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424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424B1
KR102150424B1 KR1020140134873A KR20140134873A KR102150424B1 KR 102150424 B1 KR102150424 B1 KR 102150424B1 KR 1020140134873 A KR1020140134873 A KR 1020140134873A KR 20140134873 A KR20140134873 A KR 20140134873A KR 102150424 B1 KR102150424 B1 KR 102150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iquid crystal
holder
fitt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215A (ko
Inventor
정청화
김성현
남제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4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4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량 및 박형 그리고 좁은베젤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백커버와 가이드패널 그리고 프론트커버를 캠홀더를 통해 일체로 조립 및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액정표시장치는 캠홀더를 통해 안정적으로 모듈화되면서도, 프론트커버와 백커버가 기존의 스크류 타입의 체결방식을 통해 서로 결합되었던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최소한의 살두께를 구현하지 않아도 되며, 특히 체결용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량 및 박형 그리고 좁은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캠홀더를 조립 및 체결하는 과정이 단순하여, 액정표시장치의 모듈화 과정에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체결용보스 등의 별도의 체결용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재료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모듈화하는 과정에서 이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액정표시장치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량 및 박형 그리고 좁은베젤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화상 표시에 유리하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큰 특징을 보여 TV, 모니터 등에 활발하게 이용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는 액정의 광학적이방성(optical anisotropy)과 분극성질(polarization)에 의한 화상구현원리를 나타낸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나란한 두 기판(substrate) 사이로 액정층을 개재하여 합착시킨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el)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액정패널 내의 전기장으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변화시켜 투과율 차이를 구현한다.
하지만 액정패널은 자체 발광요소를 갖추지 못한 관계로 투과율 차이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고, 이를 위해 액정패널 배면에는 광원(光源)이 내장된 백라이트(backlight)가 배치된다.
이러한 액정패널과 백라이트는 탑커버, 가이드패널 그리고 커버버툼에 의해 모듈화된다.
도 1a는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1b는 프론트커버에 구비된 체결용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모듈(1)과 액정표시장치모듈(1)을 수납하기 위한 프론트커버(front cover : 60)와 백커버(back cover : 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모듈(1)은 제 1 및 제 2 기판(12, 14)이 합착된 액정패널(10)과 편광판(19a, 19b), PCB(29b) 상에 장착된LED(29a)와 반사판(25), 도광판(23), 광학시트(21)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20)이 가장자리가 사각테 형상의 가이드패널(30)으로 둘려진 상태로 커버버툼(50) 상에 안착되어, 액정패널(10) 상면 가장자리를 두르는 탑커버(40)가 커버버툼(50)과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가이드패널(30)과 탑커버(40) 그리고 커버버툼(50)을 통해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모듈(1)은 스크류 타입의 체결방식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백커버(70)와 프론트커버(60) 내에 수납되어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최근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휴대용 컴퓨터는 물론 데스크톱 컴퓨터 모니터 및 벽걸이형 텔레비전 등 그 사용영역이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로, 넓은 디스플레이 면적을 가지면서도 획기적으로 감량된 무게 및 부피를 갖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경량 및 박형 외에도 표시영역은 넓게 그리고 표시영역 이외의 비표시영역인 베젤(bezel)영역은 가능한 작게 형성하는 좁은베젤(narrow bezel)에 대해서도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스크류 타입의 체결방식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백커버(70)와 프론트커버(60)에는 스크류(80) 체결을 위한 최소한의 살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특히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커버(60)에 체결용보스(90)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최근 요구되고 있는 경량 및 박형 그리고 좁은베젤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스크류 타입의 체결방식은 스크류(80)를 체결 또는 분해하는 과정에서 체결용보스(90) 내면과 긁히거나 마모되는 등의 마찰에 의해 이물질이 발생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세밀한 동작이 요구되는 구동회로(미도시)나 액정패널(10) 내부로 이물이 침투하여 화질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량 및 박형 그리고 좁은베젤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모듈화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하며, 액정표시장치의 모듈화 과정에서 조립시간 단축 및 재료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모듈화하는 과정에서 이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 4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구동회로나 액정패널 내부로 이물이 침투하여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 5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액정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를 두르는 제 1 수평부와,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 가장자리를 두르는 제 1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직부 상에 체결홀이 구비된 프론트커버와 상기 액정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제 2 수직부와, 상기 제 2 수직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수평부를 포함하는 가이드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안착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가장자리가 수직 절곡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면 상에는 고정홀이 형성된 백커버와 상기 체결홀로 끼움 삽입되는 캠끼움돌기와, 상기 고정홀로 끼움 삽입되는 캠끼움부를 포함하는 캠홀더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수평부의 배면으로 끼움부가 돌출되며, 상기 캠홀더에는 상기 끼움부가 끼움 삽입되는 캠가이드홀을 포함하며, 상기 캠홀더는 상기 캠끼움돌기가 외주연 둘레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캠헤드와, 상기 캠헤드로부터 원통형으로 돌출되는 상기 캠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헤드의 상면에는 상기 캠가이드홀이 구비되며, 상기 캠끼움부의 하부면에는 나사홈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캠홀더는 상기 캠끼움돌기가 외주연 둘레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캠헤드와, 상기 캠헤드로부터 원통형으로 돌출되는 상기 캠끼움부를 포함하는 캠과, 상기 캠끼움부가 끼움 삽입되는 홀더끼움홀을 포함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끝단으로부터 외주연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우징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캠끼움부의 외면으로 캠고정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캠고정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캠고정돌기가 끼움 삽입되는 홀더돌기끼움홀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캠헤드에 인접한 상기 캠고정돌기는 제 1 폭을 가지며, 상기 캠끼움부의 일끝단에 인접한 상기 캠고정돌기는 상기 제 1 폭에 비해 좁은 제 2 폭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부의 일끝단에 형성된 상기 홀더돌기끼움홀은 상기 제1 폭 보다 좁은 제 3 폭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상기 홀더돌기끼움홀은 상기 제 1 폭에 대응하는 제 4 폭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가이드부에는 홀더고정엠보가 돌출되며, 상기 홀더고정엠보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가이드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의 연결부 일부에는 홀더댐퍼홀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가이드부의 배면으로는 상기 홀더댐퍼홀에 대응하여 홀더댐퍼홈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백커버의 배면에는 상기 고정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홀단턱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홀단턱에는 상기 백커버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응하여 제 1 고정용홈이 구비되며, 상기 가장자리부의 길이방향과 대면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제 2 고정용홈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가이드부는 상기 고정홀단턱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상기 홀더고정용엠보는 상기 제 1 고정용홈에 끼움 삽입되었다가, 상기 캠홀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고정용홈으로 끼움 삽입되며, 상기 캠끼움돌기는 상기 캠끼움부의 일 끝단으로부터 외주연 둘레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캠끼움돌기의 하부면에는 엠보가 구비되며, 상기 캠끼움부의 타 끝단에는 외주연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헤드가 구비되며, 상기 헤드에는 나사홈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캠끼움부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홀은 상기 캠끼움부의 상면은 관통될 수 있으나, 상기 헤드는 관통되지 못하는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백커버의 배면에는 상기 고정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홀단턱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는 상기 고정홀단턱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면의 내면으로 상기 고정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단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단 상에는 상기 백커버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엠보가 끼움 삽입되는 제 3 고정용홈이 구비되며, 상기 캠끼움돌기의 하부면에는 상기 캠끼움돌기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캠끼움돌기의 중심부를 향할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경사면이 구비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백커버와 가이드패널 그리고 프론트커버를 캠홀더를 통해 일체로 조립 및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액정표시장치는 캠홀더를 통해 안정적으로 모듈화되면서도, 프론트커버와 백커버가 기존의 스크류 타입의 체결방식을 통해 서로 결합되었던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최소한의 살두께를 구현하지 않아도 되며, 특히 체결용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량 및 박형 그리고 좁은베젤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캠홀더를 조립 및 체결하는 과정이 단순하여, 액정표시장치의 모듈화 과정에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기존의 체결용보스 등의 별도의 체결용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재료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모듈화하는 과정에서 이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액정표시장치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1b는 프론트커버에 구비된 체결용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캠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b는 서로 조립된 도 3a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c는 도 3b의 배면 사시도.
도 4a는 백커버의 고정홀에 캠홀더의 하우징이 끼움 삽입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4b는 백커버의 고정홀에 캠홀더의 하우징이 끼움 삽입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4c는 캠홀더를 통해 백커버와 가이드패널 그리고 프론트커버를 조립 및 체결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캠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a ~ 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캠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a및 도 8c는 백커버의 고정홀로 끼움 삽입된 캠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배면 사시도.
도 8d ~ 8e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캠홀더를 통해 백커버와 프론트커버가 서로 조립 및 체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 제 1 실시예 -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100)는 크게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모듈(110)과, 액정표시장치모듈(110)을 수납하기 위한 프론트커버(front cover : 140)와 백커버(back cover : 150)로 구성된다.
이들 각각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액정표시장치모듈(110)은 크게 액정패널(111)과 백라이트 유닛(120)으로 이루어지는데, 액정패널(111)은 화상표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 합착된 제 1 기판(112) 및 제 2 기판(114)을 포함한다.
이때, 능동행렬 방식이라는 전제 하에 비록 도면상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통상 어레이기판이라 불리는 제 1 기판(112) 내면에는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교차하여 화소(pixel)가 정의되고, 각각의 교차점마다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가 구비되어 각 화소에 형성된 투명 화소전극과 일대일 대응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컬러필터기판이라 불리는 제 2 기판(114) 내면으로는 각 화소에 대응되는 일예로 적(R), 녹(G), 청(B) 컬러의 컬러필터(color filter) 및 각각의 컬러필터를 두르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비표시요소를 가리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가 구비된다.
또한, 제 2 기판(114)의 내면으로는 각각의 컬러필터와 블랙매트릭스를 덮는 투명 공통전극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제 2 기판(112, 114)의 외면으로는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편광판(119a, 119b)이 각각 부착된다.
또한 이 같은 액정패널(111) 적어도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 이나 테이프케리어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 같은 연결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연결되어 모듈화 과정에서 액정패널(111)의 배면으로 적절하게 젖혀 밀착된다.
이에 상술한 구조의 액정패널(111)은 스캔 전달되는 게이트구동회로의 온/오프(on/off) 신호에 의해 각 게이트라인 별로 선택된 박막트랜지스터가 온(on) 되면 데이터구동회로의 신호전압이 데이터라인을 통해서 해당 화소전극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른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액정층 내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이 변화되어 투과율 차이를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110)에는 액정패널(111)이 나타내는 투과율의 차이가 외부로 발현되도록 이의 배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구비된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도광판(123)과, 도광판(123)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LED 어셈블리(129)와, 백색 또는 은색의 반사판(125) 그리고 도광판(123) 상부로 개재되는 광학시트(121)를 포함한다.
앞서 말한 LED 어셈블리(129)는 광원으로서, 도광판(123)의 입광부와 대면하도록 도광판(123)의 일측에 위치하며, 이러한 LED 어셈블리(129)는 다수개의 LED(129a)와, 이의 LED(129a)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장착되는 PCB(129b)를 포함한다.
이때, 다수의 LED(129a)는 도광판(123)의 입광면을 향하는 전방으로 각각 적(R), 녹(G), 청(B)의 색을 갖는 빛을 발하며, 이러한 다수개의 RGB LED(129a)를 한꺼번에 점등시킴으로써 색섞임에 의한 백색광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LED 어셈블리(129) 외에도 냉음극전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나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와 같은 형광램프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광램프를 사용할 경우 형광램프의 보호와 더불어 빛을 도광판(123)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역할을 하는 램프가이드(미도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23)은 LED(129a)로부터 입사된 빛이 여러번의 전반사에 의해 도광판(123) 내를 진행하면서 도광판(123)의 넓은 영역으로 골고루 퍼져 액정패널(111)에 면광원을 제공한다.
이러한 도광판(123)은 균일한 면광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면에 특정 모양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은 도광판(123) 내부로 입사된 빛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타원형의 패턴(elliptical pattern), 다각형의 패턴(polygon pattern), 홀로그램 패턴(hologram pattern)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패턴은 도광판(126)의 하부면에 인쇄방식 또는 사출방식으로 형성한다.
또한, 반사판(125)은 도광판(123)의 배면에 위치하여, 도광판(123)의 배면을 통과한 빛을 액정패널(111)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빛의 휘도 및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광판(123) 상부의 광학시트(121)는 확산시트와 적어도 하나의 집광시트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확산시트는 도광판(123) 상부에 바로 위치하여, 도광판(123)을 통해 입사된 광을 분산시키면서 집광시트 쪽으로 광이 진행하도록 광의 방향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확산시트를 통과하여 확산된 광은 집광시트에 의해 액정패널(111) 방향으로 집광하게 된다. 이에, 집광시트를 통과하는 광은 거의 대부분 액정패널(111)에 수직하게 진행된다.
한편, 상술한 구조의 백라이트 유닛(120)은 측광(side light) 방식이라 불리는 것으로, PCB(129b) 상에 LED(129a)가 다수개 복층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도광판(123)의 서로 대면하는 양 가장자리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도광판(123)을 생략한 상태로 다수개의 LED어셈블리(129)를 액정패널(111) 하부에 나란하게 배열하는 직하(direct)형도 가능하다.
이러한 액정패널(111)과 백라이트 유닛(120)은 가이드패널(130)과 프론트커버(140) 그리고 백커버(150)를 통해 일체로 모듈화되어 액정표시장치(100)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상의 방향을 정의하면, 액정패널(111)의 표시면이 전방을 향한다는 전제 하에 가이드패널(130)이 액정패널(111)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를 두른 상태로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으로는 백커버(150)가 위치하며, 액정패널(111)의 전면으로는 프론트커버(140)가 위치하여, 전후방에서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프론트커버(140)는 액정패널(111)의 상면 가장자리 및 측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는데, 프론트커버(140)는 액정패널(111)의 상면 및 측면 가장자리를 덮도록 단면이“ㄱ”형태로 절곡된 사각테 형상으로, 액정패널(111)의 상면 가장자리를 덮는 제 1 수평부(141)와 제 1 수평부(141)로부터 수직하여 액정패널(111)의 측면을 덮는 제 1 수직부(143)로 이루어져, 프론트커버(140)의 전면을 개구하여 액정패널(111)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가이드패널(130)은 액정패널(111)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를 두르기 위한 사각테 형상으로, 백라이트 유닛(120)의 측면을 감싸는 제 2 수직부(131)와 제 2 수직부(131)의 내측으로 액정패널(111)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위치를 구분짓는 제 2 수평부(133)가 구비된다.
액정패널(111)은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패드(미도시)를 통해 제 2 수평부(133) 상에 부착 및 고정된다.
그리고, 액정패널(111)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가이드패널(130)은 백커버(150) 상에 안착되는데, 백커버(150)는 액정패널(111)을 비롯한 백라이트 유닛(120)이 안착되는 수평면(151)을 제공해서 액정표시장치(100) 전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광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하부프레임의 역할을 담당하며, 수평면(151)의 가장자리는 수직 절곡되어 백커버(150)의 가장자리부(153)를 이룬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커버(150)와 프론트커버(140) 그리고 가이드패널(130)은 캠홀더(200)를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되는데, 캠홀더(200)는 캠(210)과, 캠(210)이 끼움 삽입되는 하우징(220)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백커버(150)의 수평면(151) 상에는 하우징(220)의 하우징부(221)가 끼움 삽입되는 고정홀(155)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론트커버(140)의 제 1 수직부(143) 상에는 캠(210)의 캠끼움돌기(213)가 끼움 삽입되는 체결홀(1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패널(130)에는 제 2 수평부(133)의 배면으로 캠(210)의 캠가이드홈(219)으로 끼움 삽입되는 끼움부(13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패널(130)과 프론트커버(140) 그리고 백커버(150)는 백커버(150)의 고정홀(155)에 끼움 삽입되는 하우징부(221)를 포함하는 하우징(220)과, 하우징(220)에 끼움 삽입되며 프론트커버(140)의 체결홀(145)에 캠끼움돌기(213)가 끼움 삽입되는 캠(210), 그리고 캠(210)의 캠가이드홈(219)으로 끼움부(135)가 끼움 삽입되는 가이드패널(130)이 서로 일체형으로 조립 및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캠홀더(200)는 별도의 프론트커버(140)나 백커버(150)의 최소한의 살두께를 요하지 않으며, 또한 별도의 체결용보스(도 1b의 90)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프론트커버(140)와 백커버(150)를 체결 및 분해하는데 있어 캠홀더(200)를 약 1/4 만 회전시키면 되므로 프론트커버(140)와 백커버(150)를 체결 또는 분해하는 과정에서 스크류(도 1a의 80)에 의한 이물질이 발생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캠홀더(200)를 통해 안정적으로 모듈화되면서도, 프론트커버(140)와 백커버(150)가 기존의 스크류 타입의 체결방식을 통해 서로 결합되었던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최소한의 살두께를 구현하지 않아도 되며, 특히 체결용보스(도 1b의 9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량 및 박형 그리고 좁은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캠홀더(200)를 조립 및 체결하는 과정이 단순하여, 액정표시장치(100)의 모듈화 과정에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체결용보스(도 1b의 90) 등의 별도의 체결용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재료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100)를 모듈화하는 과정에서 이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액정표시장치(100)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캠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b는 서로 조립된 도 3a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c는 도 3b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캠홀더(200)는 캠(210)과 하우징(220)을 포함하는데, 캠(210)은 외주연 둘레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캠끼움돌기(213)가 돌출된 캠헤드(211)와, 캠끼움돌기(213)로부터 수직하게 캠헤드(211)로부터 원통형으로 돌출되는 캠끼움부(2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캠헤드(211)의 일면이 상면이라 정의하면, 캠끼움부(215)는 캠헤드(211)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캠헤드(211)로부터 돌출되는 캠끼움부(215)의 하부면에는 십자형상 또는 일자형상의 나사홈(21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헤드(211)의 상면에는 캠가이드홈(2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캠헤드(2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캠끼움돌기(213)의 하부면에는 캠끼움돌기(213)의 일측으로부터 캠끼움돌기(213)의 중심부를 향할수록 캠끼움돌기(213)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경사면(21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캠끼움부(215)는 하우징(220)에 구비된 홀더끼움홀(225)로 끼움 삽입되어, 캠(210)과 하우징(220)은 서로 일체로 조립 및 체결된다.
하우징(220)은 캠끼움부(215)가 끼움 삽입되는 홀더끼움홀(225)이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부(221)와, 하우징부(221)의 일끝단으로부터 하우징부(221)의 외주연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우징가이드부(2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220)의 홀더끼움홀(225)로 끼움 삽입된 캠(210)의 캠끼움부(215)는 하우징가이드부(223)의 배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캠끼움부(215)의 외면에는 캠고정돌기(217)가 돌출 형성되는데, 캠고정돌기(217)는 캠헤드(211)로부터 캠끼움부(215)의 일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단면적으로 밑면이 캠헤드(211)를 향해 위치하는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캠헤드(211)에 인접하는 캠고정돌기(217)는 제 1 폭(d1)을 갖도록 형성되며, 캠헤드(211)로부터 멀리 위치하여 캠끼움부(215)의 일끝단에 인접하는 캠고정돌기(217)는 제 1 폭(d1) 보다 좁은 제 2 폭(d2)을 갖도록 형성된다.
캠고정돌기(217)는 캠끼움부(215)의 외면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적어도 두개가 쌍을 이뤄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캠고정돌기(217)에 대응하여 하우징(220)의 하우징부(221)에는 홀더돌기끼움홀(227)이 형성되는데, 홀더돌기끼움홀(227)은 하우징부(221)의 일끝단으로부터 하우징부(221)의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우징부(221)의 일끝단에 형성된 홀더돌기끼움홀(227)은 제 3 폭(d3)을 갖도록 형성되며, 하우징부(221)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홀더돌기끼움홀(227)은 제 3 폭(d3) 보다 넓은 제 4 폭(d4)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 3 폭(d3)은 캠고정돌기(217)의 캠헤드(211)에 인접한 캠고정돌기(217)의 제 1 폭(d1) 보다 좁게 형성되며, 제 4 폭(d4)은 캠고정돌기(217)의 캠헤드(211)에 인접한 캠고정돌기(217)의 제 1 폭(d1)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캠(210)의 캠끼움부(215)가 하우징(220)의 홀더끼움홀(225)로 끼움 삽입되는 과정에서, 캠끼움부(215)의 외면에 형성된 캠고정돌기(217)가 캠고정돌기(217)의 제 1 폭(d1) 보다 좁은 하우징부(220)의 홀더돌기끼움홀(227)의 제 3 폭(d3)을 빠듯하게 통과하여 홀더돌기끼움홀(227)로 끼움 삽입된다.
그리고, 하우징(220)의 홀더끼움홀(225)로 끼움 삽입된 캠(210)의 캠끼움부(215)는 손쉽게 탈착되지 않게 된다. 즉, 캠(210)은 하우징(220)으로부터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여기서, 하우징가이드부(223)에는 홀더고정엠보(229)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고정엠보(229)에 인접하여 하우징가이드부(223)와 하우징부(221) 사이의 연결부 일부에는 홀더댐퍼홀(22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가이드부(223)의 배면에는 홀더댐퍼홀(228a)에 대응하여, 홀더댐퍼홈(228b)이 형성된다.
홀더고정엠보(229)를 통해 캠홀더(200)의 회전량을 확인할 수 있어, 캠홀더(200)를 통해 프론트커버(도 2의 140)와 백커버(도 2의 150)가 서로 조립 및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홀더댐퍼홀(228a)과 홀더댐퍼홈(228b)을 통해 보단 손쉽게 캠홀더(200)를 회전량에 맞춰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홀더고정엠보(229)는 하우징(220)의 홀더끼움홀(225)로 끼움 삽입되는 캠(210)의 캠헤드(211)로부터 캠끼움돌기(213)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로 대응되는 하우징가이드부(223)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있던 캠(210)과 하우징(220)을 서로 조립 및 체결시키는 과정에서, 캠(210)은 가이드패널(도 2의 130)과 프론트커버(도 2의 140)와 조립 및 체결되도록 하고 하우징(220)은 백커버(도 2의 150)와 조립 및 체결되도록 한 후, 캠(210)과 하우징(220)을 서로 조립 및 체결시킨다.
이를 통해 캠홀더(200)를 통해 가이드패널(도 2의 130)과 백커버(도 2의 150) 그리고 프론트커버(도 2의 140)를 일체로 서로 조립 및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a ~ 4c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4a는 백커버의 고정홀에 캠홀더의 하우징이 끼움 삽입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4b는 백커버의 고정홀에 캠홀더의 하우징이 끼움 삽입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c는 캠홀더를 통해 백커버와 가이드패널 그리고 프론트커버를 조립 및 체결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홀더(도 3c의 200)의 캠끼움돌기(213)가 구비된 캠헤드(211)와, 캠헤드(211)로부터 돌출되어 외면에 캠고정돌기(217)가 형성된 캠끼움부(215)를 포함하는 캠(도 3c의 210)이 가이드패널(130)의 끼움부(도 2의 135)가 캠(도 3c의 210)의 캠가이드홈(도 3b의 219)으로 끼움 삽입된 상태로 백커버(150)의 수평면(151)의 내측으로 안착되어 위치한다.
이때, 캠(도 3c의 210)의 캠끼움부(215)는 백커버(150)의 수평면(151) 상에 구비된 고정홀(155)로 끼움 삽입되어 캠끼움부(215)의 하부면에 구비된 나사홈(218)이 고정홀(155)을 통해 백커버(150)의 배면으로 노출된다.
백커버(150)의 배면으로는 캠(도 3c의 210)의 캠끼움부(215)가 끼움 삽입되는 홀더끼움홀(225)을 포함하는 하우징부(221)와, 하우징부(221)의 일끝단 외면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홀더고정엠보(229)와 홀더댐퍼홀(228a) 및 홀더댐퍼홈(228b)이 형성된 하우징가이드부(223)를 포함하는 하우징(210)이 위치한다.
하우징(210)의 하우징부(221)는 백커버(150)의 고정홀(155)로 끼움 삽입되어, 고정홀(155)로 끼움 삽입된 캠(도 3c의 210)의 캠끼움부(215)가 하우징부(221)의 홀더끼움홀(225)로 끼움 삽입되어, 캠(도 3c의 210)과 하우징(210)은 서로 일체로 조립 및 체결되게 된다.
이때, 백커버(150)의 배면에는 고정홀(155)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수평면(151)이 내측을 향해 일정 두께 단차져 형성되는 고정홀단턱(157)이 구비되는데, 고정홀단턱(157)으로 캠홀더(도 3c의 200)의 하우징가이드부(223)가 안착되어 지지된다.
고정홀단턱(157)의 두께는 하우징가이드부(223)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백커버(150)의 배면으로부터 조립 및 체결되는 하우징(220)이 백커버(150)의 배면으로 단차져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홀단턱(157)에는 제 1 방향으로 제 1 고정용홈(159a)과, 제 1 방향으로부터 약 45도 기울어진 제 2 방향에는 제 2 고정용홈(159b)이 형성되는데, 제 1 고정용홈(159a)은 백커버(150)의 가장자리부(153)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며, 제 2 고정용홈(159b)은 백커버(150)의 가장자리부(153)와 대면하는 방향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고정용홈(159a, 159b)에는 고정홀단턱(157)으로 안착되어 지지되는 하우징가이드부(223)에 구비된 홀더고정엠보(229)가 캠홀더(도 3c의 200)의 회전에 따라 끼움 삽입된다.
즉,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홀더(도 3c의 200)의 하우징부(221)는 하우징가이드부(223)의 홀더고정엠보(229)가 고정홀단턱(157)의 제 1 고정용홈(159a)에 끼움 삽입되도록 백커버(150)의 고정홀(155)로 끼움 삽입된다.
이때, 고정홀(155)로 끼움 삽입된 하우징부(221)로는 홀더끼움홀(225)로 캠(도 3c의 210)의 캠끼움부(215)가 끼움 삽입되어, 캠(도 3c의 210)과 하우징(210)은 서로 일체로 조립 및 체결되어, 캠끼움부(215)의 하부면에 형성된 나사홈(218)이 백커버(150)의 배면으로 노출되게 된다.
여기서, 캠(도 3c의 210)의 캠가이드홈(도 3b의 219)으로는 가이드패널(130)의 제 2 수평부(133) 배면에 형성된 끼움부(도 2의 135)가 끼움 삽입된 상태로, 캠(도 3c의 210)과 가이드패널(130)은 서로 일체로 조립 및 체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커버(140)를 제 1 수평부(141)가 액정패널(도 2의 111)의 상면 가장자리를 덮으며, 제 1 수직부(143)는 백커버(150)의 가장자리부(153)의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가조립한 후, 백커버(150)의 배면으로 노출된 캠끼움부(215)의 나사홈(218)을 통해 캠홀더(도 3c의 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캠홀더(도 3c의 200)의 회전량은 제 1 고정용홈(159a)에 끼움 삽입된 홀더고정엠보(229)가 제 2 고정용홈(159b)으로 끼움 삽입되도록 원을 기준으로 원의 약 1/4 만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제 1 고정용홈(159a)에 끼움 삽입되어 있던 홀더고정엠보(229)가 캠홀더(도 3c의 200)의 회전에 의해 제 2 고정용홈(159b)으로 끼움 삽입되는 과정에서, 홀더고정엠보(229)는 제 1 및 제 2 고정용홈(159a, 159b)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백커버(150)의 고정홀단턱(157)에 의해 눌림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홀더고정엠보(229)에 인접하여 형성된 홀더댐퍼홀(228a)과 홀더댐퍼홈(228b)에 의해 홀더고정엠보(229)의 눌림이 완충되게 된다.
따라서, 캠홀더(도 3c의 20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홀더고정엠보(229)의 눌림에 의해 이물질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손쉽게 캠홀더(도 3c의 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캠홀더(도 3c의 200)를 회전시키면, 캠홀더(도 3c의 200)의 캠(도 3c의 210)에 구비된 캠끼움돌기(213) 또한 회전하여 캠끼움돌기(213)가 프론트커버(140)의 제 1 수직부(143) 상에 형성된 체결홀(145)로 끼움 삽입되게 된다.
이때, 캠끼움돌기(213)가 체결홀(145)로 끼움 삽입되는 과정에서, 캠끼움돌기(213)의 하부면에 구비된 경사면(도 3c의 213a)에 의해 캠끼움돌기(213)가 체결홀(145)의 바닥부를 타고 올라가 손쉽게 체결홀(145)로 끼움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도 2의 100)는 캠홀더(도 3c의 200)를 통해 백커버(150)와 가이드패널(130) 그리고 프론트커버(140)를 모두 일체로 조립 및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패널(130)은 끼움부(도 2의 135)가 캠홀더(도 3c의 200)의 캠(도 3c의 210)의 캠가이드홀(도 3b의 219)로 끼움 삽입되어 가이드패널(130)과 캠홀더(도 3c의 200)의 캠(도 3c의 210)은 서로 조립 및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캠홀더(도 3c의 200)의 캠(도 3c의 210)에 구비된 캠끼움돌기(213)가 프론트커버(140)의 체결홀(145)로 끼움 삽입되어 캠홀더(도 3c의 200)의 캠(도 3c의 210)과 프론트커버(140)는 서로 조립 및 체결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캠(도 3c의 210)은 백커버(150) 배면 고정홀(155) 주변으로 형성되는 고정홀단턱(157)에 캠홀더(도 3c의 200)의 하우징가이드부(223)가 안착 및 지지되는 하우징(220)과 조립 및 체결됨으로써, 가이드패널(130)과 프론트커버(140) 그리고 백커버(150)는 캠홀더(도 3c의 200)에 의해 모두 일체로 조립 및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도 2의 100)는 캠끼움돌기(213)가 구비된 캠헤드(도 3c의 211)와, 캠헤드(도 3c의 211)로부터 돌출되어 외면에 캠고정돌기(217)가 형성된 캠끼움부(215)를 포함하는 캠(도 3c의 210)과 캠(도 3c의 210)의 캠끼움부(215)가 끼움 삽입되는 홀더끼움홀(225)을 포함하는 하우징부(221)와, 하우징부(221)의 일끝단 외면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홀더고정엠보(229)와 홀더댐퍼홀(218a) 및 홀더댐퍼홈(218b)이 형성된 하우징가이드부(223)를 포함하는 하우징(220)을 포함하는 캠홀더(도 3c의 200)를 통해 백커버(150)와 가이드패널(130) 그리고 프론트커버(140)를 서로 일체형으로 조립 및 체결된다.
이를 통해, 액정표시장치(도 2의 100)는 캠홀더(도 3c의 200)를 통해 안정적으로 모듈화되면서도, 프론트커버(140)와 백커버(150)가 기존의 스크류 타입의 체결방식을 통해 서로 결합되었던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최소한의 살두께를 구현하지 않아도 되며, 특히 체결용보스(도 1b의 9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량 및 박형 그리고 좁은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캠홀더(도 3c의 200)를 조립 및 체결하는 과정이 단순하여, 액정표시장치(도 2의 100)의 모듈화 과정에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체결용보스(도 1b의 90) 등의 별도의 체결용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재료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도 2의 100)를 모듈화하는 과정에서 이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액정표시장치(도 2의 100)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제 2 실시예 -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캠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배면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앞서의 앞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제 2 실시예에서 전술하고자 하는 특징적인 내용만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캠홀더(200)는 외주연 둘레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캠끼움돌기(213)가 돌출된 캠헤드(211)와, 캠끼움돌기(213)로부터 수직하게 캠헤드(211)로부터 원통형으로 돌출되는 캠끼움부(2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캠헤드(211)의 일면을 상면이라 정의하면, 캠끼움부(215)는 캠헤드(211)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캠헤드(211)로부터 돌출되는 캠끼움부(215)의 하부면에는 십자형상 또는 일자형상의 나사홈(21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헤드(211)의 상면에는 캠가이드홈(2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캠헤드(2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캠끼움돌기(213)의 하부면에는 캠끼움돌기(213)의 일측으로부터 캠끼움돌기(213)의 중심부를 향할수록 캠끼움돌기(213)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경사면(213a)이 형성된다.
캠끼움부(215)는 백커버(150, 도 6 참조)의 수평면(151, 도 6 참조) 상에 형성된 고정홀(155, 도 6 참조)로 끼움 삽입되며, 캠헤드(211)의 캠가이드홈(219)으로는 가이드패널(130, 도 6 참조)의 끼움부(135, 도 6 참조)가 끼움 삽입되며, 캠헤드(211)의 캠끼움돌기(213)는 프론트커버(140, 도 6 참조)의 제 1 수직부(143, 도 6 참조)에 형성된 체결홀(145, 도 6 참조)로 끼움 삽입된다.
따라서, 백커버(150, 도 6 참조)와 가이드패널(130, 도 6 참조) 그리고 프론트커버(140, 도 6 참조)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캠홀더(200)를 통해 서로 일체형으로 조립 및 체결된다.
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판(125)과, 도광판(123)과, LED(129a)와 LED(129a)가 실장되는 PCB(129b)로 이루어지는 LED 어셈블리(129)와 도광판(123) 상부에 광학시트(121)들이 적층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120)의 상부에 제 1 및 제 2 기판(112, 114)과 이의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이 개재되는 액정패널(111)이 위치하며, 제 1 제 2 기판(112, 114)의 각각 외면으로는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편광판(119a, 119b)이 부착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120)과 액정패널(111)은 가이드패널(130)에 의해 가장자리가 둘러지며, 이의 배면으로 백커버(150)가 결합되며, 액정패널(111)의 상면 가장자리 및 측면을 두르는 프론트커버(140)가 가이드패널(130) 및 백커버(150)에 결합되어 있다.
프론트커버(140)는 액정패널(111)의 상면 가장자리를 덮는 제 1 수평부(141)와 제 1 수평부(141)로부터 수직하여 액정패널(111)의 측면을 덮는 제 1 수직부(143)로 이루어지는데, 제 1 수직부(143) 상에는 체결홀(145)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패널(13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측면을 감싸는 제 2 수직부(131)와 제 2 수직부(131)의 내측으로 액정패널(111)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위치를 구분짓는 제 2 수평부(133)가 구비된다.
이때, 가이드패널(130)에는 제 2 수평부(133)의 배면으로 끼움부(13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백커버(150)는 수평면(151)과 수평면(151)의 가장자리가 수직 절곡된 가장자리부(153)를 포함하며, 수평면(151) 상에는 고정홀(1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커버(150)와 프론트커버(140) 그리고 가이드패널(130)은 캠홀더(200)를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되는데, 캠홀더(200)의 캠가이드홈(219)으로 가이드패널(130)의 끼움부(135)가 끼움 삽입되며, 캠홀더(200)의 캠끼움부(215)는 백커버(150)의 고정홀(155)로 끼움 삽입된다.
그리고, 캠홀더(200)의 캠끼움돌기(213)는 프론트커버(140)의 체결홀(145)로 끼움 삽입되어, 백커버(150)와 가이드패널(130) 그리고 프론트커버(140)는 캠홀더(200)를 통해 서로 일체로 조립 및 체결되게 된다.
여기서, 캠홀더(200)를 통한 백커버(150)와 가이드패널(130) 그리고 프론트커버(140)의 조립 및 체결 과정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가이드패널(130)의 끼움부(135)가 캠홀더(200)의 캠가이드홈(219)으로 끼움 삽입된 상태로 캠홀더(200)는 백커버(150)의 고정홀(155)로 캠끼움부(215)가 끼움 삽입된다.
백커버(150)의 고정홀(155)로 끼움 삽입된 캠홀더(200)의 캠끼움부(215)는 캠끼움부(215)의 하부면에 형성된 나사홈(도 5b의 218)이 백커버(150)의 노출된다.
이후, 프론트커버(140)를 제 1 수직부(143)가 백커버(150)의 가장자리부(153)의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가조립한 후, 백커버(150)의 배면으로 노출된 캠끼움부(215)의 나사홈(도 5b의 218)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캠헤드(200)의 캠끼움돌기(213)가 프론트커버(140)의 제 1 수직부(143)에 형성된 체결홀(145)로 끼움 삽입되게 된다.
이때, 캠끼움돌기(213)가 체결홀(145)로 끼움 삽입되는 과정에서, 캠끼움돌기(213)의 하부면에 구비된 경사면(213a)에 의해 캠끼움돌기(213)가 체결홀(145)의 바닥부를 타고 올라가 손쉽게 체결홀(145)로 끼움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캠홀더(200)를 통해 백커버(150)와 가이드패널(130) 그리고 프론트커버(140)를 모두 일체로 조립 및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액정표시장치(100)는 캠홀더(200)를 통해 안정적으로 모듈화되면서도, 프론트커버(140)와 백커버(150)가 기존의 스크류 타입의 체결방식을 통해 서로 결합되었던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최소한의 살두께를 구현하지 않아도 되며, 특히 체결용보스(도 1b의 9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량 및 박형 그리고 좁은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캠홀더(200)를 조립 및 체결하는 과정이 단순하여, 액정표시장치(100)의 모듈화 과정에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체결용보스(도 1b의 90) 등의 별도의 체결용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재료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100)를 모듈화하는 과정에서 이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액정표시장치(100)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제 3 실시예 -
도 7a ~ 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캠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앞서의 앞서 전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제 3 실시예에서 전술하고자 하는 특징적인 내용만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캠홀더(20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캠끼움부(215)의 일 끝단에는 외주연 둘레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캠끼움돌기(213)가 돌출되며, 타 끝단에는 외주연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헤드(2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캠끼움부(215)의 일 끝단의 일면을 상면이라 정의하면, 헤드(215)의 하부면에는 십자형상 또는 일자형상의 나사홈(21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끼움부(215)의 상면에는 캠가이드홈(2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캠끼움돌기(213)의 하부면에는 엠보(21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캠홀더(200)는 백커버(150, 도 8a 참조)의 수평면(151, 도 8a 참조) 상에 형성된 고정홀(155, 도 8a 참조)로 캠끼움부(215)가 끼움 삽입되며, 가이드패널(130, 도 9 참조)의 끼움부(135, 도 9 참조)가 캠가이드홈(219)으로 끼움 삽입되며, 캠끼움돌기(213)는 프론트커버(140, 도 9 참조)의 제 1 수직부(140, 도 8d 참조)에 형성된 체결홀(145, 도 8d 참조)로 끼움 삽입된다.
따라서, 백커버(150, 도 8a 참조)와 가이드패널(130, 도 9 참조) 그리고 프론트커버(140, 도 9 참조)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캠홀더(200)를 통해 서로 일체형으로 조립 및 체결된다.
도 8a및 도 8c는 백커버의 고정홀로 끼움 삽입된 캠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배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d ~ 8e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캠홀더를 통해 백커버와 프론트커버가 서로 조립 및 체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커버(150)의 수평면(151) 상에 구비된 고정홀(155)로 캠홀더(200)의 캠끼움부(215)가 끼움 삽입되는데, 캠홀더(200)는 백커버(150)의 배면으로부터 캠끼움돌기(213)가 돌출된 일 끝단이 백커버(150)의 고정홀(155)을 관통하도록 끼움 삽입된다.
이를 위해 백커버(150)의 수평면(151) 상에 구비된 고정홀(155)은 캠끼움부(215)의 일 끝단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홀(155)은 캠끼움부(215)의 일 끝단의 상면이 관통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나, 캠끼움부(215)의 타 끝단에 구비된 헤드(215)는 관통되지 못하는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백커버(150)의 수평면(151)의 내면으로는 고정홀(155)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단(158)이 형성되는데, 돌출단(158)의 일측에는 캠홀더(200)의 엠보(218)가 끼움 삽입되는 제 3 고정용홈(159)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고정용홈(159)은 백커버(200)의 가장자리부(153)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에 위치한다.
또한, 백커버(150)의 배면에는 고정홀(155)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수평면(151)이 내측을 향해 일정 두께 단차져 형성되는 고정홀단턱(157)이 구비되는데, 여기서, 백커버(150)의 고정홀(155)로 끼움 삽입된 캠홀더(200)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홀더(200)의 타 끝단에 형성된 헤드(215)는 고정홀단턱(157)으로 안착되어 지지된다.
고정홀단턱(157)의 두께는 헤드(215)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백커버(150)의 배면으로부터 조립 및 체결되는 캠홀더(200)가 백커버(150)의 배면으로 단차져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백커버(150)의 고정홀(155)로 끼움 삽입된 캠홀더(200)는 백커버(150)의 배면으로 노출되는 헤드(215)에 구비된 나사홈(218)을 통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캠홀더(200)의 엠보(218)가 백커버(150)의 돌출단(158) 상에 구비된 제 3 고정용홈(159)에 끼움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캠홀더(200)의 캠가이드홈(219)에는 가이드패널(130, 도 9 참조)의 끼움부(135, 도 9 참조)가 끼움 삽입되며,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커버(140, 도 9 참조)의 제 1 수직부(143)는 백커버(150)의 가장자리부(153)의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가조립한다.
여기서 프론트커버(140, 도 9 참조)의 제 1 수직부(143) 상에는 체결홀(14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백커버(150)의 배면으로 노출된 캠홀더(200)의 나사홈(218)을 통해 캠홀더(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캠홀더(200)의 캠끼움돌기(213)가 프론트커버(140, 도 9 참조)의 체결홀(145)로 끼움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프론트커버(140, 도 9 참조)의 체결홀(145)로 끼움 삽입된 캠끼움돌기(213)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체결홀(145)의 일 가장자리에는 엠보걸림단(145a)이 구비되어 있는데, 체결홀(145)로 끼움 삽입된 캠끼움돌기(213)는 하부면에 형성된 엠보(218)가 엠보걸림단(145a)으로 끼움 삽입된다.
즉, 캠홀더(200)의 회전량은 캠끼움돌기(213)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제 3 고정용홈(159)에 끼움 삽입되어 있던 엠보(218)가 체결홀(145)의 엠보걸림단(145a)으로 끼움 삽입되도록 원을 기준으로 원의 약 1/4 만 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 도 9 참조)는 캠홀더(200)를 통해 백커버(150)와 가이드패널(130, 도 9 참조) 그리고 프론트커버(140, 도 9 참조)를 모두 일체로 조립 및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패널(130, 도 9 참조)은 끼움부(135, 도 9 참조)가 캠홀더(200)의 캠가이드홀(219)로 끼움 삽입되어 가이드패널(130, 도 9 참조)과 캠홀더(200)는 서로 조립 및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캠홀더(200)의 캠끼움돌기(213)가 프론트커버(140, 도 9 참조)의 체결홀(145)로 끼움 삽입되어 캠홀더(200)와 프론트커버(140, 도 9 참조)는 서로 조립 및 체결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캠홀더(200)는 백커버(150) 배면 고정홀(155) 주변으로 형성되는 고정홀단턱(157)에 캠홀더(200)의 헤드(215)가 안착 및 지지됨으로써, 가이드패널(130, 도 9 참조)과 프론트커버(140, 도 9 참조) 그리고 백커버(150, 도 9 참조)는 캠홀더(200)에 의해 모두 일체로 조립 및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판(125)과, 도광판(123)과, LED(129a)와 LED(129a)가 실장되는 PCB(129b)로 이루어지는 LED 어셈블리(129)와 도광판(123) 상부에 광학시트(121)들이 적층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120)의 상부에 제 1 및 제 2 기판(112, 114)과 이의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이 개재되는 액정패널(111)이 위치하며, 제 1 제 2 기판(112, 114)의 각각 외면으로는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편광판(119a, 119b)이 부착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120)과 액정패널(111)은 가이드패널(130)에 의해 가장자리가 둘러지며, 이의 배면으로 백커버(150)가 결합되며, 액정패널(111)의 상면 가장자리 및 측면을 두르는 프론트커버(140)가 가이드패널(130) 및 백커버(150)에 결합되어 있다.
프론트커버(140)는 액정패널(111)의 상면 가장자리를 덮는 제 1 수평부(141)와 제 1 수평부(141)로부터 수직하여 액정패널(111)의 측면을 덮는 제 1 수직부(143)로 이루어지는데, 제 1 수직부(143) 상에는 체결홀(145)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패널(13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측면을 감싸는 제 2 수직부(131)와 제 2 수직부(131)의 내측으로 액정패널(111)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위치를 구분짓는 제 2 수평부(133)가 구비된다.
이때, 가이드패널(130)에는 제 2 수평부(133)의 배면으로 끼움부(13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백커버(150)는 수평면(151)과 수평면(151)의 가장자리가 수직 절곡된 가장자리부(153)를 포함하며, 수평면(151) 상에는 고정홀(1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커버(150)와 프론트커버(140) 그리고 가이드패널(130)은 캠홀더(200)를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되는데, 캠홀더(200)의 캠가이드홈(219)으로 가이드패널(130)의 끼움부(135)가 끼움 삽입되며, 캠홀더(200)는 백커버(150)의 고정홀(155)로 끼움 삽입된다.
그리고, 캠홀더(200)의 캠끼움돌기(213)는 프론트커버(140)의 체결홀(145)로 끼움 삽입되어, 백커버(150)와 가이드패널(130) 그리고 프론트커버(140)는 캠홀더(200)를 통해 서로 일체로 조립 및 체결되게 된다.
이를 통해, 액정표시장치(100)는 캠홀더(200)를 통해 안정적으로 모듈화되면서도, 프론트커버(140)와 백커버(130)가 기존의 스크류 타입의 체결방식을 통해 서로 결합되었던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최소한의 살두께를 구현하지 않아도 되며, 특히 체결용보스(도 1b의 9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량 및 박형 그리고 좁은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캠홀더(200)를 조립 및 체결하는 과정이 단순하여, 액정표시장치(100)의 모듈화 과정에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체결용보스(도 1b의 90) 등의 별도의 체결용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재료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100)를 모듈화하는 과정에서 이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액정표시장치(100)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액정표시장치
111 : 액정패널(112, 114 : 제 1 및 제 2 기판, 119a, 119b : 제 1 및 제 2 편광판)
120 : 백라이트 유닛(121 : 광학시트, 123 : 도광판, 125 : 반사판, 129 : LED어셈블리(129a : LED. 129b : PCB))
130 : 가이드패널(131 : 제 2 수평부, 133 : 제 2 수직부, 135 : 끼움부)
140 : 프론트커버(141 : 제 1 수평부, 143 : 제 1 수직부, 145 : 체결홀)
150 : 백커버(151 : 수평면, 153 : 가장자리부, 155 : 고정홀)
200 : 캠홀더(210 : 캠, 220 : 하우징, 213 : 캠끼움돌기, 215 : 캠끼움부, 219 : 캠가이드홈, 221 : 하우징부)

Claims (13)

  1.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액정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를 두르는 제 1 수평부와,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 가장자리를 두르는 제 1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직부 상에 체결홀이 구비된 프론트커버와;
    상기 액정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제 2 수직부와, 상기 제 2 수직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수평부를 포함하는 가이드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안착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가장자리가 수직 절곡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면 상에는 고정홀이 형성된 백커버와;
    상기 체결홀로 끼움 삽입되는 캠끼움돌기와, 상기 고정홀로 끼움 삽입되는 캠끼움부를 포함하는 캠홀더
    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평부의 배면으로 끼움부가 돌출되며, 상기 캠홀더에는 상기 끼움부가 끼움 삽입되는 캠가이드홀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홀더는 상기 캠끼움돌기가 외주연 둘레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캠헤드와, 상기 캠헤드로부터 원통형으로 돌출되는 상기 캠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헤드의 상면에는 상기 캠가이드홀이 구비되며, 상기 캠끼움부의 하부면에는 나사홈이 구비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홀더는 상기 캠끼움돌기가 외주연 둘레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캠헤드와, 상기 캠헤드로부터 원통형으로 돌출되는 상기 캠끼움부를 포함하는 캠과, 상기 캠끼움부가 끼움 삽입되는 홀더끼움홀을 포함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끝단으로부터 외주연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우징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끼움부의 외면으로 캠고정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캠고정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캠고정돌기가 끼움 삽입되는 홀더돌기끼움홀이 구비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캠헤드에 인접한 상기 캠고정돌기는 제 1 폭을 가지며, 상기 캠끼움부의 일끝단에 인접한 상기 캠고정돌기는 상기 제 1 폭에 비해 좁은 제 2 폭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부의 일끝단에 형성된 상기 홀더돌기끼움홀은 상기 제1 폭 보다 좁은 제 3 폭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상기 홀더돌기끼움홀은 상기 제 1 폭에 대응하는 제 4 폭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가이드부에는 홀더고정엠보가 돌출되며, 상기 홀더고정엠보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가이드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의 연결부 일부에는 홀더댐퍼홀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가이드부의 배면으로는 상기 홀더댐퍼홀에 대응하여 홀더댐퍼홈이 구비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배면에는 상기 고정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홀단턱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홀단턱에는 상기 백커버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응하여 제 1 고정용홈이 구비되며, 상기 가장자리부의 길이방향과 대면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제 2 고정용홈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가이드부는 상기 고정홀단턱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상기 홀더고정엠보는 상기 제 1 고정용홈에 끼움 삽입되었다가, 상기 캠홀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고정용홈으로 끼움 삽입되는 액정표시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끼움돌기는 상기 캠끼움부의 일 끝단으로부터 외주연 둘레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캠끼움돌기의 하부면에는 엠보가 구비되며, 상기 캠끼움부의 타 끝단에는 외주연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헤드가 구비되며, 상기 헤드에는 나사홈이 구비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캠끼움부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홀은 상기 캠끼움부의 상면은 관통될 수 있으나, 상기 헤드는 관통되지 못하는 사이즈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배면에는 상기 고정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홀단턱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는 상기 고정홀단턱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의 내면으로 상기 고정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단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단 상에는 상기 백커버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엠보가 끼움 삽입되는 제 3 고정용홈이 구비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끼움돌기의 하부면에는 상기 캠끼움돌기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캠끼움돌기의 중심부를 향할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경사면이 구비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40134873A 2014-10-07 2014-10-07 액정표시장치 KR102150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73A KR102150424B1 (ko) 2014-10-07 2014-10-07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73A KR102150424B1 (ko) 2014-10-07 2014-10-07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215A KR20160042215A (ko) 2016-04-19
KR102150424B1 true KR102150424B1 (ko) 2020-09-02

Family

ID=5591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873A KR102150424B1 (ko) 2014-10-07 2014-10-07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4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254B1 (ko) * 2011-06-23 2017-07-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792103B1 (ko) * 2011-09-07 2017-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215A (ko) 201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352B1 (ko) 액정표시장치
JP5679604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933509B2 (ja) 液晶表示装置
JP5538495B2 (ja) 液晶表示装置モジュール
KR101418920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KR20140072634A (ko) 액정표시장치
KR20130027204A (ko) 액정표시장치
US20160334560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ccommodating member
KR102459047B1 (ko) 터치패널 부착형 액정표시장치
KR20130013041A (ko) 액정표시장치
KR20140081200A (ko) 액정표시장치
KR10194817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9258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0391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30033570A (ko) 액정표시장치
KR20130026071A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72652A (ko) 액정표시장치
KR10209362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15042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10966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128430A (ko) 액정표시장치
KR20130031600A (ko) 액정표시장치
KR20180088784A (ko) 액정표시장치
KR20180104278A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049704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