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088B1 - Composition for visualizing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 and visualiz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mposition for visualizing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 and visualiz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088B1
KR102151088B1 KR1020180079789A KR20180079789A KR102151088B1 KR 102151088 B1 KR102151088 B1 KR 102151088B1 KR 1020180079789 A KR1020180079789 A KR 1020180079789A KR 20180079789 A KR20180079789 A KR 20180079789A KR 102151088 B1 KR102151088 B1 KR 102151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fs
thread
corpuscle
visualizing
micr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7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6268A (en
Inventor
이기복
이병천
김훈기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7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088B1/en
Publication of KR20200006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2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0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Biological staining of tissues in vivo, e.g. methylene blue or toluidine blue O administered in the buccal area to detect epithelial cancer cells, dyes used for delineating tissues during surg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3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solid biological material, e.g. tissue samples, cell cul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n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 가시화 조성물 및 이의 가시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시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동물의 체내 모든 곳에 분포하는 그물망 구조의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CCFS)을 가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방법에 나타나는 재현성 부족, 가시화된 구조체가 혈액 응고나 염증 반응의 부산물일 가능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시화 방법을 통해 CFFS 구조가 세포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로부터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굴, 항체 개발 및 새로운 기능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의 새로운 치료 방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visualizing a thread-shaped structure connected to a body and a method for visualizing the same. By using the visualizatio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isualize the thread-shaped structure (CCFS) connected to the corpuscle of a mesh structure distributed everywhere in the body of an animal, as well as the lack of reproducibility shown i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visualized structure can coagulate blood. I can solve the problem of the possibility of being a by-product of the inflammatory reaction. In addition, through the visualiz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FFS structure is related to cell death. From this, it is expected that new biomarkers, antibody development, and research on new functions will be possible. It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treatment methods.

Description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 가시화 조성물 및 이의 가시화 방법{Composition for visualizing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 and visualiz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Composition for visualizing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 and visualiz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 가시화 조성물 및 이의 가시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visualizing a thread-shaped structure connected to a body and a method for visualizing the same.

파시아(fascia, 막)는 콜라겐이나 엘라스틴 섬유로 구성된 결합조직으로 근육을 비롯해 생체의 모든 내부 장기를 둘러싸며 서로 연결돼 있는 막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현대 의학에서 파시아는 콜라겐과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을 가진 엘라스틴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랫동안 내부 장기를 지지하는 망(matrix)으로 여겨졌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파시아 체계(fascia system)가 암 전이와 관련이 있으며, 전통 의학이나 대체 의학이 영향을 미치는 해부학적 구조로서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논의가 있으며, 파시아 체계가 암 치료에 대한 새로운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결과가 밝혀진 바 있다.Fascia (membrane) is a connective tissue composed of collagen or elastin fibers, and is a collective term for membranes that surround all internal organs of a living body, including muscles. In modern medicine, facia is made up of elastin fibers with collagen and glycosaminoglycans and has long been considered a matrix that supports internal organs. According to recent studies, there is discussion that the fascia system is related to cancer metastasis, and that it is closely related as an anatomical structure that traditional or alternative medicine affects, and the fascia system plays a new role in cancer treatment. It has been revealed that it will do.

한편, 1960년대에 김봉한 박사는 혈액 순환이나 림프 순환과는 다른 제 3의 순환체계가 존재한다고 발표하였고, 이러한 새로운 해부학적 관을 그의 이름을 따 봉한관(Bonghan duct; BHD) 체계라고 명명하였다. 그러나 봉한관 체계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후 다른 연구자들이 봉한관 체계의 실체를 확인할 수 없었다.Meanwhile, in the 1960s, Dr. Bonghan Kim announced that there is a third circulatory system different from blood circulation or lymph circulation, and this new anatomical tube was named after him as the Bonghan duct (BHD) system. However, since the method of confirming the Bonghan Gwan system was not disclosed, other researchers could not confirm the substance of the Bonghan Gwan system afterwards.

2002년 이후 이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국내 연구진은 봉한관 체계가 파시아 체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처음 보고하였고, “봉한-파시아 모델”을 발표하였으며, 봉한관 체계에 몇 가지 추가적인 발견을 포함하여 "프리모관 체계(primovascular system)"이라는 제3의 순환계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구조체를 해부학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개된 방법 역시 재현성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정통 생물학자들과 의사들에게 받아들여지지 못하였다.Researchers in Korea, who have begun research on this since 2002, first reported that the Bonghan-Gwan system is closely related to the Pacia system, and published the “Bonghan-Pasia model”, including some additional discoveries in the Bonghan-Gwan system. A third circulatory system called "primovascular system" was presented. However, not only is this structure difficult to identify anatomically, and the published method has also been unacceptable to orthodox biologists and doctors because of the lack of scientific access to reproducibility.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봉한관 체계를 해부학적으로 가시화하기 위해 염색약을 이용하는 방법,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는 방법, 전기 자극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시도되었고, 그 중 야누스 그린B(JGB) 염색약을 이용하여 림프관 내의 봉한관을 가시화하는 방법이 공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여러 가지 가시화 방법은 림프관 내의 실 구조체를 가시화하는 방법일 뿐, 아직까지 다른 장기나 파시아에 존재하는 실 모양 구조체를 재현성있게 반복하여 확인한 예는 없었다. 또한 가시화된 구조체가 혈액 응고나 마취제 등에 의한 염증 반응으로 생성된 물질이라는 의심과 재현 실험이 잘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그 동안 연구 결과로 발표된 내용이 서로 동일한 구조체에 대한 결과인지 불명확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visualize the Bonghan duct system anatomically by some researchers, a method of using a dye, a method of using radioactive isotopes, and a method of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have been attempted. Among them, Janus Green B (JGB) dye is used to A method of visualizing Bonghan Hall was revealed. However, the conventional various visualization methods are only methods of visualizing the thread structure in the lymphatic vessel, and there has been no example of repeating and reproducibly confirming the thread-like structure existing in other organs or facia. In addition, there were suspicions that the visualized structure was a substance produced by an inflammatory reaction caused by blood coagulation or anesthetics, and a problem was raised that the reproducing experiment was not well performed. There was this.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동물의 내부 장기 파시아에 존재하는 실 모양의 구조체를 과학적으로 입증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혈액 응고 또는 염증 반응이 없는 상태에서 재현성 높은 가시화 방법을 발명하였으며, 쥐의 내부 장기의 내장막과 체벽막에 새로운 실 모양의 구조물이 얽혀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diligent efforts to scientifically prove the thread-shaped structure present in the internal organs of animals, and as a result, invented a highly reproducible visualization method in the absence of blood coagulation or inflammatory reactions.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a new thread-shaped structure was entangled between the tent and the body wall.

한국등록특허 제10-095024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50246

본 발명의 목적은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CCFS,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을 재현성 높게 가시화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을 가시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visualizing a corpuscle-connected structure (CCFS,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 with high reproducibility and a method for visualizing a thread-shaped structure connected to a corpuscle using the same.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야누스 그린 B(JGB) 및 헤파린을 포함하는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CCFS,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 가시화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CCFS,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 visualization composition connected to the corpuscle including Janus Green B (JGB) and heparin.

또한, 본 발명은 (a)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마취시키는 단계, (b) 야누스 그린 B(JGB) 및 헤파린을 포함하는 가시화 조성물을 주사하는 단계 및 (c)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을 가시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nesthetizing animals other than humans, (b) injecting a visualization composition containing Janus Green B (JGB) and heparin, and (c) observing with a microscope It provides a method of visualizing a thread-shaped structure connected with

본 발명의 가시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동물의 체내 모든 곳에 분포하는 그물망 구조의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CCFS)을 가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방법에 나타나는 재현성 부족, 가시화된 구조체가 혈액 응고나 염증 반응의 부산물일 가능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By using the visualizatio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isualize the thread-shaped structure (CCFS) connected to the corpuscle of a mesh structure distributed everywhere in the body of an animal, as well as the lack of reproducibility shown i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visualized structure can coagulate blood. I can solve the problem of the possibility of being a by-product of the inflammatory reaction.

또한 본 발명의 가시화 방법을 통해 CCFS 구조가 세포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로부터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굴, 항체 개발 및 새로운 기능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의 새로운 치료 방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In addition, through the visualiz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CFS structure is related to cell death. From this, it is expected that new biomarkers, antibody development, and research on new functions will be possible. It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treatment methods.

도 1은 쥐(Rat)의 폐의 내장막(Viceral fascia, VF)에 분포하고 있는 소체 구조(corpuscular structures, CSs; 파란색 화살표) 및 소체 구조와 연결된 실과 같이 생긴 구조(filiform structures, FSs; 빨간색 화살표)를 확인한 결과이다. A는 저배율에서 확인한 결과이고 B는 노란색 상자 부분을 고배율에서 확인한 결과이다. (척도 막대, A: 500 μm, B: 250 μm)
도 2는 쥐의 폐의 체벽막(parietal fascia; PF)에 분포하고 있는 소체 구조(CSs; 파란색 화살표) 및 소체 구조와 연결된 실과 같이 생긴 구조(FSs; 빨간색 화살표)를 확인한 결과이다. A는 저배율에서 확인한 결과이고 B는 노란색 상자 부분을 고배율에서 확인한 결과이다. (척도 막대, A: 500 μm, B: 200 μm)
도 3은 쥐의 소장에 분포하고 있는 CCFS를 입체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척도 막대, A: 500 μm, B: 250 μm)
도 4는 쥐의 내장 기관막에 분포하고 있는 CCFS를 입체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척도 막대, A: 500 μm, B: 200 μm)
도 5는 쥐의 지방 조직에 분포하고 있는 CCFS를 입체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척도 막대, A: 500 μm, B: 200 μm)
도 6은 쥐의 복부 깊은 영역에서 대정맥 주위 지방 조직의 내장막(VF) 위에 분포된 CCFS 구조를 원위치 생체 내 (in situ, in vivo) 상태에서 극소 겸자를 이용하여 직접 들어 올린 사진이다. A: 공백 화살표는 JGB로 염색된 소체를 가리키고, 작은 검정색 화살표들은 CCFS를 가리킨다. 실 모양 구조물 아래에 분포하는 혈관은 JGB로 염색되지 않았다. B: 극소 겸자를 이용해 들어올리기 전 원래의 CCFS 사진을 나타낸다. (척도 막대, A: 500 μm , B: 500 μm)
도 7은 쥐의 소장의 내장막(VF) 및 횡격막(PF) 위에 가시화된 CCFS 조직을 입체현미경(SM)(a1, a2) 및 광학현미경(LM)(a3, a4, a5)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각 사진의 a1의 네모 영역을 확대하여 a2에 나타내었고, a3의 네모 영역을 확대하여 a4에 나타내었으며, a4의 네모 영역을 확대하여 a5에 나타내었다. 파란색 화살표는 소체 구조(CSs), 빨간색 화살표는 각 소체를 연결하는 실 모양의 구조(FSs)를 나타내며, 녹색 화살표는 확대된 광학현미경 사진에서 야누스 그린 B로 염색된 과립을 나타낸다. (척도 막대, a1: 500 μm; a2: 150 μm; a3: 100 μm; a4: 50 μm; a5: 50 μm)
도 8은 형광발현세포분류기(FACS)를 이용하여 CCFS(A)와 체조직(B, 대조군)의 구성물 분포를 확인한 결과이다. CCFS(A)에서 P1, P2와 P3는 각각 57.3%, 30%와 26%이며, 대조군(B)에서는 59.3%, 17.4%와 12%이다. X-축 FSC-A와 Y-축 SSC-A는 각각 구성물(세포, 과립)의 상대적 크기와 과립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쥐의 간 표면의 CCFS를 광학현미경(LM)으로 관찰한 사진(a1, a2)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b1 내지 b7)이다(척도 막대, a1: 100 μm; a2: 50 μm).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에서, a1의 네모 영역을 확대하여 a2에 나타내었으며, 파란색 화살표는 소체 구조물을, 빨간색 화살표는 소체 구조물을 연결하는 실 모양의 구조물을 가리킨다. a2에서 노란색 네모 영역은 간의 장막 위와 안에 걸쳐 얽혀있는 CCFS를 나타내며, 이는 주사현미경사진(b6 및 b7)에 나타난 노란색 네모 영역과 동일한 패턴을 보여준다.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에서, b1은 간에 있는 CCFS의 최저 배율 영상이다. b1의 파란색 네모는 b3으로 확대되었고, b1의 노란색 영역은 b2와 b4으로 확대 되었다. 여기서 각 사진의 파란색 화살표는 동일한 소체를 표시하고 있다. b2와 b4에서 뚜렷한 실 모양 구조물(빨간 화살표)을 확인할 수 있다. b3에서 하얀색과 빨간색의 네모는 각각 b5와 b6로 확대되었고, b2의 녹색 네모는 b7으로 확대되었다.
도 10은 연속 분할된 소장의 최외각막에 분포된 CCFS를 헤마토톡실린-에오신(HE) 염색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파란색 화살표는 실 모양의 구조물, 빨간색 화살표는 동일한 CCFS 구조를 표시한 것이고, 초록색 화살표는 호염기성 과립을 나타내며, 공백 화살표는 희미하게 보이는 세포질 세포를 나타낸다. (척도 막대는 왼쪽 열부터 차례로 50 μm(200x), 40 μm(400x), 10 μm(1,000x))
도 11은 연속 분할된 소장의 최외각막에 분포된 CCFS를 매슨 트라이크롬(MT) 염색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왼쪽에 있는 각 사진의 노란색 네모 영역은 오른 쪽에 확대되어 있다. 파란색 화살표는 실 모양의 구조물, 빨간색 화살표는 동일한 CCFS 구조를 표시한 것이다. (척도 막대는 왼쪽 열부터 차례로 50 μm(200x), 40 μm(400x), 10 μm(1,000x)임) 특히, 슬라이드 번호 8번의 확대된 CCFS 사진(8번의 오른쪽 끝 그림, 1,000x)에서 몇 개의 최외각 콜라겐 섬유질(노란 화살표)과 얇게 분할된 갈색의 실 모양 구조물에서 짙게 염색된 핵(녹색 화살표) 이 관찰되었다.
도 12는 연속 분할된 소장의 최외각막에 분포된 CCFS를 Lyve-1(A) 및 CD31(B)로 면역조직화학 염색한 결과이다. A: 도관을 가진 림프관은 Lyve-1에 의해 밝은 갈색(파란색 공백 화살표)으로 염색되었으나, CCFSs(빨간색 화살표)는 염색되지 않아서 어두운 회색으로 나타났다. B: 혈관(파란색 공백 화살표)은 CD31에 의해 밝은 갈색으로 염색되었으나, CCFSs(빨간색 화살표)는 염색되지 않아서 어두운 회색으로 나타났다. (척도막대, a1: 20 μm(200x), a2: 20 μm(400x), b1: 40 μm(200x), b2: 20 μm(400x), 삽입된 그림: 20 μm(200x))
도 13은 CCFSs를 TUNEL(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TdT) dUTP Nick End Labeling) 염색한 결과이다. TUNEL에 양성인 세포는 죽은 세포로서 1,000x 배율에서 확인된다(빨간 화살표). (척도 막대, 50 μm(200x), 40 μm(400x), 10 μm(1,000x))
도 14는 내장막(VF) CCFS의 광학형광현미경(LFM) 관찰 결과이다. 실 모양 구조물(a3, 빨간 화살표)을 가진 소체(a1, 파란 화살표)가 분명하게 보인다. a1의 네모는 F-actin(녹색)의 a2로 확대되었다. a2의 네모는 조각난 F-actin(빨간 화살표)을 보여주는 a3로 확대되었다. DAPI 염색 결과를 나타내는 a4는 a1의 광학현미경(LM)과 동일한 부분에 해당한다. a4의 네모는 a5로 확대되었는데, a5는 DAPI와 밝은 형광 사진의 합성을 나타내었다. a5에서 노란 화살표는 야누스 그린 B로 염색된 소체 위의 세포외 DNA(eDNA)를 가리킨다. a6의 DAPI 영상은 약한 점선의 DNA 시그널을 나타낸다. (척도막대, a1: 100 μm, a2: 50 μm, a3: 25 μm, a4: 100 μm, a5: 25 μm, a6: 25 μm)
도 15는 체강막(PF) CCFS의 광학형광현미경(LFM) 관찰 결과이다. a1은 CCFS에 대한 광학현미경과 DAPI 영상의 합성 영상을 나타내며, 4개의 파란 화살표는 소체 구조를 가리킨다. 소체 사이는 실 모양 구조물(FS)로 연결되어 있다. a2와 a3는 각각 DAPI-염색된 CCFS의 영상과 CCFS에서 F-actin의 영상을 나타낸다. (척도 막대, a1~a3: 40 μm)
도 16은 내장막(VF, b1 ~ b8)과 체강막(PF, b9 ~ b12)에서 DAPI로 염색된 CCFS의 공초점 주사 레이저현미경(CLSM) 관찰 결과이다. 2 μm로 광학적으로 분할되어 12 μm 간격으로 b1 내지 b4로 배열하였다. 막대 모양(Rod-shaped nuclei)의 핵들은 소체(b1, 네모)에 배열되어 있는 것이며, b1의 네모는 확대되어 1 μm씩 광학적으로 절개되어 6 μm 간격으로 b5 내지 b8까지 나타내었다. B5 내지 b8에서 노란 화살표는 DAPI로 염색된 과립이 아니라, JGB로 염색된 과립을 보여준다. B9 내지 b12의 사진은 DAPI로 염색된 DNA 분자들(eDNA, 노란색 화살표)과 함께 조각난 F-actin 분자들(빨간 화살표)을 보여준다. 이것들도 또한 1 μm씩 광학적으로 절개되어 6 μm 간격으로 배열되었다. (척도 막대, b1~b4: 50 μm, b5~b8: 20 μm, b9~b12: 20 μm)
도 17은 야누스 그린 B 용액으로 염색한 CCFS 구조를 DAPI로 염색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야누스 그린 B로 염색된 소체(빨간 화살표)는 검은색 점처럼 나타나는 반면, DAPI로 염색된 핵(형광 파란색)과 뚜렷이 구별된다. (척도막대, 50 μm)
도 18은 DAPI로 염색된 CCFS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로서, 조각난 DNA 분자(빨간색 화살표)와 세포밖 DNA(노란색 공백화살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척도막대, 50 μm)
도 19는 비행시간 2차 이온 질량분석계(TOF-SIMS)를 이용하여 2차원으로 영상화된 CCFS에서 주요 요소들의 분포를 확인한 결과이다. x축과 y축은 TOF-SIMS를 사용하여 스캔한 CCFS의 300 μm x 300 μm 영역을 나타내며, 각 그림 옆에 있는 색깔 막대는 요소들의 상대적인 농도를 나타낸다. 양이온과 음이온에서 여러가지 다른 원소들이 검출되었는데, 가장 풍부한 원소는 각각 Si+, O- 이다. 또한 양이온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의 Ca2+ 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A: CCFS에서 주요 양이온들(C, Na, Ca)의 2차원 사진과 CCFS의 전반적인 사진, B: CCFS에서 주요 음이온들(O, CH, NaH)의 2차원 사진과 CCFS의 전반적인 사진.
도 20은 CCFS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a는 쥐의 복부 벽에 있는 CCFS를 가시화한 바로 직후의 입체현미경 사진이며, 노란색 네모 영역에서 CCFS를 채취한 후 TEM으로 분석하였다. b1 내지 b3은 a에서 확인된 실 모양의 구조물(빨간 화살표)의 절단면을 TEM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b1에서 둥근 형상의 실 모양 구조물을 확인할 수 있고, b1의 노란 네모들을 각각 b2, b3로 확대하였다. b2에서 액포들(파란 화살표)과 유착된 액포들이 최외각 막 안쪽에서 보이는데, 이들 유착된 액포들은 3개의 어두운 갈색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b3에서 섬유질 구조(어두운 갈색 화살표)에 의해 둘러싸인 깨끗한 기공과 유착된 액포들(파란 화살표)이 보인다. c1 내지 c4는 a에서 확인된 소체 구조(파란 화살표)를 TEM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c1에서는 완전 분해된 세포(공백 화살표)로부터 많은 과립들(노란 화살표)이 보이고 있다. c2에서는 분해된 핵(빨간 화살표)과 붕괴된 세포질 막(공백 화살표)이 보인다. c3 영상은 기공(공백 화살표)이 있는 반투명의 세포질을 보여준다. c4 영상은 세포질 막(빨간 화살표)이 세포 분해되는 순간을 보여준다. c1에 나와있는 소체의 TEM 사진에서 골수 유래 다색성 적혈모구 유사세포(marrow-derived polychromatic erythroblast-like cells)(빨간 화살표)와 적혈구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척도 막대, a: 500 μm, b1~b3: 5 μm, c1~c2: 1 μm, c3: 2 μm, c4: 1 μm)
1 is a corpuscular structure (CSs; blue arrow) distributed in the visceral fascia (VF) of the lung of a rat and a thread-like structure connected to the corpuscle structure (filiform structures, FSs; red arrow) ) Is the result of checking. A is the result of checking at low magnification and B is the result of checking the yellow box at high magnification. (Scale bar, A: 500 μm, B: 250 μm)
Figure 2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orpuscle structure (CSs; blue arrow) distributed in the parietal fascia (PF) of the rat lung and the thread-like structure (FSs; red arrow) connected to the corpuscle structure. A is the result of checking at low magnification and B is the result of checking the yellow box at high magnification. (Scale bar, A: 500 μm, B: 200 μm)
3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CFS distributed in the small intestine of a mouse with a stereoscopic microscope. (Scale bar, A: 500 μm, B: 250 μm)
4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CFS distributed in the visceral trachea of the mouse with a stereoscopic microscope. (Scale bar, A: 500 μm, B: 200 μm)
5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CFS distributed in the adipose tissue of the rat with a stereoscopic microscope. (Scale bar, A: 500 μm, B: 200 μm)
FIG. 6 is a photograph of a CCFS structure distributed on the visceral membrane (VF) of adipose tissue around the vena cava in a deep abdominal region of a rat in an in situ, in vivo state, directly lifted using micro forceps. A: Blank arrows point to corpuscles stained with JGB, and small black arrows point to CCFS. Blood vessels distributed under the filamentous structure were not stained with JGB. B: Shows the original CCFS picture before lifting with micro forceps. (Scale bar, A: 500 μm, B: 500 μm)
Figure 7 is a result of observing the CCFS tissue visualized on the visceral membrane (VF) and diaphragm (PF) of the small intestine of a mouse with a stereoscopic microscope (SM) (a1, a2) and an optical microscope (LM) (a3, a4, a5) to be. The square area of a1 of each picture is enlarged and shown in a2, the square area of a3 is enlarged and shown in a4, and the square area of a4 is enlarged and shown in a5. Blue arrows indicate corpuscle structures (CSs), red arrows indicate filamentous structures (FSs) connecting each corpuscle, and green arrows indicate granules stained with Janus Green B in an enlarged optical microscope. (Scale bar, a1: 500 μm; a2: 150 μm; a3: 100 μm; a4: 50 μm; a5: 50 μm)
8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istribution of components of CCFS (A) and body tissue (B, control) using a fluorescence expression cell sorter (FACS). In CCFS(A), P1, P2, and P3 were 57.3%, 30% and 26%, respectively, and in the control group (B), 59.3%, 17.4% and 12% were respectively. X-axis FSC-A and Y-axis SSC-A represent the relative size and granularity of the constituents (cells, granules), respectively.
9 is a photograph (a1, a2) of the CCFS of a rat liver surface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LM) and the results (b1 to b7) of observation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scale bar, a1: 100 μm; a2: 50 μm). As a result of observation with an optical microscope, the square area of a1 is enlarged and shown in a2, the blue arrow indicates the corpuscle structure, and the red arrow indicates the thread-shaped structure connecting the corpuscle structure. The yellow square area in a2 represents the entangled CCFS over and inside the liver membrane, which shows the same pattern as the yellow square area shown in the scanning micrographs (b6 and b7). In the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b1 is the lowest magnification image of CCFS in the liver. The blue square of b1 is enlarged to b3, and the yellow area of b1 is enlarged to b2 and b4. Here, the blue arrows in each picture indicate the same body. In b2 and b4 you can see a distinct thread-like structure (red arrow). In b3, the white and red squares were expanded to b5 and b6, respectively, and the green square of b2 was expanded to b7.
10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CFS distributed in the outermost cornea of the small intestine continuously divided by hematotoxillin-eosin (HE) staining. The blue arrows represent the thread-shaped structures, the red arrows represent the same CCFS structures, the green arrows represent basophilic granules, and the blank arrows represent faintly visible cytoplasmic cells. (Scale bars are 50 μm (200x), 40 μm (400x), 10 μm (1,000x) in order from the left column)
11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CFS distributed in the outermost cornea of the small intestine continuously divided by Masson Trichrome (MT) staining. The yellow square in each photo on the left is enlarged to the right. The blue arrows indicate the thread-shaped structures, and the red arrows indicate the same CCFS structure. (Scale bars are 50 μm (200x), 40 μm (400x), 10 μm (1,000x) in order from the left column) In particular, in the enlarged CCFS photo of slide number 8 (right end of number 8, 1,000x), several Darkly stained nuclei (green arrows) were observed in the outermost collagen fibers of the dog (yellow arrows) and thinly divided brown filamentous structures.
FIG. 12 is a result of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CCFS distributed in the outermost cornea of the small intestine divided into succession with Lyve-1 (A) and CD31 (B). A: Lymphatic vessels with catheter were stained light brown (blue blank arrow) by Lyve-1, but CCFSs (red arrow) were not stained, so they appeared dark gray. B: Blood vessels (blue blank arrows) were stained light brown by CD31, but CCFSs (red arrows) were not stained, so they appeared dark gray. (Scale bar, a1: 20 μm (200x), a2: 20 μm (400x), b1: 40 μm (200x), b2: 20 μm (400x), inset: 20 μm (200x))
13 is a result of TUNEL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TdT) dUTP Nick End Labeling) staining of CCFSs. Cells positive for TUNEL were identified as dead cells at 1,000x magnification (red arrow). (Scale bar, 50 μm (200x), 40 μm (400x), 10 μm (1,000x))
14 is an optical fluorescence microscope (LFM) observation result of the internal film (VF) CCFS. A body (a1, blue arrow) with a filamentous structure (a3, red arrow) is clearly visible. The square of a1 is enlarged to a2 of F-actin (green). The square of a2 is enlarged to a3 showing fragmented F-actin (red arrow). A4 representing the DAPI staining result corresponds to the same part as the optical microscope (LM) of a1. The square of a4 is enlarged to a5, and a5 represents the synthesis of DAPI and bright fluorescence images. Yellow arrows in a5 indicate extracellular DNA (eDNA) on corpuscles stained with Janus Green B. The DAPI image of a6 shows a weak dotted DNA signal. (Scale bar, a1: 100 μm, a2: 50 μm, a3: 25 μm, a4: 100 μm, a5: 25 μm, a6: 25 μm)
15 is an optical fluorescence microscope (LFM) observation result of a body cavity membrane (PF) CCFS. a1 represents the composite image of the optical microscope and DAPI image for CCFS, and the four blue arrows indicate the corpuscle structure. The body is connected by a thread-shaped structure (FS). a2 and a3 represent images of DAPI-stained CCFS and F-actin in CCFS, respectively. (Scale bar, a1~a3: 40 μm)
16 is a result of observation with a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e (CLSM) of CCFS stained with DAPI in the visceral membranes (VF, b1 to b8) and body cavity membranes (PF, b9 to b12). Optically divided into 2 μm and arranged in b1 to b4 at 12 μm intervals. Rod-shaped nuclei nuclei are arranged in corpuscles (b1, squares), and the squares of b1 are enlarged and optically incised by 1 μm to show b5 to b8 at 6 μm intervals. Yellow arrows in B5 to b8 show the granules stained with JGB, not the granules stained with DAPI. Pictures of B9 to b12 show fragmented F-actin molecules (red arrows) along with DNA molecules (eDNA, yellow arrows) stained with DAPI. These were also optically cut by 1 μm and arranged at 6 μm intervals. (Scale bar, b1~b4: 50 μm, b5~b8: 20 μm, b9~b12: 20 μm)
17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CFS structure stained with Janus Green B solution with DAPI and then confirmed with a fluorescence microscope. Corpuscles stained with Janus Green B (red arrows) appear as black dots, while distinctly distinct from nuclei stained with DAPI (fluorescent blue). (Scale bar, 50 μm)
18 is a result of observing CCFS stained with DAPI with a fluorescence microscope, and fragmented DNA molecules (red arrows) and extracellular DNA (yellow blank arrows) could be identified. (Scale bar, 50 μm)
19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istribution of main elements in the CCFS imaged in two dimensions using a time-of-flight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er (TOF-SIMS). The x- and y-axes represent the 300 μm x 300 μm area of CCFS scanned using TOF-SIMS, and the colored bars next to each plot represent the relative concentrations of the elements. Several different elements have been detected in cations and anions, and the most abundant elements are Si + and O -, respectively. It was also confirmed that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Ca 2+ exists in the cations. A: 2D photo of major cations (C, Na, Ca) and overall photo of CCFS in CCFS, B: 2D photo of major anions (O, CH, NaH) and overall photo of CCFS in CCFS.
20 show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photograph of CCFS. a is a three-dimensional micrograph immediately after visualizing the CCFS on the abdominal wall of the mouse, and after collecting CCFS from the yellow square area, it was analyzed by TEM. b1 to b3 are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cross section of the thread-shaped structure (red arrow) identified in a by TEM. In b1, a circular thread-shaped structure can be seen, and the yellow squares in b1 are enlarged to b2 and b3, respectively. At b2, vacuoles (blue arrows) and adhered vacuoles are visible from the inside of the outermost membrane, and these adhered vacuoles are indicated by three dark brown arrows. In b3, clean pores surrounded by fibrous structures (dark brown arrows) and adhered vacuoles (blue arrows) are visible. c1 to c4 are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corpuscle structure (blue arrow) identified in a by TEM. In c1, many granules (yellow arrows) are visible from completely degraded cells (blank arrows). In c2, the disintegrated nucleus (red arrow) and the collapsed cytoplasmic membrane (blank arrow) are visible. The c3 image shows a translucent cytoplasm with pores (blank arrows). The c4 image shows the moment when the cytoplasmic membrane (red arrow) is cell degraded. In the TEM image of the corpuscle shown in c1, marrow-derived polychromatic erythroblast-like cells (red arrows) and red blood cells were found. (Scale bar, a: 500 μm, b1 to b3: 5 μm, c1 to c2: 1 μm, c3: 2 μm, c4: 1 μm)

본 발명자들은 종래 봉한관과 봉한소체를 가시화하기 위한 방법의 재현성이 떨어지고, 가시화된 구조체가 혈액 응고 또는 염증 반응의 부산물일 가능성이 존재하며, 체내 특정 부위에서만 해당 구조를 확인하였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가시화 조성물에 혈액 응고를 방지하는 헤파린을 혼합하고, 염증 반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흡입 마취를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method for visualizing the Bonghan tube and the Bonghan corpuscle, the reproducibility of the method for visualizing the Bonghan tube and the Bonghan corpuscle is poo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visualized structure may be a by-product of blood coagulation or inflammatory reaction, and the structure was confirmed only i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During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bove problems can be solved by mixing heparin to prevent blood coagulation in the visualization composition and performing inhalation anesthesia to prevent inflammatory reactions,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야누스 그린 B(JGB, Janus green B) 및 헤파린을 포함하는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CCFS,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 가시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visualizing a yarn-shaped structure (CCFS,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 connected to a corpuscle including Janus green B (JGB) and heparin.

본 발명의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 "CCFS", 또는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는 동물의 내장계, 피부, 파시아(facia), 뇌, 척수, 림프관과 혈관 등에 그물망 구조로 퍼져 있는 체내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혈관계 및 림프계와 구별되는 제3의 순환체계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CCFS는 작은 봉오리 모양의 소체 구조(corpuscular structures, CSs)와 복수의 소체를 연결하는 실 모양의 구조(filiform structures, FSs)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기, 혈관, 림프관의 내외에 모두 존재할 수 있다. CCFS는 크기가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반투명한 색 형태이기 때문에 별다른 처리 없이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주변의 파시아와 잘 구별되지 않는다. 특히 체내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모세림프관은 CCFS와 모습이 비슷해 이들을 구별하기 어렵다. The terms "thread-like structures connected to corpuscles", "CCFS", or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 u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the visceral system, skin, facia, brain, spinal cord, lymphatic vessels and It refers to a structure in the body that is spread in a network structure such as blood vessels, and is a structure that forms a third circulatory system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vascular and lymphatic systems. CCFS is composed of small bud-shaped corpuscular structures (CSs) and filiform structures (FSs) that connect multiple corpuscles, and can exist both inside and outside organs, blood vessels, and lymphatic vessels. Because CCFS is not only very small in size, but also in a translucent color form, it is not well distinguished from the surrounding facia when observed under a microscope without special treatment. In particular, capillary lymphatic tubes distributed throughout the body are similar in shape to CCFS, making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본 발명의 가시화 조성물은 야누스 그린 B(JGB) 및 헤파린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The visualizatio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ixture of Janus Green B (JGB) and heparin.

상기 야누스 그린 B는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 또는 식염수에 0.05 내지 0.20 % 농도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야누스 그린 B가 0.05%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CCFS의 염색이 충분히 되지 않아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0.20%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체내에 과량의 시약이 남아 가시화를 방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최적의 야누스 그린 B의 농도는 0.08 ~ 0.12%인 것이 좋다. 상기 헤파린은 혈액 응고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포함되는 것으로서, 실험 동물의 혈액 응고 방지 효과를 충분히 발휘함과 동시에 CCFS의 가시화를 방해하지 않는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 헤파린은 5 내지 15 U의 농도로 포함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8 내지 12 U 농도인 것이 좋다. 헤파린의 농도가 5 U 미만인 경우 혈액 응고가 지나치게 될 수 있으며, 15 U를 초과하는 경우 혈액 응고가 되지 않아 지혈이 되지 않고 과출혈이 될 수 있다. 헤파린 농도는 생물학적 검정에 의한 활성화 단위(unit)으로 표준화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용어 "U"는 "unit/ml"의 약어로서, 헤파린 용액 1 ml에 포함되는 헤파린의 양(unit)을 의미한다.The Janus Green B may be contained in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 or saline at a concentration of 0.05 to 0.20%. If the amount of Janus Green B is less than 0.05%, it is difficult to observe with a microscope because the CCFS is not sufficiently stained. If it is contained in an amount exceeding 0.20%, an excessive amount of reagent may remain in the body and interfere with visualization. Preferably,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Janus Green B is preferably 0.08 to 0.12%. The heparin is includ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blood clotting, and is preferably included in a concentra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visualization of CCFS while sufficiently exhibiting the effect of preventing blood clotting of experimental animals. Preferably, heparin may be contained in a concentration of 5 to 15 U, more preferably 8 to 12 U concentration. If the concentration of heparin is less than 5 U, blood clotting may be excessive, and if the concentration of heparin exceeds 15 U, blood clotting may not occur, leading to hemostasis and overbleeding. The heparin concentration is standardized in units of activation by biological assays, and the term "U"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bbreviation of "unit/ml", which means the amount of heparin contained in 1 ml of a heparin solution. .

본 발명의 가시화 조성물은 상기 야누스 그린 B와 헤파린이 5:1 내지 15:1 부피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9:1 내지 11:1 부피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야누스 그린 B와 헤파린의 부피비가 5:1 미만인 경우(예, 3:1) 지혈이 되지 않을 수 있고, 부피비가 15:1을 초과하는 경우(예, 17:1) 혈액 응고 방지가 안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In the visualizatio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anus Green B and heparin may be mixed in a volume ratio of 5:1 to 15:1, and more preferably, the composition may be mixed in a volume ratio of 9:1 to 11:1. If the volume ratio of Janus Green B and heparin is less than 5:1 (e.g. 3:1), hemostasis may not be possible, and if the volume ratio exceeds 15:1 (e.g., 17:1), there is a problem that blood clotting is not prevented. There may be.

본 발명의 가시화 조성물은 동물의 내장계, 피부, 파시아(facia), 뇌, 척수, 림프관 또는 혈관에 존재하는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을 가시화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시아는 근육을 비롯하여 동물의 장기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막으로서 체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파시아의 안쪽과 바깥쪽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CCFS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The visualizatio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visualizing a thread-shaped structure connected to a corpuscle existing in an animal's visceral system, skin, facia, brain, spinal cord, lymphatic vessels, or blood vessels. The facia is a membrane surrounding the entire organs of animals including muscles,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body, and the CCFS structure widely present inside and outside the facia can be identified us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또한, (a)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마취시키는 단계, (b) 야누스 그린 B(JGB) 및 헤파린을 포함하는 가시화 조성물을 주사하는 단계 및 (c)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을 가시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the steps of (a) anesthetizing animals other than humans, (b) injecting a visualization composition comprising Janus Green B (JGB) and heparin, and (c) observing under a microscope. It provides a method of visualizing a thread-shaped structure connected with

먼저, 본 발명의 가시화 방법은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마취시키는 단계[(a) 단계]를 포함한다.First, the visualiz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step (a)] of anesthetizing animals other than humans.

본 발명의 마취 단계는 흡입 마취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흡입 마취는 마취제를 코나 입으로 폐에 흡입시켜 전신을 마취하는 방법으로서, 근육이나 정맥을 통한 전신 마취에 비해 마취제의 흡수 및 배출을 조절하기 쉽다. 또한 마취제를 주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염증 반응을 방지할 수 있어, CCFS를 확인할 때 염증 반응으로 인한 인공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흡입 마취제로 에테르(ether), 할로탄(halothane), 아산화질소(N2O), 엔프로렌 또는 아이소플루레인(isoflurane)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anesthesia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ing inhalation anesthesia. Inhalation anesthesia is a method of inhaling an anesthetic into the lungs through the nose or mouth to anesthetize the whole body. Compared to general anesthesia through muscle or vein, it is easier to control the absorption and discharge of an anesthetic. In addition, it can prevent inflammatory reactions that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of injecting an anesthetic, so when checking CCFS, problems caused by artifacts caused by inflammatory reactions can be solved. Ether, halothane, nitrous oxide (N 2 O), enproene or isoflurane may be used as an inhalation anestheti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시화 방법은 야누스 그린 B(JGB) 및 헤파린을 포함하는 가시화 조성물을 주사하는 단계[(b) 단계]를 포함한다. Next, the visualiz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injecting a visualization composition comprising Janus Green B (JGB) and heparin [step (b)].

상기 가시화 조성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한 바와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visualization composition i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시화 조성물은 주사 전에 35 ~ 40℃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야누스 그린 B와 헤파린을 포함하는 각각의 용액을 35 ~ 40℃로 유지시킨 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혼합한 조성물을 35 ~ 40℃로 열처리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쥐의 체온(36.5℃)에 근접한 온도이기 때문에 쥐에게 생리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ization composition may be maintained at 35 ~ 40 ℃ before injection. This may be prepared by maintaining each solution containing Janus Green B and heparin at 35 to 40°C and then mixing, and the mixed composition may be maintained by heat treatment at 35 to 40°C. This is close to the rat's body temperature (36.5℃), so it may not cause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ra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가시화 조성물 주사 전에 헤파린을 주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혈액 응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헤파린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바와 같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blood coagulation in advance b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jecting heparin before injection of the visualization composition of step (b). The description of heparin i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시화 조성물은 복강 또는 흉강 주사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CCFS 구조는 파시아를 통해 장기 전체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바, 내부 장기 조직에서 효과적인 CCFS의 가시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복강 또는 흉강 주사를 하거나, 복강 및 흉강 주사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ization composition may be injected through intraperitoneal or thoracic injection. The CCFS structure to be confi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rmed to be distributed throughout the organ through Pacia.In order to achieve effective visualization of CCFS in the internal organ tissue, it is recommended to perform abdominal or thoracic injection, or concurrently with abdominal cavity and thoracic injection. desir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시화 조성물의 주사 후 관찰 전에 기다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CCFS 구조가 가시화 조성물로 염색되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반복 실험을 통해 20분 내지 70분, 보다 바람직하게 30분 내지 60분 동안 기다리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waiting before observation after injection of the visualization composition may be further included. This is to ensure the time that the CCFS structure is stained with the visualization composi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waiting for 20 minutes to 70 minutes, more preferably 30 minutes to 60 minutes through repeated experiments is most effective.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시화 방법은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단계[(c) 단계]를 포함한다.Next, the visualiz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observing with a microscope [step (c)].

본 발명의 상기 현미경 관찰은 입체현미경(stereomicroscope), 광학현미경(light microscope), 공초점 레이저주사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 또는 동결주사전자현미경(cryo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Cryo-SEM)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a stereomicroscope, a light microscope,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 or a cryo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Cryo-SEM). It can be measured,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미경 관찰은 동일한 CCFS 구조에 대한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입체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통한 관찰을 즉석에서 연결하여 관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현미경 관찰은 원위치 생체내 상태에서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단계; 상기 입체현미경으로 확인된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조직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표본에 대하여 입체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결합하여 관찰함으로써 야누스 그린 B를 포함한 가시화 조성물로 염색된 CCFS의 구조 및 실체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입체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통한 관찰 결과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scopic observation may be observed by connecting the observation through a stereoscopic microscope and an optical microscope in order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of the same CCFS structure. Specifically, the microscopic observation is performed by observing with a stereoscopic microscope in an in situ in vivo state; Separating a tissue including a thread-shaped structure connected to the corpuscular body identified by the stereoscopic microscope;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observing the separated tissue with an optical microscope.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and substance of CCFS dyed with a visualization composition including Janus Green B can be more clearly confirmed by observing the same specimen by combining a stereoscopic microscope and an optical microscope, and the observation results through a stereoscopic microscope and an optical microscope can be directly observed. It can be interpreted by connecting with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Below,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Example>

1. 실험동물1. Experimental animals

본 발명에서는 동물 모델로서 쥐(rat) (Wistar, 암컷 8 마리, 수컷 6마리, 150 ~ 250 g)를 사용하였고 이 쥐들은 공인된 절차의 국제적 가이드라인에 따라 주요 실험을 하기 전에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사육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rats (Wistar, 8 females, 6 males, 150-250 g) were used as animal models, and these rats were well ventilated prior to major experiments according to international guidelines of an accredited procedure. It was bred in place.

실험 시에 에테르(ether), 할로탄(halothane)과 같은 일반적인 흡입 마취제로 전신 마취를 하였다. 실험은 KAIST의 동물위원회에 의해 승인되었다. During the experiment, general anesthesia was performed with general inhalation anesthetics such as ether and halothane. The experiment was approved by KAIST's Animal Committee.

2. 내부 기관의 CCFS 가시화 2. CCFS visualization of internal organs

가시화 염색약으로서 야누스 그린 B(Sigma, JGB)를 PBS(pH 7.4) 또는 살균된 식염수에 녹여 0.1% 농도가 되게 하였다. 다음으로 용해된 야누스 그린 B를 0.45 μm 크기의 천공막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킨 후, 37 ~ 38℃ 배양기에 보관하였다. 다음으로 0.1% 야누스 그린 B와 10 U의 헤파린(Sigma) 용액을 10 : 1의 부피비(v/v)로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As a visualization dye, Janus Green B (Sigma, JGB) was dissolved in PBS (pH 7.4) or sterilized saline to a concentration of 0.1%. Next, the dissolved Janus Green B was filtered using a 0.45 μm perforated membrane filter, and then stored in an incubator at 37 to 38°C. Next, 0.1% Janus Green B and 10 U of heparin (Sigma) solution were prepared by mixing at a volume ratio (v/v) of 10:1.

먼저, 실험 동물을 에테르 또는 할로탄을 흡입시켜 전신 마취한 후, 실험동물의 대퇴부 정맥에 0.2 ~ 0.4 ml의 헤파린 용액(10 U in PBS)을 주사하였다. 다음으로, 야누스 그린 B와 헤파린 혼합 용액 0.8 ~ 1 ml를 마취된 동물의 복강에 주사하였다. 반복 실험을 통해 쥐의 내부 기관에 있는 CCFS를 가장 잘 가시화할 수 있는 배양 시간은 30분 내지 1시간 사이인 것을 확인하였다. 드문 경우로 복강 실험이 완료된 후에 쥐의 흉강 안으로 우리는 염색 용액 약 0.2 ml를 주사하였다. 실험이 끝나면 그 즉시 에테르 흡입을 통해 쥐를 안락사시켰다.First, the experimental animal was subjected to general anesthesia by inhaling ether or halotan, and then 0.2 to 0.4 ml of heparin solution (10 U in PBS) was injected into the femoral vein of the experimental animal. Next, 0.8 to 1 ml of a mixed solution of Janus Green B and heparin was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of an anesthetized animal. Through repeated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ubation time for the best visualization of CCFS in the internal organs of mice was between 30 minutes and 1 hour. In rare cases, about 0.2 ml of staining solution was injected into the chest cavity of the rat after the abdominal cavity experiment was complet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mice were immediately euthanized by ether inhalation.

3. 원위치 생체내(3. In situ in vivo ( in situ, in vivoin situ, in vivo ) 상태에서 내부 기관 CCFS의 입체현미경 관찰) State of the internal organs CCFS under a stereoscopic microscope

복강 및 흉강에 야누스 그린 B를 포함하는 용액을 주사한 후 30분 내지 60분간 기다리며 염색를 하였다. 그 다음 피가 나오지 않도록 복부를 절개하고, 내부 기관이 노출된 직후 복부 안으로 따뜻한 염수를 부드럽게 넣어 과도한 야누스 그린 B를 씻어내었다. 다음으로 입체현미경(STX 60X, Olympus, Japan)으로 쥐의 내부 기관의 막에 있는 CCFSs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CCFSs는 야누스 그린 B에 특이하게 어두운 파란색이나 검은색으로 잘 염색된 것을 알 수 있었다.After injecting a solution containing Janus Green B into the abdominal cavity and chest cavity, staining was performed while waiting for 30 to 60 minutes. Then, the abdomen was incised to prevent blood from coming out, and warm saline was gently put into the abdomen immediately after the internal organs were exposed to wash off excess Janus Green B. Next, CCFSs in the membranes of the internal organs of mice were observed with a stereoscopic microscope (STX 60X, Olympus, Japa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CFSs were stained well in dark blue or black unusually on Janus Green B.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쥐의 폐 조직 겉면의 내장막(Viceral fascia, VF)과 체벽막(parietal fascia; PF)에 분포하고 있는 다수의 소체 구조(corpuscular structures, CSs) 및 이 소체 구조와 연결된 실과 같이 생긴 구조(filiform structures, FSs)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폐 조직 이외에도 쥐의 소장, 내장 기관막 및 지방 조직에서도 어두운 파란색이나 검은색으로 염색된 동일한 CCFS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내지 5).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a number of corpuscular structures (CSs) distributed in the visceral fascia (VF) and the parietal fascia (PF)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ung tissue of the rat, and The filiform structures (FSs) connected to this corpuscle structure were identified. In addition, in addition to lung tissu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ame CCFS structure stained in dark blue or black in the small intestine, visceral trachea, and adipose tissue of mice (FIGS. 3 to 5 ).

CCFS 구조의 상대해부학적 분포를 증명하기 위하여, 쥐의 복부 내장막(VF)에서 확인한 소체 중 하나를 극소 겸자(micro forceps)을 사용하여 들어 올렸다(도 6). CCFS 구조는 야누스 그린 B로 염색되어 진한 파란색으로 나타나는 반면, CCFS 주위의 혈관과 지방 조직들은 야누스 그린 B로 염색이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극소 겸자로 들어올리기 전에 CCFSs는 본래 혈관 위에서 나란히 배치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In order to prove the relative anatomical distribution of the CCFS structure, one of the corpuscles identified in the abdominal visceral membrane (VF) of the rat was lifted using micro forceps (FIG. 6). It was confirmed that the CCFS structure was stained with Janus Green B and appeared dark blue, while the blood vessels and adipose tissues around CCFS were not stained with Janus Green B. As shown in Fig. 6B, it was found that the CCFSs were originally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blood vessel before lifting with the small forceps.

본 발명의 가시화 방법이 재현성이 있는지, 모든 장기에서 CCFSs를 가시화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총 15마리의 쥐(Rat)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그 중 14마리의 쥐에서 CCFSs를 관찰할 수 있었고(93%), 본 발명의 염색용 조성물로 재현성 있게 CCFSs를 가시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visualiz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oducible and whether CCFSs can be visualized in all organs, a total of 15 rats were tes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CFSs were observed in 14 rats (93%), and it was found that CCFSs could be reproducibly visualized with the dye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가시화된 CCFSs와 연관된 장기들을 요약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CCFSs가 분포하고 있는 모습을 이해하기 위하여, CCFSs가 발견된 각 조직들에서 가장 큰 소체의 크기와 가장 작은 소체의 크기를 기록하여 요약하였으며,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가장 뚜렷한 두 소체 구조 사이의 간격도 하기 표1에 정리하였다. 하기 표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체 구조의 수에 대한 자료의 기준은 입체현미경 사진이 얼마나 명확하게 소체 구조들을 보여주는지에 있었다. 그러므로 사진에서 소체 구조를 직접 눈으로 보고 수를 센 것 보다 더욱 더 많은 수의 소체 구조가 존재할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표1에 따르면, 소체 구조는 간에서(138개) 가장 많이 발견되었고, 다음으로 복부벽(114개), 소장(112개), 지방 세포(57개), 장간막(45개), 대장(17개), 부고환 정소(12개), 폐(12개), 횡격막(10개), 난소(10개), 체강벽 늑막(6개), 및 고환(5개)에서 발견되었다. 소체 하나의 크기는 최대 1,656 ㎛ X 186 ㎛에서 최소 26 ㎛ X 26 ㎛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Organs associated with the visualized CCFSs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CCFSs overall, the size of the largest corpuscle and the smallest corpuscle in each tissue in which CCFSs were found were recorded and summarized, and between the two most distinct corpuscle structures when observed with a stereomicroscope. The intervals of are also summarized in Table 1 below. As can be seen in Table 1 below, the criterion for data on the number of corpuscle structures was how clearly the stereoscopic micrograph shows corpuscle structures. Therefore,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there are a greater number of corpuscle structures than counting by looking directly at corpuscle structures in photos. According to Table 1, corpuscle structures were most often found in liver (138), followed by abdominal wall (114), small intestine (112), fat cells (57), mesentery (45), and large intestine (17). Dog), epididymis testis (12), lungs (12), diaphragm (10), ovary (10), body cavity wall pleura (6), and testis (5). The size of one body varied from a maximum of 1,656 µm X 186 µm to a minimum of 26 µm X 26 µm.

입체현미경 영상에 기초한 쥐의 CCFS에서 소체 구조의 위치와 크기 분포Location and size distribution of corpuscle structures in rat CCFS based on stereomicroscopic images NoNo 성별gender NF(N)NF(N) BC: LxlBC: Lxl SC: LxlSC: Lxl DD 1One MM Aw(8)Aw(8) 821x107821x107 107x71107x71 357357 Li(5)Li(5) 252x86252x86 60x4060x40 320320 Lv(5)Lv(5) 250x50250x50 75x5075x50 750750 Ms(5)Ms(5) 320x180320x180 200x60200x60 1,1801,180 Si(10)Si(10) 800x80800x80 133x80133x80 133133 Ts(5)Ts(5) 459x108459x108 81x4181x41 757757 22 MM Aw(5)Aw(5) 556x333556x333 122x94122x94 1,2221,222 Lv(4)Lv(4) 442x108442x108 38x3838x38 480480 Ms(3)Ms(3) 750x333750x333 192x83192x83 1,5501,550 Si(4)Si(4) 94x9494x94 73x7073x70 288288 33 MM Ft(2)Ft(2) 816x263816x263 245x105245x105 895895 44 MM Aw(14)Aw(14) 108x99108x99 54x4354x43 326326 Lv(8)Lv(8) 207x100207x100 67x6767x67 293293 Ft(10)Ft(10) 275x91275x91 31x3131x31 544544 55 M
M
Lv(17)Lv(17) 216x182216x182 53x2653x26 868868
Ft(22)Ft(22) 263x187263x187 33x3333x33 290290 Si(10)Si(10) 100x100100x100 33x3333x33 420420 Ed(12)Ed(12) 1,656x1861,656x186 250x125250x125 750750 66 MM Aw(14)Aw(14) 110x51110x51 26x2626x26 252252 Si(9)Si(9) 466x308466x308 38x3538x35 380380 77 FF Aw(16)Aw(16) 455x455455x455 100x91100x91 832832 Lv(5)Lv(5) 163x110163x110 30x2530x25 375375 Ms(18)Ms(18) 150x108150x108 113x38113x38 300300 Si(11)Si(11) 167x167167x167 105x57105x57 145145 88 FF Dp(10)Dp(10) 267x67267x67 50x3350x33 467467 Ft(8)Ft(8) 200x167200x167 67x3467x34 1,0671,067 Lv(45)Lv(45) 667x111667x111 56x5656x56 1,1111,111 Ms(14)Ms(14) 179x143179x143 71x3671x36 893893 Ov(10)Ov(10) 233x200233x200 33x3333x33 333333 Si(8)Si(8) 471x59471x59 30x3030x30 647647
9

9

F

F
Aw(15)Aw(15) 500x97500x97 156x97156x97 306306
Lv(8)Lv(8) 571x286571x286 71x7171x71 189189 Ms(5)Ms(5) 167x125167x125 63x6363x63 688688 Si(6)Si(6) 250x229250x229 188x63188x63 725725 1010 FF Si(9)Si(9) 143x86143x86 71x1471x14 357357 1111 FF Aw(20)Aw(20) 394x63394x63 31x3131x31 581581 Lv(12)Lv(12) 190x133190x133 33x3333x33 600600 Si(17)Si(17) 94x5694x56 42x2842x28 181181 1212 FF Aw(5)Aw(5) 333x146333x146 42x2142x21 479479 Li(12)Li(12) 313x227313x227 100x67100x67 333333 Lu(12)Lu(12) 217x139217x139 111x56111x56 556556 Lv(12)Lv(12) 133x133133x133 48x2448x24 333333 1313 FF Aw(17)Aw(17) 125x83125x83 42x4242x42 542542 Si(14)Si(14) 45x3245x32 32x2132x21 223223 Ft(15)Ft(15) 100x50100x50 33x1733x17 150150 1414 FF Lv(22)Lv(22) 111x56111x56 56x4256x42 833833 Si(14)Si(14) 147x59147x59 44x2944x29 588588 Pp(6)Pp(6) 88x5988x59 59x2959x29 294294

※ NF, CCFS가 가시화되는 내부 기관의 명칭; N, 입체현미경아래 셈해진 CCFS의 개수; BC 와 SC, CCFS에서 소체의 최대 최소 크기; L과 l, 각각 원형과 둥근 모양 소체의 가장 길고 가장 짧은 지름; D, 구별되는 두 개의 소체간 거리. ※ The name of the internal organization where NF and CCFS are visible; N, the number of CCFS counted under the stereoscopic microscope; Maximum and minimum size of corpuscles in BC, SC and CCFS; L and l, the longest and shortest diameters of round and round ciliated bodies, respectively; 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distinct corpuscles.

※ 참고 : (1) 각 숫자의 모든 단위는 μm이다. (2) 각 기관의 머리글자는 가시화된 CCFS가 얽혀있으면서 성기게 연결되어 감싸고 있는 조직(막)이다.※ Note: (1) All units of each number are μm. (2) The initials of each organ are tissues (membrane) that are entangled and sparsely connected and enclosed by visualized CCFS.

※ 내부 기관의 이름 약자: Aw (복부벽), Dp (횡격막), Ed (부고환), Ft (꼬리 대정맥 주위의 지방 조직), Li (대장), Lu (폐), Lv (간), Ms (장간막), Si (소장), Ts (고환), Pp (체강 흉막), Ov (난소). ※ Abbreviations for internal organs: Aw (abdominal wall), Dp (diaphragm), Ed (epidial testis), Ft (adipose tissue around the tail vein), Li (large intestine), Lu (lung), Lv (liver), Ms ( Mesentery), Si (small intestine), Ts (testis), Pp (body cavity pleura), Ov (ovary).

4. 가시화된 내부 기관의 동일 CCFS에 대한 입체현미경(SM)과 광학현미경(LM)의 동시 연계 방법4. Simultaneous linkage method of a stereoscopic microscope (SM) and an optical microscope (LM) for the same CCFS of visualized internal organs

내장막(VF)과 체벽막(PF)의 안과 겉면에 얽히어 분포하고 있는 CCFSs 구조의 존재를 입증하기 위하여, 소장의 내장막(VF)과 횡격막(PF)에서 관찰한 CCFS를 입체현미경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In order to prove the existence of the structure of CCFSs intertwined wit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visceral membrane (VF) and the body wall membrane (PF), the CCFS observed in the visceral membrane (VF) and diaphragm (PF) of the small intestine was observed under a stereoscopic microscope and optical Observed under a microscope.

구체적으로, 쥐를 안락사 시킨 후에 입체현미경(STX 60X, Olympus, Japan)으로 원위치 생체내(in situ, in vivo) 상태에서 소장의 내장막(VF)과 횡격막(PF)의 CCFS를 관찰하였다. 그 직후 상기 기관에 고정된 CCFS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였고, 반감쇠제(anti-fading agent, Thermo Fisher Scientific, USA)를 사용하여 들어올렸다. 현장에서 즉시 그 표본을 CCD 카메라(eXcope X3, DIX, Korea)가 장착된 광학현미경(BX53, Olympus, Japan)을 사용하여 촬영한 후 입체현미경과 광학현미경에 의해 얻은 사진을 비교하였다.Specifically, after euthanizing the mice, CCFS of the intestine visceral membrane (VF) and diaphragm (PF) were observed with a stereomicroscope (STX 60X, Olympus, Japan) in situ ( in vivo ) state. Shortly thereafter, the CCFS fixed to the trachea was partially dissected and lifted using an anti-fading agent (Thermo Fisher Scientific, USA). Immediately at the site, the specimen was taken using an optical microscope (BX53, Olympus, Japan) equipped with a CCD camera (eXcope X3, DIX, Korea), and then the photographs obtained by the stereoscopic microscope and the optical microscope were compared.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위치의 CCFS구조에 대해 입체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동시에 연계하여 관찰함으로써 막에 분포하고 있는 CCFS의 구조를 더욱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7, the structure of the CCFS distributed in the film could be more clearly confirmed by observing the CCFS structure at the same posi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tereoscopic microscope and the optical microscope at the same time.

구체적으로, 저배율에서 소장의 내장막(VF) 및 체벽막(PF)의 입체현미경 관찰을 통해 검게 염색된 CCFSs가 붉은 빛을 띄는 막 표면 위에 흩어져 분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저배율에서는 CCFSs의 정확한 구조를 거의 식별할 수 없었고, 소체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FSs)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 영역(도 7, a1에 있는 네모 부분)을 고배율로 확대 관찰을 함으로써 원위치 생체 내(in situ, in vivo) 상태에서 VF 및 PF 위에 있는 실 모양 구조물을 가진 CCFS의 명확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VF의 a2).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black-dyed CCFSs were scattered and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reddish membrane through stereoscopic observation of the visceral membrane (VF) and body wall membrane (PF) of the small intestine at low magnification. At low magnification, the exact structure of CCFSs could hardly be identified, and the filament-like structures (FSs) connected to the corpuscle were hardly seen. However, by magnifying some areas (the square in Fig. 7, a1) at high magnifica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lear appearance of the CCFS with the thread-like structure on the VF and PF in the in situ, in vivo state. (Fig. 7, VF a2).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한 직후에 VF 및 PF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떼어내고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리하여 VF 및 PF의 원위치 생체 내 상태의 입체현미경 사진을 시험관 내(in vitro) 상태의 광학현미경 사진과 비교할 수 있었다. 입체현미경의 네모난 점선(도 7, a1) 사진은 광학 현미경의 사진(도 7, a3)과 정확히 대응된다. CCFS의 광학현미경 사진으로부터 CSs와 FSs이 연결된 차별화된 CCFS의 형상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CCFS의 성분은 야누스 그린 B 로 염색되는 과립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7, a4 및 a5).Immediately after observation with a stereoscopic microscope, portions of VF and PF were separated, removed, and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Thus, the three-dimensional micrographs of the VF and PF in situ in vivo could be compared with the optical micrographs of the in vitro condition. The square dotted line (Fig. 7, a1) photograph of the stereoscopic microscope corresponds exactly to the photograph of the optical microscope (Fig. 7, a3). From the optical micrograph of CCFS, it was found that CSs and FSs have a differentiated shape of CCFS connec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component of CCFS consists of granules dyed with Janus Green B (Figs. 7, a4 and a5). ).

5. 형광발현세포분류(Fluorescent-activated cell sorting, FACS)5. Fluorescent-activated cell sorting (FACS)

본 발명에서 확인한 CCFS의 FACS 분석을 위해 순수한 CCFS를 격리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쥐의 간에 있는 CCFS를 식별하였다. CCFS의 위치를 파악한 직후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극소 겸자를 이용하여 CCFS만을 수집하였고, 이를 PBS(pH 7.4)가 들어 있는 1 ml의 에펜도르프 튜브(Eppendorf tube)에 집어넣었다. 이러한 절차와 병행하여 우리는 대조군(통제변인)으로서 체조직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체조직의 부피는 대략적으로 CCFS의 부피와 동일하였다. 이들 체조직은 CCFS와 동일하게 PBS(pH 7.4)가 들어 있는 1 ml의 에펜도르프 튜브(Eppendorf tube)에 넣었다. 실험 제어 용액의 전체 부피는 채(40-μm 구멍크기 그물채, BD Falcon)로 여과하였고, 살균된 고무봉을 사용하여 고르게 균질화 하였다. 균질화된 표본은 FACS(BD FACS Aris Cell Sorter) 분석을 진행하였다. 야누스 그린 B가 형광을 띄기 때문에 야누스 그린 B로 염색된 CCFS는 따로 염색할 필요가 없으나, 대조군인 체조직은 FACS 분석을 하기 전에 0.1% 아크리딘 오렌지로 염색하였다.Pure CCFS was isolated for FACS analysis of CCFS ident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rst, CCFS in rat liver was identifi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Immediately after the location of the CCFS was determined, only CCFS was collected using a micro forceps while observing with a stereoscopic microscope, and this was put into a 1 ml Eppendorf tube containing PBS (pH 7.4). In parallel with this procedure, we collected body tissues as a control (control variable). The volume of the collected body tissue wa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volume of CCFS. These body tissues were placed in a 1 ml Eppendorf tube containing PBS (pH 7.4) in the same manner as CCFS. The total volume of the experimental control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 sieve (40-μm pore size mesh, BD Falcon), and homogenized evenly using a sterilized rubber rod. Homogenized samples were subjected to FACS (BD FACS Aris Cell Sorter) analysis. Because Janus Green B exhibits fluorescence, CCFS stained with Janus Green B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stained, but body tissue as a control was stained with 0.1% acridine orange before FACS analysis.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CCFS(A)는 대조군(체조직)(B)에 비해 다양한 사이즈의 구성성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대적으로 과립도(granularity)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s shown in FIG. 8, CCFS (A) is composed of components of various sizes compared to the control (body tissue) (B), and has relatively high granularity.

6. CCFS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관찰6. CCF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observation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쥐의 간에 분포한 CCFS를 염색하여 가시화하고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한 직후, 이를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neutral buffered formalin, NBF)으로 고정시켰다. 간에서 고정된 CCFS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주사전자현미경 검사를 위해 격리시켰다. 격리된 표본은 10% NBF에 보관하였고 PBS(pH 7.4)로 세척하였다. 고정 및 세척이 완료된 표본은 PBS에서 20% 내지100% 에틸알코올을 사용하여 점진적으로 탈수시켰다. 탈수된 표본은 충분히 탈수될 때까지 실리카겔로 채워진 챔버에 보존하였고, SEM 검사를 할 수 있도록 가스 방출을 한 후, 전기장 방출 SEM(FE-SEM, Sirion, FEI, The Netherland)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CCFS distributed in the liver of mice was stained and visualiz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immediately after observation with a stereoscopic microscope, it was fixed with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NBF). The CCFS fixed in the liver was partially excised and isolated f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isolated samples were stored in 10% NBF and washed with PBS (pH 7.4). Samples that were fixed and washed were gradually dehydrated using 20% to 100% ethyl alcohol in PBS. The dehydrated specimens were stored in a chamber filled with silica gel until sufficiently dehydrated, and gas was released to enable SEM inspection, and then observed using an electric field emission SEM (FE-SEM, Sirion, FEI, The Netherland).

그 결과, 쥐의 간 표면에서도 입체현미경으로 소체 및 이를 연결하는 실 모양의 구조를 포함하는 CCFS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9, a1 및 a2). 다음으로, 동일한 부위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CCFSs가 장액(serous)의 내장막과 얽혀있을 뿐만 아니라 내장막의 성기게 연결된 섬유질과도 얽혀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모든 소체 구조가 실 모양 구조물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광학현미경으로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도 9, b1 내지 b7).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CFS including the corpuscle and the thread-shaped structure connecting it with a stereoscopic microscope on the surface of the liver of the rat (Figs. 9, a1 and a2). Next,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same site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t was confirmed that CCFSs were not only entangled with the visceral membrane of the serous, but also intertwined with the loosely connected fibers of the visceral membrane. In addition, it was not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that all corpuscle structures are connected to the thread-shaped structure, but it was clearly confirmed through observation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IGS. 9, b1 to b7).

7. 소장 CCFS의 조직학적 연구를 위한 샘플 준비7. Sample preparation for histological study of small intestine CCFS

일반적인 절차(School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에 따라 시료를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neutral buffered formalin, NBF)으로 고정시켰다. 즉, 시료를 PBS(pH 7.4)로 세척한 후, 다단계 에틸알코올로 탈수시키고, 크실렌으로 정화 후, 파라플라스트(Paraplast, Sigma, USA) 속에 끼워 넣어 준비하였다. 파라플라스트 분할부는 두께가 4 μm이다. 내부 기관과 관련된 CCFS의 분포에 대해 우리는 표본을 연속으로 분할하였고 순서대로 배열하여 염색후 광학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두 개의 슬라이드 사이의 간격은 약 32 μm이고 하나의 슬라이드에는 분할된 표본 8개가 올려졌다. 각 슬라이드 번호는 CCFS의 조직학적 자료에 나타나 있다.Samples were fixed with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NBF) according to the general procedure (School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at is, the sample was washed with PBS (pH 7.4), dehydrated with multi-stage ethyl alcohol, purified with xylene, and put into paraplast (Sigma, USA) to prepare. The paraplast segment is 4 μm thick. For the distribution of CCFS related to the internal organs, we divided the specimens in succession, arranged them in order, and examined them with an optical microscope after s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lides is about 32 μm, and 8 divided specimens were placed on one slide. Each slide number is indicated in the histological data of CCFS.

8. 헤마톡실린-에오신(HE, hematoxylin & eosin)과 매슨 트라이크롬(MT, Mattson trichrome)으로 CCFS 염색8. CCFS staining with hematoxylin & eosin (HE, hematoxylin & eosin) and Mattson trichrome (MT)

CCFSs의 조직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CFSs를 헤마톡실린-에오신(hematoxylin & eosin) 및 매슨 트라이크롬(Mattson trichrome) 염색 후 관찰하였다. 상기 고정된 시료에서 파라핀 제거 후에 CCFS를 PBS(pH 7.4)로 수화시켰다. 전체적인 형태와 콜라겐 섬유를 각각 조사하기 위하여 소장에 붙어있는 4-μm CCFS 슬라이스에 헤마톡실린-에오신(HE)과 매슨트라이크롬(MT)을 적용하였다. 이들 영상들은 200배, 400배, 1000배의 배율을 이용하여 광학현미경(BX 53, Olympus, Japan)으로 확인하였다. To confirm the histological properties of CCFSs, CCFSs were observed after staining with hematoxylin & eosin and Mattson trichrome. After paraffin removal from the fixed sample, CCFS was hydrated with PBS (pH 7.4). Hematoxylin-eosin (HE) and Masson Trichrome (MT) were applied to 4-μm CCFS slices attached to the small intestine to investigate the overall morphology and collagen fibers, respectively. These images were confirm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BX 53, Olympus, Japan) using magnifications of 200, 400, and 1000 times.

소장 겉 표면의 CCFSs를 헤마톡실린-에오신으로 염색한 결과, CCFSs가 소장의 최외각막, 장막의 내장막(serous viceral fascia)에 박혀 있는 동시에 겉 표면에도 분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도 10). 또한 조직학적으로 CCFSs는 장막(serous membrane)보다 호염기성 성질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주목할 것은 현미경 배율을 1000배로 확대하였을 때, CCFSs는 옅은 색의 세포질이 있는 세포와 더불어 호염기성 과립(도 10의 초록색 화살표)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of staining CCFS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 intestine with hematoxylin-eosin, it was found that CCFSs were lodged in the outermost cornea of the small intestine and the serous viceral fascia and were also distributed on the outer surface (Fig. 10). ). In addition, histologically, it was found that CCFSs had greater basophilic properties than the serous membrane. Note that when the microscope magnification was magnified to 1000 times, CCFSs were found to contain basophilic granules (green arrows in Fig. 10) in addition to cells with pale cytoplasm.

CCFSs를 매슨 트라이크롬으로 염색한 결과에서도 상기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결과와 유사하게 CCFSs가 소장 표면에 분포하는 동시에 소장 막에 박혀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또한, 매슨 트라이크롬 염색을 통해 CCFSs가 서로 다른 종류의 섬유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들 중의 가장 바깥쪽 섬유는 파란색을 띄는 콜라겐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콜라겐들은 내장막의 최외각막을 이루는 전형적인 특징이다(도 11).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hematoxylin-eosin staining of CCFSs with Masson's Trichrome, CCFSs are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small intestine and are embedded in the small intestine membrane. In addition, through Masson's trichrome staining, it was confirmed that CCFSs were composed of different types of fibers, and the outermost fibers of them were blue-colored collagen. These collagens are typical features of the outermost cornea of the visceral membrane (Fig. 11).

9. 면역조직화학 염색9.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상기 헤마톡실린-에오신 또는 매슨 트라이크롬으로 염색된 것과 같은 시료의 연속적인 단면들에 대해, 여기서 확인된 CCFSs가 림프관이나 혈관과 구분된새로운 구조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했다. 구체적으로, 표본의 파라핀을 제거하고 수화시켰다. 항원 검색(Antigen retrieval)은 pH 8.4, 100℃ 에서 24분 동안 수행되었다. 억제제(inhibitor)인 3% 과산화수소를 37℃에서 4분 동안 처리하였다. 주요 항체로 혈관내피세포의 표지자인 CD31(1:100, ab64543, Abcam)과 림프관 내피세포의 표지자인 Lyve-1(1:50, NB600-1008, Novus)를 37℃에서 16분 동안 적용하였다. 연계기 Linker(HQ linder)는 37℃에서 8분 동안 사용하였다. 37℃에서 8분 동안 폴리머 증폭을 수행한 후, 가시화를 위해 DAB을 37℃에서 8분 동안 처리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대조 염색으로서 헤마톡실린 염색을 37℃에서 8분 동안 수행하였다 (Ventana BenchMark XT 염색 시스템으로 OPTIVIEW universal DAB kit를 사용).For successive sections of the sample, such as those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or Masson Trichrom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at the CCFSs identified here are new structures distinct from lymphatic vessels or blood vessels. Specifically, the paraffin of the specimen was removed and hydrated. Antigen retrieval was performed at pH 8.4, 100°C for 24 minutes. Inhibitor (inhibitor) 3% hydrogen peroxide was treated for 4 minutes at 37 ℃. As major antibodies, vascular endothelial cell marker CD31 (1:100, ab64543, Abcam) and lymphatic endothelial cell marker Lyve-1 (1:50, NB600-1008, Novus) were applied at 37° C. for 16 minutes. Linker (HQ linder) was used for 8 minutes at 37 ℃. After performing the polymer amplification at 37° C. for 8 minutes, DAB was treated at 37° C. for 8 minutes for visualization. As a final step, hematoxylin staining as a control staining was performed at 37° C. for 8 minutes (using the OPTIVIEW universal DAB kit with Ventana BenchMark XT staining system).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림프관과 혈관은 각각 Lyve-1과 CD31에 대해 양성 반응을 나타내어 밝은 갈색을 띄었으나, 소장 막에 분포된 CCFSs는 모두 음성 반응을 나타내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2, lymphatic vessels and blood vessels exhibited positive reactions to Lyve-1 and CD31, respectively, and thus had a light brown color, but all CCFSs distributed in the small intestine membrane showed negative reactions.

10. TUNEL(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 염색10. TUNEL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 staining

CCFSs 내에서 세포 사멸(apoptotic cell)을 확인하기 위하여, TUNEL 염색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속으로 분할된 슬라이스를 가지고 TUNEL 분석 키트(Chemicon, S710)를 사용하여 TUNEL 염색을 수행하였다: (1) 파라핀 제거 후 수화, (2)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K(20 μg/ml)로 30분 동안 두 번의 표본 사전 처리, (3) 내부 과산화효소로 냉각, (4) 휴면상태 버퍼 안에서 5분 동안 배양, (5) 가습된 챔버에서 37℃, 1시간30분 동안 TdT 배양, (6) 버퍼를 이용해 표본을 충전 세척(stopping and washing), (7) 30분 동안 배양으로 항-디곡시게닌(anti-digoxigenin)과 결합시킨 후 세척, (8) 5분 동안 과산화효소 배양기에서 염색 채색과 세척, (9) 10초 동안 Mayer의 헤마톡실린으로 대조 염색, (10) 탈수와 설치(mounting).In order to confirm apoptosis in CCFSs, TUNEL staining was used. Specifically, TUNEL staining was performed using the TUNEL assay kit (Chemicon, S710) with the continuously divided slices: (1) hydration after removal of paraffin, (2) protease K (20 μg/ml) Pretreatment of two specimens for 30 minutes with (3) cooling with internal peroxidase, (4) incubation for 5 minutes in dormant buffer, (5) TdT incubation at 37°C for 1 hour 30 minutes in a humidified chamber, ( 6) Stopping and washing the sample using a buffer, (7) incubation for 30 minutes and then washing after binding with anti-digoxigenin, (8) staining in a peroxidase incubator for 5 minutes Coloring and washing, (9) counter staining with Mayer's hematoxylin for 10 seconds, (10) dehydration and mounting.

그 결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CFSs 내의 세포 분포 중 약 절반을 차지하는 죽은 세포들을 명확히 관찰할 수 있었고, 살아있는 세포들은 Mayer의 헤마톡실린 염색에 대조 염색 되어 파란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3, it was possible to clearly observe dead cells that occupy about half of the cell distribution in CCFS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iving cells were counter-stained to Mayer's hematoxylin staining to show blue color.

11. CCFS의 형광현미경(FM)과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CLSM) 관찰11. CCFS fluorescence microscopy (FM)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observation

CCFS 내부에서의 특성, 즉 세포외 DNA와 조각난 F-actin 을 검사하기 위해서 광학형광현미경과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 관찰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내장막 조직 중 대표적인 대장과 체벽막 조직 중 대표격인 복부의 벽에서 각각 CCFSs를 분리하였고, 순수한 CCFS의 DNA 분자 염색을 위해 DAPI(4', 6-diamidino 2-phenyllindole) (Prolong Gold Antifade Mountant with DAPI, Thermo Fisher Scientific)를 사용하였고, F-actin 분자 염색을 위해 팔로이딘(phalloidin) (Alexa Fluor 488 Phalloidin, Thermo Fisher Scientific)을 사용하였다. 염색 후에, 형광 필터(Olympus, Japan)가 있는 BX 53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고, DAPI와 팔로이딘으로 염색된 DNA 시그널과 F-actin 시그널을 식별하기 위하여 광학적 분할을 한 후, 공초점 주사 레이저 현미경(confocal laser-scanning microscopy, CLSM; LSM 800, Carl Zeiss, Germany)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Optical fluorescence microscopy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inside the CCFS, that is, extracellular DNA and fragmented F-actin. Specifically, CCFSs were isolated from the walls of the abdominal wall, which is a representative of the large intestine and body wall tissue, among the visceral tissues, and DAPI (4', 6-diamidino 2-phenyllindole) (Prolong Gold Antifade Mountant) for pure CCFS DNA molecule staining. with DAPI, Thermo Fisher Scientific) was used, and phalloidin (Alexa Fluor 488 Phalloidin, Thermo Fisher Scientific) was used for F-actin molecule staining. After staining, it was observed using a BX 53 optical microscope equipped with a fluorescent filter (Olympus, Japan), and after optical division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NA signal and F-actin signal stained with DAPI and phalloidin, a confocal scanning laser It was observed using a microscope (confocal laser-scanning microscopy, CLSM; LSM 800, Carl Zeiss, Germany).

그 결과,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CCFS가 소체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실 모양 구조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이러한 구조체들은 야누스 그린 B 로 염색된 과립 때문에 가시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립들은 명시야(bright-field) 광학현미경 하에서 다른 것들과 차이를 나타내며 쉽게 관찰할 수 있으나, DAPI나 팔로이딘으로 염색되지는 않았다(도 17).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14 to 16, it can be seen that the CCFS is composed of a corpuscle structure and connected by a thread-like structure, and these structures were visualized due to the granules dyed with Janus Green B. These granules show differences from others and can be easily observed under a bright-field optical microscope, but they were not stained with DAPI or phalloidin (FIG. 17).

주목할 것은 도 14의 a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많은 F-actin 분자가 조각난 신호를 관찰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공초점 주사 레이저 현미경을 사용하여 조각난 F-actin 분자에 대한 명확한 사진을 얻을 수 있었다(도 16, b9 및 b10, 빨간 화살표). Note that, as shown in a3 of FIG. 14, a fragmented signal of many F-actin molecules could be observed. A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e was used to obtain clear pictures of fragmented F-actin molecules (Fig. 16, b9 and b10, red arrows).

DAPI로 염색된 DNA 사진으로부터 죽은 세포들이 CCFSs 내에 존재한다는 또 다른 증거를 얻을 수 있었다. 도 14-a5의 형광현미경 사진과, 도 16-b11 및 b12의 공초점 주사 레이저 현미경 사진은 각각 무작위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세포외 DNA분자들을 나타낸다. 더욱 주목할 만한 사실은 CCFSs가 DAPI 로 염색된 DNA 조각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도 14, a5). 이렇게 조각난 DNA 분자들은 형광현미경 하에서는 분별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디지털 사진의 확대를 통해서, 조각난 DNA 분자의 신호를 인식할 수 있었다(도 18). Another evidence was obtained from the DAPI-stained DNA picture that dead cells were present in CCFSs. The fluorescence micrographs of Figs. 14-a5 and the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graphs of Figs. 16-b11 and b12 each show randomly distributed extracellular DNA molecules. More notable is that CCFSs contain DNA fragments stained with DAPI (Fig. 14, a5). Such fragmented DNA molecules are difficult to discriminate under a fluorescence microscope. However, through the enlargement of the digital photo, the signal of the fragmented DNA molecule could be recognized (FIG. 18).

결론적으로 세포외 DNA, 조각난 F-actin 분자, 및 알갱이 모양의 조각난 DNA 들은 CCFSs가 죽은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암시하는 중요한 정보들 이라고 할 수 있다. In conclusion, extracellular DNA, fragmented F-actin molecules, and granular fragmented DNA are important information suggesting that CCFSs are composed of dead cells.

12. 비행시간 이차이온 질량 분석계(Time-Of-Flight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TOF-SIMS) 분석12. Time-Of-Flight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TOF-SIMS) analysis

CCFSs 내의 이온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TOF-SIMS(time-of-flight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쥐의 복부 벽에서 채취한 CCFS를 10% NBF에 고정한 후에, PBS(pH 7.4)로 세 번 세척하고 증류수로(Sigma) 두 번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세척된 표본을 탄소 테이프가 부착된 구리판 위에 놓고 TOF-SIMS 검사를 시작하기 전에 며칠 동안 실리카 겔이 들어 있는 챔버에서 건조시켰다. 준비된 표본을 TOF-SIMS의 진공 챔버 안으로 올리고 표본을 둘러싼 CCFS와 배경부의 표면을 관찰하였다.To confirm the ionic composition in CCFSs, time-of-flight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TOF-SIMS) was performed. Specifically, the CCFS collected from the abdominal wall of the rat was fixed in 10% NBF, washed three times with PBS (pH 7.4) and washed twice with distilled water (Sigma). The washed specimen was then placed on a copper plate with carbon tape attached and dried in a chamber containing silica gel for several days before starting the TOF-SIMS test. The prepared specimen was placed in a vacuum chamber of TOF-SIMS and the CCFS surrounding the specimen and the surface of the background were observed.

TOF-SIMS 분석을 통해 CCFSs의 형태학적 자료뿐만 아니라 CCFSs내의 구성 성분에 대한 자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9는 TOF-SIMS를 통해 전반적인 주요 원소들을 결정한 후, 생체 내와 관련이 있는 원소들에 대한 자료만 모은 것이다. 결과적으로 CCFSs 내에서 양이온은 실리콘(Si+), 칼슘(Ca+)이, 음이온은 산소(O-)가 주요 원소이며, 단독의 탄소 분자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Through the TOF-SIMS analysis, not only the morphological data of CCFSs but also the data on the constituents of CCFSs were confirmed. 19 shows only data on elements related to in vivo after determining overall major elements through TOF-SIMS. As a result, the cation is silicon (Si +), calcium (Ca +) in the CCFSs, negative ions of oxygen (O -) was found to have a major elements, carbon molecules alone are not be observed.

13. CCFS의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관찰13. CCF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observation

쥐의 복부 벽에서 채취한 CCFS 단면적을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보다 자세히 확인하기 위해 먼저 입체현미경 아래에 원위치 생체내(in situ, in vivo) 상태에서 CCFS를 고정시켰다. 다음으로 격리된 순수 CCFS를 1시간 동안 중성 0.1 M PBS 안에서 2.5%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와 2.5%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안에 고정시켰다. 다음으로 CCFS를 1시간 동안 단계별 에탄올로 탈수시킨 후 PBS에 녹아 있는 1%(w/v) 오스믹 산에 고정시켰고, Epon812(EMS, Fort Washington, PA)에 끼워 넣었다. 준비된 표본을 1 μm 두께로 절단한 후 1% 톨루이딘 블루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CCD 카메라(eXcope X3, DIX, Korea)가 있는 광학현미경(BX 53, Olympus)으로 영상을 구하였다. 다음으로 표본을 아주 얇은 절단면으로 자르고 니켈 격자 위에 올려놓고 우라닐 아세테이트로 이중 염색하였다. 이것은 납 구연산염(lead citrate)으로 염색한 후에 이루어졌다. 절단면은 투과전자현미경(CM20, Philips)으로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0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check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CFS collected from the abdominal wall of the rat in more detail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the CCFS was first fixed in situ, in vivo under a stereoscopic microscope. Next, the isolated pure CCFS was fixed in 2.5% paraformaldehyde and 2.5% glutaraldehyde in neutral 0.1 M PBS for 1 hour. Next, CCFS was dehydrated with ethanol step by step for 1 hour and then fixed in 1% (w/v) osmic acid dissolved in PBS, and inserted into Epon812 (EMS, Fort Washington, PA). The prepared sample was cut to a thickness of 1 μm and stained with 1% toluidine blue for observation. Images were obtain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BX 53, Olympus) equipped with a CCD camera (eXcope X3, DIX, Korea). Next, the specimen was cut into very thin cuts, placed on a nickel grid, and double stained with uranyl acetate. This was done after staining with lead citrate. The cut surface was confirmed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CM20, Philip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0.

도 20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중 가장 저배율인 b1에서 실과 같이 생긴 구조물을 확인할 수 있으며, b1의 서로 다른 두 부분을 확대하여 각각 b2와 b3로 나타내었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실과 같이 생긴 구조물은 최외각막에 둘러싸여 있으며 많은 융합성 액포들과 섬유 구조를 관찰할 수 있었다. 소체 구조 내에서는, 세포막이 분해되고 인이 해체되며 세포질이 투명해지는 모습을 보이며, 죽은 세포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세포들 주위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과립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흥미롭게도, 소체 구조 내에서는 골수 유래 다색성 적혈모구 유사세포(marrow-derived polychromatic erythroblast-like cells)와 적혈구도 발견할 수 있었다.Among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s of FIG. 20, a structure that looks like a thread can be seen at b1, which is the lowest magnification, and two different parts of b1 are enlarged and shown as b2 and b3, respectively. The thread-like structure observed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was surrounded by the outermost cornea, and many confluent vacuoles and fiber structures were observed. In the corpuscle structure, cell membranes are decomposed, phosphorus is disassembled, cytoplasm becomes transparent, and dead cells can be observed. Also, granules of various sizes could be observed around these cells. Interestingly, within the corpuscle structure, marrow-derived polychromatic erythroblast-like cells and red blood cells were also found.

Claims (1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a)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마취시키는 단계;
(b) 5 내지 15 U(unit/ml)의 헤파린 용액을 정맥 주사하는 단계;
(c) 야누스 그린 B(JGB) 및 5 내지 15 U(unit/ml)의 헤파린을 포함하는 가시화 조성물을 주사한 후 30분 내지 60분 동안 기다리는 단계; 및
(d) 가시화 구조물을 관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c)의 야누스 그린 B와 헤파린은 9:1 내지 11:1 부피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내장계 또는 파시아(facia)에 존재하는,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을 가시화하는 방법.
(a) anesthetizing animals other than humans;
(b) intravenously injecting 5 to 15 U (unit/ml) of heparin solution;
(c) waiting for 30 to 60 minutes after injection of the visualization composition comprising Janus Green B (JGB) and 5 to 15 U (unit/ml) of heparin; And
(d) observing the visualization structure,
The Janus Green B and heparin of the step (c) are mixed in a volume ratio of 9:1 to 11:1, wherein a thread-like structure that is present in the visceral system or facia of an animal is formed. How to visualiz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마취 단계는 흡입 마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을 가시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method of visualizing a thread-shaped structure connected to the corpus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esthesia step of the step (a) is inhalation anesthesia.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조성물은 주사 전에 35 ~ 40℃로 유지되는 것인,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을 가시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composition of step (c) is maintained at 35 to 40° C. before injection, a method for visualizing a thread-shaped structure connected to a corpuscle.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조성물은 복강 또는 흉강 주사하는 것인,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을 가시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composition of step (c) is to be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or thoracic cavity, the method for visualizing the thread-shaped structure connected to the corpuscle.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관찰은 입체현미경(stereomicroscope), 광학현미경(light microscope), 공초점 레이저주사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 또는 동결주사전자현미경(cryo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Cryo-SEM)으로 측정하는 것인,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을 가시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observation in step (d) is a stereomicroscope, a light microscope,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 or a cryo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Cryo-SEM). A method of visualizing a thread-shaped structure connected to the corpusc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관찰은
원위치 생체내(in situ, in vivo) 상태에서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단계;
상기 입체현미경으로 확인된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조직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소체와 연결된 실 모양의 구조물을 가시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observation in step (d) is
Observing with a stereoscopic microscope in an in situ, in vivo state;
Separating a tissue including a thread-shaped structure connected to the corpuscular body identified by the stereoscopic microscope; And
It comprises the step of observing the separated tissue with an optical microscope,
A method to visualize the thread-shaped structure connected to the body.
삭제delete
KR1020180079789A 2018-07-10 2018-07-10 Composition for visualizing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 and visualizing method thereof KR1021510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789A KR102151088B1 (en) 2018-07-10 2018-07-10 Composition for visualizing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 and visualiz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789A KR102151088B1 (en) 2018-07-10 2018-07-10 Composition for visualizing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 and visualiz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268A KR20200006268A (en) 2020-01-20
KR102151088B1 true KR102151088B1 (en) 2020-09-02

Family

ID=6936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789A KR102151088B1 (en) 2018-07-10 2018-07-10 Composition for visualizing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 and visualiz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088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38050A (en) * 2004-03-11 2007-03-28 马林克罗特公司 X-ray contrast formulation comprising a mixture of iodinated monomer and dimer
KR100950246B1 (en) * 2005-05-20 2010-04-0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Visualizing agent comprising a janus green b and visualizing method by using the same
KR20120113694A (en) * 2012-09-28 2012-10-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 molecular imaging system using chemical conjugation of biocompatibility polymer medi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268A (en)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risson et al. Direct vascular channels connect skull bone marrow and the brain surface enabling myeloid cell migration
Garreta et al. Fine tuning the extracellular environment accelerates the derivation of kidney organoids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Han et al. Potential role of corneal epithelial cell-derived exosomes in corneal wound healing and neovascularization
Liu et al. Macrophages in the human cochlea: saviors or predators—a study using super-resolution immunohistochemistry
Ivanov et al. CCR7 and IRF4-dependent dendritic cells regulate lymphatic collecting vessel permeability
Ciontea et al. C‐kit immunopositive interstitial cells (Cajal‐type) in human myometrium
Matthijs et al. Neutrophil recruitment and phagocytosis of boar spermatozoa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of sows, and the effects of inseminate volume, sperm dose and specific additives in the extender
Lee et al. Visualizing the network of Bonghan ducts in the omentum and peritoneum by using Trypan blue
Liu et al. Hair follicle stem cells combined with human allogeneic acellular amniotic membrane for repair of full thickness skin defects in nude mice
Yang et al. Telocytes: novel interstitial cells present in the testis parenchyma of the Chinese soft‐shelled turtle Pelodiscus sinensis
Beccari et al. Quantifying microglial phagocytosis of apoptotic cells in the brain in health and disease
Müller-Deile et al. Glomerular endothelial cell-derived microRNA-192 regulates nephronectin expression in idiopathic membranous glomerulonephritis
Radic et al. Time-lapse imaging reveals highly dynamic structural maturation of postnatally born dentate granule cells in organotypic entorhino-hippocampal slice cultures
Mamede et al. Antifibrotic effects of total or partial application of amniotic membrane in hepatic fibrosis
Donati et al. Simultaneous isolation of endothelial and alveolar epithelial type I and type II cells during mouse lung development in the absence of a transgenic reporter
KR102151088B1 (en) Composition for visualizing Corpuscle-Connected Filiform Structures and visualizing method thereof
Murata et al. Morphometric analysis in mouse scleral fibroblasts using focused ion bea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Bradbury Hewer's textbook of histology for medical students
Lee et al. Characteristic features of a nerve primo-vessel suspended in rabbit brain ventricle and central canal
Nita et al. The presence of a vocal ligament in fetuses: a his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study
KR20170119936A (en) A refractive index matching composition for biological tissue
Nikravesh et al. The effect of camphor on the male mice reproductive system
KR20070092200A (en) Visualizing agent comprising a janus green b and visualizing method by using the same
Zhao et al. Platelet generation from circulating megakaryocytes is triggered in the lung vasculature
Lee Evidence for novel tubular-bundle structures entangled in the fascia of the inner abdominal wall of a r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