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발열층 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버스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발열층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상기 발열층의 제1 버스바 접촉부에는 버스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버스바 삽입부에 삽입된 형상이고, 상기 발열층은, 전파가 투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비코팅 영역(non-coated area)을 포함하고, 상기 비코팅 영역에는, 복수 개의 비코팅부가 소정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직경이 서로 다른 호를 이루며 형성된다.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lass layer, a heating layer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glass layer, and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to generate heat by receiving power, and the heating layer 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heating layer, including first and second bus bars formed on the heating layer, and in order to increase a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bus bar and the heating layer, the first bus bar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A busbar insertion portion is forme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usbar is inserted into the busbar insertion portion, and the heating layer includes a predetermined non-coated area in order to transmit radio waves. ), and in the uncoated area, a plurality of uncoated portions are formed to form arc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ound a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기능을 가진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은, (a)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발열층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 코팅된 제1 유리층과, 제2 유리층을 준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리층이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리층의 제1 버스바를 가시광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2 유리층의 상기 제1 유리층과 접하는 측면의 소정 영역에 블랙 에나멜층으로 형성되는 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발열층의 제1 버스바 접촉부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버스바 삽입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발열층의 제1 버스바 접촉부에 상기 제1 버스바를 인쇄하고, 제2 버스바 접촉부에 제2 버스바를 형성하는 단계, (d)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에 각각 부착하는 단계 및 (e) 소정의 적층방향으로 상기 제1 유리층, 중합체 필름, 상기 제2 유리층을 적층시킨 후, 상기 적층방향으로 가압하면서 가열하여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glass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 first glass layer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a heat generating layer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and a second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glass layer in contact with the first glass layer to prepare a glass layer and to protect the first bus bar of the first glass layer from visible ligh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lass layers are bonded Forming a blocking layer formed of a black enamel layer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heating layer, (b) forming a busbar insert by etching a portion of the first busbar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c) 1 Printing the first bus bar on the bus bar contact portion and forming a second bus bar on the second bus bar contact portion, (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are connected to the first bus bar and the first bus bar. 2 attaching each of the bus bars, and (e) laminating the first glass layer, the polymer film, and the second glass layer in a predetermined lamination direction, and then bonding by heating while pressing in the lamination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발열 기능을 가지는 투명 유리판의 전 영역에서 보다 고르게 가열 성능을 가질 수 있다.It is possible to have a heating performance more evenly in the entire area of the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ing function.

또한, 모터 차량과 같이 정해진 전압이 인가되는 발열 기능을 가지는 투명 유리판의 가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heating performance of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to which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such as a motor vehicle, may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을 포함하는 접합유리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삽입부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버스바 삽입부를 적용함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기능을 가진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minated glass plate including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of FIG. 1.
5A and 5B are views for explaining busbar insertion par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applying the bus bar inser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bus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A to 9D are views for explaining a radio wave transmission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laminated glass having a he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을 포함하는 접합유리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for explaining a laminated glass plate including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도 1에는 제2 유리층(13)이 생략되어 있다.In Fig. 1, the second glass layer 13 is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1)은 제1 유리층(11), 발열층(20), 및 제1, 제2 버스바(31, 33)를 포함한다.The transparent glass plate 1 having a he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glass layer 11, a heating layer 20, and first and second bus bars 31 and 33.

발열층(20)은 유리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코팅되고, 전원을 제공받아 열을 생성하기 위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다.The heating layer 20 is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glass layer, and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to generate heat by receiving power.

제1, 제2 버스바(31, 33)들은 발열층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발열층(20) 상에 형성된다. 제1, 제2 버스바(31, 33)들은 폭이 약 5 ~ 20 mm, 두께 약 5 ~ 30 μm, 길이 800 ~ 1200 mm 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usbars 31 and 33 are formed on the heating layer 20 to supply power to the heating layer. The first and second busbars 31 and 33 may have a width of about 5 to 20 mm, a thickness of about 5 to 30 μm, and a length of 800 to 1200 mm.

제1 버스바(31)와 발열층(20)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발열층(20)의 제1 버스바 접촉부에는 버스바 삽입부(21)가 형성되어, 제1 버스바(31)의 적어도 일부분이 버스바 삽입부(21)에 삽입된다.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bus bar 31 and the heating layer 20, a bus bar insertion portion 21 is formed at the first bus bar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20, and the first bus bar 31 At least a portion of the is inserted into the bus bar insertion portion 21.

제1 버스바(31)는 전원 공급부(3)의 (-)단에 연결되고, 제2 버스바(33)는 (+)단에 연결되어, 제1 버스바(31)에서 발열층(20)으로 전자가 이동되고, 발열층(20)을 통과한 전자가 제2 버스바(33)를 거쳐 전원 공급부(3)로 이동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는 도선(5)으로 제1, 제2 버스바(31, 33)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bus bar 31 is connected to the (-)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3, and the second bus bar 33 is connected to the (+) terminal, so that the heating layer 20 from the first bus bar 31 ), and electrons passing through the heating layer 20 may be transferred to the power supply unit 3 through the second bus bar 33. The power supply 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usbars 31 and 33 by a conducting wire 5.

전류가 발열층(20)으로 흐르며 옴 저항으로 인해 발열층(20)에서 열이 생성될 수 있다.Current flows to the heating layer 20 and heat may be generated in the heating layer 20 due to the ohmic resistance.

전기 발열층을 갖는 투명 판유리는 그 자체가 알려져 있고, 이미 여러 특허 문헌에서 서술되었다. 모터 차량에서는, 법적 규제로 인해 중심 시야가 실질적인 시각 제한을 갖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전기 발열층을 갖는 투명 판유리가 바람막이 창으로서 빈번히 이용된다. 발열층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응결된 습기, 얼음 및 눈이 단시간 내에 제거될 수 있다.Transparent panes having an electric heating layer are known per se and have already been described in several patent documents. In a motor vehicle, a transparent plate glass having an electric heating layer is frequently used as a windshield because the central field of view must not have a substantial visual limitation due to legal regulations.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layer, condensed moisture, ice and snow can be removed in a short time.

종래의 전기 발열층을 갖는 투명 판유리로는, 가열 전류가 보통 적어도 1쌍의 스트립- 또는 밴드-형상 단자(또는 버스바)에 의해 발열층에 도입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때, 가능한 한 균일하게 가열 전류를 가열 층에 도입하고 유리창의 전면에 광범위하게 분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층의 전기 시트 저항은 산업적 시리즈 제조에서 현재 이용되는 물질의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고, 단위 면적 당 수 ohm 정도 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응용을 위한 충분한 가열력을 얻기 위해서는, 공급 전압이 상응하게 높아야 하지만, 예를 들어 모터 차량에서는, 12 내지 24 V의 온보드 전압이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하다.With a conventional transparent pane having an electric heating layer, it can be considered that a heating current is usually introduced into the heating layer by at least one pair of strip- or band-shaped terminals (or busbars).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introduce a heating current to the heating layer as uniformly as possible and to be wide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glass window. The electrical sheet resistance of the heating layer is relatively high in the case of materials currently used in industrial series manufacturing, and may be about several ohms per unit area. Nevertheless, in order to obtain sufficient heating power for practical applications, the supply voltage must be correspondingly high, but on-board voltages of 12 to 24 V are generally available, for example in motor vehicles.

종래의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은 유리판 전면에서 가열 성능이 고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모터 차량 등에서 제한된 전압을 이용해 가열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개선된 유리판 구조가 필요하였다.The conventional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heating performance is uneven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glass plate.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ing performance using a limited voltage in a motor vehicle or the like, a more improved glass plate structure was required.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1)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가열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개선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1)은, 유리판의 전면에서 가열이 고루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발열층에 버스바 삽입부가 형성되고,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버스바 삽입부에 삽입되는 형상인 것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The transparent glass plate 1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n improved structure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improving heating performance. More specifically, in the transparent glass plate 1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bus bar insertion part is formed in the heating lay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bus bar is inserted in the heating layer so that heating is evenly per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lass plate. The basic feature is that it is a shape that is inserted into the part.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1)의 특징을 이하에서 보다 상술한다.Features of the transparent glass plate 1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제1 유리층(11)은 종래의 다양한 투명 유리판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가시 광선이 투과 가능한 투명 유리판이면 족하다.As the first glass layer 11, various conventional transparent glass plates may be applied, and a transparent glass plate capable of transmitting visible light is sufficient.

발열층(20)은 종래에 유리판에 코팅되어 전원을 제공 받아 열을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heating layer 20 may be composed of a layer that is conventionally coated on a glass plate and provided to generate heat by receiving power.

발열층(20)은 하나 이상의 전도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Ag는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높은 투과율 및 우수한 전도성에 가장 잘 부합한다. 발열층(20)은 하나 이상의 유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layer 20 may include one or more conductive metal layers. Ag is best suited for high transmittance and good conductivity in the visible region. The heating layer 20 may include one or more dielectric layers.

전도 금속층은 Ag, Au, Cu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 금속층은 가시광선 투과 및 전기 전도성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nductive metal layer may be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Ag, Au, Cu,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conductive metal layer may be provided to have visible light transmiss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유전체층은 SI계 질화물, Ti계 산화물, Zn계 산화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Si계 질화물은 추가로 Zr, Sn, Nb, Al, Sb, Mo, Cr, Ti 및 Ni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i계 질화물은 Al이 함유된 Si계 질화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Ti계 산화물은 추가로 Sn, Nb, Al, Sb, Mo, Cr 및 Ni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Zn계 산화물은 Sn, Nb, Al, Sb, Mo, Cr, Ti 및 Ni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l이 함유된 Zn계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electric layer may be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SI-based nitride, Ti-based oxide, Zn-based oxide, and combinations thereof. Si-based nitride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Zr, Sn, Nb, Al, Sb, Mo, Cr, Ti, and Ni. For example, the Si-based nitride may be a Si-based nitride containing Al. In addition, the Ti-based oxid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Sn, Nb, Al, Sb, Mo, Cr, and Ni. The Zn-based oxid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Sn, Nb, Al, Sb, Mo, Cr, Ti, and Ni.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Zn-based oxide containing Al.

유전체층은 강화 및 굽힘 등을 위한 열처리 시에 하부 소다라임 유리에서 확산되어 넘어오는 Na+ 이온을 차단하고, 기능성 전도 금속층으로 전달되는 산소 또는 이온을 차단할 수 있다.The dielectric layer may block Na+ ions diffused from the lower soda-lime glass during heat treatment for strengthening and bending, and block oxygen or ions transferred to the functional conductive metal layer.

또한, 유전체층은 기능성 전도 금속층의 상, 하부에 증착되어 기능성 전도 금속층의 결정화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기능성 전도 금속층이 열처리될 경우 열처리된 기능성 전도 금속층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유전체층으로 산소 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뭉침과 같은 광학적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electric layer serves to induce crystallization of the functional conductive metal layer by being deposit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functional conductive metal layer. Also, when the functional conductive metal layer is heat treated, the dielectric layer located above and below the heat-treated functional conductive metal layer As a result, the diffusion of oxygen gas can be prevented and optical defects such as aggregation can be suppressed.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서, 발열층(20)은 복수의 전도 금속층들과 복수의 유전체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전도 금속층들 각각에 가열 전류가 인가되어 열이 생성되고, 생성된 열에 의해 코팅 유리판이 가열될 수 있다. 옴 저항은 도선의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하나의 전도 금속층을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으로 구성하는 것 보다 복수 개의 전도 금속층들을 상대적으로 좁은 단면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열 성능을 높이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an embodiment, the heating layer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ductive metal layers and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In this case, a heating current is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metal layers to generate heat, and the coated glass plate may be heated by the generated heat. Since the ohmic resistan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ducting wire, configur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metal layers with a relatively narrow cross-sectional area rather than configuring one conductive metal layer with a relatively wide cross-sectional area may be one method of enhancing heating performance.

복수의 전도 금속층들을 포함하여 발열층을 구성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는 Ag를 포함할 수 있다.When configuring the heating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metal layers, at least one may include Ag.

복수의 유전체층들을 포함하여 발열층을 구성하는 경우에, 복수의 유전체층은 Si계 질화물 또는 Ti계 산화물을 포함하는 메인 유전체층과, Zn계 산화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유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When configuring the heating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the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may include a main dielectric layer including Si-based nitride or Ti-based oxide, and one or more sub-dielectric layers including Zn-based oxide.

도 2를 참조하면, 제1 버스바(31)와 접촉되는 발열층(20)의 제1 버스바 접척부에는, 버스바 삽입부(21)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busbar insertion portion 21 may be formed on a first bus bar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20 in contact with the first bus bar 31.

일 실시예에서, 버스바 삽입부(21)는 발열층(20)의, 제1, 제2 버스바(31, 33)와 접촉되는 일측면에서 그와 마주보는 타측면까지 이르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버스바 삽입부(21)는 도 2에서 발열층(20)의 상측면에서 하측면까지 이르는 형상일 수 있다. 달리 얘기하면, 버스바 삽입부(21)는 발열층(20)을 상하로 관통하는 형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us bar insertion part 21 is formed in a shap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eating layer 20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bus bars 31 and 33 to the other side facing the heating layer 20. I can. That is, the busbar insertion part 21 may have a shape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heating layer 20 in FIG. 2. In other words, the bus bar insertion part 21 may have a shape that penetrates the heating layer 20 vertically.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버스바 삽입부(21)는 발열층(20)의, 버스바와 접촉되는 일측면에서 그와 마주보는 타측면을 향하는 깊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서 폭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은 단면을 기준으로, 버스바 삽입부(21)는 상측면이 하측면보다 폭이 더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mbodiment, the bus bar insertion part 21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a depth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heating layer 20 in contact with the bus bar toward the other side facing it, and It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as is deeper. That is, based on the cross-section as shown in FIG. 2, the busbar insertion part 21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upper side is wider than the lower side.

또는, 버스바 삽입부(21)의 측면은 반드시 평면이어야 할 필요는 없고 한 번 이상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ide surface of the busbar insertion portion 21 need not necessarily be flat and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more than once.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3 and 4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of FIG. 1.

도 1을 참조하면, 제1 버스바(31)는, 제1 유리층(11)의 제1 엣지와 나란하게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방향은 수평방향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irst bus bar 31 may extend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edge of the first glass layer 11.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horizontal direction.

제2 버스바(33)는 제1 유리층(11)의, 제1 엣지와 마주보는 엣지인 제2 엣지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버스바(33)는 제1 버스바(31)와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bus bar 33 may extend parallel to the second edge of the first glass layer 11, which is an edge facing the first edge.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bus bar 33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ike the first bus bar 31.

여기에서 수평방향은 엄격한 의미의 수평방향뿐만 아니라, 소정 곡률을 가지되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인 것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유리판 상에 제1, 제2 버스바도 유리판의 곡률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리판을 평평하게 편 상태에서는 제1, 제2 버스바가 엄격한 의미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defined as including not only a horizontal direction in a strict sense, but also a horizontal dir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s a whole.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busbars on a glass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may also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curvature of the glass plate. In this case, in a state where the glass plate is flat, the first and second bus bars may extend in a strict horizontal direc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버스바 삽입부(21)는 제1 버스바(31)가 연장되는 제1 방향(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버스바 삽입부(2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groove)일 수 있다.2 and 3, the bus bar insertion part 21 may extend in a first direction (or horizontal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us bar 31 extends. The bus bar insertion part 21 may be a groov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이때, 그루브의 폭(D1)은, 상기 제1 방향(또는, 수평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또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제1 버스바의 폭의 1/3보다 크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의 폭(D1)을 일정 수준 이상 넓게 형성하면, 제1 버스바(31)와 발열층(20) 사이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전자의 이동량이 오히려 감소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dth D1 of the groove is not greater than 1/3 of the width of the first bus bar based on the second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or horizontal direction). It can be formed not. When the width D1 of the groove is formed to be wider than a certain level,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bus bar 31 and the heating layer 20 is reduced, so that the amount of movement of electrons may be rather reduced.

또는, 그루브의 폭(D1)은 발열층(20)의 두께의 세 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의 폭(D1)이 발열층(20)의 두께의 두 배 이상으로 형성되게 되면, 버스바 삽입부(21)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보다 제1 버스바(31)와 발열층(20) 사이의 접촉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다만, 버스바 삽입부(21)가 형성되지 않을 때와 버스바 삽입부(21)가 형성되었을 때를 비교할 때, 제1 버스바(31)와 발열층(20) 사이의 접촉 면적이 같은 경우라도 하더라고, 형상의 차이로 인해 전자의 이동량은 버스바 삽입부(21)가 형성되었을 때가 더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그루브의 폭(D1)은 발열층(20)의 두께의 세 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width D1 of the groove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three times the thickness of the heating layer 20. When the width D1 of the groove is formed to be more than twice the thickness of the heating layer 20, the gap between the first bus bar 31 and the heating layer 20 is less than when the bus bar insertion part 21 is not formed. The contact area of the can be reduced. However, when comparing when the busbar insertion portion 21 is not formed and when the busbar insertion portion 21 is forme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busbar 31 and the heating layer 20 is the same Even if, due to the difference in shape, the amount of movement of electrons may be greater when the busbar insertion portion 21 is formed. Accordingly,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width D1 of the groove may be formed to be three times or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heating layer 20.

위와 같이 그루브 형상으로 버스바 삽입부(21)를 발열층에 형성하고, 버스바 삽입부(21)로 제1 버스바(31)의 일부가 삽입되는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제1 버스바(31)와 발열층(20)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전자가 버스바 삽입부(21)로 삽입된 제1 버스바(31)의 부분을 통하여, 발열층(20)의, 제1 유리층(11)과 인접한 부분까지도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버스바(31)와 발열층(20) 사이의 면저항이 감소되어, 발열층(20)으로의 전자의 유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발열층(20)의 전면에서 보다 균일하게 발열이 일어날 수 있고, 발열량 또한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us bar insertion portion 21 is formed in the heating layer in a groove shape, and a portion of the first bus bar 31 is inserted into the bus bar insertion portion 21, so that the first bus bar 31 ) And the heating layer 20 may increase the contact area. In addition, electrons can be easily moved to a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20 adjacent to the first glass layer 11 through the portion of the first bus bar 31 inserted into the bus bar insertion portion 21. . Through this, the sheet resistance between the first bus bar 31 and the heating layer 20 is reduced, so that the amount of electrons flowing into the heating layer 20 may be increased. As a result, heat may be generated more uniformly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heating layer 20, and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may also be improved.

일 실시예에서, 그루브 형상의 버스바 삽입부(21)는 제1 버스바(31)의, 제1 유리층(11)의 엣지측 단부보다 제1 유리층(11)의 중앙측 단부에 가깝게 형성되어, 발열층(20)의 중앙 쪽으로 전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roove-shaped bus bar insertion portion 21 is closer to the center end of the first glass layer 11 than the edge side end of the first glass layer 11 of the first bus bar 31. By being formed, electrons may be provided to more effectively move toward the center of the heating layer 20.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삽입부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A and 5B are views for explaining busbar insertion par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실시예에서, 버스바 삽입부(21)는, 발열층(20)의 제1 버스바 접촉부 상에, 제1 버스바(31)가 연장되는 제1 방향(본 실시예에서 수평방향)과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본 실시예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버스바 삽입부(21)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bus bar insertion portion 21 is, on the first bus bar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20,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us bar 31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an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sbar insertion portions 21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at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도 4를 참조하면, 이 경우, 복수 개의 버스바 삽입부(21)는 그루브 형상의 버스바 삽입부(21)보다, 발열층(20)의 제1 버스바 접촉부 상의 더 넓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4, in this case, a plurality of busbar insertion portions 21 may be formed in a wider area on the first busbar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20 than the groove-shaped busbar insertion portion 21. have.

도 5a 및 도 5b는 발열층(20)에서 도 4에 표시된 제1 버스바 접촉부(도면부호 21로 표시된 점선 부분) 부분만을 확대한 것이다.5A and 5B are enlarged views of only the first bus bar contact portion (dotted por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1) shown in FIG. 4 in the heating layer 20.

도 5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버스바 삽입부(21)는, 각각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in an exemplary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busbar insertion units 21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복수 개의 버스바 삽입부(21)는, 제1 방향(도 5a의 수평방향)과 제2 방향(도 5a의 수직방향)으로 행렬을 이루는 버스바 삽입부들로 이루어진 제1 버스바 삽입부 그룹(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스바 삽입부 그룹(211)은 제1 버스바 삽입부의 행렬(211a)을 이루며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sbar insertion units 21 includes a first busbar insertion unit group consisting of busbar insertion units forming a matrix in a first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in Fig. 5A) and a second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in Fig. 5A) ( 211) may be included. The first busbar insertion unit group 211 may be arranged to form the matrix 211a of the first busbar insertion unit.

복수 개의 버스바 삽입부(21)는, 제1 버스바 삽입부 그룹(211)이 이루는 행렬(211a)들의 사이에,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행렬을 이루는 버스바 삽입부들로 이루어진 제2 버스바 삽입부 그룹(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버스바 삽입부 그룹(212)은 제2 버스바 삽입부의 행렬(212a)을 이루며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sbar insertion units 21 are formed of busbar insertion units forming a matrix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matrices 211a formed by the first busbar insertion unit group 211. A busbar insert group 212 may be included. The second busbar insertion unit group 212 may be arranged to form a matrix 212a of the second busbar insertion unit.

즉, 복수 개의 버스바 삽입부(21)는 전체적으로 보아 복수 개의 버스바 삽입부(21)들이 체스판 모양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busbar insertion portions 21 may form a chessboard-shaped pattern as a whole of the plurality of busbar insertion portions 21.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버스바 삽입부(21)는 각각이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원형은 엄격한 의미로 중심으로부터 반경이 동일한 원 모양일 수도 있고, 타원과 같이 대략적으로 원인 모양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in an exemplary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busbar insertion portions 21 may have a circular shape. Here, the circle may be a circle shape having the same radius from the center in a strict sense, or may be defined as including an approximate cause shape such as an ellipse.

원형의 복수 개의 버스바 삽입부(21)는 제1 방향(도 5b의 수평방향)과 제2 방향(도 5b의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행과 복수 개의 열을 이루며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ircular busbar insertion portions 21 may b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 horizontal direction in FIG. 5B) and a second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in FIG. 5B) forming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columns.

도 6은 본 발명의 버스바 삽입부를 적용함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applying the bus bar inser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는 버스바 삽입부(21)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에 전류를 인가한 것을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다.6A is an image photographed by a thermal imaging camera in which a current is applied to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us bar insertion part 21 is not formed.

도 6의 (b)는 그루브 형상의 버스바 삽입부(21)가 형성된 상태에서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에 전류를 인가한 것을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다.6B is an image photographed with a thermal imaging camera in which a current is applied to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groove-shaped bus bar insert 21 is formed.

도 6의 (c)는 도 5a와 같이 체스판 패턴으로 버스바 삽입부(21)가 형성된 상태에서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에 전류를 인가한 것을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다.FIG. 6C is an image photographed with a thermal imaging camera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usbar insert 21 is formed in a chessboard pattern as shown in FIG. 5A.

도 6의 (d)는 도 5b와 같이 도트 패턴으로 버스바 삽입부(21)가 형성된 상태에서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에 전류를 인가한 것을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다.FIG. 6D is an image photographed by a thermal imaging camera in which a current is applied to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usbar insert 21 is formed in a dot pattern as shown in FIG. 5B.

도 6의 (a)를 기준으로, 버스바 삽입부(21)가 형성된 (b), (c), (d)에서 유리판의 전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버스바 삽입부(21)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유리판의 좌우 엣지 부분의 온도보다 버스바 삽입부(21)가 형성된 (b), (c), (d)에서 유리판의 좌우 엣지 부분의 온도가 보다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Based on (a) of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overall temperature of the glass plate has increased in (b), (c), and (d) in which the bus bar insert 21 is formed. In particular, when the bus bar insertion portion 21 is not formed,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edge portions of the glass plate in (b), (c), and (d) where the bus bar insertion portion 21 is formed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edge portions of the glass plate.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is higher.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bus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 버스바(31, 33)들은 일정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2 버스바(31, 33)들의 폭은 약 20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busbars 31 and 33 may be formed with a constant width.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busbars 31 and 33 may have a width of about 20 mm.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제2 버스바(31, 33)들은 중앙부의 폭보다 양단부의 폭이 더 좁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2 버스바(31, 33)들은 중앙부의 폭이 약 20mm 정도이고, 양단부의 폭이 약 5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버스바(31, 33)들은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busbars 31 and 33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narrower width at both ends than a width at the center.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bus bars 31 and 33 may have a central width of about 20 mm, and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us bars 31 and 33 may have a width of about 5 mm. The first and second busbars 31 and 33 may have a shape whos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center to both ends.

제1, 제2 버스바(31, 33)의 형상에 따른 투명 유리판의 발열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열화상이 도 7에 나타나고 있다.A thermal image for comparing the heat generation performance of the transparent glass plat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bus bars 31 and 33 is shown in FIG. 7.

좌측에 열화상을 보면, 투명 유리판의 좌측 상단 모서리, 우측 상단 모서리, 좌측 하단 모서리, 및 우측 하단 모서리가 투명 유리판의 중앙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 유리판의 모서리가 높은 온도를 가지게 되면, 투명 유리판의 모서리 부분에 열 응력이 집중되어 쉽게 손상될 수 있고, 투명 유리판의 물성이 변성되어 결과적으로 발열 기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Looking at the thermal image on the left,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left corner, upper right corner, lower left corner, and lower right corner of the transparent glass plate have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center of the transparent glass plate. When the edge of the transparent glass plate has a high temperature, thermal stress is concentrated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glass plate, so that it can be easily damag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ransparent glass plate are denatured, and consequent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ing function may be deteriorated.

이에, 우측에 열화상을 보면, 투명 유리판의 좌측 상단 모서리, 우측 상단 모서리, 좌측 하단 모서리, 그리고 우측 하단 모서리의 온도가 좌측의 열화상에 비해 내려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제2 버스바(31, 33)들의 형상을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유리판의 모서리부가 고온에 의해 손상 및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looking at the thermal image on the right,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left corner, the upper right corner, the lower left corner, and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transparent glass plate is lower than the thermal image on the left. That is, by forming th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busbars 31 and 33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dge portions of the glass plate from being damaged and deformed due to high temperature.

도 8,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and 9A to 9D are views for explaining a radio wave transmission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발열층(20)은, 전파가 투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비코팅 영역(non-coated area, 25a)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heating layer 20 may have a shape including a predetermined non-coated area 25a so that radio waves can be transmitted.

발열 기능을 가진 유리판은 그 특성상 금속코팅으로 인해 전파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모터 차량과 같이 유리판을 통해 전파가 투과되며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발열 기능을 가진 유리판에 전파 투과창이 필요하다.The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has a problem that propagation is impossible due to the metal coating due to it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llow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through a glass plate like a motor vehicle, a radio wave transmission window is required on the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도 9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발열층(20)의 비코팅 영역(25a)에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전파 투과창(25)이 마련될 수 있다. 전파 투과창(25)은 발열층(20)의 일부분이 식각된 것일 수 있다. 즉, 전파 투과창(25)이 마련되는 부분에는 제1 유리층(11) 상에 금속 코팅이 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9A, in an embodiment, a radio wave transmitting window 25 having a predetermined area may be provided in the uncoated area 25a of the heating layer 20. The radio wave transmission window 25 may be formed by etching a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20.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radio wave transmission window 25 is provided may not be coated with a metal on the first glass layer 11.

도 9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발열층(20)의 비코팅 영역(25a)에는, 복수의 비코팅부가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비코팅부가 형성되는 영역은, 한 변의 길이가 약 150 ~ 200 mm 정도인 사각형 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B, in another embodiment, in the uncoated region 25a of the heating layer 20, a plurality of uncoated portions may be formed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The reg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uncoated portions are formed may be a square having a side length of about 150 to 200 mm.

도 9c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발열층(20)의 비코팅 영역(25a)에는, 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 개의 횡방향 비코팅부(251)가 종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종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 개의 종방향 비코팅부(252)가 횡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비코팅부가 형성되는 영역은, 한 변의 길이가 약 150 ~ 200 mm 정도인 사각형 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횡방향 비코팅부(251)와 복수 개의 종방향 비코팅부(252)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은 한 변의 길이가 약 1 ~ 2 mm 인 정사각형 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C, in another embodiment, in the uncoated region 25a of the heating layer 20, a plurality of transverse uncoated portions 251 each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uncoated portions 252 eac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reg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uncoated portions are formed may be a square having a side length of about 150 to 200 mm. A square shape formed by the plurality of transverse uncoated portions 251 and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uncoated portions 252 may be squares having a side length of about 1 to 2 mm.

도 9d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발열층(20)의 비코팅 영역(25a)에는, 복수 개의 비코팅부(251)가 하나 이상의 호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D,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uncoated portions 251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arcs in the uncoated region 25a of the heating layer 20.

전파 투과창(25)을 형성하는 경우에, 제1 유리층(11) 상에 발열층(20)이 코팅된 부분과 코팅되지 않은 부분 사이의 경계에 열이 집중될 수 있다. 이에, 단순히 소정의 면적으로 전파 투과창(25)을 형성하는 경우보다, 보다 작은 크기의 패턴으로 복수의 비코팅부들을 형성하여 전파 투과창(25)을 형성하는 것이 제1 유리층(11) 상에 발열층(20)이 코팅된 부분과 코팅되지 않은 부분 사이의 경계에 열이 집중되는 것을 줄이는 데에 바람직할 수 있다.When the radio wave transmission window 25 is formed, heat may be concentrated at a boundary between a portion coated with the heating layer 20 and an uncoated portion on the first glass layer 11. Thus, the first glass layer 11 is to form the radio wave transmitting window 25 by forming a plurality of uncoated portions in a pattern having a smaller size than when simply forming the radio wave transmitting window 25 with a predetermined area. It may be desirable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heat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ortion on which the heating layer 20 is coated and the portion that is not coat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기능을 가진 접합 유리판(1)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glass plate 1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2와 같이 발열 기능을 가진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glass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as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먼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발열층(20)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 코팅된 제1 유리층(도 2의 11)과, 제2 유리층(도 2의 13)을 준비한다(S1100).First, a first glass layer (11 in FIG. 2) and a second glass layer (13 in FIG. 2)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 generating layer 20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are prepared (S1100).

제1 유리층(11)은 도 1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1)이 적용될 수 있다.The first glass layer 11 may include the transparent glass plate 1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발열층(20)은 제1 유리층(11)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코팅될 수 있다. 또는, 발열층(20)은 제1 유리층(11)의 엣지 부분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The heating layer 20 may be coa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glass layer 11. Alternatively, the heating layer 20 may be formed to a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glass layer 11.

제2 유리층(13)은 통상의 투명 유리판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유리층(13)의 제1 유리층(11)과 접하는 측면에는 소정의 영역에 가시 광선의 투과도가 낮은 차단층(도 2 70)의 이 코팅될 수 있다. 차단층(또는, 불투명층)은 블랙 에나멜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층은 제1, 제2 유리층(13)이 접합된 상태에서 제1 유리층(11)의 버스바를 가시광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층은 제1, 제2 유리층(13)이 접합된 상태에서 제1 유리층(11)의 버스바가 배치되는, 제2 유리층(13)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As the second glass layer 13, a conventional transparent glass plate may be applied. On the side of the second glass layer 13 in contact with the first glass layer 11, a blocking layer (FIG. 2 70) having a low transmittance of visible light may be coated on a predetermined area. The blocking layer (or opaque layer) may be formed of a black enamel layer. The blocking layer may be formed to protect the bus bar of the first glass layer 11 from visible ligh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lass layers 13 are bonded. To this end, the block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edge of the second glass layer 13 on which the bus bar of the first glass layer 11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lass layers 13 are bonded.

제1, 제2 유리층(13)들은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2 유리층(13)들은 서로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glass layers 13 may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glass layers 13 are formed to have the same curvature.

다음, 제1 유리층(11)의 발열층(20)의 제1 버스바 접촉부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버스바 삽입부(도 2의 21)를 형성할 수 있다(S1200).Next, a part of the first bus bar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20 of the first glass layer 11 may be etched to form a bus bar insertion portion 21 of FIG. 2 (S1200 ).

예를 들면, 레이저, 화학적 에칭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발열층(20)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버스바 삽입부(21)를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 part of the heating layer 20 may be etched using a method such as laser or chemical etching to form the busbar insertion part 21.

발열층(20)을 식각하는 과정은, 발열층(20)이 코팅된 제1 유리층(11)의 일측면을 연마하고 세척하는 과정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The process of etching the heating layer 20 may be performed after the process of polishing and cleaning one side of the first glass layer 11 coated with the heating layer 20.

발열층(20)을 식각하는 위치는 제1 유리층(11)의 엣지로부터 약 5 ~ 8mm 내측으로 떨어진 위치를 경계로 그보다 내측에 존재할 수 있다. 이는, 발열층(20)을 식각시킴으로 인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position at which the heating layer 20 is etched may exist inside the first glass layer 11 with a boundary at a position that is about 5 to 8 mm away from the edge of the first glass layer 11. This is to prevent oxidation due to etching the heating layer 20.

다음, 발열층(20)의 제1 버스바 접촉부에 제1 버스바(도 1의 31)를 인쇄하고, 제2 버스바 접촉부에 제2 버스바(도 1의 33)를 형성한다(S1300). 즉, 발열층(20)의 소정 위치에 제1, 제2 버스바(31, 33)들을 형성한다.Next, a first bus bar (31 in FIG. 1) is printed on the first bus bar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20, and a second bus bar (33 in FIG. 1) is formed on the second bus bar contact portion (S1300). . That is, first and second busbars 31 and 33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heating layer 20.

제1, 제2 버스바(31, 33)들은 제1 유리층(11)의 엣지에서 면내방향으로 20 ~ 30 mm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us bars 31 and 3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20 to 30 mm away from the edge of the first glass layer 11 in the in-plane direction.

제1, 제2 버스바(31, 33)들은 폭이 약 5 ~ 20 mm, 두께 약 5 ~ 30 μm, 길이 800 ~ 1200 mm 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usbars 31 and 33 may have a width of about 5 to 20 mm, a thickness of about 5 to 30 μm, and a length of 800 to 1200 mm.

제1, 제2 버스바(31, 33)들은 프린팅 방식으로 제1 유리층(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usbars 31 and 33 may be formed on the first glass layer 11 by a printing method.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 버스바(31, 33)들의 이격 거리를 H1이라고 하고, 제1 버스바(31)의 길이를 H2라고 할 때, H1:H2 = 1:2 ~ 1.5 : 2 가 되도록 제1, 제2 버스바(31, 33)들이 마련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us bars 31 and 33 is H1, and the length of the first bus bar 31 is H2, H1:H2 = 1:2 ~ 1.5: The first and second busbars 31 and 33 may be provided to become 2.

다음,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제1, 제2 단자(41, 43)들을 제1 버스바(31)와 제2 버스바(33)에 각각 부착한다(S1400).Next,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41 and 43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are attached to the first bus bar 31 and the second bus bar 33, respectively (S1400).

제1, 제2 단자(도 1의 41, 43)들을 제1, 제2 버스바(31, 33)들에 부착하기 위해 전도성 접착층을 제1, 제2 버스바(31, 33)들 상에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도성 테이프(도 2의 50)를 이용하여 제1, 제2 단자(41, 43)들을 제1, 제2 버스바(31, 33)들에 부착할 수 있다.A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applied on the first and second busbars 31 and 33 to attac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41 and 43 in FIG. 1) to the first and second busbars 31 and 33. Can be prepared.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41 and 43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busbars 31 and 33 using a conductive tape (50 in FIG. 2 ).

제1, 제2 단자(41, 43)들은 스트립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41 and 43 may be provided in a strip shape.

다음, 소정의 적층방향으로 제1 유리층(11), 중합체층(도 2의 60), 제2 유리층(13)을 적층시킨 후 적층방향으로 가압하면서 가열하여 접합시킨다(S1500).Next, after laminating the first glass layer 11, the polymer layer (60 in FIG. 2), and the second glass layer 13 in a predetermined lamination direction, they are bonded by heating while pressing in the lamination direction (S1500).

중합체층(60)은 열가소성의 PVB 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polymer layer 60 may be formed of a thermoplastic PVB film.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In the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al range of the claims to be made.

1 : 유리판
3 : 전원공급부
5 : 도선
11 : 제1 유리층
13 : 제2 유리층
20 : 발열층
21 : 버스바 삽입부
211 : 제1 버스바 삽입부
211a : 제1 버스바 삽입부의 행렬
212 : 제2 버스바 삽입부
212a : 제2 버스바 삽입부의 행렬
25 : 전파 투과창
25a : 비코팅 영역
251 : 횡방향 비코팅부
252 : 종방향 비코팅부
31 : 제1 버스바
33 : 제2 버스바
41 : 제1 단자
43 : 제2 단자
50 : 전도성 테이프
60 : 중합체층
70 : 차단층
D1 : 그루브의 폭
1: glass plate
3: power supply
5: conducting wire
11: first glass layer
13: second glass layer
20: heating layer
21: busbar insert
211: first bus bar insertion part
211a: Matrix of the first busbar insert
212: 2nd busbar insertion part
212a: Matrix of the second busbar insert
25: radio wave transmission window
25a: uncoated area
251: transverse uncoated part
252: longitudinal uncoated portion
31: 1st bus bar
33: second bus bar
41: first terminal
43: second terminal
50: conductive tape
60: polymer layer
70: blocking layer
D1: width of groove

Claims (12)

유리층;
상기 유리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코팅되고, 전원을 제공받아 열을 생성하기 위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발열층 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버스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는, 상기 유리층의 제1 엣지와 나란하게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버스바는, 상기 유리층의, 상기 제1 엣지와 마주보는 엣지인 제2 엣지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유리층의 모서리 부분에 열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발열층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상기 발열층의 제1 버스바 접촉부에는 버스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버스바 삽입부에 삽입된 형상인,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
Glass layer;
A heating layer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glass layer and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to generate heat by receiving power; And
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heating layer,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bus bars formed on the heating layer,
The first bus bar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edge of the glass layer,
The second bus bar extends parallel to a second edge of the glass layer, which is an edge facing the first edge,
In order to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thermal stress at the edge of the glass layer,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usbars is formed so that the width of the center port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both ends of the first direction. Become,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busbar and the heating layer, a busbar insertion portion is formed at the first busbar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usbar is inserted into the busbar insertion portion. Transparent glass plate with phosphorus, heat generation fun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삽입부는, 상기 발열층의, 상기 버스바와 접촉되는 일측면에서 그와 마주보는 타측면까지 이르는 형상인,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s bar insertion part is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of a shap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eating layer in contact with the bus bar to the other side of the heating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삽입부는, 상기 발열층의, 상기 버스바와 접촉되는 일측면에서 그와 마주보는 타측면을 향하는 깊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서 폭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s bar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a depth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heating layer in contact with the bus bar toward the other side facing the heating layer,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as the depth increases. Transparent glass plate with fun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는, 상기 유리층의 제1 엣지와 나란하게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버스바는, 상기 유리층의, 상기 제1 엣지와 마주보는 엣지인 제2 엣지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버스바 삽입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groove)인,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us bar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edge of the glass layer,
The second bus bar extends parallel to a second edge of the glass layer, which is an edge facing the first edge,
The busbar insertion portion is a groov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의 폭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버스바의 폭의 1/3보다 크지 않게 형성되는,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
The method of claim 4,
The width of the groove is formed not greater than 1/3 of the width of the first bus bar based on a second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1 버스바의, 상기 유리층의 엣지측 단부보다 상기 유리층의 중앙측 단부에 가깝게 형성되는,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
The method of claim 5,
The groove is formed closer to the center side end of the glass layer than the edge side end of the glass layer of the first bus bar,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는, 상기 유리층의 제1 엣지와 나란하게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버스바 삽입부는, 상기 제1 버스바 접촉부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버스바 삽입부를 포함하는,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us bar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edge of the glass layer,
The busbar inser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busbar insertion units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on the first busbar contact unit,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ing function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 삽입부는, 각각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행렬을 이루는 버스바 삽입부들로 이루어진 제1 버스바 삽입부 그룹과,
상기 제1 버스바 삽입부 그룹이 이루는 행렬들의 사이에,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행렬을 이루는 버스바 삽입부들로 이루어진 제2 버스바 삽입부 그룹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보아,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 삽입부들이 체스판 모양의 패턴을 형성하는,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
The method of claim 7,
Each of the plurality of busbar inserts has a rectangular shape,
A first busbar insertion unit group consisting of busbar insertion units forming a matrix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cluding a second busbar insertion unit group consisting of busbar insertion units forming a matrix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matrices formed by the first busbar insertion unit group,
As a whole,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busbar inserts form a chessboard-shaped patter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전파가 투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비코팅 영역(non-coated area)을 포함하는 형상인,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layer has a shape including a predetermined non-coated area in order to allow radio waves to pass through, a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a heating function.
유리층;
상기 유리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코팅되고, 전원을 제공받아 열을 생성하기 위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발열층 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버스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발열층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상기 발열층의 제1 버스바 접촉부에는 버스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버스바 삽입부에 삽입된 형상이고, 상기 발열층은, 전파가 투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비코팅 영역(non-coated area)을 포함하고,
상기 비코팅 영역에는, 복수 개의 비코팅부가 소정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직경이 서로 다른 호를 이루며 형성되는, 발열 기능을 가진 투명 유리판.
Glass layer;
A heating layer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glass layer and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to generate heat by receiving power; And
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heating layer,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bus bars formed on the heating layer,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busbar and the heating layer, a busbar insertion portion is formed at the first busbar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usbar is inserted into the busbar insertion portion. And, the heating layer includes a predetermined non-coated area in order to allow the radio waves to transmit,
In the non-coated area, a plurality of non-coated portions are formed to form arc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ound a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a)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발열층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 코팅된 제1 유리층과, 제2 유리층을 준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리층이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리층의 제1 버스바를 가시광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2 유리층의 상기 제1 유리층과 접하는 측면의 소정 영역에 블랙 에나멜층으로 형성되는 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발열층의 제1 버스바 접촉부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버스바 삽입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발열층의 제1 버스바 접촉부에 상기 제1 버스바를 인쇄하고, 제2 버스바 접촉부에 제2 버스바를 형성하는 단계;
(d)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에 각각 부착하는 단계; 및
(e) 소정의 적층방향으로 상기 제1 유리층, 중합체 필름, 상기 제2 유리층을 적층시킨 후, 상기 적층방향으로 가압하면서 가열하여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열 기능을 가진,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a) preparing a first glass layer and a second glass layer in which a heating layer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is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gion, and the first glass lay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lass layers are bonded. Forming a blocking layer formed of a black enamel layer in a predetermined area of a side of the second glass layer in contact with the first glass layer to protect the first busbar from visible light;
(b) forming a busbar insertion portion by etching a portion of the first busbar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c) printing the first bus bar on the first bus bar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layer, and forming a second bus bar on the second bus bar contact portion;
(d) attaching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bus bar, respectively; And
(e) laminating the first glass layer, the polymer film, and the second glass layer in a predetermined lamination direction, and then bonding by heating while pressing in the lamination direction. Manufacturing method.
KR1020180133097A 2018-11-01 2018-11-01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glass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KR1021558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097A KR102155841B1 (en) 2018-11-01 2018-11-01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glass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097A KR102155841B1 (en) 2018-11-01 2018-11-01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glass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269A KR20200050269A (en) 2020-05-11
KR102155841B1 true KR102155841B1 (en) 2020-09-14

Family

ID=7072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097A KR102155841B1 (en) 2018-11-01 2018-11-01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glass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841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188B1 (en) * 2008-08-11 2011-05-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Organic Solar Cel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116688B2 (en) * 2012-08-01 2017-04-19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Composite glass plate with electrical contact connection
EA035119B1 (en) * 2012-08-28 2020-04-29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Coated pane having areas in which the coating is partially removed
KR101865441B1 (en) * 2014-09-29 2018-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Heating ele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269A (en)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1585B2 (en) Transparent article which can be electrically extensively heate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JP6266679B2 (en) Transparent glazing with electric he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KR101782700B1 (en) Pane having an electric heating layer
KR101818829B1 (en) Pane having an electric heating layer
KR101493577B1 (en) Transparent panel having heatable coating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20020015824A1 (en) Window glass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934282B (en) There is the antenna configuration and antenna configuration that improve signal to noise ratio
JP6381780B2 (en) Transparent window plate with electric heating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window plate and use of transparent window plate
JP6351826B2 (en) Transparent window plate with electric heating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window plate and use of transparent window plate
KR101901077B1 (en) Panel having electrical heating area
BRPI0707182A2 (en) transparent pane with a stratified heater system
DE102008029986A1 (en) Transparent disk e.g. electrically heatable car glass pane, has electrode connected with pole of current source, so that electrically heatable coating is divided into heating fields with less electric resistance
US20050089691A1 (en) Windshield glass
US11440294B2 (en) Heatable glazing
JP7292616B2 (en) Vehicle window glass with terminals
JP2020186169A (en) Stacked plate for window and production method of stacked plate for window
US20240163979A1 (en) Vehicle window assembly
JP6840452B2 (en) Laminated glass and conductive heating element
KR102155841B1 (en) Transparent glass plate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glass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JP2019084953A (en) Windshield for vehicle
EA033621B1 (en) Transparent pane with heated coating
EP3718375B1 (en) Conductive pattern sheet, glazing having the same, vehicle having the glazing,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glazing
KR102310383B1 (en) Glass plate having heat generat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214409527U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bus bar/seal assembly therefor
US12010767B2 (en)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