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688B1 - 작물 순제거기 - Google Patents

작물 순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688B1
KR102150688B1 KR1020190111977A KR20190111977A KR102150688B1 KR 102150688 B1 KR102150688 B1 KR 102150688B1 KR 1020190111977 A KR1020190111977 A KR 1020190111977A KR 20190111977 A KR20190111977 A KR 20190111977A KR 102150688 B1 KR102150688 B1 KR 102150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ower means
safety plate
plate bod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근
Original Assignee
이신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신근 filed Critical 이신근
Priority to KR1020190111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대 형태의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마련되어, 동력수단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칼날, 상기 작업대의 타측에 마련되어,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 및 상기 칼날 주변에 마련되어, 상기 칼날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파편이 후방으로 날아가는 것을 차단하는 안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동력수단의 구동제어를 위한 제어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제어입력에 따라 상기 동력수단에 대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판은,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한 원판형의 안전판몸체와, 상기 안전판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칼날측으로 절곡된 테두리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판몸체는,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과,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뻗어나간 돌출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응력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순제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작물 순제거기 {APPARATUS FOR ELIMINATING CROP SHOOT}
본 발명은, 참외, 수박, 호박과 같은 넝쿨식물이나 살구, 복숭아, 사과, 포도, 대추 등의 과실나무 등의 순을 제거하기 위한 작물 순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랑에는 발아율 향상, 생육촉진, 잡초발생억제 등의 목적으로 비닐멀칭을 하여 농작물을 심고, 이랑과 이랑 사이의 고랑에는 농약 살포 및 농작물 관리 배수와 수확물 운반의 통로로 사용된다.
넝쿨식물의 종류에 따라 참외, 수박, 호박은 아들순이나 손자순에서 좋은 열매를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순지르기(또는 순따주기)를 하게 되며, 순지르기를 하고 나면 세력이 더 왕성해져 고랑으로 넝쿨이 내려오게 된다.
그러나 고랑으로 넝쿨이 내려오면 작업자의 통행에 방해가 될 뿐 아니라, 작업자가 넝쿨을 밟아 상처가 생기면 상처로 병균이 침투하여 농작물이 말라 죽거나 병에 걸리는 문제점이 있어, 고랑으로 내려온 넝쿨을 작업자가 가위나 낫으로 하나하나 잘라주고 있다.
작업자가 넝쿨을 하나하나 자르는 작업은 속도가 느리며 몸이 피곤해지는 문제가 있어,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0268호에서는 순제거기에 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한 선행특허는 안전커버에 결합되는 넝쿨유도편의 끝이 뾰족하여 이랑을 덮고 있는 비닐을 찢을 우려가 있으며, 안전커버의 절곡부분이 작업자의 상반신 방향에만 형성되어 있어, 회전하는 칼날에 의해 발생하는 파편이 튈 경우 작물이나 비닐에 상처를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구현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20-0460268 Y1
본 발명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칼날로 작물 순제거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고속 회전하는 칼날에 의해 발생하는 양력이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작물 순제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막대 형태의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마련되어, 동력수단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칼날, 상기 작업대의 타측에 마련되어,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 및 상기 칼날 주변에 마련되어, 상기 칼날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파편이 후방으로 날아가는 것을 차단하는 안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동력수단의 구동제어를 위한 제어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제어입력에 따라 상기 동력수단에 대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판은,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한 원판형의 안전판몸체와, 상기 안전판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칼날측으로 절곡된 테두리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판몸체는,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과,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뻗어나간 돌출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응력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순제거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안전판몸체는, 둘레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안전판몸체는, 복수 개의 상기 응력보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응력보강부는, 상기 개구부의 양측단부에 두 개가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응력보강부 사이의 중앙부에 한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은, 상기 복수 개의 응력보강부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안전판몸체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부에 의해 앞부분이 뾰족한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에 걸쳐진 줄기는, 상기 오목홈부의 내측과 상기 칼날 사이에 개재되어 컷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테두리커버는, 단차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제1 및 제2 커버를 포함하되, 높이가 낮은 제1 커버는, 상기 걸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칼날은, 판상의 막대기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입력은, 상기 동력수단의 구동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입력과, 상기 동력수단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조절입력과, 상기 동력수단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회전방향전환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력수단의 구동을 오프시키기 위한 입력에 따라 상기 동력수단의 구동을 정지하되, 정지 전 기 설정된 소정시간동안 대기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력수단을 상기 대기모드시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구동시키도록 하고, 외부에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작물 순제거기는, 상기 동력수단의 회전축에 상기 칼날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구는,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는 축삽입구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축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을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가 측면에 삽입되는 제1 몸체와, 스패너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향하는 양 측면이 나란하게 깎아진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칼날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상기 칼날과 결합되는 나사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는 상기 나사산부 이외에 돌출 형성된 부분이 없는 볼트 모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순제거기는, 칼날의 고속 회전으로 작물 순제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날 및 안전판을 이용하여 칼날이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칼날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양력에 의해 의도치 않은 움직임으로 작업의 난이도가 향상되는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고, 또 고속회전하는 칼날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판은, 단차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테두리 커버를 가져, 안전판을 경량화함과 동시에 걸이부의 끝을 넓게 형성하여 걸이부의 끝이 멀칭비닐을 쉽게 찢을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를 이용하여 동력수단몸체와 칼날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동력수단몸체와 칼날 사이에 넝쿨이 말려들어가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동력수단을 대기모드 상태로 진입시켜 회전 관성력에 의해 동력수단이나 제어기판에 데미지(damage)가 입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정지 후 재구동에 의해 고속 회전시 보다 적은 전력으로 고속 회전으로 손쉽게 복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순제거기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에 마련된 입출력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판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날 및 안전판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판의 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날이 넝쿨을 자르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수단과 칼날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 체결구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날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순제거기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순제거기(1)는, 막대 형태의 작업대(14)와, 작업대(14)의 일측에 마련되어 동력수단(111)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칼날(114)을 포함하는 절단부(11)와, 작업대(14)의 타측에 마련되어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12)와, 칼날(114) 주변에 마련되어 칼날(114)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파편이 후방으로 날아가는 것을 차단하는 안전판(1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작물 순제거기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작업대(14)는 막대 형태로, 일측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2)가 마련될 수 있고 타측에는 넝쿨(3)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부(11)가 마련될 수 있다.
작업자는 손잡이(12)를 파지한 상태에서 작업대(14)를 매개체로 절단부(11)를 리프팅하여, 참외, 수박, 호박과 같은 넝쿨식물이나 살구, 복숭아, 사과, 포도, 대추 등의 과실나무 등의 순을 제거할 수 있다.
작업대(14)는 길이가 고정된 1단의 막대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2단 이상으로 두 막대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 결합되어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전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절단부(11)는 넝쿨 따위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동력수단(111)과, 동력수단(111)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칼날(114)과, 칼날(114) 주변에 마련되어 칼날(114)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파편이 후방으로 날아가는 것을 차단하는 안전판(113)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수단(111)은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일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수단(111)은 직류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직류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수단(111)의 구동제어는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명령에 의해 구동을 온(on)/오프(off)하거나 회전 속도를 가변할 수 있다.
동력수단(111)은 종래 7~8,000 rpm 보다 고속인 10,000 rpm ~ 25,000 rpm의 회전속도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회전속도가 낮은 경우 칼날(114)은 마른 넝쿨을 절단하지 못하고 칼날 회전축에 감길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수단(111)이 10,000 rpm 이상의 회전속도를 가지면 마른 넝쿨도 절단하여 칼날과 동력수단 사이에 감기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때 동력수단(111)의 회전속도는 정속이 아닌 제어명령에 의해 단계별로 다른 회전속도를 가진 다단(일 예로, 40단 또는 41단)의 가변속도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수단(111)은 제어입력에 따라 단계별 다른 속도로 고속 회전이 가능하도록 전류 또는 전압 주파수 제어에 의해 구동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수단과 칼날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수단(111)의 회전축(1112)에 칼날(114)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칼날(114)은 넝쿨 등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상은 도 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의 막대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원판형(도 9 참조)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원판형의 칼날은 도 7에 도시한 막대형의 칼날보다 절단력은 다소 떨어지지만, 장애물과의 충격에 의해 칼날이나 동력수단(111)에 작용하는 데미지(damage)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어, 큰 돌이 많거나 철사가 많은 작업환경에서는 막대형 칼날보다는 원판형 칼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칼날(114)은 교체 가능하도록 탈부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날(11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수단(111)이 고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에 의해 칼날(114)이 비틀어지지 않도록 두께가 1.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칼날의 무게에 의한 하중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1.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칼날(114)의 두께가 1.2mm인 것이 좋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칼날(114)은 10,000 rpm 이상으로 고속회전하기 때문에, 칼날(114)의 회전에 의해 작업대의 일측에는 양력이 발행할 수 있으며, 양력이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양력에 의해 작업자는 절단부(11)를 의도한 대로 이동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막대형 칼날(114)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141)을 포함할 수 있다. 칼날 관통공(1141)은 원형이나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칼날 관통공(1141)의 형상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원판형 칼날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고,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은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칼날(114)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141) 중 적어도 일부는 그 위치가, 후술하는 안전판몸체(1131)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134a~1135b) 중 적어도 일부와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칼날(114)의 회전시 칼날의 관통공(1141)의 위치가 안전판몸체(1131)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134a~1135b)의 위치와 일치함으로써, 칼날(114)의 고속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양력 문제나 소음 문제를 해소토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칼날(114)을 동력수단의 회전축(1112)에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순제거기(1)는 체결구(1113)과 이에 결합되는 너트(111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구(1113)는 저면에 형성된 축삽입구(미도시)에 회전축(1112)이 삽입된 채로 고정 결합되고, 그 반대측에 돌출 형성된 나사산부(1131b)에 칼날(114)의 체결공이 끼워진 상태로 너트(1115)가 체결됨으로써, 칼날(114)은 동력수단의 회전축(1112)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1113)는 종래 체결구(2)와 다르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삽입구에 삽입된 회전축(1112)을 고정 결합시기키 위한 볼트(22')가 측면에 삽입되는 제1 몸체(21)와, 스패너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향하는 양 측면이 나란하게 깍아진 제2 몸체(2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종래 체결구(2)는 상기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가 별도로 구현되어, 동력수단몸체(1111)와 칼날(114) 사이의 길이가 길어져, 그 사이에 넝쿨이 말려 들어가 칼날(114)의 회전에 간섭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111)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21, 22)를 일체로 형성 구현하여, 하나의 몸체(1113a)에 나사산부(1113b)만 돌출된 대략 볼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2)는 동력수단몸체(1111)와 칼날(114) 사이의 간격(또는 길이)를 최소화하여, 동력수단몸체(1111)와 칼날(114) 사이에 넝쿨이 말려들어가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체결구(1113)의 몸체(1113a)는 나사산부(1113b)에 너트(1115) 결합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패너를 끼울 수 있도록 양 측면이 나란하도록 절삭될 수 있다.
한편, 안전판(113)은 칼날(114)의 후방, 칼날(114)의 주면에 위치하여 동력수단(111)에 결합됨으로써, 칼날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파편이 주변으로 날아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판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날 및 안전판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판의 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판(113)은 가급적 넓은 범위를 감쌀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가진 원판형의 안전판몸체(1131)와, 안전판몸체(1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칼날(114)측(또는 전방)으로 절곡된 테두리커버(1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안전판몸체(1131)의 직경은 칼날(114)의 회전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최소한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되, 상기 개구부는 안전판몸체(1113)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각이 90° ~ 18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 150°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는 테두리커버(1133)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가리킬 수 있다.
또한, 안전판몸체(1131)는 칼날(114)이 10,000 rpm 이상으로 고속회전하기 때문에, 칼날(114)과 안전판몸체(1131) 사이에 빠른 공기 흐름으로 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전판몸체(1131)는 관통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134a~1135b)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날(114)과 안전판몸체(1131) 사이에서 빠르게 흐르는 공기를 안전판몸체(1131)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134a~1135b)을 통해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안전판몸체 관통공(1134a~1135b)은, 도 3 및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안전판몸체 관통공(1134a~1135b)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층으로 겹치게 배치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둘레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안전판몸체 관통공(1134a~1135b)의 길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한 원주에 두 개의 안전판몸체 관통공(1134a~1135b)이 형성되고 그 두 개의 관통공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안전판몸체(1131)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곧게 뻗은 어느 한 응력보강부(1132b)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는 동일 길이의 안전판몸체 관통공(1134a~1135b)이 형성될 수 있다.
응력보강부(1132a~1132c)는 안전판몸체(1131)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원판형의 중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곧게 뻗어나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응력보강부(1132a~1132c)는 칼날(114)의 고속회전 등으로 안전판몸체(1131)가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국 응력보강부(1132a~1132c)에 의해 안전판몸체(1131)의 두께를 더 얇게 구현할 수 있어 안전판몸체(1131)를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만약 안전판몸체(1131)가 3개의 응력보강부(1132a~1132c)를 포함하는 경우, 개구부의 양측단부에 원주방향으로 곧게 뻗은 2개의 응력보강부(1132a, 1132c)가 배치되고, 그 사이 중앙부에 1개의 응력보강부(1132b)가 배치되며, 중앙부의 응력보강부(1132b)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동일 길이의 안전판몸체 관통공(1134a~1135b)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응력보강부(1132b)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형성된 안전판몸체 관통공(1134a~1135b)이 동일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칼날(114)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함은 물론, 그 발생하는 소음을 규칙적으로 하여 발생 소음의 주파수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소음에 의한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안전판몸체(1131)는 개구된 부분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부(1138)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판몸체(1131)의 개구부 일측에 오목홈부(1138)가 형성됨으로써, 형성된 오목홈부(1138)에 의해 앞부분이 뾰족한, 즉 오목홈부(1138)의 앞부분에 안전판몸체(1131)의 가장자리 폭이 좁은 걸이부(113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걸이부(1139)를 틈에 끼워 넣어 넝쿨을 들어올려 걸칠 수 있고, 걸이부(1139)에 걸쳐진 줄기는 오목홈부(1138)의 내측과 칼날(114) 사이에 개재되어 컷팅됨으로써, 작업자는 고랑에 쪼그려 앉아 넝쿨을 자르지 않고 서서 넝쿨을 자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수단(111)의 정회전 방향은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오목홈부(1138)의 깊이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며, 동력수단(111)의 역회전 방향은 상기 오목홈부(1138)가 형성되지 않은 측의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안전판(113)은 안전판몸체(1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칼날(114)측(또는 전방)으로 절곡된 테두리커버(1133)를 포함하여, 칼날(114)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파편이 후방으로 날아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커버(1133)는 단차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테두리커버(1133)는 안전판몸체(1131)의 가장자리 전반에 걸쳐 형성되되, 단차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제1 및 제2 커버(1133a, 1133b)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 일 예로, 제1 커버(1133a)의 높이는 0.8 ~ 0.9cm 일 수 있고, 제2 커버(1133b)의 높이는 1.5 ~ 1.8cm, 바람직하게는 1.7cm일 수 있다. 그 중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1 커버(1133a)는 걸이부(1139)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커버(1133a)의 높이를 되도록 낮게 하여 안전판(113)을 경량화하되, 걸이부(1139)의 끝을 넓게 형성하여 걸이부(1139)의 끝이 멀칭비닐을 찢을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대(14)의 타측에 마련된 손잡이(12)는, 작업대(14)와 결합하는 작업대결합부(12)와,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22)와, 작업자로부터 제어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제어입력에 따라 동력수단(111)에 대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 및 작물 순제거기(1)의 동작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에 마련된 입출력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받은 제어입력은, 온오프스위치(1211)를 통해 동력수단(111)의 구동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on/off)입력과, 속도제어다이얼(1213)을 통해 동력수단(111)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조절입력과, 회전방향전환스위치(1215)를 통해 동력수단(111)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회전방향전환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출력패널(121)의 상태출력부(1214)는 온오프스위치(1211)의 작동에 의해 동력수단(111)의 구동여부를 LED 등으로 출력하거나, 또 회전방향전환스위치(1215)의 작동에 의해 동력수단(111)의 회전방향을 LED 등으로 출력하거나, 또 동력수단(111)이 정상모드인지 또는 대기모드인지를 LED 등으로 출력함으로써,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2의 미설명부호 1212는 속도출력부로서, 속도제어다이얼(1213)의 작동에 의해 제어되는 동력수단(111)의 속도단계를 숫자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동력수단(111)이 온오프스위치(1211) 등의 작동으로 구동을 정지하기 전에 기 설정된 소정시간(일 예로 10초) 동안 대기모드로 전환 및 진입할 수 있다.
동력수단(111)이 정상모드인 경우에는 작업자의 제어입력에 의해 설정된 회전속도로 동력수단(111)이 구동될 수 있으나, 대기모드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속도는 10,000 rpm 미만의 회전속도일 수 있다.
대기모드 상태의 동력수단(111)은 동력수단(111)이 오프(off) 제어명령에 의해 바로 정지하면, 회전 관성력에 의해 동력수단(111)에 데미지(damage)를 입힐 수 있으며, 동력수단(111)의 잔여전류가 제어기판으로 역류하여 제어기판에도 데미지(damage)를 입힐 수 있고, 대기모드 상태에서 다시 온(on) 제어명령의 입력에 의해 동력수단(111)이 고속 회전으로 작동할 때 적은 전력으로 손쉽게 복귀할 수 있다. 동력수단(111)의 회전 정지상태에서 고속 회전할 때에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고속 회전하는 것보다 회전 관성력에 의해 많은 전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때, 대기모드 상태의 동력수단(111)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동력수단(111)의 회전속도를 점차 낮아지도록 제어하여, 상기 기 설정된 소정시간이 만료되었을 경우 회전이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작업자가 동력수단(111)이 현재 대기상태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대기모드 상태에 진입한 경우 제어부는 외부에 알림신호로서, 상태출력부(1214)를 통해 LED 등을 점멸하여 시각적인 신호를 출력하거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청각적인 신호로서 비프음(beep)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의 미설명부호 124는 전력공급용전선으로서, 외부 상용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선을 가리키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부 상용의 전원은 작업자가 휴대하는 배터리(일 예로 12V 또는 24V의 배터리)일 수 있다. 또한, 도 1의 미설명부호 112는 동력수단(111)에 전력 및/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선을 가리킨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작물 순제거기 11: 절단부
111: 동력수단 1111: 동력수단몸체
1112: 회전축 1113: 체결구
1113a: 몸체 1113a': 볼트
1113b: 나사산부 1115: 너트
112: 동력수단용 전선 113: 안전판
1131: 안전판몸체 1132a~1132c: 응력보강부
1133: 테두리커버 1133a: 제1 커버
1133b: 제2 커버 1134a~1135b: 관통공
1136: 동력수단클램프 1137: 동력수단관통공
1138: 오목홈부 1139: 걸이부
114: 칼날 1141: 관통공
12: 손잡이 121: 입출력패널
1211: 온오프스위치 1212: 속도출력부
1213: 속도제어다이얼 1214: 상태출력부
1215: 회전방향전환스위치 122: 파지부
123: 작업대결합부 124: 전력공급용전선
13: 보조손잡이 14: 작업대
2: 체결구 21: 제1 몸체
22: 제2 몸체 22': 볼트
23: 나사산부 3: 넝쿨

Claims (10)

  1. 막대 형태의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마련되어, 동력수단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칼날;
    상기 작업대의 타측에 마련되어,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 및
    상기 칼날 주변에 마련되어, 상기 칼날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파편이 후방으로 날아가는 것을 차단하는 안전판;
    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동력수단의 구동제어를 위한 제어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제어입력에 따라 상기 동력수단에 대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판은,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한 원판형의 안전판몸체와, 상기 안전판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칼날측으로 절곡된 테두리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판몸체는, 상기 칼날의 고속회전으로 발생하는 양력에 의해 발생하는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뻗어나간 돌출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응력보강부와, 상기 응력보강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층으로 겹치게 형성되며,
    상기 안전판몸체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둘레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목홈부의 외측은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뾰족하게 형성된 걸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걸이부에 걸쳐진 줄기는, 상기 오목홈부의 내측과 상기 칼날 사이에 개재되어 컷팅되고,
    상기 안전판몸체가 상기 걸이부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테두리커버는, 상기 걸이부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걸이부의 끝이 멀칭비닐을 쉽게 찢을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순제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몸체는, 복수 개의 상기 응력보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응력보강부는, 상기 개구부의 양측단부에 두 개가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응력보강부 사이의 중앙부에 한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은, 상기 복수 개의 응력보강부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순제거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커버는, 단차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제1 및 제2 커버를 포함하되,
    높이가 낮은 제1 커버는, 상기 걸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순제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은, 판상의 막대기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순제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입력은, 상기 동력수단의 구동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입력과, 상기 동력수단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조절입력과, 상기 동력수단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회전방향전환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순제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력수단의 구동을 오프시키기 위한 입력에 따라 상기 동력수단의 구동을 정지하되, 정지 전 기 설정된 소정시간동안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순제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력수단을 상기 대기모드시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구동시키도록 하고, 외부에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순제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 순제거기는,
    상기 동력수단의 회전축에 상기 칼날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구는,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는 축삽입구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축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을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가 측면에 삽입되는 제1 몸체와, 스패너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향하는 양 측면이 나란하게 깎아진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칼날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상기 칼날과 결합되는 나사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는 상기 나사산부 이외에 돌출 형성된 부분이 없는 볼트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순제거기.
KR1020190111977A 2019-09-10 2019-09-10 작물 순제거기 KR102150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977A KR102150688B1 (ko) 2019-09-10 2019-09-10 작물 순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977A KR102150688B1 (ko) 2019-09-10 2019-09-10 작물 순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688B1 true KR102150688B1 (ko) 2020-09-01

Family

ID=7245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977A KR102150688B1 (ko) 2019-09-10 2019-09-10 작물 순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6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54696A1 (en) * 2021-09-28 2023-03-29 Techtronic Cordless GP Trimmer guard and trimmer
US20230264313A1 (en) * 2022-02-24 2023-08-24 Techtronic Cordless Gp Control system for normally-on power too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1895A (ko) * 2006-09-05 2008-03-10 주식회사 코리아메탈 농업용 제초기의 안전커버
KR20100002933U (ko) * 2008-09-04 2010-03-12 이시환 농작물 순제거기의 커터날 고정장치
KR200448876Y1 (ko) * 2010-03-03 2010-05-28 김용만 휴대용 예초기 회전날
KR200460268Y1 (ko) 2010-07-01 2012-05-10 이시환 순제거기용 덩굴유도편
KR20150100314A (ko) * 2014-02-25 2015-09-0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초기용 안전커버
KR20180079797A (ko) * 2017-01-02 2018-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잔디깎기 로봇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1895A (ko) * 2006-09-05 2008-03-10 주식회사 코리아메탈 농업용 제초기의 안전커버
KR20100002933U (ko) * 2008-09-04 2010-03-12 이시환 농작물 순제거기의 커터날 고정장치
KR200448876Y1 (ko) * 2010-03-03 2010-05-28 김용만 휴대용 예초기 회전날
KR200460268Y1 (ko) 2010-07-01 2012-05-10 이시환 순제거기용 덩굴유도편
KR20150100314A (ko) * 2014-02-25 2015-09-0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초기용 안전커버
KR20180079797A (ko) * 2017-01-02 2018-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잔디깎기 로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54696A1 (en) * 2021-09-28 2023-03-29 Techtronic Cordless GP Trimmer guard and trimmer
US20230264313A1 (en) * 2022-02-24 2023-08-24 Techtronic Cordless Gp Control system for normally-on power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688B1 (ko) 작물 순제거기
CN207721045U (zh) 枸杞株间与田垄割草机
US6250056B1 (en) Rotary blade pruning machine
CN207802851U (zh) 一种多功能乔木用高枝剪
CN109258067A (zh) 一种用于园林绿化的打草机刀盘调节装置
US3923102A (en) Tool for edging around sprinkler heads
WO1993004574A1 (en) Mowing machine, structure thereof for discharching mowed grass, and structure for replacing rotary weeder
KR20160084642A (ko) 박피 깊이의 조절기능을 갖는 환상박피기
US5228521A (en) Plant removing, mowing and trimming apparatus
CN108040585A (zh) 一种新型背负式草坪修剪机
CN109287267B (zh) 一种免弯腰草莓采摘器
CN207626163U (zh) 一种带喷药和消毒功能的电动打顶抑芽剪及打顶抑芽系统
CN208227727U (zh) 一种手扶式菠萝收割机
KR20160049770A (ko) 나무 박피장치
WO2012043998A2 (ko) 예초기 벌초장치
CN207911446U (zh) 一种果树砧木剪切机构及果树砧木剪切机
KR20220098475A (ko) 과수용 속피 절단기
KR200484541Y1 (ko) 멀칭비닐 천공기
CN218788938U (zh) 一种农业种植用松土翻土设备
CN212344612U (zh) 一种便捷式园林施工用电动锯
CN214126144U (zh) 一种油桃植株修剪装置
CN212876740U (zh) 一种园林绿化养护装置
CN204929653U (zh) 一种除草装置
CN109479501A (zh) 手推式小麦收割机
CN211703014U (zh) 一种无花果采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