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833B1 - 보양재 - Google Patents

보양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833B1
KR102152833B1 KR1020180127949A KR20180127949A KR102152833B1 KR 102152833 B1 KR102152833 B1 KR 102152833B1 KR 1020180127949 A KR1020180127949 A KR 1020180127949A KR 20180127949 A KR20180127949 A KR 20180127949A KR 102152833 B1 KR102152833 B1 KR 10215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protective
profile
protective sheet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6579A (ko
Inventor
오창락
Original Assignee
오창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락 filed Critical 오창락
Priority to KR1020180127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8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7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fic for protecting windows or doors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30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mechanical damage or dirt, e.g. guard covers of st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양재는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와 일측면에 강도를 높이기 위한 절곡부가 형성된 프로파일과, 상기 프로파일의 실내측 단부에서 상기 절곡부가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단턱을 구비하는 창틀의 실내측 면에 부착되는 보양재에 있어서, 상기 보양재는 상기 창틀의 실내측 면과 맞대어지는 보호면과, 상기 보호면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단턱의 단부와 맞대어지는 제 1연장면과, 상기 제1연장면의 단부에서 상기 단턱의 단부를 감싸도록 절곡 연장되어 상기 단턱에 걸리는 제 1걸림면과, 상기 보호면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프로파일의 단부과 맞대어지는 제 2연장면과, 상기 제 2연장면의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절곡부에 걸리는 제 2걸림면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양재{Monolithic material}
본 발명은 보양재 및 이의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보양재 및 이의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말하는데, 그 사용재료에 따라 목재 창호와 금속재 창호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이 만들어지며, 그 재질로는 PVC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은 값이 싸고, 단열성능 및 기밀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공동주택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플라스틱 재질의 창호는 PVC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창틀 또는 창짝이 제조된 후에 실내 측과 접하는 면에는 미관을 화려하게 하기 위해 무늬를 가지는 필름 등을 부착하게 된다.
한편, 건물의 신축공사에서 창호의 시공은 구조물이 만들어진 다음 행해진다. 건물의 구조물이 만들어지면 창호를 시공하여 실내로 비나 바람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창호가 시공된 후, 건물의 준공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리며, 창호가 설치된 개구부 등을 통해 설비 등을 실내공간으로 올리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창틀의 내측면이 오염되거나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양재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보양재는 일반적으로 창틀에 테이프 등으로 임시 고정되며, 보양재가 고정된 후 창틀의 상부에는 창틀의 레일 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시트를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창짝을 창틀에 끼우기 전에 보호시트를 제거하게 되는데, 보호시트를 제거할 때 보호시트의 접착력에 의해 보양재가 함께 창틀에서 제거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보양재가 창틀에 임시 고정되지 못하고 제거되면, 창호를 통해 실내로 자재 등을 운반할 때 작업자가 창틀을 밟거나 하여 창틀의 내측면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3757호(2009.05.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틀에 보양재를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보양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보양재의 고정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창틀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시트를 제거할 때 보양재가 창틀에서 함께 제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창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보양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양재는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와 일측면에 강도를 높이기 위한 절곡부가 형성된 프로파일과, 상기 프로파일의 실내측 단부에서 상기 절곡부가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단턱을 구비하는 창틀의 실내측 면에 부착되는 보양재에 있어서, 상기 보양재는 상기 창틀의 실내측 면과 맞대어지는 보호면과, 상기 보호면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단턱의 단부와 맞대어지는 제 1연장면과, 상기 제1연장면의 단부에서 상기 단턱의 단부를 감싸도록 절곡 연장되어 상기 단턱에 걸리는 제 1걸림면과, 상기 보호면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프로파일의 단부과 맞대어지는 제 2연장면과, 상기 제 2연장면의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절곡부에 걸리는 제 2걸림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양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면과 상기 제 1연장면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보호면과 상기 제 2연장면이 이루는 각도는 각각 9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연장면과 상기 1걸림면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제 2연장면과 상기 제2걸림면이 이루는 각도는 각각 9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보양재에 의하면, 간단한 설치를 통해 창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창틀의 보호를 위한 보호시트를 제거할 때 임시 고정된 보양재가 창틀에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가 설치되는 미서기창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가 설치된 하부 창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가 하부 창틀에 설치된 후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보호시트를 제거할 때 임시 고정된 보양재가 떨어지지 않는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 성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양재 성형장치의 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가 설치되는 미서기창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가 설치된 하부 창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가 하부 창틀에 설치된 후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100)가 설치되는 플라스틱 창호는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10)과, 창틀(1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20)을 구비한다. 창틀(10)은 일반적으로 중앙이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부 창틀(10a), 2개의 수직 창틀(10b), 하부 창틀(10c)로 구성된다. 이러한 창틀(10)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창짝(20)이 설치된다. 창짝(20)은 유리를 수용하며 2개 또는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창틀(10c)은 플라스틱이 성형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로파일(11)을 가지며, 프로파일(11)의 상측에는 창짝(20)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프로파일(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레일(12)이 구비된다. 한편 창짝(20)이 슬라이딩 하도록 형성되는 레일(12)의 실외측에는 방충망을 수용하는 방충망 레일(13)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파일(11)의 하부에는 프로파일(11)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절곡된 복수개의 절곡부(14)가 구비된다.
한편, 하부 창틀(10c)의 실내측 단부에는 실외측에서 창짝(20)과 창틀(10)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 등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단턱(15)이 구비된다. 단턱(15)의 실내측 면은 프로파일(11)의 실내측 면과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하부 창틀(10c)의 프로파일(11)의 실내측 면과 단턱(15)의 실내측 면이 서로 일치되어 하나의 실내측 면을 형성한다.
도 2에서는 하부 창틀(10c)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부 창틀(10a) 및 수직 창틀(10b)도 하부 창틀(10c)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상부 창틀(10a)은 하부 창틀(10c)과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며, 수직 창틀(10b)은 하부 창틀(10c)과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프로파일(11)의 실내측 면과 단턱(15)의 실내측 면이 함께 형성하는 면을 창틀(10)의 실내측 면(16)으로 정의한다.
한편, 실내측에서 보이는 창틀(10)의 외관을 미려하기 하기 위해 창틀(10)의 실내측 면(16)에는 나무 등의 무늬를 가지는 필름(17)이 부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100)는 창틀(10)의 실내측 면(16)에 부착되는 필름(17)을 보호하기 위해 창틀(10)에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보양재(100)가 하부 창틀(10c)에 설치되는 것을 보였으나, 상부 창틀(10a) 및 수직 창틀(10b)에 설치될 때에서 하부 창틀(10c)에 설치될 때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100)는 창틀(10)의 실내측 면(16)과 맞대어지는 보호면(110)과, 상기 보호면(11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단턱(15)의 단부와 맞대어지는 제 1연장면(120)과, 상기 제1연장면(120)의 단부에서 상기 단턱(15)의 단부를 감싸도록 절곡 연장되어 상기 단턱(15)에 걸리는 제 1걸림면(130)과, 상기 보호면(110)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프로파일(11)의 단부과 맞대어지는 제 2연장면(140)과, 상기 제 2연장면(140)의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창틀(10)에 형성된 절곡부(14)에 걸리는 제 2걸림면(1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양재(100)의 보호면(110), 제 1연장면(120), 제 1걸림면(130), 제 2연장면(140), 제 2걸림면(150)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 1걸림면(130)과 제 2걸림면(150)을 통해 보양재(100)가 창틀(10)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고정부재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보양재(100)를 창틀(10c)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고정부재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사용 후 탈착이 용이하며, 재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보양재(100)가 창틀(10)에 결합된 이후 창틀(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보호면(110)과 제 1연장면(120)이 이루는 각도와, 보호면(110)과 제 2연장면(140)이 이루는 각도는 각각 9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연장면(110)과 1걸림면(130)이 이루는 각도와, 제 2연장면(140)과 제2걸림면(150)이 이루는 각도는 각각 9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양재(1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보호면(110), 제 1연장면(120), 제 1걸림면(130)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하로 형성되고, 보호면(110), 제 2연장면(140), 제 2걸림면(130)이 이루는 각도도 90도 이하로 형성되므로 보양재(100)가 창틀(10)에 결합된 이후 창틀(10)에서 잘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보양재(10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제작될 수 있다. PET는 열, 빛에 안정하며, 산, 약한 알칼리, 산화제에 대해 저항성이 크다. 또한, 그리고 인장 강도가 크고, 내굴곡성, 내약품성, 전기 절연성이 뛰어나며, -20도에서 +80도의 온도 범위에서 유연성 및 기계적 성질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보양재(100)가 유연성을 가지므로 보양재(100)의 탄성을 이용해 제 1걸림면(130) 및 제 2걸림면(150)이 창틀(10)에 걸리도록 하는 동작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반대로 보양재(100)를 창틀(10)에서 쉽게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PET는 기계적 성질이 강해 스크레치 등이 잘 발생하지 않으므로 보양재(100)에 의해 창틀(20)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보호시트를 제거할 때 임시 고정된 보양재가 떨어지지 않는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100)가 설치된 후 창틀(10)의 레일(12) 등을 보호하기 위해 창틀(10)에는 보호시트(3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보호시트(30)의 일측면은 주로 접착층으로 형성되어 접착층을 창틀(10)에 부착함으로써 창틀(10)을 보호하게 된다. 한편, 보호시트(30)를 창틀(10)에 부착할 때 이미 창틀(10)에 결합된 보양재(100)의 상부에 접착층이 부착된다.
한편, 창틀(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창틀(10)을 통해 실내측으로 필요한 창짝(20)을 창틀(10)에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창틀(10)에 창짝(20)을 설치하기 전에 보호시트(30)를 창짝(20)에서 제거해야 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보호시트(30)의 중간부를 커터칼 등으로 절개한 후, 보호시트(30)를 손으로 잡아 당기게 된다. 만약 보양재(100)가 창틀(1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보호시트(30)를 잡아 당길 때 보호시트의 접착층의 접착력으로 인해 보양재(100)도 창짝(20)에서 함께 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100)는 1걸림면(130) 및 제 2걸림면(150)에 의해 창짝(20)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보호시트(30)를 창틀(10)에서 제거할 때 창틀(10)에서 이탈되지 않고 창틀(10)에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창틀(10)에 보호시트(30)가 설치된 예를 들었으나, 창틀(10)에 보호시트(30)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보양재(100)는 창틀(10)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100)에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를 성형하는 성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 성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양재 성형장치의 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 성형장치(200)는 본체(210), 이송부(220), 가열부(230) 및 가압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210)는 선반과 같은 역할을 하여 이송부(220), 가열부(230) 및 가압부(240)가 결합고정될 수 있다.
이송부(220)는 본체(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양재 성형장치(200)에 투입되는 보양재(100)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부(220)는 고정장치(221)와 이송롤러(222)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장치(221)는 실질적으로 이송부(220)가 본체(210)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이송롤러(222)는 고정장치(221)의 일단에 구비되어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송롤러(222)에는 보양재(100)의 일면이 맞대어진 상태로 구비되어 이송롤러(222)의 회전에 맞물려 일정한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가열부(230)는 이송부(220)와 마찬가지로 본체(2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열부(230)는 이송부(220)를 통해 이송되는 보양재(100)에 열을 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열부(230)에 의해 열을 받은 보양재(100)는 가열부(230)에 의해 열을 받기 전보다 상대적으로 유연성 및 기계적 성질이 떨어질 수 있다.
가압부(240)는 본체(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열부(230)를 통해 유연성 및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고 이송부(220)를 통해 이송된 보양재(100)를 가압하여 창호 프레임(20)의 형태에 맞게 보양재(100)의 형태를 가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부(240)는 제1가압롤러(241), 제2가압롤러(242) 및 제3가압롤러(24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가압롤러(241)는 회전축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어 회전하며, 보양재(100)의 보호면(110)을 가압할 수 있다.
제2가압롤러(242)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회전축이 45도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하며 보양재(100)의 양단이 하 방향으로 절곡 되도록 할 수 있다.
제3가압롤러(243)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보양재(100)의 측면에 위치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가압롤러(242)를 통해 하 방향으로 절곡된 보양재(100)의 양단을 가압하여 양단이 보호면(110)과 수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가압롤러(241), 제2가압롤러(242) 및 제3가압롤러(243)를 통해 면 형태의 보양재(100)를 창틀(20)의 형태에 맞게 성형할 수 있다.
한편, 보양재 성형장치(200)에는 이물질 제거장치(2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물질 제거장치(250)는 보양재(100)를 성형할 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콤프레셔를 통해 보양재(100)의 표면에 풍력을 제공하여 풍력에 의해 이물질이 보양재(100)로부터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풍력에 의해 보양재(100) 표면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가열부(230)를 통해 가열된 보양재(100)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210), 이송부(220), 가열부(230) 및 가압부(240)를 구비하는 보양재 성형장치(200)를 활용하여 자동화설비를 이룰 수 있으므로 보양재(100)의 성형을 위한 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건비 및 제작비 등의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양재 및 이의 성형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창틀 11: 프로파일
14: 절곡부 15: 단턱
16: 실내측 면 17: 필름
20: 창짝 100: 보양재
110: 보호면 120: 제 1연장면
130: 제 1걸림면 140: 제 2연장면
150: 제 2걸림면 200: 보양재 성형장치
210: 본체 220: 이송부
221: 고정장치 222: 이송롤러
230: 가열부 240: 가압부
241: 제1가압롤러 242: 제2가압롤러
243: 제3가압롤러 250: 이물질 제거장치

Claims (4)

  1.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와 일측면에 강도를 높이기 위한 절곡부가 형성된 프로파일과, 상기 프로파일의 실내측 단부에서 상기 절곡부가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단턱을 구비하는 창틀과, 상기 창틀의 실내측 면과 상측 면에 부착된 필름을 보호하는 보양재에 있어서,
    상기 보양재는 상기 창틀의 실내측 면과 맞대어져 상기 창틀의 실내측 면에 부착된 필름을 보호하도록 내면이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되는 보호면과, 상기 보호면의 일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창틀의 상면에 부착된 필름을 보호하도록 내면이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되는 제1연장면과, 상기 제1연장면의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창틀에 상기 보양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단턱에 걸리는 제1걸림면과, 상기 보호면의 타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프로파일의 단부와 맞대어지는 제2연장면과, 상기 제2연장면의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프로파일에 상기 보양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절곡부에 걸리는 제2걸림면을 구비하고,
    상기 보양재는 작업자가 상기 창틀 및 상기 프로파일에 장착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유연성 및 탄성력을 구비하며, 기계적 성질이 강해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면과 상기 제1연장면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보호면과 상기 제2연장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연장면에 부착되어 상기 창틀을 보호하는 보호시트가 제거될 때, 상기 보호시트에 구비된 접착제로 인하여 상기 보양재가 상기 보호시트와 같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턱과 상기 절곡부에 상기 보양재가 탄성력으로 고정되도록 각도를 각각 90도 이하로 구비되고,
    상기 제1연장면과 상기 제1걸림면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제2연장면과 상기 제2걸림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보양재가 외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연장면에 부착되어 상기 창틀을 보호하는 보호시트가 제거될 때, 상기 보호시트에 구비된 접착제로 인하여 상기 보양재가 상기 보호시트와 같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턱과 상기 절곡부에 상기 보양재가 탄성력으로 고정되도록 각도를 각각 90도 이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양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27949A 2018-10-25 2018-10-25 보양재 KR10215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949A KR102152833B1 (ko) 2018-10-25 2018-10-25 보양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949A KR102152833B1 (ko) 2018-10-25 2018-10-25 보양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579A KR20200046579A (ko) 2020-05-07
KR102152833B1 true KR102152833B1 (ko) 2020-09-07

Family

ID=7073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949A KR102152833B1 (ko) 2018-10-25 2018-10-25 보양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8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847Y1 (ko) * 1996-06-10 1999-06-15 정종순 창문틀용 보호커버
JP2003343090A (ja) * 2002-05-24 2003-12-03 Koritsu Kasei Kogyo Kk 建設内装枠の養生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647U (ko) * 1998-08-12 2000-03-06 추두련 창틀용 샤시 보강구조
KR20090053757A (ko) 2009-03-20 2009-05-27 중앙산업(주) 크라프트지 보양덮개와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847Y1 (ko) * 1996-06-10 1999-06-15 정종순 창문틀용 보호커버
JP2003343090A (ja) * 2002-05-24 2003-12-03 Koritsu Kasei Kogyo Kk 建設内装枠の養生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579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mmons Windows and Sliding Glass Doors
EP2188478B1 (en) A method for making a pane module and a window comprising such a pane module
US10604989B2 (en) Window frame protection system for use in areas prone to storms
US92734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and sealing door and window jambs, frames, and exterior trim
EP2290188A1 (en) Flood barrier and assembly
US8186104B2 (en) Detachable tracks for sliding doors and windows
EP2687669A2 (en) Method of mounting an insulating glazing panel to a window frame by means of an embedded fitting in its extruded border
US20130326973A1 (en) Window rain guard & wind deflector
KR102152833B1 (ko) 보양재
US6173541B1 (en) Window assembly
KR101527875B1 (ko) 복합 미서기 창호
KR20050105103A (ko) 이중창 구조의 창틀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US6082062A (en) Security attachment system
KR100794457B1 (ko) 창틀의 오염 방지장치
GB2449520A (en) Flood barrier
DE20309960U1 (de) Ganzverglasung an einem Bauwerk
KR20170075270A (ko) 내풍압성이 향상된 창호
US9169689B1 (en) Connecting adaptor for attaching edges of transparent plastic panels over window and door openings
AU2018101780A4 (en) Electrical Equipment Housing
KR102156611B1 (ko) 슬라이딩 창짝 구조체
EP1387032A1 (en) Set of devices for covering and protecting door and window frames until said windows and doors are installed
FI127943B (en) Fastening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blind on a transparent sheet
EP2188480B1 (en) A screening module for a window
JP2006124950A (ja) 下枠フラットサッシ用下枠保護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