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422B1 -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 - Google Patents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422B1
KR102154422B1 KR1020190003923A KR20190003923A KR102154422B1 KR 102154422 B1 KR102154422 B1 KR 102154422B1 KR 1020190003923 A KR1020190003923 A KR 1020190003923A KR 20190003923 A KR20190003923 A KR 20190003923A KR 102154422 B1 KR102154422 B1 KR 102154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control
carriage
control sig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7531A (ko
Inventor
최성욱
김종철
이승구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4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7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58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06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of horizontal seams in assembling vertical plates, a welding unit being adapted to travel along the upper horizontal edge of th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06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용접장을 구비한 필렛용접부재에 대한 필렛용접 진행시 필렛용접부재를 복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별로 용접장, 비용접장 및 각장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스캘럽 등의 비용접장을 구비한 필렛용접부재에 대해 자동용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는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캐리지에 전원을 공급함과 함께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캐리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 전달하는 용접제어장치; 상기 용접 캐리지에 와이어를 송급하는 와이어 송급장치;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로부터 와이어를 송급받아 일측에 구비된 용접 토치를 통해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용접 캐리지; 및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된 용접부재의 정보, 각 구간별 각장, 용접장, 비용접장 정보를 저장하는 부재정보 DB;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용접제어장치는 용접제어모듈, 전원공급모듈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용접제어모듈은 용접전류 제어신호 및 용접전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공급모듈에 전달함과 함께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캐리지의 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각 와이어 송급장치와 용접 캐리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용접제어모듈에 의해 와이어 송급장치에 전달되는 제어신호에는 부재정보 제어신호가 포함되며, 부재정보 제어신호는 용접부재에 대한 부재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제어신호이며, 와이어 송급 및 캐리지에 의한 용접은 부재정보 제어신호의 기반 하에 진행되며, 상기 용접부재의 부재정보는 용접부재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한 정보 및 각 구간별 각장, 용접장, 비용접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는 용접부재의 복수의 구간에 대해 용접을 진행하며, 각 구간의 용접시 각장 정보 및 용접장 정보에 근거하여 용접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Automatic welding system for pillet welding}
본 발명은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용접장을 구비한 필렛용접부재에 대한 필렛용접 진행시 필렛용접부재를 복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별로 용접장, 비용접장 및 각장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스캘럽 등의 비용접장을 구비한 필렛용접부재에 대해 자동용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용접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용접제어기(110), 와이어 송급장치(120) 및 캐리지(130)로 구성된다. 용접제어기(110)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와이어 송급장치(120) 및 캐리지(130)의 동작을 제어하며, 와이어 송급장치(120)는 용접제어기(110)의 제어 하에 와이어를 캐리지(130)에 송급하며, 캐리지(130) 역시 용접제어기(110)의 제어 하에 송급받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용접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용접작업은 용접대상물에 따라 필렛용접(fillet welding), 맞대기용접, 소켓용접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필렛용접은 2장의 판이 직각으로 맞닿는 부분에 대하여 용접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맞대기용접은 2장의 판을 평행하게 연결하는 용접을 일컫는다.
필렛용접의 진행시, 필렛용접부와 맞대기용접부가 맞닿게 되면 응력이 집중되어 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필렛용접과 맞대기용접이 교차하는 경우 필렛용접부재에 빈 공간(notch)를 만들어서 맞대기용접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러한 빈 공간(notch)을 통상, 스캘럽이라 한다. 필렛용접부재의 스캘럽 부위에는 용접이 진행되지 않는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의 경우, 필렛용접 수행시 스캘럽과 같은 비용접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사람의 개입이 필요하다. 즉, 종래의 자동용접장치를 통해서는 스캘럽이 존재하는 필렛용접에 대해 완전한 자동용접을 진행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자동용접장치는 용접부재의 형상에 따른 각장 변화시 이를 수작업으로 자동용접장치에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뒤따른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6700호(2012. 10. 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비용접장을 구비한 필렛용접부재에 대한 필렛용접 진행시 필렛용접부재를 복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별로 용접장, 비용접장 및 각장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스캘럽 등의 비용접장을 구비한 필렛용접부재에 대해 자동용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는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캐리지에 전원을 공급함과 함께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캐리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 전달하는 용접제어장치; 상기 용접 캐리지에 와이어를 송급하는 와이어 송급장치; 및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로부터 와이어를 송급받아 일측에 구비된 용접 토치를 통해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용접 캐리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용접제어장치는 용접제어모듈, 전원공급모듈, 통신모듈 및 부재정보 D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용접제어모듈은 용접전류 제어신호 및 용접전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공급모듈에 전달함과 함께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캐리지의 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각 와이어 송급장치와 용접 캐리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용접제어모듈에 의해 와이어 송급장치에 전달되는 제어신호에는 부재정보 제어신호가 포함되며, 부재정보 제어신호는 용접부재에 대한 부재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제어신호이며, 와이어 송급 및 캐리지에 의한 용접은 부재정보 제어신호의 기반 하에 진행되며, 상기 부재정보 DB는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된 용접부재의 정보, 각 구간별 각장, 용접장, 비용접장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캐리지는 용접부재의 복수의 구간에 대해 용접을 진행하며, 각 구간의 용접시 각장 정보 및 용접장 정보에 근거하여 용접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공급모듈은 상기 용접제어모듈의 용접전류 제어신호 및 용접전압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전원을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캐리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용접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캐리지에 상기 용접제어모듈의 제어신호를 전달하거나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캐리지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용접제어모듈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는 송급제어모듈, 전원변환모듈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송급제어모듈은 상기 용접제어장치의 용접제어모듈로부터 전달된 부재정보 제어신호, 송급속도 제어신호, 와이어 인칭 제어신호, 보호가스 퍼지(purge) 제어신호를 통해 와이어 송급속도 제어, 와이어 인칭 제어 및 보호가스 퍼지 제어의 동작을 수행함과 함께 와이어 송급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용접제어장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전원변환모듈은 상기 용접제어장치의 전원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와이어 송급장치의 동력수단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송급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와이어 송급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용접제어장치에 전달하거나 용접제어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접 캐리지는 캐리지 제어모듈, 전원변환모듈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캐리지 제어모듈은 상기 용접제어장치의 용접제어모듈로부터 전달된 용접 시작-정지에 대한 제어신호, 캐리지 이동에 대한 제어신호를 통해 용접 시작-정지에 대한 제어, 캐리지 이동 제어 등의 동작을 수행함과 함께 용접 캐리지의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용접제어장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전원변환모듈은 상기 용접제어장치의 전원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캐리지의 동력수단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캐리지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용접 캐리지의 상태 정보를 상기 용접제어장치에 전달하거나 용접제어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스캘럽과 같은 비용접장을 포함함과 함께 용접부재가 길이에 따라 각장이 변화되는 경우에 대해, 용접부재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별로 각장, 용접장 정보가 저장되도록 하고, 부재정보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캐리지에 의한 용접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비용접장을 구비한 용접부재에 대해 작업자의 개입없이 필렛용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용접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의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는 용접제어장치(210), 와이어 송급장치(220) 및 용접 캐리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용접제어장치(210)는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220) 및 용접 캐리지(230)에 전원을 공급함과 함께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220) 및 용접 캐리지(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세부적으로 용접제어모듈(211), 부재정보 DB(212), 전원공급모듈(214) 및 통신모듈(213)로 구성된다.
상기 용접제어모듈(211)은 기본적으로 용접제어장치(210)에 구비된 전원공급모듈(214)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에 대한 제어신호 즉, 용접전류 제어신호 및 용접전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공급모듈(214)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용접제어모듈(211)은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220) 및 용접 캐리지(230)의 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각 와이어 송급장치(220)와 용접 캐리지(2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와이어 송급장치(220)의 동작 제어신호와 용접 캐리지(230)의 동작 제어신호는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220) 및 용접 캐리지(230)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되며,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220)에 전달되는 제어신호에는 송급속도 제어신호, 와이어 인칭 제어신호, 보호가스 퍼지(purge) 제어신호 등이 포함되며 상기 용접 캐리지(230)에 전달되는 제어신호에는 용접 시작-정지에 대한 제어신호, 캐리지 이동에 대한 제어신호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용접제어모듈(211)에 의해 와이어 송급장치(220)에 전달되는 제어신호에는 부재정보 제어신호가 포함된다. 부재정보 제어신호는 용접부재에 대한 부재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제어신호이며, 와이어 송급 및 캐리지에 의한 용접은 부재정보 제어신호의 기반 하에 진행된다. 상기 부재정보 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부재정보는 용접부재의 세부정보로서, 용접부재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구간별로 각장, 용접장, 비용접장 정보가 담겨져 있다. 여기서, 각장은 용접대상부위의 두께, 용접장은 각 구간의 용접길이, 비용접장은 각 구간의 비용접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부재정보 DB(212)는 용접부재의 부재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된 용접부재의 정보, 각 구간별 각장, 용접장, 비용접장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용접부재의 부재정보가 부재정보 DB(212)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용접부재의 부재정보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저장할 수 있다.
<용접부재 부재정보의 예>
구간 정보 각장 정보 용접장 정보
구간 1 4.5mm 용접장 100mm
구간 2 비용접장 100mm
구간 3 6.0mm 용접장 150mm
구간 4 비용접장 50mm
구간 5 4.5mm 용접장 200mm
이와 같이 용접부재의 부재정보가 부재정보 DB(212)에 저장된 상태에서, 용접제어모듈(211)의 제어 하에 부재정보 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용접부재의 부재정보에 기반하여 와이어 송급 및 캐리지에 의한 용접이 진행된다. 표 1에 기재된 용접부재 부재정보에 대응하여 용접이 진행되는 경우, 캐리지는 구간 1 내지 구간 5에 대해 용접을 진행하며, 각 구간의 용접시 각장 정보 및 용접장 정보에 근거하여 용접이 진행된다. 참고로, 비용접장 구간인 경우, 캐리지 이동속도를 높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용접제어장치(210)의 전원공급모듈(214)은 상기 용접제어모듈(211)의 용접전류 제어신호 및 용접전압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전원을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220)220) 및 용접 캐리지(23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전원공급모듈(214)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은 교류전원 또는 직류전원일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213)은 상기 용접제어모듈(211)의 제어 하에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220)220) 및 용접 캐리지(230)에 상기 용접제어모듈(211)의 제어신호를 전달하거나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220)220) 및 용접 캐리지(230)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용접제어모듈(21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220)220)는 상기 용접 캐리지(230)에 와이어를 송급하는 장치로서 세부적으로, 송급제어모듈(221), 전원변환모듈(223) 및 통신모듈(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급제어모듈(221)은 상기 용접제어장치(210)의 용접제어모듈(211)로부터 전달된 부재정보 제어신호, 송급속도 제어신호, 와이어 인칭 제어신호, 보호가스 퍼지(purge) 제어신호 등을 통해 와이어 송급속도 제어, 와이어 인칭 제어 및 보호가스 퍼지 제어 등의 동작을 수행하며, 와이어 송급장치(220)220)의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222)을 통해 상기 용접제어장치(2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변환모듈(223)은 상기 용접제어장치(210)의 전원공급모듈(214)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송급모터, 보호가스 공급용 솔레노이드 밸브 등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모듈(222)은 상기 송급제어모듈(221)의 제어 하에 와이어 송급장치(220)220)의 상태 정보를 상기 용접제어장치(210)에 전달하거나 용접제어모듈(211)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접 캐리지(230)는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220)220)로부터 와이어를 송급받아 일측에 구비된 용접 토치를 통해 용접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캐리지 제어모듈(231), 전원변환모듈(233) 및 통신모듈(2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리지 제어모듈(231)은 상기 용접제어장치(210)의 용접제어모듈(211)로부터 전달된 부재정보 제어신호, 용접 시작-정지에 대한 제어신호, 캐리지 이동에 대한 제어신호를 통해 용접 시작-정지에 대한 제어, 캐리지 이동 제어 등의 동작을 수행하며, 용접 캐리지(230)의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232)을 통해 상기 용접제어장치(2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변환모듈(233)은 상기 용접제어장치(210)의 전원공급모듈(214)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자체 모터 등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모듈(232)은 상기 캐리지 제어모듈(231)의 제어 하에 용접 캐리지(230)의 상태 정보를 상기 용접제어장치(210)에 전달하거나 용접제어모듈(211)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210 : 용접전원장치 211 : 용접제어모듈
212 : 부재정보 DB 213, 222, 232 : 통신모듈
214 : 전원공급모듈 220 : 와이어 송급장치
221 : 송급제어모듈 223, 233 : 전원변환모듈
230 : 용접 캐리지 231 : 캐리지 제어모듈

Claims (4)

  1.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에 있어서,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캐리지에 전원을 공급함과 함께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캐리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 전달하는 용접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제어장치는 용접제어모듈, 전원공급모듈, 통신모듈 및 부재정보 D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용접제어모듈은 용접전류 제어신호 및 용접전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공급모듈에 전달함과 함께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캐리지의 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각 와이어 송급장치와 용접 캐리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용접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에 전달되는 제어신호에는 용접부재에 대한 부재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제어신호인 부재정보 제어신호가 포함되며,
    상기 부재정보 DB는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된 용접부재의 정보, 각 구간별 각장, 용접장, 비용접장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와이어 송급 및 용접 캐리지에 의한 용접은 상기 부재정보 제어신호의 기반 하에 진행되며, 상기 용접 캐리지에 의한 용접은 용접부재의 복수의 구간에 대해 진행되며, 각 구간의 용접은 각장 정보 및 용접장 정보에 근거하여 진행되고,
    상기 전원공급모듈은 상기 용접제어모듈의 용접전류 제어신호 및 용접전압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전원을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캐리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용접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캐리지에 상기 용접제어모듈의 제어신호를 전달하거나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및 용접 캐리지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용접제어모듈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는 상기 용접 캐리지에 와이어를 송급하는 장치로서, 송급제어모듈, 전원변환모듈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송급제어모듈은 상기 용접제어장치의 용접제어모듈로부터 전달된 부재정보 제어신호, 송급속도 제어신호, 와이어 인칭 제어신호, 보호가스 퍼지(purge) 제어신호를 통해 와이어 송급속도 제어, 와이어 인칭 제어 및 보호가스 퍼지 제어의 동작을 수행함과 함께 와이어 송급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용접제어장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전원변환모듈은 상기 용접제어장치의 전원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와이어 송급장치의 동력수단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송급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와이어 송급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용접제어장치에 전달하거나 용접제어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캐리지는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로부터 와이어를 송급받아 일측에 구비된 용접 토치를 통해 용접작업을 수행하며, 캐리지 제어모듈, 전원변환모듈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캐리지 제어모듈은 상기 용접제어장치의 용접제어모듈로부터 전달된 용접 시작-정지에 대한 제어신호, 캐리지 이동에 대한 제어신호를 통해 용접 시작-정지에 대한 제어, 캐리지 이동 제어 등의 동작을 수행함과 함께 용접 캐리지의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용접제어장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전원변환모듈은 상기 용접제어장치의 전원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캐리지의 동력수단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캐리지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용접 캐리지의 상태 정보를 상기 용접제어장치에 전달하거나 용접제어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
KR1020190003923A 2019-01-11 2019-01-11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 KR102154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923A KR102154422B1 (ko) 2019-01-11 2019-01-11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923A KR102154422B1 (ko) 2019-01-11 2019-01-11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531A KR20200087531A (ko) 2020-07-21
KR102154422B1 true KR102154422B1 (ko) 2020-09-09

Family

ID=7183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923A KR102154422B1 (ko) 2019-01-11 2019-01-11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657B1 (ko) 2020-09-16 2021-12-31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일렉트로 가스 아크 용접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70B1 (ko) * 2010-09-13 2013-01-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장치
KR20120006700U (ko) 2011-03-21 2012-10-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필렛 용접장치
KR20140070836A (ko) * 2012-11-28 2014-06-11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자동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531A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7513B2 (en) Weld cell system with communication
US20110240620A1 (en) Weld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internal ethernet communications
CN102958636A (zh) 采用一体式用户界面的焊接设备
MX2014012290A (es) Sistema y metodo para vincular dispositivos de soldadura.
MX2023008522A (es) Sistemas de soldadura con laser, revestimiento con laser, y/o fabricacion aditiva con laser y metodos de soldadura con laser, revestimiento con laser, y/o fabricacion aditiva con laser.
CN105934304B (zh) 用于控制焊接电源的输出功率的系统和方法
AU201328891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eeding filler material to a welding operation
KR101363486B1 (ko) 크레이터 전류/전압 조정용 와이어 피더
KR102154422B1 (ko) 필렛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
JP6009229B2 (ja) 溶接機
US10780517B2 (en) Hydraulically driven dual operator welding system and method
WO2021083618A3 (de) Handgeführtes laserbearbeitungsgerät zur bearbeitung eines werkstücks und trichter für ein handgeführtes laserbearbeitungsgerät
US202200323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gouge torch activation
KR101219270B1 (ko) 용접장치
KR101715181B1 (ko) 아크 용접 장치
KR101093197B1 (ko) 무선 제어를 이용한 갠트리 용접 장치
US202303986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ld process selection and isolation from a voltage sensing wire feeder
US20190366469A1 (en) Welding power supplies and user interfaces to control output polarity for welding power supplies
KR102342528B1 (ko) 필렛용접부재를 자동으로 용접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용접기
US20060124623A1 (en) Method and system of welding with adaptive crater fill control
CN111745270B (zh) 将焊接功率转换成焊接功率和电阻预加热功率的方法和设备
US20210346973A1 (en) Wireless welding-type power supply management
CN107717279A (zh) 一种自动焊接装置
JP2006150363A (ja) 溶接装置
KR20190047875A (ko) 서브 머지드 아크 용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