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137B1 - 비행직진성과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비행직진성과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137B1
KR102153137B1 KR1020200002068A KR20200002068A KR102153137B1 KR 102153137 B1 KR102153137 B1 KR 102153137B1 KR 1020200002068 A KR1020200002068 A KR 1020200002068A KR 20200002068 A KR20200002068 A KR 20200002068A KR 102153137 B1 KR102153137 B1 KR 102153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core
projectile
slu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레텍
Priority to KR1020200002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04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armour-pierc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 F42B33/001Devices or processes for assembling ammunition, cartridges or cartridge elements from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직진성 및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총열의 강선과 밀착된 자켓만 회전력을 갖게 되고, 그 외의 부분 요소(코어, 슬러그)들은 회전하지 못하는 구성의 구조를 자켓의 회전과 동일하게 각 부분 요소들이 밀착 고정되는 구조를 구비한다.
또한, 목표물에 탄착되는 순간에도 외부에서 회전력을 얻는 자켓과 코어가 받는 힘의 균형이 달라 외부 요소는 외주면이 벌어지고 타격하는 코어의 충격순간에 뒤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발사체의 후미에서 발생되어 진행하는 에너지를 모두 전달받지 못하는 구조를 개선하는 구조를 구비하여, 종래의 발사체(탄환)들의 단점을 구조적으로 개선하고, 경제적인 제조를 통해 초기 비행안정과 집중도(명중률)와 관통력이 개선되고 경제적인 발사체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행직진성과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Projectiles that increase flight straightness and destructive powe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행직진성 및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발사체의 유형은 볼 유형(Ball Type), 아모피어싱 유형(AP Type), 특수 유형(Special Type)이 있다.
이들 여러 유형의 발사체를 구성하는 요소는 관통을 위한 코어와 발사체 무게를 증대시키는 슬러그와 이를 코어 또는 슬러그를 감싸서 총강의 강선을 접촉하여 빠른 회전으로 총열을 통과하기 위한 재질로 자켓화하여 구성한다.
발사체들은 총열내 강선에 의한 회전력을 직접 받는 자켓의 회전력이 슬러그 및 코어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코어와 슬러그 및 자켓과 접촉되는 외주면의 일정 영역에 발사체의 진행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균등하게 분배한 회전결합 홈을 구비한다.
또한, AP Type에도 코어에는 상기와 같은 회전결합 홈을 포함하고, 코어와 결합되는 접촉면의 자켓이 일정 두께가 회전결합 홈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단턱을 둔다.
상기의 단턱은 발사체가 발사될 때의 충격과 힘에 의해 코어가 뒤로 밀리거나, 전방으로 이탈할려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턱을 두어 코어가 비행중에는 이탈하지 못하게 한다.
* 볼 유형(Ball Type) : 도2-A 헤드부의 코어, 중간부에서 하단부까지의 슬러그를 외부에서 코어와 슬러그를 자켓으로 감싸 있는 형태
* 아모피어싱 유형(AP Type) : 코어를 선단부에 일정 부분을 노출하고, 중간부에서 후단부까지를 슬러그를 구성하여 코어의 노출되지 않은 부분과 슬러그를 감싸 를 두고 자켓으로 감싸 있는 형태
* 특수한 유형(Special Type) : 긴 코어를 선단에서 후단부까지 형성하며 중간부에 자켓으로 감싸 있는 형태
종래의 발사체는 총열내 강선에 의한 회전 관성력으로 총구(총열)을 떠난 발사체는 빠르게 회전하여 직진성을 유지하여 비행한다.
통상의 발사체들의 구성은 헤드부의 코어, 슬러그, 코어와 슬러그를 감싸 있는 자켓으로 그성하는 볼 유형(Ball Type)이거나 코어를 선단부에 두고, 중간부에서 후단부까지를 자켓으로 감싸있는 아모피어싱 유형(AP Type), 긴 코어를 선단에서 후단부까지 형성하며 중간부에 자켓으로 감싸있는 특수 유형(Special Type)으로써, 모든 유형이 코어, 슬러그, 자켓과 같은 부분 요소들을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특히, 발사체의 자켓은 강선에 접촉되어 초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각 유형의 발사체를 구성하는 요소는 각기 분리되어 있거나, 고정 결합시켜도 총열내 강선의 회전을 직접 받는 자켓과 분리되어 구성함으로써, 총열의 강선과 밀착된 자켓만 회전력을 받게 되고, 그 외의 부분 요소(코어, 슬러그 등)들은 회전하지 못하거나, 밀착되어 회전력을 갖는 자켓보다 감소된 회전력으로 회전하게 되어, 발사체의 전체적인 회전 관성력이 좋지 못하게 된다.
최근에는 일부 유형의 발사체에서는 내부 슬러그와 자켓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적용하기도 하나, 가장 선단부에 있는 코어와의 고정 결합은 고려하지 못해 정확도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발사체는 집중도(명중률)가 좋지 않게 되며, 회전관성력을 잃게 되어 비행 직진성이 현저히 떨어져 사거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코어가 외부로 도출되어 결합된 AP(Armed piecing)유형의 발사체는 상기와 같은 비행간의 단점을 포함하고, 목표물에 탄착되는 순간에도 외부에서 회전력을 얻는 자켓과 코어가 받는 힘의 균형이 달라 외부 요소는 외주면이 벌어지고 타격하는 코어의 충격순간에 뒤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발사체의 후미에서 발생되어 진행하는 에너지를 모두 전달받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AP Type, Special Type 구조의 발사체들은 비행 중 흔들림과 목표물을 타격하는 순간에 에너지 집중이 제한되어 집중도가 떨어지고, 사거리 및 관통력(파괴력)이 현저히 감소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발사체의 단점을 구조적으로 개선하고, 경제적인 제조를 통해 초기 비행안정과 집중도(명중률) 및 관통력(파괴력)이 개선된 전투력을 향상시키는 발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총열의 강선과 밀착된 자켓만 회전력을 갖게 되고, 그 외의 부분 요소(코어, 슬러그)들은 회전하지 못하거나, 회전이 감쇄되지 않는 요소들이 압착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
또한, 목표물에 탄착되는 순간에도 외부에서 회전력을 얻는 자켓과 코어가 받는 힘의 균형이 달라 외부 요소는 외주면이 벌어지고 타격하는 코어가 목표물과 충격순간에 목표물의 방탄력에 의해 뒤로 가해져 운동에너지가 상쇄되지 않도록 발사체의 후미에서 발생되어 진행하는 에너지를 모두 전달되도록 구조를 개선한다.
본 발명의 비행직진성 및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모든 부분 요소가 진행방향으로 형성되는 일정구간에 발사체의 진행방향의 홈에 의해 결합되어 외부자켓이 받는 회전력과 동일하게 부분요소를 회전할 수 있도록 부분요소간 결합되는 외주면에 음각홈의 형태로 하나 이상을 균등하게 구비한다.
AP Type, Special Type과 같이 코어(10)가 외부에 돌출되거나 고정결합되는 요소들간의 회전결합 홈(12-1)을 포함하고, 코어(10)와 결합되는 자켓(30)의 접촉면을 일정 두께(A11)로 결합시키고, 코어가 뒤로 밀리거나, 전방으로 이탈할려는 것을 방지토록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턱(11)을 두어 코어가 비행중에는 이탈하지 못하는 구조로 개선한다.
상기의 음각 홈이나 이탈 방지턱의 홈에는 결합되는 자켓이나 슬러그의 재질이 압착될 때, 홈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게 함으로써 결함을 견고하게 제조방법을 작용한다.
이로 인해, 종래의 발사체들의 단점을 구조적으로 개선하고, 경제적인 제조를 통해 초기 비행안정과 집중도(명중률)와 관통력이 개선되고 경제적인 발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종래의 발사체들의 단점을 구조적으로 개선하여 경제적인 제조를 통해 비행직진성 및 집중도(명중률)와 관통력(파괴력)이 개선되고 경제적인 발사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AP Type의 일반탄의 예시
도 1-B는 본 발명의 AP Type의 수중탄의 예시
도 2-A는 종래의 발사체중 Ball Type의 구성요소 및 회전력의 예시
도 2-B는 종래의 발사체중 AP Type의 구성요소 및 회전력의 예시
도 3-A는 본 발명의 AP Type의 구성요소 및 회전결합 홈/이탈 방지턱의 예시
도 3-B는 본 발명의 Ball Type의 구성요소 및 회전결합 홈/이탈 방지턱의 예시
도 4-A,B는 종래의 발사체중 AP Type이 회전력에 의해 구리자켓부와 코어가 분리되는 과정의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발사체중 AP Type의 수중탄과 같은 Special Type의 결합구성 예시 및 발사시 회전력에 의해 구리자켓과 코어의 회전력이 달라 회전관성모멘트가 달라지는 것을 표시하는 도면
도 6-A, B는 본 발명의 발사체(A : AP Type의 수중탄, B : AP Type의 저격탄)이 부분 요소를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
도 7은 본 발명의 코어 종류(A-a/A-b/A-d : AP Type / A-c : Special Type, B : Ball Type)의 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발사체 제조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별 과정도
도 9-A, B는 종래의 발사체의 비행 직진성과 본 발명의 비행 직진성의 궤적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발사체는 도 2(Ball Type, AP Type) 및 도 5(Special Type)에서와 같이 총열의 강선에 의해 발생하는 발사체의 회전력이 자켓에만 작용되는 구조이다.
특히, 자켓의 회전은 총강 강선에 의해 초고속으로 작용되어 발사체의 내부 또는 상단 전면에 고정결합된 코어 또는 슬러그가 자켓이 받는 강한 회전력(A10)을 모두 전달받지 못한다. 이는 부분 요소들의 각기 다른 회전력으로 인해 관성모멘트가 깨져 비행 직진성이 없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사거리가 줄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기술적 제한 사항뿐만 아니라, 제조상의 어려움도 있다.
또한, 종래의 발사체는 운동에너지를 증대시키는 방법(도 4-B 유형)으로 요소들의 무게를 늘리는 방법만을 적용함에 따라 도 2를 참조하면, 유도 홈 없으며, 압력 중심(CP)은 상대적 전방 위치에 있고 중심(重心)(CG)은 상대적인 후방 위치에 있다.
발사체의 길이가 발사체의 용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발사체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압력 중심(CP)과 중심(CP) 사이의 거리가 증가한다. 압력 중심(CP)과 중심(CP) 사이의 거리가 길어질수록 요각이 증가한다.
총구에서 발사된 발사체는 요각을 가지고 축(예를 들어,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세차운동(spin precession maneuver(SPM))을 하게 된다. 큰 요각으로 회전세차운동(SPM)을 하게 되면, 발사체의 사거리, 정확도 및 파괴력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체 진행 방향으로 180 회전하게 되고, 발사체의 하단이 앞이나 측면으로 탄착하게 되어 표적을 관통할 정도의 충격을 주지 못하게 된다.
발사체의 운동에너지를 증가시켜 발사되어야 하는 도 5의 Special Type의 발사체 코어도 비중이 높은 재질로 긴 코어로 사용하여 무게의 이점을 얻을 수 있으나, 자켓과의 고정결합은 발사체의 전체 길이에서 길이가 긴 코어의 중간부 일부분에 자켓을 결합한 단면부(A12-1')와 같이 결합되어 있다.
특히, 도 5에서와 같이 종래의 Special Type의 발사체 회전결합 단면(12-1')에서와 같이 초고속 회전이 작용되는 자켓의 내주면이 코어의 회전결합 단면(12-1')으로 압착되는 정도로만 결합이 되어있어 회전속도가 다른 가각의 요소간 회전구심력이 달라지는 비행안정성이 제한되고, 특히 제조간의 애로사항이 크다.
이로 인해, 발사체가 발사되면 코어와 자켓은 분리되고, 코어는 감소된 회전력(A20)으로 회전관성 모멘트가 요소별로 달라 직진성을 잃어 사거리가 짧아지고, 테일스랩(Tail slap)이 발생되게 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 테일스랩(Tail slap) : 발사체의 무게중심이 후반부에 있어 수중을 통과하는 발사체의 후미가 수중으로 통과하면서 발생시티는 공동 터널에 부딪히는 현상으로 수중 침투사거리가 짧아지는 단점을 발생시키는 현상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사체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기존의 발사체를 사용하는 총(포)열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발사체의 구조를 개선한 발사체와 그 발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A에서와 같은 AP Type의 발사체와 도 1-B와 같이
유선형 또는 원뿔형의 코어(10);와 상기 코어는 후방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된 연장로드(11)의 외주면에 균등하게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결합 홈(12-1);과 상기 코어의 회전결합 홈(12-1)에 끼움으로 채우면서 발사체의 헤드부 및 중간부와 하단부의 오자이브 각도(R3) 또는 원뿔의 일정 각도(R4)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자켓(30)으로 구성되는 특징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Special Type의 코어(10)에 자켓 또는 슬러그와 결합되는 외주면 부분에 회전결합 홈을 하나 이상을 균등하게 형성하여 발사체 제조 단계에서 자켓이 상기 회전결합 홈에 파고 들어가 고정압착하게 한다.
이러한 고정압착결합에 의해 발사체가 총(포)열에서 발사될 때 강선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켓의 회전력을 코어까지 직접 전달되어 동일한 회전력으로 발사되게 한다.
또한, 상기 자켓(30)의 일정 내경으로 상기 코어의 회전결합 홈2(12-2)에 끼움으로 채우면서 결합하는 슬러그(20);을 구비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를 통해, 코어(10)는 슬러그(20)와 자켓(3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구간에 자켓의 회전력과 동일한 회전을 전달 받기 위해 접촉되는 외주면에 균등하게 배분되어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 결합홈(12-1)을 구비함으로써 도 9-B와 같이 본 발명의 발사체는 비행 직진성을 갖는다.
또한, 도 2-B의 AP-Type의 종래의 발사체는 발사체가 목표물에 접촉하는 순간의 에너지를 코어가 결합되어 있는 코어의 구조적 제한사항으로 사선형태로 결합단(11')이 구성되어 있어 자켓의 강한 회전력에 의해 코어(10)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최종 목표에 접촉하게 되어 도 4와 같이 자켓(30)이 벗겨지는 현상이 있다.
도 4와 같은 현상은 발사체가 비행간에 발생되는 자켓을 이탈 시키는 힘(100)과 코어가 목표물가 접촉시 발사체 후면으로 밀리는 힘(200)이 동시에 작용되어 최종 운동에너지가 목표물에 모두 작용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파괴력과 집중도가 저하되는 원인의 기술적 제한사항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코어는 후방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된 연장로드(11)의 외주면에 상기 슬러그(20)와 자켓의 상부 끝단이 위치하는 부분에 자켓을 이탈 시키는 힘(100)에 의해 자켓이 벌어지지 않도록 자켓의 일정 두께(A11)의 깊이로 코어를 고정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턱(11-1);을 구비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켓의 일정 두께(A11)가 코어와 자켓의 접촉부에 형성된 이탈 방지턱(11-1)을 형성하여 코어가 목표물가 접촉시 발사체 후면으로 밀리는 힘(200)을 견디고, 발사체가 비행간에 발생되는 자켓을 이탈 시키는 힘(100)을 상쇄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코어(10)는 목표물에 접촉될 때, 자켓을 이탈 시키는 힘(100)에 의해 자켓이 벌어지지 않도록 일정 자켓의 두께(A11)가 코어를 고정 결합하는 하나이상의 이탈 방지턱(11-1)으로 목표물과 접촉시 에너지가 집중하는 특징을 더 포함한다.
또한, 부분 요소들간의 압착 고정을 위해, 코어는 슬러그와 자켓의 접촉면에 회전결합 홈을 구비하게 하고, 슬러그와 자켓과의 압착결합이 되게 코어와 슬러그가 접촉되는 외주면에 회전 결합 홈을 추가적으로 구성토록 하고, 슬러그와 자켓과의 압착고정을 위해 코어(10)의 회전결합 홈은 슬러그(20)와 결합되고, 상기 슬러그(20)의 하단부에 자켓에 형성되는 유도홈(31)을 형성토록,
상기 자켓은 도2에서와 같이 발사체 하단부에 하나 이상의 유도 홈(31)이 균등하게 동일한 일정 간격으로 탄저의 저면까지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로 제조시에 유도홈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일정 깊이로 슬러그와 눌려져 압착되게 함으로써, 자켓의 회전모멘트가 슬러그와 다중으로 코어(10)에 전달되는 특징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발사체는 상술 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유도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홈을 따라 발사체의 저면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와류와 같은 불규칙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거나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발사체는 현저한 작은 요각을 가지고 안정적으로 목표물을 향하여 비행하게 되며, 사거리 연장, 정확도 및 파괴력은 현저하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가스가 초기 단계에서 균일하게 배출 될 수 있기 때문에, 반동이 감소된다.
도 1-B의 Special 유형과 같이 코어와 자켓만으로 구성되는 발사체에서도 코어(10)에 회전결합 홈(12-1)를 형성하여 자켓(30)과 압착 고정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비행직진성 및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Ball 유형 및 AP 유형과 Special 유형의 슬러그 또는 코어를 자켓과 중심선을 맞추어 결합하는 부분요소 결합단계(1,000)와 AP 유형과 Special 유형의 자켓과 코어의 결합시 중심선을 정렬하여 회전결합 홈으로 자켓의 일정두께가 파고 들어가 고정될 수 있는 중심선(AA) 정렬과 접촉부(BB)압착 단계(2,000) 및 Ball / AP 유형과 Special 유형이 형성되어야 하는 헤드부의 오자이브 각도(R) 또는 중간단까지의 일정한 각도로 압착 성형하고, 내부 슬러그(20)와 코어(10)의 회전결합 홈에 압착결합하는 외형성형단계(3,000) 및 Ball / AP 유형과 Special 유형의 구성하는 자켓의 내부에 있는 슬러그를 자켓과 결합을 위해 자켓의 유도홈을 형성하는 유도홈형성단계(4,000)와 상기 유도홈형성단계의 발사체가 필요로 하는 외경을 형성토록 외경리사이징을 위한 외경성형단계(5,000)의 과정으로 제조한다.
특히, 중심선(AA) 정렬과 접촉부(BB)압착 단계(2,000)는 코어와 자켓의 중심선을 맞추어 줄 수 있는 주요한 과정이다.
또한, 상기 부분요소 결합단계(1000)에서 Ball 유형의 코어는 자켓 내부에 밀어넣어 결합되고 코어에 형성된 회전결합 홈에 자켓이 파고 들어가도록 회전결합 홈이 형성된 접촉부의 자켓 외주면을 압착하여 코어와 자켓을 압착하는 Ball중심선정렬과 접촉부압착 단계(2001);의 특징을 더 포함한다.
상기의 단계는 볼 유형의 발사체 제조시에는 적용해야 하는 과정으로써, 자켓 내부로 코어를 삽입하고 그 후면으로 슬러그가 투입하는 부분요소 결합단계(1,000)와동일하나, 코어가 도 7-B와 같이 형성되어 있어 구리 자켓이 직접적으로 압착되면서 회전결합 홈에 파고 들어가야 하는 제조 방법으로 압착 결합되게 하는 과정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종래의 발사체들의 단점을 구조적으로 개선하고, 경제적인 제조를 통해 초기 비행안정과 집중도(명중률)와 관통력이 개선되고 경제적인 발사체를 제조할 수 있다.
* AP Type : 도 2-B 와 부분요소 중 코어가 발사체의 선단 외부로 형성되고 이를 슬러그 또는 자켓이 고정 결합하는 형태
* Ball Type : 도 2-A 와 부분요소가 일정 두께의 자켓 내부에 코어 및 슬러그를 구성하는 형태
* Special Type : 도 5의 긴 코어를 선단에서 후단부까지 형성하며 중간부에 자켓으로 감싸 있는 형태
이상과 같이, 본건에 따르면, 높은 정확도 및 파괴력과 수중탄에서의 테일스랩이 방지되는 직진성이 향상되는 성능개선할 수 있는 발사체를 제공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 한 구체적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종래의 AP Type의 저격용 발사체
2 : 종래의 Ball Type의 일반용 발사체
3 : 종래의 AP Type의 수중용 발사체
A1 : 본 발명의 AP Type의 저격용 발사체
B1 : 본 발명의 Ball Type의 일반용 발사체
C1 : 본 발명의 AP Type의 수중용-1 발사체
D1 : 본 발명의 AP Type의 수중용-2 발사체
10 / 10' : 코어
11 : 연장로드
11-1 : 이탈 방지턱
11-2 : 이탈 방지턱2
11' : 결합단
A11 : 결합하는 자켓의 두께
12-1 : 회전결합 홈
12-1' : 종래 회전결합 단면
12-2 : 회전결합 홈2
20 / 20' : 슬러그
21 : 슬러그 회전결합 홈
30 / 30' : 자켓
100 : 자켓을 이탈 시키는 힘
200 : 코어가 목표물가 접촉시 발사체 후면으로 밀리는 힘
300 : 발사체가 비행하는 경로
A10 : 총열(총강)내 강선에 의해 자켓에 가해지는 강한 회전력
A20 : 코어와 자켓과의 분리로 인해 감소된 회전력
A12-1' : 종래의 발사체가 긴 길이의 코어와 자켓을 결합한 단면부
AA : 중심선
BB : 자켓과 코어의 접촉부, 슬러그와 코어의 접촉부
D1 : 발사체의 헤드부, D2 : 발사체의 중간부, D3 : 발사체의 하단부
R3 : 오자이브 각도
R4 : 원뿔의 일정 각도
cp : 발사체가 비행하면서 전면으로부터 받는 압력중심점
cg : 발사체의 무게중심점

Claims (6)

  1. 비행직진성 및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에 있어서,
    유선형 또는 원뿔형의 코어(10);와 상기 코어는 후방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된 연장로드(11)의 외주면에 균등하게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결합 홈(12-1);과 상기 코어의 회전결합 홈(12-1)에 끼움으로 채우면서 발사체의 헤드부 및 중간부와 하단부의 오자이브 각도(R3) 또는 원뿔의 일정 각도(R4)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자켓(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10)는 자켓의 상부 끝단이 위치하는 부분에 자켓을 이탈 시키는 힘(100)에 의해 자켓이 벌어지지 않도록 자켓의 일정 두께(A11)의 깊이로 코어를 고정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턱(11-1); 을 포함하는 특징의 비행직진성 및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켓(30)의 일정 내경에 맞고, 코어의 회전결합 홈2(12-2)에 끼움으로 채우는 슬러그(20)를 구비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비행직진성 및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
  3. 삭제
  4. 삭제
  5. 비행직진성 및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슬러그 및 코어를 자켓과 중심선을 맞추어 결합하는 부분요소 결합단계(1,000);와
    자켓과 코어의 중심선을 정렬하여 회전결합 홈으로 자켓의 일정두께가 파고 들어가 고정될 수 있는 중심선정렬과 접촉부압착 단계(2,000); 및
    유선형 또는 원뿔형의 코어(10)의 오자이브 각도(R3) 또는 원뿔의 일정 각도(R4)로 압착시키는 외형성형단계(3,000); 및
    자켓의 내부에 있는 슬러그의 하부 끝단을 자켓과 결합하기 위해 자켓의 유도홈을 눌러 형성하는 유도홈형성단계(4,000); 와
    상기 유도홈형성단계의 발사체가 일정 외경을 형성하는 외경성형단계(5,000);를 특징으로 하는 비행직진성 및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를 제조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분요소 결합단계(1,000)에서 Ball 유형의 코어는 자켓 내부에 밀어넣어 결합되고 코어에 형성된 회전결합 홈에 자켓이 파고 들어가도록 회전결합 홈이 형성된 접촉부의 자켓 외주면을 압착하여 코어와 자켓을 압착하는 Ball유형 중심선정렬과 접촉부압착 단계(2,001);의 특징을 더 포함하는 비행직진성 및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00002068A 2020-01-07 2020-01-07 비행직진성과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15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068A KR102153137B1 (ko) 2020-01-07 2020-01-07 비행직진성과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068A KR102153137B1 (ko) 2020-01-07 2020-01-07 비행직진성과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137B1 true KR102153137B1 (ko) 2020-09-07

Family

ID=7247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068A KR102153137B1 (ko) 2020-01-07 2020-01-07 비행직진성과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1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633A (ko) * 2000-07-24 2002-01-31 김용대 탄두
KR101568319B1 (ko) * 2015-03-13 2015-11-12 주식회사 두레텍 조립형 탄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633A (ko) * 2000-07-24 2002-01-31 김용대 탄두
KR101568319B1 (ko) * 2015-03-13 2015-11-12 주식회사 두레텍 조립형 탄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6101B1 (en) Fragmenting bullet
RU2679161C2 (ru) Разрушающаяся пуля с постепенным разрушением с сердечником из материала, содержащего или не содержащего свинец
US4648323A (en) Fragmentation munition
KR100220883B1 (ko) 수중 물체에 사용하기 위한 공기 역학적으로 안정화된 발사체 시스템
US6105506A (en) Sabot slug for shotgun
US3545383A (en) Flechette
US3762332A (en) Projectile sabot
US8511232B2 (en) Multifire less lethal munitions
US11933588B2 (en) Projectile, in particular in the medium caliber range
CN111765816B (zh) 配用滑膛武器的复合型防暴动能弹
US4878432A (en) Multistage kinetic energy penetrator
KR102153137B1 (ko) 비행직진성과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1996013697A1 (fr) Balle de chasse a fleche telescopee, comportant un sous-projectile associe a un lanceur
US20130340646A1 (en) Sub-caliber projectile with a fitted head structure
WO2018079957A1 (ko) 탄환면 유체유입로를 구비한 탄환 및 그 제조방법
CN111707147B (zh) 一种能量衰减型催泪动能弹
US3103889A (en) Fragmentation bullet
US8904941B2 (en) Ammunition
CN206556504U (zh) 由多段式身管和流体推动自旋弹丸构成的武器系统
US8607708B1 (en) Impact igniting incendiary device for projectiles
US1209611A (en) Projectile.
KR101800868B1 (ko) 균등한 압축가스를 배출하는 보트테일의 가스만곡로를 구비한 탄환.
EP0104587A1 (en) Subcaliber munition
WO2004010073A1 (en) Tranquilliser dart
SE465388B (sv) Vingstabiliserad projekt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