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184B1 -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 성분의 기준 블록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성분의 현재 블록을 인코딩하는 방법, 인코딩 장치 및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 성분의 기준 블록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성분의 현재 블록을 인코딩하는 방법, 인코딩 장치 및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184B1
KR102155184B1 KR1020147036553A KR20147036553A KR102155184B1 KR 102155184 B1 KR102155184 B1 KR 102155184B1 KR 1020147036553 A KR1020147036553 A KR 1020147036553A KR 20147036553 A KR20147036553 A KR 20147036553A KR 102155184 B1 KR102155184 B1 KR 102155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mage
division
level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6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4857A (ko
Inventor
조엘 중
카르틱 비즈와나탄
Original Assignee
오렌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렌지 filed Critical 오렌지
Publication of KR20150024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40Tree coding, e.g. quadtree, octr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2Detection of scene cut or scene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being iterative or recurs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3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by compressing encoding parameters befo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47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according to rate distor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 성분(CI21)의 기준 블록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성분의 적어도 하나의 현재 블록(CTBu; CTB'u)을 인코딩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은 동일한 장면을 나타내며, 상기 기준 블록은 이전에 분할에 의해 인코딩된 후 디코딩된 것이며, 기준 블록의 상기 분할은 분할 깊이의 기정의된 레벨(k)(k>0)이 얻어질 때까지 복수 회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방법은, - 기준 블록의 분할의 레벨(k)에 따라 분할 깊이의 레벨(k')이 얻어질 때까지 현재 블록을 복수 회 분할하거나(C33a)), - 이전에 초기화된(C33b)) 분할 깊이의 레벨에 기초하여, 기준 블록의 분할 깊이 레벨(k)에 따르는 분할 깊이 레벨(k')만큼, 현재 블록을 분할(C34b))하는 것으로 구성된 단계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 성분의 기준 블록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성분의 현재 블록을 인코딩하는 방법, 인코딩 장치 및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FOR ENCODING A CURRENT BLOCK OF A FIRST IMAGE COMPONENT RELATIVE TO A REFERENCE BLOCK OF AT LEAST ONE SECOND IMAGE COMPONENT, ENCODING DEVICE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미지 처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이미지의 코딩 및 디지털 이미지 시퀀스의 코딩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장래에 현재 비디오 코더(ITU-T/ISO MPEG HEVC) 및 이들의 확장에서 구현되는 비디오 코딩에 적용될 수 있다.
현재 입안하고 있으며 문서 "B. Bross, W. -J. Han, J. -R. Ohm, G. J. Sullivan, and T. Wiegand,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text specification draft 6," document JCTVC-H1003 of JCT-VC, San Jose CA, USA, February 2012"에 기술된 HEVC 표준은 비디오 시퀀스의 블록 분할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이전의 H.264 표준과 유사하다. 그러나, HEVC 표준은 구현되는 분할이 "쿼드트리(quadtree)"로 불리는 나무 모양 구조를 따른다는 사실로 H.264 표준과 구별된다. 이를 위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이미지(IN)는 제1회에 크기 64 x 64 화소의 복수의 정방형 블록(CTB1, CTB2,..., CTBi,..., CTBL)(1≤i≤L)으로 분할된다. 소정의 블록(CTBi)의 경우, 이 블록은 코딩 트리의 루트를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여기서
- 루트 아래 제1 레벨의 리프들(leaves)이 블록(CTBi)에 대한 제1 레벨의 분할 깊이에 대응하며, 이에 대해 블록(CTBi)은 제1회에 복수의 코딩 블록으로 분할되었으며,
- 제1 레벨의 리프들 아래 제2 레벨의 리프들이 블록(CTBi)에 대한 제2 레벨의 분할 깊이에 대응하며, 이에 대해 제1회에 분할된 블록(CTBi)이 제2회에 복수의 코딩 블록으로 분할되었으며, ...
-...제k-1 레벨의 리프들 아래 제k 레벨의 리프들이 블록(CTBi)에 대한 제k 레벨의 분할 깊이에 대응하며, 이에 대해 제k-1회에 분할된 블록(CTBi)이 마지막 회에 복수의 코딩 블록으로 분할되었다.
HEVC 호환가능 코더에서, 블록(CTBi)의 분할의 반복은 소정 레벨의 분할 깊이까지 수행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CTBi)의 전술한 연속적인 분할을 완료하였을 때, 블록(CTBi)은 결국 CB1, CB2,..., CBj,..., CBM(1≤j≤M)으로 표시된 복수의 코딩 블록으로 분할된다.
상기 코딩 블록의 크기는 "쿼드트리" 유형의 트리를 따르는 블록의 분할의 도움으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쿼드트리 유형의 트리에서는 상기 트리의 리프들이 각각 다양한 레벨의 분할 깊이에서 얻어진 코딩 블록(CB1, CB2,..., CBj,..., CBM)을 나타낸다.
도 1a를 참조하면, 소정의 블록(CBj)에 대해서, 이 블록은 예를 들면 이산 코사인 변환(DCT) 유형의, 상기 블록에 대한 예측 및 변환 트리의 루트를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소정의 블록(CBj)에 대한 예측 트리는 블록(CBj)이 예측 블록으로 불리는 복수의 블록(PB1, PB2,..., PBt,.., PBP)(1≤t≤P)으로 분할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고려되는 예측 블록(PBt)의 경우, 예를 들면 코딩 모드, 움직임 벡터 등과 같은 예측 파라미터가 예측 유닛에 명시된다.
고려되는 코딩 블록(CBj)에 대한 다양한 분할 모드가 존재한다. 도 1a는 예를 들면, 고려되는 코딩 블록(CBj)에 대한 인터(INTER) 예측의 경우에, 이 블록(CBj)의 다양한 분할 모드를 도시한다. 4가지 상기 분할 모드가 있다:
- PART_2Nx2N 모드는 고려되는 코딩 블록(CBj)의 분할이 없는 것에 대응하며, 따라서 이것은 단일 예측 블록(PB1)에 대응하며,
- PART_2NxN 모드는 2개의 장방형 예측 블록(PB1, PB2)으로 고려되는 코딩 블록(CBj)의 수평 분할에 대응하며,
- PART_Nx2N 모드는 고려되는 코딩 블록(CBj)의 2개의 장방형 예측 블록(PB1,PB2)으로의 수직 분할에 대응하며,
- PART_NxN 모드는 고려되는 코딩 블록(CBj)의 모두 동일 크기를 갖는 4개의 정방형 예측 블록(PB1, PB2, PB3, PB4)으로의 분할에 대응한다.
고려되는 코딩 블록(CBj)의 예측 코딩 후에, 이 블록(CBj)은 변환 블록으로 불리는 복수의 더 작은 블록(TB1, TB2,..., TBv,..., TBQ)(1≤v≤Q)으로 다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분할은 "잔차 쿼드트리"로 불리는 "쿼드트리" 유형의 트리에 따르며, 여기서 상기 트리의 리프들들은 각각 다양한 레벨의 분할 깊이에서 얻어지는 코딩 블록(TB1, TB2,..., TBv,..., TBQ)을 나타낸다.
도 1a는 PART_NxN 분할의 도움으로 예측된 코딩 블록(CBj)의 예시적 분할을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코딩 블록(CBj)의 블록(PB2, PB3)은 예를 들면 각각 모두가 같은 크기인 4개의 더 작은 정방형 블록(TB1, TB2, TB3, TB4 및 TB5, TB6, TB7, TB8)으로 각각 분할된다. 이러한 분할은 도 1a에 점선으로 표시된다.
도 1b는 고려되는 블록(CTBi)의 예측 코딩 및 변환 코딩 후에 얻어진 상기 블록의 예시적 분할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분할 트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 코딩 트리의 루트로 간주되는 블록(CTBi)은 굵은 연속선으로 표현되고,
- 한편으로는 코딩 트리의 리프들을 구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잔차 쿼드트리" 트리의 루트를 구성하는 코딩 블록(CB1 내지 CB16)은 가는 연속선으로 표현되고,
- "잔차 쿼드트리" 트리의 리프들을 구성하는 변환 블록(TB1 내지 TB16)은 점선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식으로 구성된 나무 모양 구조에는,
- 블록(CB1 내지 CB4)과 같은 코딩 블록들만을 포함하는 제1 레벨의 분할 깊이(NP1);
블록(CB4)의 분할이 완료되면 얻어지는 블록(CB9 내지 CB12)뿐만 아니라, 블록(CB1)의 분할이 완료되면 얻어지는 블록(CB5 내지 CB8)와 같은, 코딩 블록,
블록(CB2)의 분할이 완료되면 얻어지는 블록(TB1 내지 TB4)와 같은, 변환 블록을 포함하는,
- 제2 레벨의 분할 깊이(NP2);
블록(CB10)의 분할이 완료되면 얻어지는 블록(CB13 내지 CB16)과 같은, 코딩 블록,
블록(CB7)의 분할이 완료되면 얻어지는 블록(TB5 내지 TB8)과 같은, 변환 블록, 블록(TB2)의 분할이 완료되면 얻어지는 블록(TB9 내지 TB12), 블록(CB12)의 분할이 완료되면 얻어지는 블록(TB12 내지 TB16)을 포함하는,
- 제3 레벨의 분할 깊이(NP3)가 있다.
HEVC 호환가능 코더에서, 고려되는 블록(CTBi)의 경우, 상기 블록의 몇몇의 서로 다른 분할들은 코더에서 경합하게 되는데, 즉, 분할 반복의 서로 다른 각각의 조합들은, 최선의 분할, 다시 말해, 소정의 코딩 수행 기준, 예를 들어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기준인, 레이트/왜곡 코스트, 아니면 효율/복잡성 절충에 따라, 고려되는 블록(CTBi)의 코딩을 최적화하는 분할을 선택할 목적으로 경합하게 된다.
일단 고려되는 블록(CTBi)의 최적 분할이 수행되면, 이 최적의 분할을 나타내는 예컨대 비트열과 같은 디지털 정보 시퀀스가 비디오 디코더에 의한 판독을 위한 스트림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스트림은 또한,
- 양자화된 잔차 블록의 계수인 잔차 데이터, 및 선택적으로, 인터 모드로 코딩할 때, 움직임 벡터의 잔차 데이터,
- 사용되는 코딩의 모드를 나타내는, 코딩 파라미터로서, 특히,
예측의 모드(인트라 예측, 인터 예측, 어떠한 정보도 디코더에 전송되지 않는 예측을 수행하는, "스킵(skipping)"하는 디폴트 예측),
예측의 유형을 명시하는 정보(방위, 기준 이미지 성분 등);
변환의 유형, 예를 들면 4x4 DCT, 8x8 DCT 등;
필요하면, 움직임 정보;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특히 3D HEVC 기술에서,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은 하나의 동일한 장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미 코딩된 후 디코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 성분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성분을 코딩하는 것이 제안된다.
위에 언급된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은 현재 개발의 주체인, MVD("다중뷰 비디오 + 깊이")로 불리는, 새로운 비디오 코딩 포맷으로 구현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각각 텍스처 성분 및 이와 연관된 깊이 성분이다.
대안적으로, 위에 언급된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은 각각 깊이 성분 및 이와 연관된 텍스처 성분일 수도 있다.
3D HEVC 기술에 따라, 제1 및 제2 성분들은 각각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되고, 이들은 이후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분할된다. 이러한 분할 동작은 코더에서 계산 측면에서 이들이 먼저 이들 전체가 제2 성분에 대해서 수행된 후 제1 성분에 대해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비경제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위에 언급된 종래 기술의 결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주제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 성분의 기준 블록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성분의 적어도 하나의 현재 블록을 코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은 하나의 동일한 장면을 나타내며, 기준 블록은 이전에, 분할에 의해 코딩된 후 디코딩된 것이며, 기준 블록의 분할은 결정된 레벨의 분할 깊이를 얻을 때까지 복수 회 수행된다.
이러한 코딩 방법은,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의 유형의 함수로서
- 기준 블록의 분할의 레벨에 따라 분할 깊이의 레벨이 얻어질 때까지 현재 블록을 복수 회 분할하거나,
- 이전에 초기화된 분할 깊이의 레벨에 기초하여, 기준 블록에 대한 분할 깊이의 레벨에 따르는 분할 깊이의 레벨만큼, 현재 블록을 분할하는 것으로 구성된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공은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의 특성에 따라,
- 예를 들면 레이트/왜곡 코스트와 같은 소정의 코딩 수행 기준에 따르기 때문에 충분한 것으로 간주되는 분할 깊이의 레벨에서 현재 블록의 분할의 연속적인 동작을 중지하거나,
- 또는 기준 블록에 대한 분할 깊이의 레벨에 가까운 이미 확정된 레벨의 분할 깊이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을 곧바로 분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이 하나의 동일한 장면을 나타낸다는 사실에 의해 가능해지는 것으로 코더에서 계산의 복잡성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감소한다.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은 개개의 이미지들이 아니라 하나의 동일한 장면을 나타내는 완전한 이미지의 2개의 서로 다른 뷰를 나타내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현재 블록을 복수 회 분할하는 단계는 제1 이미지 성분이 깊이 이미지이고 제2 이미지 성분이 깊이 이미지에 연관된 텍스처 이미지일 때 구현되며, 현재 블록 및 기준 블록은 각각 제1 이미지 성분 및 제2 이미지 성분에서 동일한 위치를 갖는다.
이러한 제공 깊이 이미지가 텍스처 이미지에 대하여 코딩될 때 코더에서의 계산 측면에서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 따라, 이전에 초기화된 레벨의 분할 깊이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을 분할하는 단계는 제1 이미지 성분이 텍스처 이미지이고 제2 이미지 성분이 텍스처 이미지에 연관된 깊이 이미지일 때 구현되며, 현재 블록 및 기준 블록은 각각 제1 이미지 성분 및 제2 이미지 성분에서 동일한 위치를 갖는다.
이러한 조건은 텍스처 이미지가 깊이 이미지에 대하여 코딩될 때 코더에서의 계산 측면에서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물론, 다른 유형의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을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은 각각
- 하나의 동일한 다중-뷰 이미지의 2개의 뷰이고, 상기 두 뷰는 같은 시각 에서 혹은 다른 시각에서 동일 장면을 나타내며, 그렇지 않으면,
- 루마(luma) 성분 및 크로마(chroma) 성분이며, 그렇지 않으면,
- 확장가능 비디오 코딩 동안 2개의 서로 다른 층들일 수 있고,
현재 블록 및 기준 블록은 각각 제1 이미지 성분 및 제2 이미지 성분에서 동일한 위치를 갖는다.
또한 제2 이미지 성분 및 제3 이미지 성분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성분의 코딩을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 제1 이미지 성분은 Y 성분일 수 있고,
- 제2 이미지 성분은 U 성분일 수 있고,
- 제3 이미지 성분은 V 성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 성분의 기준 블록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성분의 적어도 하나의 현재 블록을 코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은 하나의 동일한 장면을 나타내며, 기준 블록은 이전에 분할에 의해 코딩된 후 디코딩된 것이며, 기준 블록의 분할은 결정된 레벨의 분할 깊이가 얻어질 때까지 복수 회 수행된다.
이러한 코딩 장치는
- 기준 블록의 분할의 레벨에 따른 분할 깊이의 레벨이 얻어질 때까지 현재 블록을 복수 회 분할하기에 적합한, 현재 블록을 분할하기 위한 제1 수단,
- 기준 블록의 분할 깊이의 레벨에 따른 분할 깊이의 레벨에 의해 이전에 초기화된 현재 블록의 분할 깊이의 레벨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을 분할하기에 적합한, 현재 블록을 분할하기 위한 제2 수단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분할 수단은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의 유형의 함수로서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제1 분할 수단은 제1 이미지 성분이 깊이 이미지이고 제2 이미지 성분이 깊이 이미지에 연관된 텍스처 이미지일 때 활성화되며, 현재 블록 및 기준 블록은 각각 제1 이미지 성분 및 제2 이미지 성분에서 동일한 위치를 갖는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 따라, 제2 분할 수단은 제1 이미지 성분이 텍스처 이미지이고 제2 이미지 성분이 텍스처 이미지에 연관된 깊이 이미지일 때 활성화되며, 현재 블록 및 기준 블록은 각각 제1 이미지 성분 및 제2 이미지 성분에서 동일한 위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임의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소스 코드이거나, 목적 코드이거나, 이를테면 부분적으로 컴파일링된 형태와 같은, 소스 코드와 목적 코드 사이의 중간의 코드 형태 혹은 임의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대상으로 하며, 이 프로그램은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의 구현에 적합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정보 매체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개체(entity) 또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체는 ROM과 같은 저장 수단, 예를 들면 CDROM 또는 마이크로전자 회로 ROM, 또는 자기 기록 수단, 예를 들면 USB 키 또는 하드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매체는 전기 또는 광학 케이블을 통해, 무선으로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전기 또는 광학 신호와 같은 전송가능 매체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인터넷 유형의 네트워크에 업로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정보 매체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집적회로일 수 있고, 이 회로는 당해 방법을 실행하거나 실행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앞서 언급된 코딩 장치 및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것들과 동일한 이점을 나타낸다.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로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HEVC 기술에 따라 블록을 분할하는 연속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도 1b는 코딩 블록의 예측 및 변환 후에 얻어진 상기 블록의 예시적 분할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예측 및 변환 트리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이미 코딩된 후 디코딩된 이미지 성분의 기준 블록의 예시적 분할뿐만 아니라, 수행된 분할을 나타내는 트리를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기준 블록의 분할에 대하여 코딩될 이미지 성분의 현재 블록의 예시적 분할뿐만 아니라, 수행된 분할을 나타내는 트리를 도시한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기준 블록의 분할에 대하여 코딩될 이미지 성분의 현재 블록의 또 다른 예시적 분할뿐만 아니라, 수행된 분할을 나타내는 트리를 도시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할 것이며, 입안 중인 3D HEVC 표준에 따른 코딩으로 얻어지는 것에 가까운 2진 스트림에 따라 이미지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이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은, 예를 들면, 초기에 3D HEVC 표준에 따르는 코더에 대한 수정에 의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 C1 내지 C4a), 또는 C1 내지 C4b)을 포함하는 알고리즘 형태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코딩 장치(CO)에서 구현된다.
본 상세한 설명의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은, 특히, 코딩될 이미지 시퀀스의 기준 이미지 성분인, 다시 말하여 이전에 코딩된 후 디코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 성분(CI21)에 대하여, 코딩될 하나의 시퀀스(S)의 이미지(CI11, CI21),..., (CI1W, CI2W)의 현재 성분인 제1 이미지 성분(CI11)을 코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제1 이미지 성분(CI11)은 제2 이미지 성분(CI21)과 관련하여 획득되고,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은 하나의 동일한 장면을 나타낸다.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방금 코딩된 이미지 성분(CI21)이 텍스처 이미지이고 이미지 성분(CI21)와 연관된 코딩될 이미지 성분(CI11)이 깊이 이미지인 경우에, 하나의 시퀀스(S)의 성분(CI21,..., CI2W)이 먼저 코딩된 후 디코딩된다. 다음에, 하나의 시퀀스(S)의 성분(CI11,..., CI1W)이 차례차례 순서대로 코딩된다.
다양한 SVC 층 또는 YUV 성분과 같은, 다른 유형의 성분의 경우에, 동작은,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성분(CI21)의 코딩/디코딩, 및 이어 성분(CI21)을 참조하여 성분(CI11)을 코딩하는 등등을, 성분(CI2W)의 코딩/디코딩 및 이어 성분(CI2W)을 참조하여 성분(CI1W)을 코딩할 때까지, 수반한다.
도 2a에 도시된 단계 C1 동안에, 동작은,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이미지 성분(CI21)의 분할에 의한 코딩을 수반한다.
도 2a에 도시된 하위 단계 C11 동안에, 이미지 성분(CI21)은 크기 64 x 64 화소의 복수의 블록(CTBr1, CTBr2,..., CTBri,..., CTBrL)(1≤i≤L)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분할은 도 3에 도시된 분할 소프트웨어 모듈(MPCI)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블록"이라는 용어는 코딩 유닛을 의미함에 유의해야 한다. "코딩 유닛"이라는 용어는 특히 HEVC 표준, 예를 들면 문서 "B. Bross, W. -J. Han, J. -R. Ohm, G. J. Sullivan, and T. Wiegand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text specification draft 6," document JCTVC-H1003 of JCT-VC, San Jose CA, USA, February 2012"에서 사용된다.
특히, 이러한 코딩 유닛은 블록, 매크로블록으로도 불리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 형상의 화소 세트, 아니면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나타내는 화소 세트를 함께 그룹화한다.
도 2a에 도시된 하위 단계 C12 동안에, 이미지 성분(CI21)의 블록(CTBri)이 선택된다.
도 2a에 도시된 하위 단계 C13 동안에, 선택된 블록(CTBri)은 복수의 코딩 블록(Br1, Br2,..., Brj,..., BrM)1≤j≤M)으로 분할된다.
전술한 분할은 분할 깊이의 결정된 레벨 k(k≥0)이 얻어질 때까지 복수 회 수행되기에 적합하며, 이를 위해 선택된 블록(CTBri)에 대해 얻어진 최종 분할이 코딩 수행 기준, 예를 들면, 특히 레이트/왜곡 코스트를 최적화한다.
상기 분할은 도 3에 도시된 분할 소프트웨어 모듈(MP1)에 의해 구현된다.
도 2a에 도시된 하위 단계 C14 동안에, 선택된 블록(CTBri)에 대한 분할 깊이의 레벨은 값 k로 초기화된다.
단계 C12 내지 C14는 한 세트의 블록(CTBr1, CTBr2,..., CTBrL)에 대해 반복된다.
블록(CTBri)의 예시적 분할이 도 4a에 도시된다.
도시된 예에서, 수행된 분할은, 본 상세한 설명의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고 분할 깊이의 레벨 k가 3으로 초기화되는, "쿼드트리" 유형의 트리에 따른다.
물론 다른 유형의 트리가 고려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소정의 블록(CTBri)의 경우, 이 블록은 코딩 트리 ACr의 루트를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여기서
- 루트 아래 제1 레벨의 리프들이, 블록(CTBri)에 대한 분할 깊이의 제1 레벨에 대응하며, 이에 대해 블록(CTBri)이, 제1 회에, 복수의 코딩 블록, 예를 들면 4개의 코딩 블록(Br1, Br2, Br3, Br4)으로 분할되었으며,
- 제1 레벨의 리프들 아래 제2 레벨의 리프들이 블록(CTBri)에 대한 분할 깊이의 제2 레벨에 대응하며, 이에 대해 제1 회에 분할된 블록(CTBri)이, 제2 회에, 복수의 코딩 블록, 예를 들면 블록(Br1)의 분할로부터 발생한 4개의 코딩 블록(Br5, Br6, Br7, Br8)으로 분할되었으며,
- 제2 레벨의 리프들 아래에 제3 레벨의 리프들이, 블록(CTBri)에 대한 분할 깊이의 제3 레벨에 대응하며, 이에 대해, 제2 회에 분할된 블록(CTBri)이, 제3 회에, 복수의 코딩 블록, 예를 들면 블록(Br7)의 분할로부터 발생한 4개의 코딩 블록(Br9, Br10, Br11, Br12)으로 분할되었다.
도 2a에 도시된 단계 C2 동안에, 동작은, 각각 블록(CTBr1, CTBr2,..., CTBri,..., CTBrL)에 대해 수행된 분할을 나타내는, 비트들의 L개의 시퀀스(Sr1, Sr2,..., Sri,..., SrL)의 생성을 수반한다. 또한, 동작은 도 2 및 도 3에서 CTBDr1, CTBDr2,..., CTBDri,..., CTBDrL로 표시된 블록(CTBr1, CTBr2,..., CTBri,..., CTBrL)의 디코딩된 버전의 생성을 수반한다. 이러한 디코딩된 블록은 이를테면 특히 성분(CI11)과 같은 후속 이미지 성분을 코딩하기 위해 코더(CO)에 의해 재사용된다.
2진 시퀀스를 생성하는 이러한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엔트로피 코더(CE)에 의해 구현된다.
전술한 디코딩 단계는, 이의 부분에 대해, 도 3에 또한 도시된 디코딩 모듈(MD)에 의해 구현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CI11, CI21)의 유형의 함수로서, 분할에 의한 코딩을 위해 2개의 대안 C3a) 및 C3b)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방금 코딩된 이미지 성분(CI21)이 텍스처 이미지이고 이미지 성분(CI21)과 연관된 코딩될 이미지 성분(CI11)이 깊이 이미지인 경우에, 아래의 코딩 대안 C3a)이 선택된다.
도 2b에 도시된 하위 단계 C31a) 동안에, 이미지 성분(CI11)은 크기 64 x 64 화소의 복수의 블록(CTB1, CTB2,..., CTBu,..., CTBS)(1≤u≤S)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분할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분할 모듈(MPCI)에 의해 구현된다.
도 2b에 도시된 하위 단계 C32a) 동안에, 이미지 성분(CI11)의 블록(CTBu)은 이전에 코딩된 후 디코딩된 이미지 성분(CI21)의 블록(CTBr1, CTBr2,..., CTBri,..., CTBrL) 중에서 선택된 코딩된 후 디코딩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블록에 대하여 코딩될 현재 블록으로서 선택된다. 다음 설명에서, 선택된 기준 블록은 예를 들면 블록(CTBri)인 것으로 간주되고, 현재 블록(CTBu) 및 기준 블록(CTBri)은 각각 제1 이미지 성분(CI11) 및 제2 이미지 성분(CI21)에서 동일한 위치를 갖는다.
도 2b에 도시된 하위 단계 C33a) 동안에, 선택된 블록(CTBu)는 인 복수의 코딩 블록(B1, B2,..., Bf,.., BG)(1≤f≤G)으로 분할된다.
본 발명에 따라, 블록(CTBu)의 분할은 기준 블록(CTBri)에 대한 분할 깊이 레벨 k에 따르는 레벨 k'(k'≥0)이 얻어질 때까지 복수 회 수행된다.
이러한 의존 관계는 식 k'=a*k+b으로 표현되고, a 및 b는 코더에 사전에 결정된 상대적 정수들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의존 관계는 코딩이 과도하게 많은 횟수로 블록(CTBu)을 재분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하며, 이것은 복잡성 면에선 비경제적이지만, 예를 들면 레이트/왜곡 코스트와 같은 코딩 수행 기준에 따르고 있는 블록(CTBu)에 대한 분할을 얻는 데는 성공한다.
상기 분할은 도 3에 도시된 상기 제1 분할 소프트웨어 모듈(MP1)에 의해 구현된다.
단계 C32a) 내지 C33a)은 전체 한 세트의 블록(CTB1, CTB2,..., CTBS)에 대해 반복된다.
블록(CTBu)의 예시적 분할이 도 4b에 도시된다.
도시된 예에서, 현재 블록(CTBu)의 분할은 기준 블록(CTBri)에 대한 분할 깊이 레벨 k보다 낮은 깊이 레벨 k'=2에서 수행된다. 이를 위해, 관계 k'=a*k+b에서, a 및 b는 a=1 및 b=-1이 되게 코더에 사전에 정해진다.
물론, 예를 들어 이미지 성분(CI11, CI21)의 콘텐트와 같은, 고려되는 코딩 맥락에 따라, 분할 깊이 레벨 k'은 분할 깊이의 한 레벨보다 더 많은 레벨만큼 분할 깊이 레벨 k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의존 관계 k'=a*k+b은, 코딩 동안 접하는 상황에 따라 분할 깊이 레벨 k'을 맞게 적응시키는 소정의 융통성이 갖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도 4b를 참조하면, 소정의 현재 블록(CTBu)의 경우, 이 블록은 코딩 트리 AC의 루트를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여기에서
- 루트 아래에 제1 레벨의 리프들이, 블록(CTBu)에 대한 분할 깊이의 제1 레벨에 대응하며, 이에 대해 블록(CTBu)이, 제1 회에, 복수의 코딩 블록, 예를 들면 4개의 코딩 블록(B1, B2, B3, B4)으로 분할되었으며,
- 제1 레벨의 리프들 아래에 제2 레벨의 리프들이, 블록(CTBu)에 대한 분할 깊이의 제2 레벨에 대응하며, 이에 대해, 제1 회에 분할된 블록(CTBu)이, 제2 회에, 복수의 코딩 블록, 예를 들면 블록(B1)의 분할로부터 발생하는 4개의 코딩 블록(B5, B6, B7, B8)으로 분할되었다.
그러므로, 도시된 예에서, 블록(B7)은 기준 블록(CTBri)의 블록(Br7)처럼 4개의 블록으로 재분할되지 않았다.
도 2b에 도시된 단계 C4a) 동안에, 동작은 각각 블록(CTB1, CTB2,..., CTBu,..., CTBS)에 대해 수행된 분할을 나타내는 비트들의 S개의 시퀀스(S1, S2,..., Su,..., SS)의 생성을 수반한다. 또한, 동작은 도 2b에서 CTBD1, CTBD2,.., CTBDu,..., CTBDS로 표시된 블록(CTB1, CTB2,..., CTBu,..., CTBS)의 디코딩된 버전의 생성을 수반한다. 이러한 디코딩된 블록은 후속 이미지 성분을 코딩하기 위해 코더(CO)에 의해 재사용된다.
2진 시퀀스를 생성하는 이러한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엔트로피 코더(CE)에 의해 구현된다.
전술한 디코딩 단계는, 이의 부분에 대해, 도 3에 또한 도시된 디코딩 모듈(MD)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분할에 의해 코딩을 위한 제2 대안 C3b)가 이제 도 2b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대안은 예를 들면 방금 코딩된 이미지 성분(CI21)이 깊이 이미지이고 이미지 성분(CI21)과 연관된 코딩될 이미지 성분(CI11)이 텍스처 이미지인 경우에 고려된다.
도 2b에 도시된 하위 단계 C31b) 동안에, 이미지 성분(CI11)은 크기 64 x 64 화소의 복수의 블록(CTB'1, CTB'2,..., CTB'u,..., CTB'S)(1≤u≤S)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분할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분할 모듈(MPCI)에 의해 구현된다.
도 2b에 도시된 하위 단계 C32b) 동안에, 이미지 성분(CI11)의 블록(CTB'u)은 이전에 코딩된 이미지 성분(CI21)의 블록(CTBr1, CTBr2,..., CTBri,..., CTBrL) 중에서 선택된 코딩된 후 디코딩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블록에 대하여 코딩될 현재 블록으로서 선택된다. 다음 설명에서, 선택된 기준 블록은 예를 들면 블록(CTBri)인 것으로 간주되고, 현재 블록(CTB'u) 및 기준 블록(CTBri)은 각각 제1 이미지 성분(CI11) 및 제2 이미지 성분(CI21)에서 동일한 위치를 갖는다.
도 2b에 도시된 하위 단계 C33b) 동안에, 동작은 분할 깊이의 레벨 k'=a*k+b에 기초하여, 블록(CTB'u)에 대한 분할 깊이의 레벨의 초기화를 수반한다.
이를 위해, 도 2b에 도시된 단계 C34b) 동안에, 블록(CTB'u)은 이전에 초기화된 분할 깊이 레벨 k'에 기초하여, 복수의 코딩 블록(B'1, B'2,..., B'g,...,B'H)(1≤g≤H)로 곧바로 분할된다. 이에 따라, 블록(CTB'u)의 분할의 중간 단계가 생략되고, 코딩 동안 계산 면에서 복잡성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블록(CTB'u)의 분할의 단계 C34b)에 이어, 이 블록(CTB'u)은 분할 깊이의 소정 레벨이 코더에서 얻어질 때까지 복수 회 다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분할은 도 3에 도시된 제2 분할 소프트웨어 모듈(MP2)에 의해 구현된다.
단계 C32b) 내지 C34b)는 전체 한 세트의 블록(CTB'1, CTB'2,..., CTB'S)에 대해 반복된다.
블록(CTB'u)의 예시적 분할이 도 4c에 도시된다.
이 예에서, 현재 블록(CTB'u)을 코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 블록(CTBri)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것으로 간주된다.
도 4c에 도시된 예에서, 현재 블록(CTB'u)의 분할은 기준 블록(CTBri)에 대한 분할 깊이 레벨 k보다 높은 깊이 레벨 k'=4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이를 위해, 관계 k'=a*k+b에서, a 및 b는 a=1 및 b=1이 되게 코더에 사전에 정해진다. 본 상세한 설명의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분할 깊이 레벨 k'의 다른 선택이 비디오 맥락에 따라 가능하다. 특히, 분할 깊이 레벨 k'은 분할 깊이의 한 레벨보다 더 많은 레벨만큼 분할 깊이 레벨 k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소정의 현재 블록(CTB'u)의 경우, 이 블록은 코딩 트리 AC'의 루트를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여기서
- 루트 아래에 제1 레벨의 리프들이, 블록(CTB'u)에 대한 분할 깊이의 제1 레벨에 대응하며, 이에 대해 블록(CTB'u)이, 제1 회에, 복수의 코딩 블록, 예를 들면 4개의 코딩 블록(B'1, B'2, B'3, B'4)으로 분할되었으며,
- 제1 레벨의 리프들 아래에 제2 레벨의 리프들이, 블록(CTB'u)에 대한 분할 깊이의 제2 레벨에 대응하며, 이에 대해, 제1 회에 분할된 블록(CTB'u)이, 제2 회에, 복수의 코딩 블록, 예를 들면 블록(B'1)의 분할로부터 발생하는 4개의 코딩 블록(B'5, B'6, B'7, B'8)으로 분할되었으며,
- 제2 레벨의 리프들 아래에 제3 레벨의 리프들이, 블록(CTB'u)에 대한 분할 깊이의 제3 레벨에 대응하며, 이에 대해, 제2 회에 분할된 블록(CTB'u)이, 제3 회에, 복수의 코딩 블록, 예를 들면 블록(B'7)의 분할로부터 발생하는 4개의 코딩 블록(B'9, B'10, B'11, B'12)으로 분할되었으며,
- 제3 레벨의 리프들 아래에 제4 레벨의 리프들이, 블록(CTB'u)에 대한 분할 깊이의 제4 레벨에 대응하며, 이에 대해, 제3 회에 분할된 블록(CTB'u)이, 제4 회에, 복수의 코딩 블록, 예를 들면 블록(B'11)의 분할로부터 발생하는 4개의 코딩 블록(B'13, B'14, B'15, B'16)으로 분할되었다.
그러므로, 도시된 예에서, 블록(B'11)은 기준 블록(CTBri)의 블록(Br11)과 대조적으로 4개의 블록으로 분할되었다.
도 2b에 도시된 단계 C4b) 동안에, 동작은 각각 블록(CTB'1, CTB'2,..., CTB'u,..., CTB'S)에 대해 수행된 분할을 나타내는 비트들의 S개의 시퀀스(S'1, S'2,..., S'u,..., S'S)의 생성을 수반한다. 또한, 동작은 도 2b에서 CTBD'1, CTBD'2,..., CTBD'u,..., CTBD'S로 표시된 블록(CTB'1, CTB'2,..., CTB'u,.., CTB'S)의 디코딩된 버전의 생성을 수반한다. 이러한 디코딩된 블록은 후속 이미지 성분을 코딩하기 위해 코더(CO)에 의해 재사용된다.
2진 시퀀스를 생성하는 이러한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엔트로피 코더(CE)에 의해 구현된다.
전술한 디코딩 단계는, 이의 부분에 대해 도 3에 또한 도시된 디코딩 모듈(MD)에 의해 구현된다.
말할 나위 없이 본 명세서의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단지 전적으로 비제한적으로 보여준 것이나, 당업자가 수많은 수정예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쉽게 도입할 수 있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 성분(CI21)의 기준 블록(CTBri)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성분(CI11)의 적어도 하나의 현재 블록(CTBu; CTB'u)을 인코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은 하나의 동일한 장면을 나타내며, 상기 기준 블록은 이전에 분할에 의해 인코딩된 후 디코딩된 것이며, 상기 기준 블록의 상기 분할은 분할 깊이의 결정된 레벨(k)(k≥0)이 얻어질 때까지 복수 회 수행되는 것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의 유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단계들로서,
    - 상기 기준 블록의 분할의 상기 레벨(k)에 따른 분할 깊이의 레벨(k')이 얻어질 때까지 상기 현재 블록을 복수 회 분할하거나(C33a)),
    - 이전에 초기화된(C33b)) 분할 깊이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블록에 대한 분할 깊이의 상기 레벨(k)에 따르는 분할 깊이의 레벨(k')만큼, 상기 현재 블록을 분할(C34b))하는 것으로 구성된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을 복수 회 분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 성분이 깊이 이미지이고 상기 제2 이미지 성분이 상기 깊이 이미지와 연관된 텍스처 이미지일 때 구현되며, 상기 현재 블록 및 상기 기준 블록은 각각 상기 제1 이미지 성분 및 상기 제2 이미지 성분에서 동일한 위치들을 갖는, 인코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분할 깊이의 이전에 초기화된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분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 성분이 텍스처 이미지이고 상기 제2 이미지 성분이 상기 텍스처 이미지와 연관된 깊이 이미지일 때 구현되며, 상기 현재 블록 및 상기 기준 블록은 각각 상기 제1 이미지 성분 및 상기 제2 이미지 성분에서 동일한 위치들을 갖는, 인코딩 방법.
  4.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 성분(CI21)의 기준 블록(CTBri)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성분(CI11)의 적어도 하나의 현재 블록(CTBu; CTB'u)을 인코딩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은 하나의 동일한 장면을 나타내며, 상기 기준 블록은 이전에 분할에 의해 인코딩된 후 디코딩된 것이며, 상기 기준 블록의 상기 분할은 분할 깊이의 결정된 레벨(k)(k≥0)이 얻어질 때까지 복수 회 수행되는 것인 장치에 있어서,
    - 상기 기준 블록의 분할의 상기 레벨(k)에 따라 분할 깊이의 레벨(k')이 얻어질 때까지 상기 현재 블록을 복수 회 분할하기에 적합한, 상기 현재 블록을 분할하기 위한 제1 분할 수단(MP1),
    - 이전에 초기화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분할 깊이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블록의 분할 깊이의 상기 레벨(k)에 따르는 분할 깊이의 레벨(k')만큼, 상기 현재 블록을 분할하기에 적합한, 상기 현재 블록을 분할하기 위한 제2 분할 수단(MP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분할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의 유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수단은 상기 제1 이미지 성분이 깊이 이미지이고 상기 제2 이미지 성분이 상기 깊이 이미지와 연관된 텍스처 이미지일 때 활성화되며, 상기 현재 블록 및 상기 기준 블록은 각각 상기 제1 이미지 성분 및 상기 제2 이미지 성분에서 동일한 위치들을 갖는, 인코딩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할 수단은 상기 제1 이미지 성분이 텍스처 이미지이고 상기 제2 이미지 성분이 상기 텍스처 이미지와 연관된 깊이 이미지일 때 활성화되며, 상기 현재 블록 및 상기 기준 블록은 각각 상기 제1 이미지 성분 및 상기 제2 이미지 성분에서 동일한 위치들을 갖는, 인코딩 장치.
  7. 삭제
  8.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상기 인코딩 방법의 단계들의 실행을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
  9.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 성분(CI21)의 기준 블록(CTBri)에 대하여 인코딩된 제1 이미지 성분(CI11)의 적어도 하나의 현재 블록(CTBu; CTB'u)의 분할을 나타내는 비트들의 시퀀스로서,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은 하나의 동일한 장면을 나타내며, 상기 기준 블록은 이전에 분할에 의해 인코딩된 후 디코딩된 것이며, 상기 기준 블록의 상기 분할은 분할 깊이의 결정된 레벨(k)(k≥0)이 얻어질 때까지 복수 회 수행되는 것인 비트들의 시퀀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성분들의 유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 상기 기준 블록의 분할의 상기 레벨(k)에 따라 분할 깊이의 레벨(k')이 얻어질 때까지 상기 현재 블록을 복수 회 분할하거나,
    - 이전에 초기화된 분할 깊이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블록에 대한 분할 깊이의 상기 레벨(k)에 따르는 분할 깊이의 레벨(k')만큼, 상기 현재 블록을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비트들의 시퀀스.
KR1020147036553A 2012-06-27 2013-06-25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 성분의 기준 블록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성분의 현재 블록을 인코딩하는 방법, 인코딩 장치 및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55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6129 2012-06-27
FR1256129A FR2992815A1 (fr) 2012-06-27 2012-06-27 Procede de codage d'un bloc courant d'une premiere composante d'image par rapport a un bloc de reference d'au moins une deuxieme composante d'image, dispositif de codage et programme d'ordinateur correspondant
PCT/FR2013/051474 WO2014001703A1 (fr) 2012-06-27 2013-06-25 Procédé de codage d'un bloc courant d'une première composante d'image par rapport a un bloc de référence d'au moins une deuxième composante d'image, dispositif de codage et programme d'ordinateur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857A KR20150024857A (ko) 2015-03-09
KR102155184B1 true KR102155184B1 (ko) 2020-09-11

Family

ID=4729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553A KR102155184B1 (ko) 2012-06-27 2013-06-25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 성분의 기준 블록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성분의 현재 블록을 인코딩하는 방법, 인코딩 장치 및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813735B2 (ko)
EP (1) EP2868088B1 (ko)
JP (2) JP6517691B2 (ko)
KR (1) KR102155184B1 (ko)
CN (1) CN104412596B (ko)
BR (1) BR112014032588B1 (ko)
ES (1) ES2706753T3 (ko)
FR (1) FR2992815A1 (ko)
RU (2) RU2651185C2 (ko)
WO (1) WO20140017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3084A1 (fr) * 2012-07-09 2014-01-10 France Telecom Procede de codage video par prediction du partitionnement d'un bloc courant, procede de decodage, dispositifs de codage et de decodage et programmes d'ordinateur correspondants
JP6616242B2 (ja) * 2016-05-20 2019-12-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符号化装置、ブロック構造決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8049594A1 (en) * 2016-09-14 2018-03-22 Mediatek Inc. Methods of encoder decision for quad-tree plus binary tree structure
US10313686B2 (en) * 2016-09-20 2019-06-04 Gopr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pressing video content using adaptive projection selection
JP6565885B2 (ja) 2016-12-06 2019-08-2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復号化装置、画像復号化方法及び画像復号化プログラム
EP3383044A1 (en) * 2017-03-27 2018-10-03 Thomson Licensing Reducing redundancy between tree types
WO2020111240A1 (ja) 2018-11-30 2020-06-0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画像復号化装置、画像復号化方法及び画像復号化プログラム
JP6835177B2 (ja) 2018-11-30 2021-02-2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画像復号化装置、画像復号化方法及び画像復号化プログラム
CN111699683B (zh) * 2019-06-13 2022-05-1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点云编码方法、点云解码方法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1399B1 (fr) * 1989-08-29 1996-05-1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Procede et dispositif d'estimation et de codage hierarchise du mouvement de sequences d'images.
KR100959573B1 (ko) * 2002-01-23 2010-05-27 노키아 코포레이션 비디오 코딩시 이미지 프레임들의 그루핑
US7953152B1 (en) * 2004-06-28 2011-05-31 Google Inc. Video compression and encoding method
RU2408076C1 (ru) * 2009-07-02 2010-12-27 Корпорация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сжатия изображения
KR101807886B1 (ko) * 2009-10-14 2017-12-11 돌비 인터네셔널 에이비 깊이 맵 처리를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TW201119407A (en) * 2009-11-19 2011-06-01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coding and method for reconstruction of a block of an image
KR101495724B1 (ko) * 2010-02-02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적 데이터 단위의 스캔 순서에 기반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1447796B1 (ko) * 2010-04-13 2014-10-07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평면 간 예측
BR112014003162A2 (pt) * 2011-08-09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étodo para codificar dados de vídeo de múltiplas visualizações, método para decodificar dados de vídeo de múltiplas visualizações, e aparelho para decodificar dados de vídeo de múltiplas visualizações
CN102404570B (zh) * 2011-11-16 2014-06-04 浙江工业大学 基于率失真敏感度的多视点视频编码快速模式选择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857A (ko) 2015-03-09
JP2019062576A (ja) 2019-04-18
RU2018110334A3 (ko) 2021-07-26
JP2015526008A (ja) 2015-09-07
ES2706753T3 (es) 2019-04-01
EP2868088B1 (fr) 2018-10-31
RU2018110334A (ru) 2019-02-27
RU2015102098A (ru) 2016-08-20
RU2651185C2 (ru) 2018-04-18
CN104412596B (zh) 2019-01-22
JP6517691B2 (ja) 2019-05-22
US9813735B2 (en) 2017-11-07
BR112014032588B1 (pt) 2022-11-08
CN104412596A (zh) 2015-03-11
WO2014001703A1 (fr) 2014-01-03
US20150181231A1 (en) 2015-06-25
EP2868088A1 (fr) 2015-05-06
BR112014032588A2 (pt) 2017-06-27
RU2753371C2 (ru) 2021-08-13
JP6706357B2 (ja) 2020-06-03
FR2992815A1 (fr)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184B1 (ko)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 성분의 기준 블록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성분의 현재 블록을 인코딩하는 방법, 인코딩 장치 및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JP7043616B2 (ja) ビデオ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KR102114641B1 (ko) 현재 블록의 분할을 예측하여 비디오를 코딩하는 방법, 디코딩 방법 및 이에 상응하는 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EP2804377A1 (en) Image decoding device, image encoding device, and data structure of encoded data
KR101758954B1 (ko) 디코더 및 방법
CN104081777A (zh) 用于视频译码的残余四叉树(rqt)译码
JP7222997B2 (ja) 変換係数レベルコーディ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
WO2019194496A1 (ko) 비디오 신호의 컬러 컴포넌트에 대한 병렬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7521980A (ja) デジタル画像のコーディング方法、デコーディング方法、関連する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106364B (zh) 使用参考样本的视频信号处理方法及设备
US202303706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signal by using affine motion prediction
US11838519B2 (en)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image feature inform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itstream
KR102138650B1 (ko) 디지털 이미지의 블록을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660881B1 (ko) 팔레트 이스케이프 코딩 기반 영상 또는 비디오 코딩
US10165296B2 (en) Method of coding and decoding images, device for coding and decoding computer programs corresponding thereto
US20170353722A1 (en) A method for encoding a digital image, decoding method, devices,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s
KR102306631B1 (ko) 이미지 파라미터를 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이미지 파라미터를 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60498A (ko) 변환 계수 코딩 방법 및 장치
CN104506860A (zh) 视频编码的参考图像选择方法及系统
RU2799629C1 (ru)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на основе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Maceira et al. Depth map coding based on a optimal hierarchical region representation
KR20220071268A (ko) 팔레트 코딩 또는 변환 유닛을 위한 양자화 파라미터 정보 기반 영상 또는 비디오 코딩
JP5469931B2 (ja) 動画像復号化方法、動画像符号化方法
KR20130070618A (ko) 트리 구조를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