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598B1 -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 - Google Patents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598B1
KR102150598B1 KR1020200058281A KR20200058281A KR102150598B1 KR 102150598 B1 KR102150598 B1 KR 102150598B1 KR 1020200058281 A KR1020200058281 A KR 1020200058281A KR 20200058281 A KR20200058281 A KR 20200058281A KR 102150598 B1 KR102150598 B1 KR 102150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user
layer
color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8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5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6Thermosensit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1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 G01K11/14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of in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손과 같은 신체에 묻은 세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세정제가저장되어있는 세정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세정액이 저장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몸체가 포함되는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지름 5 ~ 100㎜, 길이 10 ~ 30㎝인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외면으로 숫자, 문자 및 문양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 38℃ 이상의 온도에서 색이 변화하도록 시온안료가 포함되는 변색층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상기 몸체를 접촉시켜 변색층의 변색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체온이 38℃ 이상인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이마)에 몸체를 접촉시켜 변색층의 변색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체온이 38℃ 이상인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고열을 일으키는 코로나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여부를 자가진단할 수 있어, 대규모 감염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은 물론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시켜주고, 체온계의 눈금을 확인하기 어려운 영유아나 노약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이상체온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따로 온도계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으며 빠르고 신속한 확인과 응급조치로 고열을 동반하는 감염성 높은 질병의 조기대처 및 지속적인 체온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Body temperature sensitive washing container}
본 발명은 주로 손과 같은 신체에 묻은 세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세정제가 저장되는 세정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정제가 저장되는 몸체에 시온안료로 이루어지는 변색층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접촉시키면 사용자의 체온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직장, 병원, 공장 등과 공동시설에서는 다수의 인원 중 한사람이 전염성 질병을 가지거나 감염되면, 해당 질병을 같이 모여있는 인원들에게 질병을 퍼뜨릴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감염자들은 조기에 발견하여, 격리 조취를 취하는 등 전염될 가능성을 차단시켜야 한다.
최근에는 독감 외에도 호흡기성 전염병이 새롭게 발생하여, 광범위하게 사람들에게 감염시킬 수 있는 위험 상황들이 자주 발생된다. 예를들어, 사스(SARS,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신종플루, 에볼라, 메르스m 코로나19 등 신종 전염병들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염성 질병들은 감기 등 통상의 질병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감염자 자신도 전염성 질병이 확진되기 전까지는 감염 사실 자체를 알기 어렵다. 따라서 공동시설에서 이러한 감염자들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추가적인 검사나 격리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 이러한 전염성 질병들은 열을 동반하게 되어, 심한 열을 가진 사람들은 1차적으로 해당 질병 의심자로 판단할 수 있고, 정밀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체온을 측정하여 1차적인 의심자를 판단할 수 있다.
기존의 체온계는 비용이 과다하고 진단하는 과정에 체온계로 한사람씩 체온을 측정해야 하므로 인력과 시간 소요가 과다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체온계를 항상 휴대하고 다니기에도 적합하지 않아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어왔다.
한편,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창궐하고 있어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이 급속도로 바뀌고 있으며, 특히 비말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스크나 세균을 제거하는 세정제가 저장되는 세정용기 등을 필수적으로 착용하거나 휴대하고 다니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감염성질병은 줄어들지 않고 계속적으로 새로운 감염성질병은 발생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고, 이에 따라 체온을 측정하는 휴대용 체온계와 감염성질병의 확산을 최소화하는 마스크나 세정제가 저장되는 세정용기 등의 쓰임새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11521호 (2017.02.02)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 제10-1792232 (2017.10.2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세정제가 저장되는 몸체에 시온안료로 이루어지는 변색층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접촉시키면 사용자의 체온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어 고열을 일으키는 코로나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여부를 자가진단할 수 있어, 대규모 감염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은 물론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시켜주는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세정액이 저장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몸체가 포함되는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외면으로 숫자, 문자 및 문양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 38℃ 이상의 온도에서 색이 변화하도록 시온안료가 포함되는 변색층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상기 몸체를 접촉시켜 변색층의 변색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체온이 38℃ 이상인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 하측에 결합홈이 한쌍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몸체의 상, 하측을 수용하되, 수용하는 단부가 결합홈에 이르도록 형성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단부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결합홈에 인입되는 인입부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투명재질인 수용체가 구성되고, 상기 수용체의 연결부에 변색층이 형성되며, 상기 변색층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시온안료 100 ~ 130 중량부, 벤토나이트 분말 30 ~ 45중량부,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25 ~ 35중량부, 실란 커플링제 5 ~ 8중량부, 산화아연 5 ~ 10중량부, 용제 15 ~ 25 중량부, 황산바륨 2 ~ 3중량부, 유화제 2 ~ 3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변색층이 형성된 수용체의 연결부에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폴리우레탄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머드분말 20 ~ 30중량부와, 벤조페논 10 ~ 20중량부, 제올라이트 8 ~ 15중량부, 은계 무기 항균제 8 ~ 15중량부, 불소발수제 5 ~ 7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변색층이 형성되는 몸체의 마주하는 면으로 폴리에스터, 비닐레진, 나일론, 이소프렌스타일렌, 폴리아미드, 아마이드레진, 우레탄레진, 비닐아세테이트, EVA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선택되어 이루어진 투명의 핫멜트계 수지를 가열한 후, 분산제와 혼합하여 다시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층이 구비되며, 상기 접착층에 육안으로 변색층의 변색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거울로 된 반사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접착층 상에 원하는 부위에 다수의 반사체를 부착시킨 후 반사체를 보호하는 합성수지로 되어 접착층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접착층에 탈, 부착되는 보호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이마)에 몸체를 접촉시켜 변색층의 변색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체온이 38℃ 이상인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고열을 일으키는 코로나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여부를 자가진단할 수 있어, 대규모 감염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은 물론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시켜주고, 체온계의 눈금을 확인하기 어려운 영유아나 노약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이상체온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따로 온도계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으며 빠르고 신속한 확인과 응급조치로 고열을 동반하는 감염성 높은 질병의 조기대처 및 지속적인 체온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변색층은 수용체에 의해 몸체와 이격되어 몸체 내부에 저장된 세정액의 온도로 인해 사용자의 체온이 정확히 측정되지 않는 현상을 차단하여 세정용기의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정밀하게 사용자의 체온을 진단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변색층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시온안료 100 ~ 130중량부, 벤토나이트 분말 30 ~ 45중량부,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25 ~ 35중량부, 실란 커플링제 5 ~ 8중량부, 산화아연 5 ~ 10중량부, 용제 15 ~ 25 중량부, 황산바륨 2 ~ 3중량부, 유화제 2 ~ 3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져, 변색층이 가지는 사용자의 체온측정기능은 유지될 뿐 아니라 변색층이 부착되는 강도를 높여주면서도 자외선 차단기능까지 구비되어 계속되는 체온측정에도 변색층은 파손되지 않고 그 형태를 온전히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변색층을 보호하는 코팅층으로 인하여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도 변색층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인체에도 무해한 효과가 있다.
반사체가 변색층이 형성되는 몸체의 마주하는 면에 구비되어 별도의 거울이 없이도 변색층의 변색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고, 접착층으로 하여금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원하는 위치에 반사체를 구비시킬 수 있으면서도 보호층이 태양빛을 가려주어 보다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용체가 구비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용체에 변색층 및 코팅층이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를 사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이 구비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 접착층, 보호층이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 접착층, 보호층이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세정액이 저장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몸체(10)가 포함되는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름 5 ~ 100㎜, 길이 10 ~ 30㎝인 투명재질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몸체(10)의 외면으로 숫자, 문자 및 문양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 38℃ 이상의 온도에서 색이 변화하도록 시온안료가 포함되는 변색층(100)이 형성된다.
사용자의 신체(이마)에 상기 몸체(10)를 접촉시켜 변색층(100)의 변색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체온이 38℃ 이상인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고열을 일으키는 코로나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여부를 자가진단할 수 있어, 대규모 감염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은 물론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시켜주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체온계의 눈금을 확인하기 어려운 영유아나 노약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이상체온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따로 온도계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으며 빠르고 신속한 확인과 응급조치로 고열을 동반하는 감염성 높은 질병의 조기대처 및 지속적인 체온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몸체(10)에서 세정액이 배출되는 형태는 시중에 통용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몸체(10) 상단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몸체(10)에서 세정액이 흘러나오게 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 상단에 펌프 형태의 헤드체가 구비되고 헤드체와 연결되는 펌프관체가 구비되어 헤드체의 펌프작용에 의해 몸체(10) 내부에 저장된 세정액이 외부로 배출되게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상, 하측에 결합홈(10h)이 한쌍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0h)이 형성되는 몸체(10)의 상, 하측을 수용하되, 수용하는 단부가 결합홈(10h)에 이르도록 형성되는 수용부(21)와, 수용부(21)의 단부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결합홈(10h)에 인입되는 인입부(22)와, 상기 수용부(21)를 연결하는 연결부(25)가 일체로 형성되어 투명재질인 수용체(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체(20)의 연결부(25)에 변색층(100)이 형성된다.
즉, 변색층(100)은 수용체(20)에 의해 몸체(10)와 이격되어 몸체(10) 내부에 저장된 세정액의 온도로 인해 사용자의 체온이 정확히 측정되지 않는 현상을 차단하여 세정용기의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정밀하게 사용자의 체온을 진단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색층(100)의 변색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변색층(100)에 신체(이마)를 접촉시킨 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변색층(100)에 접촉시킨 신체(이마)를 이탈시키면 짧은 순간이라도 변색된 변색층(100)의 색상이 원래 색깔로 돌아와 버릴 수 있어 정확한 체온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거울 앞에서 변색층(100)에 신체(이마)를 접촉시켜 거울을 통하여 변색층(100)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의 고열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색층(100)과 수용체(20)를 제외한 몸체(10) 양측으로 은박 또는 알루미늄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판(300)을 고정하여 변색층(100)에 사용자의 신체(이마)를 접촉하였을 때 반사판(300)으로 하여금 변색층(100)의 식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300)은 접착과정을 거쳐 몸체(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라미네이팅과정을 몸체(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변색층(100)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시온안료 100 ~ 130 중량부, 벤토나이트 분말 30 ~ 45중량부,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25 ~ 35중량부, 실란 커플링제 5 ~ 8중량부, 산화아연 5 ~ 10중량부, 용제 15 ~ 25 중량부, 황산바륨 2 ~ 3중량부, 유화제 2 ~ 3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시온안료(thermochromic pigment)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가역형 안료로서,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색깔이 없어지기 시작하다가 온도가 다시 내려가면 원래의 색깔로 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시온안료는 로이코 염료, 현색제 및 전색제를 포함하고, 상기 로이코 염료, 현색제 및 전색제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색깔의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 바, 구체적으로 로이코 염료는 전자 공여성 물질로서 전자 수용성 물질인 현색제와 반응하면 로이코 염료의 고유한 색상을 갖도록 발색을 도와주고, 전색제가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녹으면 로이코 염료의 색깔이 사라지게 되며, 전색제가 응고하여 고화되면 다시 색깔을 나타내는 등 전색제의 물리적인 상태에 따라 로이코 염료의 색깔이 변화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현색제는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시온안료의 변색 범위는 전색제의 융점에 따라 결정된다.
벤토나이트 분말은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해 원래 부피의 여러 배로 팽창되어 겔과 같은 상태가 되고 이겔은 물(수분)을 배척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다른 물질과 혼합될 경우 서로 점결시키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또한, 벤토나이트는 화학적으로 활성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같이 혼합되는 변색층(100)의 재료 원래의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현탁액은 장시간이 지나도 침전 등이 발생하지 않고 완벽한 콜로이드 상태를 이루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벤토나이트가 포함된 변색층(100)을 몸체(10) 또는 연결부(25)의 외면에 도포하여 자연 경화시키면 몸체(10) 또는 연결부(25) 표면에 도포된 벤토나이트 입자는 결정화 반응을 진행하게 되고, 표면 공극에 침투된 벤토나이트 입자들이 결정화 되면서 몸체(10) 또는 연결부(25)와 변색층(100)간의 결속을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 몸체(10) 또는 연결부(25)와 변색층(100)간의 접착력을 강화시켜주면서도 강도를 향상시켜 형상을 유지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벤토나이트와 함께 변색층(100)을 몸체(10) 또는 연결부(25)에 접착하기 위한 재료로서, 수용성 수지접착제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재료중에 하나이면서 내후성, 유연성, 접착성이 뛰어난 특성이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변색층(100)의 접착력 및 변색층(100)을 이루는 재료들의 장기간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변색층(100)을 몸체(10) 또는 연결부(25)에 접착하는 바인더로서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산화아연은 자외선에 의하여 변색층(100)이 파괴 또는 파손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온도에 따른 변색층(100)의 변색작용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산화아연의 한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변색층(100)의 도포시에 경화시간을 늦어지게 하여 도포작업이 원활하지 않게되고, 한정된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면 자외선 차단효과가 저하 또는 발현되지 않게 된다.
용제는 변색층(100)을 이루는 재료들이 각각 혼합될 때 적절한 분산성, 흐름성 및 건조 특성을 가져 몸체에 도포되기 최적의 상태로 혼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이클로헥사논, 자일렌 및 톨루엔이 1종 또는 2종 이상 채택하여 사용한다.
황산바륨은 변색층(100)을 이루는 재료들을 혼합할 때에 침강이나 층분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골고루 분산 시키기 위한 침강 방지 겸 분산제 역할을 하게 되어 변색층(100)의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유화제는 하나의 계에 유상과 수상이 있을 경우 그것을 서로 혼합하지 않으면 2상간의 계면이 생기는데,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면 활성제의 극성기는 물에 녹고 비극성기는 유상에 용해하게 배합하여 수상과 유상간의 가교작용을 하므로, 이를 위해 유화제가 사용되며,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변색층(100)의 층 분리 및 변색층(100) 도포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즉, 변색층(100)을 이루는 조성물들로 인하여 변색층(100)이 가지는 사용자의 체온측정기능은 유지될 뿐 아니라 변색층(100)이 몸체(10) 또는 연결부(25)에 부착되는 강도를 높여주면서도 자외선 차단기능까지 구비되어 계속되는 체온측정에도 변색층(100)은 파손되지 않고 그 형태를 온전히 유지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색층(100)이 형성된 수용체(20)의 연결부(25)에 코팅층(200)이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200)은 폴리우레탄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머드분말 20 ~ 30중량부와, 벤조페논 10 ~ 20중량부, 제올라이트 8 ~ 15중량부, 은계 무기 항균제 8 ~ 15중량부, 불소발수제 5 ~ 7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폴리우레탄수지는 우수한 접착력으로 인하여 변색층이 형성된 몸체(10) 또는 연결부(25)에 보다 안정적으로 부착되며, 내수성, 내한성, 내열성, 내충격성과 유연성이 좋기 때문에 코팅층(200)을 이루는 다른구성요소들이 변색층(100)이 형성된 몸체(10) 또는 연결부(25)에 접착시키는데 가장 바람직한 하다.
머드분말은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고 미네랄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게르마늄, 벤토나이트 등의 유익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세포 호흡촉진으로 피부노화방지, 수분균형유지, 피부청정작용, 피부노폐물 제거 등의 탁월한 효능을 가진다.
벤조페논은 주로 자외선차단제 및 변색방지제에 사용되는 물질로써 본 발명의 코팅층(200)에서는 몸체(10) 또는 연결부(25) 표면에 과도하게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색층(100)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한다.
제올라이트는 원적외선 방출 및 음이온 발생은 물론 소취효능이 우수하여 사용자의 이마가 계속적으로 몸체(10) 또는 연결부(25)에 접촉될 때 코팅층(200)의 청결한 환경을 유지시키면서 땀과 같은 소량의 이물질이 발생되었을 때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은계 무기 항균제는 은은 사용자의 체액이나 수분에 용해되면서 알칼리성 살균제로 작용하게 되므로, 코팅층(200)에 존재하는 세균을 효율적으로 살균하게 되어 장시간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시키더라도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피부 발진과 가려움증 등과 같은 부작용을 경감시키게 된다.
불소발수제는 코팅층(200)의 발수성능을 부여하여 코팅층(200) 형성 후 신체에서 발생되는 땀을 발수시켜 땀과 같은 수분이 코팅층(200)에 맺혀 코팅층을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코팅층(200)으로 인하여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도 변색층(100)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인체에도 무해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코팅층(200)은 5 ~ 50㎛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의 범위보다 코팅층(200)이 얇으면 몸체(10) 또는 연결부(25)에 코팅층(200)의 도포가 까다로울 뿐 아니라 도포과정에서 코팅층(200)의 형성이 안정적이지 못해 변색층(100)을 보호하기 어려우며, 상기의 범위보다 코팅층(200)이 두꺼우면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것은 물론 체온이 온전하게 변색층(100)에 도달하지 못해 체온측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울이 있는 곳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어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색층(100)이 형성되는 몸체(10)의 마주하는 면으로 사용자가 신체(이마)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육안으로 변색층(100)의 변색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거울로 된 반사체(40)를 구비한다.
상기 반사체(40)가 몸체(10)에 탈, 부착될 수 있도록 변색층(100)이 형성되는 몸체(10)의 마주하는 면에 폴리에스터, 비닐레진, 나일론, 이소프렌스타일렌, 폴리아미드, 아마이드레진, 우레탄레진, 비닐아세테이트, EVA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선택되어 이루어진 투명의 핫멜트계 수지를 가열한 후, 분산제와 혼합하여 다시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층(50)을 형성시킨다.
상기 접착층(50)은 다수의 반사체(40)가 탈, 부착될 수 반사체(40)의 넓이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층(50) 상에 원하는 부위에 다수의 반사체(40)를 부착시킨 후 반사체(40)를 보호하는 합성수지로 되어 접착층(50)과 동일한 형태의 보호층(60)을 접착층(50)에 접착하여 사용자가 코팅층(200)에 신체(이마)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반사체(40)를 볼 때 태양빛이 사용자의 시선에 내리쬐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반사체(40)에 반사된 변색층(100)의 색상을 인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반사체(40)가 변색층(100)이 형성되는 몸체(10)의 마주하는 면에 구비되어 별도의 거울이 없이도 변색층(100)의 변색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고, 접착층(50)으로 하여금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원하는 위치에 반사체(40)를 구비시킬 수 있으면서도 보호층(60)이 태양빛을 가려주어 보다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10 : 몸체 20 : 돌출부
30 : 접촉판 40 : 반사체
50 : 접착층 60 : 보호층
100 : 변색층 200 : 코팅층

Claims (6)

  1.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세정액이 저장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몸체(10)가 포함되는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외면으로 숫자, 문자 및 문양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 38℃ 이상의 온도에서 색이 변화하도록 시온안료가 포함되는 변색층(100)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상기 몸체(10)를 접촉시켜 변색층(100)의 변색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체온이 38℃ 이상인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상, 하측에 결합홈(10h)이 한쌍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0h)이 형성되는 몸체(10)의 상, 하측을 수용하되, 수용하는 단부가 결합홈(10h)에 이르도록 형성되는 수용부(21)와, 수용부(21)의 단부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결합홈(10h)에 인입되는 인입부(22)와, 상기 수용부(21)를 연결하는 연결부(25)가 일체로 형성되어 투명재질인 수용체(20)가 구성되고,
    상기 수용체(20)의 연결부(25)에 변색층(100)이 형성되며,
    상기 변색층(100)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시온안료 100 ~ 130중량부, 벤토나이트 분말 30 ~ 45중량부,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25 ~ 35중량부, 실란 커플링제 5 ~ 8중량부, 산화아연 5 ~ 10중량부, 용제 15 ~ 25 중량부, 황산바륨 2 ~ 3중량부, 유화제 2 ~ 3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층(100)과 수용체(20)를 제외한 몸체(10) 양측으로 은박 또는 알루미늄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판(30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층(100)이 형성된 수용체(20)의 연결부(25)에 코팅층(200)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200)은 폴리우레탄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머드분말 20 ~ 30중량부와, 벤조페논 10 ~ 20중량부, 제올라이트 8 ~ 15중량부, 은계 무기 항균제 8 ~ 15중량부, 불소발수제 5 ~ 7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층(100)이 형성되는 몸체(10)의 마주하는 면으로 폴리에스터, 비닐레진, 나일론, 이소프렌스타일렌, 폴리아미드, 아마이드레진, 우레탄레진, 비닐아세테이트, EVA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선택되어 이루어진 투명의 핫멜트계 수지를 가열한 후, 분산제와 혼합하여 다시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층(50)이 구비되며,
    상기 접착층(50)에 육안으로 변색층(100)의 변색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거울로 된 반사체(4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접착층(50) 상에 원하는 부위에 다수의 반사체(40)를 부착시킨 후 반사체(40)를 보호하는 합성수지로 되어 접착층(50)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접착층(50)에 탈, 부착되는 보호층(6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
KR1020200058281A 2020-05-15 2020-05-15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 KR102150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281A KR102150598B1 (ko) 2020-05-15 2020-05-15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281A KR102150598B1 (ko) 2020-05-15 2020-05-15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598B1 true KR102150598B1 (ko) 2020-09-01

Family

ID=7245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281A KR102150598B1 (ko) 2020-05-15 2020-05-15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605B1 (ko) 2020-11-05 2021-09-29 신명복 온도 체크가 가능한 마스크 유닛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390Y1 (ko) * 1999-08-31 2000-03-15 주식회사연우 온도관리가 용이한 디스펜서용기
US20040195849A1 (en) * 2003-04-02 2004-10-07 Benedict Coppotelli Portable device for holding a liquid container
US20050036301A1 (en) * 2003-07-28 2005-02-17 Troy Haines Illuminated beverage container
KR20170011521A (ko) 2015-07-23 2017-02-02 주식회사 엠트리케어 스마트 체온계 및 체온계의 온도산출방법
KR101792232B1 (ko) 2016-03-24 2017-10-31 (주)초이스테크놀로지 체온측정장치
KR20190065038A (ko) * 2017-12-01 2019-06-11 (주)마미버드 유아용 체온 감지 의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390Y1 (ko) * 1999-08-31 2000-03-15 주식회사연우 온도관리가 용이한 디스펜서용기
US20040195849A1 (en) * 2003-04-02 2004-10-07 Benedict Coppotelli Portable device for holding a liquid container
US20050036301A1 (en) * 2003-07-28 2005-02-17 Troy Haines Illuminated beverage container
KR20170011521A (ko) 2015-07-23 2017-02-02 주식회사 엠트리케어 스마트 체온계 및 체온계의 온도산출방법
KR101792232B1 (ko) 2016-03-24 2017-10-31 (주)초이스테크놀로지 체온측정장치
KR20190065038A (ko) * 2017-12-01 2019-06-11 (주)마미버드 유아용 체온 감지 의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605B1 (ko) 2020-11-05 2021-09-29 신명복 온도 체크가 가능한 마스크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43516A1 (en) Thermochromic responsive elastic polymer substrate
CN100548389C (zh) 变化颜色的吸收制品
KR102150598B1 (ko) 체온 감응식 세정제 분사용기
US4843014A (en) Apparel having a breach indicator
KR101245975B1 (ko) 장갑 고정을 위한 수술용 슬리브
US6395551B1 (en) Indicator for liquid disinfection or sterilization solutions
US20070252115A1 (en) Thermochromic elastic articles
CA2463866A1 (en) Protective garments with glove flaps
WO2005087163A1 (ja) 吸収性物品
CA2036790A1 (en) Covering such as a suit, glove, condom or sheath forming a chemical barrier against harmfurl agen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210355342A1 (en) Bio-secure protective equipment and methods for making
AU2021102026A4 (en) Bio-secure protective equipment and methods for making
WO2021212149A1 (en) Self-disinfecting face shield
JP2012529577A (ja) 新規製品
Das et al.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COVID-19: A comprehensive review
WO2022092388A1 (ko)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온도감지 스티커부착형 마스크
US11358013B2 (en) Pathogen-killing filter assemblage
KR20220005393A (ko) 시온 변색 마스크
KR20220060221A (ko) 체온감응 변색부를 가진 마스크
RU2814196C1 (ru) Биоиндикатор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маска
CN111227363A (zh) 具有缓释灭菌功能的口罩
CN216221994U (zh) 一种具有双重除雾功能的近视用医疗防护眼罩
KR20220031195A (ko) 발열 감지 기능을 갖는 마스크
US20050050609A1 (en) Medical utility fitted thumb glove
JP2004344351A (ja) 衛生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