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517B1 -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 Google Patents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517B1
KR102151517B1 KR1020180128287A KR20180128287A KR102151517B1 KR 102151517 B1 KR102151517 B1 KR 102151517B1 KR 1020180128287 A KR1020180128287 A KR 1020180128287A KR 20180128287 A KR20180128287 A KR 20180128287A KR 102151517 B1 KR102151517 B1 KR 102151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tank
diving
base frame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6732A (ko
Inventor
양모
Original Assignee
(주)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아 filed Critical (주)도아
Priority to KR1020180128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5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8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scenic effects, e.g. trees, rocks, water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외관 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부와, 베이스 프레임부의 내측에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잠수훈련용 수조와, 잠수훈련용 수조의 일측에 설치되어 잠수훈련용 수조의 개방된 상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계단과, 잠수훈련용 수조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정 높이의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면에 맨홀이 형성된 맨홀 구조 훈련실 및 베이스 프레임부의 외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는 한 쌍의 수직 폴대를 연결하되 잠수훈련용 수조의 상측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와이어로프를 구비한 계곡인명 구조 훈련부를 포함하는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재난상황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상황을 재현하면서 소방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 각종의 재난재해 발생을 미연에 반복 체험 및 습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제적인 재난재해 발생 현장에서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으며, 재난재해의 초기진압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Multipurpose training equipment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소방훈련을 위한 이동식 훈련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 설비 내에서 소방대원들의 각종의 재난재해를 대비하기 위한 종합적인 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훈련은 화재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뿐만 아니라, 그 진화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훈련으로서, 화재진압 훈련, 인명구조 및 대피훈련 등을 통해 실제 화재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소방훈련은 소방대원들이 매년 법적으로 정해진 시간만큼 교육 및 훈련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그러나, 전문적으로 소방훈련을 실시하거나 받고 있는 일선 소방서나 소방훈련장에서도 다양한 재난 상황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훈련장치나 설비가 없기 때문에 실질적인 체험에 의한 소방훈련을 종합적으로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소방서를 비롯한 각종 교육기관에서는 다목적 소방훈련탑을 설치하여 이를 이용한 소방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목적 소방훈련탑은 대략 건물의 4 내지 5층에 해당하는 높이로 세워져 그에 따른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제작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또한 고층 건물의 인명 구조를 위한 훈련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어 다양한 재난 상황에 맞는 소방훈련을 실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근래의 소방훈련은, 단순히 건물의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한 훈련 뿐만 아니라 육상, 산악, 하천 및 해상 등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나 자연재난뿐 아니라 사람에 의한 인재(人災)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의 화재사고, 안전사고, 수난사고, 조난사고 및 추락사고 등에서의 인명구조를 위한 대비 훈련과 더불어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시설물들의 점검, 수리 및 교체를 위한 다양한 훈련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각종의 훈련들을 소방대원들이 이수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의 소방학교를 제외하고는 훈련시설이 미비하여 대도시의 수영장 등과 같은 훈련 시설이 있는 지역의 사설 훈련장을 이용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소방학교라 하더라고 법적으로 정해진 모든 훈련 과목을 이수하기 위한 훈련 시설을 모두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훈련장을 돌아다니면서 실시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시간 낭비와 함께 소방대원들에게 과도한 비용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5597호(2016년 12월 15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단일 설비 내에서 종합적인 소방훈련을 수행함으로써 각종의 재난재해 상황에서도 소방대원들의 빠르고 정확한 대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로서, 전체 외관 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내측에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잠수훈련용 수조,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의 일측에 설치되어 잠수훈련용 수조의 개방된 상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계단,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정 높이의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면에 맨홀이 형성된 맨홀 구조 훈련실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외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는 한 쌍의 수직 폴대를 연결하되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의 상측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와이어로프를 구비한 계곡인명 구조 훈련부를 포함한다.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의 배수라인에 연결된 송유관을 통해 송유관 손상에 따른 누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훈련을 하는 송유관 점검 훈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는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에 저장된 물이 공급 가능한 구조로 잠수훈련용 수조의 타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일정 높이의 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보트모터 점검 훈련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에는 실제 계곡과 동일하게 모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 펌프와, 상기 에어 펌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잠수훈련용 수조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 연결유로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에 설치되어 에어 펌프에서 발생한 압축 공기를 잠수훈련용 수조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잠수훈련용 수조에서 실제 계곡을 모사하게 하는 파동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에는 잠수부의 시야를 가리기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와,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잠수훈련용 수조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 연결유로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에 설치되어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미세 기포를 잠수훈련용 수조 내부로 방출하는 방출노즐을 구비하는 시야 가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트모터 점검 훈련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내측에 수용되며, 보트용 모터가 안착되는 관통홀이 상면에 형성되고 일정 높이 만큼 물이 내부에 저류되도록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와 연통하되 개폐밸브가 각각 장착된 제1 급배수홀과 제2 급배수홀이 상하로 형성된 수조가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출입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하면과 지면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베이스 프레임부의 하면에는, 베이스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복수의 프레임 다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의 상면 테두리에는, 잠수훈련용 수조의 개방된 상부를 일부 덮는 덮개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맨홀은, 상기 맨홀 구조 훈련실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판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판에는, 맨홀을 덮는 맨홀 뚜껑과 구조용 맨홀 삼각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제 재난상황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상황을 재현하면서 소방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 각종의 재난재해 발생을 미연에 반복 체험 및 습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제적인 재난재해 발생 현장에서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으며, 재난재해의 초기진압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는, 베이스 프레임부(100), 잠수훈련용 수조(200) 및 승강용 사다리(3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프레임부(100)는, 잠수훈련용 수조(200)와 후술하는 맨홀 구조 훈련실(500)과 보트모터 점검 훈련실(600) 및 계단(800)이 안착되는 부재로써, 상하면이 개방된 틀 형태의 하부 틀(100a)과, 잠수훈련용 수조(200)를 지지하기 위해 하부 틀(100a) 중앙의 개방부위에 서로 교차하면서 설치된 지지 프레임(100b)을 구비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테두리, 즉 하부 틀(100a)을 따라 설치된 프레임 난간(110)을 구비한다. 프레임 난간(110)은, 하부 틀(100a)의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지주(110a)와, 이 수직 지주(110a)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 바(110b)로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하면에는,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설치된 복수의 프레임 다리(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하면에 설치된 프레임 다리(120)로 인해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하면과 바닥면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으로 지게차(forklift)의 포크(fork)를 삽입시켜 베이스 프레임부(100) 자체를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내측에 잠수훈련용 수조(200)와 맨홀 구조 훈련실(500)과 보트모터 점검 훈련실(600) 및 계단(800)이 안착된 상태로 베이스 프레임부(100)를 운반하거나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잠수훈련용 수조(200)는, 소방대원들이 잠수장비를 착용하고 물이 저류된 잠수훈련용 수조(200)로 입수하여 수중 훈련을 하기 위한 것으로, 수중 훈련의 주요 내용은, 수상 및 수중(잠수) 장비 숙달, 수중 사고 시 인명구조 절차 교육, 수중 검색(탐색) 요령 및 수중잠수 구조훈련 등이다.
이러한 훈련을 통해 잠수능력 향상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현장대응 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잠수훈련용 수조(20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재질로는 가볍고, 외력이 가해져도 변형이 적으며,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어느 하나의 재질로 한정되지 아니 한다.
이와 같은 잠수훈련용 수조(200)는,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수용되는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지지 프레임(100b)에 의해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하부가 지지되고,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프레임 난간(110)에 의해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외측이 지지된다.
그리고, 잠수훈련용 수조(200)에는, 물이 잠수훈련용 수조(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개폐밸브(211)가 장착된 급수홀(210)과,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내부에 저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폐밸브(221)가 장착된 배수홀(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잠수훈련용 수조(200)에서의 수중훈련 중에 탁한 수중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탁도조절수단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25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부연하면, 시야 가림장치(250)는, 펌프를 통해 수조의 물을 흡입하여 용해 탱크 내에서 공기와 물을 소용돌이 형태로 혼합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251)와,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25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잠수훈련용 수조(200)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 연결유로(252)와, 연결유로(252)의 타단에 설치되어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251)에서 발생하는 미세 기포를 잠수훈련용 수조(200) 내부로 방출하는 방출노즐(253)을 포함한다.
이러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251)를 통해 소방대원들이 잠수훈련용 수조(200)에서 수중훈련중에 탁도조절훈련을 실시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251)를 통해 물을 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 미세 기포를 잠수훈련용 수조(200) 내부로 방출하여 물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용 사다리(300)는,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내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승강용 사다리(300)의 상단부가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프레임 난간(110)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개방된 상면의 테두리에는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내측을 향해 덮개판(26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난간(810)이 설치된 계단(800)이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소방대원이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외측에 설치된 승강용 사다리(300) 또는 계단(800)을 통해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상단으로 오르내릴 수 있고,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상면 테두리에 설치된 덮개판(260) 상에 장비를 내려놓을 수 있으며, 덮개판(260)을 통해 잠수훈련용 수조(200)를 가로질러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건너편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는, 송유관의 손상에 따른 유류의 누출 확산 방지를 목적으로 송유관 점검 훈련을 위한 송유관 점검 훈련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유관 점검 훈련부(400)는,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개폐밸브(231)가 장착된 배수라인(230)과, 배수라인(230)의 개폐밸브(23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송유관 점검훈련용 송유관(41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배수라인(230)과 송유관(410)은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송유관(410)이 배수라인(2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송유관(410)을 훈련 현장에서 직접 조립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송유관 점검훈련용 송유관(410)에는 크랙(crack)이 형성되어 있어 잠수훈련용 수조(200)에 저류된 물이 배수라인(230)을 통해 이송되어 송유관(410) 내부에 수용되고 크랙을 통해 외부로 물이 유출되면, 소방대원들이 크랙이 형성된 송유관(410)을 수리하면서 송유관 파손시 이를 밀봉하는 훈련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는, 싱크홀 사고와 대형공사장 지하구조물 확장에 따른 추락사고 사고발생 시 맨홀 등 밀폐공간의 특성을 이해하고 협소한 현장상황에 적합한 인명구조기법 숙달을 목적으로 소방대원들의 맨홀 구조 훈련을 위한 맨홀 구조 훈련실(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맨홀 구조 훈련실(500)은,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수용되며,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면에 맨홀(510)이 형성된다.
부연하면, 맨홀 구조 훈련실(500)은, 개방된 맨홀(510)을 덮는 맨홀 뚜껑(511)과, 맨홀 구조 훈련실(500)의 외측 상면에 안착설치되는 구조용 맨홀 삼각대(520)로 구성된다.
여기서, 구조용 맨홀 삼각대(520)는, 맨홀이나 건물지하 등 각종 추락사고 시 요구조자를 수직으로 끌어 올릴 수 있는 장비로서, 삼각대 다리(521)와, 소방대원을 매달을 수 있는 후크(523)가 끝단에 장착된 와이어로프(522)와, 와이어로프(522)가 권취된 도르래(524)와, 삼각대 다리(521)의 꼭지부분과 도르래(524)를 연결하는 카라비너(525)와, 도르래(524)를 정역회전시키는 윈치(526)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용 맨홀 삼각대(520)가 설치된 맨홀 구조 훈련실(500)을 통해 구조용 맨홀 삼각대(520)의 사용법과 현장 상황 맞춤형 인명 구조 훈련 등을 진행할 수 있고, 밀폐공간(맨홀) 내 추락 및 갇힘 등 사고대비 구조훈련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맨홀 추락사고 등 좁고 깊은 공간에서 사고 발생 시 안전하고 신속한 인명구조를 위해 맨홀 구조장비 숙달훈련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는, 보트의 장착된 보트용 모터(M)의 점검 및 보트용 모터의 선외기 조종 훈련을 위한 보트모터 점검 훈련실(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트모터 점검 훈련실(600)은, 상술한 맨홀 구조 훈련실(500)과 마찬가지로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수용된다.
그리고, 보트모터 점검 훈련실(600)의 일측에는, 소방대원들이 보트모터 점검 훈련실(600)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630)이 설치된다.
그리고, 보트모터 점검 훈련실(600)의 내부에는, 수조(620)가 구비되는데, 수조(620)의 상면에는 보트용 모터(M)가 안착되는 관통홀(610)이 형성된다. 수조(620)에는, 일정 높이 만큼 물이 수조(620) 내부에 저류되도록 잠수훈련용 수조(200)와 연통하는 제1 급배수홀(621)과 제2 급배수홀(622)이 상하로 형성되고, 제1 급배수홀(621)과 제2 급배수홀(622)에는 개폐밸브(621a, 622a)가 각각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는, 계곡에서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계곡 야영객 고립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계곡물이 불어나 고립된 인명를 구조하여 안전하게 계곡을 건너는 인명 구조훈련을 목적으로 하는 계곡인명 구조 훈련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곡인명 구조 훈련부(700)는, 수직 폴대(710)와 와이어로프(7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수직 폴대(710)와 와이어로프(720)는 훈련 현장에서 직접 조립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폴대(7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외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며 대응한다.
와이어로프(720)는, 한 쌍의 수직 폴대(710)를 연결하는데,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상측을 가로질러 위치한다.
한편, 불어난 계곡물 또는 유속이 빠른 하천 상황을 구현하기 위해 잠수훈련용 수조(200)는 파동 발생장치(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파동 발생장치(240)는, 공기를 압축하는 전동식 에어 펌프(241)와, 에어 펌프(24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잠수훈련용 수조(200)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 연결유로(242)와, 이 연결유로(242)의 타단에 설치되어 에어 펌프(241)에서 발생한 압축 공기를 잠수훈련용 수조(200)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243)로 구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베이스 프레임부 110: 프레임 난간
120: 프레임 다리 200: 잠수훈련용 수조
210: 급수홀 211, 221, 231, 621a, 622a: 개폐밸브
220: 배수홀 230: 배수라인
240: 파동 발생장치 241: 에어 펌프
242, 252: 연결유로 243: 분사노즐
250: 시야 가림장치 251: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253: 방출노즐 260: 덮개판
300: 승강용 사다리 400: 송유관 점검 훈련부
410: 송유관 500: 맨홀 구조 훈련실
510: 맨홀 511: 맨홀 뚜껑
520: 구조용 맨홀 삼각대 600: 보트모터 점검 훈련실
610: 관통홀 620: 수조
621: 제1 급배수홀 622: 제2 급배수홀
630: 출입문 700: 계곡인명 구조 훈련부
710: 수직 폴대 720: 와이어로프
800: 계단 810: 난간
M: 보트용 모터

Claims (9)

  1. 전체 외관 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부(10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잠수훈련용 수조(200)와;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개방된 상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계단(800)과;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정 높이의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면에 맨홀(510)이 형성된 맨홀 구조 훈련실(5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외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는 한 쌍의 수직 폴대(710)를 연결하되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상측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와이어로프(720)를 구비한 계곡인명 구조 훈련부(700);를 포함하되,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200)에는 잠수부의 시야를 가리기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251)와,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25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잠수훈련용 수조(200)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 연결유로(252)와, 상기 연결유로(252)의 타단에 설치되어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251)에서 발생하는 미세 기포를 잠수훈련용 수조(200) 내부로 방출하는 방출노즐(253)을 구비하는 시야 가림장치(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배수라인(230)에 연결된 송유관(410)을 통해 송유관 손상에 따른 누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훈련을 하는 송유관 점검 훈련부(4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 내측에는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200)에 저장된 물이 공급 가능한 구조로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타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일정 높이의 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보트모터 점검 훈련실(6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200)에는 실제 계곡과 동일하게 모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 펌프(241)와, 상기 에어 펌프(24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잠수훈련용 수조(200)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 연결유로(242)와, 상기 연결유로(242)의 타단에 설치되어 에어 펌프(241)에서 발생한 압축 공기를 잠수훈련용 수조(200)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243)을 구비하여, 잠수훈련용 수조(200)에서 실제 계곡을 모사하게 하는 파동 발생장치(2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모터 점검 훈련실(6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수용되며, 보트용 모터(M)가 안착되는 관통홀(610)이 상면에 형성되고 일정 높이 만큼 물이 내부에 저류되도록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200)와 연통하되 개폐밸브(621a, 622a)가 각각 장착된 제1 급배수홀(621)과 제2 급배수홀(622)이 상하로 형성된 수조(620)가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출입문(6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하면과 지면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하면에는,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복수의 프레임 다리(120);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상면 테두리에는, 잠수훈련용 수조(200)의 개방된 상부를 일부 덮는 덮개판(260); 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510)은 상기 맨홀 구조 훈련실(5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판(260)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판(260)에는, 맨홀(510)을 덮는 맨홀 뚜껑(511)과 구조용 맨홀 삼각대(5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KR1020180128287A 2018-10-25 2018-10-25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KR102151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287A KR102151517B1 (ko) 2018-10-25 2018-10-25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287A KR102151517B1 (ko) 2018-10-25 2018-10-25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667A Division KR102151518B1 (ko) 2019-08-08 2019-08-08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732A KR20200046732A (ko) 2020-05-07
KR102151517B1 true KR102151517B1 (ko) 2020-09-03

Family

ID=7073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287A KR102151517B1 (ko) 2018-10-25 2018-10-25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131B1 (ko) * 2021-01-19 2021-05-14 서울특별시 도시형 침수 체험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464Y1 (ko) 2005-09-28 2006-02-01 강석수 잠수체험 및 해양스포츠용 고정식 해양 구조물
KR100865028B1 (ko) 2008-01-25 2008-10-23 주식회사 디오이 재난체험 교육 시스템
KR101550210B1 (ko) 2015-01-16 2015-09-04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교육용 소방안전 체험시스템
KR101561472B1 (ko) 2015-04-03 2015-10-20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KR101778505B1 (ko) * 2017-02-08 2017-09-14 대한민국 지하공간 침수시 대피능력 향상을 위한 체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1940A (ja) * 1998-04-28 1999-11-09 Mitsubishi Heavy Ind Ltd 河川模擬装置
KR20100074533A (ko) * 2008-12-24 2010-07-02 김수완 소방교육용 에어바운스
KR101685597B1 (ko) 2015-09-30 2016-12-15 한솔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선박 탐색 및 구조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464Y1 (ko) 2005-09-28 2006-02-01 강석수 잠수체험 및 해양스포츠용 고정식 해양 구조물
KR100865028B1 (ko) 2008-01-25 2008-10-23 주식회사 디오이 재난체험 교육 시스템
KR101550210B1 (ko) 2015-01-16 2015-09-04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교육용 소방안전 체험시스템
KR101561472B1 (ko) 2015-04-03 2015-10-20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KR101778505B1 (ko) * 2017-02-08 2017-09-14 대한민국 지하공간 침수시 대피능력 향상을 위한 체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732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1497B2 (ja) 津波シェルター
US10807681B2 (en) Fire-escape devices of the off-shore rigs with emphasis on a detachable island rig
JP3110611U (ja) 浮体建築物
US20050233289A1 (en) Firefighter's training simulator
RU26576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жидких огнетушащих веществ на высоту
JP2007192007A (ja) 耐高潮建築物とその施工方法
CN107261347B (zh) 一种超高层建筑消防救援及灭火系统
CN104143287A (zh) 地震模拟及救援训练系统
KR102151517B1 (ko)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JP2015513493A (ja) 水域用の昇降床
JP2006322311A (ja) 高潮浮上建築物の浮体施工方法
HUE030702T2 (en) Equipment for underwater activities
KR102151518B1 (ko) 소방용 다목적 훈련설비
JP2006249915A (ja) 浸水浮上建築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US9884669B2 (en) Emergency detachable island rig and fire escape
CN204029268U (zh) 地震模拟及救援训练系统
US20230391434A1 (en) Off shore fire escape devices including sinking and rising of a detachable island rig
CN105788430A (zh) 一种模拟洪水进入地下空间人员逃生的体验装置
JPH08217189A (ja) 消火用バケット
WO2016143733A1 (ja) シェルター
CN103192961A (zh) 一种天然浴场及水岸防溺救生平台
RU2804981C1 (ru) Тренировоч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отработки действий пожарных и спасателей при проведении пожарной разведки и спасательных работ
CN215117902U (zh) 基于水面上的救援训练用模拟激流装置
WO2022125126A1 (en) Emergency fire escape devices of the off shore rigs with emphasis on a detachable island rig
JP2010134021A (ja) 水撃圧体感方法およびその水撃圧体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