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649B1 - Waterproof protec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aterproof protec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649B1
KR102149649B1 KR1020190035792A KR20190035792A KR102149649B1 KR 102149649 B1 KR102149649 B1 KR 102149649B1 KR 1020190035792 A KR1020190035792 A KR 1020190035792A KR 20190035792 A KR20190035792 A KR 20190035792A KR 102149649 B1 KR102149649 B1 KR 102149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waterproof protection
underground structure
protection panel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7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5012A (en
Inventor
송교필
이두희
김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코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706630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4964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코,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코
Priority to KR1020190035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649B1/en
Publication of KR2019007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0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6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의 상단면과 외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방수보호재; 상부가 상기 지하구조물의 상단면에 위치한 상기 방수보호재의 전면에 위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하구조물의 상단면과 외측면이 이루는 모서리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1방수보호 패널;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의 하단부에 상기 지하구조물의 외측면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하구조물의 외측면에 위치한 방수보호재의 전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 2방수보호 패널; 및 상기 지하구조물의 상단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수보호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무근 콘크리트 작업 시 무근 콘크리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콘크리트막이를 포함하는 방수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roof protective device and a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having an upper portion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having a lower portion extending to surround the edg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 plurality of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in a direction below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proof protection material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a concrete membrane position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formed to protrud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and prevent the flow of the unrooted concrete during unrooted concrete work. .

Description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Waterproof protec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Waterproof protection device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aterproof protec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지하구조물 상단면 및 외측면에 설치되어 지하구조물 내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빠른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and a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installed on the top and outer surfaces of an underground structure such as an underground parking lot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into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configured to enable construction and a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하 외벽면, 지하주차장 상부 슬라브 등과 같은 지하구조물에는 외부에서 지하구조물 내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처리를 한다. In general, a waterproofing treatment is applied to an underground structure such as an underground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an upper slab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into the underground structure from the outside.

이때, 방수처리는 보통 지하구조물의 외측면에 고무화 아스팔트 또는 이와 유사한 방수자재로 방수층 시공을 먼저 하게 된다.In this case, waterproofing is usually performed first with a waterproofing layer using rubberized asphalt or a similar waterproofing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한편, 방수층 시공 후 방수자재를 보호하기 위한 방수층 보호작업을 하게 된다.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종래에 사용되는 방수층 보호공법으로는 지하구조물 상단면의 경우 20~30mm 두께의 방수층 보호몰탈 타설 또는 20~50mm 두께의 발포 폴리에틸렌 폼보드(polyethylene foam board) 등을 방수층 위에 깔아준 뒤, 후속공정으로 방수층 누름 콘크리트 타설이나 토사 되메우기 작업으로 마감한다.Meanwhile, after the waterproof layer is constructed, the waterproof layer protection work is performed to protect the waterproof material. To protect the waterproof layer, conventionally used waterproof layer protection methods include placing a 20 to 30 mm thick waterproof layer protection mortar on the top surfac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or placing a 20 to 50 mm thick polyethylene foam board on the waterproof layer. Afterwards, it is finished by pouring the waterproof layer pressing concrete or backfilling the soil as a subsequent process.

외벽면의 경우 0.5B 시멘트 벽돌쌓기 또는 20~50mm 두께의 발포 폴리에틸렌 폼보드(polyethylene foam board) 등을 방수층에 부착시킨 후 후속공정으로 토사 되메우기 작업으로 마감한다.In the case of the outer wall, 0.5B cement racking or 20~50mm thick polyethylene foam board is attached to the waterproof layer, and then finished with soil backfilling as a subsequent process.

상기와 같이 지하구조물의 외벽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방수층 보호벽돌 쌓기 및 방수층 보호 몰탈 타설방법은 오래 전부터 사용하여 왔던 방수층 보호공법으로서, 상기 보호벽돌 쌓기는 시멘트 벽돌의 견고성으로 토사 되메우기 작업 시, 토압에 의한 방수층 파손 우려가 적어 방수층 보호역할을 우수한 반면, 좁은 지하의 작업공간에서 벽돌 쌓기 작업의 어려움과 시공 인건비의 과다소요 및 작업기간이 많이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proof layer protective brick stacking and waterproof layer protection mortar placement method for protecting the outer wall waterproof layer of an underground structure is a waterproof layer protection method tha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nd the protective brick stacking is a method of laying back the soil due to the stiffness of cement bricks. While there is little risk of damage to the waterproof layer due to low risk of damage to the waterproof layer, it has excellent protection role for the waterproof layer, but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due to the difficulty of stacking bricks in a narrow basement work space, excessive labor costs, and a long work period.

특히, 누름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가 임의로 유동되지 않도록 방수층 상부에 별도의 거푸집을 댄 후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므로 작업 공수가 늘어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pouring pressed concrete, a separate formwork must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proofing layer so that the concrete does not flow arbitrarily, so that the number of work is increased.

그리고, 지하구조물의 상단면의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20~30mm의 방수층 보호 몰탈을 타설하는 작업은 방수층 보호역할은 우수하나 시공 인건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시멘트 몰탈의 양생기간 동안 후속공정의 진행이 어려워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아파트 단지와 같은 대형 지하구조물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시일과 인력 및 비용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ork of pouring a 20-30mm waterproof layer protection mortar to protect the waterproof layer on the top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has an excellent protection role for the waterproof layer, but the construction labor cost is excessive and it is difficult to proceed with the subsequent process during the curing period of the cement mort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is prolonge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sealing, manpower, and cost are required to be applied to a large underground structure such as an apartment complex.

또한, 지하구조물의 상단면과 외측면이 이루는 모서리 부분은 20~30mm 정도의 얇은 방수층으로만 보호된 상태이므로, 모서리 부분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크랙을 통하여 물이 누수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rner part formed by the top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protected only by a thin waterproof layer of about 20 to 30 mm, water may leak through the crack when a crack occurs in the corner part. There is also a problem.

따라서, 지하구조물 내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빠른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and a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is configured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into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to enable relatively quick construc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0135669호(1998년 01월 16일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0135669 (registered on January 16, 199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수층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빠른 시공을 할 수 있는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capable of relatively quick construction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waterproof layer, and a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i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보호 장치에 따르면, 지하구조물의 상단면과 외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방수보호재; 상부가 상기 지하구조물의 상단면에 위치한 상기 방수보호재의 전면에 위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하구조물의 상단면과 외측면이 이루는 모서리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1방수보호 패널;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의 하단부에 상기 지하구조물의 외측면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하구조물의 외측면에 위치한 방수보호재의 전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 2방수보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의 상부에는 무근 콘크리트 작업 시 무근 콘크리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콘크리트막이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aterproof protection material that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having an upper portion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having a lower portion extending to surround the edg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 plurality of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in a direction below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proof protection material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 concrete membrane for preventing the flow of unrooted concrete is protruded above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상기 제 2방수보호 패널의 상단 및 하단 중 어느 일단에는 결합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결합리브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2방수보호 패널의 결합리브 또는 결합슬릿과 동일한 형상의 결합리브 및 결합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제 2방수보호 패널의 결합슬릿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상기 제 2방수보호 패널의 결합리브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a coupling rib is formed to protrude, and a coupling slit conca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rib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the The coupling rib and coupling slit of the same shape as the coupling rib or coupling slit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are formed, and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slit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to be coupled or the coupling rib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is inserted. It is characterized.

상기 제 1 및 제 2방수보호 패널은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 1 및 제 2방수보호 패널 사이는 방수테이프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are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aterproof tape.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실링재를 도포하거나 방수테이프를 부착하여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aling material is applied or a waterproof tape is attached to an upper edge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to block the inflow of moisture.

상기 콘크리트막이는,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수직 지지대,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의 상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지지대, 및 상기 수직 지지대의 하단과 상기 수직 지지대의 하단과 마주보는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경사 지지대와 함께 수직 지지대를 지지하는 받침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crete barri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a vertical support protru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inclined support extending downwardly inclined, and a support support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and one surface of the inclined support facing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and supporting the vertical support together with the inclined support.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보호 장치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에 있어서, 지하구조물의 상단면과 외측면에 방수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방수층의 전면에 방수보호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지하구조물의 외측면에 설치될 제 2방수보호 패널의 시공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방수보호재의 전면에 제 1 및 제 2방수보호 패널을 설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방수보호 패널을 상기 지하구조물의 상단면과 외측면에 고정하는 단계; 토사 되메우기 단계; 및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의 상부를 무근 콘크리트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s of constructing a waterproof layer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ttaching a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Determining the construction height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to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nstalling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ve panel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to fix the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ve panels to the upper and outer surfaces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Soil backfill step;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av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with plain concret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에 따르면, 지하구조물의 상단면과 외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방수보호재의 전면에는 모서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 1방수보호 패널 및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의 타측에 상기 지하구조물의 외측면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방수보호 패널이 설치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작업 공수 및 작업 시간이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빠른 시공을 할 수 있으므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방수층의 방수 기능 유지 및 보호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formed to cover an edge on the front surface of a waterproof protection material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and outer surfaces of an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A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which is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refore, it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n a narrow space, and since the work man-hour and working time can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perform relatively quick construction, so that time and cost can be saved, while maintaining and protecting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waterproof layer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의 상부에는 무근 콘크리트 작업 시 무근 콘크리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콘크리트막이가 돌출되게 일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별도의 거푸집을 제작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공수 및 이에 따른 소요 시간이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더 빠른 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and the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crete membrane that prevents the flow of unrooted concrete during unrooted concrete work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waterproofing panel to protrude. do. Therefor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manufacture and use a separate formwork, the work man-hour and the time required accordingly are reduced, thereby enabling relatively faster constructio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보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보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보호 장치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waterproof protection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in each drawing.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보호 장치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보호 장치(100)에는 방수보호재(200)가 구비된다. 상기 방수보호재(200)는 지하구조물(W)의 상단면(W1)과 외측면(W2)에 밀착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방수보호재(200)는 방수테이프 등을 통해 상기 지하구조물(W)의 상단면(W1)과 외측면(W2)에 부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200. The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20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W1) and the outer surface (W2)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In this case, the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20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W1 and the outer surface W2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through a waterproof tape or the like.

상기 방수보호재(200)는 PP, PE, PB, PS, PET, Polyatyrene, ABS, PVC, PVA, PVB, FRP, HDP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보호재(200)는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성에 대응하여 완충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지하구조물(W)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의 경우 방수층(700)의 도료와는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률이 다르므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나, 상기 방수보호재(200)가 구비되어 완충 역할을 함에 따라 상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보호재(200)는 단열성능을 가져 단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200 may be formed of any one of PP, PE, PB, PS, PET, Polyatyrene, ABS, PVC, PVA, PVB, FRP, and HDPE. The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200 plays a buffering role in response to the elasticit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In the case of the concrete forming the underground structure W,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rat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is different from the paint of the waterproof layer 700 Therefore, a problem may occur, but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by providing the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200 to serve as a buffer. In addition, the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200 may exhibit a thermal insulation effect by having a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 보호 장치(100)에는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이 구비된다.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상부가 지하구조물(W)의 상단면(W1)에 위치한 상기 방수보호재(200)의 전면에 위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하구조물(W)의 상단면(W1)과 외측면(W2)이 이루는 모서리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은 상기 지하구조물(W)의 상단면(W1)과 외측면(W2)이 이루는 모서리를 보호하여 모서리에 형성된 크랙을 통해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 the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As shown in FIG. 1,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has an approximately'L' shape, and its upper part i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proof protection material 200 located on the top surface W1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It is located, an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to extend so as to surround the edg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W1) and the outer surface (W2)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may protect the edge formed by the top surface W1 and the outer surface W2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through cracks formed at the corner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의 상부에는 콘크리트막이(310)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콘크리트막이(31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콘크리트막이(310)는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막이(310)는 무근 콘크리트 작업 시 무근 콘크리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콘크리트막이(310)는 무근 콘크리트 작업 공간과 토사 되메우기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도 한다.As shown in FIG. 1, a concrete membrane 310 is provided to protrude above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In this embodiment, the concrete barrier 31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The concrete barrier 310 serves to prevent the flow of unrooted concrete during unrooted concrete work. At the same time, the concrete barrier 310 also serves to partition the unrooted concrete work space and the soil backfill spa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막이(310)는 단면이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수직 지지대(312), 경사 지지대(314), 및 보조 지지대(31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312)는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crete barrier 310 has a substantially isosceles tri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and may include a vertical support 312, an inclined support 314, and an auxiliary support 316. The vertical support 312 is formed to protrud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상기 경사 지지대(314)는 상기 수직 지지대(312)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경사 지지대(314)는 상기 수직 지지대(31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inclined support 314 is formed to extend downwardly inclined toward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from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312. The inclined support 314 serves to support the vertical support 312.

상기 보조 지지대(316)는 상기 수직 지지대(312)의 하단과 상기 수직 지지대(312)의 하단과 마주보는 상기 경사 지지대(314)의 일면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보조 지지대(316)는 상기 경사 지지대(314)와 함께 상기 수직 지지대(31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auxiliary support 316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312 and one surface of the inclined support 314 facing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312. The auxiliary support 316 serves to support the vertical support 312 together with the inclined support 314.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콘크리트막이(310)는 수직 지지대(312), 경사 지지대(314) 및 보조 지지대(316)로 구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막이(310')는 수직 지지대(312') 및 경사 지지대(314') 만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 지지대(314')는 상기 수직 지지대(312')의 상단부와 일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crete barrier 310 is composed of a vertical support 312, an inclined support 314, and an auxiliary support 316,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concrete barrier 310 ′ may be formed with only a vertical support 312 ′ and an inclined support 314 ′. In this case, the inclined support 314 ′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ly inclined toward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312 ′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another.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의 하단부에는 결합리브(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3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2방수보호 패널(400)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32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As illustrated in FIG. 2, a coupling rib 320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The coupling rib 320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coupled to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to be described below. The coupling rib 320 is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결합리브(3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결합슬릿(4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결합리브(320)는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결합슬릿(41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과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이 연결되는 것이다.The coupling rib 320 is a portion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slit 410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to be described below. That is, the coupling rib 32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lit 410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to connect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and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리브(320)는 대략 역삼각형 형상으로,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결합슬릿(41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결합슬릿(410)에 원활하게 삽입되는 것과 동시에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결합슬릿(410)에 형성되는 걸이턱(412)에 걸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coupling rib 320 has a substantially inverted triangle shape, and is formed in a shape gradually narrowing in a direction coupled to the coupling slit 410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This is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slit 410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and at the same time hang on the hook chin 412 formed in the coupling slit 410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

상기 결합부재(322)의 선단은 고정부재(420)의 선단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결합부재(322)가 상기 고정부재(420)에 원활하게 걸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member 322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fixing member 420. This is to allow the coupling member 322 to smoothly hang on the fixing member 4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의 하단부에는 결합리브(320)가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결합슬릿(4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결합리브(420)가 삽입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rib 32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coupling slit 410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the coupling rib 420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may be inserted.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의 상단 가장자리는 실링재(미도시)가 도포되거나 아래에서 설명될 방수테이프(500)가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의 상단 가장자리와 상기 지하구조물(W)의 상단면(W1) 사이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 sealing material (not shown) may be applied to an upper edge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or a waterproof tape 50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attached. This is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between the upper edge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and the upper surface W1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은 고정핀(P)에 의해 상기 지하구조물(W)의 상단면(W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은 상기 고정핀(P)이 관통하여 상기 지하구조물(W)의 상단면(W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하구조물(W)의 상단면(W1)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핀(P)은 타카핀, 볼트, 나사 못 등이 될 수 있다.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may be fixed to the top surface W1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by a fixing pin P. That is,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is fastened to the top surface W1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through the fixing pin P, so that it is attached to the top surface W1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It is fixed. At this time, the fixing pin P may be a taka pin, a bolt, a screw nail, or the like.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 보호 장치(100)에는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이 구비된다. 상기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은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의 하단부에 상기 지하구조물(W)의 외측면(W2) 하부 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결된다. 상기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은 상기 지하구조물(W)의 외측면(W2)에 위치한 방수보호재(200)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방수보호재(2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은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과 함께 상기 방수보호재(200)의 전면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방수보호재(200)가 상기 지하구조물(W)의 외면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A plurality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400 ar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in a direction below the outer surface W2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proof protection material 200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W2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to protect the waterproof protection material 200. That is,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is a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proof protection material 200 together with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and the waterproof protection material 200 is the underground structure (W). It plays a role of preventing random separa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상단에는 결합슬릿(41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결합리브(420)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2, a coupling slit 41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and a coupling rib 420 is formed at the lower end.

상기 결합슬릿(410)은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410)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410)은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의 결합리브(320) 또는 상기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결합리브(42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The coupling slit 410 is formed concave. The coupling slit 410 is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oupling slit 410 is a coupling rib 320 of the first watertight protection panel 300 or a coupling rib 420 of the second watertight protection panel 40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watertight protection panel 400 ) Is inserted and joined.

상기 결합슬릿(410)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걸이턱(412)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턱(412)은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의 결합리브(320) 또는 상기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결합리브(420)가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At the entrance edge of the coupling slit 410, hook jaws 412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e hook jaw 412 is a coupling rib 320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or a coupling rib 420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 Is to be hung and fixed.

상기 걸이턱(412)은 상기 결합리브(320, 420)의 선단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결합리브(320, 420)가 상기 걸이턱(412)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결합슬릿(410)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hook jaw 412 may be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s of the coupling ribs 320 and 420. This is to ensure that the coupling ribs 320 and 420 are smooth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slit 410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ok jaw 412.

상기 결합리브(420)는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의 결합리브(3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420)는 상기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결합슬릿(4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The coupling rib 42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coupling rib 320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The coupling rib 420 is a portion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slit 410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ve panel 40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ve panel 400.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결합슬릿(410)에는 발포 우레탄(Formed Urethane)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결합리브(320, 420)와 결합슬릿(410)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과 동시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coupling slit 410 may be provided with a foamed urethane (Formed Urethane). This is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at the same time while the coupling ribs 320 and 420 and the coupling slit 410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방수보호 패널(300)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한 제 2방수보호 패널(300)에는 체결공(43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430)은 도 1에 도시된 고정핀(P)이 관통하여 체결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체결공(430)을 관통하여 고정핀(P)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2방수보호 패널(300)과 상기 방수보호재(200)가 상기 외측면(W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핀(P)은 타카핀, 볼트. 나사 못 등이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a fastening hole 430 is formed in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The fastening hole 430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P shown in FIG. 1 passes. That is, the fixing pin P is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430 so that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and the waterproof protection material 200 may be firm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W2. At this time, the fixing pin (P) is a taka pin, a bolt. It can be a screw or a nail.

또한, 상기 제2방수보호 패널(300)의 하단이 상기 지하구조물(W)의 외측면(W2)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하구조물(W)의 외측면(W2)을 향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may be formed to be stepped toward the outer surface W2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W2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방수보호 패널(300, 400)은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하구조물(W)의 상단면(W) 및 외측면(W2)을 따라 설치되기 때문이다. 이때, 수평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패널 사이는 방수테이프(50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3 and 4, a plur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300 and 400 may be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y are installed along the top surface W and the outer surface W2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In this case, panel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aterproof tape 5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수테이프(5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 1 및 제 2방수보호 패널(300, 400)의 전면 및 후면에 접착되어 서로 연결시키는 것과 동시에 패널들 사이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방수 역할을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proof tape 500 is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300 and 400 as shown in FIGS. 3 and 4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same time. It acts as a waterproof so that water does not leak through the panels.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수테이프(500)의 소재는 방수성이 우수한 ECB(Ethylene Copolymer Bitumen)나 VE(VLDPE(Very Low Density Polyethylene)+EVA(Ethylene Vineyl Acetate) 혼합)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material of the waterproof tape 500 is preferably made of ethylene copolymer bitumen (ECB) or VE (VLDPE (Very Low Density Polyethylene) + EVA (Ethylene Vineyl Acetate) mixture) having excellent water resistanc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수테이프(500)는 상기 지하구조물(W) 외면와 방수테이프(500) 사이에 물이 접촉하면 팽창하는 수팽창 성질과 접착성능을 갖는 양면 접착 고무 테이프로 제작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proof tape 500 may be made of a double-sided adhesive rubber tape having a water-expandable property and adhesive performance that expands when water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and the waterproof tape 500.

상기 방수테이프(500)는 고무와 아스팔트의 복합 물질로 중간에 부직포를 삽입하여 강한 응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부틸고무(Isobutylene-Isoprene rubber)와 수팽창성수지(흡습수지) 및 SBR(Styrene Butadiene Rubber) 4종류의 재질을 혼합하여 형성한 접착제를 부직포의 양면에 도포하여 형성한 양면접착 테이프이다.The waterproof tape 500 is a composite material of rubber and asphalt, and is made to respond to strong stress by inserting a nonwoven fabric in the middle.More specifically, isobutylene-Isoprene rubber and water-expandable resin (absorption resin) And SBR (Styrene Butadiene Rubber) i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formed by mixing four types of materials on both sides of a nonwoven fabric.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방수테이프(500)는, 복수 개의 상기 제 1 및 제 2방수보호 패널(300, 400) 사이 및 상기 제 1 및 제 2방수보호 패널(300, 400)과 지하구조물(W) 외벽 사이의 방수를 위해 실링재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상기 방수테이프(500)를 간편하게 부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 공수 및 작업 시간이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aterproof tape 5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300 and 400 and the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300 and 400 and an underground structure (W) For waterproofing between outer walls, since the waterproof tape 500 only needs to be easily attached without additional work using a sealing material, etc., there is an effect that work man-hours and work time can be reduc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a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공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지하구조물(W)의 상단면(W1) 및 외측면(W2)에 방수층(600)을 시공한다(S100). 그리고 상기 방수층(600)의 전면에 상기 방수보호재(200)를 설치한다(S200).As shown in Figure 1, the worker constructs a waterproof layer 600 on the upper surface (W1) and the outer surface (W2)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S100). Then, the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20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600 (S200).

그리고 상기 지하구조물(W)의 외측면(W2)에 설치될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시공 높이를 결정한다(S300). 이는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필요한 개수를 알기 위함 이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제 1 및 필요한 개수 만큼의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을 서로 조립해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작업자가 좁은공간에 들어가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을 하나씩 조립할 필요 없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Then, the construction height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to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W2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is determined (S300). This is to know the required number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In this case, the operator may assemble the first and the required number of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400 to each other. In this way,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enter the narrow space and assemble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one by one,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상기 제 2방수보호 패널(400)의 시공 높이가 결정되면, 작업자는 방수보호재 전면에 제 1 및 제 2방수보호 패널(300, 400)을 설치하여 제 1 및 제 2방수보호 패널(300, 400)을 상기 지하구조물(W)의 상단면(W1)과 외측면(W2)에 고정한다(S400). 이때, 복수 개의 상기 제 1 및 제 2방수보호 패널(300, 400) 사이 및 상기 제 1 및 제 2방수보호패널(300, 400)과 지하구조물(W)의 상단면(W1) 및 외측면(W2) 사이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방수테이프(500)를 부착시킨다. When the construction height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00 is determined, the operator installs the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300 and 400 on the front of the waterproof protection material to provide the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300 and 400. )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W1) and the outer surface (W2)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S400). At this tim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300, 400),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300, 400) and the top surface (W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W) ( A waterproof tape 500 is attached so that water does not leak through W2).

이와 같이, 상기 방수테이프(500)를 사용하면, 복수 개의 상기 제 1 및 제 2방수보호 패널(300, 400) 사이 및 상기 제 1 및 제 2방수보호패널(300, 400)과 지하구조물(W)의 상단면(W1) 및 외측면(W2) 사이의 방수를 위해 실링재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공수 및 작업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waterproof tape 500 is u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300 and 400, the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300 and 400, and the underground structure W ),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separate work using a sealing material for waterproofing between the upper surface W1 and the outer surface W2 of), so the work man-hour and working time can be reduc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테이프(500) 및 고정핀(P)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방수보호 패널(300, 400)의 고정을 완료한 상태에서 토사(700)를 부어 되메우기 작업을 한다(S500). As shown in Fig. 1, the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300 and 400 are fixed by using a waterproof tape 500 and a fixing pin P, and the soil 700 is poured and filled back. Do the work (S500).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의 상부를 무근 콘크리트로 포장 작업을 한다(S600). 이때,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300)의 상부에는 무근 콘크리트 작업 시 무근 콘크리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콘크리트막이(310)가 돌출되게 일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별도의 거푸집을 제작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공수 및 이에 따른 소요 시간이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더 빠른 시공을 할 수 있다.Next, the worker performs a pavement work on the top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with plain concrete (S600). At this time, a concrete membrane 310 that prevents the flow of unrooted concrete during unrooted concrete work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00 so as to protrude. Therefor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manufacture and use a separate formwork, the work man-hour and the time required accordingly are reduced, so that relatively faster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수 보호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은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소유 시간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방수 기능을 유지 및 보호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an be relatively simple, reduce the owning time, and maintain and protect the waterproof function.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Meanwhile,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disclos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merely used in a general meaning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방수 보호 장치 200: 방수보호재
300: 제 1방수보호 패널 310: 콘크리트막이
312:수직 지지대 314: 경사 지지대
316: 보조 지지대 320: 결합리브
400: 제 2방수보호 패널 410: 결합슬릿
412: 걸이턱 420: 결합리브
430: 체결공 500: 방수테이프
600: 방수층 700: 토사
800: 무근 콘크리트 W:지하구조물
P: 고정핀
100: waterproof protective device 200: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300: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310: concrete barrier
312: vertical support 314: inclined support
316: auxiliary support 320: coupling rib
400: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410: coupling slit
412: hook jaw 420: coupling rib
430: fastening hole 500: waterproof tape
600: waterproof layer 700: soil
800: unrooted concrete W: underground structure
P: fixing pin

Claims (6)

지하구조물의 상단면과 외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방수보호재;
상부가 상기 지하구조물의 상단면에 위치한 상기 방수보호재의 전면에 위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하구조물의 상단면과 외측면이 이루는 모서리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1방수보호 패널;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의 하단부에 상기 지하구조물의 외측면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하구조물의 외측면에 위치한 방수보호재의 전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 2방수보호 패널; 및
상기 지하구조물의 상단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수보호 패널과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한 일측벽 및 상기 일측벽과 마주보는 타측벽이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방수보호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무근 콘크리트 작업 시 무근 콘크리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콘크리트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막이를 기준으로 무근 콘크리트 작업 공간과 토사 되메우기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일측벽은 무근 콘크리트에 접하고, 상기 타측벽은 토사에 접하는 방수 보호 장치.
A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and outer surfaces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having an upper portion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having a lower portion extending to surround an edg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 plurality of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in a direction below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proof protection material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one vertical side wall and the other side wall facing the side wall have an inclined shape, and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It includes a concrete barrier that is formed to protrud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d prevents the flow of unrooted concrete when working with unrooted concrete,
A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that divides a plain concrete work space and a soil backfill space based on the concrete barrier, the one side wall contacting the plain concrete, and the other side wall contacting the soil.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막이는,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의 상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지지대
를 포함하는 방수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crete barrier,
A vertical support protru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And
Inclined support extending downwardly inclin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from the top of the vertical support
Waterproof protective device comprising 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의 하단과 상기 수직 지지대의 하단과 마주보는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경사 지지대와 함께 수직 지지대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It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and one surface of the inclined support facing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support for supporting the vertical support together with the inclined suppor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지지대는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단부와 일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의 상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방수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nclined support is a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extending downwardly inclined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is in close contact with a part.
청구항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수 보호 장치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에 있어서,
지하구조물의 상단면과 외측면에 방수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방수층의 전면에 방수보호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지하구조물의 외측면에 설치될 제 2방수보호 패널의 시공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방수보호재의 전면에 콘크리트막이를 포함하는 제 1방수보호 패널 및 제 2방수보호 패널을 설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방수보호 패널을 상기 지하구조물의 상단면과 외측면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막이를 기준으로 상기 지하구조물 외측 공간에 대한 토사 되메우기 단계; 및
상기 제 1방수보호 패널의 상부를 무근 콘크리트로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수시공 방법.
In the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waterproof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to 5,
Constructing a waterproof layer on the upper and outer surfaces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ttaching a waterproof protective material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Determining the construction height of the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to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nstalling a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and a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 including a concrete barri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proof protection material to fix the first and second waterproof protection panels to the upper and outer surfaces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Backfilling the soil to the outer spac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based on the concrete barrier; And
Paving the upper part of the first waterproof protection panel with plain concrete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KR1020190035792A 2019-03-28 2019-03-28 Waterproof protec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1496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792A KR102149649B1 (en) 2019-03-28 2019-03-28 Waterproof protec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792A KR102149649B1 (en) 2019-03-28 2019-03-28 Waterproof protec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548A Division KR101966082B1 (en) 2017-12-20 2017-12-20 Waterproof protec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012A KR20190075012A (en) 2019-06-28
KR102149649B1 true KR102149649B1 (en) 2020-08-31

Family

ID=6706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792A KR102149649B1 (en) 2019-03-28 2019-03-28 Waterproof protec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649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935A (en) * 1992-08-19 1994-03-08 Ube Nitto Kasei Co Ltd Waterproof work of underground structure and protective plate for waterproof layer
KR0135669B1 (en) 1994-10-26 1998-04-24 최훈 Water proof structure of a wall part f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JPH11336109A (en) * 1998-05-29 1999-12-07 Taisei Corp Water proof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body
KR100642983B1 (en) * 2004-12-08 2006-11-10 덕창건업 주식회사 Reclamation Type Trench and Execution Method for Under Ground Structur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012A (en)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8766B1 (en) Moisture barrier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966082B1 (en) Waterproof protec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710410B1 (en) Heat Insulat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49649B1 (en) Waterproof protec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11421393B2 (en) Vapor mitigation apparatus and method
GB2437370A (en) Floor for wet area
KR102008627B1 (en) Insulating material attached to outer wall of apartment to prevent dew condensation and attach a covering material to the same, and exterior insulation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624354B1 (en) A waterproofing layer protect matrial
KR20070085022A (en) A roof corner water protector
JP3454568B2 (en) Forming construction method of expansion joint insertion recess of waterproofing concrete and expansion joint.
CN206706843U (en) A kind of basement induction crack structure with gutter
KR200420567Y1 (en) Waterproof layer protection sheet
KR200201192Y1 (en) Rubber packing
KR20080005337U (en) A matrial for protecting waterproofing layer
KR101847992B1 (en) Waterproof protec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357967Y1 (en) A waterproofing layer protect matrial
KR100582000B1 (en) Waterproof wall structure of outer wall for building
KR200458991Y1 (en) A protection board for waterproofing layer having anti-plant rooting performance
KR100386913B1 (en) Waterproof stuff for waterproofing of concrete structure and work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922130B1 (en) Waterproof cover panel for construction completion
WO2012077149A1 (en) Sectional waterproofing modules for the protection of masonries against rising damp
KR20170110310A (en) Waterproof protec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529504B1 (en) Draining and waterproofing method for composite wall of underground structur ane structure thereof
KR102335307B1 (en) Structure to reinforce the waterproofing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wall and the floor waterproofing plate and the method thereof
JP3610181B2 (en) Water transfer structure with panels of tunnel-lik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365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11213

Effective date: 20230217