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387B1 -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387B1
KR102150387B1 KR1020190164084A KR20190164084A KR102150387B1 KR 102150387 B1 KR102150387 B1 KR 102150387B1 KR 1020190164084 A KR1020190164084 A KR 1020190164084A KR 20190164084 A KR20190164084 A KR 20190164084A KR 102150387 B1 KR102150387 B1 KR 102150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oling water
cooling
col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0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9192A (en
Inventor
전제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4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387B1/en
Publication of KR20190139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1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3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5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41/003
    • F25B41/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 탱크 커버를 개방하지 않고 냉각수를 급수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수위 센서 없이도 기준 수위까지 냉각수의 급수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수기는, 원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 상기 원수 또는 상기 정수로 이루어지는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냉각수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에 침지되는 냉수 생성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냉수 생성 유로를 통과하는 정수를 상기 냉각수 수용부에 채워진 냉각수로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냉수 탱크 조립체;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증발기를 구비하며, 상기 냉각수 수용부에 채워진 냉각수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 장치; 상기 원수 또는 정수를 상기 냉각수 수용부로 공급하도록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와 연결되는 냉각수 유로; 상기 냉각수 유로를 통해 상기 냉각수 수용부로 공급되는 원수 또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냉각수 유로에 설치되는 유량 센서;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내측 상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 수용부 채워진 냉각수를 교반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교반기; 및 상기 유량 센서에서 측정되는 급수량에 근거하여 상기 냉각수 수용부로 원수 또는 정수의 공급을 정지시키고, 상기 교반기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기준 수위까지 냉각수가 채워졌는지를 판단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purifier configured to be able to supply cooling water without opening a cold water tank cover, and to determine whether cooling water has been supplied to a reference level without a water level sensor.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lter unit formed to generate purified water by filtering raw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A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formed to receive the raw water or cooling water composed of the purified water, and a cold water generating passage immersed in the cooling water, and cooling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generating passage with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A cold water tank assembly configured to generate cold water;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compris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installed inside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and configured to maintain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at a low temperature; A cooling water passag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to supply the raw water or purified water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A flow sensor installed in the cooling water flow path to measure a flow rate of raw water or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through the cooling water flow path; A stirrer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ner upper wall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and rotatably formed to stir the cooling water filled with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top supply of raw water or purified water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based on the water supply amount measured by the flow sensor, and determine whether the cooling water is filled to the reference water level based on the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stirrer. do.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Water purifie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수를 생성하는 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구조와 정상 급수 확인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water supply structure of a water purifier that generates cold water using cooling water and a normal water supply confirmation structure.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본체 내부에 설치된 여러 단계의 필터에 의해 수도물이나 지하수 등의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에 유해한 각종 유해성분을 여과시킴으로써 안전하고 위생적인 음료수로 전환시키는 장치이다.In general,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converts into safe and hygienic drinking water by filtering various harmful components harmful to the human body included in raw water such as tap water or groundwater by means of several filters installed inside the body.

정수기는 이를 위해서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된 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수부로 공급 가능하도록, 냉수유로와 온수유로 그리고 정수유로 등을 형성하고, 기계식 또는 전자식 밸브로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이다.For this purpose,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forms a cold water passage, a hot water passage, and a purified water passage so that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outle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controls the flow of water with a mechanical or electronic valve. .

정수기는 저수조를 구비하는지 여부에 따라 저수조형과 직수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수조형 정수기는 정수를 저수조에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출수부를 조작하였을 때 저수조에 저장된 정수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직수형 정수기는 저수조를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가 출수부를 조작하였을 때 즉시 원수를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정수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직수형 정수기는 저수조형 정수기에 비해 위생적이고 물을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어, 최근에는 직수형 정수기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The water purifier may be classified into a storage tank type and a direct water typ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storage tank is provided. The water tank type water purifier is configured to store purified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and provide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when the user operates the water outlet. In contrast, the direct water purifier does not have a water tank, and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water outlet, the raw water is immediately filtered to provide purified water to the user. Direct water purifiers are recognized as being hygienic and capable of saving water compared to water tank water purifiers, and in recent years, users' preference for direct water purifiers is increasing.

정수기는 상온수 외에 온수와 냉수를 제공하기도 한다. 온수와 냉수를 제공하는 정수기는 그 내부에 가열 장치와 냉각 장치를 별도로 구비한다. 가열 장치는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지고, 냉각 장치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o room temperature water, water purifiers also provide hot and cold water. A water purifier that provides hot and cold water has separate heating and cooling devices therein. The heating device is configured to heat purified water to generate hot water, and the cooling device is configured to cool the purified water to generate cold water.

냉각 장치가 냉수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 중 하나로 정수보다 더 낮은 온도의 냉각수를 이용할 수 있다. 정수보다 낮은 온도의 냉각수가 정수로부터 열을 전달받게 되면, 정수는 냉각되어 냉수가 된다. 냉각수를 이용하여 정수를 냉각하면 신속하게 냉수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직수형 정수기에 냉각수를 이용한 냉각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There may be several ways the cooling device produces cold water. As one of them, cooling water with a lower temperature than purified water can be used. When cooling water having a lower temperature than purified water receives heat from the purified water, the purified water is cooled to become cold water. Since cold water can be quickly generated by cooling purified water using cooling water, a cooling method using cooling water may be particularly adopted for direct water purifiers.

냉수 생성을 위해서는 냉각수 탱크 등에 항상 냉각수가 채워져 있어야 한다. 그러나 냉각수는 흐르지 않고 정체되어 있기 때문에 위생을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교체될 필요가 있다. 또한 냉각수가 부족한 경우에는 냉각수 탱크에 냉각수가 보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냉각수를 교체하거나 보충하는 경우에는 냉각수 탱크 등에 기준 수위까지 급수가 이루어져야 한다.In order to generate cold water, the coolant tank must always be filled with coolant. However, because the coolant does not flow and is stagnant, it needs to be replaced periodically for hygiene. In addition, if cooling water is insufficient, the cooling water tank must be replenished. In the case of replacing or replenishing the cooling water in this way, water supply must be provided to the standard level in the cooling water tank, etc.

종래의 정수기는 작업자나 사용자가 직접 냉각수 탱크 등의 커버를 개방하여 급수를 하도록 이루어지고, 수위 센서를 이용하여 기준 수위까지 급수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도록 형성되었다.Conventional water purifiers are formed to allow an operator or user to directly open a cover such as a cooling water tank to provide water, and to determine whether water has been supplied to a reference water level using a water level sensor.

전문 서비스 요원이나 사용자가 냉수 탱크 등의 커버를 개방하여 급수를 하는 방식은 매번 냉수 탱크 등의 커버를 개방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 방식은 누가 작업을 하느냐에 따라 정상적으로 급수가 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전문 서비스 요원과 달리 일반 사용자는 불완전하게 작업을 완료할 가능성도 존재한다.In the method of supplying water by opening a cover such as a cold water tank by a professional service agent or a user, it is inconvenient to open the cover of the cold water tank every time. Also, this method may not be able to supply water normally depending on who works. Unlike professional service personnel,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ordinary users will complete tasks incompletely.

수위 센서를 이용하여 기준 수위까지 급수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방식은 수위 센서 및 상기 수위 센서와 관련된 부품의 추가가 불가피하다. 또한 수위 센서의 고장 가능성도 존재한다.In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water has been supplied to the reference water level using the water level sensor, it is inevitable to add a water level sensor and a component related to the water level sensor.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of failure of the water level sensor.

따라서 커버 개방 등의 불편함, 불완전한 작업의 가능성, 수위 센서 등 부품의 고장으로 인한 정수기의 오작동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급수 방식에 대하여 고려될 수 있다.Therefore, a new water supply method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malfunction of the water purifier due to the inconvenience of opening the cover, the possibility of incomplete work, and the failure of parts such as the water level sensor can be considered.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배경기술의 문제를 해결하여 개선된 방식으로 냉각수 탱크 등에 정수기의 정상 작동을 위한 기준 수위까지 냉각수를 급수할 수 있고, 급수된 냉각수의 양을 개선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background art and to supply cooling water to a reference level for normal operation of a water purifier in a cooling water tank, etc. in an improved manner, and to measure the amount of cooling water supplied in an improved manner. It is to suggest a water purifier that is available.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냉각수 탱크 등의 커버를 열지 않고도 냉각수가 채워져야 하는 공간에 냉각수를 급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onfigured to supply cooling water to a space to be filled with cooling water without opening a cover such as a cooling water tank.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수위 센서 없이 정수기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부품들만을 이용하여 정수기의 정상 작동을 위한 기준 수위까지 급수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water has been supplied to a reference water level for normal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by using only parts basically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without a water level sensor.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작업자에 따라 작업이 불완전하게 완료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정수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water purifier that is formed to solve the problem of incompletely completing work depending on the operato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정수기는, 원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 상기 원수 또는 상기 정수로 이루어지는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냉각수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에 침지되는 냉수 생성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냉수 생성 유로를 통과하는 정수를 상기 냉각수 수용부에 채워진 냉각수로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냉수 탱크 조립체;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증발기를 구비하며, 상기 냉각수 수용부에 채워진 냉각수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 장치; 상기 원수 또는 정수를 상기 냉각수 수용부로 공급하도록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와 연결되는 냉각수 유로; 상기 냉각수 유로를 통해 상기 냉각수 수용부로 공급되는 원수 또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냉각수 유로에 설치되는 유량 센서;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의 내측 상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 수용부 채워진 냉각수를 교반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교반기; 및 상기 유량 센서에서 측정되는 급수량에 근거하여 상기 냉각수 수용부로 원수 또는 정수의 공급을 정지시키고, 상기 교반기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기준 수위까지 냉각수가 채워졌는지를 판단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suc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unit formed to generate purified water by filtering raw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A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formed to receive the raw water or cooling water composed of the purified water, and a cold water generating passage immersed in the cooling water, and cooling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generating passage with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A cold water tank assembly configured to generate cold water;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compris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installed inside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and configured to maintain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at a low temperature; A cooling water passag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to supply the raw water or purified water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A flow sensor installed in the cooling water flow path to measure a flow rate of raw water or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through the cooling water flow path; A stirrer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ner upper wall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and rotatably formed to stir the cooling water filled with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top supply of raw water or purified water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based on the water supply amount measured by the flow sensor, and determine whether the cooling water is filled to the reference water level based on the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stirrer. do.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정수기는, 상기 냉각수 수용부에 채워지는 냉각수의 출입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에 설치되고, 정수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드레인 밸브; 및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로부터 공급되는 정수 또는 냉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호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호스는 상기 출수부를 통해 출수되는 정수를 상기 냉각수 수용부에 공급하도록, 일단이 상기 출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레인 밸브에 연결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urifier includes: a drain valve installed 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to form an entry flow path for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body; And a water outlet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body to discharge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to the outside,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cooling water passage is formed by a hos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body, The hose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rain valve so as to supply purifi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호스는 상기 출수부와 상기 드레인 밸브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s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ater outlet and the drain valve.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정수기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인가받도록 형성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가 상기 출수부와 상기 드레인 밸브에 결합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출수부와 상기 호스를 통해 상기 냉각수 수용부로 정수의 공급이 개시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urifier includes an input unit formed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and when a control command is applied through the input unit after the hose is coupled to the water outlet unit and the drain valve , Supply of purified water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is started through the water outlet and the hose.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드레인 밸브는 상기 정수기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누름 조작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valve is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pressing operation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드레인 밸브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제1걸림턱의 상류측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걸림턱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1부분과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드레인 밸브의 개폐를 위한 누름 조작을 인가받는 제2부분을 구비하는 누름 조작부; 및 상기 제2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 조작부의 제1부분을 상기 제1걸림턱에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valve includes a hollow portion, a housing having a first locking jaw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and a second locking jaw formed upstream of the first locking jaw ; A pressing operation unit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and including a first portion formed to be caught by the first locking jaw and a second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to receive a pressing opera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valve; And an elastic member installed at a position supported by the second locking jaw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for bringing the first portion of the pressing operation portion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locking jaw.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호스는, 상기 호스의 중공부에 형성되며, 상기 호스가 상기 드레인 밸브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누름 조작부를 누르도록 이루어지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를 상기 호스의 내주면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se is formed in a hollow portion of the hose, the pressing portion configured to press the pressing operation portion when the hose is coupled to the drain valve; And connecting portions formed radially around the pressing portion and connecting the pressing portion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정수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배관은 상기 원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원수 또는 상기 필터부에서 생성된 정수를 상기 냉각수 수용부로 공급하도록, 일단이 상기 원수 공급부나 상기 필터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수 탱크 조립체에 연결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cooling water flow path is formed by a pipe installed inside the water purifier, and the pipe includes raw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or purified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 uni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raw water supply unit or the filter uni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so as to be supplied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정수기는 냉각수의 교체 주기, 상기 냉각수 수용부에 채워져 있는 냉각수의 오염도 또는 상기 교반기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냉각수 수용부로 원수 또는 정수의 급수를 개시하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urifier supplies raw water or purified water to the coolant receiving unit based on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coolan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coolant filled in the coolant receiving unit, or the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agitator. It is made to initiate.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정수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교반기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냉각수 수용부로 원수 또는 정수의 급수가 개시되어야 함을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urifier includes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display status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output unit is supplied with raw water or purified water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based on a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agitator. It can be indicated that watering should be started.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냉수 탱크 커버를 개방하지 않고도 직수형 정수기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드레인 밸브를 통해 냉각수 수용부에 냉각수를 채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수 교체를 위해 매번 냉수 탱크 커버를 개방해야 하는 불편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fill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with cooling water through a drain valve basically provided in the direct water purifier without opening the cold water tank cov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inconvenience of opening the cold water tank cover every time to replace the cooling wat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직수형 정수기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교반기를 통해 기준 수위까지 냉각수의 급수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냉수 탱크 조립체의 수위 센서 없이도 정수기의 정상 작동을 위한 기준 수위까지 냉각수의 급수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며, 본 발명은 수위 센서의 고장으로 인한 정수기의 오작동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reference water level through the agitator provided in the direct water purifi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oling water has been supplied to the reference level for normal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without the water level sensor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Therefore, the water purifier may not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malfunction of the water purifier due to a failure of the water level senso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누가 냉각수 급수 작업을 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 따라 작업이 불완전하게 완료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ame result can be obtained no matter who does the cooling water supply opera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incompletely completing the operation depending on the op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정수기를 보인 사시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수 탱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관련된 정수기의 냉수 탱크 조립체와 리어 커버를 보인 단면도다.
도 5는 제1-1실시예와 관련된 정수기의 드레인 밸브를 보인 세부 단면도다.
도 6은 제1-1실시예와 관련된 정수기의 냉각수 수용부로 냉각수를 급수하기 위해 출수부와 드레인 밸브를 호스로 연결한 개념도다.
도 7은 제1-1실시예와 관련된 정수기의 드레인 밸브와 연결되는 호스의 개념도다.
도 8은 제1-1실시예와 관련된 정수기의 드레인 밸브와 호스가 서로 연결된 구성을 보인 단면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와 관련된 정수기의 냉각수 수용부로 냉각수를 급수하기 위해 출수부와 드레인 밸브를 호스로 연결한 개념도다.
도 10은 제1-1실시예와 제1-2실시예의 정수기를 보인 개념도다.
도 11은 제2-1실시예의 정수기를 보인 개념도다.
도 12는 제2-2실시예의 정수기를 보인 개념도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shown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ld water tank assembly and a rear cover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Embodimen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 valve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first embodiment.
6 is a conceptual diagram in which a water outlet and a drain valve are connected with a hose to supply coolant to the coolant receiving uni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first embodiment.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ose connected to a drain valve of a water purifier related to the first-first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drain valve and a hose of the water purifier related to the first embodimen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9 is a conceptual diagram in which a water outlet and a drain valve are connected with a hose to supply coolant to the coolant receiving uni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1-2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and an embodiment 1-2.
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2-2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정수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and similar configuration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prepar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themselves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본 발명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위해 냉각수 수용부에 냉수를 급수하는 구성에 따라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구분되어 설명된다. 제1실시예는 정수기 본체의 외측에 호스를 수동으로 연결하여 냉각수를 급수하는 구성을 갖는다. 제2실시예는 정수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냉각수를 급수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제1실시예는 드레인 밸브와 호스의 구성에 따라 제1-1실시예와 제1-2실시예로 구분된다. 제2실시예는 냉각수가 정수에 의해 이루어지느냐 또는 원수에 의해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지므로 각각 제2-1실시예와 제2-2실시예로 구분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being divided into a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supplying cold water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for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The first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hose is manu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of a water purifier body to supply coolant. The second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cooling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using a pipe installed inside a water purifier body. Further, the first embodiment is divided into a first-first embodiment and a first-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rain valve and the hose. Since the second embodiment has different configura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 cooling water is formed by purified water or raw water, the second embodiment is divided into a second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정수기(1000)를 보인 사시도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purifi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정수기(1000)는 커버(1010), 출수부(1020), 베이스(1030) 및 트레이(1040)를 포함한다.The water purifier 1000 includes a cover 1010, a water outlet 1020, a base 1030, and a tray 1040.

커버(1010)는 정수기(10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커버(1010)에 의해 형성되는 정수기(1000)의 외관은 정수기(1000)의 본체로 명명될 수 있다.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부품들은 대부분 커버(10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커버(1010)는 상기 부품들을 보호하도록 상기 부품들을 감싼다. 커버(1010)라는 명칭은 케이스 또는 하우징 등으로 바뀌어 호명될 수 있다. 어느 명칭이건 정수기(10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원수를 여과하는 부품들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면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커버(1010)에 해당한다.The cover 1010 forms the exterior of the water purifier 1000. The exterior of the water purifier 1000 formed by the cover 1010 may be referred to as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1000. Parts for filtering raw water are mostly installed inside the cover 1010. A cover 1010 wraps the parts to protect them. The name of the cover 1010 may be changed to a case or a housing to be called. Any name corresponds to the cover 1010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f it forms the exterior of the water purifier 1000 and covers parts that filter raw water.

커버(1010)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여러 부품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10)는 프론트 커버(1011), 리어 커버(1014), 사이드 패널(1013a), 어퍼 커버(1012) 및 탑 커버(10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1010 may be formed as a single part, but may be formed by combining several par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cover 1010 may include a front cover 1011, a rear cover 1014, a side panel 1013a, an upper cover 1012, and a top cover 1015.

프론트 커버(1011)는 정수기(1000)의 전방에 배치된다. 리어 커버(1014)는 정수기(10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여기서 정수기(1000)의 전방과 후방은 각각 사용자의 시선에서 출수부(1020)를 정면으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다만, 정수기(1000)의 전방과 후방이라는 개념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므로, 정수기(1000)를 묘사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front cover 101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water purifier 1000. The rear cover 1014 is disposed behind the water purifier 1000. Here, the front and rear of the water purifier 1000 are set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outlet 1020 is viewed from the user's line of sight to the front. However, since the concept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water purifier 1000 is not absolute, it may vary according to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water purifier 1000.

사이드 패널(1013a)은 정수기(1000)의 좌우에 각각 배치된다. 사이드 패널(1013a)은 프론트 커버(1011)와 리어 커버(1014) 사이에 배치된다. 사이드 패널(1013a)은 프론트 커버(1011) 및 리어 커버(1014)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013a)은 실질적으로 정수기(1000)의 옆면을 형성한다.The side panels 1013a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ter purifier 1000, respectively. The side panel 1013a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cover 1011 and the rear cover 1014. The side panel 1013a may be coupled to the front cover 1011 and the rear cover 1014, respectively. The side panel 1013a substantially forms a side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1000.

어퍼 커버(1012)는 정수기(10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어퍼 커버(1012)는 프론트 커버(1011)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어퍼 커버(1012)와 프론트 커버(1011) 사이의 공간으로 출수부(1020)가 노출된다. 어퍼 커버(1012)는 프론트 커버(1011)와 함께 정수기(1000) 전면의 외관을 형성한다.The upper cover 1012 is disposed in front of the water purifier 1000. The upper cover 1012 is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ront cover 1011. The water outlet portion 1020 is exposed 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cover 1012 and the front cover 1011. The upper cover 1012 forms the exterio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1000 together with the front cover 1011.

탑 커버(1015)는 정수기(1000)의 윗면을 형성한다. 탑 커버(1015)의 전방에는 입출력부(1016)가 형성될 수 있다. 입출력부(1016)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인가받도록 이루어진다. 입력부가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인가받는 방식은 터치 입력, 물리적인 가압 등을 모두 포함하거나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사용자에게 정수기(1000)의 상태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The top cover 1015 forms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1000. An input/output unit 1016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top cover 1015. The input/output unit 1016 is a concept including an input unit and an output unit. The input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from the user. The method in which the input unit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user may include all or selectively including touch input, physical pressure, and the like. The output unit is configured to provide audio and visual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water purifier 1000 to the user.

출수부(취출부 또는 코크 어셈블리, 102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수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출수부(1020)의 적어도 일부는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정수기(1000)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다. 특히 상온의 정수, 상온보다 차가운 냉수 및 상온보다 뜨거운 온수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정수기(100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받은 제어명령에 따라 상온의 정수, 냉수 및 온수 중 적어도 하나가 출수부(10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water outlet (outlet or cock assembly, 1020) functions to provide purified water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comm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outlet 10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1000 to supply water. In particular, in the water purifier 1000 configured to provide purified water at room temperature, cold water cooler than room temperature, and hot water hotter than room temperature, at least one of room temperature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1020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approved by the user. Can be.

출수부(10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11)와 어퍼 커버(1012)는 그 사이에 출수부(1020)의 회전 영역을 형성하고, 출수부(1020)는 상기 회전 영역에서 좌우로 회전될 수 있다. 출수부(1020)의 회전은 사용자가 출수부(1020)에 물리적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출수부(1020)의 회전은 사용자가 입출력부(1016)에 인가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출수부(1020)의 회전을 구현하는 구성은 정수기(10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어퍼 커버(1012)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부(1016)도 출수부(1020)의 회전 시 출수부(102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water outlet 1020 may be made rotatable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he front cover 1011 and the upper cover 1012 form a rotation region of the water outlet 1020 therebetween, and the water outlet 1020 may be rotated left and right in the rotation region. The rotation of the water outlet 1020 may be performed by a force physically applied by the user to the water outlet 1020. In addition, the rotation of the water outlet unit 1020 may be performed based on a control command that a user applies to the input/output unit 1016. A component for implementing the rotation of the water outlet 102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water purifier 1000, and specifically, may be installed in an area covered by the upper cover 1012. In addition, the input/output unit 1016 may also be implement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water outlet 1020 when the water outlet 1020 is rotated.

베이스(1030)는 정수기(1000)의 바닥을 형성한다. 정수기(1000)의 내부 부품들은 베이스(1030)에 의해 지지된다. 정수기(1000)가 바닥이나 선반 등에 놓여져 있을 때, 베이스(1030)는 바닥이나 선반 등을 마주보게 된다. 따라서 정수기(1000)가 바닥이나 선반 등에 놓여져 있을 때 베이스(1030)의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The base 1030 forms the bottom of the water purifier 1000. The internal parts of the water purifier 1000 are supported by the base 1030. When the water purifier 1000 is placed on a floor or shelf, the base 1030 faces the floor or shelf. Therefore, when the water purifier 1000 is placed on a floor or a shelf, the structure of the base 103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트레이(1040)는 출수부(1020)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정수기(1000)가 도 1과 같이 설치되었을 경우를 기준으로, 트레이(1040)는 출수부(1020)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한다. 트레이(1040)는 출수부(1020)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 등을 담기 위한 용기 등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트레이(1040)는 출수부(1020)에서 떨어지는 잔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트레이(1040)가 출수부(1020)에서 떨어지는 잔수를 받아 수용하면, 정수기(1000) 주위에 잔수로 인한 오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tray 1040 is disposed to face the water outlet 1020. When the water purifier 1000 is installed as illustrated in FIG. 1, the tray 1040 faces the water outlet 10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ray 1040 is formed to support a container or the like for containing purifi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1020. In addition, the tray 1040 is formed to receive the residual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outlet 1020. When the tray 1040 receives and receives residual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outlet 10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ontamination due to residual water around the water purifier 1000.

트레이(1040)는 출수부(1020)에서 떨어지는 잔수를 받아내야 하므로, 트레이(1040)도 출수부(102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입출력부(1016)와 트레이(1040)는 출수부(102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tray 1040 needs to receive residual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outlet 1020, the tray 1040 may be implement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water outlet 1020. The input/output unit 1016 and the tray 1040 are preferably implemented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ater outlet unit 102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10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00 shown in FIG. 1.

필터부(1060)는 프론트 커버(1011)의 내측에 설치된다. 필터부(1060)는 원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 하나의 필터만으로 사용자가 음용하기에 적절한 정수를 생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필터부(1060)는 복수의 단위 필터들(1061, 1062)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필터들(1061, 1062)은 예를 들어, 카본 블럭, 흡착 필터 등의 프리 필터(prefilter)와 헤파 필터(HEPA filter :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UF 필터(Ultra Filteration 또는 Ultra Filteration filter) 등의 고성능 필터등을 포함한다. 도 2에는 두 개의 단위 필터들(1061, 1062)이 설치되어 있으나, 단위 필터들(1061, 1062)의 수는 필요에 따라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1060 is installed inside the front cover 1011. The filter unit 1060 is configured to generate purified water by filtering raw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Since it may be difficult to generate purified water suitable for a user to drink with only one filter, the filter unit 10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filters 1061 and 1062. 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are, for example, a carbon block, a prefilter such as an adsorption filter, a 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an UF filter (Ultra Filteration or Ultra Filteration filter), etc. And high-performance filters. Although two unit filters 1061 and 1062 are installed in FIG. 2, the number of unit filters 1061 and 1062 may be expanded or reduced as necessary.

복수의 단위 필터들(1061, 1062)은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연결된다. 기설정된 순서란 필터부(1060)가 물을 여과하기에 적절한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다. 원수에는 다양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의 큰 입자들은 헤파 필터나 UF 필터와 같은 고성능 필터들의 여과 성능 저하를 유발하므로, 상기 고성능 필터들은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의 큰 입자들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성능 필터들의 보호를 위해서는 프리 필터가 고성능 필터들의 상류측에 설치되어야 한다.The plurality of unit filters 1061 and 1062 are connected according to a preset order. The preset order means an order suitable for the filter unit 1060 to filter water. Raw water may contain various foreign substances. Since large particles such as hair or dust cause deterioration in filtration performance of high-performance filters such as HEPA filters and UF filters, the high-performance filters must be protected from large particles such as hair or dust.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the high-performance filters, the pre-filter should be installed upstream of the high-performance filters.

프리 필터는 큰 입자들을 물로부터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프리 필터가 고성능 필터들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원수에 포함된 큰 입자들을 먼저 제거하면, 큰 입자들을 포함하지 않는 원수가 고성능 필터로 공급되므로 고성능 필터들이 보호될 수 있다. 프리 필터를 통과한 원수는 이어서 헤파 필터나 UF 필터 등에 의해 여과된다.The pre-filter is made to remove large particles from the water. If the pre-filter is disposed upstream of the high-performance filters to first remove large particl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raw water containing no large particles is supplied to the high-performance filter, so that high-performance filters can be protected. The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e-filter is then filtered by a HEPA filter or a UF filter.

필터부(1060)에 의해 생성된 정수는 곧바로 출수부(10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수의 온도는 상온에 해당한다. 이와 달리, 필터부(1060)에 의해 생성된 정수는 가열 장치(1100)에 의해 가열되거나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The purified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 unit 1060 may be directly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water outlet unit 1020.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provided to the user corresponds to room temperature. Alternatively,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 unit 1060 may be heated by the heating device 1100 or cooled by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유량 센서(1063)는 설치 위치에 따라 원수 또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제1 유량 센서라고 하면, 제1 유량 센서는 원수 공급부의 하류측이자 필터부(1060)의 상류측에 설치된다.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제2 유량 센서라고 한다면, 제2 유량 센서는 필터부(1060)의 하류측에 설치된다. 정수기(1000)는 제1 유량 센서와 제2 유량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어느 하나만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low sensor 1063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flow rate of raw water or purified water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When the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raw water is referred to as a first flow sensor, the first flow sensor is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aw water supply unit and upstream of the filter unit 1060. If the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purified water is a second flow sensor, the second flow sensor is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lter unit 1060. The water purifier 1000 may include both a first flow sensor and a second flow sensor, but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only one of them.

유량 센서(1063)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측에 채워지는 냉각수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냉각수는 원수 또는 정수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유량 센서(1063)에서 측정되는 원수 또는 정수의 유량이 곧 냉각수의 유량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정수기(1000)는 유량 센서(1063)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유량만큼의 냉각수를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측에 채우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구성은 후술한다.The flow sensor 1063 may be formed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filled inside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oling water is composed of raw water or purified water,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or purified water measured by the flow sensor 1063 corresponds to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The water purifi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ill the inside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with cooling water as much as a predetermined flow rate using the flow sensor 1063.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fo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는 필터부(1060)의 단위 필터(1061, 1062)들을 고정시키고, 정수나 냉수 등의 출수 유로, 밸브, 센서 등의 부품들을 고정하는 구조물이다.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is a structure that fixes 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of the filter unit 1060 and fixes components such as a water outlet flow path such as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a valve, and a sensor.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부(1071)는 트레이(1040)와 결합된다.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부(1071)는 트레이(1040)의 돌출 결합부(1041)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트레이(1040)의 돌출 결합부(1041)가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부(1071)에 삽입됨에 따라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와 트레이(104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The lower portion 1071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is coupled to the tray 1040. The lower portion 1071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is formed to receive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041 of the tray 1040. As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041 of the tray 104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1071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and the tray 1040 are coupled.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부(1071)와 트레이(1040)는 서로 대응되는 곡면을 갖는다.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부(1071)는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1071 and the tray 1040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have curved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lower portion 1071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may be rotated independently with respect to the rest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상부(1072)는 출수부(102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상부(1072)는 출수부(1020)의 회전 경로를 형성한다. 출수부(1020)는 정수기(10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부분(1021)과 정수기(10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부분(10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부분(10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을 위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부분(1022)은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상부(1072)에 거치된다.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상부(1072)는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1072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is formed to support the water outlet 1020. The upper portion 1072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forms a rotation path of the water outlet 1020. The water outlet 102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ortion 1021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1000 and a second portion 1022 disposed inside the water purifier 1000. The second portion 102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for rotation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portion 1022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1072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The top 1072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with respect to the rest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부(1071)와 상부(1072)는 상하 연결부(107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하 연결부(1073)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부(1071)와 상부(1072)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출수부(1020)를 회전시키면, 출수부(1020)와 연결되는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상부(1072), 상하 연결부(1073), 하부(1071) 및 트레이(1040)가 출수부(10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1071 and the upper portion 1072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portions 1073. The lower portion 1071 and the upper portion 1072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portions 1073 may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If the user rotates the water outlet portion 1020, the upper portion 1072,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portions 1073, the lower portion 1071 and the tray 1040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portion 1020 It can be rotated with 1020.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의 하부(1071)와 상부(1072) 사이에는 필터부(1060)의 단위 필터들(1061, 1062)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필터 설치 영역(1074)이 형성된다. 필터 설치 영역(1074)은 단위 필터들(1061, 1062)의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A filter installation region 1074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of the filter unit 106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portion 1071 and the upper portion 1072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The filter installation area 1074 provides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58필터 설치 영역(1074)의 반대쪽에는 정수기(1000)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대(1075)가 형성된다. 지지대(1075)는 제어부(1080)와 가열 장치(110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부(1080)와 가열 장치(1100)는 지지대(1075)에 거치된다. 지지대(1075)는 가열 장치(1100)에서 형성된 열이 압축기(1051) 등으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가열 장치(1100)와 압축기(1051) 사이에 배치된다.*58 A support base 1075 protruding toward the rear of the water purifier 100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lter installation area 1074. The support 1075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control unit 1080 and the heating device 1100. The controller 1080 and the heating device 1100 are mounted on the support 1075. The support 1075 is disposed between the heating device 1100 and the compressor 1051 to block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device 1100 from being conducted to the compressor 1051 or the like.

제어부(1080)는 정수기(1000)의 전반적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부(1080)에는 정수기(1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다양한 인쇄회로기판들이 내장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80 is configured to implement overall control of the water purifier 1000. Various printed circuit board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00 may be embedded in the control unit 1080.

가열 장치(1100)는 필터부(1060)에서 생성된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가열 장치(1100)는 유도 가열 모듈 등 정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부품들을 구비한다. 가열 장치(1100)는 필터부(106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으며, 가열 장치(1100)에서 생성된 온수는 출수부(1020)를 통해 배출된다.The heating device 1100 is formed to generate hot water by heating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 unit 1060. The heating device 1100 includes components such as an induction heating module to heat purified water. The heating device 1100 receives purifi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1060, and the hot water generated by the heating device 1100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unit 1020.

냉동 사이클 장치는 냉수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냉동 사이클 장치란 냉매의 압축-응축-팽창-증발 과정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장치들의 집합을 가리킨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서 냉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냉동 사이클 장치가 작동하여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냉각수를 저온으로 만들어야 한다.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is configured to produce cold water.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refers to a set of devices in which a refrigerant compression-condensation-expansion-evaporation process occurs continuously. In order to generate cold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must first operate to make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low temperature.

냉동 사이클 장치는 압축기(1051), 응축기(1052), 팽창장치(1053), 증발기(1054, 도 3 참조)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냉매 유로를 포함한다. 냉매 유로는 배관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냉매 유로는 압축기(1051), 응축기(1052), 팽창장치(1053) 및 증발기를 서로 연결하여 냉매의 순환 유로를 형성한다.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includes a compressor 1051, a condenser 1052, an expansion device 1053, an evaporator 1054 (refer to FIG. 3), and a refrigerant passage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The refrigerant flow path may be formed by a pipe or the like, and the refrigerant flow path connects the compressor 1051, the condenser 1052, the expansion device 1053, and the evaporator to each other to form a circulation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압축기(1051)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이루어진다. 압축기(1051)는 냉매 유로에 의해 응축기(1052)와 연결되며, 압축기(1051)에서 압축된 냉매는 냉매 유로를 통해 응축기(1052)로 흘러가게 된다. 압축기(1051)는 지지대(1075)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103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The compressor 1051 is configured to compress a refrigerant. The compressor 1051 is connected to the condenser 1052 by a refrigerant flow path, and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1051 flows to the condenser 1052 through the refrigerant flow path. The compressor 1051 may be disposed under the support 1075 and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base 1030.

응축기(1052)는 냉매를 응축하도록 이루어진다. 압축기(1051)에서 압축된 냉매는 냉매 유로를 통해 응축기(1052)로 흘러 들어오고, 응축기(1052)에 의해 응축된다. 응축기(1052)에서 응축된 냉매는 냉매 유로를 통해 팽창장치(1053)로 흘러 가게 된다.The condenser 1052 is configured to condense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1051 flows into the condenser 1052 through a refrigerant flow path, and is condensed by the condenser 1052.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er 1052 flows to the expansion device 1053 through the refrigerant flow path.

냉매의 팽창은 팽창장치(1053)에 의해 구현된다. 팽창장치(1053)는 냉매를 팽창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설계에 따라 모세관 또는 교축밸브 등이 팽창장치(1053)를 구성할 수 있다. 모세관은 좁은 공간 내에서 충분한 길이 확보를 위해 코일 형태로 말려 있을 수 있다.The expansion of the refrigerant is implemented by the expansion device 1053. The expansion device 1053 is configured to expand the refrigerant, and a capillary tube or a throttling valve may constitute the expansion device 1053 according to a design. The capillary tube may be rolled in a coil shape to ensure sufficient length within a narrow space.

증발기(1054, 도 3 참조)는 냉매를 증발시키도록 이루어지며,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측에 설치된다. 증발기에 대하여는 증발기가 도시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evaporator 1054 (see FIG. 3) is configured to evaporate the refrigerant, and is installed inside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The evaporato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in which the evaporator is shown.

베이스(1030)는 압축기(1051), 프론트 커버(1011), 리어 커버(1014), 양측 사이드 패널(1013a, 1013b), 필터 브라켓 조립체(1070), 응축기(1052) 및 팬(1033) 등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들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1030)는 높은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1030 supports the compressor 1051, the front cover 1011, the rear cover 1014, the side panels 1013a and 1013b on both sides, the filter bracket assembly 1070, the condenser 1052 and the fan 1033. Is formed to b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1030 has high rigidity to support these components.

응축기(1052)와 팬(1033)은 정수기(1000)의 후방측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응축기(1052)의 방열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공기의 순환이 필요하다. 공기의 순환을 위해 베이스(1030)의 바닥에 흡기구(1034)가 형성될 수 있다. 흡기구(1034)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팬(1033)에 의해 유동하게 된다. 공기는 응축기(1052)를 향해 유동하면서 공랭식의 냉각을 구현하게 된다. 베이스(1030)에는 응축기(1052)의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팬(1033)과 응축기(1052)를 감싸는 덕트 구조물이 고정될 수 있다. 응축기(1052)의 상부에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받침대(1031)가 설치될 수 있다.The condenser 1052 and the fan 1033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water purifier 1000, and continuous air circulation is required for heat dissipation of the condenser 1052. An intake port 1034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se 1030 for circulation of air.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1034 flows by the fan 1033. Air flows toward the condenser 1052 and implements air-cooled cooling. A duct structure surrounding the fan 1033 and the condenser 1052 may be fixed to the base 1030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of the condenser 1052. A pedestal 1031 made to support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may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denser 1052.

받침대(1031)는 후방측에 제1홀(1031a)을 구비하고, 리어 커버(1014)는 제2홀(1014a)을 구비한다. 제1홀(1031a)과 제2홀(1014a)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홀(1031a)과 제2홀(1014a)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채워진 냉각수의 배수를 위한 드레인 밸브를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드레인 밸브에 대하여는 후술한다.The pedestal 1031 has a first hole 1031a on the rear side, and the rear cover 1014 has a second hole 1014a. The first hole 1031a and the second hole 1014a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first hole 1031a and the second hole 1014a are for disposing a drain valve for draining the coolant filled 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The drain valve will be described later.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내부에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필터부(1060)에서 생성된 정수를 공급받는다. 특히 별도의 저수조를 구비하지 않는 직수형 정수기(1000)의 경우,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필터부(1060)로부터 직접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s formed to receive cooling water there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receives purified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 unit 1060.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direct water purifier 1000 without a separate storage tank,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may directly receive purifi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1060.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채워진 냉각수의 온도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작동에 의해 낮아진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냉각수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s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s configured to form cold water by cooling purified water with cooling water.

냉각수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저장되어 있고 순환하지 않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지나면 냉각수의 오염도가 증가하게 된다. 위생을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냉수 냉크 조립체에 저장된 냉각수는 외부로 배출시키고, 새로운 냉각수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채워져야 한다.Since the cooling water is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is not circulate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cooling water increases after a long time. For hygiene, the coolant stored in the cold water coolant assembly is period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new coolant must be filled in the coolant tank assembly 1200.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분해 사시도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shown in FIG. 2.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냉각수 수용부(1220)를 구비한다. 냉각수 수용부(1220)는 저수조 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냉각수가 채워진다. 냉각수 수용부(1220)가 저수조 형태로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정수기는 여전히 직수형 정수기로 구분된다. 냉각수 수용부(1220)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정수가 아니라 냉수를 생성하기 위한 냉각수가 저장되기 때문이다.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ncludes a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formed to accommodate cooling water.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torage tank, and the cooling water is filled therein. Even i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torage tank, the water purifier is still classified as a direct water purifier. This is because the cooling water for generating cold water is stor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1220, not purified water to be provided to the user.

냉각수 수용부(1220)의 상단은 개구되며, 상기 상단의 테두리는 냉수 탱크 커버(1201)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냉수 탱크 커버(1201)가 냉각수 수용부(1220)에 결합됨에 따라 냉각수 수용부(1220)의 내측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is opened, and the upper edge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old water tank cover 1201. As the cold water tank cover 1201 is coupled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the inner space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may be sealed.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단열재(1210)는 발포 지그에서 이루어지는 발포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데, 냉각수 수용부(1220)의 상부에는 상기 발포 공정 시 발포액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1221)가 형성된다. 배리어(1221)는 배리어(1221)는 냉각수 수용부(1220)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다. 배리어(1221)는 발포 지그의 내주면과 맞닿아 발포 지그에 투입된 발포액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insulating material 1210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s formed through a foaming process made in a foaming jig, and a barrier 1221 is formed on the top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to prevent overflow of the foaming liquid during the foaming process. do. As for the barrier 1221, the barrier 1221 protrude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The barrier 1221 abuts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am jig to prevent overflow of the foaming liquid injected into the foaming jig.

단열재(1210)는 냉각수 수용부(1220)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단열재(1210)는 냉각수 수용부(1220)의 외주면과 바닥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단열재(1210)는 발포 지그에 냉각수 수용부(1220)와 발포액을 투입한 상태에서 발포 공정을 진행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냉각수 수용부(1220)는 단열재(1210)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고, 단열재(1210)는 냉각수 수용부(1220)를 수용하는 구조를 갖는다.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is formed to surround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Specifically, the insulating material 1210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The insulating material 1210 is formed by performing a foaming process in a state in which the cooling water accommodating part 1220 and the foaming liquid are added to the foaming jig. Accordingly,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has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has a structure that accommodates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단열재(1210)는 냉각수 수용부(1220)에 채워지는 냉각수와 외기 사이의 열전달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진다. 단열재(1210)가 냉각수와 외기 사이의 열전달을 억제하면 소모 전력의 절약과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is configured to suppress heat transfer between the coolant filled in the coolant receiving portion 1220 and the outside air. Wh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suppresses heat transfer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the outside air, there is an effect of saving power consumption and preventing dew formation.

먼저 냉각수는 냉수 생성을 위해 저온으로 유지되어야 하나, 냉각수가 외기와 지속적으로 열교환하면 냉각수의 온도는 점차 상승할 수 있다.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냉동 사이클 장치는 냉각수를 저온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작동을 필요로 하고, 냉동 사이클 장치의 추가 작동에는 전력이 소모된다. 따라서 단열재(1210)가 충분한 단열 성능을 갖추면 냉동 사이클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First, the cooling water must be kept at a low temperature in order to generate cold water, but if the cooling water continuously exchanges heat with outside air,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may gradually increas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rises,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requires additional operation to keep the cooling water at a low temperature, and power is consumed in the additional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Therefore, i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has sufficient heat insulation performance, power consumed in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can be saved.

또한 단열재(1210)는 냉각수 수용부(1220)의 외주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한다. 이슬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이슬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응축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냉각수에 의해 주변의 공기가 이슬점보다 낮아지는 것을 억제해야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재(1210) 냉각수와 주변 공기 사이의 열전달을 억제하여 냉각수 수용부(1220), 냉수 탱크 조립체(1200) 및 후술하게 될 드레인 밸브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prevents dew from form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Dew is formed by condensing water vapor in the air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dew point. Therefore, condensation can be prevented by suppressing the surrounding air from being lower than the dew point by the cooling water. The heat insulator 1210 suppresses heat transfer between the coolant and the surrounding air to prevent dew from forming on the coolant receiving portion 1220,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a drain valve to be described later.

냉수 탱크 커버(1201)는 단열재(1210)와 상기 단열재(1210)에 삽입되는 냉각수 수용부(1220)를 덮도록 형성된다. 냉수 탱크 커버(1201)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상단에 결합된다. 종래의 정수기는 냉수 탱크나 냉각수 수용부(1220) 등에 냉각수를 채우기 위해 냉수 탱크 커버(1201)를 매번 개방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수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수 탱크 커버(1201)를 개방하지 않고도 냉각수를 냉각수 수용부(1220)에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되고, 기준 수위까지 냉각수가 채워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cold water tank cover 1201 is formed to cover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and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inserted into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The cold water tank cover 1201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n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cold water tank cover 1201 must be opened each time to fill the cool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or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However,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able to fill the cooling water in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without opening the cold water tank cover 1201, as described later, and is formed to check whether the cooling water is filled to the reference level.

냉수 탱크 커버(1201)에는 냉수 생성 유로(1240)의 입구(1241)와 출구(1242)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구멍(1201')이 형성된다. 냉수 생성 유로(1240)의 입구(1241)와 출구(1242)는 상기 구멍(1201')에 배치된다. 입구(1241)는 냉수 생성 유로(1240)의 일단에 형성되고, 필터부(1060, 도 2 참조)와 연결된다. 출구(1242)는 냉수 생성 유로(1240)의 타단에 형성되며, 출수부(1020, 도 2 참조)와 연결된다.A hole 1201 ′ is formed in the cold water tank cover 1201 to accommodate the inlet 1241 and the outlet 1242 of the cold water generating flow path 1240. The inlet 1241 and the outlet 1242 of the cold water generating flow path 1240 are disposed in the hole 1201'. The inlet 124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ld water generating flow path 1240 and is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1060 (see FIG. 2 ). The outlet 1242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1020 (see FIG. 2 ).

냉수 생성 유로(1240)는 필터부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통과시키도록 형성된다. 냉수 생성 유로(1240)는 입구에서 연장되어 코일의 형태를 이룬다. 코일의 형태란 냉수 생성 유로(1240)가 동심원을 그리면서 적층되는 형태를 가리킨다. 냉수 생성 유로(1240)가 코일 또는 스프링의 형상처럼 형성되는 이유는 충분한 열교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The cold water generation passage 1240 is formed to pass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filter unit.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extends from the inlet to form a coil shape. The shape of the coil refers to a shape in which the cold water generating passages 1240 are stacked while drawing a concentric circle. The reason why the cold water generating flow path 12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il or spring is to secure a sufficient heat exchange area.

증발기(1054)도 냉수 생성 유로(1240)와 마찬가지로 부분적으로 코일 또는 스프링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코일의 형태란 증발기(1054)가 동심원을 그리면서 적층되는 형태를 가리킨다. 증발기(1054)의 형상이 코일과 같은 형태를 갖는 것은 냉수 생성 유로(1240)와 마찬가지로 충분한 열교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Like the cold water generating passage 1240, the evaporator 1054 may have a shape such as a coil or a spring. The coil shape refers to a shape in which the evaporators 1054 are stacked while drawing a concentric circle. The reason that the evaporator 1054 has a coil-like shape is to secure a sufficient heat exchange area, similar to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증발기(1054)는 냉매를 증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냉매의 증발은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이루어진다. 열은 냉각수로부터 냉매로 전달된다. 냉각수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냉매는 증발되고, 냉매에게 열을 전달한 냉각수는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 냉각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증발된 냉매는 냉매 유로를 통해 다시 압축기로 흘러들어 가며, 냉동 사이클 장치를 순환한다.The evaporator 1054 is configured to evaporate the refrigerant. The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takes place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coolant to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that has received heat from the cooling water is evaporated, and the cooling water that has transferred the heat to the refrigerant can be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The refrigerant evaporated by heat exchange with the coolant flows back to the compressor through the refrigerant flow path and circulates through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냉수 생성 유로(1240)와 증발기(1054)가 코일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다. 중공부에는 후술하게 될 교반기가 설치된다. 교반기는 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모터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모터 보호부(1250)와 모터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모터 덮개(1255)를 포함한다. 모터 덮개(1255)는 모터 보호부(1250)의 상측에 결합된다.Since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and the evaporator 1054 are formed in a coil-like shape, a hollow part is formed inside the cold water generating flow path 1240 and the evaporator 1054. A stirrer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in the hollow part. The stirrer is rotated by a motor.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ncludes a motor protection unit 1250 formed to surround the motor and a motor cover 1255 formed to cover the motor. The motor cover 1255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otor protection unit 1250.

냉수 생성 유로(1240)와 증발기(1054) 사이에는 플레이트(1202)가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2)와 모터 보호부(1250) 사이에는 복수의 지지부(1204)가 설치된다. 복수의 지지부(1204)는 모터 보호부(125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며, 복수의 지지부(1204) 스스로는 플레이트(1202)에 의해 지지된다. 복수의 지지부(1204)는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로 냉각수를 통과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플레이트(1202)의 양면에는 냉수 생성 유로(1240)와 증발기(1054)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위치 고정부(1203a)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203a)는 그루브를 구비하며, 냉수 생성 유로(1240)와 증발기(1054)는 각각 위치 고정부의 그루브에 배치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203a)도 모터 보호부(12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plate 120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ld water generating flow path 1240 and the evaporator 1054.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204 are installed between the plate 1202 and the motor protection part 1250.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204 is made to support the motor protection part 1250,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204 are themselves supported by the plate 1202.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20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figured to pass cooling water therebetween. Position fixing portions 1203a configured to fix the positions of the cold water generation passage 1240 and the evaporator 1054 may b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plate 1202. The position fixing part 1203a has a groove, and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and the evaporator 1054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grooves of the position fixing part. The position fixing part 1203a also serves to support the motor protection part 1250.

서미스터(thermistor, 126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측에 설치된다. 서미스터(1260)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서미스터(1260)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며, 서미스터(1260)에 의해 측정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작동을 결정하는 근거가 된다.The thermistor (thermistor) 1260 is installed inside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The thermistor 1260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an object to be measured us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a resistance value changes according to temperature. The thermistor 1260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measured by the thermistor 1260 serves as a basis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냉수 생성 유로(1240)를 통과하는 정수를 냉각수 수용부(1220)에 채워진 냉각수로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필터부로부터 공급된 정수는 냉수 생성 유로(124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냉수 생성 유로(1240)는 냉각수 수용부(1220)에 채워진 냉각수에 침지되므로, 냉수 생성 유로(1240)를 흐르는 정수는 지속적으로 냉각수와 열교환하며 냉각되어 냉수가 된다.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s formed to generate cold water by cooling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generating flow path 1240 with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filter unit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Since the cold water generating flow path 1240 is immersed in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the purified water flowing through the cold water generating flow path 1240 continuously heats and cools with the cooling water to become cold water.

도 4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관련된 정수기의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리어 커버(1014)를 보인 단면도다. 도 4는 도 2의 라인 A-A를 따라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리어 커버(1014)를 자르고 바라본 단면도에 해당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a rear cover 1014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the rear cover 1014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냉수 생성을 위해 냉각수의 온도는 저온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상기 저온은 제1 기준 온도와 제2 기준 온도 사이로 설명될 수 있다.In order to generate cold water,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must be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and the low temperature may be described as between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a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냉각수의 온도가 높으면 냉수 생성이 어려우므로 냉각수의 온도가 높아질 때마다 냉동 사이클 장치가 작동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냉수 생성 가능 온도 범위까지 낮춰야 한다. 이 때 냉동 사이클 장치가 작동하는 온도를 제1 기준 온도로 설정한다.When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is high, it is difficult to generate cold water. Therefore, whenever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ncreases,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must be operated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to the range of possible cold water generation.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operates is set a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반대로 냉각수의 온도가 낮을수록 냉수 생성에는 유리하나 과도한 냉동 사이클 장치의 작동은 정수기의 소비 전력 낭비를 유발한다. 따라서 냉각수의 온도는 냉수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저온까지만 낮아지면 족하며, 그 미만으로 낮아지는 것은 소비 전력 절약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 때 냉수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냉각수의 온도를 제2 기준 온도로 설정한다.Conversely, the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s, the more advantageous it is to generate cold water, but excessiv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causes power consumption of the water purifier. Therefore, it is sufficient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only to a low temperature sufficient to generate cold water, and lowering it to less than that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power consumption saving.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sufficient to generate cold water is set as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서미스터(1260)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정수기(1000)의 냉동 사이클 장치가 작동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낮춘다. 도 2에서 설명한 압축기(1051) 및 응축기(1052)가 작동하여 냉매를 압축 및 응축하고, 팽창장치(1053)에서 냉매의 팽창이 이루어진다. 팽창된 냉매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1054)를 통과한다. 냉각수 수용부(1220)에 저장된 냉각수는 증발기(1054)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된다. 따라서 서미스터(1260)와 냉동 사이클 장치의 상호 작동에 의해 냉각수는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If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measured by the thermistor 1260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of the water purifier 1000 operates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The compressor 1051 and the condenser 1052 described in FIG. 2 operate to compress and condense the refrigerant, and the refrigerant is expanded in the expansion device 1053. The expanded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054 installed inside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The cooling water stor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is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54. Therefore, the cooling water can be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by the mutual operation of the thermistor 1260 and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교반기(127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측 상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교반기(1270)는 냉각수에 침지되며, 냉각수 수용부(1220)에 채워진 냉각수를 교반시키도록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교반기(127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 내에서 유체간의 열교환을 촉진하는 장치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 내의 유체란 냉매, 냉각수, 정수에 해당하므로, 교반기(1270)는 냉각수와 냉매의 열교환, 냉각수와 정수의 열교환을 촉진한다.The stirrer 1270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upper wall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The stirrer 1270 is immersed in the cooling water, and is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an axis to stir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The agitator 1270 is a device that promotes heat exchange between fluids 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Since the fluid 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corresponds to refrigerant, cooling water, and purified water, the agitator 1270 promotes heat exchange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the refrigerant, and the cooling water and the purified water.

모터(1271)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측 상벽에 설치되며, 냉수 탱크 커버(1201)는 모터(1271)를 덮는다. 모터(1271)는 회전하는 로터(1271a)와 고정되어 있는 스테이터(1271b)로 이루어지며, 로터(1271a)와 스테이터(1271b)는 모터 보호부(1250)에 수용된다. 교반기(1270)는 축(1272)에 의해 로터(1271a)에 연결되고, 로터(1271)가 회전하면 교반기(1270)도 회전하게 된다.The motor 1271 is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wall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the cold water tank cover 1201 covers the motor 1271. The motor 1271 includes a rotating rotor 1271a and a fixed stator 1271b, and the rotor 1271a and the stator 1271b are accommodated in the motor protection unit 1250. The stirrer 1270 is connected to the rotor 1271a by a shaft 1272, and when the rotor 1271 rotates, the stirrer 1270 also rotates.

서미스터(1260)는 냉각수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서미스터(1260)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의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하이면, 냉동 사이클 장치는 작동을 멈추게 된다. 제2 기준 온도는 제1 기준 온도보다 낮다. 제1 기준 온도와 제2 기준 온도는 각각 냉동 사이클 장치의 작동과 정지를 위한 기준을 설정한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는 서미스터(1260)에 의한 온도 측정과 냉동 사이클 장치의 작동에 의해 제1 기준 온도와 제2 기준 온도의 사이로 유지될 수 있다.The thermistor 1260 continuously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measured by the thermistor 1260 is below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stops operating.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respectively set a reference for operating and stopping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may be maintained betwee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by temperature measurement by the thermistor 1260 and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교반기(1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는 냉각수 수용부(1220)에 채워진 냉각수의 수위에 따라 달라진다. 만일 냉각수의 수위가 h1에 해당한다면 교반기(1270)는 냉각수에 침지되지 않으므로 교반기(1270)의 회전은 냉각수에 의한 저항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냉각수의 수위가 h1에 해당한다면 교반기(1270)는 가장 빠르게 회전될 수 있다.The rotational speed of the agitator 1270 per unit time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If the water level of the coolant corresponds to h1, the stirrer 1270 is not immersed in the coolant, so the rotation of the stirrer 1270 does not receive resistance by the coolant. Therefore, if the water level of the cooling water corresponds to h1, the stirrer 1270 can rotate the fastest.

만일 냉각수의 수위가 h2에 해당한다면 교반기(1270)는 냉각수에 침지되고, 교반기(1270)의 회전은 냉각수에 의한 저항을 받게 된다. 따라서 교반기(1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는 냉각수의 수위가 h1인 경우보다 느려진다. 그러나 h2에 해당하는 냉각수의 수위는 증발기(1054)가 냉각수에 침지되지 않은 수위이기 때문에 냉수 생성을 위해서는 충분하지 못한 수위에 해당한다.If the water level of the coolant corresponds to h2, the stirrer 1270 is immersed in the coolant, and the rotation of the stirrer 1270 receives resistance by the coolant. Therefore, the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stirrer 1270 becomes slower tha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olant is h1. However, since the water level of the cooling water corresponding to h2 is a water level in which the evaporator 1054 is not immersed in the cooling water, the water level is insufficient for generating cold water.

만일 냉각수의 수위가 h3에 해당한다면 교반기(1270)는 h2보다 냉각수에 깊게 침지되고, 교반기(1270)의 회전은 h2보다 냉각수에 의한 더 큰 저항을 받게 된다. 따라서 교반기(1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는 냉각수의 수위가 h2인 경우보다 더 느려진다. 또한 h3에 해당하는 냉각수의 수위는 증발기(1054)가 냉각수에 침지되는 수위이기 때문에 냉수 생성을 위해 충분한 수위에 해당한다.If the water level of the coolant corresponds to h3, the stirrer 1270 is deeply immersed in the coolant than h2, and the rotation of the stirrer 1270 receives a greater resistance from the coolant than h2. Therefore, the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stirrer 1270 becomes slower tha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oling water is h2. In addition, since the water level of the cooling water corresponding to h3 is the level at which the evaporator 1054 is immersed in the cooling water, it corresponds to a level sufficient to generate cold water.

이와 같이 교반기(1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에 기반으로 냉각수가 기준 수위까지 채워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준 수위란 냉수 생성을 위해 충분한 수위를 의미한다. 또한 냉수 생성을 위해 충분한 수위란 냉수 생성 유로(1240), 증발기(1054) 및 교반기(1270)가 모두 냉각수에 침지되는 수위를 의미한다.As such,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ooling water is filled to the reference water level based on the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stirrer 1270. The reference water level means the level sufficient to generate cold water. In addition, the water level sufficient to generate cold water means the level at which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the evaporator 1054, and the agitator 1270 are all immersed in the cooling water.

도 4에서 도면부호 1240으로 표시된 유로의 단면에서부터 바닥면(1207)까지의 유로들은 모두 냉수 생성 유로(1240)에 해당한다. 냉수 생성 유로(1240)를 통과하는 정수는 냉각수와 열교환하게 된다. 열은 정수로부터 냉각수로 전달되며, 정수는 냉각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짧은 시간 내에 냉수가 된다. 교반기(1270)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정수와 냉각수의 열교환을 촉진한다.In FIG. 4, the flow paths from the cross section of the flow path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240 to the bottom surface 1207 correspond to the cold water generating flow path 1240.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heats up heat with the cooling water.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purified water to the cooling water, and the purified water becomes cold water in a short time by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The stirrer 1270 rotates about an axis to promote heat exchange between purified water and cooling water.

플레이트(1202)는 증발기(1054)와 냉수 생성 유로(1240)의 경계에 위치한다. 냉각수 수용부(1220)의 내주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단턱(1222)이 형성되고, 플레이트(1202)는 단턱(1222)에 의해 지지된다. 플레이트(1202)의 윗면과 아랫면에는 각각 위치 고정부(1203a, 1203b)가 형성되며, 증발기(1054)와 냉수 생성 유로(1240)가 위치 고정부의 그루브에 배치됨은 앞서 설명하였다.The plate 1202 is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evaporator 1054 and the cold water generating flow path 1240. A stepped step 1222 is formed along the rim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and the plate 1202 is supported by the stepped step 1222. Position fixing parts 1203a and 1203b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ate 1202, respectively, and the evaporator 1054 and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are disposed in the grooves of the position fixing part.

냉수 생성 유로 지지부(1207a)는 냉수 생성 유로(12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냉수 생성 유로 지지부(1207a)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 바닥면(1207)으로부터 냉수 생성 유로(1240)을 향해 돌출된다. 냉수 생성 유로 지지부(1207a)에는 냉수 생성 유로(124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크기의 그루브가 형성된다. 냉수 생성 유로(1240)는 냉수 생성 유로 지지부(1207a)의 그루브에 거치되며, 상기 냉수 생성 유로 지지부(1207a)에 의해 지지된다.The cold water generation channel support part 1207a is form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cold water generation channel 1240. The cold water generation channel support part 1207a protrudes toward the cold water generation channel 1240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1207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 groov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ld water generating passage 1240 is formed in the cold water generating passage support part 1207a.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is mounted in the groove of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support part 1207a, and is supported by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support part 1207a.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저장된 냉각수는 위생을 위해 주기적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냉각수의 배수는 배수 유로를 형성하는 드레인 밸브(1280)를 통해 이루어진다.The cooling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must be periodically replaced for hygiene. The cooling water is drained through a drain valve 1280 forming a drain passage.

드레인 밸브(128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연결된다. 드레인 밸브(128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에 채워진 냉각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도록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설치된다. 드레인 밸브(1280)의 적어도 일부는 정수기(1000)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다.The drain valve 1280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The drain valve 1280 is installed 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to form a discharge flow path for cooling water filled 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t least a portion of the drain valve 128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1000 body.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돌출 배수 유로(1206)를 포함한다. 돌출 배수 유로(1206)는 냉각수 수용부(1206)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드레인 밸브(1280)와 연결된다. 돌출 배수 유로(1206)는 드레인 밸브(1280)에 삽입된다. 드레인 밸브(1280)는 정수기(1000)의 외부로 냉각수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므로, 돌출 배수 유로(1206)가 드레인 밸브(1280)에 삽입되면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저장된 냉각수를 배수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ncludes a protruding drain passage 1206. The protruding drain passage 1206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06 and is connected to the drain valve 1280. The protruding drainage passage 1206 is inserted into the drain valve 1280. Since the drain valve 1280 is configured to discharge coolant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1000, when the protruding drainage passage 1206 is inserted into the drain valve 1280, a passage capable of draining the coolant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s formed.

드레인 밸브(1280)는 고정부(1205)에 의해 고정된다. 드레인 밸브(1280) 및 고정부(1205)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The drain valve 1280 is fixed by the fixing part 1205.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in valve 1280 and the fixing unit 1205 will be described later.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 바닥면(1207)은 원활한 배수를 위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냉각수는 자연력에 의해 배수되기 때문에,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 바닥면(1207)이 평평하면 일부 영역에 냉각수가 고일 수 있다. 냉각수가 내부 바닥면(1207)의 일부 영역에 고이게 되면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 바닥면(1207)이 배수 유로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면 냉각수의 고임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ner bottom surface 1207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for smooth drainage. Since the coolant is drained by natural force, if the inner bottom surface 1207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s flat, coolant may accumulate in some areas. If cooling water accumulates in a portion of the inner bottom surface 1207, it is not hygienic. However, as illustrated in FIG. 4, if the inner bottom surface 1207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rain pass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ling water from accumulating.

또한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고임 방지 배수부(1208)를 포함할 수 있다. 고임 방지 배수부(1208)는 드레인 밸브(1280)와 함께 배수 유로를 형성한다. 고임 방지 배수부(1208)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 바닥면(1207)의 만입(또는 함몰)에 의해 형성된다. 고임 방지 배수부(1208)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부 바닥면(1207)보다 낮은 바닥면을 형성하며,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경사를 갖기도 한다.In additio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may include a drainage portion 1208 to prevent accumulation. The accumulation prevention drain unit 1208 forms a drain passage along with the drain valve 1280. The anti-seize drain 1208 is formed by indentation (or depression) of the inner bottom surface 1207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The anti-coldness drain 1208 forms a bottom surface lower than the inner bottom surface 1207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may have an inclination in at least some areas.

고임 방지 배수부(1208)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채워진 냉각수를 모아 드레인 밸브(1280)로 배수하도록 이루어진다. 고임 방지 배수부(1208)는 내부 바닥면(1207)보다 낮은 바닥면을 형성하고 경사를 가지므로, 냉각수는 내부 바닥면(1207)에 고이지 않게 된다. 냉각수는 고임 방지 배수부(1208)에 모여 드레인 밸브(1280)를 통해 배출된다.The anti-coldness drain unit 1208 is configured to collect the coolant filled 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drain it to the drain valve 1280. Since the anti-coldness drain 1208 forms a bottom surface lower than the inner bottom surface 1207 and has an inclination, the cooling water does not accumulate on the inner bottom surface 1207. The coolant is collected in the anti-coldness drain 1208 and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valve 1280.

단열재(1210)가 냉각수 수용부(1220)를 감싸는 이유는, 냉각수 수용부(1220)를 보냉하기 위한 것이다. 단열재(1210)가 없으면 자연적인 열전달에 의해 냉각수 수용부(1220)에 채워진 냉각수의 온도는 점차 상온에 가까워지게 된다. 단열재(1210)는 냉각수로부터 공기 중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냉각수의 온도가 상온에 가까워지는 속도를 저하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reason wh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surrounds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is to cool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Without the heat insulator 1210,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gradually approaches room temperature by natural heat transfer. The heat insulator 1210 serves to reduce the rate at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approaches room temperature by suppressing the transfer of heat from the cooling water to the air.

단열재(1210)는 드레인 밸브(128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드레인 밸브(1280)를 감싼다. 단열재(1210)가 드레인 밸브(1280)를 감싸는 이유는 드레인 밸브(1280)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슬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형성되는 것이므로,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면 이슬의 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재(1210)는 드레인 밸브(1280)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여, 드레인 밸브(1280)의 외주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한다.The insulating material 1210 surrounds the drain valve 1280 to prevent condensation from forming on the drain valve 1280. The reason why the insulating material 1210 surrounds the drain valve 1280 is to block contact between the drain valve 1280 and air. Dew is formed by condensation of water vapor in the air, so condensation of dew can be prevented by blocking contact with air.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blocks the contact between the drain valve 1280 and air, and prevents dew from form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valve 1280.

단열재(1210)는 냉각수 수용부(1220)뿐만 아니라 드레인 밸브(1280)까지 감싼다. 따라서 단열재(1210)는 냉각수 수용부(1220)를 보냉하고 드레인 밸브(128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 수용부(1220)의 단열을 위한 단열재(1210)를 이용하여 드레인 밸브(1280)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의 발생도 방지하는 추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insulating material 1210 covers not only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but also the drain valve 1280. Therefor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may cool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and prevent dew from forming on the drain valve 1280. Accordingly, an additional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dew condensation on the drain valve 1280 may be obtained by us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for insulating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단열재(1210)는 PU(폴리우레탄, Polyurethane)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포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단열재(1210)는 발포 PU 폼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종래의 EPS(Expandable Polystrene)라는 단열재(1210)가 정수기 등의 보냉을 위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EPS에는 틈이 존재하기 때문에 EPS로는 드레인 밸브(1280)와 공기의 접촉의 차단할 수 없다. 이에 반해 PU로 이루어지고 발포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재(1210)에는 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드레인 밸브(1280)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may be made of PU (polyurethane, polyurethane), and is formed by a foaming process. Therefore, the insulating material 1210 may be referred to as a foam PU foam. A conventional insulation material 1210 called EPS (Expandable Polystrene) has also been used for cold insulation such as a water purifier. However, since a gap exists in the EPS, the contact between the drain valve 1280 and the air cannot be blocked with the EPS. 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is no gap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made of PU and formed by the foaming process, contact between the drain valve 1280 and the air can be blocked.

발포 공정은 발포 지그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단열재(1210)는 누드 발포라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발포 공정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The foam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n a foaming jig,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hrough a process called nude foaming. The foam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following order.

냉각수 수용부(1220)와 드레인 밸브(1280)를 조립하고, 조립된 냉각수 수용부(1220)와 드레인 밸브(1280)를 발포 지그에 투입한다. 이어서 발포 지그에 단열재(1210)의 원액(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과 발포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발포액)을 투입하고 발포 공정을 진행한다. 발포 공정이 완료되면 냉각수 수용부(1220)의 외주면을 감싸는 단열재(1210)가 형성된다. 발포 공정에 의해 형성된 단열재(1210)는 냉각수 수용부(1220)뿐만 아니라 드레인 밸브(1280)까지 감싼다.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and the drain valve 1280 are assembled, and the assembled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and the drain valve 1280 are put into the foam jig. Subsequently, an undiluted solution of the insulating material 1210 (for example, a foaming solution composed of a mixture of polyurethane and a foaming agent) is added to the foaming jig, and the foaming process is performed. When the foaming process is completed, an insulating material 1210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is forme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formed by the foaming process covers not only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but also the drain valve 1280.

냉각수 수용부(1220)는 발포 공정 시 발포액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1221)를 포함한다. 배리어(1221)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로부터 돌출된 배리어(1221)는 발포 지그의 내주면과 맞닿아 발포 지그에 투입된 발포액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1220 includes a barrier 1221 for preventing overflow of the foaming liquid during the foaming process. The barrier 1221 protrude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The barrier 1221 protruding from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may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aming jig to prevent overflow of the foaming liquid injected into the foaming jig.

발포 공정이 완료되면, 냉각수 수용부(1220), 드레인 밸브(1280) 및 단열재(1210)는 일체로 형성된다. 단열재(1210)는 커버(10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말하는 커버(1010)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프론트 커버(1011), 사이드 패널(1013a) 및 리어 커버(1014)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했던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면, 여기서의 커버(1010)는 리어 커버(1014)에 해당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foaming process is completed,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the drain valve 1280,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are integrally formed. The insulating material 121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ver 1010. The cover 1010 herein may be at least one of the front cover 1011, the side panel 1013a, and the rear cover 1014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described in FIG. 2, the cover 1010 here corresponds to the rear cover 1014.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단열재(1210)와 리어 커버(1014)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단열재(1210)의 외주면과 리어 커버(1014)의 내주면 사이에는 에어갭(1230)이 형성된다. 에어갭(1230)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추가적인 보냉을 위한 것이다. 단열재(1210)가 리어 커버(1014)와 맞닿는 구조보다 에어갭(1230)이 단열재(1210)와 리어 커버(1014)를 이격시키는 구조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보냉에 유리하다. 에어갭(1230)이 열전도를 제한하기 때문이다.Sinc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and the rear cover 101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air gap 1230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cover 1014. The air gap 1230 is for additional cooling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The structure in which the air gap 1230 separates the heat insulator 1210 and the rear cover 1014 from the structure in which the heat insulation material 1210 abuts the rear cover 1014 is more advantageous for cold insulation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This is because the air gap 1230 limits heat conduction.

에어갭(1230)은 냉수 탱크 조립체(1200)를 추가 보냉할 수 있으나, 드레인 밸브(1280)가 에어갭(1230)에 노출되면 드레인 밸브(128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드레인 밸브(128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레인 밸브(1280)의 외주면은 단열재(1210)와 리어 커버(1014)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싸진다. 드레인 밸브(1280)가 단열재(1210)와 리어 커버(1014)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싸지므로, 리어 커버(1014)와 단열재(1210) 사이에 에어갭(1230)이 존재하더라도 드레인 밸브(1280)는 에어갭(1230)에 노출되지 않는다.The air gap 1230 may additionally cool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but when the drain valve 1280 is exposed to the air gap 1230, condensation cannot be prevented from forming on the drain valve 1280. In order to prevent condensation from condensing on the drain valve 1280,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valve 1280 is continuously wrapped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and the rear cover 1014. Since the drain valve 1280 is continuously wrapped by the heat insulator 1210 and the rear cover 1014, even if the air gap 1230 exists between the rear cover 1014 and the heat insulator 1210, the drain valve 1280 is It is not exposed to the gap 1230.

도 4를 참조하면, 정수기(100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받침대(1031)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1031)는 에어갭(1230)을 형성하도록 단열재(1210)와 리어 커버(1014)를 서로 이격시킨다. 또한 드레인 밸브(128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드레인 밸브(1280)의 외주면은 단열재(1210), 받침대(1031) 및 커버(1010)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싸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water purifier 1000 may include a pedestal 1031 formed to surround a lower portion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The pedestal 1031 separates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and the rear cover 1014 from each other to form an air gap 1230. In addition, to prevent condensation from forming on the drain valve 128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valve 1280 may be continuously wrapped by an insulating material 1210, a pedestal 1031, and a cover 1010.

에어갭(1230)이 존재하더라더도 (1) 드레인 밸브(1280)가 단열재(1210)와 커버(1010)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싸지는 구조나, (2) 드레인 밸브(1280)가 단열재(1210), 받침대(1031) 및 커버(1010)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싸지는 구조를 통해 드레인 밸브(1280)가 에어갭(1230)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갭(1230)을 갖더라도 드레인 밸브(1280)의 외주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Even if the air gap 1230 exists, (1) the drain valve 1280 is continuously wrapped by the insulation material 1210 and the cover 1010, but (2) the drain valve 1280 is the insulation material 1210 , The drain valve 1280 may not be exposed to the air gap 1230 through a structure continuously wrapped by the pedestal 1031 and the cover 1010.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air gap 1230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w from form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valve 1280.

도 5는 제1-1실시예와 관련된 정수기의 드레인 밸브(1280)를 보인 세부 단면도다.5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 valve 1280 of a water purifier related to the first-first embodiment.

냉각수 수용부(1220)는 드레인 밸브(1280)와 연결되는 돌출 배수 유로(1206)를 구비한다. 돌출 배수 유로(1206)는 냉각수 수용부(1220)의 하부로부터 돌출된다. 돌출 배수 유로(1206)가 돌출되는 방향은 냉각수 수용부(1220)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이다.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includes a protruding drain passage 1206 connected to the drain valve 1280. The protruding drainage passage 1206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ding drainage passage 1206 protrudes is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냉각수가 배수되는 흐름을 기준으로 고임 방지 배수부(1208), 돌출 배수 유로(1206) 및 드레인 밸브(1280)는 연속적인 냉각수의 배수 유로를 형성한다. 냉각수의 배수 시 냉각수는 고임 방지 배수부(1208), 돌출 배수 유로(1206) 및 드레인 밸브(1280)를 순서대로 통과해 외부로 배출된다.Based on the flow through which the coolant is drained, the anti-sagging drain unit 1208, the protruding drain passage 1206, and the drain valve 1280 form a continuous drain passage for the coolant. When the cooling water is drained, the cool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passing through the drainage part 1208, the protruding drainage passage 1206, and the drain valve 1280 in order.

드레인 밸브(1280)는 하우징(1281a, 1281b), 누름 조작부(1282), 탄성부재(1283), 제1오링(1284), 제2오링(1285)을 포함한다.The drain valve 1280 includes housings 1281a and 1281b, a pressing operation part 1282, an elastic member 1283, a first O-ring 1284, and a second O-ring 1285.

하우징(1281a, 1281b)은 드레인 밸브(1280)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 5에는 하우징(1281a, 1281b)의 외관이 외주면에 단차를 갖는 원기둥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하우징(1281a, 1281b)의 외관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housings 1281a and 1281b form the exterior of the drain valve 1280. In FIG. 5, the exteriors of the housings 1281a and 1281b are shown in the form of a cylinder having a step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earance of the housings 1281a and 1281b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하우징(1281a, 1281b)은 중공부를 구비한다. 중공부는 냉각수를 배수하는 배수 유로에 해당함과 아울러 누름 조작부(1282), 탄성부재(1283) 등을 수용하는 공간에 해당한다.The housings 1281a and 1281b have a hollow portion. The hollow part corresponds to a drain passage for draining the cooling water and corresponds to a space accommodating the pressing operation part 1282, the elastic member 1283, and the lik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281a, 1281b)은 단열재(1210)에 의해 감싸진다. 단열재(1210)가 하우징을 감싸므로, 하우징(1281a, 1281b)과 공기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차가운 냉각수가 중공부를 통해 배수되더라도 하우징(1281a, 1281b)은 공기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드레인 밸브(1280)에 이슬 맺힘이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s 1281a and 1281b are wrapped by an insulating material 1210. Sinc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surrounds the housing, contact between the housings 1281a and 1281b and air may be blocked. Therefore, even if the cold coolant is drained through the hollow portion, the housings 1281a and 1281b do not contact the air. Condensation of dew on the drain valve 1280 may be prevented through such a structure.

하우징(1281a, 1281b)은 제1하우징(1281a)과 제2하우징(1281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제1하우징(1281a)과 제2하우징(1281b)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면 제1하우징(1281a)과 제2하우징(1281b)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5에는 제2하우징(1281b)이 제1하우징(1281a)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The housings 1281a and 1281b are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housing 1281a and the second housing 1281b. When either of the first housing 1281a and the second housing 1281b is inserted into the other, the first housing 1281a and the second housing 1281b are combined. In FIG. 5, it is shown that the second housing 1281b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1281a.

제1하우징(1281a)은 드레인 밸브(1280)에서 냉각수가 배출되는 출구에 해당한다. 이에 반해 제2하우징(1281b)은 냉각수 수용부(1220)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는 입구에 해당한다. 따라서 냉각수 수용부(1220)로부터 냉각수가 배수되는 흐름을 기준으로 제1하우징(1281a)은 제2하우징(1281b)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The first housing 1281a corresponds to an outlet through which cool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drain valve 1280.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ousing 1281b corresponds to an inlet receiving cooling water from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Accordingly, the first housing 1281a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housing 1281b based on the flow of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누름 조작부(1282)는 하우징(1281a, 1281b)의 내측에 배치된다. 하우징(1281a, 1281b)의 내측이란 중공부를 의미한다. 누름 조작부(1282)는 사용자 등으로부터 누름 조작을 인가받는다. 사용자 등의 누름 조작은 드레인 밸브(1280)의 배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sing operation part 1282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s 1281a and 1281b. The inside of the housings 1281a and 1281b means a hollow part.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282 receives a pressing operation from a user or the like.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i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passage of the drain valve 1280.

제1오링(1284)은 누름 조작부(1282)와 제1하우징(1281a) 사이를 실링한다. 제1오링(1284)은 누름 조작부(1282)에 결합되며, 탄성부재(1283)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에 밀착된다. 제1오링(1284)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제1오링(1284)이 누름 조작부(1282)와 제1하우징(1281a) 사이를 실링하므로, 배수 유로의 닫힘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The first O-ring 1284 seals between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282 and the first housing 1281a. The first O-ring 1284 is coupled to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282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by an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member 1283. The first O-ring 1284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ince the first O-ring 1284 seals between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282 and the first housing 1281a, the drain passage can be closed.

탄성부재(1283)는 누름 조작부(1282)를 제1하우징(1281a)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1283)는 누름 조작부(1282)보다 상류측에 배치되며, 제2하우징(1281b)에 의해 지지된다.The elastic member 1283 provides an elastic force for bringing the pressing operation part 1282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housing 1281a. The elastic member 1283 is disposed upstream of the pressing operation part 1282 and is supported by the second housing 1281b.

제2오링(1285)은 환형으로 형성된다. 제2오링(1285)은 제1하우징(1281a)과 제2하우징(1281b)의 연결 부위를 실링한다. 제2오링(1285)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O-ring 1285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e second O-ring 1285 seals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housing 1281a and the second housing 1281b. The second O-ring 1285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돌출 배수 유로(1206)의 단부는 제2하우징(1281b)의 중공부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돌출 배수 유로(1206)의 외주면에는 단차가 존재한다. 제2하우징(1281b)은 돌출 배수 유로(1206)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돌출 배수 유로(1206)의 외주면을 감싼다. 제2하우징(1281b)은 돌출 배수 유로(1206)의 단차에 의해 이동에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돌출 배수 유로(1206)의 단차는 제2하우징(1281b)의 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end of the protruding drainage passage 1206 is formed to have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1281b. Steps exis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ruding drainage passage 1206. The second housing 1281b is formed to receive an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drain passage 1206 and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drain passage 1206. The second housing 1281b is limited in movement due to a step difference in the protruding drainage passage 1206. Accordingly, the step difference of the protruding drainage passage 1206 serves to set the position of the second housing 1281b.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1205)는 돌출 배수 유로(1206)와 드레인 밸브(1280)를 모두 감싸는 것이 아니라 드레인 밸브(1280)의 외주면을 일부만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드레인 밸브(1280)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하단에 시각적으로 노출된다.Referring to FIG. 5, the fixing part 1205 is formed to partially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valve 1280 instead of surrounding both the protruding drain passage 1206 and the drain valve 1280. Accordingly, the drain valve 1280 is visually exposed at the bottom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구체적으로, 냉각수 수용부(1220)의 외측 바닥면(1207')은 돌출 배수 유로(1206)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돌출 배수 유로(1206)를 부분적으로 감싼다. 냉각수 수용부(1220)의 외측 바닥면(1207')이란 도 5에서 도면부호 1207로 표시된 내측 바닥면(1207)의 반대면을 의미한다.Specifically, the outer bottom surface 1207 ′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partially surrounds the protruding drain passage 1206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ruding drain passage 1206. The outer bottom surface 1207 ′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refers to a surface opposite to the inner bottom surface 1207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207 in FIG. 5.

드레인 밸브(1280)가 돌출 배수 유로(1206)에 결합되는 방향에서 냉수 탱크 조립체(1200)를 바라보면, 냉각수 수용부(1220)의 외측 바닥면(1207')은 돌출 배수 유로(1206)를 부분적으로 감싸기 위해 부분적으로 아치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외측 바닥면(1207')이 돌출 배수 유로(1206)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은, 그 사이에 드레인 밸브(1280)와 실링부재(1290)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외측 바닥면(1207')이 돌출 배수 유로(1206)를 전체가 아닌 부분적으로 감싸는 것은, 외측 바닥면에 의해 감싸지지 않는 나머지 부분을 통해 돌출 배수 유로(1206)를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When looking at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in valve 1280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drain passage 1206, the outer bottom surface 1207 ′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partially covers the protruding drain passage 1206. It can have a partially arcuate cross section to wrap it with. The outer bottom surface 1207 ′ is spaced apart from the protruding drainage passage 1206 to form a space for the arrangement of the drain valve 1280 and the sealing member 1290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outer bottom surface 1207 ′ partially surrounds the protruding drainage passage 1206 rather than the entirety to expose the protruding drainage passage 1206 through the remaining portion not wrapped by the outer bottom surface.

고정부(1205)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외측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드레인 밸브(1280)를 부분적으로 감싼다. 고정부(1205)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냉각수 수용부(1220)의 외측 바닥면(1207')과 고정부(1205)는 구멍의 테두리를 형성한다.The fixing part 1205 protrudes from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partially surrounds the drain valve 1280. The fixing part 1205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and the outer bottom surface 1207 ′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and the fixing part 1205 form an edge of the hole.

고정부(1205)는 돌출 배수 유로(1206)와 드레인 밸브(1280)의 연결 부위를 가리지 않는 위치에서 드레인 밸브(1280)를 감싼다. 돌출 배수 유로(1206)와 드레인 밸브(1280)는 실링부재(1290)에 의해 감싸질 수 있으므로, 고정부(1205)는 실링부재(1290)를 가리지 않는 위치에서 드레인 밸브(1280)를 감싸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냉각수 수용부(1220)의 외측 바닥면(1207')과 아치형의 고정부(1205)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은 돌출 배수 유로(1206)의 출구를 마주본다.The fixing part 1205 surrounds the drain valve 1280 at a position that does not block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rotruding drain passage 1206 and the drain valve 1280. Since the protruding drainage passage 1206 and the drain valve 1280 can be wrapped by the sealing member 1290, it is understood that the fixing part 1205 surrounds the drain valve 1280 at a position not covering the sealing member 1290. I can. The hole formed by the outer bottom surface 1207 ′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and the arcuate fixing part 1205 faces the outlet of the protruding drain passage 1206.

돌출 배수 유로(1206)와 드레인 밸브(1280)의 연결 부위를 노출시키는 구조는, 발포 공정 전 돌출 배수 유로(1206)와 드레인 밸브(1280)의 연결 및 실링부재(1290)의 실링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발포 공정이 완료되고 나면 실링부재(1290)는 단열재(1210)에 의해 가려진다.The structure of exposing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rotruding drain passage 1206 and the drain valve 1280 is to determine whe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otruding drain passage 1206 and the drain valve 1280 and sealing the sealing member 1290 is properly performed before the foaming process. Makes it possible to visually check. After the foaming process is completed, the sealing member 1290 is covered by the insulating material 1210.

제1하우징(1281a)과 제2하우징(1281b)은 서로 나사체결, 억지끼움, 후크체결 등의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1281a)과 제2하우징(1281b)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281a)이 제2하우징(1281b)의 외주면을 감싼다.The first housing 1281a and the second housing 1281b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screw fastening, force fitting, hook fastening, or the like. The oth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wrapped around any one of the first housing 1281a and the second housing 1281b.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first housing 1281a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281b.

제2하우징(1281b)은 제1하우징(1281a)과 결합되는 부분에 경사면을 구비한다. 제2하우징(1281b)의 경사면에 의해 제1하우징(1281a)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이 틈에 제2오링(1285)이 삽입되어 제1하우징(1281a)과 제2하우징(1281b)의 연결 부위를 실링한다. 제2오링(1285)은 냉각수가 제1하우징(1281a)과 제2하우징(1281b)의 연결 부위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econd housing 1281b has an inclined surface at a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281a. A ga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281a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281b. A second O-ring 1285 is inserted in the gap to seal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housing 1281a and the second housing 1281b. The second O-ring 1285 prevents coolant from leaking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housing 1281a and the second housing 1281b.

제1하우징(1281a)은 제1걸림턱(1281a')을 구비한다. 제2하우징(1281b)은 제2걸림턱(1281b')을 구비한다. 냉각수의 배수 흐름을 기준으로 제1하우징(1281a)은 제2하우징(1281b)의 하류측에 배치되므로, 제1걸림턱(1281a')은 하류측 걸림턱(1281a')으로 명명되고, 제2걸림턱(1281b')은 상류측 걸림턱(1281b')으로 명명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1281a includes a first locking protrusion 1281a'. The second housing 1281b includes a second locking protrusion 1281b'. Since the first housing 1281a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housing 1281b based on the drainage flow of the cooling water,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1281a' is named as the downstream locking projection 1281a', and the second The locking projection 1281b' may be referred to as an upstream locking projection 1281b'.

제1걸림턱(1281a')은 제1하우징(1281a)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걸림턱(1281a')은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며, 실질적으로 환형으로 형성된다.The first locking jaw 1281a'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281a. The first locking jaw 1281a' protrud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annular shape.

누름 조작부(1282)는 제1부분(1282a)과 제2부분(1282b)을 구비한다. 드레인 밸브(1280)가 닫힌 상태에서 냉각수의 흐름은 제1걸림턱에서 차단되므로, 제1걸림턱(1281a')을 기준으로 드레인 밸브(1280)의 내부와 외부가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분 하에서 누름 조작부(1282)의 제1부분(1282a)은 드레인 밸브(128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제2부분(1282b)은 드레인 밸브(128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의미한다.The pressing operation unit 1282 includes a first portion 1282a and a second portion 1282b. When the drain valve 1280 is closed, the flow of coolant is blocked at the first locking jaw,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rain valve 1280 can be divided based on the first locking jaw 1281a'. Under this classification, the first part 1282a of the pressing operation part 1282 refers to a part disposed inside the drain valve 1280, and the second part 1282b is a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rain valve 1280 Means.

제1부분(1282a)은 제1걸림턱(1281a')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제1부분(1282a)은 실질적으로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부분(1282a)의 형태는 어느 것이나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부분(1282a)은 원판 또는 다각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ortion 1282a is formed to be caught on the first locking jaw 1281a'. The first part 1282a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However, any shape of the first portion 1282a may be selected. For example, the first portion 1282a may be formed as a disk or a polygonal plate.

제1부분(1282a)은 제1걸림턱(1281a')에 의해 정의되는 냉각수 배출 구멍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부분(1282a)은 제1걸림턱(1281a')에 걸릴 수 있다. 탄성부재(1283)로부터 누름 조작부(1282)에 탄성력이 제공되더라도 누름 조작부(1282)의 이동은 제1걸림턱(1281a')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누름 조작부(1282)는 제1걸림턱(1281a')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portion 1282a is formed larger than the cooling water discharge hole defined by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1281a'. Accordingly, the first portion 1282a may be caught by the first locking jaw 1281a'. Even if an elastic force is provided from the elastic member 1283 to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282,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282 is limited by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1281a'. Therefore, the pressing operation part 1282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by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1281a'.

제2부분(1282b)은 외부로 노출되어 누름 조작을 인가받는다. 누름 조작이란 드레인 밸브(1280)의 개폐를 위한 물리적 가압을 의미한다. 제2부분(1282b)은 제1부분(1282a)으로부터 드레인 밸브(1280)의 외부를 향해 돌출된다. 제2부분(1282b)은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된다. 제2부분(1282b)은 제1걸림턱(1281a')에 의해 감싸진다. 제2부분(1282b)은 제1걸림턱(1281a')과 접촉할 수도 있고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second part 1282b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receive a pressing operation. The pressing operation means physical press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valve 1280. The second portion 1282b protrudes from the first portion 1282a toward the outside of the drain valve 1280. The second part 1282b is visually exposed to the outside. The second portion 1282b is wrapped by the first locking jaw 1281a'. The second portion 1282b may or may not contact the first locking jaw 1281a'.

제1걸림턱(1281a')과 누름 조작부(1282) 사이에는 제1오링(1284)이 설치된다. 제1오링(1284)은 누름 조작부(1282)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누름 조작부(1282)는 제1부분(1282a)과 제2부분(1282b) 사이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원형홈(1282c)을 갖는다. 제1오링(1284)은 원형홈(1282c)에 끼워진다.A first O-ring 1284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locking jaw 1281a' and the pressing operation part 1282. The first O-ring 1284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282. The pressing operation part 1282 has a circular groove 1282c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first part 1282a and the second part 1282b. The first O-ring 1284 is fitted into the circular groove 1282c.

제1부분(1282a)은 탄성부재(1283)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제1오링(1284)은 제1부분(1282a)에 의해 가압되어 제1걸림턱(1281a')에 밀착된다. 제1오링(1284)이 제1걸림턱(1281a')에 밀착되면, 드레인 밸브(1280)는 닫힌다. 만일 사용자가 제2부분(1282b)에 외력을 가해 누름 조작부(1282)를 탄성부재(1283)쪽으로 가압하면, 제1걸림턱(1281a')에 밀착되어 있던 제1오링(1284)은 제1걸림턱(1281a')으로부터 이격되고 드레인 밸브(1280)는 열린다. 드레인 밸브(1280)의 열림은 누름 조작부(1282)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구현되고, 드레인 밸브(1280)의 닫힘은 탄성부재(1283)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구현된다.The first portion 1282a receives an elastic force from the elastic member 1283. The first O-ring 1284 is pressed by the first portion 1282a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locking jaw 1281a'. When the first O-ring 128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281a', the drain valve 1280 is closed. If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second part 1282b to press the pressing operation part 1282 toward the elastic member 1283, the first O-ring 1284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locking jaw 1281a' is first caught. It is spaced apart from the jaw 1281a' and the drain valve 1280 is opened. Opening of the drain valve 1280 is implement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282, and closing of the drain valve 1280 is implemented by an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member 1283.

제2걸림턱(1281b')은 제2하우징(1281b)의 중공부에 형성된다. 제2하우징(1281b)의 내측 원주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원주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영역과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이 존재한다. 제2하우징(1281b)의 중공부는 제2걸림턱(1281b')을 기준으로 그 크기가 달라진다. 원주의 크기 차이에 의해 제2걸림턱(1281b')이 형성된다.The second locking jaw 1281b' is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1281b. The size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housing 1281b is not constant, and there are regions having a relatively large circumference and a relatively small region. The size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1281b is different based on the second locking jaw 1281b'. The second locking jaw 1281b' is formed by the difference in size of the circumference.

탄성부재(1283)는 제2하우징(1281b)의 제2걸림턱(1281b')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누름 조작부(1282)는 제1부분(1282a)으로부터 탄성부재(1283)를 향해 돌출되는 보스부(1282d)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1283)는 보스부(1282d)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보스부(1282d)에 의해 탄성부재(1283)의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보스부(1282d)는 탄성부재(1283)가 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283 is installed at a position supported by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281b' of the second housing 1281b.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282 may include a boss portion 1282d protruding from the first portion 1282a toward the elastic member 1283. The elastic member 1283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ss portion 1282d. Since the movement of the elastic member 1283 is restricted by the boss portion 1282d, the boss portion 1282d can prevent the elastic member 128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누름 조작부(1282)의 제1부분(1282a)은 제1면과 제2면을 갖는다. 제1면과 제2면은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을 향한다. 제1면쪽에는 탄성부재(1283)가 밀착되고, 제2면쪽에는 제1오링(1284)이 결합된다. 탄성부재(1283)가 제1면을 가압하면, 제1오링(1284)은 제2면에 의해 가압되어 제1걸림턱(1281a')에 밀착된다.The first portion 1282a of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282 ha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face substantially opposite directions. The elastic member 128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side, and the first O-ring 1284 is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side. When the elastic member 1283 presses the first surface, the first O-ring 1284 is pressed by the second surface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locking jaws 1281a'.

기계식 드레인 밸브(1280)란 전자식 밸브와 구별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자식 밸브는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한다. 이에 반해 기계식 드레인 밸브(1280)는 물리적인 힘을 가해 작동한다.The mechanical drain valve 1280 is a concept distinguished from an electromagnetic valve. Electronic valves, for example solenoid valves, are actuated by the input of an electrical signal. In contrast, the mechanical drain valve 1280 is operated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전자식 밸브는 물에 노출되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거나 고장날 우려가 있다. 정수기에 전자식 밸브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밸브가 물로부터 먼 위치에 전자식 밸브가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자식 밸브가 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면, 전자식 밸브 및 상기 전자식 밸브에 연결되는 배관 등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게 된다.Electronic valves may operate abnormally or fail when exposed to water. In order to apply the electronic valve to the water purifier, the electronic valve should be arranged in a position as far as possible from the water. However, when the electromagnetic valve is disposed at a position far from water, dew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valve and a pipe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ic valve.

이에 반해 기계식 드레인 밸브(1280)는 작동을 위해 전기적인 신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계식 드레인 밸브(1280)는 물에 취약하지 않으며, 물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에서도 기계식 드레인 밸브(1280)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 직접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다.In contrast, the mechanical drain valve 1280 does not require an electrical signal to operate. Therefore, the mechanical drain valve 1280 is not susceptible to water, and has an advantage of being disposed adjacent to water. Also in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mechanical drain valve 128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단열재(1210)로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드레인 밸브(1280)를 모두 감싸기 위해서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드레인 밸브(1280)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아야 한다. 만일 전자식 밸브를 정수기에 적용하게 되면,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전자식 밸브의 이격이 불가피하므로 단열재(1210)로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전자식 밸브를 모두 감쌀 수 없다.In order to cover both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the drain valve 1280 with the insulation material 1210,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the drain valve 1280 should not be far apart from each other. If the electronic valve is applied to the water purifier, since the separation betwee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the electronic valve is inevitable, it is not possible to wrap both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the electronic valve with an insulating material 1210.

그러나 기계식 드레인 밸브(1280)를 적용하여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드레인 밸브(1280)를 서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고, 단열재(1210)로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드레인 밸브(1280)를 모두 감쌀 수 있다. 단열재(1210)로 드레인 밸브(1280)를 감싼다는 것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궁극적으로 이슬의 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However, by applying the mechanical drain valve 1280,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the drain valve 1280 can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both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the drain valve 1280 are used as an insulating material 1210. Can be wrapped. Wrapping the drain valve 1280 wit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10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block contact with air and ultimately prevent condensation of dew.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드레인 밸브(1280)는 서로 직접 연결되므로, 정수기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와 드레인 밸브(1280)를 연결하기 위한 배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냉각수가 흐르는 배관에는 이슬의 맺힘이 발생할 수 있는데, 배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슬의 맺힘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은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Since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the drain valve 1280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water purifier does not require a pipe for connecting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and the drain valve 1280. Dew condensation may occur in the pipe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flows, but the fact that the pipe is not required means that the cause of condensation of dew can be fundamentally eliminated.

도 6은 제1-1실시예와 관련된 정수기(1000)의 냉각수 수용부(1220, 도 3 내지 도 5 참조)로 냉각수를 급수하기 위해 출부수(1020)와 드레인 밸브(1280)를 호스(1300)로 연결한 개념도다.6 is a hose 1300 with a discharge water 1020 and a drain valve 1280 to supply cooling water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refer to FIGS. 3 to 5) of the water purifier 1000 related to the first-first embodiment. It is a conceptual diagram connected with ).

정수기(1000)는 원수 또는 정수를 냉각수 수용부(1220)로 공급하도록 냉수 탱크 조립체(1200, 도 3 내지 도 4 참조)와 연결되는 냉각수 유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냉각수를 급수할 것인지에 따라 실시예를 구분하며, 실시예에 따라 냉각수 유로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1000 includes a cooling water flow path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refer to FIGS. 3 to 4) to supply raw water or purified water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how the cooling water is to be suppli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ooling water flow path may va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도 6에 도시된 정수기는 제1-1실시예로 구분된다. 제1-1실시예에서 냉각수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정수기(1000)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호스(1300)에 의해 형성된다.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6 is divided into a first-first embodiment. In the embodiment 1-1, at least a part of the cooling water flow path is formed by a hose 130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of the water purifier 1000.

호스(1300)는 출수부(1020)를 통해 출수되는 정수를 냉각수 수용부(1220, 도 4 참조)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호스(1300)의 일단(1310)은 출부수(1020)에 연결되고, 호스(1300)의 타단(1320)은 드레인 밸브(1280)에 연결된다. 호스(1300)는 출수부(1020)와 드레인 밸브(128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출부수(1020)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는 호스(1300)와 드레인 밸브(1280)를 통해 냉각수 수용부(1220)로 유입될 수 있다.The hose 1300 is configured to supply purifi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1020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1220 (see FIG. 4 ). One end 1310 of the hose 1300 is connected to the outlet water 1020, and the other end 1320 of the hose 1300 is connected to the drain valve 1280. The hose 13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ater outlet 1020 and the drain valve 1280. Accordingly,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water 1020 may flow in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through the hose 1300 and the drain valve 1280.

정수기(1000)에 구비되는 입력부(1016a)는 제어명령을 인가받도록 형성된다. 제어명령은 정수기(1000)로부터 냉수 또는 온수를 출수하거나 냉각수를 냉각수 수용부(1220)에 공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The input unit 1016a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1000 is formed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The control command includes a command for discharging cold water or hot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1000 or supplying the cooling water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12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수/온수의 일정량 버튼을 누르면 정수기(1000)에 일정량의 냉수/온수를 출수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고, 정수기(1000)에서는 일정량 만큼의 냉수/온수가 출수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냉수/온수의 연속 버튼을 누르면 정수기(1000)에 연속적으로 냉수/온수를 출수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며, 정수기(1000)에서는 냉수/온수의 연속 버튼을 다시 누르거나 별도의 제어명령을 입력할 때까지 냉수/온수가 계속해서 출수된다.For example, when a user presses a certain amount of cold/hot water, a control command to discharge a certain amount of cold/hot water is input to the water purifier 1000, and a certain amount of cold/hot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purifier 1000. Similarly, when the user presses the continuous button of cold/hot water, a control command to continuously discharge cold/hot water is input to the water purifier 1000, and in the water purifier 1000, press the continuous button of cold/hot water again or a separate control command. Cold/hot water continues to flow until is entered.

또한 사용자가 냉각수를 공급하는 버튼을 누르면 정수기(1000)에 기설정된 양만큼의 냉각수를 출수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고, 정수기(1000)에서는 기설정된 양만큼의 정수(상온의 정수, 냉수 또는 온수)가 출수된다. 본 발명에서 냉각수는 원수 또는 정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1-1실시예에서 냉각수는 출부수(1020)를 통해 공급되므로, 제1-1실시예에서의 냉각수는 정수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냉각수는 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것임을 고려할 때 제1-1실시예에서의 냉각수는 냉수와 온수 중 냉수에 의해 이루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for supplying cooling water, a control command to discharge a preset amount of cooling water is input to the water purifier 1000, and in the water purifier 1000, a preset amount of purified water (normal temperature, cold or hot water ) Is discharg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water may be made of raw water or purified water, but since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outlet water 1020 in the first-first embodiment, the cooling water in the first-first embodiment is made of purified water. In particular, when considering that the cooling water is for cooling purified water, the cooling water in Embodiment 1-1 is made of cold water among cold water and hot water.

냉수/온수의 출수를 위한 제어명령과 냉각수의 공급을 위한 제어명령은 서로 구분되어야 한다. 음용을 위한 냉수/온수의 양과 냉각수를 채우기 위한 정수의 양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제어명령의 구분을 위해 입력부(1016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구분되는 제어명령을 인가받도록 이루어지는 입력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ntrol command for the outflow of cold/hot water and the control command for the supply of cooling water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cold/hot water for drinking and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to fill the cooling water are different. In order to classify the control commands, the input unit 1016a may include an input button configured to receive different control commands as shown in FIG. 6.

평상시 정수기의 작동에는 호스(1300)가 불필요하다. 그러나 냉각수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제1-1실시예의 정수기에서는 먼저 호스(1300)를 출부수(1020)와 드레인 밸브(1280)에 연결하는 동작이 선행되어야 한다. 냉각수 급수에는 냉각수 유로가 필요하고 냉각수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호스(1300)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나아가 냉각수를 급수하기 전에 냉각수 수용부(1220)에 채워져 있는 기존의 냉각수가 배출되어야 하므로, 호스(1300)의 연결은 기존의 냉각수를 배출한 후에 이루어져야 한다.The hose 1300 is unnecessary for the normal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However, in the case of replacing the coolant, in the water purifier of the 1-1 embodiment, an operation of first connecting the hose 1300 to the outlet water 1020 and the drain valve 1280 must be preceded. This is because a cooling water flow path is required for the cooling water supply, and at least a part of the cooling water flow path is formed by the hose 1300. Furthermore, since the existing cooling water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must be discharged before supplying the cooling water, the connection of the hose 1300 must be made after discharging the existing cooling water.

냉각수가 정수(더욱 구체적으로는 냉수)에 의해 이루어지더라도, 호스(13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냉각수 공급 버튼이 눌려 냉각수가 출수되는 것을 바람직하지 못하다. 냉수/온수의 일정량 버튼을 누를 때 출수되는 냉수/온수의 양과 냉각수 공급 버튼을 누를 때 출수되는 정수(상온의 정수, 냉수 또는 온수)의 양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호스(13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냉각수 공급 버튼은 비활성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ven if the cooling water is made of purified water (more specifically, cold water),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cooling water is discharged by pressing the cooling water supply button in a state where the hose 1300 is not connected.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cold water/hot water discharged when a certain amount of cold/hot water button is pressed and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normal temperature purified water, cold water or hot water) discharged when the cooling water supply button is pressed are differe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olant supply button is deactivated when the hose 1300 is not connected.

냉각수 공급 버튼이 비활성화 되면 사용자가 냉각수 공급 버튼을 무의식적으로 누르더라도 냉각수가 출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수기(1000)가 호스(1300)의 연결을 인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호스(13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각수 공급 버튼을 누르더라도 냉각수는 출수되지 않는다. 또는 냉각수 공급 버튼이 활성화 된 다음 냉각수 공급 버튼이 눌려져야 정수기(1000)가 냉각수를 출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호스(1300) 연결 > 냉각수 공급 버튼 활성화 > 냉각수 공급 버튼 누름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지 않는 한 냉각수가 출수되지 않는다.When the coolant supply button is deactivated, even if the user unknowingly presses the coolant supply button, the coolant does not drain. For example, the water purifier 1000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the connection of the hose 1300. In this case, even if the user presses the coolant supply button while the hose 1300 is not connected, the coolant is not discharged. Alternatively, after the coolant supply button is activated, the coolant supply button must be pressed so that the water purifier 1000 can discharge the coolant. Even in this case, the cooling water is not discharged unless the user sequentially executes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hose 1300> activating the cooling water supply button> pressing the cooling water supply button.

도 7은 제1-1실시예와 관련된 정수기의 드레인 밸브(1280)와 연결되는 호스(1300)의 타단(1320)을 보인 개념도다.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ther end 1320 of the hose 1300 connected to the drain valve 1280 of the water purifier related to the 1-1 embodiment.

호스의 타단(13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 또는 돌기와 같은 결합부(1321)가 형성될 수 있다. 호스의 타단(133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드레인 밸브(1280)도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골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호스(1300)와 드레인 밸브(1280)는 나사 체결될 수 있다. 호스(1300)의 타단(1320)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돌기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호스(1300)가 드레인 밸브(1280)와 결합 후 드레인 밸브(128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coupling portion 1321 such as a thread or a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1320 of the hose. When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1330 of the hose, the drain valve 1280 also has a threaded hole corresponding to the thread. Accordingly, the hose 1300 and the drain valve 1280 may be screwed. When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1320 of the hose 13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se 1300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drain valve 1280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drain valve 1280 due to frictional force by the protrusion. .

도 5에서 설명한 드레인 밸브(1280)는 물리적으로 누름 조작부(1282, 도 5 참조)를 가압하여야 개방되도록 이루어지는데, 호스(1300)를 드레인 밸브(1280)에 연결하면 누름 조작부가 호스(1300)에 의해 은폐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임의로 누름 조작부를 누를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드레인 밸브(128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누름 조작부를 누를 수 있는 구조의 호스(1300)가 구비되어야 한다.The drain valve 1280 described in FIG. 5 is made to be opened only when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282 (refer to FIG. 5) is physically pressed. When the hose 1300 is connected to the drain valve 1280, the pressing oper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hose 1300. Because it is concealed by the user, the user cannot arbitrarily press the pressing operation unit. Therefore, in order to open the drain valve 1280 of this type, a hose 1300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ssing the pressing operation portion must be provided.

누름 조작부를 누를 수 있는 구조의 호스(1300)는 누름부(1322)와 연결부들(1323)을 포함한다.The hose 1300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ssing the pressing operation unit includes a pressing unit 1322 and connection parts 1323.

누름부(1322)는 호스(1300)의 중공부에 형성된다. 누름부(1322)는 호스(1300)가 드레인 밸브(1280)에 결합되었을 때 누름 조작부를 누르도록 이루어진다. 누름 조작부를 누른다는 것은 누름 조작부를 드레인 밸브(1280)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드레인 밸브(1280)를 개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The pressing part 1322 is formed in the hollow part of the hose 1300. The pressing unit 1322 is configured to press the pressing operation unit when the hose 1300 is coupled to the drain valve 1280. Pressing the pressing operation unit means opening the drain valve 1280 by moving the pressing operation unit to the inside of the drain valve 1280.

연결부들(1323)은 누름부(1322)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누름부(1322)를 호스(1300)의 내주면 연결시킨다. 연결부들(1323)이 방사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호스(1300)의 내주면과 누름부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고, 이 간격을 통해 냉각수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The connection parts 1323 are formed radially around the pressing part 1322 to connect the pressing part 1322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1300. Since the connection parts 1323 are formed in a radial shape, there is a gap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1300 and the pressing part, and cooling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is gap.

도 8은 제1-1실시예와 관련된 정수기의 드레인 밸브(1280)와 호스(1300)가 서로 연결된 구성을 보인 단면도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rain valve 1280 and the hose 1300 of the water purifier related to the first embodimen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호스(1300)가 드레인 밸브(1280)에 연결되면, 호스(1300)의 누름부(1322)는 드레인 밸브(1280)의 누름 조작부(1282)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누름 조작부(1282)를 드레인 밸브(1280)의 내측으로 가압한다. 누름부(1322)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이 누름 조작부(1828)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283)의 복원력보다 크므로, 누름 조작부(1282)는 탄성부재(1283)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When the hose 1300 is connected to the drain valve 1280, the pressing part 1322 of the hose 1300 moves the pressing part 1282 at a position facing the pressing part 1282 of the drain valve 1280. 1280). Since the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pressing unit 1322 is greater than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283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828, the pressing operation unit 1282 moves in the direction of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1283. do.

누름 조작부(1282)가 이동하여 제1걸림턱(1281a')으로부터 이격되면, 누름 조작부(1282)와 제1걸림턱(1281a')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이 간격을 통해 냉각수가 냉각수 수용부(1220)로 공급될 수 있게 준비된다.When the pressing operation part 1282 move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cking jaw 1281a', a gap is formed between the pressing operation part 1282 and the first locking jaw 1281a',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coolant receiving part Ready to be supplied to (1220).

이상에서 설명한 제1-1실시예의 구조는 냉각수 수용부(1220)로부터 냉각수를 배출시킨 후 호스(1300)를 드레인 밸브(1280)에 결합시키는 동작에 의해 냉각수 공급 준비가 완료된다.In the structure of Embodiment 1-1 described above, after the cool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the preparation for supply of cooling water is completed by coupling the hose 1300 to the drain valve 1280.

도 9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와 관련된 정수기의 냉각수 수용부로 냉각수를 급수하기 위해 출부수(1020')와 드레인 밸브(1280')를 호스(1300')로 연결한 개념도다.9 is a conceptual diagram in which the outlet water 1020 ′ and the drain valve 1280 ′ are connected with a hose 1300 ′ to supply cooling water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1-2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2실시예의 드레인 밸브(1280')는 제1-1실시예에서 설명한 드레인 밸브(1280)와 다르게 정수기(1000') 본체의 외측에 노출된다. 정수기(1000') 본체의 외측에 노출된 드레인 밸브(1280)는 사용자 등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드레인 밸브(1280')는 수동으로 개폐되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나 콕 밸브(cock valv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2실시예에서는 도 4 내지 도 5, 도 7 내지 도 8에서 설명하였던 드레인 밸브(1280')와 호스(1300')의 구조가 불필요하다.The drain valve 1280' of the 1-2 embodimen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1000', unlike the drain valve 1280 described in the 1-1 embodiment. The drain valve 128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of the water purifier 1000' is made to be open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a user or the like. For example, the drain valve 1280 ′ may be formed of a manually opened and closed gate valve or a cock valve. In the 1-2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drain valve 1280' and the hose 1300' described in FIGS. 4 to 5 and 7 to 8 is unnecessary.

제1-2실시예에서 드레인 밸브(1280') 및 호스(1300')의 구조는 제1-1실시예와 상이하다. 따라서 제1-1실시예와 달리 제1-2실시예에서는 드레인 밸브(1280')에 호스(1300')를 연결하는 동작 후에 추가적으로 드레인 밸브(1280')를 조작하여 드레인 밸브(1280')를 개방하는 동작이 추가되어야 냉각수 공급 준비가 완료된다.The structures of the drain valve 1280' and the hose 1300' in the 1-2 embodimen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1-1 embodiment. Therefore, unlike the first-first embodiment, in the first-second embodiment, after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hose 1300' to the drain valve 1280', the drain valve 1280' is additionally operated to open the drain valve 1280'. The cooling water supply preparation is completed only when the opening operation is added.

도 10은 제1-1실시예와 제1-2실시예의 정수기(1000)를 보인 개념도다. 제1-1실시예의 정수기(1000)와 제1-2실시예의 정수기(1000)는 드레인 밸브(1280)와 호스(1300)의 구조만 서로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하므로, 도 10을 참조하여 함께 설명될 수 있다.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water purifier 10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water purifier 1000 of the first-first embodiment and the water purifier 1000 of the first-second embodiment differ only in the structures of the drain valve 1280 and the hose 1300, and the rest are the same, so they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reference to FIG. Can be.

(1) 냉수 및 온수 출수(1) Cold water and hot water outlet

정수기(1000)는 원수 공급부(10)로부터 여과 대상 원수를 공급받는다. 원수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는 수도수나 지하수 등으로 이루어진다. 정수기(1000)에 의해 여과되기 전 상태의 물은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원수라고 명명될 수 있다. 원수를 공급한다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원수 공급부(10)로 명명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1000 receives raw water to be filter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10.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10 is made of tap water or ground water. Water in a state before being filtered by the water purifier 1000 may be referred to as raw water regardless of the type. If raw water is supplied, regardless of its type, all may be referred to as raw water supply unit 10.

필터부(1060)의 가장 상류측에는 원수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로부터 오염물질을 미리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프리 필터(1064)가 설치될 수 있다. 상류측 또는 하류측의 개념은 물의 흐름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0을 기준으로 원수는 원수 공급부(10)로부터 프리 필터(1064)로 공급되므로, 프리 필터(1064)는 원수 공급부(10)의 하류측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프리 필터(1064)는 필터부(1060) 중에서 원수를 최초로 공급받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프리 필터(1064)는 필터부(1060)의 가장 상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A pre-filter 1064 configured to remove contaminants from raw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10 in advance may be installed at the most upstream side of the filter unit 1060. The concept of upstream or downstream is based on the flow of water. For example, as the raw water is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10 to the pre-filter 1064 based on FIG. 10, the pre-filter 1064 corresponds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raw water supply unit 10. Similarly, since the pre-filter 1064 is disposed to receive raw water first among the filter units 1060, the pre-filter 1064 may be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at the most upstream side of the filter unit 1060.

원수에 포함된 큰 입자들은 단위 필터들(1061, 1062)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러나 프리 필터(1064)가 단위 필터들(1061, 1062)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원수에 포함된 큰 입자들을 먼저 제거하면, 큰 입자들을 포함하지 않는 원수가 단위 필터들(1061, 1062)로 공급되므로 단위 필터들(1061, 1062)이 보호될 수 있다.Large particles included in the raw water may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However, if the pre-filter 1064 is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to first remove large particles included in the raw water, raw water not containing the large particles is supplied to 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Therefore, 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can be protected.

프리 필터(1064)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는 원수 밸브(106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0에서 원수 밸브(1065)는 프리 필터(1064)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으나, 정수기(1000)의 설계에 따라 원수 밸브(1065)는 프리 필터(1064)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A raw water valve 1065 may be installed on an upstream side or a downstream side of the pre-filter 1064. In FIG. 10, the raw water valve 1065 is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pre-filter 1064, but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water purifier 1000, the raw water valve 1065 may be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pre-filter 1064. .

원수 밸브(1065)는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원수 밸브(1065)는 수동으로 개폐되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나 콕 밸브(cock valv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동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raw water valve 1065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upply of raw water. The raw water valve 1065 may be formed of a gate valve or a cock valve that is manually opened and closed, or may be formed of a solenoid valve that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원수 밸브(1065)의 하류측과 단위 필터들(1061, 1062)의 하류측에는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유량 센서(1063a, 1063b)가 설치된다. 두 유량 센서(1063a, 1063b)를 서로 구분하기 위해 단위 필터들(1061, 1062)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유량 센서가 제1 유량 센서(1063a)로 명명되고, 단위 필터들(1061, 1062)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유량 센서가 제2 유량 센서(1063b)로 명명될 수 있다.Flow sensors 1063a and 1063b configured to measure the flow rate of raw water are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aw water valve 1065 an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In order to distinguish the two flow sensors 1063a and 1063b from each other, a flow sensor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is named as the first flow sensor 1063a, and 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A flow sensor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flow sensor 1063b.

단위 필터들(1061, 1062)은 원수로부터 오염 물질을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단위 필터들(1061, 1062)을 기준으로 단위 필터들(1061, 1062)의 상류를 흐르는 물은 원수, 단위 필터들(1061, 1062)의 하류를 흐르는 물은 정수로 구분될 수 있다.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are configured to filter contaminants from raw water to generate purified water. Water flowing upstream of 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based on 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may be classified as raw water, and water flowing downstream of 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may be classified as purified water.

제2 유량 센서(1063b)는 단위 필터들(1061, 1062)로부터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유량 센서(1063a)와 제2 유량 센서(1063b) 중 어느 하나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의 유로 구성에서는 제1 유량 센서(1063a)에서 측정되는 원수의 유량과 제2 유량 센서(1063b)에서 측정되는 정수의 유량이 이론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유량 센서(1063a) 또는 제2 유량 센서(1063b)라는 구분 없이 단순히 유량 센서(1061a, 1063b)라고만 한다면 제1 유량 센서(1063a)와 제2 유량 센서(1063b)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유량 센서(1063a) 및/또는 제2 유량 센서(1063b)는 냉각수 수용부(1220)에 채워지는 냉각수의 양을 측정하는데 이용된다.The second flow sensor 1063b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flow rate of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unit filters 1061 and 1062. It is also possible that only one of the first flow sensor 1063a and the second flow sensor 1063b is installed. This is because the flow rate of raw water measured by the first flow sensor 1063a and the flow rate of purified water measured by the second flow rate sensor 1063b are theoretically the same in the flow path configuration of FIG. Therefore, if only the flow sensors 1061a and 1063b are not classified as the first flow sensor 1063a or the second flow sensor 1063b, it refers to any one of the first flow sensor 1063a and the second flow sensor 1063b. Can be understood. The first flow sensor 1063a and/or the second flow sensor 1063b are used to measure the amount of cooling water to be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정수기(1000)는 필터부(1060)에서 생성된 정수를 상온의 상태로 출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1060)의 출구와 출부수(1020)가 배관으로 연결되어 필터부(1060)에서 생성된 정수가 상온의 상태로 출부수(10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는 필터부(1060)에서 생성된 정수가 냉수 생성 유로(1240)나 가열 장치(1100)를 통과하는 동안 냉동 사이클 장치(1050)나 유도 가열 모듈(1110)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정수는 상온의 상태로 출수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1000 may be formed to discharge purified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 unit 1060 at room temperature. For example, the outlet of the filter unit 1060 and the outlet water 10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pe, so that purified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 unit 106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water 1020 at room temperature. Alternatively, if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050 or the induction heating module 1110 does not operate while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in the filter unit 1060 passes through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or the heating device 1100, the purified water is at room temperature. Can be discharged.

또한 정수기(1000)는 필터부(1060)에 생성된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거나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1000 may be formed to generate hot water by heating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in the filter unit 1060 or to generate cold water by cooling the purified water.

가열 장치(1100)는 필터부(1060)의 하류측에 설치된다. 가열 장치(1100)는 유도 가열 모듈(1110) 등 정수를 가열할 수 있는 장비를 구비한다. 가열 장치(1100)는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정수는 가열 장치(1100)를 통과하는 짧은 시간 동안 고온으로 가열된다.The heating device 1100 is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lter unit 1060. The heating device 1100 includes equipment capable of heating purified water, such as an induction heating module 1110. The heating device 1100 is formed to generate hot water by heating purified water. The purified water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for a short time passing through the heating device 1100.

가열 장치(1100)의 하류측에는 출부수(1020)가 설치된다. 출부수(1020)는 밸브(1024)를 구비하며, 밸브(1024)는 입력부(1016a)를 통해 인가되는 온수/냉수 출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개폐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온수 출수 제어명령을 입력부(1016a)에 인가하면, 밸브(1024)가 개방되고 온수가 출수된다.The outlet water 1020 is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heating device 1100. The outlet water 1020 includes a valve 1024, and the valve 1024 may be opened or closed based on a hot/cold water outlet control command applied through the input unit 1016a. When the user applies a control command for hot water discharge to the input unit 1016a, the valve 1024 is opened and hot water is discharged.

마찬가지로 냉수 탱크 조립체(1200)도 필터부(1060)의 하류측에 설치된다. 냉수 탱크 조립체(1200)는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냉각수 수용부(1220)를 구비한다. 냉각수 수용부(1220)에는 냉각수가 채워진다.Similarly,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s also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lter unit 1060.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ncludes a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formed to accommodate cooling water.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is filled with cooling water.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측에는 증발기(1054), 교반기(1270), 냉수 생성 유로(1240)가 설치된다. 증발기(1054), 교반기(1270) 및 냉수 생성 유로(1240)는 모두 냉각수에 침지된다. 냉동 사이클 장치(1050)의 압축기(1051), 응축기(1052), 팽창장치(1053) 및 증발기(1054)는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냉매를 순환시켜 냉각수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An evaporator 1054, an agitator 1270, and a cold water generating flow path 1240 are installed inside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The evaporator 1054, the stirrer 1270, and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are all immersed in the cooling water. The compressor 1051, the condenser 1052, the expansion device 1053, and the evaporator 1054 of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050 are sequentially connected, and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to maintain the coolant at a low temperature.

냉매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는 냉수 생성 유로(1240)를 통과하는 정수를 냉각하며, 정수는 냉수 생성 유로(1240)를 통과하면서 짧은 시간 안에 냉각된다.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 정수는 냉수가 된다. 교반기(1270)는 냉각수에 침지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냉매와 냉각수의 열교환, 냉각수와 정수의 열교환을 촉진하도록 이루어진다.The cooling water cooled by the refrigerant cools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and the purified water is cooled within a short time while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The purified water cooled by the cooling water becomes cold water. The agitator 1270 rotates while being immersed in the cooling water to promote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cooling water and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the purified water.

냉수 탱크 조립체(1200)에서 생성된 냉수는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하류측에 설치된 출부수(10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cold water generated in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water 1020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2) 냉각수의 급수와 정상 급수 여부 판단(2) Determination of cooling water supply and normal water supply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냉각수 수용부(1220)에 채워진 냉각수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냉각수 수용부(1220)에 이미 채워져 있는 냉각수가 배수되어야 한다. 전문 서비스 요원이나 사용자(이하 사용자 등)가 드레인 밸브(1280)를 개방하면 냉각수 수용부(1220)에 채워져 있던 냉각수 드레인 밸브(1280)를 통해 배수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place the coolant filled in the coolant receiving unit 1220, the coolant already filled in the coolant receiving unit 1220 must be drained. When a professional service person or user (hereinafter, a user, etc.) opens the drain valve 1280, it is drained through the coolant drain valve 1280 filled in the coolant receiving unit 1220.

냉각수 배수를 완료한 후 사용자 등에 의해 호스(1300)가 출부수(1020)와 드레인 밸브(1280)로 연결되면, 출부수(1020)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 또는 냉수는 드레인 밸브(1280)를 통해 냉각수 수용부(1220)로 유입될 준비가 완료된다.When the hose 1300 is connected to the outlet water 1020 and the drain valve 1280 by a user or the like after completing the cooling water drainage,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water 1020 is cooled through the drain valve 1280 Preparation to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220 is completed.

이어서 입력부(1016a)에 냉각수 공급 제어 명령이 인가되면, 정수 또는 냉수는 냉각수 유로를 통해 냉각수 수용부(1220)로 공급된다. 도 10에서 냉각수 유로는 원수 공급부(10)로부터 필터부(1060), 냉수 생성 유로(1240), 출부수(1020), 호스(1300) 및 드레인 밸브(1280)까지 이어지는 유로에 의해 형성된다.Subsequently, when a coolant supply control command is applied to the input unit 1016a,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is supplied to the coolant receiving unit 1220 through the coolant flow path. In FIG. 10, the cooling water flow path is formed by a flow path that extends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10 to the filter unit 1060,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the outlet water 1020, the hose 1300, and the drain valve 1280.

필터부(1060)로부터 배출된 정수가 냉수 생성 유로(12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동 사이클 장치(1050)가 작동하면 냉수가 생성되므로, 냉수가 호스(1300)를 통해 냉각수 수용부(1220)로 공급된다. 이와 달리 필터부(1060)로부터 배출된 정수가 냉수 생성 유로(12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동 사이클 장치(1050)가 작동하지 않으면, 상온의 정수가 호스(1300)를 통해 냉각수 수용부(1220)로 공급된다. 따라서 냉각수 수용부(1220)에 채워지는 냉각수는 상온의 정수 또는 냉수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별히 상온의 정수라고 구분하지 않는 한 정수라는 개념은 상온의 정수, 냉수 및 온수를 모두 포함한다.When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050 is operated while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 1060 passes through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cold water is generated, so that the cold water is transferred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1220 through the hose 1300. Is supplied. In contrast, if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050 does not operate while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 1060 passes through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the normal temperature purified water is transferred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1220 through the hose 1300. Is supplied as. Therefore, the cooling water to be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is made of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at room temperature. Unless specifically classified as room temperature water, the concept of water purification includes both room temperature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냉각수 수용부(1220)에 채워지는 냉각수의 유량은 제1 유량 센서(1063a) 및/또는 제2 유량 센서(1063b)에 펄스 값으로 지정된다. 도 10을 기준으로 냉각수의 유량은 제2 유량 센서(1063b)에 펄스 값으로 지정된다. 지정된 펄스 값에 대응되는 유량이 제2 유량 센서(1063b)를 통과하면 정수의 공급은 정지된다. 제어부(1080)는 유량 센서를 제어하며, 유량 센서에서 측정되는 급수량에 근거하여 정수의 공급을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냉각수 수용부(1220)에는 기설정된 유량의 냉각수가 공급될 수 있다.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to be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is designated as a pulse value to the first flow sensor 1063a and/or the second flow sensor 1063b. 10,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is designated as a pulse value to the second flow rate sensor 1063b. When the flow rat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pulse value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rate sensor 1063b,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is stopped. The controller 1080 controls the flow sensor, and is configured to stop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based on the water supply amount measured by the flow sensor. Accordingly, the cooling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flow rate may be supplied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기설정된 유량이란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냉수 생성 유로(1240), 교반기(1270) 및 증발기(1054)가 모두 침지될 수 있는 수위에 해당하는 유량을 의미한다. 유량 센서에서 측정되는 급수량에 근거하여 냉각수 수용부(1220)로 정수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러한 정수기(1000)의 동작은 제어부(10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flow rate refers to a flow rate corresponding to a water level at which all of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the stirrer 1270, and the evaporator 1054 installed inside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can be immersed.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1220 is stopped based on the water supply amount measured by the flow sensor.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0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80.

제어부(1080)는 교반기(1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기준 수위까지 냉각수가 채워졌는지를 판단하도록 형성된다. 기준 수위란 기설정된 유량과 마찬가지로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냉수 생성 유로(1240), 교반기(1270) 및 증발기(1054)가 모두 침지될 수 있는 수위에 해당한다.The control unit 1080 is 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olant is filled to the reference water level based on the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stirrer 1270. The reference water level corresponds to a water level at which all of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the stirrer 1270, and the evaporator 1054 installed inside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can be immersed, like a preset flow rate.

교반기(1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는 냉각수 수용부(1220)의 수위에 따라 달라짐을 앞서 설명한 바 있다. 교반기(1270)는 축에 의해 모터(1271)와 연결되므로, 교반기(1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는 모터(1271)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어부(1080)는 모터(1271)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로부터 교반기(1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It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1270 per unit time varies depending on the water level of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1220. Since the agitator 1270 is connected to the motor 1271 by a shaft, the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agitator 1270 is the same as the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motor 1271. Accordingly, the controller 1080 may measure the rotation speed per unit time of the stirrer 1270 from the rotation speed per unit time of the motor 1271.

교반기(1270)가 냉각수에 침지되는 수위보다 낮은 수위에서는 교반기(1270)가 가장 빠르게 회전한다. 교반기(1270)가 냉각수에 침지되는 순간부터 냉각수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으로 인해 교반기(1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는 느려지며, 냉각수의 수위가 높아질수록 교반기(1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는 더 느려진다. 따라서 기준 수위(냉수 생성 유로(1240), 교반기(1270) 및 증발기(1054)까지 모두 침지될 수 있는 수위)에 대응되는 교반기(1270)의 회전 속도가 기준 속도를 설정되고, 제어부(1080)는 교반기(1270)의 회전 속도가 기준 속도까지 느려지면 기준 수위까지 냉각수가 채워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tirrer 1270 rotates the fastest at a water level lower than the level at which the stirrer 1270 is immersed in the cooling water. From the moment the stirrer 1270 is immersed in the coolant, the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agitator 1270 is slowed down due to the resistance formed by the coolant, and the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agitator 1270 increases as the level of the coolant increases. It gets slower. Therefor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1270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water level (a water level that can be immersed all up to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1240, the stirrer 1270 and the evaporator 1054) is set to the reference speed, and the controller 1080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1270 is slowed down to the reference spe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oolant has been filled to the reference water level.

정수로 이루어진 냉각수를 드레인 밸브(1280)를 통해 냉각수 수용부(1220)로 공급하면, 냉수 탱크 조립체(1200)의 냉수 탱크 커버(1201)를 개방하지 않고도 냉각수 수용부(1220)를 냉각수로 채울 수 있다. 또한 교반기(1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에 근거하여 기준 수위까지 냉각수가 채워졌는지를 판단하면, 수위 센서 없이도 정상 급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cooling water consisting of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through the drain valve 1280,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1220 can be filled with cooling water without opening the cold water tank cover 1201 of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1200. have.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olant is filled up to the reference water level based on the rotation per unit time of the stirrer 127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water supply is normal without a level sensor.

교반기(1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기준 수위까지 냉각수가 채워진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부(1016b)를 통해 냉각수의 정상 급수가 완료된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기(1000)는 냉각수 급수를 완료하고 냉수 및/또는 온수 생성을 위한 정상 작동을 재개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olant is filled to the reference water level based 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1270 per unit time, it may be displayed as the completion of normal water supply of the coolant through the output unit 1016b. Then, the water purifier 1000 completes the cooling water supply and resumes normal operation for generating cold water and/or hot water.

만약 기준 수위까지 냉각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부(1016b)를 통해 냉각수가 추가 급수되어야 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추가 급수되어야 하는 유량에 해당하는 펄스 값이 제1 유량 센서(1063a) 및/또는 제2 유량 센서(1063b)에 다시 입력되어 추가 급수가 이루어지고, 제어부(1080)는 교반기(1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기준 수위까지 냉각수가 채워졌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 이러한 과정은 냉각수가 기준 수위까지 채워질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olant is not filled up to the reference water level, it may be indicated that the coolant needs to be additionally supplied through the output unit 1016b. The puls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low rate to be additionally supplied is input again to the first flow sensor 1063a and/or the second flow sensor 1063b to provide additional water supply, and the controller 1080 is the unit time of the agitator 1270 It is judged again whether or not the coolant has been filled to the reference level based on the per rotation speed. This process can be repeated until the coolant is filled to the reference level.

출력부(1016b)는 교반기(1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냉각수 수용부(1220)로 원수 또는 정수의 급수가 개시되어야 함을 표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교반기(1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가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냉각수의 수위가 낮아졌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The output unit 1016b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that the supply of raw water or purified water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1220 should be started based on the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stirrer 1270. This is because when the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stirrer 1270 exceeds the reference speed, it means that the water level of the cooling water has decreased.

도 11은 제2-1실시예의 정수기(2000)를 보인 개념도다.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water purifier 2000 of the second embodiment.

정수기(2000)의 냉수 및 온수 공급 작동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므로 이하에서는 냉각수의 급수에 대하여만 설명한다.Since the operation of supplying cold water and hot water of the water purifier 2000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in FIG. 10, only the supply of cooling water will be described below.

냉각수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정수기(20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2300)에 의해 형성된다. 배관(2300)은 필터부(2060)에서 생성된 정수를 냉각수 수용부(2220)로 공급하도록, 일단이 필터부(2060)에 연결되고 타단이 냉수 탱크 조립체(2200)에 연결된다. 배관(2300)은 필터부(2060)와 냉수 생성 유로(2240)의 사이에서 분기될 수 있다. 분기 위치에는 분기 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cooling water flow path is formed by a pipe 2300 installed inside the water purifier 2000. The pipe 230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lter part 206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2200 so as to supply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in the filter part 2060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2220. The pipe 2300 may be branched between the filter unit 2060 and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2240. A branch valve (not shown) may be installed at the branch position.

도 11을 참조하면 냉각수 유로는 원수 공급부(20)로부터 필터부(2060) 및 배관(2300)까지 이어지는 유로에 의해 형성된다. 도 10과 달리 냉수 생성 유로(2240)나 드레인 밸브(2280)는 냉각수 유로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로부터 제2-1실시예에서 냉각수는 상온의 정수로 이루어질 것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cooling water flow path is formed by a flow path extending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20 to the filter unit 2060 and the pipe 2300. Unlike FIG. 10, the cold water generation flow path 2240 or the drain valve 2280 are not included in the cooling water flow path.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in Example 2-1, the cooling water will be made of purified water at room temperature.

냉각수는 위생을 위해 정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1실시예와 제1-2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등의 능동적인 동작으로 출부수(1020, 1020')와 드레인 밸브(1280, 1280')에 호스(1300, 1300')를 연결해야 냉각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제2-1실시예에서는 그러한 능동적인 동작이 필요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cooling water is preferably made of purified water for hygiene. In Embodiment 1-1 and Embodiment 1-2, the coolant must be connected to the hoses 1300 and 1300' to the outlet waters 1020 and 1020' and the drain valves 1280 and 1280' through active operation of the user, etc. While the supply of can be made,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such an active operation is not required in the second embodiment.

냉각수 급수를 위해서는 먼저 이미 냉각수 수용부(2220)에 채워져 있는 냉각수를 배수해야 한다. 냉각수의 배수는 사용자가 등이 직접 드레인 밸브(2280)를 조작하거나 입력부(2016a)에 드레인 밸브(2280)의 개방을 위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supply the cooling water, first, the cooling water already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2220 must be drained. The cooling water may be drained by a user or the like by directly manipulating the drain valve 2280 or by applying a control command for opening the drain valve 2280 to the input unit 2016a.

이어서 사용자 등이 입력부(2016a)를 통해 냉각수 공급 제어명령을 인가하면, 원수 밸브(2065)가 개방되고, 원수는 냉각수 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필터부(2060)에서 정수가 되어 냉각수 수용부(2220)로 공급된다. 따라서 제2-1실시예에서 냉각수는 상온의 정수로 이루어진다.Subsequently, when a user or the like applies a cooling water supply control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2016a, the raw water valve 2065 is opened, and the raw water flows along the cooling water flow path and becomes purified water in the filter unit 2060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2220. Is supplied. Therefore, in Embodiment 2-1, the cooling water is made of purified water at room temperature.

냉각수 수용부(2220)에 채워지는 냉각수(상온의 정수)의 유량은 제1 유량 센서(2063a) 및/또는 제2 유량 센서(2063b)에 펄스 값으로 지정된다. 지정된 펄스 값에 대응되는 유량이 제1 유량 센서(2063a) 및/또는 제2 유량 센서(2063b)를 통과하면 정수의 공급은 정지된다. 제어부(2080)는 제1 유량 센서(2063a) 또는 제2 유량 센서(2063b)를 제어하며, 제1 유량 센서(2063a) 또는 제2 유량 센서(2063b)에서 측정되는 급수량에 근거하여 정수의 공급을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냉각수 수용부(2220)에는 기설정된 유량의 냉각수가 공급될 수 있다.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normal temperature constant)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2220 is designated as a pulse value to the first flow sensor 2063a and/or the second flow sensor 2063b. When the flow rat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pulse value passes through the first flow rate sensor 2063a and/or the second flow rate sensor 2063b,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is stopped. The controller 2080 controls the first flow sensor 2063a or the second flow sensor 2063b, and supplies purified water based on the water supply amount measured by the first flow sensor 2063a or the second flow sensor 2063b. It is made to stop. Accordingly, cooling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flow rate may be supplied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2220.

냉각수의 배수 및 급수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수기(2000)는 (1) 기설정된 냉각수의 교체 주기, (2) 센서 등을 통해 측정되는 냉각수의 오염도, 또는 (3) 교반기(2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로부터 알 수 있는 냉각수의 수위에 따라 냉각수의 배수 및 급수 동작을 하도록 이루어진다.Drainage and water supply of the cooling water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For example, the water purifier 2000 includes (1) a preset cooling water replacement cycle, (2)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cooling water measured through a sensor, or (3) the cooling water determined from the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stirrer 2270. Depending on the level of water, the cooling water is drained and water supplied.

냉각수의 배수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드레인 밸브(280)는 기계식보다는 전기 신호 등에 의해 개폐되는 전자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기 신호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냉각수의 배수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드레인 밸브(2280)에서 배수되는 냉각수가 하수구 등으로 버려질 수 있도록 유로가 드레인 밸브(2280)의 하류측에 별도의 유로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utomatically drain the coolant, the drain valve 280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ectronic type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n electric signal rather than a mechanical type. For example, a solenoid valve can be opened or closed by an electric signal. In addition, in order to automatically drain the cooling water,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flow path is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rain valve 2280 so that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valve 2280 can be discarded into a sewer.

전기 신호에 의해 드레인 밸브(2280)가 개방되어 냉각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이어서 앞서 설명한 냉각수의 급수가 이루어진다. 급수 완료 후에는 교반기(2270)의 단위 시간 당 회전 속도로부터 기준 수위까지 정상적인 냉각수의 급수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When the drain valve 2280 is opened by an electric signal to complete the drainage of the cooling water, the water supply of the cooling water described above is then performed. After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ormal cooling water has been supplied from the rotational speed per unit time of the stirrer 2270 to the reference water level.

도 11에서 도면부호 2016b는 출력부, 2061과 2062는 단위 필터들, 2064는 프리 필터, 2065는 원수 밸브, 2100은 가열 장치, 2110은 유도 가열 모듈, 2020은 출수부, 2024는 밸브, 2270은 교반기, 2271은 모터, 2050은 냉동 사이클 장치, 2051은 압축기, 2052는 응축기, 2053은 팽창장치, 2054는 증발기, 2280은 드레인 밸브를 가리킨다.In FIG. 11, reference numeral 2016b denotes an output unit, 2061 and 2062 denotes unit filters, 2064 denotes pre-filter, 2065 denotes a raw water valve, 2100 denotes a heating device, 2110 denotes an induction heating module, 2020 denotes a water outlet, 2024 denotes a valve, and 2270 denotes Reference numeral 2271 denotes a motor, 2050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2051 a compressor, 2052 a condenser, 2053 an expansion device, 2054 an evaporator, and 2280 a drain valve.

도 12는 제2-2실시예의 정수기(3000)를 보인 개념도다.1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water purifier 3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정수기(3000)의 냉수 및 온수 공급 작동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므로 이하에서는 냉각수의 급수에 대하여만 설명한다.Since the operation of supplying cold water and hot water of the water purifier 3000 is overlapped with that described in FIG. 10, only the supply of cooling water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2에 도시된 제2-2실시예의 구성은 제2-1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냉각수 유로에서만 서로 차이가 있다.The configuration of Embodiment 2-2 shown in Fig. 12 is similar to Embodiment 2-1. However, they differ only in the cooling water flow path.

냉각수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정수기(30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3300)에 의해 형성된다. 배관(3300)은 원수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냉각수 수용부(3220)로 공급하도록, 일단이 원수 공급부(30)에 연결되고 타단이 냉수 탱크 조립체(3200)에 연결된다. 다만 배관(3300)의 일단은 원수 공급부(30)에 직접 연결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유량 센서(3063a)의 하류측에서 분기되며, 원수 공급부(30)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분기 위치에는 분기 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cooling water passage is formed by a pipe 3300 installed inside the water purifier 3000. The pipe 330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raw water supply unit 3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assembly 3200 so as to supply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30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3220. However, one end of the pipe 3300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raw water supply unit 30, but branches off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flow sensor 3063a, and is indirectly connected to the raw water supply unit 30. A branch valve (not shown) may be installed at the branch position.

도 12를 참조하면 냉각수 유로는 원수 공급부(30)로부터 배관(3300)까지 이어지는 유로에 의해 형성된다. 도 11과 달리 단위 필터들(3061, 3062)는 냉각수 유로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2실시예에서 냉각수는 상온의 원수로 이루어질 것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cooling water flow path is formed by a flow path extending from the raw water supply unit 30 to the pipe 3300. Unlike FIG. 11, the unit filters 3061 and 3062 are not included in the cooling water passag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ooling water in Example 2-2 will be made of raw water at room temperature.

제2-2실시예가 제2-1실시예와 구분되는 것은 냉각수가 원수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냉각수는 위생을 위해 정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나 정수 또는 냉수와 혼합되는 것은 아니므로, 반드시 정수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2에서는 원수가 냉각수를 이루는 구성을 보이고 있다.What differentiates the 2-2 embodiment from the 2-1 embodiment is that the cooling water is made of raw water. The cooling water is preferably made of purified water for hygiene, but since it is not mixed with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it is not necessarily made of purified water. 12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raw water forms the cooling water.

냉각수 급수를 위해서는 먼저 이미 냉각수 수용부(3220)에 채워져 있는 냉각수를 배수해야 한다. 냉각수의 배수는 사용자가 등이 직접 드레인 밸브(3280)를 조작하거나 입력부(3016a)에 드레인 밸브(3280)의 개방을 위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supply the cooling water, first, the cooling water already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art 3220 must be drained. The cooling water may be drained by a user or the like by directly operating the drain valve 3280 or applying a control command for opening the drain valve 3280 to the input unit 3016a.

사용자 등이 입력부(3016a)를 통해 냉각수 공급 제어명령을 인가하면, 원수 밸브(3065)가 개방되고, 원수는 냉각수 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냉각수 수용부(3220)로 공급된다. 따라서 제2-2실시예에서 냉각수는 상온의 원수로 이루어진다.When a user or the like applies a cooling water supply control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3016a, the raw water valve 3065 is opened, and the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3220 while flowing along the cooling water flow path. 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oling water is made of raw water at room temperature.

냉각수 수용부(3220)에 채워지는 냉각수(상온의 원수)의 유량은 제1 유량 센서(3063a)에 펄스 값으로 지정된다. 지정된 펄스 값에 대응되는 유량이 제1 유량 센서(3063a)를 통과하면 원수의 공급은 정지된다. 제어부(3080)는 제1 유량 센서(3063a)를 제어하며, 제1 유량 센서(3063a)에서 측정되는 급수량에 근거하여 원수의 공급을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냉각수 수용부(3220)에는 기설정된 유량의 냉각수가 공급될 수 있다.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raw water at room temperature) filled in the cooling water receiving portion 3220 is designated as a pulse value by the first flow sensor 3063a. When the flow rat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pulse value passes through the first flow rate sensor 3063a, the supply of raw water is stopped. The control unit 3080 controls the first flow sensor 3063a, and is configured to stop supply of raw water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y the first flow sensor 3063a. Accordingly, cooling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flow rate may be supplied to the cooling water receiving unit 3220.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냉각수의 배수 및 급수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the cooling water may be drained and supplied automatically.

도 12에서 도면부호 3016b는 출력부, 3061과 3062는 단위 필터들, 3064는 프리 필터, 3065는 원수 밸브, 3100은 가열 장치, 3110은 유도 가열 모듈, 3020은 출수부, 3024는 밸브, 3270은 교반기, 3271은 모터, 3050은 냉동 사이클 장치, 3051은 압축기, 3052는 응축기, 3053은 팽창장치, 3054는 증발기, 3280은 드레인 밸브를 가리킨다.In FIG. 12, reference numeral 3016b denotes an output unit, 3061 and 3062 denotes unit filters, 3064 denotes a pre-filter, 3065 denotes a raw water valve, 3100 denotes a heating device, 3110 denotes an induction heating module, 3020 denotes a water outlet, 3024 denotes a valve, and 3270 denotes Agitator, 3271 a motor, 3050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3051 a compressor, 3052 a condenser, 3053 an expansion device, 3054 an evaporator, 3280 a drain valve.

이상에서 설명된 정수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water purifier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Claims (18)

정수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양측 사이드 패널;
상기 양측 사이드 패널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으로 라운드 곡면 형상을 갖는 프론트 커버;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 결합부를 구비한 트레이;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정수용 필터; 및
상기 정수용 필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브라켓 조립체;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와 대응되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후방으로 향하여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트레이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가 분리되면 상기 정수용 필터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의 하부와 상기 트레이는 서로 대응되는 곡면을 갖고,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의 하부는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 base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Both side panels coupled to the base;
A front cover having a round curved shape in a forward directio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h side panels;
A tray having a protruding coupl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A filter for water purification disposed behind the front cover; And
A filter bracket assembly defin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ater filter;
A concave portion disposed below the filter bracket assembly and formed toward the rear of a portion formed in a rou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cover; And
And a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filter bracket assembly to enable exchange of the filter for water purification when the front cover is separated while the tray is separated from the base,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and the tray have curved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independently rotates with respect to the rest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어퍼 커버; 및
상기 프론트 커버와 어퍼 커버 사이에 공간에 설치된 출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A rear cover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An upper cover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ront cover; And
And a water outlet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upper co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사이드 패널은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panels are disposed and coupled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어퍼 커버의 사이에 회전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purifier, wherein the water outlet has a rotation region formed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upper cover so as to be rotatable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outlet provides purified water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command.
제2항에 있어서,
윗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탑 커버의 전방에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는 입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top cover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an input/output unit including an input unit and an output unit in front of the top cov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사용자가 상기 입출력부에 인가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회전되고,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출수부가 회전되면 상기 출수부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water outlet unit is rotated based on a control command applied by a user to the input/output unit,
The input/output unit, wherein when the water outlet is rotated, the water purifier is implement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water outl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사용자로부터 인가 받은 제어명령에 따라 상온의 정수, 냉수 및 온수 중 적어도 하나가 출수부를 통해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purifier, wherein at least one of normal temperature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approved by a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돌출 결합부가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의 하부에 삽입 수용되어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와 상기 트레이의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of the tray is inserted into and received under the filter bracket assembly to form a coupling between the filter bracket assembly and the tra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출수부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고, 상기 출수부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 등을 담기 위한 용기 등을 지지하고, 또한 상기 출수부에서 떨어지는 잔수를 받아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tray is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y faces the water outlet in an up-down direction, supports a container or the like for containing purifi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and receives and receives residual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outlet.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의 상부는 상기 출수부를 지지하고, 상기 출수부의 회전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
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supports the water outlet and forms a rotation path of the water outl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정수기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부분과 정수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부분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의 상부는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outlet part is divided into a first par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and a second part disposed inside the water purifier, and the second par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disposed above the filter bracket assembly, and the filter bracket assembly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independently with respect to the rest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의 하부와 상부는 상하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3,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pper and lower connecting portion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의 하부와 상부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4,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portions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출수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출수부와 연결되는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의 상부, 상하 연결부, 하부 및 트레이가 상기 출수부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user rotates the water outlet, an upper portion, an upper and lower connection portion, a lower portion, and a tray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rotate together with the water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브라켓 조립체의 하부와 상부 사이에는 형성된 필터 설치 영역은 이 필터부의 단위 필터들을 수용하는 설치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installation region forme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filter bracket assembly has an install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unit filters of the filter uni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설치 영역의 반대쪽에는 정수기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제어부와 가열 장치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는 가열 장치에서 형성된 열이 압축기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가열 장치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7,
A support that protrudes toward the rear of the water purifier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lter installation region, and the support supports the control unit and the heating device,
The support is disposed between the heating device and the compressor to block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device from being conducted to the compressor.
KR1020190164084A 2019-12-10 2019-12-10 Water purifier KR1021503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084A KR102150387B1 (en) 2019-12-10 2019-12-10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084A KR102150387B1 (en) 2019-12-10 2019-12-10 Water purifi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871A Division KR102056635B1 (en) 2019-05-13 2019-05-13 Wate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192A KR20190139192A (en) 2019-12-17
KR102150387B1 true KR102150387B1 (en) 2020-10-26

Family

ID=6905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084A KR102150387B1 (en) 2019-12-10 2019-12-10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387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438B1 (en) * 2011-07-08 201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KR101692732B1 (en) * 2013-07-03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50068173A (en) * 2013-12-11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192A (en)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442B1 (en) Water purifier
KR101772528B1 (en) Water purifier
CN111853949B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control method for fresh air function of air conditioner
JP2825477B2 (en) Cold and hot water purifier
US10793446B2 (en) Water purifier
US20170261253A1 (en) Filter Assembly and a Refrigerator Appliance
US7942390B2 (en) Steam humidifier
US10173156B2 (en) Filter cartridge
TW213976B (en)
KR102150387B1 (en) Water purifier
US10272370B2 (en) Anti-drip filter assembly
EP1329676A1 (en) Water refrigeration unit
KR102056635B1 (en) Water purifier
KR101285438B1 (en) Water purifier
KR101980131B1 (en) Water purifier
KR20170121362A (en) Boiler for heating and cooling water mat
JP2010032111A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KR20130006240A (en) Water purifier
CA2587076C (en) Steam humidifier
EP3827239B1 (en) An infrared leak detection system
JP2004275924A (en) Dehumidifier
JP2007155264A (en) Air conditioner
JP3908823B2 (en) Water purifier
EP4186852A1 (en)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8928793B (en) Soda water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