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450B1 - Climbing assist system - Google Patents

Climbing assis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450B1
KR102151450B1 KR1020200046706A KR20200046706A KR102151450B1 KR 102151450 B1 KR102151450 B1 KR 102151450B1 KR 1020200046706 A KR1020200046706 A KR 1020200046706A KR 20200046706 A KR20200046706 A KR 20200046706A KR 102151450 B1 KR102151450 B1 KR 102151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irection changing
driving
changing device
assistanc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7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기석
허종윤
정수형
김경원
Original Assignee
(주)필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드테크 filed Critical (주)필드테크
Priority to KR102020004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4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4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2Mountain guy-ropes or accessories, e.g. avalanche ropes; 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accidentally buried, e.g. snow-buried, persons
    • A63B29/028Rop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ain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mbing assistance system which is installed in a section where climbing is not easy or where there is a risk of losing footing such as a steep slope so as to circulate a rail wound around a first transfer roller and a second transfer roller by a drive device. Therefore, if a user holds a handle formed on the rail,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function like someone is pulling the user in the front, thereby helping beginner climbers to climb easily.

Description

등산 보조 시스템{CLIMBING ASSIST SYSTEM}Mountain climbing assistance system {CLIMBING ASSIST SYSTEM}

본 발명은 등산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경사와 같이 등산이 쉽지 아니한 구간에 설치되어 등산 약자가 용이하게 등산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등산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aineering assistan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aineering assistance system that is installed in a section where mountaineering is not easy, such as a steep slope, to help the weak mountaineering easily.

현대는 질병의 양상이 만성화되면서 장애인의 증가, 노령인구의 증가, 산업재해로 인한 부상자나 직업병환자의 증가 등 재활이 필요한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 중에서 노령 인구는 선진국들과 유사하게 국내에서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신체 기능 저하로 인해 외부활동이 불편한 자들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In modern times, as the pattern of disease becomes chronic, the number of patients in need of rehabilitation such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disabled persons,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injured or occupational disease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is on the rise. Among them, the elderly population is on an increasing trend in Korea, similar to those in advanced countries, and those who are inconvenient to outside activities due to a decrease in physical function will increase further.

등산은 산을 오르는것 만으로도 심신을 단련하고 그 안에서 즐거움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여가활동으로 인기가 높다. 여행과 취미생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등산을 즐기는 등산객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Climbing is popular as a leisure activity because climbing the mountain can train your mind and body and find fun in it. As interest in travel, hobbies, and health increases, the number of hikers enjoying mountaineering is increasing day by day.

등산의 경우 특성상 평지보다는 계단이나 경사로를 따라 이동해야만 하기 때문에 보통 등산용 지팡이를 구비하여 등산을 하게 되는데, 체력이 고갈될 경우에는 등산용 지팡이에 의지하여 보행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이를 이용하는 것이 거추장스러울 때가 있다.In the case of mountaineering, the nature of mountaineering requires that you move along stairs or slopes rather than on flat ground, so you usually climb with a mountaineering cane.If your physical strength is exhausted, there is a limit to walking with a mountaineering cane. Sometimes it can be cumbersome.

한편, 등산로의 경우 자연적으로 경사도가 급하거나, 사람의 통행량 증가에 의한 노면 손상, 폭우 또는 해빙에 따른 노면 유실 등에 의해 노면의 경사도가 급격하거나 사질토에 의해 보행이 어려운 구간에는 슬립으로 인한 추락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iking trails, when the slope of the road is steep in nature, the road surface is damaged due to an increase in human traffic, the road surface is lost due to heavy rain or sea ice, etc., in the section where walking is difficult due to sandy soil, etc. There is a risk of an accident.

이러한 위험 요소로부터 등산객을 보호하고 등산객에게 편의를 제공하여 등산을 도와주기 위해 등산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현재 위치와 목적지의 방향이 표기된 이정표가 설치되어 있으며 경사도가 급한 구간에는 안전 로프(Rope) 또는 난간(Guardrail) 등과 같은 등산 보조 기구들이 설치되어 있다.To protect climbers from these risk factors and to provide convenience to climbers to assist climbers, milestones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il, and safety ropes or railings in steep slopes. Mountaineering aids such as (Guardrail) are installed.

등산로에 설치된 안전 로프는 가파른 경사로 및 암석지대 등의 실족의 위험이 있는 구간에 설치된 등산 보조기구로, 로프를 바닥에 고정된 철근 또는 나무 등에 늘어뜨린 상태로 고정되며, 등산객들은 해당 로프를 당겨 잡아 가파른 경사지를 오르는데 지지줄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이를 이용한다.The safety rope installed on the hiking trail is a climbing aid installed in sections where there is a risk of failure, such as steep slopes and rocky areas, and is fixed by hanging the rope on a reinforcing bar or a tree fixed to the floor, and hikers pull the rope to It is used as a way to use it as a support line to climb a slope.

한편, 난간은 대부분 낮은 산의 데크와 같은 정비된 등산로에 설치되어 있으며 산을 절토 및 성토하고 데크와 철구조물을 설치하는 등의 공사가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이렇게 설치된 등산로의 난간은 등산객의 이동 경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등산 시 지지할 수 있는 등의 단편적인 기능만을 갖고 있다.On the other hand, railings are mostly installed on a well-established hiking trail, such as a deck of a low mountain, and construction must be accompanied by cutting and embedding the mountain and installing the deck and steel structures. In addition, the railings of the mountain trails installed in this way have only a fragmentary function, such as maintaining the path of the climbers or supporting them during mountaineering.

이러한 로프나 난간 등과 같은 종래의 등산 보조 기구는 신체 건강한 등산객에게는 지지할 수 있는 고정물 또는 가이드라인 등의 제한적인 도움만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등산 보조 기구의 설치를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자연을 훼손하는 공사가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Conventional climbing aids such as ropes or railings have a disadvantage of providing only limited assistance such as a supportable fixture or guideline to a healthy climb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struction that inevitably damages nature must be accompanied in order to install such a conventional climbing ai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급경사와 같이 등산이 쉽지 아니한 구간에 설치되어 등산 약자가 용이하게 등산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등산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imbing assistance system that is installed in a section where climbing is not easy, such as a steep slope, so that the weak climbing can easily climb.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보조 시스템은, 제1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제1 방향전환장치;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를 자연물에 고정시키는 제1 자연물 고정장치; 제2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제2 방향전환장치;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를 자연물에 고정시키는 제2 자연물 고정장치; 상기 제1 이송롤러와 상기 제2 이송롤러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순환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레일을 순환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mountain climb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including a first transfer roller; A first natural object fixing device fixing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to a natural object; A second direction change device including a second transfer roller; A second natural object fixing device fixing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to a natural object; A rail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rollers and circulated; And a driving device for circulating the rail by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rail.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보조 시스템에 의하면, 급경사와 같이 등산이 쉽지 아니한 구간이나 실족의 위험성이 있는 구간에 설치되어, 구동장치에 의해 제1 이송롤러와 제2 이송롤러에 권취된 레일을 순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레일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고 있으면 타인이 앞에서 끌어주는 것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등산 약자가 용이하게 등산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ountain climb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in a section where climbing is not easy such as a steep slope or a section where there is a risk of losing foot, and circulates the rails wound around the first transfer roller and the second transfer roller by a driving device,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formed on the rail,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ame function as to drag the other person in front of the user, thereby helping the weak climber to climb easi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보조 시스템이 등산로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보조 시스템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보조 시스템의 방향전환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보조 시스템의 레일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보조 시스템의 구동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보조 시스템의 레일 가압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limb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hiking trail.
2 is a view for explain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climb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rection changing device of the climb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ail of the climb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device of the climb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ail pressure roller of the climb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등산로 중 가파른 경사로 나 실족의 위험이 있는 일부 구간에서도 노령자 및 신체 기능 저하자와 같은 등산 약자가 용이하게 등산을 할 수 있도록, 전동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등산 약자에게 등산 방향으로 견인력(牽引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electric lifting device to traction in the direction of climbing by using an electric lifting device so that the elderly and the weak climbing, such as the elderly and the weaker, can easily climb even in some sections where there is a risk of losing foot on a steep slope among the trails. It is intended to provide ).

효과적인 등산 보조를 위해서는 등산방향으로 로프 또는 벨트 형태의 레일이 설치되어야 하며, 레일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고정물 또는 지지물이 필요하다. 여기서, 고정물 또는 지지물은 나무나 암반 등과 같은 등산로의 자연물을 활용하며, 자연물이 훼손되지 않도록 별도의 보호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For effective climbing assistance, a rope or belt-type rail must be installed in the climbing direction, and a fixture or support is required to fix the rail. Here, as the fixture or support, natural objects such as trees or rock are used, and a separate protection device is used to fix the natural objects so as not to be damag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보조 시스템이 등산로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보조 시스템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limb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hiking trail,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each configuration of a climb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보조 시스템(100)은 제1 방향전환장치(110), 제1 자연물 고정장치(120), 제2 방향전환장치(130), 제2 자연물 고정장치(140), 레일(150) 및 구동장치(160)를 포함한다.1 and 2, the mountain climbing assistan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urning device 110, a first natural object fixing device 120, a second turning device 130, and a second natural object. It includes a fixing device 140, a rail 150 and a driving device 160.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110)는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130)보다 고도가 낮은 곳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장치(160)로부터 회수된 상기 레일(150)이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130) 방향으로 견인되도록 상기 레일(150)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장치이다.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110 is located at a lower altitude than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130, and the rail 150 recovered from the driving device 160 is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130 It is a device that change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ail 150 so as to be pulled in the direc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보조 시스템의 방향전환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110)는 외주면에 상기 레일이 권취되어 이송되는 제1 이송롤러(111)와 사용자의 손끼임을 방지하는 제1 레일 입출구 커버(1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110)는 제1 자연물 고정장치(12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110)를 자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고리(113) 및 상기 제1 이송롤러(111)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제1 방향전환장치 커버(114)를 더 포함한다.3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rection changing device of the climb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110 includes a first transfer roller 111 through which the rail is wound and transferred, and a first rail entry/exit cover 112 that prevents the user's hand from getting caught. Include. In addition,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natural object fixing device 120, the first fixing ring 113 for fixing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110 to the natural object, and the first transfer It further includes a first turning device cover 114 to protect the roller 111 from the outside.

상기 제1 자연물 고정장치(120) 및 제2 자연물 고정장치(140)는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110) 및 제2 방향전환장치(130)를 나무와 같은 자연물에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자연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목재 또는 고무판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natural object fixing device 120 and the second natural object fixing device 140 are devices for fixing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110 and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130 to a natural object such as a tree. It is preferable to form a wood or rubber plate to prevent damage.

상기 제1 레일 입출구 커버(112)는 레일(150)이 상기 구동장치(160)로부터 회수되어 유입될 때와, 레일(150)이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110)로부터 유출되어 견인될 때 사용자의 손이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110) 내부로 끼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일 입출구 커버(112)에는 브러쉬를 구비하여 레일에 묻어있는 이물질 및 습기 등을 제거하여 오염 및 부식에 의한 장비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rail entry and exit cover 112 is a user when the rail 150 is retrieved from the driving device 160 and flows in, and when the rail 150 flows out from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110 and is tow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erson's hand from being pinched into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110. In addition, the first rail entrance/exit cover 112 may be provided with a brush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moisture from the rail to prevent malfunction of equipment due to contamination and corrosion.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130)는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110)보다 고도가 높은 곳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110)로부터 견인된 상기 레일(150)이 상기 구동장치(160) 방향으로 회수되도록 상기 레일(150)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장치이다.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130 is located at a higher altitude than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110, and the rail 150 pulled from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110 is the driving device 160 It is a device that chang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ail 150 so that it is recovered in the direction.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130)는 외주면에 상기 레일이 권취되어 이송되는 제2 이송롤러(131)와 사용자의 손끼임을 방지하는 제2 레일 입구 커버(1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130)는 제2 자연물 고정장치(140)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130)를 자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고리(133) 및 상기 제2 이송롤러(131)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제2 방향전환장치 커버(134)를 더 포함한다.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130 includes a second conveying roller 131 through which the rail is wound and convey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econd rail entrance cover 132 that prevents a user's hand from getting caught. In addition,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1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natural object fixing device 140, the second fixing ring 133 for fixing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130 to the natural object and the second transfer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turning device cover 134 for protecting the roller 131 from the outside.

상기 제2 레일 입출구 커버(132)는 레일(150)이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110)로부터 견인되어 유입될 때와,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130)로부터 유출되어 회수될 때 사용자의 손이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130) 내부로 끼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레일 입출구 커버(132)에는 브러쉬를 구비하여 레일에 묻어있는 이물질 및 습기 등을 제거하여 오염 및 부식에 의한 장비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rail entry/exit cover 132 is a user's hand when the rail 150 is pulled in from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110 and when it is discharged and recovered from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1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130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interior. In addition, the second rail entrance/exit cover 132 may be provided with a brush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moisture from the rail to prevent malfunction of equipment due to contamination and corros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보조 시스템의 레일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ail of the climb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레일(150)은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110) 내의 상기 제1 이송롤러(111)와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130) 내의 상기 제2 이송롤러(131)의 외주면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16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순환된다.The rail 150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ransfer roller 111 in the first direction change device 110 and the second transfer roller 131 in the second direction change device 130 The driving force is received from the driving device 160 and is circulated.

상기 레일(150)의 순환을 위해서는 견인 동작과 회수동작이 반복되어야 한다. 견인 동작은 상기 레일(150)이 등산 방향인 오르막 방향으로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110)로부터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130)로 이동하는 동작이다. 한편, 회수 동작은 상기 레일(150)이 등산 방향의 반대 방향인 내리막 방향으로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130)로부터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110)로 이동하는 동작이다. For the circulation of the rail 150, a traction operation and a recovery operation must be repeated. The traction operation is an operation in which the rail 150 moves from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110 to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130 in an uphill direction, which is a mountain climbing direction. Meanwhile, the recovery operation is an operation in which the rail 150 moves from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130 to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110 in a downhill direction opposite to the mountain climbing direction.

이때 사용자는 상기 레일(150)의 견인 동작 동안 이동하는 레일을 잡고 가파른 경사 구간 또는 실족의 위험이 있는 구간을 좀 더 용이하고 안전하게 등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can more easily and safely climb a steep slope section or a section in which there is a risk of losing foot while holding the moving rail during the traction operation of the rail 150.

이때 레일(150)은 사용자가 잡고 등산을 할 수 있도록 10cm 이내의 폭을 갖도록 하고.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기 형상을 갖거나 마찰력이 높은 고무재질로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ail 150 is to have a width of less than 10 cm so that the user can hold and climb.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urfac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protrusion shape or high friction so as not to slip on the hand.

한편, 상기 레일(150)은 벨트 또는 로프의 형상을 가지며 견인력이 크게 필요한 경우는 힘의 전달을 좋게 하기 위해 로프의 형태를 갖도록 하고, 견인력이 낮고 안정적인 속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벨트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rail 150 has a shape of a belt or a rope, and when a large traction force is required, the rail 150 has a shape of a rope to improve the transmission of the force, and when a stable speed is required with a low traction force, the rail 150 has a shape of a belt. It is desirabl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150)은 운력을 극대화하고 형태 유지를 위해 강선과 고무로 제작하거나 나일론, 폴리에스터, 고무의 다층식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레일의 상부는 매끄럽게 하고 레일의 하부(151)에는 요철 무늬를 넣어 구동롤러(162)와의 마찰력을 증대하여 운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rail 150 is preferably made of steel wire and rubber or has a multilayered structure of nylon, polyester, and rubber in order to maximize the driving force and maintain its shape. 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rail is smoothed, and an uneven pattern is put in the lower part 151 of the rail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ith the driving roller 162 to maximize the driving force.

또한, 상기 레일(150)에는 사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그립-감을 향상 시키기 위해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의 재질로 형성된 손잡이 본체(152a)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Elastomer, TPE) 또는 우레탄 등의 고무 재질의 손잡이 커버(152b)를 덧씌운 레일 손잡이부(152)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레일 손잡이부(152)는 내부에 구비된 손잡이 결합부(152c)에 의해 상기 레일(1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레일 손잡이부(152)는 사용자 간의 간격 유지를 위해 레일(150) 상에 0.5m 내지 2.0m 이내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ail 150 has a thermoplastic elastomer (TPE) on the handle body 152a formed of polyvinyl chloride (PVC) or polypropylene (PP)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slipping and improve the grip-feel. ) Or a rail handle portion 152 covered with a handle cover 152b made of a rubber material such as urethane may be installed. The rail handle portion 152 may be coupled to the rail 150 by a handle coupling portion 152c provided therei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ail handle part 152 is installed at a distance of 0.5m to 2.0m on the rail 150 in order to maintain the gap between users.

상기 레일 손잡이부(152)와 레일(15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레일 손잡이부(152)의 내구성 증대 및 운력의 전달효과 증대를 위해 상기 레일 손잡이부(152)의 내부에 강재의 뼈대를 넣어 손잡이 본체와 함께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 손잡이부(152)는 구동롤러(162)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레일(150)의 하단부 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ail handle part 152 and the rail 150 are firmly fixed, and a steel frame is provided inside the rail handle part 152 in order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rail handle part 152 and increase the transmission effect of luck. Can be put and fixed together with the handle body. At this time, the rail handle portion 152 is preferably positioned abov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ail 150 so as not to be damaged by the driving roller 162.

상기 레일(150)의 순환을 위해서는 견인과 회수가 반복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레일(150)의 순환을 위한 구동력은 구동장치(160)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레일(150)의 순환을 위한 방향 전환은 제1 방향전환장치(110) 및 제2 방향전환장치(130)에 의해 이루어진다.For the circulation of the rail 150, traction and recovery must be repeated. At this time, the driving force for circulation of the rail 150 is provided by the driving device 160, and the direction change for circulation of the rail 150 is performed by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110 and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130. ).

이때 제1 방향전환장치(110)에서는 상기 제1 이송롤러(111)를 통해 등산 반대 방향인 레일(150)의 회수 방향으로부터 등산 방향인 레일(150)의 견인 방향으로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고, 제2 방향전환장치(130)에서는 상기 제2 이송롤러(131)를 통해 등산 방향인 레일(150)의 견인 방향으로부터 등산 반대 방향인 레일(150)의 회수 방향으로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in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110, the direction is changed from the recovery direction of the rail 15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mountain climbing to the traction direction of the rail 150 in the direction of climbing through the first transfer roller 111, In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130, the direction is changed from the traction direction of the rail 150 in the direction of climbing to the recovery direction of the rail 15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climbing through the second transfer roller 131.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레일(150)은 구동장치(160)로부터 회수된 레일이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110)에서 견인 방향으로 전환되어 견인이 진행되고,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130)에서 회수 방향으로 전환되어 구동장치(160)로 회수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ail 150, the rail recovered from the driving device 160 is switched in the direction of traction in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110, and traction proceeds, and is recovered in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130. It is converted to the direction and is recovered to the driving device 16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보조 시스템의 구동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보조 시스템의 레일 가압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device of the climb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ail pressure roller of the climbing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장치(16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61), 상기 구동모터(16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레일(150)을 순환시키는 구동롤러(162),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130)로부터 상기 구동롤러(162)로 상기 레일(150)이 유입되는 레일 유입부(163) 및 상기 구동롤러(162)를 통과한 레일(150)이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110)로 유출되는 레일 유출부(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5, the driving device 160 includes a driving motor 161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and a driving roller 162 that rotates by receiving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161 and circulates the rail 150. , The rail inlet 163 through which the rail 150 is introduced from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130 to the driving roller 162 and the rail 150 passing through the driving roller 162 are the first It comprises a rail outlet 164 that flows out to the direction change device (110).

이때, 상기 구동모터(161)는 등산 약자의 등산 속도를 고려하여 저속 전동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롤러(162)의 크기를 조절하여 레일(150)의 견인 및 회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e motor 161 is preferably a low-speed electric motor in consideration of the climbing speed of the weak climbing. On the other hand,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drive roller 16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raction and recovery speed of the rail 150.

또한, 상기 구동장치(160)는 상기 구동장치를 고정시켜 지지하는 구동장치 고정부(165) 및 상기 구동모터(161)와 상기 구동롤러(162)를 외부의 이물질 또는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구동장치 커버(1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device 160 is a driving device fixing unit 165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driving device, and a driving device for protecting the driving motor 161 and the driving roller 162 from external foreign matter or rain. A cover 166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구동롤러(162)는 외주면에 톱니 형상의 무늬를 형성하여 상기 레일(150)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운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driving roller 162 may maximize the driving force 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rail 150 by forming a serrated patter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레일 유입부(163) 및 레일 유출부(164)는 레일(150)이 권취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레일 유입부 가이드 롤러(163a) 및 레일 유출부 가이드 롤러(164a)를 각각 더 포함한다.The rail inlet 163 and the rail outlet 164 further include a rail inlet guide roller 163a and a rail outlet guide roller 164a for guiding the rail 150 to be wound and circulated, respectively.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장치(160)는 상기 레일(150)이 상기 구동롤러(162)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스프링을 통해 압력을 제공하는 레일 가압롤러(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 가압롤러(167)는 상기 레일(150)과 상기 구동롤러(162)의 밀착 정도에 따라 그 개수를 임의로 조절하거나 스프링에 의한 압력의 세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driving device 160 further includes a rail pressing roller 167 that provides pressure through a spring so that the rail 1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roller 162. I can.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rail pressing rollers 167 may be arbitrar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lose contact between the rail 150 and the driving roller 162 or the strength of the pressure by the spring may be freely adjus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 예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implemented in more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These embodiments als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등산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제1 방향전환장치;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를 자연물에 고정시키는 제1 자연물 고정부;
제2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제2 방향전환장치;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를 자연물에 고정시키는 제2 자연물 고정부;
상기 제1 이송롤러와 상기 제2 이송롤러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순환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레일을 순환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레일을 순환시키는 구동롤러;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로부터 상기 구동롤러로 상기 레일이 유입되는 레일 유입부; 및
상기 구동롤러를 통과한 레일이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로 유출되는 레일 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벨트 또는 로프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구동롤러와 접하는 하부에는 상기 구동롤러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 보조 시스템.
In the climbing assistance system,
A first direction change device including a first transfer roller;
A first natural object fixing unit fixing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to a natural object;
A second direction change device including a second transfer roller;
A second natural object fixing unit fixing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to a natural object;
A rail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rollers and circulated;
Including; a driving device for circulating the rail by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rail,
The driving device is
A driving mot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 driving roller that rotates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and circulates the rail;
A rail inlet through which the rail is introduced from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to the driving roller; And
Includes; a rail outlet through which the rail passing through the driving roller flows out to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The rail is
A climbing assist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the shape of a belt or rope, and has an unevenness formed at a low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driving roller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ith the driving roll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장치를 고정시켜 지지하는 구동장치 고정부; 및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롤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구동장치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device
A driving device fixing part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driving device; And
A mountaineering assistanc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drive device cover for protecting the drive motor and the drive roller from the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레일이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레일 가압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device
A climbing assistanc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rail pressure roller for providing pressure so that the rai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roll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는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보다 고도가 낮은 곳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회수된 상기 레일이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 방향으로 견인되도록 상기 레일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장치이고,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는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보다 고도가 높은 곳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로부터 견인된 상기 레일이 상기 구동장치 방향으로 회수되도록 상기 레일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is located at a lower altitude than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and is a device for switch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ail so that the rail recovered from the driving device is pulled toward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is a device that is located at a higher altitude than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and is a device that switch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ail so that the rail pulled from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is recovered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device. Mountaineering assistance system characterized b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와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device
Mountain climbing assist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between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and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구동롤러로부터, 상기 레일 유출부,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 상기 레일 유입부 및 상기 구동롤러의 방향으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ail
A mountain climbing assist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irculated from the drive roller in the direction of the rail outlet, the first direction change device, the second direction change device, the rail inlet part, and the drive roll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0.5 미터 내지 2 미터 간격으로 형성된 레일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ail
Climbing assistanc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rail handles formed at intervals of 0.5 to 2 meter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손잡이부는
상기 레일의 하부면 보다 상부에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레일 손잡이부의 형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 손잡이 본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ail handle
A climbing assistanc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rail handle body portion form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and configure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rail handle portion there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는
외주면에 상기 레일이 권취되어 이송되는 제1 이송롤러;
사용자의 손끼임을 방지하는 제1 레일 입구 커버;
제1 자연물 고정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전환장치를 자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고리; 및
상기 제1 이송롤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제1 방향전환장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A first transfer roller to which the rail is wound and transferr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first rail entrance cover for preventing a user's hand from being pinched;
A first fixing ring connected to the first natural object fixing device to fix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to the natural object; And
A mountain climbing assistance system comprising: a first direction changing device cover for protecting the first transfer roller from the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는
외주면에 상기 레일이 권취되어 이송되는 제2 이송롤러;
사용자의 손끼임을 방지하는 제2 레일 입구 커버;
제2 자연물 고정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방향전환장치를 자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고리; 및
상기 제2 이송롤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제2 방향전환장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A second transfer roller to which the rail is wound and transferr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econd rail entrance cover to prevent a user's hand from being pinched;
A second fixing ring connected to a second natural object fixing device to fix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to the natural object; And
A climbing assistance system comprising: a second direction changing device cover that protects the second transfer roller from the outside.
KR1020200046706A 2020-04-17 2020-04-17 Climbing assist system KR1021514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706A KR102151450B1 (en) 2020-04-17 2020-04-17 Climbing assis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706A KR102151450B1 (en) 2020-04-17 2020-04-17 Climbing assis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450B1 true KR102151450B1 (en) 2020-09-03

Family

ID=7245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706A KR102151450B1 (en) 2020-04-17 2020-04-17 Climbing assis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45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944U (en) * 2011-03-30 2012-10-10 와바다다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porting person and equipment in inverse for the air descent experience ride
KR101885844B1 (en) * 2018-04-25 2018-08-06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Zipline apparatus
KR20190121966A (en) * 2018-04-19 2019-10-29 (주) 에스에이텍 Apparatus for walking assist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944U (en) * 2011-03-30 2012-10-10 와바다다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porting person and equipment in inverse for the air descent experience ride
KR20190121966A (en) * 2018-04-19 2019-10-29 (주) 에스에이텍 Apparatus for walking assistance
KR101885844B1 (en) * 2018-04-25 2018-08-06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Ziplin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81872B1 (en) Anti-slip overshoe and spike assembly
EP1715769B1 (en) Anti-slip overshoe
Adolph et al. Exploration in the service of prospective control
US8112910B2 (en) Shoe wrap and system
US5573275A (en) In-line skate guard
TWI558332B (en) Heel traction aid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KR101394490B1 (en) Assistive device to prevent accidents of pedestrians hurt
KR102151450B1 (en) Climbing assist system
US20050183290A1 (en) Footwear for use in mud
US20110115173A1 (en) Baby Evacuation Device
US11622907B2 (en) Suspension system for assisting a user to navigate a staircase
US6439544B1 (en) Stair tow system and method
US20040163898A1 (en) Bidirectionally locking safety brake apparatus for tree climbing lanyards and other types of lines and safety climbing lanyard system utilizing same
US5353446A (en) Means for facilitating the entry and exit of a person in a wheelchair into and out of a pool or body of water
US6598947B2 (en) Wheelchair wheel cover
KR101844397B1 (en) Hand lift for inclined road walking
US9364047B2 (en) Ice flop stopper
KR200253527Y1 (en) Footway boundary block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safety
CN213128786U (en) Student apartment bed staircase with safe anticollision structure
KR101163043B1 (en) Block for stairs of slope
EP1104830A3 (en) Decking systems
JP3060407U (en) Walking stick for soft road safety
JP2008169665A (en) Residence
KR20240001485A (en) Stick able to adjust height
KR19980057619U (en) Non-slip padded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