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251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BIM data into disaster-safe spatial data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BIM data into disaster-safe spatial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251B1
KR102152251B1 KR1020190155404A KR20190155404A KR102152251B1 KR 102152251 B1 KR102152251 B1 KR 102152251B1 KR 1020190155404 A KR1020190155404 A KR 1020190155404A KR 20190155404 A KR20190155404 A KR 20190155404A KR 102152251 B1 KR102152251 B1 KR 102152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pace
wall
data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4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동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15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2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2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Abstract

Disclosed are a device and a method for extracting only essential data for constructing a disaster-safety spatial model fro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data representing a building and converting the essential data into disaster-safety spatial data which can be quickly shared and utilized in a disaster situ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nversion device for converting BIM data into disaster-safety spatial data comprises: a level definition unit defining level information by extracting the level information from the BIM data; a grid generation unit generating grid information by extracting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wall objects among essential objects defining a space for each level from the BIM data; an object generation unit generating object information by extract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ssential objects defining a space for each level from the BIM data; a space generation unit defining a space surrounded by the wall object using the grid information and generating spatial information; and an output unit outputting disaster-safety spatial data including the level information, the grid information, the object information, and the spatial information.

Description

BIM 데이터를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BIM data into disaster-safe spatial data}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BIM data into disaster-safe spatial data}

본 발명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건축물을 표현하는 BIM 데이터에서 재난안전 공간 모델을 구성하기 위한 필수 데이터를 추출하여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and converting essential data for constructing a disaster safety space model from BIM data representing a building.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예, IFC 표준 포맷)이란, 다차원 가상 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설비, 전기 등), 시공 더 나아가 유지 관리 및 폐기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하는 과정을 말한다. 특히, 최근 이슈(issue)인 최첨단 디자인 및 친환경 에너지 저가형 건축물 설계 및 시공할 수 있게 해주며, 다차원 가상설계 건설(Virtual Design Construction, VDC)과 유사한 개념이다. 최근 국제적으로 BIM의 적용범위를 건축분야뿐만 아니라 모든 건조 환경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유럽과 미국에서는 토목 및 플랜트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e.g., IFC standard format) refers to the process of virtually modeling facilities in a multi-dimensional virtual space from planning, design, engineering (structure, facilities, electricity, etc.), to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nd disposal. . In particular, it enables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ate-of-the-art design and eco-friendly energy-low-cost buildings, which are recent issues, and is a concept similar to multidimensional virtual design construction (VDC). Recently, the scope of BIM's application internationally is not only in the construction field but also in all dry environments, so it is widely used in civil engineering and plant fields in Europe and the US.

상기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빌딩(Building)은 대상건물의 전 생명주기-설계, 시공, 운영 및 관리를 의미하고, 정보(Information)는 대상건물의 전 생명주기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의미하고, 모델링(Modeling)은 전 생명주기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생산, 관리, 출판을 제공하는 통합 도구 및 플랫폼을 의미한다. BIM은 건물을 데이터화하여 수치 데이터를 만들며, 3차원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볼 수 있다. 최근 다중이용시설 건물(예, 규모가 큰 건물) 또는 조달청 시공 및 설계 발주로 건축되는 건축물들은 BIM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Building of the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refers to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target building-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information refers to al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target building. , Modeling means an integrated tool and platform that provides the production, management, and publication of al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ntire life cycle. BIM converts buildings into data to create numerical data, and you can see a three-dimensional display effect. Recently, multi-use facility buildings (eg, large-scale buildings) or buildings built under construction and design orders from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have BIM data.

BIM 데이터는 용량이 매우 크다.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에서 응용 활용하기에는 제약이 많다. 특히 화재, 지진, 기타 재난의 경우는 구조자 또는 조난자가 건축물 정보를 빨리 파악하기 위해 건축물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의 BIM 데이터는 용량이 너무 커 실시간으로 공유하거나 피난 안내와 같은 길 안내 서비스를 위한 기초 데이터로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BIM 데이터는 설계 또는 시공 데이터로서의 활용을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데이터 포맷이라 공간 정보를 준공 후의 유지 관리 서비스 또는 재난 대응 서비스 등의 공간 정보 활용 서비스에서 사용하려면 많은 후처리 공정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재난 상황 등과 같이 실시간으로 건축물 정보를 유통할 수 있고 또한 피난 안내와 같은 길 안내 서비스를 위한 재난안전 공간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필수 핵심 정보만으로 정의된 건축물 정보 포맷이 요구된다.BIM data is very large. Therefore, there are many limitations to application and use in various servic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fire, earthquake, or other disaster, it is desirable for rescuers or victims to share building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in order to quickly grasp the building information. It is not suitable for use as basic data for the same route guidance service. BIM data is a data format created for the purpose of using it as design or construction data, so a lot of post-processing process is required to use spatial information in 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services such as maintenance services or disaster response services after completion. Therefore, in order to distribute building information in real time such as a disaster situation and to establish a disaster safety space model for road guidance services such as evacuation guidance, a building information format defined only with essential core information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건축물을 표현하는 BIM 데이터에서 재난안전 공간 모델을 구성하기 위한 필수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신속하고 빠르게 공유가 가능하고 재난 상황에서 활용이 가능한 재난안전 공간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extracts only essential data for constructing a disaster safety space model from BIM data representing a building, so that it can be shared quickly and quickly and can be used in a disaster situation.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data into data.

일 실시예에 따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를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장치는, 상기 BIM 데이터에서 레벨 정보를 추출하여 레벨 정보를 정의하는 레벨 정의부; 각 레벨별로 공간을 정의하는 필수 객체들 중 벽 객체들의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BIM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그리드 정보를 생성하는 그리드 생성부; 각 레벨별로 공간을 정의하는 필수 객체들의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BIM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객체 생성부; 상기 그리드 정보를 이용하여 벽 객체로 둘러싸인 공간을 정의하고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공간 생성부; 및 상기 레벨 정보, 상기 그리드 정보, 상기 객체 정보 및 상기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A conversion apparatus for conver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data into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level defining unit for defining level information by extracting level information from the BIM data; A grid generator for generating grid information by extracting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wall objects among essential objects defining a space for each level from the BIM data; An object generator for generating object information by extracting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ssential objects defining a space for each level from the BIM data; A space generator for defining a space surrounded by wall objects using the grid information and generating space information;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including the level information, the grid information, the object information, and the spatial information.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객체 정보 및 상기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 간의 연결 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노드를 정의하고 노드 간의 연결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노드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rs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node generation unit that defines a node for def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spaces using the object information and the spatial information, and generates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nodes.

상기 노드 생성부는, 상기 공간의 중심과, 상기 필수 객체들 중 문(door)과,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창문을 노드로 정의할 수 있다.The node generator may define a center of the space, a door among the essential objects, and a window satisfy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as nodes.

상기 그리드 생성부는, 상기 벽 객체의 시작점과 끝점의 좌표 그리고 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벽 객체의 평면상의 중심 라인을 추출하고, 각 중심 라인의 식별정보, 시작점의 좌표 및 끝점의 좌표를 그리드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The grid generator extracts the center line on the plane of the wall object using coordinates and width information of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wall object, and us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enter line, the coordinates of the start point, and the coordinates of the end point as grid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상기 객체 생성부는, 벽 객체에 대해, 벽 객체의 식별정보, 해당 벽 객체에 대응하는 중심 라인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두께, 높이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object generator may generate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all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enter line corresponding to the wall object, and at least one of a thickness, a height, and a material, for the wall object.

상기 객체 생성부는, 문 객체에 대해, 문 객체의 식별정보, 해당 문 객체가 속하는 벽 객체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위치 정보, 두께, 높이, 방향 및 수직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object generation unit, for the door object,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oor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all object to which the door object belongs, and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osition information, thickness, height, direction, and vertical position. Can be generated.

상기 객체 생성부는, 창문 객체에 대해, 창문 객체의 식별정보, 해당 창문 객체가 속하는 벽 객체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위치 정보, 두께, 높이 및 수직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object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ndow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all object to which the window object belongs, and including at least one of location information, thickness, height, and vertical position, for the window object. I can.

상기 공간 생성부는, 공간 정보로서, 공간의 식별정보, 해당 공간을 정의하는 벽 객체들의 식별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space generator may include, as space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a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wall objects defining a corresponding space.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장치에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를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은, 상기 BIM 데이터에서 레벨 정보를 추출하여 레벨 정보를 정의하는 단계; 각 레벨별로 공간을 정의하는 필수 객체들 중 벽 객체들의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BIM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그리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각 레벨별로 공간을 정의하는 필수 객체들의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BIM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리드 정보를 이용하여 벽 객체로 둘러싸인 공간을 정의하고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레벨 정보, 상기 그리드 정보, 상기 객체 정보 및 상기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ver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data into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in a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defining level information by extracting level information from the BIM data; Generating grid information by extracting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wall objects among essential objects defining a space for each level from the BIM data; Generating object information by extracting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ssential objects defining a space for each level from the BIM data; Defining a space surrounded by wall objects using the grid information and generating space information; And outputting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including the level information, the grid information, the object information, and the spatial information.

상기 방법은, 상기 객체 정보 및 상기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 간의 연결 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노드를 정의하고 노드 간의 연결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fining a node for def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spaces using the object information and the spatial information, and generating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nodes.

상기 노드 간의 연결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의 중심과, 상기 필수 객체들 중 문(door)과,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창문을 노드로 정의할 수 있다.In the generat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nodes, a center of the space, a door among the essential objects, and a window satisfy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defined as nodes.

상기 그리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벽 객체의 시작점과 끝점의 좌표 그리고 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벽 객체의 평면상의 중심 라인을 추출하고, 각 중심 라인의 식별정보, 시작점의 좌표 및 끝점의 좌표를 그리드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In the generating of the grid information, the center line on the plane of the wall object is extracted using coordinates and width information of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wall objec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enter line, the coordinates of the start point and the coordinates of the end point Can be generated as grid information.

상기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벽 객체에 대해, 벽 객체의 식별정보, 해당 벽 객체에 대응하는 중심 라인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두께, 높이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object information includes, for the wall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all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enter line corresponding to the wall object, and generating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ickness, height, and material. can do.

상기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문 객체에 대해, 문 객체의 식별정보, 해당 문 객체가 속하는 벽 객체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위치 정보, 두께, 높이, 방향 및 수직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object information includes, for the door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oor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all object to which the door object belongs, and at least one of location information, thickness, height, direction, and vertical position. Object information can be created.

상기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창문 객체에 대해, 창문 객체의 식별정보, 해당 창문 객체가 속하는 벽 객체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위치 정보, 두께, 높이 및 수직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object information includes, for a window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ndow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all object to which the window object belongs, and an object including at least one of location information, thickness, height, and vertical position. Can generate information.

상기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공간 정보로서, 공간의 식별정보, 해당 공간을 정의하는 벽 객체들의 식별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patial information may include, as spati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a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wall objects defining a corresponding space.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는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는 종래의 건축물을 표현하는 BIM 데이터에 비해 용량이 획기적으로 줄어들어 재난 상황에서 빠르게 공유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재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2D 또는 3D 모델링을 가능하게 한다.Disaster safety spatial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in capacity compared to BIM data representing a conventional building, so it can be quickly shared in a disaster situation, and it enables 2D or 3D modeling to cope with the disaster situation in real time. .

종래에는 BIM 데이터를 공간 정보를 활용하는 서비스에서 사용하려면 많은 후처리 공정 과정을 진행해야 했으나, 본 발명은 BIM 데이터에서 빠르게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use BIM data in a service that utilizes spatial information, many post-processing processes have to be per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cost and time by rapidly generating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from BIM data.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상황 발생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재난상황에 대처할 수 있어 재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By using the disaster safety spac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isaster occurs, it is possible to respond quickly and effectively to a disaster situation, thereby reducing disaster dam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M 데이터를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한 평면 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 공간의 벽 객체의 중심 라인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벽 객체의 중심 라인만을 추출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의 그리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의 객체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의 공간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의 노드 간 연결 관계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의 노드 간 연결 관계 정보를 건물의 평면도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M 데이터를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BIM 데이터를 이용한 3D 모델링과 본 발명의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를 이용한 3D 모델링을 비교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rsion device for converting BIM data into disaster safety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lan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enter line of a wall object in the planar space of FIG. 2.
4 is a view expressed by extracting only the center line of the wall object in FIG. 3.
5 is a diagram showing grid information of disaster safety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object information of disaster safety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spatial information of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nodes of disaster safety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nodes of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on a plan view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verting BIM data into disaster safety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comparing 3D modeling using conventional BIM data and 3D modeling using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M 데이터를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환 장치는, 메모리, 메모리 제어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 주변 인터페이스, 입출력(I/O) 서브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주변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는 각종 정보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주변 인터페이스는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연결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시스템을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I/O 서브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와 같은 입출력 주변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회로는 외부 포트를 통한 통신 또는 RF 신호에 의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회로는 전기 신호를 RF 신호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며 이 RF 신호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다른 이동형 게이트웨이 장치 및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변환 장치는, 레벨 정의부(110), 그리드 생성부(120), 객체 생성부(130), 공간 생성부(140), 노드 생성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레벨 정의부(110), 그리드 생성부(120), 객체 생성부(130), 공간 생성부(140), 노드 생성부(150) 및 출력부(160)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해당 프로그램은 BIM 프로그램(예를 들어, Revit 프로그램) 상의 add-on 프로그램으로 실행될 수 있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rsion device for converting BIM data into disaster safety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emory, a memory controller, one or more processors (CPU), peripheral interfaces, input/output (I/O) subsystems, a display device, an input device, and a communication circuit. The memory may include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and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nonvolatile memory such as flash memory devices, or other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ccess to memory by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processor and peripheral interfaces can be controlled by the memory controller. The memory can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program instructions, and programs are executed by the processor. The peripheral interface connects the input/output peripheral devices with the processor and memory.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various software programs and/or sets of instructions stored in memory to make the system perform various functions and process data. The I/O subsystem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input and output peripherals, such as display devices and input devices, and peripheral interfaces. The communication circuit performs communication through an external port or by an RF signal. The communication circuit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to an RF signal or vice versa, through which it can communicate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other mobile gateway devices and communication devices. As shown in FIG. 1, the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evel definition unit 110, a grid generation unit 120, an object generation unit 130, a space generation unit 140, and a node generation unit 150. ) And an output unit 160. The level definition unit 110, the grid generation unit 120, the object generation unit 130, the space generation unit 140, the node generation unit 150, and the output unit 160 ar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memory and a processor Can be implemented by Preferably, the program can be executed as an add-on program on a BIM program (eg, Revit program).

레벨 정의부(110)는, BIM 프로그램에서 로딩된 BIM 데이터 또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BIM 데이터를 스캔하여 층별 정보(예컨대, 층수, 층의 지상으로부터의 높이 등)를 나타내는 레벨 정보를 추출하여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 포맷의 상위 계층으로 정의한다. 바람직하게, 레벨 정의부(110)는 건축물의 이름을 최상의 계층으로 설정하고 그 하위의 차상위 계층에 레벨 정보를 정의한다. 건축물의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레벨 정의부(110)는 각 층에 대한 레벨 정보를 각각 정의한다. 레벨 정보는 레벨 ID, 이름(예, 1층), 지상으로부터의 높이 등을 포함한다. The level definition unit 110 scans BIM data loaded from a BIM program or BIM data stored in a storage device and extracts level information indicating floor-specific information (eg, the number of floors, the height from the ground, etc.) It is defined as the upper layer of the data format. Preferably, the level definition unit 110 sets the name of the building as the highest level and defines level information in the next higher level below the building name. When the building consists of a plurality of floors, the level definition unit 110 defines level information for each floor, respectively. Level information includes level ID, name (eg 1st floor), height from the ground, etc.

그리드 생성부(120)는, 상기 레벨 정의부(110)에 의해 정의된 각 레벨별로 공간을 정의하는 필수적인 객체들 중 벽 객체의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BIM 데이터에서 스캔하고, 해당 벽 객체들을 모두 하나의 라인(line)으로 표현하여 그리드 정보를 생성한다. BIM 데이터에서 객체들은 카테고리 항목으로 종류가 구분되고 패밀리(Family) 항목으로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정의된다. 그리드 생성부(120)는, BIM 데이터의 카테고리 항목을 이용하여 벽 객체들을 구분하고 패밀리 항목에서 벽 객체들의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드는 공간을 정의하는 벽 객체들을 평면적으로 표현하였을 때 대응하는 라인들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The grid generation unit 120 scans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wall object among essential objects defining a space for each level defined by the level definition unit 110 from the BIM data, and scans the corresponding wall objects. Grid information is created by expressing them all in one line. In BIM data, objects are classified into category items, and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defined as family items. The grid generation unit 120 classifies wall objects using category items of BIM data, and extracts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wall objects from the family item. The grid can be defined as a set of corresponding lines when wall objects defining a space are expressed in a plan view.

그리드 생성부(120)는, 공간을 정의하는 벽 객체들의 중심 라인을 각 객체들의 라인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드 생성부(120)는, BIM 데이터에서 벽 객체의 시작점 및 끝점의 좌표 그리고 폭 정보를 이용하여 평면상의 중심 라인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드 생성부(120)는,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에서 각 라인에 대해 ID를 부여하고 위치 정보로서 해당 라인의 시작점과 끝점의 좌표를 정의한다. The grid generator 120 may define a center line of wall objects defining a space as a line of each object. The grid generator 120 may extract a center line on a plane by using coordinates and width information of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wall object from the BIM data. The grid generator 120 assigns an ID to each line in the disaster safety space data and defines coordinates of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line as location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한 평면 공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 공간의 벽 객체의 중심 라인을 표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서 벽 객체의 중심 라인만을 추출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공간은 벽, 문, 창문으로 구성되고 이 벽, 문, 창문은 재난안전 공간의 필수적인 객체들이다. 도 2에서 창문과 문을 별도로 표시하기는 하였지만 창문과 문은 벽에 포함되어 존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객체는 평면적으로 라인으로 표현되고, 특히 중심 라인(310)으로 표현된다. 도 3의 라인을 추출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벽 객체의 중심 라인(310a, 310b, 310c, 310d)이 정의된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plana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representing a center line of a wall object in the planar space of FIG. 2, and FIG. 4 is a center line of the wall object in FIG. It is a drawing expressed by extracting only. As shown in FIG. 2, the flat space is composed of walls, doors, and windows, and these walls, doors, and windows are essential objects of the disaster safety space. Although the windows and doors are separately marked in FIG. 2, the windows and doors are included in the wall. As shown in FIG. 3, the wall object is expressed as a line in a plan view, and in particular, a center line 310. When the line of FIG. 3 is extracted, as shown in FIG. 4, center lines 310a, 310b, 310c, and 310d of the four wall objects are defin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의 그리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 정보(510)가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의 구조에서 최상위 계층에 설정되고 그 하위에 그리드 정보(520)가 설정된다. 레벨 정보(510)에는 해당 레벨의 식별정보(Level id), 이름(예컨대, 1층), 높이(예컨대 지상으로부터의 높이, 0)가 정의된다. 그리드 정보(520)에는 각 벽 객체의 라인의 정보가 포함된다. 예컨대 각 라인의 식별정보(g1)(521)와, 위치 정보(522)가 정의된다. 위치 정보(522)는 시작점의 좌표와 끝점의 좌표가 설정된다.5 is a diagram showing grid information of disaster safety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level information 510 is set at the highest level in the structure of the disaster safety space data, and grid information 520 is set below it. In the level information 510, identification information (Level id), name (eg, first floor), and height (eg, height from the ground, 0) of the corresponding level are defined. The grid information 520 includes information on a line of each wall object.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1) 521 and position information 522 of each line are defin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522, coordinates of a start point and coordinates of an end point are set.

객체 생성부(130)는, 각 레벨별로 공간을 정의하는 필수적인 객체들의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BIM 데이터에서 스캔하여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에 각 객체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객체 정보는, 객체의 ID, 객체에 대응하는 그리그 ID 및/또는 객체와 연관된 벽 객체의 ID,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BIM 데이터에서 객체들은 카테고리 항목으로 종류가 구분되고 패밀리(Family) 항목으로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정의된다. 객체 생성부(130)는 BIM 데이터의 카테고리 항목을 이용하여 필수 객체들을 구분하고 패밀리 항목에서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The object generation unit 130 scans the BIM data for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ssential objects defining a space for each level, and generates each object information in the disaster safety space data. Here, the object information includes an ID of an object, a grid ID corresponding to the object, and/or an ID of a wall object associated with the object, and attribute information. In BIM data, objects are classified into category items, and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defined as family items. The object creation unit 130 classifies essential objects by using the category items of BIM data and extracts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family items.

객체 생성부(130)는, 벽 객체의 경우, 벽의 ID를 정의하고, 벽에 대응하는 기 생성된 그리드 ID를 매핑하며, 속성 정보로서, 벽의 높이, 벽의 두께, 및/또는 벽의 재질을 정의할 수 있다. 객체 생성부(130)는, 문 객체의 경우, 문의 ID를 정의하고, 문이 속하는 벽 객체의 ID를 매핑하고, 속성 정보로서, 문의 위치, 문의 방향, 폭, 높이, 및/또는 수직 높이(예컨대, 해당 층의 지상고를 기준으로 하는 높이)를 정의할 수 있다. 객체 생성부(130)는, 창문 객체의 경우, 창문의 ID를 정의하고, 창문이 속하는 벽 객체의 ID를 매핑하고, 속성 정보로서, 창문의 위치, 창문의 방향, 폭, 높이, 및/또는 수직 높이(예컨대, 해당 층의 지상고를 기준으로 하는 높이)를 정의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wall object, the object creation unit 130 defines the ID of the wall, maps a pre-generated grid ID corresponding to the wall, and as attribute information, the wall height, the wall thickness, and/or the wall Material can be defined. In the case of a door object, the object creation unit 130 defines the door ID, maps the ID of the wall object to which the door belongs, and as attribute information, the door position, door direction, width, height, and/or vertical height ( For example, a height based on the ground clearance of the floor) can be defined. In the case of a window object, the object creation unit 130 defines the ID of the window, maps the ID of the wall object to which the window belongs, and as attribute information, the position of the window, the direction of the window, the width, the height, and/or You can define a vertical height (eg, a height based on the ground clearance of the floo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의 객체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객체(610)는 벽의 ID 및 그리드의 ID(611)가 정의되고, 속성 정보로서, 벽의 두께(Thickness)(612), 높이(Height)(613), 재질(614) 등이 포함된다. 문 객체(620)의 경우, 문의 ID 및 해당 문이 속하는 벽 객체의 ID(621)가 정의되고, 속성 정보(622)로서, 위치(point)(예컨대, 문의 중심), 방향(Direction), 폭(Width), 높이(Height), 수직 높이(Elevation)(예컨대, 해당 층의 지상고를 기준으로 하는 높이)를 포함한다. 창문 객체(630)의 경우, 창문의 ID 및 해당 창문이 속하는 벽 객체의 ID(631)가 정의되고, 속성 정보(632)로서, 위치(point)(예컨대, 창문의 중심), 방향(Direction), 폭(Width), 높이(Height), 수직 높이(Elevation)(예컨대, 해당 층의 지상고를 기준으로 하는 높이)를 포함한다. 6 is a diagram showing object information of disaster safety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wall object 610 has an ID of a wall and an ID of a grid 611 defined, and as attribute information, a wall thickness 612, a height 613, Material 614 and the like are included. In the case of the door object 620, the door ID and the ID 621 of the wall object to which the door belongs are defined, and as attribute information 622, a location (point)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door), a direction, and a width It includes (Width), height (Height), vertical height (Elevation) (e.g., the height based on the ground clearance of the floor). In the case of the window object 630, the ID of the window and the ID 631 of the wall object to which the window belongs are defined, and as attribute information 632, a point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window), and a direction , Width, height, and vertical height (eg, the height based on the ground clearance of the floor).

공간 생성부(140)는, 상기 그리드 생성부(120)에서 정의된 그리드 정보를 이용하여 벽 객체로 둘러싸인 공간을 정의하고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에 공간 정보를 생성한다. 벽 객체로 둘러싸인 공간은 추후 방이나, 복도, 로비, 계단실 등으로 인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공간 생성부(140)는 공간의 ID와 이름을 정의하고, 그 공간을 정의하는 벽 객체들의 ID를 매핑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의 공간 정보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4개의 벽 객체로 둘러싸인 공간에 대해 이름은 'room1'이 정의되며, ID로 's1'이 정의되고, 해당 공간을 형성하는 4개의 벽 객체 w1, w2, w3, w4가 매핑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room2', 'room3'도 생성된다. The space generation unit 140 defines a space surrounded by wall objects by using the grid information defined by the grid generation unit 120 and generates space information in the disaster safety space data. A space surrounded by wall objects may be recognized as a room, a corridor, a lobby, or a staircase in the future. Preferably, the space generation unit 140 defines an ID and a name of a space, and maps the IDs of wall objects defining the space. 7 is a diagram showing spatial information of disaster safety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name'room1' is defined for a space surrounded by any of four wall objects, 'S1' is defined as the ID, and the four wall objects w1, w2, w3, and w4 forming the space are mapped. In this way,'room2' and'room3' are also created.

노드 생성부(150)는, 상기 객체 생성부(130) 및 공간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의 연결 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정보로서 노드를 정의하면서 노드 간의 연결 관계 정보를 생성한다. 노드들은 건물에 포함된 닫힌 공간 즉, 상기 공간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공간과, 창문 또는 문을 나타내도록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닫힌 공간(예컨대, 방)의 중점에 해당 닫힌 공간에 상응하는 노드가 정의되고, 상기 닫힌 공간의 문(의 중심)에 또 다른 노드가 정의될 수 있으며, 또는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높이 및 크기를 갖는 창문(의 중심)에도 또 다른 노드가 정의될 수 있다. 노드 생성부(150)는 이러한 노드들 및 노드들의 연결 관계 정보를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에 생성한다. 이러한 노드들의 연결 관계 정보는 재난시의 대피에 이용될 수 있는 공간적 연결 관계로 활용될 수 있다.The node generation unit 150 generates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nodes while defining a node as information for def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spaces u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generation unit 130 and the space generation unit 140 do. Nodes may be defined to represent a closed space included in a building, that is, a space created by the space generator 140 and a window or door. For example, a node corresponding to the closed space may be defined at the center of a closed space (eg, a room), and another node may be defined at the door (center of) of the closed space, or a height at which a person can enter or exit And another node may be defined in a window having a size (the center of). The node generation unit 150 generates such nodes and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of the nodes in the disaster safety space data. The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of these nodes can be used as a spatial connection relationship that can be used for evacuation in case of disaster.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의 노드 간 연결 관계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n1'의 ID를 갖는 노드가 (O, 200) 좌표에 정의되고, 그 'n1'의 노드는 'n2'의 ID를 갖는 노드(target)에 연결된다. 또한, 'n2'의 ID를 갖는 노드는 (200, 50) 좌표에 정의되고, 그 'n2'의 노드는 'n1'의 ID를 갖는 노드와 'n3'의 ID를 갖는 노드에 연결된다. 8 is a diagram showing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nodes of disaster safety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for example, a node with an ID of'n1' is defined at (O, 200) coordinates, and the node of'n1' is connected to a node with an ID of'n2'. . In addition, a node with an ID of'n2' is defined at coordinates (200, 50), and the node of'n2' is connected to a node with an ID of'n1' and a node with an ID of'n3'.

노드 생성부(150)는, 필요에 따라, 각 노드들의 연결을 위해 가상 노드를 더 생성하여 노드 간 연결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 노드는 예컨대, 두 노드가 벽 또는 다른 객체에 의해 직선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 등과 같이 공간의 위상관계를 용이하게 정의하기 위해 임의로 추가될 수 있는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노드 생성부(150)는, 가상 노드의 위치를 상기 특정 노드와 소정의 노드(예컨대, 특정 노드와 가장 가까운 노드 등)를 연결할 수 있는 위치들 중에서 소정의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node generation unit 150 may generate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nodes by further generating virtual nodes for connection of respective nodes. The virtual node may mean a node that can be arbitrarily added to easily define a topological relationship of space, for example, when two nodes are not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by a wall or another object. The node generator 150 may select the location of the virtual node from among locations that can connect the specific node and a predetermined node (eg, a node closest to the specific node) in a predetermined manner.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의 노드 간 연결 관계 정보를 건물의 평면도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간의 평면 구조상에서 각각의 공간 및 문에 대응되는 소정의 위치가 노드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창문 역시 필요에 따라 소정의 기준을 만족할 경우 노드로 정의될 수도 있다. 각 노드는 예컨대, 공간 또는 문의 중심으로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평면에서 각 공간에 노드들(예컨대, N2, N3, N4, N8)이 정의되고, 문에 대응되는 노드들(예컨대, N1, N5, N6, N7)이 정의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가상 노드(예컨대, N9, N10)가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 가상 노드는 미리 정의된 기준에 따라 임의로 부여되거나, 소정의 경우에 제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노드가 다른 어떤 노드들과도 그리드와 교차하지 않고는 직접 연결될 수 없는 경우에 가상 노드가 소정의 위치에 정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소정의 기준으로 가상 노드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유연하게 정의할 수도 있다.9 is a diagram showing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nodes of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on a plan view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ar structure of the space as illustrated in FIG. 9, a predetermined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space and door may be defined as a node.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window may also be defined as a node if it satisfies a predetermined criterion as needed. Each node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a space or door, for example. In the plane illustrated in FIG. 9, nodes (eg, N2, N3, N4, N8) are defined in each space, and nodes (eg, N1, N5, N6, N7) corresponding to a door are defin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virtual nodes (eg, N9, N10) may be additionally defined as necessary. The virtual node may b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a predefined criterion, or may be limitedly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case. For example, when a specific node cannot be directly connected with any other nodes without intersecting the grid, a virtual node may be defin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f course, even if this is not the case, it is possible to more flexibly define a virtual node by setting a virtual node based on a predetermined standard.

출력부(160)는, 레벨 정보, 그리드 정보, 객체 정보, 공간 정보, 노드 간 연결 관계 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예를 들어 XML 포맷으로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를 출력한다. 출력부(160)에서 출력되는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는 뷰어(Viewer)를 통해 렌더링되어 3차원 가상 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뷰어는 그리드 정보를 통해 각 층별로 그리그를 표현하고, 객체 정보, 예를 들어 위치, 높이, 폭, 층의 저면으로부터의 높이, 재질 등을 이용하여 그리드 위에 객체를 위치시키며 벽, 창문, 문 등의 객체를 표현한다. 아울러,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별로 공간 정보를 표현한다.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노드 간 연결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대피로 등의 경로를 산출하여 안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generation of level information, grid information, object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nodes is completed, the output unit 160 outputs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in, for example, XML format. The disaster safety space data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60 may be rendered through a viewer to be implemented as a 3D virtual space. The viewer expresses the grid for each floor through grid information, and uses object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height, width, height from the floor of the floor, and materials to place objects on the grid, and wall, window, door, etc. Represents the object of In addition, spatial information is expressed for each space using spatial informa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it can be used to calculate and guide a route such as a fire evacuation route us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nodes.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M 데이터를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verting BIM data into disaster safety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001에서, 변환 장치는, BIM 프로그램에서 로딩된 BIM 데이터 또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BIM 데이터를 스캔하여 층별 정보(예컨대, 층수, 층의 지상으로부터의 높이 등)를 나타내는 레벨 정보를 추출하여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 포맷의 상위 계층으로 정의한다. 바람직하게, 변환 장치는 건축물의 이름을 최상의 계층으로 설정하고 그 하위의 차상위 계층에 레벨 정보를 정의한다. 건축물의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변환 장치는 각 층에 대한 레벨 정보를 각각 정의한다. 레벨 정보는 레벨 ID, 이름(예, 1층), 지상으로부터의 높이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in step S1001, the conversion device scans BIM data loaded from a BIM program or BIM data stored in a storage device to indicate floor-specific information (eg, the number of floors, the height from the ground, etc.) Is extracted and defined as the upper layer of the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format. Preferably, the conversion device sets the name of the building to the highest level and defines the level information in the next higher level of the structure. When a building consists of a plurality of floors, the conversion device defines level information for each floor, respectively. Level information includes level ID, name (eg 1st floor), height from the ground, etc.

단계 S1002에서, 변환 장치는, 상기 정의된 각 레벨별로 공간을 정의하는 필수적인 객체들 중 벽 객체의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BIM 데이터에서 스캔하고, 해당 벽 객체들을 모두 하나의 라인(line)으로 표현하여 그리드 정보를 생성한다. BIM 데이터에서 객체들은 카테고리 항목으로 종류가 구분되고 패밀리(Family) 항목으로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정의된다. 변환 장치는, BIM 데이터의 카테고리 항목을 이용하여 벽 객체들을 구분하고 패밀리 항목에서 벽 객체들의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드는 공간을 정의하는 벽 객체들을 평면적으로 표현하였을 때 대응하는 라인들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In step S1002, the conversion device scans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wall object among essential objects defining a space for each of the defined levels from the BIM data, and converts all the wall objects into one line. To generate grid information. In BIM data, objects are classified into category items, and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defined as family items. The conversion device classifies wall objects using category items of BIM data, and extracts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wall objects from the family item. The grid can be defined as a set of corresponding lines when wall objects defining a space are expressed in a plan view.

일 실시예에서, 변환 장치는, 공간을 정의하는 벽 객체들의 중심 라인을 각 객체들의 라인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변환 장치는, BIM 데이터에서 벽 객체의 시작점 및 끝점의 좌표 그리고 폭 정보를 이용하여 평면상의 중심 라인을 추출할 수 있다. 변환 장치는,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에서 각 라인에 대해 ID를 부여하고 위치 정보로서 해당 라인의 시작점과 끝점의 좌표를 정의한다. In an embodiment, the conversion device may define a center line of wall objects defining a space as a line of each object. The conversion device may extract a center line on a plane by using coordinates and width information of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wall object from the BIM data. The conversion device assigns an ID to each line in the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and defines the coordinates of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line as location information.

단계 S1003에서, 변환 장치는, 각 레벨별로 공간을 정의하는 필수적인 객체들의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BIM 데이터에서 스캔하여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에 각 객체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객체 정보는, 객체의 ID, 객체에 대응하는 그리그 ID 및/또는 객체와 연관된 벽 객체의 ID,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변환 장치는 BIM 데이터의 카테고리 항목을 이용하여 필수 객체들을 구분하고 패밀리 항목에서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In step S1003, the conversion device scans the BIM data for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ssential objects defining a space for each level to generate each object information in the disaster safety space data. Here, the object information includes an ID of an object, a grid ID corresponding to the object, and/or an ID of a wall object associated with the object, and attribute information. The conversion device classifies essential objects using the category items of BIM data and extracts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family items.

일 실시예에서, 변환 장치는, 벽 객체의 경우, 벽의 ID를 정의하고, 벽에 대응하는 기 생성된 그리드 ID를 매핑하며, 속성 정보로서, 벽의 높이, 벽의 두께, 및/또는 벽의 재질을 정의할 수 있다. 변환 장치는, 문 객체의 경우, 문의 ID를 정의하고, 문이 속하는 벽 객체의 ID를 매핑하고, 속성 정보로서, 문의 위치, 문의 방향, 폭, 높이, 및/또는 수직 높이(예컨대, 해당 층의 지상고를 기준으로 하는 높이)를 정의할 수 있다. 변환 장치는, 창문 객체의 경우, 창문의 ID를 정의하고, 창문이 속하는 벽 객체의 ID를 매핑하고, 속성 정보로서, 창문의 위치, 창문의 방향, 폭, 높이, 및/또는 수직 높이(예컨대, 해당 층의 지상고를 기준으로 하는 높이)를 정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version device, in the case of a wall object, defines the ID of the wall, maps a pre-generated grid ID corresponding to the wall, and as attribute information, the height of the wall, the thickness of the wall, and/or the wall The material of can be defined. In the case of a door object, the conversion device defines the door ID, maps the ID of the wall object to which the door belongs, and as attribute information, the door position, door direction, width, height, and/or vertical height (e.g., corresponding floor The height based on the ground clearance) can be defined. In the case of a window object, the conversion device defines the ID of the window, maps the ID of the wall object to which the window belongs, and, as attribute information, the position of the window, the direction of the window, the width, the height, and/or the vertical height (e.g. , The height based on the ground clearance of the floor) can be defined.

단계 S1004에서, 변환 장치는, 단계 S1001에서 정의된 그리드 정보를 이용하여 벽 객체로 둘러싸인 공간을 정의하고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에 공간 정보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변환 장치는 공간의 ID와 이름을 정의하고, 그 공간을 정의하는 벽 객체들의 ID를 매핑한다. In step S1004, the conversion device defines a space surrounded by the wall object by using the grid information defined in step S1001, and generates space information in the disaster safety space data. Preferably, the conversion device defines the ID and name of the space, and maps the ID of the wall objects defining the space.

단계 S1005에서, 변환 장치는, 상기 단계 S1003에서 생성된 객체 정보 그리고 상기 단계 S1004에서 생성된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의 연결 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정보로서 노드를 정의하면서 노드 간의 연결 관계 정보를 생성한다. 노드들은 건물에 포함된 닫힌 공간 즉, 상기 단계 S1004에서 생성된 공간과, 창문 또는 문을 나타내도록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닫힌 공간(예컨대, 방)의 중점에 해당 닫힌 공간에 상응하는 노드가 정의되고, 상기 닫힌 공간의 문(의 중심)에 또 다른 노드가 정의될 수 있으며, 또는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높이 및 크기를 갖는 창문(의 중심)에도 또 다른 노드가 정의될 수 있다. 변환 장치는 이러한 노드들 및 노드들의 연결 관계 정보를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에 생성한다.In step S1005, the conversion device generates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nodes while defining a node as information for def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spaces using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ed in step S1003 and the spatial information generated in step S1004. . The nodes may be defined to represent a closed space included in the building, that is, a space created in step S1004 and a window or door. For example, a node corresponding to the closed space may be defined at the center of a closed space (eg, a room), and another node may be defined at the door (center of) of the closed space, or a height at which a person can enter or exit And another node may be defined in a window having a size (the center of). The conversion device generates these nodes and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of the nodes in the disaster safety space data.

일 실시예에서, 변환 장치는, 필요에 따라, 각 노드들의 연결을 위해 가상 노드를 더 생성하여 노드 간 연결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 노드는 예컨대, 두 노드가 벽 또는 다른 객체에 의해 직선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 등과 같이 공간의 위상관계를 용이하게 정의하기 위해 임의로 추가될 수 있는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변환 장치는, 가상 노드의 위치를 상기 특정 노드와 소정의 노드(예컨대, 특정 노드와 가장 가까운 노드 등)를 연결할 수 있는 위치들 중에서 소정의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version device may generate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nodes by further creating a virtual node for connection of each node, if necessary. The virtual node may mean a node that can be arbitrarily added to easily define a topological relationship of space, for example, when two nodes are not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by a wall or another object. The conversion apparatus may select the location of the virtual node in a predetermined manner from among locations capable of connecting the specific node and a predetermined node (eg, a node closest to the specific node).

단계 S1006에서, 변환 장치는, 레벨 정보, 그리드 정보, 객체 정보, 공간 정보, 노드 간 연결 관계 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예를 들어 XML 포맷으로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를 출력한다.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는 뷰어(Viewer)를 통해 렌더링되어 3차원 가상 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고,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노드 간 연결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대피로 등의 경로를 산출하여 안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In step S1006, when the generation of level information, grid information, object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nodes is completed, the conversion device outputs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in, for example, XML format. Disaster safety space data can be rendered through a viewer and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it can be used to calculate and guide a route such as a fire escape route using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nodes. have.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는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는 종래의 건축물을 표현하는 BIM 데이터에 비해 용량이 획기적으로 줄어들어 재난 상황에서 빠르게 공유될 수 있다. 그리고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로부터 실시간으로 재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2D 또는 3D 모델링을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capacity of the disaster safety space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BIM data representing a conventional building, and thus can be quickly shared in a disaster situation. In addition, 2D or 3D modeling can be performed to cope with a disaster situation in real time from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도 11은 종래의 BIM 데이터를 이용한 3D 모델링과 본 발명의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를 이용한 3D 모델링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11의 (a) 및 (c)는 BIM 데이터를 이용한 3D 모델링이다. 도 11의 (b)는 도 11의 (a)의 BIM 데이터로부터 만들어지는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모델링을 한 결과이고, 도 11의 (d)는 도 11의 (c)의 BIM 데이터로부터 만들어지는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모델링을 한 결과이다. BIM 데이터를 이용한 3D 모델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는 용량이 크게 줄어들지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전체적인 외관이나 내부 구조에 큰 차이는 없다. 따라서 재난 발생시 구조자들이 건물의 내부 구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조난자에게는 명확한 피난 경로를 제공해줄 수 있다.11 is a view comparing 3D modeling using conventional BIM data and 3D modeling using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 and (c) are 3D modeling using BIM data. Figure 11 (b) is a result of 3D modeling using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created from the BIM data of Figure 11 (a), Figure 11 (d) is from the BIM data of Figure 11 (c) This is the result of 3D modeling using the created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Compared to the 3D model using BIM data, the capacity of the disaster safety spac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reatly reduced, but as shown in FIG. 11,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exterior or internal structure of the building. Therefore, in the event of a disaster, rescuers can accurately grasp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provide a clear evacuation route to the victim.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While this specification includes many features, such featur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r claims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features described in separate embodiments herein may be combined and implemented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a single embodiment herein may be individually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or may be properly combined and implemented.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operations have been described in a specific order in the drawing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are performed in a specific order as shown, or as a series of consecutive sequences, or that all described operations are performed to obtain a desired result. .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can be advantageous in certain environments.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classificat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oes not require such classification in all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may generally be implemented as a package in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multiple software product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in a computer-readable form. This process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u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110 : 레벨 정의부
120 : 그리드 생성부
130 : 객체 생성부
140 : 공간 생성부
150 : 노드 생성부
160 : 출력부
110: level definition unit
120: grid generator
130: object creation unit
140: space generation unit
150: node generator
160: output

Claims (17)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를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BIM 데이터에서 레벨 정보를 추출하여 레벨 정보를 정의하는 레벨 정의부;
각 레벨별로 공간을 정의하는 필수 객체들 중 벽 객체들의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BIM 데이터에서 추출하고 벽 객체의 평면상의 중심 라인을 이용하여 그리드 정보를 생성하는 그리드 생성부;
각 레벨별로 공간을 정의하는 필수 객체들의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BIM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객체 정보를 생성하되, 벽 객체의 객체 정보는 대응하는 그리드 정보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문 객체 및 창문 객체의 객체 정보는 대응하는 벽 객체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생성부;
상기 그리드 정보를 이용하여 벽 객체로 둘러싸인 공간을 정의하고 공간 정보를 생성하되, 공간 정보에 그 공간을 정의하는 벽 객체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생성부; 및
상기 레벨 정보, 상기 그리드 정보, 상기 객체 정보 및 상기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변환 장치.
In the conversion device for convert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into disaster safety space data,
A level definition unit for defining level information by extracting level information from the BIM data;
A grid generator that extracts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wall objects among essential objects defining a space for each level from the BIM data, and generates grid information using a center line on a plane of the wall object;
Objec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extracting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ssential objects defining a space for each level from the BIM data, but the object information of the wall object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grid information, and the door object and window object The object information of the object generation unit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wall object;
A space generation unit defining a space surrounded by the wall object using the grid information and generating space information, and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all object defining the space in the space information; And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disaster safety space data including the level information, the grid information, the object information and the space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 및 상기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 간의 연결 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노드를 정의하고 노드 간의 연결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노드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node generator for defining a node for def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spaces using the object information and the space information and generating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nod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생성부는,
상기 공간의 중심과, 상기 필수 객체들 중 문(door)과,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창문을 노드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node generation unit,
A conver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the space, a door among the essential objects, and a window satisfy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are defined as no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생성부는,
상기 벽 객체의 시작점과 끝점의 좌표 그리고 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벽 객체의 평면상의 중심 라인을 추출하고, 각 중심 라인의 식별정보, 시작점의 좌표 및 끝점의 좌표를 그리드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rid generator,
The center line on the plane of the wall object is extracted using coordinates and width information of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wall objec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enter line, the coordinates of the start point and the coordinates of the end point are generated as grid information. Conversio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생성부는,
벽 객체에 대해, 벽 객체의 식별정보, 해당 벽 객체에 대응하는 중심 라인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두께, 높이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object creation unit,
For the wall object, compri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all objec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enter line corresponding to the wall object, and generating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hickness, height, and materi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생성부는,
문 객체에 대해, 문 객체의 식별정보, 해당 문 객체가 속하는 벽 객체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위치 정보, 두께, 높이, 방향 및 수직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object creation unit,
With respect to the door object,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oor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all object to which the door object belongs, and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osition information, thickness, height, direction, and vertical position is generated. Conversio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생성부는,
창문 객체에 대해, 창문 객체의 식별정보, 해당 창문 객체가 속하는 벽 객체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위치 정보, 두께, 높이 및 수직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object creation unit,
For a window object, a transformation characterized by generating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ndow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all object to which the window object belongs, and including at least one of location information, thickness, height, and vertical posi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생성부는,
공간 정보로서, 공간의 식별정보, 해당 공간을 정의하는 벽 객체들의 식별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ace generation unit,
As spatial information, a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a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wall objects defining a corresponding space.
변환 장치에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를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BIM 데이터에서 레벨 정보를 추출하여 레벨 정보를 정의하는 단계;
각 레벨별로 공간을 정의하는 필수 객체들 중 벽 객체들의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BIM 데이터에서 추출하고 벽 객체의 평면상의 중심 라인을 이용하여 그리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각 레벨별로 공간을 정의하는 필수 객체들의 속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BIM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객체 정보를 생성하되, 벽 객체의 객체 정보는 대응하는 그리드 정보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문 객체 및 창문 객체의 객체 정보는 대응하는 벽 객체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리드 정보를 이용하여 벽 객체로 둘러싸인 공간을 정의하고 공간 정보를 생성하되, 공간 정보에 그 공간을 정의하는 벽 객체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레벨 정보, 상기 그리드 정보, 상기 객체 정보 및 상기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안전 공간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s a method of convert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into disaster safety space data in a conversion device,
Extracting level information from the BIM data to define level information;
Extracting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wall objects among essential objects defining a space for each level from the BIM data, and generating grid information using a center line on a plane of the wall object;
Objec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extracting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ssential objects defining a space for each level from the BIM data, but the object information of the wall object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grid information, and the door object and window object The object information of the step of generating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wall object;
Using the grid information, a space surrounded by a wall object is defined and spac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space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all object defining the space. Generating spatial information; And
And outputting disaster safety spatial data including the level information, the grid information, the object information, and the spatial informa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 및 상기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 간의 연결 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노드를 정의하고 노드 간의 연결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nd defining a node for def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spaces using the object information and the space information, and generating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nod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간의 연결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의 중심과, 상기 필수 객체들 중 문(door)과,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창문을 노드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generating conne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nodes,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enter of the space, a door among the essential objects, and a window satisfy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are defined as nod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벽 객체의 시작점과 끝점의 좌표 그리고 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벽 객체의 평면상의 중심 라인을 추출하고, 각 중심 라인의 식별정보, 시작점의 좌표 및 끝점의 좌표를 그리드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Generating the grid information,
The center line on the plane of the wall object is extracted using coordinates and width information of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wall objec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enter line, the coordinates of the start point and the coordinates of the end point are generated as grid information. How to.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벽 객체에 대해, 벽 객체의 식별정보, 해당 벽 객체에 대응하는 중심 라인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두께, 높이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Generating the object information,
For the wall object, compri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all objec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enter line corresponding to the wall object, and generating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ickness, height, and materi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문 객체에 대해, 문 객체의 식별정보, 해당 문 객체가 속하는 벽 객체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위치 정보, 두께, 높이, 방향 및 수직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Generating the objec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door object,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oor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all object to which the door object belongs, and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osition information, thickness, height, direction, and vertical position is generated. How to.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창문 객체에 대해, 창문 객체의 식별정보, 해당 창문 객체가 속하는 벽 객체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위치 정보, 두께, 높이 및 수직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Generating the object information,
For the window object, the method compri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ndow objec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all object to which the window object belongs, and generating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location information, thickness, height, and vertical position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공간 정보로서, 공간의 식별정보, 해당 공간을 정의하는 벽 객체들의 식별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Generating the spatial information,
As spatial information, a method compri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a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wall objects defining a corresponding space.
제 9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as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6 through a computer system.
KR1020190155404A 2019-11-28 2019-11-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BIM data into disaster-safe spatial data KR1021522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404A KR102152251B1 (en) 2019-11-28 2019-11-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BIM data into disaster-safe spatial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404A KR102152251B1 (en) 2019-11-28 2019-11-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BIM data into disaster-safe spatial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251B1 true KR102152251B1 (en) 2020-09-04

Family

ID=7247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404A KR102152251B1 (en) 2019-11-28 2019-11-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BIM data into disaster-safe spatial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25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176B1 (en) 2020-10-06 2021-10-14 ㈜유엔이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ing space information
KR102357429B1 (en) * 2021-01-06 2022-02-08 주식회사 플럭시티 Spatial information setting and utilization method of 3D modeling data,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370557B1 (en) * 2021-09-13 2022-03-03 윤찬호 System for calculating construction costs based on the preparation of 3D drawings through BIM models
KR20220121277A (en) * 2021-02-24 2022-09-01 주식회사 플럭시티 Apparatus for light weighted setting spatial data of 3d modeling data and video monito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891B1 (en) * 2010-03-23 2012-09-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evaluation of crime prevention performance
KR101308789B1 (en) * 2013-03-28 2013-09-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automated evacuation regulation checking for high-rise buildings using bim
KR101891267B1 (en) * 2017-12-14 2018-08-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implification method of bim data for analysis of disaster damage and method for damage prediction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891B1 (en) * 2010-03-23 2012-09-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evaluation of crime prevention performance
KR101308789B1 (en) * 2013-03-28 2013-09-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automated evacuation regulation checking for high-rise buildings using bim
KR101891267B1 (en) * 2017-12-14 2018-08-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implification method of bim data for analysis of disaster damage and method for damage prediction us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176B1 (en) 2020-10-06 2021-10-14 ㈜유엔이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ing space information
KR102357429B1 (en) * 2021-01-06 2022-02-08 주식회사 플럭시티 Spatial information setting and utilization method of 3D modeling data,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22149625A1 (en) * 2021-01-06 2022-07-14 주식회사 플럭시티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figuring and utilizing space information of three-dimensional modeling data
KR20220121277A (en) * 2021-02-24 2022-09-01 주식회사 플럭시티 Apparatus for light weighted setting spatial data of 3d modeling data and video monitoring
KR102640497B1 (en) * 2021-02-24 2024-02-28 주식회사 플럭시티 Apparatus for light weighted setting spatial data of 3d modeling data and video monitoring
KR102370557B1 (en) * 2021-09-13 2022-03-03 윤찬호 System for calculating construction costs based on the preparation of 3D drawings through BIM mod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2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BIM data into disaster-safe spatial data
US11907620B2 (en) Smart plans
KR102357429B1 (en) Spatial information setting and utilization method of 3D modeling data,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olihin et al. Simplified schema queries for supporting BIM-based rule-checking applications
CN110232235B (en) Three-dimensional model-based relational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Shi et al. Research on IFC-and FDS-based information sharing for building fire safety analysis
Xiong et al. Free multi-floor indoor space extraction from complex 3D building models
CN109145362A (en) A kind of power network modeling method and system
CN111179374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indoor navigation network structure diagra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8269212A (en) Th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of underground communal facility based on BIM and GIS
CN111723424A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CN111858821A (e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space analysis task,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5033380A (en) Building engineering intelligent integrated cloud platform based on BIM technology
KR1020574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space information
Ma et al. Research of building evacuation path to guide based on BIM
CN116956423B (en) Automatic model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property layering household map
KR102265223B1 (en) Building information forma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building information format
KR102464833B1 (en) Water and sewage construction 3D design system
US9697646B2 (en) Converting a 3D model into multiple matrices
CN111177837B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1344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renating a disaster safety space model
KR20200059193A (en) Building information forma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building information format
Mao et al.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a BIM-based model for cross-floor indoor navigation maps
Xu et al. An integrated simulation method for large‐scale earthquake‐induced falling debris in building groups
Zhou et al. IEDW: A BIM-based indoor electric distribution wiring algorithm using graph theory and capacity-limited multiple traveling salesman problem sol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