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292B1 -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292B1
KR102155292B1 KR1020180076243A KR20180076243A KR102155292B1 KR 102155292 B1 KR102155292 B1 KR 102155292B1 KR 1020180076243 A KR1020180076243 A KR 1020180076243A KR 20180076243 A KR20180076243 A KR 20180076243A KR 102155292 B1 KR102155292 B1 KR 102155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combustible material
support wall
phenomen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3448A (ko
Inventor
이병두
권춘근
김성용
안희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07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2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생성된 불티가 상기 가연물에 착화되는 비화 현상을 모사하는 테스트부, 상기 테스트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부를 제공함으로써 비화 현상을 모사하여 분석하는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Analysis System of Generating Flying Sparks}
본 발명은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불 확산 및 비화를 예측하기 위한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불은 산림 내에서 낙엽, 낙지, 초류, 임목등이 연소되는 화재로서 사람에 의한 실화, 방화, 낙뢰 등으로 인하여 발생된 불씨가 산림내의 가연물질을 연소 시키는 것을 말한다.
산불은 더욱 대형화 추세에 있으며 이로 인한 진화작업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고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의 가중으로 산불의 예방은 진화대책과 더불어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환경의 변화에 따른 산불 확산 및 비화 예측 모사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으로 가연물을 포함하며, 외부에서 생성된 불티가 상기 가연물에 착화되는 비화 현상을 모사하는 테스트부, 상기 테스트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부를 제공함으로써 비화 현상을 모사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풍속을 조절하여 비화가 날아가 새로운 산불을 만드는 비화 현상을 모사하고,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산불의 확산과 비화를 예측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은, 가연물을 포함하며, 외부에서 생성된 불티가 상기 가연물에 착화되는 비화 현상을 모사하는 테스트부, 상기 테스트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연물은, 모사하고자 하는 상기 비화 현상 조건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여기서, 테스트부는, 적어도 일부가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연물을 탑재하는 가연물 탑재부 및 상기 가연물 탑재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불티가 상기 가연물에 착화되어 생성된 화염이 확산되는 화염 확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검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상기 가연물의 하중을 검출하는 로드셀 센서, 선형 거리 차이를 측정하여 상기 화염이 발생하는 위치값을 검출하는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이하 LVDT로 표기)센서 및 비화 현상에 따라 상기 테스트부에서 생성된 액체 또는 기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연물 탑재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고, 격자 구조로 배치되는 지지벽, 상기 지지벽의 격자 구조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연물을 끼워서 지지하는 결합 프레임 및 상기 결합 프레임의 양측에 부착되며, 상기 결합 프레임을 상기 지지벽에 조립하는 환봉을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로거, 상기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검출부의 센서 별로 나누어 데이터 테이블로 상태를 분석하는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간에 따른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데이터 차트로 상태를 분석하는 데이터 차트 생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분석부는, 로드셀 센서, LVDT센서 및 압력 센서의 검출 값의 허용 검출 기준을 설정하는 관리 기준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드셀 센서, LVDT센서 및 압력 센서의 검출 값이 상기 허용 검출 기준을 초과할 경우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 표시된다.
여기서, 지지벽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여 마주보는 제1 지지벽 및 제2 지지벽, 상기 제1 지지벽 및 제2 지지벽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여 마주보는 제3 지지벽 및 제4 지지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벽, 제2 지지벽, 제3 지지벽 및 제4 지지벽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상기 가연물이 끼워지는 상기 결합프레임이 위치한다.
여기서, 결합프레임은, 상기 축 방향으로 상기 가연물이 끼워지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연물의 측면을 고정하는 측면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고정부는, 상기 가연물의 너비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서, 환봉은, 상기 제1 지지벽과 제2 지지벽 사이에 조립되는 제1 환봉, 상기 제3 지지벽과 제4 지지벽 사이에 조립되는 제2 환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벽 및 제4 지지벽은, 상기 제1 지지벽 및 제2 지지벽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환봉 아래에 상기 제2 환봉이 배치되며, 상기 제1 환봉과 부착되는 제1 결합 프레임과 상기 제2 환봉과 부착되는 제2 결합 프레임이 동일한 축에 이층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가연물을 이단으로 고정한다.
여기서, 테스트부는, 모사하고자 하는 상기 비화 현상 조건에 따라 온도를 보정하는 온도보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보정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에 따라 보정한다.
여기서, 가연물은, 나무, 낙엽, 잔 가지, 솔방울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산불 확산 조건을 마련한다.
여기서, 테스트부는, 적어도 일부가 석고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내열성 및 내화성을 향상 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부에서 생성된 불티가 상기 가연물에 착화되는 비화 현상을 모사하는 테스트부, 상기 테스트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부를 제공함으로써 비화 현상을 모사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풍속을 조절하여 비화가 날아가 새로운 산불을 만드는 비화 현상을 모사하고,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산불의 확산과 비화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의 변화에 따른 비화 예측뿐만 아니라 산불 확산의 특성을 구명하는데도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의 가연물 탑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 분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 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의 비화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10)은 테스트부(100), 검출부(200), 데이터 분석부(300)를 포함한다.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10)은 산불 확산 및 비화를 예측하기 위해 비화가 날아가 새로운 산불을 만드는 비화 현상을 모사하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시스템으로, 산불의 확산과 비화를 예측 할 수 있다.
비화(飛火)는 굴뚝으로부터의 불똥, 화재 건물로부터의 불통이 공중을 날라 떨어진 곳의 가연물 또는 건물에 착화하는 것이다. 풍속에 따라서는 매우 먼 거리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테스트부(100)는 가연물을 포함하며, 외부에서 생성된 불티가 상기 가연물에 착화되는 비화 현상을 모사한다.
가연물은, 모사하고자 하는 상기 비화 현상 조건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가연물은, 나무, 낙엽, 잔 가지, 솔방울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산불 확산 조건을 마련한다.
테스트부(100)는 단열용 판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스트부(100)는 베이스부(110), 가연물 탑재부(120), 화염 확산부(130)를 포함한다.
테스트부(100)는 가연물을 포함하며, 외부에서 생성된 불티가 상기 가연물에 착화되는 비화 현상을 모사한다. 가연물은, 모사하고자 하는 상기 비화 현상 조건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테스트부(100)는 모사하고자 하는 상기 비화 현상 조건에 따라 온도를 보정하는 온도보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온도보정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에 따라 보정한다.
베이스부(110)는 적어도 일부가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한다. 테스트부(100)는 외측을 둘러싸는 월보드(113)를 포함하며, 월보드(113)는 체결부(114)를 통해 테스트부(100)가 가연물의 연소에 따른 화재 발생에도 무너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가연물 탑재부(120)는 베이스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연물을 탑재한다.
화염 확산부(130)는 가연물 탑재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불티가 상기 가연물에 착화되어 생성된 화염이 확산된다.
화염 확산부(130)는 화염 확산 시 연소 되는 가연물이 무너지지 않도록 테스트부(100)에 고정되는 구조 프레임(131, 132)을 포함한다.
테스트부(100)를 안착시키는 안착부(141)를 포함하는 핸들부(140)를 포함하여,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고정된 위치가 아닌 다양한 장소에서 장소의 환경 특성에 따른 비화 현상을 모사하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140)를 무인으로 운용 가능하여, 화재 발생 시에도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10)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검출부(200)는 테스트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를 검출한다.
데이터 분석부(300)는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분석한다.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10)은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된 위치가 아닌 다양한 장소에서 장소의 환경 특성에 따른 비화 현상을 모사하고, 분석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테스트부(100)는 베이스부(110), 가연물 탑재부(120), 화염 확산부(130)를 포함한다.
테스트부(100)는 가연물을 포함하며, 외부에서 생성된 불티가 상기 가연물에 착화되는 비화 현상을 모사한다.
가연물은, 모사하고자 하는 상기 비화 현상 조건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테스트부(100)는 모사하고자 하는 상기 비화 현상 조건에 따라 온도를 보정하는 온도보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온도보정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에 따라 보정한다.
베이스부(110)는 적어도 일부가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한다.
가연물 탑재부(120)는 베이스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연물을 탑재한다.
가연물 탑재부(120)는 지지벽(121, 123), 결합 프레임(125), 환봉(127, 128)을 포함한다.
가연물 탑재부(120)는 베이스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연물을 탑재한다.
구체적으로, 가연물 탑재부(120)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래킷은 덕트나 관을 지지하고 기기류를 매달기 위해 벽이나 구조체 등에서 돌출시킨 지지 구조재이다. 모터의 케이싱에서는 축을 받치고 있는 축수를 가진 커버를 브래킷이 지지한다.
지지벽(121, 123)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고, 격자 구조로 배치된다.
지지벽(121, 123)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여 마주보는 제1 지지벽 및 제2 지지벽(121), 상기 제1 지지벽 및 제2 지지벽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여 마주보는 제3 지지벽 및 제4 지지벽(123)을 포함한다.
제1 지지벽, 제2 지지벽, 제3 지지벽 및 제4 지지벽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상기 가연물이 끼워지는 결합프레임(126)이 위치한다.
결합 프레임(125)은 지지벽의 격자 구조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연물을 끼워서 지지한다.
환봉(127, 128)은 결합 프레임의 양측에 부착되며, 상기 결합 프레임을 상기 지지벽에 조립한다.
환봉(127, 128)은 제1 지지벽과 제2 지지벽(121) 사이에 조립되는 제1 환봉(127), 제3 지지벽과 제4 지지벽(123) 사이에 조립되는 제2 환봉(128)을 포함한다.
화염 확산부(130)는 가연물 탑재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불티가 상기 가연물에 착화되어 생성된 화염이 확산된다.
화염 확산부(130)는 화염 확산 시 연소 되는 가연물이 무너지지 않도록 테스트부(100)에 고정되는 구조 프레임(131, 132)을 포함한다.
테스트부(100)는 적어도 일부가 석고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내열성 및 내화성을 향상 시킨다.
베이스부(110)는 적어도 일부가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한다.
테스트부(100)는 외측을 둘러싸는 월보드(113)를 포함하며, 월보드(113)는 체결부(114)를 통해 테스트부(100)가 가연물의 연소에 따른 화재 발생에도 무너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월보드(113)는 석고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석고(황산칼슘 이수화물, calcium sulfate dihydrate)는 풍부하고, 일반적으로 저렴한 원재료 물질이며, 탈수 및 재수화 공정을 거쳐 캐스트(cast)되거나, 몰드(mold)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유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석고 월보드 및 다른 석고 제품들이 제조되는 기초 물질은 일반적으로 스터코(stucco)로 불리는 황산 칼슘의 반수화물 형태(CaSO4ㆍ1/2H2O)이며, 이것은 열 변환(heat conversion)에 의해 이수화물 형태의 황산 칼슘(CaSO4ㆍ2H2O)으로부터 1-1/2의 물 분자를 제거하여 제조된다.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10)은 테스트부(100)를 안착시키는 제1 안착부(141)를 포함하는 핸들부(140)를 포함하여,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고정된 위치가 아닌 다양한 장소에서 장소의 환경 특성에 따른 비화 현상을 모사하고, 분석할 수 있다. 제1 안착부(141)의 하단에는 제2 안착부(150)가 배치되고, 제1 안착부(141)와 제2 안착부(151)는 지지부재(151)로 연결되어, 계단식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핸들부(140)를 무인으로 운용 가능하여, 화재 발생 시에도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10)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검출부(200)는 테스트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를 검출한다.
검출부(200)는 베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상기 가연물의 하중을 검출하는 로드셀 센서, 선형 거리 차이를 측정하여 상기 화염이 발생하는 위치값을 검출하는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이하 LVDT로 표기)센서 및 비화 현상에 따라 상기 테스트부에서 생성된 액체 또는 기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로드셀(Load-cell) 센서는 하중계, 하중센서, 힘 센서라고도 하며, 힘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변환기로서 출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이하 LVDT로 표기)센서는 선형 거리 차이를 측정하는 전기적 변환기의 형태이다. 3개의 솔레노이드 코일이 튜브를 둘러싼 형태로 위치하고 있다. 가운데 코일이 메인이며 나머지 두 개는 바깥에 위치하고 있다. 실린더 형태의 자석 코어가 튜브 중심을 따라 이동하면서 측정 대상의 위치값을 알려주게 된다.
압력 센서는 액체 또는 기체의 압력을 검출하고, 계측이나 제어에 사용하기 쉬운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장치 및 소자이다. 측정의 원리는 변위나 변형을 비롯하여 분자밀도의 열전도율을 이용할 수 있다.
검출부(200)는 유량, 액면 및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스 오토메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테스트 환경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센서값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200)는 유압 실린더(213)를 테스트부의 하부에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213)는 동력 피스톤 작동으로 푸시로드가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작동시켜서 유압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화염이 발생하는 위치값을 검출하여, 위급 상황 발생 시나 테스트 구동 멈춤 시 제동 장치의 동력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검출부(200)의 외측(220)은 스케일(221)을 포함하여, 비화 현상에 따른 상기 가연물의 연소에 따른 화염 발생 범위를 측정할 수 있다.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10)의 하단에는 캐스터 휠(230)이 부착되어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된 위치가 아닌 다양한 장소에서 장소의 환경 특성에 따른 비화 현상을 모사하고, 분석할 수 있다.
캐스터 휠(230)은 킹핀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로, 테스터부에 물건을 적재하거나 주행 시는 0(제로)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의 가연물 탑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연물 탑재부(120)는 지지벽(121, 123), 결합 프레임(125), 환봉(127, 128)을 포함한다.
가연물 탑재부(120)는 베이스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연물을 탑재한다.
구체적으로, 가연물 탑재부(120)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래킷은 덕트나 관을 지지하고 기기류를 매달기 위해 벽이나 구조체 등에서 돌출시킨 지지 구조재이다. 모터의 케이싱에서는 축을 받치고 있는 축수를 가진 커버를 브래킷이 지지한다.
지지벽(121, 123)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고, 격자 구조로 배치된다.
지지벽(121, 123)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여 마주보는 제1 지지벽 및 제2 지지벽(121), 상기 제1 지지벽 및 제2 지지벽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여 마주보는 제3 지지벽 및 제4 지지벽(123)을 포함한다.
제1 지지벽, 제2 지지벽, 제3 지지벽 및 제4 지지벽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상기 가연물이 끼워지는 결합프레임(126)이 위치한다.
결합 프레임(125)은 지지벽의 격자 구조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연물을 끼워서 지지한다.
결합 프레임(125)은 축 방향으로 상기 가연물이 끼워지는 끼움부(126) 및 끼움부(126)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연물의 측면을 고정하는 측면 고정부(129)를 포함한다.
측면 고정부(129)는 상기 가연물의 너비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
환봉(127, 128)은 결합 프레임의 양측에 부착되며, 상기 결합 프레임을 상기 지지벽에 조립한다.
환봉(127, 128)은 제1 지지벽과 제2 지지벽(121) 사이에 조립되는 제1 환봉(127), 제3 지지벽과 제4 지지벽(123) 사이에 조립되는 제2 환봉(128)을 포함한다.
제3 지지벽 및 제4 지지벽(123)은, 제1 지지벽 및 제2 지지벽(121)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제1 환봉(127) 아래에 제2 환봉(128)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환봉과 부착되는 제1 결합 프레임과 제2 환봉과 부착되는 제2 결합 프레임이 동일한 축에 이층구조로 배치되어 가연물을 이단으로 고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 분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 분석부(300)는 관리 기준 설정부(310), 데이터 로거(320),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330), 데이터 차트 생성부(340)를 포함한다.
데이터 분석부(300)는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분석한다.
관리 기준 설정부(310)는 로드셀 센서, LVDT센서 및 압력 센서의 검출 값의 허용 검출 기준을 설정한다.
상기 로드셀 센서, LVDT센서 및 압력 센서의 검출 값이 상기 허용 검출 기준을 초과할 경우 데이터 테이블에 표시된다.
데이터 로거(320)는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330)는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검출부의 센서 별로 나누어 데이터 테이블로 상태를 분석한다.
데이터 차트 생성부(340)는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간에 따른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데이터 차트로 상태를 분석한다.
데이터 분석부(300)는 확장성 시스템으로 구현가능하며, USB로 직접 연결하여 별도의 허브 장치 없이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프로그램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LCD를 포함하여 PC 연결 없이도 데이터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고정밀 디지털 센서의 계측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로드셀 센서, LVDT센서 및 압력 센서로부터 검출 값의 센싱이 가능하다.
Low Pass Filter 회로에 의한 노이즈 제거 기능, 오토 제로 버튼에 의한 자동 영점 조정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리얼 포트와 USB 인터페이스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300)는 관리자의 권한 실행이 가능하여, 보안을 유지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아닌 타인으로 인한 데이터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분석부(300)는 별도의 통신부를 포함하여, 방제 기상정보 포탈서비스 시스템, 산불감시원 위치 관제시스템, 산림항공 안전운항 정보시스템(SIS)과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으며, 산불감시 영상정보(무인감시카메라, 현장영상 정보 등)를 이용하여 조건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데이터 로거(320)는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330)는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검출부의 센서 별로 나누어 데이터 테이블로 상태를 분석한다.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330)는 모니터링이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센서의 실시간 데이터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형태로 표현하고, 사용자 운영에 따른 파일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GUI(graphical 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할 때, 그래픽을 통해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이다.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화면에 있는 메뉴를 선택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래픽을 통해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화면의 메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작업을 지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테이블 표현 버튼(331)과 차트 표현 버튼(341)으로 데이터 테이블 생성과 차트 생성을 구분할 수 있으며, 테이블 표현 버튼(331)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데이터 테이블로 나타낸다.
데이터 제로(332)를 선택하는 경우, 현재 표현되는 값이 0으로 선택되며, 데이터 세이브(333)를 선택하는 경우 파일로 실시간 데이터가 저장된다.
실시간 조회(334), 저장 이력 조회(335), 환경설정(336) 메뉴를 이용하여, 데이터 조회와 데이터 측정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상단의 바(337)에는 로거명이 표시된다.
데이터 테이블은 채널별로 구분되며, 구분되는 화면(339)의 좌측 상단에 채널(338)이 표시된다.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의 측정값(352)이 화면에 기록되며, 데이터 제로 선택 시 현재 표현되는 값(351)이 0으로 나타난다. 측정값(352)의 상단은 단위(353)를 표시할 수 있다.
화면(339)은 관리기준치 초과시 배경 색상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초과 시 빨강색으로 변경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 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데이터 로거(320)는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차트 생성부(340)는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간에 따른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데이터 차트로 상태를 분석한다.
데이터 차트 생성부(340)는 모니터링이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센서의 실시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형태로 표현하고, 사용자 운영에 따른 파일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GUI(graphical 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할 때, 그래픽을 통해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이다.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화면에 있는 메뉴를 선택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래픽을 통해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화면의 메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작업을 지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테이블 표현 버튼(331)과 차트 표현 버튼(341)으로 데이터 테이블 생성과 차트 생성을 구분할 수 있으며, 차트 표현 버튼(341)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데이터 차트로 나타낸다.
데이터 제로(332)를 선택하는 경우, 현재 표현되는 값이 0으로 선택되며, 데이터 세이브(333)를 선택하는 경우 파일로 실시간 데이터가 저장된다.
실시간 조회(334), 저장 이력 조회(335), 환경설정(336) 메뉴를 이용하여, 데이터 조회와 데이터 측정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상단의 바(337)에는 로거명이 표시된다.
데이터 테이블은 채널별로 구분되며, 구분되는 화면(343)의 좌측 상단에 채널(342)이 표시된다.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의 측정값이 그래프(345)로 화면에 기록되며, 시간에 따른 측정 결과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의 비화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10)은 산불 확산 및 비화를 예측하기 위해 비화가 날아가 새로운 산불을 만드는 비화 현상을 모사하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시스템으로, 산불의 확산과 비화를 예측 할 수 있다.
비화(飛火)는 굴뚝으로부터의 불똥, 화재 건물로부터의 불통이 공중을 날라 떨어진 곳의 가연물 또는 건물에 착화하는 것이다. 풍속에 따라서는 매우 먼 거리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가연물(11)은, 모사하고자 하는 상기 비화 현상 조건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가연물은, 나무, 낙엽, 잔 가지, 솔방울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산불 확산 조건을 마련한다.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10)은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된 위치가 아닌 다양한 장소에서 장소의 환경 특성에 따른 비화 현상을 모사하고, 분석할 수 있다.
비화 현상은 불티가 바람에 날리거나 튀어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가연물에 착화되는 현상이 비화에 의한 연소의 확대이다. 비화에 대한 화재방어상의 관심사는 화원에서 상당한 거리에 있는 장소에 발생하는 다수의 발화이다. 불티는 클수록 발화의 위험률이 높지만 작은 불티라도 바람, 습도 등의 영향에 따라 화재로 발전될 수 있다. 그리고 불티의 비화거리와 범위는 연소물질의 종류, 발화부의 화세, 풍력 등에 따라서 달라진다. 야간에는 미세한 것까지 빨갛게 보이나 주간에는 검은 물체로 보일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10)의 가연물(11)이 연소되면, 화염(13)이 발생하며, 화염(13)이 발생하는 조건과, 화염(13)으로 인한 환경 변화를 검출부가 검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바람, 습도 등의 영향에 따라 화재로 발전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마련하고 불티의 연소물질의 종류, 발화부의 화세, 풍력 등에 따라서 달라지는 비화거리와 범위를 분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1)은 비화 현상 모사 장치(10), 비화 생성 장치(20), 데이터 로거 시스템(30)을 포함한다.
비화 현상 모사 장치(10)는 생성된 비화가 날아가 새로운 산불을 만드는 비화 현상을 모사하는 장치이다.
비화 생성 장치(20)는 산불 확산 및 비화를 예측하기 위해 비화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풍속을 조절하여 비화가 날아가 새로운 산불을 만드는 비화 현상을 모사하며, 시료 하중을 실시간 측정하여 산불의 확산과 비화를 예측 할 수 있다.
비화(飛火)는 굴뚝으로부터의 불똥, 화재 건물로부터의 불통이 공중을 날라 떨어진 곳의 가연물 또는 건물에 착화하는 것이다. 풍속에 따라서는 매우 먼 거리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데이터 로거 시스템(30)은 산불의 확산과 비화 생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100: 테스트부
110: 베이스부
120: 가연물 탑재부
130: 화염 확산부
200: 검출부
300: 데이터 분석부
310: 관리 기준 설정부
320: 데이터 로거
330: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
340: 데이터 차트 생성부

Claims (13)

  1. 가연물을 포함하며, 외부에서 생성된 불티가 상기 가연물에 착화되는 비화 현상을 모사하는 테스트부;
    상기 테스트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스트부는,
    적어도 일부가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연물을 탑재하는 가연물 탑재부; 및
    상기 가연물 탑재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불티가 상기 가연물에 착화되어 생성된 화염이 확산되는 화염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물은,
    모사하고자 하는 상기 비화 현상 조건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상기 가연물의 하중을 검출하는 로드셀 센서;
    선형 거리 차이를 측정하여 상기 화염이 발생하는 위치값을 검출하는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이하 LVDT로 표기)센서; 및
    상기 비화 현상에 따라 상기 테스트부에서 생성된 액체 또는 기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물 탑재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고, 격자 구조로 배치되는 지지벽;
    상기 지지벽의 격자 구조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연물을 끼워서 지지하는 결합 프레임; 및
    상기 결합 프레임의 양측에 부착되며, 상기 결합 프레임을 상기 지지벽에 조립하는 환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로거;
    상기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검출부의 센서 별로 나누어 데이터 테이블로 상태를 분석하는 데이터 테이블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간에 따른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데이터 차트로 상태를 분석하는 데이터 차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로드셀 센서, LVDT센서 및 압력 센서의 검출 값의 허용 검출 기준을 설정하는 관리 기준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드셀 센서, LVDT센서 및 압력 센서의 검출 값이 상기 허용 검출 기준을 초과할 경우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여 마주보는 제1 지지벽 및 제2 지지벽;
    상기 제1 지지벽 및 제2 지지벽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여 마주보는 제3 지지벽 및 제4 지지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벽, 제2 지지벽, 제3 지지벽 및 제4 지지벽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상기 가연물이 끼워지는 상기 결합프레임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환봉의 축 방향으로 상기 가연물이 끼워지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연물의 측면을 고정하는 측면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고정부는, 상기 가연물의 너비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봉은, 상기 제1 지지벽과 제2 지지벽 사이에 조립되는 제1 환봉;
    상기 제3 지지벽과 제4 지지벽 사이에 조립되는 제2 환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벽 및 제4 지지벽은, 상기 제1 지지벽 및 제2 지지벽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환봉 아래에 상기 제2 환봉이 배치되며,
    상기 제1 환봉과 부착되는 제1 결합 프레임과 상기 제2 환봉과 부착되는 제2 결합 프레임이 동일한 축에 이층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가연물을 이단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부는,
    모사하고자 하는 상기 비화 현상 조건에 따라 온도를 보정하는 온도보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보정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비화 현상에 따른 환경 변화의 데이터에 따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물은,
    나무, 낙엽, 잔 가지, 솔방울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산불 확산 조건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부는,
    적어도 일부가 석고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내열성 및 내화성을 향상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KR1020180076243A 2018-07-02 2018-07-02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KR102155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243A KR102155292B1 (ko) 2018-07-02 2018-07-02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243A KR102155292B1 (ko) 2018-07-02 2018-07-02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448A KR20200003448A (ko) 2020-01-10
KR102155292B1 true KR102155292B1 (ko) 2020-09-14

Family

ID=6915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243A KR102155292B1 (ko) 2018-07-02 2018-07-02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987B1 (ko) * 2020-06-22 2021-03-04 대한민국 화재 실험용 중량 측정 장치
KR102408855B1 (ko) * 2020-09-14 2022-06-14 대한민국 화염 전이 실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374B1 (ko) * 2005-01-22 2007-02-22 주식회사 페스텍인터내셔날 시편 연소에 따른 열방출률 측정과 화재평가 요소 분석시스템
KR101448009B1 (ko) 2013-05-31 2014-10-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화재재료의 성질 산출 시험장치 및 그 산출 방법
KR101573500B1 (ko) 2014-12-05 2015-12-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무선통신 데이터 로거 및 이를 이용한 플랜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5677A (ja) * 1996-06-03 1997-12-16 Mitsubishi Heavy Ind Ltd 消火剤検知装置付き模擬火災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374B1 (ko) * 2005-01-22 2007-02-22 주식회사 페스텍인터내셔날 시편 연소에 따른 열방출률 측정과 화재평가 요소 분석시스템
KR101448009B1 (ko) 2013-05-31 2014-10-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화재재료의 성질 산출 시험장치 및 그 산출 방법
KR101573500B1 (ko) 2014-12-05 2015-12-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무선통신 데이터 로거 및 이를 이용한 플랜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448A (ko)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292B1 (ko) 비화 현상 분석 시스템
Law Fire safety of external building elements--the design approach
CN103292835B (zh) 一种火灾探测性能综合检测模拟实验装置
CN102929276B (zh) 一种大空间建筑烟气控制系统的性能评估方法
CN109100464B (zh) 可调复杂构型的建筑墙体保温板材火灾燃烧特性测试装置
CN106097667A (zh) 可燃气体泄漏检测方法、设备及燃气家电
CN110715784B (zh) 一种振动环境条件下的动力装置点火试验方法
CN109459257A (zh) 一种风火耦合作用下对建筑结构影响试验系统
Huo et al. Experimental studies on natural smoke filling in atrium due to a shop fire
CN104865289A (zh) 一种铺地材料热辐射测试仪
CN111397939A (zh) 一种评价综合管廊消防系统灭火性能的试验方法
KR102295210B1 (ko) 산불 확산 예측 장치 및 시스템
CN105510535A (zh) 基于现场实验的化工园区气体传感器扇形优化部署方法
KR101269119B1 (ko) 10㎿급 라지스케일 칼로리미터
KR102408855B1 (ko) 화염 전이 실험장치
KR102295218B1 (ko) 산불 전이 예측 장치 및 시스템
CN203577191U (zh) 一种风力发电机组专用消防系统测试装置
CN110501383A (zh) 一种可变环境风条件下建筑外幕墙/墙体耦合构型保温板材火蔓延特性测试装置
CN204694658U (zh) 一种铺地材料热辐射测试仪
Kuffner et al. Method of determining smoke detector spacing in high ceiling applications
CN110274746B (zh) 一种消除风力干扰的风场环境池火燃烧速率测试装置
KR20210064982A (ko) 표면 형상 조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산불 예측 시스템
CN104778895A (zh) 大断面沉管隧道火灾综合试验系统
Back Fire development in insulated compartements-Effects from improved thermal insulation
CN216669873U (zh) 模拟电缆通道环境的电缆燃烧性能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