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054B1 - Filler and cooling tow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iller and cooling tow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054B1
KR102153054B1 KR1020190030534A KR20190030534A KR102153054B1 KR 102153054 B1 KR102153054 B1 KR 102153054B1 KR 1020190030534 A KR1020190030534 A KR 1020190030534A KR 20190030534 A KR20190030534 A KR 20190030534A KR 102153054 B1 KR102153054 B1 KR 102153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swash plate
supply water
plat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5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장환
박영훈
민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030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0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0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4Distributing or accumulator tr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8Splashing boards or grids, e.g. for converting liquid sprays into liquid films; Elements or beds for increasing th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 F28F25/085Substantially horizontal grids; B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025/005Liquid collection; Liquid treatment; Liquid recirculation; Addition of make-up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ler and a cooling tower including the same. The cooling tower includes: a housing; a nozzle unit for spraying high temperature supply water from the upper side in the housing; a filler unit that evenly distributes and drops the supply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unit; and a water tank that stores the supply water falling through the filler unit. The filler unit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iller modules, and the filler module includes: a plate-shaped side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inclined groov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plate-shaped swash plate having a groove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side plate, wherein the swash plat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plate. Accordingly, the cooling tower cools the high-temperature supply water generated while cooling the equipment in a steel making process, and thus, when reused, the filler unit formed by stacking the plurality of filler modules is used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and contact time between the supply water and air, while allowing partial replacement of the filler unit when partial damage occurs.

Description

필러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각탑{FILLER AND COOLING TOWER HAVING THE SAME}Filler and cooling tower including the same {FILLER AND COOLING TOWER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제철 공정에서 발생된 고온의 공급수와 공기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필러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제철 공정에서 설비를 냉각하면서 발생된 고온의 공급수(냉각수)를 냉각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수와 공기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최대화하면서도 손상 발생시 부분 교체가 가능한 조립 구조로 형성된 필러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The embodiment relates to a filler installed to maximize a contact area and contact time between high-temperature feed water and air generated in a steelmaking process, and a cooling tower including the same. In detail, it is an assembly structure that maximizes the contact area and contact time between the feed water and air so that it can be reused by cooling the high-temperature supply water (cooling water) generated while cooling the equipment in the steel making process, while allowing partial replacement in case of damage. It relates to a formed filler and a cooling tower including the same.

산업체 및 대형건물 등에서는 산업기기 및 냉동공조설비의 열 방출용 설비로서 냉각탑(Cooling tower)을 사용할 수 있다. In industries and large buildings, a cooling tower can be used as a facility for dissipating heat from industrial equipment and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facilities.

특히, 제철 공정에 사용되는 냉각탑은 냉각하고자 하는 대상 설비의 냉각시 발생된 고온의 공급수를 대기중에 분사시켜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탑은 고온의 공급수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급수를 고르게 분산시켜 낙하시키는 필러(filler), 및 상기 필러를 통과하여 낙하되는 공급수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oling tower used in the iron making process may be cool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air by spraying high-temperature supply water generated during cooling of a target facility to be cooled into the atmosphere. Here, the cooling tower is a nozzle that sprays high-temperature feed water, a filler that evenly distributes and drops the feed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and a water tank that stores the feed water falling through the filler so that it can be reused. It may include.

종래의 필러는 플라스틱(Plastic)과 같은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필러를 4~5년 정도 사용하면, 상기 필러는 상기 공급수와의 접촉면에 이물이 묻고 경화되어 파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러의 파손된 조각은 각종 부품으로 유입되어 제철 공정 설비의 고장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The conventional filler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material such as plastic. Accordingly, if the filler is used for about 4 to 5 years, the filler may be damaged by foreign matters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feed water and hardening.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oken pieces of the filler flow into various parts and act as a cause of failure of the iron-making process equipment.

나아가, 상기 필러는 플라스틱과 같이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필러의 수명이 짧아 잦은 교환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필러 교환시, 교환 작업 특성상 용접 작업이 필요하며, 상기 용접 작업에 의해 발생하는 불티로 인해 사출 성형된 상기 필러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fill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relatively low durability such as plastic, the life of the filler is short, and thus frequent replacement is required. In addition, when the filler is replaced, a welding work is requir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lacement work, and a fire may occur in the injection-molded filler due to fires generated by the welding work.

도 1은 냉각탑에 설치되는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의 필러 및 상기 필러의 손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lastic filler installed in a cooling tower and damage to the filler.

도 1을 참조하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필러(2)가 냉각탑에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필러(2)는 복수 개의 필러부재를 수평상으로 이격되게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filler 2 formed by injection molding is used in a cooling tower. Here, the filler 2 may b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iller members to be horizontally spaced apart.

이때, 상기 필러(2)는 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급수에 의해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수에 의해 포함된 이물질에 의한 눈막힘 현상 또는 지속적으로 낙하되는 상기 공급수의 충격 누적에 따른 상기 필러(2)의 부분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ller 2 may be damaged by the supply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As shown in FIG. 1, a clogging phenomenon due to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by the supply water or partial damage of the filler 2 may occur due to an accumulation of impacts of the supply water falling continuously.

그에 따라,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필러(2)의 경우에는 상기 필러(2) 전체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 및 보수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필러(2)의 내구성에 대한 특성상 잦은 교체로 인해 제철 설비의 가동 효율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filler 2 formed by injection molding, since the entire filler 2 must be repla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for maintenance and repair is inferior.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urability of the filler 2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steelmaking facility is reduced due to frequent replacement.

실시예는 제철 공정에서 설비를 냉각하면서 발생된 고온의 공급수를 냉각하여 재사용하는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급수와 공기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필러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각탑을 제공한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cooling tower that cools and reuses high-temperature supply water generated while cooling equipment in a steel making process, and a filler installed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and contact time between the supply water and air, and a cooling tower including the same Provides.

또한, 필러의 일 영역에 손상 발생시, 부분 교체가 가능한 조립 구조로 형성된 필러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각탑을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damage occurs in one area of the filler, it provides a filler formed in an assembly structure capable of partial replacement, and a cooling tow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i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부측에서 고온의 공급수를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공급수를 고르게 분산시켜 낙하시키는 필러부; 및 상기 필러부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공급수를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며, 상기 필러부는 복수 개의 필러모듈을 적층하여 형성되고, 상기 필러모듈은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의 홈이 경사지게 형성된 판 형상의 측판, 및 상기 측판의 홈에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판 형상의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판은 상기 측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각탑에 의해 달성된다. The t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ousing; A nozzle part spraying high-temperature supply water from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A filler unit for evenly distributing and dropping the supply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unit; And a water tank for storing supply water falling through the filler part, wherein the filler part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iller modules, the filler module being a plate-shaped side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are incli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plate-shaped swash plate having a groove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side plate, wherein the swash plate is achieved by a cooling tower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plate.

여기서, 상기 측판의 홈은 상기 측판의 상부에 소정의 경사각(θ)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홈과 하부에 소정의 경사각(θ)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각각에는 상기 경사판의 일 영역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경사판의 홈에는 상기 측판의 일 영역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groove of the side plate includes a first groove concave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on the top of the side plate, and a second groove concave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at the bottom, and the first groove and One region of the swash plate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second grooves in a fitting manner, and a region of the side plate may be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swash plate in a fitting manner.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부측에서 고온의 공급수를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공급수를 고르게 분산시켜 낙하시키는 필러부; 및 상기 필러부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공급수를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며, 상기 필러부는 복수 개의 필러모듈을 적층하여 형성되고, 상기 필러모듈은 두 개의 단위필러로 형성되며, 상기 단위필러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의 홈이 경사각(θ)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 개의 측판, 및 상기 측판의 홈에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판은 상기 측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두 개의 상기 단위필러는 면 대칭되게 배치되는 냉각탑에 의해 달성된다. The t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ousing; A nozzle part spraying high-temperature supply water from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A filler unit for evenly distributing and dropping the supply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unit; And a water tank for storing supply water falling through the filler part, wherein the filler part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iller modules, and the filler module is formed of two unit fillers, and the unit filler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side plates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are inclined at an inclination angle θ, and a swash plate having a groove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side plate are formed, and the swash plat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plate, and the two unit pillars are This is achieved by cooling towers that are arranged plane symmetrically.

한편, 상기 필러모듈의 측판 및 경사판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ide plate and the swash plate of the filler module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또한, 상기 경사판은 상기 경사판을 관통하는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경사판을 따라 흐르는 공급수의 흐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공급수의 흐름을 추가하는 추가분사원으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wash plate may further include a hole penetrating the swash plate, and the hole may function as an additional injection source for adding a flow of the supply wate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low direction of the supply water flowing along the swash plate. have.

여기서, 상기 홀은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을 따라 흐르는 공급수의 일부는 상기 홀을 우회하도록 분기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the hol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art of the supply water flowing along the swash plate may be branched to bypass the hole.

그리고, 상기 홀은 꼭짓점이 형성된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hole may be formed to have a polygonal cross section in which vertices are formed.

또한, 복수 개의 상기 홀은 역 V자 형상의 배열을 갖도록 상기 경사판에 형성되고, 상기 배열은 상기 경사판에서의 공급수의 흐름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holes may be formed in the swash plate to have an inverted V-shaped arrangement, and at least two of the arrangements may be arrang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supply water from the swash plate.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부측에서 고온의 공급수를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공급수를 고르게 분산시켜 낙하시키는 필러부; 및 상기 필러부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공급수를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며, 상기 필러부는 복수 개의 필러모듈을 적층하여 형성되고, 상기 필러모듈은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의 홈이 경사지게 형성된 판 형상의 측판, 및 상기 측판의 홈에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판 형상의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판은 상기 경사판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러부의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공급수의 제1 흐름(F1),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새로운 분사원으로 작용하게 된 공급수의 제2 흐름(F2) 및 상기 경사판 상에서 복수 개의 상기 홀에 의해 분기되어 흐르는 공급수의 제3 흐름(F3)에 의해 상기 공급수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러부에서 열 교환하는 냉각탑에 의해 달성된다. The t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ousing; A nozzle part spraying high-temperature supply water from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A filler unit for evenly distributing and dropping the supply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unit; And a water tank for storing supply water falling through the filler part, wherein the filler part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iller modules, the filler module being a plate-shaped side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are incli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plate-shaped swash plate having a groove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side plate, the swash plat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e swash plate, By flow (F1), a second flow (F2) of supply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ole and acts as a new injection source, and a third flow (F3) of supply water branched by a plurality of holes on the swash plate. The feed water and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are achieved by a cooling tower exchanging heat in the filler part.

여기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홀은 역 V자 형상의 배열을 갖도록 상기 경사판에 형성되고, 상기 배열은 상기 경사판에서의 공급수의 흐름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Here, a plurality of the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swash plate to have an inverted V-shaped arrangement, and at least two of the arrangements may be arrang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supply water from the swash plate.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필러부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되게 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fan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discharge air heat-exchanged from the filler part.

상기 과제는 냉각탑에 복수 개의 필러모듈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필러에 있어서, 상기 필러모듈은 두 개의 단위필러로 형성되며, 상기 단위필러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의 홈이 경사각(θ)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 개의 측판, 및 상기 측판의 홈에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판은 상기 측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러에 의해 달성된다.The task is in a pillar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illar modules on a cooling tower, wherein the pillar module is formed of two unit pillars, and the unit pillar ha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inclination angle θ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wash plate having a groove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side plate, and the swash plate is achieved by a filler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plate.

여기서, 두 개의 상기 단위필러는 면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two unit pillars may be arranged to be plane symmetrical.

그리고, 상기 경사판은 상기 경사판을 관통하는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swash plate may further include a hole penetrating the swash plate, and a plurality of the holes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홀은 꼭짓점이 형성된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hole may be formed to have a polygonal cross section in which vertices are formed.

또한, 복수 개의 상기 홀은 역 V자 형상의 배열을 갖도록 상기 경사판에 형성되고, 상기 배열은 상기 경사판에서의 공급수의 흐름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holes may be formed in the swash plate to have an inverted V-shaped arrangement, and at least two of the arrangements may be arrang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supply water from the swash plate.

한편, 상기 필러모듈의 측판 및 경사판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ide plate and the swash plate of the filler module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은, 제철 공정에서 설비를 냉각하면서 발생된 고온의 공급수를 냉각하여 재사용시, 복수 개의 필러모듈을 적층하여 형성된 필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공급수와 공기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게 한다.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ools and reuses the high-temperature supply water generated while cooling the equipment in the iron making process, and uses a filler part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iller modules to determine the contact area and contact time between the supply water and air. Make it possible to maximize.

또한, 필러부를 구성하는 필러모듈 각각은 착탈 가능한 조립 구조로 형성하기 때문에, 부분 손상 발생시 부분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pillar modules constituting the pillar portion is formed in a detachable assembly structure, partial replacement is possible when partial damage occurs.

나아가, 상기 필러부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재질을 사용하면서도 분해 가능하기 때문에, 분리하여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환경적으로 기존의 플라스틱 사출물인 필러보다 차별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filler part is decomposable while using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it can be separated and washed for reus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fferentiated effect environmentally than the existing plastic injection filler.

또한, 상기 필러부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판의 적층적 배치에 의한 상기 공급수의 거시적인 제1 흐름(F1)이 결정된 상태에서, 홀을 이용하여 미시적인 제2 흐름(F2) 및 제3 흐름(F3)을 형성하여 상기 공급수와 상기 공기 상의 열 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croscopic flow F1 of the supply water is determined by the stacked arrangement of the inclined swash plates disposed in an inclined manner, the filler unit uses a hole to provide a microscopic second flow F2 and a third flow F3. )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between the feed water and the air.

실시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and beneficial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냉각탑에 설치되는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의 필러 및 상기 필러의 손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필러부 및 필러부 내의 공급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필러부의 필러모듈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필러부의 필러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모듈의 측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모듈의 경사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모듈에 형성된 홀에 의해 필러부 내의 공급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필러모듈의 경사판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모듈의 경사판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부의 필러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필러부의 단위필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lastic filler installed in a cooling tower and damage to the filler,
2 is a view showing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feed water in the filler part and the filler par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ler module of a fill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ler module of a fill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ide plate of the filler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wash plate of the filler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8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supply water in the filler part by the hole formed in the filler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9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swash plate of the filler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0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swash plate of the filler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ller module of a fille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nit filler of a fill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in the drawings, as various change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second and first,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one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on or under" of another component,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on or under) includes both of the two components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being indirectly form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on or under', it may include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은 제철 공정에 사용되어 설비의 냉각시 발생된 고온의 공급수를 대기 중에 분사시켜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공급수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고온이라 함은 상온 보다 높은 온도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 40~45도 정도의 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수는 제철공정설비의 냉각에 이용되는 냉각수일 수 있다.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used in an iron making process to inject high-temperature supply water generated during cooling of a facility into the atmosphere and cool it through heat exchange with air, thereby allowing the supply water to be reused. Here, the high temperature means a temperature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and preferably, water may be about 40 to 45 degrees Celsius. In addition, the supply water may be cooling water used for cooling the iron-making process equipment.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은 내부에서 고온의 공급수와 공기의 열교환을 가능하게 내부에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상부에서 고온의 공급수를 분사하는 노즐부(200), 상기 노즐부(200)에서 분사되는 공급수를 고르게 분산시켜 낙하시키는 필러부(300) 및 상기 필러부(300)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공급수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수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탑(1)은 하우징(100)의 상부로 열교환 된 공기를 배출되게 하는 송풍팬(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러부(300)는 필러라 불릴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ooling tow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00 that provides an internal space to enable heat exchange between high-temperature supply water and air, and a high-temperatur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The nozzle unit 200 for spraying the feed water, the filler unit 300 for evenly distributing and dropping the feed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unit 200, and the feed water falling through the filler unit 300 can be reused. It may include a water tank 400 to store it so that it can be stored. In addition, the cooling tower 1 may further include a blowing fan 500 for discharging heat-exchanged ai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Here, the filler part 300 may be referred to as a filler.

하우징(10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에는 노즐부(200)와 필러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상기 필러부(300)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채널(110)이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space formed therein. In addition, the nozzle part 200 and the filler part 300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Here, a channel 110 through which the air can be introduce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at of the filler part 300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0.

노즐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수를 필러부(300)를 향해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노즐부(200)는 복수 개의 노즐(210) 및 제철 공정에 사용되어 제철공정설비의 냉각시 발생된 고온의 공급수를 상기 노즐(210)로 공급하는 배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노즐(210)은 필러부(300)를 향해 상기 공급수를 분사할 수 있다.The nozzle part 20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to spray the feed water toward the filler part 300. Here, the nozzle unit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210 and a pipe 220 used in a steel making process to supply high-temperature supply water generated during cooling of the steel making process facility to the nozzle 210. . Accordingly, the nozzle 210 may spray the feed water toward the filler part 300.

필러부(300)는 노즐부(200)에서 분사되는 공급수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을 증대시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ller unit 300 may improv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increasing a contact area and a contact time between supply water and air sprayed from the nozzle unit 200.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필러부 및 필러부 내의 공급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필러부의 필러모듈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필러부의 필러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있어서, x 방향은 길이 방향, y 방향은 폭 방향 및 z 방향은 상하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3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feed water in the filler part and the filler par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ler module of the filler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5 is a filler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ler module. In FIG. 4, the x direction may indicate a length direction, a y direction may indicate a width direction, and a z direction may indicate a vertical direction.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필러부(300)는 복수 개의 필러모듈(300a)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부분 손상된 필러모듈(300a)만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를 위한 작업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filler part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iller modules 300a. Accordingly, since it is possible to replace only the partially damaged filler module 300a, it is possible to reduce work time and cost for maintenance.

그리고, 필러모듈(300a)은 플라스틱보다 열 전도성이 높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필러모듈(300a)은 상기 공급수와 상기 공기 사이의 열 교환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ler module 300a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having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plastic. Accordingly, the filler module 300a may further improve heat exchange between the supply water and the air.

또한,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필러모듈(300a)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된 종래의 필러(2)보다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필러모듈(300a)의 사용 가능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필러모듈(300a)에 묻더라도 경화되지 않기 때문에, 필러모듈(300a)은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filler module 300a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has improved durability than the conventional filler 2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lastic, the usable period of the filler module 300a can be increased. . In addition, since foreign substances are not cured even if they adhere to the filler module 300a, the filler module 300a can be washed and reused.

한편, 필러모듈(300a)은 상기 공급수와의 접촉 면적을 고려하여 판을 이용하는 시트 타입(Sheet ty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 타입의 필러모듈(300a)의 경우 메시 타입(Mesh type)보다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열 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노즐(210)에서 상기 공급수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메시 타입보다 충격량의 축적이 크기 때문에 손상 가능성 또한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Meanwhile, the filler module 300a may be formed in a sheet type using a plate in consideration of a contact area with the feed water. In the case of the sheet-type filler module 300a, the contact area is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mesh type, thereby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However, when the supply water is sprayed from the nozzle 2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sibility of damage is also increased because the amount of impact is larger than that of the mesh type.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필러모듈(300a)을 금속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Therefore, by forming the filler module 300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a metal material, such a problem can be solved.

나아가, 실시예에 따른 필러모듈(300a)은 복수 개의 판을 착탈 가능하게 조립하는 조립식으로 형성함으로써, 필러모듈(300a)의 일부 판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손상이 발생한 판만을 교체할 수 있다. Further, the filler module 300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formed in an assembly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 are detachably assembled, so that even if some of the plates of the filler module 300a are damaged, only the damaged plate can be replaced. .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필러모듈(300a)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기 공급수의 흐름이 형성하여 상기 공급수와 상기 공기 사이의 접촉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filler modules 300a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m the flow of the supply water in a zigzag shape, thereby improving the contact amount between the supply water and the air.

한편, 필러부(300)는 복수 개의 측판과 상기 측판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경사판으로 형성된 필러모듈(300a) 및 상기 필러모듈(300a)의 적층 구조를 이용하여 도 3에 도시된 지그재그 형상의 공급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illar part 300 is a zigzag shape shown in FIG. 3 using a stacked structure of the filler module 300a and the filler module 300a formed of a plurality of side plates and a plurality of inclined plates detachably disposed on the side plate Can form the feedwater flow of.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필러모듈(300a)은 일 방향(x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측판(310)과 상기 측판(310)의 길이 방향(y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및 경사각(θ)을 갖도록 상기 측판(3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사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x 방향과 상기 y 방향은 평면상 서로 수직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필러모듈(300a)의 상부측에서 바라볼 때, 복수 개의 상기 측판(310)과 복수 개의 상기 경사판(320)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4 and 5, the filler module 300a includes a side plate 310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one direction (x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ng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side plate 310. And a swash plate 320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plate 310 so as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θ. Here,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a plane. Accordingly,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illar module 300a, the plurality of side plates 310 and the plurality of swash plates 320 may be arranged in a grid shape.

그리고, 경사판(320)은 측판(310)에 형성된 홈과의 결합에 따른 배치 위치에 따라 상부 경사판(320a)과 하부 경사판(32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경사판(320a)과 하부 경사판(320b)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swash plate 320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swash plate 320a and a lower swash plate 320b according to an arrangement position according to a combination with a groove formed in the side plate 310. Here, the upper swash plate 320a and the lower swash plate 320b may have the same shape.

그리고, 상기 상부 경사판(320a)과 하부 경사판(320b)은 소정의 각도(2θ)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각도(2θ)는 0도 초과 180도 미만으로 형성된다. 예컨데, 상기 각도(2θ)는 60도~120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도(2θ)는 90도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상부 경사판(320a)과 상기 하부 경사판(320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V 자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측판(31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경사판(320a)과 상기 하부 경사판(320b)은 상호 경사지게 측판(310)에 배치되어 지그재그형의 공급수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wash plate 320a and the lower swash plate 320b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2θ, and the angle 2θ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80°. For example, the angle 2θ may be between 60 degrees and 120 degrees. Preferably, the angle 2θ may be 90 degrees. Accordingly, the upper swash plate 320a and the lower swash plate 320b may be disposed on the side plate 310 to form a V-shaped shape, as shown in FIG. 3. That is, the upper swash plate 320a and the lower swash plate 320b may be disposed on the side plate 310 so as to be inclined to each other to form a zigzag-shaped flow of supply water.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경사판(320a)과 상기 하부 경사판(320b)이 형성하는 상기 각도(2θ) 및 필러모듈(300a)의 적층 구조에 의해 상기 공급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필러부(300)의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게 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3, the supply water is a zigzag filler due to the lamination structure of the angle 2θ formed by the upper swash plate 320a and the lower swash plate 320b and the filler module 300a. It flows from the top of the part 300 to the bottom.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모듈의 측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ide plate of a filler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측판(310)은 직사각형 형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경사판(320)과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 복수 개의 홈(3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측판(310)에 형성된 홈(311)은 측판홈이라 불릴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side plate 3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311 formed for coupling with the swash plate 320. Here, the groove 311 formed in the side plate 310 may be referred to as a side plate groove.

상기 측판(310)의 홈(311)은 상기 측판(310)의 상부와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311)은 상기 측판(310)의 중앙을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L)을 기준으로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311)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간격(W1)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grooves 311 of the side plate 310 may be concave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plate 3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groove 31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based on an imaginary line L crossing the center of the side plate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grooves 311 may be formed at a first interval W1 along the length direction.

따라서, 상기 경사각(θ)을 따라 복수 개의 경사판(320)이 상기 측판(31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ly, a plurality of inclined plates 320 may be coupled to the side plate 310 in a detachable fitting manner along the inclination angle θ.

여기서, 상기 홈(311)은 상기 측판(310)의 상부에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 홈(311a)과 상기 측판(310)의 하부에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2 홈(311b)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홈(311a)과 제2 홈(311b)은 소정의 각도(2θ)를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groove 311 is inclin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under the side plate 310 and a first groove 311a formed to be inclin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on the top of the side plate 310 It may include a formed second groove 311b. Accordingly, the first groove 311a and the second groove 311b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2θ.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모듈의 경사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wash plate of the filler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경사판(320)은 직사각형 형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판(310)과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 홈(3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판(320)에 형성된 홈(321)은 경사판홈 또는 제3 홈이라 불릴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swash plate 3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may include a groove 321 formed for coupling with the side plate 310. Here, the groove 321 formed in the swash plate 320 may be referred to as a swash plate groove or a third groove.

상기 경사판(320)의 홈(321)은 경사판(320)의 길이 방향(상기 폭 방향)을 따라 제2 간격(W2)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grooves 321 of the swash plate 320 may be formed at a second interval W2 along the length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wash plate 320.

상기 경사판(320)의 홈(321)은 경사판(320)의 일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판(320)의 홈(321)은 상기 측판(310)의 제1 홈(311a) 또는 제2 홈(311b)과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경사판(320)의 일 영역은 상기 측판(310)의 제1 홈(311a) 또는 제2 홈(311b)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측판(310)의 일 영역은 상기 경사판(320)의 홈(321)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groove 321 of the swash plate 320 may be formed to be concave in one direction of the swash plate 320. In addition, the groove 321 of the swash plate 32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groove 311a or the second groove 311b of the side plate 310 in a fitting manner. Accordingly, one region of the swash plate 320 is coupled in a fitting manner to the first groove 311a or the second groove 311b of the side plate 310, and one region of the side plate 310 is the swash plate ( It may be coupled to the groove 321 of 320 in a fitting manner.

따라서, 필러모듈(300a)은 측판(310)의 홈(311)과 경사판(320)의 홈(321)의 결합을 통해 착탈 가능한 조립 구조를 구현하기 때문에, 일부분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손상된 측판(310) 또는 경사판(320)만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측판(310)의 홈(311)과 경사판(320)의 홈(321)의 결합은 조립에 의한 경사판(320)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Therefore, since the pillar module 300a implements a detachable assembly structure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groove 311 of the side plate 310 and the groove 321 of the swash plate 320, the damaged side plate 310 ) Or only the swash plate 320 can be easily replaced.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he groove 311 of the side plate 310 and the groove 321 of the swash plate 320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swash plate 320 due to assembly.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모듈에 형성된 홀에 의해 필러부 내의 공급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supply water in the filler part by the hole formed in the filler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경사판(320)에는 경사판(320)을 따라 흐르는 공급수의 흐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공급수의 흐름을 추가하는 추가분사원으로 제공되는 홀(3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냉각탑(1)의 노즐(210)은 상기 공급수를 필러부(300)에 분사하는 직접 분사원이 되고, 상기 노즐(210)에서 분사되어 경사판(320)을 따라 흐르던 공급수가 경사판(320)을 관통하여 분사되게 하는 상기 홀(322)은 새로운 분사원으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홀(322)을 통해 공급수의 흐름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swash plate 320 may include a hole 322 provided as an additional injection source for adding a flow of supply wate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low direction of the supply water flowing along the swash plate 320. For example, the nozzle 210 of the cooling tower 1 serves as a direct spray source for spraying the feed water to the filler unit 300, and the supply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210 and flowing along the swash plate 320 is the swash plate ( The hole 322 to be sprayed through 320 may function as a new spray source. Accordingly, the flow direction of the supply water through the hole 322 may be changed.

한편, 상기 홀(322)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경사판(320)을 따라 흐르는 공급수는 상기 홀(322)에 의해 평면상 분기되어 상기 공급수의 이동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Meanwhile, a plurality of holes 322 may be formed. Accordingly, the supply water flowing along the swash plate 320 is branched in a plane by the hole 322 to improve the moving distance of the supply water.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필러모듈의 경사판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모듈의 경사판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swash plate of the filler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swash plate of the filler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경사판(320)은 경사판(32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3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상기 홀(322)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322)은 공급수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의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9 and 10, the swash plate 32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322 formed through the swash plate 320. Here, the plurality of holes 32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is time, the hole 322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only the supply water can pass.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홀(322)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에 따라, 경사판(320)을 따라 흐르던 공급수는 홀(322)을 우회하도록 분기되어 흐를 수 있다. 그에 따라, 경사판(320)과 상기 공급수의 접촉량은 향상될 수 있다. 이때, 경사판(320)을 따라 흐르던 공급수의 일부는 상술 된 바와 같이 홀(322)을 통과하여 분사될 수 있다. 9 and 10, as the plurality of holes 322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upply water flowing along the swash plate 320 diverges and flows to bypass the hole 322. I can. Accordingly, the contact amount between the swash plate 320 and the feed water may be improved. In this case, a part of the supply water flowing along the swash plate 320 may be sprayed through the hole 322 as described above.

나아가, 복수 개의 상기 홀(32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상(역 V자 형상)의 배열(A)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열(A)은 경사판(320)을 따라 흐르는 공급수의 흐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어도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홀(322)의 배열에 의해 경사판(320)을 따라 흐르던 공급수의 분기는 더욱 다양한 루트를 형성할 수 있다. Furthermore, as shown in FIG. 9, the plurality of holes 322 may be formed in an arrangement A having a'∧' shape (inverted V shape). In addition, at least two of the arrays A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supply water flowing along the swash plate 320. Accordingly, branching of the supply water flowing along the swash plate 320 by the arrangement of the holes 322 may form more diverse routes.

또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홀(322)은 원형 및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즐(210)의 내경을 고려하여 원형의 홀(322)의 직경 또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홀(322)의 일변의 길이는 5.5~6.5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원형의 홀(322)의 직경 또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홀(322)의 일변의 길이는 6mm일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hole 322 may be formed to have a circular, triangular, or quadrilateral cross-section in a polygonal shape. Here, in consideration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nozzle 210,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hole 322 or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hole 322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may be 5.5 to 6.5 mm. Preferably,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hole 322 or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hole 322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may be 6 mm.

물의 응집력 등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원형의 홀보다는 사각형 등의 꼭짓점(P)을 갖는 홀 형상의 경우, 상기 꼭짓점에 의해 경사판(320)을 따라 흐르던 공급수의 분기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such as cohesion of water, in the case of a hole shape having a vertex P, such as a square, rather than a circular hole, the branch of the supply water flowing along the swash plate 320 may be further promoted by the vertex.

한편, 상기 경사판(320)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요철은 경사판(320)을 따라 흐르던 공급수의 접촉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철은 파형, 꺾은선형 또는 격자형으로 형성된 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홈에 공급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누적되어 상술 된 눈막힘 현상이 유발되어 교체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Meanwhile,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on the swash plate 320. In addition, the irregularities may improve the contact amount of the supply water flowing along the swash plate 320. Here, the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by grooves formed in a wave shape, a line shape, or a grid shape. Howev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upply water accumulates in the groove, causing the above-described clogging phenomenon,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may shorten the replacement period.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부의 필러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필러부의 단위필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ller module of a fille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a unit filler of the fille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필러모듈(300a)은 두 개의 단위필러(300b)를 면 대칭되게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나의 단위필러(300b)만을 제조설비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필러모듈(300a)의 두 개의 단위필러(300b) 중 어느 하나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손상된 단위필러(300b)만 교체하여 보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pillar module 300a may be formed by arranging two unit pillars 300b to be plane symmetrical. Accordingly, since only one unit filler 300b is produced in the manufacturing facility, productivity may be improved. In addition, when any one of the two unit pillars 300b of the pillar module 300a is damaged, only the damaged unit pillar 300b may be replaced to improve maintenance efficiency.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단위 필러(300b)는 일측에만 경사지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홈(311)이 형성된 복수 개의 측판(310a)과 측판(310)과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 복수 개의 홈(321)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경사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필러(300b)의 경사판(320)은 실시예로 제시된 경사판(320)뿐만 아니라 상술 된 바와 같이 변형예로 제시된 경사판(320)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311)은 상기 측판(310)의 상면 또는 하면 기준으로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11 and 12, the unit pillar 300b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plates 310a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311 disposed obliqu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ly one side and a plurality of side plates 310a formed for coupling with the side plate 310.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ash plates 320 having grooves 321. Here, the swash plate 320 of the unit pillar 300b may include not only the swash plate 320 presented as an embodiment, but also the swash plate 320 presented as a modified example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groove 31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based on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side plate 310.

따라서, 필러모듈(300a)은 측판(310a)의 홈(311)과 경사판(320)의 홈(321)의 결합을 통해 착탈 가능한 조립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일부분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손상된 측판(310a) 또는 경사판(320)만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filler module 300a forms a detachable assembly structure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groove 311 of the side plate 310a and the groove 321 of the swash plate 320, the damaged side plate 310a ) Or only the swash plate 320 can be easily replaced.

수조(400)는 필러부(300)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우징(100) 내부의 필러부(300)에서 열 교환되어 낙하되는 공급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수조(400)에 설치되는 펌프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수조(400)에 저장된 공급수는 제철공정설비에 재사용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40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pillar part 30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store the supply water falling through heat exchange in the filler part 300 inside the housing 100. In addition, the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400 may be reus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equipment by using a device such as a pump installed in the water tank 400.

송풍팬(500)은 하우징(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열교환 된 공기를 배출되게 한다. 여기서, 송풍팬(500)은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모터와 같은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lower fan 500 is disposed above the housing 100 to discharge heat-exchanged air. Here, the blower fan 500 may include a blade and a driving unit such as a motor driving the blade.

종합해보면, 상기 냉각탑(1)의 필러부(300)는 복수 개의 측판(310)과 복수 개의 경사판(320)을 착탈 가능하게 조립하여 일부 손상에 따른 보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aken together, the pillar part 300 of the cooling tower 1 may be assembled with a plurality of side plates 310 and a plurality of swash plates 320 to be detachabl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epair due to some damage.

또한, 상기 냉각탑(1)의 필러부(300)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경사판(320)을 이용하여 상하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공급수가 이동되게 함으로써, 경사판(320)과 공급수의 접촉량을 향상시켜 열 교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판(320) 상에서 복수 개의 홀(322)을 이용하여 지그재그 등 다양한 방향으로 분기되게 공급수가 이동되게 함으로써 경사판(320)과 공급수의 접촉량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홀(322)은 추가분사원으로써 작용할 수 있도록, 경사판(320)을 따라 이동하는 공급수의 방향을 변경하면서도 새로운 분사원으로 작용되게 함으로써 공급수와 공기의 열 교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illar part 300 of the cooling tower 1 uses a plurality of inclined plates 320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ove the supply water in a zigzag manner in the vertical direction. 320) and the contact amount of the feed water can be improved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n addition, the amount of contact between the swash plate 320 and the supplied water may be further improved by moving the supply water to be branched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zigzag using a plurality of holes 322 on the swash plate 320. Furthermore, the hole 322 can function as an additional injection source,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y water moving along the swash plate 320 and acting as a new injection source, further improv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supply water and air. have.

따라서, 필러모듈(300a)의 경사판(320) 배치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공급수의 제1 흐름(F1), 경사판(320)의 홀(322)을 통과하여 새로운 분사원으로 작용하게 된 공급수의 제2 흐름(F2) 및 복수 개의 홀(322)의 배열에 의해 경사판(320) 상에서 분기되어 흐르는 공급수의 제3 흐름(F3)에 의해 상기 공급수와 상기 공기 상의 열 교환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 Therefore, by the arrangement of the swash plate 320 of the filler module 300a, the first flow of feed water (F1), which moves in a zigzag vertical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hole 322 of the swash plate 320 to act as a new injection source. Heat exchange performance between the supplied water and the air by the second flow F2 of the supplied water and the third flow F3 of the supplied water branching on the swash plate 320 by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holes 322 Can be improved.

즉,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의 필러부(300)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판(320)의 적층적 배치에 의한 상기 공급수의 거시적인 제1 흐름(F1)이 결정된 상태에서, 홀(322)을 이용하여 미시적인 제2 흐름(F2) 및 제3 흐름(F3)을 형성하여 상기 공급수와 상기 공기 상의 열 교환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croscopic flow F1 of the supply water is determined by the stacking arrangement of the inclined swash plates 320 disposed in an inclined manner, the hole 322 ) To form a microscopic second flow (F2) and a third flow (F3),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between the feed water and the air may be improv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hange it. And, the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 냉각탑
100: 하우징
200: 노즐부
300: 필러부 300a: 필러모듈
300b: 단위필러
310: 측판 311: 홈
320: 경사판 321: 홈
322: 홀
400: 수조
500: 송풍팬
1: cooling tower
100: housing
200: nozzle part
300: filler part 300a: filler module
300b: unit filler
310: side plate 311: groove
320: swash plate 321: groove
322: Hall
400: water tank
500: blower fan

Claims (17)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부측에서 공급수를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공급수를 고르게 분산시켜 낙하시키는 필러부; 및
상기 필러부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공급수를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며,
상기 필러부는 복수 개의 필러모듈을 적층하여 형성되고,
상기 필러모듈은
상부에 소정의 경사각(θ)으로 오목하게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홈과 하부에 소정의 경사각(θ)으로 오목하게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홈이 형성된 판 형상의 측판,
상기 제1 홈에 결합하도록 홈이 형성된 상부 경사판, 및
상기 제2 홈에 결합하도록 홈이 형성된 하부 경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경사판과 상기 하부 경사판은 V 자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측판에 경사지게 결합하고,
상기 상부 경사판과 상기 하부 경사판 각각에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공급수는 복수 개의 상기 필러모듈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제1 흐름(F1)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흐름(F1)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을 따라 경사지게 흐르는 공급수 중 일부는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새로운 분사원으로 작용하게 되는 공급수의 제2 흐름(F2)을 형성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홀을 우회하도록 분기되어 흐르는 제3 흐름(F3)을 형성하 냉각탑.
housing;
A nozzle part spraying the supply water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 filler unit for evenly distributing and dropping the supply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unit; And
It includes a water tank for storing the supply water falling through the filler,
The filler part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iller modules,
The filler module is
A plate-shaped sid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concave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on the upp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concave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at the lower portion,
An upper swash plate having a groov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groove, and
And a lower swash plate having a groov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groove,
The upper swash plate and the lower swash plate are obliquely coupled to the side plate to form a V-shaped shape,
Holes are formed in each of the upper swash plate and the lower swash plate,
The supply water injected from the nozzle part forms a first flow (F1) that moves in a zigzag vertical direction by the plurality of filler modules,
In the first flow (F1), some of the supply water flowing obliquely along the swash plate passes through the hole to form a second flow (F2) of supply water acting as a new injection source, and the other part is the hole is branched to bypass flowing the third flow of the cooling tower is to form the (F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경사판과 상기 하부 경사판 각각은 상기 측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각탑.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upper swash plate and the lower swash plat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pl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모듈의 측판 및 경사판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냉각탑.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plate and the swash plate of the filler module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꼭짓점이 형성된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냉각탑.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e is formed to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with vertices.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홀은 역 V자 형상의 배열을 갖도록 상기 경사판에 형성되고,
상기 배열은 상기 경사판에서의 공급수의 흐름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가 배치되는 냉각탑.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the holes are formed in the swash plate to have an inverted V-shaped arrangement,
At least two of the arrangements are arrang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supply water from the swash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러부에서 열 교환하는 냉각탑.
The method of claim 1,
The cooling tow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feed water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제9항에 있어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홀은 역 V자 형상의 배열을 갖도록 상기 경사판에 형성되고,
상기 배열은 상기 경사판에서의 공급수의 흐름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가 배치되는 냉각탑.
The method of claim 9,
A plurality of the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swash plate to have an inverted V-shaped arrangement,
At least two of the arrangements are arrang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supply water from the swash pla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필러부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되게 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냉각탑.
The method of claim 9,
The cooling tower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further comprising a blower fan for discharging the air heat-exchanged from the pillar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30534A 2019-03-18 2019-03-18 Filler and cooling tower having the same KR1021530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534A KR102153054B1 (en) 2019-03-18 2019-03-18 Filler and cooling tow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534A KR102153054B1 (en) 2019-03-18 2019-03-18 Filler and cooling tow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054B1 true KR102153054B1 (en) 2020-09-07

Family

ID=7247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534A KR102153054B1 (en) 2019-03-18 2019-03-18 Filler and cooling tow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05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5595U (en) * 1977-05-11 1987-03-19
JPS63159687U (en) * 1987-03-31 1988-10-19
KR20100001341A (en) *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경인기계 Cross flow type cooling tow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5595U (en) * 1977-05-11 1987-03-19
JPS63159687U (en) * 1987-03-31 1988-10-19
KR20100001341A (en) *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경인기계 Cross flow type cooling to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366B1 (en) Fill for cross flow type of cooling tower
KR102153054B1 (en) Filler and cooling tower having the same
KR102066403B1 (en) Cooling tower for reducing white smoke
US11506456B2 (en) Modular cooling tower
KR101195989B1 (en) counter flow type cooling tover preventing plume
KR102077521B1 (en) A cooling tower in which a filler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and a cooling water mixing section is provided between the fillers
KR100897886B1 (en) Splash grid filler
CN204085234U (en) A kind of durable and efficient cooling tower
RU2330228C1 (en) Ventilator cooling stack
US11522203B2 (en) Drying method of fuel cell and drying apparatus of fuel cell
KR20100035838A (en) Hybrid type cooling tower
KR20010020085A (en) Combined flow type cooling tower
KR101093811B1 (en) cross flow type cooling tower
CN103424009A (en) Self-bearing plate tube tilted air cooler
KR20090000684U (en) Splash grid filler
KR20200109750A (en) A filling material having protrusions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condensation
KR200169542Y1 (en) Combined flow type cooling tower
RU2596076C2 (en) Spray grid for dropping zones or spraying
CN102679672B (en) Defrosting device of a quick freezer and nozzle for the device
KR200464569Y1 (en) prefabricated frame for cooling tower and cooling tower using prefabricated frame for cooling tower
KR200357335Y1 (en) Upward typed spray apparatus of cooling tower
KR101103565B1 (en) Cooling tower having double fillers
CN217849898U (en) Emergency cooling equipment
CN212778839U (en) Crossflow tower drip packing and crossflow tower
RU2743901C1 (en) Sectional cooling t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