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522B1 - Air compressor - Google Patents

Air compr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522B1
KR102150522B1 KR1020180136064A KR20180136064A KR102150522B1 KR 102150522 B1 KR102150522 B1 KR 102150522B1 KR 1020180136064 A KR1020180136064 A KR 1020180136064A KR 20180136064 A KR20180136064 A KR 20180136064A KR 102150522 B1 KR102150522 B1 KR 102150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air
housing
cooling
ai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0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2719A (en
Inventor
이동환
Original Assignee
이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환 filed Critical 이동환
Priority to KR1020180136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522B1/en
Publication of KR2020005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7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5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압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펌프의 외측면 중 일부인 냉각영역을 향해 분사되도록, 상기 냉각영역을 향해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냉각유로를 포함한다.An ai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 pump that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sucks air from outside through a suction port formed in the housing; And a cooling passage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ump toward the cooling region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ump is injected toward a cooling region that is part of an outer surface of the pump.

Description

공기 압축기 {AIR COMPRESSOR}Air compressor {AIR COMPRESSOR}

본 발명은 공기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mpressor.

진공포장(Vacuum packaging)이라 함은 비닐 등에 물건을 싸고 내부를 진공으로 탈기(脫氣)함과 동시에 비닐 등의 둘레를 용착밀봉(溶着密封)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진공포장을 하는 이유는, 내부의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부패 등을 방지함은 물론 의류 등의 부피를 줄여 보관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Vacuum packaging means wrapping an object in plastic, etc., degassing the inside with a vacuum, and welding and seal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astic. The reason for such vacuum packaging is to prevent spoilage by microorganisms by removing air from the inside, as well as to reduce the volume of clothes and the like to facilitate storage.

일부 산업분야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하던 진공포장은 최근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가정에서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하는데 사용되거나, 이불 또는 의류의 부피를 줄여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수납하기 위한 용도 등에 사용되고 있다.Vacuum packaging, which has been limitedly used in some industries, has been widely used in daily life. For example, it is used to store food for a long time at home, or to efficiently use space by reducing the volume of blankets or clothes. Etc.

이 같은 진공포장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진공 포장을 위한 압축팩과 상기 압축팩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음압을 걸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 또는 유사한 펌프가 사용되었다.For such vacuum packaging, basically, a compression pack for vacuum packaging and a device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compression pack to the outside are required.In order to discharge the air to the outside, a vacuum cleaner or a vacuum cleaner capable of inhaling air by applying negative pressure A similar pump was used.

그러나 진공청소기나 펌프의 경우 휴대가 어렵고, 휴대가 가능하게 만든다 해도 내장된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가 압축팩 내의 공기를 충분히 흡기하지 못한 상태에서 과열되어 동작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다회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vacuum cleaners or pumps, it is difficult to carry them, and even if they are made porta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tor for driving the built-in pump is overheated while not sufficiently inhaling the air in the compression pack, and thus the operation has to be stopp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not appropriate for the following.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진공포장을 위한 공기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such problems, and provides an air compressor for vacuum packag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펌프의 외측면 중 일부인 냉각영역을 향해 분사되도록, 상기 냉각영역을 향해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냉각유로를 포함한다.An ai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pump that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sucks air from outside through a suction port formed in the housing; And a cooling passage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ump toward the cooling region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ump is injected toward a cooling region that is part of an outer surface of the pump.

이에 따라, 간편하게 휴대 가능한 공기 압축기를 이용해 압축팩 내부의 공기를 흡입해 진공포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vacuum packaging by sucking the air inside the compression pack using an air compressor that can be conveniently portable.

공기 압축기를 다회 연속적으로 사용하여도 전동기가 쉽게 과열되지 않아, 비교적 연속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다.Even if the air compressor is used continuously multiple times, the motor is not easily overheated, so it can be used relatively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와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다른 각도에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하우징 중 측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하우징 중 측면부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하우징 중 하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냉각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의 냉각노즐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를 압축팩에 형성된 밸브에 연결하는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mpressor and a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angl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ai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portion of a housing of an ai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de portion of a housing of an ai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surface of a housing of an ai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ling nozzle of an ai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ling nozzle of an ai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i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valve formed in a compression pack.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obstructs an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와 밸브(2)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다른 각도에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종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mpressor 1 and a valv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rom another angle of the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는, 하우징(10), 펌프(20) 및 냉각유로(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는, 중간덕트(41), 냉각노즐(42), 버튼부(50), 제어부(60) 및 광학부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n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 pump 20, and a cooling passage 30. In addition, the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duct 41, a cooling nozzle 42, a button unit 50, a control unit 60, and an optical member 80. .

하우징(10)Housing(10)

하우징(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다른 구성요소들이고정될 수 있는 뼈대가 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들을 감싸서 보호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하우징(10)은 다른 구성요소들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111)을 가지고, 다른 구성요소들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는 내측면을 가진다. 하우징(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방향(D)이란 공기 압축기(1)가 밸브(2)와 결합되기 위해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The housing 10 serves as a frame to which other components of the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or is a component that surrounds and protects other components. Therefore, the housing 10 has an inner space 111 in which other components can be accommodated, and has an inner surface in which other components can be coupled and fixed.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as shown,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direction D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compressor 1 moves to be coupled with the valve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은 측면부(11)를 포함할 수 있고, 하면부(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면부(14)를 포함할 수 있고, 장식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0)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개수와 형태의 구성요소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The housing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de portion 11, may include a lower surface portion 13,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portion 14, and may include a decorative portion 12 It may include. However, the housing 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vided into different numbers and shapes of component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하우징(10) 중 측면부(1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하우징(10) 중 측면부(11)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5 및 도 6을 같이 참조하여 측면부(11)에 대해 설명한다. 측면부(11)는 원통의 측면에 해당하는 형태를 가져, 기준방향(D)을 따라 양단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10)의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측면부(11)의 내측면에 의해 내부공간(111)이 둘러싸여 형성된다. 측면부(11)가 후술할 상면부(14)와 하면부(13)에 각각 결합되어, 상면부(14)와 하면부(13)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ide portion 11 of the housing 10 of the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de portion 11 of the housing 10 of the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The side part 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FIGS. 5 and 6. The side portion 11 is a component of the housing 1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er and having both ends open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refore, the inner space 111 is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11 and is formed. The side portions 11 ar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14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upper surface portion 14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13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측면부(11)는 원통의 측면과 완전히 일치하는 형태로 구성되지 않고, 도시된 것과 같이 일부분에서 원통의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7)를 구비하고, 기준방향(D)으로 연장되어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7)를 서로 잇는 판형의 연결판(113)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117)는 사용자가 공기 압축기(1)를 파지할 때 보다 나은 그립감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연결판(113)에는, 후술할 장식부(12)가 결합되는 장식부 결합홈(1131)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장식부 결합홈(1131)은 도시된 것과 같이 십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side portion 11 is not configured in a shape that completely coincides with the side of the cylinder, and has a protrusion 117 protruding from a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radius of the cylinder as shown, and extends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to the outside of the radius. A plate-shaped connection plate 113 connecting the protruding protrusions 117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The protrusion 117 is provided to provide a better grip when the user grips the air compressor 1. The connecting plate 113 may be formed by opening a decorative portion coupling groove 1131 to which a decorative portion 12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he decorative portion coupling groove 1131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as shown,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측면부(11)에는 후술할 전원 커넥터(63)가 내부공간(111)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전원 커넥터(63)가 관통하는 전원 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A power opening 114 through which the power connector 63 passes may be formed in the side portion 11 so that the power connector 6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exposed from the inner space 111 to the outside.

측면부(11)는,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된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냉각유로(30)의 직선부(32)를 둘러싸서 직선부(32)를 정의하는 관체부(112)를 내측에 가질 수 있다. 기준방향(D)을 따라 말단에 위치한 관체부의 기준방향측 일단(1121)은 후술할 중간덕트(41)에 연결되고, 반대편에 위치한 관체부의 기준방향 반대측 타단(1122)은 후술할 냉각노즐(42)과 연결된다. 냉각노즐(42)과 중간덕트(41)에 원활하게 연결되기 위해, 관체부의 양단(1121, 1122)의 외경은, 관체부(112)의 중간 영역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체부(112)는 단차진 외측면을 가질 수 있다. 관체부(112)는 연결판(113)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side portion 11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extending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surrounds the straight portion 32 of the cooling passage 30 to be described later to define a tubular portion 112 that defines the straight portion 32. You can have it inside. One end 1121 on the reference direction side of the tube part located at the en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duct 41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end 112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ference direction of the tube body part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is a cooling nozzle 42 to be described later. ). In order to be smoothly connected to the cooling nozzle 42 and the intermediate duct 41, the outer diameters of the both ends 1121 and 1122 of the tubular portion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termediate region of the tubular portion 112. Therefore, the tubular part 112 may have a stepped outer surface. The tubular part 112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connection plate 113.

측면부(11)는, 후술할 상면부(14) 및 하면부(13)가 연결되는 지지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15)는 복수로 구성되어, 측면부(11)의 중심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중간 지지부(116)로부터 기준방향(D) 또는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방향(D)으로 연장된 지지대(115)는, 하면부(13)와 결합되고,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115)는, 상면부(14)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115)는 지지대(115)의 원통형 내측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각 지지대(115)의 말단에는, 체결구(93)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portion 11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115 to which an upper surface portion 14 and a lower surface portion 13 to be described later are connected. The support 115 may be configured in plural,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or the reference direction D from the intermediate support 116 formed in an annular shape at the center of the side portion 11. Therefore, the support 115 extending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13, and the support 115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14. have. The plurality of supports 115 may be disposed along the cylindrical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115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end of each support 115, a screw hole may be formed so that the fastener 93 may be fastened.

측면부(11)의 연결판(113)에는, 장식부(12)가 연결될 수 있다. 장식부(12)는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된 구성요소이다. 장식부(12)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를 파지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decorative part 12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ate 113 of the side part 11. The decorative part 12 is a component extending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decoration part 1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which provides frictional force so as not to slip when the user grips the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장식부(12)는 전술한 장식부 결합홈(1131)에 삽입되는 걸림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121)가 돌출된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걸림부(121)를 자른 단면은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걸림부(121)가 장식부 결합홈(1131)에 삽입될 때, 장식부(12)는 측면부(11)로부터 연결판(113)으로부터 기준방향(D),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 및 기준방향(D)에 수직한 일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십자 모양으로 형성된 단면을 가지는 걸림부(121)의 외측면이, 장식부 결합홈(1131)을 십자 모양으로 형성하는 내측면에 접촉하여, 이러한 방향들로 장식부(12)가 측면부(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ecorative portion 12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121 inserted into the above-described decorative portion coupling groove 1131. The cross-section of the locking portion 121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121 protrudes is formed in a cross shape, and when the locking portion 121 is inserted into the decorative portion coupling groove 1131, the decorative portion 12 ) May not deviate from the side portion 11 from the connection plate 113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in on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121 having a cross-section formed in a cross-shape contacts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decorative portion coupling groove 1131 in a cross-shaped shape, and the decorative portion 12 in these directions is the side portion 11 It can prevent deviation from

걸림부(121)는 후술할 냉각노즐(42)이 냉각유로(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냉각노즐(42)의 외측면에 접촉한다. 여기서 걸림부(121)와 접촉되는 냉각노즐(42)의 외측면에는, 기준방향(D)을 따라 냉각노즐(42)의 기준방향(D) 반대측에 위치하는 측면일 수 있다. 걸림부(121)는 도시된 것과 같이, 수평한 면을 기준방향(D)측에 가지고, 반대측에는 비스듬한 빗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한 면이 냉각노즐(42)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냉각노즐(42)이 관체부(1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ocking portion 121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nozzle 42 to prevent the cooling nozzle 42 to be described lat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oling passage 30. 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nozzle 42 in contact with the locking portion 121 may be a side surface positioned opposite the reference direction D of the cooling nozzle 42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As shown, the locking portion 121 may be formed to have a horizontal surface on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and an oblique inclined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herefore, the horizont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nozzle 4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ling nozzle 4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ube body 112.

상면부(14)는 측면부(11)의 개구된 기준방향(D) 반대측 일단을 덮는 하우징(10)의 구성요소로, 측면부(11)가 포함하는 지지대(115) 중 일부와 결합되어 측면부(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면부(14)는 도시된 것과 같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중심에 형성되는 상면부 중심홀(141)을 통해 버튼부(50)의 버튼(5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면부(14)가 덮힘에 따라, 상면부(14)의 기준방향(D)측에 위치하는 광학부재(80), 고정판(70), 버튼부(50) 및 기판(61)이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1)에 위치하고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portion 14 is a component of the housing 10 that covers one end of the side portion 11 opposite to the opened reference direction D, and is coupled to some of the supports 115 included in the side portion 11 to be combined with the side portion 11 ) Can be fixed. The upper surface portion 14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as shown, so that the button 51 of the button portion 5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surface portion center hole 141 formed in the center. As the upper surface portion 14 is covered, the optical member 80, the fixing plate 70, the button portion 50, and the substrate 61 positioned on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4 ) May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111 and fixed to the housing 1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하우징(10) 중 하면부(13)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7을 같이 참조하여 하면부(13)에 대해 설명한다. 하면부(13)는 측면부(11)의 개구된 기준방향(D)측 일단을 덮는 하우징(10)의 구성요소로, 측면부(11)가 포함하는 지지대(115) 중 일부와 결합되어 측면부(11)에 고정될 수 있다. 하면부(13)는 상면부(14)와 대향되게 상면부(14)로부터 기준방향(D)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13 of the housing 10 of the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part 1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7 together. The lower surface 13 is a component of the housing 10 that covers one end of the side portion 11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and is coupled to some of the supports 115 included in the side portion 11 to be combined with the side portion 11 ) Can be fixed. The lower surface 13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14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to face the upper surface 14.

하면부(13)에는 흡입구(131)가 형성된다. 흡입구(131)는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기가 흐르게 하는 개구로, 하면부(13)의 중심으로부터 이심된 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흡입구(131)의 기준방향(D)측이 밸브(2)를 바라보고 배치되고, 기준방향(D) 반대측이 펌프(20)의 흡입관(21)과 연결되어, 밸브(2)로부터 전달된 공기를 펌프(2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펌프(20)는 안내된 공기를 흡입관(21)을 통해 흡입한다.A suction port 131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13. The inlet 131 is an opening through which air flows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and may be formed at a location distal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1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of the suction port 131 is disposed facing the valve 2,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reference direction (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21 of the pump 20, and the valve It serves to guide the air delivered from (2) to the pump (20). The pump 20 sucks the guided air through the suction pipe 21.

흡입구(131)를 둘러싸고, 측면부(11)의 내부공간(111)에 배치되는 관체형의 흡입덕트(132)가 하면부(13)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덕트(132)가 펌프(20)의 흡입관(21)과 연통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1)이 아니라 펌프(20)로 안내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새어 들어오지 않고 펌프(20)로 향할 수 있도록, 흡입덕트(132)와 흡입관(21)의 경계에는 탄성을 가지는 환형의 내부 오링(92)이 배치되어 경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A tubular suction duct 132 surrounding the suction port 131 and disposed in the inner space 111 of the side portion 1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3. As the suction duct 132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ipe 21 of the pump 20, air suck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port 131 is guided to the pump 20, not the inner space 111 of the housing 10 Can be. An annular inner O-ring 92 having elasticity is dis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ction duct 132 and the suction pipe 21 so that external air does not leak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and can be directed to the pump 20. Keep the boundaries confidential.

하우징(10)의 외측면 중 일면을 형성하는 하면부(13)의 기준방향(D)측 측면에는, 흡입구(131)를 둘러싸고 상기 기준방향(D)측 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인 기준방향(D)을 향해 돌출된 환형의 흡입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33)는 흡입공간(1332)을 둘러싸고 원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판형의 흡입공간(1332) 내에서도 흡입구(131)는 도시된 것과 같이 흡입부(133)의 중심으로부터 이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흡입부(133) 역시 하면부(13)의 중심으로부터 이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On the side of the lower surface 13 forming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housing 10 on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the reference direction (D) surrounds the suction port 131 and is the direction that the side of the reference direction (D) is facing. An annular suction part 133 protruding toward) may be formed. The suction unit 133 may surround the suction space 1332 and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the suction port 131 is disposed to be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suction unit 133 as illustrated in the suction space 1332 of the disk shape. Can be. The suction part 133 may also be disposed to be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part 13.

흡입부(133)의 크기는 밸브(2)의 밸브 입구(201)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밸브 입구(201)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외경을 흡입부(133)가 가짐으로써, 흡입부(133)가 밸브 입구(201)에 삽입되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ize of the suction part 133 may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valve inlet 201 of the valve 2. Since the suction part 133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valve inlet 201, the suction part 133 may be inserted into the valve inlet 201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흡입부(133)의 외주면에는 흡입부 홈(1331)이 형성되어, 외부 오링(91)이 결합될 수 있다. 외부 오링(91)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고, 흡입부 홈(133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오링(91)이 배치됨에 따라, 밸브 입구(201)에 흡입부(133)가 삽입될 때 밸브 입구(201)의 내주면과 흡입부(133)의 외주면 사이에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A suction part groove 133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part 133, so that the external O-ring 91 may be coupled. The outer O-ring 9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suction part groove 1331. As the outer O-ring 91 is disposed, airtightness can be maintain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inlet 20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unit 133 when the suction unit 133 is inserted into the valve inlet 201.

하면부(13)는 연결판(113)을 향해 구부러진 형태로 연장된 하면부 꼬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면부 꼬리(135)가 구부러진 형태로 연결판(113)을 향해 연장되면서, 측면부(11)의 기준방향(D)측 일단에 형성된 개구를 빈 틈이 없도록 덮을 수 있다.The lower surface 13 may further include a lower tail 135 extending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connection plate 113. As the lower tail 135 extends toward the connection plate 113 in a bent shape, the opening formed at one end of the side portion 11 on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may be covered so that there is no gap.

펌프(20)Pump(20)

펌프(2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펌프(20)는 하우징(10)에 수용되고,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력을 이용해 발생시키는 전동기(미도시)와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작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로는 전동기에 연결된 크랭크와 크랭크에 의해 압축되거나 당겨지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크랭크에 의해 피스톤이 당겨질 때 공기를 흡입관(21)에 연결된 흡입구(131)를 통하여 흡입하고, 크랭크에 의해 피스톤이 압축될 때 공기를 배출구(22)를 통해 내보내는 피스톤 펌프(20)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펌프(20)의 작동부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펌프(20)구조가 작동부로 사용될 수 있다. 작동부는 기준방향(D)측에, 전동기는 기준방향(D)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pump 20 is a component that sucks and discharges air from the outside. The pump 2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 and may include an electric motor (not shown)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inhaling and discharging air using electric power, and an operation unit (not shown) for inhaling and discharging air. . The operating part includes a crank connected to an electric motor and a piston compressed or pulled by the crank, and when the piston is pulled by the crank, air is sucked through the inlet 131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21, and the piston is compressed by the crank. W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2, a piston pump 20 may be used. However, the type of the operation part of the pump 20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types of the structure of the pump 20 may be used as the operation part. The operation unit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the electric motor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펌프(20)는 흡입구(131)와 연결된 흡입관(21)을 이용해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구(22)와 연결된 펌프노즐(24)을 통해 냉각유로(30)로 압축된 공기를 배출한다. 펌프(20)로부터 배출구(2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은, 펌프(20)가 흡입구(13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펌프(20)가 공기를 배출하는 방향은 기준방향(D)이고,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은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서로 반대된다. 이러한 흡입 및 배출 방향을 펌프(20)가 가짐으로써, 전체 공기 압축기(1)의 크기가 비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ump 20 sucks air using a suction pipe 21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131, and discharges the compressed air to the cooling passage 30 through the pump nozzle 24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22. A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pump 20 through the outlet 22 may be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pump 20 sucks air through the inlet 131.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mp 20 discharges air is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sucked is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are opposite to each other. Since the pump 20 has such a suction and discharg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ze of the entire air compressor 1 from becoming enlarged.

펌프(20)의 흡입관(21)과 펌프노즐(24)은 펌프(20)의 기준방향(D)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관(21)은 펌프(20)의 중심으로부터 이심된 위치에 배치되되, 흡입덕트(132)에 연통되어 흡입구(131)로부터 공기를 전달받도록 배치될 수 있고, 펌프노즐(24)은 펌프(20)의 중심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어, 연결된 냉각유로(30)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The suction pipe 21 and the pump nozzle 24 of the pump 2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ump 20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suction pipe 21 is disposed at an eccentric position from the center of the pump 20, and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duct 132 to receive air from the suction port 131, and the pump nozzle 24 is the pump 20 It is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center of ), and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connected cooling passage 30.

펌프(20)의 외측면 중 일부 영역인 냉각영역은 전동기에 해당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냉각영역으로 냉각유로(30)에 의해 안내된 공기가 분사된다. 냉각영역에는 개구되어 숨구멍(23)이 형성될 수 있다. 숨구멍(23)은 전동기 때문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전동기의 케이스 내외에서 압력차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형성된다. 공기가 숨구멍(23)을 통해 전동기 내외로 출입하여, 압력차가 없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A cooling region, which is a partial reg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ump 20, may be locat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n electric motor, and air guided by the cooling passage 30 is injected into the cooling region. The cooling region may be opened to form pores 23. The pores 23 are holes formed by the electric motor, and are formed to prevent a pressure difference from occurring inside and outside the case of the electric motor. Air enters and exits the motor through the pores 23 and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difference disappears.

냉각유로(30)Cooling flow path (30)

냉각유로(30)는 펌프(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펌프(20)의 외측면 중 일부인 냉각영역으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펌프(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냉각영역을 향해 분사되도록, 펌프(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냉각영역과 인접한 개소까지 이동하도록 형성된 유로가 냉각유로(30)이다. 따라서 냉각유로(30)의 일단은 배출구(22)와 연통되고, 타단은 냉각영역과 인접한 일 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oling passage 30 is a component that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ump 20 to a cooling area that is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ump 20. The cooling flow path 30 is a flow path formed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ump 20 is injected toward the cooling region,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ump 20 moves to a location adjacent to the cooling region. Accordingly, one end of the cooling passage 3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22, and the other end may be disposed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cooling region.

냉각유로(30)는 방향전환부(31)와 직선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전환부(31)와 직선부(32)는 서로 연결되어 냉각유로(30)를 이룬다. 방향전환부(31)와 직선부(32)를 포함하여, 냉각유로(30)는 전체적으로 'J'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cooling flow path 30 may include a direction changing part 31 and a straight part 32. The direction changing part 31 and the straight part 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ooling passage 30. Including the direction changing portion 31 and the straight portion 32, the cooling passage 30 may be formed as a whole in a'J' shape,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방향전환부(31)는 펌프(20)의 배출구(22)와 연통되고, 'U'자형으로 형성되는 냉각유로(30)의 구성요소이다. 방향전환부(31)는 다시 제1 방향전환부(311), 제2 방향전환부(312) 및 제3 방향전환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전환부(311)는 배출구(22)와 연통되되, 배출구(22)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방향전환부(312)는 제1 방향전환부(311)와 연통되되 제1 방향전환부(311)가 연장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3 방향전환부(313)는 제2 방향전환부(312)와 연통되되 제1 방향전환부(311)가 연장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전환부(311)와 제3 방향전환부(313)는 각각 기준방향(D) 및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방향전환부(312)는 기준방향(D)에 수직한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direction changing part 31 is a component of the cooling passage 30 communicated with the outlet 22 of the pump 20 and formed in a'U' shape. The direction change unit 31 may again include a first direction change unit 311, a second direction change unit 312, and a third direction change unit 313. The first direction change part 31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ort 22, and is formed to extend along a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22, and the second direction change part 312 is a first direction change part 311 )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unit 311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unit 311 is extended, and the third direction changing unit 313 be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unit 312 311)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ed direction. Therefore, the first direction change unit 311 and the third direction change unit 313 may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the reference direction D, respectively, and the second direction change unit 312 is a reference It may extend in on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D.

제1 방향전환부(311)는 도시된 것과 같이 펌프노즐(24)으로부터 기준방향(D)으로 연장된 부분과, 제2 방향전환부(312)를 향해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방향전환부(313)는, 관체부(112)로부터 기준방향(D)으로 연장된 부분과, 제2 방향전환부(312)를 향해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전환부(312)는, 기준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상기 부분의 양단에서 각각 제1 방향전환부(311)와 제3 방향전환부(313)를 향해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부러진 부분을 각 방향전환부(311, 312, 313)가 포함하여 도시된 것과 같이 곡선형의 전체 방향전환부(31)를 형성할 수 있으나, 도시된 것과는 달리 각 방향전환부(311, 312, 313)가 직선형의 부분만을 포함하여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As illustrated,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part 311 may include a part extending from the pump nozzle 24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a part bent toward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part 312. The third direction changing part 313 may include a part extending from the tube body 112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a part bent toward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part 312.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part 312 is a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toward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part 311 and the third direction changing part 313 at both ends of the part,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bent part. In this way, the curved portion may be included in each direction changing unit 311, 312, and 313 to form a curved overall direction changing unit 31 as shown, but unlike the illustration, each direction changing unit 311, 312 and 31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cluding only a straight portion.

이러한 방향전환부(31)의 형태에 의해, 공기가 방향전환부(31)를 통과하면서 배출구(22)로부터 배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펌프(20)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이, 방향전환부(31)를 통과함에 따라 반전되는 것이다.Due to the shape of the direction changing part 31, the air may flow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discharged from the outlet 22 while passing through the direction changing part 31.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ump 20 flows is reversed as it passes through the direction change unit 31.

각 방향전환부(311, 312, 313)의 폭을, 각 방향전환부(311, 312, 313)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 각 방향전환부(311, 312, 313)의 너비라고 하자. 제1 방향전환부(311)의 폭 및 제3 방향전환부(313)의 폭은, 제2 방향전환부(312)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향전환부(312)의 폭을 다른 방향전환부(311, 313)들의 폭보다 크게 형성함에 따라, 배출구(22)로부터 배출된 공기에 의해 방향전환부(31)를 구성하는 중간덕트(41)가 받는 충격을 줄일 수 있고, 냉각유로(30)를 따라 지나가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The width of each direction change unit 311, 312, 313 is determined based 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in each direction change unit 311, 312, 313. Let's say the width of ). The width of the first direction change part 311 and the width of the third direction change part 313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direction change part 312. As the width of the second direction change part 312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other direction change parts 311 and 313, the intermediate duct constituting the direction change part 31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22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hock received by 41), and to reduce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air passing along the cooling passage (30).

상술한 것과 같이, 이러한 방향전환부(31)는 중간덕트(41)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중간덕트(41)는 방향전환부(31)와 마찬가지로 'U'자 형으로 형성되되, 배출구(22)를 둘러싸는 펌프노즐(24)에 일단이 결합되고, 직선부(32)를 형성하는 하우징(10)의 일부분인 관체부(112)에 타단이 결합된다. 제1 방향전환부(311)를 형성하는 영역은 제1 중간덕트(411)가 되고, 제2 방향전환부(312)를 형성하는 영역은 제2 중간덕트(412)가 되고, 제3 방향전환부(313)를 형성하는 영역은 제3 중간덕트(413)가 될 수 있다. 즉 제1 중간덕트(411)와 펌프노즐(24)이 결합되고, 제3 중간덕트(413)와 관체부(112)가 결합된다. 제1 중간덕트(411)의 내측으로 펌프노즐(24)이 삽입되고, 제3 중간덕트(413)의 내측으로 관체부(112)의 기준방향(D)측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rection change part 31 may be formed surrounded by the intermediate duct 41. The intermediate duct 41 is formed in a'U' shape like the direction change part 31, but has one end coupled to the pump nozzle 24 surrounding the outlet 22, and a housing forming a straight portion 32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tubular part 112 which is a part of (10). The area forming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part 311 becomes the first intermediate duct 411, the area forming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part 312 becomes the second intermediate duct 412, and the third direction changing The region forming the portion 313 may be the third intermediate duct 413. That is, the first intermediate duct 411 and the pump nozzle 24 are coupled, and the third intermediate duct 413 and the tubular part 112 are coupled. The pump nozzle 24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termediate duct 411, and one end of the tube body 112 on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may be inserted into the third intermediate duct 413.

이러한 중간덕트(41)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을 포함하는 소재로 중간덕트(41)가 형성됨에 따라, 방향전환부(31)를 통해 지나가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duct 4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silicon. As the intermediate duct 41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silicon, vibrations generated by air passing through the direction changing unit 31 may be reduced.

직선부(32)는 방향전환부(31)와 연통되되, 냉각영역과 인접한 일 개소까지 연장된다. 직선부(32)는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직선부(32)는 하우징(10)의 관체부(112)에 의해 둘러싸여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직선부(32)는 하우징(10)에 대해서 그 상대적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The straight portion 32 communicates with the direction change portion 31 and extends to a location adjacent to the cooling region. The straight portion 32 may exten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straight portion 32 may be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tubular portion 112 of the housing 10. That is, the straight portion 32 is in a state in which its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is always fixed.

직선부(32)의 기준방향(D)측 일단을 형성하는 관체부(112)의 기준방향(D)측 일단은 제3 방향전환부(313)와 연결되고, 직선부(32)의 기준방향(D)의 반대측 일단을 형성하는 관체부(112)의 기준방향(D)측 일단은 후술할 냉각노즐(42)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20)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방향전환부(31)를 통하여 직선부(32)에 전달되고, 직선부(32)는 이를 펌프(20)의 냉각영역에 분사할 수 있다.One end on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of the tubular portion 112 forming one end on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of the straight portion 32 is connected to the third direction changing portion 313, and the reference direction of the straight portion 32 One end on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of the tubular portion 112 forming the opposite end of (D) may be connected to a cooling nozzle 42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ump 20 is transmitted to the straight portion 32 through the direction changing portion 31, and the straight portion 32 can inject it into the cooling area of the pump 2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냉각노즐(42)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냉각노즐(42)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8 및 도 9를 같이 참조하여 냉각노즐(42)에 대해 설명한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oling nozzle 42 of the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oling nozzle 42 of the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The cooling nozzle 4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FIGS. 8 and 9.

냉각노즐(42)은, 펌프(20)의 냉각영역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냉각노즐(42)은 냉각유로(30)의 타단에 배치되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펌프(20)의 외측면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된다.The cooling nozzle 42 is a component for discharging air to the cooling area of the pump 20. Therefore, the cooling nozzle 42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cooling flow path 30 and is formed to be open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pump 20 so that air can be discharged.

냉각노즐(42)은 관체부(112)의 기준방향(D) 반대측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424)을 포함할 수 있고, 냉각유로(30)를 통해 전달된 공기가 배출되는 노즐 개구(4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ing nozzle 42 may include a coupling hole 424 into which one end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of the tube body 112 can be inserted, and a nozzle opening through which air delivered through the cooling passage 30 is discharged. (421) may be included.

노즐 개구(421)는 도시된 것과 같이, 냉각영역에서 전동기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숨구멍(2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개수 역시 숨구멍(23)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숨구멍(23)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펌프(20)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전동기에 공급하여 전동기를 냉각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동기의 숨구멍(23)이 2개이므로, 노즐 개구(421) 역시 2개로 형성되나, 그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s shown, the nozzle opening 42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ore 23 formed by opening the motor in the cooling region, and the number is also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ores 23 It may be formed, and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pores 23.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ump 20 is supplied to the motor to cool the motor. Accordingly,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are two pores 23 of the electric motor, the nozzle openings 421 are also formed in two,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노즐 개구(421)는 도시된 것과 같이 기준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되어, 냉각영역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노즐 개구(421)가 구비되는 경우, 각 노즐 개구(421)는 서로 나란하지 않은 방향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The nozzle opening 421 is ope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as shown, and can be sprayed into the cooling region. In addition, when two nozzle openings 421 are provided, each nozzle opening 421 may be opened toward a direction not parallel to each other.

노즐 개구(421)는 냉각노즐(42)의 기준방향(D) 반대측 일단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개구(421)는 기준방향(D)을 따라 길쭉한 형태를 가지는 장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nozzle opening 421 may be opened in a form extending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from a region adjacent to one end of the cooling nozzle 42 opposite the reference direction D. Accordingly, the nozzle opening 42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having an elongated shape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냉각노즐(42)이 펌프(20)가 압축해 배출하는 공기를 전달받아 냉각유로(30)보다 좁은 노즐 개구(421)를 통해 유속이 빨라진 상태로 펌프(20)에 분사하므로, 펌프(20)의 전동기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노즐 개구(421)를 통과한 뒤 넓은 내부공간(111)으로 공기가 배출되므로, 공기의 단열팽창이 일어나, 펌프(20)에 전달되는 공기는 냉각유로(30)를 유동할 때에 비해 더 낮은 온도를 가지게 되어, 펌프(20)의 전동기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Since the cooling nozzle 42 receives the air compressed and discharged by the pump 20 and sprays it into the pump 20 in a state where the flow rate is increased through the nozzle opening 421 narrower than the cooling passage 30, the pump 20 Electric motor can be cooled effectively. In addition, since air is discharged into the wide inner space 111 after passing through the nozzle opening 421, the adiabatic expansion of air occurs, and the air delivered to the pump 20 is lower than when flowing through the cooling passage 30. By having a temperature, the electric motor of the pump 20 can be effectively cooled.

냉각노즐(42)의 기준방향(D)측 일단에는, 기준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422)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422)는 냉각노즐(42)이 기준방향(D)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면부(11)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At one end of the cooling nozzle 42 on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a flange 422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may be formed. The flange 422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11 to prevent the cooling nozzle 42 from devia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냉각노즐(42)의 기준방향(D) 반대측 일단에는 걸림 결합부(423)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21)가 걸림 결합부(423)에 삽입되어, 상술한대로 냉각노즐(42)의 외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부(1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 결합부(423)는 두 갈래로 갈라져서, 걸림 홈을 중심에 가질 수 있다. 걸림 결합부(423)가 형성하는 걸림 홈에 걸림부(121)가 삽입됨으로써, 냉각노즐(42)이 다른 위치로 이탈하지 않도록 냉각노즐(42)을 걸림부(121)가 가압할 수 있다.An engaging portion 423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oling nozzle 42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engaging portion 121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423, and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nozzle 42 as described above. As shown, the engaging portion 423 is divided into two branches so that the locking portion 121 can be inserted, and thus, may have a locking groove in the center. The locking portion 121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formed by the locking engaging portion 423, so that the cooling nozzle 42 may be pressed by the locking portion 121 so that the cooling nozzle 42 does not deviate to another position.

걸림부(121)가 기준방향(D)과 수직한 방향으로 걸림 홈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걸림부(121)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 갈래로 갈라진 걸림 결합부(423)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 홈의 폭이 줄어들 수 있다.A jam form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423 divided into two branches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121 is inserted so that the locking portion 121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width of the groove can be reduced.

냉각노즐(42)과 관체부(112)가 연결되는 경계에는, 냉각노즐(42)과 관체부(112)의 경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노즐 오링(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노즐 오링이 냉각노즐(42)과 관체부(112)에 동시에 접촉하면서 냉각노즐(42)과 관체부(112)의 경계를 차단할 수 있다.A nozzle O-ring (not shown) having elasticity may be dis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oling nozzle 42 and the tube body 112 so as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boundary between the cooling nozzle 42 and the tube body 112. have. The nozzle O-ring may block the boundary between the cooling nozzle 42 and the tube body 112 while simultaneously contacting the cooling nozzle 42 and the tube body 112.

제어부(60)Control unit (60)

제어부(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전기적 신호 및 전력을 각 구성요소에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제어부(60)는 본 발명의 전기적 제어가 필요한 각 구성요소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ntroller 60 is a component that supplies electrical signals and power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of the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ach component.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components requiring electrical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60)는 기판(61)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61)은 인쇄회로기판(PCB)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판(61)에는 제어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받아 논리적 연산을 실행하고 제어신호를 각 구성요소로 전달하는 연산장치인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이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may include a substrate 61. The substrate 61 may be composed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etc., and a memory for storing a control command, a memory for storing a control command, and a logical operation are received in the board 61, and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component. A microprocessor or the like, which is a computing device to perform, may be mounted.

제어부(60)가 포함하는 연산장치는, 펌프(20)가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한 뒤에는 정지하도록 펌프(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가 흡입구(131)와 인접한 영역에 압력을 획득할 수 있는 압력획득수단을 더 가지고 있는 경우, 압력획득수단과 제어부(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획득된 압력을 기초로 펌프(20)가 소정의 압력 이하에서만 작동하도록 펌프(20)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operation devic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60 may control the pump 20 to stop after the pump 20 operates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when the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has a pressure acquiring means capable of acquiring pressure in an area adjacent to the inlet 131, the pressure acquiring means and the control unit 60 are electrically connected. Based on the obtained pressure, the pump 2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pump 20 operates only below a predetermined pressure.

제어부(60)는 전원 커넥터(6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커넥터(63)는 제어부(60)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외부 전력원(미도시)과 연결되는 커넥터이다. 전원 커넥터(63)는 측면부(11)에 형성된 전원 개구(114)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외부를 바라보고 배치된 전원 커넥터(63)의 일단은 외부 전력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커넥터(63)의 다른 영역은 기판(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 커넥터(63)는 USB(Universal Serial Bus) 타입의 커넥터일 수 있으나, 이외에도 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접속단이 전원 커넥터(63)로 사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may include a power connector 63. The power connector 63 is a connector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in order to apply power to the control unit 60. The power connector 63 may be disposed through the power opening 114 formed in the side portion 11. One end of the power connector 63 disposed facing the out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other region of the power connector 6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61. The power connector 63 may be a USB (Universal Serial Bus) type connector, but other types of connection terminals capable of applying power may be used as the power connector 63.

제어부(60)는 발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체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1)에 수용되고, 전력을 인가받아, 펌프(20)가 작동할 때 점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발광체는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으나, 그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체는 기판(61)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 복수 개 배치되고, 기판(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may include a light emitter. The luminous body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111 of the housing 10, receives power, and can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when the pump 20 is operated. The luminous body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but the type is not limited thereto. A plurality of light emitters are disposed along a circumference centered on the center of the substrate 61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61.

제어부(60)는 스위치(6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62)는 선택되거나 선택이 해제됨에 따라 펌프(20)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구성요소로, 후술할 버튼부(50)에 의해 가압되어 선택되거나 선택이 해제될 수 있다. 스위치(62)가 선택되면 펌프(20)에 전력이 인가되어 펌프(20)가 작동할 수 있고, 스위치(62)의 선택이 해제되면 펌프(20)에 인가되던 전력이 차단되어 펌프(20)의 작동이 멈춘다.The control unit 60 may include a switch 62. The switch 62 is a componen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pump 20 is operated as it is selected or deselected, and may be selected or deselected by being pressed by a button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switch 62 is selected, power is applied to the pump 20 so that the pump 20 can be operated, and when the switch 62 is released, the power applied to the pump 20 is cut off and the pump 20 Stops working.

스위치(62)는 기판(61)에 안착되되, 기판(61)의 기준방향(D)의 반대측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상면부(14)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50)가 기준방향(D)으로 눌렸을 때 스위치(62)를 가압할 수 있다.The switch 62 is mounted on the substrate 61, but may be mounted on a side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of the substrate 61. Accordingly, when the button portion 50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14 of the housing 10 is pressed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switch 62 can be pressed.

버튼부(50)Button part 50

버튼부(50)는 가압되어 스위치(62)를 눌러 스위치(62)를 선택하거나 선택이 해제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부(50)는 버튼(51), 프레임(52) 및 연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tton unit 50 is a component that is pressed to select or release the switch 62 by pressing the switch 62. The button part 50 may include a button 51, a frame 52, and a connection part 53.

버튼(51)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이동해 스위치(62)를 누를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51)은 사용자가 누르기 적합하도록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버튼(51)의 기준방향(D)측면은 스위치(62)에 접촉하여 스위치(62)를 확실하게 누를 수 있도록 스위치(6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utton 51 is a component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switch 62 can be pressed by moving by being pressed by the user. The button 51 is formed in a disk shape to be suitable for the user to press, but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of the button 51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 62 to ensure that the switch 62 is pressed. I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사용자는 상면부 중심홀(14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버튼(51)을 기준방향(D)으로 누를 수 있다. 버튼(51)이 기준방향(D)으로 이동하여 스위치(62)를 가압하고, 스위치(62)가 선택되거나 선택이 해제된다.The user may press the button 51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enter hole 141 of the upper surface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button 51 moves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to press the switch 62, and the switch 62 is selected or deselected.

프레임(52)은 하우징(10)과 연결되는 환형의 구성요소로, 버튼(51)을 둘러싸고 버튼(5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연결부(53)는 프레임(52)과 버튼(51)을 연결한다. 연결부(53)는 버튼(51)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된 후 사용자가 버튼(51)을 가압하는 외력이 사라지면, 스위치(62)로부터 버튼(51)이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버튼(51)에 복원력을 작용한다. 복수로 구비되는 연결부(53)는, 버튼(51)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연결부(53)는 도시된 것과 같이 'L'자 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frame 52 is an annular component connected to the housing 10 and surrounds the button 51 and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utton 51. The connection part 53 connects the frame 52 and the button 51. When the external force for pressing the button 51 by the user disappears after the button 51 is pressed by the user, the connector 53 is separated from the switch 62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eference direction (D). A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button 51. The connecting portions 53 provided in plurality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utton 51. The connection part 53 may have a shape bent in an'L' shape as shown,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광학부재(80)Optical member (80)

광학부재(80)는 발광체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되, 발광체가 발광한 빛을 받아들여 산란해서 외부로 내보내는 구성요소이다. 광학부재(80)의 측면 중 기준방향(D)을 바라보는 측면은 평탄하지 않은 광학패턴을 가져, 발광체가 발광하는 빛을 받아들여 산란시킨다. 광학부재(80)의 기준방향(D)의 반대측면의 외측은 상면부(14)에 의해서 덮히고, 내측은 하우징(10)의 외부로 드러난다. 따라서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1)에 위치하는 광학부재(80)의 기준방향(D) 측면으로 입사한 빛이, 광학부재(80)를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산란되고, 광학부재(80)의 기준방향(D) 반대측면으로 퍼져나간다.The optical member 80 is a component tha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uminous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receives the light emitted by the luminous body, scatters and sends it to the outside.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optical member 80, the side facing the reference direction D has an uneven optical pattern, and receives and scatters light emitted by the luminous body. The outer side of the side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of the optical member 80 is covered by the upper surface 14 and the inn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erefore, light incident on the side of the reference direction (D) of the optical member 80 located in the inner space 111 of the housing 10 is scat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optical member 8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n, the optical member 80 spread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reference direction D.

발광체가 발광한 빛을 광학부재(80)가 산란시키므로, 적은 수의 발광체가 배치되어도, 광학부재(80) 전체에 걸쳐서 은은한 빛이 발광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관측이 가능하다.Since the optical member 80 scatters the light emitted by the luminous body, even if a small number of luminous bodies are disposed, subtle light is emitted over the entire optical member 80 so that it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광학부재(80)는 버튼(51)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중심에 광학부재 중심홀(81)을 가지고, 버튼(51)이 광학부재 중심홀(81)을 관통할 수 있다.The optical member 80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surrounding the button 51 and has an optical member center hole 81 at the center, and the button 51 may pass through the optical member center hole 81.

광학부재(80)는 고정판(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고정판(70)은 광학부재(80)가 기판(61)에 직접 닿지 않고 하우징(10)의 기준방향(D) 반대측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고정판(70)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버튼(51)이 관통하는 고정판 중심홀(71)을 가질 수 있다. 환형으로 형성된 고정판(70)의 기준방향(D) 반대측면에 광학부재(80)가 안착될 수 있다.The optical member 80 may be supported by the fixing plate 70. The fixing plate 70 is a component that allows the optical member 80 to be dispos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housing 10 opposite the reference direction D,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substrate 61. The fixing plate 70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may have a fixing plate central hole 71 through which the button 51 passes. The optical member 80 may be seated on a side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of the annular fixing plate 70.

고정판(70)은 연결판(113)을 향해 구부러진 형태로 연장된 고정판 꼬리(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 꼬리(72)가 구부러진 형태로 연결판(113)을 향해 연장되면서, 측면부(11)의 기준방향(D) 반대측 일단에 형성된 개구를 빈 틈이 없도록 덮을 수 있다.The fixing plate 7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late tail 72 extending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connection plate 113. As the fixing plate tail 72 extends toward the connection plate 113 in a bent shape, the opening formed at one end of the side portion 11 opposite the reference direction D may be covered so that there is no gap.

기판(61), 고정판(70) 및 버튼부(50)는 모두 환형으로 형성되거나 환형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환형의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구(93)가 연결될 수 있는 체결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 체결부(611), 고정판 체결부(701) 및 버튼 체결부(521)는 기준방향(D)을 따라 하우징(10)의 지지대(115)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같은 체결구(93)에 의해서 동시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기판 체결부(611), 하나의 고정판 체결부(701), 하나의 버튼 체결부(521) 및 하나의 지지대(115)가 기준방향(D)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 하나의 볼트가 상술한 체결부들 및 지지대(115)를 동시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판 체결부(611), 고정판 체결부(701) 및 버튼 체결부(521)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The substrate 61, the fixing plate 70, and the button unit 50 may all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or include an annular member, and a fastener 93 such as a bolt or screw may be connec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nnular portion. Each of the fastening portions may be formed. The substrate fastening part 611, the fixing plate fastening part 701, and the button fastening part 521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115 of the housing 10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the same fastener ( 93) can be fastened simultaneously. For example, when one substrate fastening part 611, one fixing plate fastening part 701, one button fastening part 521, and one support 115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 One bolt may simultaneously fasten and fix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parts and the support 115. The substrate fastening part 611, the fixing plate fastening part 701, and the button fastening part 521 may be configured in plural.

밸브(2)Valve(2)

밸브(2)는 압축팩(3)의 내외부에 대해 공기의 출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밸브(2)는 압축팩(3)에 설치된다.The valve 2 is configured to allow or block the entry of air into or out of the compression pack 3. Therefore, the valve 2 is installed in the compression pack 3.

밸브(2)는 밸브 입구(201), 밸브 판(202) 및 밸브 본체(204)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입구(201) 및 밸브 판(202)은 압축팩(3)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밸브 본체(204)는 압축팩(3)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valve 2 may include a valve inlet 201, a valve plate 202 and a valve body 204. The valve inlet 201 and the valve plate 20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mpression pack 3, and the valve body 204 may be disposed through the compression pack 3.

밸브 입구(201)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공기 압축기(1)의 흡입부(133)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밸브 입구(201)를 통해서 압축팩(3)의 내부나 외부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The valve inlet 201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is formed so that the suction part 133 of the air compressor 1 is inserted into the inside. Air may be introduced or discharged into or out of the compression pack 3 through the valve inlet 201.

밸브 판(202)은 밸브 입구(201)에 결합된 공기 압축기(1)의 작용에 의해 압축팩(3)의 외부에 음압이 형성되는 경우, 음압에 의해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2)를 개방하는 구성요소이다. 밸브 판(202)이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밸브(2)가 열려, 압축팩(3)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공기 압축기(1)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음압이 사라지면, 밸브 판(202)은 기준방향(D)으로 이동하여 밸브(2)를 폐쇄하여 압축팩(3)의 내부에 위치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The valve plate 202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by the negative pressure when negative pressure is formed outside of the compression pack 3 by the action of the air compressor 1 coupled to the valve inlet 201 This is a component that opens the valve 2. As the valve plate 202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valve 2 opens, so that the air in the compression pack 3 can be sucked by the air compressor 1. When the negative pressure disappears, the valve plate 202 moves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closes the valve 2 so that the air located inside the compression pack 3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밸브 본체(204)는 밸브 판(202)이 기준방향(D)과 그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되 밸브 본체(204)의 외부로는 이탈하지 못하도록 밸브 판(202)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압축팩(3)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잘 빨아들일 수 있는 방사형의 공기 안내부(203)를 구비하는 구성요소이다.The valve body 204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valve plate 202 can move so that the valve plate 202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but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valve body 204, and , It is a component provided with a radial air guide portion 203 that can well suck in air from the inside of the compression pack (3).

압축방법Compression metho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를 압축팩(3)에 형성된 밸브(2)에 연결하는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valve 2 formed in the compression pack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기(1)를 도 1의 상태에서 기준방향(D)으로 이동시켜, 흡입부(133)가 밸브 입구(201)에 삽입되도록 한다. 외부 오링(91)이 흡입부(133)와 밸브 입구(201)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킨다.The air compres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in the state of FIG. 1 so that the suction part 133 is inserted into the valve inlet 201. An external O-ring 91 maintains airtightness between the suction part 133 and the valve inlet 201.

전원 커넥터(63)에 외부 전력원을 연결하고, 버튼(51)을 사용자가 눌러 스위치(62)를 선택하면, 제어부(60)는 펌프(20)에 전력을 인가하여 펌프(20)가 작동하도록 한다. 펌프(20)의 작동에 의해 펌프(20) 내부에 잔존해있던 공기가 배출되며 밸브 판(202)의 기준방향(D) 반대측에 음압이 형성되고, 밸브 판(202)이 압력차에 의해 기준방향(D)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밸브 판(202)의 이동에 의해 밸브(2)가 열리고, 압축팩(3)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압력차에 의해 밸브(2) 외부로 배출된다. 압축팩(3)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배출되어, 압축팩(3)은 수축한다. 압축팩(3)의 수축에 따라 압축팩(3)의 내부에 위치하는 물체가 압축될 수 있다.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or 63 and the user presses the button 51 to select the switch 62, the control unit 60 applies power to the pump 20 so that the pump 20 operates. do. The air remaining inside the pump 20 is discharged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20, and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ference direction (D) of the valve plate 202, and the valve plate 202 is referenc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It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direction (D). The valve 2 is opened by the movement of the valve plate 202, and air in the compression pack 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alve 2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The air inside the compression pack 3 is discharged, and the compression pack 3 contracts. According to the contraction of the compression pack 3, an object located inside the compression pack 3 may be compressed.

배출된 공기는 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되어 펌프(20)로 향한다. 펌프(20)는 흡입한 공기를 배출구(22)를 통해 냉각유로(30)로 배출한다. 펌프(20)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냉각유로(30)의 방향전환부(31)와 직선부(32)를 거쳐 냉각노즐(42)로 향하고, 냉각노즐(42)은 전달받은 공기를 펌프(20)의 외측면에 위치한 냉각영역으로 분사한다. The discharged air is sucked through the inlet 131 and directed to the pump 20. The pump 20 discharges the sucked air into the cooling flow path 30 through the discharge port 22.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ump 20 is directed to the cooling nozzle 42 through the direction changing part 31 and the straight part 32 of the cooling flow path 30, and the cooling nozzle 42 transfers the received air to the pump 20 ) To the cooling area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냉각영역에 위치한 숨구멍(23)으로, 냉각노즐(42)이 분사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냉각영역에서도 분사된 공기가 지나갈 수 있다. 분사된 공기에 의해 전동기가 냉각될 수 있으며, 전동기가 냉각됨에 따라 전동기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난다.Air injected by the cooling nozzle 42 may be introduced into the pores 23 located in the cooling area, and the injected air may also pass through other cooling areas. The electric motor can be cooled by the injected air, and as the electric motor cools, the time that the electric motor can be used continuously increases.

제어부(60)는 압축팩(3)의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에 이르렀다고 판단되거나, 공기 압축기(1)가 스위치(62)의 선택에 의해 작동하기 시작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펌프(2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기 압축기(1)의 작동이 정지되고 난 뒤, 사용자가 공기 압축기(1)를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밸브(2)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밸브(2)는 더 이상 밸브 판(202)을 기준으로 외부에 음압을 제공할 공기 압축기(1)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밸브(2)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밸브(2)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압축팩(3)의 내부는 진공 내지 저압 포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mpression pack 3 has reached a certain pressure,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predetermined time has passed after the air compressor 1 has started to operate by selection of the switch 62, the pump Control to stop the operation of (20) can be perform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compressor 1 is stopped, the user can disengage the air compressor 1 from the valve 2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valve 2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valve 2 is closed since there is no longer an air compressor 1 to provide negative pressure to the outside based on the valve plate 202. When the valve 2 is closed, the inside of the compression pack 3 can be maintained in a vacuum or low pressure packaged stat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if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into one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in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of"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공기 압축기 2 : 밸브
3 : 압축팩 10 : 하우징
11 : 측면부 12 : 장식부
13 : 하부 14 : 상면부
20 : 펌프 21 : 흡입관
22 : 배출구 23 : 숨구멍
24 : 펌프노즐 30 : 냉각유로
31 : 방향전환부 32 : 직선부
41 : 중간덕트 42 : 냉각노즐
50 : 버튼부 51 : 버튼
52 : 프레임 53 : 연결부
60 : 제어부 61 : 기판
62 : 스위치 63 : 전원 커넥터
70 : 고정판 71 : 고정판 중심홀
72 : 고정판 꼬리 80 : 광학부재
81 : 광학부재 중심홀 91 : 외부 오링
92 : 내부 오링 93 : 체결구
111 : 내부공간 112 : 관체부
113 : 연결판 114 : 전원 개구
115 : 지지대 116 : 중간 지지부
117 : 돌출부 121 : 걸림부
131 : 흡입구 132 : 흡입덕트
133 : 흡입부 135 : 하면부 꼬리
141 : 상면부 중심홀 201 : 밸브 입구
202 : 밸브 판 203 : 공기 안내부
204 : 밸브 본체 311 : 제1 방향전환부
312 : 제2 방향전환부 313 : 제3 방향전환부
411 : 제1 중간덕트 412 : 제2 중간덕트
413 : 제3 중간덕트 421 : 노즐 개구
422 : 플랜지 423 : 걸림 결합부
424 : 결합홀 521 : 버튼 체결부
611 : 기판 체결부 701 : 고정판 체결부
1121 : 관체부의 기준방향측 일단
1122 : 관체부의 기준방향 반대측 타단
1131 : 장식부 결합홈 1331 : 흡입부 홈
1332 : 흡입공간 D : 기준방향
1: air compressor 2: valve
3: compression pack 10: housing
11: side part 12: decorative part
13: lower 14: upper surface
20: pump 21: suction pipe
22: outlet 23: pore
24: pump nozzle 30: cooling flow path
31: direction switching part 32: straight part
41: intermediate duct 42: cooling nozzle
50: button part 51: button
52: frame 53: connection
60: control unit 61: substrate
62: switch 63: power connector
70: fixing plate 71: fixing plate center hole
72: fixed plate tail 80: optical member
81: optical member center hole 91: external O-ring
92: inner O-ring 93: fastener
111: inner space 112: tube body
113: connection plate 114: power supply opening
115: support 116: intermediate support
117: protrusion 121: locking portion
131: suction port 132: suction duct
133: suction part 135: lower side tail
141: upper surface central hole 201: valve inlet
202: valve plate 203: air guide
204: valve body 311: first direction switching unit
312: second direction change unit 313: third direction change unit
411: first intermediate duct 412: second intermediate duct
413: third intermediate duct 421: nozzle opening
422: flange 423: engaging portion
424: coupling hole 521: button fastening part
611: board fastening part 701: fixing plate fastening part
1121: One end of the tube body in the reference direction
1122: The other end on the opposite side in the reference direction of the pipe body
1131: decorative portion coupling groove 1331: suction portion groove
1332: suction space D: reference direction

Claims (17)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펌프의 외측면 중 일부인 냉각영역을 향해 분사되도록, 일단이 상기 펌프에 형성되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냉각영역과 인접한 일 개소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영역을 향해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냉각유로; 및
상기 냉각유로의 타단에 배치되되 상기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펌프의 외측면을 향해 개구된 냉각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각노즐이 상기 냉각유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각노즐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공기 압축기.
housing;
A pump that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sucks air from outside through a suction port formed in the housing;
One end is formed in the pump and communicates with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ump is injected toward a cooling area that is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ump,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cooling area. A cooling passage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ump toward the cooling region; And
A cooling nozzl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cooling passage and opened toward an outer surface of the pump so that the air is discharged,
The housing includes a locking portion contacting an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nozzle to prevent the cooling nozz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oling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은, 상기 펌프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공기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A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pump is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pump sucks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펌프에 형성되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연통되고, 'U'자형으로 형성되는 방향전환부; 및
상기 방향전환부와 연통되되, 상기 냉각영역과 인접한 일 개소까지 연장되는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방향전환부를 통과함에 따라 반전되는, 공기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oling passage is formed in the pump and communicates with an outlet for discharging air, and a direction changer formed in a'U'shape; And
Doedoe communicating with the direction change portion, and including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to a location adjacent to the cooling region,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ump flows is reversed as it passes through the direction chang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여서 형성되는, 공기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straight portion is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housing, the air compress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U'자 형으로 형성되는 중간덕트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기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direction changing part is formed surrounded by an intermediate duct formed in a'U' shape.
제3항에 있어서,
'U'자 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펌프에 형성되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둘러쌈으로써 형성하는 펌프노즐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직선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타단이 결합되는 중간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중간덕트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기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3,
An intermediate duct formed in a'U' shape, one end is coupled to a pump nozzle formed on the pump and formed by enclos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air,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housing forming the straight portion. Including more,
The direction change unit is formed surrounded by the intermediate duct, the air compres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덕트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공기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intermediate duct is formed of silicon, an air compress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펌프에 형성되고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연통되되, 상기 배출구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방향전환부;
상기 제1 방향전환부와 연통되되, 상기 제1 방향전환부가 연장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방향전환부; 및
상기 제2 방향전환부와 연통되되, 상기 제1 방향전환부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공기가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된 제3 방향전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 방향전환부의 폭은 상기 각 방향전환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각 방향전환부의 너비일 때, 상기 제1 방향전환부의 폭 및 상기 제3 방향전환부의 폭은, 상기 제2 방향전환부의 폭보다 작은, 공기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direction change unit,
A first direction changer formed in the pump and communicated with an outlet for discharging air, and extending along a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A second direction changing unit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uni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unit is extended; And
And a third direction changing part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part, which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part was extended, so that the air flows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discharged from the outlet But,
When the width of each direction change part is the width of each direction change part based 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in each direction change part, the width of the first direction change part and the width of the third direction change part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part, the air compresso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력을 이용해 발생시키는 전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노즐은, 상기 냉각영역에서 상기 전동기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숨구멍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숨구멍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공기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ump includes an electric motor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inhaling and discharging the air using electric power,
The cooling nozzl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shape of a pore formed by opening the motor in the cooling region, and is disposed to face the por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부, 상기 상면부과 대향되게 상기 상면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하면부의 중심으로부터 이심된 개소에 형성되는, 공기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n upper surface portion, a lower surface portion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to face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a sid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air compressor, wherein the suction port is formed at a location distal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흡입구를 둘러싼 환형의 흡입부가 형성되는, 공기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An air compressor having an annular suction part protruding toward a direction facing the one surface and surrounding the suction port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on which the suction port is formed.
제13항에 있어서,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의 외주면을 둘러싼 외부 오링을 더 포함하는, 공기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3,
An air compressor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further comprising an outer O-ring surroundi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및
가압됨으로써 이동해 상기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버튼을 연결하되 상기 스위치로부터 상기 버튼이 이격되도록 상기 버튼에 복원력을 작용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A switch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pump is operated; And
A butt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so as to move by being pressed to press the switch, a frame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 connection part that acts on the button so that the button is spaced apart from the switch. Air compressor further comprising a button portion provid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버튼을 둘러싸되 상기 버튼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버튼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공기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frame is disposed surrounding the button and spaced apart from the button,
The connecting portions provided in plurality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펌프가 작동할 때 점등되는 발광체; 및
상기 발광체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발광체로부터 발광한 빛을 받아들여 산란시켜 외부로 내보내는 광학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A light-emitting bod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turned on when the pump is operated; And
The air compressor further comprises an optical member disposed adjacent to the luminous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receiving light emitted from the luminous body, scattering it, and sending it to the outside.
KR1020180136064A 2018-11-07 2018-11-07 Air compressor KR1021505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64A KR102150522B1 (en) 2018-11-07 2018-11-07 Air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64A KR102150522B1 (en) 2018-11-07 2018-11-07 Air compr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719A KR20200052719A (en) 2020-05-15
KR102150522B1 true KR102150522B1 (en) 2020-09-01

Family

ID=7067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064A KR102150522B1 (en) 2018-11-07 2018-11-07 Air compres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52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9238A (en) * 2002-09-27 2004-04-15 Murata Mach Ltd Tact switch
KR100853752B1 (en) * 2007-05-11 2008-08-22 주식회사 락앤락 Handy-held vacuum suction device
JP5484228B2 (en) * 2010-07-12 2014-05-07 修二郎 藤本 Vacuum pump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9033U (en) * 1990-08-24 1992-04-24
JPH08263734A (en) * 1995-03-20 1996-10-11 Fuji Electric Co Ltd Display lamp device installed on decoration frame of merchandise take-out port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US7246555B2 (en) * 2003-03-12 2007-07-24 Shoot The Moon Products Ii, Llc Portable vacuum food storage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9238A (en) * 2002-09-27 2004-04-15 Murata Mach Ltd Tact switch
KR100853752B1 (en) * 2007-05-11 2008-08-22 주식회사 락앤락 Handy-held vacuum suction device
JP5484228B2 (en) * 2010-07-12 2014-05-07 修二郎 藤本 Vacuum pump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719A (en)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8950B2 (en) Vacuum generation unit
US7182280B2 (en) DC power spraying tool
KR950005443Y1 (en) Ejector pump
JP2017505174A (en) Fluid block for endoscope operating element and endoscope
KR100574142B1 (en) Skin care device
JPS60175800A (en) Ejector pump
KR100580900B1 (en) Plurality of vacuum generation units
KR102150522B1 (en) Air compressor
JP6159824B2 (en) Planar suction gripper
US10320168B2 (en) Cord grip with liquid drain
JP5899427B2 (en) Vacuum cleaner suction tool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TWM606725U (en) Wireless sterilization device
DK1158226T3 (en) gas charging device
US8418712B2 (en) Air discharge implement for a portable pressurized sprayer
CN113349425B (en) Atomizer
US20080116296A1 (en) Spray gun
KR20100053738A (en) Handy type vacuum suction apparatus having sealer
KR101172184B1 (en) Air discharge implement for a portable pressurized sprayer
CN219837716U (en) Adsorption device
KR102195206B1 (en) handy vacuumer
KR100629089B1 (en) Device for filling air to tire
JP2000287917A (en) Feed air/water valve structure of endoscope
CN217911025U (en) Liquid spraying device and spray gun
US20220040355A1 (en) Wireless disinfection device
KR101733938B1 (en) Multi air pump and injection equipment using the air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