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589B1 -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589B1
KR102150589B1 KR1020200061919A KR20200061919A KR102150589B1 KR 102150589 B1 KR102150589 B1 KR 102150589B1 KR 1020200061919 A KR1020200061919 A KR 1020200061919A KR 20200061919 A KR20200061919 A KR 20200061919A KR 102150589 B1 KR102150589 B1 KR 102150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ble
circumferential surface
communication cabl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덕현
Original Assignee
(주)다산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산기술단 filed Critical (주)다산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6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5Boxes split perpendicularly to main cable direction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는 원통형으로 일단이 닫혀 있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폐쇄된 일단의 중앙에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결합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으로 관통하는 케이블과 제2 하우징으로 관통하는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몸체;를 포함하여, 케이블 연결몸체와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케이블 연결몸체에 중공된 볼트를 형성시켜 볼트의 중공된 공간으로 통신 케이블을 삽입 후, 볼트의 조임만으로 통신케이블을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CONNECTING DEVICE OF COMMUNICATION CABLE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배선되는 통신케이블을 용이하게 연결하면서 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끊김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통신케이블은 길이가 짧은 경우 연장시키기 위해 이어야 하거나, 또는 메인 통신케이블 중간에서 각 가정 또는 사무실로 분기되거나, 또는 각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다른 공간으로 분기되어 통신신호가 전달되어야 하는 경우 통신케이블의 이음작업이 동반되어야 한다.
하지만, 절연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상기 이음작업 시 해당 부분의 절연 테이프가 쉽게 박리되어 이음부분이 분리됨에 따라 통신신호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절연 테이프가 박리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3644호(2011.04.29)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몸체와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케이블 연결몸체에 중공된 볼트를 형성시켜 볼트의 중공된 공간으로 통신 케이블을 삽입 후, 볼트의 조임만으로 통신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연결몸체에 나사선을 형성시키고, 하우징에도 나사선을 형성시켜 케이블 연결몸체를 하우징에 삽입 후,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케이블 연결몸체가 하우징에 수용되도록 마감할 수 있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는 원통형으로 일단이 닫혀 있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폐쇄된 일단의 중앙에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결합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으로 관통하는 케이블과 제2 하우징으로 관통하는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케이블 연결몸체의 결합은 상기 제1 하우징의 개방된 방향으로 내주면과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되, 상기 내주면의 나사선이 상기 케이블 연결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나사결합 되고, 상기 외주면의 나사선이 상기 제2 하우징의 개방된 방향으로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 됨에 따라 이루어지거나, 상기 케이블 연결몸체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된 나사선과,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주면 전체에 형성된 나사선이 나사결합 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의 케이블 연결몸체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된 내부로 통신 케이블이 삽입된 후, 제1 너트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체결됨에 따라 통신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일단에 형성된 제1 가압볼트; 및 상기 제1 가압볼트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등간격으로 복수의 절개라인이 형성되되, 중공된 내부로 다른 통신 케이블이 삽입된 후, 제2 너트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체결됨에 따라 통신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타단에 형성된 제2 가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는 케이블 연결몸체와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케이블 연결몸체에 중공된 볼트를 형성시켜 볼트의 중공된 공간으로 통신 케이블을 삽입 후, 볼트의 조임만으로 통신케이블을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는 통신 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연결몸체에 나사선을 형성시키고, 하우징에도 나사선을 형성시켜 케이블 연결몸체를 하우징에 삽입 후,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케이블 연결몸체가 하우징에 수용되도록 하여 통신 케이블의 연결부위를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의 사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에 의해 케이블의 이음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의 사시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에 의해 케이블의 이음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의 사시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는 하우징(100) 케이블 연결몸체(2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연결몸체(200)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기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원통형으로 일단이 폐쇄되어 있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폐쇄된 일단은 중앙에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10)은 개방된 타단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내주면의 나사선은 상기 케이블 연결몸체(200)에 나사결합 되고, 상기 외주면의 나사선은 상기 제2 하우징(120)과 나사결합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유사한 구조로, 원통형으로 일단이 개방되어 있고 타단이 폐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하우징(120)의 폐쇄된 타단은 중앙에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제2 관통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120)의 개방된 일단은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외주면 나사선과 나사결합 됨에 따라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 연결몸체(200)는 상기 하우징(100)과 대응되는 원통형의 몸체를 가지면서 외주면에 나사선(210)이 형성되는데, 해당 나사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이 상기 케이블 연결몸체(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210)과 나사결합 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이 상기 제2 하우징(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 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내부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연결몸체(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 연결몸체(200)의 외주면 전체,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내주면 전체에 나사선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은 길이를 짧게 또는 길게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블 연결몸체(200)의 외주면 전체,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내주면 전체에 나사선이 형성됨에 따라, 아래의 다른 실시예에서 복선의 통신 케이블이 연결코아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가압볼트에 연결되는 경우 케이블의 절곡된 정도를 완화시켜 통신 케이블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의 닫힌 부분과 케이블 연결 몸체(200) 말단부위와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 연결몸체(200)의 일단와 타단에는 제1 가압볼트(220)와 제2 가압볼트(230)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1 가압볼트(220)와 제2 가압볼트(230)는 통신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가압볼트(220)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절개라인(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신 케이블은 상기 중공된 제1 가압볼트(220)로 삽입된 후 제1 너트(222)가 체결됨에 따라 가압되어 고정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가압볼트(230)도 상기 제1 가압볼트(220)와 동일하게 내부가 중공되어 있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절개라인(2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케이블은 상기 중공된 제2 가압볼트(230)로 삽입된 후 제2 너트(232)가 체결됨에 따라 가압되어 고정되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의 케이블과 타측의 케이블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에 고정됨에 따라 이음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케이블 연결몸체(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 연결코아(240, 2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연결코아(250)는 전방으로 상기 제2 가압볼트(230)가 형성되고, 외주면에서 방사방향으로 제2a 가압볼트(230a), 제2b 가압볼트(230b), 및 제2c 가압볼트(230c)가 등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a 가압볼트(230a), 제2b 가압볼트(230b), 및 제2c 가압볼트(230c)는 상기 제2 가압볼트(230)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복수의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가압볼트(230), 제2a 가압볼트(230a), 제2b 가압볼트(230b), 및 제2c 가압볼트(230c)에는 각각 제2너트(232), 제2a 너트(232a), 제2b 너트(232b), 및 제2c 너트(232c)가 체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코아(240)도 전방으로 상기 제1 가압볼트(220)가 형성되고, 외주면에서 방사방향으로 제1a 가압볼트(220a), 제1b 가압볼트(220b), 및 제1c 가압볼트(220c)가 등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가압볼트(220), 제1a 가압볼트(220a), 제1b 가압볼트(220b), 및 제1c 가압볼트(220c)에는 각각 제1 너트(222), 제1a 너트(222a), 제1b 너트(222b), 및 제1c 너트(222c)가 체결되게 된다.
이때, 제1a 가압볼트(220a), 제1b 가압볼트(220b), 및 제1c 가압볼트(220c)그리고 상기 제2a 가압볼트(230a), 제2b 가압볼트(230b), 및 제2c 가압볼트(230c)는 상기 제2 연결코아(25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장착되어 교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라이드 형식으로 너트들의 교체를 가능하게 한 것은 이음되는 통신케이블의 굵기에 맞게 상기 제2a 가압볼트(230a), 제2b 가압볼트(230b), 및 제2c 가압볼트(230c)의 교체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특히, 전방에 형성되는 제2 가압볼트(230)는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제2 연결코아(250)의 전방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2a 가압볼트(230a), 제2b 가압볼트(230b), 및 제2c 가압볼트(230c)가 형성되는 슬롯이 빠지지 않도록 막아 고정시킨다.
상기 너트들은 슬라이드 형식으로 교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대단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코아에 나사결합을 통해 통신케이블의 굵기에 맞게 교체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케이블이 단선인 경우, 상기 제1 연결코어(240)의 전방에 형성된 제1 가압볼트(2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선인 경우 상기 제1 연결코어(240)에서 방사방향으로 형성된 제1a 가압볼트(220a), 제1b 가압볼트(220b), 및 제1c 가압볼트(220c)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으로 인해 단선 또는 복선의 케이블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에 고정됨에 따라 이음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하우징
110 : 제1 하우징
111 : 제1 관통구멍
120 : 제2 하우징
121 : 제2 관통구멍
200 : 케이블 연결몸체
210 : 나사선
220 : 제1 가압볼트
222 : 제1 너트
230 : 제2 가압볼트
231 : 절개라인
232 : 제2 너트
240 : 제1 연결코아
250 : 제2 연결코아

Claims (4)

  1. 원통형으로 일단이 닫혀 있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폐쇄된 일단의 중앙에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결합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으로 관통하는 케이블과 제2 하우징으로 관통하는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케이블 연결몸체의 결합은
    상기 제1 하우징의 개방된 방향으로 내주면과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되, 상기 내주면의 나사선이 상기 케이블 연결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나사결합 되고, 상기 외주면의 나사선이 상기 제2 하우징의 개방된 방향으로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 됨에 따라 이루어지거나,
    상기 케이블 연결몸체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된 나사선과,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주면 전체에 형성된 나사선이 나사결합 됨에 따라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블 연결몸체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된 내부로 통신 케이블이 삽입된 후, 제1 너트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체결됨에 따라 통신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일단에 형성된 제1 가압볼트; 및
    상기 제1 가압볼트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등간격으로 복수의 절개라인이 형성되되, 중공된 내부로 다른 통신 케이블이 삽입된 후, 제2 너트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체결됨에 따라 통신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타단에 형성된 제2 가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연결몸체는
    전방으로 상기 제1 가압볼트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가압볼트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가압볼트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일단의 제1 연결코아; 및
    전방으로 상기 제2 가압볼트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2 가압볼트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가압볼트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타단의 제2 연결코아;를 포함하되, 상기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압볼트들은 슬롯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코아와 상기 제2 연결코아에 상기 슬롯이 슬라이드방식으로 탈·장착되고, 장착 후, 전방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가압볼트가 상기 슬롯의 탈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KR1020200061919A 2020-05-22 2020-05-22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KR102150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919A KR102150589B1 (ko) 2020-05-22 2020-05-22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919A KR102150589B1 (ko) 2020-05-22 2020-05-22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589B1 true KR102150589B1 (ko) 2020-09-01

Family

ID=7245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919A KR102150589B1 (ko) 2020-05-22 2020-05-22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5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644B1 (ko) 2010-11-11 2011-05-12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
KR101189670B1 (ko) * 2011-04-27 2012-10-11 (주)기가레인 동축 케이블 연결용 커텍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644B1 (ko) 2010-11-11 2011-05-12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
KR101189670B1 (ko) * 2011-04-27 2012-10-11 (주)기가레인 동축 케이블 연결용 커텍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8674B1 (en) Electrical connector
CA2390345A1 (en) Improved tubing containing electrical wiring insert
CA2179003A1 (en) Electrical coupling with mating tapers for coaxial cable housings
WO2004092633A3 (en) Spoolable composite coiled tubing connector
CN110752456B (zh) 电缆的安全连接装置
CN101071942B (zh) 线缆固定装置
KR102150589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US1758218A (en) Electrical connecter
US4456319A (en) Apparatus for securing electrical connectors
CA2283372A1 (en) Conduit connector providing dual diameter end stops
US2032416A (en) Conduit coupling
DE10347653A1 (de) Kabeldurchführung
EP0171349A2 (de) Verbindungsstück für elektrische Leitungen
BR0109506A (pt) Conectores para ligar extensões de tubulação espiralada compósita, para estabelecer uma conexão elétrica entre uma primeira e uma segunda seção de tubulação espiralada compósita e para ligar mecanicamente e vedar hidraulicamente uma primeira e uma segunda seções de tubulação espiralada
US7048577B2 (en) Waterproof signal splitter
KR101068743B1 (ko) 전선 접속구와 이를 구비한 터미널블럭
US1328290A (en) Connector for armored conductors
CN217181882U (zh) 一种防火型预制分支电缆
CN108400569A (zh) 一种任意截面对接的电缆中间接头
KR102422471B1 (ko) 전기철도 케이블 단자함 장치
KR200490726Y1 (ko)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
TW275159B (en) End plate of the closure for a cable connection
JP4176952B2 (ja) 屋内配線ボックス
US7833067B1 (en) Audio-video signal plug
JPH0756559Y2 (ja) モノラル音声端末器の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