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020B1 - 전자펜 관련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펜 관련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020B1
KR102154020B1 KR1020160183642A KR20160183642A KR102154020B1 KR 102154020 B1 KR102154020 B1 KR 102154020B1 KR 1020160183642 A KR1020160183642 A KR 1020160183642A KR 20160183642 A KR20160183642 A KR 20160183642A KR 102154020 B1 KR102154020 B1 KR 102154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writing
page
menu
information
electronic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901A (ko
Inventor
이상규
박지완
문아람
한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Priority to KR1020160183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02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컴퓨터가 소정의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에서 전자펜의 필기에 따른 전자펜이 획득한 코드 정보를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고, 컴퓨터가 수신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의 궤적을 생성하고, 컴퓨터가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하여, 컴퓨터가 별도의 윈도우에 생성된 필기의 궤적을 표시하는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펜 관련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pplication for electronic pen}
본 발명은 전자펜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한 코드 정보를 기초로 전자펜의 필기와 관련된 제반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도트 코드가 인쇄된 종이 위에 전자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록한 필기 등과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저장하는 기술이 상용화 중에 있다. 전자펜은 소정의 광선을 탄소로 이루어진 도트 코드가 인쇄된 종이 위에 조사하여, 도트 코드를 인식하게 되고, 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전자펜은 획득한 정보를 전자펜과 연결된 컴퓨터에 전송하게 되고, 전자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컴퓨터는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실제로 인쇄된 종이 위의 필기를 디지털적으로 그대로 구현하게 된다. 현재 단순히 필기를 구현하는데 그치지 않고, 필기와 관련된 많은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필기와 관련된 궤적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하고, 필기와 싱크되는 녹음 기능을 제공하고, 시간별로 생성된 필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이에 대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펜 기반 컴퓨터에서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컴퓨터가 소정의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에서 전자펜의 필기에 따른 상기 전자펜이 획득한 코드 정보를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가 상기 수신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의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가 상기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가 상기 별도의 윈도우에 상기 생성된 필기의 궤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인쇄물 정보 및 상기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필기의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터가 상기 수신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물 정보 및 상기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필기의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인쇄물 또는 페이지가 상기 획득한 인쇄물 정보 또는 상기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와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컴퓨터가 상기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컴퓨터가 상기 별도의 윈도우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에 따른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컴퓨터가 상기 필기의 궤적 및 녹음된 보이스를 리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기의 궤적과 녹음된 보이스는 시간적으로 싱크되어 있으며, 상기 녹음된 보이스의 시간적 순서에 따라 필기의 궤적의 특성이 변화할 수 있다.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컴퓨터가 상기 필기의 궤적 및 녹음된 보이스에 대한 존재 여부를 날짜별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기의 궤적 및 녹음된 보이스의 개수에 따라 표시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하는 장치는 소정의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에서 전자펜의 필기에 따른 상기 전자펜이 획득한 코드 정보를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의 궤적을 생성하고, 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별도의 윈도우에 상기 생성된 필기의 궤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펜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다양한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전자펜의 기능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필기와 관련된 별도의 윈도우, 필기의 색상 및 굵기 변화, 녹음 기능의 제공, 녹음과 스트로크의 리플레이 기능 및 날자별 필기 및 녹음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노트 메뉴에 대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노트 메뉴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페이지 메뉴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페이지 뷰 메뉴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 기반 컴퓨터에서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궤적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 궤적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 궤적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크 특성 변화 메뉴를 나타내는 메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뷰 설정 메뉴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크 재생과 관련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재생과 관련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4에서의 날짜별 메뉴에 관한 도면이다.
도 16은 전자펜의 필기를 생성하는 장치에 대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페이지는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 한 장의 단위를 의미하며, 노트는 복수의 상기 페이지가 결합된 한 단위를 의미한다. 코드는 페이지 내의 위치 정보, 방향, 노트에 대한 정보 또는 기타 등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코드의 형태에는 제한은 없다. 또한, 전자펜은 필기 수단을 구비하며, 필기 궤적에 따른 코드를 인식하여, 코드에 따른 정보를 독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어플리케이션은 전자펜에서 독출한 코드에 따른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궤적을 전자펜 기반 컴퓨터에 표시하고, 이에 따른 기타 응용 기능을 구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전자펜 기반 컴퓨터(이하, '컴퓨터'라 칭함)는 전자펜과 연결되며, 전자펜으로부터 코드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다.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어플리케이션을 처음 구동하는 경우, 전자펜을 등록하는 절차가 개시된다. 컴퓨터는 전자펜과는 블루투스로 연결될 수 있으며, 최초 연결되는 경우 페어링 모드로 진행하게 된다. 페어링 모드가 이미 설정된 경우에는, 전자펜이 온 되어 있고,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경우에는 전자펜 등록하는 절차는 진행되지 않고, 자동으로 연결된다. 전자펜이 공장에서 출하되거나, 리셋 후 최초로 페어링 모드로 진행될 경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다른 컴퓨터에서 페어링 모드를 진행할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페어링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에서 블루투스 기능이 비활성화 된 경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이 기능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 수단을 블루투스로 기재하고 있지만, 컴퓨터와 전자펜의 무선 또는 유선 연결 수단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전자펜 등록하는 절차를 제외하고,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 경우에는 노트 메뉴가 개시된다. 어플리케이션에는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노트가 등록되어 표시된다. 노트 메뉴에는 노트에 대한 식별자, 노트의 제목, 생성일, 노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및 노트의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 등이 포함된다. 노트에 대한 식별자는 노트의 이미지 또는 썸네일일 수 있으며, 복수의 노트에 대한 식별자가 표시되거나, 또는 하나의 노트에 대한 식별자가 표시되고, 드래그 등을 통하여 다른 노트에 대한 식별자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노트 메뉴는 전자펜과 블루투스 연결할 수 있는 항목 또는/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전체 메뉴를 나타낼 수 있는 항목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펜과 블루투스 연결할 수 있는 항목은 전자펜과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선택함으로써 전자펜과 컴퓨터가 연결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항목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노트 메뉴에 대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전자펜 기반 컴퓨터(10)의 디스플레이 화면(11)에 어플리케이션의 노트 메뉴(100)가 도시되어 있다. 노트 메뉴는 노트의 제목(110), 생성일(120) 및 노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30), 현재 표시 중인 노트의 식별자(140), 다음 노트의 식별자(150) 및 이전 노트의 식별자(16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노트 메뉴(100)는 전체 메뉴 항목(101) 및 전자펜과 전자펜 기반 컴퓨터(10)를 연결할 수 있는 항목(102)이 포함되어 있다. 전체 메뉴 항목(101)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현재 노트 식별자(140)에는 선택 가능한 현재 노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항목(102)이 표시되어 있다. 이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도 1b와 같은 노트 정보가 표시된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노트 메뉴에 대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노트 생성일부터 최근 사용일까지의 기간 정보(142), 현재 사용된 페이지의 개수에 대한 정보(143), 사용된 태그의 개수에 대한 정보(144), 보이스 녹음 개수에 대한 정보(145)가 더 표시될 수 있다. 태그 및 녹음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노트 메뉴의 하위 메뉴로 노트 메뉴에서 현재 표시된 노트의 이미지 또는 썸네일을 선택하는 경우, 페이지 메뉴가 제공된다. 페이지 메뉴에는 노트에 대한 식별자, 현재 페이지의 최근 사용 시간 정보,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 이미지 또는 썸네일을 포함한다. 또한, 전자펜과 블루투스 연결할 수 있는 항목 또는/및 상위 메뉴인 노트 메뉴로 돌아갈 수 있는 항목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페이지 메뉴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펜 기반 컴퓨터(10)의 디스플레이 화면(11)에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 메뉴(200)가 도시되어 있다. 페이지 메뉴(200)는 노트의 제목(210), 현재 페이지의 최종 사용 시간 정보(220) 및 현재 표시 중인 노트의 식별자(230), 다음 페이지의 식별자(240) 및 이전 페이지의 식별자(25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페이지 메뉴(200)는 도 1a의 노트 메뉴로 되돌아갈 수 있는 항목(201) 및 전자펜과 전자펜 기반 컴퓨터(10)를 연결할 수 있는 항목(202)이 포함되어 있다.
페이지 메뉴의 하위 메뉴로 페이지 메뉴에서 현재 표시된 페이지의 이미지 또는 썸네일을 선택하는 경우, 페이지 뷰 메뉴가 제공된다. 페이지 뷰 메뉴에는 해당 페이지에 필기된 정보, 페이지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전자펜과 블루투스 연결할 수 있는 항목 또는/및 상위 메뉴인 페이지 메뉴로 돌아갈 수 있는 항목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기설정된 어드레스로 메일을 송부할 수 있는 이메일 항목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페이지 뷰 설정 메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페이지 뷰 메뉴에 대해서는 전자펜의 필기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페이지 뷰 메뉴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펜 기반 컴퓨터(10)의 디스플레이 화면(11)에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 뷰 메뉴(300)가 도시되어 있다. 페이지 뷰 메뉴(300)는 해당 페이지에 필기된 정보(310), 페이지 정보(320), 기설정된 어드레스로 메일을 송부할 수 있는 이메일 항목(330) 및 페이지 뷰 설정 메뉴(340)가 포함된다. 또한, 전자펜과 블루투스 연결할 수 있는 항목(302) 및 상위 메뉴인 페이지 메뉴로 돌아갈 수 있는 항목(301)이 제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 기반 컴퓨터에서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컴퓨터가 소정의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 예를 들어, 페이지에서 전자펜의 필기에 따른 전자펜이 인식한 코드 정보를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한다. 코드 정보는 노트에 대한 정보 및 페이지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단계 420에서, 컴퓨터가 수신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의 궤적을 생성한다.
단계 430에서, 컴퓨터가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한다. 컴퓨터가 수신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물(예를 들어, 노트)의 정보 및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를 획득한다. 그 후,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인쇄물 또는 페이지가 획득한 인쇄물의 정보 또는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와 대응되지 않는 경우, 컴퓨터가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현재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된 인쇄물 정보가 'N-노트 No1"이고, 페이지 정보가 '04page'인 경우, 코드 정보로부터 획득된 인쇄물 정보가 'N-노트 No2' 또는 페이지 정보가 '05page'인 경우를 의미한다. 양자가 각각 대응되지 않는 경우, 컴퓨터는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에 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한다. 윈도우 크기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보다 작기만 하면 제한은 없고, 윈도우 형태에도 제한은 없다.
단계 440에서, 컴퓨터는 별도의 윈도우에 상기 생성된 필기의 궤적을 표시한다. 윈도우에 표시되는 궤적의 범위는 스트로크 단위에서 일정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아래에 도면들을 참조하여 도 4의 방법에 대한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 궤적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쇄물,즉, 노트(30)는 복수의 페이지들로 구성되어 있다. 페이지에는 페이지의 위치 정보, 페이지 정보, 노트 정보 및 기타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로 인쇄되어 있다. 전자펜(20)이 현재 노트(30)의 4 페이지(31)에 필기(510)를 했을 경우, 전자펜(20)은 필기(510)에 따른 코드 정보를 획득하여, 컴퓨터(10)로 송신한다. 그 후, 어플리케이션은 페이지 뷰 메뉴(500)에서 코드 정보를 해석하여 필기(530)를 복원하게 된다. 도 5의 경우에는, 페이지 뷰 메뉴가 4 페이지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 궤적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어플리케이션에서 페이지 뷰 메뉴(600)가 5페이지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 때, 전자펜(20)이 현재 노트(30)의 4 페이지(31)에 필기(510)를 했을 경우, 컴퓨터(10)는 별도의 윈도우(601)를 생성하고, 윈도우(601) 영역에 복원된 필기(530)를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로, 도 6과 같은 경우, 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하지 않고, 도 5와 같은 페이지 뷰 메뉴로 전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어플리케이션이 노트 메뉴이거나, 또는 페이지 메뉴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이 때, 전자펜으로부터 페이지에 필기가 있는 경우, 별도의 윈도우가 생성되고, 윈도우 영역에 필기가 복원되어 표시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 궤적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노트 메뉴(700)인 경우 복원된 필기(530)가 표시되는 윈도우(701)가 생성된 도면이고, 도 8을 참조하면, 페이지 메뉴(800)인 경우 복원된 필기(530)가 표시되는 윈도우(801)가 생성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컴퓨터가 별도의 윈도우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별도의 윈도우를 선택하는 경우, 필기가 이루어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즉,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 뷰 모드가 필기가 이루어진 페이지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윈도우(501, 701, 801)을 터치하는 경우, 도 5의 페이지로 넘어가게 된다.
또한, 페이지 뷰 모드에서 스트로크의 색상 및 굵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크 특성 변화 메뉴를 나타내는 메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후 기록될 스트로크의 굵기 또는 색상을 변화시키는 항목(900)이 제공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굵기 및 색상으로 이후 필기의 특성이 변화된다.
아래에서는 페이지 뷰 설정 메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페이지 뷰 모드에서 설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페이지 뷰 설정 메뉴가 표시된다. 페이지 뷰 설정 메뉴는 인식된 필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텍스트 변환 메뉴', 페이지마다 태그를 지정할 수 있는 '태그 메뉴', 보이스를 녹음할 수 있는 '녹음 메뉴', 녹음된 보이스 또는 저장된 필기 궤적을 리플레이할 수 있는 '리플레이 메뉴' 및 페이지를 타 어플리케이션과 공유할 수 있는 '공유 메뉴'를 포함한다. 페이지 뷰 설정 메뉴의 종류는 일 예일 뿐,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뷰 설정 메뉴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3의 페이지 뷰 설정 메뉴(340)가 선택된 경우, 텍스트 변환 메뉴 항목(1001), 태그 메뉴 항목(1002), 녹음 메뉴 항목(1003), 리플레이 메뉴 항목(1004) 및 공유 메뉴 항목(1005)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해당 메뉴에 대한 기능이 제공된다.
텍스트 변환 메뉴는 인식된 필기 궤적을 소정의 언어의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한국어, 일본어, 영어 또는 중국어 등 각국의 언어팩이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언어로 텍스로 변환된다. 컴퓨터에 언어팩이 없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다운로드를 받을 수도 있다.
태그 메뉴는 사용자가 태그를 입력하면, 페이지에 태그가 생성된다. 그 후, 태그 검색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태그에 해당하는 페이지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태그 메뉴를 선택하면, 태그를 직접 입력하거나, 기저장된 태그를 선택하여 태그를 지정할 수 있다. 태그가 지정된 경우, 해당 페이지의 소정의 부분에 태그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미리 태그 리스트가 지정되고, 페이지에서 태그 식별자, 예를 들어, 태그 리스트의 해당 태그의 번호를 전자펜을 통하여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태그가 해당 페이지에 지정될 수도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도 10의 태그 메뉴 항목(1002)이 선택된 경우, 태그 리스트 메뉴(1100)가 표시되고, 기설정된 태그(1110) 및 입력에 의하여 태그를 추가할 수 있는 항목(1120)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기설정된 태그(1110)를 선택한 경우, 도 11b와 같이 페이지에 태그 영역(1130)이 마련되고, 그 안에 선택된 태그(1131) 및 태그를 재설정할 수 있는 항목(1132)이 표시된다.
녹음 메뉴는 사용자가 보이스 녹음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녹음 기능은 페이지에 상관없이 중지 신호를 받기 전까지는 계속 제공된다. 또한, 녹음 기능은 페이지 및 필기 스트로크에 싱크된다.
리플레이 메뉴는 페이지에서의 스트로크 또는 녹음된 보이스를 재생하는 메뉴이다. 스트로크 리플레이가 선택된 경우, 페이지에 기록된 스트로크가 시간 순서에 따라 재생된다. 필기가 이루어지는 경우, 스트로크 정보에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크 재생과 관련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0의 리플레이 메뉴 항목(1004)이 선택되고, 스트로크 항목(1210)이 선택된 경우이며, 필기 궤적, 즉, 스트로크(1201)가 재생 순서에 따라 점진적으로 표시된다. 리플레이 영역(1230)에는 플레이 또는 정지 버튼(1231), 재생 시간 표시 항목(1232) 및 재생 속도 버튼(1233)이 제공된다.
보이스 리플레이가 선택된 경우, 녹음된 보이스가 시간 순서에 따라 재생된다. 스트로크와 싱크가 되어 있으므로, 보이스가 재생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스트로크 시간에 따라 스트로크의 굵기 또는 크기가 변화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재생과 관련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0의 리플레이 메뉴 항목(1004)이 선택되고, 보이스 항목(1220)이 선택된 경우이며, 녹음된 보이스 및 스트로크(1202)가 재생 순서에 따라 표시를 달리하여 표시된다. 스트로크(1202) 중 현재까지 재생된 '대한'이라는 필기는 굵게 표시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재생 시간 표시 항목(1232)을 이동하는 경우, 이동되는 시간에 따라 스트로크 및 녹음된 보이스가 이동할 수 있다. 이동된 시점부터 위에서 설명한 재생이 다시 시작된다.
공유 메뉴는 페이지를 공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페이지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변환된 이미지가 컴퓨터의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컴퓨터와 연결될 수 있는 타 기기 또는 가상의 저장소에 공유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체 메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노트메뉴에서 전체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체 메뉴(1400)는 하위 메뉴로 내 서재 메뉴 항목(1401), 날짜별 메뉴 항목(1402), 태그별 메뉴 항목(1403), 필기내용 검색 메뉴 항목(1404), 설정 메뉴 항목(1405), 공지사항 메뉴 항목(1406), 펌웨어 업데이트 메뉴 항목(1407) 등을 포함한다. 이는 일 예일뿐, 기재된 하위 메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내 서재 메뉴는 저장된 노트를 나타내는 메뉴이다. 날짜별 메뉴는 날짜에 따라 기록된 필기 또는 녹음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뉴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태그별 메뉴는 위에서 설명한 설정된 태그 정보를 나타내고 있으며, 어느 태그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태그로 지정된 페이지를 표시한다. 표시된 페이지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페이지 뷰 모드로 전환된다. 필기내용 검색 메뉴는 텍스트 변환 메뉴에 의하여 변환된 텍스트를 검색하여, 검색된 텍스트에 해당하는 페이지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된 페이지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페이지 뷰 모드로 전환된다. 설정 메뉴는 전자펜 스펙에 관한 정보인 펜 정보 항목, 어플리케이션 스펙에 관한 정보인 앱 정보 항목, 페이지 이미지를 송부하기 위한 이메일 설정 항목, 텍스트 변환 언어팩 항목,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항목 등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이 연결된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공지사항 메뉴 및 전자펜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펌웨어 업데이트 메뉴가 포함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4에서의 날짜별 메뉴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날짜별 메뉴(1500)에는 달력이 도시되어 있고, 필기 또는 녹음이 저장된 날짜에는 소정의 표시가 되어 있다. 필기 또는 녹음의 상대적인 양에 따라 길이 또는 굵기 등이 차등적으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2일(1501) 보다는 5일(1502)에 표시된 원 둘레의 길이에 따라 상대적인 양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가 있다. 즉, 2일(1501) 보다는 5일(1502)에 필기 또는 녹음된 양이 많음을 알 수가 있다. 어느 하나의 날짜를 선택하는 경우, 필기 및 녹음된 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된 필기 및 녹음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페이지로 전환하게 된다.
도 16은 전자펜의 필기를 생성하는 장치에 대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펜의 필기를 생성하는 장치, 즉, 전자펜 기반 컴퓨터(이하, '장치'라 칭함, 1600)는 전자펜(미도시)과 연결되며, 수신부(1610), 제어부(1620) 및 디스플레이부(1630)를 포함한다.
수신부(1610)는 전자펜으로부터 코드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을 처음 구동하는 경우, 제어부(1620)는 전자펜 등록하는 절차를 개시한다. 장치(1600)와 전자펜과는 블루투스로 연결될 수 있으며, 최초 연결되는 경우 페어링 모드로 진행하게 된다. 페어링 모드가 이미 설정된 경우에는, 전자펜이 온 되어 있고,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경우에는 전자펜 등록하는 절차는 진행되지 않고, 제어부(1620)는 전자펜을 자동으로 연결한다. 전자펜이 공장에서 출하되거나, 리셋 후 최초로 페어링 모드로 진행될 경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다른 장치에서 페어링 모드를 진행할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페어링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장치에서 블루투스 기능이 비활성화 된 경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이 기능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 수단을 블루투스로 기재하고 있지만, 장치와 전자펜의 무선 또는 유선 연결 수단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전자펜 등록하는 절차를 제외하고,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 경우에는 노트 메뉴가 개시된다. 어플리케이션에는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노트가 등록되어 표시된다. 노트 메뉴에는 노트에 대한 식별자, 노트의 제목, 생성일, 노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및 노트의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 등을 포함한다. 노트에 대한 식별자는 노트의 이미지 또는 썸네일일 수 있으며, 복수의 노트에 대한 식별자가 표시되거나, 또는 하나의 노트에 대한 식별자가 표시되고, 드래그 등을 통하여 다른 노트에 대한 식별자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노트 메뉴는 전자펜과 블루투스 연결할 수 있는 항목 또는/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전체 메뉴를 나타낼 수 있는 항목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펜과 블루투스 연결할 수 있는 항목은 전자펜과 장치(1600)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선택함으로써 전자펜과 장치(1600)가 연결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항목이다.
노트 메뉴의 하위 메뉴로 노트 메뉴에서 현재 표시된 노트의 이미지 또는 썸네일을 선택하는 경우, 페이지 메뉴가 제공된다. 페이지 메뉴에는 노트에 대한 식별자, 현재 페이지의 최근 사용 시간 정보,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 이미지 또는 썸네일을 포함한다. 또한, 전자펜과 블루투스 연결할 수 있는 항목 또는/및 상위 메뉴인 노트 메뉴로 돌아갈 수 있는 항목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페이지 메뉴의 하위 메뉴로 페이지 메뉴에서 현재 표시된 페이지의 이미지 또는 썸네일을 선택하는 경우, 페이지 뷰 메뉴가 제공된다. 페이지 뷰 메뉴에는 해당 페이지에 필기된 정보, 페이지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전자펜과 블루투스 연결할 수 있는 항목 또는/및 상위 메뉴인 페이지 메뉴로 돌아갈 수 있는 항목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기설정된 어드레스로 메일을 송부할 수 있는 이메일 항목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페이지 뷰 설정 메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페이지 뷰 메뉴에 대해서는 전자펜의 필기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수신부(1610)는 소정의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 예를 들어, 페이지에서 전자펜의 필기에 따른 상기 전자펜이 인식한 코드 정보를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한다. 코드 정보는 노트에 대한 정보 및 페이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1620)는 수신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의 궤적을 생성한다.
제어부(1620)는 디스플레이부(1630)에 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한다. 제어부(1620)는 수신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물(예를 들어, 노트)의 정보 및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를 획득한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1630)에 표시된 인쇄물 또는 페이지가 상기 획득한 인쇄물의 정보 또는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와 대응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20)는 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부(1630)에 표시된 인쇄물 정보가 'N-노트 No1"이고, 페이지 정보가 '04page'인 경우, 코드 정보로부터 획득된 인쇄물 정보가 'N-노트 No2' 또는 페이지 정보가 '05page'인 경우를 의미한다. 양자가 각각 대응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20)는 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한다. 윈도우 크기는 디스플레이부(1630)의 크기보다 작기만 하면 제한은 없고, 윈도우 형태에도 제한은 없다.
디스플레이부(1630)는 별도의 윈도우에 상기 생성된 필기의 궤적을 표시한다. 윈도우에 표시되는 궤적의 범위는 스트로크 단위에서 일정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하지 않고, 페이지 뷰 메뉴로 전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어플리케이션이 노트 메뉴이거나, 또는 페이지 메뉴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이 때, 전자펜으로부터 페이지에 필기가 있는 경우, 별도의 윈도우가 생성되고, 윈도우 영역에 필기가 복원되어 표시되게 된다.
수신부(1610)가 별도의 윈도우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별도의 윈도우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620)는 필기가 이루어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1630)에 표시하는 단계, 즉,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 뷰 모드가 필기가 이루어진 페이지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20)는 페이지 뷰 모드에서 스트로크의 색상 및 굵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페이지 뷰 설정 메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페이지 뷰 모드에서 설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페이지 뷰 설정 메뉴가 표시된다. 페이지 뷰 설정 메뉴는 인식된 필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텍스트 변환 메뉴', 페이지마다 태그를 지정할 수 있는 '태그 메뉴', 보이스를 녹음할 수 있는 '녹음 메뉴', 녹음된 보이스 또는 저장된 필기 궤적을 리플레이할 수 있는 '리플레이 메뉴' 및 페이지를 타 어플리케이션과 공유할 수 있는 '공유 메뉴'를 포함한다. 페이지 뷰 설정 메뉴의 종류는 일 예일 뿐,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페이지 뷰 설정 메뉴는 하위 메뉴로 텍스트 변환 메뉴, 태그 메뉴, 녹음 메뉴, 리플레이 메뉴 및 공유 메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해당 메뉴에 대한 기능이 제공된다.
텍스트 변환 메뉴는 인식된 필기 궤적을 소정의 언어의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한국어, 일본어, 영어 또는 중국어 등 각국의 언어팩이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언어로 텍스로 변환된다. 장치(1600)에 언어팩이 없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다운로드를 받을 수도 있다.
태그 메뉴는 사용자가 태그를 입력하면, 제어부(1620)는 페이지에 태그를 생성한다. 그 후, 태그 검색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태그에 해당하는 페이지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태그 메뉴를 선택하면, 태그를 직접 입력하거나, 기저장된 태그를 선택하여 태그를 지정할 수 있다. 태그가 지정된 경우, 제어부(1620)는 해당 페이지의 소정의 부분에 태그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미리 태그 리스트가 지정되고, 페이지에서 태그 식별자, 예를 들어, 태그 리스트의 해당 태그의 번호를 전자펜을 통하여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태그가 해당 페이지에 지정될 수도 있다.
녹음 메뉴는 사용자가 보이스 녹음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녹음 기능은 페이지에 상관없이 중지 신호를 받기 전까지는 계속 제공된다. 또한, 녹음 기능은 페이지 및 필기 스트로크에 싱크된다.
리플레이 메뉴는 페이지에서의 스트로크 또는 녹음된 보이스를 재생하는 메뉴이다. 스트로크 리플레이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620)는 페이지에 기록된 스트로크가 시간 순서에 따라 재생한다. 필기가 이루어지는 경우, 스트로크 정보에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보이스 리플레이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620)는 녹음된 보이스를 시간 순서에 따라 재생한다. 스트로크와 싱크가 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620)는 보이스가 재생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스트로크 시간에 따라 스트로크의 색상, 굵기 또는 크기를 변화시킨다.
재생 시간 표시 항목이 이동되는 경우, 제어부(1620)는 이동되는 시간에 따라 스트로크 및 녹음된 보이스가 이동시키고, 이동된 시점부터 위에서 설명한 재생을 다시 시작한다.
공유 메뉴는 페이지를 공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페이지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변환된 이미지가 컴퓨터의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컴퓨터와 연결될 수 있는 타 기기 또는 가상의 저장소에 공유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체 메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메뉴는 하위 메뉴로 내 서재 메뉴, 날짜별 메뉴, 태그별 메뉴, 필기내용 검색 메뉴, 설정 메뉴, 공지사항 메뉴, 펌웨어 업데이트 메뉴 등을 포함한다. 이는 일 예일뿐, 기재된 하위 메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내 서재 메뉴는 저장된 노트를 나타내는 메뉴이다. 날짜별 메뉴는 날짜에 따라 기록된 필기 또는 녹음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뉴이다. 제어부(1620)는 날짜별 메뉴를 제공한다. 날짜별 메뉴에는 달력이 도시되어 있고, 필기 또는 녹음이 저장된 날짜에는 소정의 표시가 되어 있다. 제어부(1620)는 필기 또는 녹음의 상대적인 양에 따라 길이 또는 굵기 등을 차등적으로 표시한다. 제어부(1620)는 어느 하나의 날짜를 선택하는 경우, 필기 및 녹음된 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된 필기 및 녹음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페이지로 전환하게 된다. 태그별 메뉴는 위에서 설명한 설정된 태그 정보를 나타내고 있으며, 어느 태그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태그로 지정된 페이지를 표시한다. 표시된 페이지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페이지 뷰 모드로 전환된다. 필기내용 검색 메뉴는 텍스트 변환 메뉴에 의하여 변환된 텍스트를 검색하여, 검색된 텍스트에 해당하는 페이지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된 페이지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페이지 뷰 모드로 전환된다. 설정 메뉴는 전자펜 스펙에 관한 정보인 펜 정보 항목, 어플리케이션 스펙에 관한 정보인 앱 정보 항목, 페이지 이미지를 송부하기 위한 이메일 설정 항목, 텍스트 변환 언어팩 항목,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항목 등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이 연결된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공지사항 메뉴 및 전자펜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펌웨어 업데이트 메뉴가 포함된다. 장치에 대한 설명에서, 도 1a 내지 도 15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예에 대한 설명은 동일하기에 생략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하는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전자펜 기반 컴퓨터에서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소정의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에서 전자펜의 필기에 따른 상기 전자펜이 획득한 코드 정보를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는 인쇄물 정보 및 상기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가 상기 수신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물 정보 및 상기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필기의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인쇄물 또는 페이지가 상기 획득한 인쇄물 정보 또는 상기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와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컴퓨터가 상기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가 상기 별도의 윈도우에 상기 생성된 필기의 궤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가 상기 별도의 윈도우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에 따른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가 상기 필기의 궤적 및 녹음된 보이스를 리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기의 궤적과 녹음된 보이스는 시간적으로 싱크되어 있으며, 상기 녹음된 보이스의 시간적 순서에 따라 필기의 궤적의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상기 필기의 궤적 및 녹음된 보이스에 대한 존재 여부를 날짜별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기의 궤적 및 녹음된 보이스의 개수에 따라 표시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하는 방법.
  3.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에서 전자펜의 필기에 따른 상기 전자펜이 획득한 코드 정보를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인쇄물 정보 및 상기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물 정보 및 상기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필기의 궤적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인쇄물 또는 페이지가 상기 획득한 인쇄물 정보 또는 상기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와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별도의 윈도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별도의 윈도우에 상기 생성된 필기의 궤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별도의 윈도우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물에서의 페이지 정보에 따른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의 궤적 및 녹음된 보이스를 리플레이하고, 상기 필기의 궤적과 녹음된 보이스는 시간적으로 싱크되어 있으며, 상기 녹음된 보이스의 시간적 순서에 따라 필기의 궤적의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하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의 궤적 및 녹음된 보이스에 대한 존재 여부를 날짜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필기의 궤적 및 녹음된 보이스의 개수에 따라 표시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의 필기를 표시하는 장치.
KR1020160183642A 2016-12-30 2016-12-30 전자펜 관련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2154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642A KR102154020B1 (ko) 2016-12-30 2016-12-30 전자펜 관련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642A KR102154020B1 (ko) 2016-12-30 2016-12-30 전자펜 관련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367A Division KR20160032825A (ko) 2014-06-19 2014-09-17 전자펜 관련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01A KR20170003901A (ko) 2017-01-10
KR102154020B1 true KR102154020B1 (ko) 2020-09-09

Family

ID=5781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642A KR102154020B1 (ko) 2016-12-30 2016-12-30 전자펜 관련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106B1 (ko) * 2017-12-28 2023-10-25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데이터 기록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한 기록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0766A (ja) 2011-08-30 2013-03-1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コンピュータ装置、シートセット、シート、及びプログラム
JP2013238917A (ja) 2012-05-11 2013-11-28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文書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705B1 (ko) * 2007-04-26 2009-07-01 주식회사 이지시스템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5451599B2 (ja) * 2007-05-29 2014-03-26 ライブスクライブ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モーダルスマートペン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0766A (ja) 2011-08-30 2013-03-1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コンピュータ装置、シートセット、シート、及びプログラム
JP2013238917A (ja) 2012-05-11 2013-11-28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文書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01A (ko)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008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CN102473304B (zh) 元数据标记系统、图像搜索方法和设备、及其用于标记手势的方法
CN101930779B (zh) 一种视频批注方法及视频播放器
KR101921203B1 (ko) 녹음 기능이 연동된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8194081B2 (en) Animation of audio ink
US20150380058A1 (en) Method, device, terminal, and system for audio recording and playing
CN110297550B (zh) 一种标注显示方法、装置、投屏设备、终端和存储介质
US20130130216A1 (en) Custom narration of electronic books
CN102754352A (zh) 提供多个应用的信息的方法和装置
JP2005202863A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装置及び記録媒体
US20150058007A1 (en) Method for modifying text data corresponding to voice data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JP2019503004A5 (ko)
CN103024493A (zh) 视频设备及其控制方法和包括其的视频系统
US9195697B2 (en) Correlation of written notes to digital content
US20170061206A1 (en) Organizing written notes using contextual data
GB2503888A (en) Expandable video playback timeline that includes the location of tag content.
CN103530320A (zh) 多媒体文件处理方法、装置及终端
US20170124389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333421A1 (en) Remote control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2154020B1 (ko) 전자펜 관련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
KR20230149797A (ko) 전자 기기 및 전자기기의 구동 방법
KR101969583B1 (ko) 컨텐츠 관리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US20230054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udiovisual work, device, and medium
CN105051819B (zh) 用于控制收藏环境的装置和方法
KR20160032825A (ko) 전자펜 관련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