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687B1 - 광고판의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광고판의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687B1
KR102151687B1 KR1020200039242A KR20200039242A KR102151687B1 KR 102151687 B1 KR102151687 B1 KR 102151687B1 KR 1020200039242 A KR1020200039242 A KR 1020200039242A KR 20200039242 A KR20200039242 A KR 20200039242A KR 102151687 B1 KR102151687 B1 KR 102151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led module
image
data
at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신
Original Assignee
(주) 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백민 filed Critical (주) 백민
Priority to KR102020003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418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LED 모듈 부착장치는 형상체가 놓여지고 그리드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형상체를 촬상하는 카메라와, 하부판의 내부공간영역에 LED 모듈을 부착하는 로봇암과,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부착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로봇암으로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고판의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attaching LED module}
본 발명은 광고판의 단위 문자체의 형상체 내부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 위하여, 사람들에게 알림내용을 전달하기 위하여 다양한 광고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야간에 시각적인 효과를 얻기 위하여 광고장치에는 광 발광소자가 내부에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네온등, 형광등, 백열등에서 최근 에너지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엘이디 소자로 대체되고 있다.
엘이디 소자는 모듈화하여 제공되는데, 여러 개의 엘이디 모듈을 전원라인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예로, 엘이디 모듈을 광고판의 광소자로 사용한 선행문헌으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1002호의 엘이디 모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LED 모듈을 광고문안의 구조 내부에 설치하는 것을 제안한다.
한편, 광고판 내부에 설치되는 엘이디 모듈은 작업자가 경험에 따라 수작업으로 부착하고 있다. 특히 광고판 내부가 좁은 경우 작업자의 많은 시간과 집중력을 필요로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69213호, 엘이디 면 발광 채널간판 조명장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1002호, 엘이디 모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0943770호, 엘이디를 이용한 발광사인물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8534호, 측면 발광 광고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광고판의 단위 문자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LED 모듈 부착장치는 형상체가 놓여지고 그리드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형상체를 촬상하는 카메라와, 하부판의 내부공간영역에 LED 모듈을 부착하는 로봇암과,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부착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로봇암으로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는 심볼 특성 리스트가 저장된 저장부와, 촬상된 영상 이미지로부터 형상 이미지를 검출하는 영상처리부와, 검출된 형상 이미지로부터 좌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어부와, 좌표 데이터를 배치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배치 데이터를 로봇 암으로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수작업에 의존하든 LED 모듈의 부착 공정을 로봇 암을 이용하여 광고판의 단위 문자체의 형상체에 손쉽게 LED 모듈을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문자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체의 하부판에 LED 모듈을 부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심볼 특성 리스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영상 처리부에서 형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ED 모듈 부착장치는 광고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단위 문자체의 형상체에 LED모듈을 부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문자체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문자체(70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하부판과 격벽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체(710)와, 상기 형상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투광판(713)을 포함한다. 이들의 결합순서는, 우선 형상체의 내부에 LED 모듈을 부착하고, 이후 형상체의 상부에 투광판을 결합한다.
단위 문자체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 영문의 알파벳, 특수문자, 기호, 부호, 도형 등 일 수 있다. 단위 문자체는 단독 또는 2이상이 결합되어 소정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SUN이라는 의미를 나타내기 위하여 단위 문자체로서 영문자 S, U, N을 선택하고, 이들 단위 문자체를 연이어 배치할 수 있다.
단위 문자체를 이루는 형상체(710)는 하부판(711)와 상기 하부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격벽(71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판(711)과 투광판(713)는 아크릴 판을 제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의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격벽이 설치된다. 실시예로서, 하부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격벽(712)은 삼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단위 문자체는 야간에 쉽게 인식하기 위하여 내부에 LED 모듈(900)이 부착된다. LED 모듈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투광판을 거쳐 외부로 나아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모듈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체의 하부판에 LED 모듈을 부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LED 모듈(900)은 단독 또는 하나 이상의 개별 LED 모듈(900(1)(2)(3))이 전원라인(900PL)에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LED 모듈이 전원라인에 연결되어 제공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이하에서는 LED 모듈은 전원라인으로 연결된 개별 LED 모듈을 의미할 수도 있고, 개별 LED 모듈이 서로 전원라인에 연결된 것을 LED 모듈이라 지징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도면 또는 설명의 내용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판의 내부공간영역에 LED 모듈을 부착한 것을 나타낸다. LED 모듈은 직사각 형상의 몸체에 하나 이상의 LED가 구비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판의 하면에는 접착제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접착 테이프는 이형지에 의해 보호되며, 하부판의 내부공간영역에 부착하기 이전에 접착 테이프로부터 이형지는 제거된다.
한편,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내부공간영역에 LED 모듈을 부착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비용상승의 요인이 된다.
이하, 형상체의 내부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 부착장치는, 형상체(710)가 놓여지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형상체를 촬상하는 카메라(200)와, 하부판의 내부공간영역에 LED 모듈을 부착하는 로봇 암(300)과,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부착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로봇 암으로 출력하는 컨트롤러(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판의 내부공간영역은 하부판에서 격벽이 부착되는 영역을 제외한 내측 영역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진공펌프(VP)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는 형상체를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유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형상체를 흡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를 나타낸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단위 문자체의 형상체(710)가 놓여진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착홀(110)이 구비되고, 상기 흡착홀은 진공범프가 연결된다. 작업자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상체를 안착시킨 후, 진공펌프를 가동시켜 흡착홀로부터 형상체를 흡착한다. 이에 따라 형상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유동하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격자 형상의 그리드(111)가 인쇄된다. 그리드의 가로선과 세로선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인쇄된다. 후술하겠지만, 그리드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착된 형상체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이 된다.
되돌아가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200)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다. 카메라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착된 형상체를 촬상한다. 촬상된 영상 이미지는 컨트롤러로 전송된다.
로봇 암(300)은 컨트롤러의 구동신호에 따라 LED 모듈을 형상체의 하부판의 내부공간영역에 부착한다. 구체적으로 로봇 암은 전원라인(900PL)에 연결된 개별 LED 모듈(900(1)(2)(3))을 형상체 하부판의 내부공간영역에 순차적으로 부착한다. 일 실시예로서, LED 모듈을 부착하기 이전에 LED 모듈의 하부에 부착된 이형지를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500)는 촬상된 영상 이미지로부터 형상 이미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형상 이미지로부터 좌표 데이터와 커팅 데이터를 획득하며, 좌표 데이터를 배치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배치 데이터와 획득된 커팅 데이터를 로봇 암으로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500)는 심볼 특성 리스트가 저장된 저장부(510)와, 촬상된 영상 이미지로부터 형상 이미지를 검출하는 영상처리부(520)와, 검출된 형상 이미지로부터 좌표 데이터와 커팅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어부(530)와, 좌표 데이터를 변환하여 배치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배치 데이터와 획득된 커팅 위치 데이터를 로봇 암으로 출력하는 신호출력부(540)를 포함한다.
저장부(510)에는 심볼 특성 리스트가 저장된다. 상기 심볼 특성 리스트는 심볼 형상체의 리스트와, 각각의 심볼 형상체에 대응하는 좌표 데이터와, LED 모듈의 전원라인의 커팅 위치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도 7은 심볼 특성 리스트를 나타낸 것인데, 심볼 특성 리스트는 심볼 형상체와, 좌표 데이터와, 커팅 위치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심볼 형상체는 국문자의 자음과 모음 이미지, 영문자의 A부터 Z의 이미지, 특수기호 이미지, 부호 이미지 등을 나타내는 심볼 형상체일 수 있고, 상기 좌표 데이터는 심볼 형상체의 내부공간영역에 부착될 LED 모듈의 좌표 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커팅 위치 데이터는 LED 모듈의 전원라인의 커팅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심볼 형상체는 커팅 위치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도 하고, 가지고 있지 않기도 하다. 되돌아가, 도 5를 참조하면, 한글자음 “ㄱ”의 경우, 전원라인의 커팅 없이 순차적으로 LED 모듈을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영문자 “E”의 경우, 외측에 “ㄷ"자 형상으로 LED 모듈(AA)을 부착한 후, 전원라인을 커팅하고, 이어서 내측에 LED 모듈(BB)을 부착한다. 이후, 분리된 2개의 LED 모듈은 별도의 전원라인으로 연결한다. 도 7에서 "EC(5)”은 심볼 형상체 "E”의 5번 째 LED 모듈을 커팅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영상 처리부(520)는 카메라로부터 촬상한 영상 이미지로부터 형상체의 형상 이미지를 검출한다. 검출된 형상체의 형상 이미지는 제어부로 출력된다.
도 8은 영상 처리부에서 형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는 미리 준비된 배경 영상 데이터(a)과 촬상된 영상 데이터(b)의 차영상(c)을 획득한다. 이어서, 상기 차영상으로부터 엣지라인을 검출하고, 검출된 엣지라인의 내부 형상(d)으로부터 형상 이미지(e)를 검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엣지라인을 검출하고 엣지라인의 내외측으로 확장한 후, 확장된 엣지라인의 내부 형상으로부터 형상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된 엣지라인이 단락된 경우 엣지라인의 확장에 따라 단락된 엣지라인이 폐곡 엣지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530)는 영상 처리부로부터 검출된 형상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형상 이미지를 기초로 저장부에 기록된 심볼 형상체를 검색한 후, 심볼 형상체의 좌표 데이터와 커팅 위치 데이터를 획득한다.
예컨대, 영상 처리부로부터 전송된 형상 이미지가 "E”이라면, 이와 대응되는 심볼 형상체 "E"를 검색하고, 심볼 형상체 "E”의 내부공간영역에 부착된 LED 모듈의 좌표 데이터와, LED 모듈의 커팅 위치 데이터를 획득한다. 제어부에서 획득된 심볼 형상체의 좌표 데이터와 키팅 위치 데이터는 신호 출력부로 전송된다.
신호 출력부(540)는 LED 모듈의 좌표 데이터를 배치 데이터로 변환한다.
심볼 특성 리스트에 기록된 심볼 형상체의 좌표 데이터는 형상체가 베이스 플레이트 중심에 정위치로 놓여진 상태에서 설정된 좌표로서, 실재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놓여진 형상체의 위치와는 차이가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출력부는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좌표 데이터를 배치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변환된 배치 데이터는 로롯 암으로 출력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는 방법은, 형상체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시키는 단계(S100)와, 촬상 영상으로부터 형상 이미지를 검출하는 단계(S200)와, 검출된 형상 이미지를 기초로 기 저장된 심볼 형상체의 좌표 데이터와 커팅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300)와, 획득된 좌표 데이터를 배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200 : 카메라
300 : 로봇 암
500 : 컨트롤러
510 : 저장부
520 : 영상 처리부
530 : 제어부
540 : 신호 출력부
700 : 단위 문자체
710 : 형상체
711 : 형상체의 하부판
712 : 형상체의 격벽
713 : 투광판
900 : LED 모듈

Claims (3)

  1. 단위 문자체의 형상체 내부에 LED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단위 문자체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 영문의 알파벳, 특수문자, 기호, 부호, 도형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단위 문자체는 형상체와 투광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형상체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격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판에서 격벽이 부착되는 영역을 제외한 내측 영역에는 내부공간영역이 설정되며,
    상기 LED 모듈 부착장치는,
    형상체가 놓여지고 그리드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놓여진 형상체를 촬상하는 카메라와, 하부판의 내부공간영역에 LED 모듈을 부착하는 로봇암과,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부착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로봇암으로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심볼 특성 리스트가 저장된 저장부와, 촬상된 영상 이미지로부터 형상 이미지를 검출하는 영상처리부와, 검출된 형상 이미지로부터 좌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어부와, 좌표 데이터를 배치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배치 데이터를 로봇 암으로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심볼 특성 리스트는 심볼 형상체의 리스트와, 심볼 형상체에 대응하는 좌표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표 데이터는 형상체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에 놓여진 상태에서 LED 모듈이 부착될 좌표 데이터이고, 상기 배치 데이터는 실재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놓여진 형상체에 LED 모듈이 부착될 배치 데이터이며,
    상기 영상 처리부는 미리 준비된 배경 영상 데이터와 촬상된 영상 데이터의 차영상을 획득한 후, 차영상으로부터 엣지라인을 검출한 다음, 검출된 엣지라인의 내부 형상으로부터 형상 이미지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형상 이미지로부터 심볼 형상체를 검색한 후, 심볼 형상체에 대응하는 좌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의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상체의 격벽은 삼차원 프린터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의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의 형상 이미지의 검출은, 촬상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형상체의 엣지라인을 검출하고 상기 엣지라인의 내외측을 확장한 후, 확장된 엣지라인의 내부 형상으로부터 형상체의 형상 이미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의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KR1020200039242A 2020-03-31 2020-03-31 광고판의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KR102151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242A KR102151687B1 (ko) 2020-03-31 2020-03-31 광고판의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242A KR102151687B1 (ko) 2020-03-31 2020-03-31 광고판의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687B1 true KR102151687B1 (ko) 2020-09-03

Family

ID=7245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242A KR102151687B1 (ko) 2020-03-31 2020-03-31 광고판의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68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213A (ko) 2004-12-16 2006-06-21 (주)아트세미텍 엘이디 면 발광 채널간판 조명장치
KR20080001002U (ko) 2006-11-08 2008-05-14 장문식 엘이디 모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0943770B1 (ko) 2009-08-07 2010-02-23 (주)다산에이디 엘이디를 이용한 발광사인물
KR20120118534A (ko) 2011-04-19 2012-10-29 박미정 측면 발광 광고장치
KR20160031633A (ko) * 2014-09-12 2016-03-23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KR20170009514A (ko) * 2015-07-17 2017-01-25 (주) 백민 광고판의 단위 형상체의 제조방법
KR20200002364A (ko) * 2018-06-29 2020-01-08 김용수 적층성형방식에 의한 전,측면발광 채널간판의 제조기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213A (ko) 2004-12-16 2006-06-21 (주)아트세미텍 엘이디 면 발광 채널간판 조명장치
KR20080001002U (ko) 2006-11-08 2008-05-14 장문식 엘이디 모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0943770B1 (ko) 2009-08-07 2010-02-23 (주)다산에이디 엘이디를 이용한 발광사인물
KR20120118534A (ko) 2011-04-19 2012-10-29 박미정 측면 발광 광고장치
KR20160031633A (ko) * 2014-09-12 2016-03-23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KR20170009514A (ko) * 2015-07-17 2017-01-25 (주) 백민 광고판의 단위 형상체의 제조방법
KR20200002364A (ko) * 2018-06-29 2020-01-08 김용수 적층성형방식에 의한 전,측면발광 채널간판의 제조기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7792A3 (en) Backlight unit for dynamic images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EP2302491A3 (en) Optical touch system and method
TW201042196A (en) Solar energy lamp having fiber display
KR101729522B1 (ko) 조명제어용 음성인식 제어장치
KR102151687B1 (ko) 광고판의 형상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CN106097643A (zh) 一种用于测绘作业中的警示装置
CN203544367U (zh) 多功能高空气球
CN203496506U (zh) 一种电力系统抢修和维护用的操作票书写板
EP2028636A1 (en) Reminding device
CN111010780B (zh) 一种舞台灯光供电控制方法及系统
US20110207093A1 (en) Handheld braille converting device, braille converting method, and braille converting program
TWM427645U (en) Energy-saving bulletin board module
US20180348618A1 (en) Classroom presentation guidance system
CN201540695U (zh) 显示系统
CN114980459A (zh) 一种舞台灯具的管理系统及管理方法
ES2911804T3 (es) Bandera con dispositivo integrado
CN104750319B (zh) 前拆式电子白板的边框结构
CN105916237A (zh) 一种led灯遥控控制系统
US20150055341A1 (en) Luminaire with removable lighting modules
CN201045683Y (zh) 光电报警实验装置
CN202615758U (zh) 一种新型led屏
CN211624942U (zh) 一种可以用于辅导学生作业的发光装置
CN212749856U (zh) 一种手写成绩识别显示器
CN220105963U (zh) 一种移动式彩色光伏组件标牌
EP2953118A1 (en) Intelligent active/passive LED surface-emitting traffic 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