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901B1 - Smart table - Google Patents

Smart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901B1
KR102154901B1 KR1020180130045A KR20180130045A KR102154901B1 KR 102154901 B1 KR102154901 B1 KR 102154901B1 KR 1020180130045 A KR1020180130045 A KR 1020180130045A KR 20180130045 A KR20180130045 A KR 20180130045A KR 102154901 B1 KR102154901 B1 KR 10215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user
output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0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8217A (en
Inventor
나영기
Original Assignee
나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영기 filed Critical 나영기
Priority to KR1020180130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901B1/en
Publication of KR20200048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2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9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용 서랍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높이를 다르게 하여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부와, 상기 본체부에 높이를 다르게 하여 형성되어 조명을 출력하는 복수의 조명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조명부와 스피커의 출력의 세기를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조명이나 스피커의 출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able, and the smar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t least one drawer for storag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the main body parts having different heights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user. A sensing unit,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formed at different heights on the main body to output lighting, a speaker formed on the main unit to output a preset sound, and a position where a user's movement i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Accordingly,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ifferently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output of the lighting unit and the speak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user's posture and change the output of the lighting or speaker.

Description

스마트 테이블{SMART TABLE}Smart table {SMART TABLE}

본 발명은 스마트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를 감지하여 조명이나 스피커의 출력을 가변시키는 기술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able, and more particularly, a technology for varying the output of a lighting or a speaker by detecting a human body is disclosed.

집안이나 직장에서 테이블은 물품을 올려 놓는 가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협탁의 경우 보조테이블로 소파나 책상 근처에 사용하면서 사용자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협탁은 주로 스탠드, 탁상시계, 액자, 스마트폰 등을 올려 놓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마틔기기의 보급으로 더 많은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Tables are widely used in homes and workplaces as furniture for placing item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ide table, it is used as an auxiliary table near a sofa or a desk and is used in various ways by users. The side table mainly serves to place a stand, a table clock, a picture frame, and a smartphone. However, in recent years, more functions are required due to the spread of smart devices.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3054호(2014년10월23일 등록공고)의 경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과 지능형 미니 피시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작동 및 환경설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 혹은 적외선 센서를 채용하여 사용자의 사용여부를 체크하여 스마트하게 사용자의 사용시간을 점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In the case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53054 (registered on October 23, 2014) among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operation and environment setting for users by combining a table with adjustable height and an intelligent mini-fish. A technology that can smartly check the user's usage time by using a temperature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의 자세 등을 판단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provide additional functions by determining the user's posture.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조명이나 스피커의 출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스마트 테이블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table capable of varying the output of a lighting or speaker by detecting a user's posture.

또한, 보조테이블이 착탈구조로 형성되어, 본체에 결합시 선반기능을 하면서 충전이 가능하고 이탈시 독립된 테이블로 사용되는 스마트 테이블을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table is formed in a detachab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harge while functioning as a shelf when combined with the main body, and to provide a smart table that is used as an independent table when detached.

또한, 서랍 형태의 송풍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을 건조시키거나, 바닥의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는 스마트 테이블을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smart table capable of drying the user's feet or inhaling dust from the floor by using a drawer-shaped blow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용 서랍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높이를 다르게 하여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부와, 상기 본체부에 높이를 다르게 하여 형성되어 조명을 출력하는 복수의 조명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조명부와 스피커의 출력의 세기를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smar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t least one storage drawer is formed,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that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s on the main body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user, The intensity of the output of the lighting unit and the speaker according to a position at which a user's movement is sensed through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formed differently and outputting lighting, a speaker formed on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a preset sound,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differently.

또한,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근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악재생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되, 상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재생되는 음악의 종류 및 세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unit obtains music playback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approaches and outputs the music through the speaker, and music 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You can change the type and intensity of the.

또한,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또는 이탈되며, 상기 본체부에 삽입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상기 본체부에서 이탈시 방전하여 외부의 사용자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table that is inserted or detached from the main body in a sliding manner, receives power when inserted into the main body, charges, and discharges when detached from the main body to supply power to an external user terminal. I can.

또한, 상기 본체부의 서랍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출되면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부의 하부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를 제거하되, 상기 송풍부의 하부에 사용자의 인체가 감지되면 하부로 바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formed in the drawer of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blower for inhaling or discharging air when it is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wherein the control unit removes dust by sucking ai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lower, When the user's body is detected, it can be controlled to output wind to the bottom.

또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종하여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송풍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driving unit formed under the main unit to move the main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control unit may follow a user's movement to move the main unit and drive the air blower.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조명이나 스피커의 출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user's posture and change the output of the lighting or speaker.

또한, 보조테이블이 착탈구조로 형성되어, 본체에 결합시 선반기능을 하면서 충전이 가능하고 이탈시 독립된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table is formed in a detachable structure, it can be charged while functioning as a shelf when combined with the main body, and can be used as an independent table when detached.

또한, 서랍 형태의 송풍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을 건조시키거나, 바닥의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다.In addition, a drawer-shaped blower can be used to dry the user's feet or suck dust from the flo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에 보조테이블에 탈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에 송풍부가 송풍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에 송풍부가 흡입모드로 동작하는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smart table according to FIG. 1 is detached from the auxiliary table.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a blower operates in a blowing mode in the smart table according to FIG. 1.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a blower operates in a suction mode in the smart table according to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r precedent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follows the definition when it is specifical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when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meaning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100)은 본체부(110), 감지부(120), 조명부(130), 스피커(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smart tab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unit 110, a sensing unit 120, a lighting unit 130, a speaker 140, and a control unit 150.

본체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용 서랍(111)이 형성된다. 본체부(110)는 노트북,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거치하거나, 충전시킬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된다. 본체부(110)는 철재, 목재,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며, 내부에 하나 이상의 서랍(111)이 형성되어 수납할 수 있다. 본체부(110)에는 감지부(120), 조명부(130), 스피커(140) 및 제어부(150)가 형성된다. 본체부(110)는 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형성된다. 본체부(110)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내부의 배터리(101)에 전원을 충전시킨다. 본체부(110)는 공간박스 구조로 형성되어 높이를 확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main body 11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drawer 111 for storage. The main body 110 is used for mounting or charging a user terminal such as a notebook or a smart phone.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iron, wood, and synthetic resin. The main body 110 is formed to have a certain height, and one or more drawers 111 are formed therein to be accommodated. The body unit 110 includes a sensing unit 120, a lighting unit 130, a speaker 140, and a control unit 150. The main body 11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The main body 1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charge power to the internal battery 101.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space box structure to increase the height.

감지부(120)는 본체부(110)에 높이를 다르게 하여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감지부(120)는 인체감지센서로 적외선감지, 조도감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감지부(120)는 본체부(110)의 서랍(111)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감지부(120)는 사용자의 자세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누워있는지, 앉아있는지, 서있는지를 감지한다. 감지부(120)는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한다.The sensing unit 120 is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on the body unit 110 to detect a user's movement. The sensing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human body sensing sensor in an infrared or illuminance sensing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20 may be formed for each drawer 111 of the body unit 110. The sensing unit 120 is used to determine the user's posture. For example, it detects whether the user is lying, sitting, or standing. The sensing unit 120 generates sensing information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150.

또한, 감지부(120)는 본체부(110) 상판에 거치되는 사용자 단말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본체부(110)의 상판에 사용자 단말이 거치되면 감지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감지부(120)는 사용자 단말의 무게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20)는 사용자 단말의 무게가 1kg 이상이면 노트북으로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지부(120)의 무게감지정보에 따라 조명부(130) 및 스피커(140)의 출력이 가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20 may detect the weight of the user terminal mounted on the upper plate of the body unit 110. The sensing unit 120 generates sensing information when the user terminal is mounted on the upper plate of the body unit 110. In this case, the detection unit 120 may detect the type of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if the weight of the user terminal is 1kg or more, the sensing unit 120 may detect it with a laptop computer. Outputs of the lighting unit 130 and the speaker 140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weight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120.

조명부(130)는 본체부(110)에 높이를 다르게 하여 형성되어 조명을 출력한다. 조명부(130)는 엘이디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색상의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조명부(130)는 본체부(110)에 스탠드 형식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조명부(130)는 직접조명이나 간접조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30)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조명을 직접조명에서 간접조명 방식으로 출력이 가변될 수 있다. 조명부(130)는 제어부(150)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조명부(130)는 서랍(111)마다 형성되어 조명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명부(130)의 색상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lighting unit 130 is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on the body unit 110 to output lighting. The lighting unit 130 may be formed of an LED to output lighting of a preset color. The lighting unit 130 may be formed on the main body 110 in a stand form. The lighting unit 130 may be formed by direct lighting or indirect lighting. The lighting unit 130 may change the output of lighting from direct lighting to indirect lighting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The lighting unit 130 is controlled by switching by the control unit 150. The lighting unit 130 may be formed for each drawer 111 to output lighting. The color of the lighting unit 13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스피커(140)는 본체부(110)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음향을 출력한다. 스피커(140)는 본체부(110)에 탈착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피커(140)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음향을 출력하거나,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피커(140)는 스테레오형이나 컬럼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피커(140)는 감지부(120)의 감지정보에 따라 음향 출력의 세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스피커(140)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며, 내부의 배터리(10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The speaker 140 is formed on the main body 110 and outputs a preset sound. The speaker 140 may be formed in a detachable form on the main body 110. The speaker 140 may output sound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r may output sound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user terminal. The speaker 140 may be formed in a stereo type or a column type. The speaker 140 may vary the intensity of the sound output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120. The speaker 14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50 and receives power through the internal battery 101.

또한, 스피커(140)는 초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40)는 초음파를 통해 해충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초음파는 해충이 기피하도록 미리 설정된 주파수로 설정된다. 스피커(140)는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의 초음파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피커(140)는 기 설정된 인증정보를 가지는 초음파를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초음파를 인식하면 인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인증하여 사용자 단말의 음향이 스마트 테이블(100)에서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Also, the speaker 140 may output ultrasonic waves. The speaker 140 may prevent pests through ultrasonic waves. In this case, the ultrasonic waves are set to a preset frequency to avoid pests. The speaker 140 may also output ultrasonic waves of different frequencies over time. The speaker 140 may output ultrasonic waves having pres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may authenticate if the ultrasonic waves are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Accordingly, the user may be authenticated using ultrasonic waves so that the sound of the user termi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40 from the smart table 100.

제어부(150)는 감지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 조명부(130)와 스피커(140)의 출력을 다르게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감지부(120)의 감지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누워있는지, 앉아있는지, 서있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조명의 방향이나 조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밤에 사용자가 누워있는 경우 간접조명을 출력하도록 하고, 음향은 수면을 유지시키도록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하거나 음향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배터리(101)의 잔량에 따라 조명부(130)나 스피커(140)의 출력을 가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utputs of the lighting unit 130 and the speaker 140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user's movement is sens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120.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lying, sitting, or standing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120, and may set the direction or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differently accordingly.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lying down at night, indirect lighting may be output, and sound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40 or sound output may be stopped to maintain sleep. The controller 150 may vary the output of the lighting unit 130 or the speaker 140 according to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101.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100)은 통신부(160) 또는 거치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mart tab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60 or a mounting unit 170.

통신부(16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한다. 통신부(16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60)는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등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다. 통신부(160)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밝기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밝기와 유사하게 조명부(130)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통신부(160)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음악재생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통신부(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화면밝기정보와 재생정보를 이용하여 조명부(130)나 스피커(14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맞춤형으로 조명부(130)와 스피커(140)의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6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user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also receive information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160 is capable of network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and Wi-Fi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also acquire screen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is is to adjust the output of the lighting unit 130 similar to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user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also acquire music reprodu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50 may adjust the output of the lighting unit 130 or the speaker 140 by using the screen brightness information and re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user's preference and provide the output of the lighting unit 130 and the speaker 140 in a customized manner.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이 본체부(110)에 근접시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악재생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스피커(14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누워있는 경우, 앉아있는 경우, 서있는 경우에 따라 재생되는 음악의 종류 및 세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누워있는 경우에는 클래식 음악이나 잔잔한 음악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있는 경우에는 댄스 음악이나 보다 밝은 음악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acquire music reproduc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approaches the main body unit 110 and reproduce it through the speaker 14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may detect the user's posture and change the type and intensity of music played according to the case of lying down, sitting, or standing.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lying down, classical music or calm music may be output. When the user is standing, dance music or brighter music can be output.

거치부(170)는 사용자 단말을 거치하면서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거치부(170)는 사용자 단말을 파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거치부(17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길이 및 각도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거치부(170)는 사용자 단말이 거치되면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거치부(170)는 스마트 테이블(100)의 배터리(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이 거치부(170)에 거치되면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의 음악정보를 획득하고, 거치부(170)에 거치되면 스피커(140)를 통해 음향을 재생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의 충전량을 조명부(130)를 통해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충전량이 낮은 경우 붉은색 조명을 출력하고, 충전량이 높은 경우 녹색으로 조명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The mounting unit 170 wirelessly supplies power while passing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mounting part 170 is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holding a user terminal. The mounting portion 17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varied in length and angle. When the user terminal is mounted, the mounting unit 170 may wirelessly supply power. In this case, the mounting unit 170 is prefera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01 of the smart table 100. The controller 150 wirelessly supplies power when the user terminal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170. The controller 150 may obtain music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when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170, reproduce and output sound through the speaker 140. The control unit 150 may output the amount of charge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lighting unit 130. For example, when the charging amount of the user terminal is low, a red light is output, and when the charging amount is high, the lighting may be changed to green.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에 보조테이블에 탈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smart table according to FIG. 1 is detached from the auxiliary tabl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100)은 보조테이블(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mart tab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table 180.

보조테이블(180)은 본체부(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또는 이탈된다. 보조테이블(180)은 접이식 구조로 본체부(110) 내에 삽입시 선반과 같은 역할을 하며, 본체부(110) 외로 이탈시 다리를 펼쳐 독립된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다. 보조테이블(180)의 일측에는 전극(181)이 형성되어 본체부(110)에 삽입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한다. 이 경우, 보조테이블(180)에는 별도의 내장배터리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테이블(180)이 본체부(110)에서 이탈시 내장배터리를 방전하여 외부의 사용자 단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보조테이블(180)이 사용자 단말과 접속시 스마트 테이블(100)의 스피커(140)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auxiliary table 180 is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main body 110 in a sliding manner. The auxiliary table 180 has a foldable structure and acts like a shelf when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0, and can be used as an independent table by spreading the legs when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An electrode 18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table 180 to receive power and charge when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0. In this case, a separate internal battery may be formed in the auxiliary table 180. When the auxiliary table 18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the internal battery may be discharged to supply power to an external user terminal. When the auxiliary table 18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sound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40 of the smart table 100.

도 3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에 송풍부가 송풍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에 송풍부가 흡입모드로 동작하는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air blower operates in a blowing mode in the smart table according to FIG. 1, and 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air blower operates in a suction mode in the smart table according to FIG.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100)은 송풍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smart tab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190.

송풍부(190)는 본체부(110)의 서랍(111)에 형성되어 바람을 토출한다. 송풍부(190)는 송풍날개가 틸트 방식으로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송풍부(190)는 본체부(110)로부터 인출되면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한다. 송풍부(190)는 송풍날개가 스마트 테이블(100)의 전면에 나란하게 위치하는 경우 정면으로 바람을 토출한다. 송풍부(190)는 송풍날개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경우 바닥면으로 바람을 토출한다. 송풍부(190)는 본체부(110)의 서랍(111) 형태로 보관시에는 바닥면으로 대향하도록 위치를 가변시킨다.The blower 190 is formed in the drawer 111 of the main body 110 to discharge wind. The blower 19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blower blade in a tilt manner. The blower 190 sucks or discharges air when it is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110. The blower 190 discharges wind to the front when the blower blades are positioned parallel to the front of the smart table 100. The blower 190 discharges wind to the bottom surface when the blowing blades are positioned toward the bottom surface. When stored in the form of the drawer 111 of the main body 110, the blower 190 changes its position to face the bottom surface.

또한, 송풍부(190)는 흡입모드로 동작시 바닥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부(190)의 회전속도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진다. 송풍부(190)의 일측에는 필터(193)가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를 걸러내도록 한다. 본체부(110)의 서랍(111)은 공기가 흡입되도록 일종의 유로관과 같은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10) 중 바닥에 위치한 서랍(111)에 송풍부(190)가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blower 190 is operated in the suction mode, it may suck air from the bottom surface to suck in dust. In this c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190 is changed according to a user setting. A filter 19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lower 190 to filter the inhaled air. The drawer 111 of the main body 110 serves as a kind of flow pipe so that air is sucked. Preferably, a blower 190 is formed in the drawer 111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0.

보다 구체적으로, 송풍부(190)는 송풍팬(191), 전열부 및 필터(193)를 포함한다. 송풍팬(191)은 전기모터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구동된다. 냉온부(192)는 전기에 의해 발열되거나 냉각되는 소자로 구현된다. 예를 들어, 냉온부(192)는 펠티어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냉온부(192)는 송풍부(190)를 통해 냉풍을 분사하거나, 온풍을 분사하도록 한다. 필터(193)는 송풍부(190)의 일측에 형성되어 먼지를 필터(193)링한다. More specifically, the blowing unit 190 includes a blowing fan 191, a heat transfer unit, and a filter 193. The blowing fan 191 is driven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by an electric motor. The cold and hot part 192 is implemented as an element that generates heat or cools by electricity. For example, the hot and cold part 192 may be implemented as a Peltier device. The cold and hot part 192 sprays cold air or hot air through the blower 190. The filter 19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lower 190 to filter the dust 193.

제어부(150)는 동작모드에 따라 송풍부(190)를 송풍모드 또는 흡입모드로 제어한다. 송풍모드에서는 스마트 테이블(100)의 정면을 향해 바람이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송풍모드에서는 바닥면을 향해 바람이 토출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의 몸을 건조시키도록 하고, 특히 발을 건조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송풍부(190)가 흡입모드인 경우 송풍부(190)를 바닥면을 향하도록 위치를 변경하고, 송풍모드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송풍날개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blower 190 to the blowing mode or the suction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n the blowing mode, wind is discharged toward the front of the smart table 100. In addition, in the blowing mode, wind is discharged toward the floor. This can dry the user's body, especially the feet. When the blower 190 is in the suction mode, the control unit 15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blower 190 to face the floor and rotate the blower blad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lowing mode.

제어부(150)는 서랍(111)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서랍(111)이 개방되는 경우 동작모드를 확인하여 송풍부(190)의 위치를 결정한다. 송풍부(190)가 동작을 정지하는 경우 이를 정위치인 서랍보관용 자세로 위치를 가변한다. 제어부(150)는 서랍(111)이 폐쇄되어 서랍(111) 내부에 보관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켜 송풍부(190)가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detects whether the drawer 111 is opened or closed, and when the drawer 111 is opened, checks an operation mod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blower 190. When the blower 190 stops the operation, the position of the air blower 190 is changed to the correct position for storing the drawer. The control unit 150 may prevent the air blower 190 from deteriorating performance from external dust or foreign matter by moving the drawer 111 in a sliding manner so that the drawer 111 is closed and stored inside the drawer 111.

제어부(150)는 송풍부(190)의 하부로 인체가 감지되면 송풍모드로 바람이 토출되도록 하고, 송풍부(190)의 하부로 인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흡입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분느 스마트 테이블(100)의 배터리(101)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어부(150)는 배터리(101)의 잔량에 따라 송풍부(190)의 출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감지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외에 주변의 온도나 습도를 감지하여 송풍부(190)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실내에 공기를 정화시키거나, 송풍을 할 수 있다.When a human body is detected under the blower 190, the control unit 150 allows wind to be discharged in the blowing mode, and when the human body is not detected under the blower 190, the control unit 150 can operate in the suction mode. The control unit receives power using the battery 101 of the smart table 100. The control unit 150 may adjust the intensity of the output of the blower 190 according to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101. The control unit 150 may sense the surrounding temperature or humidity in addition to the user's movement through the detection unit 120 to adjust the output of the blower 19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air or blow air into the room.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100)은 구동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본체부(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본체부(110)를 이동시킨다. 구동부(200)는 바퀴를 구동하여 본체부(110)를 이동시킨다. 구동부(200)는 스마트 테이블(100) 배터리(101)를 통해 구동부(200)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구동부(200)는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감지부(120)를 통해 감지정보를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종하여 본체부(110)를 이동시킨다. 제어부(150)는 감지부(120)가 사용자을 감지하면 그의 움직임에 따라 구동부(200)를 제어하여 이동시킨다. 제어부(150)는 감지부(120)를 통해 주변의 장애물에 근접하면 이동을 멈추고, 장애물을 회피하여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smart tab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200. The driving unit 200 is formed under the main body 110 to move the main body 110. The driving unit 200 moves the body unit 110 by driving a wheel. The driving unit 200 may receive power to the driving unit 200 through the smart table 100 and the battery 101. The driving unit 200 is driven using an electric motor.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50 moves the body unit 110 by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user through the sensing information through the sensing unit 120. When the sensing unit 120 detects a user, the controller 150 controls and moves the driv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The controller 150 may stop moving when it approaches an obstacle around the sensing unit 120 and move by avoiding the obstacle.

또한, 제어부(150)는 송풍부(190)와 구동부(200)를 동시에 제어하여 바닥면의 먼지를 송풍부(190)를 통해 흡입하도록 하면서 이동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집안을 청소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simultaneously control the blower 190 and the driving part 200 to move while inhaling the dust on the floor through the blower 190. This is to help clean the hous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centering on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intended to cover obv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described embodiments.

100 : 스마트 테이블
101 : 배터리
110 : 본체부
111 : 서랍
120 : 감지부
130 : 조명부
140 : 스피커
150 : 제어부
160 : 통신부
170 : 거치부
180 : 보조테이블
181 : 전극
190 : 송풍부
191 : 송풍팬
192 : 냉온부
193 : 필터
200 : 구동부
100: smart table
101: battery
110: main body
111: drawer
120: detection unit
130: lighting unit
140: speaker
150: control unit
160: communication department
170: mounting part
180: side table
181: electrode
190: blower
191: blower fan
192: cold and hot part
193: filter
200: drive unit

Claims (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용 서랍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높이를 다르게 하여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부;
상기 본체부에 높이를 다르게 하여 형성되어 조명을 출력하는 복수의 조명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상기 조명부와 스피커의 출력을 가변하여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또는 이탈되며, 상기 본체부에 삽입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상기 본체부에서 이탈시 방전하여 외부의 사용자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테이블을 포함하는 스마트 테이블.
A body portion having at least one drawer for storage;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formed at different heights on the main body to detect a user's movement;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formed at different heights on the main body to output lighting;
A speaker formed on the main body to output a preset sou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 user's posture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control the output of the lighting unit and the speaker to be varied; And
Smart table including an auxiliary table that is inserted or detached from the main body in a sliding manner, receives power and charges when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discharges when detached from the main body to supply power to an external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근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악재생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되, 상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재생되는 음악의 종류 및 세기를 가변시키는 스마트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When the user terminal approaches, a smart table that obtains music reproduc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outputs it through the speaker, and varies the type and intensity of music 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서랍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출되면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부의 하부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를 제거하되, 상기 송풍부의 하부에 사용자의 인체가 감지되면 하부로 바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It is formed in the drawer of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a blower for inhaling or discharging air when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The control unit,
A smart table that sucks in the air below the blower to remove dust, and controls to output wind to the lower part when a user's human body is detected under the blow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종하여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송풍부를 구동시키는 스마트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unit formed under the main body to move the main body,
The control unit,
A smart table for driving the air blower while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user and moving the main body.
KR1020180130045A 2018-10-29 2018-10-29 Smart table KR1021549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045A KR102154901B1 (en) 2018-10-29 2018-10-29 Smart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045A KR102154901B1 (en) 2018-10-29 2018-10-29 Smart 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217A KR20200048217A (en) 2020-05-08
KR102154901B1 true KR102154901B1 (en) 2020-09-10

Family

ID=7067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045A KR102154901B1 (en) 2018-10-29 2018-10-29 Smart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90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5367A (en) 2004-08-20 2006-03-02 Midori Anzen Co Ltd Air cleaning apparatus
KR100849388B1 (en) * 2007-04-23 2008-08-06 송춘자 Computer table
JP2009195525A (en) 2008-02-22 2009-09-03 Okamura Corp Desk with illuminating device
KR101453054B1 (en) 2014-06-17 2014-10-23 김재형 Hybrid mini pc smart table system
KR101862583B1 (en) 2018-01-23 2018-05-31 주식회사 뮤엠교육 Smart Bookcase System with Preview
KR101871924B1 (en) * 2016-10-19 2018-06-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tab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5367A (en) 2004-08-20 2006-03-02 Midori Anzen Co Ltd Air cleaning apparatus
KR100849388B1 (en) * 2007-04-23 2008-08-06 송춘자 Computer table
JP2009195525A (en) 2008-02-22 2009-09-03 Okamura Corp Desk with illuminating device
KR101453054B1 (en) 2014-06-17 2014-10-23 김재형 Hybrid mini pc smart table system
KR101871924B1 (en) * 2016-10-19 2018-06-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table
KR101862583B1 (en) 2018-01-23 2018-05-31 주식회사 뮤엠교육 Smart Bookcase System with Previe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217A (en)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122B1 (en) smart desk
KR101511627B1 (en) Stand type hair dryer
CA2420497A1 (en) Vacuum cleaner having a plurality of power modes
US10972697B2 (en) Projection system
KR102154901B1 (en) Smart table
CN107048842A (en) A kind of intelligent bed
CN206863601U (en) Intelligent bookshelf
KR101837045B1 (en) An display device and a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reof
KR20210116296A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mattress
CN108181831A (en) Intelligent domestic system
CN106820628A (en) The Intelligent clothes cabinet of drying sterilizing
CN111720913A (en) Air purifier
KR102063160B1 (en) Robot Cleaner with Multi-usedmodule
CN108433349A (en) Music stand with headlamp
CN208639897U (en) Intelligent shoe cabinet
KR102253583B1 (en) Ultrasonic humidifier coupled to the water pail
CN208687443U (en) A kind of light
US20200178727A1 (en) Temperature Adjustment Unit for Fuel-Burning Grill
KR102095903B1 (en) Portable Electric Fan
KR102108357B1 (en) Air conditioner
CN207299341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fan
KR200470967Y1 (en) Multi-functional sky dance for desk
CN206647822U (en) A kind of jellyfish shape desk lamp
CN207136606U (en) A kind of cabinet for TV with air cleaning unit
KR20200146003A (en) Smart f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