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354B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354B1
KR102153354B1 KR1020200054177A KR20200054177A KR102153354B1 KR 102153354 B1 KR102153354 B1 KR 102153354B1 KR 1020200054177 A KR1020200054177 A KR 1020200054177A KR 20200054177 A KR20200054177 A KR 20200054177A KR 102153354 B1 KR102153354 B1 KR 102153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 plate
seat
shaf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베스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툴 filed Critical (주)베스툴
Priority to KR102020005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47C3/185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self-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판부 및 사용자의 둔부를 떠받치기 위해 상기 등판부와 연결되는 좌판부를 포함하되, 좌판부는 좌판부 고정홈이 형성된 좌판부 바닥을 구비하는 시트 어셈블리와, 시트 어셈블리의 하측에 배치되어 시트 어셈블리를 떠받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결합되어 시트 어셈블리를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회전 지지유닛은, 좌판부 고정홈에 대응하는 좌판 커버 홀을 구비하고, 좌판 커버 홀을 통해 좌판부 고정홈에 결합되는 좌판 커버 고정부재에 의해 좌판 바닥을 덮도록 좌판부에 조립되는 좌판 커버와, 프레임에 고정되는 샤프트와, 좌판 커버에 결합되어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형의 지지축부와, 지지축부를 감싸면서 지지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축부 및 간이 테이블을 떠받칠 수 있도록 중공축부에서 좌판부보다 높게 연장되는 지지대 바디를 구비하는 회전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자{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트 어셈블리 및 시트 어셈블리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을 기존 골격 구조로 하되,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 지지유닛의 가이딩 구조를 적용하여 시트 어셈블리의 회전 이동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함은 물론,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높이고 조립 용이성이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학교, 학원, 도서관, 공공기관, 각종 산업체의 사무실, 회의실 등 매우 다양한 사용처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의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구성 이외에 용도, 품질, 사양, 적용 분야,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구조로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받치는 좌판과,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와, 좌판과 등받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한다. 의자의 종류에 따라 이러한 기본 구성 이외에, 좌판의 양측으로는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기 위한 팔걸이가 구비되기도 하고, 등받이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 받침대가 설치되기도 한다.
착석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영역이 더욱 넓어짐에 따라 최근에는 태블릿 형태의 소형 받침대 또는 사용자의 소지품 등을 수납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구조와 같이 사용자의 착석과 같은 의자의 본질적인 기능 이외 부가적인 기능이 함께 구현된 형태의 의자도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의자의 경우, 주로 개별 기능을 구현하는 특화된 구조로만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의 착석을 위한 좌판 구조 등과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착석과 관련된 사용자 편의성이 충분히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기능성 의자의 경우, 개별 기능의 구현에는 어느 정도 효용성이 있을지는 모르나, 특화된 개별 기능만을 위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현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4329호(2013.07.1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5600호(2000.01.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착석을 위한 구성과 사용자 편의성 등을 위한 다양한 구성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의자 본연의 기능은 물론, 사용자의 착석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이 더욱 효과적으로 통합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판부 및 사용자의 둔부를 떠받치기 위해 상기 등판부와 연결되는 좌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좌판부는 좌판부 고정홈이 형성된 좌판부 바닥을 구비하는 시트 어셈블리; 상기 시트 어셈블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 어셈블리를 떠받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 어셈블리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지지유닛은, 상기 좌판부 고정홈에 대응하는 좌판 커버 홀을 구비하고, 상기 좌판 커버 홀을 통해 상기 좌판부 고정홈에 결합되는 좌판 커버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좌판 바닥을 덮도록 상기 좌판부에 조립되는 좌판 커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좌판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형의 지지축부; 및 상기 지지축부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축부 및 간이 테이블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축부에서 상기 좌판부보다 높게 연장되는 지지대 바디를 구비하는 회전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샤프트를 고정하기 위한 샤프트 고정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받침대 관통구를 갖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 관통구에 대응하는 샤프트 고정홈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받침대 위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부의 하단부를 떠받칠 수 있는 헤드부와, 상기 지지축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헤드부의 중앙에 돌출 구비되는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판 커버는, 상기 지지축부가 통과할 수 있는 좌판 커버 관통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축부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좌판 커버에 구비되는 좌판 커버 고정홈에 대응하는 지지 플레이트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좌판 커버 고정홈에 삽입되는 지지플레이트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축부가 상기 좌판 커버 관통구에 삽입되도록 상기 좌판 커버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축부의 내경보다 큰 폭을 갖고,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된 샤프트 결합홈에 삽입되는 와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축부의 상단 위쪽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와 상기 지지축부를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지지유닛은, 상기 헤드부에 접하여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지지축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슬리브와, 상기 와셔에 접하여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지지축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지지유닛은, 상기 헤드부에 접하여 상기 지지축부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중공축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부싱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접하여 상기 지지축부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중공축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어셈블리는, 상기 등판부의 좌우 양측에 상기 좌판부보다 높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팔걸이부; 및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 각각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오목한 패드 안착부에 결합되는 팔걸이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어셈블리는, 상기 좌판부 바닥으로부터 돌출되는 좌판부 보스;를 포함하되, 상기 좌판부 고정홈이 상기 좌판부 보스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착석을 위한 구성은 물론, 부가적인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하여 다양한 기능이 더욱 조화롭게 구현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조립 및 분해 작업 등이 더욱 쉽게 구현되어 구성품의 교체, 수리 등의 작업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보관 및 운반 등의 용이성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사용자의 둔부 및 등을 지지할 수 있는 시트 어셈블리와 간이 테이블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대가 각각 독립적으로 프레임에 대해 회전 작동할 수 있어 개별 기능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통합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시트 어셈블리와 회전 지지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시트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시트 어셈블리와 회전 지지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X축 방향은 전후 방향을, Y축 방향은 좌우 방향을, Z축 방향은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100)는 사용자의 둔부 및 등을 떠받칠 수 있는 시트 어셈블리(200), 시트 어셈블리(200)를 떠받치는 형태로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300), 시트 어셈블리(200)를 프레임(3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유닛(400) 및 테이블 어셈블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 어셈블리(200)는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시트 프레임(210) 및 사용자의 둔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시트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좌판(230)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 프레임(210)은 사용자의 둔부를 떠받치기 위한 좌판부(211),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좌판부(211)와 연결되는 등판부(213) 및 등판부(213)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팔걸이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좌판부(211)의 하측에는 복수의 좌판부 보스(218)가 돌출되는 좌판부 바닥(217)이 구비되며, 좌판부 보스(218)에는 회전 지지유닛(400)의 좌판 커버(410)를 시트 어셈블리(200)에 고정하는 좌판 커버 고정부재(416)가 삽입되는 좌판부 고정홈(219)이 형성된다.
또한, 좌판부(211)에는 좌판(230)을 시트 프레임(210)에 고정하기 위한 좌판 고정부재(236)가 삽입되는 복수의 좌판부 관통구(220)가 구비된다. 한 쌍의 팔걸이부(215) 각각의 상단부에는 탄성력이 있는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팔걸이 패드(224)가 결합되는, 오목 형상 등의 패드 안착부(222)가 구비된다.
좌판(230)은 좌판부(211)에 결합되는 좌판쉘(231)과 좌판쉘(231)에 결합되어 좌판쉘(231)을 덮는 좌판 쿠션(234)을 포함한다. 좌판쉘(231)에는 좌판 고정부재(236)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좌판쉘 고정홈(232)이 구비되며, 좌판 쿠션(234)은 좌판쉘(231)의 상면을 덮도록 좌판쉘(231)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좌판(230)은 좌판부(211)를 덮은 상태에서 좌판 고정부재(236)가 좌판부(211)의 좌판부 관통구(220)를 통해 좌판쉘(231)의 좌판쉘 고정홈(232)에 삽입됨으로써 좌판부(211)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300)은 시트 어셈블리(200)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프레임(300)의 상단부에는 시트 어셈블리(200)와 결합되는 회전 지지유닛(400)이 고정되며 복수의 받침대 관통구(311)가 형성된 받침대(310)가 구비된다.
회전 지지유닛(400)에 결합되어 회전 지지유닛(400)을 받침대(310)에 고정하기 위한 샤프트 고정부재(426)가 받침대 관통구(311)를 통해 받침대(310) 위에 놓이는 회전 지지유닛(4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300)의 하측에는 이동 용이성 등을 위한 복수의 휠(313)이 설치될 수 있다.
받침판(315)은 받침대(310)의 상면을 덮도록 받침대(310) 위에 결합되는데 받침판(315)의 상면을 받침대(310)의 상면보다 넓도록 구성하는 경우 회전 지지유닛(40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받침판(315)의 중앙 부분에는 회전 지지유닛(400)의 샤프트(420)가 삽입될 수 있는 받침판 관통구(316)가 형성된다.
회전 지지유닛(400)은 프레임(300)의 받침대(310) 위에 결합되어 시트 어셈블리(200)를 프레임(3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시트 어셈블리(200)가 Z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지지유닛(400)은 시트 프레임(210)의 좌판부(211)에 결합되는 좌판 커버(410), 프레임(300)에 고정되는 샤프트(420), 좌판 커버(410)에 고정되어 샤프트(4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부(430) 및 테이블 어셈블리(500)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축부(4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지지대(440)를 포함한다.
좌판 커버(410)는 좌판부(211)의 좌판부 바닥(217)을 덮도록 좌판부(211)의 하부에 결합되며, 좌판 커버(410)에는 지지축부(430)가 삽입될 수 있는 좌판 커버 관통구(411)가 좌판 커버(4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좌판 커버(410)는 좌판부(211)의 좌판부 고정홈(219)에 대응하는 복수의 좌판 커버 홀(413)을 구비하며, 좌판 커버 홀(413)을 통해 좌판부 고정홈(219)에 결합되는 좌판 커버 고정부재(416)에 의해 좌판부(21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좌판부 고정홈(219)은 좌판부 바닥(217)으로부터 돌출되는 좌판부 보스(218)에 형성되므로, 좌판 커버(410)가 좌판부(211)에 결합될 때 좌판부(211)와 좌판 커버(410)의 사이에는 좌판부 보스(218)로 인해 공간이 마련되고, 좌판부(211)와 좌판 커버(410) 사이의 이 공간에 회전 지지유닛(400)의 일부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좌판 커버(410)에는 복수의 좌판 커버 고정홈(414)이 형성된다.
샤프트(420)는 프레임(300)의 받침대(310)에 접하여 받침대(310)에 고정되는 헤드부(421) 및 헤드부(421)의 중앙에 돌출 구비되는 바디부(422)를 포함하며, 지지축부(430)의 하단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헤드부(421)의 폭은 바디부(422)의 폭보다 크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310)의 받침대 관통구(311)에 대응하는 샤프트 고정홈(423)이 헤드부(421)에 형성되며, 헤드부(421)는 이 받침대 관통구(311)를 통해 샤프트 고정홈(423)에 결합되는 샤프트 고정부재(426)에 의해 받침대(310) 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바디부(422)의 상단부에는 샤프트 결합홈(424)이 형성된다.
지지축부(430)는 샤프트(420)의 바디부(422)를 감싸면서 바디부(4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져 샤프트(420)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지지축부(430)는 지지플레이트(432)를 통해 좌판 커버(410)에 결합되며, 지지플레이트(432)의 중앙 부분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지지플레이트(432)에 고정된다.
지지플레이트(432)에는 좌판 커버(410)의 좌판 커버 고정홈(414)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 관통구(433)가 형성되며, 지지플레이트(432)는 이 지지플레이트 관통구(433)를 통해 좌판 커버 고정홈(414)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 고정부재(435)에 의해 좌판 커버(410)의 상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플레이트(432)가 좌판 커버(410)에 고정됨으로써, 지지축부(430)가 좌판 커버 관통구(411)를 통해 좌판 커버(4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좌판 커버(41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축부(430)의 상측에는 지지축부(430)의 내경보다 큰 폭을 가짐으로써 지지축부(430)가 샤프트(4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와셔(450)가 배치되어 샤프트(420)와 지지축부(430)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축부(430)를 지지할 수 있다.
와셔(450)는 와셔(450)를 관통하여 샤프트(420)의 샤프트 결합홈(424)에 삽입되는 와셔 결합부재(452)에 의해 샤프트(4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와셔(450)와 와셔 결합부재(452)의 상단부는 좌판부(211)와 좌판 커버(410)의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다.
샤프트(420)와 지지축부(430)의 사이에는 바디부(422)의 하단부를 감싸는 하부 슬리브(461) 및 바디부(422)의 상단부를 감싸는 상부 슬리브(462)를 포함하는 슬리브 어셈블리(460)가 배치된다.
하부 슬리브(461)의 하단부는 헤드부(421)에 접하도록 위치하며 하부 슬리브(461)는 지지축부(43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샤프트(420)와 지지축부(430)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지지축부(430)를 바디부(42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단부가 와셔(450)에 접하는 상부 슬리브(462)는 지지축부(43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샤프트(420)와 지지축부(430)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지지축부(430)를 바디부(42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슬리브 어셈블리(460)의 작용으로 지지축부(430)는 샤프트(420)에 대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지지대(440)는 지지축부(4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축부(441) 및 테이블 어셈블리(500)를 떠받칠 수 있도록 중공축부(441)에 연결되는 지지대 바디(44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중공축부(441)는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져 지지축부(430)를 감싸면서 지지축부(4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축부(430)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샤프트(420)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대 바디(442)는 중공축부(441)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단부가 좌판(230)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축부(430)와 중공축부(441)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싱 어셈블리(470)는 지지축부(430)의 하단부를 감싸는 하부 부싱(471) 및 지지축부(430)의 상단부를 감싸는 상부 부싱(472)을 포함한다.
하단부가 헤드부(421)에 접하는 하부 부싱(471)은 중공축부(441)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축부(430)와 중공축부(441)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중공축부(441)를 지지축부(4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단부가 지지플레이트(432)에 접하는 상부 부싱(472)은 중공축부(441)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축부(430)와 중공축부(441)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중공축부(441)를 지지축부(4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부싱 어셈블리(470)의 작용으로 중공축부(441)는 지지축부(430)에 대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테이블 어셈블리(500)는 간이 테이블(태블릿)(510) 및 지지대 바디(44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테이블 어셈블리(5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폴딩유닛(520)을 포함한다. 간이 테이블(510)은 사용자가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수평으로 펴지거나, 수직으로 접힐 수 있으며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간이 테이블(510)에는 컵을 지지할 수 있는 컵 홀더(5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100)는 사용자의 소지품이나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프레임(300)의 하측에 배치되는 트레이(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100)는 시트 어셈블리(200)가 먼저 조립되고, 도 13 내지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트 어셈블리(200)에 회전 지지유닛(400)이 조립된 후,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회전 지지유닛(400)이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예를 들어, 도면에는 시트 어셈블리(200)가 시트 프레임(210)의 좌판부(211)에 좌판(230)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시트 어셈블리(20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00)의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회전 지지유닛(400)을 구성하는 구성 부품 각각의 구조나, 구성 부품들 간의 연결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이 상호간의 구성(요소)을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나 표현은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이거나, 절대적인 기준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을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의자 200 : 시트 어셈블리
210 : 시트 프레임 211 : 좌판부
213 : 등판부 215 : 팔걸이부
217 : 좌판부 바닥 218 : 좌판부 보스
224 : 팔걸이 패드 230 : 좌판
231 : 좌판쉘 234 : 좌판 쿠션
300 : 프레임 310 : 받침대
315 : 받침판 400 : 회전 지지유닛
410 : 좌판 커버 420 : 샤프트
421 : 헤드부 422 : 바디부
430 : 지지축부 432 : 지지플레이트
440 : 회전 지지대 441 : 중공축부
442 : 지지대 바디 450 : 와셔
460 : 슬리브 어셈블리 461 : 하부 슬리브
462 : 상부 슬리브 470 : 부싱 어셈블리
471 : 하부 부싱 472 : 상부 부싱
500 : 테이블 어셈블리 510 : 간이 테이블
520 : 폴딩유닛 600 : 트레이

Claims (7)

  1.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판부 및 사용자의 둔부를 떠받치기 위해 상기 등판부와 연결되는 좌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좌판부는 좌판부 고정홈이 형성된 좌판부 바닥을 구비하는 시트 어셈블리;
    상기 시트 어셈블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 어셈블리를 떠받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 어셈블리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지지유닛은,
    상기 좌판부 고정홈에 대응하는 좌판 커버 홀을 구비하고, 상기 좌판 커버 홀을 통해 상기 좌판부 고정홈에 결합되는 좌판 커버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좌판부 바닥을 덮도록 상기 좌판부에 조립되는 좌판 커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좌판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형의 지지축부; 및
    상기 지지축부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축부 및 간이 테이블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축부에서 상기 좌판부보다 높게 연장되는 지지대 바디를 구비하는 회전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샤프트를 고정하기 위한 샤프트 고정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받침대 관통구를 갖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 관통구에 대응하는 샤프트 고정홈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받침대 위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부의 하단부를 떠받칠 수 있는 헤드부와, 상기 지지축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헤드부의 중앙에 돌출 구비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 커버는 상기 지지축부가 통과할 수 있는 좌판 커버 관통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축부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좌판 커버에 구비되는 좌판 커버 고정홈에 대응하는 지지 플레이트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좌판 커버 고정홈에 삽입되는 지지플레이트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축부가 상기 좌판 커버 관통구에 삽입되도록 상기 좌판 커버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축부의 내경보다 큰 폭을 갖고,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된 샤프트 결합홈에 삽입되는 와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축부의 상단 위쪽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와 상기 지지축부를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유닛은,
    상기 헤드부에 접하여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지지축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슬리브와,
    상기 와셔에 접하여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지지축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유닛은,
    상기 헤드부에 접하여 상기 지지축부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중공축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부싱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접하여 상기 지지축부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중공축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어셈블리는,
    상기 등판부의 좌우 양측에 상기 좌판부보다 높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팔걸이부; 및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 각각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오목한 패드 안착부에 결합되는 팔걸이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어셈블리는,
    상기 좌판부 바닥으로부터 돌출되는 좌판부 보스;를 포함하되,
    상기 좌판부 고정홈이 상기 좌판부 보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200054177A 2020-05-07 2020-05-07 의자 KR102153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177A KR102153354B1 (ko) 2020-05-07 2020-05-07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177A KR102153354B1 (ko) 2020-05-07 2020-05-07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354B1 true KR102153354B1 (ko) 2020-09-08

Family

ID=7245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177A KR102153354B1 (ko) 2020-05-07 2020-05-07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3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7660A (zh) * 2021-11-30 2022-02-11 杭州恒丰家具有限公司 翻转机构及座椅
KR102558148B1 (ko) * 2022-12-09 2023-07-24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위치 가변식 상판을 구비한 기능성 수강의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600Y1 (ko) 1997-10-23 2000-04-01 이종철 등받이가 절첩되는 회전식 의자
KR20080104784A (ko) * 2007-05-29 2008-12-03 윤경호 틸팅고정좌판 및 상기 틸팅고정좌판이 구비되는 의자
US20110187164A1 (en) * 2010-02-01 2011-08-04 Corcorran Sean M Seating Unit
KR20130004329U (ko) 2010-05-21 2013-07-12 박종근 가슴받이 의자의 회전캡 조립구조
US20150164233A1 (en) * 2013-12-13 2015-06-18 Kun-Yu Hsieh Armrest pad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600Y1 (ko) 1997-10-23 2000-04-01 이종철 등받이가 절첩되는 회전식 의자
KR20080104784A (ko) * 2007-05-29 2008-12-03 윤경호 틸팅고정좌판 및 상기 틸팅고정좌판이 구비되는 의자
US20110187164A1 (en) * 2010-02-01 2011-08-04 Corcorran Sean M Seating Unit
KR20130004329U (ko) 2010-05-21 2013-07-12 박종근 가슴받이 의자의 회전캡 조립구조
US20150164233A1 (en) * 2013-12-13 2015-06-18 Kun-Yu Hsieh Armrest pad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7660A (zh) * 2021-11-30 2022-02-11 杭州恒丰家具有限公司 翻转机构及座椅
CN114027660B (zh) * 2021-11-30 2024-05-28 杭州恒丰家具有限公司 翻转机构及座椅
KR102558148B1 (ko) * 2022-12-09 2023-07-24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위치 가변식 상판을 구비한 기능성 수강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354B1 (ko) 의자
CA1133820A (en) Musician's chair
CN107949302A (zh) 具有多功能椅背的教室座椅
US11647839B2 (en) Rotating work surface system for a chair
US20200239112A1 (en) Bar lounger
KR200414710Y1 (ko) 접이식 의자용 테이블구조
JP3212646B2 (ja) 積み重ね可能な回転椅子
US6186591B1 (en) Table with self-adjusting midframe support
KR102154696B1 (ko) 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200383047Y1 (ko) 헤드레스트를 가지는 의자
KR200414598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KR200157026Y1 (ko)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CN209769736U (zh) 一种安装在座椅扶手上的茶几
CN209610424U (zh) 一种多功能座椅
KR101293305B1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KR20200076849A (ko) 회전 소파
JP2008506438A (ja) 椅子
KR200396832Y1 (ko) 바 의자
JP7338373B2 (ja) 椅子
JP2005103021A (ja) 椅子
CN217390294U (zh) 一种可拆卸支撑腿结构及具有该结构的坐具
CN219556742U (zh) 一种便携式折叠结构及具有该结构的折叠椅
KR102558148B1 (ko) 위치 가변식 상판을 구비한 기능성 수강의자
KR200377422Y1 (ko) 의자용 머리받침부
KR101915210B1 (ko) 연결식 의자용 메모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