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376B1 - 방열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 - Google Patents

방열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376B1
KR102152376B1 KR1020180108485A KR20180108485A KR102152376B1 KR 102152376 B1 KR102152376 B1 KR 102152376B1 KR 1020180108485 A KR1020180108485 A KR 1020180108485A KR 20180108485 A KR20180108485 A KR 20180108485A KR 102152376 B1 KR102152376 B1 KR 102152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coating layer
thermal interface
interface material
volume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896A (ko
Inventor
정세영
주기수
황정우
김태룡
Original Assignee
엔트리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트리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트리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8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3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73Cooling facilitated by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device or materials for thermal expansion adaptation, e.g. carbon
    • H01L23/3737Organic materials with or without a thermoconductive fi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07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 H01L23/3135Double encapsulation or coating and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73Cooling facilitated by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device or materials for thermal expansion adaptation, e.g. carbon
    • H01L23/3736Metall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를 포함하는 코어볼; 상기 코어볼을 둘러싸되 구리를 포함하는 제 1 피복층; 상기 제 1 피복층을 둘러싸되 은을 포함하는 제 2 피복층;을 구비하는 방열 입자를 제공하거나, 기지; 및 상기 기지 내에 분산되되, 폴리머를 포함하는 코어볼, 상기 코어볼을 둘러싸되 구리를 포함하는 제 1 피복층 및 상기 제 1 피복층을 둘러싸되 은을 포함하는 제 2 피복층으로 이루어진, 제 1 필러;를 포함하는 열 계면 물질(TIM)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열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Thermal spreading particles and thermal interface materi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열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전도율이 높은 방열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칩이 고집적화됨에 따라 반도체 칩의 발열 현상이 문제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도체 칩 패키지 상에 열 전도도가 높은 금속 물질 등을 사용한 방열판(heat spreader)을 부착하여 반도체 칩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열 계면 물질을 반도체 칩 패키지 및 방열판 사이에 부착하여 반도체 칩 패키지로부터 방열판으로의 열전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02-0093474호 (2002.12.16. 공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전도율이 높은 방열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방열 입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코어볼; 상기 코어볼을 둘러싸되 구리를 포함하는 제 1 피복층; 상기 제 1 피복층을 둘러싸되 은을 포함하는 제 2 피복층;을 구비한다.
상기 방열 입자에서, 상기 제 1 피복층의 표면은 엠보싱 형태를 가지며, 상기 엠보싱 형태가 현출되도록 상기 제 2 피복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피복층의 두께 보다 얇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한 열 계면 물질은 기지; 및 상기 기지 내에 분산되되, 폴리머를 포함하는 코어볼, 상기 코어볼을 둘러싸되 구리를 포함하는 제 1 피복층 및 상기 제 1 피복층을 둘러싸되 은을 포함하는 제 2 피복층으로 이루어진, 제 1 필러;를 포함한다.
상기 열 계면 물질은, 상기 기지 내에 분산되되, 복수의 제 1 필러 사이에 개재되는 은을 포함하는 구형 분말 형태의 제 2 필러; 및 은을 포함하는 플레이크(flake) 형태의 제 3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계면 물질에서, 상기 제 1 필러의 입자 크기는 상기 제 2 필러의 입자 크기 보다 크며, 상기 제 2 필러의 입자 크기는 상기 제 3 필러의 입자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열 계면 물질에서, 상기 기지 내에 분산된 상기 제 1 필러의 부피분율은 35 내지 55 vol%이며, 상기 제 2 필러의 부피분율은 15 내지 25 vol%이며, 상기 제 3 필러의 부피분율은 5 내지 8 vol%일 수 있으며, 상기 기지 내에 분산된 상기 제 1 필러, 상기 제 2 필러 및 상기 제 3 필러의 전체 부피분율은 65 내지 85 vol%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전도율이 높은 방열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의 단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의 외부 표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변형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의 외부 표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따른 방열 입자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TIM)의 단면을 촬영한 SEM 사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험예 중에서 실시예1에 따른 열 계면 물질(TIM)의 단면을 각각 저배율 및 고배율로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험예 중에서 실시예2에 따른 열 계면 물질(TIM)의 단면을 각각 저배율 및 고배율로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험예 중에서 실시예3에 따른 열 계면 물질(TIM)의 단면을 각각 저배율 및 고배율로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험예 중에서 실시예4에 따른 열 계면 물질(TIM)의 단면을 각각 저배율 및 고배율로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험예 중에서 실시예5에 따른 열 계면 물질(TIM)의 단면을 각각 저배율 및 고배율로 촬영한 SEM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의 단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의 외부 표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는 열 계면 물질(TIM; Thermal Interface Material)의 일부를 구성하는 입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코어볼(10); 상기 코어볼(10)을 둘러싸되 구리를 포함하는 제 1 피복층(11); 상기 제 1 피복층(11)을 둘러싸되 은을 포함하는 제 2 피복층(12);을 구비한다.
코어볼(10)은 폴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머로 이루어진 코어볼(10)은 크기의 균일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열 계면 물질(TIM) 내에 코어볼(10)의 충전율이 높아 결과적으로 열 계면 물질(TIM)의 열전도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폴리머로 이루어진 코어볼(10)을 사용함으로써 방열 입자의 전체적인 비중을 낮출 수 있으며, 나아가, 비중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금속만으로 이루어진 방열 입자를 제공한다면 단분산 수준의 균일한 금속 입자의 수급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균일한 크기의 큰 입자를 확보하기가 매우 어렵지만, 본 발명에 의한 방열 입자는 폴리머로 이루어진 코어볼(10)을 포함하므로 균일한 크기의 큰 입자를 확보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제 1 피복층(11)은 상기 코어볼(10)을 둘러싸되 구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열전도도(단위: kcal/m.hr.℃) 관점에서 구리는 300~340의 범위를 가지며, 다른 금속들(알루미늄:175, 금:265, 철:40~45, 마그네슘:135, 니켈:50, 백금:60, 아연:95)에 비하여 열전도도가 높다.
제 2 피복층(12)은 상기 제 1 피복층(11)을 둘러싸되 은을 포함하는 이루어질 수 있다. 은의 열전도도는 360 kcal/m.hr.℃이며, 제 1 피복층(11)을 구성하는 구리의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제 1 피복층(11) 및/또는 제 2 피복층(12)은 도금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금 공정 외에도 물리적 기상 증착(PVD), 화학적 기상 증착(CVD), 원자층 증착(ALD) 등의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a와 같이, 상기 제 1 피복층(11)의 표면은 엠보싱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 형태는 제 1 피복층(11)을 구현하는 도금 공정의 조건(예를 들어, 도금액의 pH, 온도, 농도)을 조절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엠보싱 형태가 최종 방열 입자 구조에서 현출되도록 상기 제 2 피복층(12)의 두께는 상기 제 1 피복층(11)의 두께 보다 얇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직경이 약 25㎛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에서, 코어볼(10)을 둘러싸되 구리로 이루어진 제 1 피복층(11)은 두께가 약 2㎛이며, 제 1 피복층(11)을 둘러싸는 은으로 이루어진 제 2 피복층(12)의 두께는 약 0.2㎛일 수 있다. 하지만, 입자를 구성하는 코어볼과 피복층의 두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전체 직경이 약 25㎛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에서, 코어볼(10)을 둘러싸되 구리로 이루어진 제 1 피복층(11)은 두께가 약 10㎛이며, 제 1 피복층(11)을 둘러싸는 은으로 이루어진 제 2 피복층(12)의 두께는 약 1㎛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전체 직경이 약 10㎛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에서, 코어볼(10)을 둘러싸되 구리로 이루어진 제 1 피복층(11)은 두께가 약 4㎛이며, 제 1 피복층(11)을 둘러싸는 은으로 이루어진 제 2 피복층(12)의 두께는 약 1㎛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도 2a에서는 상기 제 1 피복층(11)의 표면이 엠보싱 형태를 가지는 경우를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피복층(11)의 표면은 엠보싱 형태를 가지지 않고 평평한(even) 곡면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에서, 평평한 곡면이라 함은 거시적으로 울퉁불퉁하지 않고 입자 전체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입자의 표면이 상대적으로 매끈한 곡면을 가짐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따른 방열 입자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들이 분포되어 있으며, 각각의 방열 입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코어볼; 상기 코어볼을 둘러싸되 구리를 포함하는 제 1 피복층; 상기 제 1 피복층을 둘러싸되 은을 포함하는 제 2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열 입자의 평균적인 직경은 약 25㎛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방열 입자들이 분포되어 있으며, 각각의 방열 입자는 금속 입자를 코어로 하고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구리 코팅층 및 은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열 입자의 평균적인 직경은 약 10㎛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비교예에 따른 방열 입자들이 분포되어 있으며, 각각의 방열 입자는 Ag 잉곳을 녹인 상태에서 시드부터 성장해서 합성법으로 구현된 은 파우더(Ag powder)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열 입자의 평균적인 크기는 약 200nm이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본 발명의 비교예들에 따른 방열 입자들은 모양 및 크기의 분포가 균일하지 않는 반면,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들은 모양 및 크기의 분포가 매우 균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균일도의 차이는 코어의 재질 등에 기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형의 폴리머는 현재 기술 수준에서 형상 및 크기의 균일도가 매우 높음에 반하여, 금속 입자 자체의 형상 및 크기의 균일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는 구형의 폴리머를 코어로 이용하기 때문에 최종적인 방열 입자의 형상 및 크기의 균일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방열 입자의 형상 및 크기의 균일도가 높으면 열 계면 물질(TIM)을 구성하는 방열 입자의 충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열 계면 물질의 열전도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TIM)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TIM)의 단면을 촬영한 SEM 사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TIM)은 기지; 및 상기 기지 내에 분산된 제 1 필러(F1), 제 2 필러(F2), 제 3 필러(F3)를 포함한다. 나아가, 도 5를 참조하면,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제 1 필러(F1)들은 육각형 꼭지점과 내부의 중심점을 점유하도록 배치되며, 제 2 필러(F2)와 제 3 필러(F3)들이 제 1 필러(F1) 사이에 조밀하게 개재되어 배치된다.
상기 기지(matrix)는 폴리머 기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폭시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필러(F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입자로서, 폴리머를 포함하는 코어볼, 상기 코어볼을 둘러싸되 구리를 포함하는 제 1 피복층 및 상기 제 1 피복층을 둘러싸되 은을 포함하는 제 2 피복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필러(F2)는 복수의 제 1 필러 사이에 개재되는 은을 포함하는 구형 분말 형태의 필러이다. 상기 제 3 필러(F3)는 은을 포함하는 플레이크(flake) 형태의 필러이다. 복수의 제 2 필러(F2)와 제 3 필러(F3)는 제 1 필러(F1)들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러(F1)의 입자 크기는 상기 제 2 필러(F2)의 입자 크기 보다 크며, 상기 제 2 필러(F2)의 입자 크기는 상기 제 3 필러(F3)의 입자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기지 내에 분산된 제 1 필러(F1), 제 2 필러(F2) 및 제 3 필러(F3)의 전체 부피 분율은 65 내지 85 vol%이 되도록 구현하였다. 한변이 2R인 정육면체 내에 반경 R인 구가 배치되는 경우 정육면체 부피에 대한 구의 부피 비율은 52.36% 정도인 바, 필러들의 충전 비율이 65 내지 85 vol%인 것은 상당히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충전 비율은 호스필드(Horsfield)의 이론에 의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의 충전 비율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수준의 충전 비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 내에 분산된 상기 제 1 필러(F1)의 부피분율은 35 내지 55 vol%이며, 상기 제 2 필러(F2)의 부피분율은 15 내지 25 vol%이며, 상기 제 3 필러(F3)의 부피분율은 5 내지 8 vol%로 설계하였다. 상기 제 1 필러(F1)의 부피분율이 55% 보다 높으면 충진 시 입자 대비 매트릭스(matrix)의 양이 부족하여, 경화 이후, 내부에 공극(void)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필러(F1)의 부피분율이 35% 보다 낮으면 충진 시 열전도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적용한 상기 열 계면 물질의 열전도율은 상대적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을 구현할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따른 열 계면 물질(TIM)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비율과 이에 따른 열전달계수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표 1에 개시된 열전달계수는 절대값이 아니라 상대적인 크기 비교를 위하여 나타낸 값이다. 또한,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험예 중에서 실시예1에 따른 열 계면 물질(TIM)의 단면을 각각 저배율 및 고배율로 촬영한 SEM 사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험예 중에서 실시예2에 따른 열 계면 물질(TIM)의 단면을 각각 저배율 및 고배율로 촬영한 SEM 사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험예 중에서 실시예3에 따른 열 계면 물질(TIM)의 단면을 각각 저배율 및 고배율로 촬영한 SEM 사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험예 중에서 실시예4에 따른 열 계면 물질(TIM)의 단면을 각각 저배율 및 고배율로 촬영한 SEM 사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험예 중에서 실시예5에 따른 열 계면 물질(TIM)의 단면을 각각 저배율 및 고배율로 촬영한 SEM 사진이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Epoxy [g] 5.6 4.2 3.7 3.7 3.7 3.7 3.7 3.7
Thick Cu/Thin Ag [g] 25.1 0 0 16.6 21.3 25 28 31.5
Ag powder [g] 0 0 0 25 25 25 25 25
Ag flake [g] 24 35.1 30.9 7.6 7.6 7.6 7.6 7.6
Filler 1 [vol%] 42.3 0 0 36.3 42.3 46.2 49.0 52.0
Filler 2 [vol%] 0 0 0 23.4 21.3 19.8 18.8 17.7
Filler 3 [vol%] 19.1 49.1 49.1 7.1 6.5 6.0 5.7 5.4
Filler Total [vol%] 61.4 49.1 49.1 66.8 70.1 72.0 73.5 75.1
열전도율 [arbitrary unit] 2.8A 1.44A 1.28A 3.58A 4.6A 4.76A 5.15A 6.39A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1에 따른 열 계면 물질(TIM)은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에폭시 레진 5.6g, 제 1 필러(F1) 25.1g, 제 3 필러(F3) 24g으로 이루어지되, 부피 분율 관점에서는 열 계면 물질 중에서 제 1 필러(F1)의 부피 분율이 42.3 vol%, 제 3 필러(F3)의 분피 분율은 19.1 vol%을 구성하여 필러의 전체 부피 분율은 61.4 vol%이며 최종적인 열 계면 물질(TIM)의 열전달계수는 2.8A로 측정되었다. 열전달계수의 값에서 상기 A는 소정의 상수값이다.
비교예2에 따른 열 계면 물질(TIM)은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에폭시 레진 4.2g, 제 3 필러(F3) 35.1g으로 이루어지되, 부피 분율 관점에서는 열 계면 물질 중에서 제 3 필러(F3)의 분피 분율은 49.1 vol%을 구성하여 필러의 전체 부피 분율은 49.1 vol%이며 최종적인 열 계면 물질(TIM)의 열전달계수는 1.44A(상기 A는 소정의 상수값)로 측정되었다.
비교예3에 따른 열 계면 물질(TIM)은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에폭시 레진 3.7g, 제 3 필러(F3) 30.9g으로 이루어지되, 부피 분율 관점에서는 열 계면 물질 중에서 제 3 필러(F3)의 분피 분율은 49.1 vol%을 구성하여 필러의 전체 부피 분율은 49.1 vol%이며 최종적인 열 계면 물질(TIM)의 열전달계수는 1.28A(상기 A는 소정의 상수값)로 측정되었다.
실시예1에 따른 열 계면 물질(도 6a 및 도 6b)은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에폭시 레진 3.7g, 제 1 필러(F1) 16.6g, 제 2 필러(F2) 25g, 제 3 필러(F3) 7.6g으로 이루어지되, 부피 분율 관점에서는 열 계면 물질 중에서 제 1 필러(F1)의 부피 분율이 36.3 vol%, 제 2 필러(F2)의 부피 분율은 23.4 vol%, 제 3 필러(F3)의 분피 분율은 7.1 vol%을 구성하여 필러의 전체 부피 분율은 66.8 vol%이며 최종적인 열 계면 물질(TIM)의 열전달계수는 3.58A(상기 A는 소정의 상수값)로 측정되었다.
실시예2에 따른 열 계면 물질(도 7a 및 도 7b)은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에폭시 레진 3.7g, 제 1 필러(F1) 21.3g, 제 2 필러(F2) 25g, 제 3 필러(F3) 7.6g으로 이루어지되, 부피 분율 관점에서는 열 계면 물질 중에서 제 1 필러(F1)의 부피 분율이 42.3 vol%, 제 2 필러(F2)의 부피 분율은 21.3 vol%, 제 3 필러(F3)의 분피 분율은 6.5 vol%을 구성하여 필러의 전체 부피 분율은 70.1 vol%이며 최종적인 열 계면 물질(TIM)의 열전달계수는 4.6A(상기 A는 소정의 상수값)로 측정되었다.
실시예3에 따른 열 계면 물질(도 8a 및 도 8b)은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에폭시 레진 3.7g, 제 1 필러(F1) 25g, 제 2 필러(F2) 25g, 제 3 필러(F3) 7.6g으로 이루어지되, 부피 분율 관점에서는 열 계면 물질 중에서 제 1 필러(F1)의 부피 분율이 46.2 vol%, 제 2 필러(F2)의 부피 분율은 19.8 vol%, 제 3 필러(F3)의 분피 분율은 6.0 vol%을 구성하여 필러의 전체 부피 분율은 72.0 vol%이며 최종적인 열 계면 물질(TIM)의 열전달계수는 4.76A(상기 A는 소정의 상수값)로 측정되었다.
실시예4에 따른 열 계면 물질(도 9a 및 도 9b)은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에폭시 레진 3.7g, 제 1 필러(F1) 28g, 제 2 필러(F2) 25g, 제 3 필러(F3) 7.6g으로 이루어지되, 부피 분율 관점에서는 열 계면 물질 중에서 제 1 필러(F1)의 부피 분율이 49.0 vol%, 제 2 필러(F2)의 부피 분율은 18.8 vol%, 제 3 필러(F3)의 분피 분율은 5.7 vol%을 구성하여 필러의 전체 부피 분율은 73.5 vol%이며 최종적인 열 계면 물질(TIM)의 열전달계수는 5.15A(상기 A는 소정의 상수값)로 측정되었다.
실시예5에 따른 열 계면 물질(도 10a 및 도 10b)은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에폭시 레진 3.7g, 제 1 필러(F1) 31.5g, 제 2 필러(F2) 25g, 제 3 필러(F3) 7.6g으로 이루어지되, 부피 분율 관점에서는 열 계면 물질 중에서 제 1 필러(F1)의 부피 분율이 52.0 vol%, 제 2 필러(F2)의 부피 분율은 17.7 vol%, 제 3 필러(F3)의 분피 분율은 5.4 vol%을 구성하여 필러의 전체 부피 분율은 75.1 vol%이며 최종적인 열 계면 물질(TIM)의 열전달계수는 6.39A(상기 A는 소정의 상수값)로 측정되었다.
표 1의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필러의 충전율이 높을수록 열 계면 물질(TIM)의 열전달계수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열 계면 물질(TIM)의 열전달계수가 필러의 충전율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들을 살펴보면, 기지 내에 제 3 필러(F3) 만으로 분산 배치하여 열 계면 물질(TIM)을 구성하는 비교예2 또는 비교예3 보다는 제 1 필러(F1) 및 제 3 필러(F3)를 함께 분산 배치하여 구성하는 비교예1의 경우에서 전체 필러의 부피분율이 더 높아 열 계면 물질의 열전달계수가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비교예1과 실시예1을 함께 살펴보면, 제 1 필러(F1)의 부피분율이 동일한 경우, 제 2 필러(F2) 없이 제 3 필러(F3) 만으로 제 1 필러(F1) 사이에 개재하는 것보다는 제 1 필러(F1) 사이에 제 2 필러(F2) 및 제 3 필러(F3)를 함께 개재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서, 전체 필러의 부피분율이 더 높아 열 계면 물질의 열전달계수가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1 내지 실시예5를 살펴보면, 열 계면 물질의 열전도율이 3.5A 내지 6.5A인 범위를 만족하는 조건 하에서, 기지 내 제 1 필러(F1)의 부피분율이 제 2 필러(F2)의 부피분율 보다 더 크며, 제 2 필러(F2)의 부피분율이 제 3 필러(F3)의 부피분율 보다 더 크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열 계면 물질(TIM)은, 예를 들어, 반도체 칩과 방열판 사이에 개재되거나, 반도체 칩과 회로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반도체 패키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 계면 물질은 반도체 칩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판 또는 회로 기판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노트북, 데스크탑, 핸드폰, 스마트폰, PDA,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어, TV, LED 장치 등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 장치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코어볼
11: 제 1 피복층
12: 제 2 피복층
F1: 제 1 필러
F2: 제 2 필러
F3: 제 3 필러

Claims (7)

  1. 폴리머를 포함하는 코어볼;
    상기 코어볼을 둘러싸되 구리를 포함하는 제 1 피복층; 및
    상기 제 1 피복층을 둘러싸되 은을 포함하는 제 2 피복층;
    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피복층의 표면은 엠보싱 형태를 가지며, 상기 엠보싱 형태가 현출되도록 상기 제 2 피복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피복층의 두께 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입자.
  2. 삭제
  3. 삭제
  4. 기지; 및
    상기 기지 내에 분산되되, 폴리머를 포함하는 코어볼, 상기 코어볼을 둘러싸되 구리를 포함하는 제 1 피복층 및 상기 제 1 피복층을 둘러싸되 은을 포함하는 제 2 피복층으로 이루어진, 제 1 필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피복층의 표면은 엠보싱 형태를 가지며, 상기 엠보싱 형태가 현출되도록 상기 제 2 피복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피복층의 두께 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지 내에 분산되되, 복수의 제 1 필러 사이에 개재되는 은을 포함하는 구형 분말 형태의 제 2 필러; 및 은을 포함하는 플레이크(flake) 형태의 제 3 필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필러의 입자 크기는 상기 제 2 필러의 입자 크기 보다 크며, 상기 제 2 필러의 입자 크기는 상기 제 3 필러의 입자 크기 보다 큰,
    열 계면 물질(TIM).
  5. 삭제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 내에 분산된 상기 제 1 필러의 부피분율은 35 내지 55 vol%이며, 상기 제 2 필러의 부피분율은 15 내지 25 vol%이며, 상기 제 3 필러의 부피분율은 5 내지 8 vol%이되, 상기 기지 내에 분산된 상기 제 1 필러, 상기 제 2 필러 및 상기 제 3 필러의 전체 부피분율은 65 내지 85 v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계면 물질(TIM).
KR1020180108485A 2018-09-11 2018-09-11 방열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 KR102152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485A KR102152376B1 (ko) 2018-09-11 2018-09-11 방열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485A KR102152376B1 (ko) 2018-09-11 2018-09-11 방열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896A KR20200029896A (ko) 2020-03-19
KR102152376B1 true KR102152376B1 (ko) 2020-09-04

Family

ID=6995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485A KR102152376B1 (ko) 2018-09-11 2018-09-11 방열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3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616B1 (ko) 2012-10-26 2014-11-27 엔트리움 주식회사 열 계면 물질(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 패키지
KR101898647B1 (ko) 2017-05-11 2018-09-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은코팅 구리 호일을 이용한 접합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접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9970B2 (ja) 2001-01-17 2011-01-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8138239B2 (en) * 2008-12-23 2012-03-20 Intel Corporation Polymer thermal interface materials
KR101219139B1 (ko) * 2009-12-24 2013-01-07 제일모직주식회사 이방 도전성 페이스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접속구조체
GB201222620D0 (en) * 2012-12-14 2013-01-30 Conpart As Method of applying a conductive adhesive
JP5719483B1 (ja) * 2013-09-12 2015-05-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粒子、導電材料及び接続構造体
TWM529706U (zh) * 2016-02-25 2016-10-01 旭立科技股份有限公司 固化型導熱介面片及其散熱裝置
KR101814998B1 (ko) * 2016-06-01 2018-01-04 주식회사 애니원 점착 테이프 및 표시 장치
JP6804919B2 (ja) * 2016-09-29 2020-12-23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ィラー含有粘着テープ及びフィラー含有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KR101929750B1 (ko) * 2016-12-22 2018-12-1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온용 접합 페이스트 및 인 시츄 미세 은 범프 형성을 이용한 접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616B1 (ko) 2012-10-26 2014-11-27 엔트리움 주식회사 열 계면 물질(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 패키지
KR101898647B1 (ko) 2017-05-11 2018-09-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은코팅 구리 호일을 이용한 접합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접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896A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0998B2 (en) Thermal interface material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TWI601257B (zh) 具有虛設晶粒之扇出堆疊系統級封裝(sip)及其製造方法
US20180269126A1 (en) Semiconductor packag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JP6440715B2 (ja) 放熱性に優れた金属封止材、その製造方法、及び上記金属封止材で封止された柔軟電子素子
US7027304B2 (en) Low cost thermal management device or heat sink manufactured from conductive loaded resin-based materials
US20150187679A1 (en) Lid Design for Heat Dissipation Enhancement of Die Package
US20190206839A1 (en) Electronic device package
TW200411038A (en) Thermal interface material
KR102167531B1 (ko) 반도체 장치
CN106129025B (zh) 电子装置及其制法
JPH0846070A (ja) ダイヤモンド放熱子を備えた集積回路パッケージ
KR20130060356A (ko) 감자형 흑연 충전재, 열 계면재 및 emi 차폐
US6255139B1 (en) Method for providing a thermal path through particles embedded in a thermal cap
CN104303292B (zh) 热绝缘组合物及使用该热绝缘组合物组装的电子装置
KR20190097082A (ko) 전자 모듈, 방법
US20070017815A1 (en) Circuit board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152376B1 (ko) 방열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열 계면 물질
KR102432180B1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7491421B2 (en) Graphite base for heat sink, method of making graphite base and heat sink
TW517368B (en)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assivation metal on the surface of integrated circuit
US20060199878A1 (en) Thermal interface material and filler used therein
KR101361105B1 (ko) 열전도성이 우수한 방열테이프
US20230032968A1 (en) Graphite composite and electronic component
US8288655B2 (en) Circuit boar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442609A (zh) 散熱片結構及其製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