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669B1 -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669B1
KR102154669B1 KR1020180163093A KR20180163093A KR102154669B1 KR 102154669 B1 KR102154669 B1 KR 102154669B1 KR 1020180163093 A KR1020180163093 A KR 1020180163093A KR 20180163093 A KR20180163093 A KR 20180163093A KR 102154669 B1 KR102154669 B1 KR 102154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rush
housing
coupled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4562A (ko
Inventor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바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바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바람
Priority to KR1020180163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6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01D46/0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08B1/0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24F2003/1614
    • F24F2003/163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시망 일면에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를 설치하고, 메시망 일면에 환형으로 날개를 형성하되, 이 날개 사이에 브러쉬를 형성한 회전장치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메시망 타면을 흡입관에 결합함으로써, 흡입관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먼지가 필터에 의해 정화된 후, 메시망의 통과공을 통해 흡입관 내로 유입됨과 동시에 회전장치부의 날개가 흡입관 내로 유입되는 공기 유속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브러쉬를 일체로 회전시켜, 이 브러쉬가 필터에 뭍어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관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응하도록 날개가 회전되면서 브러쉬를 일체로 회전구동시켜, 이 브러쉬가 필터에 뭍어져 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하고, 필터에서 탈락된 먼지 또는 이물질이 외부 공기에 의해 흩어지면서, 공기 중으로 분산되어 필터 상에 잔류될 우려가 없으며, 또한, 별도의 동력 없이 공기의 풍량에 의해 날개 및 브러쉬가 회전되어 에너지 소비율이 발생되지 않고, 이에따라, 주기적으로 필터에 뭍어있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탈락시켜, 필터가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Filter equipment with automatic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관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먼지를 필터로 걸러내되, 이 공기의 유속에 의해 회전장치부의 날개가 회전되면서, 브러쉬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안내하여 브러쉬로 필터에 뭍어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를 자동 제거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건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된 환기유닛을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동시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이러한 환기장치나 또는 환기장치와 연결되어 건물의 벽면등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흡입관 말단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먼지등을 1차로 제거하는 필터를 형성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환기시스템이 필터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시스템(100)의 케이스(101) 내부로 배치되는 필터(120)에 근접 설치되며 필터(120)에 접촉되어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브러쉬(132)가 부착된 회전축(131)과, 회전축(131)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회전축(131)을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모터(134)와, 제 1 구동모터(134)에 설치되는 너트하우징(135)과, 너트하우징(135)에 관통되어 수평하게 설치되며 너트하우징(135)을 수평 이동시키는 스크류축(136)과, 스크류축(136)의 단부에 설치되어 스크류축(136)을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모터(137)와, 제 1, 2 구동모터(134)(137)가 주기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기흡입덕트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게 되고, 이 필터에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이 걸러진 후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속하여 상기와 같은 반복 동작을 통해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고, 정해진 시간이 초과되면 필터청소장치의 제2구동모터가 회전구동되어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스크류축에 의해 너트하우징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축을 이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구동모터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브러쉬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에 뭍어 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에 의해 상기 필터에서 탈락된 먼지 또는 이물질은 케이스 내측 주변에 잔류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회전축이 제2구동모터에 의해 수평 이동하되, 제1구동모터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전작동되어, 제1, 제2구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될 수 있고, 제1, 제2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에너지 소비율이 증가되며, 필터에서 탈락된 먼지 또는 이물질이 케이스 내에 축적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먼지가 포함될 우려가 있고, 특히, 케이스 내에 축정된 먼지 또는 이물질 제거를 위해, 케이스를 분해하여 청소를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894362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통과공을 형성한 메시망 일면에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를 설치하고, 메시망 일면에 환형으로 복수개 구비된 날개를 형성하되, 이 날개 사이에 브러쉬를 형성한 회전장치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메시망 타면을 흡입관에 결합함으로써, 흡입관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먼지가 필터에 의해 정화된 후, 메시망의 통과공을 통해 흡입관 내로 유입됨과 동시에 회전장치부의 날개가 흡입관 내로 유입되는 공기 유속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브러쉬를 일체로 회전시켜, 이 브러쉬가 필터에 뭍어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는, 흡입관 말단에 결합되어 일면에 복수개의 통과공을 형성한 메시망과; 상기 메시망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메시망의 통과공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필터; 상기 메시망)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상기 흡입관 내로 유입되는 공기 풍량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를 형성하며, 상기 날개 사이에 상기 날개와 일체로 회전되어 상기 필터에 뭍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회전장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구멍의 지름이 25㎛ 이하의 미세먼지망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부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메시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상기 날개를 결합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테두리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쉬는 그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가이드링 결합되어 상기 필터에 뭍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저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시망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외면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날개의 일단 및 상기 브러쉬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허용하는 복수개의 체결홀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하우징 상방을 밀폐하는 뚜껑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하우징을 축으로 환형으로 회전되되,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링 사이에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시망 일면에 밀착 결합된 상기 필터에 뭍어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타단에 상기 가이드링 외측으로 설치되되, 상기 메시망 테두리와 마찰되어 상기 브러쉬가 제자리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회전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관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응하도록 날개가 회전되면서 브러쉬를 일체로 회전구동시켜, 이 브러쉬가 필터에 뭍어져 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하고, 필터에서 탈락된 먼지 또는 이물질이 외부 공기에 의해 흩어지면서, 공기 중으로 분산되어 필터 상에 잔류될 우려가 없으며, 또한, 별도의 동력 없이 공기의 풍량에 의해 날개 및 브러쉬가 회전되어 에너지 소비율이 발생되지 않고, 특히, 흡입관 방향으로 흘러들어가는 공기의 풍량에 비례하도록 날개의 회전속도 및 브러쉬의 회전속도가 조절되어 브러쉬 및 날개의 회전력이 안정적이며, 이에따라, 주기적으로 필터에 뭍어있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탈락시켜, 필터가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회전장치부를 분해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의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가 흡입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시망(100)은 흡입관(10) 말단에 결합되어 일면에 복수개의 통과공(101)을 형성한다.
상기 메시망(100)이 결합되는 상기 흡입관(10)은 건물 외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통과공(101)은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과공(101)은 상기 필터(20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 또는 먼지가 걸러진 정화된 공기가 상기 흡입관(10)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메시망(100)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200)가 상기 메시망(100)과 상기 회전장치부(300) 사이에서 돔 형상을 이루도록 떠받친다.
필터(200)는 상기 메시망(100)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메시망(100)의 통과공(101)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를 걸러낸다.
상기 필터(200)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구멍(201)의 지름이 25㎛ 이하의 미세먼지망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200)는 상기 메시망(100)에 떠받쳐져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장치부(300)는 상기 메시망(100)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상기 흡입관(10) 내로 유입되는 공기 풍량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301)를 형성하며, 상기 날개(301) 사이에 상기 날개(301)와 일체로 회전되어 상기 필터(200)에 뭍어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브러쉬(302)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301)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쉬(302)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날개(301)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302)는 상기 날개(301)의 갯수에 대응하도록 상기 날개(301)를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장치부(3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메시망(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상기 날개(301)를 결합한 하우징(303)과, 상기 하우징(303) 테두리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링(304)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쉬(302)는 그 일단이 상기 하우징(303)에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가이드링(304)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200)에 뭍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하우징(303)은 상기 날개(30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지지한다.
상기 하우징(303)은 저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시망(100)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부(303a)를 더 형성한다.
상기 회전지지부(303a)는 상기 하우징(303)의 회전을 지지한다.
상기 하우징(303)은 그 외면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날개(301)의 일단 및 상기 브러쉬(302)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허용하는 복수개의 체결홀(303b)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303)의 상면에는 상기 하우징(303) 상방을 밀폐하는 뚜껑(305)이 더 결합된다.
상기 체결홀(303b)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305)은 상기 하우징(303)의 체결홀(303b)에 결합된 상기 날개(301) 및 상기 브러쉬(302)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303)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브러쉬(302)는 상기 하우징(303)을 축으로 환형으로 회전되되, 상기 하우징(303)과 상기 가이드링(304) 사이에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시망(100) 일면에 밀착 결합된 상기 필터(200)에 뭍어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한다.
상기 하우징(303)에 결합되는 상기 날개(301) 및 브러쉬(302)의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산에 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날개(301) 및 브러쉬(302)의 일단이 하우징(303)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링(304)에 결합되는 상기 브러쉬(302)의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러쉬(302)의 타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브러쉬(302)의 타단이 상기 가이드링(304)에 고정된다.
상기 브러쉬(302)는 타단에 상기 가이드링(304) 외측으로 설치되되, 상기 메시망(100) 테두리와 마찰되어 상기 브러쉬(302)가 제자리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회전롤러(302a)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롤러(302a)는 상기 메시망(100) 테두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브러쉬(302)의 회전을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링(304)은 회전작동되는 상기 브러쉬(302)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쉬(302) 말단에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건물 외벽으로 노출된 흡입관(10) 말단에 메시망(100) 후단이 삽입 결합 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메시망(100) 일면에 필터(200)를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메시망(100) 일면에 밀착되는 필터(200)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구멍이 25㎛ 이하의 미세먼지 망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시망(100) 일측에 회전장치부(300)를 구비하되, 이 회전장치부(300)가 상기 메시망(100)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메시망(100) 일면에 상기 회전장치부(30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장치부(300)의 하우징(303)에서 연장 형성된 회전지지부(303a)를 상기 메시망(100)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303)이 정, 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태에서 이 하우징(303)의 체결홀(303b)을 통해 상기 날개(301) 및 브러쉬(302)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날개(301) 및 브러쉬(302)의 일단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산에 상기 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하우징(303)의 체결홀(303b)에 상기 날개(301) 및 브러쉬(302)의 일단을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3)의 상면에 뚜껑(305)을 덮어, 상기 하우징(303) 상면을 밀폐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홀(303b)에 체결된 상기 날개(301) 및 브러쉬(302)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303)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상기 하우징(303) 테두리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가이드링(304)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링(304) 외측으로 상기 브러쉬(302)의 타단이 통과하도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링(304)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브러쉬(302)의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이 타단에 상기 회전롤러(302a)를 삽입 결합함과 동시에 나사산에 너트(N)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브러쉬(302)의 타단이 상기 가이드링(304)에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롤러(302a)는 상기 메시망(100)의 테두리에 밀착되는 것이다.
특히, 일단이 상기 하우징(303)에 체결되되, 타단이 상기 가이드링(304)에 체결된 상기 브러쉬(302)는 상기 하우징(303)과 상기 가이드링(304) 사이에서 제자리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의 흡입관(10) 방향으로 외부 공기가 불어오게 되면, 이 공기가 상기 필터(20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 또는 먼지가 제거되어 정화되고, 이 정화된 공기가 상기 메시망(100)의 통과공(101)을 통해 흡입관(10)으로 공급되어, 실내로 정화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흡입관(10) 방향으로 불어오는 공기의 풍량에 의해 상기 날개(301)가 상기 하우징(303)을 축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쉬(302)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따라, 상기 브러쉬(302)가 상기 하우징(303)을 축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200)에 뭍어 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를 탈락시킨다.
특히, 상기 브러쉬(302)는 상기와 같이 상기 하우징(303)을 축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메시망(100)의 외면과 마찰되면서 회전구동되는 상기 회전롤러(302a)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200)에 뭍어 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302)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링(304)에 의해 환형으로 회전되도록 안내되어, 상기 브러쉬(302)가 상기 필터(200)에 뭍어 있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탈락시키는 동안, 상기 브러쉬(302)의 타단에 유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상기 브러쉬(302)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303)의 상부를 덮고 있는 뚜껑(305)을 개방하고, 상기 브러쉬(302)의 양단에 결합된 너트(N)를 이탈시켜, 상기 브러쉬(302)가 상기 하우징(303)과 상기 가이드링(304) 사이에서 이탈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브러쉬(302)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날개(301)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브러쉬(302) 교체 방법과 동일하게 상기 뚜껑(305)을 개방하고, 상기 날개(301)의 일단에 결합된 너트를 이탈시켜, 상기 날개(301)를 분리하되, 다른 상기 날개(301)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상기 브러쉬(302)의 일단을 상기 하우징(303)에 선 결합한 후, 그 말단을 상기 가이드링(304)에 결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작업자에 따라 상기 가이드링(304)에 상기 브러쉬(302) 타단을 선 결합하고, 이어서, 그 일단을 상기 하우징(303)에 후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장치부(300)의 날개(301)가 공기 풍량에 의해 회전되면서 브러쉬(302)를 일체로 회전시키도록 하되, 이 회전되는 브러쉬(302)로 필터(200)에 뭍어있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탈락시켜 필터(200)에 뭍어있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구조는, 흡입관(1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응하도록 날개가 회전되면서 브러쉬(302)를 일체로 회전구동시켜, 이 브러쉬(302)가 필터(200)에 뭍어져 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하고, 필터(200)에서 탈락된 먼지 또는 이물질이 외부 공기에 의해 흩어지면서, 공기 중으로 분산되어 필터(200) 상에 잔류될 우려가 없으며, 또한, 별도의 동력 없이 공기의 풍량에 날개(301) 및 브러쉬(302)가 회전되어 에너지 소비율이 없고, 특히, 흡입관(10) 방향으로 흘러들어가는 공기의 풍량에 비례하도록 날개(301)의 회전속도 및 브러쉬(302)의 회전속도가 조절되어 날개(301) 및 브러쉬(302)의 회전력이 안정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 흡입관 100 : 메시망
101 : 통과공 200 : 필터
201 : 구멍 300 : 회전장치부
301 : 날개 302 : 브러쉬
302a : 회전롤러 303 : 하우징
303a : 회전지지부 303b : 체결홀
304 : 가이드링 305 : 뚜껑
N : 너트

Claims (7)

  1. 흡입관(10) 말단에 결합되어 일면에 복수개의 통과공(101)을 형성한 메시망(100)과;
    상기 메시망(100)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메시망(100)의 통과공(101)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필터(200);
    상기 메시망(100)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상기 흡입관(10) 내로 유입되는 공기 풍량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301)를 형성하며, 상기 날개(301) 사이에 상기 날개(301)와 일체로 회전되어 상기 필터(200)에 뭍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브러쉬(302)를 포함하는 회전장치부(300);
    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장치부(3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메시망(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상기 날개(301)를 결합한 하우징(303)과;
    상기 하우징(303) 테두리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링(304);
    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쉬(302)는 그 일단이 상기 하우징(303)에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가이드링(304)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200)에 뭍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00)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구멍(201)의 지름이 25㎛ 이하의 미세먼지망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3)은,
    저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시망(100)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부(303a)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3)은,
    그 외면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날개(301)의 일단 및 상기 브러쉬(302)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허용하는 복수개의 체결홀(303b)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303)의 상면에는 상기 하우징(303) 상방을 밀폐하는 뚜껑(305)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302)는,
    상기 하우징(303)을 축으로 환형으로 회전되되, 상기 하우징(303)과 상기 가이드링(304) 사이에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시망(100) 일면에 밀착 결합된 상기 필터(200)에 뭍어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
  7. 제 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302)는,
    타단에 상기 가이드링(304) 외측으로 설치되되, 상기 메시망(100) 테두리와 마찰되어 상기 브러쉬(302)가 제자리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회전롤러(30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
KR1020180163093A 2018-12-17 2018-12-17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 KR102154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93A KR102154669B1 (ko) 2018-12-17 2018-12-17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93A KR102154669B1 (ko) 2018-12-17 2018-12-17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562A KR20200074562A (ko) 2020-06-25
KR102154669B1 true KR102154669B1 (ko) 2020-09-10

Family

ID=7140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093A KR102154669B1 (ko) 2018-12-17 2018-12-17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6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055B1 (ko) 2021-12-22 2022-04-08 심성구 3개의 필터를 이용한 자동역세여과구조
KR102608919B1 (ko) * 2023-10-06 2023-12-01 박문수 먼지 제거가 가능한 필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4305B (zh) * 2020-06-29 2021-06-11 蔡欧 一种环保型喷漆房
CN112495979B (zh) * 2020-11-10 2022-12-16 天长市高朋实验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于实验室的通风装置
CN112774329B (zh) * 2020-12-29 2022-08-16 深圳市金城空调净化技术有限公司 一种工厂废气净化器
CN112902375B (zh) * 2021-01-14 2022-07-26 山东达洁过滤器有限公司 一种空气过滤器灰尘清理装置
CN113251544A (zh) * 2021-05-18 2021-08-13 深圳筑美叮当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远程控制空气净化器
CN114345025B (zh) * 2021-12-17 2023-02-28 三峡新能源海上风电运维江苏有限公司 Svg水冷散热器自动清扫装置及清理方法
WO2024080516A1 (ko) * 2022-10-13 2024-04-18 주식회사 에너리트 브러시 청소기능을 갖는 필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레이너장치
KR20240061919A (ko) * 2022-11-01 202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정화기
CN116007065B (zh) * 2022-12-30 2024-01-30 安徽讯亚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全自动除尘的工业制冷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4367A (ja) * 2015-08-25 2017-03-02 株式会社 ゼンショーホールディングス 換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362B1 (ko) 2007-05-03 2009-04-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환기시스템의 필터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4367A (ja) * 2015-08-25 2017-03-02 株式会社 ゼンショーホールディングス 換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055B1 (ko) 2021-12-22 2022-04-08 심성구 3개의 필터를 이용한 자동역세여과구조
KR102608919B1 (ko) * 2023-10-06 2023-12-01 박문수 먼지 제거가 가능한 필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562A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669B1 (ko)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필터장치
DE69833383T2 (de) Luftfiltervorrichtung
EP1653838B1 (en) Cyclonic separator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n airflow and vacuum cleaner including such a separator
KR101876224B1 (ko) 공기정화유닛
JP2006071121A (ja) 空気調和機
CN101105308B (zh) 空调器
CN109737583B (zh) 一种空调新风系统
KR101452468B1 (ko) 집진기
KR100902921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JP2005299493A (ja) 送風装置
KR100627194B1 (ko) 습식 공기청정기
KR101964903B1 (ko) 개방공간용 공기정화장치
JP2007218185A (ja) 送風装置
KR101990836B1 (ko) 분리 환기형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101307843B1 (ko) 가습공기청정기
CN217313787U (zh) 一种粉末涂料分级磨粉装置
KR102002247B1 (ko) 환풍기 겸용 공기청정기
KR20170097466A (ko) 급기구 황사유입방지장치
CN111946382B (zh) 一种金属矿山井下通风装置
CN113701298A (zh) 侧挡水结构以及空气净化装置
KR200491065Y1 (ko) 분진물의 낙하 에너지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CN105444384A (zh) 一种通风管道出风口外罩
CN212431165U (zh) 侧挡水结构以及空气净化装置
GB2279889A (en) Rotary drum filter
CN218530170U (zh) 一种轴流风扇防积尘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