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307B1 - 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power plant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power plant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307B1
KR102151307B1 KR1020180094391A KR20180094391A KR102151307B1 KR 102151307 B1 KR102151307 B1 KR 102151307B1 KR 1020180094391 A KR1020180094391 A KR 1020180094391A KR 20180094391 A KR20180094391 A KR 20180094391A KR 102151307 B1 KR102151307 B1 KR 102151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mantling
dismantled
large boiler
construc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3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8939A (en
Inventor
서동민
Original Assignee
(주) 플랜디 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플랜디 글로벌 filed Critical (주) 플랜디 글로벌
Priority to KR1020180094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307B1/en
Publication of KR20200018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9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3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ome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구조물 해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와 통신 접속되어 있는 관리컴퓨터에서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컴퓨터는,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기계, 배관 및 덕트 등의 분야별 구조물을 각각 3D 이미지 도면으로 생성하여 이들을 합성하고 각 분야별 3D 이미지 도면의 간섭 및 중복 등을 파악하여 복합 구조물을 분석하기 위한 복합구조물분석부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기계, 배관 및 덕트의 계통별 설비 정보의 데이터를 상기 3D 이미지 도면에 매핑시켜 분석하기 위한 계통별설비정보분석부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위치, 중량, 환경성 등을 고려한 위험성 평가에 기반을 두어 단위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세부단위정보분석부와; 대형 구조물의 해체 공정을 대-중-소-세부 공정으로 생성시키고 공정의 수행 과정 또는 완료 후의 데이터 입력에 따른 공정의 수정 등을 수행하기 위한 해체후행공정관리부와; 대형 구조물의 해체 공정에서 유해 위험 요인 분류에 따른 분석을 시각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유해위험정보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시스템, 그 방법 및 대형 구조물 해체 공법이 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ismantling of a large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system for managing a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in a management computer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a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the management computer comprises: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 A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complex structure by generating and synthesizing structures for each field such as machinery, pipes, and ducts into 3D image drawings, and identifying interferences and overlaps of the 3D image drawings for each field; A system-specific facility information analysis unit for mapping and analyzing data of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system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machinery, piping and duct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n the 3D image drawing; A detailed unit information analysis unit for using unit information based on a risk assessment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weight,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 dismantling post-decommissioning process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a dismantling process of a large structure as a large-medium-small-detailed process and performing a process modification according to a process execution process or data input after completion; A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hazard information analysis unit that visually generates an analysi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hazardous risk factors in the dismantling process of a large structure and provides it to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its method, and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The construction method is presented.

Description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 및 방법{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power plant and method thereof}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power pla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화력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또는 터빈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해체 공정과 관련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형 보일러 또는 터빈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해체에 있어서 안전성과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해체 공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dismantling a large boiler structure of a power plant. In more detail, for example, in relation to the dismantling process of a large structure such as a large boiler or a turbine of a thermal power plant, a system and method that can be systematically managed to ensure safety and efficiency, and a large boiler or It relates to a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ensure safety and efficiency in dismantling large structures such as turbines.

화력발전소 등의 대형 구조물, 예를 들면 대형 보일러 또는 터빈 등은 그 규모가 크고, 플랜트 구조가 복잡하여 이를 철거 또는 해체할 때에, 특히 안전성과 해체의 효율성이 중요시된다. 대형 구조물의 건축시에는 정확한 설계, 시공 공정, 감리 등이 철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그 효율성과 안전성이 어느 정도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구조물의 철거 또는 해체시에는 해체에 최적화된 설계, 해체에 안전성 및 효율성이 담보된 공정 등의 설정이 없이, 구조물의 위에서 아래로(Top-Down) 또는 아래에서 위로(Down-Top) 해체 및 철거를 하는 주먹구구식으로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하여 이와 같은 대형 구조물의 해체 작업시에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해체 작업의 기간이 길어져서 비용 손실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Large structures such as thermal power plants, for example, large boilers or turbines, are large in scale, and the plant structure is complex, so when dismantling or dismantling them, safety and efficiency of dismantling are particularly important. When constructing a large structure, accurate design, construction process, and supervision are thoroughly carried out, so the efficiency and safety can be secured to some extent. However, when the structure is demolished or dismantled, the structure is dismantled Top-Down or Down-Top without setting the design optimized for dismantling and the process that guarantees safety and efficiency for dismantling. And it is common to work in a punch-out style to remove. Due to this, safety accidents frequently occur during the dismantling work of such a large structure, and the period of the dismantling work is prolonged, causing problems such as cost loss.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7-0139729호(공개일: 2017년12월20일)의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및 철거방법의 발명이 공개되어 있다. The invention of an apparatus for demolition of an old structure and a method for demol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39729 (published on December 20, 2017) is disclosed.

상기 공개발명은, 건축한지 오래된 빌딩이나 화력발전소의 굴뚝 등 낡은 구조물을 해체하여 철거할 때 분진이나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철거할 수 있는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및 철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철거대상 구조물과 동일한 형상이고 철거할 노후 구조물의 외주면 보다 20~50% 넓게 제조되고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천정;과 높이는 자키 2개를 합친 길이보다 10~50% 길고 상기 하우징(의 천정 외주면을 따라 2~5m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 상기 기둥과 기둥 사이를 천으로 두르고 고정하여 형성된 벽체; 상기 기둥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고 연장부를 홈으로부터 인출하여 연장부가 노후 구조물의 외벽에 닿게 함으로써 그 위에 작업발판을 깔 수 있도록 한 상부지지대; 상기 기둥의 밑에 형성되고 연장부를 홈으로부터 인출하여 연장부가 노후 구조물의 외벽에 닿게 함으로써 기둥을 튼튼하게 지지할 수 있는 하부지지대; 로 구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준비하는 단계; 이어 노후 구조물 철거작업에 사용할 앵커볼트를 준비하는 단계; 이어 자키를 준비하는 단계; 이어 상부지지대에 설치할 작업발판을 준비하는 단계; 이어 노후 구조물 외벽을 둘러가면서 앵커볼트를 길이 40~70%가 삽입되도록 박아 넣어 각 앵커볼트(200) 길이의 30~60%를 외벽 외부로 노출시키는 단계; 이어 상기 앵커볼트의 노출부위를 받침대로 하여 제1 자키는 제1 앵커볼트 위에, 제2 자키는 제2 앵커볼트 위에 설치하는 단계; 이어 유압으로 제1 자키와 제2 자키를 최대 길이로 신장시키는 단계; 이어 상부지지대의 연장부(142)를 노후 구조물의 외벽까지 연장시켜 상부지지대와 노후 구조물의 외벽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단계; 이어 상기 상부지지대 위에 작업발판을 설치하는 단계; 이어 노후 구조물을 받침대로 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노후 구조물의 위로부터 덮어씌우는 단계; 이어 상기 하우징 안에서 노후구조물의 맨 위로부터 제1 앵커볼트가 삽입된 부위까지 철거작업을 하는 단계; 이어 철거된 노후 구조물을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이어 유압을 작동하여 제1 자키의 받침부를 몸체 내부로 삽입하여 제1 자키의 길이를 1/2로 줄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자키의 줄어든 길이만큼 아래로 내려오게 하는 단계; 이어 상기 노출되어 있는 제1 앵커볼트를 절단하여 제1 자키가 상하자유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이어 유압을 작동하여 제2 자키의 받침부를 몸체 내부로 삽입하여 제2 자키의 길이를 1/2로 줄임으로써 하우징이 제1 앵커볼트가 설치되어 있던 위치까지 내려오게 하는 단계; 이어 제1 자키와 제2 자키를 회수하는 단계; 이어 제1 자키를 제2 앵커볼트 위에 위치시키고 제2 자키를 제3 앵커볼트 위에 설치하고 상술한 순서대로 철거작업을 반복하여 진행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의 발명이다.The abov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 demolition device and method for demolition of old structures that can be demolished without dust or noise leaking to the outside when dismantling and demolition of old structures such as old buildings or chimneys of thermal power plants. The same shape as the structure, manufactured 20-50% wid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ld structure to be demolished, and the ceiling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and the height is 10-50% longer than the combined length of the two jockeys, and 2 ~ 50%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eiling of the housing ( A plurality of pillars installed at 5m intervals; A wall formed by wrapping and fixing the pillars with cloth; a working scaffolding on the pillar formed at the middle part of the pillar and extending the extension part from the groove so that the extension part touches the outer wall of the old structure Preparing a housing consisting of: an upper support formed under the pillar and capable of supporting the pillar firmly by allowing the extension portion to reach the outer wall of the old structure by drawing the extension portion from the groove; Next, preparing anchor bolts to be used for the demolition work of the old structure; then preparing a jockey; then preparing a working scaffold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upport; and inserting an anchor bolt with a length of 40-70% while surrounding the outer wall of the old structure The step of exposing 30 to 60% of the length of each anchor bolt 200 to the outside of the outer wall by inserting it so that the first jockey is on the first anchor bolt and the second jockey is the second by us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anchor bolt as a support. Installing on the anchor bolt; Next, the step of elongating the first jockey and the second jockey to the maximum length by hydraulic pressure; and then extending the extension portion 142 of the upper support to the outer wall of the old structure, between the upper support and the outer wall of the old structure And then installing a working footboard on the upper support; then covering the housing from the top of the old structure using the old structure as a pedestal; and then from the top of the old structure in the housing. Demolition work up to the area where the first anchor bolt was inserted; then the deteriorated structure Discharg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n, by operating hydraulic pressure to insert the support of the first jockey into the body to reduce the length of the first jockey by 1/2 so that the housing is lowered by the reduced length of the jockey; Subsequently, cutting the exposed first anchor bolt so that the first jockey can move freely; Then, by operating the hydraulic pressure to insert the support portion of the second jockey into the body to reduce the length of the second jockey by 1/2, thereby causing the housing to descend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nchor bolt was installed; Then recovering the first jockey and the second jockey; Next, the first jockey is placed on the second anchor bolt, the second jockey is installed on the third anchor bolt, and the demolition operation is repeated in the above-described order.

상기 공개발명은 노후 구조물의 철거시에 노후 구조물에 하우징을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분진이나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발명이다. 그러나 상기 공개발명은 대형 구조물의 해체시에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구조물 해체를 위한 설계 및 공정이 부재하여 복잡한 플랜트 구조물 등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 disclosed invention i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by installing a housing on the old structure when demolition of the old structure, and to prevent dust or nois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However, the disclosed invention still ha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when dismantling a large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applied to a complex plant structure because there is no design and process for dismantling the structure.

따라서, 화력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또는 터빈의 해체 공정과 관련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해체 설계 및 공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이를 기초로 하여 대형 보일러 또는 터빈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요망된다.Therefore, a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dismantling design and process to ensure safety and efficiency in relation to the dismantling process of a large boiler or turbine of a thermal power plant, and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a large boiler or turbine based on this system. The invention of a system and method for dismantling a large boiler structure of a power plant that can be used is des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7-0139729호(공개일: 2017년12월20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39729 (Publication date: December 20, 2017)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또는 터빈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해체와 관련하여 안전성과 효율(경제)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해체 설계 및 공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이를 기초로 하여 대형 보일러 또는 터빈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sign and process dismantling to ensure safety and efficiency (economy) in connection with the dismantling of large structures such as large boilers or turbines of power plants. The objective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dismantling a large boiler structure of a power plant that can guarante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a large boiler or turbine based on the system and a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및 터빈을 해체함에 있어서, 중간-상부-하부(Middle-Top/Down)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 large boiler structure of a power plant for dismantling a large boiler and turbine of a power plant, for performing a middle-top/down process. .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으로,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및 설비 구조를 3D(3차원) 이미지로 설계하여 관리하고,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해체 공정의 생성 및 수정을 관리하고, 해체 대상의 대형 구조물의 해체 과정에서 발생되는 해체물량의 산출 및 관리를 하고,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해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 위험 요소를 관리하는 관리컴퓨터와; 상기 관리컴퓨터에 포함되어 있거나 통신 수단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관리컴퓨터에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해체 3D 이미지 설계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생성된 각종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해체정보콘텐츠저장부와; 상기 관리컴퓨터에 포함되어 있거나 통신 접속되어 있고,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건축시공시에 사용한 토목, 건축 및 설비 설계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컴퓨터에 해체 3D 이미지 설계에 필요한 해당 대형 구조물의 건축시공시 사용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건축정보콘텐츠저장부와; 상기 관리컴퓨터에 통신 수단으로 접속되고, 해체 3D 이미지 설계도를 표시시키고, 해체 3D 이미지 설계도의 생성 및 수정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시키고, 해체 공정 데이터의 생성 및 수정을 위한 해체시공 전체 또는 부문별로 해체시공을 콘트롤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와; 해체 시공에 직접 투입되어 해체 작업을 위해 해체 3D 이미지 설계를 확인하고, 해체 시공 공정표를 출력시켜 현재까지의 공정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해체시공작업자단말기와; 상기 관리컴퓨터에 통신 접속되고 해체 시공 공정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시키고, 발생된 해체 물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해체발주자단말기를 포함하는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이 제시된다.As a technical solu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facility structures of a large-sized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re designed and managed in a 3D (three-dimensional) image, and It manages the cre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dismantling process of the boiler structure, calculates and manages the amount of dismantling generated during the dismantling process of the large structure to be dismantled, and manages the harmful risk factors that may occur during the dismantling process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 management computer; Dismantling information content included in the management computer or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means, providing contents necessary for designing a dismantled 3D image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to the management computer or receiving and storing various contents generated by the management computer A storage unit; It is included in the management computer or is connected to communication, and stores the data related to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facility design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nd the construction of the large structure required for the design of the dismantling 3D image in the management computer A building information content storage unit that provides data used during construction; It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computer as a communication means, displays the dismantling 3D image design, inputs various data for the creation and correction of the dismantling 3D image design, and dismantles the entire dismantling construction for the creation and correction of the dismantling process data or by division. At least one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for controlling construction; At least one dismantling construction worker terminal for inputting process information up to now by inputting directly into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to check the design of the dismantling 3D image for the dismantling work, and outputting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schedule; A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dismantling client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computer and visually displays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process status and can check the generated dismantling quantity information is presented.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으로, 관리컴퓨터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및 설비 관련 설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상기 토목, 건축 및 설비 관련 설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상기 대상 대형 구조물의 3D 이미지에 유해 위험 요소 구조물의 표시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중간부위 해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에서 해체된 중간부위 구성을 제거하여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입력되는 중간 부위 해체 공정의 수행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정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하측부위 해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에서 해체된 하측부위 구성을 제거하여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입력되는 상측 부위 해체 공정의 수행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정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상측부위 해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에서 해체된 상측부위 구성을 제거하여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입력되는 하측 부위 해체 공정의 수행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정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방법이 제시된다In addition, as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computer receiving and storing design data related to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equipment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Generat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a 3D image of a large-sized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by using the design data related to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facilities; Combin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a display of a hazardous hazard structure with a 3D image of the target large structure; Receiv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the dismantling data of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removing and storing the dismantled intermediate part structure from the 3D image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Receiv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operation data of an intermediate part dismantling process and updating process data; Receiv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dismantling data of the lower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removing and storing the dismantled lower part structure from the 3D image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Updating process data by receiving performance data of an upper part disassembly process input by the management computer; Receiv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the dismantling data of the upper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removing and storing the dismantled upper part structure from the 3D image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 method for managing a dismantling process of a large structure comprising the step of updating process data by receiving performance data of the lower part dismantling process inputted by the management computer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으로,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및 설비 등의 해체 시공용 3D 이미지 콘텐츠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해체 시공용 3D 이미지 콘텐츠를 기초로 하여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해체 시공용 후행 공정표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해체 시공용 3D 이미지 콘텐츠 및 상기 후행 공정표를 참조하여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중간 부위의 해체 및 철거하는 단계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중간 부위를 해체 및 철거하는 과정 또는 완료 후에 상기 후행 공정표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와; 상기 해체 시공용 3D 이미지 콘텐츠 및 상기 후행 공정표를 참조하여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상측 부위를 해체 및 철거하는 단계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상측 부위의 해체 및 철거하는 과정 또는 완료 후에 상기 후행 공정표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와; 상기 해체 시공용 3D 이미지 콘텐츠 및 상기 후행 공정표를 참조하여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하측 부위를 해체 및 철거하는 단계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하측 부위의 해체 및 철거하는 과정 또는 완료 후에 상기 후행 공정표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형 구조물 해체 공법이 제시된다.In addition, as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s of preparing 3D image contents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facilitie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Preparing a subsequent process schedule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based on the 3D image content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Dismantling and demolition of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by referring to the 3D image content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and the subsequent process table; Dismantling and demolition of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r updating the subsequent process schedule after completion; Dismantling and demolition of an upper part of the large-sized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by referring to the 3D image content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and the subsequent process table; Updating the subsequent process schedule after dismantling and demoli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r completion; Dismantling and demolition of a lower portion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by referring to the 3D image content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and the subsequent process table; A large-sized structure dismantling method is provided, including a step of dismantling and demolition of a lower portion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r updating the following schedule after comple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또는 터빈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해체와 관련하여 안전성과 효율(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fety and efficiency (economy) can be secured in connection with the dismantling of a large structure such as a large boiler or a turbine of a power plant.

더 구체적으로는, 대형 구조물의 해체 위험의 분석을 시각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해체 시공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해체 대상의 대형 구조물에 관한 분석 데이터 및 3D 이미지를 기초로 해체 작업을 함으로써 친환경 공사의 구현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해체 작업 후에 업데이트되는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기단축 및 비용 절감 등을 통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afety of dismantling construction can be secured by visually using the analysis of the dismantling risk of large structures, and the realization of eco-friendly construction by performing dismantling work based on analysis data and 3D images of large structures to be dismantled. The effect can be obtained, and there is an effect of cost reduction through reduction of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by using the process data updated after the dismantling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관리컴퓨터의 주요부인 복합구조물분석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관리컴퓨터의 주요부인 해체공정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관리컴퓨터의 주요부인 유해위험정보분석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주요부인 해체정보콘텐츠저장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주요부인 건축정보콘텐츠저장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주요부인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주요부인 해체시공작업자단말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주요부인 해체발주자단말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주요부인 복합구조물분석부의 토목/건축구조분석부에서 구현된 토목/건축 3D 이미지 도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주요부인 복합구조물분석부의 기계설비정보분석부에서 구현된 기계설비 3D 이미지 도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주요부인 복합구조물분석부의 배관설비정보분석부에서 구현된 배관설비 3D 이미지 도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주요부인 복합구조물분석부의 덕트설비정보분석부에서 구현된 덕트설비 3D 이미지 도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주요부인 복합구조물분석부에서 분석한 분야별 구조물을 합성한 복합구조물의 3D 이미지 도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주요부인 복합구조물분석부에서 분석한 분야별 구조물을 합성한 복합구조물의 3D 이미지 도면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management computer, of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management computer, of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hazard information analysis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management computer, of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dismantling information content storage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a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building information content storage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which is a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dismantling construction worker terminal, which is a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dismantling orderer terminal, which is a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ivil engineering/building 3D image diagram implemented in a civil engineering/building structure analysis unit of a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which is a major par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3D image drawing of a mechanical facility implemented in a machine facility information analysis unit of a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piping facility 3D image diagram implemented in a piping facility information analysis unit of a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3D image drawing of a duct facility implemented in a duct facility information analysis unit of a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3D image drawing of a composite structure obtained by synthesizing structures for each field analyzed by a composite structure analysis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3D image drawing of a composite structure obtained by synthesizing structures for each field analyzed by a composite structure analysis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aging a dismantling process of a lar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대형 구조물의 해체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및 터빈실 등의 해체와 관련된 것이다. 이를 위한 사전 지식으로서, 대형 보일러 및 터빈실은 총 무게가 약 8,000 ~ 50,000 톤이면서, 높이 30M ~ 100M로 철골, 콘크리트 구조에 각종 기계, 설비, 배관, 덕트 등이 밀집 되어있어 구조를 분석하기에 어려운 복합 설비면서 온도가 방출되기 용이하게 설비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많은 개구부와 철 계단 등으로 이루어진 개방 형태여서 운영 시에도 위험을 안고 있는 구조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dismantling of large structures, and in particular, to the dismantling of large boilers and turbine rooms of power plants. As a preliminary knowledge for this, large boilers and turbine rooms have a total weight of about 8,000 to 50,000 tons and a height of 30M to 100M, making it difficult to analyze the structure as various machines, facilities, pipes, and ducts are concentrated in steel and concrete structures. It is a structure that poses a risk even during operation because it is a complex facility and is in an open form consisting of many openings and steel stairs because the facility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facilitate temperature emission.

상기 대형 구조물의 해체 시에는 고소, 협소, 추락, 밀폐, 협착, 전도 등 많은 중대 재해요소를 고려하여 철거 공법을 검토, 설계하여야 할 대표적인 구조물이다.When the large structure is dismantled, it is a representative structure that should consider and design a demolition method in consideration of many serious disaster factors such as height, narrowness, fall, sealing, confinement, and overturn.

또한, 발생폐기물인 각종 보온재와 가스켓,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 인자들을 설계단계에서부터 요주의 검토하여야 할 구조물이다.In addition, it is a structure that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from the design stage of environmental pollution factors such as various insulating materials, gaskets, and fine dust, which are generated waste.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의 용어에 관하여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은 컴퓨터 하드웨어와 상기 컴퓨터 하드웨어의 자원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웹프로그램, 또는 클라우드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하드웨어 및 그 하드웨어를 활용하는 프로그램의 명칭이 혼용되어 사용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관리컴퓨터의 각 구성은 그 자체의 하드웨어의 구성이거나, 관리컴퓨터의 하드웨어 자원을 활용하여 구동되는 컴퓨터프로그램 또는 웹프로그램의 각 구성에 관한 용어로 혼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에서의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 및 해체시공작업자단말기는 하드웨어 자체일 수 있고, 하드웨어 자원을 활용하여 구동되는 컴퓨터프로그램 또는 웹프로그램일 수 있다.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ll be defined. The large-sized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utilize computer hardware and a computer program or a web program or a cloud computer program driven by using the resources of the computer hardware.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s of hardware and programs utilizing the hardware may be used interchangeably. In other words, each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computer may be a configuration of its own hardware, o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relating to each configuration of a computer program or web program that is driven by using hardware resources of the management computer.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and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worker terminal in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hardware itself, or may be a computer program or a web program driven by using hardware resources.

도 1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기계, 배관 및 덕트 등의 분야별 구조물을 각각 3D 이미지 도면으로 생성하여 이들을 합성하고 각 분야별 3D 이미지 도면의 간섭 및 중복 등을 파악하여 복합 구조물을 분석하기 위한 복합구조물분석부(110)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기계, 배관 및 덕트의 계통별 설비 정보의 데이터를 상기 3D 이미지 도면에 매핑시켜 분석하기 위한 계통별설비정보분석부(120)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위치, 중량, 환경성 등을 고려한 위험성 평가에 기반을 두어 단위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세부단위정보분석부(130)와; 대형 구조물의 해체 공정을 대-중-소-세부 공정으로 생성시키고 공정의 수행 과정 또는 완료 후의 데이터 입력에 따른 공정의 수정 등을 수행하기 위한 해체후행공정관리부(140)와; 대형 구조물의 해체 공정에서 유해 위험 요인 분류에 따른 분석을 시각적으로 생성하여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 또는 해체시공작업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유해위험정보분석부(150)를 포함하는 관리컴퓨터(100)와,As shown in FIG. 1,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3D image drawings of structures for each field, such as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machinery, piping and duct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nd synthesizes them for each field. A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110 for analyzing the complex structure by identifying interference and overlapping of the 3D image drawing; A system-specific facility information analysis unit 120 for mapping and analyzing data of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system of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machinery, piping and duct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n the 3D image drawing; A detailed unit information analysis unit 130 for using unit information based on a risk assessment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weight,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 dismantling post-disassembly process management unit 140 for generating a dismantling process of a large structure as a large-medium-small-detailed process, and for performing a process of performing the process or modifying a process according to data input after completion; A management computer 100 including a hazard information analysis unit 150 that visually generates an analysi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harmful risk factors in the dismantling process of a large structure and provides it to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or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worker terminal;

상기 관리컴퓨터(100)에 포함되어 있거나 통신 수단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관리컴퓨터에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해체 3D 이미지 설계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상기 관리컴퓨터(100)에서 생성된 각종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해체정보콘텐츠저장부(200)와; 상기 관리컴퓨터(100)에 포함되어 있거나 통신 접속되어 있고,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건축시공시에 사용한 토목, 건축 및 설비 설계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컴퓨터에 해체 3D 이미지 설계에 필요한 해당 대형 구조물의 건축시공시 사용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건축정보콘텐츠저장부(300)와; 상기 관리컴퓨터(100)에 통신 수단으로 접속되고, 해체 3D 이미지 설계도를 표시시키고, 해체 3D 이미지 설계도의 생성 및 수정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시키고, 해체 공정 데이터의 생성 및 수정을 위한 해체시공 전체 또는 부문별로 해체시공을 콘트롤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400)와; 해체 시공에 직접 투입되어 해체 작업을 위해 해체 3D 이미지 설계를 확인하고, 해체 시공 공정표를 출력시켜 현재까지의 공정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해체시공작업자단말기(500)와; 상기 관리컴퓨터(100)에 통신 접속되고 해체 시공 공정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시키고, 발생된 해체 물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해체발주자단말기(6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Included in the management computer 100 or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means, provide the management computer with contents necessary for designing a dismantled 3D image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r receive various contents generated by the management computer 100 A disassembled information content storage unit 200 for storing and storing; It is included in the management computer 100 or is connected to communication, and stores data related to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facility design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nd the corresponding large size required for designing a dismantled 3D image in the management computer A building information content storage unit 300 that provides data used during construction of a structure; It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computer 100 as a communication means, displays the dismantled 3D image blueprint, inputs various data for the creation and correction of the dismantled 3D image blueprint, and generates and corrects the dismantling process data. At least one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400 for controlling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for each division; At least one dismantling construction worker terminal 500 for inputting process information up to now by inputting directly into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to check the design of the dismantling 3D image for the dismantling work, and outputting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schedule; It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ismantling orderer terminal 600 that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computer 100 and visually displays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process status, and can check the generated dismantling quantity information.

상기 관리컴퓨터(100)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본 발명의 시스템 운영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서버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management computer 100 may be configured as a server computer having a communication means and capable of executing a computer program for operat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해체정보콘텐츠저장부 및 건축정보콘텐츠저장부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mantled information content storage unit and the building information content storage unit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database server computers.

도 2는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관리컴퓨터의 주요부인 복합구조물분석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management computer, of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구조물분석부(110)는,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기초 구조 및 건축물의 철골, 라멘, 보, 기둥, 슬래브 등의 구조물을 3D 이미지 도면으로 구현하여 분석에 제공하기 위한 토목/건축구조분석부(111)와; 보일러의 로, 튜브, 팬, 케이싱 및 펌프 등의 기계설비 정보를 3D 이미지 도면으로 구현하여 분석에 제공하기 위한 기계설비정보분석부(112)와; 오일, 가스, 물, 에어 및 라인 등의 배관계통설비 정보를 3D 이미지 도면으로 구현하여 분석에 제공하기 위한 배관설비정보분석부(113)와; 에어, 가스 등의 프레임 및 보온재 등의 덕트정보를 3D 이미지 도면으로 구현하여 분석에 제공하기 위한 덕트설비정보분석부(11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 2, the composite structure analysis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structure such as a civil engineering foundation structure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nd a structure such as steel frame, ramen, beam, column, and slab of a building as a 3D image drawing. A civil engineering/building structure analysis unit 111 for providing analysis; A mechanical equipment information analysis unit 112 for implementing mechanical equipment information such as furnaces, tubes, fans, casings, and pumps of the boiler as 3D image drawings and providing them for analysis; A piping facility information analysis unit 113 for implementing piping system information such as oil, gas, water, air, and lines as 3D image drawings and providing them for analysis; It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uct facility information analysis unit 114 for implementing the duct information such as frames such as air and gas and the insulation material as a 3D image drawing for analysis.

도 3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관리컴퓨터의 주요부인 해체 후행공정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dismantling post-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unit that is a main part of a management computer in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대형 구조물의 해체는 준공을 위한 시공과 달리 현장여건에 따라 수시로 작업 위치 및 순서가 바뀌는 관계로 일반 건설공정표로는 시공관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체 단위시간별로 요구되는 실시간 현황파악 및 계획을 수정관리 할 수 있는 후행 공정표가 필요하다.For reference, since the dismantling of large structures is not possible with the general construction schedule because the work location and order are changed from time to time depending on the site conditions, unlike construction for completion, real-time status identification and planning required for each dismantling unit time A follow-up schedule that can be modified and managed is needed.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체 후행공정관리부(140)는, 단위 시간별 공사의 기성기반 공정율을 관리하기 위한 공사기성기반공정관리부(141)와; 해체 작업시에 단위시간별로 발생되는 폐기물의 양을 산정하여 관리하기 위한 폐기물량산정관리부(142)와; 해체 작업시에 단위시간별로 발생되는 고철의 양을 산정하여 관리하기 위한 고철물량산정관리부(143)와; 부문별 해체 작업 과정 또는 완료후에 후행공정표를 수정하거나 보완하여 관리하기 위한 후행공정수정보완관리부(14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 3, the dismantling post-process management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struction-based process management unit 141 for managing a construction-based process rate of construction by unit time; A waste amount calculation management unit 142 for calculating and managing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by unit time during the dismantling operation; A scrap amount calculation management unit 143 for calculating and managing the amount of scrap metal generated by unit time during the dismantling operation; It is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 post process numb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4 for correcting or supplementing and managing a post process schedule after completion or decommissioning work process for each division.

도 4는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관리컴퓨터의 주요부인 유해위험정보분석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hazard information analysis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management computer, of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해위험정보분석부(150)는, 대형 구조물의 해체 작업시에 발생될 수 있는 유해 위험요소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도면으로 생성 관리하기 위한 유해위험분석도면생성부(151)와; 상기 유해위험분석도면생성부(151)에서 생성된 도면을 해체 대상 대형구조물의 3D 이미지 도면 또는 철거도면에 적용시키는 유해위험설계적용관리부(152)와; 유해위험과 관련하여 가능성/중대성 기반 가감법과 해체 현장에 적용할 매개변수를 채택하여 사업장의 위험성 평가 관리를 위한 유해위험평가관리부(153)와; 해체 작업의 유해위험요인의 감소 대책 따른 유해위험감소를 산정하여 관리하기 위한 유해위험감소산정관리부(15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 4, the hazard information analysis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nd manages hazards in a visual drawing so that hazards that may occur during the dismantling work of large structures can be easily identified. An analysis drawing generation unit 151; A hazard design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52 applying the drawing generated by the hazard analysis drawing generation unit 151 to a 3D image drawing or a demolition drawing of a large structure to be dismantled; Hazard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department (153) for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business sites by adopting a possibility/materiality-based addition/subtraction method and parameters to be applied to the dismantling site in relation to hazardous risk; The composition includes a hazard reduction calculation management unit 154 to calculate and manage the hazard reduction according to the measures to reduce the hazards of the hazards of the dismantling work.

도 5는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주요부인 해체정보콘텐츠저장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dismantling information content storage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a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체정보콘텐츠저장부(200)는, 상기 복합구조물분석부(110)에서 생성된 토목/건축 구조물의 3D 이미지 도면 관련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토목/건축구조3D콘텐츠저장부(210)와, 상기 복합구조물분석부(110)에서 생성된 기계설비의 3D 이미지 도면 관련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기계설비3D콘텐츠저장부(220)와, 상기 복합구조물분석부(110)에서 생성된 배관설비의 3D 이미지 도면 관련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배관설비3D콘텐츠저장부(230), 상기 복합구조물분석부(110)에서 생성된 덕트설비의 3D 이미지 도면 관련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덕트설비3D콘텐츠저장부(240)와, 상기 토목/건축 구조물, 기계설비, 배관설비 및 덕트설비 등의 3D 이미지 도면을 합성한 복합구조물의 3D 이미지 관련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복합구조물3D콘텐츠저장부(250)와, 상기 해체후행공정관리부(140)에서 생성 및 수정되는 해체 작업의 후행공정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후행공정관리콘텐츠저장부(260)와, 상기 유해위험정보분석부(150)에서 생성 및 관리하는 유해위험분석도면을 저장시키는 유해위험분석도면저장부(270), 및 해체 작업 과정에서 발생된 단위시간별 폐기물 및 고철등의 물량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해체물량정보저장부(28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ure 5, the dismantling information content storage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ivil engineering/building structure 3D for storing 3D image drawing related contents of the civil engineering/building structure generated by the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110 A content storage unit 210, a mechanical equipment 3D content storage unit 220 for storing contents related to a 3D image drawing of the mechanical equipment generated by the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110, and the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110 A piping facility 3D content storage unit 230 for storing 3D image drawing-related content of the piping facility generated in, and a duct facility for storing 3D image drawing related content of the duct facility generated in the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110 A 3D content storage unit 240 and a complex structure 3D content storage unit 250 for storing 3D image-related contents of a complex structure obtained by synthesizing 3D image drawings of the civil engineering/building structure, machinery equipment, piping equipment, and duct equipment. ), and the post-process management content storage unit 260 for storing the content of the post-process of the dismantling operation generated and modified by the dismantling post-process management unit 140, and the hazard risk information analysis unit 150 generated and managed. A configuration including a hazard analysis drawing storage unit 270 for storing the hazardous risk analysis drawing, and a dismantling quantity information storage unit 280 for storing quantity information such as waste and scrap metal by unit time generated during the dismantling process. to be.

도 6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주요부인 건축정보콘텐츠저장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building information content storage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정보콘텐츠저장부(300)는,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해체용 3D 이미지 도면 및 철거 도면을 생성시키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 및 정보로서,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건설시 또는 준공시에 사용된 토목, 건축, 설비 설계도 및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토목설계콘텐츠저장부(310), 건축설계콘텐츠저장부(320), 설비설계콘텐츠저장부(330) 및 이들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건축/준공데이터저장부(3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 6, the building information content storage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 data and information that can be utilized to generate 3D image drawings and demolition drawings for dismantling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s a means for storing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facility design drawings and related data used during the construction or completion of a boiler structure, a civil engineering design content storage unit 310, an architectural design content storage unit 320, and a facility design content storage unit ( 330) and a construction/construction data storage unit 350 for storing various data for them.

도 7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주요부인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which is a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400)는, 상기 관리자단말기(100)에서 제공한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 도면을 표시하고 확인할 수 있는 시공대상3D콘텐츠관리부(410)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 도면을 불러와 추가, 변경 및 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는 3D도면작성/수정관리부(420)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해체 작업 또는 해체 결과물 등의 각종 데이터를 입력, 추가, 변경 및 삭제를 위한 데이터입력/수정관리부(440)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해체 공정표를 작성, 추가, 변경 및 삭제를 위한 후행공정생성/수정관리부(440)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부분별 또는 단위시간별 폐기량 및 고철 등의 해체 물량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 추가, 변경 및 삭제를 위한 해체물량정보관리부(450)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해체시에 발생될 수 있는 유해 및 위험 요인을 해당 도면을 표시시켜 확인하고 추가, 변경 및 삭제를 하기 위한 유해위험정보관리부(46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ure 7,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ruction target 3D content management unit 410 capable of displaying and checking a 3D image drawing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provided by the manager terminal 100. )Wow; A 3D drawing creation/modification management unit 420 capable of performing addition, change, and deletion by importing a 3D image drawing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 data input/modification management unit 440 for inputting, adding, changing and deleting various data such as dismantling work or dismantling result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 subsequent process generation/modification management unit 440 for creating, adding, changing, and deleting a dismantling process schedule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 dismantling quantit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50 for inputting, adding, changing, and deleting data on the amount of dismantling and demolition items such as scrap metal by part or unit time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It is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 hazard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60 for adding, changing, and deleting harmful and dangerous factors that may occur during the dismantling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by displaying a corresponding drawing.

도 8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주요부인 해체시공작업자단말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8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dismantling construction worker terminal, which is a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체시공작업자단말기(500)는,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 도면을 출력시켜 작업자에게 확인시키기 위한 시공대상3D콘텐츠관리부(510)와; 작업자가 해체 작업의 진행과정에서 해체 작업 결과 및 작업시 특이사항 등을 입력시킬 수 있는 시공일지입력관리부(520)와; 상기 관리컴퓨터(100)가 제공하는 해체 작업 공정표 및 상기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400)에서 업데이트한 공정 정보를 표시시키고, 해체 작업 결과를 공정표에 적용시키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공정정보관리부(530)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 도면에 표시된 유해위험도면 또는 별도의 유해위험 요인 도면을 표시시켜 작업자에게 확인시키기 위한 유해위험정보관리부(5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 8,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worker terminal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struction target 3D content management unit 510 for outputting a 3D image drawing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to an operator; A construction log input management unit 520 through which a worker can input a result of the dismantling work and special matters during work in the process of the dismantling work; A proces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30 for displaying the dismantling work schedule provided by the management computer 100 and the process information updated by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400, and inputting data to apply the dismantling work result to the schedule Wow; It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hazard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50 for displaying a hazard risk drawing displayed on a 3D image drawing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r a separate hazard risk factor drawing to an operator.

도 9는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주요부인 해체발주자단말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9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dismantling orderer terminal, which is a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체발주자단말기(600)는,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 도면을 출력시켜 작업자에게 확인시키기 위한 시공대상3D콘텐츠관리부(610)와; 상기 관리자컴퓨터(100)에서 제공된 해체 작업 과정 또는 부분별 작업 완료에 따른 단위시간별 폐기물량, 고철물량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해체물량정보관리부(620)와; 상기 관리컴퓨터(100)가 제공하는 해체 작업 공정표 및 상기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400)에서 업데이트한 공정 정보를 표시시키고, 해체 작업 결과가 적용된 현 상태의 공정표를 표시시키기 위한 공정정보관리부(630)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믿지 도면에 표시된 유해위험도면 또는 별도의 유해위험 요인 도면을 표시시켜 발주자에게 확인시키기 위한 유해위험정보관리부(6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As shown in Fig. 9, the dismantling orderer terminal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struction target 3D content management unit 610 for outputting a 3D image drawing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to an operator; A dismantling amou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620 for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a waste amount per unit time and a scrap metal amount according to the dismantling work process provided by the manager computer 100 or completion of the work for each part; A proces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630 for displaying the dismantling work schedule provided by the management computer 100 and the process information updated by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400, and displaying the current schedule to which the dismantling work result is applied; ; It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hazard information management unit 650 for displaying a hazard risk drawing displayed on a 3D drawing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r a separate hazard risk factor drawing to confirm to the orderer.

상기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400), 해체시공작업자단말기(500) 및 해체발주자단말기(600)는 상기 관리컴퓨터(100)와 통신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클라우드컴퓨팅 프로그램에 접속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컴퓨터, 노트북컴퓨터, PC 등의 단말기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휴대 및 이동성이 양호한 모바일 단말기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The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400,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worker terminal 500, and the dismantling client terminal 600 have a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computer 100, and execute an application program or a web program. As a terminal that can be accessed and executed by a cloud computing program, it can be configured as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nd a PC.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mobile terminal having good portability and mobility.

도 10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주요부인 복합구조물분석부의 토목/건축구조분석부에서 구현된 토목/건축 3D 이미지 도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0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ivil engineering/building 3D image diagram implemented in a civil engineering/building structure analysis unit of a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which is a major par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목/건축 3D 이미지 도면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기초 구조인 된 토목기반(10)과; 콘크리트, 거더, 보, 그레이팅 및 철판 등의 건축구조(20)를 3차원으로 구현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각 구성물의 종류가 구분될 수 있도록 칼라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As shown in Fig. 10, the civil engineering/building 3D imag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vil engineering foundation 10, which is a basic structure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It is a construction that implements the architectural structure 20 such as concrete, girder, beam, grating and steel plate in three dimensions. Preferably, it is better to implement in color so that the types of each component can be distinguished.

도 11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주요부인 복합구조물분석부의 기계설비정보분석부에서 구현된 기계설비 3D 이미지 도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3D image drawing of a mechanical facility implemented in a machine facility information analysis unit of a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계설비 3D 이미지 도면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용도인 예를 들면, 대형 보일러의 경우 로, 튜브, 팬, 케이싱, 펌프 및 탱크 등의 기계설비(30)를 3차원으로 구현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각 구성물의 종류가 구분될 수 있도록 칼라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As shown in FIG. 11, the 3D image drawing of the mechanical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arge boiler, mechanical equipment 30 such as furnace, tube, fan, casing, pump and tank. ) Is implemented in three dimensions. Preferably, it is better to implement in color so that the types of each component can be distinguished.

도 12는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주요부인 복합구조물분석부의 배관설비정보분석부에서 구현된 배관설비 3D 이미지 도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piping facility 3D image diagram implemented in a piping facility information analysis unit of a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설비 3D 이미지 도면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용도인 예를 들면, 대형 보일러의 경우 오일, 가스, 물, 에어 및 라인을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배관설비(40)를 3차원으로 구현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각 구성물의 종류가 구분될 수 있도록 칼라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As shown in Fig. 12, the piping facility 3D imag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ping facility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oil, gas, water, air and lines in the case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arge boiler ( 40) is implemented in three dimensions. Preferably, it is better to implement in color so that the types of each component can be distinguished.

도 13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주요부인 복합구조물분석부의 덕트설비정보분석부에서 구현된 덕트설비 3D 이미지 도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3D image drawing of a duct facility implemented in a duct facility information analysis unit of a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덕트설비 3D 이미지 도면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용도인 예를 들면, 대형 보일러의 경우 에어, 가스 등의 프레임 및 보온재 등의 덕트설비(50)를 3차원으로 구현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각 구성물의 종류가 구분될 수 있도록 칼라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As shown in Fig. 13, the 3D image drawing of the duct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use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arge boiler, a frame such as air, gas, and a duct facility 50 such as an insulating material. It is a configuration implemented as a dimension. Preferably, it is better to implement in color so that the types of each component can be distinguished.

도 14는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주요부인 복합구조물분석부에서 분석한 분야별 구조물을 합성한 복합구조물의 3D 이미지 도면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3D image drawing of a composite structure obtained by synthesizing structures for each field analyzed by a composite structure analysis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구조물의 3D 이미지 도면은 상기 도 10 내지 도 13의 분야별 3D 이미지 도면을 합성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각 구성물의 종류가 구분될 수 있도록 칼라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As shown in FIG. 14, the 3D image diagram of the composi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obtained by synthesizing the 3D image diagram for each field of FIGS. 10 to 13. Preferably, it is better to implement in color so that the types of each component can be distinguished.

도 15는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의 주요부인 복합구조물분석부에서 분석한 분야별 구조물을 합성한 복합구조물의 3D 이미지 도면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3D image drawing of a composite structure obtained by synthesizing structures for each field analyzed by a composite structure analysis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구조물의 3D 이미지 도면은 상기 도 14의 3D 이미지 도면을 투명하게 표현하여 내부 구조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각 구성물의 종류가 구분될 수 있도록 칼라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각 구성물의 종류가 구분될 수 있도록 칼라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As shown in FIG. 15, the 3D image diagram of the composi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3D image diagram of FIG. 14 is transparently expressed so that the internal structure can be checked. Preferably, it is better to implement in color so that the types of each component can be distinguished. Preferably, it is better to implement in color so that the types of each component can be distinguished.

상기 본 발명의 복합구조물 분석에 3D 이미지 도면을 사용하고 있으나, 구조물과 결합되어 시각적인 데이터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경우는 상기 3D 이미지 도면을 2D 도면으로 변환하고, 해당 데이터가 자동으로 부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Although the 3D image drawing i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composi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necessary to check visual data due to the combination with the structure, the 3D image drawing is converted into a 2D drawing so that the corresponding data can be automatically assigned. Configura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구조물 3D 분석과 3D 이미지 도면에서의 계통별 설비정보의 데이터 적용(4D)을 이용하여, 해체 위험 및 유해 요인 분석을 통한 해체 작업의 안전성 확보, 환경요소 분석을 통한 해체 작업의 친환경성 확보, 및 공정관리 분석을 통한 해체 작업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3D analysis of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lication of data of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system in the 3D image drawing (4D), the safety of the dismantling work through analysis of the risk of dismantling and harmful factors, and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The eco-friendliness of the dismantling work can be secured, and economic feasibility of the dismantling work can be secured through process management analysis.

도 1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aging a dismantling process of a lar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방법은, 관리컴퓨터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및 설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시키는 단계(S100)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상기 토목, 건축 및 설비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110)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상기 대상 대형 구조물의 3D 이미지에 유해 위험 요소 구조물의 표시를 결합시키는 단계(S120)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중간부위 해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에서 해체된 중간부위 구성을 제거하여 저장시키는 단계(S130)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입력되는 중간 부위 해체 공정의 수행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정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S140)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하측부위 해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에서 해체된 하측부위 구성을 제거하여 저장시키는 단계(S150)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입력되는 상측 부위 해체 공정의 수행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정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S160)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상측부위 해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에서 해체된 상측부위 구성을 제거하여 저장시키는 단계(S170)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입력되는 하측 부위 해체 공정의 수행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정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 16, the method for managing a large-sized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data related to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facilitie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by a management computer (S100); Generat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a 3D image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using the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facility-related data (S110); Combin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a display of a hazardous risk element structure with a 3D image of the target large structure (S120); Receiv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the dismantling data of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removing and storing the dismantled intermediate part configuration from the 3D image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S130); A step (S140) of updating the process data by receiving the operation data of the process of dismantling the intermediate part input by the management computer; Receiv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the dismantling data of the lower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removing and storing the dismantled lower part structure from the 3D image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S150); A step (S160) of updating process data by receiving performance data of an upper part dismantling process inputted by the management computer; Receiv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the dismantling data of the upper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removing and storing the dismantled upper part structure from the 3D image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S170);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step (S180) of updating the process data by receiving performance data of the lower part dismantling process input by the management computer.

도 17은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7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법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및 설비 등의 해체 시공용 3D 이미지 콘텐츠를 준비하는 단계(S200)와; 상기 해체 시공용 3D 이미지 콘텐츠를 기초로 하여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해체 시공용 후행 공정표를 준비하는 단계(S210)와; 상기 해체 시공용 3D 이미지 콘텐츠 및 상기 후행 공정표를 참조하여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중간 부위를 해체 및 철거하는 단계(S220)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중간 부위를 해체 및 철거하는 과정 또는 완료 후에 상기 후행 공정표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S230)와; 상기 해체 시공용 3D 이미지 콘텐츠 및 상기 후행 공정표를 참조하여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상측 부위를 해체 및 철거하는 단계(S240)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상측 부위의 해체 및 철거하는 과정 또는 완료 후에 상기 후행 공정표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S250)와; 상기 해체 시공용 3D 이미지 콘텐츠 및 상기 후행 공정표를 참조하여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하측 부위를 해체 및 철거하는 단계(S260)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하측 부위의 해체 및 철거하는 과정 또는 완료 후에 상기 후행 공정표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S270)를 포함 구성이다.As shown in FIG. 17, the method of dismantling a lar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eparing 3D image contents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of civil works, construction, and facilitie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S200); Preparing a subsequent process schedule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based on the 3D image contents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S210); Dismantling and demolition (S220) of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arge-sized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by referring to the 3D image content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and the subsequent process table; A step (S230) of dismantling and demolit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r updating the following schedule after completion; Dismantling and removing the upper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by referring to the 3D image contents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and the subsequent process table (S240); A step (S250) of dismantling and dismant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r updating the subsequent process schedule after completion; Dismantling and dismantling the lower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by referring to the 3D image content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and the subsequent process table (S260);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step of dismantling and demoli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r updating the subsequent schedule after completion (S270).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이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인 경우, 대형 보일러의 중간 부분은 로와 통풍구역의 사이(Hot Air Balance Area)로서, 해체가 용이한 간단한 구조, 운반이 편이한 중량이 적은 구조이고, 최 우선적으로 해체할 때에 대형 보일러 전체 구조에서 가장 안정적인 구조물이기 때문에, 대형 보일러의 로와 통풍구역의 사이인 중간 부분을 해체하고 승강기를 이용하여 인양 및 운송하여 철거를 한다.When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is a large boiler of a power plant, the middle part of the large boiler is the hot air balance area, which is a simple structure that is easy to dismantle and a structure that is easy to transport and has a low weight. Since it is the most stable structure in the entire structure of the large boiler when dismantling the first priority, the middle part between the furnace and the ventilation area of the large boiler is dismantled and removed by lifting and transporting using an elevator.

이어서 대형 보일러의 로와 튜브 구역인 하측부위를 해체하되, 우선 케이싱과 보온재가 주 구조인 로(furnance) 구역, 예를 들면 대형 보일러의 1층 내지 4층의 구조물을 인양 전용 위치(winch)를 이용하여 해체 및 철거를 하고, 이어서 히터, 튜브, 벅스테이 및 케이싱이 주 구조인 튜브(tube) 구역, 예를 들면 5층 및 6층의 구조물을 인양 전용 윈치를 이용하여 해체 및 철거를 한다.Next, the lower part, which is the furnace and tube area of the large boiler, is dismantled. First, the furnace area, where the casing and the insulating material are the main structure, for example, the structure of the 1st to 4th floors of the large boiler, is located exclusively for lifting. Dismantling and dismantling is performed using a heater, a tube, a buckstay, and a casing, followed by dismantling and demolition of a tube area, for example, a structure of the 5th and 6th floors using a lift-only winch.

이어서 에어 및 가스 시스템 구역인 상측부위를 해체하되, 우선 화력 가스 댐퍼 및 에어 덕트가 주 구조인 예를 들면 7층의 구조물을 인양 전용 윈치를 이용하여 해체 및 철거를 하고, 이어서 에프디 팬(F.D. Fan), 에어 프리히터 및 냉각 에어 댐퍼가 주 구조인 예를 들면 8층의 구조물을 인양전용 윈치를 이용하여 해체 및 철거를 수행한다.Next, the upper part of the air and gas system area is dismantled, but first, for example, the structure of the 7th floor, which has the main structure of the thermal gas damper and the air duct, is dismantled and removed using a lift-only winch, and then FD Fan ), the air preheater and cooling air damper are the main structures, for example, the 8-story structure is dismantled and removed using a lift-only winch.

또한,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이 발전소의 터빈실인 경우, 커버, 블레이드, 스테이터 및 로터의 주 구조인 터빈실의 상측부위의 터빈 및 발전기를 해체 및 철거하되, 블록단위로 절단하여 해체하고 천정 크레인을 이용하여 인양 철거하고, 이어서 터빈실의 하측부위인 복수기를 백호(B/H)와 인력을 이용하여 해체 및 철거한다. In addition, i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is the turbine room of the power plant, the turbine and generator in the upper part of the turbine room, which is the main structure of the cover, blade, stator, and rotor, are dismantled and removed, but cut and dismantled in block units, and the ceiling crane is removed. Then, the condenser,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turbine room, is dismantled and removed using a backhoe (B/H) and manpower.

상기 본 발명의 대형 구조물 해체 공법의 실시예에서, 해체 작업 선행 단계로서 보일러 케이싱 구간, 집진기 케이싱 구간, 대형 덕트 구간, 지하 구조물 구간 및 흡수랍, 호퍼 등의 설비에서의 미세먼지 집진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각종 배관, 튜브 및 벽면 등에 클린 에어 송풍기를 이용하여 신선한 공기를 주입하여 부착된 미세먼지를 1차로 제거한다. 이어서 하측부위에 설치된 집진기를 이용하여 필터링을 한다. 이어서 음압기를 이용하여 잔여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습윤제를 분사하여 먼지가 해체 작업시 비산되지 않도록 코팅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large-sized structure dismantl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collecting fine dust in facilities such as a boiler casing section, a dust collector casing section, a large duct section, an underground structure section, and a hopper, as a predecessor of the dismantling work is performed. I can. Fresh air is injected into various pipes, tubes, and walls using a clean air blower to first remove attached fine dust. Subsequently, filtering is performed using a dust collector installed on the lower part. Subsequently, the residual fine dust is removed using a negative pressure device, and a wetting agent is sprayed to coat the dust so that it does not scatter during the dismantling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서의 해체 작업에 이용되는 철거 수단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선후행 구동장치를 이용하는 일반 인양용 윈치와;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전용 도르레를 이용하는 중량물 인양용 위치와; 상하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탈착용 윈치를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general lifting winch using a preceding and following driving device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as a demolition means used in the dismantling ope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osition for lifting heavy objects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using a dedicated pulley; A detachable winch that can move up and down and horizontally is availab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분야별 3D 이미지 도면을 통한 분석, 분야별 3D 이미지 도면의 합성으로 복합구조물의 3D 이미지 도면을 이용한 분석, 계통별 설비정보의 데이터 적용, 실시간 후행공정표 작성 및 수정 등을 통한 해체 작업, 유해위험성 요인 분석을 3D 이미지 도면에 적용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대형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적 사상 및 대형 구조물이 발전소의 보일러 및 터빈실인 경우, 상기 복합구조물 분석을 위한 3D 이미지 도면 및 후행공정표를 기초로 하고, 대형 보일러의 중간부위-하측부위-상측부위 해체 순서에 따른 해체 공정에 관한 기술적 사상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only som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sis through 3D image drawings for each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sis using 3D image drawings of complex structures by synthesizing 3D image drawings for each field, application of data of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system, decommissioning work through real-time post process schedule creation and correction, hazard risk When factor analysis is applied to 3D image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large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safety, and when the large structure is a boiler and turbine room of a power plant, a 3D image drawing and a follow-up schedule for the analysis of the complex structure are provided. As a basis, it is natural that various embodimen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dismantling process according to the order of dismantling the middle part-the lower part-the upper part of the large boiler are included 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토목기반3D이미지
20: 건축구조3D이미지
30: 기계설비3D이미지
40: 배관설비3D이미지
50: 덕트설비3D이미지
100: 관리컴퓨터
200: 해체정보콘텐츠저장부
300: 건축정보콘텐츠저장부
400: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
500: 해체시공작업자단말기
600: 해체발주자단말기
10: Civil engineering-based 3D image
20: 3D image of architectural structure
30: Mechanical equipment 3D image
40: 3D image of piping equipment
50: Duct facility 3D image
100: management computer
200: dismantling information content storage unit
300: building information content storage unit
400: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500: dismantling construction worker terminal
600: dismantling orderer terminal

Claims (10)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와 통신 접속되어 있는 관리컴퓨터에서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컴퓨터는,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기계, 배관 및 덕트의 분야별 구조물을 각각 3D 이미지 도면으로 생성하여 이들을 합성하고 각 분야별 3D 이미지 도면의 간섭 및 중복을 파악하여 복합 구조물을 분석하기 위한 복합구조물분석부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기계, 배관 및 덕트의 계통별 설비 정보의 데이터를 상기 3D 이미지 도면에 매핑시켜 분석하기 위한 계통별설비정보분석부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위치, 중량, 환경성을 고려한 위험성 평가에 기반을 두어 단위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세부단위정보분석부와; 대형 구조물의 해체 공정을 대-중-소-세부 공정으로 생성시키고 공정의 수행 과정 또는 완료 후의 데이터 입력에 따른 공정의 수정을 수행하기 위한 해체후행공정관리부와;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해체 공정에서 유해 위험 요인 분류에 따른 분석을 시각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유해위험정보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컴퓨터는,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중간부위 해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에서 해체된 중간부위 구성을 제거하여 저장시키고 입력되는 중간 부위 해체의 미들(middle)공정의 수행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정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고,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하측부위 해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에서 해체된 하측부위 구성을 제거하여 저장시키고 입력되는 하측 부위 해체의 다운(down)공정의 수행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정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고,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상측부위 해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에서 해체된 상측부위 구성을 제거하여 저장시키고 입력되는 상측 부위 해체의 업(up)공정의 수행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정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킴으로써,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해체가 상기 미들(middle)공정, 다운(down)공정 및 업(up)공정의 순서로 관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시스템.
In a system that manages the dismantling proces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of a power plant from a management computer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a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The management computer generates 3D image drawings for each field of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machinery, piping, and ducts of large boiler structures to be dismantled, synthesizes them, and analyzes complex structures by identifying interference and overlap of 3D image drawings for each field. A complex structure analysis unit for performing; A system-specific facility information analysis unit for mapping and analyzing data of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system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machinery, piping and duct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n the 3D image drawing; A detailed unit information analysis unit for using unit information based on a risk assessment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weight,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 dismantling post-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a dismantling process of a large structure as a large-medium-small-detailed process and performing a process modification according to a process execution process or data input after completion; And a hazard information analysis unit that visually generates an analysi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hazardous risk factors in the dismantling proces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and provides it to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The management computer receives the dismantling data of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removes and stores the dismantled intermediate part composition from the 3D image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nd stores the middle part dismantling process. The lower part to receive and update the process data by receiving the performance data of, and to receive the dismantling data of the lower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remove the dismantled lower part composition from the 3D image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nd store and input the lower part Receives the performance data of the down process of dismantling and updates the process data, receives the dismantling data of the upper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nd removes the dismantled upper part composition from the 3D image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The dismantling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is performed by the middle process, the down process, and the up ( up) 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a power plant, characterized in that management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proc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에서 구동되고, 해체 3D 이미지 도면을 표시시키고, 해체 3D 이미지 도면의 생성 및 수정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시키고, 해체 공정 데이터의 생성 및 수정을 위한 해체시공 전체 또는 부문별로 해체시공을 콘트롤하기 위한 해체시공관리자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riven by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display the dismantling 3D image drawing, input various data for the creation and correction of the dismantling 3D image drawing, and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for the creation and correction of the dismantling process data as a whole or by division 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a power plant, comprising a program for a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for controlling the power plant.
청구항 1에 있어서,
해체시공작업자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체시공작업자단말기에서 구동되고, 해체 시공에 직접 투입되어 해체 작업을 위해 해체 3D 이미지 설계를 확인하고, 해체 시공 공정표를 출력시켜 현재까지의 공정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한 해체시공작업자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dismantling construction worker terminal, driven by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worker terminal, and directly input to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to check the design of the dismantling 3D image for the dismantling work, and output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schedule to input process information up to now. 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a power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gram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workers f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구조물분석부는,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기초 구조 및 건축물의 철골, 라멘, 보, 기둥, 슬래브의 구조물을 3D 이미지 도면으로 구현하여 분석에 제공하기 위한 토목/건축구조분석부와; 보일러의 로, 튜브, 팬, 케이싱 및 펌프의 기계설비 정보를 3D 이미지 도면으로 구현하여 분석에 제공하기 위한 기계설비정보분석부와; 오일, 가스, 물, 에어 및 라인의 배관계통설비 정보를 3D 이미지 도면으로 구현하여 분석에 제공하기 위한 배관설비정보분석부와; 에어, 가스의 프레임 및 보온재의 덕트정보를 3D 이미지 도면으로 구현하여 분석에 제공하기 위한 덕트설비정보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e structure analysis unit includes: a civil engineering/building structure analysis unit for implementing a civil engineering foundation structure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nd a structure of a steel frame, ramen, beam, column, and slab of a building as 3D image drawings and providing them for analysis; A mechanical equipment information analysis unit for implementing the mechanical equipment information of the furnace, tube, fan, casing, and pump of the boiler as a 3D image drawing and providing it for analysis; A piping facility information analysis unit for implementing information on piping systems of oil, gas, water, air and lines as 3D image drawings and providing them for analysis; A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dismantling a large boiler structure of a power plant, comprising: a duct facility information analysis unit for implementing analysis by implementing duct information of air and gas frames and insulation materials as 3D image drawing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체후행공정관리부는, 단위 시간별 공사의 기성기반 공정율을 관리하기 위한 공사기성기반공정관리부와; 해체 작업시에 단위시간별로 발생되는 폐기물의 양을 산정하여 관리하기 위한 폐기물량산정관리부와; 해체 작업시에 단위시간별로 발생되는 고철의 양을 산정하여 관리하기 위한 고철물량산정관리부와; 부문별 해체 작업 과정 또는 완료후에 후행공정표를 수정하거나 보완하여 관리하기 위한 후행공정수정보완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commissioning post-process management unit includes: a construction completion-based process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a completion-based process rate of construction by unit time; A waste amount calculation and management unit for calculating and managing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by unit time during the dismantling operation; A scrap metal quantity calculation management unit for calculating and managing the amount of scrap metal generated by unit time during the dismantling operation; A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dismantling a large boiler structure of a power plant, comprising: a post process water information complete management unit for correcting or supplementing and managing a post process schedule after completion of or a process for dismantling by divi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해위험정보분석부는, 대형 구조물의 해체 작업시에 발생될 수 있는 유해 위험요소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도면으로 생성 관리하기 위한 유해위험분석도면생성부와; 상기 유해위험분석도면생성부에서 생성된 도면을 해체 대상 대형구조물의 3D 이미지 도면 또는 철거도면에 적용시키는 유해위험설계적용관리부와; 유해위험과 관련하여 가능성/중대성 기반 가감법과 해체 현장에 적용할 매개변수를 채택하여 사업장의 위험성 평가 관리를 위한 유해위험평가관리부와; 해체 작업의 유해위험요인의 감소 대책 따른 유해위험감소를 산정하여 관리하기 위한 유해위험감소산정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zard information analysis unit includes: a hazard analysis drawing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 visual drawing so that harmful hazards that may occur during the dismantling work of a large structure can be easily identified; A hazard design application management unit for applying the drawing generated by the hazard analysis drawing generation unit to a 3D image drawing or a demolition drawing of a large structure to be dismantled; Hazard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department for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business sites by adopting a possibility/materiality-based addition/subtraction method and parameters to be applied to the dismantling site in relation to hazardous risk; A system for dismantling proces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of a power plant, comprising: a hazard reduction calculation management unit for calculating and managing hazardous risk reduction in accordance with a measure to reduce harmful risk factors of the dismantling operation.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와 통신 접속되어 있고,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기계, 배관 및 덕트의 분야별 구조물을 각각 3D 이미지 도면으로 생성하여 이들을 합성하고 각 분야별 3D 이미지 도면의 간섭 및 중복을 파악하여 복합 구조물을 분석하기 위한 복합구조물분석부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기계, 배관 및 덕트의 계통별 설비 정보의 데이터를 상기 3D 이미지 도면에 매핑시켜 분석하기 위한 계통별설비정보분석부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위치, 중량, 환경성을 고려한 위험성 평가에 기반을 두어 단위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세부단위정보분석부와; 대형 구조물의 해체 공정을 대-중-소-세부 공정으로 생성시키고 공정의 수행 과정 또는 완료 후의 데이터 입력에 따른 공정의 수정을 수행하기 위한 해체후행공정관리부와; 대형 구조물의 해체 공정에서 유해 위험 요인 분류에 따른 분석을 시각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유해위험정보분석부를 포함하는 관리컴퓨터를 포함하는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관리컴퓨터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및 설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상기 토목, 건축 및 설비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에 유해 위험 요소 구조물의 표시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중간부위 해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에서 해체된 중간부위 구성을 제거하여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입력되는 중간 부위 해체의 미들(middle)공정의 수행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정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하측부위 해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에서 해체된 하측부위 구성을 제거하여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입력되는 하측 부위 해체의 다운(down)공정의 수행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정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상측부위 해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3D 이미지에서 해체된 상측부위 구성을 제거하여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가 입력되는 상측 부위 해체의 업(up)공정의 수행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정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방법.
Communication connected with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and generating 3D image drawings of structures for each field of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machinery, piping and ducts of large boiler structures to be dismantled, synthesizing them, and identifying interference and overlap of 3D image drawings for each field A composite structure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composite structure; A system-specific facility information analysis unit for mapping and analyzing data of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system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machinery, piping and duct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n the 3D image drawing; A detailed unit information analysis unit for using unit information based on a risk assessment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weight,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 dismantling post-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a dismantling process of a large structure as a large-medium-small-detailed process and performing a process modification according to a process execution process or data input after completion; Power plant using a 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a power plant including a management computer including a hazardous risk information analysis unit provided to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by visually generating an analysi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hazardous risk factors in the dismantling process of large structures In the 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method,
Receiving and stor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data related to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facilitie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Generat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a 3D image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by using the data related to civil works, construction and facilities; Combin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a display of a hazardous risk element structure with a 3D image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Receiv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dismantling data of an intermediate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removing and storing the dismantled intermediate part configuration from a 3D image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Updating process data by receiv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performance data of a middle process of dismantling the middle part; Receiv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the dismantling data of the lower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removing and storing the dismantled lower part structure from the 3D image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Updating process data by receiving data of a down process of dismantling a lower part input by the management computer; Receiving, by the management computer, the dismantling data of the upper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removing and storing the dismantled upper part structure from the 3D image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nd updating process data by receiving performance data of an up process of dismantling an upper part inputted by the management computer.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와 통신 접속되어 있고,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기계, 배관 및 덕트의 분야별 구조물을 각각 3D 이미지 도면으로 생성하여 이들을 합성하고 각 분야별 3D 이미지 도면의 간섭 및 중복을 파악하여 복합 구조물을 분석하기 위한 복합구조물분석부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기계, 배관 및 덕트의 계통별 설비 정보의 데이터를 상기 3D 이미지 도면에 매핑시켜 분석하기 위한 계통별설비정보분석부와;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위치, 중량, 환경성을 고려한 위험성 평가에 기반을 두어 단위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세부단위정보분석부와; 대형 구조물의 해체 공정을 대-중-소-세부 공정으로 생성시키고 공정의 수행 과정 또는 완료 후의 데이터 입력에 따른 공정의 수정을 수행하기 위한 해체후행공정관리부와; 대형 구조물의 해체 공정에서 유해 위험 요인 분류에 따른 분석을 시각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해체시공관리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유해위험정보분석부를 포함하는 관리컴퓨터를 포함하는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토목, 건축 및 설비의 해체 시공용 3D 이미지 콘텐츠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해체 시공용 3D 이미지 콘텐츠를 기초로 하여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해체 시공용 후행 공정표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해체 시공용 3D 이미지 콘텐츠 및 상기 후행 공정표를 참조하여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중간 부위를 해체 및 철거하는 미들(middle)공정 수행 단계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중간 부위를 해체 및 철거하는 과정 또는 완료 후에 상기 후행 공정표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와; 상기 해체 시공용 3D 이미지 콘텐츠 및 상기 후행 공정표를 참조하여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상측 부위를 해체 및 철거하는 업(up)공정 수행 단계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상측 부위의 해체 및 철거하는 과정 또는 완료 후에 상기 후행 공정표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와; 상기 해체 시공용 3D 이미지 콘텐츠 및 상기 후행 공정표를 참조하여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하측 부위를 해체 및 철거하는 다운(down)공정 수행 단계와; 상기 해체 대상 대형 보일러 구조물의 하측 부위의 해체 및 철거하는 과정 또는 완료 후에 상기 후행 공정표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를 포함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법.
Communication connected with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and generating 3D image drawings of structures for each field of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machinery, piping and ducts of large boiler structures to be dismantled, synthesizing them, and identifying interference and overlap of 3D image drawings for each field A composite structure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composite structure; A system-specific facility information analysis unit for mapping and analyzing data of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system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machinery, piping and duct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n the 3D image drawing; A detailed unit information analysis unit for using unit information based on a risk assessment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weight,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A dismantling post-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a dismantling process of a large structure as a large-medium-small-detailed process and performing a process modification according to a process execution process or data input after completion; Power plant using a 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a power plant including a management computer including a hazardous risk information analysis unit provided to the dismantling construction manager terminal by visually generating an analysi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hazardous risk factors in the dismantling process of large structures In the 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method,
Preparing 3D image contents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facilities of a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Preparing a subsequent process schedule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based on the 3D image content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Performing a middle process of dismantling and demolition of an intermediate part of the large-sized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with reference to the 3D image content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and the subsequent process table; Dismantling and demolition of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r updating the subsequent process schedule after completion; Performing an up process of dismantling and dismantling the upper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by referring to the 3D image contents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and the subsequent process table; Updating the subsequent process schedule after dismantling and demoli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r completion; Performing a down process of dismantling and dismantling a lower part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by referring to the 3D image contents for dismantling construction and the subsequent process table; A method of dismantling a large boiler structure of a power plant including the step of dismantling and demolition of a lower portion of the large boiler structure to be dismantled or updating the subsequent process schedule after comple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94391A 2018-08-13 2018-08-13 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power plant and method thereof KR1021513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391A KR102151307B1 (en) 2018-08-13 2018-08-13 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power plant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391A KR102151307B1 (en) 2018-08-13 2018-08-13 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power plant and method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316A Division KR102134277B1 (en) 2019-10-10 2019-10-10 Large structure dismantl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939A KR20200018939A (en) 2020-02-21
KR102151307B1 true KR102151307B1 (en) 2020-09-02

Family

ID=6967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391A KR102151307B1 (en) 2018-08-13 2018-08-13 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power plant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3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398B1 (en) * 2022-09-28 2023-01-18 방재웅 Smart asbestos dismantling supervision system for efficient and safe asbestos demolition construction
CN116628828B (en) * 2023-07-24 2023-09-26 中建安装集团黄河建设有限公司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determining dismantling points of large build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0403A (en) * 2008-03-04 2009-09-17 Japan Atomic Energy Agency System for assisting management of installation dismantling work
JP2015124558A (en) 2013-12-27 2015-07-06 太平電業株式会社 Disassembling method of large-sized towery structure
KR101601838B1 (en) * 2015-09-14 2016-03-22 주식회사 두올테크 Problem resolution and collaboration supporting system in bim environment
JP2017096696A (en) 2015-11-20 2017-06-01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Demolition work operation simulation system
JP2018028802A (en) * 2016-08-18 2018-02-22 岡部株式会社 Through hole reinforcement design support system of steel bea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4341B2 (en) * 1996-09-10 2007-03-22 大成建設株式会社 Disassembly method of boiler and boiler building
KR101828318B1 (en) 2016-06-09 2018-03-30 김태성 Removal Device of The Decrepit Structure and the Removal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0403A (en) * 2008-03-04 2009-09-17 Japan Atomic Energy Agency System for assisting management of installation dismantling work
JP2015124558A (en) 2013-12-27 2015-07-06 太平電業株式会社 Disassembling method of large-sized towery structure
KR101601838B1 (en) * 2015-09-14 2016-03-22 주식회사 두올테크 Problem resolution and collaboration supporting system in bim environment
JP2017096696A (en) 2015-11-20 2017-06-01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Demolition work operation simulation system
JP2018028802A (en) * 2016-08-18 2018-02-22 岡部株式会社 Through hole reinforcement design support system of steel b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939A (en)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n et al. Assessment of embodied energy and global warming potential of building construction using life cycle analysis approach: Case studies of residential buildings in Iskandar Malaysia
KR102151307B1 (en) Large boiler structure dismantl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of power plant and method thereof
Sulankivi et al. Utilization of BIM-based automated safety checking in construction planning
De Souza Application of ventilation management programs for improved mine safety
Jung Facility siting and plant layout optimization for chemical process safety
JP5342507B2 (en) Carry-in planning support system
Wan et al. Dynamic modelling of building services projects: A simulation model for real-life projects in the Hong Kong construction industry
KR102134277B1 (en) Large structure dismantling method
CN110795789A (en) Application method in scaffold engineering based 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cooperation technology
Lee et al. A framework for robot assisted deconstruction: process, sub-systems and modelling
CN210072621U (en) BIM management-based deepened transformation system for vehicle section with ultra-large cover body
Wang et al. Integra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and firefly algorithm to optimize tower crane layout
KR102112749B1 (en) Method for managing of the tower crane using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and computer readable media thereof
Trani et al. BIM oriented equipment choice on construction site
JP4131811B2 (en) Construction drawing-less design method and building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heung et al. Applying virtual reality to improve the construction logistics of high-rise modular integrated construction
Hatori et al. Development of BIM-Based 4D Simul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chedule Planning
Mikheev et al. Research of robotics and automation of construction processes in Russia
Wibowo et al. Lean construction: Evaluation of waste and carbon footprint in construction project
Yogeeswaran et al. UTILIZING AUGMENTED REALITY FOR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PANELIZED CONSTRUCTION.
Ji et al. Study on Designing for Improved Safety to Prevent Accidents
Yang et al. Investigation of quali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projects based on BIM technology
Chen et al. Design Optimization of Coal Plant Construction Equipment Pipeline Based on BIM Technology
Larsson et al. A simulation-based approach for systematic analysis of workflow during the construction of in-situ concrete frames
Hazem et al. Construction Automation: Post-Pandemic Integrated Robotized Construction 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