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728B1 - 훈련 재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훈련 재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728B1
KR102155728B1 KR1020190140071A KR20190140071A KR102155728B1 KR 102155728 B1 KR102155728 B1 KR 102155728B1 KR 1020190140071 A KR1020190140071 A KR 1020190140071A KR 20190140071 A KR20190140071 A KR 20190140071A KR 102155728 B1 KR102155728 B1 KR 102155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database
image
stored
battle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준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훈련 재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훈련과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저장된 훈련과 관련된 정보를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변환된 3차원 영상으로 상기 훈련과 관련된 움직임을 재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훈련 재연 방법 및 장치{TRAINING REPLAY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훈련 재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훈련 간 전장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황 공유 및 지휘 통제가 이루어지나, 훈련 간 전장 단말기에 저장되는 운용 기록을 활용하여 훈련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전 과정을 재연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으며, 훈련 참관자를 통해 주관적인 분석 및 평가가 이루어졌었다. 따라서 훈련(작전)의 분석을 통한 객관적인 분석 및 평가가 요구된다.
또한, 물리적, 수학적, 또는 논리적 표현으로 만드는 모델링과 이를 활용하여 실행하는 시뮬레이션의 과정인 국방 모델링 & 시뮬레이션(Modeling & Simulation : M & S)과는 실체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 수행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훈련(작전)의 분석을 통한 객관적인 분석 및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리적, 수학적, 또는 논리적 표현으로 만드는 모델링과 이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수행이 가능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훈련 재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훈련과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저장된 훈련과 관련된 정보를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변환된 3차원 영상으로 상기 훈련과 관련된 움직임을 재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훈련 재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훈련과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저장된 정보를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변환된 3차원 영상으로 상기 훈련과 관련된 움직임을 재연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3차원 영상의 시간별 단차의 이동 경로는 단차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확인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훈련 재연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훈련과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도록 제어하고, 및 상기 변환된 3차원 영상으로 상기 훈련과 관련된 움직임을 재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훈련 재연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훈련과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도록 제어하고, 및 상기 변환된 3차원 영상으로 상기 훈련과 관련된 움직임을 재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영상의 시간별 단차의 이동 경로는 단차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확인된다.
본 발명은 훈련(작전)의 분석을 객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리적, 수학적, 또는 논리적 표현으로 만드는 모델링과 이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장 단말기가 탑재된 모든 체계에 적용이 가능하고 훈련 및 작전 수행 간 수집된 실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미지를 통해 재연함으로써 훈련/작전의 리뷰 또는 분석을 통한 객관적인 분석 및 평가가 가능하며, 3D 시각화를 통해 훈련에 참가한 인원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하여 향후 작전의 개선 및 발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작전 수행 결과 분석 분야, 교리 발전/검증 분야, 교육 훈련(모의훈련)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훈련/작전 모의 세트를 나타낸 예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술한 어떤 구성요소가 상술한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기재될 KVMF(korea variable message format)는 비트 단위의 가변 길이 메시지로, 육군의 제한된 전술 통신환경에서 기존 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지상 무기 체계(감시, 지휘통제 및 타격 체계)간 디지털 전술 정보를 실시간(혹은 특정 시간 내에 처리 가능하도록)으로 교환하기 위한 디지털 정보 교환 체계로 정의된다. 이하에서 기재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KVMF 단말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 기재될 훈련(작전) 및 훈련/작전은 훈련 및 작전을 의미할 수도 있고, 훈련 또는 작전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1은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101 단계에서 훈련(작전) 계획을 수립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103 단계에서 수립한 계획을 기반으로 훈련(작전)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105 단계에서 훈련(작전)을 수행한 것에 대해 기록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107 단계에서 기록된 훈련(작전)을 분석하고 평가한다.
현 부대에서의 훈련 및 평가는 작전(교육) 장교 등에 의해 수립된 계획을 기반으로 수행된 훈련에 대해 훈련 참관자를 통한 주관적인 분석 및 평가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계화 부대에서 훈련간 전장 단말기에 저장되는 운용 기록을 이용하여 훈련 종료 후 가상 현실 이미지로 재구성하여 훈련/작선에 참가한 제대 내 분석 및 평가가 객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장 단말기의 운용기록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대에서의 전장상황 재연, 작전평가, 분석 및 전장모의 수립 등 실무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며,수집/분석된 자료의 상위부대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시각화를 통해 훈련에 참가한 대원들의 이해도를 향상하고 작전의 개선 발전을 위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장 단말기가 탑재된 체계에서 훈련 및 작전 종료 후 전장 단말기에 저장된 위치정보, 속도정보, 송수신 전문 등의 데이터를 전장 단말기가 탑재된 단차별 시간 순, 전문 종류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DB를 분석/처리하여 훈련 및 작전 분석 및 평가를 위한 3D 이미지로 재연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201 단계에서 훈련(작전) 계획을 수립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203 단계에서 수립한 계획을 기반으로 훈련(작전)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205 단계에서 수행된 훈련(작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207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209 단계에서 로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즉, 로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훈련 및 작전 종료 후 전장 단말기에 저장된 위치 정보, 속도 정보, 송수신 전문 데이터를 단차별 시간 순 및 전문 종류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추가 가능한 실시 예로써, 로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훈련 및 작전 종료 후 전장 단말기에 저장된 위치 정보, 속도 정보, 송수신 전문 중의 하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단차별 시간 순 또는 전문 종류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211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화한 데이터를 3D(three dimension : 3차원) 시각화한다. 즉,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단차별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훈련 및 작전 간 단차들의 시간별 단차의 이동 경로를 3D 이미지로 생성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213 단계에서 시각화를 재연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215 단계에서 훈련(작전)을 분석하고 평가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훈련/작전에 참가한 제대 내 분석 및 평가가 객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정형 텍스트 분석 기술 및 데이터 3D 시각화 기술을 이용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KVMF 메시지 기반 비정형 텍스트처리를 위해 자연어 처리 기술 및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데이터 3D 시각화를 위해 LOD(Level of Detail) 및 Image Texturing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생성된 3D 이미지상 단차의 시간별 위치를 분석하여 단차간 간격 및 이동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 가능한 실시 예로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단차별 송신 및 수신 데이터를 통해 작전 통제상황을 분석한다.
추가 가능한 실시 예로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단차별 송신 및 수신 데이터를 통해 전장상황 분석 및 작전 수행 평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참조번호 301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훈련(작전)을 수행하고, 이를 저장 및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참조번호 303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비정형 텍스트 분석을 수행한다. 즉,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비정형 텍스트 분석 방법은 텍스트 마이닝 방법, 자연어 처리 방법 등이 있다.
상기 텍스트 마이닝 방법은 텍스트 형태로 이루어진 비정형 데이터들을 자연어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면 비정형 문서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예컨대 텍스트 정보에서 문맥을 파악하거나 텍스트간 연계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자연어 처리 방법은 음성 인식을 통해 인간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나면 입력된 텍스트를 여러 형태로 분석한다. 상기 자연어 처리 방법은 분석 결과, 인간의 음성이 무엇을 나타내는지,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한 뒤 사용자가 어떤 대상에 대해 질문을 한 것이라면 검색 등을 활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대답을 찾고, 최종적으로 사용자 질문에 대한 답을 문장 형태로 만드는 언어 생성 과정을 거친 후 음성인식과 반대되는 반화 기술을 통해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달되는 방법이다.
참조번호 305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데이터 3D 시각화한다.
참조번호 307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시각화 이미지를 재연한다. 이때, 예컨대, 영상시현기 및 스크린으로 응용 및 DB 서버에서 생성된 3D 이미지를 시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훈련/작전 모의 세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훈련 재연을 위한 시스템은 전장 단말기(401-1~401-3), 네트워크 스위치(403), 응용 및 DB 서버(405), 영상시현기(407), 및 스크린(409)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장 단말기(401-1~401-3)는 훈련/작전 간 운용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다. 즉, 상기 전장 단말기(401-1~401-3)는 훈련/작전 간 위치정보, 속도정보, 송수신 전문 등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전장 단말기(401-1~401-3)는 KVMF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송수신 전문은 송수신 KVMF 전문일 수 있다.
훈련간 전장 단말기는 훈련/작전 중인 전장 단말기(401-1~401-3)를 의미한다.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403)는 전장 단말기(401-1~401-3)간 데이터 연동을 위해 동작한다.
상기 응용 및 DB 서버(405)는 운용정보가 저장된 제대의 전장 단말기 운용정보를 수집하고 분석 및 3D 가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3D 가상 이미지를 3D 이미지라 칭한다.
상기 응용 및 DB 서버(405)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상기 응용 및 DB 서버(405)는 제대의 단차별 전장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저장한다.
2. 상기 응용 및 DB 서버(405)는 단차별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훈련 및 작전 간 단차들의 시간별 단차의 이동 경로를 3D 이미지로 생성한다.
3. 상기 응용 및 DB 서버(405)는 생성된 3D 이미지상 단차의 시간별 위치를 분석하여 단차간 간격 및 이동상황을 확인한다.
4. 상기 응용 및 DB 서버(405)는 단차별 송신 및 수신 데이터를 통해 작전 통제상황 분석한다. 여기서 단차별 송신 및 수신 데이터는 단차별 송신 및 수신 KVMF 전문일 수 있다.
5. 상기 응용 및 DB 서버(405)는 단차별 송신 및 수신 데이터를 통해 전장상황 분석 및 작전 수행을 평가한다.
상기 영상시현기(407) 및 스크린(409)은 상기 응용 및 DB 서버(405)에서 생성된 영상을 시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훈련 재연 장치는 제어부(501), 송수신부(503), 저장부(505) 등을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503)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훈련 재연하기 위한 각종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저장부(505)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훈련 재연하기 위한 각종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501)는 훈련과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도록 제어하고, 및 상기 변환된 3차원 영상으로 상기 훈련과 관련된 움직임을 재연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1)는 추가 가능한 실시 예로써, 상기 훈련과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도록 제어하고, 및 상기 변환된 3차원 영상으로 상기 훈련과 관련된 움직임을 재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3차원 영상의 시간별 단차의 이동 경로는 단차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확인된다.
상기 제어부(501)는 훈련간 전장 단말기에 저장되는 운용 기록을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및 상기 수집된 운용 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1)는 상기 훈련간 전장 단말기에 저장된 위치 정보, 속도 정보, 송수신 전문과 관련된 데이터를 단차별 시간 순, 및 전문 종류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수집된 기록의 저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장 단말기가 탑재된 모든 체계에 적용이 가능하고 훈련 및 작전 수행 간 수집된 실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미지를 통해 재연함으로써 훈련/작전의 리뷰 또는 분석을 통한 객관적인 분석 및 평가가 가능하며, 3D 시각화를 통해 훈련에 참가한 인원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하여 향후 작전의 개선 및 발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작전 수행 결과 분석 분야, 교리 발전/검증 분야, 교육 훈련(모의훈련)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훈련 재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훈련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
    상기 계획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훈련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수행된 훈련과 관련된 운용 기록을 저장하는 과정;
    KVMF(korea variable message format) 전장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훈련과 관련된 운용 기록을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된 운용 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과정;
    저장된 훈련과 관련된 정보를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변환된 3차원 영상으로 상기 훈련과 관련된 움직임을 재연하는 과정; 및
    상기 재연된 3차원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훈련 분석 및 평가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된 운용 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KVMF 전장 단말기에 저장된 위치 정보, 속도 정보, 송수신 전문과 관련된 데이터를 단차별 시간 순, 및 전문 종류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수집된 기록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훈련 시의 상기 단차간 간격 및 단차의 이동 상황은 상기 3차원 영상에서의 단차의 시간별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재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훈련 재연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훈련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계획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훈련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훈련과 관련된 운용 기록을 저장하고, KVMF(korea variable message format) 전장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훈련과 관련된 운용 기록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운용 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훈련과 관련된 정보를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3차원 영상으로 상기 훈련과 관련된 움직임을 재연하고, 및 상기 재연된 3차원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훈련 분석 및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운용 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경우, 상기 KVMF 전장 단말기에 저장된 위치 정보, 속도 정보, 송수신 전문과 관련된 데이터를 단차별 시간 순, 및 전문 종류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수집된 기록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훈련 시의 상기 단차간 간격 및 단차의 이동 상황은 상기 3차원 영상에서의 단차의 시간별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재연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140071A 2019-11-05 2019-11-05 훈련 재연 방법 및 장치 KR102155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071A KR102155728B1 (ko) 2019-11-05 2019-11-05 훈련 재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071A KR102155728B1 (ko) 2019-11-05 2019-11-05 훈련 재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728B1 true KR102155728B1 (ko) 2020-09-14

Family

ID=7247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071A KR102155728B1 (ko) 2019-11-05 2019-11-05 훈련 재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0314A (zh) * 2021-12-29 2022-04-15 青岛虚拟现实研究院有限公司 一种机械装配培训系统、开发方法、培训方法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192A (ja) * 1997-07-04 1999-01-26 Mitsubishi Electric Corp 訓練支援装置
KR101724517B1 (ko) * 2016-08-31 2017-05-11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워게임 사후 검토 상황 재연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1484A (ko) * 2016-04-25 2017-11-02 국방과학연구소 상황도기반 적 위협분석 및 가시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192A (ja) * 1997-07-04 1999-01-26 Mitsubishi Electric Corp 訓練支援装置
KR20170121484A (ko) * 2016-04-25 2017-11-02 국방과학연구소 상황도기반 적 위협분석 및 가시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724517B1 (ko) * 2016-08-31 2017-05-11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워게임 사후 검토 상황 재연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0314A (zh) * 2021-12-29 2022-04-15 青岛虚拟现实研究院有限公司 一种机械装配培训系统、开发方法、培训方法及存储介质
CN114360314B (zh) * 2021-12-29 2024-05-14 青岛虚拟现实研究院有限公司 一种机械装配培训系统、开发方法、培训方法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84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assisted training, collaboration, and monitoring in augmented/virtual reality in industrial automation systems and other systems
CN113593351B (zh) 一种立体综合教学场系统的工作方法
Knutsson The sustainable livelihoods approach: A framework for knowledge integration assessment
US8540518B2 (en) Trai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cognitive models
Spikol et al. Using multimodal learning analytics to identify aspects of collaboration in project-based learning
WO2009113054A1 (en) Technological platform for gaming
CN111417014B (zh) 基于在线教育的视频生成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2155728B1 (ko) 훈련 재연 방법 및 장치
KR102199810B1 (ko) 전문가 경험지식을 활용하는 가상훈련 평가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Zapata-Rivera et al. xAPI-based model for tracking on-line laboratory applications
CN107678931A (zh) 阅读行为评价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0546678A (zh) 儿童教育系统中计算导出的评估
US20210166483A1 (en) Predictive virtual reconstruction of physical environments
McNeese et al. The cognitive sciences of cyber-security: a framework for advancing socio-cyber systems
WO20182264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and tracking user competency in augmented/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in industrial automation systems and other systems
CN110678827B (zh) 用于在工业自动化系统和其他系统中以增强/虚拟现实记录和重放交互式内容的装置和方法
Henseler et al. Sweetie 2.0 technology: Technical challenges of making the sweetie 2.0 Chatbot
Hogue Project Maven, Big Data, and Ubiquitous Knowledge: The Impossible Promises and Hidden Politics of Algorithmic Security Vision
Liu et al. An approach to evaluation component design in building serious game
CN112149426A (zh) 阅读任务处理方法及相关设备
US11295084B2 (en) Cognitively generating information from videos
US11526669B1 (en) Keyword analysis in live group breakout sessions
Pandey et al. Citizenhelper-training: AI-infused system for multimodal analytics to assist training exercise debriefs at emergency services
Horyń et al. AI-Supported Decision-Making Process in Multidomain Military Operations
JP2022069989A (ja) サイバー防衛訓練の行動評価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